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0900B1 - 탱크형 진공차단기 - Google Patents

탱크형 진공차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0900B1
KR101300900B1 KR1020127010709A KR20127010709A KR101300900B1 KR 101300900 B1 KR101300900 B1 KR 101300900B1 KR 1020127010709 A KR1020127010709 A KR 1020127010709A KR 20127010709 A KR20127010709 A KR 20127010709A KR 101300900 B1 KR101300900 B1 KR 1013009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or
tank
movable
pressure tank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107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62912A (ko
Inventor
교이치 오츠카
마사히로 아리오카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629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29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09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09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60Switches wherein the 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arc do not include separate means for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 H01H33/66Vacuum switch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3/00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 H02B13/02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with metal casing
    • H02B13/035Gas-insulated switchgear
    • H02B13/0354Gas-insulated switchgear comprising a vacuum switc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60Switches wherein the 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arc do not include separate means for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 H01H33/66Vacuum switches
    • H01H33/666Operating arrangements
    • H01H2033/6665Details concerning the mounting or supporting of the individual vacuum bott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3/00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assembly, or maintenance of boards or switchge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High-Tension Arc-Extinguishing Switches Without Spraying Means (AREA)
  • Gas-Insulated Switchgea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관련되는 탱크형 진공차단기는, 진공밸브의 고정단이 절연지지부재 및 지지프레임을 통하여 탱크 고정 측에 지지되어 있거나, 혹은, 진공밸브의 고정단이 절연 지지봉을 통하여 탱크 가동 측에 지지되어 있어 진공밸브의 가동단을 지지하는 절연지지부재를 생략하고 있다. 또, 탱크에 가동 측에 개구부를 마련해 부싱 중심 도체가 축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슬라이딩 접속부를 가져, 진공밸브를 바꾸는 경우의 분해 범위를 극소화할 수 있는 탱크형 진공차단기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Description

탱크형 진공차단기 {TANK-TYPE VACUUM INTERRUPTER}
본 발명은 전력 설비 등에 이용되는 탱크형 진공차단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탱크형 진공차단기는, 진공밸브의 가동 측단이 컨택트 케이스 및 절연지지통 등을 통하여 탱크의 일단에 고정되어 있고, 진공밸브의 고정 측단이 컨택트 케이스 및 지지 애자(碍子, insulator) 등을 통하여 탱크의 타단에 고정되어 있다. 또, 가동 측 및 고정 측의 각각의 컨택트 케이스에는 부싱(bushing)인 도체가 접속되어 있다. 진공밸브 내는 탱크 가동 측단의 외부에 장착되어 있는 조작장치의 연결기구와 접속되어 있는 가동도체와, 가동도체와 접리(接離) 가능한 고정도체를 구비하고 있으며, 가동 측 부싱도체, 가동 측 컨택트 케이스, 진공밸브의 가동도체 및 고정도체, 고정 측 컨택트 케이스 및 고정 측 부싱도체로 통전 경로를 형성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 일본국 특개2007-306701호 공보(도 1)
