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2562B1 - 블랙박스 데이터의 위변조 방지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블랙박스 데이터의 위변조 방지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2562B1
KR101302562B1 KR1020090097875A KR20090097875A KR101302562B1 KR 101302562 B1 KR101302562 B1 KR 101302562B1 KR 1020090097875 A KR1020090097875 A KR 1020090097875A KR 20090097875 A KR20090097875 A KR 20090097875A KR 101302562 B1 KR101302562 B1 KR 1013025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gery
data
driving information
black box
information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78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40556A (ko
Inventor
김무섭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900978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2562B1/ko
Priority to US12/788,526 priority patent/US8527778B2/en
Priority to JP2010149290A priority patent/JP5244865B2/ja
Publication of KR201100405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05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25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25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41/00Fittings for identifying vehicles in case of collision; Fittings for marking or recording collision are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60Protecting data
    • G06F21/64Protecting data integrity, e.g. using checksums, certificates or signatur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9/00Recording measured valu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eth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orage Device Security (AREA)
  • Time Recorders, Dirve Recorders, Access Control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블랙박스 데이터의 위변조 방지 장치 및 방법에 대하여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블랙박스 데이터의 위변조 방지 장치는, 블랙박스에 의해 수집된 주행정보 데이터를 저장하는 주행정보 저장모듈; 및 기설정된 암호화 메커니즘으로 상기 주행정보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위변조 판별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위변조 판별 데이터를 저장하는 위변조 방지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igure R1020090097875
블랙박스, 데이터 위조, 암호화 메커니즘, 해시함수, 위변조 판별

Description

블랙박스 데이터의 위변조 방지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Falsification Protection of Black Box Data}
본 발명은 데이터의 위변조 방지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데이터의 객관적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블랙박스 데이터의 위변조 방지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지식경제부의 정보통신 산업원천기술개발사업의 일환으로 수행한 연구로부터 도출된 것이다[과제관리번호: 2009-S-040-01, 과제명: 개인신변 안전보장을 위한 영상보안 기술개발].
근래 들어, 이동체에 그 주행 정보를 실시간으로 저장함으로써, 사고 상황이나, 주행 과정에서의 제반 사항들도 저장할 수 있는 블랙 박스 또는 차량용 DVR(Digital Video Recorder)의 적용 사례가 늘고 있다. 이러한 블랙박스 또는 차량용 DVR은 이동체의 사고 관련 분쟁이 발생할 경우를 대비한 현시점에서 가장 적합한 증거 자료로 인식되고 있다.
그런데, 종래의 블랙 박스는 단순히 데이터를 저장하기만 하므로, 저장된 데이터의 진위 여부를 확인할 방법이 없고, 데이터의 위변조 가능성이 제기되었을 때, 객관적인 증거로 채택이 어려울 수도 있는 문제가 있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블랙박스에 의해 수집된 데이터의 무결성을 검증하여 그 신뢰성을 확인할 수 있는 블랙박스 데이터의 위변조 방지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블랙박스 데이터의 위변조 방지 장치는, 블랙박스에 의해 수집된 주행정보 데이터를 저장하는 주행정보 저장모듈; 및 기설정된 암호화 메커니즘으로 상기 주행정보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위변조 판별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위변조 판별 데이터를 저장하는 위변조 방지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면에 따른 위변조 방지 모듈은, 기설정된 암호화 메커니즘을 제공하는 키 관리부; 블랙박스에 의해 수집된 주행정보 데이터를 상기 암호화 메커니즘으로 암호화하여 위변조 판별 데이터로 변환하는 암호처리부; 및 상기 위변조 판별 데이터를 저장하는 판별데이터 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면에 따른 블랙박스 데이터 위변조 방지 방법은, 기설정된 암호화 메커니즘으로 블랙박스에 의해 수집된 주행정보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위변조 판별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위변조 판별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 및 인증된 사용자로부터 상기 주행정보 데이터의 사용을 요청받으면, 상기 주행정보 데이터의 무결성 검증을 위한 암호화 메커니즘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블랙박스 데이터의 무결성을 검증하여 블랙박스 데이터의 객관성을 높일 수 있어, 블랙박스를 통한 사고원인분석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미 설치되어 있는 블랙박스의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를 변경하여 재설치하지 않고도, 부가적인 착탈식 매체를 적용함으로써 설치 및 적용될 수 있어 편리하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랙박스 데이터의 위변조 방지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랙박스 데이터의 위변조 방지 장치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랙박스 데이터의 위변조 방지 장치(10)는 블랙박스(100), 주행정보 저장모듈(400), 위변조 방지모듈(200) 및 위변조 판별모듈(300)을 포함한다.
