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4442B1 - 자동차용 시트벨트 웨빙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시트벨트 웨빙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4442B1
KR101574442B1 KR1020140167059A KR20140167059A KR101574442B1 KR 101574442 B1 KR101574442 B1 KR 101574442B1 KR 1020140167059 A KR1020140167059 A KR 1020140167059A KR 20140167059 A KR20140167059 A KR 20140167059A KR 101574442 B1 KR101574442 B1 KR 1015744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bbing
seat
seat belt
adjuster
automob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70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준환
Original Assignee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670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44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44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44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or anim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02Semi-passive restraint systems, e.g. systems applied or removed automatically but not both ; Manual restraint systems
    • B60R22/023Three-point seat belt systems comprising two side lower and one side upper anchoring devices
    • B60R22/024Adaptations for use by small passengers, e.g. childr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2Construction of belts or harn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2/20Anchoring devices adjustable in position, e.g. in height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시트벨트 웨빙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에는 어린이가 차량에 탑승하여 성인을 기준으로 제작된 시트벨트를 그대로 사용할 경우에는 웨빙의 일부위가 목을 지나게 되어 답답하여 시트벨트를 착용하지 않기 때문에 차량 충돌 시 어린이가 상당히 위험하므로 시트벨트를 안정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부스터 시트를 설치하여 어린이의 앉은 키를 높힌 상태에서 시트벨트를 사용함에 따라 부스터 시트 구매에 따른 소비자의 비용부담이 가중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차량 탑승자의 신체 조건에 따라 시트벨트를 안전하게 착용하기 위한 웨빙 조절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후단은 시트의 등받이(200) 내부의 시트프레임(210)에 고정 설치되고, 선단의 머리부(310)는 등받이(200)의 측면을 통해 돌출 설치되는 고정구(300); 후단에는 고정구(300)의 머리부(310)가 끼워질 수 있는 구경의 머리부끼움공(410)과 머리부끼움공(410) 보다 구경이 작아 머리부(310)가 걸리는 고정구이동공(420)이 일체로 구비되어 고정구(300)에 조립되며, 선단에는 웨빙(100)을 끼울 수 있도록 웨빙걸이공(430)의 일단이 절결되어 구비된 웨빙조절구(400): 로 구성되어 웨빙조절구(400)에 의해 웨빙(100)의 위치가 가변되게 한 것으로서 이러한 본 발명은 별도의 부스터 시트를 설치하지 않고서도 웨빙(100)의 위치를 간편하게 조절하여 어린이가 시트벨트를 안정적으로 착용할 수 있도록 하여 별도로 부스터 시트를 구매함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어 소비자의 비용부담을 줄일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시트벨트 웨빙 조절장치{adjusting position delic of seatbelt webbing for automobile}
본 발명은 자동차용 시트벨트 웨빙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차량에 설치되어 있는 성인용 3점식 시트벨트를 키가 작은 어린이들이 별도의 부스터 시트를 설치하지 않고서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소비자들이 부스터 시트 구입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시트벨트 웨빙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승차원을 구속하는 장치가 구비되는데 상기의 구속장치는 자동차의 충돌사고 시에 승차원을 구속하여 핸들이나 인스트루패널 등에 2차적 충격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고, 승차원이 차량 외부로 튕겨나가 부상당하는 것을 방지하는 장치로서 대표적인 승차원 구속장치로는 시트벨트, 에어백 등이 있다.
상기의 시트벨트 종류로는 2점식벨트, 3점식벨트, 다이어고널벨트, 풀허네스식벨트 등이 있으며, 2점식 벨트는 허리좌우에 2점을 지지하는 형식으로 허리벨트(랩벨트)라고 하는데 여기서 랩은 걸터앉은 자세로 허리에서 무릎관절 부분까지를 말하며 어께벨트(숄더벨트)부분이 없기 때문에 충돌 시 상체 구속성능은 다소 떨어지지만 승차원의 차외방출 효과는 매우 크다.
