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7442B1 - 자동차용 안전띠 보조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안전띠 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7442B1
KR101847442B1 KR1020170016199A KR20170016199A KR101847442B1 KR 101847442 B1 KR101847442 B1 KR 101847442B1 KR 1020170016199 A KR1020170016199 A KR 1020170016199A KR 20170016199 A KR20170016199 A KR 20170016199A KR 101847442 B1 KR101847442 B1 KR 1018474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arm
backrest
adjusting
adjus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61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충호
곽윤근
김우기
Original Assignee
(주)대한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한솔루션 filed Critical (주)대한솔루션
Priority to KR10201700161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74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74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74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2/20Anchoring devices adjustable in position, e.g. in he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68Seat frames
    • B60N2/688Particular seat belt attachment and gui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or animals
    • B60R22/105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or animals for childr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2/20Anchoring devices adjustable in position, e.g. in height
    • B60R2022/207Horizontally or transversally adjust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머리받이 암에 걸어서 고정하여 등받이 뒤에 밀착하게 장착하는 프레임 양쪽에 각각 조절 암을 구성하고, B필러에 고정한 안전띠가 이 두 개의 조절 암에 끼워서 높이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조절 암의 위치 조절에 따라 체형에 알맞은 높이로 쉽고 편리하게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보조장치를 사용하지 않을 때는 조절 암과 걸림 부분을 접어서 프레임과 하나의 평면을 이루도록 구성하므로, 본 발명에 따른 보조장치가 차지하는 크기를 최소화하여 쉽고 편리하게 보관하거나 운반할 수 있고, 또한 트렁크 등에서 차지하는 보관면적을 최소화하여 작은 공간에도 쉽게 보관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안전띠 보조장치{ASSIST DEVICE FOR SAFETY BELL OF VEHICLE }
본 발명은 자동차용 안전띠 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할 때는 등받이 뒤에 밀착시켜 머리받이(Headrest) 암에 고정하여 쉽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어 사용과 보관이 편리하고, 또한 안전띠를 걸 수 있게 구성한 두 개의 조절 암으로 이용자의 체형에 알맞게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누구든지 자신의 체형에 알맞게 안전띠를 조절하여 편리하고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주행할 때 운전자와 탑승자의 안전을 위해 기본 안전장치로 안전띠를 갖추고 있다. 하지만, 유아가 자동차에 탈 때는 성인을 기준으로 제작한 안전띠가 유아나 어린이에게 해를 입을 우려가 있으므로, 아래의 특허문헌 1 내지 특허문헌 3과 같이, 안전장치를 사용한다.
(특허문헌 1) 한국공개특허 제10-2015-0031251호
표준 규격의 폭 내에 위치된 정지 위치에서 특히 그 외부에 위치된 기능 위치로 그리고 그 반대로 이동될 수 있는 시트 트레이와 그 상에 장착된 측면 충격 바를 가진 자동차 시트, 특히 자동차 측면 시트 상에 장착하기 위한 어린이용 안전 시트 또는 베이비 캐리어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측면 충격 바는 특히 시트 트레이의 양측부 상에 배치되어 어린이용 안전 시트 내에 앉은 어린이의 등 뒤로 임의의 측방향 힘을 전달하고, 상기 측방향 힘을 시트 트레이 내로 지향시키고, 또한 본 발명은 이러한 어린이용 안전 시트 또는 베이비 캐리어와 함께 사용하고 그 상에 장착하는 측면 충격 바아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2) 한국공개특허 제10-2016-0026769호
자동차용 유아 시트로서, 시트 위치의 조절이 특히 스트랩 가이드 및 시트 위치의 변경을 참조하여 개선되는 것을 제안하기 위한 것으로, 특히 이송 그립(예컨대, 이송 스트랩)을 갖는 이송 쉘과, 상기 이송 쉘 내에 배치된 시트 유닛을 갖는 자동차용 유아 시트에 의해 성취된다. 상기 시트 유닛은 백부; 시트부; 레그부; 상기 시트부로의 그리고 상기 시트부에서의 방향으로 운동을 위해 상기 시트 유닛의 상기 백부 상에 피팅되는 상부 백레스트; 상기 백부에 대한 상기 상부 백레스트의 위치를 변경하기 위한 장치; 및 상기 백부 및 상기 상부 백레스트 내의 대응하는 슬롯을 통과하는 2개의 숄더 스트랩을 갖는 하네스를 포함하며, 상기 백부 내의 스트랩 슬롯에는 피봇식으로 장착되는 스트랩 가이드가 각각 할당된다.