블랙박스(100)는 설치된 차량, 선박이나, 항공기 등의 이동체에 대한 주행정보를 수집하며, 다수의 센서(110) 및 데이터 처리부(120)를 포함한다.
다수의 센서(110)는 영상센서, 음성센서, 속도센서, 가속센서나, 브레이크센서 등을 포함한다. 상세하게는, 영상센서는 이동체의 내외부에 대한 영상 데이터를 수집하고, 음성센서는 이동체의 내외부에 대한 음성 데이터를 수집하며, 속도센서, 가속센서 및 브레이크센서는 이동체의 주행 및 이동에 관련된 정보들을 수집한다.
데이터 처리부(120)는 각 센서(110)에 의하여 수집된 각 정보를 처리(예컨대, 아날로그-디지털 변환)하여 주행정보 저장모듈(400)에 저장한다. 이때, 데이터 처리부(120)는 주행정보 저장모듈(400)의 용량, 블록크기 등을 고려하여 기설정된 처리 단위(예컨대, 일정시간 단위, 일정블록 단위 등)로 각 수집된 정보를 처리하며, 처리된 주행정보 데이터를 주행정보 저장모듈(400)에 저장한다.
주행정보 저장모듈(400)은 블랙박스(100)로부터 전달받은 주행정보 데이터를 저장하며, 예컨대 MMC(Multi-Media Card), SD 카드나, USB 메모리 스틱 등의 착탈식 저장매체일 수 있다. 여기서, 주행정보 저장모듈(400)은 블랙박스(100)에 포함된 일 구성요소일 수 있다.
위변조 방지모듈(200)은 주행정보 저장모듈(400)에 저장된 주행정보 데이터를 기설정된 암호화 메커니즘으로 암호화하여 위변조 판별 데이터를 생성하고, 위변조 판별 데이터를 저장한다. 이때, 위변조 방지모듈(200)은 주행정보 저장모듈(400)에 저장된 전체 주행정보 데이터를 한꺼번에 암호화할 수 있으며, 주행정보 데이터를 소정 블록 단위로 암호화 처리하여 소정 블록 단위의 위변조 판별 데이터를 각각 생성할 수 있다.
위변조 방지모듈(200)은 해시함수, HMAC(keyed-Hash Message Authentication Code), 대칭키나, 공개키 등의 암호화 메커니즘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위변조 방지모듈(200)은 암호화한 주행정보 데이터 즉, 위변조 판별 데이터를 주행정보 저장모듈(400)의 지정 영역에 저장할 수 있으며 또는, 별도의 구비된 메모리에 저장할 수도 있다.
위변조 방지모듈(200)은 실시간으로 암호화를 수행할 수 있으며, 기설정된 일정주기 또는 일정용량마다 암호화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요청을 인식하거나 외부 충격을 인식하면 그에 동기화하여 암호화를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위변조 방지모듈(200)은 주행정보 데이터의 저장시간, 블랙박스의 고유 번호 및 위변조 판별 데이터의 지시자를 추가로 이용할 수 있다. 위변조 방지모듈(200)의 세부 구성에 대해서는 도 2를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위변조 판별모듈(300)은 주행정보 저장모듈(400)에 저장된 주행정보 데이터의 무결성을 검증하여 저장된 주행정보 데이터가 위조 또는 변조되었는지 여부를 판별한다.
