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6468B1 - 선박블록 지지용 지그 - Google Patents

선박블록 지지용 지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6468B1
KR101306468B1 KR1020130004530A KR20130004530A KR101306468B1 KR 101306468 B1 KR101306468 B1 KR 101306468B1 KR 1020130004530 A KR1020130004530 A KR 1020130004530A KR 20130004530 A KR20130004530 A KR 20130004530A KR 101306468 B1 KR101306468 B1 KR 1013064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jig
ship block
receiving
suppor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45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은정
김금식
Original Assignee
하은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9455608&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306468(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하은정 filed Critical 하은정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64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6468B1/ko
Priority to PCT/KR2013/008710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4051391A2/ko
Priority to CN201380060864.6A priority patent/CN104822586A/zh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5/00Equipment usable both on slipways and in dry docks
    • B63C5/02Stagings; Scaffolding; Shores or stru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6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tools or equipment; characterised by automation, e.g. use of robo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5/00Shores or struts; Chocks
    • E04G25/04Shores or struts; Chocks telescop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bo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하면, 선박블록을 지면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지지하는 선박블록 지지용 지그에 있어서, 상기 지면에 직립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승강 가능하게 삽입되는 높이조절부; 상기 높이조절부의 내부에 승강 가능하게 삽입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의 상부에 지지되고 상부가 상기 선박블록의 하면을 접촉 지지하는 접촉부를 포함하는 선박블록 지지용 지그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선박블록 지지용 지그에 의하면, 기존에 선박블록의 하면을 점접촉 하던 것을 면 접촉하도록 구조를 개선하여 선박블록의 외판이 집중하중에 의한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선박블록 지지용 지그{Jig for supporting ship block}
본 발명은 선박블록 지지용 지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선박블록의 변형을 방지하고,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선박블록 지지용 지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블록을 포함한 대형, 중량의 블록을 조립할 때는 작업의 편의성을 도모하기 위하여 구조물을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 이격된 상태로 지지하는 다양한 핀 지그들이 제안되고 있다.
특히, 종래의 도 1에 도시된 "종래기술문헌 대한민국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1-0011534호에는, 바닥에 안착되고 외주면에 고정공이 천공된 지지판(2)과, 지지판(2)의 내부에 승강 가능하게 삽입 설치되고 외주면에 복수의 높이조절공(3)이 천공된 높이조절판(4)과, 상기 높이조절판(4)의 상단에 나사 체결되는 미세높이조절구(5)로 구성된, 선박 건조용 핀 지그"가 제안된다.
그런데 상기 선박 건조용 핀 지그는, 높이조절판(4)의 상단에 나사 체결되는 미세높이조절구(5)의 상부가 상부로 갈수록 뾰족하게 형성되는 원뿔형의 형상을 가지며, 이러한 미세높이조절구(5)에 지지되는 선박블록의 하면은 그 접촉부에 하중이 집중되어 변형이 발생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선박블록의 하면이 곡면으로 형성될 경우, 이러한 선박블록의 하면은 미세높이조절구(5)의 경사면 등으로 미끄러져 블록이 전도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선박블록의 외판이 집중 하중에 의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구조가 개선된 선박블록 지지용 지그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선박블록을 지면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지지하는 선박블록 지지용 지그에 있어서, 상기 지면에 직립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승강 가능하게 삽입 설치되는 높이조절부; 상기 높이조절부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지지부; 및 상기 선박블록의 하면에 대응하여 상기 지지부의 상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접촉부를 포함하는 선박블록 지지용 지그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접촉부는, 상기 선박블록의 하면이 면 접촉되는 지지플레이트와,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하부에 결합되며, 하부면이 상부로 오목하게 수용홈을 형성하는 수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는, 반구의 형상이며 상기 수용부가 회동가능하게 안착되는 지지구 및 상기 지지구의 하부에 결합되며 외주면에 나사부가 형성되는 회전축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용부는, 상기 수용홈의 타단에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수납구와, 상기 수납구에 수납 되며 자력에 의해 상기 수용부를 상기 지지구에 고정하는 자석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수용부는, 상기 수용홈과, 상기 수납구 사이에 상기 자석의 측면이 일부 노출되도록 개구된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접촉부는, 내측에 상기 수납구의 수납공간과 연통되는 관통홀이 형성되되 내주면에 나사부가 형성되는 지지플레이트와, 상기 관통홀의 나사부에 나사 결합되는 덮개를 더 포함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촉부는, 상단부에 방사상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결합홈이 형성되되 각 결합홈의 내주면에 나사부가 형성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의 결합홈에 대응하여 내측에 복수의 삽입홀이 형성되는 지지플레이트 및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삽입홀을 관통하여 상기 수용부의 삽입홈과 나사 결합되는 볼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촉부는,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하부에 결합되며 내부가 중공이고 하부로 개방된 원통형상의 결합구 및 상기 결합구의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삽입되고, 하부가 상부로 오목하게 수용홈을 형성하는 수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수용부는, 자석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촉부는, 상기 수용부의 외측에서 방사상으로 복수 개가 배치되며 일 측이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하부면 가장자리에 각각 고정되고, 타 측이 상기 지지구의 측면에 고정되는 복수의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촉부는, 일 측이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하부면 가장자리에 고정되고, 타 측이 상기 지지구의 측면에 고정되어 상기 수용부와, 상기 지지구를 감싸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상기 지지부는, 상부로 갈수록 뾰족하게 원뿔의 형상으로 형성되되 최상부가 반구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지지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촉부는, 상기 선박블록의 하면에 대응하여 상기 지지부의 상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접촉부는, 상기 선박블록의 하면이 면 접촉되는 지지플레이트와, 내측이 상기 지지구를 안착하도록 원뿔의 형상으로 형성되되 하부로 갈수록 상기 지지구의 직경보다 넓은 수용홈을 형성하는 