KR101308416B1 - 포유병용 인공젖꼭지 - Google Patents

포유병용 인공젖꼭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8416B1
KR101308416B1 KR1020060123639A KR20060123639A KR101308416B1 KR 101308416 B1 KR101308416 B1 KR 101308416B1 KR 1020060123639 A KR1020060123639 A KR 1020060123639A KR 20060123639 A KR20060123639 A KR 20060123639A KR 101308416 B1 KR101308416 B1 KR 1013084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ipple
infant
pacifier
rib
body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236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61405A (ko
Inventor
야스오 다무라
가즈미 호리에
신야 이시다
Original Assignee
오츠카 세이야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츠카 세이야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오츠카 세이야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614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14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84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84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1/00Tea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1/00Teats
    • A61J11/0035Teats having particular shape or structure
    • A61J11/004Teats having particular shape or structure angled, e.g. in respect to the bott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1/00Teats
    • A61J11/0035Teats having particular shape or structure
    • A61J11/0045Aesthetic properties
    • A61J11/005Aesthetic properties for imitating a nipp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1/00Teats
    • A61J11/0035Teats having particular shape or structure
    • A61J11/006Teats having particular shape or structure for improving flexibili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1/00Teats
    • A61J11/0035Teats having particular shape or structure
    • A61J11/0065Teats having particular shape or structure for improving rigidity, e.g. anti-bite-through or anti-collaps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1/00Teats
    • A61J11/04Teats with means for fastening to bott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1/00Teats
    • A61J11/04Teats with means for fastening to bottles
    • A61J11/045Teats with means for fastening to bottles with interlocking means, e.g. protrusions or indentations on the tea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포유병용 인공젖꼭지는 인간의 젖꼭지와 유사한 형상으로서, 유두부가 찌그러지지 않고 유아의 흡철와에 밀착되어 끼워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포유병용 인공젖꼭지는 연동 같은 운동 중에 유두부가 밀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선단에 액체음료의 유출구멍을 갖는 유두부 및 상기 유두부와 연속하며 상기 유두부보다 큰 직경 및 두꺼운 두께의 몸체부를 포함하고, 가요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유두부가 편평하게 되어 상측유두부와 하측유두부가 밀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유두부에는 유아의 윗입술이 상기 몸체부에 접촉한 상태에서 유아의 잇몸부가 닿는 부위 또는 그 근방의 내주벽에 리브가 설치된다.
유아, 포유병, 인공젖꼭지, 유두부, 흡철와, 몸체부, 리브

Description

포유병용 인공젖꼭지{ARTIFICIAL NIPPLE FOR A NURSING BOTTLE}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포유병용 인공젖꼭지를 나타낸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포유병용 인공젖꼭지의 배면도.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포유병용 인공젖꼭지의 종단면도.
도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포유병용 인공젖꼭지의 횡단면도.
도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포유병용 인공젖꼭지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6a 및 도6b는 도3의 Ⅹ-Ⅹ라인에 따른 단면도.
도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포유병용 인공젖꼭지의 유두부가 편평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8a, 도8b, 및 도8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포유병용 인공젖꼭지의 리브의 실시예들을 나타낸 도면.
도9a는 유아의 구개를 나타낸 평면도
도9b는 B, C, E 단면을 중첩해서 나타낸 도면
도9c는 정중앙 단면을 나타낸 도면.
도10a는 1-2개월 유아그룹, 3-4개월 유아그룹, 5개월 이상의 유아그룹의 3그 룹의 구개 외형을 나타낸 도면
도10b는 정중앙의 단면 곡선을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인공젖꼭지 2: 유두부
21: 유두본체부 22: 돔부
3: 몸체부 4: 경계부
5: 장착부 6: 리브
본 발명은 유아(젖먹이와 어린아이)의 수유에 사용되는 포유병용 인공젖꼭지에 관한 것이다.