(특허문헌 3) 한국등록특허 제694716호
유아용으로 변형 가능한 자동차용 시트에 관한 것으로, 중앙부위에 유아착석부가 마련되는 착석체; 착석체의 후방 상부에 마련되고, 중앙 양측에 몸통 보호튜브 수납공간이 마련되고, 중앙 상부에 머리 보호튜브 수납공간이 마련되는 등받이: 등받이의 각 몸통 보호튜브 수납공간의 내부에 전개 가능하게 수납 설치되는 몸통 보호튜브; 등받이의 머리 보호튜브 수납공간의 내부에 전개 가능하게 수납 설치되는 머리 보호튜브; 공급관 및 분기관을 통해 상기 몸통 보호튜브와 머리 보호튜브에 접속되는 에어 펌프; 착석체의 유아착석부의 하부에 설치되는 승강 실린더; 운전석 전방에 설치되어 에어 펌프 및 승강 실린더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 유닛;를 포함하는 기술 구성을 통해 유아용으로 변환시에 유아를 더욱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게 되고, 유아용과 성인용으로 변환을 더욱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하지만, 이런 기존의 시트 방식의 안전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한다.
(1) 유아용 시트의 크기, 특히 전체 부피가 커서 보관하기가 어렵다. 즉, 기존 시트형 안전장치는 시트 형태나 캐리어 형태로 제작하여 사용할 때는 자동차에 장착한 안전띠에 고정하고, 사용하지 않을 때는 트렁크 등에 보관해야 한다.
(2) 이에, 한정된 트렁크 공간에 기존 안전장치를 보관하는 데 어려움이 있고, 기존 안전장치를 트렁크에 실으면 다른 필요한 구성을 트렁크에 싣지 못하는 경우도 발생한다.
(3) 기존 안전장치는 영유아에게는 알맞은 크기로 제작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체형이 작은 성인이나 어린이와 같이 이러한 기존 안전장치를 사용할 수 없을 때는 안전띠를 매더라도 자동차 사고가 발생하면 안전띠 때문에 더 크게 다칠 우려가 있다.
(4) 이처럼 왜소하거나 키가 크지 않은 사람이 안전띠를 착용할 때는 가슴 부분을 감싸게 매지 않고 아랫배 부분만 감싸게 안전띠를 매기도 하나, 이는 자동차의 충돌이나 추돌 사고가 발생했을 때 허리 부분이 젖혀지면서 더 큰 부상으로 이어질 염려가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5-0031251호 (공개일 : 2015.03.23) 한국공개특허 제10-2016-0026769호 (공개일 : 2016.03.09) 한국등록특허 제694716호 (등록일 : 2017.01.04)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고려한 것으로, 머리받이 암에 걸어서 고정하여 등받이 뒤에 밀착하게 장착하는 프레임 양쪽에 각각 조절 암을 구성하고, B필러에 고정한 안전띠가 이 두 개의 조절 암에 끼워서 높이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조절 암의 위치 조절에 따라 체형에 알맞은 높이로 쉽고 편리하게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한 자동차용 안전띠 보조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보조장치를 사용하지 않을 때는 조절 암과 걸림 부분을 접어서 프레임과 하나의 평면을 이루도록 구성하므로, 본 발명에 따른 보조장치가 차지하는 크기를 최소화하여 쉽고 편리하게 보관하거나 운반할 수 있고, 또한 트렁크 등에서 차지하는 보관면적을 최소화하여 작은 공간에도 쉽게 보관할 수 있게 한 자동차용 안전띠 보조장치를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안전띠 보조장치는, 자동차에 장착한 안전띠를 이용하는 자동차용 안전띠 보조장치에서, 머리받이 암(A)에 걸어서 고정할 수 있으며 접을 수 있게 구성한 걸림 부분(110)을 갖추고, 등받이(B) 뒷면에 맞대서 사용할 수 있게 구성한 프레임(100); 등받이(B)의 한쪽 측면 부근에 위치하는 프레임(100)의 한쪽 가장자리에 설치하고, 이 가장자리를 따라 위치를 조절하거나 회전할 수 있게 장착하며, 한쪽에 안전띠(S)를 끼거나 뺄 수 있도록 가이드 구멍(210)을 형성한 제1조절 암(200); 및 등받이(B)의 다른 한쪽 측면 부근에 위치하는 프레임(100)의 다른 가장자리에 이 가장자리를 따라 위치를 조절하거나 회전할 수 있게 장착하며, 한쪽에 안전띠(S)를 끼우거나 뺄 수 있도록 가이드 구멍(310)을 형성한 제2조절 