그리고 3점식벨트는 허리벨트와 어깨벨트가 따로 분리되어 철구조물에 의해 결합되는 분리 3점식벨트와, 허리벨트와 어깨벨트 두 가닥이 연속된 한 줄의 웨빙으로 구성되어 텅플레이트가 웨빙에 대하여 자유롭게 슬립되는 연속 3점식 벨트가 있는데 착용자의 안전성을 볼 때 시트벨트는 3점식 이상이 바람직하다 할 수 있고, 충돌 시의 승차원 보호성능이 뛰어나며 실용성도 높아 근래에는 뒷좌석의 경우에도 2점식 허리벨트 대신에 3점식 시트벨트(이하 시트벨트라 칭함)를 설치하는 경우가 많다.
그런데 이러한 시트벨트는 정상적인 일반 성인을 기준으로 설계되어 있어 유아나 어린이의 경우에는 착용상에 상당한 불편함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모든 도로에서 6세 미만의 유아는 보조 카시트를 장착하고 좌석 안전띠를 매도록 도로교통법으로 의무화 되고 있다.
그러나 보조 카시트에 앉을 수 없을 정도로 성장한 6세 ~ 10세 미만의 어린이의 경우에는 특별한 안전장치 없이 조수석이나 뒷좌석에 그대로 앉아 시트벨트를 매고 있는 실정이다.
그런데 시트벨트를 착용하게 되면 도 1 에서와 같이 웨빙(10)이 어깨를 지나 가슴 부위를 안정적으로 지지하여야 하나 키가 작은 어린이가 탑승하여 차량에 설치된 시트벨트를 그대로 착용하였을 경우에는 도 2에서와 같이 대각선 방향으로 뻗은 웨빙(10)의 일부가 어린이의 목에 걸치게 되어 갑갑하여 아예 시트벨트를 착용하지 않거나 대각선으로 뻗은 웨빙(10)을 등 뒤로 돌리고 단지 허리만을 지지하는 웨빙(10)만을 이용하여 허리를 지지 하는데 이는 충돌 시 시트벨트가 제 역할을 수행하지 못함에 따라 치명적인 상해를 입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어린이들이 탑승할 경우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도 3에서와 같이 소비자가 별도의 부스터 시트(BOOSTER SEAT:20)를 구매하여 설치한 후 어린이가 부스터 시트(20)에 앉아 앉은 키를 높인 상태에서 시트벨트를 착용하여 웨빙(10)의 위치를 조절하여 웨빙(10)이 어깨부위를 지나 가슴을 지지토록 하는 것이나 이는 부스터 시트(20) 구매에 따른 비용이 추가되어 소비자들의 비용부담을 가중시키는 것은 물론 설치에 따른 불편함이 있는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별도의 부스터 시트를 장착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차량에 설치된 시트벨트를 키가 작은 어린이들이 안전하게 착용할 수 있도록 하여 부스터 시트를 구매하여 장착함에 따른 비용을 절감하여 소비자들의 비용부담을 줄일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시트벨트 웨빙 조절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차량 탑승자의 신체 조건에 따라 시트벨트를 안전하게 착용하기 위한 웨빙 조절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후단은 시트의 등받이 내부의 시트프레임에 고정 설치되고 선단의 머리부는 등받이의 측면을 통해 돌출 설치되는 고정구; 후단에는 고정구의 머리부가 끼워질 수 있는 구경의 머리부끼움공과 머리부끼움공 보다 구경이 작아 머리부가 걸리는 고정구이동공이 일체로 구비되어 고정구에 조립되며, 선단에는 웨빙을 끼울 수 있도록 웨빙걸이공의 일단이 절결되어 구비된 웨빙조절구로 구성되어 웨빙조절구에 의해 웨빙의 위치가 가변되게 함으로서 상기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시트의 등받이에 고정구를 설치하여 어린이가 탑승 시 웨빙을 고정구에 걸어 웨빙의 위치를 변경하여 웨빙의 일부위가 어린이의 목부위가 아닌 어깨부위를 지나도록 하여 안정적으로 시트벨트를 착용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별도의 부스터 시트를 설치하지 않고서도 기존의 시트벨트를 사용할 수 있어 부스터 시트 구매에 따른 비용을 절감하여 소비자의 비용부담을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종래 차량에 설치된 시트벨트를 성인이 안정적으로 착용한 상태를 도시한 요부 사시도.
