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6796B1 - 아스팔트 도로 보수 구조물 - Google Patents

아스팔트 도로 보수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6796B1
KR101306796B1 KR1020110076298A KR20110076298A KR101306796B1 KR 101306796 B1 KR101306796 B1 KR 101306796B1 KR 1020110076298 A KR1020110076298 A KR 1020110076298A KR 20110076298 A KR20110076298 A KR 20110076298A KR 101306796 B1 KR101306796 B1 KR 1013067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pair
asphalt
pavement
groove
ro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62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96519A (ko
Inventor
윤종식
Original Assignee
윤종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식 filed Critical 윤종식
Priority to KR10201100762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6796B1/ko
Publication of KR201100965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65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67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67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7/00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 E01C7/08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made of road-metal and binders
    • E01C7/18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made of road-metal and binders of road-metal and bituminous binders
    • E01C7/187Repairing bituminous covers, e.g. regeneration of the covering material in situ, application of a new bituminous topping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005Methods or materials for repairing pav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16Reinforcements
    • E01C11/165Reinforcements particularly for bituminous or rubber- or plastic-bound pav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Repair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스팔트 도로 보수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아스팔트 포장도로에 발생한 균열이나 구멍을 효율적이고 신속하게 재포장하여 보수할 수 있어 공사시간과 비용을 크게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기존의 다짐 및 부착불량으로 인한 균열보수 노면의 균열, 처짐, 소성변형, 빗물침투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여 포장도로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고, 장시간이 소요되는 아스팔트의 균열보수작업을 신속하게 할 수 있는 매우 뛰어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아스팔트 도로 보수 구조물{Structure for Repairing an Asphalt Pavement}
본 발명은 아스팔트 도로 보수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아스팔트 포장도로에 발생한 균열이나 구멍을 효율적이고, 신속하게 재포장하여 보수할 수 있는 아스팔트 도로 보수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스팔트 포장도로는 계절적 온도변화에 따라 반복되는 팽창과 수축, 차량에 의해 가해지는 정적 및 동적 하중과 응력의 불 균일, 노화 및 지하 침하 등 상기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 노면의 일부가 부분적으로 갈라지는 균열이 발생하고 있다. 이 외에도 아스팔트 포설시 아스팔트 포설 기계로 포설하고 있어 시공상 포장도로의 노면을 따라 균열이 발생하고 있으며, 이외에도 다짐불량, 접착불량 등으로 균열이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균열에 빗물 등이 침투하게 되면 균열은 더욱 커지고 이는 결국 도로의 파손으로 이어져 차량 통행에 지장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안전사고를 유발할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
따라서, 차량의 안전한 소통과 도로의 수명연장을 위해서는 아스팔트 포장도로에 균열이 발생할 경우 이를 보수하거나 재포장할 필요가 있다.
종래의 균열보수방법으로는 도로의 교통량 등을 감안하거나 경제적인 이유를 감안하여 균열에 의해 손상된 부위만을 도로 봉합제로 보수하는 방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기존에 출시되어 있는 긴급 보수용 상온 보수재로는 컷 백 아스팔트(Cut back Asphalt) 또는 유화 아스팔트를 바인더로 사용하여 골재와 혼합하여 상온에서 시공하도록 한 제품이 있으며, 특히 최근 개발된 보수재료 중에는 국내 특허출원 제1996-0029065호(도로보수용 상온 아스콘 포장재료 및 그의 제조방법)에 개시된 발명이 현재 상당히 우수한 재료인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이는 상온 아스콘 포장재료로서, 스트레이트 아스팔트 60~92 중량%, 폴리우레탄계 고분자 화합물 8.5~26.5 중량%, SBS 함유 아스팔트 개질재 0.2~2.2 중량%, 섬유 폐슬러지 0.1~5.0 중량%에 의해 구성되며, 상온에서 시공 가능하고, 안정성, 내구성 등이 비교적 우수하다는 장점을 갖는다.
그런데, 이는 보수 후 수분이 가해지는 경우, 탈리가 발생하기 쉽다는 단점, 강우 중 또는 물이 고여있는 개소에는 시공이 불가능하다는 단점을 갖는다.
이 밖에도 도로포장의 긴급보수를 위해 개발된 재료들의 종류는 상당히 많으나, 어느 것이나 위 예와 같이 소정의 단점을 가진다는 점에서 문제로 지적되어 왔다.