상술과 같은 종래의 탱크형 진공차단기에서는, 진공밸브를 교체하는 경우, 가동 측 및 고정 측의 부싱을 탱크로부터 분리함으로써 부싱도체를 컨택트 케이스로부터 빼내고, 탱크의 고정 측단을 개방하여 진공밸브의 고정 측의 지지를 해제하며, 탱크의 가동 측에 장착되어 있는 조작박스, 조작장치 및 연결기구를 떼어내어, 진공밸브를 가동 측으로부터 인출하는 방법은 일반적으로 행해지지만, 이와 같이 진공밸브의 교체는 분해 개소가 많기 때문에 작업성이 나쁘고, 또, 분해 개소가 많다고 하는 관점으로부터, 진공밸브 교체 복구 후, 기기의 신뢰성이 저하할 가능성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분해 개소를 저감할 수 있는 구조로 함으로써, 진공밸브의 교체 작업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탱크형 진공차단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탱크형 진공차단기는, 진공밸브의 고정단이 절연지지부재 및 지지프레임을 통하여 탱크 고정 측에 지지되어 있거나, 혹은, 진공밸브의 고정단이 절연 지지봉을 통하여 탱크 가동 측에 지지되어 있고, 진공밸브의 가동단을 지지하는 절연지지부재를 생략하고 있다. 또, 탱크에 가동 측에 개구부를 마련하고, 부싱 중심 도체가 축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슬라이딩 접속부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 상기의 부싱 중심 도체의 신축 가능한 슬라이딩 접속부의 대체로서, 부싱 중심 도체를 삽입하는 컨택트 케이스의 삽입부가 볼트 체결 등에 의해 컨택트 케이스로부터 착탈 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진공밸브의 교체를 행하는 경우, 부싱을 탱크로부터 분리하는 것, 혹은, 탱크의 가동 측의 외부에 장착되어 있는 조작장치 또는 그 연결기구를 떼어내지 않고, 진공밸브를 탱크 고정 측으로부터 출입이 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진공 차단부의 교체 작업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서의 탱크형 진공차단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의 지지프레임 장착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의 도체 접속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서의 탱크형 진공차단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의 도체 삽입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서의 탱크형 진공차단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실시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형태에서의 탱크형 진공차단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진공밸브를 고정하고 있는 지지프레임과 탱크의 장착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이하, 도면에 근거하여,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에서, 전기적으로 접지된 탱크(21)는 몸통부(21c)를 수평으로 하여 설치되어 있고, 탱크(21)의 위쪽에는 한 쌍의 개구부(21a, 21b)가 마련되며, 각각의 개구부와 동축을 이루어, 변류기(35a, 35b) 및 변류기 커버(36a, 36b)가 설치되고, 각각의 개구부의 단부에 애관(碍管, bushing)(34a, 34b)이 장착되어 있다. 탱크(21)의 양단의 양단에는 개구부(21d, 21e)가 마련되며, 탱크(21)의 가동 측 하부에는 개구부(21f)가 마련되어 있고, 탱크 내를 밀폐하기 위해, 각각의 개구부에 뚜껑판(22, 23, 24)이 장착되어 있다. 탱크 내는 대기압과는 다른 압력의 건조공기나 전기 절연성이 높은 가스 등이 적용되고 있기 때문에, 밀폐성을 필요로 한다.
탱크(21) 내에는 진공밸브(61)가 몸통부(21c)와 공극(空隙)을 통하여 설치되어 있다. 이 진공밸브(61)는 세라믹 등의 절연통(62a, 62b)을 포함하는 통 모양의 진공용기(62)와, 이 진공용기(62) 중에 수용되고, 일단이 진공용기(62)의 고정 측 단부(62c)를 기밀 봉지(封止)하는 단부판(63)에 접합된 고정도체(64)와, 이 고정도체(64)와 접리 가능하게 마련되어 타단이 진공용기(62)의 가동 측 단부(62d)에 장착된 벨로우즈(bellows)(66)를 관통하여 진공용기(62) 밖으로 연장하는 가동도체(65)로 구성되어 있다. 고정도체(64)와 가동도체(65)가 접촉하는 부분에는 고정접점(64a) 및 가동접점(65a)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단부판(63), 고정도체(64) 및 가동도체(65)는 동합금 또는 알루미늄 합금 등의 도전성 금속이 적용되어 있다. 또, 진공용기(62), 단부판(63), 벨로우즈(66) 및 가동도체(65)로 밀폐 용기를 형성하고, 진공밸브(61) 내는 진공으로 유지되어 있다.
탱크(21)의 외부에는 고정접점(64a)과 가동접점(65a)을 접리 개폐하는 조작장치(개폐수단)(49)가 마련되어 있으며, 조작박스(50)에 수용되어 있다. 조작장치(49)는 벨로우즈(25)를 관통하는 조작로드(48) 및 절연로드(46) 등을 통하여 접속된 가동도체(65)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고정접점(64a)과 가동접점(65a)을 접리 개폐한다. 이 때, 벨로우즈(66)가 가동도체(65)의 이동에 추종하므로 진공밸브(61) 내의 진공은 유지되고, 벨로우즈(25)가 조작로드(48)의 이동에 추종하므로, 탱크(21) 내의 기밀성이 유지된다. 또한, 절연로드(46)는 가동도체(65)와 조작로드(48)를 전기적으로 절연할 수 있는 절연거리를 확보하면서, 가동도체(65) 및 조작로드(48)와 핀(47)으로 접속되어 있다.