도 2 는 종래 차량에 설치된 시트벨트를 어린이가 착용한 상태를 도시한 요부 사시도.
도 3 은 종래 차량에 부스터 시트를 설치하여 어린이가 부스터 시트에 앉은 상태에서 시트벨트를 착용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웨빙조절구가 시트의 등받이에 설치된 고정구에 고정되기 전의 상태를 예시한 요부 분리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웨빙조절구가 시트프레임에 설치된 고정구에 고정된 상태를 예시한 요부 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시트벨트 웨빙 조절장치가 설치된 시트를 예시한 사시도.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시트벨트 웨빙 조절장치가 설치된 시트에 성인이 시트벨트를 착용하였을 때를 예시한 요부 사시도.
도 8a,8b,8c 는 본 발명에 따라 시트벨트 웨빙 조절장치를 어린이의 키에 따라 높이를 조절하여 시트벨트를 착용하는 상태를 예시한 요부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그 기술구성 및 작용효과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웨빙조절구가 시트의 등받이에 설치된 고정구에 고정되기 전의 상태를 예시한 요부 분리사시도이고,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웨빙조절구가 시트프레임에 설치된 고정구에 고정된 상태를 예시한 요부 사시도이며,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시트벨트 웨빙 조절장치가 설치된 시트를 예시한 사시도이고,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시트벨트 웨빙 조절장치가 설치된 시트에 성인이 시트벨트를 착용하였을 때를 예시한 요부 사시도이며, 도 8a,8b,8c 는 본 발명에 따라 시트벨트 웨빙 조절장치를 어린이의 키에 따라 높이를 조절하여 시트벨트를 착용하는 상태를 예시한 요부 사시도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차량 탑승자의 신체 조건에 따라 시트벨트를 안전하게 착용하기 위한 웨빙 조절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후단은 시트의 등받이(200) 내부의 시트프레임(210)에 고정 설치되고 선단의 머리부(310)는 등받이(200)의 측면을 통해 돌출 설치되는 고정구(300); 후단에는 고정구(300)의 머리부(310)가 끼워질 수 있는 구경의 머리부끼움공(410)과 머리부끼움공(410) 보다 구경이 작아 머리부(310)가 걸리는 고정구이동공(420)이 일체로 구비되어 고정구(300)에 조립되며, 선단에는 웨빙(100)을 끼울 수 있도록 웨빙걸이공(430)의 일단이 절결되어 구비된 웨빙조절구(400)로 구성되어 웨빙조절구(400)에 의해 웨빙(100)의 위치가 가변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차량에 성인 기준으로 제작되어 설치된 시트벨트를 탑승자의 신체조건에 따라 즉, 키가 작은 어린이가 시트벨트를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종래 별도의 부스터 시트를 설치함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어 소비자들의 비용부담을 낮출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시트의 등받이(200) 측면에 고정구(300)의 머리부(310)가 돌출되게 설치하는 것으로 즉, 등받이(200)의 내부에는 등받이(200)의 형상을 유지하기 위한 시트프레임(210)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고정구(300)의 후단을 시트프레임(210)에 고정되게 하고, 고정구(300)의 선단 머리부(310)는 등받이(200)의 측면을 통하여 외측으로 돌출되게 한다.