그 밖에, 국내 등록특허 제0356036호에는 아스팔트 도로의 표면을 가열한 다음, 아스팔트 도로 위에 아스팔트 보강액을 도포하고, 아스팔트 도로를 파면서 상기 보강액과 아스팔트를 교반한 다음, 상기 보강액과 교반된 아스팔트의 상면을 롤러를 통해 다지는 아스팔트 도로를 보수하는 방법 및 장치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또한, 국내 등록특허 제0821238호에는 아스팔트 포장도로의 균열부분을 삼각형상의 홈, 사다리꼴 형상의 홈, 부채꼴 형상의 홈으로 파쇄하고, 그 파쇄된 아스팔트 찌꺼기 및 오염물을 청소하고, 건조시킨 후, 접착조성물을 도포하고, 보수조성물을 포설하고, 1차로 다짐하며, 그 1차로 다짐된 노면에 고주파유전가열, 마이크로파가열, 적외선가열, 초음파가열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어 가열과 동시에 2차로 다짐 양생함으로써, 아스팔트 포장도로의 노면과 접촉율이 우수하고, 수분 침투에 의한 균열을 방지할 수 있는 아스팔트 포장도로 균열보수방법 및 장치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기술들은 아스콘 포장도로를 봉합할 경우 기존 포장도로와 도로봉합제와의 접착불량 및 팽창계수 차이에 의한 균열이 다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보수 후 수분이 가해지는 경우, 탈리가 발생하기 쉬운 문제점이 있고, 강우 중 또는 물이 고여있는 개소에는 시공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아스팔트를 새로 포장하거나 덮어씌워 포장하는 경우 그만큼 많은 아스팔트 및 골재가 필요로 하게 되어 도로 포장 비용이 과도하게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아스팔트 포장도로의 노면에 발생한 균열이나 구멍을 신속하게 보수하여 차량정체 등을 예방함과 동시에 균열보수에 따른 효율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아스팔트 도로 보수 구조물을 제시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아스팔트 포장도로의 노면에 발생한 균열이나 구멍을 파쇄가공한 후 접착조성물과 보수용 아스팔트 블록을 이용하여 효율적이고 신속하게 재포장하여 보수할 수 있고 아스팔트의 인장 강도를 증가시켜 균열을 방지할 수 있는 아스팔트 도로 보수 구조물을 제시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균열이나 구멍이 발생한 아스팔트 포장도로를 절단하여 보수 홈을 형성한 후 접착조성물과 보수용 아스팔트 블록 및 보수조성물을 이용하여 간단히 보수함으로써, 작업시간을 줄이고 작업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아스팔트 도로 보수 구조물을 제시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아스팔트 포장도로의 균열 및 구멍 보수에 따른 신뢰성을 높여 도로의 안전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시공사의 이익창출에 이바지할 수 있도록 한 아스팔트 도로 보수 구조물을 제시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아스팔트 도로 보수 구조물은, 아스팔트 포장도로에 발생한 균열 또는 구멍 부위에 소정의 크기와 깊이로 형성되되, 보수용 아스팔트 블록의 크기와 모양에 따라 형성된 보수 홈과, 상기 보수 홈 내부의 측면 및 하부에 도포 된 접착조성물과, 상기 접착조성물이 도포 된 상기 보수 홈의 내부에 적어도 한 개 이상 설치되며, 상기 보수 홈이 형성되기 전에 아스팔트와 골재를 혼합하여 미리 만들어지며, 직사각형, 정사각형, 원형, 타원형, 다각형 중 어느 하나의 형태를 갖거나 또는 그 내부에 와이어 매쉬 형태의 매트가 설치된 보수용 아스팔트 블록과, 상기 보수용 아스팔트 블록과 상기 아스팔트 포장도로 사이의 틈새 공간에 충전되어 상기 보수 홈을 메우는 보수조성물을 포함하며, 상기 보수용 아스팔트 블록과 주변의 아스팔트 포장도로를 함께 가열기로 가열하여 상호 용융시킨 후, 상기 보수용 아스팔트 블록과 주변의 아스팔트 포장도로의 상부를 롤러나 다짐기로 다짐하여 마감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르면, 커터기를 이용하여 포장도로의 노면에 발생한 균열이나 구멍을 일정 깊이와 폭으로 절단 및 파쇄가공하여 사각형의 보수 홈을 형성한 후 보수 홈 내부에 접착조성물을 전체적으로 도포한 다음 보수용 아스팔트 블록을 삽입하고 틈새에 보수조성물을 충전한 다음 가열하여 상호 용융시킨 다음 다짐을 함으로써, 균열이나 홈이 발생한 부분을 신속하게 재포장하여 보수할 수 있게 된다. 이로 인해, 균열의 보수에 따른 효율성과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기존의 다짐 및 부착불량으로 인한 균열보수 노면의 균열, 처짐, 소성변형, 빗물침투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여 포장도로의 수명을 연장하고, 보수에 따른 추가 비용을 절감하여 경제적인 효과를 갖고, 장시간이 소요되는 아스팔트의 균열보수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공기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매우 뛰어난 효과가 있다.