수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용부는, 상기 수용홈의 타 측에 고정되고 내측에 상기 지지구의 상부가 안착되도록 원뿔의 형상의 경사홈이 형성되되 하부로 갈수록 상기 지지구의 직경보다 넓은 직경으로 형성되는 자석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용부는, 상기 수용홈에 안착되는 상기 지지구의 측면이 일부 돌출되도록 상기 수용홈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관통 형성되는 복수의 장홈이 방사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촉부는, 상기 수용부의 외측에서 방사상으로 복수개가 배치되며 일 측이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하부면 가장자리에 고정되고, 타 측이 상기 지지구의 측면을 고정하는 복수의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촉부는, 일 측이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하부면 가장자리에 고정되고, 타 측이 상기 지지구의 측면에 고정되어 상기 수용부와, 상기 지지구를 감싸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한 상기 수용부는, 상기 수납구에 설치되며 상기 자석의 외측을 일부 감싸 상기 자석의 자기가 일부분으로 흐르도록 차폐하는 자기차폐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자기차폐부재는, 자성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용부에는, 상기 자기차폐부재를 감싸는 단열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용부는, 상기 수용홈의 하부면에 대응하여 상부면이 상부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수납구와, 상기 수납구의 상부면에 대응하여 하부면이 오목하게 형성된 자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용부는, 상기 수납구의 상면 중앙에서 수직하게 돌출되는 기둥과, 상기 기둥에 삽입 설치되도록 링 형상의 자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선박블록 지지용 지그에 의하면, 기존에 선박블록의 하면을 점접촉 하던 것을 면 접촉하도록 구조를 개선하여 선박블록의 외판이 집중하중에 의한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접촉되는 면적이 넓어짐에 따라 선박블록의 하면이 곡면으로 형성되더라도 미끄러짐을 예방할 수 있어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선박건조용 핀지그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발블록 지지용 지그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분리사시도,
도 4는 도 2의 Ⅳ-Ⅳ선에 따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발블록 지지용 지그의 사용상태도,
도 6 내지 10은 도 4에 나타낸 접촉부의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박블록 지지용 지그의 요부확대 단면도,
도 12 및 13은 도 11에 나타낸 접촉부의 변형예를 나타낸 단면도들이다.
도 14는 도 4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박블록 지지용 지그의 요부확대 단면도,
도 15는 도 14의 XV-XV선에 따른 단면도
도 16 내지 도 18은 도 14에 나타낸 접촉부의 다양한 변형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발블록 지지용 지그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분리사시도이며, 도 4는 도 2의 Ⅳ-Ⅳ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또한,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발블록 지지용 지그의 사용상태도이고, 도 6 내지 10은 도 4에 나타낸 접촉부의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들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박블록 지지용 지그(이하 "지그"라 함: 100)는, 선박블록(10) 등을 포함한 대형, 중량의 블록을 지면에서 이격된 상태로 지지하는 것으로서 본체부(110)와, 높이조절부(120)와, 지지부(130) 및 접촉부(140)을 포함한다.
상기 본체부(110)는 상기 선박블록(10)의 하면(11)을 지면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지지하는 것으로서 상기 지면에서 수직하게 직립된다. 이러한 본체부(110)는 내부가 중공인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는 예시적일 뿐 상기 선박블록(10)을 지면에서 이격되게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면 그 형상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본체부(110)는, 하부 외측에 상기 본체부(110)의 외주면을 따라 방사상으로 배열되는 복수개의 지지날개(111)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날개(111)는, 상기 본체부(110)를 지면으로부터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높이조절부(120)는, 상기 본체부(110)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내부가 중공이며 원통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높이조절부(12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선박블록(10)의 하면(11)에 대응하여 높이조절 가능하게 삽입된다. 특히, 상기 높이조절부(120)는 상기 본체부(110)와 대응하는 높이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지지하고자 하는 선박블록(10)의 하면(11)에 따라 그 높이는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높이조절부(120)는 상부에 플러그(121)가 삽입되며, 이러한 플러그(121)의 내주면에는 후술(後術)할 지지부(130)의 회전축(132)과 나사결합 되도록 암나사가 형성된다.
상기 지지부(130)는, 상기 높이조절부(120)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지지구(131)와 회전축(132)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지지구(131)는 상부가 반구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지지구(131)는 금속의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소재는 다양할 수 있다.
상기 회전축(132)은, 상기 지지구(131)의 하부에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회전축(132)은 외주면에 나사부가 형성된다. 이러한 회전축(132)은 상기 높이조절부(120)의 상부에 결합된 플러그(121)와 나사 결합되어 회전과 동시에 승강된다.
한편, 상기 지지구(131)의 하부에는 측면을 관통하는 승강홀(131a)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승강홀(131a)은 상기 지지부(130)를 회전시킴과 동시에 승강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사용자가 상기 승강홀(131a)에 대응하여 핀이나 키(미도시) 등을 삽입한 후, 회전시키면 상기 회전축(132)은 상기 지지구(131)와 함께 회전되며, 동시에 승강된다.
상기 접촉부(140)는 상기 선박블록(10)의 하면(11)을 접촉 지지하는 것으로서, 지지플레이트(141)와 수용부(142)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플레이트(141)는 원형의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선박블록(10)의 하면(11)과 면 접촉된다.
상기 지지플레이트(141)는 바람직하게 원형으로 형성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각 또는 다각형 등으로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용부(142)는, 상기 지지플레이트(141)의 하부에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수용부(142)는, 하부면이 상방으로 오목하게 수용홈(142a)을 형성한다. 이러한 수용홈(142a)은 상기 지지구(131)와 대응 형성되며, 상기 지지구(131)에 회동 가능하게 안착된다.
아울러, 상기 수용부(142)는 수납구(142b)와, 자석(142c)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수납구(142b)는 상기 수용홈(142a)의 타단 즉, 상기 수용부(142)의 상부에서 내측으로 수납공간을 형성한다.
상기 자석(142c)은, 상기 수납구(142b)에 삽입된다. 여기서 상기 자석(142c)은, 상기 수용부(142)를 상기 지지구(131)에 자력에 의해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수용부(142)는 상기 수용홈(142a)과, 상기 수납구(142b) 사이에 개구부(142d)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개구부(142d)는 상기 자석(142c)의 측면이 일부 노출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개구부(142d)는, 상기 지지구(131)와 상기 수용부(142)를 자력에 의해 더욱 견고하게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접촉부(140)가 상기 지지구(131)에 회동가능하게 안착되며 자력에 의해 지지된다면, 상기 자석(142c)은 상기 수용홈(142a)에 노출 없이도 상기 수납구(142b)에 수납된 상태로 결합될 수 있다. 즉, 상기 수용부(140)는 상기 지지구(131)와 동일한 금속의 소재로 형성되어, 상기 자석(142c)에 의해 상기 지지구(131)에 부착될 수 있다.