그리고 웨빙조절구(400)를 구비하여 고정구(300)에 고정시키는데 즉, 상기 웨빙조절구(400)는 후단에 구경이 큰 머리부끼움공(410)과 머리부끼움공(410)보다 구경이 작은 고정구이동공(420)이 일체로 구성되어 있고, 선단에는 웨빙걸이공(430)이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키가 작은 어린이가 탑승하여 성인 기준으로 제작된 시트벨트를 착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어린이를 시트쿠션(도면중 미도시)에 앉힌 후 웨빙조절구(400)를 고정구(300)에 걸어주는데 즉, 웨빙조절구(400)를 등받이(200)의 측면으로 돌출된 고정구(300)에 일치시킨 후 웨빙조절구(400)에 형성된 머리부끼움공(410)으로 고정구(300)의 머리부(310)가 끼워지게 한 상태에서 웨빙조절구(400)를 이동시키면 머리부(310)는 웨빙조절구(400)의 고정구이동공(420)을 따라 이동되어 고정구이동공(420)의 끝단에 위치된다.
이처럼 웨빙조절구(400)를 이동시켜 고정구(300)의 머리부(310)가 웨빙조절구(400)의 고정구이동공(420) 끝단에 위치되게 하면 고정구(300)의 머리부(310)는 고정구이동공(420)보다 구경이 크기 때문에 웨빙조절구(400)를 다시 뒤로 이동시켜 머리부(310)가 머리부끼움공(410)에 위치되게 하지 않는 이상 웨빙조절구(400)는 고정구(300)에서 분리되지 않는다.
이렇게 웨빙조절구(400)를 고정구(300)를 이용하여 고정시킨 후 웨빙(100)을 당겨서 일단이 절결된 웨빙조절구(400)의 웨빙걸이공(430)에 걸어주면 웨빙(100)의 위치가 변경되어 키가 작은 어린이가 기존의 성인용 시트벨트를 그대로 착용하더라도 웨빙(100)의 일부위가 어린이의 목부위가 아닌 어깨부위를 지나가게 되어 안전하게 시트벨트를 착용할 수 있어 충돌 시 어린이를 안정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웨빙조절구(400)의 웨빙걸이공(430)은 절결된 입구 내면 선단에 웨빙걸림턱(431)을 구비하였기 때문에 웨빙(100)을 웨빙걸이공(430)에 걸어준 후 시트벨트를 착용하게 되면 웨빙(100)이 전방으로 밀리면서 웨빙걸림턱(431)에 걸리어 웨빙(100)이 웨빙걸이공(430)으로 빠져 나오지 않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등받이(200)의 측면으로 돌출 설치되는 고정구(300)는 일정 간격이 유지되게 세로 방향으로 다수 개 설치하였기 때문에 어린이의 키에 따라 선택해서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즉, 도8a 에서와 같이 키가 큰 어린이의 경우에는 웨빙조절구(400)를 맨 위쪽에 설치된 고정구(300)에 고정시키고, 약간 작은 어린이의 경우에는 도8b에서와 같이 웨빙조절구(400)를 중간에 위치한 고정구(300)에 걸어 고정시키고, 그보다 더 작은 어린이이 경우에는 도8c 에서와 같이 맨 아래쪽에 위치한 고정구(300)에 걸어 고정시키면 된다.
상기 웨빙조절구(400)는 사용이 끝난후에 고정구(300)에 그대로 걸어 두거나 고정구(300)에서 분리하여 별도로 보관하였다가 필요 시에만 꺼내 사용할 수 있다.
