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3675B1 - 충격과 파편으로부터 신체를 보호해주는 유아용 보호 장비 - Google Patents

충격과 파편으로부터 신체를 보호해주는 유아용 보호 장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3675B1
KR101493675B1 KR20140100013A KR20140100013A KR101493675B1 KR 101493675 B1 KR101493675 B1 KR 101493675B1 KR 20140100013 A KR20140100013 A KR 20140100013A KR 20140100013 A KR20140100013 A KR 20140100013A KR 101493675 B1 KR101493675 B1 KR 1014936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pact
protective
cushion
base member
inf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1000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보원
Original Assignee
(주)피앤제이 베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피앤제이 베드 filed Critical (주)피앤제이 베드
Priority to KR201401000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367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36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36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39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having a front guard or barri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84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with protection systems against abnormal g-for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or animals
    • B60R22/105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or animals for childr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아용 보호 장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외부의 충격 및 파편으로부터 유아의 신체를 보호할 수 있는 유아용 보호 장비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유아용 보호 장비는 내측에 착석 가능한 공간이 형성된 착석부재, 상기 착석 부재에 고정 체결되는 베이스 부재, 상기 베이스 부재와 연결되며, 외부의 충격에 의해 상기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이동하는 보호쿠션을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 부재의 내측에는, 충격부재, 일측 종단은 상기 충격부재에 밀착되며, 타측 종단은 상기 보호쿠션에 형성된 홈부에 인입되는 충격 전달부재를 포함하며, 외부의 충격에 의해 상기 충격부재와 상기 충격 전달부재의 일측 종단이 이격되면, 상기 보호쿠션에 형성된 홈부에 인입된 충격 전달부재의 타측 종단이 상기 홈부로부터 인출된다.

Description

충격과 파편으로부터 신체를 보호해주는 유아용 보호 장비{Safety apparatus for baby}
본 발명은 유아용 보호 장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외부의 충격 및 파편으로부터 유아의 신체를 보호할 수 있는 유아용 보호 장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안전벨트가 장착되어 급정거나 외부충격 등에 의해 탑승자나 운전자를 보호하도록 설치되고, 상기와 같은 안전벨트를 성인을 기준으로 설치되어 유아나 어린아이 등은 사용할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이와 같이 차량에 탑승하는 유아 또는 어린이를 위해 좌석에 고정되는 유아용 카시트가 별도로 설치된다.
이러한 유아용 카시트는 좌석위에 올려놓고 안전벨트로 연결하여 고정하는 방식을 사용하며, 유아용 카시트 역시 시트벨트가 구비되는 것이다.
한국공개특허 제2010-0084390호(발명의 명칭: 아동용 카시트)는 차량의 착석 부분상에 놓이는 하부 표면을 가지는 기부를 포함하고, 기부가 걸쇠 수단을 통해 차량 좌석의 고정 수단과 맞물리며, 이로써 기부와 상기 고정 수단 사이의 피벗 연결부를 제공하는 아동용 카시트에 관한 것으로, 에너지 흡수 메커니즘을 통해 충격 에너지가 흡수되는 방안을 제안하고 있다.
또한 한국공개특허 제2003-0007265호(발명의 명칭: 튜브타입 유아용 카시트)는 차량 운행시 유아의 안전을 위하여 차량좌석에 장착하는 유아용 카시트 구조에 있어서, 등받이, 시트하부, 팔걸이로 형성되어 있는 본체에 공기를 주입하고 뺄 수 있어 사용하지 않을 시는 공기를 배출한 후 접은 상태로 보관할 수 있고 차량에 장착시는 공기를 주입하여 사용할 수 있는 튜브타입의 유아용 카시트구조를 제안하고 있다.
이와 같이 종래 외부 충격시 유아용 카시트에 착석하고 있는 유아를 보호하는 다양한 방안이 논의되고 있다. 하지만, 실제 충돌이나 추돌로 인한 외부 충격 시 유아용 카시트에 착석하고 있는 유아의 상체(가슴)는 안전벨트로 인해 유아용 카시트에 고정되는 반면, 두부(머리)는 앞쪽으로 튕겨나가게 된다. 이로 인해 유아의 머리는 손상을 입게 되며, 특히 머리와 무릎의 추돌로 인해 2차 피해까지 발생하는 문제점에 노출되어 있다.