유아의 흡철운동(sucking movement)에 의한 수유는 유아의 윗턱의 흡철와(sucking fossa)(음푹 패인 부분)에 젖꼭지가 위치한 상태에서 유아의 혀의 연동 같은 운동(peristalsis-like movement)에 의해 젖꼭지를 그 뿌리부분으로부터 선단부를 향해 압착해서(짜내서) 이루어지고, 이와 같은 수유 동작은 젖꼭지를 유아의 윗턱의 흡철와에 밀착시킴으로써 가능해진다.
여기에서, 일본특허공개 제2000-288호에는 유아의 흡철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유두부를 크게 편심시켜서 상기 유두부를 흡철와에 스무드하게(smooth) 유입시킬 수 있는 포유병용 인공젖꼭지가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인공젖꼭지는 인간의 젖꼭지와는 다른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유아에게 위화감을 준다. 또한, 상기와 같은 이유로 인하여, 상기 유두부가 유아의 흡철와에 끼워지지 않는 경우가 많이 발생되어, 상기 젖꼭지가 흡철와에 눌리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젖꼭지의 상측과 하측이 밀착되어서 유두부가 편평하게 되고, 이에 의해 상기 젖꼭지 내부가 진공상태로 되어 수유가 이루어질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일본특허 제2781246호에는 연동 같은 운동에 의해 액체음료의 흐름이 스무드하게 이루어지도록 체크밸브를 구비한 포유병용 인공젖꼭지가 제안되어 있다. 이와 같은 인공젖꼭지는 인간의 젖꼭지와 유사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또한 상기 젖꼭지를 탄력성이 좋은 재질로 형성하면 유두부를 흡철와에 유입시킬 수 있지만, 상기 유두부의 형상이 찌그러지게 되어 원활한 연동 같은 운동이 저해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유아의 흡철와에 유두부를 밀착시키기 어려운 문제도 있다. 또한, 상기 체크밸브의 밸브개구가 슬릿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상기 밸브개구가 막히게 되고, 이에 의해 상기 젖꼭지 내부가 진공상태로 되어 수유가 이루어질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인간, 특히 수유기의 엄마의 젖꼭지와 유사한 형상으로서, 유두부가 찌그러지지 않고 유아의 흡철와에 밀착되어 끼워질 수 있으며, 또한 연동 같은 운동 중에는 유두부가 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포유병용 인공젖꼭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포유병용 인공젖꼭지는 선단에 액체음료의 유출구멍(유두개구)을 갖는 유두부; 및 상기 유두부와 연속하며 상기 유두부보다 큰 직경 및 두꺼운 두께의 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인공젖꼭지는 가요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유두부가 편평하게 되어 상측유두부와 하측유두부가 밀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유두부는 유아의 윗입술이 상기 몸체부에 접촉한 상태에서 유아의 잇몸부가 닿는 부위 또는 그 근방의 내주벽에 리브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두부의 내주벽의 원주방향에 따라 상기 리브를 설치함으로써, 상기 리브로 둘러싸이는 타원형의 개구부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유아의 윗입술이 접촉하는 것에 의해 유아의 구강 내로 유입되는 상기 유두부의 적정한 삽입 깊이를 확보하기 위하여 팽창돌출부를 상기 몸체부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몸체부는 상측의 두께가 하측보다도 두껍게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유두부는 상기 리브와 유두부의 근원부 사이에서 상하측의 두께가 좌우측보다도 얇게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유두부; 및 상기 유두부와 연속하며 상기 유두부보다 큰 직경 및 두꺼운 두께의 몸체부를 포함하고, 가요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유두부가 편평하게 되어 상측유두부와 하측유두부가 밀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유두부는 유아의 윗입술이 상기 몸체부에 접촉한 상태에서 유아의 잇몸부가 닿는 부위 또는 그 근방의 내주벽에 리브를 설치한다. 이로 인하여, 상기 리브가 형성된 부분의 상기 유두부의 허리 부분의 강도가 커지므로, 상기 리브와 몸체부의 경계 부분의 상기 유두부는 수유시에 유아의 혀의 압력이 상기 유두부에 가해져서 스무드하게 변형된다. 