진공밸브(61)의 양단에는 고정 측 쉴드(43) 및 가동 측 쉴드(44)가 마련되어 있으며, 가동 측 쉴드(44)와 가동도체는 접촉자(45)를 통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고정 측 쉴드(43)는 진공밸브(61)의 고정 측 단부(62c)를 덮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고정 측의 단부판(63)에 접속되어 있다. 가동 측 쉴드(44)는 진공밸브(61)의 가동 측 단부(62d) 및 가동도체(65)의 단부를 덮도록 배치되어 있고, 진공밸브(61)의 가동 측 단부판(67)에 접속되어 있다. 고정 측 쉴드(43) 및 가동 측 쉴드(44)의 형상을 고정 측 단부(62c) 및 가동 측 단부(62d)를 덮도록 마련함으로써, 진공밸브(61)의 고정 측 단부(62c) 및 가동 측 단부(62d)로의 전계 집중을 완화할 수 있다.
또, 고정 측 쉴드(43)는 절연지지부재(42)를 통하여 지지프레임(41)에 장착되어 있고, 지지프레임(41)은,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탱크(21)에 고착하고 있는 장착자리(21g)에 볼트(51)로 고정되어 있다.
고정 측 쉴드(43) 및 가동 측 쉴드(44)의 상부에는 각각 하부 도체(32a) 및 하부 도체(32b)의 하단이 삽입되는 삽입부(43a, 44a)가 마련되어 있다. 하부 도체(32a) 및 하부 도체(32b)의 상단은 각각 상부 도체(31a) 및 상부 도체(31b)의 하단에 삽입 접속되어 있다. 또, 상부 도체(31a)와 하부 도체(32a), 상부 도체(31b)와 하부 도체(32b), 하부 도체(32a)와 삽입부(43a) 및 하부 도체(32b)와 삽입부(44a)의 접촉부(접속부)에는 전기적 접촉 저항을 저감하기 위해서, 자기 변형의 스프링력에 의해 접촉압을 가지는 다수의 도체 판스프링편으로 구성되는 접촉자(33)가 개재(介在)되어 있고, 각각의 접촉부는 도체의 축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다. 도 3에 접촉자(33)의 한 형태를 나타낸다. 상부 도체(31a) 및 상부 도체(31b)의 상단에는 각각 단자판(단자도체)(30a 및 30b)이 볼트 체결 또는 용접 등의 수단으로 고착되어 있으며, 단자판(30a 및 30b)이 애관(34a 및 34b)의 상단부에 장착되어, 애관의 상단부를 밀폐한다.
다음으로 진공밸브(61)의 교체 방법에 대해서 서술한다. 탱크(21)의 개구부(21d 및 21f)의 각각의 뚜껑판(22 및 23)을 떼어내고, 절연로드(46)의 핀(47)을 제거함으로써, 절연로드(46)를 조작로드(48)로부터 분리한다. 다음으로, 하부 도체(32a 및 32b)를 각각 삽입부(43a 및 44a)로부터 접촉이 어긋날 때까지 하부 도체(32a 및 32b)의 축방향을 따라서 위쪽 방향으로 끌어올리고, 조립 치구(治具) 등에 의해 유지한다. 이와 같이 하여 진공밸브(61)를 포함하는 절연로드(46)로부터 지지프레임(41)까지의 일체 구조가 조작로드(48) 및 하부 도체(32a) 및 하부 도체(32b)로부터 분리되었으므로, 지지프레임(41)을 조립 치구로 유지한 후, 지지프레임(41)과 탱크(21)의 장착자리(21g)와의 볼트(51)의 체결을 해제하고, 진공밸브(61)를 포함하는 구조를 개구부(21d)로부터 수평으로 인출하여, 진공밸브를 교환한다. 재조립은 상기의 분해 공정과는 반대의 공정으로 행한다. 즉, 진공밸브(61)를 포함하는 절연로드(46)로부터 지지프레임(41)까지의 일체 구조를 탱크(21) 내에 삽입하여, 지지프레임(41)과 탱크(21)의 장착자리(21g)를 볼트(51)로 고정한다. 절연로드(46)와 조작로드(48)를 핀(47)으로 접속하고, 하부 도체(32a 및 32b)를 각각 삽입부(43a 및 44a)에 삽입하여, 뚜껑판(22 및 23)을 장착하면 재조립이 완료된다.
