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67434A - 차량용 안전 보조시트 - Google Patents

차량용 안전 보조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67434A
KR20170067434A KR1020150174110A KR20150174110A KR20170067434A KR 20170067434 A KR20170067434 A KR 20170067434A KR 1020150174110 A KR1020150174110 A KR 1020150174110A KR 20150174110 A KR20150174110 A KR 20150174110A KR 20170067434 A KR20170067434 A KR 201700674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vehicle
fixed
safety
safety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41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순옥
Original Assignee
이순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순옥 filed Critical 이순옥
Priority to KR10201501741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67434A/ko
Publication of KR201700674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743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21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having a seat and a base pa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42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adapted to carry the child, when dismounted from the vehicle
    • B60N2/2845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adapted to carry the child, when dismounted from the vehicle having han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람이 앉을 수 있도록 설치된 차량의 시트에 고정프레임을 고정하고, 상기 고정프레임에 안전바를 회동할 수 있도록 결합하여, 상기 안전바로써 차량에 탑승한 어린이와 같은 승객을 보다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으며, 상기 안전바의 일측에는 가방이나 도시락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함을 구성하여, 개인물품을 보관함과 동시에 차량의 사고가 발생하였을 때 1차적으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차량용 안전 보조시트이다.

Description

차량용 안전 보조시트{safe assistance seat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람이 앉을 수 있도록 설치된 차량의 시트에 고정프레임을 고정하고, 상기 고정프레임에 안전바를 회동할 수 있도록 결합하여, 상기 안전바로써 차량에 탑승한 어린이와 같은 승객을 보다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으며, 상기 안전바의 일측에는 가방이나 도시락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함을 구성하여, 개인물품을 보관함과 동시에 차량의 사고가 발생하였을 때 1차적으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차량용 안전 보조시트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사람이 앉을 수 있도록 다수의 시트(좌석)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시트에는 사고가 발생했을 경우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안전벨트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안전벨트는 성인의 체격을 기준을 설치되어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어서 유아나 유치원생과 같은 체격이 작은 어린이에게는 잘 맞지 않는 경우가 많다.
또한, 어린이들의 등ㆍ하원 시 영유아들이 가방을 메고 좌석에 앉는데 불편함이 많이 있었으며, 가방을 벗어서 바닥에 놓으면 비위생적인 문제가 있었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고자 어린이집에서 주로 사용되는 승합차에는 별도의 안전벨트가 구비된 보조시트를 설치하고 있는데, 이러한 보조시트는 어린이에 대한 구속력이 떨어지고 어린이가 임의로 분리할 수 있어 실제 차량에서 발생한 충돌 등의 사고에 대해 피해를 줄여주는 역할이 미미한 실정이다.
차량용 안전 보조시트와 관련된 종래기술로서는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998-0016183호에 제안되어 있는 자동차 시트의 안전장치가 있다.