이에 의하여, 상기 유두부의 형상이 찌그러지지 않으면서 상기 유두부가 흡철와에 유입될 수 있고, 원활한 연동 같은 운동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근래의 조사에 의하면, 유아의 흡철와의 폭 및 깊이는 유아의 성장에 의해서도 변화가 없는 것으로 판명되었기 때문에,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유두부가 상기 경계 부분에서 확실하게 구부러져서 흡철와로 유입되면, 상기 유두부를 흡철와에 따른 크기로 설정하는 것만으로 유아기에 최적의 수유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브는 상측유두부와 하측유두부 사이의 스페이서로서 기능하고, 연동 같은 운동 중에 상기 유두부의 상측유두부 및 하측유두부가 밀착되어 상기 젖꼭지의 내부가 진공상태로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서, 인간의 젖꼭지와 유사한 형상으로 하여도 안정적인 수유가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두부의 내주벽의 원주방향에 따라 상기 리브를 설치함으로써, 상기 리브로 둘러싸이는 타원형의 개구부를 형성하면, 상기 리브가 존재하는 부분의 상기 유두부의 허리 부분의 견고함을 유두부의 전체 원주방향에 걸쳐 발휘시킬 수 있어서, 전술한 효과가 더욱 확실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유아의 윗입술이 접촉하는 것에 의해 유아의 구강 내로 유입되는 상기 유두부의 적정한 삽입 깊이를 확보하기 위하여 팽창돌출부를 상기 상측몸체부에 형성하면, 상기 유두부를 정확하게 흡철와에 위치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부의 상측의 두께가 하측보다도 두껍게 이루어지면, 상기 몸체부의 하측이 상측보다도 신장(연신)하기가 쉬워져서 상기 유두부가 더욱 용이하게 상방향으로 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유두부는 상기 리브와 유두부의 근원부 사이에서 상하측의 두께가 좌우측보다도 얇게 이루어지면, 상기 유두부는 좌우측에 의해 지지된 상태에서 상방향으로 향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유두부가 의도하지 않게 횡방향으로 향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그 결과 상기 유두부를 유아의 흡철와 내에 정확하게 유입시킬 수 있다.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포유병용 인공젖꼭지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포유병용 인공젖꼭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포유병용 인공젖꼭지의 배면도이고,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포유병용 인공젖꼭지의 종단면도이고, 도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포유병용 인공젖꼭지 의 횡단면도이고, 도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포유병용 인공젖꼭지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포유병용 인공젖꼭지(1)는 실리콘 고무, 폴리우레탄 고무 등의 고무소재를 사출성형 등의 성형방법으로 형성된다. 상기 인공젖꼭지(1)는 유두부(2), 상기 유두부(2)에 연속하여 형성되는 사발 형상의 몸체부(3), 상기 유두부(2)와 몸체부(3) 사이의 경계부(4), 및 상기 몸체부(3)의 주연부에 형성된 장착부(5)를 포함한다.
상기 유두부(2)는 몸체부(3)에 연결되는 유두본체부(21) 및 상기 유두본체부(21)의 선단에 형성되는 돔부(22)를 포함한다. 상기 돔부(22)의 피크부에 유두개구(유출구멍)(23)가 설치되고, 상기 유두개구(23)는 돔부(22)의 피크부에 십자 형상으로 절개하여 형성한다.
상기 유두부(2)의 내주벽의 전체 원주방향(유두부를 횡단하는 방향)에 따라 리브(6)를 설치하고, 상기 리브(6)에 의해 타원형의 개구부(7)가 형성된다. 상기 리브(6)가 설치되는 위치는 유아의 윗입술이 몸체부(3)에 접촉한 상태에서 유아의 잇몸부(A4)가 닿는(만나는) 부위 또는 그 근방의 내주벽이다. 상기 리브(6)가 설치되는 보다 바람직한 위치는, 유아의 윗입술이 몸체부(3)의 팽창돌출부(33a)(후술함)에 접촉한 상태에서, 유아(A)의 잇몸부(A4)가 리브(6)와 팽창돌출부(33a)의 뿌리부 사이에서 상기 뿌리부의 상승 부위와 가까운 부분에 위치될 수 있도록, 상기 팽창돌출부(33a)의 뿌리부의 상승 부위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유두개구(23)측으로 떨어진 위치이다.