다시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고정부(150)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승강된 상기 높이조절부(120)를 상기 본체부(110)에 고정시키는 것으로서 체결홀(151)과, 지지홀(152) 및 고정핀(153)을 포함한다.
상기 체결홀(151)은, 상기 본체부(110)에 일 측에서 상기 본체부(110)의 측면을 관통하는 홀로 형성된다.
상기 지지홀(152)은 상기 체결홀(151)에 대응하여 위치될 수 있도록 상기 본체부(110)의 일 측 및 타 측에서 수직방향을 따라 이격 배열되는 복수의 홀로 형성된다.
상기 고정핀(153)은 상기 체결홀(151) 및 지지홀(152)에 삽입되는 것으로서 외주면이 상기 체결홀(151)과 지지홀(152)의 내주면과 동일한 직경을 가지는 핀(Pin)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고정핀(153)은 상기 체결홀(151)에 먼저 삽입되고, 상기 체결홀(151)에 대응 위치되는 상기 높이조절부(120)의 지지홀(152)에 삽입된다. 부연하면, 사용자가 먼저 상기 높이조절부(120)를 상기 본체부(110)에서 승강하여 높이를 조절한 다음, 상기 고정핀(153)을 상기 체결홀(151)에 삽입하고, 상기 체결홀(151)에 대응 위치되는 상기 지지홀(152)까지 삽입한다. 그러면 상기 높이조절부(120)는, 상기 본체부(110)에 고정한다.
한편 도 6 내지 도 10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접촉부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각각 도시하고 있다. 여기서 도 1 내지 도 5에 나타낸 참조부호와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 및 작용을 하는 동일부재이므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먼저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접촉부(240)는 상기 자석(142c)이 이동되도록 통로 역할을 하는 지지플레이트(241)와, 상기 지지플레이트(241)의 내측에 결합되는 덮개(243)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지지플레이트(241)는 내측에 관통홀(241a)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관통홀(241a)은 상기 수납공간과 연통되도록, 상기 수납구(142b)와 대응 형성된다. 또한 상기 관통홀(241a)은 내주면에 나사부가 형성된다.
상기 덮개(243)는, 상기 관통홀(241a)과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덮개(243)는 상기 관통홀(241a)의 나사부에 대응하여 외주면에 수나사가 형성되고, 사용자의 회전에 따라 상기 관통홀(241a)과 나사 결합된다. 이러한 덮개(243)는 상기 자석(142c)이 파손되더라도 상기 지지플레이트(241)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자석(142c)의 교환이 언제든지 가능하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접촉부(340)는 복수의 삽입홈(342e)이 형성되는 수용부(342)와, 복수의 결합홀(341a)이 형성되는 지지플레이트(341) 및 복수의 볼트(343)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삽입홈(342e)은, 상기 수용부(342)의 상단부에 방사상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홀로 형성된다. 이러한 삽입홈(342e)의 각 내주면에는 나사부가 형성된다.
상기 결합홀(341a)은, 상기 삽입홈(342e)에 대응하여, 상기 지지플레이트(341)에 방사상으로 관통 형성된다.
상기 볼트(343)는 상기 지지플레이트(341)와, 상기 수용부(342)를 결합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볼트(343)는 상기 지지플레이트(341)의 결합홀(341a)을 관통하여 상기 수용부(342)의 삽입홈(342e)에 나사 결합된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접촉부(440)는 결합구(443)와, 상기 결합구(443)에 착탈 가능하게 삽입되는 수용부(442)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결합구(443)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지지플레이트(441)의 하부에 결합된다. 또한, 상기 수용부(442)는, 상기 결합구(443)에 착탈 가능하게 삽입되며 하부에는 상방으로 오목하게 수용홈(442a)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수용부(442)는 자석일 수 있다. 이러한 수용부(442)는, 상기 지지구(131)와 강한 자력으로 회동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접촉부(540)는 탄성부재(543)를 더 포함한다. 상기 탄성부재(543)는, 상기 지지부(130)에 회동가능하게 안착되는 상기 접촉부(540)를 탄성에 의해 상기 지지부(130) 지지시킨다. 또한 상기 접촉부(540)를 상기 지지부(130)에서 이탈되어 지면으로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탄성부재(543)는 코일스프링일 수 있다. 이러한 탄성부재(543)는 탄성에 의해 상기 접촉부(540)와 상기 지지부(130)를 지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부연하면, 상기 탄성부재(543)는 상기 수용부(142)의 외측에서 방사상으로 복수개가 배열된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543)는 일 측이 상기 지지플레이트(141)의 하부면 가장자리에 나사 고정되고, 타 측이 상기 지지구(131)의 측면에 나사 고정된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일 뿐, 상기 탄성부재(543)가 상기 접촉부(540)의 이탈을 방지한다면 다양하게 고정될 수 있다. 즉, 상기 코일스프링(543)의 일 측이 상기 지지플레이트(141)의 하면뿐만 아니라, 상기 수용부(142)의 측면에 부착될 수도 있다.
따라서 탄성부재(543)는 상기 접촉부(540)가 상기 지지구(131)에서 기울어져 하부로 낙하 되더라도, 기울어지는 반대쪽의 탄성부재(543)의 탄성에 의해 상기 접촉부(540)를 복원 시키는 기능을 한다.
한편, 상기 탄성부재(543)가 상기 접촉부(540)를 상기 지지부(130)로부터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면 그 형상은 다양할 수 있다. 즉, 고무줄 등일 수 있다.