상기 실용신안에는 자동차 시트에 설치되는 안전장치에 있어서, 대략 'ㄱ'자형으로 형성되며 쿠션성질이 있는 커버(110)로 감싸이고 양단이 시트백프레임(10)을 매개로 시트백(20)의 양측 중간 부위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댐퍼(100)와, 상기 댐퍼(100)를 일정 각도로 회전시키거나 고정시키기 위하여 상기 댐퍼(100)의 일단에 기어(120,210)로 맞물리게 하고 상기 시트백프레임(10)을 매개로 하여 상기 시트백(20)의 일측에 돌출되게 설치한 해제버튼(200)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의 안전장치가 제안되어 있는데, 시트백(20)의 양측에 기어를 이용해 댐퍼를 회동하도록 설치됨으로써 제작비용이 급격히 상승되고, 해제버튼을 눌러야만 댐퍼가 이동됨으로써 비상시 신속한 해제가 어려울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차량의 시트에 안정적으로 고정되는 고정프레임을 구성하고, 상기 고정프레임에 시트의 전후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는 안전바를 결합하여 상기 안전바에 의해 차량의 전면으로부터의 충돌뿐만 아니라 측면으로부터의 충돌에도 시트에 앉은 어린이와 같은 승객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차량용 안전 보조시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상기 안전바의 일측에는 가방이나 도시락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함을 구성하여, 개인물품을 보관함과 동시에 차량의 사고가 발생하였을 때 1차적으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차량용 안전 보조시트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상기 안전바의 위치를 스프링과 볼을 이용하여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는 차량용 안전 보조시트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상기 고정프레임을 차량의 시트에 탈부착할 수 있는 형태로 구성하여, 기존에 출시된 차량에도 설치할 수 있어 사용범위가 넓은 차량용 안전 보조시트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안전 보조시트는 차량용 보조시트에 있어서, 상기 보조시트는 차량의 시트에 고정되는 고정프레임과, 상기 고정프레임에 결합되어 회동장치에 의해 회동되는 안전바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안전 보조시트는 차량의 시트에 안정적으로 고정되는 고정프레임을 구성하고, 상기 고정프레임에 시트의 전후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는 안전바를 결합하여 상기 안전바에 의해 차량의 전면으로부터의 충돌뿐만 아니라 측면으로부터의 충돌에도 시트에 앉은 어린이와 같은 승객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상기 안전바의 일측에는 가방이나 도시락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함을 구성하여, 개인물품을 보관함과 동시에 차량의 사고가 발생하였을 때 1차적으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상기 안전바의 위치를 스프링과 볼을 이용하여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고정프레임을 차량의 시트에 탈부착할 수 있는 형태로 구성하여, 기존에 출시된 차량에도 설치할 수 있어 사용범위가 넓은 현저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구성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부분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배면구성도
도 5 내지 7은 본 발명의 일부분 구성도
본 발명은 차량용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람이 앉을 수 있도록 설치된 차량의 시트에 고정프레임을 고정하고, 상기 고정프레임에 안전바를 회동할 수 있도록 결합하여, 상기 안전바로써 차량에 탑승한 어린이와 같은 승객을 보다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으며, 상기 안전바의 일측에는 가방이나 도시락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함을 구성하여, 개인물품을 보관함과 동시에 차량의 사고가 발생하였을 때 1차적으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차량용 안전 보조시트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구성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부분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배면구성도이며, 도 5 내지 7은 본 발명의 일부분 구성도로써,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안전 보조시트는 차량용 보조시트에 있어서, 상기 보조시트는 차량의 시트(1)에 고정되는 고정프레임(10)과, 상기 고정프레임(10)에 결합되어 회동장치에 의해 회동되는 안전바(11)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특징이다.
먼저, 고정프레임(10)은 차량의 시트(1, 좌석)에 고정되는 구성으로 도시된 형태는 차량 시트(1)의 좌우측에 대향형으로 설치되고 일측의 프레임은 "U" 형상의 단면을 가지며, 고정프레임(10)의 외부에는 충격흡수를 위한 충격흡수패드(18)가 끼워져 있다.
