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99577A - 자동차 시트 장착용 어린이 시트 - Google Patents

자동차 시트 장착용 어린이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99577A
KR20200099577A KR1020207020929A KR20207020929A KR20200099577A KR 20200099577 A KR20200099577 A KR 20200099577A KR 1020207020929 A KR1020207020929 A KR 1020207020929A KR 20207020929 A KR20207020929 A KR 20207020929A KR 20200099577 A KR20200099577 A KR 202000995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ild seat
child
boundary
wall
s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209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04863B1 (ko
Inventor
크리스토프 투른
토마스 뮐러
플로리안 샤르프
Original Assignee
시벡스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벡스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시벡스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2000995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95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48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48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42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adapted to carry the child, when dismounted from the vehicle
    • B60N2/2845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adapted to carry the child, when dismounted from the vehicle having han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84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with protection systems against abnormal g-for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42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adapted to carry the child, when dismounted from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51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provided with head-re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4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 B60N2/427Seats or parts thereof displaced during a crash
    • B60N2/42709Seats or parts thereof displaced during a crash involving residual deformation or fracture of the 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자동차 시트 장착용 어린이 시트는 어린이 시트에 수용되는 어린이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접촉면 장치를 포함하고, 접촉면 장치는 적어도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을 구비하고, 제2 부분을 향하여 어린이가 변위할 때 어린이의 감속을 감쇠하기 위해, 제2 부분에 작용하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외측을 향하는 힘의 작용에 의해, 제2 부분이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제1 부분에 대하여 전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자동차 시트 장착용 어린이 시트
본 발명은 청구항 제1항에 따른 자동차 시트 장착용 어린이 시트에 관한 것이다.
최신 기술에서, 자동차 시트 장착용 어린이 시트가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어린이 시트는 어린이 시트 내에 어린이를 수용하기 위한 접촉면 장치를 갖는다. 이 접촉면 장치는, 예를 들면, 측벽 및/또는 후방벽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접촉면 장치는 어린이를 안전하고, 인체 공학적이며, 편안하게 유지하고, 예를 들면, 사고 시, 어린이를 향하여 (상대적으로) 이동하여 어린이에게 부상을 입힐 수 있는 요소에 대항하는 배리어로서의 역할을 하도록 제공된다.
그와 동시에, 어린이 시트에 구속된 어린이(또는, 신체의 일부)는, 예를 들면, 사고 시, 접촉면 장치에 대하여 이동한 다음, 접촉면 장치에 걸릴 수 있다. 이 경우, 부상을 피하거나 적어도 저감하기 위해, 구속에 의해 발생되는 어린이(또는, 어린이 신체의 일부)의 감속은 용인 가능한 수준으로 제한된다. 이를 위해, 표준 어린이 시트는 완충 구조, 예를 들면, 다수의 영역에서, 예를 들면, 직물 삽입물(textile insert) 및/또는 연질 발포재 및/또는 강성 발포재(EPS, EPP, 등)의 형태의 패딩을 갖는다. 또한, 대부분의 어린이 시트의 외피는 특정 스프링 특성을 가질 수 있는 플라스틱 재료로 형성되며, 접촉면 장치는 외피의 일부일 수 있다.
다양한 이유로, 최신 기술의 해결 수단은 불리한 것으로 여겨진다. 예를 들면, 외피가 동시에 외부 영향에 대하여 보호되어야 하기 때문에, 외피의 탄성 특성은 매우 약하게만 설계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패딩은 어린이 시트에 유지된 어린이가 편안하도록 비교적으로 연질이어야 한다. 히스테리시스 발포재 또는 스페이서 직물과 같은 일반적으로 유리한 패딩은 비교적으로 고가이다. 다른 한편으로, 강성 발포재는 비교적으로 큰 힘을 받으면 손상될 수 있어 교체되어야 하거나 낮은 안전성만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어린이가 접촉면 장치에 걸릴 때 발생되는 어린이의 감속을 간단한 방식으로 제한하는 것이다.
이 목적은 청구항 제1항에 따른 어린이 시트에 의해 해결된다.
특히, 이 목적은 자동차 시트 장착용 어린이 시트에 있어서, 어린이 시트는 (어린이 또는 어린이의 신체의 일부를 수용하기 위한) 어린이 시트에 수용되는 어린이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접촉면 장치를 구비하고, 접촉면 장치는 적어도 제1 부분 및 제2 부분(감쇠 부분)을 갖고, 제2 부분을 향하여 어린이가 변위할 때 어린이의 감속을 감쇠하기 위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외측을 향하며 제2 부분에 작용하는 힘의 작용에 의해, 제2 부분이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제1 부분에 대하여 전이 가능한, 어린이 시트에 의해 이 목적이 해결된다.
본 발명의 핵심 양태는 (예를 들면, 충격 상황에서) 어린이의 감속을 제한하기 위해 제2 부분(감쇠 부분)이 설계된다는 것이다. 이는 과도한 감속으로 인해 어린이가 부상을 입는 것을 비교적으로 간단한 방식으로 방지(또는 적어도 해당 위험을 저감)할 수 있도록 한다. 이는 결국 안전성을 향상시킨다.