또한, 포장도로의 재포장시공에 따른 포장도로의 안전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시공사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아스팔트 도로 보수 방법에 대한 작업 흐름도
도 3은 아스팔트 포장도로에 균열이 발생한 모습의 사진
도 4 및 도 5는 커터기 및 그 작동상태를 예로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아스팔트 포장도로에 발생한 균열 또는 구멍 부위를 일정 크기와 깊이로 절단 및 파쇄가공하여 보수 홈을 형성한 모습의 단면도
도 7은 보수 홈에 유동성을 부여하기 위해 가열기로 가열하는 모습의 단면도
도 8은 보수 홈에 접착조성물을 도포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9는 접착조성물의 도포 층 상부에 보수용 아스팔트 블록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10은 보수용 아스팔트 블록의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11은 보수용 아스팔트 블록 내부에 설치된 매트를 도시한 사시도
도 12는 보수용 아스팔트 블록과 아스팔트 도로 사이의 틈새 공간에 보수조성물이 충전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13은 보수용 아스팔트 블록과 그 주변의 아스팔트 포장도로에 유동성을 부여하기 위해 가열기로 가열하는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
도 14는 보수용 아스팔트 블록과 그 주변의 아스팔트 포장도로를 다짐기로 다짐하여 마무리하는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서 실시하고자 하는 구체적인 기술내용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아스팔트 도로 보수 방법의 실시 예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아스팔트 도로 보수 방법에 대한 작업 흐름도이고, 도 3은 아스팔트 포장도로에 균열이 발생한 모습의 사진이고, 도 4 및 도 5는 커터기 및 그 작동상태를 예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 내지 도 14는 본 발명에 따라 아스팔트 포장도로를 보수하는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아스팔트 포장도로에 균열(도 3 참조)이나 구멍이 발생하여 도로를 보수해야 할 경우, 균열이나 구멍이 발생한 부위를 커터기(도 4 및 도 5 참조)를 이용하여 일정 크기와 깊이로 절단 및 파쇄가공하여 보수 홈(도 6의 21 참조)을 형성한다(도 1의 단계 S100). 이때, 보수 홈(21)은 아스팔트 포장도로에 발생한 균열이나 구멍의 크기에 따라 결정되며, 이후 상기 보수 홈(21)에 설치될 보수용 아스팔트 블록(도 9의 30 참조)의 크기를 고려하여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도로에 발생한 균열이나 구멍의 크기가 보수용 아스팔트 블록(30)에 비해 큰 경우, 상기 보수용 아스팔트 블록(30)을 여러 개 연결하여 설치할 수 있도록 상기 보수 홈(21)을 형성해야 한다.
상기 보수 홈(21)은 상기 보수용 아스팔트 블록(30)의 모양에 따라 결정되며, 직사각형, 정사각형, 원형, 타원형, 다각형 등 여러 가지 모양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보수 홈(21)의 바닥면은 상기 보수용 아스팔트 블록(30)을 설치하였을 때 상부가 튀어나오지 않도록 포장도로의 경사면과 평행하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보수 홈(21)에 상기 보수용 아스팔트 블록(30)이 딱 들어맞도록 상기 보수 홈(21)의 깊이와 크기를 고려해서 절단하고 파쇄 가공하여야 한다.
