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3490B1 - 커넥터 및 커넥터용 지그 - Google Patents

커넥터 및 커넥터용 지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3490B1
KR101303490B1 KR1020127020517A KR20127020517A KR101303490B1 KR 101303490 B1 KR101303490 B1 KR 101303490B1 KR 1020127020517 A KR1020127020517 A KR 1020127020517A KR 20127020517 A KR20127020517 A KR 20127020517A KR 101303490 B1 KR101303490 B1 KR 1013034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jig
terminal
engagement
termina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205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20284A (ko
Inventor
나오카주 나가사카
오사무 오시타
아키히로 츠루타
Original Assignee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1202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02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34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34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1Bolt, set screw or screw clam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1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 H01R13/6272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comprising a single latching ar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26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engaging or disengaging the two parts of a coupling devi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01R13/51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assembled by screw or scre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al Connectors (AREA)

Abstract

가볍고 단순화된 구조를 갖는 커넥터가 제공된다. 커넥터(7)는 제1 커넥터 본체부(41), 상기 제1 커넥터 본체부의 상부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복수의 제1 단자, 상기 제1 단자를 둘러싸도록 상기 제1 커넥터 본체부(41)의 상부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관부(29), 및 상기 관부(29)의 외측에서 돌출되도록 제공되는 제1 돌출부들을 구비하는 제1 커넥터(3); 및 제2 커넥터 본체부(35), 상기 제2 커넥터 본체부(35)의 바닥면 상에 제공되며 상기 복수의 제1 단자가 각각 삽입되는 복수의 제2 단자, 및 상기 제2 커넥터 본체부의 상부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제2 돌출부(47)를 포함하는 제2 커넥터(5)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커넥터 및 커넥터용 지그{CONNECTOR AND JIG FOR CONNECTOR}
본 발명은 커넥터 및 커넥터용 지그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수형(male) 커넥터의 복수의 단자가 암형(female) 커넥터의 복수의 단자에 탈착가능하게 부착되는 커넥터 및 전술한 탈부착을 위해 사용되는 커넥터용 지그에 관한 것이다.
도 23은 일반적인 커넥터(400)의 요철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참조).
일반적인 커넥터(감합형(fitting type) 커넥터)(400)에 있어서, 큰 직경의 가늘어지는(tapped) 홀을 구비하는 제1 너트(404)가 하나의 커넥터(402)에 제공된다. 관통홀(406)이 제1 너트(404)의 수직방향으로 형성된다. 제1 너트(404) 및 제1 너트(404)의 후측부에서, 접촉부(414)는 깃(collar)형상의 스톱부(410) 및 커넥터를 감합하기 위한 작은 직경을 갖는 볼트(408)의 헤드부(412)에 대하여 형성된다.
또한, 다른 커넥터(416)에는, 작은 직경을 갖는 가늘어지는 홀을 구비한 제2 너트(418)가 제공된다. 제1 너트(404)의 가늘어지는 홀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커넥터 감합용 볼트(408)는 제1 너트(404)에 삽입되고, 제2 너트(418)에 나사 결합(screwed)되어 두 커넥터들(402, 416)을 서로 감합시킨다. 커넥터를 탈착하기 위한 큰 직경의 볼트(미도시)는 제1 너트(404)에 나사 결합되어 다른 커넥터(416)가 커넥터를 탈착하기 위한 큰 직경의 볼트의 전단부에 의해 푸시될 수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제3285119호
일반적인 커넥터(400)에서는, 볼트 또는 너트가 각 커넥터들에 제공되기 때문에, 커넥터의 질량이 증가하며(커넥터는 무거움), 커넥터의 구조가 복잡해지는 문제를 야기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들을 고려하여 고안되며, 본 발명의 목적은 가볍고, 단순한 구조를 갖는 커넥터 및 상기 커넥터를 탈부착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커넥터용 지그를 제공하는데 있다.
제1 발명은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커넥터는, 제1 커넥터 본체부, 상기 제1 커넥터 본체부의 상부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복수의 제1 단자, 상기 제1 단자를 둘러싸도록 상기 제1 커넥터 본체부의 상부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관부, 및 상기 관부의 외측에서 돌출되도록 제공되는 제1 돌출부를 구비하는 제1 커넥터; 및 제2 커넥터 본체부, 상기 제2 커넥터 본체부의 바닥면 상에 제공되며 상기 복수의 제1 단자가 각각 삽입되는 복수의 제2 단자, 및 상기 제2 커넥터 본체부의 상부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제2 돌출부를 구비하는 제2 커넥터를 포함한다.
제2 발명은 상기 제1 발명의 커넥터에 따른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제1 커넥터 록부(lock part)는 상기 제1 커넥터의 관부에 제공되고, 제2 커넥터 록부는 상기 제2 커넥터 본체부에 제공되고, 상기 제2 커넥터 록부는, 상기 제2 단자에 제1 단자를 연결시키는 동안 상기 제1 커넥터 록부와 맞물리며 탄성적으로 변형되고, 상기 제1 단자가 상기 제2 단자에 완전히 연결되는 경우, 상기 제2 커넥터 록부는 제1 커넥터 록부와 맞물리도록 복원되어(restored), 상기 제1 단자가 상기 제2 단자로부터 탈착되는(detached) 것을 방지하고, 상기 제2 커넥터 록부는, 상기 제1 단자가 상기 제2 단자에 연결되는 경우, 기설정된 외력이 가해짐으로써 탄성적으로 변형되어, 제2 커넥터 록부가 상기 제1 커넥터 록부로부터 맞물림 해제(disengaged)되고, 상기 제2 커넥터 록부는, 상기 제2단자가 상기 제1 단자로부터 완전히 탈착되는 경우, 상기 제1 커넥터 록부로부터 분리되고, 복원된다.
제3 발명은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커넥터는, 복수의 제1 단자를 구비하는 제1 커넥터; 및 상기 복수의 제1 단자에 각각 연결되는 복수의 제2 단자를 구비하는 제2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들은, 커넥터용 지그의 맞물림부가 상기 제1 커넥터의 제1 맞물림부와 맞물리고, 상기 커넥터용 지그의 압입부가 상기 제2 커넥터의 제2 접촉부에 접촉되는 상태 하에서, 상기 제2 커넥터가 상기 커넥터용 지그의 상기 압입부에 의해 푸시되어 상기 제2 커넥터가 상기 제1 커넥터에 인접하게되는 방식으로 서로 연결되고, 상기 커넥터들은, 상기 커넥터용 지그의 접촉부가 상기 제1 커넥터의 제1 접촉부에 접촉되며, 상기 커넥터용 지그의 인출부가 상기 제2 커넥터의 제2 맞물림부와 맞물린 상태 하에서, 상기 제2 커넥터가 상기 커넥터용 지그의 인출부에 의해 인출되어 상기 제1 커넥터로부터 상기 제2 커넥터를 탈착시키는 방식으로 서로 탈착된다.
제4 발명은 상기 제3 발명의 커넥터에 따른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제1 커넥터 록부는 상기 제1 커넥터에 제공되고, 제2 커넥터 록부는 상기 제2 커넥터에 제공되고, 상기 제2 커넥터 록부는, 상기 제1 단자를 상기 제2 단자에 연결하는 동안 상기 제1 커넥터 록부와 맞물리며 탄성적으로 변형되고, 상기 제1 단자가 상기 제2 단자에 완전히 연결되는 경우, 상기 제2 커넥터 록부는 상기 제1 커넥터 록부와 맞물리도록 복원되어, 상기 제2 단자가 상기 제1 단자로부터 탈착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제2 커넥터 록부는, 상기 제1 단자가 상기 제2 단자에 연결되는 경우, 기설정된 외력이 가해짐으로써 탄성적으로 변형되어, 상기 제2 커넥터 록부가 상기 제1 커넥터 록부로부터 맞물림 해제되고, 상기 제2 커넥터 록부는 상기 제2 단자가 상기 제1 단자로부터 완전히 탈착되는 경우, 상기 제1 커넥터 록부로부터 분리되고, 복원된다.
제5 발명은 제1 커넥터를 제2 커넥터에 연결시키는 경우, 및 상기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를 서로 탈착시키는 경우 사용되는 커넥터용 지그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커넥터용 지그는, 상기 제1 커넥터의 제1 접촉부 상에 접촉하는 접촉부를 포함하는 지그 본체부; 상기 제1 커넥터의 제1 맞물림부와 맞물리고 상기 지그 본체부에 의해 지지되는 맞물림부를 포함하는 맞물림 부재; 및 상기 제2 커넥터의 제2 접촉부 상에 접촉하는 압입 부재를 지지하며, 상기 제2 커넥터의 제2 맞물림부와 맞물리는 인출 부재를 지지하며, 상기 지그 본체부와 맞물려 기설정된 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 부재를 포함한다.
제6 발명은 제5 발명의 커넥터용 지그에 따른 커넥터용 지그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제1 커넥터가 상기 제2 커넥터에 연결되는 경우, 상기 압입 부재는 상기 이동 부재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맞물림 부재의 맞물림부는 상기 제1 커넥터의 맞물림부와 맞물리며, 상기 이동 부재는 제1 커넥터를 향해 상기 제2 커넥터를 밀도록 이동하여, 상기 압입 부재가 암형 커넥터의 접촉부 상에 접하고 상기 제1 커넥터 측을 향해 상기 제2 커넥터를 푸시하고, 상기 제1 커넥터 및 상기 제2 커넥터를 서로 탈착시키는 경우, 상기 인출 부재는 상기 이동 부재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지그 본체부의 접촉부는 상기 제1 커넥터의 접촉부에 접하고, 상기 인출 부재는 상기 제2 커넥터의 맞물림부와 맞물리고, 상기 이동 부재는 상기 제2 커넥터를 상기 제1 커넥터로부터 탈착시키도록 이동하여, 상기 제2 커넥터가 상기 제1 커넥터로부터 분리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시스템을 탈착가능하게 부착하기 위한 개략적인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커넥터 시스템을 탈착가능하게 부착하기 위한 개략적인 구조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3은 수형 커넥터 및 암형 커넥터의 개략적인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커넥터용 지그의 지그 본체부의 개략적인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는 커넥터용 지그의 압입 부재의 개략적인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6은 커넥터용 지그의 후크 부재의 개략적인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7은 일시적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수형 커넥터 및 암형 커넥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VIII-VIII 라인을 따라 절개한 도면이다.
도 9a는 도 7의 IX-IX 라인을 따라 절개한 도면이다.
도 9b는 도 9a의 IX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10은 커넥터용 지그가 일시적으로 연결된 수형 커넥터 및 암형 커넥터 상에 배열되기 전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은 커넥터용 지그가 일시적으로 연결된 수형 커넥터 및 암형 커넥터 상에 배열되기 전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는 커넥터용 지그가 일시적으로 연결된 수형 커넥터 및 암형 커넥터 상에 부분적으로 배열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3은 커넥터용 지그가 일시적으로 연결된 수형 커넥터 및 암형 커넥터 상에 부분적으로 배열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4는 커넥터용 지그가 일시적으로 연결된 수형 커넥터 및 암형 커넥터 상에 완전하게 배열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5는 커넥터용 지그가 일시적으로 연결된 수형 커넥터 및 암형 커넥터 상에 완전하게 배열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6은 수형 커넥터가 커넥터용 지그에 의해 암형 커넥터에 실질적으로 연결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7은 수형 커넥터가 커넥터용 지그에 의해 암형 커넥터에 실질적으로 연결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8은 도 17의 XVIII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19는 커넥터용 지그의 인출 부재의 개략적인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0은 커넥터용 지그의 인출 부재의 정면도이다.