따라서 외부 충격으로부터 유아를 좀 더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유아용 카시트를 포함한 유아용 보호 장비의 필요성이 더욱 대두되고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유아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유아용 보호장비를 제안함에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다른 과제는 외부의 충격으로 유아의 기도가 카시트에 밀착된 상태에서도 자유롭게 호흡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함에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유아용 보호 장비는 내측에 착석 가능한 공간이 형성된 착석부재, 상기 착석 부재에 고정 체결되는 베이스 부재, 상기 베이스 부재와 연결되며, 외부의 충격에 의해 상기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이동하는 보호쿠션을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 부재의 내측에는, 충격부재, 일측 종단은 상기 충격부재에 밀착되며, 타측 종단은 상기 보호쿠션에 형성된 홈부에 인입되는 충격 전달부재를 포함하며, 외부의 충격에 의해 상기 충격부재와 상기 충격 전달부재의 일측 종단이 이격되면, 상기 보호쿠션에 형성된 홈부에 인입된 충격 전달부재의 타측 종단이 상기 홈부로부터 인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보호장비는 외부로부터 의도하지 않은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유아의 안면을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유아용 보호장비 중 유아의 안면에 밀착되는 부분은 통기성이 우수한 구조를 갖는 재질로 구성함으로써 사고시에도 유아가 자유롭게 호흡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유아용 보호장비는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기존 유아용 카시트나 유모차에 장착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부연하여 유아용 보호장비를 구성하는 이동 유도판의 위치 및 경사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보호부재가 작동하는 외부 충격의 크기를 간단하게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유아용 카시트의 개략적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유아용 카시트를 구성하는 보호부재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외부 충격 이후의 유아용 카시트를 구성하는 보호부재의 상태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유아용 카시트를 구성하는 보호쿠션의 다른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유아용 카시트의 구조를 도시한 다른 도면이다.
전술한, 그리고 추가적인 본 발명의 양상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통하여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이러한 실시 예를 통해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유아용 카시트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1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유아용 카시트의 구조에 대해 상세하게 알아보기로 한다.
도 1에 의하면, 유아용 카시트는 착석부재, 안전벨트, 보호부재, 가이드 부재를 포함한다. 물론 상술한 구성 이외에 다른 구성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유아용 카시트에 포함될 수 있다.
착석부재(100)는 유아가 착석할 수 있는 구조로 구성되며,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재질로 구성된다. 또한 착석부재(100)는 착석한 유아가 측면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측면의 일부가 외부로 돌출되어 있다.
안전벨트(200)는 착석부재(100)에 착석한 유아를 착석부재(100)에 고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유아는 착석부재(100)에 의해 측면으로의 이동은 일정 부분 방지할 수 있다. 하지만, 안전벨트(200)에 의해 유아의 가슴은 착석부재(100)에 고정되는 반면, 두부(머리) 부분은 외부의 충격으로 인해 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즉, 유아의 가슴은 착석부재(100)에 고정된 상태에서 두부는 전방으로 이동하게 되며, 이로 인해 유아의 머리(두부), 목은 외부의 충격에 그대로 노출되어 골절 등의 원인이 된다. 이러한 외부 충격으로부터 유아를 보호하기 위해 본 발명은 보호부재(300)가 추가로 구성된 유아용 카시트를 제안한다.
보호부재(300)는 '∩'자 형상을 가지며, 착석부재(100)와 고정 체결된다. 즉, 보호부재(300)의 일측 종단은 착석부재(100)의 일측 종단에 체결되며, 보호부재(300)의 타측 종단은 착석부재(100)의 타측 종단에 체결된다.
보호부재(300)는 평상시에는 지면을 기준으로 수직방향으로 위치하며, 외부의 충격이 보호부재(300)에 가해지는 경우에는 지면과 동일한 수평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가이드부재(400)는 보호부재의 일측과 체결되며, 차량 충돌시 발생하는 파편으로부터 유아를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가이드부재(400)는 평판 형태로 구성되며, 시야 확보를 위해 투명한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평상시 보호부재(300)의 중앙 부분은 착석부재(100)에 착석되어 있는 유아의 머리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지점에 위치한다. 이하에서는 보호부재의 내부 구성 및 외부 충격에 의한 보호부재의 동작에 대해 알아보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보호부재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2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 보호부재의 구성에 대해 상세하게 알아보기로 한다.