기본적으로, 본 발명의 맥락에 있어서, "어린이 시트"라는 용어는 "고전적인(classical)" 어린이 시트 및 유아 캐리어에 대한 일반적인 용어로 이해된다는 것에 유의하여야 한다. 이와 관련하여 (특정 맥락에서 달리 언급되지 않는다면), 어린이 시트는 항상 "어린이 시트, 가능하게는, 유아 캐리어"의 약식 형태로 이해되거나,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어린이 시트에 대하여 의도된 특징은 (이와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원칙적으로 유아 캐리어에 적용 가능하며 그 반대도 마찬가지이다. 어린이, 아기 및 유아에 대한 일반적인 용어로도 이해되는 "어린이"라는 용어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소위 "유아 캐리어"는 종종 아기 또는 어린이를 수용하기 위해 (단 하나의) 일체형 외피를 포함하며, 별도의 벨트 시스템, 선택적으로, 머리받이 및 적절한 다른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구조적으로 별도의) 등받이 대신, 이러한 "유아 캐리어"는 어린이의 둔부가 수용될 수 있는 "좌석 영역"에 인접하는 배면 부분(back section)을 갖는다. 다른 한편으로, 보다 큰 어린이를 위한 어린이 시트는 보통 좌석 영역으로부터 구조적으로 분리되며 그 각도가 좌석 영역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변화될 수 있는 등받이를 갖는다. 구조적 구획은, 예를 들면, 구부러짐(kink) 또는 이와 유사한 것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접촉면 장치는, 특히, 접촉면 요소인 것으로 이해된다. 이는 일체로(일체식(monolithic)) 설계될 수 있다(다만, 반드시 그럴 필요는 없다). 제1 부분 및/또는 제2 부분은 각각 개별적으로 및/또는 전체적으로 일체로(특히 일체식) 구성되거나 여러 부분(별도의 부분)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접촉면 장치(접촉면 요소) 및/또는 제1 부분 및/또는 제2 부분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본질적으로 일정해야 한다. 최대 두께는, 최소 두께의, 예를 들면, 3 배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 배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2 배 이하일 수 있다. 제2 부분의 표면(특히, 내면 또는 어린이 시트에 대하여 내측으로 대면하는, 즉, 어린이에 대면하는 표면)은 적어도 5 cm2,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0 cm2 및/또는 500 cm2 이하, 바람직하게는, 200 cm2 이하일 수 있다.
제2 부분은 또한 유효 영역, 특히, 유효 영역 요소 및/또는 감쇠 영역, 특히, 감쇠 영역 요소로 지칭될 수 있다. 제1 부분은 완전한 접촉면 장치에서 제2 부분을 뺀 것 또는 그 일부일 수 있다. 필요한 경우, 제1 부분은 (적어도 제1 위치 또는 휴지(rest) 위치에서) 제2 부분을 완전히 둘러싼다.
제1 부분의 표면(특히, 내면 또는 내측을 향하는 표면)은 제2 부분의 (특히, 내측) 표면 보다 선택적으로 크다. 제1 부분의 (특히 내측) 표면은,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0 cm2, 보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40 cm2 및/또는 5,000 cm2 이하, 바람직하게는, 3,000 cm2 이하이다. 접촉면 장치(접촉면 요소)는 후방벽 및/또는 측벽을 형성할 수 있거나 후방벽 및/또는 측벽의 일부일 수 있다.
하나의 (제1) 위치로부터 다른 (제2) 위치로의 전이는 특히 공간 내에서의 그 위치 및/또는 배향에 있어서 (제1 부분에 대하여) 제2 부분이 변화되는 것을 의미한다. 위치의 변화는 특히 각각의 부분의 무게 중심의 변위이다. 이러한 의미에서, 기본적으로 (순수한) 변형은 하나의 (제1) 위치로부터 다른 (제2) 위치로의 전이로 간주되지 않는다. "제2" 위치는 "제1" 위치와 상이한 위치이다. "제2 위치"는 고정될 필요가 없고, 바람직하게는, 필요한 경우, 미리 설정된 최대 제2 위치까지, 외측으로 작용하는 힘에 의해 결정된다. 특히, "제2 위치"는 제1 위치에 대하여 적어도 부분적으로 이동된 제2 부분의 위치이다. 제2 부분이 변위되면, (어린이 시트의 무게 중심에 대하여) 제1 부분이 바람직하게는 변위되지 않거나 단지 약간 변위된다.
적어도 부분적으로 외측으로 향하는 힘은 (적어도 구성 요소와 관련하여) 어린이 시트(즉, 어린이용 수용 공간)의 내부로부터 외부를 향하는 힘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특히, "어린이의 감속을 감쇠하기 위한"의 목적의 언급은 감쇠 기능이 실현될 수 있도록 부분(제1 부분 및 제2 부분)이 구성되고 배치되어야 한다는 것을 내포한다. 특히, 이는 수용 공간 내에서의 어린이의 변위에 의해 힘이 제2 부분에 가해질 수 있다는 것을 내포한다. 특히, (변위 시) 이를 방지하는 구조가 제2 부분 및 어린이 사이에 여전히 있다면, 이는 불가능할 것이다.
일반적으로, "접촉면 장치"(또는 접촉면 요소)라는 용어는, (제1 부분에 대한) 제2 부분의 구성에 의해 결국 감쇠될 수 있는 힘이 어린이의 변위에 의해 제2 부분에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지 않는 한, 어린이 및 접촉면 장치(또는 접촉면 요소) 사이의 다른 구조, 특히, 패딩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접촉면 장치(접촉면 요소)는, 특히, 시트 외피 및/또는 머리받이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제1 부분 및/또는 제2 부분은, 바람직하게는, 예를 들면, 경계 및/또는 접힘 라인(또는 기타, 특히, 관절 연결되거나 접합된, 구획)에 의해 구조적으로 획정되거나 구획된다.
