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6260B1 - 유아용 보조시트를 갖는 차량의 리어시트 - Google Patents

유아용 보조시트를 갖는 차량의 리어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6260B1
KR101296260B1 KR1020110106587A KR20110106587A KR101296260B1 KR 101296260 B1 KR101296260 B1 KR 101296260B1 KR 1020110106587 A KR1020110106587 A KR 1020110106587A KR 20110106587 A KR20110106587 A KR 20110106587A KR 101296260 B1 KR101296260 B1 KR 1012962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infant
auxiliary
cushion
chi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65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42339A (ko
Inventor
윤종현
Original Assignee
한일이화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일이화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일이화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065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6260B1/ko
Publication of KR201300423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23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62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62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84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with protection systems against abnormal g-for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21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having a seat and a base pa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유아용 보조시트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시트쿠션과 시트백을 포함하고, 시트백에 어린이나 유아가 착석하기 위한 보조시트가 구비되는 차량용 리어시트에 있어서, 상기 보조시트는, 상기 시트백에 형성되는 제1수용홈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보조쿠션과, 상기 제1수용홈의 양측에서 상측까지 형성되는 제2수용홈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보호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보조쿠션에 어린이이나 유아가 착석 후에, 어린이나 유아의 몸통부를 둘러싸도록 구성됨으로써, 리어시트에 유아의 탑승시 유아가 착석하고 유아를 보호하기 위한 유아 보조시트가 구비됨으로, 별도의 유아시트를 구매하지 않아도 되므로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유아의 상체를 감싸서 보호하는 보호부재에 차량의 충돌시 발생되는 충격을 저감하기 위한 충격감쇄부가 구비되므로, 유아를 이중으로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유아용 보조시트를 갖는 차량의 리어시트 {CAR REAR SEAT HAVING INFANT SEAT}
본 발명은 자동차의 리어 시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에 유아가 탑승할 때 유아가 착석하기 위한 유아용 보조시트를 리어시트에 일체로 구비하여, 별도의 유아용 보조시트가 필요없는 유아용 보조시트를 갖는 차량의 리어시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용 시트는 운전자 또는 탑승자가 편안한 자세로 앉게 있도록 함으로써, 장거리 여행시에도 피로를 느끼지 않도록 되어 있는 것으로, 이러한 시트는 탑승자의 하중을 지지하고, 실내의 바닥면에 앞뒤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시트쿠션과, 이 시트쿠션에 대하여 일정각도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탑승자의 등을 지지하는 시트백으로 크게 구성된다.
시트는 탑승자 한사람 한사람을 위한 버킷 시트(bucket seat)와, 두 명 이상의 탑승자가 동시에 앉을 수 있는 벤치 시트(bench seat)로 대별되고 있다.
버킷 시트는 탑승자 한사람 한사람을 위하여 탑승자의 몸이 편안한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쿠션 시트이다. 이러한 버킷 시트는 대부분이 자동차의 프런트 시트에 채택되어 장착되고 있다.
벤치 시트는 벤치 모양의 시트로서 버킷 시트와는 대조적으로 쓰이는 시트를 말하고, 승용차용의 경우 뒤좌석의 시트로 채택되어 장착되고 있다.
또한, 버킷 시트 및 벤치 시트의 시트백 상단에는 헤드 레스트(head restraint)가 설치되는데, 이 헤드 레스트는 시트의 시트백 위에 탑승자의 머리를 지지하기 위하여 설치된 베개와 같은 것으로, 차량의 충돌시 탑승자 목의 부상 방지와 머리 부분을 편안하게 하기 위하여 설치된다.
이러한 헤드 레스트는 시트백과 일체로 되어 있는 것과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어 높이의 조절이 가능한 것으로 분류된다.
근래에 들어 여가활동이 대중화됨에 따라 모든 가족이 함께 차량으로 장거리 여행을 하는 경우가 많게 된다.
특히, 가족 중에 어린이와 함께 탑승하여 장거리 여행을 하게 되는데, 이때 어린이들은 상당한 애로사항이 발생하게 된다.