상기 아스팔트 포장도로(도 6의 20)의 노면에 보수 홈(21)을 형성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커터기(1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예와 같다. 도시된 바와 같이, 포장도로(20)의 노면을 따라 이송되는 커터기 몸체(11)로 구성되고, 이 커터기 몸체(11)의 측면에는 외부전원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모터(14)가 결합 되며, 상기 커터기 몸체(11)의 내부에는 원판 부재(13)가 수용된 상태로 상기 회전모터(14)를 따라 회전되게 결합 되어 있다. 상기 회전모터(14)를 구동시키기 위한 외부전원으로는 회전모터(14)로부터 연장된 전선을 차량의 배터리 등에 연결하여 사용하거나, 별도의 배터리가 내장된 전원부(12)를 커터기 몸체(11)에 결합하여 이를 통해 회전모터(14)를 구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원판 부재(13)의 둘레에는 포장도로(20)의 노면을 직접적으로 파쇄가공하여 보수 홈(21)을 형성하는 다수의 절삭 부재(15)가 구비되어 있다. 이때, 그 절삭 부재(15)는 원판 부재(13)의 둘레를 따라 2열로 형성되고, 지면을 향하여 80°에서 45°사이의 경사각(A)을 갖고 탈착되게 결합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균열이 발생한 포장도로(20)의 노면에 파쇄가공을 통하여 보수 홈(21)을 형성할 경우 이 보수 홈(21)을 포장도로의 노면을 따라 최소 5㎝에서 최대 50㎝ 사이의 폭으로 일직선으로 형성하기 위함이다. 즉, 포장도로(20)의 노면에 발생하는 균열은 노면을 따라 지그재그로 울퉁불퉁한 선형으로 형성되고 있어 상기 균열을 따라서 파쇄가공하여 보수 홈(21)을 형성할 경우 파쇄가공에 따른 작업시간이 오래 걸릴 뿐만 아니라, 포장시공 후에 추가로 균열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구성의 커터기(10)를 이용하여 포장도로의 노면을 따라 최소 5㎝에서 최대 50㎝ 사이의 폭을 갖는 보수 홈(21)을 일직선으로 형성할 경우 균열은 물론, 그 주변의 포장도로를 파쇄가공하여 보수 홈(21)을 형성하게 됨에 따라 포장시공의 효율성과 함께 추가로 발생할 수 있는 균열을 방지할 수 있다.
계속해서, 상기 아스팔트 포장도로(20)에 보수 홈(21)을 형성한 후, 상기 보수 홈(21) 내부에 이물질이 없도록 깨끗하게 청소하고, 바닥면이 포장도로의 노면과 수평이 되도록 평평하게 고른다. 이 후,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수 홈(21)과 그 주변을 가열기로 가열한다(도 1의 단계 S101). 이때, 가열은 버너 등을 이용하여 열을 가열할 수도 있고, 고주파유전 가열, 초음파 가열, 마이크로파 가열, 적외선 가열 등과 같은 방법으로도 시행이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보수 홈(21)과 그 주변을 가열하는 이유는 상기 보수 홈(21)에 유동성을 부여하여 상기 보수 홈(21)에 도포 되는 접착조성물(22)과 보수용 아스팔트 블록(30)과의 결합력을 높이기 위함이다.
이 후,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수 홈(21) 내부에 접착조성물(22)을 전체적으로 도포한다(도 1의 단계 S102).
상기 접착조성물(22)은 스트레이트(Straight) 아스팔트, 컷백(Cutback) 아스팔트, 블로운(Blown) 아스팔트, 개질(Modified) 아스팔트, 레이크(Lake) 아스팔트, 록크(Rock) 아스팔트, 샌드(Sand)아스팔트, 길소나이트(Gilsonite), 그라하마이트(Grahamite), 글랜스 피치(Glance Pitch), 실란트, 유화아스팔트 RS-(C)-3 또는 RS-(C)-4 중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의 혼합으로 조성된 1차 혼합물 80 ~ 90중량%와 아크릴수지 3~5중량%, 2-메틸프로펜 3~5중량%, 전기석 1~3중량%의 혼합으로 조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유화아스팔트는 아스팔트 유제라고도 하는 것으로, 물속에서 아스팔트가 상 분리 현상을 일으키지 않고 분산(分散)상태를 유지하도록 지방 디아민염 또는 암모늄염 유화제(乳化劑)를 넣은 아스팔트이며, 상기 지방 디아민염 또는 암모늄염유화제가 양전하(+)를 띠고 있어, 양이온(cation)계 유화 아스팔트로서, 점도(25℃)가 1~6이고, 증류잔류분 질량%가 50 이상이고, 침입도(25℃)가 100~300인 양이온 유화아스팔트(RS-(C)-3)와, 점도(25℃)가 1~6이고, 증류잔류분 질량%가 50 이상이고, 침입도(25℃)가 60~150인 양이온 유화아스팔트(RS-(C)-4) 중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1차 혼합물은 전체 접착조성물의 사용량에 대해 80~90중량%가 사용되는 것으로, 그 사용범위가 80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보수 홈(21)과 접착조성물(22) 사이의 접착성이 떨어져 그 접착조성물(22)뿐만 아니라, 연속하여 설치되는 보수용 아스팔트 블록(30)까지 결합력을 떨어뜨려 균열보수가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또한, 그 사용범위가 90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다른 성분의 첨가량이 줄어들어 접착조성물의 물성이 떨어지므로, 아스팔트 혼합물은 접착조성물 전체중량에 대해 80 ~ 90중량%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2-메틸프로펜은 65%황산을 이용한 추출에 의해 제조하고, 비중이 0. 6700 ~ 0.6788, 융점이 - 14.01 ~ -14.21℃, 비점은 - 6.3 ~ -7.0℃인 것으로, 접착조성물 전체중량에 대해 3중량% 미만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그 접착조성물의 점착력이 떨어져 아스팔트 조성물을 도포하기가 용이하지 않고, 5중량%를 초과하여 사용할 경우에는 접착조성물의 물성이 떨어지므로 3 ~ 5중량%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기석은 석영·백운모·장석 등과 함께 화강암질 페그마타이트 속에서 산출되는 것으로, 상·하가 평평한 능면체 또는 침상(針狀)·모상(毛狀)을 나타내며, 때로 입상(粒狀)·괴상(塊狀)을 이루는 것으로, 굳기 7.3, 비중이 3.15인 것을 분쇄 미분말 형태로 사용한다.
