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7618B1 - 신규한 아크릴계 공중합체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신규한 아크릴계 공중합체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7618B1
KR101307618B1 KR1020110126883A KR20110126883A KR101307618B1 KR 101307618 B1 KR101307618 B1 KR 101307618B1 KR 1020110126883 A KR1020110126883 A KR 1020110126883A KR 20110126883 A KR20110126883 A KR 20110126883A KR 101307618 B1 KR101307618 B1 KR 1013076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synthesis example
dimethoxyethane
copolymer
stabil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68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4368A (ko
Inventor
이길성
Original Assignee
에스엠에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엠에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엠에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268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7618B1/ko
Publication of KR201200043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43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76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7618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04Acids; Metal salts or ammonium salts thereof
    • C08F220/06Acrylic acid; Methacrylic acid; Metal salts or ammonium salt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Processes of polymerisation
    • C08F2/38Polymerisation using regulators, e.g. chain terminating agents, e.g. telomeris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12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 C08F220/16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 C08F220/18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with acrylic or methacr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26Esters containing oxygen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 C08F220/32Esters containing oxygen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containing epoxy radic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42Nitri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06Ethers; Acetals; Ketals; Ortho-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3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 Epoxy Resi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르복실기와 에폭시기 동시에 포함하는 아크릴계 공중합체에 관한 것으로 공중합체 중합시 1,2-Dimethoxyethane를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1,2-Dimethoxyethane는 카르복실기를 Blocking 시켜줌으로써 보관안정성이 우수하고 1액형으로 사용이 편리하며 도포후에는 Dry 공정에서 제거되면서 카르복실기를 De-blocking 시키면서 경화 반응이 일어나게 된다. 본 발명에 공중합체는 열경화형 접착제로서 높은 접착력을 요구하는 제품 또는 LCD등 광학특성이 요구되는 부품의 코팅액 조성물로 사용이 적합하다.

Description

신규한 아크릴계 공중합체 제조방법 {NOVEL PREPARATION FOR ACRYLIC TYPE RESIN}
본 발명은 신규한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제조하는 방법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아크릴 공중합체내에 카르복실기와 에폭시기를 동시에 포함하고 있어서 1액형으로 사용이 편리하며 보관 안정성이 우수하여 열경화성 접착제 또는 LCD등 광학특성이 요구되는 부품의 코팅액 조성물로 사용이 적합한 공중합체에 관한 것이다.
아크릴계 공중합체는 투명성이 뛰어나고 다양한 모노모 조합을 통해 다양한 성능을 갖는 공중합체를 만들 수 있으므로 접착제 산업 또는 LCD 산업등에서 많이 사용되어 지고 있다. 이중에서도 특히 카르복실기 또는 에폭시기를 갖는 공중합체는 열경화성 조성물로서 많이 사용되어 지고 있다. 이는 하기와 같은 메카니즘을 거치어 경화물이 형성되어 접착 성능을 부여 하든가 또는 요구되는 막특성을 부여하게 되기 때문인다.
주제 경화제
Figure 112011095238407-pat00001
Figure 112011095238407-pat00002

주제와 경화제를 통한 경화
Figure 112011095238407-pat00003

지금까지 주로 사용되는 방법은 에폭시기를 갖는 공중합체를 주제로 하면서 산 또는 무수물기를 갖는 경화제를 각각 사용직전 혼합하는 방법이다. 이방법의 단점은 주제와 경화제를 사용전에 각각 혼합하여야 하기 때문에 사용이 번거롭고 또 혼합후에는 안정화 될 때까지 대기해야 한다는 점, 또한 혼합후에는 일정시간안에 사용할 수 밖에 없고 사용후 남은 것을 처리하기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보다 개선된 방법으로 카르복실기와 에폭시기를 동시에 존재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USP 7,722,932, USP 7,847,013) 이방법은 종래의 2액형 방법을 개선한 것으로 진보된 것임에는 틀림없지만 실제로 고분자 사슬내에 도입할 수 있는 카르복실기와 에폭시기의 함량이 일정수준 이내이기 때문에 접착력이 저하된다든지 요구특성을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이는 카르복실기와 에폭시기의 함량을 증가시키면 상호간의 접촉확율이 높아지게 되어 보관중에 경화반응을 일으키기 때문이다. 즉 카르복실기와 에폭시기의 함량이 매우 미량 존재하는 경우에만 보관 안정성이 나타날뿐더러 Cross-linking 밀도가 낮아 접착력및 막강도가 낮은 단점이 있다.
고분자내 카르복실기와 에폭시기의 자기 가교를 통한 경화
Figure 112011095238407-pat00004