예컨대, 위변조 판별모듈(300)은 저장된 주행정보 데이터를 위변조 방지모듈(200)과 동일한 암호화 메커니즘으로 암호화하고, 위변조 판별 데이터와 비교하여 위조 또는 변조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위변조 판별모듈(300)은 위변조 방지모듈(200)에 의해 주행정보 데이터의 저장시간, 블랙박스의 고유 번호 및 위변조 판별 데이터의 지시자 등이 이용된 경우에 이를 추가로 이용할 수 있으며, 또한 위변조 판별 데이터의 저장영역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이때, 위변조 판별모듈(300)은 블랙박스 데이터의 위변조 방지 장치(10)의 일 구성요소로 포함되지 않고, 분리가능한 착탈식 매체로 구성되어 위조 또는 변조를 확인할 때에만 조립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위변조 판별모듈(300)의 세부 구성에 대해서는 도 3을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블랙박스 데이터의 무결성을 검증할 수 있어, 신뢰성 있는 블랙박스 데이터만을 이용하여 사고 원인이 분석되도록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이미 설치되어 있는 블랙박스의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를 변경하여 재설치하지 않고도, 부가적인 착탈식 매체를 적용함으로써 적용이 용이하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변조 방지모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변조 방지모듈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변조 방지모듈(200)은 키 관리부(210), 암호처리부(220) 및 판별데이터 저장부(230)를 포함한다.
키 관리부(210)는 HMAC(keyed-Hash Message Authentication Code)나, 대칭키 암호화 메커니즘과 같이 암호연산을 수행하기 위하여 키 정보가 필요한 경우 이러한 키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한다. 따라서, 키 정보를 요구하지 않는 해시함수를 이용할 경우는 키 관리부(210)는 생략될 수 있다.
암호처리부(220)는 해시함수 등의 암호화 메커니즘을 이용해 주행정보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위변조 판별 데이터를 생성하고, 위변조 판별 데이터를 판별데이터 저장부(230)에 저장한다. 이때, 암호처리부(220)는 실시간으로 또는 일정시간(예컨대, 10분, 1시간 등)마다 저장된 주행정보 데이터를 읽어와 기설정된 암호화 메커니즘을 이용하여 암호화를 수행한다.
암호처리부(220)는 블랙박스(100)에 의하여 수집된 주행정보 데이터를 암호화 처리하며, 암호화 처리시에 입력되는 주행정보 데이터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하 여 주행정보 데이터 이외에도 블랙박스(100)의 고유번호, 각 데이터가 저장되는 시간정보, 각 데이터의 저장영역 정보 등을 추가로 이용할 수 있다.
판별데이터 저장부(230)는 암호처리부(220)로부터 출력된 위변조 판별 데이터를 저장한다. 이때, 판별데이터 저장부(230)는 템퍼링(Tampering) 방지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판별데이터 저장부(230)는 도 1의 주행정보 저장모듈(400)과 동일한 구성요소로 구성될 수 있다. 즉, 판별데이터 저장부(230) 또는 주행정보 저장모듈(400)은 블랙박스(100)에 의하여 수집된 주행정보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1 영역과 위변조 판별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2 영역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이 경우에는 해시 처리의 대상이 되는 주행정보 데이터의 각 단위 블록과, 해시 처리된 위변조 판별 데이터가 각각의 지시자를 갖도록 하여, 이후의 위조 또는 변조의 판별에 무리가 없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암호처리부(220)가 해시함수를 이용하여 주행정보 데이터를 암호화하였다면, 이후 무결성 검증과 위조 또는 변조의 판별도 해시함수를 이용하여 수행된다. 즉, 해시함수는 임의의 길이의 입력을 해시 처리하여 기설정된 일정길이의 메시지 다이제스트를 생성하며, 해시 처리된 데이터로부터 원래 데이터를 복구할 수 없는 일방향성을 가지므로, 이미 해시 처리된 데이터와 원래 데이터를 다시 해시 처리한 결과 데이터가 동일하면, 원래 데이터 또는 이미 해시 처리된 데이터가 신뢰성 있다고 판단한다.