상기와 같이 보수홈(21)에 접착조성물(22)이 도포 된 후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착조성물(22)의 도포 층 상부에 보수용 아스팔트 블록(30)이 설치된다(도 1의 단계 S103).
여기서, 상기 보수용 아스팔트 블록(30)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스팔트와 골재가 혼합된(아스콘: 아스팔트와 콘크리트가 혼합된) 직사각형, 정사각형, 원형, 타원형, 다각형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구성되어 있거나 또는 그 내부에 매트(도 11의 31)가 구성되어 있다.
상기 매트(31)는 상기 보수용 아스팔트 블록(30)의 균열방지용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아스콘 인장 강도를 증대시켜 아스팔트 포장도로의 균열, 침하, 처짐, 밀림, 소성, 변형 등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매트(31)는 아크릴수지(acrylic resin), 염화비닐수지(polyvinyl chloride), 초산비닐수지, 비닐아세틸수지, 메틸메타크릴수지, 폴리스틸렌수지(스티롤수지), 폴리에틸렌수지, 폴리아마이드수지(Poly Amide Resin), 셀룰로이드수지, 페놀수지, 요소수지, 멜라닌수지, 알키드수지, 폴리에스텔수지, 실리콘수지, 에폭시수지, 우레탄수지, 프란수지, 탄성고무,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fiber glass reinforced plastic; F.R.P), 금속 중 선택되는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으로 조성된 혼합물을 이용하여 매트형, 직사각형, 정사각형, 원형, 타원형, 다각형 중 선택되는 어느 1종 이상의 와이어 매쉬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아스팔트 포장도로에 균열이나 구멍이 발생했을 경우, 균열이나 구멍이 발생한 부위를 절단하여 보수 홈(21)을 형성한 후, 미리 만들어진 상기 보수용 아스팔트 블록(30)을 상기 보수 홈(21)에 설치하면 간단히 보수 작업이 완료된다. 이때, 상기 보수용 아스팔트 블록(30)이 상기 아스팔트 포장도로의 보수 홈(21)에 일체로 결합하도록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접착조성물(22)과 보수조성물(23) 등을 사용하여 시공하게 된다.
계속해서, 상기 보수 홈(21)에 상기 보수용 아스팔트 블록(30)이 설치된 후에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수용 아스팔트 블록(30)과 아스팔트 포장도로(20) 사이의 틈새 공간에 보수조성물(23)을 충전하여 보수 홈(21)을 메우게 된다(도 1의 단계 S104).
이때, 상기 보수조성물(23)은 에이피(AP)-3, 에이피(AP)-5, 엠씨(MC)-1~4, 알에스씨(RS-(C))-1~4, 열가소성 비닐 분말, 열가소성 수지 분말, 포틀랜드 시멘트, 아미드 폴리머 아스팔트, 고무 개질 아스팔트, 길소나이트, 라텍스 고무 분말, 폐타이어고무 분말, 천연 탄화수소 수지, 셀룰로스 섬유, 아스콘, 석분, 규사, 모래, 자갈, 유리섬유, 제강 슬래그 중 선택되는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AP-3는 침입도(25℃, 100g 5sec)가 80~100 이하이고, 연화점(℃)이 42.0~50.0인 유화아스팔트이고, AP-5는 침입도(25℃, 100g 5sec)가 60~80 이하이고, 연화점(℃)이 44.0~52.0인 유화아스팔트이다.