도 2에 의하면, 보호부재는 보호쿠션, 베이스 부재, 제1 탄성부재, 제2 탄성부재, 제3 탄성부재, 충격부재, 충격 전달부재, 충격 감지부재, 체결부재, 힌지부재를 포함한다. 물론 상술한 구성 이외에 다른 구성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보호부재에 포함될 수 있다. 즉, 보호부재는 크게 보호쿠션과 베이스 부재 및 베이스 부재(310) 내부에 인입되는 구성들로 구성된다.
보호쿠션(305)은 '∩' 형상으로 구성되며, 외부의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탄성재질로 구성되며, 특히 통기성이 우수한 재질로 구성된다. 일예로 보호쿠션(305)은 통기성이 우수하며,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스펀지, 라텍스, 메모리폼과 같은 재질로 구성된다. 즉, 보호쿠션(305)은 유아의 얼굴이 보호쿠션(305)에 밀착된 상태에서도 호흡이 가능한 재질로 구성된다. 보호쿠션(305)의 양 종단은 후술할 충격 전달부재(335)의 일부가 인입되는 홈부가 형성된다. 물론 보호쿠션(305) 전체가 통기성 구조를 갖는 재질로 구성될 필요는 없다. 즉, 작동시 유아의 얼굴이 밀착하는 부분은 통기성 구조를 갖는 재질로 구성하며, 다른 부분은 딱딱한 재질로 구성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평상시 보호쿠션(305)은 착석부재에 착석되어 있는 유아의 머리 상단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외부 충격에 의해 보호쿠션(305)이 쉽게 유아의 전방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보호쿠션(305)을 수직방향으로 설치하는 대신 전방을 향하도록 비스듬하게 설치할 수 있다.
제1 탄성부재(315)는 베이스 부재(310)와 보호쿠션(305)을 연결한다. 즉, 제1 탄성부재(315)의 일측은 베이스 부재(310)와 연결되며, 제1 탄성부재(315)의 타측은 보호쿠션(305)에 연결된다.
베이스 부재(310)는 내부가 빈 바 타입으로 형성되며, 내부에 다수의 구성들이 인입된다.
충격부재(330)는 베이스 부재(310)의 내부에 형성되며, 바 타입으로 구성된다. 충격부재(330)는 외부의 충격에 의해 베이스 부재(310)의 내부에서 이동한다. 특히 충격부재(330)는 베이스 부재(310)의 내부에서 모든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아니라 특정 방향(a 방향)으로 이동한다. 즉, 충격부재(330)는 차량의 진행(전진 또는 후진)방향으로 이동한다. 충격부재(330)의 상단에는 차량의 진행방향과 동일한 방향인 제a 방향으로 내부가 빈 통공을 형성한다.
충격부재(330)의 하단에는 힌지부재(350)를 형성되며, 힌지부재(350) 역시 베이스 부재(310)의 내측에 형성된다. 힌지부재(350)는 베이스 부재(310)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도로 형성될 수 있다.
힌지부재(350)는 충격부재(330)가 차량의 진행방향과 동일한 방향인 a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제3 탄성부재(325)는 충격부재(330)가 평상시 베이스 부재(310) 내부에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일측은 충격부재(330)에 밀착되며, 타측은 베이스 부재(310)의 내측 표면에 밀착된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제3 탄성부재(325)는 적어도 두 개의 부재로 구성되며, 충격부재(330)를 기준으로 전방에 하나의 부재, 후방에 하나의 부재가 위치한다. 제3 탄성부재(325)는 외부의 충격이 설정된 충격보다 큰 경우, 충격부재(330)가 베이스 부재(310) 내부에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즉, 외부의 충격에 의해 충격부재(330)가 이동하는 방향의 전방에 위치한 제3 탄성부재(325)는 압축되며, 후반에 위치한 제3 탄성부재(325)는 신장(늘어나게)된다.