이와 같이, 진공밸브(61)의 교체를 행하는 경우, 애관(34a, 34b) 및 탱크(21)의 가동 측에 장착되어 있는 조작박스(50), 조작장치(49) 또는 조작로드(48)의 연결기구를 떼어내지 않고, 뚜껑판(22, 23)만의 개방으로 진공밸브(61)를 취출 및 재조립이 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진공밸브(61)의 교체 작업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접촉자(33)에 다수의 도체 판스프링편으로 구성되는 접촉자를 이용했지만, 도체의 축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면, 예를 들어 도체 코일 스프링을 도체에 감은 방식 등이라도 동일한 효과를 발휘한다.
실시형태 2.
도 4는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실시형태 2에 의한 탱크형 진공차단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도면에 근거하여,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체(인출도체)(52a) 및 도체(인출도체)(52b)가 삽입되는 어댑터(53a 및 53b)가 고정 측 쉴드(접속도체)(43) 및 가동 측 쉴드(접속도체)(44)에 볼트 체결되어 있다. 도 5는 어댑터(53a 및 53b)이며, 중앙에 위치하는 삽입부의 주위에 볼트 삽입용 구멍(54)이 배치되어 있다. 도체(52a) 및 도체(52b)와, 어댑터(53a 및 53b)의 접촉부에는 도 3에 나타내는 접촉자(33)를 배치하고 있다. 다른 구조는, 실시형태 1과 동일하다.
다음으로 진공밸브(61)의 교체 방법에 대해서 서술한다. 탱크(21)의 개구부(21d 및 21f)의 각각의 뚜껑판(22 및 23)을 떼어내어, 절연로드(46)의 핀(47)을 제거함으로써, 절연로드(46)를 조작로드(48)로부터 분리한다. 다음으로, 어댑터(53a 및 53b)의 볼트를 모두 제거함으로써, 어댑터(53a 및 53b)가 고정 측 쉴드(43) 및 가동 측 쉴드(44)로부터 분리된다. 이와 같이 하여 진공밸브(61)를 포함하는 절연로드(46)로부터 지지프레임(41)까지의 일체 구조가 조작로드(48), 도체(52a) 및 도체(52b)로부터 분리되었으므로, 지지프레임(41)을 조립 치구로 유지한 상태에서, 지지프레임(41)과 탱크(21)의 장착자리(21g)와의 볼트(51)의 체결을 해제하고, 진공밸브(61)를 포함하는 구조를 개구부(21d)로부터 수평으로 인출하여, 진공밸브(61)를 교환한다. 재조립은 상기의 분해 공정과는 반대의 공정으로 행한다. 즉, 진공밸브(61)를 포함하는 절연로드(46)로부터 지지프레임(41)까지의 일체 구조를 탱크(21) 내에 삽입하여, 지지프레임(41)과 탱크(21)의 장착자리(21g)를 볼트(51)로 고정한다. 절연로드(46)와 조작로드(48)를 핀(47)으로 접속하고, 도체(52a) 및 도체(52b)에 삽입되어 있는 어댑터(53a 및 53b)와 고정 측 쉴드(43) 및 가동 측 쉴드(44)를 볼트에 의해 접속하여, 뚜껑판(22 및 23)을 장착하면 재조립이 완료된다.
실시형태 3.
도 6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실시형태 3에 의한 탱크형 진공차단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도면에 근거하여,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진공밸브(61)의 양단에는 단부판(63) 및 단부판(67)을 통하여 각각 고정 측 쉴드(43) 및 가동 측 쉴드(44)가 장착되어 있다. 고정 측 쉴드(43)는 볼트(56)에 의해 장착된 절연 지지봉(55)의 타단이 탱크(21)의 가동 측 개구부(21e)의 뚜껑판(24)에 고정함으로써, 진공밸브(61)를 탱크(21) 내의 소정의 위치 로 유지하고 있다. 다른 구조는 실시형태 1과 동일하다.