상기 유두부(2)의 유두본체부(21)의 좌우양측부(21a, 2lb)의 두께는 전체 길 이에 걸쳐서 동일한 치수가 되도록 설정되고, 상기 유두본체부(21)의 상하양측부(21c, 21d)의 두께는 유두본체부(21)의 선단측으로 갈수록 점점 커지게 설정된다.
상기 유두본체부(21)는 리브(6)와 유두본체부(21)의 근원부 사이에서 유두본체부(21)의 상하양측부(21c, 21d)의 두께보다도 좌우양측부(21a, 2lb)의 두께가 크게 이루어진다. 이에 의하여, 상기 유두부(2)는 유두본체부(21)의 좌우양측부(21a, 2lb)에 의해 지지된 상태에서 상방향으로 향할 수 있고, 상기 유두부(2)가 유아의 구강 내에서 횡방향으로 향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리브(6)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어 도8에 나타낸 바와 같은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8a는 리브(6)를 유두부(2)의 중심축을 피해 설치함으로써, 상기 유두부(2)가 편평하게 되어도 액체음료가 유두부(2)의 중앙부를 흐르도록 한 것이고, 도8b는 리브(6)를 중앙이 돌출되도록 형성함으로써, 상기 리브(6)가 양측으로 확대되는 것을 억제하여 액체음료의 유로면적이 좁아지지 않도록 한 것이다. 또한, 도8c는 리브(6)에 종방향 길이의 홀(6c)을 형성해서, 상기 유두부(2)가 편평해짐에 따라 2점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홀(6c)이 확대되게 하여 액체음료의 유로면적을 확보한다.
상기 몸체부(3)는 상측몸체부(3a)가 산 형상의 팽창돌출부(33a)에 의해 하측몸체부(3b)보다도 두께가 크도록 설정된다. 또한, 도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하측몸체부(3b)의 하측수평부(31b)로부터 경계부(4)와 대략 같은 두께로 긴 경사부(32b)를 연결해서 상기 경사부(32b)의 말단을 경계부(4)와 연속되게 하고, 상기 상측몸체부(3a)의 상측수평부(31a)로부터 경계부(4)와 대략 같은 두께로 짧은 경사부(32a)를 연결해서 상기 경사부(32a)의 말단을 경계부(4)와 연속시킨다. 또한, 도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상측몸체부(3a)보다도 하측몸체부(3b)의 깊이를 깊게 하여 유아가 인공젖꼭지를 구강 내에서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장착부(5)는 몸체부(3)의 주연부에 형성되는 플랜지부(5a), 상기 플랜지부(5a)의 하면에 형성되는 돌출부(5b), 및 상기 플랜지부(5a)의 일부에 설치되는 공기밸브(5c)를 포함한다. 상기 공기밸브(5c)는 플랜지부(5a)의 하면에 자루 형상으로 형성되고, 슬릿부(미도시)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인공젖꼭지(1)는 엄마의 젖꼭지와 같이 평평하게 신장(연신)되도록 설정되어, 상기 몸체부(3)의 상측몸체부(3a)를 포함하는 몸체부(3) 전체에 의해 인공젖꼭지(1)가 신장되게 도와준다.
이하,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인공젖꼭지(1)의 사용방법 및 그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상기 인공젖꼭지(1)를 포유병에 장착하기 위하여, 상기 포유병의 개구부에 장착부(5)를 끼우고, 플랜지부(5a)를 포유병과 그 캡 사이에 고정한다.
다음에, 유아(A)의 구강 내에 인공젖꼭지(1)를 물리고, 상기 포유병의 저부가 인공젖꼭지(1)보다도 상측에 위치하도록 기울인 상태에서 수유를 행한다.