해시함수 이외의, 대부분의 암호화 메커니즘은 원래 데이터 또는, 암호화한 데이터의 무결성을 검증할 수 다양한 방법을 제공하므로, 본 발명은 이러한 무결성 검증 방법을 이용하여 블랙박스(100)에 의해 수집된 데이터의 객관적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암호화 메커니즘을 이용하여 블랙박스에 의하여 수집된 주행정보 데이터의 무결성을 검증하여 주행정보 데이터의 위조 또는 변조 여부를 검증하고, 검증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이동체의 사고 원인을 분석할 수 있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변조 판별모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변조 판별모듈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변조 판별모듈(300)은 암호처리부(320) 및 비교기(340)를 포함한다.
암호처리부(320)는 주행정보 저장모듈(400)로부터 제공받은 주행정보 데이터를 위변조 방지모듈(200)과 동일하게 암호화 연산하여 비교기(340)에 전달한다. 이때, 암호처리부(320)는 위변조 방지모듈(200)의 암호화 과정에서 키 정보가 사용된 경우 키 관리부(210)로부터 동일한 키 정보를 제공받아 사용한다.
비교기(340)는 암호처리부(320)로부터 전달받은 암호화된 주행정보 데이터와 판별데이터 저장부(230)에 저장된 위변조 판별 데이터를 비교하여, 주행정보 저장모듈(400)로부터 제공받은 데이터의 위변조 여부를 판별한다.
즉, 비교기(340)는 판별데이터 저장부(230)에 저장된 위변조 판별 데이터와 암호처리부(320)에 의하여 암호화된 데이터가 서로 동일하면, 주행정보 저장모 듈(400)로부터 제공받은 주행정보 데이터가 위조나 변조되지 않은 신뢰할 수 있는 정보인 것으로 판단하고, 각 데이터가 상이하면, 주행정보 저장모듈(400)로부터 제공받은 주행정보 데이터가 신뢰할 수 없는 정보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때, 비교기(340)는 신뢰할 수 있는 정보라고 판단하면, 예컨대 TRUE 신호(예컨대, High 신호)를 출력하고, 신뢰할 수 없는 정보라고 판단하면 FALSE 신호(예컨대, Low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도 3에서는 위변조 판별모듈(300)이 위변조 방지모듈(200)과 동일한 암호화 연산을 수행하고, 각 암호화된 결과를 비교하여 주행정보 데이터의 무결성을 검증하는 방식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위변조 판별모듈(300)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무결성 검증 방식으로 주행정보 데이터와 위변조 판별 데이터의 무결성을 검증할 수 있다.
또한, 도 3에서는 위변조 판별모듈(300)이 별도의 암호처리부(320)를 포함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도시하였지만, 위변조 판별모듈(300)은 별도의 암호처리부(320)를 구비하지 않고 위변조 검증모듈(200)에 포함된 암호처리부(220)를 공유하여 이용할 수도 있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랙박스 데이터 위변조 방지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변조 방지모듈(200)의 블랙박스 데이터 위변조 방지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위변조 방지모듈(200)은 블랙박스(100)에 의하여 수집된 주행정보 데이터에 대한 암호화 메커니즘을 설정한다(S410).
이어서, 위변조 방지모듈(200)은 설정된 암호화 메커니즘으로 주행정보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위변조 판별 데이터를 생성한다(S420).
이때, 위변조 방지모듈(200)은 실시간으로 암호화를 수행할 수 있으며, 기설정된 소정용량이 저장될 때마다 또는 기설정된 소정시간마다 암호화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위변조 방지모듈(200)은 주행정보 데이터의 저장시간, 블랙박스의 고유 번호를 추가로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위변조 방지모듈(200)은 위변조 판별 데이터를 저장한다(S430).
