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7039B1 - 차량의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7039B1
KR101297039B1 KR1020127009692A KR20127009692A KR101297039B1 KR 101297039 B1 KR101297039 B1 KR 101297039B1 KR 1020127009692 A KR1020127009692 A KR 1020127009692A KR 20127009692 A KR20127009692 A KR 20127009692A KR 101297039 B1 KR101297039 B1 KR 1012970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clutch
piston
value
cl1pr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096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57650A (ko
Inventor
다다시 오꾸다
Original Assignee
닛산 지도우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산 지도우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산 지도우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576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76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70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70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6/00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 B60K6/20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the prime-movers consisting of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e.g. HEVs
    • B60K6/42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the prime-movers consisting of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e.g. HEVs characterised by the architecture of the hybrid electric vehicle
    • B60K6/48Parallel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0/00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 B60W20/40Controlling the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prime movers, e.g. for transition between prime m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vehicle transmissions, or part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K23/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vehicle transmissions, or part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ain transmission clut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6/00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 B60K6/20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for mutual or common propulsion, e.g. hybrid propulsion systems comprising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Control systems therefor, i.e. systems controlling two or more prime movers, or controlling one of these prime movers and any of the transmission, drive or drive units Informative references: mechanical gearings with secondary electric drive F16H3/72; 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dynamo-electric machine H02K7/00; machines comprising structurally interrelated motor and generator parts H02K51/00; dynamo-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H02K see H02K99/00 the prime-movers consisting of electric motors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e.g. HEVs
    • B60K6/50Architecture of the driveline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or kind of transmission units
    • B60K6/54Transmission for changing ratio
    • B60K6/547Transmission for changing ratio the transmission being a stepped gea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02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driveline clut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04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propulsion units
    • B60W10/06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propulsion units including control of combustion eng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04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propulsion units
    • B60W10/08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propulsion units including control of electric propulsion units, e.g. motors or gener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0/00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5/00Fluid-actuated clutches
    • F16D25/08Fluid-actuated clutches with fluid-actuated member not rotating with a clutching member
    • F16D25/082Fluid-actuated clutches with fluid-actuated member not rotating with a clutching member the line of action of the fluid-actuated members co-inciding with the axis of rotation
    • F16D25/087Fluid-actuated clutches with fluid-actuated member not rotating with a clutching member the line of action of the fluid-actuated members co-inciding with the axis of rotation the clutch being actuated by the fluid-actuated member via a diaphragm spring or an equivalent array of le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5/00Fluid-actuated clutches
    • F16D25/12Details not specific to one of the before-mentioned types
    • F16D25/14Fluid pressure 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48/00External control of clutches
    • F16D48/02Control by fluid pressure
    • F16D48/04Control by fluid pressure providing power assistan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48/00External control of clutches
    • F16D48/06Control by electric or electronic means, e.g. of fluid pressure
    • F16D48/062Control by electric or electronic means, e.g. of fluid pressure of a clutch system with a plurality of fluid actuated clut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1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a particular sub-units
    • B60W2510/02Clutches
    • B60W2510/0208Clutch engagement state, e.g. engaged or disengag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500/00External control of clutches by electric or electronic means
    • F16D2500/10System to be controlled
    • F16D2500/102Actuator
    • F16D2500/1026Hydraulic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500/00External control of clutches by electric or electronic means
    • F16D2500/10System to be controlled
    • F16D2500/104Clutch
    • F16D2500/10406Clutch position
    • F16D2500/10412Transmission line of a vehi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500/00External control of clutches by electric or electronic means
    • F16D2500/10System to be controlled
    • F16D2500/106Engine
    • F16D2500/1066Hybri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500/00External control of clutches by electric or electronic means
    • F16D2500/30Signal inputs
    • F16D2500/302Signal inputs from the actuator
    • F16D2500/3024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500/00External control of clutches by electric or electronic means
    • F16D2500/30Signal inputs
    • F16D2500/302Signal inputs from the actuator
    • F16D2500/3026Stro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500/00External control of clutches by electric or electronic means
    • F16D2500/30Signal inputs
    • F16D2500/316Other signal inputs not covered by the groups above
    • F16D2500/3166Detection of an elapsed period of tim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500/00External control of clutches by electric or electronic means
    • F16D2500/50Problem to be solved by the control system
    • F16D2500/52General
    • F16D2500/525Improve response of control syste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500/00External control of clutches by electric or electronic means
    • F16D2500/70Details about the implementation of the control system
    • F16D2500/704Output parameters from the control unit; Target parameters to be controlled
    • F16D2500/70402Actuator parameters
    • F16D2500/70406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500/00External control of clutches by electric or electronic means
    • F16D2500/70Details about the implementation of the control system
    • F16D2500/704Output parameters from the control unit; Target parameters to be controlled
    • F16D2500/70402Actuator parameters
    • F16D2500/7041Posi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62Hybrid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Hydraulic Clutches, Magnetic Clutches, Fluid Clutches, And Fluid Joints (AREA)
  • Hybrid Electric Vehicles (AREA)

Abstract

엔진(Eng)과 좌우 후륜(RL, RR) 사이에 제1 클러치(CL1)를 구비하고, 라인압(PL)을 원압으로 하고, 피스톤 스트로크 위치의 F/B 제어에 의해 제1 클러치(CL1)의 개방 제어를 행한다. 이 FR 하이브리드 차량에 있어서, 제1 클러치(CL1)의 개방 시, 적어도 피스톤압이 기준 라인압에 도달하기 전에, 미리 라인압(PL)을 기준 라인압보다 높이는 라인압 증가 제어를 개시하고, 이 개방 동작에 있어서, 피스톤압이 저하되면 라인압(PL)을 기준 라인압으로 복귀시킨다.

Description

차량의 제어 장치 {VEHICLE CONTROL DEVICE}
본 발명은 구동원과 구동륜 사이에 유압 클러치를 구비하고, 라인압을 원압으로 하는 클러치 유압 제어 밸브에 의해 만들어진 피스톤압을 클러치 개방 유압으로 하는 차량의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실클러치 스트로크가, 목표 클러치 개방 스트로크에 도달하고 있지 않은 경우이며, 유량 보상이 필요하다고 판단된 경우, 펌프 모터를 소정 시간 온으로 함으로써, 클러치로의 유량을 증가 보상하는 자동 클러치 제어 장치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참조).
일본 특허 출원 공개 평11-82561호 공보
그러나 종래의 자동 클러치 제어 장치에 있어서는, 실클러치 스트로크 검출값을 피드백 정보로서 받아, 실클러치 스트로크 검출값이 목표 클러치 개방 스트로크에 도달하고 있지 않은 것을 확인한 후, 유량을 늘리도록, 폐쇄 루프 회로 구성에 의한 피드백 제어를 행한다. 이로 인해, 유량 보상이 필요할 때, 클러치 유압 제어 밸브의 원압인 라인압을 올릴 필요가 발생해도, 라인압이 상승하는 데 유압 응답 지연이 발생한다.
이 결과, 유량 보상이 필요한 클러치 개방 시, 필요 유량(필요 유압)이 지연되어 상승하게 되고, 클러치 개방 지령을 낸 후 클러치 스트로크 위치가 클러치 개방 목표 위치까지 도달할 때까지의 스트로크 소요 시간이 연장되어버려, 클러치 개방의 리스폰스가 나빠진다, 라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에 착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클러치 개방 시, 불필요한 에너지 손실을 억제하면서, 클러치 개방 필요압의 변동에 관계없이, 클러치 개방의 리스폰스를 높일 수 있는 차량의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관한 차량에서는, 구동원과 구동륜 사이에 개재 장착한 유압 클러치와, 라인압을 원압으로 한 유압에 의해 구동 제어되는 자동 변속기를 구비하고, 상기 유압 클러치는, 상기 라인압을 원압으로 하여 클러치 유압 제어 밸브에 의해 피스톤압을 만들어 내고, 이 피스톤압을 클러치 개방 유압으로 하여, 실피스톤 스트로크 위치가 목표 위치에 일치하도록 상기 피스톤압을 제어함으로써 클러치 유압 액추에이터를 스트로크 동작시켜 상기 유압 클러치를 개방한다.
이 차량의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압 클러치의 개방 동작 이외의 동작을 확보하는 필요 유압에 기초하여 정한 라인압을 기준 라인압이라고 하였을 때, 상기 유압 클러치의 개방 시, 적어도 상기 피스톤압이 기준 라인압에 도달하기 전에, 미리 라인압을 기준 라인압보다 높이는 라인압 증가 제어를 개시하고, 이 개방 동작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압이 저하되면 라인압을 저하시키는 클러치 개방 제어부를 설치하였다.
도 1은 제1 실시예의 제어 장치가 적용된 후륜 구동에 의한 FR 하이브리드 차량(차량의 일례)을 도시하는 전체 시스템도이다.
도 2는 제1 실시예의 제어 장치에 의해 체결ㆍ개방이 제어되는 제1 클러치(CL1)(유압 클러치의 일례)가 배치된 클러치&모터 유닛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3은 제1 실시예의 제1 클러치(CL1)를 체결ㆍ개방 제어하는 제1 클러치 유압 액추에이터와 제1 클러치 유압 제어 밸브를 접속하는 외부 배관을 도시하는 외관도이다.
도 4는 제1 실시예의 제1 클러치(CL1)를 체결ㆍ개방 제어하는 유압 제어계와 전자 제어계의 구성을 도시하는 제1 클러치 유압 제어 시스템도이다.
도 5는 제1 실시예의 AT 컨트롤러에서 실행되는 라인압 제어에 있어서 라인압 지시값을 생성하는 라인압 지시값 생성부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6은 제1 실시예의 통합 컨트롤러에서 실행되는 피스톤압 지시값의 유지에 기초하여 CL1 개방 필요압을 생성하여 출력하는 전체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메인 흐름도이다.
도 7은 제1 실시예의 통합 컨트롤러에서 실행되는 CL1Press값 유지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8은 제1 실시예의 통합 컨트롤러에서 실행되는 CL1 개방 필요압 출력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9는 제1 실시예의 FR 하이브리드 차량에 있어서 제1 클러치 개방 제어 동작의 일례를 설명하는 차속ㆍ회전수(MG 회전수, ENG 회전수)ㆍ토크(MG 토크, ENG 토크)ㆍ부호(각 플래그의 값)ㆍ거리(피스톤 스트로크 신호)ㆍ유압(라인압 지시값, 라인압 실제값, CL1 개방 필요압, CL1Press)의 각 특성을 나타내는 타임 차트이다.
도 10은 모터 제너레이터와 변속기 사이에 독립된 제2 클러치를 배치한 FR 하이브리드 차량의 구동계를 도시하는 구동계 개략도이다.