그리고, 상기 몸체부(3)의 팽창돌출부(33a)의 경사면에 유아(A)의 윗입술(A1)을 접촉시켜서 유두부(2)의 위치결정이 이루어지는 것에 의하여 상기 유두부(2)가 유아(A)의 구강 내에 적정한 깊이로 삽입된다. 이 상태에서, 유아(A)가 유 두부(2)를 혀(A2)로 가볍게 밀어올리면, 상기 리브(6)와 유두본체부(21)의 근원부 사이의 유두본체부(21) 및 경계부(4)가 스무드하게(smooth) 변형됨으로써, 상기 유두부(2)의 형상이 찌그러지지 않으면서 상기 유두부(2)를 흡철와(sucking fossa)(A3)에 유입되게 할 수 있고, 원활한 연동 같은 운동(peristalsis-like movement)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측몸체부(3a)와 하측몸체부(3b)의 두께 치수의 관계로 인하여, 상기 몸체부(3)의 하측몸체부(3b)가 상측몸체부(3a)보다도 신장이 쉽게 이루어지고, 이에 의해서 상기 유두부(2)가 용이하게 상측으로 향하게 되어 유아의 흡철와(A3)에 수용된다.
또한, 유아(A)의 혀(A2)의 연동 같은 운동에 의해 도6b 및 도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두부(2)가 편평하게 되어도, 상기 리브(6)에 의해 유두부(2)의 상측부와 하측부가 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상기 유두부(2)에 도입된 액체음료의 흐름이 차단되어서 몸체부(3) 내로 밀리는 것이 방지되어 액체음료는 유두개구(23)를 통과하여 유아(A)의 구강 내로 원활하게 송출된다. 또한, 상기 리브(6)의 상하부(6a, 6b)는 도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맞물리지 않아도 무방하고, 또한 도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맞물려도 양호하다.
전술한 바와 같은 인공젖꼭지의 형태 및 치수는 유아의 구개 형태의 측정결과에 기초해서 결정된다. 또한, 유아를 1-2개월 유아그룹, 3-4개월 유아그룹, 5개월 이상의 유아그룹의 3그룹으로 분류해서 측정했다.
도9a는 유아의 구개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구개의 측정기준점은 도9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면 중앙의 절치유두부(papilla incisive part)에서 치조정 상(alveolar crest)의 점 A; 유견치치조부(alveolar part of milk canine) 원심벽에서 외측홈(lateral sulcus)의 정점 B, B'; 치조궁(alveolar arch)의 최대폭경으로 나타낸 치조정상의 점 C, C'; 상악결절부(tuber maxilla part)에 대응하는 치조(alveolar)의 최후 가장자리부의 점 E, E'이고; A, E, E'의 3점으로 만드는 평면을 기준면으로 하였다. 또한, 이외에, 측정점으로서 A점으로부터 E, E' 상에 수선을 내려서 교차하는 점 F; C-C' 단면 상에서 부치조제(subalveolar ridge)로부터 구개의 정중앙 방향으로 도달하는 변곡점 J, J'에 대해서도 측정했다. 이들의 기준점 및 측정 항목으로부터 각 측정점 간의 장경과 폭경 및 정중앙 단면과 횡단면에서의 회귀 곡선을 구하고, 평균적인 흡철와(sucking fossa) 폭, 구개의 최대 깊이부까지의 거리, 흡철시 턱운동 등을 참고로 해서 인공젖꼭지의 형태를 결정했다. 도9b는 B, C, E 단면의 중첩을 나타낸 것이고, 도9c는 정중앙 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10a는 3그룹의 측정 결과로부터 얻을 수 있는 구개의 외형을 나타낸 것이고, 도10b는 정중앙 단면 곡선을 나타낸 것이다. 구개의 장경은 1-2개월 유아그룹을 컨트롤한 경우에 A-CC' 사이는 의미 있는 증가가 이루어지고, A-BB', A-EE' 사이는 변화가 없었다. 구개의 폭경은 BB', CC', MM' 사이에서는 의미 있는 증가가 이루어지고, EE' 사이는 변화가 없고, 또한 JJ' 사이도 변화가 없었다. 구개의 깊이는 성장에 의한 변화가 거의 없었다. 치조(alveolar) 최전방면에서 최대 깊이점까지의 수평거리는 1-2개월 유아의 경우 평균 16.1mm, 3-4개월 유아의 경우 평균 16.5mm, 5개월 이상의 유아의 경우 평균 17.0mm이고, 각 그룹의 간에 의미 있는 차 이는 없었고, 전체의 평균값은 16.6mm이었다. 흡철와도 각 그룹 간의 차이는 없었고, 피검 유아 39명의 평균값은 16.9mm이었다. 총 근육활동량(muscle activity)에 대한 각 근육활동의 비율은 유방 포유(breast-feeding infant) 그룹과 거의 차이가 없었지만, 총 근육활동량에서는 작은 경향이 있었다.