암(3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걸림 부분(110)은, 미리 정한 폭과 길이로 형성하고, 길이 방향의 한쪽 가장자리에 "ㄴ"자 형상으로 절개한 걸림 구멍(111)을 형성하여 폭 방향으로 머리받이 암(A)을 끼워서 길이 방향으로 당기면 고정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걸림 부분(110)은, 상기 걸림 구멍(111)을 형성한 면의 한쪽 끝에서 이 면과 교차하게 바깥으로 연장 성형하면서 프레임(100)에 회전 핀(112a)으로 회전할 수 있게 장착한 지지 부분(11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프레임(100)은 적어도 한쪽 면에 길이 방향으로 "T"자 형상의 단면으로 이루어진 가이드(120)가 형성되고, 상기 제1조절 암(200)과 제2조절 암(300)은 각각 상기 가이드(120)에 끼워져서 빠지지 않게 움직이는 조절 볼트(121)에 관통하게 끼워져서 조절 손잡이(122)로 체결하여 위치 조절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안전띠 보조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두 개의 조절 암이 등받이의 양측에서 상하로 움직이면서 높이 조절을 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어린이나 체형이 작은 탑승자의 신체 조건에 알맞게 안전띠의 장착 위치를 편리하게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2) 특히, 두 개의 조절 암이 각각 따로 움직이면서 위치 조절을 할 수 있으므로, 탑승자의 체형에 따라 두 개의 조절 암을 잇는 가상의 선에 맞춰 안전띠를 착용할 수 있어 편리한 자세로 안전띠를 착용하여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3)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안전띠 보조장치는 머리받이 암에 끼워서 고정한 다음 사용하므로 누구든지 쉽고 편리하게 안전띠 보조장치를 장착하거나 분리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4) 게다가, 본 발명에 따른 안전띠 보조장치는 사용하지 않을 때는 머리받이 암에 고정하는 걸림 부분과 두 개의 조절 암을 젖혀서 프레임과 한 평면을 이루도록 접을 수 있게 구성하므로, 전체 부피를 줄여 보관과 운반을 쉽게 할 수 있다.
(5)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안전띠 보조장치는 좌석 밑이나 트렁크 바닥과 같은 곳에도 보관할 수 있어 편리하게 보관했다가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안전띠 보조장치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안전띠 보조장치를 좌석에 장착한 상태를 보여주는 우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안전띠 보조장치를 좌석에 장착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으로, (a)는 걸림 부분을 머리받이 암에 끼워서 고정한 저면도를, (b)는 좌석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에 조절 암의 결합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안전띠 보조장치를 좌석에 장착한 상태를 보여주는 좌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에 걸림 부분과 조절 암이 나란하게 접힌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최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한가지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례가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구성)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안전띠 보조장치는, [도 1] 내지 [도 6]과 같이, 등받이(B) 뒤에 장착할 수 있게 걸림 부분(110)을 갖춘 프레임(100), 그리고 이 프레임(100)에 상하로 높이 조절할 수 있게 서로 마주하는 위치에 장착한 제1 및 제2조절 암(200, 300)을 포함한다.