본 발명자들은 상기의 단점을 극복한 기술을 개발한 것으로 분자내에 카르복실기와 에폭시기를 다량 함유하고 있으면서 보관 안정성이 우수하여 1액형 열경화형 접착제 또는 광학 코팅막을 제조하는 데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공중합체를 제조하는 방법을 개발 하였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의 고분자 주쇄에 있는 카르복실기를 Blocking 시킬 수 있는 방법에 착안하여 본 개발을 완성하게 되었다. 즉 보관중에는 주쇄에 있는 카르복실기와 에폭시기를 Blocking하여 cross linking을 억제하여 안정성을 확보하고 경화를 위해 열이 가해지는 시점에서는 카르복실기와 에폭시기가 De-blocking되어 cross linking이 일어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Figure 112011095238407-pat00005

R1, R2, R3는 H 또는 Methyl기를 나타내며, R4는 니트릴기 또는 탄소수가 1내지 4인 알킬 아크릴기이다. ㅣ,m 및 n은 각각의 몰비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는 분자내의 카르복실기와 에폭시기를 Blocking 시킬 수 다양한 방법을 시도한 결과 하기와 같이 이들 기에 친화성이 높은 1,2-Dimethoxyethane(DME) 용매를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Figure 112011095238407-pat00006
Figure 112011095238407-pat00007
DME 용매화 효과에 의한 Blocking 1,2- Dimethoxyethan
여러 용매중에 DME만이 이러한 효과를 나타내는지는 확실히는 알 수 없으나 아마도 DME 분자의 길이가 타 용매에 비해 적절하여 용매화 효과가 월등히 뛰어나기 때문이 아닌가 판단된다.
본 기술은 아크릴 공중합체내에 카르복실기와 에폭시기를 동시에 다량 포함하고 있어서 1액형으로 사용이 편리하며 보관 안정성이 우수한 바인더로 높은 접착력을 요구하는 제품 또는 LCD등 광학특성이 요구되는 부품의 열경화성 접착제 또는 코팅액 조성물로 사용이 적합하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들은 단지 설명의 목적을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아크릴계 공중합체 합성
합성예 1~9
냉각관과 교반기를 구비한 플라스크에 2,2‘-아조비스(2,4-디메틸발레로니트릴)(개시제)는 모노머 합의 5 중량%를 표1의 모노머들을 각각의 중량비대로 투입하고 프로필렌글리콜 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PGMEA, 용매)를 상기 개시제와 단량체의 총량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0 중량부를 투입한 후, 1,2-Dimethoxyethane을 단량체의 총량 100 중량부에 대하여 20에서 0 중량부를 각각 투입한후 질소 분위기 하에서 서서히 교반을 시작하였다. 반응 용액을 70℃까지 승온시켜 5시간 동안 교반하여 각각의 공중합체를 중합하였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얻어진 아크릴계 바인더 수지 용액의 고형분 농도는 35 ~ 45중량%이고, 중량평균분자량은 표 1과 같다. 이때, 중량평균분자량은 GPC(Gel Permeation Chromatography)를 사용하여 측정한 폴리스타일렌 환산평균분자량이다. 각각의 공중합체의 안정성은 상온에서 보관한후 168시간후 및 500시간후의 안정성 여부를 관찰 하였다.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1
상기 합성예 1에서 1,2-Dimethoxyethane을 사용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 하였다. 그 결과는 표 1에 나타 내었다.
합성예1 합성예2 합성예3 합성예4 합성예5 합성예6 합성예7 합성예8 합성예9 비교예
1
Ethyl acrylate 29 29 29 29 25 20 24 24 14 29
Butyl acrylate 25 25 25 25 21 16 25 20 12 25
Acrylonitrile 24 24 24 24 24 24 24 24 24 24
Glycidylmethacrylate 12 12 12 12 20 30 12 12 30 12
Methacrylic acid 10 10 10 10 10 10 15 20 20 10
1,2-Dimethoxyethane(*1) 20 10 5 1 20 20 20 20 20 0
분자량(M.W., x 1,000) 100 110 110 115 105 105 95 90 90 100