전술한 결과로부터 인공젖꼭지의 치수를 다음과 같이 결정했다. 즉, 도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유두부(2)의 횡단면에서의 치수는 최대 외경(R1)을 15mm, 상기 유두부(2)의 근원부에서 최대 외경부까지의 거리(L1)를 16mm, 상기 유두부(2)의 선단부에서 최대 외경부까지의 거리(L2)를 7.5mm, 상기 리브(6)가 형성된 부위로부터 최대 외경부까지의 거리(L3)를 8mm, 상기 유두부(2)의 근원부의 내경(L4)을 13mm, 상기 리브(6)의 상부(6a)와 하부(6b) 사이의 거리를 5mm로 각각 설정했다.
또한, 도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유두부(2)의 종단면에서의 치수는 외경(R2)을 15mm, 상기 외경 치수는 유두부(2)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같도록 설정하고, 상기 유두부(2)의 근원부의 내경(L6)을 12.4mm로 설정했다.
이와 같은 치수의 인공젖꼭지를 사용하여 모니터링을 한 결과, 20명 중에서 12명이 곧바로 익숙하게 되었고, 12명이 마시기 쉽다고 회답하였고, 11명이 리드미컬하게 마셨고, 13명이 마시면서 흘리는 것이 적어졌고, 6명은 마시는 양이 많아지게 되었고, 4명은 트림이 적어졌다고 회답하였으며, 전체적으로 양호한 방향으로 변화가 있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 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인공젖꼭지는 유두부가 찌그러지지 않으면서 유아의 흡철와에 밀착되어 끼워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인공젖꼭지는 연동 같은 운동 중에 유두부가 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Claims (5)

  1. 선단에 액체음료의 유출구멍을 갖는 유두부; 및
    상기 유두부와 연속하며 상기 유두부보다 큰 직경 및 두꺼운 두께의 몸체부
    를 포함하고,
    가요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유두부가 편평하게 되어 상측유두부와 하측유두부가 밀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유두부는 유아의 윗입술이 상기 몸체부에 접촉한 상태에서 유아의 잇몸부가 닿는 부위 또는 그 근방의 내주벽에 리브를 설치하고;
    상기 몸체부는 상측의 두께가 하측보다도 두꺼운
    포유병용 인공젖꼭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두부의 내주벽의 원주방향에 따라 상기 리브를 설치함으로써 상기 리브로 둘러싸이는 타원형의 개구부를 형성하는
    포유병용 인공젖꼭지.
  3. 제1항에 있어서,
    유아의 윗입술이 접촉하는 것에 의해 유아의 구강 내로 유입되는 상기 유두 부의 적정한 삽입 깊이를 확보하기 위하여 팽창돌출부를 상기 몸체부에 형성하는
    포유병용 인공젖꼭지.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두부는 상기 리브와 유두부의 근원부 사이에서 상하측의 두께가 좌우측보다도 얇은
    포유병용 인공젖꼭지.