도 11은 변속기와 구동륜 사이에 독립된 제2 클러치를 배치한 FR 하이브리드 차량의 구동계를 도시하는 구동계 개략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차량의 제어 장치를 실현하는 최선의 형태를, 도면에 도시하는 제1 실시예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제1 실시예
우선, 구성을 설명한다.
도 1은 제1 실시예의 제어 장치가 적용된 후륜 구동에 의한 FR 하이브리드 차량(차량의 일례)을 도시하는 전체 시스템도이다. 이하, 도 1에 기초하여 전체 시스템 구성을 설명한다.
제1 실시예에 있어서의 FR 하이브리드 차량의 구동계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엔진(Eng)(구동원)과, 플라이 휠(FW)과, 제1 클러치(CL1)(유압 클러치)와, 모터/제너레이터(MG)와, 제2 클러치(CL2)와, 자동 변속기(AT)와, 프로펠러 샤프트(PS)와, 디퍼렌셜(DF)과, 좌측 드라이브 샤프트(DSL)와, 우측 드라이브 샤프트(DSR)와, 좌측 후륜(RL)(구동륜)과, 우측 후륜(RR)(구동륜)을 갖는다. 또한, FL은 좌측 전륜, FR는 우측 전륜, M-O/P는 메인 오일 펌프, S-O/P는 서브 오일 펌프이다.
상기 엔진(Eng)은, 가솔린 엔진이나 디젤 엔진이고, 엔진 컨트롤러(1)로부터의 엔진 제어 지령에 기초하여, 엔진 시동 제어나 엔진 정지 제어 등이 행해진다. 또한, 엔진 출력축에는, 플라이 휠(FW)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1 클러치(CL1)는, 엔진(Eng)과 모터/제너레이터(MG) 사이에 개재 장착되어, 전기 자동차 주행 모드(이하, 「EV 모드」라고 함)의 선택 시에 개방되고, 하이브리드 차 주행 모드(이하, 「HEV 모드」라고 함)의 선택 시에 체결되는 주행 모드 선택 클러치이다. 이 제1 클러치(CL1)로서, 노멀 클로즈의 건식 단판 클러치를 사용하고 있다.
상기 모터/제너레이터(MG)는, 제1 클러치(CL1)와 자동 변속기(AT) 사이에 개재 장착되어, 전동기로서 동작하는 기능과, 발전기로서 동작하는 기능을 갖는다. 이 모터/제너레이터(MG)로서는, 로터에 영구 자석을 매설하고, 스테이터에 코일이 권취된 3상 교류에 의한 동기형 모터/제너레이터를 사용하고 있다.
상기 제2 클러치(CL2)는, 모터/제너레이터(MG)와 좌우 후륜(RL, RR) 사이에 개재 장착되고, 예를 들어 엔진 시동 시 등과 같이 전달 토크가 변동될 때, 슬립 체결 상태로 함으로써, 토크 변동을 흡수하기 위해 설치된 클러치이다. 이 제2 클러치(CL2)로서는, 별도 설치하는 것은 아니고, 자동 변속기(AT)에서 선택되어 있는 변속단에 의해 체결되는 복수의 마찰 체결 요소 중, 토크 전달 경로에 존재하는 마찰 체결 요소를 선택하고 있다.
상기 자동 변속기(AT)는, 예를 들어 전진 7속/후퇴 1속 등의 변속단을 유 단계로 전환하는 유단 변속기나 변속비를 무단계로 전환하는 무단 변속기이고, 변속기 출력축은, 프로펠러 샤프트(PS), 디퍼렌셜(DF), 좌측 드라이브 샤프트(DSL), 우측 드라이브 샤프트(DSR)를 통해 좌우 후륜(RL, RR)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메인 오일 펌프(M-O/P)는, 자동 변속기(AT)의 입력축에 설치되고, 기계적으로 펌프 작동하는 메커니컬 오일 펌프이다. 상기 서브 오일 펌프(S-O/P)는, 유닛 하우징 등에 설치되고, 제1 클러치(CL1)의 개방 상태에 의한 「EV 모드」에서의 정차 시 등과 같이, 메인 오일 펌프(M-O/P)에 의한 토출 유량이 없을 때, 혹은 필요 유량에 대해 메인 오일 펌프(M-O/P)에 의한 토출 유량이 부족할 때, 전동 모터에 의해 펌프 작동시키는 전동 오일 펌프이다.
다음에, 하이브리드 차량의 제어계를 설명한다.
제1 실시예에 있어서의 FR 하이브리드 차량의 제어계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엔진 컨트롤러(1)와, 모터 컨트롤러(2)와, 인버터(3)와, 배터리(4)와, 제1 클러치 컨트롤러(5)와, 제1 클러치 유압 제어 밸브(6)와, AT 컨트롤러(7)와, AT 컨트롤 밸브(8)와, 브레이크 컨트롤러(9)와, 통합 컨트롤러(10)를 갖고 구성되어 있다. 또한, 각 컨트롤러(1, 2, 5, 7, 9)와, 통합 컨트롤러(10)는, 정보 교환이 서로 가능한 CAN 통신선(11)을 통해 접속되어 있다.
상기 엔진 컨트롤러(1)는, 엔진 회전수 센서(12)로부터의 엔진 회전수 정보와, 통합 컨트롤러(10)로부터의 목표 엔진 토크 지령과, 다른 필요 정보를 입력한다. 그리고 엔진 동작점(Ne, Te)을 제어하는 지령을, 엔진(Eng)의 스로틀 밸브 액추에이터 등에 출력한다(엔진 제어).
상기 모터 컨트롤러(2)는, 모터/제너레이터(MG)의 로터 회전 위치를 검출하는 리졸버(13)로부터의 정보와, 통합 컨트롤러(10)로부터의 목표 MG 토크 지령 및 목표 MG 회전수 지령과, 다른 필요 정보를 입력한다. 그리고 모터/제너레이터(MG)의 모터 동작점(Nm, Tm)을 제어하는 지령을 인버터(3)에 출력한다(모터 제어). 또한, 이 모터 컨트롤러(2)에서는, 배터리(4)의 충전 용량을 나타내는 배터리 SOC를 감시하고 있다.
상기 제1 클러치 컨트롤러(5)는, 제1 클러치 유압 액추에이터(14)의 피스톤 스트로크 위치를 검출하는 피스톤 스트로크 센서(15)로부터의 센서 정보와, 통합 컨트롤러(10)로부터의 목표 CL1 토크 지령과, 다른 필요 정보를 입력한다. 그리고 제1 클러치(CL1)의 체결ㆍ슬립 체결ㆍ개방을 제어하는 지령을, 제1 클러치 유압 제어 밸브(6)에 출력한다(제1 클러치 제어).
상기 AT 컨트롤러(7)는, 액셀러레이터 개방도 센서(16)와, 차속 센서(17)와, 다른 센서류(18)(변속기 입력 회전수 센서, 인히비터 스위치 등)로부터의 정보를 입력한다. 그리고 D 레인지 주행 시, 액셀러레이터 개방도(APO)와 차속(VSP)에 의해 결정되는 운전점이 시프트 맵 상에서 존재하는 위치에 의해 최적의 변속단을 검색하여, 검색된 변속단을 얻는 제어 지령을 AT 컨트롤 밸브(8)에 출력한다(변속 제어). 이 AT 컨트롤러(7)는, 통합 컨트롤러(10)로부터 목표 CL2 토크 지령을 입력하면, 제2 클러치(CL2)의 슬립 체결 제어 지령을 AT 컨트롤 밸브(8)에 출력한다(제2 클러치 제어). 또한, AT 컨트롤러(7)에서는, 자동 변속기(AT)의 유압 변속 동작을 행하는 동시에, 제1 클러치(CL1)의 유압 개방 동작을 행할 때, 최대압을 규정하는 원압으로 되는 라인압(PL)의 제어를 함께 행한다.
상기 브레이크 컨트롤러(9)는, 4륜의 각 차륜속을 검출하는 차륜속 센서(19)와, 브레이크 스트로크 센서(20)로부터의 센서 정보와, 통합 컨트롤러(10)로부터의 회생 협조 제어 지령과, 다른 필요 정보를 입력한다. 그리고 브레이크 조작 시, 브레이크 스트로크(BS)로부터 요구되는 요구 제동력에 대해 회생 제동력만으로는 부족한 경우, 그 부족분을 기계적인 제동력으로 보충한다(회생 협조 브레이크 제어).
상기 통합 컨트롤러(10)는, 차량 전체의 소비 에너지를 관리하여, 효율적으로 차량을 주행시키기 위한 기능을 담당하는 것으로, 모터 회전수(Nm)를 검출하는 모터 회전수 센서(21)나 다른 센서ㆍ스위치류(22) 등으로부터의 필요 정보 및 CAN 통신선(11)을 통해 정보를 입력한다. 그리고 엔진 컨트롤러(1)로 목표 엔진 토크 지령, 모터 컨트롤러(2)로 목표 MG 토크 지령 및 목표 MG 회전수 지령, 제1 클러치 컨트롤러(5)로 목표 CL1 토크 지령, AT 컨트롤러(7)로 목표 CL2 토크 지령, 브레이크 컨트롤러(9)로 회생 협조 제어 지령을 출력한다(통합 제어).
다음에, 도 2 내지 도 5에 기초하여, 제1 클러치(CL1)를 체결ㆍ개방하는 제1 클러치 제어계의 구성을 설명한다. 제1 실시예의 클러치&모터 유닛부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엔진(Eng)과, 플라이 휠(FW)과, 제1 클러치(CL1)(유압 클러치)와, 모터/제너레이터(MG)와, 메인 오일 펌프(M-O/P)와, 자동 변속기(AT)와, 유닛 하우징(30)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유닛 하우징(30)은, 프론트측이 엔진(Eng)의 엔진 블록(31)에 연결되고, 리어측이 자동 변속기(AT)의 트랜스미션 케이스(32)에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이 유닛 하우징(30)의 내부는, 모터 커버(33)와 스테이터 하우징(34)에 의해 3실로 구획되어 있다. 엔진(Eng)과 모터 커버(33)로 둘러싸인 제1 실에, 플라이 휠(FW)과 제1 클러치(CL1)를 배치하고 있다. 모터 커버(33)와 스테이터 하우징(34)으로 둘러싸인 제2 실에, 모터/제너레이터(MG)를 배치하고 있다. 스테이터 하우징(34)과 자동 변속기(AT)로 둘러싸인 제3 실에, 메인 오일 펌프(M-O/P)를 배치하고 있다.
상기 제1 클러치(CL1)는, 플라이 휠(FW)과 모터/제너레이터(MG)의 중공 모터 샤프트(35) 사이에 개재 장착된다. 상기 모터/제너레이터(MG)는, 로터의 내측 위치에 리졸버(13)가 배치되고, 유닛 하우징(30)을 관통하여 강전 하네스 단자(36)와 냉각수 출입구 포트(37)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메인 오일 펌프(M-O/P)는, 중공 모터 샤프트(35)에 결합된 변속기 입력축(38)에 의해 구동된다.