이동 유도판(355)은 베이스 부재(310)의 내측에 위치하며, 중앙에는 충격부재(330)가 위치한다. 이동 유도판(355)은 내부에 위치하고 있는 충격부재(330)가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내부가 충격부재(330)의 단면적보다 상대적으로 큰 단면적을 갖는 통공 또는 개구부를 형성한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이동 유도판(355)은 지면과 수평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아니라 중앙의 높이가 종단의 높이보다 상대적으로 낮게 형성한다. 즉, 이동 유도판(355)은 일정 각도 경사지게 형성한다. 이동 유도판(355)을 일정 각도 경사지게 형성하는 이유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이동 유도판(355)의 상단에는 충격 감지부재(340)가 안착된다. 충격 감지부재(340)는 외부의 충격에 의해 이동 유도판(355)의 상단에서 자유롭게 이동한다. 이를 위해 충격감지부재(340)는 두 개의 볼(ball)로 형성되며, 두 개의 볼은 연결부재(340-1)에 의해 연결된다. 연결부재(340-1)는 상술한 충격부재(330) 내부에 형성된 통공으로 인입된다. 즉, 충격부재(330)의 전방에는 하나의 볼이 위치하며, 충격부재(330)의 후방 역시 하나의 볼이 위치하며, 두 개의 볼은 연결 부재에 의해 연결된다. 충격 감지부재(340)의 이동에 의해 충격부재(330) 역시 이동하게 된다.
또한, 이동 유도판(355)의 위치는 베이스 부재(310) 내에서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설계한다. 물론 이 경우 충격 감지부재(340)의 위치 역시 이동 유도판(355)의 위치에 따라 달라지게 된다. 이와 같이 이동 유도판(355) 또는 충격 감지부재(340)의 위치를 달리함으로써 외부 충격의 크기에 따른 보호부재의 작동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즉, 이동 유도판(355) 또는 충격 감지부재(340)가 베이스 부재(310)의 상단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외부의 작은 충격에도 보호부재가 동작한다.
물론 이동 유도판(355)의 경사 각도를 조절하여 외부 충격의 크기에 따른 보호부재의 작동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즉, 이동 유도판(355)의 경사 각도가 큰 경우에는 외부 큰 충격에 보호부재가 동작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동 유도판(355)은 지면을 기준으로 수평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 이동 유도판(355) 상단에 위치하고 있는 충격 감지부재(340)인 볼은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설정된 수치 이하의 충격에서도 자유롭게 이동하게 된다. 즉, 차량의 진행 방향으로의 충격이 아닌 차량이 요철 구간을 주행 중인 경우에도 충격 감지부재(340)인 볼은 이동 유도판(355)의 상단에서 자유롭게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의도하지 않은 충격으로부터 충격 감지부재(340)가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이동 유도판(355)을 경사지게 형성된다.
충격부재(330)의 상단에는 충격 전달부재(335)가 위치한다. 충격 전달부재(335)의 일측은 충격부재(330)에 밀착되며, 타측은 베이스 부재(310)에 형성된 홈부에 인입된다. 이를 위해 베이스 부재(310)는 충격 전달부재(335)가 외부의 베이스 부재(310)에 형성된 홈부에 인입될 수 있도록 통공을 형성한다.
충격 전달부재(335)는 지지부를 포함하며, 지지부는 제2 탄성부재(320)에 밀착된다.
제2 탄성부재(320)는 일측은 베이스 부재(310)의 상단 내부 표면에 밀착되며, 타측은 충격 전달부재(335)의 지지부에 밀착된다. 제2 탄성부재(320)의 탄성력에 의해 충격 전달부재(335)는 평상시 충격부재(330)를 가압한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하여 충격부재(330)와 충격 전달부재(335)의 종단은 중앙에 비해 상대적으로 면적이 작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체결부재(345)는 보호부재를 착석부재에 체결한다. 이를 위해 베이스 부재(310) 상에는 적어도 두 개의 체결구를 형성하며, 체결부재(345)를 이용하여 베이스 부재(310)와 착석부재를 체결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하나의 체결구를 형성하는 것이 아니라, 착석부재의 기울기에 상관없이 타 타입으로 형성된 베이스 부재(310)가 지면을 기준으로 수직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적어도 두 개의 체결구를 형성한다. 즉, 운전자는 유아의 상태에 따라 착석부재의 기울기를 달리하여 사용하며, 본 발명은 이러한 경우에도 베이스 부재(310)가 지면을 기준으로 수직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적어도 두 개의 체결구를 형성한다.
보호쿠션과 베이스 부재에 동일한 극성을 갖는 자석(360)이 설치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외부 충격에 의한 보호부재의 동작을 도시하고 있다. 이하 도 3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외부 충격에 의한 보호부재의 동작에 대해 상세하게 알아보기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외부로부터 설정된 수치 이상의 압력이 가해지면 충격 감지부재(340)는 이동 유도판(355) 상단에서 이동한다. 충격 감지부재(340)의 이동에 의해 충격 감지부재(340)와 연결되어 있는 충격부재(330) 역시 충격 감지부재(340)의 이동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한다.