도 21a는 커넥터용 지그의 인출 부재의 맞물림 동작 전 정면도이다.
도 21b는 인출 부재의 맞물림 동작 동안의 정면도이다.
도 22는 커넥터용 지그의 인출 부재의 변형된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3은 일반적인 커넥터의 개략적인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시스템(1)을 탈착가능하게 부착하기 위한 개략적인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커넥터 시스템(1)을 탈착가능하게 부착하기 위한 개략적인 구조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탈착가능하게 부착된 커넥터 시스템(1)은 제1 커넥터(예를 들어, 수형 커넥터)(3) 및 제2 커넥터(예를 들어, 암형 커넥터)(5)를 구비한 커넥터(7) 및 커넥터(7)로부터 분리된 별도의 부재로서 제공된 커넥터용 지그(9)를 포함한다. 암형 커넥터(5)는 수형 커넥터(3)으로부터 분리된 별도의 부재이다. 수형 커넥터(3)는 암형 커넥터(5)에 탈착가능하게 부착된다(자유롭게 연결 또는 탈착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탈부착 동작들은 커넥터용 지그(9)를 이용함으로써 실행된다.
본 출원서의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하나의 미리 정의된 방향은 종방향으로서 때때로 설정될 수 있고, 상기 종방향에 수직하는 방향은 횡방향으로서 설정될 수 있으며, 상기 종방향에 수직하는 방향 및 상기 횡방향은 탈부착 방향(높이 방향)으로서 설정될 수 있다.
수형 커넥터(3)는 복수의 제1 단자(미도시)를 포함한다. 암형 커넥터(5)는 복수의 제2 단자(11)를 포함한다. 복수의 제1 단자는 복수의 제2 단자(11)에 각각 연결된다(실질적으로 연결). 상기 실질적 연결은 아래에서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커넥터(3, 5)들이 서로 연결되는 경우(수형 커넥터(3)의 제1 단자가 수형 커넥터(3)의 제1 단자들로부터 각각 분리된 암형 커넥터(5)의 제2 단자들에 연결된다), 커넥터용 지그(9)의 맞물림부(13)는 수형 커넥터(3)의 제1 맞물림부(15)와 먼저 맞물리고, 커넥터용 지그(9)의 압입부(push-in part)(17)는 암형 커넥터(5)의 제2 접촉부(19)에 인접할 수 있다.
실질적으로, 상술한 맞물림 및 접촉이 달성된 상태 하에서, 암형 커넥터(5)는 커넥터용 지그(9)의 압입부(17)에 의해 푸시되어, 암형 커넥터(5)가 수형 커넥터(3)에 접할 수 있다(수형 커넥터(3)의 제1 단자가 암형 커넥터(5)의 제2 단자들(11)에 삽입될 수 있다).
반면에, 커넥터들(3, 5)이 서로 탈착될 때(수형 커넥터(3)의 제1 단자가 수형 커넥터(3)의 제1 단자들에 연결된 암형 커넥터(5)의 제2 단자들로부터 각각 탈착된다), 커넥터용 지그(9)의 접촉부(21) 수형 커넥터(3)의 제1 접촉부(23) 상에 먼저 접할 수 있으며, 커넥터용 지그(9)의 인출부(25)는 암형 커넥터(5)의 제2 맞물림부(27)와 맞물린다.
실질적으로, 상술한 접촉 및 맞물림이 달성된 상태 하에서, 암형 커넥터(5)는 커넥터용 지그(9)의 인출부((25)에 의해 꺼내져, 암형 커넥터(5)가 수형 커넥터(3)로부터 탈착될 수 있다(수형 커넥터(3)의 제1 단자가 암형 커넥터(5)의 제2 단자들(11) 밖으로 미끄러질 수 있다).
또한, 수형 커넥터(3)(예를 들어, 수형 커넥터(3)의 관부(29))에는, 제1 커넥터 록부(locki part)(31) 및 제1 커네터 임시 맞물림부들(33)이 제공된다. 제1 커넥터 록부(31) 및 제1 커넥터 임시 맞물림부(33)는 서로 분리된다.
암형 커넥터(5)(예를 들어, 암형 커넥터(5)의 제2 커넥터 본체부(35))에는, 제2 커넥터 록부(37) 및 제2 커넥터 임시 맞물림부(39)가 제공된다. 제2 커넥터 록부(37) 및 제2 커넥터 임시 맞물림부(39)는 서로 분리되며 별도로 제공된다.
수형 커넥터(3)의 제1 단자가 암형 커넥터(5)의 제2 단자들(11)에 연결되는 동안, 제2 커넥터 록부(37)는 제1 커넥터 록부(31)와 맞물리고 탄성적으로 변형된다.
또한, 수형 커넥터(3)의 제1 단자가 암형 커넥터(5)의 제2 단자들(11)에 완벽하게 연결된 경우(완료됨)(제1 단자가 제2 단자들에 완전히 연결된 경우; 수형 커넥터(3)가 암형 커넥터(5)에 완전히 연결된 경우), 제2 커넥터 록부(37)는 복원된다. 이러한 복원에 따르면, 제2 커넥터 록부(37)는 제1 커넥터 록부(31)에 맞물려 암형 커넥터(5)의 제2 단자들(11)이 수형 커넥터(3)의 제1 단자들로부터 탈착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수형 커넥터(3)의 제1 단자가 암형 커넥터(5)의 제2 단자들(11)에 연결(완전히 연결됨)된 경우, 제2 커넥터 록부(37)가 제1 커넥터 록부(31)로부터 맞물림 해제되도록, 제2 커넥터 록부(37)는 기설정된 외력을 인가함으로써(기설정된 외력을 수용함으로써) 탄성적으로 변형된다. 즉, 제1 단자들로부터의 제2 단자들(11)의 탈착 방지가 제거되어, 암형 커넥터(5)가 수형 커넥터(3)로부터 탈착될 수 있다.
또한, 암형 커넥터(5)의 제2 단자들(11)이 수형 커넥터(3)의 제1 단자들로부터 탈착되는 동안, 제2 커넥터 록부(37)는 제1 커넥터 록부(31)와 맞물리고(예를 들어, 접촉됨) 탄성적으로 변형된다. 암형 커넥터(5)의 제2 단자들(11)이 수형 커넥터(3)의 제1 단자들로부터 완벽하게 탈착된 경우, 제2 커넥터 록부(37)는 제1 커넥터 록부(31)로부터 맞물림 해제되고 복원된다.
수형 커넥터(3)의 제1 단자가 암형 커넥터(5)의 제2 단자들에 연결되는 경우, 제2 커넥터 임시 맞물림부(39)가 제1 커넥터 임시 맞물림부들(33)에 맞물려 수형 커넥터(3)(예를 들어, 관부(29))를 암형 커넥터(5)(예를 들어, 제2 커넥터 본체부(35))에 일시적으로 연결시킨다. 상기 일시적인 연결은 아래에서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수형 커넥터(3)는 제1 커넥터 본체부(41), 상술한 복수의 제1 단자들(미도시), 관부(29) 및 제1 돌출부(43)를 포함한다. 제1 단자는 금속으로 제조되고, 예를 들어, 바늘 형상으로 형성된 수형 단자가다. 제1 단자를 제외한 제1 커넥터 본체부(41)의 수지부, 관부(29) 및 제1 돌출부(43)는, 예를 들어, 몰딩에 의해 일체로 형성된다.
복수의 제1 단자는 제1 커넥터 본체부(41)의 상부면으로부터 돌출한다. 관부(29)는 제1 커넥터 본체부(41)의 상부면으로부터 돌출하여 복수의 제1 단자를 둘러싼다(제1 단자를 그들 내측에 수용한다). 제1 돌출부들(43)은 관부(29)의 일단부(상단)측(예를 들어, 단부)에서 관부(29)의 외주벽으로부터 관부(29)의 외측으로(관부(29)의 연장 방향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그리고 관부(29)의 중심으로부터 분리된 측으로), 그리고 관부29)의 중심에 대하여 서로 대칭적으로("대칭적으로(symmetrically)"와 관련하여서는 아래에 상세히 설명될 것임) 돌출하도록 제공된다.
그런 다음, 예를 들어, 제1 돌출부(43)는 상술한 제1 맞물림부(15) 및 상술한 제1 접촉부(23)를 형성한다.
복수의 제1 단자들에 해당하는 복수의 와이어(예를 들어, 신축성을 갖는 전선들; 미도시)가 수형 커넥터(3)의 제1 커넥터 본체부(41)의 바닥면으로부터 연장된다.
암형 커넥터(5)는 상술한 제2 커넥터 본체부(35), 복수의 제2 단자(11) 및 제2 돌출부(47)를 포함한다. 제2 단자(11)는, 바늘 형상의 수형 단자(수형 커넥터(3)의 제1 단자)가 감합되고, 바닥면으로부터 상부면측으로 함몰되도록 제2 커넥터 본체부(35)의 상기 바닥면에 제공되는 금속으로 제조된 암형 단자이다. 복수의 제1 단자는 복수의 제1 단자가 복수의 제2 단자(11)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삽입 저항(삽입하는 동안 반동력(reaction force))을 갖고 제2 단자(11)로 각각 삽입된다.
제2 돌출부(47)는 제2 커넥터 본체부(35)의 상부면의 실질적인 중심부에서 상기 상부면으로부터 돌출한다. 예를 들어, 제2 돌출부(47)의 일부는 상술한 제2 접촉부(19)를 형성하고, 제2 돌출부의 다른 일부는 상술한 제2 맞물림부(27)를 형성한다.
제2 단자를 제외한 제2 커넥터 본체부(35)의 수지부 및 제2 돌출부(47)는, 예를 들어, 몰딩에 의해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복수의 제2 단자(11)에 해당하는 복수의 와이어(예를 들어, 신축성을 가는 전선들; 미도시)가 암형 커넥터(5)의 제2 커넥터 본체부(35)의 바닥면으로부터 연장된다.
수형 커넥터(3)의 관부(29)에는, 제1 커넥터 본체부(41)의 상부면으로부터 연장하는 리브들(49)이 제1 단자를 회피하도록 제공된다. 또한, 암형 커넥터(5)의 제2 커넥터 본체부(35)의 바닥면 상에는, 암형 커넥터(5)가 제1 커넥터에 연결되는 경우(제1 단자가 제2 단자(11)에 연결되는 경우), 리브(49)와 맞물리는 그루브(51)가 제공된다.
그런 다음, 암형 커넥터(5)가 수형 커넥터(3)에 연결되는 경우, 그루브(51)는 리브(49)와 맞물리거나(예를 들어, 맞물림될 슬라이딩 쌍들을 형성), 제2 커넥터 본체부(35)의 일 측면이 관부(29)의 내벽과 맞물리거나(예를 들어, 슬라이딩 쌍들을 형성함으로써 맞물림), 또는 제2 커넥터 본체부(35)의 상기 일 측면이 상기 내벽과 맞물리고, 그루브(51)가 리브(49)와 맞물린다. 따라서, 암형 커넥터(5)는 수형 커넥터(3)에 대하여 탈부착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가이드된다.