제1 실시예의 제1 클러치(CL1)를 체결ㆍ개방하기 위한 유압 회로 구성으로서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클러치 유압 액추에이터(14)(클러치 유압 액추에이터)와, 제1 클러치 유압 제어 밸브(6)(클러치 유압 제어 밸브)와, AT 컨트롤 밸브(8)와, 메인 오일 펌프(M-O/P)와, 서브 오일 펌프(S-O/P)와, 오일 팬(39)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제1 클러치 유압 액추에이터(14)는, 제1 클러치(CL1)의 체결ㆍ개방을 제어하는 CSC 유압 액추에이터이다. 이 제1 클러치 유압 액추에이터(14)는, 도 2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클러치(CL1)의 체결ㆍ개방을 행할 때 CSC 실린더(40)에 대해 미끄럼 이동하는 CSC 피스톤(41)과, CSC 피스톤(41)을 CSC 피스톤 실(42)의 용적을 축소시키는 측으로 가압하는 다이어프램 스프링(43)과, CSC 피스톤 실(42)로의 오일 급배를 행하는 오일 급배구(44)를 구비하고 있다. 다이어프램 스프링(43)의 일단부측은 프레셔 링(45)에 접촉하고, 다이어프램 스프링(43)의 타단부측은 릴리즈 베어링(46)을 통해 CSC 피스톤(41)에 접촉한다. 즉, CSC 실린더(40)로의 피스톤압의 공급이 없을 때에는, 다이어프램 스프링(43)에 의한 가압력에 의해 제1 클러치(CL1)의 완전 체결을 유지한다. 그리고 CSC 실린더(40)로 피스톤압의 공급이 있을 때에는, 다이어프램 스프링(43)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미끄럼 이동하는 CSC 피스톤(41)의 스트로크량을 제어함으로써, 슬립 체결로부터 완전 개방까지를 컨트롤한다. 또한, CSC라 함은, 「Concentric Slave Cylinder」의 약자이다.
상기 제1 클러치 유압 액추에이터(14)의 CSC 피스톤 실(42)과, 상기 제1 클러치 유압 제어 밸브(6)를 접속하는 유로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오일 급배구(44)로부터 배관 커넥터(50)까지를 접속하는 내부 배관(51)과, 배관 커넥터(50)로부터 케이스 설치부(52)까지를 접속하는 외부 배관(53)과, 외부 배관(53)에 연통시켜 트랜스미션 케이스(32)에 형성된 케이스 내 유로(54)와, 케이스 내 유로(54)에 연통시켜 제1 클러치 유압 제어 밸브(6) 내에 형성된 피스톤압 유로(55)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외부 배관(53)은, 그 도중 위치에서 유닛 하우징(30)에 대해, 클립(56)에 의해 중간 지지되어 있다.
상기 제1 클러치 유압 제어 밸브(6)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라인압(PL)을 원압으로 하여, 제1 클러치 유압 액추에이터(14)의 CSC 피스톤 실(42)로의 피스톤압을 만들어 내는 밸브로, 스풀 밸브(60)와, 솔레노이드 밸브(61)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스풀 밸브(60)는, 솔레노이드 밸브(61)로부터의 밸브 입력압을 밸브 작동 신호압으로 하여, 드레인 연통측과 CSC 피스톤 실 연통측으로 전환하는 밸브이다. 이 스풀 밸브(60)는, 밸브 구멍(60a)을 미끄럼 이동 가능한 스풀(60b)과, 스풀(60b)을 도 4의 좌측 방향으로 가압하는 스프링(60c)과, 밸브 구멍(60a)에 설치된 밸브 출력압 포트(60d), 밸브 입력압 포트(60e), 드레인 포트(60f), 밸브 작동 압 포트(60g)를 갖는다. 밸브 출력압 포트(60d)는, 피스톤압 유로(55)에 연통된다. 밸브 입력압 포트(60e)는, 밸브 입력 압 유로(62)에 연통된다. 드레인 포트(60f)는, 드레인 유로(63)에 연통된다. 밸브 작동압 포트(60g)는, 오리피스(64)가 설치된 밸브 입력압 분기 유로(62')에 연통된다.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61)는, AT 컨트롤 밸브(8)에 의해 만들어진 라인압(PL)을 원압으로 하고, 제1 클러치 컨트롤러(5)로부터 출력되는 밸브 솔레노이드(61a)로의 피스톤압 지시값(CL1Press)에 의한 ON/OFF 듀티 동작에 의해, 밸브 입력압 유로(62)로의 밸브 입력압(=피스톤압)을 만들어 낸다.
상기 AT 컨트롤 밸브(8)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AT 컨트롤러(7)로부터의 라인압 지시값(LPress)에 의해 지시된 라인압을 얻기 위한 솔레노이드 압을 만들어 내는 라인압 솔레노이드(80)와, 펌프 압을 원압으로 하고 솔레노이드 압을 밸브 작동 신호압으로 하여 라인압(PL)을 압력 조절하는 프레셔 레귤레이터 밸브(81)를 구비하고 있다.
제1 실시예의 제1 클러치(CL1)를 체결ㆍ개방하는 전자 제어 구성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클러치 컨트롤러(5)와, AT 컨트롤러(7)와, 통합 컨트롤러(1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제1 클러치 컨트롤러(5)는, 주행 모드로서 「HEV 모드」가 선택되어 있을 때에는, 솔레노이드 밸브(61)에 대해 OFF 지령에 의한 피스톤압 지시값(CL1Press)(CL1Press=0)을 출력함으로써, 다이어프램 스프링(43)에 의한 가압력에 의해 제1 클러치(CL1)를 체결한다. 그리고 배터리 SOC가 충분하고, 또한 액셀러레이터 개방도(APO)가 설정 임계값보다도 낮은 등에 의한 주행 모드 선택 조건이 성립함으로써, 주행 모드를 「HEV 모드」로부터 「EV 모드」로 천이할 때, 제1 클러치 개방 제어를 행한다. 이 제1 클러치 개방 제어에서는, 피스톤 스트로크 센서(15)로부터의 피스톤 스트로크 정보를 감시하면서, 솔레노이드 밸브(61)에 대해 피스톤압 지시값(CL1Press)(CL1Press≠0)을 출력함으로써, 제1 클러치(CL1)를 슬립 체결 상태로부터 완전 개방으로 이행시킨다. 그리고 제1 클러치(CL1)의 완전 개방 시에는, 솔레노이드 밸브(61)에 대해 100%의 ON 듀티 비에 의한 피스톤압 지시값(CL1Press)을 출력함으로써, 제1 클러치 유압 액추에이터(14)의 CSC 피스톤 실(42)에 대해 프레셔 레귤레이터 밸브(81)에서 압력 조절된 라인압(PL)을 피스톤압으로서 공급한다.
상기 AT 컨트롤러(7)는, 라인압 솔레노이드(80)에 대해 라인압 지시값(LPress)을 출력함으로써 라인압 제어를 행한다. 이 라인압 제어에서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클러치(CL1)의 클러치 개방 필요압(=CL1 개방 필요압)과, 변속기 입력 토크(=T/M 입력 토크 유지 필요압)와, 최저 라인압의 셀렉트 하이에 의해 선택된 값에 대응하는 라인압 지시값(LPress)을 출력한다. 이 중, 「CL1 개방 필요압」은, 통합 컨트롤러(10)에 의해 생성되어, AT 컨트롤러(7)로 보내진다. 「T/M 입력 토크 유지 필요압」은, 액셀러레이터 개방도 정보 등을 사용하여 추정된다. 「최저 라인압」은, 무부하 상태에 있어서 자동 변속기(AT)에서 변속에 사용하는 마찰 체결 요소의 체결ㆍ개방 동작을 확보하는 필요 유압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그리고 「CL1 개방 필요압」이 선택되지 않는 경우, 「T/M 입력 토크 유지 필요압」과 「최저 라인압」의 셀렉트 하이에 의해 정한 라인압 지시값(LPress)을 출력한다. 이 라인압 지시값(LPress)에 의해 얻어지는 라인압(PL)을, 「기준 라인압」이라 한다. 이 「기준 라인압」은, 「CL1 개방 필요압」이 선택되는 제1 클러치(CL1)의 개방 시를 제외한 모든 시기에 있어서 압력 조절되는 라인압(PL)으로, 제1 클러치(CL1)의 개방 동작 이외의 변속 동작을 확보하도록 결정된다. 즉, T/M 입력 토크 유지 필요압 정보인 액셀러레이터 개방도 등에 따라, 예를 들어 액셀러레이터 개방도 제로일 때 최저 라인압으로 압력 조절하고, 액셀러레이터 개방도가 높아질수록 높은 압력으로 압력 조절된다.
도 6은 제1 실시예의 통합 컨트롤러(10)에서 실행되는 피스톤압 지시값의 유지에 기초하여 CL1 개방 필요압을 생성하여 출력하는 전체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메인 흐름도이다(클러치 개방 제어부). 이하, 도 6의 각 스텝에 대해 설명한다.
스텝 S1에서는, 제1 클러치(CL1)의 개방 시, 클러치 개방 필요압 신호로서 제1 클러치 컨트롤러(5)로부터 출력되는 피스톤압 지시값(CL1Press)을 유지하는 CL1Press값 유지 처리(도 7)를 실행하여, 스텝 S2로 진행한다.
스텝 S2에서는, 스텝 S1에서의 CL1Press값 유지 처리에 이어서, CL1 개방 필요압을 생성하는 CL1 개방 필요압 출력 처리(도 8)를 실행하여, 종료로 진행한다.
도 7은 제1 실시예의 통합 컨트롤러(10)에서 실행되는 CL1Press값 유지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클러치 개방 제어부). 이 처리는 제1 클러치 컨트롤러(5)로부터 출력되는 피스톤압 지시값(CL1Press)의 값을 유지하기 위한 것으로, 이하 도 7의 각 스텝에 대해 설명한다.