PDI(*2) 13.1 13.1 13.1 14.5 13.0 13.0 12.5 12.0 12.0 13.0
안정성(168hr@상온) 안정 안정 안정 안정 안정 안정 안정 안정 안정 겔형성
안정성(500hr@상온) 안정 안정 안정 겔형성 안정 안정 안정 안정 겔형성 겔형성
*1 모노머 100에 대한 무게 %
*2 PDI = M.W./M.N.
열경화성 접착제 제조
[ 평가예 1~5]
상기의 합성예1, 합성예5, 합성예6, 합성예7, 합성예8 에서 제조된 바인더 10g 과 경화촉진제로서 KH-505(국도화학) 0.1g를 혼합한후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FPCB)용 Polyimide film과 Copper foil을 접착한후 Dry후 200도에서 1시간 경화후 180도에서의 Peel strength와 내열성을 측정 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 내었다.
[ 비교예 1]
상기의 바인더 대신 메타아크릴산을 포함하는 공중합체(NPR-1520, 미원사) 8g과 에폭시기를 갖는 YD-136(국도화학) 2g 을 사용한 점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의 방법과 동일하게 제조후 그 성능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평가예1 평가예2 평가예3 평가예4 평가예5 비교예 1
아크릴 공중합체 합성예1 합성예5 합성예6 합성예7 합성예8
접착력(180도
Peel strength)
(N/25mm)
8.7 9.1 9.1 13.2 13.5 5.2
내열성 * 우수 우수 우수 우수 우수 미진
* 내열성 평가 :
o 250도에서의 접착력 변화가 △1 일 경우 : 미진
o 300도에서의 접착력 변화가 △1 일 경우 : 보통
o 350도에서의 접착력 변화가 △1 일 경우 : 우수
상기 표 2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합성법으로 만들어진 공중합체를 사용할 경우 1액형으로 사용이 용이할뿐더러 장기간 보관시에도 경화가 일어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FPCB용의 접착력 실험에서도 시중의 2액형 제품보다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공중합체중에 포함하는 카르복실기와 에폭시를 Blocking 시켜주는 역할을 하는 1,2-Dimethoxyethane함량에 있어서는 공중합체 대비 최소 1중량% 이상이어야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접착력 실험에서는 카르복실기와 에폭시기가 많을 수록 증가 됨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합성예 9의 경우와 같이 너무 많은 경우에는 저장 안정성이 저하되는 점도 알 수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 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2)

  1.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카르복실기와 에폭시기를 동시에 가지는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1,2-Dimethoxyethane를 포함하여 제조하는 방법
    [화학식 1]
    Figure 112013044547956-pat00008

    R1, R2, R3는 H 또는 Methyl기를 나타내며, R4는 니트릴기 또는 탄소수가 1내지 4인 알킬 아크릴기이다. l,m 및 n은 각각의 몰비를 나타낸다.
  2. 청구항 제1항에 의해 제조된 공중합체를 이용하여 flexible printed circuits board(FPCB)용 접착제 또는 광학용도의 코팅액 조성액을 제조하는 방법


KR1020110126883A 2011-11-30 2011-11-30 신규한 아크릴계 공중합체 제조방법 KR1013076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6883A KR101307618B1 (ko) 2011-11-30 2011-11-30 신규한 아크릴계 공중합체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6883A KR101307618B1 (ko) 2011-11-30 2011-11-30 신규한 아크릴계 공중합체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4368A KR20120004368A (ko) 2012-01-12
KR101307618B1 true KR101307618B1 (ko) 2013-09-12