여기서, 일시적으로 연결된 상태는 수형 커넥터(3)로 암형 커넥터(5)의 연결 과정 중의 일 상태를 의미한다. 일시 연결 상태에서, 암형 커넥터는 상술한 리브(49) 또는 그와 유사한 것에 의해 가이드되며, 수형 커넥터(3)의 제1 커넥터 임시 맞물림부(33)는 암형 커넥터(5)의 제2 커넥터 임시 맞물림부(39)와 맞물린다. 수형 커넥터(3)의 제1 단자는 암형 커넥터(5)의 제2 단자(11)로부터 분리되고, 그들에 연결되지 않는다.
서로 각각 분리된(탈착된) 커넥터들(3, 5)을 일시적으로 연결하기 위하여, 큰 힘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맨손으로 암형 커넥터(5)(제2 커넥터 본체부(35))를 수형 커넥터(3)(관부(29))로 삽입하고 감합시킬 수 있다. 일시 연결 상태에서, 수형 커넥터(3)의 제1 커넥터 임시 맞물림부(33)는 암형 커넥터(5)의 제2 커넥터 임시 맞물림부(39)와 맞물린다. 따라서, 일시적으로 연결된 상태는 유지될 수 있다.
일시적으로 연결된 상태를 완전하게 연결된 상태(수형 커넥터(3)의 제1 단자가 암형 커넥터(5)의 제2 단자들(11)에 완벽하게 연결된 상태)로 변경하기 위하여, 암형 커넥터(5)의 제2 커넥터 본체부(35)는 큰 힘(맨손에 의해 부여될 수 없는 레벨의 힘)으로 수형 커넥터(3)의 관부(29)에 푸시되는 것이 요구된다.
이러한 큰 힘이 왜 필수적인지의 이유는 다수의 단자(11)가 커넥터들(3, 5)에 각각 존재하기 때문이다. 즉, 단지 제1 단자만이 수형 단자(3)에 제공되고, 이 하나의 단자가 암형 커넥터(5)의 하나의 단자(11)에 삽입되고 연결되는 경우, 연결 중 저항력(단자의 힘)은 작다. 따라서, 단자는 맨손에 의해 적은 힘으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복수의(많은 수의) 단자가 수형 커넥터(3)에 제공되고, 복수의(많은 수의) 단자가 암형 커넥터(5)에 또한 제공된다. 또한, 커넥터(7)에는, 많은 단자가 동시에(멀티-폴라(multi-polar) 단자가 서로 연결됨) 연결되기 때문에, 단자를 위한 저항력은 크다. 따라서, 수형 커넥터를 암형 커넥터에 완전히 연결하기 위해서는 큰 힘이 필수적이다.
따라서, 일시적으로 연결된 상태를 완전히 연결된 상태로 변경하기 위해서, 커넥터용 지그(9)가 필수적이다. 커넥터용 지그(9)를 이용하여 일시적으로 연결된 상태로부터 완전히 연결된 상태를 얻기 위하여, 기설정된 큰 힘이 커넥터들(5, 6)에 각각 인가될 때, 커넥터들의 커넥터 임시 맞물림부들(33, 39)의 맞물린 상태는 초기에 각각 해제된다. 그런 다음, 수형 커넥터(3)의 제1 단자는 암형 커넥터(5)의 제2 단자들(11)에 삽입되어 완전한 연결 상태를 얻는다. 완전히 연결된 상태에서, 커넥터(7)는 자동차와 같은 차량에 설치되고 사용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완전히 연결된 상태에서, 제2 단자(11)가 제1 단자로부터 탈착되는 것을 방지하도록(암형 커넥터(5)가 수형 커넥터(3)로부터 탈착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제2 커넥터 록부(37)는 제1 커넥터 록부(31)와 맞물린다.
커넥터 록부들(31, 37)이 제공되지는 않는 구조에서도, 일단 서로 연결된(서로 완전히 연결된) 커넥터들(3, 5)은 서로로부터 쉽게 탈착되지 않는다. 그러나, 커넥터 록부들(31, 37)이 각각 제공되지 않는 경우, 진동으로 인하여 커넥터들(3, 5)의 연결이 느슨해지거나, 커넥터들(3, 5)이 서로로부터 각각 맞물림 해제(탈착)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커넥터 록부들(31, 37)은 각각 제공되어 커넥터들(3, 5)이 진동에 의해 느슨해지는 것을 방지한다.
서로 각각 연결된(서로 완전하게 연결된) 커넥터들(3, 5)이 서로 탈착되는 경우, 커넥터들(3, 5)이 서로 연결되는 경우와 유사하게 큰 힘이 필요하기 때문에, 커넥터용 지그(9)가 요구된다. 완전하게 연결된 상태에서, 암형 커넥터(5)의 제2 단자(11)는 커넥터 록부들(31, 37)에 의해 제1 단자들(수형 커넥터(3)의 단자들)로부터 탈착되는 것이 방지되기 때문에, 서로 완전하게 연결된 커넥터들(3, 5)은 커넥터용 지그(9)를 이용함으로써 서로 분리될 수 없다. 서로 완전하게 연결된 커넥터들(3, 5)이 서로 탈착할 때, 외력은 암형 커넥터(5)의 제2 커넥터 록부(37)에 별도로 인가되어 제2 커넥터 록부(37)를 탄성적으로 변경시킨다. 따라서, 제2 커넥터 록부(37)는 제1 커넥터 록부(31)로부터 맞물림 해제된다. 그런 다음, 암형 커넥터(5)는 커넥터용 지그(9)에 의해 수형 커넥터(3)로부터 인출되도록 요구된다.
커넥터(7)에서, 수형 커넥터(3)의 제1 커넥터 록부(31)가 암형 커넥터(5)의 제2 커넥터 록부(37)의 위치에서 탄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다.
수형 커넥터(3)의 관부(29)의 중심부에 대하여 서로 대칭으로 돌출하도록 제공되는 제1 돌출부(43)(제1 맞물림부(15)) 및 암형 커넥터(5)의 제2 돌출부(47)(제2 접촉부(19), 제2 맞물림부(27))가 이하 설명될 것이다.
예를 들어, 복수의 제1 돌출부(43)가 제공된다. 수형 커넥터(3)과 암형 커넥터(5)가 서로 일시적으로 또는 서로 완전히 연결되는 경우, 커넥터들(3, 5)의 높이 방향(탈부착 방향)으로부터 수형 커넥터(3)와 암형 커넥터(5)를 각각 보는 경우, 암형 커넥터(5)의 제2 돌출부(47)는 복수의 제1 돌출부를 내접시키는 다각형 또는 복수의 제1 돌출부(43)를 내접시키는 등고선(복수의 제1 돌출부(43)를 둘러싸는 등고선)(예를 들어, 중심의 위치)의 내측 위치한다.
특히,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세 개의 제1 돌출부(43)가 제공된다(돌출부들(43A, 43B, 43C)). 제1 돌출부(43A, 43B, 43C) 각각에 의해 내접된 다각형은 직사각형 형상(포인트들(P1, P2, P3))을 서로 연결한 직사각형 형상)이다. 제2 커넥터의 제2 돌출부(47)는 직사각형의 대각선들의 교차점에 위치한다.
그런 다음, 커넥터용 지그(9)를 이용하여 커넥터들(3, 5)를 서로 완전하게 연결하기 위하여, 커넥터용 지그(9)의 복수의 맞물림 부재(53)의 맞물림부(13)가 복수의 제1 돌출부(43)와 각각 맞물리며, 커넥터용 지그(9)의 이동 부재(예를 들어, 볼트)(55)에 배열된 압입 부재(57)는 제2 돌출부(47)와 맞물린다. 따라서, 커넥터들(3, 5)이 서로 완전히 연결되는 경우, 모멘트(횡방향으로 연장하는 축 상에서의 각(angular) 모멘트 및 종방향으로 연장하는 축 상에서의 각 모멘트)는 암형 커넥터(5)에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암형 커넥터(5)는 수형 커넥터(3)에 대하여 매끄럽게 이동한다(암형 커넥터(5)가 수형 커넥터(3)에 매끄럽게 감합된다).
또한, 커넥터용 지그(9)를 이용하여 커넥터들(3, 5)을 서로 탈착시키기 위하여, 커넥터용 지그(9)의 지그 본체부(59)에 제공된 복수의 접촉부(21)는 복수의 제1 돌출부(43)의 상부면들(단부 면들(45))에 각각 인접할 수 있으며, 커넥터용 지그(9)의 볼트(55)에 배열된 인출 부재(61)는 제2 돌출부(47)와 맞물린다. 따라서, 커넥터들(3, 5)이 서로 탈착되는 경우, 암형 커넥터(5)가 수형 커넥터(3)로부터 자연스럽게 탈착될 수 있도록, 모멘트는 암형 커넥터(5)에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이하, 커넥터용 지그(9)가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커넥터용 지그(9)는 서로 분리된 수형 커넥터(3) 및 암형 커넥터(5)가 서로 연결되거나, 서로 연결된 수형 커넥터(3) 및 암형 커넥터(5)가 서로 탈착될 때 사용되는 지그이다. 커넥터용 지그(9)는 지그 본체부(59), 한 쌍의 맞물림 부재(53)(제1 맞물림 부재(53A, 53B)) 및 이동 부재(예를 들어, 볼트)(55)를 포함한다.
지그 본체부(59)에는, 기설정된 절단부(63) 및 수형 커넥터(3)의 제1 접촉부들(23)(단부 면들(45)) 상에 인접하는 접촉부들(21)이 제공된다.
맞물림 부재(53)는 기설정된 절단부(65) 및 수형 커넥터(3)의 맞물림부(제1 맞물림부)(15)와 맞물리는 맞물림부(13)를 포함한다. 또한, 맞물림 부재(53)는 자유롭게 회전되도록 지그 본체부(49)에 의해 지지된다. 맞물림 부재(53)가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지지되기 때문에, 커넥터용 지그(9)가 커넥터들(3, 5)에 각각 배열될 때, 맞물림 부재(53)의 맞물림부(13)는 수형 커넥터(3)의 제1 맞물림부(15) 상에 인접하며, 맞물림 부재(53)는 회전한다(도 12 또는 13 참조). 따라서, 커넥터용 지그(9)는 커넥터들(3, 5) 상에 각각 용이하게 배열된다.
볼트(55)는 암혐 커넥터(5)의 제2 접촉부(19) 상에 인접하는 압입 부재(압입부(17)를 갖는 압입 부재)를 지지하거나, 암형 커넥터(5)의 제2 맞물림부들(27)과 맞물리는 인출 부재(인출부(25)를 갖는 인출 부재)를 지지한다. 또한, 볼트(55)는 지그 본체부(59)와 맞물려(예를 들어, 나사 결합) 기설정된 방향(높이 방향)으로 이동된다. 또한, 압입 부재(57) 또는 인출 부재(61)는 볼트(55)에 용이하게 탈착가능하게 부착된다.