다시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접촉부(640)는 탄성부재(643)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탄성부재(643)는 상기 접촉부(640)가 상기 지지부(130)에서 기울어져 낙하 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탄성부재(643)는 주름관 일 수 있다. 이러한 탄성부재(643)는, 상기 수용부(142)와, 상기 지지구(131)의 외측을 감싸며, 일 측이 상기 지지플레이트(141)의 하부면에 가장자리에 고정되고, 타 측이 상기 지지구(131)의 외측에 고정된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일 뿐, 상기 탄성부재(643)가 상기 접촉부(640)의 이탈을 방지한다면, 다양하게 고정될 수 있다. 즉, 상기 탄성부재(643)의 일 측이 상기 지지플레이트(141)의 하면뿐만 아니라, 상기 수용부(142)의 측면에 부착될 수도 있다. 이러한 탄성부재(643)는 상기 접촉부(640)가 상기 지지구(131)에서 기울어져 하부로 낙하 되더라도, 기울어지는 상기 탄성부재(643)의 반대쪽이 상기 접촉부(540)를 지지하여 상기 접촉부(640)가 지면으로 낙하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상기 탄성부재(643)가 상기 접촉부(640)를 상기 지지부(130)로부터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면 그 형상은 다양할 수 있다. 즉, 상기 접촉부(640)와 상기 지지부(130)를 감싸는 원통형의 코일스프링일 수 있다.
또 한편 도 9 및 10에서 상기 탄성부재(543)(643)의 일 측 및 타 측이 상기 접촉부(540)(640)와 지지부(130)에 나사에 의한 결합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하게 결합될 수 있다. 즉, 상기 수용부(142)와 지지부(130)의 측면을 감싸는 밴드 또는 체결링 등에 의한 결합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접촉부(240)(340)(440)(540)(640)는 다양한 실시예로 제작되며, 상기 접촉부(240)(340)(440)(540)(640)가 상기 지지부(130)에서 이탈되어 지면으로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선박블록(10)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그(100)에 의하면, 기존에 선박블록(10)의 하면(11)을 점접촉 하던 것을 면 접촉하도록 구조를 개선하여 선박블록(10)의 외판이 집중하중에 의한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접촉되는 면적이 넓어짐에 따라 선박블록(10)의 하면(11)이 곡면으로 형성되더라도 미끄러짐을 예방할 수 있어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그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박블록 지지용 지그의 요부확대 단면도이고, 도 12 및 13은 도 11에 나타낸 접촉부의 변형예를 나타낸 단면도들이다. 여기서 도 1 내지 10에 나타낸 참조부호와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 및 작용을 하는 동일부재이므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그(200)는, 지지부(730)와 접촉부(74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지지부(730)는 지지구(731)와 회전축(732)을 포함한다.
상기 지지구(731)는 상부로 갈수록 뾰족하게 원뿔의 형상으로 형성되되, 최상부가 반구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지지구(731)에 후술할 접촉부(740)가 회동 가능하게 안착된다.
상기 접촉부(740)는, 상기 선박블록(10)의 하면(11)을 지지하는 것으로서, 지지플레이트(741)와 수용부(742)를 포함한다.
상기 수용부(742)는, 상기 지지플레이트(741)의 하부에 결합되며, 하부측에 수용홈(742a)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수용홈(742a)은 상기 지지구(731)에 회동 가능하게 안착되되 원뿔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특히, 상기 수용홈(742a)은 하부로 갈수록 상기 지지구(731)의 직경보다 넓은 직경으로 형성된다. 왜냐하면, 상기 지지구(731)에 안착되어 회동되는 상기 수용부(742)가, 상기 지지구(731)의 직경보다 넓게 형성됨으로서 그 회동각을 넓게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수용부(742)는 자석(742c)을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자석(742c)은 상기 수용홈(742a)의 타 측 즉, 상기 수용부(742)의 상부에 형성된 수납구(742b)에 수납될 수 있다. 이러한 자석(742c)은, 상기 수용홈(742a) 안착되는 상기 지지구(731)가 자력에 의해 상기 지지구(731)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특히, 상기 자석(742c)의 내측은 상기 지지구(731)의 상부가 안착되도록 경사홈(742c')이 형성된다. 상기 경사홈(742c')은 상기 지지구(731)의 상부가 안착되되 하부로 갈수록 상기 지지구(731)의 직경보다 넓은 직경으로 형성된다. 왜냐하면, 상기 지지구(731)에 안착되어 회동되는 상기 수용부(742)가, 상기 지지구(731)의 직경보다 넓게 형성됨으로서 그 회동각을 크게 하기 위함이다.
한편 도 12 및 13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접촉부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각각 도시하고 있다. 여기서 도 1 내지 도 11에 나타낸 참조부호와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 및 작용을 하는 동일부재이므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접촉부(840)는 탄성부재(843)를 더 포함한다.
상기 탄성부재(843)는 상기 지지부(730)에 회동가능하게 안착되는 상기 접촉부(840)를 탄성에 의해 상기 지지부(730)에 지지시키며, 또한 상기 지지부(730)에서 이탈되어 지면으로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탄성부재(843)는 코일스프링일 수 있다. 이러한 탄성부재(843)는 탄성에 의해 상기 접촉부(840)를 상기 지지부(730)에 지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부연하면, 상기 탄성부재(843)는, 상기 수용부(842)의 외측에서 방사상으로 복수개가 배열된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843)는 일 측이 상기 지지플레이트(841)의 하부면 가장자리에 고정되고, 타 측이 상기 지지구(731)의 측면에 고정된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일 뿐, 상기 탄성부재(843)가 상기 접촉부(840)의 이탈을 방지한다면, 다양하게 고정될 수 있다. 즉, 상기 탄성부재(843)의 일 측이 상기 지지플레이트(841)의 하면뿐만 아니라, 상기 수용부(842)의 측면에 부착될 수도 있다. 이러한 탄성부재(843)는 상기 접촉부(840)가 상기 지지구(731)에서 기울어져 하부로 낙하 되더라도, 기울어지는 반대쪽의 탄성부재(843)의 탄성에 의해 상기 접촉부(840)를 복원 시키는 기능을 한다.
한편, 상기 탄성부재(843)가 상기 접촉부(840)를 상기 지지부(730)로부터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면 그 형상은 다양할 수 있다. 즉, 고무줄 등일 수 있다.