이후, 위변조 방지모듈(200)은 인증된 사용자(예컨대, 위변조 판별모듈(300)의 사용자)로부터 주행정보 데이터의 사용을 요청받으면, 주행정보 데이터의 무결성 검증을 위한 암호화 메커니즘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위변조 방지모듈(200)은 인증되지 않은 사용자에 의한 요청은 거부할 수 있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랙박스 데이터 위변조 판별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변조 판별모듈(300)의 블랙박스 데이터 위변조 판별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위변조 판별모듈(300)은 주행정보 저장모듈(400)로부터 주행정보 데이터를 수신한다(S510).
이어서, 위변조 판별모듈(300)은 위변조 방지모듈(200)에 의하여 설정된 암호화 메커니즘을 확인한다(S520).
그리고, 위변조 판별모듈(300)은 암호화 메커니즘을 이용하여 주행정보 데이터의 무결성을 검증하여 주행정보 데이터가 위조 또는 변조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 다(S530).
이때, 위변조 판별모듈(300)은 판단결과 무결성이 있으면(S540), 수신한 주행정보 데이터가 위조 또는 변조되지 않은 신뢰성 있는 정보라고 판단한다(S550). 즉, 위변조 판별모듈(300)은 암호화 메커니즘을 이용하여 주행정보 데이터를 암호화하고, 위변조 판별 데이터와 암호화한 주행정보 데이터가 서로 동일하면, 수신한 주행정보 데이터가 위조 또는 변조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반면, 위변조 판별모듈(300)은 판단결과 무결성이 없으면, 수신한 주행정보 데이터가 위조 또는 변조되어 신뢰성이 없는 정보라고 판단한다(S560). 즉, 위변조 판별모듈(300)은 다시 암호화한 주행정보 데이터가 위변조 판별 데이터가 서로 동일하지 않으면, 수신한 주행정보 데이터가 위조 또는 변조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위변조 판별모듈(300) 또는 별도의 장치를 이용하여 주행정보 데이터의 신뢰성을 회복할 수 있는 편집(예컨대, 위조 또는 변조 제거)을 수행할 수도 있다.
한편, 위변조 방지모듈(200)에 의해 주행정보 데이터의 저장시간, 저장영역 정보이나, 블랙박스의 고유 번호가 추가로 이용된 경우 위변조 판별모듈(300)은 위조 또는 변조의 판단을 위해 이러한 정보를 추가로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블랙박스 데이터의 무결성을 검증하여 블랙박스 데이터의 신뢰성을 높임으로써, 사고원인 분석의 신뢰성도 높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이미 설치되어 있는 블랙박스의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를 변경하여 재설치하지 않고도, 부가적인 착탈식 매체를 적용함으로써 적용이 용이하다.