바람직하게는, 제1 위치에 비교되는 제2 위치에서, 한편으로는 제2 부분의 경계의 적어도 제1 경계 부분과 다른 한편으로는 제1 부분(또는, 각각, 제1 부분의 경계의 인접한 제1 경계 부분) 사이의 거리가 증가된다. 바람직하게는, 거리는, 제1 위치에서, 2 cm 미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1 cm 미만, 특히, (적어도 본질적으로), 0 cm와 동일하다. 또한, 제2 위치에서, 거리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1.5 cm 초과, 바람직하게는, 5.0 cm 초과일 수 있다. 제2 부분의 경계의 제1 경계 부분은, 특히, 제1 부분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거나 제1 부분에 고정되게 연결되지 않는 제2 부분의 경계의 부분을 의미한다. 해당 경계 부분의 기하학적 구조에 따라, 경계 부분 상의 개별 지점이 다소 뚜렷한 거리의 증가를 경험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고려된 경계 부분의 지점의 적어도 50%에 대해 적어도 거리의 증가가 발생하도록 거리의 증가가 달성된다. 이러한 거리 증가는 모든 지점에서 동일할 필요는 없다. "거리"에 대하여 특정 (예를 들면, 최소 또는 최대) 값이 특정된다면, 이는 바람직하게는 제2 부분의 경계의 고려된 경계 부분 상의 모든 지점이 제1 부분 상의 다음 지점까지의 거리와 관련하여 평가될 때 발생하는 거리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그런 다음, 이러한 평가 결과로부터 얻은 최대 값이 "거리"로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제1 위치에서, 제2 부분의 벽의 제1 경계 부분 상의 제1 개수의 지점이 제1 부분의 가장 가까운 지점까지 1 cm의 거리를 갖고 제2 그룹이 2 cm의 거리를 갖는다면, 바람직하게는 2 cm의 값이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특히, 제2 부분(감쇠 부분 또는 감쇠 영역)은 경계를 갖고, 제2 부분의 제1 경계 부분은 주변 (나머지) 접촉면 장치로부터의 제2 부분(감쇠 또는 유효 영역)의 획정에 의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경계의 제2 부분은 주변 (나머지) 접촉면 장치로의 천이에 의해 형성된다.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의 전이는 가역적이다. 바람직하게는, 더 이상 힘이 가해지지 않거나 특정 힘 역치가 저하되면, 제2 부분(감쇠 영역)이 제2 위치로부터 제1 위치로 복귀된다. 일반적으로, 이에 따른 복귀 이동은 바람직하게는 자가 작용(self-acting)(자동)이다. 그러나, 이러한 복귀가 상응하는 작용(예를 들면, 수동으로)을 필요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2 부분은 바람직하게는 플랩(충격 플랩(impact flap))으로 설계된다.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제2 부분은 제1 부분에 대하여 선회될 수 있고, 특히, 회동 플랩(pivoting flap)으로 설계된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제2 부분은 제1 부분에 대하여 병진 이동 가능할 수 있고, 선택적으로, 병진 이동 가능 플랩으로서 설계될 수 있다. 특히, 중첩된 회전-병진 이동도 고려될 수 있으며, 당업자는 (슬라이드 가이드, 만곡 접촉면, 등과 같은) 이를 위한 적절한 수단을 알고 있다.
제2 부분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스프링, 특히, 리프 스프링으로 설계될 수 있다(또는 이러한 스프링, 특히, 리프 스프링을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제2 부분에 스프링, 특히, 코일 스프링이 장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위치로의 선택적 자동 복귀가 가능해질 수 있다. 또한, 이는 어린이의 변위(특히, 후술하는 차단 장치와의 상호 작용)로 인한 힘에 대항하는 초기 장력을 생성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전체적으로, 간단한 방식으로 안전성이 개선된다.
제1 위치는 바람직하게는 (어린이의 변위로 인해) 힘이 전혀 가해지지 않거나 특정 힘 역치가 적어도 초과되지 않을 때 제2 부분이 채용하는 휴지(rest) 위치인 것으로 이해된다. 대응하는 힘(또는 대응하는 힘 역치를 초과하는 힘)이 가해지는 것에 의해 제1 부분에 대한 제2 부분의 변위 또는 이동(예를 들면, 회동 및/또는 병진 이동)이 발생하면, 제2 위치가 존재하는 것으로 간주된다. 힘의 양 및 방향에 따라, 제2 위치가 변화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제2 위치는 특정 범위(예를 들면, 각도 범위 및/또는 거리)에 걸쳐 연속적으로 변화할 수 있거나, 필요한 경우, (예를 들면, 래칫 기구 등에 의한) 별개의 단계로 변화할 수 있는 것이 가능하다.
접촉면 장치 또는 제1 부분 및/또는 제2 부분은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실질적으로) 치수적으로 안정적 재료로 형성된다. 치수적으로 안정적 재료는 특히, 재료가 (적어도 실질적으로) 외부 영향(압력)에 저항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접촉면 장치 또는 적어도 제1 부분 및/또는 제2 부분은 각각 (적어도 실질적으로) 비다공성 또는 치밀 재료(dense material)로 형성될 수 있다. (실질적으로) 비다공성 재료는 바람직하게는 30% 미만, 바람직하게는, 10% 미만, 더 바람직하게는, 5% 미만의 기공 체적을 갖는 재료이다.
접촉면 장치의 재료의 밀도 또는 제1 부분 및/또는 제2 부분의 재료의 밀도는, 적어도 200 kg/m3,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500 kg/m3,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800 kg/m3일 수 있다. 또한, 접촉면 장치(또는 적어도 제1 부분 및/또는 제2 부분)의 두께는 적어도 1 mm,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5 mm, 및/또는 30 mm 이하, 바람직하게는, 15 mm 이하일 수 있다. 밀도가 변동하는 한, 각각의 경우에서 고려되는 체적의 50 체적%의 밀도에 해당하는 상술하고 후술하는 최대 값 또는 역치 값이 사용될 수 있다. 두께가 변동하는 한, 고려되는 표면적의 50 체적%의 두께에 해당하는 상술하고 후술하는 최대 두께 또는 역치 값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중벽형, 특히, 이중벽형 외피의 경우, 상술한 값은 특히 내측 (최내측) 벽을 지칭하여야 한다(즉, 그러면, 접촉면 장치는, 특히, 이중벽형 또는 다중벽형 구조의 내벽이거나 그 일부일 것이다).
접촉면 장치의 재료 또는 제1 부분 및/또는 제2 부분의 재료는 플라스틱, 바람직하게는, 열가소성 플라스틱 및/또는 특히, 폴리올레핀계, 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계 및/또는 폴리아미드계 중합체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출 성형에 적합한 모든 재료가 적합하다. 대안적으로(또는 추가적으로), 접촉면 장치 또는 제1 부분 및/또는 제2 부분은 또한 (적어도 부분적으로) 금속, 예를 들면,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 또는 스틸로 형성될 수 있다.