다시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접촉부(940)는 탄성부재(943)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탄성부재(943)는 상기 접촉부(940)가 상기 지지부(730)에서 기울어져 낙하 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탄성부재(943)는 주름관 일 수 있다. 이러한 탄성부재(943)는 상기 수용부(942)와, 상기 지지구(731)의 외측을 감싸며, 일 측이 상기 지지플레이트(941)의 하부면에 가장자리에 고정되고, 타 측이 상기 지지구(731)의 외측에 고정된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일 뿐, 상기 탄성부재(943)가 상기 접촉부(940)의 이탈을 방지한다면, 다양하게 고정될 수 있다. 즉, 상기 탄성부재(943)의 일 측이 상기 지지플레이트(941)의 하면뿐만 아니라, 상기 수용부(942)의 측면에 부착될 수도 있다.
이러한 탄성부재(943)는 상기 접촉부(940)가 상기 지지구(731)에서 기울어져 하부로 낙하 되더라도, 기울어지는 상기 탄성부재(943)의 반대쪽이 상기 접촉부(940)를 지지하여 상기 접촉부(940)가 지면으로 낙하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상기 주름관(943)이 상기 접촉부(940)를 상기 지지부(730)로부터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면 그 형상은 다양할 수 있다. 즉, 상기 접촉부(940)와 상기 지지부(730)를 감싸는 원통형의 코일스프링일 수 있다.
또한, 도 12 및 13에서 상기 탄성부재(843)(943)의 일 측 및 타 측이 상기 접촉부(840)(940)와 지지부(730)의 측면에 나사에 의한 결합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하게 결합될 수 있다. 즉, 상기 수용부(842)(942)와 지지부(730)의 측면을 감싸는 밴드 또는 체결링 등에 의한 결합일 수 있다.
또한, 도 12 및 도 13에 따른 상기 수용부(842)(942)에는 외측에서 내측으로 관통되는 복수의 장홈(844)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장홈(844)은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촉부(840)(940)가 상기 지지부(730)에 자력이 아닌 탄성에 의해 지지될 경우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장홈(844)은 상기 수용부(842)(942)의 중앙에서 방사상으로 복수의 홈으로 형성되며, 이러한 장홈(844)은 상기 수용부(842)(942)의 내측 중앙에서 상기 수용부(842)(942)의 외측으로 이어지는 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수용부(842)(942)의 수용홈(842a)(942a)에 상기 지지구(731)가 안착될 경우, 상기 수용부(842)(942)의 회동각도를 넓힐 수 있다. 즉, 상기 수용부(842)(942)가 상기 지지구(731)에 안착되어 회동 시 상기 지지구(731)의 측면이 일부 돌출되도록 회동되면, 상기 수용부(842)(942)의 회동각도는 더욱 넓어질 수 있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접촉부(840)(940)는 다양한 변형예로 제작될 수 있으며, 상기 지지부(730)에서 이탈되어 지면으로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선박블록(10)을 안정적으로 지지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그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4는 도 4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박블록 지지용 지그의 요부확대 단면도이고, 도 15는 도 14의 XV-XV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16 내지 도 18은 도 14에 나타낸 접촉부의 다양한 변형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여기서 도 1 내지 13에 나타낸 참조부호와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 및 작용을 하는 동일부재이므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그(300)는, 접촉부(1140)를 포함한다. 상기 접촉부(1140)는, 상기 선박블록(10)의 하면(11)을 지지하는 것으로서, 지지플레이트(1141)와 수용부(1142)를 포함한다.
상기 수용부(1142)는, 수용홈(1142a)과, 수납구(1142b)와, 자석(1142c)과, 자기차폐부재(1142d) 및 단열부재(1142e)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수용홈(1142a)은, 상기 지지구(131)에 대응하여 하부면이 상방으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이러한 수용홈(1142a)은 상기 지지구(131)상에 회동 가능하게 안착된다.
상기 수납구(1142b)는, 상기 수용홈(1142a)의 타단에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수납구(1142b)는 상부면이 평평한 형상이며, 자석(1142c)과, 자기차폐부재(1142d) 및 단열부재(1142e)를 수납할 수 있도록 수납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자석(1142c)은, 상기 수납구(1142b)에 삽입된다. 여기서 상기 자석(1142c)은, 상기 지지구(131)에 안착되는 상기 수용부(1142)가 자력에 의해 부착될 수 있도록 자력을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아울러, 상기 수용부(1142)는 상기 수용홈(1142a)과, 상기 수납구(1142b) 사이에 격벽(1142f)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격벽(1142f)은, 상기 수용부(1142)가 상기 지지구(131)에 안착될 경우 상부의 하중으로부터 상기 자석(1142c)을 보호할 수 있다. 즉, 상기 지지플레이트(1141) 상에 면 접촉되는 선박블록(10)의 충격으로부터 상기 자석(1142c)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석(1142c)의 자력을 상기 지지구(131)에 전달하여 상기 수용부(1142)를 상기 지지구(131)에 자력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자기차폐부재(1142d)는, 상기 수납구(1142b)에 수납되며 하부가 개방된 원통의 캡 형상으로 상기 자석(1142c)의 외측 즉, 상기 자석(1142c)의 상면 및 측면을 감싼다.
한편 자기차폐란, 자계 중에 있는 일정한 공간을 투자율이 큰 자성체에 의해 감싸면 내부의 자계는 외부보다 매우 작아져서 외부 자계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는 성질을 갖는 것을 말한다. 여기서 상기 자기차폐부재(1142d)는, 상기 자석(1142c)을 감싸 자기를 차폐할 경우, 차폐된 자기장이 차폐하지 않은 방향으로 집중되어 자력 강도를 높일 수 있는 강자성체(Ferromagnetic substance) 또는 상자성체(paramagnetic substance)일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자기차폐성능을 향상시킨다면 다양한 자성체가 가능하다.