충격부재(330)가 이동하게 되면, 충격부재(330)의 종단이 충격 전달부재(335)의 종단으로부터 이탈하게 된다. 충격부재(330)가 이탈하게 되면, 제2 탄성부재(320)의 탄성력에 의해 충격 전달부재(335)는 하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충격 전달부재(335)가 하측으로 이동하게 되면, 보호쿠션(305)의 홈부에 인입되어 있는 충격 전달부재(335)의 일부가 베이스 부재(310) 내부로 인입된다.
충격 전달부재(335)가 베이스 부재(310)의 내부로 인입되면, 제1 탄성부재(315)의 탄성력에 의해 보호쿠션(305)은 하단으로 내려오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외부로부터 설정된 수치 이상의 압력이 가해지는 경우, 보호쿠션(305)은 하단으로 내려오게 되며, 이로 인해 유아의 머리는 외부 충격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된다.
물론 충격부재(330)가 이동하는 경우, 충격부재(330)의 하단에 위치하고 있는 제3 탄성부재(325) 중 이동방향의 전단에 위치하고 있는 탄성부재는 압축되며, 후단에 위치하고 있는 탄성부재는 신장된다.
부연하여 도 2 내지 도 3에서는 보호쿠션(305)은 베이스 부재(310) 상에 형성된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한다. 즉, 보호쿠션(305)은 평상시에는 베이스 부재(310)와 직선상에 위치하지만, 충격에 의해 충격 전달부재(335)가 베이스 부재(310) 내부로 인입되는 경우, 베이스 부재(310)상에 형성된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하여 하단으로 내려오게 된다.
상술한 가이드부재(400) 역시 평상시에는 보호부재의 베이스부재 내측에 인입되어 있으나, 외부 충격이 발생한 경우 베이스부재의 외부로 인출되도록 설계할 수 있다. 즉, 보호쿠션이 유아의 얼굴 부위로 이동하는 경우, 베이스부재에 인입되어 있는 가이드부재 역시 베이스부재의 외부로 인출된다.
이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가이드부재(400)의 일측에 홈부를 형성하며, 형성된 홈부 내에 별도의 충격 전달부재의 일부가 인입된 상태에서, 외부로부터 충격이 가해지면, 인입된 충격 전달부재가 인출된다. 충격 전달부재가 인출되면, 일측은 가이드부재(400)와 연결되며, 타측은 베이스 부재에 연결된 탄성부재에 의해 가이드 부재는 안착부재의 측면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보호쿠션 이외에 별도의 가이드 부재를 형성하며, 외부 충격에 의해 보호쿠션과 가이드 부재를 이용하여 충격으로부터 유아를 보호한다.
부연하여 보호쿠션은 유아의 얼굴 부위까지만 이동하도록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베이스 부재의 상단은 '∪'자 형상을 가지며, '∪'자 형상 내부로 보호쿠션이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하도록 설계할 수 있다. 이후 외부로부터 충격이 가해지면, 보호쿠션은 '∪'자 형상 내에서만 회전하게 되므로 보호쿠션은 베이스 부재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90도까지만 회전하게 된다. 또한, 보호쿠션과 베이스 부재에 동일한 극성을 갖는 자석(360)을 설치함으로써, 자력에 의해 보호쿠션과 베이스 부재 사이의 거리를 일정 거리 이상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보호쿠션이 충격에 의해 유아의 전방으로 이동한 상태에서 상측에서 낙하는 파편으로부터 유아를 보호하기 위해 보호쿠션에 보호막을 형성할 수 있다. 즉, 보호막은 충격에 의해 보호쿠션이 유아의 전방으로 이동한 상태에서 파편으로 유아를 보호하기 위해 보호쿠션의 후단에 형성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유아용 카시트의 또 다른 형상을 도시하고 있다. 이하 도 4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유아용 카시트에 대해 알아보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은 '∩' 형상의 보호 쿠션을 도시하고 있으나, 도 5는 두 개의 'ㄱ'자 형상의 보호 쿠션을 도시하고 있다. 즉, 도 4는 도 1 내지 도 3과 달리 보호쿠션(305)의 중앙 부분이 분리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4는 보호 쿠션이 유아의 두부 상단에서 두부 전단으로 이동하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호 쿠션이 카시트를 구성하는 안착부재의 측면에 위치한 상태에서 외부 충격 시 안착부재의 전면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보호 쿠션의 이동 방향은 다양한 형태로 변경이 가능하나, 이동 후의 위치는 유아의 전면에 위치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연하여 도 4는 2개로 구분되어 있는 보호 쿠션의 크기가 동일한 것으로 기재되어 있으나, 좌측에 위치하고 있는 보호 쿠션의 크기와 우측에 위치하고 있는 보호 쿠션의 크기를 다르게 할 수 있다. 또한, 2개로 구분되어 있는 보호 쿠션이 유아용 카시트의 전면에서 바라볼 경우 일정 길이 중첩되도록 하여 하나의 보호 쿠션이 오작동하더라도 다른 하나의 보호 쿠션의 작동만으로 유아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한다. 이 경우 2개의 보호 쿠션의 측면 길이는 서로 상이하도록 설계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유아용 카시트의 구조를 도시한 다른 도면이다. 이하 도 5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유아용 카시트의 구조에 대해 상세하게 알아보기로 한다.