접촉면 장치 또는 그의 적어도 제1 부분 및/또는 제2 부분은 접촉 벽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접촉면 장치, 그의 적어도 제1 부분 및/또는 제2 부분은 (특히, 내측에서) 패딩 또는 다른 중간 요소에 의해 덮일 수 있다. 접촉 벽은 바람직하게는 시트 외피에 의해 형성된다.
접촉면 장치는 일반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측벽 및/또는 후방벽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상술한 접촉 벽은 적어도 하나의 측벽 및/또는 후방벽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의 전이 시, 제2 부분의 경계의 적어도 제2 경계 부분과 제1 부분(또는 제1 부분의 경계의 인접한 제2 경계 부분) 사이의 거리는 동일하게 유지될 수 있다.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은, 특히, 제2 부분의 경계의 제2 경계 부분에서, 서로 부분적으로 (견고하게) 연결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서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은 또한 별도의 구성 요소, 특히, 두 구성 요소의 각 지점이 각각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제거될 수 있는 구성 요소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위치에서, 제2 부분의 전체 경계와 제1 부분(또는 제1 부분의 벽의 인접한 경계 부분) 사이의 거리는 제1 위치에 비하여 증가될 수 있다.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은, 특히, 슬릿 및/또는 절개 및/또는 구부러짐 및/또는 굽힘 부분에 의해 (가능하게는, 제1 위치에서도) 서로로부터 구조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
제2 부분의 경계는, 특히, 다각형, 바람직하게는 정사각형, 보다 바람직하게는 사다리꼴로서, 적어도 하나의 제1 직선 부분을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 직선 부분은, 특히, 제2 위치에서도, 제1 부분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영구적으로 연결되고/되거나, 제1 직선 부분으로부터 이격된 제2 부분의 경계는 적어도 비영구적으로 제1 부분에 연결되며, 특히, 제1 부분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측면도에서, 제1 위치 또는 휴지 위치에서) 제2 부분(유효 영역)은 후방을 향하여 테이퍼지는데, 즉, 전방 영역에서 보다 후방 영역에서 더 좁다.
바람직하게는, (예를 들면 정사각형, 특히, 사다리꼴) 제2 부분(유효 영역)의 하부 에지(특히, 하부 직선 에지)는, 특히, (대향) 상부 (특히, 직선) 에지가 외측으로 선회할 수 있도록, 제1 부분에 견고하게 연결된다. 이는 힘이 효과적이며 안전하게 흡수되도록 한다. 대안적으로, 또한 후방 또는 전방 또는 하부 (특히, 직선) 에지가 외측으로 선회할 수 있다.
어린이 시트에 수용되는 어린이의 머리로부터 (적어도 대략) 둔부까지의 영역, 특히, 어린이 시트의 머리 영역, 예를 들면, 특히, 어린이 시트에 수용되는 어린이의 머리를 수용하도록 설계된 시트백 및/또는 머리받이의 영역, 또는 시트 외피 또는 머리받이의 측면 날개의 영역에서, 특히, 머리의 레벨에서, 제2 부분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위치에서) 제2 부분 및 제1 부분 사이의 최대 오프셋은 바람직하게는 10 mm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 mm 이하,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2 mm 이하,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1 mm 이하이다. 특정 실시예에서, 제2 부분은 제1 부분과 동일 평면에 있을 수 있다. 오프셋은, 특히, (필요한 경우) 제2 부분 및 제1 부분의 병치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단차를 의미한다. 방금 언급한 값은, 특히, 이 단차의 높이를 나타낸다.
바람직하게는, 제2 부분의 내측(즉, 어린이의 방향)으로의 이동이 차단되도록, 차단 장치, 특히, 정지부가 제공되며, 제1 위치에서, 바람직하게는, 특히, 스프링 및/또는 제2 부분의 탄성 장착으로서 제2 부분을 설계하는 것에 의해 제공될 수 있는, 예를 들면, 스프링력에 의해, 제2 부분이 차단 장치에 대하여 가압된다(상기 참조). 이러한 차단 장치는, 특히, 제2 부분이 제1 위치에서 초기 장력을 갖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 제2 부분이 제1 부분에 대하여 이동하기 전에 초기 장력이 먼저 극복되어야 하도록 한다. 이는 그 위에서 제2 부분이 제1 부분에 대하여 이동하는(또는 이동하기 시작하는) 힘 역치를 정의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어린이 시트의 적어도 하나의 벽은 이중벽형일 수 있고, 제2 부분은 바람직하게는 내벽의 일부이다.
실시예에서, 제2 부분의 경계의 제1 경계 부분은 제1 부분(또는 접촉면 장치의 주변부)으로부터의 획정(적어도 제2 위치에서의 간극)에 의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경계의 제2 경계 부분은 제1 부분(또는, 접촉면 장치의 주변부)로의 천이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경계의 제1 경계 부분 및 선택적으로 제2 경계 부분은 바람직하게는 각각 연관된다. 획정은 바람직하게는 구조적이며, 예를 들면, 슬릿 또는 절개 또는 다른 간극 형태이다. 천이는 이음매가 없을 수 있지만(seamless), 예를 들면,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이 별도의 구성 요소를 형성하거나 별도의 구성 요소의 일부이도록 천이가 있을 수도 있다.