서로 탈착된 수형 커넥터(3) 및 암형 커넥터(5)가 서로 연결되는 경우, 압입 부재(57)는 볼트에 의해 초기에 지지된다. 그런 다음, 수형 커넥터(3)가 암형 커넥터(5)에 일시적으로 연결된 상태 하에서, 맞물림 부재(53)의 맞물림부(13)는 수형 커넥터(3)의 제1 맞물림부(15)와 맞물린다. 그런 다음, 볼트(55)는, 수형 커넥터(3)로 암형 커넥터(5)를 푸싱하기 위한 방향(밀어넣는 방향)으로 회전 및 이동하여, 압입 부재(57)의 압입부(17)를 암형 커넥터(5)의 제2 접촉부(19) 상에 접촉시킨다. 따라서, 암형 커넥터(5)는 볼트(55)를 이동시킴으로써 커넥터(3) 측 쪽으로 푸시된다.
반면에, 서로 연결된 수형 커넥터(3) 및 암형 커넥터(5)가 서로 탈착될 때, 인출 부재(61)는 볼트(55)에 의해 먼저 지지된다. 그런 다음, 지그 본체부(59)의 접촉부(21)는 수형 커넥터(3)의 제1 접촉부(23)(단부 면들(45)) 상에 접촉하여 인출 부재(61)의 인출부(25)를 암형 커넥터(5)의 제2 맞물림부(27)와 맞물리게 한다. 실질적으로, 외력이 암형 커넥터(5)의 제2 커넥터 록부(37)에 인가되어 제2 커넥터 록부(37)를 수형 커넥터(3)의 제1 커넥터 록부(31)로부터 맞물림 해제시킨다. 그런 다음, 암형 커넥터(5)는 수형 커넥터로부터 인출되어 볼트(55)를 이동시킴으로써 수형 커넥터로부터 탈착된다. 그런 다음, 암형 커넥터(5)는 수형 커넥터(3)로부터 분리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수형 커넥터(3)에는 제1 커넥터 록부(31)가 제공된다. 암형 커넥터(5)에는 제2 커넥터 록부(37)가 제공된다. 절단부들(63, 65)이 지그 본체부(59) 및 맞물림 부재(53)에 제공되기 때문에, 서로 연결된 수형 커넥터(3) 및 암형 커넥터(5)가 서로 탈착되는 경우, 기설정된 외력이 제2 커넥터 록부(27)에 인가될 수 있다. 다시 말해, 힘이 지그 본체부(59)의 절단부(63) 및 맞물림 부재(53)의 절단부(65)를 통해 손가락에 의해 또는 도구를 이용하여 제2 커넥터 록부(37)(도 18에서 화살표 AR 참조)에 직접적으로 인가되어 제2 커넥터 록부(37)를 탄성적으로 변형시킨다. 따라서, 수형 커넥터(3)로부터 암형 커넥터(5)의 탈착을 방지하기 위한 기능이 해제된다.
이하, 커넥터(7)(수형 커넥터(3) 및 암형 커넥터(5)) 및 커넥터용 지그(9)가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 3은 수형 커넥터(3) 및 암형 커넥터(5)의 개략적인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에서, 수형 커넥터(3) 및 암형 커넥터(5)는 서로 탈착된다. 도 1 및 3을 참조하면, 수형 커넥터(3), 암형 커넥터(5) 및 커넥터용 지그(9)는 커넥터(7)의 중심 또는 커넥터용 지그(9)를 통과하며, 횡방향에 수직하는 평면들(높이 방향으로 그리고 종방향으로 연장하는 평면들)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대칭되게 형성된다. 또한, 수형 커넥터(3), 암형 커넥터(5) 및 커넥터용 지그(9)는 커넥터(7)의 중심 또는 커넥터용 지그(9)를 통과하며, 종방향에 수직하는 평면들(높이 방향으로 그리고 횡방향으로 연장하는 평면들)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대칭되게 형성된다.
먼저, 수형 커넥터(3)가 설명될 것이다. 수형 커넥터(3)의 제1 커넥터 본체부(41)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1 커넥터 본체부(41)의 상부면 상에는 복수의 제1 단자(미도시)가 상방향으로 돌출되게 제공된다. 단자는 횡방향 및 종방향으로 기설정된 간격에 매트릭스 형상으로 각각 배열된다. 또한, 관부(29)는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1 커넥터 본체부(41)의 상부면으로부터 돌출한다. 관부(29)의 측면들은 제1 커넥터 본체부(41)의 측면들의 연장부에 제공된다. 즉, 도 1 및 3에서 수형 커넥터(3)를 높이 방향에서 보는 경우, 수형 커넥터(3)(제1 커넥터 본체부(41) 및 관부(29))의 외형은 직사각형이다.
제1 커넥터 본체부(41)로부터 관부(29)의 연장된 높이는 수형 커넥터(3)의 제1 단자의 연장된 높이보다 크다. 따라서, 수형 커넥터(3)를 횡방향 측면에서 보는 경우, 수형 커넥터(3)의 제1 단자는 관부(29)에 감춰진다.
제1 맞물림부(15)를 형성하는 제1 돌출부(43)에 따라, 세 개의 돌출부들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공된다. 돌출부들(43A, 43B, 43C)은 직사각형 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길이 방향(종방향)으로 돌출부(43A)의 크기는 종방향으로 관부(29)의 크기보다 작다. 높이 방향(두께 방향)으로 돌출부(43A)의 크기는 종방향으로 관부(29)의 크기보다 매우 작거나, 관부(29)의 두께와 동일하거나, 관부(29)의 두께보다 약간 크다. 횡방향(폭 방향)으로 돌출부(43A)의 크기는 두께 방향으로 돌출부(43A)의 크기와 동일하거나, 폭 방향으로 돌출부(43A)의 크기보다 약간 크다.
돌출부(43A)의 길이 방향은 관부(29)의 길이 방향에 해당한다. 돌출부(43A)의 두께 방향은 관부(29)의 높이 방향에 해당한다. 돌출부(43A)의 폭 방향은 관부(29)의 횡방향에 해당한다. 또한, 돌출부(43A)는 종방향으로 관부(29)의 중간부에서 그리고 관부(29)의 상단부에서 횡방향으로 관부(29)의 측면으로부터 돌출하며, 관부(29)와 일체로 제공된다. 두께 방향으로 돌출부(43A)의 일면(상부면(45)) 및 관부(29)의 상부면은 일 평면(높이 방향에 수직하는 평면) 상에 위치된다. 또한, 돌출부(43A)의 상부면(45)에는 제1 접촉부(23)가 형성된다.
둘출부(43B) 및 돌출부(43C)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다. 두께 방향으로 그리고 폭 방향으로 돌출부(43B)의 크기는 실질적으로 돌출부(43A)와 동일한 크기를 갖는다. 반면에, 종방향으로 돌출부(43B)의 크기는 종방향으로 돌출부(23A)의 크기보다 작다. 또한, 종방향으로 돌출부(43B)의 크기 및 종방향으로 돌출부(43C)의 크기의 합은 종방향으로 돌출부(43A)의 크기보다 작다.
돌출부들(43B, 43C)은 횡방향으로 관부(29)의 다른 측면으로부터 돌출하며, 돌출부(43A)와 같이, 관부(29)와 일체로 제공된다. 더 설명하면, 돌출부들(43B, 43C)은 관부(29)의 관부(29)의 종방향으로 기설정된 간격들(절단부(69)에 의해 서로 이격된)에 각각 제공된다. 또한, 만일 공간이 돌출부들(43B, 43C) 사이에 각각 제공되지 않고, 돌출부들(43B, 43C)이 상기 돌출부(43C)와 같이 서로 연결된다면, 가상의 연결된 돌출부는 상기 돌출부(42A)와 동일한 형상을 갖는다.
제1 커넥터 록부(31)는 관부(29)와 일체로 형성된 돌출부(67)와 형성된다(예를 들어, 도 17의 XVIII 부분의 확대된 도면으로서 도 18 참조). 돌출부(67)는 관부의 판형상의 일 측벽(돌출부(43B, 43C) 각각을 포함하는 측벽) 상에 일체로 형성된다. 돌출부(67)는 관부(29)(암형 커넥터(5))의 종방향 중심부(돌출부들(43B, 43C) 사이) 및 높이 방향으로 관부(29)의 단부 주변(절단부(69)가 제공된 관부(29)의 일부분에서 상단부)에 제공된다. 또한, 돌출부(67)는 관부(29)의 내측(중심으로)으로 돌출하여 관부(29)의 내벽을 형성한다.
제1 커넥터 임시 맞물림부(33)는 관부(29)를 구비한다(예를 들어, 도 7의 IX-IX 라인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를 보여주는 도 9a의 IX 부분의 확대된 도면으로서 도 9b 참조). 돌출부(71)는 관부(29)의 판형상으로 된 측벽들(수형 커넥터(3)의 종방향으로 양 단부들에 위치된 한 쌍의 측벽들)에 각각 제공된다. 또한, 돌출부(71)는 관부(29)의 종방향으로 관부(29)의 하측(제1 커넥터 본체부(41) 측) 및 관부(29)의 횡방향으로 관부(29)의 중심부에 제공된다. 또한, 돌출부(71)는 관부(29)의 내벽으로부터 관부(29)의 내측(중심으로)으로 돌출한다.
돌출부(71)의 후측(외측)의 관부(29)의 일부분에는, 함몰부(73)가 제공된다. 따라서, 제1 커넥터 임시 맞물림부(33)가 제2 커넥터 임시 맞물림부(39)와 맞물리는 경우, 제1 커넥터 임시 맞물림부(33)는 용이하게 탄성적으로 변형된다.
이하, 암형 커넥터(5)가 설명될 것이다.
암형 커넥터(5)의 제2 커넥터 본체부(35)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복수의 제2 단자(11)는 상측으로 함몰되게 바닥면(하면)에 제공된다. 제2 단자(11)는 수형 커넥터(3)의 제1 단자들에 상응하게 횡방향 및 종방향으로 기설정된 간격에 매트릭스 형상으로 각각 배열된다. 종방향으로 제2 커넥터 본체부(35)의 크기는 관부(29)의 종방향으로 내면들(내벽들) 간의 치수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횡방향으로 제2 커넥터 본체부(35)의 크기는 관부(29)의 횡방향으로 내면들(내벽들) 간의 치수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높이 방향으로 제2 커넥터 본체부(35)의 크기는 높이 방향으로 관부(29)의 치수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암형 커넥터(5)의 제2 커넥터 록부(37)는 신축성을 갖는 로드 형상부(75)를 포함한다. 로드 형상부(75)의 종방향의 중간부(예를 들어, 단부측)에 제공된 돌출된 부분(돌출부)(77)는 제1 커넥터 록부(31)를 형성하는 돌출부(67)와 맞물려 완전히 연결된 커넥터(7)(수형 커넥터(3) 및 암형 커넥터(5))의 탈착을 방지한다.
로드 형상부(75)는 일체형 몰딩(integral molding)에 의해 제2 커넥터 본체부(35)에 제공된다. 로드 형상부(75)의 베이스 단부는 제2 커넥터 본체부(35)에 연결되며, 로드 형상부(75)의 종방향은 제2 커넥터 본체부(35)(암형 커넥터(5))의 높이 방향에 해당한다. 로드 형상부(75)는 제2 커넥터 본체부(35)로부터 약간 이격되며, 제2 커넥터 본체부(35)의 하부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된다. 또한, 로드 형상부(75)의 베이스 단부는 종방향으로 제2 커넥터 본체부(35)의 중심부, 높이 방향으로 제2 커넥터 본체부(35)의 하측, 및 횡방향으로 제2 커넥터 본체부(35)의 횡방향 일 평면에 위치한다.