상기 고정프레임(10)은 볼트와 너트에 의해 시트에 고정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차량의 시트(1)에 고정프레임(10)의 고정을 위한 별도의 고정부재를 부착할 수 있다. 이때 사용될 수 있는 고정부재는 차량 시트의 외부재질과 같은 재질의 천이나 가죽으로 만들 수도 있고,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합성수지를 이용해 별도의 고정블록을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고정프레임(10)에는 회동장치에 의해 안전바(11)가 결합되는데, 상기 안전바(11)는 도 1과 같이 시트(1)의 전면을 향하도록 시트의 바닥면과 평행하도록 위치할 수 있고, 사람의 착석을 위해 도 2와 같이 시트(1)의 상부쪽이나 헤드레스트 쪽으로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사람이 탑승하여 착석할 경우 도 2와 같은 상태로 안전바(11)가 위치하고 있다가 착석한 이후에는 도 1과 같은 상태로 안전바(11)를 내려서 외부의 충격에 대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프레임(10)에는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은 안전벨트(21)가 부착되어 있는 안전시트(20)가 탈부착될 수 있는데, 상기 안전시트(20)는 차량의 시트(1)에 밀착되는 쿠션(24)과, 상기 쿠션(24)에 고정되어 있는 안전벨트(21)와, 상기 안전벨트(21)의 장착을 위한 허브(22)와, 상기 쿠션(24)을 고정프레임(10)을 고정시켜 주기 위한 벨크로(23)로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 쿠션(24)은 차량의 시트(1)와 같이 측면에서 본 단면이 대략 "ㄴ"자 형으로서 사람의 엉덩이가 닫는 방석과, 등이 닫는 등받이가 일체형으로 구성되며, 상기 쿠션(24)에는 허브(22)를 중심으로 5군데의 방향에서 안전벨트(21)가 방사형으로 조립되어 있으며, 상기 허브(22)에는 원터치 스위치가 구성되어 원터치에 의해 4군데의 안전벨트가 동시에 분리될 수 있다.
즉, 쿠션 중앙에 위치하는 안전벨트는 허브(22)에 반영구적으로 결합되어 있어야만 허브(22)의 위치를 일정하게 가져갈 수 있고, 허브(22)를 잃어버릴 우려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안전바(11)의 일측에는 가방이나 도시락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함(12)이 탈부착될 수 있다.
즉, 수납함(12)은 내부가 비어있는 가방으로써, 일반적인 천이나 가죽으로 만들 수 있고, 안전바(11)에서 탈부착이 가능하여 세척이 가능하다. 또한, 충격흡수를 위해 스폰지와 같은 충격흡수소재가 수납함(12) 전체를 둘러싸는 형태로 들어가 있으며, 내부의 공간에는 가방이나 도시락 등을 넣을 수 있다. 즉, 어린이집이나 유치원에 다니는 어린이의 경우 통상 가방을 들고다니는데, 가방 안에는 빈 도시락이나 안내장 등이 수납되어 있어 어린이가 가방을 멘 상태로 시트(1)에 착석할 경우 자세가 틀어질 수밖에 없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전바(11)에 수납함(12)을 장착함으로써 어린이가 메고 있는 가방을 보관하도록 하여 앉는 자세를 바르게 가져갈 수 있고, 전면의 충격을 수납함(12)을 이용해 1차적으로 흡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고정프레임(10)은 차량 시트(1)의 좌우측에 대향형으로 설치되고 일측의 프레임은 "U" 형상의 단면을 가지며, 상기 고정프레임(10) 사이에는 고정프레임(10) 간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보강프레임(17)이 설치되며, 상기 보강프레임(17)의 일측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보강프레임(17)의 회전에 의해 고정프레임(10) 간의 간격이 조절된다.
즉, 시트(1)의 좌우측에 나뉘어 설치된 고정프레임(10)의 간격은 보강프레임(17)에 의해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차량에 따라 시트(1)의 넓이가 다른 경우와 이용하는 승객의 체격이 다른 경우에도 범용적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이때 상기 보강프레임(17)의 일측은 고정프레임(10)에 회전만 가능한 상태로 지지되도록 고정하고, 타측에만 나사산을 형성하여 상기 나사산과 치합되는 나사산을 고정프레임(10)에 형성하여 고정프레임(1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전바는 도 6과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회동장치에 의해 회동될 수 있으며, 회동된 위치가 유지되되, 상기 회동장치는 안전바(11)에 고정 결합되는 힌지핀(13)과, 상기 힌지핀(13)의 일측에 형성된 수납홈(13a)과, 상기 수납홈(13a)에 삽입되어 있는 스프링(14)과, 상기 스프링(14)에 의해 수납홈(13a)의 외부로 밀리는 힘을 받는 볼(15)과, 상기 고정프레임(10)의 일측에 형성된 안착홈(16)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안전바(11)의 회동시에는 볼(15)이 스프링(14)을 압축하면서 힌지핀(13)의 수납홈(13a) 속으로 들어가며, 힌지핀(13)의 회동으로 볼(15)과 안착홈(16)의 위치가 일치되면 볼(15)이 스프링(14)의 탄성에 의해 수납홈(13a)에서 나와 안착홈(16)에 일부가 끼워짐으로써 안전바(11)의 위치를 고정시켜 주게 된다.