아울러, 상기 자기차폐부재(1142d)는 두꺼운 하나의 판으로 형성되는 것 것만 아니라, 얇은 판을 여러 장 겹쳐서 상기 자석(1142c)의 외측을 감 쌀 경우 차폐의 성능은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상기 단열부재(1142e)는, 상기 자석(1142c)을 열과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단열부재(1142e)는 상기 자기차폐부재(1142d)의 외측 즉, 상기 자기차폐부재(1142d)의 상면 및 측면을 감싸도록 하부가 개방된 원통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수납구(1142b)에 설치된다. 이러한 단열부재(1142e)는 상기 자석(1142c) 및 자기차폐부재(1142d)를 높은 열로부터 보호할 뿐만 아니라, 완충성이 좋아 상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다시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수용부(1142)는 상기 수용홈(1142a)의 하부면에 대응하여 상부면이 상부로 볼록하게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용부(1142)의 상부면에 대응하여 하부면이 오목하게 형성되는 자석(1142c)이 설치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용부(1142)는 상부면이 상부로 뾰족한 원뿔의 형상일 수 있다. 아울러 자석(1142c)은 하부가 상기 수납구(1142b)의 상부면에 대응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수용부(1142)의 상부면을 상부로 볼록하게 형성하거나, 또는 뾰족하게 원뿔의 모양으로 형성함에 따라, 상기 자석(1142c)은 상기 지지구(131)의 상부 중심으로 자기장을 집중되도록 하여 자력의 강도를 높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수용부(1142)는 상면 중앙에서 수직하게 돌출되는 기둥(1142g)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둥(1142g)은 상기 지지플레이트(1141)의 상부에서 발생되는 충격과 하중으로부터 후술할 자석(1142c')과 자기차폐부재(1142d') 및 단열재(1142e')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자석(1142c')은 상기 기둥(1142g)에 삽입 설치되도록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또한 자기차폐부재(1114d') 및 단열재(1142e')는 상기 기둥(1142g)에 관통될 수 있도록 상부 중앙에 홀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자석(1142c')과 자기차폐부재(1114d') 및 단열재(1142e')는 상기 기둥(1142g)에 견고하게 삽입되므로 상기 수용부(1142)내에서 유동 없이 고정될 뿐만 아니라, 상기 기둥(1142g)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어 수명은 연장된다.
한편, 도면에서는 상기 기둥(1142g)이 상부로 볼록하게 형성된 상기 수용부(1142)에 설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상의 수용부(1142)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한 상부면이 평평한 수용부(1142) 뿐만 아니라, 상부면이 원뿔의 형상으로 형성된 수용부(1142)등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접촉부(1140)는, 상기 수용부(1142)의 수납구(1142b)에 자기차폐부재(1142d)를 설치하여, 상기 자석(1142c)(1142')의 자기를 한 방향으로 흐르도록 함으로 써, 자력의 강도를 높이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수용부(1142)에 단열부재(1142e)를 설치하여 열과 충격에 취약한 자석(1142c)(1142c')을 보호하여 상기 자석(1142c)(1142c')의 수명을 높이는 경제적인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200, 300: 선박블록 지지용 지그 110: 본체부
111: 지지날개 120: 높이조절부
121: 플러그 130,730: 지지부
131,731: 지지구 132: 회전축
133a: 승강홀
140, 240, 340, 440, 540, 640, 740, 840, 940, 1140: 접촉부
141,241,341,741,841: 지지플레이트
142,342,442,742,1142: 수용부
142a,442a,742a,1142a: 수용홈
142b,1142b,1142b': 수납구
142c,742c,1142c,1142c': 자석 742c': 경사홈
150: 고정부 151: 체결홀
152: 지지홀 153: 고정핀
243: 덮개 241a: 관통홀
341a: 결합홀 342a: 결합홈
342e: 삽입홈 343: 볼트
443: 결합구 844: 장홈
543,643,843,943: 탄성부재 1142d,1142d': 자기차폐부재
1142e,1142e': 단열부재 1142f: 격벽
1142g: 기둥

Claims (23)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선박블록을 지면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지지하는 선박블록 지지용 지그에 있어서,
    상기 지면에 직립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승강 가능하게 삽입 설치되는 높이조절부;
    상기 높이조절부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지지부; 및
    상기 선박블록의 하면에 대응하여 상기 지지부의 상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접촉부를 포함하며,
    상기 접촉부는,
    상단부에 방사상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삽입홈이 형성되되 각 삽입홈의 내주면에 나사부가 형성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의 삽입홈에 대응하여 내측에 복수의 결합홀이 형성되는 지지플레이트 및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결합홀을 관통하여 상기 수용부의 삽입홈과 나사 결합되는 볼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블록 지지용 지그.
  8. 삭제
  9. 삭제
  10. 선박블록을 지면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지지하는 선박블록 지지용 지그에 있어서,
    상기 지면에 직립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승강 가능하게 삽입 설치되는 높이조절부;
    상기 높이조절부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지지부; 및
    상기 선박블록의 하면에 대응하여 상기 지지부의 상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접촉부를 포함하며,
    상기 접촉부는,
    상기 선박블록의 하면이 면 접촉되는 지지플레이트와,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하부에 결합되며, 하부면이 상부로 오목하게 수용홈을 형성하는 수용부 및, 상기 수용부의 외측에서 방사상으로 복수 개가 배치되며 일 측이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하부면 가장자리에 각각 고정되고, 타 측이 상기 지지부의 측면에 고정되는 복수의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선박블록 지지용 지그.
  11. 삭제
  12. 선박블록을 지면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지지하는 선박블록 지지용 지그에 있어서,
    상기 지면에 직립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승강 가능하게 삽입 설치되는 높이조절부;
    상기 높이조절부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지지부; 및
    상기 선박블록의 하면에 대응하여 상기 지지부의 상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접촉부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는,
    상부로 갈수록 뾰족하게 원뿔의 형상으로 형성되되 최상부가 반구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지지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블록 지지용 지그.