특히, 상기 걸림 부분(110)과 제1 및 제2조절 암(200, 300)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띠 보조장치를 사용하지 않을 때는 프레임(100)과 나란하게 접어서 보관할 수 있어 쉽고 편리하게 보관하였다가 필요할 때 꺼내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조절 암(200, 300)은 프레임(100)을 등받이(B)에 장착한 상태에서 각각 상하로 높이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이들 제1 및 제2조절 암(200, 300) 사이를 잇는 가상의 선을 따라 안전띠(S)를 착용할 수 있어 탑승자의 체형에 알맞게 안전띠의 지지 위치를 조절하여 편리하면서도 안전하게 안전띠를 장착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하, 이러한 구성에 관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도면부호 "B"는 자동차 실내에 장착한 의자의 등받이를, "A"는 등받이 위에 장착한 머리받이(Headrest)의 높이를 조절하는 머리받이 암을, "S"는 자동차 실내에 장착하는 안전띠를 각각 나타낸다.
프레임(100)은, [도 1] 내지 [도 6]과 같이, 미리 정한 크기로 이루어진다. 이때, 프레임(100)은 등받이(B)의 뒷면에 맞대서 사용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하고, 특히 등받이(B)의 양측으로 돌출되지 않는 크기, 즉 프레임(100)의 폭은 등받이(B)의 폭과 같거나 조금 큰 크기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이 프레임(100)의 양쪽에 장착하는 후술할 제1 및 제2조절 암(200, 300)이 등받이(B)의 측면을 따라 등받이(B) 앞으로 돌출하여 이 측면을 따라 상하로 높이 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프레임(100)은,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한쪽에 걸림 부분(110)을 구성한다. 이때, 걸림 부분(110)은 프레임(100)을 등받이(B) 뒤에 밀착하게 했을 때 위쪽 가장자리 중앙에 위치하도록 프레임(100)에 장착한다.
이때, 상기 걸림 부분(110)은,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등받이(B) 위에 상하로 높이 조절할 수 있게 장착한 머리받이(Headrest)에 걸어서 고정할 수 있게 구성한다. 이에, 상기 걸림 부분(110)은 두 개의 머리받이 암(A)이 하나의 머리받이를 지지하므로, 각 머리받이 암(A)에 하나씩 걸어서 고정할 수 있도록 두 개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걸림 부분(110)은, [도 1]·[도 3] 및 [도 6]과 같이, 머리받이 암(A)에 걸려서 걸림 작용을 할 수 있도록 걸림 구멍(111)을 형성한다. 걸림 구멍(111)은 띠 형상으로 이루어진 걸림 부분(110)의 한쪽 가장자리에서 "ㄴ"자 형상으로 관통 절개하게 형성하고, 걸림 부분(110)의 측면에서 머리받이 암(A)을 끼운 다음 이 걸림 부분(110)의 길이 방향으로 당기면 머리받이 암(A)이 걸림 구멍(111)에 걸려서 걸림 작용을 할 수 있게 구성한다.
한편, 이러한 걸림 부분(110)에는, [도 1]·[도 3] 및 [도 6]과 같이, 한쪽 끝에서 바깥으로 돌출하게 지지 부분(112)을 돌출 성형한다. 이때, 지지 부분(112)은 걸림 부분(110)의 한쪽 끝에서 교차하게 바깥으로 연장 성형하고, 상기 프레임(100)에 회전 핀(112a)으로 회전할 수 있게 장착한다. 특히, 지지 부분(112)은 프레임(100)과 밀착한 상태에서 회전 핀(112a)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게 장착함으로써, 때에 따라 걸림 부분(110)을 [도 1]과 같이 프레임(100)에서 펼쳐서 사용하거나, [도 6]과 같이 프레임(100)과 나란하게 접어서 전체 크기를 줄일 수 있게 구성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 부분(112)은, [도 1]과 같이 프레임(100)에서 걸림 부분(110)을 젖혔을 때, 이 프레임(100)과 직각을 이루거나 미리 정한 각도 이상 펼쳐지지 않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이 걸림 부분(110)을 머리받이 암(A)에 걸어서 고정했을 때, 프레임(100)이 등받이(B)의 뒷면과 밀착하게 기울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1]에서, 이러한 프레임(100)은, 후술할 제1 및 제2조절 암(200, 300)을 지지하는 두 개의 프로파일 사이에, 두 개의 걸림 부분(110)을 지지하는 두 개의 프로파일을 세 개의 보강 바로 지지하는 구조로 형성한 예를 보여준다.