즉, 상기 힌지핀(13)의 수납홈(13a)에는 스프링(14)과 볼(15)이 삽입되어 있고 별도의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볼(15)의 일부분이 수납홈(13a)의 외부로 돌출되어 있는데, 볼(15)이 수납홈(13a)의 외부로 완전히 빠지지 않도록 형성되어야만 회동장치의 작동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도 7과 같이 고정프레임(10)의 안착홈(16)에 볼(15)의 일부가 삽입된 상태에서 안전바(11)를 반시계 방향(CCW)으로 회동시키게 되면 볼(15)이 안착홈(16)에서 빠져 나와 힌지핀(13)의 수납홈(13a)으로 완전히 들어가게 되며, 이후 힌지핀(13)이 회동되어 시트(1)의 전면 쪽으로 형성된 안착홈(16)의 위치로 볼(15)이 도달하면 상기 볼(15)이 스프링(14)의 탄성에 의해 수납홈(13a)의 외부로 밀려나와서 상기 안착홈(16)에 일부가 들어가게 되어 힌지핀(13)이 고정되며, 상기 힌지핀(13)과 고정 결합되어 있는 안전바(11) 역시 그 위치가 고정되게 된다.
상술한 구성을 이용한 회동 및 고정방식 이외에도 힌지핀(13)에 원주면 상에 경사가 있는 돌기를 형성하고, 고정프레임(10)에는 상기 돌기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의 홈을 형성하여 힌지핀을 회전시킬수록 힌지핀의 돌기가 상기 홈에 억지끼움되는 방식으로도 안전바를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결국,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안전 보조시트는 차량의 시트에 안정적으로 고정되는 고정프레임을 구성하고, 상기 고정프레임에 시트의 전후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는 안전바를 결합하여 상기 안전바에 의해 차량의 전면으로부터의 충돌뿐만 아니라 측면으로부터의 충돌에도 시트에 앉은 어린이와 같은 승객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상기 안전바의 일측에는 가방이나 도시락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함을 구성하여, 개인물품을 보관함과 동시에 차량의 사고가 발생하였을 때 1차적으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상기 안전바의 위치를 스프링과 볼을 이용하여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고정프레임을 차량의 시트에 탈부착할 수 있는 형태로 구성하여, 기존에 출시된 차량에도 설치할 수 있어 사용범위가 넓은 현저한 효과가 있다.