통상, 자동차의 실내 구조물은 성인의 체격에 기준으로 하여 설계되어 적용된 것으로, 어린이가 탑승하게 되는 시트는 어린이가 착석하기에는 좌,우에 많이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시트에 착석한 어린이의 체격에 맞는 시트벨트가 없으므로, 주행중 코너링을 할 경우에는 관성으로 인하여 시트에 착석한 어린이는 한쪽으로 쏠려서 시트에서 구르거나 측벽에 머리를 부딪쳐 부상을 당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이를 방지하고자, 탑승자는 별도의 유아용 카시트를 구매하여 리어시트에 장착하여 사용하여야 하는 것이다.
이러한 유아용 카시트는 자동차 시트에 장착하기가 매우 번거로워서 필요할 때마다 장착하기에는 어려움이 따르고, 대부분은 한번 설치 이후에 분리시키기 않고 시트에 설치한 상태로 운행을 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유아용 카시트는 가격이 매우 고가(高價)인데 반하여 사용기간이 매우 짧고, 유아가 성장한 이후에는 다른 용도로 사용할 수 없고, 보관상의 이유로 대부분 되팔거나 폐기처분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리어시트에 유아용 시트를 구성하고, 이 유아용 시트에 충격 흡수구조를 구비하여, 유아가 탑승할 때마다 별도의 카시트를 설치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결할 수 있으며, 차량의 충돌시 유아로 충격이 가해지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는 유아용 보조시트를 가지는 자동차의 리어시트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시트쿠션과 시트백을 포함하고, 시트백에 어린이나 유아가 착석하기 위한 보조시트가 구비되는 차량용 리어시트에 있어서, 상기 보조시트는, 상기 시트백에 형성되는 제1수용홈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보조쿠션과, 상기 제1수용홈의 양측에서 상측까지 형성되는 제2수용홈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보호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보조쿠션에 어린이이나 유아가 착석 후에, 어린이나 유아의 몸통부를 둘러싸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호부재는, 상기 제2수용홈의 양측 하단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는 한 쌍의 고정부재와, 상기 한 쌍의 고정부재에 연결되며, 상기 보조쿠션에 착석하는 영유아의 몸통부를 감싸도록 구성되는 몸통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와 몸통부재 사이에 구비되어, 차량의 충돌시 발생되는 충격을 감쇄시키기 위한 충격감쇄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충격감쇄부는, 상기 고정부재의 양단에 돌출 형성되는 결합돌부와, 상기 고정돌부에 착탈되는 걸림턱부와, 상기 한 쌍의 몸통부재에 형성되는 결합홈과, 상기 결합홈에 결합되는 결합돌부에 끼워지며, 상기 결합홈과 걸림턱부에 탄력지지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몸통부재와 고정부재는, 그 외측면이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스펀지나 솜으로 덮여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리어시트에 유아의 탑승시 유아가 착석하고 유아를 보호하기 위한 유아 보조시트가 구비됨으로, 별도의 유아시트를 구매하지 않아도 되므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유아의 상체를 감싸서 보호하는 보호부재에 차량의 충돌시 발생되는 충격을 저감하기 위한 충격감쇄부가 구비되므로, 유아를 이중으로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에 유아용 보조시트가 구비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단면도.
도 3은 도 1의 유아용 보조시트에 구비된 충격 흡수 수단을 보인 단면도.
도 4는 도 1의 유아용 보조 시트의 사용상태를 보인 도면.
도 5는 도 1에서 유아용 보조시트에서 보호부재를 보인 분해사시도.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에 유아용 보조시트가 구비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유아용 보조시트에 구비된 충격 흡수 수단을 보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유아용 보조 시트의 사용상태를 보인 도면이고, 도 5는 도 1의 유아 보조시트에서 보호부재를 보인 분해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리어시트(100)는 시트백(110)과 시트쿠션(120)으로 구성되되, 시트백에 유아가 착석하기 위한 보조시트(200)를 더 포함하되, 보조시트(200)는, 보조쿠션(210), 보호부재(220), 충격 감쇄부(230)를 포함한다.
리어시트(100)는 운전석과 조수석과는 다르게 각각 별도로 구비되지 않고, 2-3인의 탑승자가 착석할 수 있도록 길게 구비되며, 시트백(110)과 시트쿠션(120)으로 크게 구성된다.
리어시트(100)는 탑승자의 팔을 올리기 위한 암레스트와 같은 편의 장치를 포함하고 있고,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유아의 탑승시 유아가 착석하기 위한 유아용 보조시트(200)를 더 포함하고 있다.