Family

ID=456109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6883A KR101307618B1 (ko) 2011-11-30 2011-11-30 신규한 아크릴계 공중합체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761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91732A (ja) 1999-07-22 2001-04-06 Nippon Steel Chem Co Ltd カラーフィルター保護膜用組成物
JP2005290299A (ja) 2004-04-02 2005-10-20 Nippon Kayaku Co Ltd 自己重合型光重合性化合物及びそれを用いた感光性樹脂組成物
US20070066709A1 (en) 2005-09-20 2007-03-22 Tamkang University Manufacturing method for ambient temperature self-curable system of water borne-based polymeric ink
KR100777582B1 (ko) 2005-12-01 2007-11-28 주식회사 엘지화학 열경화성 수지 제조용 조성물, 이로 제조된 열경화성 수지,및 이를 포함하는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91732A (ja) 1999-07-22 2001-04-06 Nippon Steel Chem Co Ltd カラーフィルター保護膜用組成物
JP2005290299A (ja) 2004-04-02 2005-10-20 Nippon Kayaku Co Ltd 自己重合型光重合性化合物及びそれを用いた感光性樹脂組成物
US20070066709A1 (en) 2005-09-20 2007-03-22 Tamkang University Manufacturing method for ambient temperature self-curable system of water borne-based polymeric ink
KR100777582B1 (ko) 2005-12-01 2007-11-28 주식회사 엘지화학 열경화성 수지 제조용 조성물, 이로 제조된 열경화성 수지,및 이를 포함하는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4368A (ko) 2012-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770449A (ja) 優れた高温耐久性を有する含浸密封材組成物及びその 製造方法
CN109762492B (zh) 单组分仿生贻贝胶与利用相分离实现湿面和水下施工的方法
JP5671500B2 (ja) 樹脂組成物、粘着剤および重合体の製造方法
CN103819994B (zh) 一种聚丙烯薄膜涂覆用uv光固化丙烯酸酯聚合物水乳液
JP2015163713A (ja) アクリル系エラストマー及びこれを用いた組成物
KR101307618B1 (ko) 신규한 아크릴계 공중합체 제조방법
KR20150060087A (ko) 아크릴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에폭시 수지 조성물
JP3216262B2 (ja) 車両灯具用加熱硬化型防曇剤組成物及び車両灯具
US20210395464A1 (en) Random Copolymer Compound, Terminal-Modified Polymer Compound, and Resin Composition Including Said Compounds
CN110402257B (zh) 乳液、乳液的制备方法及使用乳液形成涂膜的方法
JP4323007B2 (ja) 非シリコ―ン系剥離性基材とその製造方法
CN102190764A (zh) 聚乙烯树脂组合物
TWI466917B (zh) 介穩態含氮聚合物
JP5298704B2 (ja) アクリル樹脂組成物
KR101920205B1 (ko) 에폭시 수지용 저유전성 및 고내열성 경화물 제조용 경화제의 제조방법
CN114410230B (zh) 一种弹性结构胶及其应用
JP6813996B2 (ja) ブロック共重合体、および、これを含有する樹脂改質剤、エポキシ樹脂組成物
KR102130990B1 (ko) 저유전성 및 고내열성 경화제, 이의 제조에 사용되는 경화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6025019B2 (ja) 反応性重合体溶液の製造方法
CN114790372B (zh) 一种室温自修复型氟聚物粘结剂的制备方法
JP3029708B2 (ja) 硬化性樹脂組成物
KR101830973B1 (ko) 아크릴계 엘라스토머 및 이것을 이용한 조성물
KR20190060374A (ko) 저유전성 및 고내열성 경화제, 이의 제조에 사용되는 경화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6801223B2 (ja) マクロモノマー共重合体の製造方法及びそれを用いた成形体の製造方法
WO2022191056A1 (ja) 硬化性高分子化合物を含む樹脂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