다음으로 진공밸브(61)의 교체 방법에 대해서 서술한다. 탱크(21)의 개구부(21d 및 21f)의 각각의 뚜껑판(22 및 23)을 떼어내어, 절연로드(46)의 핀(47)을 제거함으로써, 절연로드(46)를 조작로드(48)로부터 분리한다. 다음으로, 하부 도체(32a 및 32b)를 각각 삽입부(43a 및 44a)로부터 접촉이 어긋날 때까지 하부 도체(32a 및 32b)의 축방향을 따라서 위쪽 방향으로 끌어올리고, 조립 치구 등에 의해 유지한다. 이와 같이 하여 진공밸브(61)를 포함하는 절연로드(46)로부터 고정 측 쉴드(43)까지의 일체 구조가 조작로드(48), 하부 도체(32a 및 32b)로부터 분리되었으므로, 고정 측 쉴드(43)의 볼트(56)를 제거하여, 진공밸브(61)를 포함하는 구조를 개구부(21d)로부터 수평으로 인출하여, 진공밸브를 교환한다. 재조립은 상기의 분해 공정과는 반대의 공정으로 행한다. 즉, 진공밸브(61)를 포함하는 절연로드(46)로부터 고정 측 쉴드(43)까지의 일체 구조를 탱크(21) 내에 삽입하여, 고정 측 쉴드(43)와 절연 지지봉(55)을 볼트(56)로 고정한다. 절연로드(46)와 조작로드(48)를 핀(47)으로 접속하고, 하부 도체(32a 및 32b)를 각각 삽입부(43a 및 44a)에 삽입하여, 뚜껑판(22 및 23)을 장착하면 재조립이 완료된다.
다른 실시형태를 다음에 나타낸다.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복수의 개구부를 가지며, 절연성 가스가 봉입된 압력탱크와,
일단이 상기 압력탱크에 접속되고, 타단이 단자도체에 의해 기밀 봉지된 애관과,
상기 압력탱크에 마련되고, 고정도체 및 이 고정도체와 접리 가능하게 마련된 가동도체를 수용하는 진공밸브와,
상기 애관 내에 동축에 배치되고, 상기 단자도체에 접속되어 있는 인출도체와,
상기 인출도체와, 상기 고정도체 및 상기 가동도체와의 사이를 접속하는 접속도체와,
상기 가동도체에 접속된 절연로드를 통하여 상기 가동도체를 구동하는 개폐수단을 구비한 탱크형 진공차단기에 있어서,
상기 압력탱크에 고정된 절연지지부재와 상기 진공밸브의 고정 측단과의 접속부가 상기 압력탱크의 고정 측 개구부 근방에서 착탈 가능한 체결수단을 가지고,
상기 인출도체와 상기 접속도체를 접속하는 어댑터를 가지며, 상기 어댑터가 상기 접속도체로부터 착탈 가능한 체결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 탱크형 진공차단기.