스텝 S101에서는, 피스톤압 지시값(CL1Press), 피스톤압 지시값 전회값(CL1Press전회), 최대 피스톤압 유지값(CL1PressMAX), 안정 피스톤압 유지값(CL1PressStab), 규정 시간 경과 플래그(fTimeout), CL1 개방 완료 플래그(CL1_Standby), 최대 피스톤압 플래그(fmax)가 판독되어, 스텝 S102로 진행한다. 여기서, 피스톤압 지시값(CL1Press)은, 제1 클러치 컨트롤러(5)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판독한 것이다. 최대 피스톤압 유지값(CL1PressMAX)의 초기값은, 최저 필요압을 얻는 값이다. 안정 피스톤압 유지값(CL1PressStab)의 초기값은, 최적 필요압을 얻는 값이다. 규정 시간 경과 플래그(fTimeout)는, 타이머(fTimer)에 의해 계측되는 시간이 규정 시간(예를 들어, 3초)을 경과하면 「1」로 재기입되고, 타이머(fTimer)의 리셋에 의해 「0」으로 복귀된다. CL1 개방 완료 플래그(CL1_Stanby)는, 제1 클러치(CL1)가 개방에서 「1」로 재기입되고, 체결에서 「0」으로 복귀된다. 최대 피스톤압 플래그(fmax)는, 피스톤압 지시값(CL1Press)이 MAX값으로 되면 「1」로 재기입되고, 0㎪에서 「0」으로 복귀된다.
스텝 S102에서는, 스텝 S101에서의 필요 정보의 판독에 이어서, 제1 클러치 컨트롤러(5)로부터 출력되는 피스톤압 지시값(CL1Press)이, CL1Press=0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예(CL1Press=0)의 경우에는 스텝 S103으로 진행하고, 아니오(CL1Press≠0)의 경우에는 스텝 S106으로 진행한다.
스텝 S103에서는, 스텝 S102에서의 CL1Press=0이라는 판단에 이어서, 타이머(fTimer)를, fTimer=0(타이머 리셋)으로 설정하고, 스텝 S104로 진행한다.
스텝 S104에서는, 스텝 S103에서의 fTimer=0의 설정에 이어서, 최대 피스톤압 플래그(fmax)를, fmax=0(리셋)으로 설정하고, 스텝 S105로 진행한다.
스텝 S105에서는, 스텝 S104에서의 fmax=0의 설정에 이어서, 최대 피스톤압 지시 유지값 플래그(fCL1PressMAX)를, fCL1PressMAX=0(리셋)으로 설정하고, 스텝 S115로 진행한다. 여기서, 최대 피스톤압 지시 유지값 플래그(fCL1PressMAX)는, 피스톤압 지시값(CL1Press)이 최대값으로 되면 「1」로 재기입되고, 리셋하면 「0」으로 복귀된다.
스텝 S106에서는, 스텝 S102에서의 CL1Press≠0이라는 판단에 이어서, 타이머(fTimer)를 카운트 업하고, 스텝 S107로 진행한다.
스텝 S107에서는, 스텝 S106에서의 fTimer의 카운트 업에 이어서, 피스톤압 지시값(CL1Press)이, 피스톤압 지시값 전회값(CL1Press전회)을 초과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예(CL1Press>CL1Press전회)의 경우에는 스텝 S108로 진행하고, 아니오(CL1Press≤CL1Press전회)의 경우에는 스텝 S110으로 진행한다.
스텝 S108에서는, 스텝 S107에서의 CL1Press>CL1Press전회라는 판단에 이어서, 피스톤압 지시값(CL1Press)이, 최대 피스톤압 유지값(CL1PressMAX)을 초과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예(CL1Press>CL1PressMAX)의 경우에는 스텝 S109로 진행하고, 아니오(CL1Press≤CL1PressMAX)의 경우에는 스텝 S115로 진행한다.
스텝 S109에서는, 스텝 S108에서의 CL1Press>CL1PressMAX이라는 판단에 이어서, 최대 피스톤압 지시 유지값 플래그(fCL1PressMAX)를, 「0」에서 「1」로 재기입하고, 스텝 S115로 진행한다.
스텝 S110에서는, 스텝 S107에서의 CL1Press≤CL1Press전회라는 판단에 이어서, 피스톤압 지시값(CL1Press)이, 최대 피스톤압 유지값(CL1PressMAX)을 초과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예(CL1Press>CL1PressMAX)의 경우에는 스텝 S111로 진행하고, 아니오(CL1Press≤CL1PressMAX)의 경우에는 스텝 S113으로 진행한다.
스텝 S111에서는, 스텝 S110에서의 CL1Press>CL1PressMAX라는 판단에 이어서, 금회 판독된 피스톤압 지시값(CL1Press)을, 최대 피스톤압 유지값(CL1PressMAX)으로서 설정 유지하고, 스텝 S112로 진행한다.
스텝 S112에서는, 스텝 S111에서의 CL1PressMAX의 유지에 이어서, 최대 피스톤압 플래그(fmax)를, 「0」에서 「1」로 재기입하고, 스텝 S115로 진행한다.
스텝 S113에서는, 스텝 S110에서의 CL1Press≤CL1PressMAX라는 판단에 이어서, 피스톤압 지시값(CL1Press)이, 최대 피스톤압 유지값(CL1PressMAX)으로부터 피스톤압 지시값 오프셋값(CL1PressOffset)을 뺀 값을 초과하고, 또한 최대 피스톤압 유지값(CL1PressMAX)으로부터 피스톤압 지시값 오프셋값(CL1PressOffset)을 더한 값 미만의 범위에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예(CL1PressMax-CL1PressOffset<CL1Press<CL1PressMax+CL1PressOffset)의 경우에는 스텝 S114로 진행하고, 아니오(CL1PressMax-CL1PressOffset≥CL1Press, 또는 CL1PressMax≥CL1Press+CL1PressOffset)의 경우에는 스텝 S115로 진행한다.
스텝 S114에서는, 스텝 S113에서의 CL1Press-CL1PressOffset<CL1Press<CL1Press+CL1PressOffset이라는 판단에 이어서, 최대 피스톤압 플래그(fmax)를, 「0」에서 「1」로 재기입하고, 스텝 S115로 진행한다.
스텝 S115에서는, 스텝 S105, 스텝 S108에서 아니오의 판단, 스텝 S109, 스텝 S112, 스텝 S113에서 아니오의 판단, 스텝 S114 중 어느 하나에 이어서, 금회 판독된 피스톤압 지시값(CL1Press)을, 피스톤압 지시값 전회값(CL1Press전회)으로 재기입하고, 스텝 S116으로 진행한다.
스텝 S116에서는, 스텝 S115에서의 CL1Press전회값의 설정에 이어서, 규정 시간 경과 플래그(fTimeout)가, fTimeout=1(규정 시간 경과)인지 여부, 또는 CL1 개방 완료 플래그(CL1_Standby)가, CL1_Standby=1[제1 클러치(CL1)의 개방 완료]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예(fTimeout=1 또는 CL1_Standby=1)의 경우에는 스텝 S117로 진행하고, 아니오(fTimeout=0 또한 CL1_Standby=0)의 경우에는 종료로 진행한다.
스텝 S117에서는, 스텝 S116에서의 fTimeout=1 또는 CL1_Standby=1이라는 판단에 이어서, 안정 피스톤압 유지값(CL1PressStab)이, 피스톤압 지시값(CL1Press) 미만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예(CL1PressStab<CL1Press)의 경우에는 스텝 S118로 진행하고, 아니오(CL1PressStab≥CL1Press)의 경우에는 종료로 진행한다.
스텝 S118에서는, 스텝 S117에서의 CL1PressStab<CL1Press라는 판단에 이어서, 금회 판독된 피스톤압 지시값(CL1Press)을, 안정 피스톤압 유지값(CL1PressStab)으로 설정하고, 종료로 진행한다.
도 8은 제1 실시예의 통합 컨트롤러(10)에서 실행되는 CL1 개방 필요압 출력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클러치 개방 제어부). 이 처리는 CL1 개방 필요압으로서 라인압 지시값(LPress)에 반영하기 위한 것으로, 이하 도 8의 각 스텝에 대해 설명한다.
스텝 S201에서는, 피스톤압 지시값(CL1Press), 피스톤압 지시값 전회값(CL1Press전회), 최대 피스톤압 유지값(CL1PressMAX), 안정 피스톤압 유지값(CL1PressStab), 규정 시간 경과 플래그(fTimeout), CL1 개방 완료 플래그(CL1_Standby), 최대 피스톤압 플래그(fmax), 피스톤압 지시값 오프셋(CL1PressOffset)이 판독되어, 스텝 S202로 진행한다.
스텝 S202에서는, 스텝 S201에서의 필요 정보의 판독에 이어서, 통합 컨트롤러(10)에 의해 보내지는 피스톤압 지시값(CL1Press)이, CL1Press=0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예(CL1Press=0)의 경우에는 스텝 S203으로 진행하고, 아니오(CL1Press≠0)의 경우에는 스텝 S204로 진행한다.
스텝 S203에서는, 스텝 S202에서의 CL1Press=0이라는 판단에 이어서, CL1 개방 필요압을 제로로 하고, 이 「CL1 개방 필요압=0」의 정보를, AT 컨트롤러(7)에 출력하고, 종료로 진행한다.
스텝 S204에서는, 스텝 S202에서의 CL1Press≠0이라는 판단에 이어서, 최대 피스톤압 플래그(fmax)가, fmax=1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예(fmax=1)의 경우에는 스텝 S205로 진행하고, 아니오(fmax=0)의 경우에는 스텝 S206으로 진행한다.
스텝 S205에서는, 스텝 S204에서의 fmax=1이라는 판단에 이어서, CL1 개방 필요압을 피스톤압 지시값(CL1Press)으로 하고, 이 「CL1 개방 필요압=CL1Press」의 정보를 AT 컨트롤러(7)에 출력하고, 종료로 진행한다.
스텝 S206에서는, 스텝 S204에서의 fmax=0이라는 판단에 이어서, 규정 시간 경과 플래그(fTimeout)가 fTimeout=1(규정 시간 경과)인지 여부, 또는 CL1 개방 완료 플래그(CL1_Standby)가 CL1_Standby=1[제1 클러치(CL1)의 개방 완료]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예(fTimeout=1 또는 CL1_Standby=1)의 경우에는 스텝 S207로 진행하고, 아니오(fTimeout=0 또한 CL1_Standby=0)의 경우에는 스텝 S208로 진행한다.
스텝 S207에서는, 스텝 S206에서의 fTimeout=1 또는 CL1_Standby=1이라는 판단에 이어서, CL1 개방 필요압을 안정 피스톤압 유지값(CL1PressStab)으로 하고, 이 「CL1 개방 필요압=CL1PressStab」의 정보를 AT 컨트롤러(7)에 출력하고, 종료로 진행한다.
스텝 S208에서는, 스텝 S206에서의 fTimeout=0 또한 CL1_Standby=0이라는 판단에 이어서, 최대 피스톤압 지시 유지값 플래그(fCL1PressMAX)가 fCL1PressMAX=1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예(fCL1PressMAX=1)의 경우에는 스텝 S209로 진행하고, 아니오(fCL1PressMAX=0)의 경우에는 스텝 S210으로 진행한다.