상기 MC-1~4에서 MC-1은 인화점(℃)이 38℃이고, 50℃에서의 점도가 75~150인 커트백 아스팔트이고, MC-2는 인화점(℃)이 66℃이고, 60℃에서의 점도가 100~200인 커트백 아스팔트이고, MC-3는 인화점(℃)이 66℃이고, 60℃에서의 점도가 250~500인 커트백 아스팔트이고, MC-4는 인화점(℃)이 66℃이고, 82.2℃에서의 점도가 125~250인 커트백 아스팔트이다.
상기 RS-(C)-1~4에서 RS-(C)-1은 점도(25℃) 3~15이고, 침입도(25℃)가 100~200인 양이온계 유화 아스팔트이고, RS-(C)-2는 점도(25℃) 3~15이고, 침입도(25℃)인 양이온계 유화 아스팔트이고, RS-(C)-3은 점도(25℃) 1~6이고, 침입도(25℃) 100~300인 양이온계 유화 아스팔트이고, RS-(C)-4는 점도(25℃) 1~6이고, 침입도(25℃) 60~150인 양이온계 유화 아스팔트이다.
상기 보수조성물(23)의 혼합비율의 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아스팔트계열인 에이피(AP)-3, 에이피(AP)-5, 엠씨(MC)-1~4, 알에스씨(RS(C))-1~4, 아미드 폴리머 아스팔트, 고무개질 아스팔트, 길소나이트 중 선택되는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 10 ~ 30중량%와, 열가소성 비닐 분말, 열가소성 수지 분말, 라텍스 고무 분말, 폐타이어 고무 분말, 천연 탄화수소 수지, 셀룰로스 섬유, 유리섬유 중 선택되는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 15 ~ 35중량%와, 포틀랜드 시멘트, 아스콘, 석분, 규사, 모래, 자갈, 제강슬래그 중 선택되는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 35 ~ 75중량%를 혼합하여 조성된다. 여기서, 상기 아스콘은 포장도로(20)에서 절삭된 폐아스콘을 현장에서 가열하여 재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아스팔트 계열 혼합물은 보수조성물(23)이 접착성 및 방수성을 갖도록 하는 것으로, 10중량% 미만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보수조성물(23)의 결합력이 떨어지고, 30중량%를 초과하여 사용할 경우에는 보수조성물(23)의 내구성이 떨어짐으로, 10~30중량%의 범위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초기 보수 홈(21)에 접착조성물(22)을 도포한 후에 채워지는 것이기 때문에 보수조성물(23)에서의 아스팔트 계열 혼합물의 사용량은 상기한 양보다 적게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이 후,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수용 아스팔트 블록(30)과 주변의 아스팔트 포장도로(20)를 가열하여 상호 용융시키게 된다(도 1의 단계 S105).
여기서, 상기 보수용 아스팔트 블록(30)과 주변의 아스팔트 포장도로(20)를 함께 가열하는 이유는, 상기 보수 홈(21) 만을 가열할 경우 상기 보수 홈(21)과 그 주변의 아스팔트와의 온도 차이로 인해 완벽한 결합을 이룰 수 없기 때문이다. 결국, 상기 보수 홈(21)에 도포, 설치, 충전되어 있는 접착조성물(22), 보수용 아스팔트 블록(30), 보수조성물(23) 및 보수 홈(21) 주변의 아스팔트가 가열기에 의해 가열되어 상호 용융됨으로써, 상기 보수 홈(21)을 완전하게 메워 포장시공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에서 가열된 보수용 아스팔트 블록(30)과 주변의 아스팔트 포장도로(20)를 공지의 다짐기(50) 또는 롤러(미도시)를 이용하여 다짐하여 마감하게 된다(도 2의 단계 S106).