여기서, 유아용 보조시트(200)는 차량에 탑승한 유아나 어린이가 착석하고, 몸통부를 감싸서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보조쿠션(210), 보호부재(220), 충격 감쇄부(230)를 포함한다.
보조쿠션(210)은 리어시트(100)의 시트백(110)에 형성되는 제1수용홈(111)에 일단이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어, 미사용시 제1수용홈(111)에 수용되고, 사용시에는 차량의 전방으로 회동되어 시트쿠션(120)의 윗면에 놓이도록 구성된다.
보조쿠션(210)의 하단 양측부가 제1수용홈(111)의 하단 양측면에 핀부재로 결합되어 회동되는 구조이다. 즉, 유아의 탑승시 보조쿠션(210)을 회동시켜 리어시트(100)의 시트쿠션(120)에 밀착시켜 평평하게 한 후에 유아를 보조쿠션(210)에 착석시키는 것이다.
또한, 보조쿠션(210)은 미사용시 제1수용홈(111)에 수용되고, 차량의 주행시 제1수용홈(111)에서 보조쿠션(210)이 이탈되지 않도록 꽉 끼워지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보조쿠션(210)은 제1수용홈(111)에 수용되면, 보조쿠션(210)과 시트백(110)이 평평한 상태의 동일한 면으로 구성된다.
또한, 보조쿠션(210)이 수용되는 제1수용홈(111)의 상측에는 제1수용홈(111)에 수용된 보조쿠션(210)의 상단부를 잡아당길 수 있도록 손가락이 끼워져 보조쿠션(210)을 잡을 수 있는 파지홈부(112)가 연장 형성된다.
그리고, 제1수용홈(111)의 양측에서 상측까지 절개되어, 제2수용홈(112)이 형성되며, 이 제2수용홈(112)에 보호부재(220)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여기서, 보호부재(220)는 대략 "U"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양단부가 제2수용홈(112)의 양측 하부에 핀부재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사용시 유아의 몸통부를 둘러싸도록 구성된다.
즉, 유아가 보조쿠션(210)에 착석하면, 보호부재(220)를 회동시켜서 유아의 몸통부를 둘러싸서 유아의 전방과 양측면을 지지하여, 차량의 주행시 차량의 급선회나 유동에 의해 유아가 보조시트(200)에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러한, 보호부재(220)는 제2수용홈(112)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되, 제1수용홈의 양측에 구비되는 제2수용홈(112)의 하단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는 한 쌍의 고정부재(221)와, 한 쌍의 고정부재(221)에 양단이 각각 연결되는 몸통부재(222)를 포함한다.
한 쌍의 고정부재(221)는 일단부가 제2수용홈(112)의 양측 하단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 고정되되, 미사용시에는 제2수용홈(112)에 수용되도록 구성된다. 즉, 고정부재(221)는 사용시에 하단부를 중심으로 시트의 전방으로 회동되어, 수평상태가 되도록 고정부재(221)의 제2수용홈(112)의 하측면에 지지되도록 구성된다.
몸통부재(222)는 "U"자 형상으로 형성되되, 그 양단이 각각 한 쌍의 고정부재(221)에 고정된다. 몸통부재(222)는 보조쿠션(210)에 착석한 유아의 상체 앞과 양측을 둘러싸서 보호하도록 구성되므로, 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몸통부재(222)의 단면을 원형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사각, 마름모, 삼각 등 다양한 형상으로 변경하여 적용할 수 있으며, 이렇게 사각, 마름모, 삼각 등의 형상으로 형성될 경우에는 모서리부분을 곡면으로 처리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몸통부재(222)와 고정부재(221) 사이에는 차량의 충돌시 유아가 몸통부재(222)에 부딪히는 충격을 저감시키기 위한 충격감쇄부(230)가 구비된다.
충격감쇄부(230)는 고정부재(221)의 단부에 돌출 형성되는 결합돌부(231)와, 몸통부재(222)의 단부에 형성되는 결합홈(232)과, 결합돌부(231)에 끼워져 결합홈(232)의 일측에 지지되는 탄성부재(233)를 포함한다.
결합돌부(231)는 고정부재(221)의 단부에 돌출 형성되되, 그 단부에는 외주에 끼워지는 탄성부재(233)의 이탈을 방지하는 걸림부(231a)가 구비된다.