제2 부분의 경계는, 특히, 호의 형태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만곡될 수 있다. 접촉면 장치의 제2 부분은 평탄할 수 있다(또는 평탄하지 않을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2 부분 및 제1 부분(또는, 접촉면 장치의 주변부) 사이의 천이는 제2 부분이 튀어나오는 것을 허용하도록 설계된다. 바람직하게는, (특히, 제2 부분이 리프 스프링의 방식으로 설계된 경우), 이는 적합한 재료, 예를 들면, 플라스틱을 선택하고, 천이 영역에 대해 (필요한 경우, 제2 부분을 포함하는 전체 접촉면 장치에 대해) 적합한 두께를 선택하는 것, 그리고 경계의 제2 경계 부분의 적합한 길이를 선택하는 것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2 부분의 벽은 정확히 하나의 천이 부분 및 정확히 하나의 획정 부분을 갖는다.
차단 장치(차단 수단)은 제2 부분의 (어린이 시트에 구속된 어린이를 향하는) 내측으로의 이동을 차단할 수 있지만, 필요한 경우 언제나, 제2 부분(유효 영역)의 (어린이 시트에 구속된 어린이로부터 멀어지는) 외측으로의 이동을 허용할 수 있다. 차단 장치(차단 수단)은, 특히, 필요한 경우, 경계의 (전체) 제1 부분 또는 적어도 일부 부분의 영역에서 유효한 정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외부로부터 어린이 시트에 작용하는 요소가 제2 부분을 내측으로 이동시켜 어린이 시트 내에 유지된 어린이의 머리 영역을 위험하게 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작동 모드는 도어의 모드와 대비 가능하다(임의의 위치에서 잠기지 않음).
바람직하게는, 접촉면 장치는 어린이 시트의 이중벽형 벽(특히, 외피)에 의해 형성된다. 내벽은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접촉면 장치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한다. 제2 부분은, 특히, 바람직하게는, 어린이 시트의 벽(외피)의 내벽의 일부이다. 제2 부분(유효 영역)은 정확히 하나의 천이 부분 및 정확히 하나의 획정 부분을 가질 수 있다. 제2 부분(유효 영역)에 대향하는 벽(외피)의 외벽의 부분은 바람직하게는 연속적으로 설계되어야 하며 외부로부터 어린이 시트에 작용하는 요소에 대항하는 보호 기능을 제공하여야 한다. 이는, 특히, 제2 부분(유효 영역)의 이동을 위한 보호 영역을 생성하여 의도된 공간이 이러한 이동에 항상 이용 가능하도록 하며 제2 부분(유효 영역)의 이동이 외부로부터 제한될 수 없도록 한다.
추가적인 실시예에서, 어린이 시트의 벽(외피)은 이중벽형으로 설계될 수도 있으며, 내벽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접촉면 장치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한다. 특히, 제2 부분(유효 영역)은 바람직하게는 어린이 시트의 외피의 내벽의 일부이다. 제2 부분(유효 영역)은 바람직하게는 정확히 하나의 획정 부분을 가지며 천이 부분을 갖지 않는다. 외부로부터 어린이 시트에 작용하는 요소에 대항하는 보호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제2 부분(유효 영역)에 대향하는 벽(외피)의 외벽의 부분은 바람직하게는 연속적으로 설계된다. 제2 부분(유효 영역)은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탄성 요소(예를 들면, 스프링)를 통하여 외벽 및/또는 내벽에 장착된다. 이는 제2 부분(유효 영역)의 이동을 위해 보호 영역이 형성되도록 하여, 이러한 이동을 위해 제공되는 공간이 항상 이용 가능하도록 하며, 제2 부분(유효 영역)의 이동은 외부로부터 제한되지 않는다.
원칙적으로, 제2 부분의 작동(전이)을 역치 값(이를 초과하기 전에 전이가 발생하지 않음)에 결합시킬 수 있다.
제2 부분(유효 영역)의 최대 하중 용량(즉, 최대 편향 또는 변위가 달성되는 하중)은 최대 3000 뉴턴 또는 최대 1500 뉴턴 또는 최대 700 뉴턴 또는 최대 300 뉴턴의 힘에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추가적인 조치가 이루어진다면, 최대 하중 용량은 예를 들면, 최대 100 뉴턴 또는 40 뉴턴 또는 10 뉴턴으로 낮아질 수도 있다. 이러한 (추가적인) 조치는, 예를 들면, 측면 충격 보호 요소 또는 힘 제한 장치일 수 있다. 최대 편향은 최대 20 cm 또는 최대 10 cm 또는 최대 5 cm 또는 최대 2 cm일 수 있다. (최대) 편향은 제1 위치에서의 그 위치와 비교하여 가장 큰 변화를 겪는 제2 부분의 지점(또는 지점의 그룹)의 편향이다.
최대 하중 용량 및 최대 편향은 필요한 경우 특성화에 사용될 수 있는 스프링 상수를 생성할 수 있다.
특히, 내벽 및 외벽을 갖는 실시예의 경우, 예를 들면, 차량의 시트백에 인접한 영역에서 외부로부터 관통하는 요소의 위험이 없다면, (예를 들면, 중량 감소로 인해) 외벽은 또한 비연속적으로(예를 들면, 프레임 형상)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는 종속 청구항으로부터 기인한다.
아래에서, 도면을 참조로 보다 상세하게 설명되는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어린이 시트의 개략적인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는 제1 위치에서의 본 발명에 따른 어린이 시트의 세부 사항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3은 제2 위치에서의 도 2에 따른 세부 사항을 도시한다.
도 4는 제1 위치에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2와 유사한 세부 사항을 도시한다.
도 5는 제2 위치에서의 도 4에 따른 세부 사항을 도시한다.
도 6은 추가적인 실시예에 따른 제1 위치의 도 2와 유사한 세부 사항을 도시한다.
도 7은 제2 위치에서의 도 6에 따른 세부 사항을 도시한다.
도 8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2와 유사한 세부 사항을 도시한다.
도 9는 제2 위치에서의 도 8에 따른 세부 사항을 도시한다.
도 10은 제1 위치에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2와 유사한 세부 사항을 도시한다.
도 11은 제2 위치에서의 도 10에 따른 세부 사항을 도시한다.
도 12는 내부가 부분적으로 노출된 본 발명에 따른 어린이 시트의 개략적인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13은 도 12의 확대된 세부 사항을 도시한다.