이상,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어서는 아니되며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의 기재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랙박스 데이터의 위변조 방지 장치를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변조 방지모듈을 도시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변조 판별모듈 도시한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랙박스 데이터 위변조 방지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랙박스 데이터 위변조 판별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Claims (20)

  1. 블랙박스에 의해 수집된 주행정보 데이터를 저장하는 주행정보 저장모듈;
    기설정된 암호화 메커니즘으로 상기 주행정보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위변조 판별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위변조 판별 데이터를 저장하는 위변조 방지모듈; 및
    착탈식 매체로 구성되어, 저장된 상기 주행정보 데이터의 위조 또는 변조를 판별하기 위해 조립되어, 상기 암호화 메커니즘으로 상기 저장된 주행정보 데이터를 암호화하고, 이를 상기 위변조 판별 데이터와 비교하여 상기 주행정보 데이터의 위조 또는 변조 여부를 판단하는 위변조 판별모듈
    을 포함하는 블랙박스 데이터의 위변조 방지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변조 방지모듈은,
    실시간으로 또는 일정주기로 상기 암호화를 수행하거나, 사용자 요청이나 외부 충격을 인식하면 상기 암호화를 수행하는 것인 블랙박스 데이터의 위변조 방지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변조 방지모듈은,
    상기 암호화한 주행정보 데이터를 상기 주행정보 저장모듈에 저장하거나, 별도의 메모리에 저장하는 것인 블랙박스 데이터의 위변조 방지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변조 방지 모듈은,
    해시함수, HMAC(keyed-Hash Message Authentication Code), 대칭키 및 공개키 중 적어도 하나의 암호화 메커니즘을 이용하는 것인 블랙박스 데이터의 위변조 방지 장치.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변조 방지모듈은,
    상기 위변조 판별 데이터의 생성시에 상기 주행정보 데이터의 저장시간, 또는 상기 블랙박스의 고유 번호 또는 저장시간과 고유번호를 이용하는 것인 블랙박스 데이터의 위변조 방지 장치.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변조 방지모듈은,
    상기 암호화 메커니즘을 제공하는 키 관리부;
    상기 주행정보 데이터를 상기 암호화 메커니즘으로 암호화하여 상기 위변조 판별 데이터를 생성하는 암호처리부; 및
    상기 위변조 판별 데이터를 저장하는 판별데이터 저장부
    를 포함하는 것인 블랙박스 데이터의 위변조 방지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위변조 방지모듈은,
    상기 주행정보 데이터를 저장하는 별도를 저장부를 더 포함하거나,
    상기 판별데이터 저장부는, 상기 블랙박스에 의해 수집된 주행정보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1 영역과 상기 위변조 판별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2 영역으로 구분되어 사용되는 것인 블랙박스 데이터의 위변조 방지 장치.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암호처리부는,
    상기 블랙박스에 수집된 주행정보 데이터를 소정용량 단위 또는 소정주기 단위로 읽어와 상기 암호화를 수행하는 것인 블랙박스 데이터의 위변조 방지 장치.
  15. 블랙박스에 의해 수집된 주행정보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
    기설정된 암호화 메커니즘으로 상기 주행정보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위변조 판별 데이터를 생성 및 저장하는 단계;
    인증된 사용자로부터 상기 주행정보 데이터의 사용을 요청받으면, 상기 주행정보 데이터의 무결성 검증을 위한 암호화 메커니즘을 제공하는 단계;
    착탈식 매체로 구성된 위변조 판별모듈이 조립되어, 인증된 사용자로부터 상기 주행정보 데이터의 사용을 요청받으면, 저장된 상기 주행정보 데이터를 상기 암호화 메커니즘으로 암호화하여 무결성 검증용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무결성 검증용 데이터를 상기 위변조 판별 데이터와 비교하여 상기 주행정보 데이터의 위조 또는 변조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블랙박스 데이터 위변조 방지 방법.