여기서 걸림부(231a)는 결합돌부(231)의 단부에 나사 결합으로 착탈되도록 구성된다. 즉, 결합돌부(231)의 단부에 수나사가 형성되고, 걸림부(231a)에는 암나사가 형성되어 상호 나사결합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탄성부재(233)는 결합돌부(231)에 끼워져서 일단이 걸림부(231a)에 지지되고, 타단이 결합홈(232)의 일측에 지지되도록 구성된다.
즉, 차량 충돌시 유아가 몸통부재(222)에 부딪히면 몸통부재(222)가 고정부재(221)에서 일정길이만큼 빠진 후에 고정되는데, 이때, 탄성부재(233)는 압축되면서 차량의 충돌에 의하여 유아가 몸통부재(222)에 부딪힐 때 가해지는 충격을 감쇄시키게 되는 것이다.
여기에서, 몸통부재(222)와 고정부재(221)의 외측면에는 유아가 몸통부재(222)와 고정부재(221)에 부딪힐 때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우레탄, 솜, 스폰지 등이 덮여서 가죽이나 천으로 보호되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유아용 보조시트에 대한 작용을 간략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차량의 리어시트(100)에는 유아를 착석하기 위한 보조시트(200)를 구성하는 보조쿠션(210)과 보호부재(220)가 리어시트(100)의 시트백(110)에 형성되는 형성되는 제1수용홈(111)과 제2수용홈(112)에 끼워져 미사용상태로 있게 된다.
이때, 차량에 유아나 어린이가 함께 탑승하게 되면, 제1수용홈(111)에 수용된 보조쿠션(200)을 회동시켜 리어시트(100)의 시트쿠션(120) 위에 지지시킨 후에, 보조쿠션(200)에 유아나 어린이를 착석시킨다.
이후에, 제2수용홈(112)에 수용된 보호부재(220)를 회동시켜 제2수용홈(112)의 하측에 지지시킨다. 그러면, 보조쿠션(210)에 착석한 어린이나 유아의 가슴부위를 보호부재(220)가 감싸게 된다.
이와 같이, 어린이이나 유아를 탑승한 상태에서 차량이 충돌하게 되면, 보조쿠션에 착석한 어린이나 유아가 차량의 전방으로 쏠리게 되면서 어린이나 유아의 가슴부위가 보호부재(220)를 밀게 된다. 이때, 보호부재(220)에서 고정부재(221)에 결합되어 있는 몸통부재(222)는 일정길이로 늘어남과 동시에 고정부재(221)와 몸통부재(222) 사이에 구비되는 충격감쇄부(230)에 의해 차량의 충돌시 발생하는 충격이 감쇄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 리어시트 110 : 시트백
120 : 시트쿠션
200 : 보조시트 210 : 보조쿠션
220 : 보호부재 221 : 고정부재
222 : 몸통부재
230 : 충격 감쇄부 231 : 결합돌부
232 : 결합홈 233 : 탄성부재

Claims (4)

  1. 삭제
  2. 삭제
  3. 시트쿠션과 시트백을 포함하고 시트백에 어린이나 유아가 착석하기 위한 보조시트가 구비되는 차량용 리어시트에 있어 상기 보조시트는 상기 시트백에 형성되는 제1수용홈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보조쿠션과, 상기 제1수용홈의 양측에서 상측까지 형성되는 제2수용홈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보호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보조쿠션에 어린이나 유아가 착석 후에 어린이나 유아의 몸통부를 둘러싸도록 구성되고, 상기 보호부재는 상기 제2수용홈의 양측 하단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는 한 쌍의 고정부재와, 상기 한 쌍의 고정부재에 연결되며 상기 보조쿠션에 착석하는 영유아의 몸통부를 감싸도록 구성되는 몸통부재와, 상기 고정부재 및 몸통부재의 외측면에 덮여져 충격을 흡수하게 되는 스펀지 또는 솜과, 상기 고정부재와 몸통부재 사이에 구비되어 차량의 충돌시 발생되는 충격을 감쇄시키기 위한 충격감쇄부를 포함하되,
    상기 충격감쇄부는,
    상기 고정부재의 양단에 돌출 형성되는 결합돌부;
    상기 결합돌부에 착탈되는 걸림부;
    상기 한 쌍의 몸통부재에 형성되는 결합홈;
    상기 결합홈에 결합되는 결합돌부에 끼워지며, 상기 결합홈과 걸림턱부에 탄력지지되는 탄성부재;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유아용 보조시트.