도 14는 제2 부분(유효 영역)의 내측을 바라보는 도 12 및 도 13에 따른 어린이 시트의 단면을 도시한다.
도 15는 도 14의 확대된 세부 사항을 도시한다.
도 16은 제2 부분(유효 영역)의 내측을 바라보는 (후드를 갖는) 시트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7은 후드를 갖는 시트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8은 (후드를 갖는) 시트의 단면을 도시한다.
후술하는 설명에서, 동일한 참조 번호가 동일하고 균등한 부분에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접촉면 장치를 상세하게 볼 수 없는 본 발명에 따른 어린이 시트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제2 부분(유효 영역)의 형성에 적합한 영역이 파선(9)으로 표시된다.
도 2 및 도 3은 제1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어린이 시트의 벽(외피)의 세부 사항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이 실시예는 내벽(10) 및 외벽(11)을 갖는다. 내벽(10)은 차례로 제2 부분(13)(유효 영역) 및 제1 부분(12)을 갖는다. 외측을 향하는 힘이 가해질 때(외벽(1)의 방향), 제2 부분(13)은 제1 부분(12)에 대하여 이동되거나 회동될 수 있다(도 3 참조). 획정 부분(14)(고정된 연결을 형성하지 않음) 및 천이 부분(15)(바람직하게는, 고정된, 이 경우, 관절식 연결을 형성함)에 의해 제1 부분(12) 및 제2 부분(13)이 서로로부터 구조적으로 분리된다. 도 2에서는 제2 부분(13)이 제1 위치(힘 하중 없음)에 있고, 도 3에서는 제2 부분이 (최대) 편향 상태로 제2 위치에 있다.
도 4 및 도 5에 따른 실시예는 도 2 및 도 3에 따른 실시예와 본질적으로 대응하며, 차단 장치(정지부)(16)가 추가적으로 제공된다. 예를 들면, 외부로부터의 물체가 변형하거나 외벽을 뚫는 경우, 차단 장치는 제2 부분(13)이 내측으로 선회(swiveling)하는 것을 방지한다. 필요한 경우, (도 4에 따른 위치에서) 차단 장치는 또한 제2 부분(13)이 내측으로의 초기 장력(pre-tension)을 가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에 따른 실시예는 도 4 및 도 5에 따른 실시예와 대응하며, 여기에서의 벽이 단지 부분적으로 이중이 되는, 즉, 외벽(11)이 내벽(10) 전체에 걸쳐 연장되지 않는 차이가 있다. 그러나, 실시예에 따르면, 제2 부분(13)은 이중벽형인 영역 내에 배치된다.
도 2 내지 도 7에 대조적으로, 도 8 및 도 9는 단지 하나의 벽(17)을 갖지만 도 4 및 도 5에서와 같이 차단 장치(16)를 갖는 단일벽형 벽을 도시한다.
도 10 및 도 11은 기본적으로 도 4 및 도 5에 따른 이중벽형 실시예를 다시 도시한다. 그러나, 도 4 및 도 5와 대조적으로, 제2 부분(13)은 제1 부분(12)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지 않지만, 병진 이동 가능하고 스프링 요소(18)를 통해 장착된다. 스프링 요소(18)는 제2 부분(13)의 외면(19) 및 외벽(11)의 내면(20) 사이에 위치된다. 획정 부분(14)은 있지만, 천이 부분(도 2에 따른 천이 부분(15) 참조)은 없다.
도 12는 제2 부분(13)(또는 유효 영역)을 포함하는 (후드가 숨겨져 있는) 본 발명의 어린이 시트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이러한 제2 부분(13)은 사다리꼴 기하학적 구조를 가지며 후방을 향하여 테이퍼진다. 도 13에서, 제2 부분(13)이 다시 확대되어 도시된다.
도 14는 제2 부분(13)의 내측을 바라보는, 도 12 및 도 13에 따른 어린이 시트의 단면을 도시한다. 제2 부분(13) 주위의 세부 사항의 해당 확대 부분이 도 15에 도시된다.
도 16은 제2 부분(13)의 내측을 바라보는, 이제 후드를 갖는, 도 12에 따른 본 발명의 어린이 시트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7은 제2 부분(13)이 상부(21)에 의해 (적어도 큰 정도로) 중첩된 시트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8은 후드(21)에 대한 제2 부분(13)의 위치를 볼 수 있도록 (후드(21)를 갖는) 어린이 시트의 단면을 도시한다. 구체적으로, 도 18은 획정 부분(14)에 의해 그리고 (하방으로) 제1 부분(12)으로의 천이로서의 천이 부분(15)에 의해 제2 부분(13)이 (상방, 전방 및 후방으로) 경계를 갖는 것을 도시한다. 상방 또는 후방으로 (본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되는 에지면 각각은, (상부) 획정 부분(14)과 같은, 어린이 시트의 나머지 벽(특히, 제1 부분(12))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거나 회동 가능하다.
도 12 내지 도 18(예를 들면, 도 12 참조)에서, 측면 충격 보호 요소(22)가 도시되는데, 이는 (어린이 시트의 벽의 외벽으로부터) 외측으로 이동(선회)되어 외부 충격에 대항하는 측면 충격 보호를 향상시킬 수 있다. 제2 부분(13)(유효 영역)에 대조적으로, 변위 또는 충격에 따라 어린이가 접촉면(내벽 측)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는 점에서, 측면 충격 보호 요소(22)는 (적어도, 상당한 정도는 아니어도)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구성된다. 오히려, 바람직하게는, 그 이동을 위해 별도의 작동 수단이 제공되거나 별도의 작동이 요구되는데, 이는 측면 충격 보호부(22)가 외측으로 변위되도록, 예를 들면, 외측으로 선회되도록 어린이 시트(예를 들면, 차량 시트 상으로의 장착 이후)가 조절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측면 충격 보호부 및 제2 부분(13)(또는 감쇠 영역 요소)의 구성 사이의 근본적 개념 차이는, 측면 충격 보호부(22)는 충격 상황(사고 상황) 전에 이미(현저하게) 외측으로 변위되거나 회동되고, 이에 따라, 이 충격을 감쇠하기 위해 어린이 시트의 내벽 측에 대항하는 어린이의 충격에 의해 제3 부분(13)이 단지 변위된다는 것이다.