  13. 선박블록을 지면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지지하는 선박블록 지지용 지그에 있어서,
    상기 지면에 직립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승강 가능하게 삽입 설치되는 높이조절부;
    상기 높이조절부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지지부; 및
    상기 선박블록의 하면에 대응하여 상기 지지부의 상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접촉부를 포함하며,
    상기 접촉부는,
    상기 선박블록의 하면에 대응하여 상기 지지부의 상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내부에 자성체를 구비하여 상기 지지부의 상부와 자성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블록 지지용 지그.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는,
    상기 선박블록의 하면이 면 접촉되는 지지플레이트와,
    내측이 상기 지지부의 지지구를 안착하도록 원뿔의 형상으로 형성되되 하부로 갈수록 상기 지지부의 지지구 직경보다 넓은 수용홈을 형성하는 수용부를 포함하는 선박블록 지지용 지그.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상기 수용홈의 타 측에 고정되고 내측에 상기 지지구의 상부가 안착되도록 원뿔의 형상의 경사홈이 형성되되 하부로 갈수록 상기 지지구의 직경보다 넓은 직경으로 형성되는 자석을 더 포함하는 선박블록 지지용 지그.
  16.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에는,
    상기 수용홈에 안착되는 상기 지지구의 측면이 일부 돌출되도록 상기 수용홈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관통 형성되는 복수의 장홈이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블록 지지용 지그.
  17. 청구항 12 내지 청구항 15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는,
    상기 수용부의 외측에서 방사상으로 복수개가 배치되며 일 측이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하부면 가장자리에 고정되고, 타 측이 상기 지지구의 측면을 고정하는 복수의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선박블록 지지용 지그.
  18. 청구항 12 내지 청구항 15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는,
    일 측이 상기 지지플레이트 하부면 가장자리에 고정되고, 타 측이 상기 지지구의 측면에 고정되어 상기 수용부와, 상기 지지구를 감싸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선박블록 지지용 지그.
  19. 선박블록을 지면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지지하는 선박블록 지지용 지그에 있어서,
    상기 지면에 직립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승강 가능하게 삽입 설치되는 높이조절부;
    상기 높이조절부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지지부; 및
    상기 선박블록의 하면에 대응하여 상기 지지부의 상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접촉부를 포함하며,
    상기 접촉부는,
    상기 선박블록의 하면이 면 접촉되는 지지플레이트와,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하부에 결합되며, 하부면이 상부로 오목하게 수용홈을 형성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홈의 타단에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수납구와,
    상기 수납구에 수납 되며 자력에 의해 상기 수용부를 상기 지지부의 일 측에 고정시키는 자석과,
    상기 수납구에 설치되며 상기 자석의 외측을 일부 감싸 상기 자석의 자기가 일부분으로 흐르도록 차폐하는 자기차폐부재를 더 포함하는 선박블록 지지용 지그.
  20.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자기차폐부재는, 자성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블록 지지용 지그.
  21.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에는,
    상기 자기차폐부재를 감싸는 단열부재를 더 포함하는 선박블록 지지용 지그.
  22.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상기 수용홈의 하부면에 대응하여 상부면이 상부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수납구와,
    상기 수납구의 상부면에 대응하여 하부면이 오목하게 형성된 자석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블록 지지용 지그.
  23. 청구항 22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상기 수납구의 상면 중앙에서 수직하게 돌출되는 기둥과,
    상기 기둥에 삽입 설치되도록 링 형상의 자석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블록 지지용 지그.
KR1020130004530A 2012-09-27 2013-01-15 선박블록 지지용 지그 KR1013064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3/008710 WO2014051391A2 (ko) 2012-09-27 2013-09-27 선박블록 지지용 지그
CN201380060864.6A CN104822586A (zh) 2012-09-27 2013-09-27 支撑船块用的夹具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8065 2012-09-27
KR20120108065 2012-09-2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06468B1 true KR101306468B1 (ko) 2013-09-17

Family

ID=494556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4530A KR101306468B1 (ko) 2012-09-27 2013-01-15 선박블록 지지용 지그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306468B1 (ko)
CN (1) CN104822586A (ko)
WO (1) WO2014051391A2 (ko)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477328A (zh) * 2014-11-21 2015-04-01 中船黄埔文冲船舶有限公司 一种在活络胎架上建造分段的固定装置及方法
KR20150069503A (ko) * 2014-08-12 2015-06-23 제우기공 주식회사 블록 리프트 장치
CN105293166A (zh) * 2015-10-12 2016-02-03 南宁市春江电控技术研究所 一种电力螺旋放线架
CN106218834A (zh) * 2016-08-31 2016-12-14 中船黄埔文冲船舶有限公司 一种船用新型活络胎架
CN107327160A (zh) * 2017-08-30 2017-11-07 云南工程建设总承包公司 带内嵌式支承垫块的可调支撑装置
KR101826164B1 (ko) * 2016-01-27 2018-02-06 삼성중공업(주) 구조물 지지장치
KR20200033683A (ko) 2018-09-20 2020-03-3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용접변형 교정 지그
KR20200046673A (ko) 2018-10-25 2020-05-0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블록 조인트 노드의 용접변형 억제 지그
KR20200103383A (ko) * 2019-02-25 2020-09-02 김영경 선체 블럭 지지용 핀지그 장치
KR102199407B1 (ko) 2020-09-24 2021-01-06 주식회사 서일 선박블록 지지용 핀 지그의 받침 캡
KR102330671B1 (ko) * 2020-06-29 2021-11-24 (주)성지알펙스 마그네틱이 결합된 멍에재를 갖는 건축용 서포트 구조
CN113799946A (zh) * 2021-10-27 2021-12-17 上海外高桥造船有限公司 一种支柱式胎架