상기 다짐기(50) 또는 롤러를 이용하여 다짐하는 이유는 접착조성물(22), 보수용 아스팔트 블록(30) 및 보수조성물(23)이 상호 용융되어 있는 보수 홈(21)의 상부를 평평하게 다짐함과 함께 일체로 접합하는 역할을 하며, 도로 보수 과정에서 보수 홈(21)의 상부가 불규칙하거나 기존 도로의 노면보다 튀어나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상기 보수홈(21)의 상부를 공지의 다짐기(50)로 다짐하여 마감하게 됨에 따라 포장도로(20)의 전체적인 미감을 높임과 동시에 안전사고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아스팔트 도로 보수 구조물의 실시 예
본 발명에 의한 아스팔트 도로보수 구조물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스팔트 포장도로(20)에 발생한 균열 또는 구멍 부위에 일정 크기와 깊이로 절단 및 파쇄 가공된 보수 홈(21)과, 상기 보수 홈(21) 내부에 전체적으로 도포 된 접착조성물(22)과, 상기 접착조성물(22)이 도포 된 보수 홈(21)에 설치된 적어도 한 개 이상의 보수용 아스팔트 블록(30)과, 상기 보수용 아스팔트 블록(30)과 아스팔트 포장도로(20) 사이의 틈새 공간에 충전되어 보수 홈을 메우는 보수조성물(23)을 포함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보수 홈(21)을 형성한 후 상기 보수 홈(21) 내부에 들어있는 이물질 등을 깨끗하게 청소한 후 가열기로 가열하여, 상기 보수 홈(21)과 상기 접착조성물(22) 및 보수용 아스팔트 블록(30)의 유동력을 높여 접착력을 높이도록 한다. 또한, 상기 보수 홈(21)에 상기 보수조성물(23)을 충전한 후에는 상기 보수용 아스팔트 블록(30)과 주변의 아스팔트 포장도로(20)를 가열하여 상호 용융시킨 다음, 상기 보수용 아스팔트 블록(30)과 주변의 아스팔트 포장도로(20) 상부를 롤러나 다짐기로 다짐하여 마감한다.
이때, 상기 보수용 아스팔트 블록(30)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아스팔트와 골재가 혼합된 직사각형, 정사각형, 원형, 타원형, 다각형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구성되어 있거나 또는 그 내부에 와이어 매쉬 형태의 매트가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아스팔트 도로 보수 구조물은 균열이나 구멍이 발생한 아스팔트 포장도로를 절단하여 보수 홈을 형성한 후 접착조성물과 보수용 아스팔트 블록 및 보수조성물을 이용하여 간단히 보수함으로써,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할 수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시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 등이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등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아스팔트 도로 보수 구조물은 아스팔트 포장도로뿐만 아니라 콘크리트(시멘트) 포장도로 등에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이때, 콘크리트 포장도로의 경우 보수용 아스팔트 블록은 보수용 시멘트 블록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내부에 매트(도 11)가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10 : 커터기 11 : 커터기 몸체
12 : 전원부 13 : 원판 부재
14 : 회전모터 15 : 절삭 부재
20 : 아스팔트 포장도로 21 : 보수 홈
22 : 접착조성물 23 : 보수조성물
30 : 보수용 아스팔트 블록 31 : 매트
40 : 가열기 50 : 다짐기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아스팔트 포장도로에 발생한 균열 또는 구멍 부위에 소정의 크기와 깊이로 형성되되, 보수용 아스팔트 블록의 크기와 모양에 따라 형성된 보수 홈;
    상기 보수 홈 내부의 측면 및 하부에 도포 된 접착조성물;
    상기 접착조성물이 도포 된 상기 보수 홈의 내부에 적어도 한 개 이상 설치되며, 상기 보수 홈이 형성되기 전에 아스팔트와 골재를 혼합하여 미리 만들어지며, 직사각형, 정사각형, 원형, 타원형, 다각형 중 어느 하나의 형태를 갖거나 또는 그 내부에 와이어 매쉬 형태의 매트가 설치된 보수용 아스팔트 블록; 및
    상기 보수용 아스팔트 블록과 상기 아스팔트 포장도로 사이의 틈새 공간에 충전되어 상기 보수 홈을 메우는 보수조성물;을 포함하며,
    상기 보수용 아스팔트 블록과 주변의 아스팔트 포장도로를 함께 가열기로 가열하여 상호 용융시킨 후, 상기 보수용 아스팔트 블록과 주변의 아스팔트 포장도로의 상부를 롤러나 다짐기로 다짐하여 마감하는,
    아스팔트 도로 보수 구조물.