100 : 웨빙 200 : 등받이
210 : 시트프레임 300 : 고정구
310 : 머리부 400 : 웨빙조절구
410 : 머리부끼움공 420 : 고정구이동공
430 : 웨빙걸이공 431 : 웨빙걸림턱

Claims (3)

  1. 차량 탑승자의 신체 조건에 따라 시트벨트를 안전하게 착용하기 위한 웨빙 조절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후단은 시트의 등받이(200) 내부의 시트프레임(210)에 고정 설치되고 선단의 머리부(310)는 등받이(200)의 측면을 통해 돌출 설치되는 고정구(300);
    후단에는 고정구(300)의 머리부(310)가 끼워질 수 있는 구경의 머리부끼움공(410)과 머리부끼움공(410) 보다 구경이 작아 머리부(310)가 걸리는 고정구이동공(420)이 일체로 구비되어 고정구(300)에 조립되며, 선단에는 웨빙(100)을 끼울 수 있도록 웨빙걸이공(430)의 일단이 절결되어 구비된 웨빙조절구(400);
    로 구성되어 웨빙조절구(400)에 의해 웨빙(100)의 위치가 가변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벨트 웨빙 조절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고정구(300)는 등받이(200)의 측면에 세로 방향으로 일정 간격 다수 설치하여
    웨빙조절구(400)의 높이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벨트 웨빙 조절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웨빙조절구(400)의 웨빙걸이공(430)은
    절결된 입구 내면 선단 측에 웨빙걸림턱(431)을 구비하여
    웨빙(100) 착용시 웨빙걸이공(430)으로부터 웨빙(100)이 쉽게 빠지지 않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벨트 웨빙 조절장치.
KR1020140167059A 2014-11-27 2014-11-27 자동차용 시트벨트 웨빙 조절장치 KR1015744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7059A KR101574442B1 (ko) 2014-11-27 2014-11-27 자동차용 시트벨트 웨빙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7059A KR101574442B1 (ko) 2014-11-27 2014-11-27 자동차용 시트벨트 웨빙 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74442B1 true KR101574442B1 (ko) 2015-12-03

Family

ID=548721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7059A KR101574442B1 (ko) 2014-11-27 2014-11-27 자동차용 시트벨트 웨빙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444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44183A1 (en) 2016-09-01 2018-03-08 Luczak Maciej Device cooperating with vehicle safety bel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7648Y1 (ko) 2001-06-25 2001-10-17 박남규 자동차용안전밸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7648Y1 (ko) 2001-06-25 2001-10-17 박남규 자동차용안전밸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44183A1 (en) 2016-09-01 2018-03-08 Luczak Maciej Device cooperating with vehicle safety belt
US11027693B2 (en) 2016-09-01 2021-06-08 Luczak Maciej Device cooperating with vehicle safety bel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05478B2 (en) Child safety seat with structural support
EP1918164B1 (en) Device for stepwise height adjustment of vehicle seat belt
EP3345784B1 (en) Child car seat
US6053580A (en) Personal restraint device
US9981629B2 (en) Child restraint system for use in vehicles
KR101623438B1 (ko) 휴대용 차량용 안전벨트 체결장치
US10040418B2 (en) Motor vehicle seatbelt restraint arrangement
CA2936872C (en) Safety seat/booster seat harness pad
AU2010224309B2 (en) Seat belt guide for convertible child seat
KR101574442B1 (ko) 자동차용 시트벨트 웨빙 조절장치
US20160114760A1 (en) Safety harnesses
WO2012129613A1 (en) Restraint system for a child safety seat
KR101304794B1 (ko) 자동차용 시트벨트 웨빙 조절장치
KR101304755B1 (ko) 자동차용 시트벨트 웨빙 조절장치
KR101562801B1 (ko) 차량용 보조 안전벨트
US20090014619A1 (en) Multi adjustment for motor vehicle restriant positioning device
KR101438309B1 (ko) 자동차용 시트벨트 웨빙 조절장치
AU2013202977B2 (en) Child safety seat with improved recline base and adjustable headrest
KR101382280B1 (ko) 차량용 뒷좌석 시트벨트의 웨빙 루트 조절장치
KR20230129680A (ko) 휴대용 안전벨트
KR101304653B1 (ko) 자동차용 시트벨트 웨빙 조절장치
JP2004098954A (ja) 自動車用子供座席
AU2015213404A1 (en) Adjustable Harness System
KR100373260B1 (ko) 자동차의 유아착석용 리어시트
JP2001180344A (ja) チャイルドシ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