KR20220001180A (ko) * 2020-06-29 2022-01-05 주식회사 성지제강 마그네틱을 이용한 건축용 서포트 구조
CN114193392A (zh) * 2021-10-28 2022-03-18 上海外高桥造船有限公司 用于活络胎架的拔管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175636A (zh) * 2017-06-27 2017-09-19 中国冶集团有限公司 一种防止弧形板变形的装置及方法
CN107444583A (zh) * 2017-09-22 2017-12-08 中国海洋石油总公司 液压活动式胎具
PT110661B (pt) * 2018-04-04 2023-03-28 Salemo & Merca Lda Braçadeira e prumo para sistemas de andaimes
CN108791939A (zh) * 2018-07-04 2018-11-13 北京特种机械研究所 一种发射箱盖支撑机构及其使用方法
CN111661265B (zh) * 2020-06-12 2021-11-30 中船黄埔文冲船舶有限公司 一种船舶稳定鳍的支撑平台
CN113247207B (zh) * 2021-05-27 2022-09-23 江苏科技大学 一种用于智能胎架活络头的系列化装置
CN115123492B (zh) * 2022-08-11 2023-08-01 上海外高桥造船有限公司 可移动式胎架及胎架顶撑方法
CN117967036A (zh) * 2024-03-21 2024-05-03 山西建筑工程集团有限公司 一种叠合板与梁结合处模板支撑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9923Y1 (ko) * 1998-12-15 2004-11-06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평블록의높이레벨조정장치
KR20110120704A (ko) * 2010-04-29 2011-11-04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영구자석을 통해 반목의 중량을 부가하여 침수되도록 하는 탠덤 건조공법
KR20110011534U (ko) * 2010-06-08 2011-12-14 박해준 선박 건조용 핀 지그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6514B1 (ko) * 2005-05-04 2007-02-01 김석대 곡면 구조물의 지지장치
KR100837321B1 (ko) * 2007-01-23 2008-06-12 (주)에스피에스 곡 구조물 지지용 핀지그의 승강 보조장치
JP5385718B2 (ja) * 2009-07-28 2014-01-08 ルネサス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クロックデータリカバリ回路
CN201494611U (zh) * 2009-08-19 2010-06-02 江苏蛟龙重工集团有限公司 可调节式胎架支撑器
CN201573765U (zh) * 2009-11-27 2010-09-08 广州中船黄埔造船有限公司 船用活络胎架
CN202100904U (zh) * 2011-05-27 2012-01-04 神讯电脑(昆山)有限公司 笔记本电脑支架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9923Y1 (ko) * 1998-12-15 2004-11-06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평블록의높이레벨조정장치
KR20110120704A (ko) * 2010-04-29 2011-11-04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영구자석을 통해 반목의 중량을 부가하여 침수되도록 하는 탠덤 건조공법
KR20110011534U (ko) * 2010-06-08 2011-12-14 박해준 선박 건조용 핀 지그

Cited B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69503A (ko) * 2014-08-12 2015-06-23 제우기공 주식회사 블록 리프트 장치
KR101698358B1 (ko) * 2014-08-12 2017-01-23 제우기공 주식회사 블록 리프트 장치
CN104477328A (zh) * 2014-11-21 2015-04-01 中船黄埔文冲船舶有限公司 一种在活络胎架上建造分段的固定装置及方法
CN105293166A (zh) * 2015-10-12 2016-02-03 南宁市春江电控技术研究所 一种电力螺旋放线架
KR101826164B1 (ko) * 2016-01-27 2018-02-06 삼성중공업(주) 구조물 지지장치
CN106218834A (zh) * 2016-08-31 2016-12-14 中船黄埔文冲船舶有限公司 一种船用新型活络胎架
CN107327160A (zh) * 2017-08-30 2017-11-07 云南工程建设总承包公司 带内嵌式支承垫块的可调支撑装置
KR20200033683A (ko) 2018-09-20 2020-03-3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용접변형 교정 지그
KR20200046673A (ko) 2018-10-25 2020-05-0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블록 조인트 노드의 용접변형 억제 지그
KR20200103383A (ko) * 2019-02-25 2020-09-02 김영경 선체 블럭 지지용 핀지그 장치
KR102251679B1 (ko) * 2019-02-25 2021-05-13 김영경 선체 블럭 지지용 핀지그 장치
KR102330671B1 (ko) * 2020-06-29 2021-11-24 (주)성지알펙스 마그네틱이 결합된 멍에재를 갖는 건축용 서포트 구조
KR20220001180A (ko) * 2020-06-29 2022-01-05 주식회사 성지제강 마그네틱을 이용한 건축용 서포트 구조
KR102353848B1 (ko) 2020-06-29 2022-01-19 주식회사 성지제강 마그네틱을 이용한 건축용 서포트 구조
KR102199407B1 (ko) 2020-09-24 2021-01-06 주식회사 서일 선박블록 지지용 핀 지그의 받침 캡
CN113799946A (zh) * 2021-10-27 2021-12-17 上海外高桥造船有限公司 一种支柱式胎架
CN114193392A (zh) * 2021-10-28 2022-03-18 上海外高桥造船有限公司 用于活络胎架的拔管装置
CN114193392B (zh) * 2021-10-28 2023-12-29 上海外高桥造船有限公司 用于活络胎架的拔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051391A3 (ko) 2015-04-30
WO2014051391A2 (ko) 2014-04-03
CN104822586A (zh) 2015-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6468B1 (ko) 선박블록 지지용 지그
US7063563B1 (en) Freely rotational receptacle
EP2279780B1 (en) Kung fu training device
US20160128210A1 (en) Magnetic attraction-fixing assembly and a rotating support structure for a portable device having the magnetic attraction-fixing assembly
KR102073864B1 (ko) 다기능 완철을 구비한 가공배전선 지지기구
US20120227678A1 (en) Multi-anchoring device incorporating a bearing system for tethering or securing articles such as animals, including, but not limited to a suction base
US6828704B2 (en) Electric motor
JP6192860B1 (ja) ロータの取付構造及び遠心分離機
KR20120102965A (ko) 핸드폰 거치대
JP2005223957A5 (ko)
KR101385551B1 (ko) 캡 회전장치
CN106253008B (zh) 一种儿童防触电家用供电装置
NO20151191A1 (en) Mini massager
CN210355984U (zh) 一种旋转控制器
KR20190043497A (ko) 텐트 폴을 위한 회전 허브
KR101503706B1 (ko) 기타용 스트랩 버튼
CN218160773U (zh) 一种内置全向天线及固定装置
CN202371200U (zh) 一种磁控锁紧球阀
JP3214773U (ja) 浮き
CN213278529U (zh) 一种自动旋转防水插座
US20140146496A1 (en) Connecting mechanism and electronic device with same
CN208634819U (zh) 一种新型便携式吸附警示灯
JP6667069B2 (ja) 支持台
JP6386873B2 (ja) マイクロホンホルダ及び前記マイクロホンホルダを用いたマイクロホンショックマウント
CN219738684U (zh) 一种应用于干式空心电抗器的承载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