KR1020060123639A 2005-12-08 2006-12-07 포유병용 인공젖꼭지 KR10130841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354913 2005-12-08
JP2005354913 2005-12-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1405A KR20070061405A (ko) 2007-06-13
KR101308416B1 true KR101308416B1 (ko) 2013-09-16

Family

ID=381292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23639A KR101308416B1 (ko) 2005-12-08 2006-12-07 포유병용 인공젖꼭지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578403B2 (ko)
KR (1) KR101308416B1 (ko)
CN (1) CN1977786B (ko)
HK (1) HK1103008A1 (ko)
TW (1) TWI32901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564047T3 (es) 2004-06-29 2016-03-17 Jackel International Limited Tetina
DE202005014621U1 (de) * 2005-09-12 2007-02-01 Mapa Gmbh Gummi- Und Plastikwerke Trinksauger
GR1005800B (el) * 2007-01-23 2008-02-05 Andrea Papa Συστηματα και μεθοδος εκμαιευσης γαλακτος απο θηλαστικα
DE102007027960B4 (de) * 2007-06-19 2011-06-01 Mapa Gmbh Sauger
US20090194030A1 (en) * 2008-02-06 2009-08-06 Hsiao-Chen Liang Feeding mouthpiece
CN101292940A (zh) * 2008-05-30 2008-10-29 皇后洋行有限公司 可调弯曲角度的奶嘴及奶瓶
EP2296604B1 (en) * 2008-07-07 2016-05-04 Koninklijke Philips N.V. Peristaltic teat
USD617508S1 (en) 2009-02-12 2010-06-08 West Agro Inc. Animal feeding nipple
USD617057S1 (en) 2009-02-12 2010-06-01 West Agro Inc. Animal feeding nipple
US8117990B2 (en) * 2009-02-12 2012-02-21 West Agro Inc. Nipple for feeding liquids to calves and other mammals
GB0904863D0 (en) * 2009-03-20 2009-05-06 Jackel Int Ltd A teat for a baby product
FR2949322B1 (fr) * 2009-09-03 2013-01-11 Francois Fave-Lesage Systeme d'allaitement artificiel
US20110139079A1 (en) * 2009-12-14 2011-06-16 Scott Wadsworth Livestock nursing nipple
KR101081430B1 (ko) * 2010-04-22 2011-11-08 주식회사 베이비드림 수유용 젖병
SG185765A1 (en) * 2010-05-28 2012-12-28 Smilestraw Pty Ltd Drinking mouthpiece
BR112014025657A8 (pt) * 2012-04-18 2018-12-04 Koninklijke Philips Nv dispositivo infantil para beber e dispositivo de alimentação infantil
US8776387B1 (en) 2012-09-18 2014-07-15 Travina Butler-Ammar Bottle nipple size selection system
JP2014166267A (ja) * 2013-02-28 2014-09-11 Combi Corp 人工乳首及び人工乳首を有する哺乳器
US9510562B2 (en) * 2013-07-10 2016-12-06 Chris's Squirrels and More, LLC Feeding nipple
US9855194B1 (en) * 2014-07-14 2018-01-02 Michael C. Walter, Jr. Solid food dispenser and kit
GB201509469D0 (en) * 2015-06-02 2015-07-15 Jinadu Amdalat A feeding bottle for babies
USD787263S1 (en) * 2016-01-28 2017-05-23 Masontops, Inc. Pickle pipe
WO2017161203A1 (en) * 2016-03-16 2017-09-21 Justmilk Devices for delivering an agent into breast milk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EP3618797A1 (en) * 2016-09-14 2020-03-11 Gunter Tannhäuser System for tempering and delivering baby food
US11529768B2 (en) * 2017-04-28 2022-12-20 Mace Corporation Baby bottle nipple and method of forming an opening therein
KR102037596B1 (ko) * 2018-03-13 2019-10-28 양진석 유아용 노리개 젖꼭지
CN112224651A (zh) * 2020-10-28 2021-01-15 李燕 一种用于食品包装的重复启闭隔菌液体包装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32263A (en) 1985-01-30 1986-12-30 Gertzman Gloria B Nipple for a baby who has a cleft in its hard palate
WO1992003118A1 (en) * 1990-08-20 1992-03-05 Otsuka Pharmaceutical Co., Ltd. Nipple for nursing bottle
JP2781246B2 (ja) * 1989-02-20 1998-07-30 大塚製薬株式会社 哺乳瓶用乳首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5161A (en) * 1898-06-07 Nipple for nursing-bottles
US705916A (en) * 1901-07-18 1902-07-29 Philip Gauss Bottle-nipple.