제1조절 암(200)은, [도 1] 내지 [도 4]와 같이, 상술한 프레임(100)의 한쪽 가장자리에 길이 조절을 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이때, 제1조절 암(200)은 걸림 부분(110)과 이웃한 가장자리, 즉 프레임(100)을 등받이(B)에 장착했을 때 등받이(B)의 한쪽 측면과 가까운 가장자리를 이루는 프레임(100)에 회전과 길이를 조절할 수 있게 장착한다.
이를 위해, 상기 제1조절 암(200)은, [도 4]와 같이, 프레임(100)의 적어도 한 면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한 가이드(120)를 따라 움직일 수 있게 장착한다. 이때, 이 가이드(120)는 제1조절 암(200)이 빠지지 않도록 단면 형상을 "T"자 형상으로 형성하고, 이 가이드(120)에는 빠지지 않고 그 길이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조절 볼트(121)를 끼운다. 그리고, 상기 제1조절 암(200)은 이처럼 가이드(120) 밖으로 돌출한 조절 볼트(121)에 관통하게 끼운 다음 조절 손잡이(122)로 체결하여 고정된다.
이에, 상기 제1조절 암(200)은, [도 4]와 같이, 조절 손잡이(122)를 이완하면 조절 볼트(121)가 가이드(120)를 따라 움직일 수 있으므로, [도 2]와 같이 프레임(100)에 장착한 상태에서 상하로 높이를 조절한 다음 다시 조절 손잡이(122)를 체결하면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절 손잡이(122)를 이완한 상태에서 조절 볼트(121)를 중심으로 제1조절 암(200)을 프레임(100)과 나란하게 회전시킨 다음 조절 손잡이(122)를 체결하면, [도 6]과 같이 제1조절 암(200)을 접을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제1조절 암(200)은,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한쪽에 가이드 구멍(210)을 형성한다. 가이드 구멍(210)은 통상적으로 자동차에 장착한 안전띠(S)를 끼우거나 뺄 수 있게 구성한 것으로, 도면에서는 제1조절 암(200)을 사용하기 위해 프레임(100)에서 펼쳤을 때 제1조절 암(200)의 폭 방향을 따라 위쪽 가장자리에서 폭 방향을 따라 아래로 폭 일부를 절개하여 형성한 예를 보여준다. 이러한 가이드 구멍(210)은 안전띠(S)를 끼우거나 빼낼 수 있는 형태라면 어떠한 형태로든지 구성할 수 있다.
제2조절 암(300)은, [도 1]·[도 3] 및 [도 5]와 같이, 상술한 프레임(100)의 측면, 즉 제1조절 암(200)과 마주하여 높이 조절을 할 수 있게 구성한다. 이러한 제2조절 암(300)의 높이 조절과 회전할 수 있는 구성은 상술한 제1조절 암(200)과 같은 구성으로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상기 제2조절 암(300)은, [도 1]·[도 5] 및 [도 6]과 같이, 한쪽에 가이드 구멍(310)을 형성한다. 특히, 상기 가이드 구멍(310)은 제1조절 암(200)에 형성한 가이드 구멍(210)과 반대 방향으로 형성한다. 즉, [도 3(b)]와 같이, 제1 및 제2조절 암(200, 300)을 사용하려고 펼쳤을 때, 이들 가이드 구멍(210, 310)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형성함으로써, 안전띠(S)를 착용했을 때 제2조절 암(300)에는 밑에서 위로 가이드 구멍(310)에 끼워지고 제1조절 암(200)에는 위에서 아래로 끼워지게 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도 2] 및 [도 5]와 같이, 걸림 부분(110)을 머리받이 암(A)에 걸어서 프레임(100)을 등받이(B) 뒤에 고정하고, 조절 손잡이(122)를 이완하여 제1 및 제2조절 암(200, 300)이 등받이(B)의 양측에서 앞으로 돌출하게 회전시킨 다음 다시 각 조절 손잡이(122)를 고정한다.