스텝 S209에서는, 스텝 S208에서의 fCL1PressMAX=1이라는 판단에 이어서, CL1 개방 필요압을, 피스톤압 지시값(CL1Press)에 피스톤압 지시값 오프셋값(CL1PressOffset)을 더한 값으로 하고, 이 「CL1 개방 필요압=CL1Press+CL1PressOffset」의 정보를, AT 컨트롤러(7)에 출력하고, 종료로 진행한다.
스텝 S210에서는, 스텝 S208에서의 fCL1PressMAX=0이라는 판단에 이어서, CL1 개방 필요압을 최대 피스톤압 유지값(CL1PressMAX)으로 하고, 이 「CL1 개방 필요압=CL1PressMAX」의 정보를 AT 컨트롤러(7)에 출력하고, 종료로 진행한다.
다음에, 작용을 설명한다.
제1 실시예의 FR 차량의 제어 장치에 있어서의 작용을, 「CL1Press값 유지 처리 작용」, 「CL1 개방 필요압 출력 처리 작용」, 「제1 클러치 개방 제어 작용」, 「라인압 증가 제어의 개시 타이밍의 설정 작용」으로 나누어 설명한다.
[CL1Press값 유지 처리 작용]
「HEV 모드」의 선택에 의해 제1 클러치(CL1)가 체결되어 있을 때에는, 피스톤압 지시값(CL1Press)이 CL1Press=0이므로, 도 7의 흐름도에 있어서, 스텝 S101→스텝 S102→스텝 S103→스텝 S104→스텝 S105→스텝 S115→스텝 S116→종료로 진행한다. 스텝 S103에서는 타이머(fTimer)가 fTimer=0(타이머 리셋)으로 설정되고, 스텝 S104에서는 최대 피스톤압 플래그(fmax)가 fmax=0(리셋)으로 설정되고, 스텝 S105에서는 최대 피스톤압 지시 유지값 플래그(fCL1PressMAX)가 fCL1PressMAX=0(리셋)으로 설정된다. 또한, 스텝 S115에서는, 금회 판독된 피스톤압 지시값(CL1Press)이 피스톤압 지시값 전회값(CL1Press전회)으로 재기입된다.
「HEV 모드」로부터 「EV 모드」로의 모드 천이에 수반하여, 제1 클러치 컨트롤러(5)로부터 피스톤압 지시값(CL1Press)(≠0)을 출력하고, 제1 클러치(CL1)를 개방하기 위해 피스톤압의 증가를 개시하면, 피스톤압 지시값(CL1Press)이 최대 피스톤압 유지값(CL1PressMAX)을 초과할 때까지는, 도 7의 흐름도에 있어서, 스텝 S101→스텝 S102→스텝 S106→스텝 S107→스텝 S108→스텝 S115→스텝 S116→종료로 진행하는 흐름이 반복된다.
그리고 피스톤압 지시값(CL1Press)이 계속해서 증가함으로써, 최대 피스톤압 유지값(CL1PressMAX)을 초과하면, 도 7의 흐름도에 있어서, 스텝 S101→스텝 S102→스텝 S106→스텝 S107→스텝 S108→스텝 S109→스텝 S115→스텝 S116→종료로 진행하는 흐름이 반복된다. 스텝 S109에서는, 최대 피스톤압 지시 유지값 플래그(fCL1PressMAX)가, 「0」에서 「1」로 재기입된다.
그리고 피스톤압 지시값(CL1Press)의 증가가 멈추고, 피스톤압 지시값(CL1Press)의 유지ㆍ감소측으로 이행하였을 때, 피스톤압 지시값(CL1Press)이 최대 피스톤압 유지값(CL1PressMAX)을 초과하고 있으면, 도 7의 흐름도에 있어서, 스텝 S101→스텝 S102→스텝 S106→스텝 S107→스텝 S110→스텝 S111→스텝 S112→스텝 S115→스텝 S116→종료로 진행하는 흐름이 반복된다. 스텝 S111에서는, 금회 판독된 피스톤압 지시값(CL1Press)이 새롭게 최대 피스톤압 유지값(CL1PressMAX)으로서 설정 유지되고, 스텝 S112에서는, 최대 피스톤압 플래그(fmax)가 「0」에서 「1」로 재기입된다.
한편, 피스톤압 지시값(CL1Press)이 유지ㆍ감소측으로 이행하였을 때, 피스톤압 지시값(CL1Press)이, 최대 피스톤압 유지값(CL1PressMAX) 이하이고, 또한 CL1Press-CL1PressOffset<CL1Press<CL1Press+CL1PressOffset이 성립하고 있으면, 도 7의 흐름도에 있어서, 스텝 S101→스텝 S102→스텝 S106→스텝 S107→스텝 S110→스텝 S113→스텝 S114→스텝 S115→스텝 S116→종료로 진행하는 흐름이 반복된다. 스텝 S114에서는, 최대 피스톤압 플래그(fmax)가 「0」에서 「1」로 재기입된다. 그리고 CL1Press-CL1PressOffset<CL1Press<CL1Press+CL1PressOffset이 불성립으로 되면, 도 7의 흐름도에 있어서, 스텝 S101→스텝 S102→스텝 S106→스텝 S107→스텝 S110→스텝 S113→스텝 S115→스텝 S116→종료로 진행하는 흐름이 반복된다.
그 후, 규정 시간 경과 조건이 성립(fTimeout=1), 또는 제1 클러치(CL1)의 개방 완료 조건이 성립(CL1_Standby=1)으로 되고, 안정 피스톤압 유지값(CL1PressStab)이 피스톤압 지시값(CL1Press) 미만이라고 판단되면, 도 7의 흐름도에 있어서, 스텝 S115로부터, 스텝 S116→스텝 S117→스텝 S118→종료로 진행한다. 스텝 S118에서는, 금회 판독된 피스톤압 지시값(CL1Press)이 안정 피스톤압 유지값(CL1PressStab)으로 설정된다.
이 CL1Press값 유지 처리에 있어서, 1번째 기능은, 제1 클러치 컨트롤러(5)로부터 보내져 온 피스톤압 지시값(CL1Press)과, 과거의 피스톤압 지시값(CL1Press)의 최고값(CL1PressMAX)과 비교하여(스텝 S110), CL1Press가 CL1PressMAX를 초과하고 있으면, 최대 피스톤압 유지값(CL1PressMAX)의 갱신을 행하는 것이다(스텝 S111). 예를 들어, 최대 피스톤압 유지값(CL1PressMAX)이 갱신되지 않으면, 종래의 최고값을 계속해서 유지하여, 불필요하게 높은 필요압을 사용할 가능성이 있다. 또한, 기억 장치를 별도 설치하여, 이그니션 오프 시라도 최고값을 계속해서 기억시켜도 되지만, 온도 조건에 따라서는, 피스톤압 지시값-실피스톤압의 관계가 다르므로, 불필요하게 높은 필요압을 사용할 가능성이 있어, 최고값을 계속해서 기억시키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대해, 제1 실시예의 CL1Press값 유지 처리의 경우, 최대 피스톤압 유지값(CL1PressMAX)의 초기값은, CL1 개방 필요압의 최저값을 사용하는 것으로 하고, 최대 피스톤압 유지값(CL1PressMAX)은, 이그니션 오프 시에 리셋하는 것으로 한다. 이로 인해, 불필요하게 높은 필요압을 사용하는 것이 방지된다.
이 CL1Press값 유지 처리에 있어서, 2번째 기능은, 제1 클러치(CL1)의 개방 후에 안정된 피스톤압 지시값(CL1press)을 유지하는 것이다. 이것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제1 클러치(CL1)의 개방 요구에 의해 피스톤압 지시값(CL1Press)이 상승 개시한 후, 제1 클러치(CL1)의 개방 완료 판정을 나타내는 신호인 CL1 개방 완료 플래그(CL1_Standby)가 「1」로 되는 것과, 피스톤압 지시값(CL1Press)이 0보다 큰 수치로 되고 나서 어느 시간 경과 후에 「1」로 되는 내부값 연산값인 규정 시간 경과 플래그(fTimeout)와의 OR 조건이 성립하고(스텝 S116에서 예), 안정화 후의 초기값을 상회하고 있었던 경우(스텝 S117에서 예), 안정값으로서 값을 갱신한다(스텝 S118). 여기서, CL1 개방 완료 플래그(CL1_Standby)는, 제1 클러치(CL1)의 피스톤 스트로크 센서(15)와 CL1 개방 스트로크량의 목표값을 갖고, 피스톤압 지시값(CL1Press)을 실제로 연산하는 제1 클러치 컨트롤러(5)로부터 출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규정 시간 경과 플래그(fTimeout)는, CL1 개방 완료 플래그(CL1_Standby)가 규정 시간 내에 「1」로 출력되지 않는 경우가 있었던 경우에, 그때의 피스톤압 지시값(CL1Press)을 안정값으로서 유지하는 것에 사용하므로, 현상적으로는 없는 것이 바람직하다.
[CL1 개방 필요압 출력 처리 작용]
CL1Press값 유지 처리와 동시 처리에 의해, CL1 개방 필요압 출력 처리가 행해진다. 「HEV 모드」의 선택에 의해 제1 클러치(CL1)가 체결되어 있을 때에는, 피스톤압 지시값(CL1Press)이 CL1Press=0이므로, 도 8의 흐름도에 있어서, 스텝 S201→스텝 S202→스텝 S203→종료로 진행한다. 스텝 S203에서는, CL1 개방 필요압을 제로로 하고, 「CL1 개방 필요압=0」의 정보가 AT 컨트롤러(7)에 출력된다.
그리고 피스톤압 지시값(CL1Press)이 CL1Press≠0으로 되고, fmax =0, fTimeout=0, CL1_Standby=0, fCL1PressMaX=0이라고 하는 조건이 성립하면, 도 8의 흐름도에 있어서, 스텝 S201→스텝 S202→스텝 S204→스텝 S206→스텝 S208→스텝 S210→종료로 진행한다. 스텝 S210에서는, CL1 개방 필요압이 최대 피스톤압 유지값(CL1PressMAX)으로 되고, 이 「CL1 개방 필요압=CL1PressMAX」의 정보가 AT 컨트롤러(7)에 출력된다.
그 후, 피스톤압 지시값(CL1Press)이 최대 피스톤압 유지값(CL1PressMAX)을 초과하고, 최대 피스톤압 지시 유지값 플래그(fCL1PressMAX)가 fCL1PressMAX=1로 재기입되면, 도 8의 흐름도에 있어서, 스텝 S201→스텝 S202→스텝 S204→스텝 S206→스텝 S208→스텝 S209→종료로 진행한다. 스텝 S209에서는, CL1 개방 필요압이 피스톤압 지시값(CL1Press)에 피스톤압 지시값 오프셋값(CL1PressOffset)을 더한 값으로 되고, 이 「CL1 개방 필요압=CL1Press+CL1PressOffset」의 정보가 AT 컨트롤러(7)에 출력된다.