수형 커넥터(3) 및 암형 커넥터(5)를 서로 연결하는 과정(course)에는, 로드 형상부(75) 및 제2 커넥터 본체부(35) 사이의 공간을 감소시키도록 로드 형상부(75)가 탄성적으로 변형되고, 밴딩되도록(bent)(도 18에서 화살표 A8로 도시된 방향) 로드 형상부(75)(예를 들어, 돌출부(75))가 제1 커넥터 록부(31) 상에 접한다. 또한, 수형 커넥터(3) 및 암형 커넥터(5)의 연결이 완벽한 경우, 로드 형상부(75)는 복원된다(도 18의 화살표 A9로 도시된 방향으로 복원). 따라서, 로드 형상부(75)의 돌출부(77)는 돌출부(77)가 돌출부(67) 상에 접하도록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형 커넥터(3)의 관부(29)에 제공된 하측에 위치하며, 암형 커넥터(5)는 수형 커넥터(3)로부터 미끄러지지 않는다(각각의 커넥터들(3, 5)의 탈착이 방지된다). 또한, 커넥터들(3, 5)이 서로 완전히 연결된 상태 하에서, 외력(도 18에서 화살표 AR로 도시된 힘)이 로드 형상부(75)의 단부에 인가되면, 로드 형상부(75)(돌출부(77))는 암형 커넥터(5)의 돌출부(67)로부터 맞물림 해제되어, 커넥터들(3, 5)의 탈착 방지를 해제한다(돌출부들(3, 5)이 서로로부터 각각 탈착될 수 있다).
암형 커넥터(5)의 제2 커넥터 임시 맞물림부(39)는 암형 커넥터(5)의 높이 방향으로 서로 인접한 두 개의 돌출부(79)를 갖도록 형성된다(도 9b 참조). 돌출부들(79)은 긴 그루브(81)의 바닥부로부터 돌출한다. 그루브(81)는 암형 커넥터(5)의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제2 커넥터 본체부(35)의 측면(종방향으로 단부들에 위치된 측면들)에 제공된다. 돌출부(79)의 높이는 그루브(81)의 깊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그루브(81)의 깊이는 제1 커넥터 임시 맞물림부(33)를 형성하는 돌출부(71)의 높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그루브(81)의 폭(도 9b의 시트 면에 수직하는 방향으로의 크기)은 돌출부들(71, 79)의 폭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암형 커넥터(5)가 수형 커넥터(3)에 연결되는 경우, 상술한 리브(49) 및 그루브(51)의 위치에서 또는 리브(49) 및 그루브(51)의 맞물림에 부가하여 탈부착 방향(높이 방향)으로 암형 커넥터(5)가 수 커넥터(3)로 가이드되고 이동되도록, 돌출부(71)는 슬라이딩 쌍들을 형성함으로써 그루브(81)와 맞물린다.
또한,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암형 커넥터(5)가 수형 커넥터(3)에 일시적으로 연결되는 경우, 제1 커넥터 임시 맞물림부(33)를 형성하는 돌출부(71)는 암형 커넥터(5) 및 수형 커넥터(3)의 일시적으로 연결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서로 인접한 두 돌출부(79) 사이로 들어간다.
암형 커넥터(5) 및 수형 커넥터(3)에는, 그루브가(81)가 제2 커넥터 본체부(35)뿐만 아니라, 수형 커넥터(3)의 관부(29)에 제공될 수 있다. 한 쌍의 커넥터 임시 맞물림부(33, 39) 각각에는, 복수의 돌출부(71)가 두 개로 설정될 수 있고, 돌출부(79)의 수는 하나로 설정될 수 있으며, 일시적인 연결 상태 하에서, 돌출부(79)는 두 개의 돌출부(71) 사이에 삽입될 수 있다.
암형 커넥터(5)의 제2 돌출부(47)는 스탠딩부(standing part)(83) 및 제2 커넥터 본체부(35)와 일체로 형성되는 한 쌍의 돌출부(85)를 포함한다. 스탠딩부(83)는 사각 막대와 같은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2 접촉부(19)를 형성한다. 커넥터용 지그(9)의 압입부(17)는 스탠딩부(83)의 상부면에 접한다. 또한, 스탠딩부(83)는 제2 커넥터 본체부(35)의 중심부에서 제2 커넥터 본체부(35)의 상부면으로부터 돌출한다.
돌출부(85)는 원통 형상들과 같은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2 맞물림부(27)를 형성한다. 또한, 돌출부들(85)은 그들의 높이 방향(축의 연장 방향)이 제2 커넥터 본체부(35)의 횡방향에 해당하는 것과 같은 방법으로 스탱딩부(83)에 제공된다. 따라서, 제2 돌출부(47)는 "크로스(cross)" 형상으로 형성된다. 서로 일시적으로 연결된 수형 커넥터(3) 및 암형 커넥터(5)가 서로 탈착되도록 요구되지 않는 경우, 돌출부(85)는 제거될 수 있다.
이하, 커넥터용 지그(9)가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커넥터용 지그(9)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맞물림 부재(53)를 압박하여 기설정된 방향(상술한 지그 본체부(59)뿐만 아니라 중심으로서 C1 및 C2 축들 상에서 A1 및 A2 화살표들로 도시된 방향들)으로 회전시키는 압박(urging) 부재(예를 들어, 압축 코일 스프링들), 볼트(55), 한 쌍의 맞물림 부재들(53), 압입 부재(57) 및 인출 부재(61)를 포함한다.
지그 본체부(59)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지그 본체부(59)의 개략적인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직사각 평판 형상의 베이스부(89), 제1 직사각 평판 형상의 측부(91) 및 제1 측부(91)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예를 들어, 금속으로 형성된 제2 측부(93)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형성된 지그 본체부(59)를 높이 방향에서 보는 경우, 지그 본체부(59)는 베이스부(89)의 형상인 직사각형 형상을 가진다. 또한, 지그 본체부(59)를 종방향에서 보는 경우, 지그 본체부(59)는 "U"자 형상을 가지며, 특히, 지그 본체부(59)의 측부들(91, 93)의 긴 직사각형 및 평면 단부면들(베이스부(89)에 반대측 면들)은 수형 커넥터(3)의 제1 접촉부(23) 상에 인접하는 접촉부(21)를 각각 형성한다.
베이스부(89)의 중심부에는, 이동 부재(55)가 맞물리는 이동 부재 맞물림부(95)가 제공된다. 이동 부재 맞물림부(95)는 베이스부(89)의 높이 방향(지그 본체부(59)의 높이 방향)으로 관통하는 내부 나사산에 의해 형성된다. 볼트(55)의 나사부(지그 본체부의 맞물림부)는 내부 나사산(95)에 나사 결합된다. 내부 나사산(95)에 나사 결합되는 볼트(55)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55)의 헤드부가 지그 본체부(59)(커넥터용 지그(9)의 높이 방향으로 측부들(91, 93) 각각에 반대하는 측에 위치된다. 볼트(55)의 외부 나사산의 단부측은 각각 측부들(91, 93)에 인접하게 위치한다. 볼트(55)의 외부 나사산의 단부측은 횡방향으로 측부들(91, 93) 사이에 위치한다. 또한, 볼트(55)는 볼트(55)를 회전시킴으로써 추력(thrust)을 얻어 지그 본체부(59)의 높이 방향으로 지그 본체부(59)에 대하여 이동한다.
또한, 지그 본체부(59)의 제1 측부(91)에는, 절단부(63) 및 한 쌍의 제1 맞물림 부재 지지부(97)가 제공된다. 절단부(63)는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며, 지그 본체부(59)의 높이 방향으로 제1 측부(91)의 단부(하부) 및 지그 본체부(59)의 종방향으로 제1 측부(91)의 중간부에 제공된다.
한 쌍의 맞물림 부재 지지부(97) 중 하나의 맞물림 부재 지지부(97)는 중심부에 원형 관통홀(99)을 갖는 소형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판의 두께 방향 및 관통(99)의 관통 방향이 지그 본체부(59)의 종방향에 해당하도록 제1 측부(91)와 일체로 제공된다.
또한, 한 쌍의 맞물림 부재 지지부(97) 중 하나의 맞물림 부재 지지부(97)는 지그 본체부(59)의 횡방향으로 제1 측부(91)로부터 외측(제2 측부(93)로부터 분리하는 측으로)으로 돌출하며, 지그 본체부(59)의 높이 방향으로 제1 측부(91)의 중간부에 위치하고, 지그 본체부(59)의 종방향으로 제1 측부(91)의 일측에 위치한다.
한 쌍의 맞물림 부재 지지부(97) 중 다른 하나의 맞물림 부재 지지부(97)는 제1 측부(91)의 중심을 지나는 평면(제1 측부(91)의 중심을 지나며 지그 본체부(59)의 종방향에 수직하는 평면)에 대하여 하나의 맞물림 부재 지지부(97)와 대칭적으로 제공된다.
지그 본체부(59)의 제2 측부(93), 절단부(63) 및 제2 측부(93)에 제공되는 한 쌍의 맞물림 부재 지지부(97)는 지그 본체부(59)의 중심을 지나는 평면(지그 본체부(59)의 중심을 지나고 지그 본체부(59)의 횡방향에 수직하는 평면)에 대하여 제1 측부(91), 절단부(63) 또는 맞물림 부재 지지부(97)와 대칭적으로 제공된다.
볼트(55)의 단부(육각형 막대 형상의 헤드부에 반대하는 부분)에는,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형상의 홈(수축부)(101)이 제공된다. 수축부가 제공된 부분은 압입 부재(57) 또는 인출 부재(61)와 맞물리며, 그들을 지지하는 제2 맞물림 부재 지지부(103)를 형성한다.
한 쌍의 맞물림 부재들(53(53A, 53B))은, 예를 들어, 금속으로 형성되며, 측부들(91, 93) 각각의 경우에 있어서 커넥터용 지그(9)의 중심을 지나고 횡방향에 수직하는 평면에 대하여 대칭적으로 제공된다. 맞물림 부재들(53A, 53B)이 동일한 형상으로 각각 형성되기 때문에, 여기서는 하나의 맞물림 부재(53A)의 형상이 설명될 것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맞물림 부재(53A)는 기설정된 두께를 갖는 실질적인 직사각형 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맞물림 부재(53A)에는, 절단부(65), 수형 커넥터(3)의 제1 돌출부(43)와 맞물리는 맞물림부(13) 및 지그 본체부(59)의 맞물림 부재 지지부(97)와 맞물리는 한 쌍의 지지부(105)가 제공된다.
절단부(65)는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며, 맞물림 부재(53A)의 높이 방향으로 맞물림 부재(53A)의 단부(하부) 및 맞물림 부재(53A)의 종방향으로 맞물림 부재(53A)의 중간부에 제공된다.
맞물림부(13)는 경사면(106)을 갖는 돌출부를 구비하도록 형성된다. 돌출부들은 맞물림부(53A)의 높이 방향 및 절단부(65)가 맞물림부(53A)의 종방향으로 제공된 부분을 제외한 전체 길이 전반에서 맞물림부(53A)의 단부(하부)에 제공되며, 맞물림 부재(53A)의 횡방향(두께 방향)으로 일 단부면(맞물림 부재(53A)가 지그 본체부(59)에 설치되는 경우, 제1 측부(91)에 인접한 표면)으로부터 돌출한다.