KR1020110076298A 2011-07-29 2011-07-29 아스팔트 도로 보수 구조물 KR1013067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6298A KR101306796B1 (ko) 2011-07-29 2011-07-29 아스팔트 도로 보수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6298A KR101306796B1 (ko) 2011-07-29 2011-07-29 아스팔트 도로 보수 구조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6519A KR20110096519A (ko) 2011-08-30
KR101306796B1 true KR101306796B1 (ko) 2013-09-10

Family

ID=449317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6298A KR101306796B1 (ko) 2011-07-29 2011-07-29 아스팔트 도로 보수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679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8097A (ko) 2017-10-30 2019-05-09 주식회사 골든포우 지반함몰지 응급복구용 팽창매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4796B1 (ko) * 2011-08-17 2013-03-18 주식회사 토탈페이브시스템 도로포장의 보수장비
KR101160581B1 (ko) * 2011-09-20 2012-06-28 이정찬 원통형 프리캐스트 블록을 이용한 시멘트 콘크리트 도로포장의 보수공법
CN104652217A (zh) * 2015-02-02 2015-05-27 成军 改性乳化沥青纤维同步碎石封层施工方法
CN105350420A (zh) * 2015-10-10 2016-02-24 重庆建工住宅建设有限公司 一种新型抗裂防水下封层
KR20180063958A (ko) * 2016-12-02 2018-06-14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현장에서 배합하여 손상도로를 보수하는 공법
CN110128947A (zh) * 2019-05-29 2019-08-16 李前进 一种刚柔结合的液体防水材料及其制备方法
CA3166280A1 (en) 2020-01-31 2021-08-05 G2 Routers, Llc Ride-on roadway maintenance machin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32209A (ja) 1999-07-27 2001-02-06 Tokyo Gas Co Ltd 舗装面の除去および復旧工法
KR200279921Y1 (ko) * 2002-03-16 2002-07-02 (자)한진개발공사 포장도로용 블록의 설치구조
KR100714162B1 (ko) * 2007-02-14 2007-05-02 인해엔지니어링(주) 아스콘 포장도로 균열보수방법 및 장치
KR100821238B1 (ko) * 2008-01-04 2008-04-11 인해엔지니어링(주) 아스팔트 포장도로 균열보수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32209A (ja) 1999-07-27 2001-02-06 Tokyo Gas Co Ltd 舗装面の除去および復旧工法
KR200279921Y1 (ko) * 2002-03-16 2002-07-02 (자)한진개발공사 포장도로용 블록의 설치구조
KR100714162B1 (ko) * 2007-02-14 2007-05-02 인해엔지니어링(주) 아스콘 포장도로 균열보수방법 및 장치
KR100821238B1 (ko) * 2008-01-04 2008-04-11 인해엔지니어링(주) 아스팔트 포장도로 균열보수방법 및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8097A (ko) 2017-10-30 2019-05-09 주식회사 골든포우 지반함몰지 응급복구용 팽창매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6519A (ko) 2011-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2308B1 (ko) 아스콘 포장도로 보수 방법 및 그 구조물
KR101306796B1 (ko) 아스팔트 도로 보수 구조물
US11186959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eparing asphalt and aggregate mixture
US10407839B2 (en) System and method for roadway maintenance and repair
KR101323022B1 (ko) 콘크리트 도로용 신축줄눈 파손부의 보수방법
CN212956011U (zh) 一种利用水泥路面改造的沥青混凝土复合路面
CN104674627A (zh) 一种预防旧水泥路面加铺沥青反射裂缝的接缝构造方法
CN204825551U (zh) 一种防水防裂沥青路面结构
KR101146729B1 (ko) 아스팔트 포장 보수 공법
CN104203865A (zh) 沥青路面补修材料及其使用方法
CN206512547U (zh) 一种修复型沥青路面
KR100869651B1 (ko) 라바팔트를 이용한 도로균열 보수공법
KR101341594B1 (ko) 아스팔트 홈파기용 로드커터의 커팅날 구조 및 그를 이용한 아스팔트 포장균열 보수방법
KR101962474B1 (ko) 균열부분의 보수공법
KR100604655B1 (ko) 초속경화형 보수제
RU2501903C1 (ru) Способ ремонта асфальтобетонных покрытий
CN1115445C (zh) 防止机场场面产生裂缝脱落碎石的施工方法
CN206127797U (zh) 一种沥青路面预制修补块
KR101044172B1 (ko) 투수성을 갖는 세립도 투수 콘크리트를 이용한 인도의 보수방법
CN103321123A (zh) 一种公路、路面结构及公路路面的施工方法
CN104746402A (zh) 井盖周边破损路面的修复方法
CN105603856A (zh) 一种brt车站重载交通路段快速维修的方法
CN215668926U (zh) 路面修补结构
RU2338027C1 (ru) Способ ремонта дорожного покрытия
CN208104945U (zh) 一种维修用厂拌冷再生路面铺装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