이어, 자동차에 장착한 안전띠(S)를 제2조절 암(300)의 가이드 구멍(310)에 아래에서 위로 걸리게 끼운 다음, 제1조절 암(200)의 가이드 구멍(210)에 위에서 아래로 걸리게 한 다음 차체에 장착한 파스너에 고정한다.
따라서, 상기 안전띠(S)는 두 개의 제1 및 제2조절 암(200, 300) 사이를 가로 질러서 착용할 수 있게 되고, 이때 이들 제1 및 제2조절 암(200, 300)을 각각 상하 높이 조절함에 따라 탑승자의 체형에 알맞게 안전띠를 착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안전띠를 착용하지 않을 때는 걸림 부분(110)을 회전시켜 프레임(100)에 밀착하게 하고, 또한 조절 손잡이(122)를 이완한 다음 제1 및 제2조절 암(200, 300)을 각각 프레임(100) 측면에 밀착하게 회전한 다음 다시 조절 손잡이(122)를 체결함에 따라 [도 6]과 같이 평면 형태로 접어서 보관할 수 있게 된다.
100 : 프레임
110 : 걸림 부분
111 : 걸림 구멍
112 : 지지 부분
112a : 회전 핀
120 : 가이드
121 : 조절 볼트
122 : 조절 손잡이
200 : 제1조절 암
210, 310 : 가이드 구멍
300 : 제2조절 암

Claims (4)

  1. 자동차에 장착한 안전띠를 이용하는 자동차용 안전띠 보조장치에서,
    머리받이 암(A)에 걸어서 고정할 수 있으며 접을 수 있게 구성한 걸림 부분(110)을 갖추고, 등받이(B) 뒷면에 맞대서 사용할 수 있게 이루어진 프레임(100);
    등받이(B)의 한쪽 측면 부근에 위치하는 프레임(100)의 한쪽 가장자리에 설치하고, 이 가장자리를 따라 위치와 회전 각도를 조절하거나 프레임(100)과 나란하게 접을 수 있게 장착하며, 한쪽에 안전띠(S)를 끼우거나 뺄 수 있도록 가이드 구멍(210)을 형성한 제1조절 암(200); 및
    등받이(B)의 다른 한쪽 측면 부근에 위치하는 프레임(100)의 다른 가장자리에 이 가장자리를 따라 위치와 회전 각도를 조절하거나 프레임(100)과 나란하게 접을 수 있게 장착하며, 한쪽에 안전띠(S)를 끼우거나 뺄 수 있도록 가이드 구멍(310)을 형성한 제2조절 암(300);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100)은 적어도 한쪽 면에 길이 방향으로 "T"자 형상의 단면으로 이루어진 가이드(120)가 형성되고,
    상기 제1조절 암(200)과 제2조절 암(300)은 각각 상기 가이드(120)에 끼워져서 빠지지 않게 움직이는 조절 볼트(121)에 관통하게 끼워져서 조절 손잡이(122)로 체결하여 위치 조절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안전띠 보조장치.
  2. 자동차에 장착한 안전띠를 이용하는 자동차용 안전띠 보조장치에서,
    머리받이 암(A)에 걸어서 고정할 수 있으며 접을 수 있게 구성한 걸림 부분(110)을 갖추고, 등받이(B) 뒷면에 맞대서 사용할 수 있게 이루어진 프레임(100);
    등받이(B)의 한쪽 측면 부근에 위치하는 프레임(100)의 한쪽 가장자리에 설치하고, 이 가장자리를 따라 위치와 회전 각도를 조절하거나 프레임(100)과 나란하게 접을 수 있게 장착하며, 한쪽에 안전띠(S)를 끼우거나 뺄 수 있도록 가이드 구멍(210)을 형성한 제1조절 암(200); 및
    등받이(B)의 다른 한쪽 측면 부근에 위치하는 프레임(100)의 다른 가장자리에 이 가장자리를 따라 위치와 회전 각도를 조절하거나 프레임(100)과 나란하게 접을 수 있게 장착하며, 한쪽에 안전띠(S)를 끼우거나 뺄 수 있도록 가이드 구멍(310)을 형성한 제2조절 암(300);을 포함하고,
    상기 걸림 부분(110)은,
    미리 정한 폭과 길이로 형성하고,
    길이 방향의 한쪽 가장자리에 "ㄴ"자 형상으로 절개한 걸림 구멍(111)을 형성하여 폭 방향으로 머리받이 암(A)을 끼워서 길이 방향으로 당기면 고정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안전띠 보조장치.