한 쌍의 지지부(105) 중 하나의 지지부(105)는 지그 본체부(59)의 맞물림 부재 지지부(97)에 제공된 관통 홀(99)의 내경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외경을 갖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런 다음, 하나의 지지부(105)는 높이 방향 및 맞물림 부재(53A)의 횡방향(두께 방향)으로 맞물림 부재(53A)의 중간부에 제공되며, 맞물림 부재(53A)의 종방향으로 일 단부면으로부터 돌출한다. 한 쌍의 지지부(105) 중 다른 지지부(105)는 맞물림 부재(53A)의 중심면(맞물림 부재(53A)의 중심을 지나며, 맞물림 부재(53A)의 종방향에 수직하는 평면)에 대하여 상기 일 지지부(105)와 대칭적으로 제공된다.
직사각형 지그 본체부(59)의 종방향 크기는 지그 본체부(59)의 제1 측부(91)(제2 측부(93))에 제공된 맞물림 부재 지지부(97) 사이의 크기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또한, 맞물림 부재(53A)에는, 경사면부(107)가 제공된다. 경사면부(107)는 지지 부재(53A)의 상단측 및 지지부들(13)이 제공된 일측에 제공된다. 경사면부(107)가 제공된 부분에는, 맞물림 부재(53A)의 두께가 그들의 상단부로 쪽으로 갈수록, 맞물림 부재(53A)의 두께는 작아진다.
그런 다음, 맞물림 부재(53)의 지지부(105)가 지그 본체부(59)의 맞물림 부재 지지부(97)에 감합되도록 하여 제1 측부(91)에 하나의 맞물림 부재(53A)를 배열하고, 제2 측부에 다른 맞물림 부재(53B)를 배열하는 경우, 한 쌍의 맞물림 부재(53)는,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그 본체부(59)의 횡방향으로 지그 본체부(59)의 외측에 위치한다. 이때, 한 쌍의 맞물림부(13)는 지그 본체부(59) 아래에 위치하고, 지그 본체부(59) 내측으로 돌출한다.
또한, 맞물림 부재(53)가 압축 코일 스프링(87)에 의해 압박되기 때문에, 일반적인 상태(도 2에 도시된 상태; 임의의 외력이 커넥터용 지그(9)에 인가된 상태) 하에서, 맞물림 부재(53)의 두께 방향들은 측부들(91, 93)의 두께 방향에 해당한다. 또한, 일반적인 상태에서, 한 쌍의 맞물림부(13)의 단부들 사이의 거리(L1)는 횡방향으로 수형 커넥터(3)의 관부(29)의 외형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크기를 갖는다. 반면에, 한 쌍의 맞물림부(13)의 베이스 단부들 사이의 거리(L3)는 수형 커넥터(3)의 제1 돌출부(43A)와 제1 돌출부(43B) (43C)의 사이의 거리 L4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도 2와 더불어 도3 참조).
커넥터용 지그(9)가 각각 일시적으로 배열된 커넥터들(3, 5) 상에 설치되는 경우, 한 쌍의 맞물림 부재(53)는 커넥터용 지그(9)가 용이하게 설치되도록 도 2의 화살표 A1 및 A2(도 13 참조)에 의해 도시된 방향으로 회전한다. 다시 말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맞물림 부재(53)의 경사면(106)은 맞물림 부재들(53A, 53B)이 각각 "∧" 형상을 가져서 맞물림부(13) 사이의 거리를 증가시키도록 수형 커넥터(3)의 제1 돌출부(43) 상에 인접한다. 따라서, 커넥터용 지그(9)는 각각 일시적으로 배열된 커넥터들(3, 5) 상에 각각 용이하게 설치된다. 또한, 맞물림 부재들(53A, 53B)의 경사면부(107)는 맞물림 부재들(53A, 53B)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회전되는 경우, 맞물림 부재들(53A, 53B)이 지그 본체부(59)와 간섭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각각 제공된다.
압입 부재(57)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사각형 측정부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측정부의 개구부에 인접한 일 측벽부에는, "U"자 형상의 절단부(109)가 형성된다. 절단부(109)의 일부는 압입 부재(57)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55)에 탈착가능하게 부착되도록 볼트(55)의 수축부(101)와 맞물린다. 측정부 형상의 압입 부재(57)의 다른 측벽부("U"자 형상의 절단부(109)를 갖는 상기 측벽부에 반대측 측벽부)는 암형 커넥터(5)의 제2 접촉부(19)에 인접하는 압입부(17)를 형성한다.
이하, 인출 부재(61)가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 19은 인출 부재(61)의 개략적인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0 및 21은 인출 부재(61)의 정면도이다. 도 20은 인출 부재(61)가 볼트(55)에 부착되고, 제2 커넥터(5)가 인출되도록 인출 부재(61)의 인출부(25)가 제2 커넥터(5)의 맞물림부(27)와 맞물린 상태를 보여준다. 도 21a는 인출부(25)가 제2 커넥터(5)의 맞물림부(27)와 맞물리기 전, 인출 부재(61)가 볼트(55)에 배열된 상태를 보여준다. 도 21b는 제2 커넥터(5)의 맞물림부(27)와 인출 부재(61)의 인출부(25)가 맞물리는 과정에서 인출 부재(61)가 볼트(55)에 배열된 상태를 보여준다.
인출 부재(61)는 베이스 부재(111), 멈춤쇠(pawl) 부재(13) 및 압박 부재(예를 들어, 압축 코일 스프링)(115)를 포함한다. 베이스 부재(111)에는, 절단부(117)가 제공된다. 절단부(117)의 일부는 인출 부재(61)이 볼트(56)에 탈착가능하게 부착되도록 볼트(55)의 수축부(101)와 맞물린다.
멈춤쇠 부재(113)는 베이스 부재(111)에 제공되어 도 20에 도시된 상태(일반적인 상태)로부터 도 20에 도시된 회전 중심으로서 C3 축 상에 화살표 A10에 의해 도시된 방향으로 회전된다. 또한, 경사면들(119, 121)은 멈춤쇠 부재(113) 상에 제공된다. 경사면(119)는 인출부(25)를 형성하는 경사면이다. 경사면(121)은 멈춤쇠 부재(113)가 제2 커넥터(5)의 맞물림부(27)(돌출부(85))와 맞물리는 경우, 압축 코일 스프링(115)의 압박 힘에 대항하여 멈춤쇠 부재(113)(인출부(25))를 회전시키기 위한 경사면이다(도 21b 참조).
도 20 또는 도 21a 및 도 21b에서, 단지 하나의 멈춤쇠 부재(113)이 제공되지만, 그러나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인출 부재의 변형된 예를 보여주는 도면), 한 쌍의 멈춤쇠 부재들(113A, 113B)가 베이스 부재(111)에 제공될 수 있으며, 한 쌍의 멈춤쇠 부재들(113A, 113B)는 암형 커넥터(5)의 제2 맞물림부(27)(돌출부들(85))와 맞물릴 수 있다. 이 경우, 하나의 멈춤쇠 부재(113A)는 일반적인 상태로부터 화살표 A13에 의해 도시된 방향의 회전 중심으로서 축 C5 상에서 회전한다. 다른 멈춤쇠 부재(113B)는 일반적인 상태로부터 화살표 A12에 의해 도시된 방향의 회전 중심으로서 축 C4 상에서 회전한다.
커넥터용 지그(9)에는, 압입 부재(57) 또는 인출 부재(61)가 볼트에 탈착가능하게 부착되며, 압입 부재(57) 또는 인출 부재(61) 중 하나는 볼트(55)에 부착된다. 그러나, 볼트(55)는 압입 부재(57)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볼트(55)는 인출 부재(61)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암형 커넥터(5)가 수형 커넥터(3) 내부로 푸시될 때, 도 5에 도시된 압입 부재(57)는 이용되지 않고, 볼트(55)는 암형 커넥터(5)의 제2 접촉부(19) 상에 직접적으로 접촉될 수 있다.
이하, 서로 분리된 수형 커넥터(3) 및 암형 커넥터(5)가 서로 연결될 때의 동작을 도 7 내지 18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7은 일시적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수형 커넥터(3) 및 암형 커넥터(5)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VIII-VIII 라인을 따라 절개한 도면이다. 도 9a는 도 7의 IX-IX 라인을 따라 절개한 도면이다. 도 9b는 도 9a의 IX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10 및 도 11은 커넥터용 지그(9)가 일시적으로 연결된 수형 커넥터(3) 및 암형 커넥터(5) 상에 배치되기 전의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 및 도 13은 커넥터용 지그(9)가 일시적으로 연결된 수형 커넥터(3) 및 암형 커넥터(5) 상에 배치되는 동안의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4 및 도 15은 커넥터용 지그(9)가 일시적으로 연결된 수형 커넥터(3) 및 암형 커넥터(5) 상에 완벽하게 배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6 및 도 17은 수형 커넥터(3)가 커넥터용 지그(9)에 의해 암형 커넥터(5)에 완전히 연결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8은 도 17의 XVIII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먼저, 연결 동작을 수행하는 조작자는, 도 3의 화살표 A3로 도시된 방향으로, 예를 들어, 맨손으로 암형 커넥터(5)를 이동시켜 수형 커넥터(3)를 암형 커넥터(5)에 일시적으로 연결시킨다(도 7 내지 도 9 참조).
실질적으로, 도 10 내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입 부재(57)가 부착된 커넥터용 지그(9)는 서로 일시적으로 연결된 수형 커넥터(3) 및 암형 커넥터(5) 상에 배열된다. 다시 말해, 도 10에 도시되 바와 같이, 커넥터용 지그(9)는 수형 커넥터(3) 및 암형 커넥터(5) 상측의 위치에 배치되며, 커넥터용 지그(9)는 도 10 및 11의 화살표 A4로 도시된 방향(하방)으로 이동된다. 이러한 이동에 따르면, 맞물림 부재(53)의 경사면(106)은 맞물림 부재(53)가 회전되어 한 쌍의 맞물림부(13) 사이의 공간을 넓히도록 수형 커넥터(3)의 제1 돌출부(43)에 접한다(도 12 및 도 13 참조). 커넥터용 지그(9)는 도 12 또는 도 13에 도시된 상태로부터 화살표 A5로 도시된 방향(하방)으로 더 이동한다.
이러한 이동에 따르면, 맞물림 부재(53)의 경사면(106)이 수형 커넥터(3)의 제1 돌출부(43)로부터 맞물림 해제되며, 맞물림 부재(53)가 압축 코일 스프링(87)의 힘을 압박함으로써 원래의 회전 각도(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위치들)로 회복된다. 따라서, 커넥터용 지그(9)는 수형 커넥터(3) 및 암형 커넥터(5) 상에 완벽하게 배치된다(도 14 및 15 참조).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상태에서, 지그 본체부(59)의 접촉부(21)는 수형 커넥터(3)의 제1 돌출부(43)의 상부면 상에 접한다. 또한, 커넥터용 지그(9)의 맞물림 부재(53)의 맞물림부(13)와 수형 커넥터(3)의 제1 돌출부(43) 사이에 작은 간격이 형성된다.