또한, 피스톤압 지시값(CL1Press)이 최대 피스톤압 유지값(CL1PressMAX)을 초과, 혹은 최대 피스톤압 유지값(CL1PressMAX) 부근에 도달함으로써, 최대 피스톤압 플래그(fmax)가 fmax=1로 재기입되면, 도 8의 흐름도에 있어서, 스텝 S201→스텝 S202→스텝 S204→스텝 S205→종료로 진행한다. 스텝 S205에서는, CL1 개방 필요압이 피스톤압 지시값(CL1Press)으로 되고, 이 「CL1 개방 필요압=CL1Press」의 정보가 AT 컨트롤러(7)에 출력된다.
제1 클러치(CL1)의 개방 동작을 완료하여 안정 상태에 들어가고, fTimeout =1(규정 시간 경과 조건), 또는 CL1_Standby=1[제1 클러치(CL1)의 개방 완료 조건]이 성립하면, 도 8의 흐름도에 있어서, 스텝 S201→스텝 S202→스텝 S204→스텝 S206→스텝 S207→종료로 진행한다. 스텝 S207에서는, CL1 개방 필요압이 안정 피스톤압 유지값(CL1PressStab)으로 되고, 이 「CL1 개방 필요압=CL1PressStab」의 정보가 AT 컨트롤러(7)에 출력된다.
이 CL1 개방 필요압 출력 처리에 있어서, 1번째 기능은, 피스톤압 지시값(CL1Press)이 0보다 높아졌을 때, 최대 유지값인 최대 피스톤압 유지값(CL1PressMAX)을 「CL1 개방 필요압」으로서 출력하는 것이다(스텝 S210). 이와 같이, 피스톤압 지시값(CL1Press)이 0보다 높아지는 시점에서 「CL1 개방 필요압」을 냄으로써, 라인압 지시값(LPress)에 반영되어, 메인 오일 펌프(M-O/P)의 앞의 프레셔 레귤레이터 밸브(81)나, 서브 오일 펌프(S-O/P)를 제어하고, 라인압(PL)을 라인압 지시값(LPress)까지 올리려고 한다.
그러나 라인압 지시값(LPress)을 받아도 즉시 라인압(PL)은 상승하지 않고, 어느 정도 지연된 후 라인압(PL)이 상승한다. 그 원인은, 유온, 메인 오일 펌프(M-O/P)나 프레셔 레귤레이터 밸브(81)나 서브 오일 펌프(S-O/P) 등의 구성 요소의 편차, 열화에 의한 클리어런스 확대에 의한 누설량의 증대, 등을 들 수 있다. 따라서 실제로 라인압의 상승이 빨라지거나 지연되기 때문에, 라인 지시값(LPress)을 올리는 타이밍은, 적합하게 전후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단, 지나치게 빨리 내면 무용한 라인압(PL)이 높은 상태가 발생하고, 자동 변속기(AT) 내의 윤활유량이 증가하고, 결과적으로 마찰의 증대로 되어, 연비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또한, 지나치게 늦게 내면, 지시압과 실압의 지연의 관계에 의해, 실압이 피스톤압 지시값(CL1Press)의 필요압을 하회해버릴 가능성이 있어, 제1 클러치(CL1)의 개방 시간의 지연 등이 발생한다. 그들의 리스크를 생각하면, 라인압 지시값(CL1Press)이 0보다 높아졌을 때, MAX값인 최대 피스톤압 유지값(CL1PressMAX)에 의한 라인압 지시값(LPress)을 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CL1 개방 필요압 출력 처리에 있어서, 2번째 기능은, 피스톤압 지시값(CL1Press)이 최대값을 초과하면, 피스톤압 지시값(CL1Press)을 따라, 「CL1 개방 필요압」을 내리는 것이다(스텝 S205, 스텝 S209). 이것은, 지시압-실압의 지연이 발생하므로, 조금이라도 필요하지 않은 라인압을 빨리 내리기 위해, 라인압 제어에서 사용하는 「CL1 개방 필요압」 자체를, 피스톤압 지시값(CL1Press)과 동기화하고 있다. 피스톤압 지시값(CL1Press)이 최고값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는, 도 8의 흐름도 중에서, 최대 피스톤압 플래그(fmax)나, 최대 피스톤압 지시 유지값 플래그(fCL1PressMAX)라고 하는 내부 플래그를 사용하여 판정한다.
CL1 개방 필요압 출력 처리에 있어서, 3번째 기능은, 피스톤압 지시값(CL1Press)에 의해 제1 클러치(CL1)의 개방이 완료되고, 안정 상태로 되었을 때에는, 안정값의 유지값인 안정 피스톤압 유지값(CL1PressStab)을, 「CL1 개방 필요압」으로서 지시하는 것이다(스텝 S207). 2번째 기능에서, 피스톤압 지시값(CL1Press)의 최고값으로부터는, 피스톤압 지시값(CL1Press)의 값을, 「CL1 개방 필요압」으로서 출력을 출력하는 것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피스톤압 지시값(CL1Press)이 최고값에 도달하였을 때에 생기는 최대 피스톤압 플래그(fmax)가 「0」인 경우에는, 1번째 기능에 의해 최고값을 계속해서 출력하는 것으로 되어, 라인압이 높게 유지되어, 연비가 악화한다. 이로 인해, 최대 피스톤압 플래그(fmax)가 「1」이 되지 않았던 것을 상정하고, CL1 개방 완료 판정을, 통합 컨트롤러(10)가 AT 컨트롤러(7)로 송신하고 있는 CL1 개방 완료 플래그(CL1_Standby)가 「1」로 되는 것과, 피스톤압 지시값(CL1Press)이 「0」보다 큰 수치로 되고 나서 어느 시간 경과 후에 「1」로 되는 내부 연산값인 규정 시간 경과 플래그(fTimeout)와의 OR 조건에서, 안정 피스톤압 유지값(CL1PressStab)을 출력하여, 연비 악화를 방지한다.
[제1 클러치 개방 제어 작용]
상기한 바와 같이, 통합 컨트롤러(10)로부터 AT 컨트롤러(7)로 「CL1 개방 필요압」이 출력되면, 이 「CL1 개방 필요압」을 입력한 AT 컨트롤러(7)에 있어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CL1 개방 필요압」과 「T/M 입력 토크 유지 필요압」과 「최저 라인압」의 셀렉트 하이에 의해, 라인압 지시값(LPress)을 생성한다. 그리고 라인압 지시값(LPress)을 라인압 솔레노이드(80)에 출력함으로써, 라인압 제어가 행해진다.
한편, 통합 컨트롤러(10)에서 「HEV 모드」로부터 「EV 모드」로 천이하는 주행 모드 판정이 행해지면, 통합 컨트롤러(10)로부터 제1 클러치 컨트롤러(5)로 「CL1 개방 지령」이 출력되고, 이 「CL1 개방 지령」을 입력한 제1 클러치 컨트롤러(5)에 있어서, 목표 피스톤 스트로크와 피스톤 스트로크 센서(15)로부터의 실피스톤 스트로크의 편차를 없애는 피드백 제어에 의해 피스톤압 지시값(CL1Press)을 생성한다. 그리고 피스톤압 지시값(CL1Press)을 솔레노이드 밸브(61)에 출력함으로써, 제1 클러치 개방 제어가 행해진다.
따라서 피스톤 스트로크의 감시에 의한 제1 클러치 개방 제어는, 라인압 제어측에서 「CL1 개방 필요압」을 선택하였을 때의 라인압 증가 제어와 협조하면서 행해진다. 이하, 도 9에 나타내는 타임 차트를 사용하여, 일정 속도로의 주행 중에 「HEV 모드」로부터 「EV 모드」로의 모드 천이 판정에 기초하여, 제1 클러치(CL1)를 개방할 때의 제1 클러치 개방 제어 작용을 설명한다.
시각 t1에서 피스톤압 지시값(CL1Press)이, CL1Press≠0으로 되어 피스톤압의 상승이 개시되면, 동일 타이밍의 시각 t1에서, 과거의 최대 유지값인 최대 피스톤압 유지값(CL1PressMAX)에 의한 「CL1 개방 필요압」이 출력되는 동시에, 「CL1 개방 필요압」에 대응하는 라인압 지시값(LPress)이 출력된다. 그리고 시각 t2에서 피스톤압이 최대압으로 되고, 피스톤압 지시값(CL1Press)이 최대 피스톤압 유지값(CL1PressMAX)을 초과하면, 그 후 피스톤압 지시값(CL1Press)이 서서히 내려가는 것을 따라 「CL1 개방 필요압」이 서서히 내려간다. 이 최대 피스톤압 지시값 플래그(fCL1PressMAX)가, 「0」에서 「1」로 재기입되는 시각 t2로부터 제1 클러치(CL1)의 개방 완료가 판정되는 시각 t3까지는, 「CL1 개방 필요압」이 서서히 내려가는 것에 추종하여, 라인압 지시값(LPress)과 라인압 실제값은, 서서히 저하되는 특성을 나타낸다. 그리고 시각 t3에서 CL1 개방 완료 판정 플래그(CL1_Standby)가, 「0」에서 「1」로 재기입되면, 「CL1 개방 필요압」으로서, 안정 피스톤압 유지값(CL1PressStab)을 출력함으로써, 라인압 지시값(LPress)과 라인압 실제값은, 「CL1 개방 필요압」에 추종하여, 보합 특성을 나타낸다.
따라서, 예를 들어 유압 관계 부품의 시일성 열화 등을 원인으로 하여 피스톤압이 저하되면, 제1 클러치(CL1)의 개방 시, 「CL1 개방 필요압」이, 「T/M 입력 토크 유지 필요압」과 「최저 라인압」의 셀렉트 하이에 의한 기준 라인압을 초과하는 경험을 한다. 이 경험을 하면, 차회 이후에 제1 클러치(CL1)의 개방을 행할 때, 적어도 피스톤압이 기준 라인압에 도달하기 전의 타이밍에서, 미리 라인압을 기준 라인압보다 높이는 라인압 증가 제어가 개시된다. 이와 같이, 라인압 부족을 경험하면, 이 경험에 기초하여, 사전에 라인압 증가 제어를 개시하는 학습 제어를 행하므로, 제1 클러치(CL1)의 개방 시, 라인압 상승의 지연이 해소되어, 제1 클러치(CL1)의 개방의 리스폰스를 높일 수 있다.
이 라인압 증가 제어는, 적어도 피스톤압이 기준 라인압에 도달하기 전에 개시하고, 이 개방 동작에 있어서 피스톤압이 저하되면 라인압을 기준 라인압으로 복귀시킴으로써 종료한다. 즉, 필요한 타이밍에서 필요한 기간만 일시적으로 라인압을 증가하는 제어이고, 기준 라인압을 증가측으로 시프트시키는 제어는 아니다. 이로 인해, 제1 클러치(CL1)의 개방 시, 「CL1 개방 필요압」이 기준 라인압을 초과하는 경험을 거듭해도, 기준 라인압의 설정 변경을 필요로 하지 않아, 피스톤압의 증가분을 예상하여 기준 라인압을 높게 설정하는 경우에 비해, 불필요한 에너지 손실이 억제된다.