제2 부분(13) 및/또는 측면 충격 보호 요소(22)는 복수의, 특히, 이중의 구성으로 제공될 수 있다(예를 들면, 한 번에 일측에서 제2 부분(13) 또는 측면 충격 보호 요소(22)가 각각 제공).
개별적으로 그리고 임의의 조합으로 취해진 상술한 모든 부분, 특히, 도면에 도시된 세부 사항은 본질적으로 독창적이라는 것으로 주장된다는 점에 유의하여야 한다. 이러한 부분의 수정은 당업자에게 익숙하다.
9: 파선
10: 제1 벽
11: 제2 벽
12: 제1 부분
13: 제2 부분
14: 획정 부분
15: 천이 부분
16: 차단 장치
17: 벽
18: 스프링 요소
19: 내면
20: 외면
21: 후드
22: 측면 충격 보호 요소

Claims (15)

  1. 자동차 시트 장착용 어린이 시트에 있어서,
    상기 어린이 시트에 수용되는 어린이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접촉면 장치(10, 11, 17)를 포함하고,
    상기 접촉면 장치는 적어도 제1 부분(12) 및 제2 부분(13)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부분을 향하여 상기 어린이가 변위할 때 상기 어린이의 감속을 감쇠하기 위해, 상기 제2 부분에 작용하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외측을 향하는 힘의 작용에 의해, 상기 제2 부분(13)이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상기 제1 부분(12)에 대하여 전이 가능한, 어린이 시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위치에 비교되는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제2 부분의 경계의 적어도 제1 경계 부분과 상기 제1 부분 사이의 거리가 증가되고,
    상기 제1 위치에서의 상기 거리는, 바람직하게는, 2 cm 미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1 cm 미만, 특히, 적어도 실질적으로 0과 동일하고/하거나 상기 제2 위치에서의 상기 거리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1.5 cm 초과, 바람직하게는, 5 cm 초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 시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제2 위치로의 전이는 가역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 시트.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제1 부분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고, 특히, 회동 플랩(pivoting flap)으로서 설계되고/되거나 병진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 시트.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분(13)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스프링, 특히, 리프 스프링으로서 설계되고/되거나 특히, 코일 스프링(18)을 통하여 탄성적으로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 시트.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12) 및/또는 제2 부분(13)은 적어도 실질적으로 치수적으로 안정적이고/이거나 비다공성인 재료로 형성되고/되거나, 적어도 100 kg/m3,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500 kg/m3,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800 kg/m3의 밀도를 갖고/갖거나 적어도 1 mm,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5 mm 및/또는 30 mm 이하, 바람직하게는, 15 mm 이하의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 시트.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면 장치(10, 11; 17) 또는 적어도 상기 제1 부분(12) 및/또는 제2 부분(13)은 접촉 벽에 의해 형성되고/되거나, 특히, 내측에서 패딩 또는 다른 중간 요소에 의해 덮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 시트.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면 장치(10, 11; 17)는 적어도 하나의 측벽 및/또는 후방벽에 의해 형성되며, 특히,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접촉 벽은 적어도 하나의 측벽 및/또는 후방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 시트.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제2 위치로의 전이 중 상기 제2 부분의 경계의 적어도 하나의 제2 경계 부분과 상기 제1 부분 사이의 거리는 동일하게 유지되고/되거나, 특히, 상기 제2 부분(13)의 경계의 제2 경계 부분에서, 상기 제1 부분(12) 및 상기 제2 부분(13)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바람직하게는, 서로 일체로 서로 견고하게 연결되거나, 상기 제1 위치에 비교되는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제2 부분(13)의 전체 경계와 상기 제1 부분(12) 사이의 거리가 증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 시트.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제1 위치에서, 특히, 슬릿 또는 절개에 의해, 제1 부분(12) 및 제2 부분(13)이 서로 구조적으로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 시트.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분(13)의 경계는, 특히, 다각형, 바람직하게는, 사변형 형태의 적어도 하나의 제1 직선 부분을 갖고, 상기 제1 직선 부분은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특히, 상기 제2 위치에서도, 상기 제1 부분(12)에 영구적으로 연결되고/되거나, 상기 제1 직선 부분으로부터 이격된 상기 제2 부분의 경계는, 특히, 상기 제1 부분(12)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게, 적어도 비영구적으로 상기 제1 부분(12)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 시트.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어린이 시트에 수용된 어린이의 머리로부터 둔부까지의 영역, 특히, 상기 어린이 시트의 머리 영역, 예를 들면, 특히, 상기 어린이 시트에 수용된 어린이의 머리를 수용하도록 설계된 시트백(seatback) 및/또는 머리받이의 영역, 또는 시트 외피 또는 상기 머리받이의 측면 날개의 영역에서, 특히, 머리의 높이에, 상기 제2 부분(13)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 시트.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분(13) 및 상기 제1 부분(12) 사이의 최대 오프셋은 10 mm 이하, 바람직하게는, 5 mm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 mm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 mm 이하이거나, 상기 제2 부분(13)은 상기 제1 부분(12)과 동일 평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 시트.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분(13)의 내측으로의 이동이 차단되도록, 차단 장치(16), 특히, 정지부가 제공되고, 상기 제1 위치에서의 상기 제2 부분(13)은, 바람직하게는, 예를 들면, 스프링력에 의해, 상기 차단 장치(16)에 대해 가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 시트.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어린이 시트의 적어도 하나의 벽(10, 11)은 이중벽형이고, 상기 제2 부분은 바람직하게는 내벽의 일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 시트.