21 탱크, 21a 개구부,
21b 개구부, 21c 몸통부,
21d 개구부, 21e 개구부,
21f 개구부, 21g 장착자리,
22 뚜껑판, 23 뚜껑판,
24 뚜껑판, 25 벨로우즈,
31a 상부 도체, 31b 상부 도체,
32a 하부 도체, 32b 하부 도체,
33 접촉자, 34a 애관,
34b 애관, 35a 변류기,
35b 변류기, 36a 변류기 커버,
36b 변류기 커버, 43 고정 측 쉴드,
43a 삽입부, 44 가동 측 쉴드,
44a 삽입부, 45 접촉자,
46 절연로드, 47 핀,
48 조작로드, 49 조작장치,
50 조작박스, 51 볼트,
52a 도체, 52b 도체,
53a 어댑터, 53b 어댑터,
54 볼트 삽입용 구멍, 55 절연 지지봉,
56 볼트, 61 진공밸브,
62 진공용기, 62a 절연통,
62b 절연통, 62c 고정 측 단부,
62d 가동 측 단부, 63 단부판,
64 고정도체, 65 가동도체,
66 벨로우즈, 67 단부판

Claims (5)

  1. 전기적으로 접지되고, 복수의 개구부를 가지며, 절연성 가스가 봉입(封入)된 압력탱크와,
    일단이 상기 압력탱크에 접속되고, 타단이 단자 도체에 의해 기밀 봉지된 애관(碍管, bushing)과,
    상기 압력탱크에 마련되고, 고정도체 및 이 고정도체와 접리(接離) 가능하게 마련된 가동도체를 수용하는 진공밸브와,
    상기 애관 내에 동축으로 배치되고, 상기 단자 도체에 접속되어 있는 인출(引出)도체와,
    상기 인출도체와, 상기 고정도체 및 상기 가동도체와의 사이를 접속하는 접속도체와,
    상기 가동도체에 접속된 절연로드를 통하여 상기 가동도체를 구동하는 개폐수단을 구비한 탱크형 진공차단기에 있어서,
    상기 진공밸브의 고정 측단을 지지하는 절연지지부재가 상기 압력탱크의 고정 측 개구부 근방에서 착탈 가능하게 상기 압력탱크에 장착되고,
    상기 인출도체가 상기 접속도체에 대하여 변위 가능한 접속부를 적어도 1개소 상기 인출도체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탱크형 진공차단기.
  2. 전기적으로 접지되고, 복수의 개구부를 가지며, 절연성 가스가 봉입된 압력탱크와,
    일단이 상기 압력탱크에 접속되고, 타단이 단자 도체에 의해 기밀 봉지된 애관과,
    상기 압력탱크에 마련되고, 고정도체 및 이 고정도체와 접리 가능하게 마련된 가동도체를 수용하는 진공밸브와,
    상기 애관 내에 동축에 배치되고, 상기 단자 도체에 접속되어 있는 인출도체와,
    상기 인출도체와, 상기 고정도체 및 상기 가동도체와의 사이를 접속하는 접속도체와,
    상기 가동도체에 접속된 절연로드를 통하여 상기 가동도체를 구동하는 개폐수단을 구비한 탱크형 진공차단기에 있어서,
    상기 진공밸브의 고정 측단을 지지하는 절연지지부재가 상기 압력탱크의 고정 측 개구부 근방에서 착탈 가능하게 상기 압력탱크에 장착되고,
    상기 인출도체와 상기 접속도체를 접속하는 어댑터를 가지며, 상기 어댑터가 상기 접속도체로부터 착탈 가능한 체결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 탱크형 진공차단기.
  3. 전기적으로 접지되고, 복수의 개구부를 가지며, 절연성 가스가 봉입된 압력탱크와,
    일단이 상기 압력탱크에 접속되고, 타단이 단자 도체에 의해 기밀 봉지된 애관과,
    상기 압력탱크에 마련되고, 고정도체 및 이 고정도체와 접리 가능하게 마련된 가동도체를 수용하는 진공밸브와,
    상기 애관 내에 동축으로 배치되고, 상기 단자 도체에 접속되어 있는 인출도체와,
    상기 인출도체와, 상기 고정도체 및 상기 가동도체와의 사이를 접속하는 접속도체와,
    상기 가동도체에 접속된 절연로드를 통하여 상기 가동도체를 구동하는 개폐수단을 구비한 탱크형 진공차단기에 있어서,
    상기 압력탱크에 고정된 절연지지부재와 상기 진공밸브의 고정 측단과의 접속부가 상기 압력탱크의 고정 측 개구부 근방에서 착탈 가능한 체결수단을 가지고,
    상기 인출도체가 상기 접속도체에 대하여 변위 가능한 접속부를 적어도 1개소 상기 인출도체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탱크형 진공차단기.