[라인압 증가 제어의 개시 타이밍의 설정 작용]
상기한 바와 같이, 제1 클러치 개방 제어에서는, 「CL1 개방 필요압」의 정보를 통합 컨트롤러(10)에 의해 생성하면, 이것을 AT 컨트롤러(7)에 출력함으로써, 「CL1 개방 필요압」을 입력한 AT 컨트롤러(7)에 있어서, 「CL1 개방 필요압」을 선택하여 라인압 지시값(LPress)을 정하고, 라인압 증가 제어를 행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통합 컨트롤러(10)에 의해 생성한 「CL1 개방 필요압」의 정보를, 불필요한 에너지 손실을 억제하면서, 제1 클러치(CL1)의 리스폰스가 좋은 개방 동작을 확보하기 위해, 필요한 타이밍에서 필요한 기간에만 한하여, AT 컨트롤러(7)에 제시하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이로 인해, 「CL1 개방 필요압」의 제시 개시 타이밍과 제시 종료 타이밍을 어떻게 정할 것인지가 중요해진다.
따라서 「CL1 개방 필요압」의 제시 개시 타이밍을 생각하면, 피스톤압의 증가 개시 타이밍의 전부터, 피스톤압의 증가 개시 타이밍의 후까지의 동안의 시간 폭 범위 내 중 어느 하나의 타이밍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 라인압 지시값(LPress)과 라인압 실제값의 응답 지연을 예측하여, 피스톤압의 증가 개시 타이밍의 전후의 시간 폭 범위 내에서 라인압 증가 제어를 개시함으로써, 확실하게 「CL1 개방 필요압」을 확보할 수 있다. 여기서, 라인압 증가를 개시시키는 타이밍을, 피스톤압[=피스톤압 지시값(CL1press)]의 증가 개시 타이밍 전으로 설정하는 경우로서, 예를 들어 「EV 모드」로의 모드 천이 판정 타이밍과 같이, 제1 클러치(CL1)의 개방[엔진(Eng)과 모터/제너레이터(MG)의 차단]이 필요한 것을 안 타이밍에서, 사전에 라인압을 증가시켜도 된다. 또한, 라인압 증가를 개시시키는 타이밍을, 피스톤압[=피스톤압 지시값(CL1press)]의 증가 개시 타이밍의 후에 설정하는 경우로서, 예를 들어 도 9에 기재된 유압 곡선에 있어서, 라인압 실제값이 피스톤압 실제값의 곡선을 하회하지 않는 범위에서, 라인압의 증가 개시 타이밍을 피스톤압의 증가 개시 타이밍의 후로 늦추어도 된다. 라인압 증가 개시 타이밍이 너무 늦으면, 라인압 실제값의 곡선의 피크가 지연되어버려, 이 경우에는 피스톤압(CL1press) 실제값이 「CL1 개방 필요압」에 도달할 수 없다. 라인압 실제값의 증가 곡선은, 유압 경로 길이나 작동유의 점도 등의 조건에 의해 바뀌므로, 라인압 증가 개시 타이밍을 피스톤압의 증가 개시 타이밍의 후로 늦추는 경우에는, 미리 실험 등에 의해, 피스톤압(CL1press) 실제값이 확실하게 「CL1 개방 필요압」에 의한 라인압 실제값에 도달하도록 라인압의 증가 개시 타이밍을 구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실시예에서는, 피스톤압을 나타내는 피스톤압 지시값(CL1Press)의 증가 개시 타이밍에 맞추어 「CL1 개방 필요압」의 지시를 개시(라인압 증가 제어를 개시)하고 있다. 그 이유를 설명하면, 피스톤압 지시값(CL1Press)의 증가 타이밍보다 전에 라인압 지시값(LPress)을 증가시키면, 불필요한 기간까지 라인압이 증가하고, 라인압 증가에 기초하는 윤활유량의 증가에 의한 마찰 증가로 되어 에너지 손실의 증대를 초래한다. 한편, 피스톤압 지시값(CL1Press)의 증가 타이밍보다 후에 라인압 지시값(LPress)을 증가시키면, 라인압의 상승을 늦출 수 있고, 불필요한 라인압 증가에 기초하는 윤활유량의 증가에 의한 마찰 증가를 억제할 수 있어 에너지 손실이 저하되지만, 제1 클러치(CL1)의 개방 필요압을 확보할 수 없는 가능성이 나온다. 이에 대해, 피스톤압 지시값(CL1Press)의 증가 타이밍과 동시에 라인압 지시값(LPress)을 증가시키면, 에너지 손실의 증대를 초래하는 일 없이, 제1 클러치(CL1)의 개방 필요압을 확보할 수 있다고 하는, 서로의 리스크가 없는 최적점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제1 실시예에서는, 「EV 모드」로부터 「HEV 모드」로의 모드 천이 판정에 기초하여, 피스톤압 지시값(CL1Press)이 CL1Press≠0으로부터 CL1Press=0으로 되는 타이밍에 맞추어 「CL1 개방 필요압」의 지시를 종료(라인압 증가 제어를 종료)하도록 하고 있다.
다음에, 효과를 설명한다.
제1 실시예의 FR 차량의 제어 장치에 있어서는, 하기에 열거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 구동원[엔진(Eng)]과 좌우 후륜(RL, RR)(구동륜) 사이에 개재 장착한 유압 클러치[제1 클러치(CL1)]와, 라인압(PL)을 원압으로 한 유압에 의해 구동 제어되는 자동 변속기(AT)를 구비하고, 상기 유압 클러치[제1 클러치(CL1)]는, 상기 라인압(PL)을 원압으로 하여 클러치 유압 제어 밸브[제1 클러치 유압 제어 밸브(6)]에 의해 피스톤압을 만들어 내고, 이 피스톤압을 클러치 개방 유압으로 하고, 실피스톤 스트로크 위치가 목표 위치에 일치하도록 상기 피스톤압을 제어함으로써 클러치 유압 액추에이터[제1 클러치 유압 액추에이터(14)]를 스트로크 동작시켜 상기 유압 클러치를 개방하는 차량(FR 하이브리드 차량)의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압 클러치[제1 클러치(CL1)]의 개방 동작 이외의 동작을 확보하는 필요 유압에 기초하여 정한 라인압(PL)을 기준 라인압으로 하였을 때, 상기 유압 클러치[제1 클러치(CL1)]의 개방 시, 클러치 개방 필요압이 기준 라인압을 초과하는 경험을 한 경우, 차회 이후에 상기 유압 클러치[제1 클러치(CL1)]의 개방을 행할 때, 적어도 상기 피스톤압이 기준 라인압에 도달하기 전에, 미리 라인압(PL)을 기준 라인압보다 높이는 라인압 증가 제어를 개시하고, 이 개방 동작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압이 저하되면 라인압(PL)을 저하시키는 클러치 개방 제어부(도 6, 도 7, 도 8)를 설치하였다.
이로 인해, 클러치[제1 클러치(CL1)] 개방 시, 불필요한 에너지 손실을 억제하면서, 클러치 개방 필요압(CL1 개방 필요압)의 변동에 관계없이, 클러치 개방의 리스폰스를 높일 수 있다.
(2) 상기 클러치 개방 제어부(도 7, 도 8)는, 라인압(PL)을 증가시키는 타이밍을, 피스톤압[피스톤압 지시값(CL1Press)]의 증가 개시 타이밍에 대해, 그 타이밍의 전후를 포함하는 소정의 시간 폭의 범위 내로 설정하였다. 이로 인해, 상기 (1)의 효과에 더하여, 라인압(PL)을 증가시키는 타이밍을, 라인압 지시값(LPress)과 라인압 실제값의 유압 응답 지연을 예측하여, 제1 클러치(CL1)의 개방 필요압을 확보할 수 있는 타이밍으로 설정할 수 있다.
(3) 상기 클러치 개방 제어부(도 7, 도 8)는, 라인압(PL)을 증가시키는 타이밍을, 피스톤압[피스톤압 지시값(CL1Press)]의 증가 개시 타이밍에 맞추어 설정하였다.
이로 인해, 상기 (2)의 효과에 더하여, 라인압(PL)을 증가시키는 타이밍을, 에너지 손실의 증대를 초래하는 일 없이, 제1 클러치(CL1)의 개방 필요압을 확보할 수 있는 최적의 타이밍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차량의 제어 장치를 제1 실시예에 기초하여 설명해 왔지만,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이 제1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특허청구의 범위의 각 청구항에 관한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한, 설계의 변경이나 추가 등은 허용된다.
제1 실시예에서는, 기준 라인압을, 자동 변속기(AT)에서 변속에 사용하는 마찰 체결 요소의 체결ㆍ개방 동작을 확보하는 필요 유압에 기초하여 정하는 예를 나타냈다. 그러나 기준 라인압은, 구동원과 구동륜 사이에 자동 변속기 이외의 동력 분할 기구나 클러치 기구 등을 갖는 경우, 이들 기구의 동작을 확보하는 필요 유압에 기초하여 정하도록 해도 된다.
제1 실시예에서는, 라인압 증가 제어의 개시 타이밍을, 피스톤압 지시값(CL1Press)의 증가 개시 타이밍에 맞추어 설정하는 예를 나타냈다. 그러나 라인압 증가 제어의 개시 타이밍을, 피스톤압 또는 피스톤압 지시값(CL1Press)의 증가 개시 타이밍에 대해, 그 타이밍의 전후를 포함하는 소정의 시간 폭의 범위 내로 설정해도 된다. 요컨대, 유압 클러치의 개방을 행할 때, 클러치 개방 유압이 기준 라인압에 도달하기 전에, 미리 라인압을 기준 라인압보다 높이는 라인압 증가 제어를 개시하고, 이 개방 동작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압이 저하되면 라인압을 기준 라인압으로 복귀시키는 것이면, 구체적인 라인압 증가 제어의 개시 타이밍과 종료 타이밍은, 제1 실시예의 타이밍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실시예에서는, 통합 컨트롤러(10)에 있어서, 제1 클러치 컨트롤러(5)로부터의 피스톤압 지시값(CL1Press)을 입력하여 「CL1 개방 필요압」을 생성하고, 생성한 「CL1 개방 필요압」을 AT 컨트롤러(7)로 보내는 예를 나타냈다. 그러나 제1 클러치 컨트롤러(5)나 AT 컨트롤러(7)에 있어서, 「CL1 개방 필요압」을 생성하여, 라인압 제어를 행하는 예이어도 된다.