  16. 삭제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주행정보 데이터를 사용할 것임을 요청받는 단계;
    상기 사용을 요청한 사용자가 상기 인증된 사용자인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결과 인증된 사용자이면, 상기 암호화 메커니즘을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인 블랙박스 데이터 위변조 방지 방법.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KR1020090097875A 2009-10-14 2009-10-14 블랙박스 데이터의 위변조 방지 장치 및 방법 KR1013025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7875A KR101302562B1 (ko) 2009-10-14 2009-10-14 블랙박스 데이터의 위변조 방지 장치 및 방법
US12/788,526 US8527778B2 (en) 2009-10-14 2010-05-27 Apparatus and method for preventing falsification of black box data
JP2010149290A JP5244865B2 (ja) 2009-10-14 2010-06-30 ブラックボックス(blackbox)データの偽変造防止装置、モジュール及び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7875A KR101302562B1 (ko) 2009-10-14 2009-10-14 블랙박스 데이터의 위변조 방지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0556A KR20110040556A (ko) 2011-04-20
KR101302562B1 true KR101302562B1 (ko) 2013-09-02

Family

ID=438557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7875A KR101302562B1 (ko) 2009-10-14 2009-10-14 블랙박스 데이터의 위변조 방지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527778B2 (ko)
JP (1) JP5244865B2 (ko)
KR (1) KR10130256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3138B1 (ko) 2013-09-06 2014-07-25 조성훈 지피에스 기능을 가진 스마트 디바이스를 활용한 차량운행거리 측정 및 검증방법
KR20190132077A (ko) * 2018-05-18 2019-11-27 대한민국(관리부서: 행정안전부 국립과학수사연구원장) 인코딩 파라미터 예측을 통한 동영상 위변조 검출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28076B2 (ja) 2010-09-03 2013-07-03 日立ビークルエナジー株式会社 車載用蓄電装置
WO2012162910A1 (zh) * 2011-05-31 2012-12-06 江汉大学 航空记录仪海底搜索装置及其方法
KR101356476B1 (ko) * 2012-01-13 2014-01-29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차량용 데이터의 인증 및 획득 방법
KR101441527B1 (ko) 2012-05-31 2014-09-17 주식회사 코아로직 차량 주행 정보 관리 및 검증 방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차량 주행 정보 관리 시스템
KR101234347B1 (ko) * 2012-06-04 2013-02-15 주식회사 아이서티 워터마킹 기술에 기초한 보안이 강화된 차량용 블랙박스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421065B1 (ko) * 2013-04-23 2014-07-21 (주)아이트로닉스 차량용 블랙박스
KR102055878B1 (ko) * 2013-04-29 2019-12-13 팅크웨어(주)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처리 방법
US9438421B1 (en) 2014-06-27 2016-09-06 Amazon Technologies, Inc. Supporting a fixed transaction rate with a variably-backed logical cryptographic key
KR101665199B1 (ko) 2014-11-20 2016-10-13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차량용 블랙박스의 영상 위ㆍ변조 탐지 시스템 및 방법
US10846955B2 (en) 2018-03-16 2020-11-24 Micron Technology, Inc. Black box data recorder for autonomous driving vehicle
US20190302766A1 (en) * 2018-03-28 2019-10-03 Micron Technology, Inc. Black Box Data Recorder with Artificial Intelligence Processor in Autonomous Driving Vehicle
US11094148B2 (en) 2018-06-18 2021-08-17 Micron Technology, Inc. Downloading system memory data in response to event detection
US11782605B2 (en) 2018-11-29 2023-10-10 Micron Technology, Inc. Wear leveling for non-volatile memory using data write counters
US11373466B2 (en) 2019-01-31 2022-06-28 Micron Technology, Inc. Data recorders of autonomous vehicles
US11410475B2 (en) 2019-01-31 2022-08-09 Micron Technology, Inc. Autonomous vehicle data recorder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8186A (ko) * 2001-02-20 2002-08-27 박노춘 차량용 블랙박스 시스템 및 차량용 블랙박스 해독방법과그 프로그램 소스를 저장한 기록매체