1. (차량) 시트
10. 고정프레임 11. 안전바 12. 수납함
13. 힌지핀 13a. 수납홈 14. 스프링
15. 볼 16. 안착홈 17. 보강프레임
18. 충격흡수패드
20; 안전시트
21. 안전벨트 22. 허브 23. 벨크로
24. 쿠션

Claims (6)

  1. 차량용 보조시트에 있어서,
    상기 보조시트는 차량의 시트(1)에 고정되는 고정프레임(10)과, 상기 고정프레임(10)에 결합되어 회동장치에 의해 회동되는 안전바(11)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특징인 차량용 안전 보조시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프레임(1)에는 안전벨트(21)가 부착되어 있는 안전시트(20)가 탈부착될 수 있는 것이 특징인 차량용 안전 보조시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바(11)의 일측에는 가방이나 도시락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함(12)이 탈부착될 수 있는 것이 특징인 차량용 안전 보조시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프레임(10)은 차량 시트(1)의 좌우측에 대향형으로 설치되고 일측의 프레임은 "U" 형상의 단면을 가지며, 상기 고정프레임(10) 사이에는 고정프레임(10) 간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보강프레임(17)이 설치되며, 상기 보강프레임(17)의 일측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보강프레임(17)의 회전에 의해 고정프레임(10) 간의 간격이 조절되는 것이 특징인 차량용 안전 보조시트.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시트(20)는 차량의 시트(1)에 밀착되는 쿠션(24)과, 상기 쿠션(24)에 고정되어 있는 안전벨트(21)와, 상기 안전벨트(21)의 장착을 위한 허브(22)와, 상기 쿠션(24)을 고정프레임(10)을 고정시켜 주기 위한 벨크로(23)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특징인 차량용 안전 보조시트.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바(11)는 회동장치에 의해 회동될 수 있으며, 회동된 위치가 유지되되, 상기 회동장치는 안전바(11)에 고정 결합되는 힌지핀(13)과, 상기 힌지핀(13)의 일측에 형성된 수납홈(13a)과, 상기 수납홈(13a)에 삽입되어 있는 스프링(14)과, 상기 스프링(14)에 의해 수납홈(13a)의 외부로 밀리는 힘을 받는 볼(15)과, 상기 고정프레임(10)의 일측에 형성된 안착홈(16)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안전바(11)의 회동시에는 볼(15)이 스프링(14)을 압축하면서 힌지핀(13)의 수납홈(13a) 속으로 들어가며, 힌지핀(13)의 회동으로 볼(15)과 안착홈(16)의 위치가 일치되면 볼(15)이 스프링(14)의 탄성에 의해 수납홈(13a)에서 나와 안착홈(16)에 일부가 끼워짐으로써 안전바(11)의 위치를 고정시켜 주는 것이 특징인 차량용 안전 보조시트.
KR1020150174110A 2015-12-08 2015-12-08 차량용 안전 보조시트 KR2017006743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4110A KR20170067434A (ko) 2015-12-08 2015-12-08 차량용 안전 보조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4110A KR20170067434A (ko) 2015-12-08 2015-12-08 차량용 안전 보조시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7434A true KR20170067434A (ko) 2017-06-16

Family

ID=592787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4110A KR20170067434A (ko) 2015-12-08 2015-12-08 차량용 안전 보조시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6743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7663B1 (ko) 2019-01-30 2020-07-24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차량용 안전시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7663B1 (ko) 2019-01-30 2020-07-24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차량용 안전시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11850A (en) Child's automobile safety seat
US8905477B2 (en) Inflatable child seat
US8733833B2 (en) Safety or booster seat for use in conjunction with a vehicle
US9776535B2 (en) Infant restraint system
US20170151894A1 (en) Impact Protection for Child Car Seat
GB2463364A (en) Child safety seat
US3207552A (en) Child's safety seat
US4749229A (en) Child restraint seat
JP5822183B2 (ja) バックル収納構造
JPH04238751A (ja) 幼児用座席を受ける起立可能な中央部品を具備する自動車用座席ユニット
US9950649B2 (en) Child car seat having adjustable headrest bolsters
JPH0847434A (ja) シート
US10144319B2 (en) Carrier with shock absorbing material
US20180272901A1 (en) Vehicular seating assembly, system and method
CN109843642A (zh) 儿童安全座椅
KR200477727Y1 (ko) 내장형 카시트
KR20170067434A (ko) 차량용 안전 보조시트
KR101296260B1 (ko) 유아용 보조시트를 갖는 차량의 리어시트
JP2013014280A (ja) 車両用シートの荷物固定構造
US20140252828A1 (en) Child safety seat for motorcycles
KR101306011B1 (ko) 쇼핑카트
KR101848136B1 (ko) 차량용 물품받이
CN211139093U (zh) 整合式的车用婴幼儿安全装置
CN210970760U (zh) 适用于后排空间的可躺式车辆座椅以及车辆
KR101232672B1 (ko) 자동차시트에 구비되는 유아시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101003886;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60629

Effective date: 201709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