제1 실시예에서는, 「1 모터+2 클러치」의 FR 하이브리드 차량에 대한 적용 예를 나타냈다. 그러나 「1 모터+2 클러치」의 FF 하이브리드 차량에 대한 적용 예로 해도 되고, 또한 제1 실시예의 제2 클러치(CL2)나 자동 변속기(AT)를 없앤 하이브리드 차량에 대한 적용예이어도 된다. 또한, 구동원과 구동륜 사이에 유압 클러치와 다른 유압 동작 기구를 갖는 전기 자동차나 엔진 차량에 대한 적용예이어도 된다.
제1 실시예에서는, 발진 클러치인 제2 클러치(CL2)로서, 자동 변속기(AT)에 내장되는 마찰 체결 요소 중 하나를 유용하는 예를 나타냈다. 그러나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터/제너레이터(MG)와 자동 변속기(AT) 사이에 독립된 제2 클러치(CL2)를 배치하는 예이어도 된다. 또한,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동 변속기(AT)와 구동륜(RL, RR) 사이에 독립된 제2 클러치(CL2)를 배치하는 예이어도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관한 제어 장치에 있어서는, 예를 들어 유압 관계 부품의 시일성 열화 등을 원인으로 하여 피스톤압이 저하되면, 유압 클러치의 개방 시, 클러치 개방 필요압이 기준 라인압을 초과하는 경험을 한다. 이 경험을 하면, 차회 이후에 유압 클러치의 개방을 행할 때, 적어도 피스톤압이 기준 라인압에 도달하기 전에, 미리 라인압을 기준 라인압보다 높이는 라인압 증가 제어가 개시된다. 이와 같이, 라인압 부족을 경험하면, 이 경험에 기초하는 학습 제어에 의해, 사전에 라인압 증가 제어를 개시하기 위해, 클러치 개방 시, 라인압 상승의 지연이 해소되어, 클러치 개방의 리스폰스가 높아진다.
이 라인압 증가 제어는, 적어도 피스톤압이 기준 라인압에 도달하기 전에 개시하고, 이 개방 동작에 있어서 피스톤압이 저하되면 라인압을 저하시킴으로써 종료한다. 즉, 필요한 타이밍에서 필요한 기간만 일시적으로 라인압을 증가하는 제어이고, 기준 라인압을 증가측으로 시프트시키는 제어는 아니다. 이로 인해, 클러치 개방 시, 클러치 개방 필요압이 기준 라인압을 초과하는 경험을 거듭해도, 기준 라인압의 설정 변경을 필요로 하지 않아, 피스톤압의 증가분을 예상하여 기준 라인압을 높게 설정하는 경우에 비해, 불필요한 에너지 손실이 억제된다. 이 결과, 클러치 개방 시, 불필요한 에너지 손실을 억제하면서, 클러치 개방 필요압의 변동에 관계없이, 클러치 개방의 리스폰스를 높일 수 있다.

Claims (3)

  1. 구동원과 구동륜 사이에 개재 장착한 유압 클러치와, 라인압을 원압으로 한 유압에 의해 구동 제어되는 자동 변속기를 구비하고, 상기 유압 클러치는, 상기 라인압을 원압으로 하여 클러치 유압 제어 밸브에 의해 피스톤압을 만들어 내고, 이 피스톤압을 클러치 개방 유압으로 하고, 실피스톤 스트로크 위치가 목표 위치에 일치하도록 상기 피스톤압을 제어함으로써 클러치 유압 액추에이터를 스트로크 동작시켜 상기 유압 클러치를 개방하는 차량의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압 클러치의 개방 동작 이외의 동작을 확보하는 필요 유압에 기초하여 정한 라인압을 기준 라인압이라고 하였을 때, 상기 유압 클러치의 개방 시, 적어도 상기 피스톤압이 기준 라인압에 도달하기 전에, 미리 라인압을 기준 라인압보다 높이는 라인압 증가 제어를 개시하고, 이 개방 동작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압이 저하되면 라인압을 저하시키는 클러치 개방 제어부를 설치한, 차량의 제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 개방 제어부는, 라인압을 증가시키는 타이밍을, 피스톤압의 증가 개시 타이밍에 대해, 그 타이밍의 전후를 포함하는 소정의 시간 폭의 범위 내로 설정한, 차량의 제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 개방 제어부는, 라인압을 증가시키는 타이밍을, 피스톤압의 증가 개시 타이밍에 맞추어 설정한, 차량의 제어 장치.
KR1020127009692A 2009-10-14 2010-10-13 차량의 제어 장치 KR1012970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237194 2009-10-14
JP2009237194 2009-10-14
PCT/JP2010/067906 WO2011046124A1 (ja) 2009-10-14 2010-10-13 車両の制御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7650A KR20120057650A (ko) 2012-06-05
KR101297039B1 true KR101297039B1 (ko) 2013-08-14

Family

ID=438761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09692A KR101297039B1 (ko) 2009-10-14 2010-10-13 차량의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347500B2 (ko)
EP (1) EP2489896B1 (ko)
JP (1) JP5240366B2 (ko)
KR (1) KR101297039B1 (ko)
CN (1) CN102612610B (ko)
WO (1) WO201104612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80068B2 (en) * 2011-11-25 2017-02-28 Nissan Motor Co., Ltd. Hybri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
MX352107B (es) * 2012-01-19 2017-11-09 Nissan Motor Dispositivo de control y metodo de control para vehiculo de accionamiento hibrido.
JP5983871B2 (ja) * 2013-05-21 2016-09-0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ブレーキ装置
JP6020724B2 (ja) * 2013-07-02 2016-11-02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クラッチ油圧システム
KR101510343B1 (ko) * 2013-10-31 2015-04-07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방전지향모드 제어장치 및 방법
JP6420653B2 (ja) * 2014-12-11 2018-11-07 株式会社エフ・シー・シー ハイブリッド車両の動力伝達装置
KR101806671B1 (ko) * 2016-03-10 2017-12-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차량의 라인압 제어방법
US10677319B2 (en) * 2016-10-31 2020-06-09 Century Drive Systems Gear drive for air driven vehicles
KR102564006B1 (ko) * 2016-12-12 2023-08-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차량의 엔진클러치 누유 진단 방법
KR20180086782A (ko) * 2017-01-23 2018-08-0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차량의 주행 제어 방법
DE102017214787A1 (de) * 2017-08-23 2019-02-28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Impulsstart in einem Hybrid-Antriebsstrang
KR102451896B1 (ko) * 2017-12-18 2022-10-06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동적 교통정보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차량의 주행 제어 방법
JP7172239B2 (ja) * 2018-07-24 2022-11-1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駆動装置
JP7103442B2 (ja) * 2019-02-06 2022-07-20 株式会社アイシン 車両用駆動装置の制御装置
JP7259667B2 (ja) 2019-09-17 2023-04-1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燃料電池スタックの車両搭載構造及び車両搭載方法
CN113389895B (zh) * 2021-05-24 2022-09-02 中国十七冶集团有限公司 一种平稳结合快速分离的离合器控制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86758A (ja) 1998-12-21 2000-07-04 Mitsubishi Motors Corp 動力伝達装置用油圧供給装置
JP2002349309A (ja) 2001-05-18 2002-12-04 Honda Motor Co Ltd ハイブリッド車の駆動制御装置
KR20030069087A (ko) * 2002-02-18 2003-08-25 아이신에이더블류 가부시키가이샤 차량의 제어장치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98243B2 (ja) * 1993-07-08 2002-07-02 株式会社デンソー 自動変速機の油圧制御装置
JPH1182561A (ja) * 1997-09-16 1999-03-26 Denso Corp 自動クラッチ制御装置及び記憶媒体
JP3840829B2 (ja) * 1998-09-14 2006-11-0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のエンジン再始動時の制御装置
US6176808B1 (en) * 1999-07-15 2001-01-23 Ford Global Technologies, Inc. Hybrid vehicle powertrain and control therefor
JP2001343032A (ja) * 2000-06-01 2001-12-14 Komatsu Ltd クラッチ又はブレーキの流体圧力制御弁装置及び流体圧力制御方法
JP3928579B2 (ja) * 2003-04-21 2007-06-1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流体圧制御回路
US9611906B2 (en) * 2007-08-02 2017-04-04 Honda Motor Co., Ltd. Hydraulic vehicle clutch system and method
DE102007054726B3 (de) * 2007-11-14 2009-07-23 Getrag Ford Transmissions Gmbh Verfahren zur Festlegung eines Befülldruckes für eine Kupplung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86758A (ja) 1998-12-21 2000-07-04 Mitsubishi Motors Corp 動力伝達装置用油圧供給装置
JP2002349309A (ja) 2001-05-18 2002-12-04 Honda Motor Co Ltd ハイブリッド車の駆動制御装置
KR20030069087A (ko) * 2002-02-18 2003-08-25 아이신에이더블류 가부시키가이샤 차량의 제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489896A4 (en) 2018-04-11
EP2489896A1 (en) 2012-08-22
US9347500B2 (en) 2016-05-24
KR20120057650A (ko) 2012-06-05
JPWO2011046124A1 (ja) 2013-03-07
CN102612610B (zh) 2015-04-08
US20120199437A1 (en) 2012-08-09
JP5240366B2 (ja) 2013-07-17
CN102612610A (zh) 2012-07-25
EP2489896B1 (en) 2019-06-12
WO2011046124A1 (ja) 2011-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7039B1 (ko) 차량의 제어 장치
KR101580693B1 (ko) 하이브리드 차량의 제어 장치
US8108115B2 (en) Vehicle control device
JP5168600B2 (ja) 制御装置
EP2277757B1 (en) Hybrid vehicle start stop control device
KR101725546B1 (ko) 차량의 오일 펌프 제어 장치
JP5501937B2 (ja) ハイブリッド車両の制御装置
US10576965B2 (en) Starting control device for vehicle and starting control method
US9156468B2 (en) Control device for hybrid vehicle
KR101778802B1 (ko) 유압 제어 장치와 유압 제어 장치의 에어 배출 방법
US10837547B2 (en) Oil pressure control device for vehicle and oil pressure control method
KR101496104B1 (ko) 차량의 제어 장치
KR20100109421A (ko) 하이브리드 차량의 제어 장치
EP3276220A1 (en) Vehicular hydraulic control device and hydraulic control method
US9365205B2 (en) Hydraulic pressure control device for transmission
WO2013108847A1 (ja) 車両用駆動装置の制御装置
CN107429824B (zh) 车辆用油压控制装置及车辆用油压控制方法
US20140163845A1 (en) Hydraulic accumulator fill estimation for controlling automatic engine stop/start
KR101795976B1 (ko) 자동 변속기의 유압 제어 장치
CN111051168B (zh) 车辆的控制装置以及车辆的控制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