KR1020207020929A 2017-12-22 2018-12-14 자동차 시트 장착용 어린이 시트 KR1026048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202017107887.6 2017-12-22
DE202017107887.6U DE202017107887U1 (de) 2017-12-22 2017-12-22 Kindersitz zur Anbringung auf einem Kraftfahrzeugsitz
PCT/EP2018/085033 WO2019121413A1 (de) 2017-12-22 2018-12-14 Kindersitz zur anbringung auf einem kraftfahrzeugsitz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9577A true KR20200099577A (ko) 2020-08-24
KR102604863B1 KR102604863B1 (ko) 2023-11-24

Family

ID=615258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0929A KR102604863B1 (ko) 2017-12-22 2018-12-14 자동차 시트 장착용 어린이 시트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11465538B2 (ko)
EP (2) EP3727930B1 (ko)
JP (1) JP7446999B2 (ko)
KR (1) KR102604863B1 (ko)
CN (1) CN111683836B (ko)
DE (1) DE202017107887U1 (ko)
ES (1) ES2957308T3 (ko)
PL (1) PL3727930T3 (ko)
WO (1) WO201912141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2017107887U1 (de) 2017-12-22 2018-01-12 Cybex Gmbh Kindersitz zur Anbringung auf einem Kraftfahrzeugsitz
CN113386639A (zh) * 2020-03-13 2021-09-14 宝钜瑞士股份有限公司 儿童安全座椅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232743A1 (en) * 2003-05-06 2004-11-25 Delta Tooling Co., Ltd. Seat structure
US20100295347A1 (en) * 2009-05-20 2010-11-25 Cosco Management, Inc. Energy-dissipation system
US8931836B2 (en) * 2011-09-08 2015-01-13 Wonderland Nurserygoods Company Limited Child safety seat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42194A (ja) * 1998-01-27 2000-05-23 Aprica Kassai Inc 育児器具
NL1034678C2 (nl) * 2007-11-13 2009-05-14 Maxi Miliaan Bv Voertuigstoel alsmede een steun geschikt voor in een voertuig.
US7744154B2 (en) * 2008-07-30 2010-06-29 Cosco Management, Inc. Energy-dissipation system
US8052210B2 (en) * 2009-05-20 2011-11-08 Cosco Management, Inc. Energy-dissipation system
ES2757699T3 (es) 2009-11-09 2020-04-29 Britax Childcare Pty Ltd Asiento para niños con protección contra impactos
AU2011200689A1 (en) * 2010-02-18 2011-09-01 Britax Childcare Pty Ltd Improvements relating to vehicle child restraints
ES2538327T3 (es) * 2011-09-13 2015-06-19 BRITAX RÖMER Kindersicherheit GmbH Silla de seguridad infantil para vehículos
DE202012102471U1 (de) 2012-06-18 2012-09-07 Cybex Gmbh Kindersitz zur Anbringung auf einem Kraftfahrzeugsitz
WO2014053009A1 (en) * 2012-10-01 2014-04-10 Infa-Secure Pty Ltd Energy attenuation system for a child safety seat
JP3186995U (ja) * 2013-08-23 2013-10-31 コンビ株式会社 チャイルドシート
DE102014109219A1 (de) * 2014-07-01 2016-01-07 Cybex Gmbh Kindersicherheitssitz
DE102015113836B4 (de) * 2015-08-20 2020-11-05 Recaro Child Safety Gmbh & Co. Kg Kindersitzschutzvorrichtung
DE202017107887U1 (de) 2017-12-22 2018-01-12 Cybex Gmbh Kindersitz zur Anbringung auf einem Kraftfahrzeugsitz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232743A1 (en) * 2003-05-06 2004-11-25 Delta Tooling Co., Ltd. Seat structure
US20100295347A1 (en) * 2009-05-20 2010-11-25 Cosco Management, Inc. Energy-dissipation system
US8931836B2 (en) * 2011-09-08 2015-01-13 Wonderland Nurserygoods Company Limited Child safety sea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4863B1 (ko) 2023-11-24
JP2021506665A (ja) 2021-02-22
EP3727930A1 (de) 2020-10-28
EP4242058A3 (de) 2023-12-06
CN111683836A (zh) 2020-09-18
US11465538B2 (en) 2022-10-11
JP7446999B2 (ja) 2024-03-11
ES2957308T3 (es) 2024-01-17
WO2019121413A1 (de) 2019-06-27
EP3727930B1 (de) 2023-07-05
US20200384900A1 (en) 2020-12-10
PL3727930T3 (pl) 2023-12-11
EP3727930C0 (de) 2023-07-05
EP4242058A2 (de) 2023-09-13
DE202017107887U1 (de) 2018-01-12
CN111683836B (zh) 2023-09-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3023122C (en) Multi-position anti-rebound bar
EP1787855B1 (en) Vehicle child seat arrangement
WO1994018871A1 (en) Impact energy absorption mechanism for recline-locking apparatuses
CA2401599A1 (en) Convertible child safety seat
KR102604863B1 (ko) 자동차 시트 장착용 어린이 시트
US20230339373A1 (en) Child safety seat
CN109843644B (zh) 儿童座椅
AU2013248252B2 (en) Restraint cushioning improvements
KR101296260B1 (ko) 유아용 보조시트를 갖는 차량의 리어시트
CN107031525B (zh) 车室内结构
CN112739573B (zh) 具有侧面冲击能量吸收的儿童安全座椅
JP5023586B2 (ja) 車両の後部車体構造
EP3712009B1 (en) Child safety seat
KR200141645Y1 (ko) 차량용 헤드레스트의 릴리저
JP2007261327A (ja) シート構造
KR20230098295A (ko) 차량 시트에 장착하기 위한 충격 실드가 있는 어린이 시트
AU650656B2 (en) A chair for a vehicle
JP2008229108A (ja) ヘッドレスト及び車両用シ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