US981072A (en) * 1909-09-28 1911-01-10 William More Decker Nursing-nipple.
US1683246A (en) * 1926-03-30 1928-09-04 Miller Rubber Co Bottle nipple
US1821913A (en) * 1928-03-17 1931-09-01 Joseph A Smith Nursing nipple
US1902433A (en) * 1931-07-02 1933-03-21 Gen Health Corp Nipple
US2174361A (en) * 1936-05-16 1939-09-26 Bridget D Condon Nursing nipple
US2196870A (en) * 1936-09-30 1940-04-09 Davol Rubber Co Large mouth nipple construction
US2227389A (en) * 1939-05-02 1940-12-31 Corman O Edwards Nipple for nursing bottles
US3082770A (en) * 1961-12-12 1963-03-26 Walter J Straub Bottle nursing nipple
US3495993A (en) * 1967-07-27 1970-02-17 Arthur C Barr Disposable infant feeding package and method of making
BE806883A (fr) * 1973-11-05 1974-03-01 Alpha Bebe Sante Sa Tetines a debit reglable
DE8524734U1 (de) * 1985-08-29 1986-04-03 Helvoet Pharma N.V., 3820 Alken Orthodontischer Flaschensauger
TW256771B (ko) * 1990-08-20 1995-09-11 Otsuka Pharma Co Ltd
USD360468S (en) * 1991-09-23 1995-07-18 Bristol-Myers Squibb Company Neonatal nipple
JPH0584279A (ja) * 1991-09-30 1993-04-06 Pigeon Corp 哺乳器用乳首
JP4049451B2 (ja) 1998-06-16 2008-02-20 ピジョン株式会社 飲料容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32263A (en) 1985-01-30 1986-12-30 Gertzman Gloria B Nipple for a baby who has a cleft in its hard palate
JP2781246B2 (ja) * 1989-02-20 1998-07-30 大塚製薬株式会社 哺乳瓶用乳首
WO1992003118A1 (en) * 1990-08-20 1992-03-05 Otsuka Pharmaceutical Co., Ltd. Nipple for nursing bott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977786A (zh) 2007-06-13
KR20070061405A (ko) 2007-06-13
US20070131637A1 (en) 2007-06-14
US7578403B2 (en) 2009-08-25
CN1977786B (zh) 2011-03-23
TW200735856A (en) 2007-10-01
HK1103008A1 (en) 2007-12-14
TWI329012B (en) 2010-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8416B1 (ko) 포유병용 인공젖꼭지
JP3104866U (ja) 乳首
JP4350524B2 (ja) おしゃぶり
TWI598091B (zh) Artificial nipples and their use of the nipple and pacifier toys
JP4964879B2 (ja) 補強体付人工乳首
JP4562289B2 (ja) 人間工学的な乳首状物
US3082770A (en) Bottle nursing nipple
TW201121537A (en) Artificial nipple and nursing container using same
JP2006505353A (ja) 人工乳首
CA2801016C (en) Drinking mouthpiece
CN218923271U (zh) 一种奶嘴及设有该奶嘴的奶瓶
JP4979359B2 (ja) 哺乳瓶用人工乳首
JP2001009008A (ja) 人工乳首
JP4233075B2 (ja) 人工乳首
CN211751149U (zh) 一种深含乳奶嘴
TW201501708A (zh) 人工奶嘴及具有人工奶嘴之哺乳器(一)
TW201124129A (en) Artificial nipple and nursing container using same
TW202133834A (zh) 具有直接安裝構造之奶嘴
JP2622598B2 (ja) 哺乳器用乳首
CN216798248U (zh) 偏心流道奶嘴
JPH01207069A (ja) 哺乳用乳首
CN111110569A (zh) 一种深含乳奶嘴
TWM624461U (zh) 偏心流道奶嘴
KR200370938Y1 (ko) 우유병용 젖꼭지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