실질적으로,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상태 하에서, 볼트(55)가 화살표 A6로 도시된 것처럼 회전하는 경우, 볼트(55)가 낮춰져서, 압입 부재(57)는 암형 커넥터(5)(제2 접촉부(19))를 밀어넣는다. 커넥터용 지그(9)는 밀어넣는 동작 동안 반동력(상방향 힘)에 의해 전반적으로 약간 상승된다. 따라서, 작은 간격이 지그 본체부(59)의 접촉부(21)와 수형 커넥터(3)의 제1 돌출부(43)의 상부면 사이에 형성된다. 커넥터용 지그(9)의 맞물림 부재(53)의 맞물림부(13)는 수형 커넥터(3)의 제1 돌출부(43)와 접촉하며, 맞물림부(13)는 제1 돌출부(43)로부터 가압력(하방으로의 힘)을 수용한다.
볼트(55)가 화살표 A6로 도시된 것과 같이 더 회전하는 경우, 볼트(55)는 더 낮춰지고, 암형 커넥터(5)는 하방(도 14 및 15의 화살표 A7로 도시된 방향)으로 이동하며, 암형 커넥터(5)는 수형 커넥터(3)로 밀어넣어져, 암형 커넥터(5)를 수형 커넥터(3)에 완전히 연결시킨다(도 16 및 17 참조).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암형 커넥터가 수형 커넥터에 완전히 연결되는 경우, 제2 커넥터 록부(37)를 형성하는 돌출부(77)는 제1 커넥터 록부(31)를 형성하는 돌출부(67)에 접하여 수형 커넥터(3)(제1 단자들)로부터 암형 커넥터(5)(제2 단자들(11))의 탈착을 방지한다. 즉, 도 18에 도시된 상태 하에서, 돌출부(77)가 돌출부(67) 아래의 돌출부(67)에 접하기 때문에, 암형 커넥터(5)가 수형 커넥터(3)에 대하여 상방향으로 이동하려고 하더라도, 돌출부(77)는 암형 커넥터가 상방향으로 이동할 수 없도록 돌출부(67)와 맞물린다.
일시적으로 연결된 상태가 완전히 연결된 상태로 이동하는 중간 상태에서는, 암형 커넥터(5)가 수형 커넥터(3) 상측에 우선 위치하며, 돌출부(77)는 도 18에 도시된 상태와 다른 돌출부(67)의 상부에서 돌출부(67)로부터 분리된다. 암형 커넥터(5)가 이 상태로부터 수형 커넥터(3)에 대하여 하방으로 이동하는 경우, 돌출부(77)는 돌출부(67)에 인접하고, 로드 형상부(75)는 도 18의 화살표 A8로 도시된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변형되고, 밴딩된다. 이러한 밴딩 이동에 따르면, 암형 커넥터(5)는 수형 커넥터(3)에 대하여 하방으로 더 이동될 수 있으며, 돌출부(77)는 돌출부(67)를 회복시킨다. 돌출부(77)가 돌출부(67)을 완전히 회복시킬 때, 수형 커넥터(3) 및 암형 커넥터(5)는 서로 완전히 연결되며, 로드 형상부(75)는 화살표 A8로 도시된 방향으로 회복되어 도 18에 도시된 상태를 얻는다.
이하, 수형 커넥터 및 암형 커넥터가 서로 완전히 연결된 상태 하에서, 수형 커넥터(3)로부터 암형 커넥터(5)를 탈착시키기 위한 동작이 설명될 것이다.
먼저,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용 지그(9)는 서로 완전히 연결된 수형 커넥터(3) 및 암형 커넥터(5) 상에 배열된다. 도 16 및 도 17에서, 압입 부재(57)는 커넥터용 지그(9)의 볼트(55)에 부착되지만, 암형 커넥터(5)가 수형 커넥터(3)로부터 탈착되는 경우, 도 19에 도시된 인출 부재(61)는 압입 부재(57)의 판에 부착된다. 또한, 도 21a 및 도 21b의 순서로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용 지그(9)가 배열되는 경우, 인출 부재(61)는 암형 커넥터(5)의 제2 맞물림부(27)와 맞물린다.
실질적으로, 도 18의 상태 하에서, 도 18의 화살표 AR로 도시된 힘이 지그 본체부(59)의 절단부(83) 및 맞물림 부재(53)의 절단부(65)를 통하여 제2 커넥터 록부(37(로드 형상부(75))에 인가되어 화살표 A8에 도시된 방향으로 로드 형상부(75)를 탄성적으로 변형 및 밴딩하여 돌출부(67)로부터 돌출부(77)를 맞물림 해제시킨다(인접을 해제시킨다).
돌출부(77)가 이러한 방법으로 돌출부(67) 상에 접촉하지 않는 경우, 볼트(55)는 반시계 방향(도 14의 화살표 A6으로 도시된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고, 볼트(55)는 상승한다. 볼트(55)의 상승 동작에 따라, 수형 커넥터(3)가 암형 커넥터(5)에 일시적으로 연결되도록, 암형 커넥터(5)는 수형 커넥터(3)에 대하여 상방향으로 인출된다. 수형 커넥터 및 암형 커넥터가 서로 일시적으로 연결되는 경우, 돌출부(77)는 돌출부(67)로부터 분리되고, 도 18에 도시된 상태와 다른 형상으로 돌출부(67) 상측에 위치하며, 제2 커넥터 록부(37)(로드 형상부(75))는 회복된다. 또한, 암형 커넥터(5)가 수형 커넥터에 일시적으로 연결되기 전에, 암형 커넥터(5)가 인출되는 경우, 볼트(55)는 아래쪽을 향하는 힘을 수용하고, 수형 커넥터(3)의 제1 돌출부(43) 상에 접촉하는 지그 본체부(59)의 접촉부(21)는 위쪽을 향하는 힘을 수용한다.
커넥터(7)에서, 일반적인 커넥터(400)와 같이, 볼트 및 너트가 커넥터들(3, 5) 각각에 제공되지 않기 때문에, 커넥터(7)는 가벼워지며, 커넥터(7)의 구조는 단순화되고, 커넥터(7)의 생산 공정은 단순해져 커넥터(7)의 제조 비용은 감소될 수 있다.
이미 이해된 바와 같이, 볼트 및 너트가 일반적인 커넥터(400)에 제공되지 않기 때문에, 커넥터용 지그(9)의 맞물림부(13)가 수형 커넥터(3)의 제1 맞물림부(15)와 맞물리고, 커넥터용 지그(9)의 압입부(17)는 암형 커넥터(5)의 제2 접촉부(19) 상에 인접하여 커넥터용 지그(9)의 압입부(17)에 의해 암형 커넥터(5)를 푸시하는 것과 같은 방법으로 커넥터들(3, 5)은 서로 연결된다.
또한, 이미 이해된 바와 같이, 볼트 및 너트가 일반적인 커넥터(400)에 제공되지 않기 때문에, 커넥터용 지그(9)의 접촉부(21)는 수형 커넥터(3)의 제1 인접들(23)과 맞물리고, 커넥터용 지그(9)의 인출부(25)는 암형 커넥터(5)의 제2 맞물림부(27)에 맞물려 커넥터용 지그(9)의 맞물림부들(27)에 의해 암형 커넥터(5)를 인출하는 것과 같은 방법으로 커넥터들(3, 5)은 서로 탈착된다.
따라서, 커넥터(7)에서, 커넥터 록부들(31, 37)이 각각 제공되기 때문에, 서로 연결된(완전히 연결된) 커넥터들(3, 5)의 탈착은 방지된다. 서로 연결된 커넥터들(3, 5)이 서로 탈착되는 경우, 특히, 제2 커넥터 록부(37)로 인가되는 외력이 요구된다. 따라서, 서로 연결된 수형 커넥터(3) 및 암형 커넥터(5)가 사용된 상태 하에서, 수형 커넥터 및 암형 커넥터는 서로 탈착되는 것이 방지된다. 반면에, 서로 연결된 수형 커넥터(3) 및 암형 커넥터(5)가 서로 탈착되는 경우, 특히, 제2 커넥터 록부(37)에 외력이 인가되어, 수리가 필요한 경우, 서로 연결된 커넥터들(3, 5)이 조작자의 의도에 따라 서로 용이하게 탈착될 수 있다.
또한, 커넥터(7)에서, 멀티-폴라 커넥터들이 용이하게 연결되고 서로 분리될 수 있도록 커넥터용 지그(9)가 이용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적절하게 변형 또는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들에서, 본 발명을 성취할 수 있는 물질, 형상, 크기, 값, 모드, 수, 배열 위치 등등의 구성 성분들은 임의적인 것이며, 제한되지 않는다.
비록, 본 발명이 특정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및 변경될 수 있는 것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하다.
본 출원은 2010년 2월 3일자로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번호 제2010-022144호에 근거하며, 여기에 참조로서 그 전문을 통합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가벼운 커넥터가 단순화된 구조를 가지며, 커넥터를 탈착 및 부착하기 위해 사용되는 커넥터용 지그가 효과적으로 얻어질 수 있다.