  4. 전기적으로 접지되고, 복수의 개구부를 가지며, 절연성 가스가 봉입된 압력탱크와,
    일단이 상기 압력탱크에 접속되고, 타단이 단자 도체에 의해 기밀 봉지된 애관과,
    상기 압력탱크에 마련되고, 고정도체 및 이 고정도체와 접리 가능하게 마련된 가동도체를 수용하는 진공밸브와,
    상기 애관 내에 동축으로 배치되고, 상기 단자 도체에 접속되어 있는 인출도체와,
    상기 인출도체와, 상기 고정도체 및 상기 가동도체와의 사이를 접속하는 접속도체와,
    상기 가동도체에 접속된 절연로드를 통하여 상기 가동도체를 구동하는 개폐수단을 구비한 탱크형 진공차단기에 있어서,
    상기 압력탱크에 고정된 절연지지부재와 상기 진공밸브의 고정 측단과의 접속부가 상기 압력탱크의 고정 측 개구부 근방에서 착탈 가능한 체결수단을 가지고,
    상기 인출도체와 상기 접속도체를 접속하는 어댑터를 가지고, 상기 어댑터가 상기 접속도체로부터 착탈 가능한 체결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 탱크형 진공차단기.
  5.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탱크 가동 측의 상기 절연로드의 존재 위치에 개구부를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한 탱크형 진공차단기.
KR1020127010709A 2009-10-29 2009-10-29 탱크형 진공차단기 KR10130090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9/005741 WO2011052010A1 (ja) 2009-10-29 2009-10-29 タンク形真空遮断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2912A KR20120062912A (ko) 2012-06-14
KR101300900B1 true KR101300900B1 (ko) 2013-08-27

Family

ID=439214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10709A KR101300900B1 (ko) 2009-10-29 2009-10-29 탱크형 진공차단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136674B2 (ko)
JP (1) JP5183810B2 (ko)
KR (1) KR101300900B1 (ko)
CN (1) CN102598445B (ko)
AU (1) AU2009354701B2 (ko)
DE (1) DE112009005337B4 (ko)
WO (1) WO201105201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64764A1 (ja) * 2011-06-02 2012-12-06 三菱電機株式会社 タンク型真空遮断器
JP5444512B2 (ja) 2011-09-28 2014-03-19 三菱電機株式会社 タンク型真空遮断器
RU2498439C1 (ru) * 2012-05-18 2013-11-10 Открытое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Холдинговая Компания "Электрозавод" (Оао "Электрозавод") Баковый вакуумный выключатель
WO2014050184A1 (ja) * 2012-09-26 2014-04-03 三菱電機株式会社 電力開閉装置
JP6219105B2 (ja) * 2013-09-20 2017-10-25 株式会社東芝 開閉器
US9806504B2 (en) * 2014-01-27 2017-10-31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Gas circuit breaker and method for attaching bushing
EP2975710B1 (fr) * 2014-07-18 2017-09-06 General Electric Technology GmbH Disjoncteur comportant un tube creux isolant
WO2016072161A1 (ja) * 2014-11-07 2016-05-12 三菱電機株式会社 真空遮断器および直流遮断器
US9396888B1 (en) 2015-02-02 2016-07-19 Mitsubishi Electric Power Products, Inc. Copper-aluminum electrical joint
CN105305271B (zh) * 2015-11-04 2017-06-16 国网山东济南市历城区供电公司 一种拉杆
US9978539B1 (en) * 2017-02-08 2018-05-22 General Electric Technology Gmbh Extractor of a bushing conductor from a bushing insulator for a dead tank circuit breaker
DE102017206754A1 (de) * 2017-04-21 2018-10-25 Siemens Aktiengesellschaft Schaltgeräteantriebsanordnung
US10325738B2 (en) * 2017-10-10 2019-06-18 Eaton Intelligent Power Limited Gas-insulated switchgear with sealed operating mechanisms
DE102017223548B4 (de) * 2017-12-21 2021-03-25 Siemens Aktiengesellschaft Antriebsstange mit Kompensationselement
CN111837304B (zh) * 2018-03-14 2021-12-31 三菱电机株式会社 气体绝缘开关装置
WO2019224975A1 (ja) * 2018-05-24 2019-11-28 三菱電機株式会社 ガス絶縁開閉装置