KR20060094042A (ko) * 2005-02-23 2006-08-28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정보 처리 방법, 위변조 검증 방법 및 장치, 저장 매체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7013208A1 (en) * 1995-10-06 1997-04-10 Scientific-Atlanta, Inc. Electronic vehicle log
US10011247B2 (en) * 1996-03-27 2018-07-03 Gtj Ventures, Llc Control, monitoring and/or security apparatus and method
JP3480789B2 (ja) 1996-09-17 2003-12-22 株式会社東芝 ドライビングレコーダ
KR20000013317A (ko) 1998-08-07 2000-03-06 임정민 자동차용 블랙박스
JP2003087234A (ja) 2001-09-10 2003-03-20 Sumitomo Electric Ind Ltd 車両履歴情報管理システム、履歴情報記憶装置及び履歴情報管理装置
CA2513909A1 (en) * 2003-01-22 2004-08-05 Francotyp-Postalia Ag & Co. Kg Method and device for mobile data transmission
JP4193577B2 (ja) 2003-05-16 2008-12-10 株式会社デンソー ドライブレコーダの車両状態データ書込・読取システム、ドライブレコーダおよび車両状態データ読取機
KR100538414B1 (ko) 2004-05-12 2005-12-22 (주)펜타마이크로 디씨티 기반의 영상 압축 시스템을 위한 데이터 위변조방지 방법
KR20090101332A (ko) 2008-03-22 2009-09-25 김종남 감시 카메라 시스템에서의 위변조 방지와 내용 유포 방지, 화질 개선을 위한 워터마킹과 암호화 기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8186A (ko) * 2001-02-20 2002-08-27 박노춘 차량용 블랙박스 시스템 및 차량용 블랙박스 해독방법과그 프로그램 소스를 저장한 기록매체
KR20060094042A (ko) * 2005-02-23 2006-08-28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정보 처리 방법, 위변조 검증 방법 및 장치, 저장 매체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3138B1 (ko) 2013-09-06 2014-07-25 조성훈 지피에스 기능을 가진 스마트 디바이스를 활용한 차량운행거리 측정 및 검증방법
KR20190132077A (ko) * 2018-05-18 2019-11-27 대한민국(관리부서: 행정안전부 국립과학수사연구원장) 인코딩 파라미터 예측을 통한 동영상 위변조 검출 방법
KR102138142B1 (ko) 2018-05-18 2020-07-30 대한민국 인코딩 파라미터 예측을 통한 동영상 위변조 검출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10087893A1 (en) 2011-04-14
KR20110040556A (ko) 2011-04-20
JP5244865B2 (ja) 2013-07-24
JP2011086279A (ja) 2011-04-28
US8527778B2 (en) 2013-09-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2562B1 (ko) 블랙박스 데이터의 위변조 방지 장치 및 방법
US8189048B2 (en) Vehicle speed monitoring system
EP3005202B1 (en) System and method for biometric authentication with device attestation
KR101105205B1 (ko) 실시간 데이터의 무결성과 기밀성을 보장하기 위한 데이터 처리방법과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블랙박스 시스템
US916514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digital images
US7096365B1 (en) Digital signature
US20230074748A1 (en) Digital forensic image verification system
EP2628133A1 (en) Authenticate a fingerprint image
KR101210723B1 (ko) 차량용 블랙박스 시스템
CN103368736A (zh) 业务信息加密、解密方法及装置
CN110717770B (zh) 车辆零部件的防伪检测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KR101512021B1 (ko) 가역 정보 은닉을 이용한 차량용 블랙박스 영상의 무결성 검증 방법 및 그 장치
JP4482814B2 (ja) 文書原本性保証装置、文書原本性保証方法、文書原本性保証プログラム及び文書原本性検証装置
CN111654591B (zh) 图片防篡改方法、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Kim et al. Data forgery detection for vehicle black box
JP4104801B2 (ja) Icカード読取装置及びicカードシステム
KR101638790B1 (ko) 데이터 위변조 방지 및 위변조 검증 장치
KR101468407B1 (ko) 디지털 포렌식 촬영장치 및 그를 이용한 개인영상정보 오남용 방지를 위한 차량장착용 디지털 포렌식 촬영 시스템
JP3885562B2 (ja) 車載生体認証装置及び生体情報の登録方法
CN102474498A (zh) 用户识别设备认证方法
KR20200063839A (ko) 핑거프린트 및 3D n-gram을 혼합한 영상 데이터 무결성 검증 방법 및 그 시스템
Patil et al. Blockchain Based Approach for Tackling Deepfake Videos
JPH1188323A (ja) 電子署名装置、及び署名認識装置
CN110727546A (zh) 汽车数据备份方法及装置
KR101736789B1 (ko) 블랙박스 데이터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