3: 제1 커넥터(수형 커넥터) 5: 제2 커넥터(암형 커넥터)
7: 커넥터 9: 커넥터용 지그
11: 제2 단자 13: 맞물림부
15: 제1 맞물림부 17: 압입부
19: 제2 접촉부 21: 접촉부
23: 제1 접촉부 25: 인출부
27: 제2 맞물림부 29: 관부
31: 제1 커넥터 록부 35: 제2 커넥터 본체부
37: 제2 커넥터 록부 41: 제1 커넥터 본체부
43: 제1 돌출부 47: 제2 돌출부
53: 맞물림 부재 55: 이동 부재(볼트)
57: 압입 부재 59: 지그 본체부
61: 인출 부재

Claims (6)

  1. 제1 커넥터 본체부, 상기 제1 커넥터 본체부의 상부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복수의 제1 단자, 상기 제1 단자를 둘러싸도록 상기 제1 커넥터 본체부의 상부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관부, 및 상기 관부의 외측에서 돌출되도록 제공되는 제1 돌출부를 구비하는 제1 커넥터; 및
    제2 커넥터 본체부, 상기 제2 커넥터 본체부의 바닥면 상에 제공되며 상기 복수의 제1 단자가 각각 삽입되는 복수의 제2 단자, 및 상기 제2 커넥터 본체부의 상부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제2 돌출부를 구비하는 제2 커넥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제1 커넥터 록부(lock part)는 상기 제1 커넥터의 관부에 제공되고,
    제2 커넥터 록부는 상기 제2 커넥터 본체부에 제공되고,
    상기 제2 커넥터 록부는, 상기 제2 단자에 제1 단자를 연결시키는 동안 상기 제1 커넥터 록부와 맞물리며 탄성적으로 변형되고, 상기 제1 단자가 상기 제2 단자에 완전히 연결되는 경우, 상기 제2 커넥터 록부는 제1 커넥터 록부와 맞물리도록 복원되어(restored), 상기 제1 단자가 상기 제2 단자로부터 탈착되는(detached) 것을 방지하고,
    상기 제2 커넥터 록부는, 상기 제1 단자가 상기 제2 단자에 연결되는 경우, 기설정된 외력이 가해짐으로써 탄성적으로 변형되어, 제2 커넥터 록부가 상기 제1 커넥터 록부로부터 맞물림 해제(disengaged)되고,
    상기 제2 커넥터 록부는, 상기 제2단자가 상기 제1 단자로부터 완전히 탈착되는 경우, 상기 제1 커넥터 록부로부터 분리되고, 복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3. 복수의 제1 단자를 구비하는 제1 커넥터; 및
    상기 복수의 제1 단자에 각각 연결되는 복수의 제2 단자를 구비하는 제2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커넥터 및 제2 커넥터는, 커넥터용 지그의 맞물림부가 상기 제1 커넥터의 제1 맞물림부와 맞물리고, 상기 커넥터용 지그의 압입부가 상기 제2 커넥터의 제2 접촉부에 접촉되는 상태 하에서, 상기 제2 커넥터가 상기 커넥터용 지그의 상기 압입부에 의해 푸시되어 상기 제2 커넥터가 상기 제1 커넥터에 인접하게되는 방식으로 서로 연결되고,
    상기 제1 커넥터 및 제2 커넥터는, 상기 커넥터용 지그의 접촉부가 상기 제1 커넥터의 제1 접촉부에 접촉되며, 상기 커넥터용 지그의 인출부가 상기 제2 커넥터의 제2 맞물림부와 맞물린 상태 하에서, 상기 제2 커넥터가 상기 커넥터용 지그의 인출부에 의해 인출되어 상기 제1 커넥터로부터 상기 제2 커넥터를 탈착시키는 방식으로 서로 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4. 제3항에 있어서,
    제1 커넥터 록부는 상기 제1 커넥터에 제공되고,
    제2 커넥터 록부는 상기 제2 커넥터에 제공되고,
    상기 제2 커넥터 록부는, 상기 제1 단자를 상기 제2 단자에 연결하는 동안 상기 제1 커넥터 록부와 맞물리며 탄성적으로 변형되고, 상기 제1 단자가 상기 제2 단자에 완전히 연결되는 경우, 상기 제2 커넥터 록부는 상기 제1 커넥터 록부와 맞물리도록 복원되어, 상기 제2 단자가 상기 제1 단자로부터 탈착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제2 커넥터 록부는, 상기 제1 단자가 상기 제2 단자에 연결되는 경우, 기설정된 외력이 가해짐으로써 탄성적으로 변형되어, 상기 제2 커넥터 록부가 상기 제1 커넥터 록부로부터 맞물림 해제되고,
    상기 제2 커넥터 록부는 상기 제2 단자가 상기 제1 단자로부터 완전히 탈착되는 경우, 상기 제1 커넥터 록부로부터 분리되고, 복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5. 제1 커넥터를 제2 커넥터에 연결시키는 경우, 및 상기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를 서로 탈착시키는 경우 사용되는 커넥터용 지그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넥터의 제1 접촉부 상에 접촉하는 접촉부를 포함하는 지그 본체부;
    상기 제1 커넥터의 제1 맞물림부와 맞물리고 상기 지그 본체부에 의해 지지되는 맞물림부를 포함하는 맞물림 부재; 및
    상기 제2 커넥터의 제2 접촉부 상에 접촉하는 압입 부재를 지지하며, 상기 제2 커넥터의 제2 맞물림부와 맞물리는 인출 부재를 지지하며, 상기 지그 본체부와 맞물려 기설정된 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 부재
    를 포함하는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용 지그.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넥터가 상기 제2 커넥터에 연결되는 경우, 상기 압입 부재는 상기 이동 부재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맞물림 부재의 맞물림부는 상기 제1 커넥터의 맞물림부와 맞물리며, 상기 이동 부재는 제1 커넥터를 향해 상기 제2 커넥터를 밀도록 이동하여, 상기 압입 부재가 암형 커넥터의 접촉부 상에 접하고 상기 제1 커넥터 측을 향해 상기 제2 커넥터를 푸시하고,
    상기 제1 커넥터 및 상기 제2 커넥터를 서로 탈착시키는 경우, 상기 인출 부재는 상기 이동 부재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지그 본체부의 접촉부는 상기 제1 커넥터의 접촉부에 접하고, 상기 인출 부재는 상기 제2 커넥터의 맞물림부와 맞물리고, 상기 이동 부재는 상기 제2 커넥터를 상기 제1 커넥터로부터 탈착시키도록 이동하여, 상기 제2 커넥터가 상기 제1 커넥터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용 지그.
KR1020127020517A 2010-02-03 2011-02-01 커넥터 및 커넥터용 지그 KR10130349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022144 2010-02-03
JP2010022144A JP5723534B2 (ja) 2010-02-03 2010-02-03 コネクタおよびコネクタ用治具
PCT/JP2011/052066 WO2011096406A1 (ja) 2010-02-03 2011-02-01 コネクタおよびコネクタ用治具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0284A KR20120120284A (ko) 2012-11-01
KR101303490B1 true KR101303490B1 (ko) 2013-09-03

Family

ID=443554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0517A KR101303490B1 (ko) 2010-02-03 2011-02-01 커넥터 및 커넥터용 지그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678850B2 (ko)
JP (1) JP5723534B2 (ko)
KR (1) KR101303490B1 (ko)
CN (1) CN102782953B (ko)
BR (1) BR112012019393A2 (ko)
DE (1) DE112011100430T5 (ko)
WO (1) WO201109640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62207B2 (ja) * 2011-03-15 2015-01-28 矢崎総業株式会社 嵌合補助治具
JP5662210B2 (ja) * 2011-03-16 2015-01-28 矢崎総業株式会社 レバー治具及びコネクタ装置
JP5662211B2 (ja) * 2011-03-16 2015-01-28 矢崎総業株式会社 嵌合補助治具
JP5662208B2 (ja) * 2011-03-16 2015-01-28 矢崎総業株式会社 レバー治具及びコネクタ装置
JP5662209B2 (ja) 2011-03-16 2015-01-28 矢崎総業株式会社 レバー治具及びコネクタ装置
JP5680005B2 (ja) * 2012-02-24 2015-03-04 株式会社東芝 コネクタの嵌合状態を検査する検査方法および検査装置、並びにコネクタを有する電気機器の組立方法
JP5787189B2 (ja) * 2013-07-30 2015-09-30 株式会社村田製作所 挿抜治具
US9525257B1 (en) * 2015-06-05 2016-12-20 Acertara Acoustic Laboratories Llc Universal adapter for ultrasonic probe connectors
CN106992422A (zh) * 2017-03-28 2017-07-28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拆装线缆的装置
JP6592475B2 (ja) * 2017-04-27 2019-10-16 矢崎総業株式会社 レバー嵌合式コネクタ
US10673179B1 (en) * 2017-05-15 2020-06-02 RyDeas, LLC Breakaway electrical connector system
FR3068834B1 (fr) * 2017-07-07 2021-01-08 Radiall Sa Outil hydraulique pour desaccouplement d'un ensemble de connexion, notamment a connecteurs multicontacts
CN111033906B (zh) * 2017-08-30 2021-03-02 株式会社自动网络技术研究所 连接器的保持结构
JP6914232B2 (ja) * 2018-08-28 2021-08-04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構造
CN111217130B (zh) * 2018-11-23 2021-11-30 宁波舜宇光电信息有限公司 自动下料机及下料方法及相应的治具
US20220173548A1 (en) * 2019-04-03 2022-06-02 James David Wahl Tethered connector assembly
JP7407389B2 (ja) * 2019-08-02 2024-01-04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プラグコネクタ及びそれを備えたコネクタセット並びにコネクタセットの抜去方法
JP6971512B1 (ja) * 2021-06-24 2021-11-24 イメージニクス株式会社 プラグ抜け防止構造
JP7025814B1 (ja) 2021-06-24 2022-02-25 イメージニクス株式会社 プラグ抜け防止構造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85119B2 (ja) * 1996-03-08 2002-05-27 矢崎総業株式会社 ねじ嵌合式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85119A (ja) 1990-03-31 1991-12-16 Mazda Motor Corp 燃料タンクにおける残量燃料警報装置
JP2582411Y2 (ja) * 1990-09-21 1998-10-08 株式会社東電通 Pat接続コネクタの嵌合・分離工具
JPH04199899A (ja) * 1990-11-29 1992-07-21 Mitsubishi Electric Corp 挿入形icパッケージの抜き取り装置
US5230635A (en) * 1991-06-25 1993-07-27 Yazaki Corporation Connector with lever
JPH05182739A (ja) * 1991-12-27 1993-07-23 Fujikura Ltd 強制挿入離脱形コネクタ
JP2002184522A (ja) * 2000-12-12 2002-06-28 Jst Mfg Co Ltd ロック機構付コネクタ・アセンブリー
JP2004362832A (ja) * 2003-06-02 2004-12-24 Sumitomo Wiring Syst Ltd 端子金具
US7201599B2 (en) * 2004-03-23 2007-04-10 Fci Americas Technology, Inc. Electrical connector latch
US7217161B1 (en) * 2006-03-31 2007-05-15 Fci Americas Technology, Inc. Electrical terminal with anti-snag feature
JP4962787B2 (ja) * 2007-10-24 2012-06-27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EP2053702B1 (en) * 2007-10-24 2012-06-20 Sumitomo Wiring Systems, Ltd. A connector device and locking structure
JP2010022144A (ja) 2008-07-11 2010-01-28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配線設備
US7955098B1 (en) * 2009-11-25 2011-06-07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Card edge connector with an ejector assisting a memory card inserted therei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85119B2 (ja) * 1996-03-08 2002-05-27 矢崎総業株式会社 ねじ嵌合式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0284A (ko) 2012-11-01
US20120295470A1 (en) 2012-11-22
WO2011096406A1 (ja) 2011-08-11
US8678850B2 (en) 2014-03-25
CN102782953A (zh) 2012-11-14
DE112011100430T5 (de) 2012-12-06
JP5723534B2 (ja) 2015-05-27
JP2011159574A (ja) 2011-08-18
BR112012019393A2 (pt) 2016-05-03
CN102782953B (zh) 2015-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3490B1 (ko) 커넥터 및 커넥터용 지그
JP6210965B2 (ja) 雌端子
JP6190348B2 (ja) コネクタの支持構造及びアダプタ
JP2014107011A5 (ko)
US9172152B2 (en) Pressure welding terminal
US20080032540A1 (en) Connector
CN104124556A (zh) 具有弹性锁闩的电连接器
KR20170070997A (ko) 커넥터의 록킹 구조 및 커넥터
JP2014044825A (ja) コネクタ嵌合方法及び嵌合治具
CN104882697A (zh) 大电流子母针组件
TWI616037B (zh) 連接器及其製造方法
KR20100121950A (ko) 조인트터미널이 구비된 커넥터
JP6448479B2 (ja) 保護カバー及び導電条体付電気コネクタと保護カバーの組立体
JP5243587B2 (ja) コネクタ
JP5631191B2 (ja) コネクタ
JP6327462B2 (ja) コネクタ装置
KR20130094842A (ko) 커넥터
GB2570929A (en) Socket for a pin and method of manufacture
WO2014208545A1 (ja) コネクタ
JP5793596B2 (ja) コネクタおよびコネクタ用治具
JP2016225241A (ja) 電気コネクタ
KR101714402B1 (ko) 저삽입력 소켓형 터미널
KR200457157Y1 (ko) 엘보우 타입 scn 커넥터
JP2010027369A (ja) コネクタ
KR200464159Y1 (ko) 탭터미널 및 이를 포함하는 터미널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