CN109599294B (zh) * 2018-12-13 2020-06-02 广东欧文特电气有限公司 一种真空断路器
JP6608097B1 (ja) * 2019-01-31 2019-11-20 三菱電機株式会社 真空遮断器
KR102127631B1 (ko) * 2019-12-10 2020-06-29 제룡전기 주식회사 부싱 교체 구조를 가지는 가스절연부하개폐기
EP4089706B1 (en) * 2020-01-10 2024-01-03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Vacuum interrupter
US20220415594A1 (en) * 2020-02-25 2022-12-29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Vacuum valv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vacuum circuit breaker
JP7090825B1 (ja) * 2021-09-28 2022-06-24 三菱電機株式会社 タンク型遮断器
CN115173294B (zh) * 2022-08-30 2022-11-15 四川省科学城久信科技有限公司 一种电容器拆卸装置、拆卸方法及更换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37026A (ja) * 1999-07-23 2001-02-09 Nissin Electric Co Ltd ガス絶縁電気機器
JP2005086925A (ja) * 2003-09-10 2005-03-31 Japan Ae Power Systems Corp 開閉装置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70846U (ko) * 1980-05-20 1981-12-17
JPS5717528A (en) * 1980-07-08 1982-01-29 Meidensha Electric Mfg Co Ltd Vaccum tank type breaker
JP2638164B2 (ja) * 1988-12-09 1997-08-06 株式会社明電舎 真空インタラプタの真空度低下検出装置
DE29700930U1 (de) * 1997-01-09 1997-04-03 Siemens Ag Hochspannungsschaltanlage mit einem Dead-Tank-Schalter
CH694478A5 (de) * 2000-01-20 2005-01-31 Multi Holding Ag Kontaktelement.
FR2810463B1 (fr) * 2000-06-14 2004-03-05 Alstom Connecteur electrique
JP2002051414A (ja) * 2000-08-02 2002-02-15 Toshiba Corp 複合形ガス絶縁開閉装置
JP2004235122A (ja) * 2003-02-03 2004-08-19 Japan Ae Power Systems Corp 真空遮断器
JP4709062B2 (ja) 2006-05-11 2011-06-22 株式会社日本Aeパワーシステムズ タンク形真空遮断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37026A (ja) * 1999-07-23 2001-02-09 Nissin Electric Co Ltd ガス絶縁電気機器
JP2005086925A (ja) * 2003-09-10 2005-03-31 Japan Ae Power Systems Corp 開閉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09354701B2 (en) 2014-05-15
AU2009354701A1 (en) 2012-05-31
US20120160810A1 (en) 2012-06-28
CN102598445A (zh) 2012-07-18
WO2011052010A1 (ja) 2011-05-05
JPWO2011052010A1 (ja) 2013-03-14
KR20120062912A (ko) 2012-06-14
DE112009005337B4 (de) 2015-10-29
CN102598445B (zh) 2016-07-06
DE112009005337T5 (de) 2012-12-13
US9136674B2 (en) 2015-09-15
JP5183810B2 (ja) 2013-04-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0900B1 (ko) 탱크형 진공차단기
JP4764906B2 (ja) 真空スイッチ及び真空スイッチギヤ
JP5507010B2 (ja) タンク型真空遮断器
JP4906892B2 (ja) スイッチギヤ
CN1926734B (zh) 压缩气体绝缘的隔离开关组件以及绝缘套管装置
JP5183825B2 (ja) 電力開閉装置
US9570256B2 (en) Gas circuit breaker
AU2013321871B2 (en) Power opening/closing device
EP2296160A1 (en) Vacuum insulated switchgear
US20120138574A1 (en) Tank type vacuum circuit breaker
KR101716284B1 (ko) 가스 절연 개폐 장치
EP1152444A1 (en) Switch gear
JP5183794B2 (ja) スイッチギヤ
EP0196240B1 (en) Metal-clad gas-insulated switchgear apparatus
AU2014201925B2 (en) Tank-type vacuum interrupter
JPH0655004B2 (ja) ガス絶縁開閉装置
JPH10201026A (ja) 遮断器
JPH0636339B2 (ja) ガス絶縁開閉装置
JPS591042B2 (ja) ガス絶縁開閉装置
JP2011171315A (ja) 真空スイッチギヤ
JPH0345966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