  3. 제2 항에서,
    상기 걸림 부분(110)은,
    상기 걸림 구멍(111)을 형성한 면의 한쪽 끝에서 이 면과 교차하게 바깥으로 연장 성형하면서 프레임(100)에 회전 핀(112a)으로 회전할 수 있게 장착한 지지 부분(11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안전띠 보조장치.
  4. 제2 항 또는 제3 항에서,
    상기 프레임(100)은 적어도 한쪽 면에 길이 방향으로 "T"자 형상의 단면으로 이루어진 가이드(120)가 형성되고,
    상기 제1조절 암(200)과 제2조절 암(300)은 각각 상기 가이드(120)에 끼워져서 빠지지 않게 움직이는 조절 볼트(121)에 관통하게 끼워져서 조절 손잡이(122)로 체결하여 위치 조절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안전띠 보조장치.
KR1020170016199A 2017-02-06 2017-02-06 자동차용 안전띠 보조장치 KR1018474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6199A KR101847442B1 (ko) 2017-02-06 2017-02-06 자동차용 안전띠 보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6199A KR101847442B1 (ko) 2017-02-06 2017-02-06 자동차용 안전띠 보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7442B1 true KR101847442B1 (ko) 2018-04-24

Family

ID=620849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6199A KR101847442B1 (ko) 2017-02-06 2017-02-06 자동차용 안전띠 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744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7441A (ko) * 1999-12-21 2001-07-12 마츠우라 야스오 유아용 시트
JP2006232116A (ja) * 2005-02-25 2006-09-07 Mitsubishi Motors Corp 幼児拘束装置
JP2009241814A (ja) * 2008-03-31 2009-10-22 Autech Japan Inc 車両用シートの乗員固定ベルト
KR200476863Y1 (ko) * 2014-12-18 2015-04-09 송홍규 유아 및 어린이용 카시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7441A (ko) * 1999-12-21 2001-07-12 마츠우라 야스오 유아용 시트
JP2006232116A (ja) * 2005-02-25 2006-09-07 Mitsubishi Motors Corp 幼児拘束装置
JP2009241814A (ja) * 2008-03-31 2009-10-22 Autech Japan Inc 車両用シートの乗員固定ベルト
KR200476863Y1 (ko) * 2014-12-18 2015-04-09 송홍규 유아 및 어린이용 카시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540562B1 (en) Child seat
JP6139955B2 (ja) 幼児拘束装置
US8251457B2 (en) Child restraint safety device
JP5710204B2 (ja) 子供用シート
US20080258527A1 (en) Strap support apparatus
US20200307489A1 (en) Seat assembly with full seatback airbag
EP2925573B1 (en) Safety belt
AU2017201937B2 (en) A Child Restraint for a Vehicle
KR20160149328A (ko) 어린이 안전시트로 사용가능한 차량용 보조시트
KR101847442B1 (ko) 자동차용 안전띠 보조장치
US20190070983A1 (en) Apparatus for adapting a seatbelt to a child
KR20130042339A (ko) 유아용 보조시트를 갖는 차량의 리어시트
KR101600198B1 (ko) 자동차의 어린이 안전시트
KR20150112822A (ko) 차일드 시트
US20100181809A1 (en) Doggie Seat
KR101574442B1 (ko) 자동차용 시트벨트 웨빙 조절장치
JP6338910B2 (ja) チャイルドシート
KR200356964Y1 (ko) 가방기능을 겸한 어린이용 안전밸트 보조구
RU2758230C2 (ru) Детское кресло безопасности
EP3068662B1 (en) Arrangement in a vehicle seat
KR20150112823A (ko) 차일드 시트
JPH04349040A (ja) 座席
US20110140495A1 (en) Head and Neck Support Apparatus and Method
JP2001180344A (ja) チャイルドシート
JPH07323770A (ja) 幼児用拘束保護シート用取付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