  4. 삭제
KR1020110106587A 2011-10-18 2011-10-18 유아용 보조시트를 갖는 차량의 리어시트 KR1012962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6587A KR101296260B1 (ko) 2011-10-18 2011-10-18 유아용 보조시트를 갖는 차량의 리어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6587A KR101296260B1 (ko) 2011-10-18 2011-10-18 유아용 보조시트를 갖는 차량의 리어시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2339A KR20130042339A (ko) 2013-04-26
KR101296260B1 true KR101296260B1 (ko) 2013-08-20

Family

ID=484410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6587A KR101296260B1 (ko) 2011-10-18 2011-10-18 유아용 보조시트를 갖는 차량의 리어시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626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3394B1 (ko) 2017-11-22 2019-03-28 김종석 좌석 일체형 카시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59243B (en) * 2016-12-01 2021-12-08 Wonderland Switzerland Ag Rebound bar adapted for being supported between a child safety seat and a backrest of a car seat and child safety seat assembly therewith
US10479237B2 (en) 2016-12-01 2019-11-19 Wonderland Switzerland Ag Rebound bar adapted for being supported between a child safety seat and a backrest of a car seat and child safety assembly therewith
KR102130810B1 (ko) * 2018-11-27 2020-07-06 대일공업주식회사 유아용 차량 시트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15091A (ja) * 1994-05-27 1995-12-05 Araco Corp 子供用シートクッション
KR980001765U (ko) * 1996-06-08 1998-03-30 이의환 거리조절이 가능한 보호대를 구비한 유아용 차량안전의자
KR19980035638U (ko) * 1996-12-13 1998-09-15 박병재 유아보호용 시트
KR20040045713A (ko) * 2002-11-25 2004-06-0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자동차의 안전 시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15091A (ja) * 1994-05-27 1995-12-05 Araco Corp 子供用シートクッション
KR980001765U (ko) * 1996-06-08 1998-03-30 이의환 거리조절이 가능한 보호대를 구비한 유아용 차량안전의자
KR19980035638U (ko) * 1996-12-13 1998-09-15 박병재 유아보호용 시트
KR20040045713A (ko) * 2002-11-25 2004-06-0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자동차의 안전 시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3394B1 (ko) 2017-11-22 2019-03-28 김종석 좌석 일체형 카시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2339A (ko) 2013-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3023122C (en) Multi-position anti-rebound bar
US8651570B2 (en) Protective headrest
US8708415B2 (en) Child head restraint system and methods using same
JP5985058B2 (ja) エアーチューブを備えた乳児用カーシート
KR101296260B1 (ko) 유아용 보조시트를 갖는 차량의 리어시트
US10144319B2 (en) Carrier with shock absorbing material
US3964787A (en) Child's safety chair
GB2415616A (en) Vehicle seat assembly including a backrest mounted pivotal headrest for support of the side of a head of an occupant of the assembly
JPH0438604B2 (ko)
KR200474567Y1 (ko) 차량 시트용 머리고정대
KR20200099577A (ko) 자동차 시트 장착용 어린이 시트
US5328233A (en) Combination child's seat and armrest for a vehicle
KR101493675B1 (ko) 충격과 파편으로부터 신체를 보호해주는 유아용 보호 장비
WO2013009659A1 (en) Child head restraint system and methods of using same
CN206765862U (zh) 一种儿童座椅专用椅套
KR100499779B1 (ko) 자동차의 안전 시트
KR101570201B1 (ko) 유아용 보호 장비
CN210970760U (zh) 适用于后排空间的可躺式车辆座椅以及车辆
JP3272916B2 (ja) 育児器具の座席
KR20170067434A (ko) 차량용 안전 보조시트
KR101847442B1 (ko) 자동차용 안전띠 보조장치
KR200317775Y1 (ko) 차량 프런트시트용 안전베개
JPS5826203Y2 (ja) 車両用幼児保護装置
CN105818717A (zh) 多功能汽车安全座椅
KR0128703Y1 (ko) 유야용 아암 레스트를 구비한 차량용 시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