도 5에 의하면, 보호부재는 유아의 상측에서 유아의 전방으로 이동하는 것이 아니라 측면에서 유아의 전방으로 이동한다. 이와 같이 유아의 측면에서 유아의 전방으로 이동하는 경우, 유아를 더욱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는 유아용 카시트에 보호부재가 설치된 경우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유아용 카시트 이외에 유아가 탑승하는 유모차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100: 착석부재 200: 안전벨트
300: 보호부재 400: 가이드 부재
305: 보호쿠션 310: 베이스 부재
315: 제1 탄성부재 320: 제2 탄성부재
325: 제3 탄성부재 330: 충격부재
335: 충격 전달부재 340: 충격 감지부재
345: 체결부재 350: 힌지부재
355: 이동 유도판 360: 자석

Claims (10)

  1. 삭제
  2. 내측에 착석 가능한 공간이 형성된 착석부재;
    상기 착석 부재에 고정 체결되는 베이스 부재;
    상기 베이스 부재와 연결되며, 외부의 충격에 의해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이동하는 보호쿠션을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 부재의 내측에는,
    충격부재;
    일측 종단은 상기 충격부재에 밀착되며, 타측 종단은 상기 보호쿠션에 형성된 홈부에 인입되는 충격 전달부재를 포함하며,
    외부의 충격에 의해 상기 충격부재와 상기 충격 전달부재의 일측 종단이 이격되면, 상기 보호쿠션에 형성된 홈부에 인입된 충격 전달부재의 타측 종단이 상기 홈부로부터 인출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보호 장비.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쿠션의 일부는 통기성 구조를 갖는 재질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보호 장비.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쿠션은 '∩' 자 형상으로 구성되거나, 'ㄱ'자 형상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보호 장비.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부재는,
    일정 길이를 갖는 바 타입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보호 장비.
  6. 제 5항에 있어서,
    바 타입으로 형성된 상기 충격부재의 측면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지점에 위치하며, 구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외부의 충격에 의해 상기 충격부재의 측면으로 이동하여 상기 충격부재의 측면을 가압하는 충격 감지부재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보호 장비.
  7. 제 6항에 있어서,
    박판 형태로 구성되며, 테두리가 상기 베이스 부재의 내측면에 접착되며,
    바 타입으로 형성된 상기 충격부재가 내측 중앙에 위치하도록 통공을 형성하며,
    상기 충격부재의 하단 종단으로 일정 높이 상에 위치하며,
    상단에 상기 충격 감지부재가 안착되며, 중앙이 상대적으로 낮고 종단이 상대적으로 높도록 경사진 형상을 갖는 이동 유도판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보호 장비.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부재는,
    일측 종단은 힌지부재가 체결되어 있으며, 외부의 충격으로 인해 상기 충격 감지부재가 상기 충격부재를 가압하는 경우, 상기 힌지부재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함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보호 장비.
  9. 제 8항에 있어서,
    일측은 상기 베이스 부재의 내측 표면에 밀착하며, 타측은 상기 충격 감지부재 상에 형성된 지지부에 밀착하는 제2 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충격부재가 회전하는 경우, 상기 제2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충격 전달부재는 하방으로 이동함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보호 장비.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 전달부재가 하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보호 쿠션 상에 형성된 홈부에 인입되어 있던 충격 전달부재의 타측이 인출되며, 이로 인해 상기 보호쿠션의 위치가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이동하며,
    상기 충격 감지 부재는 적어도 두 개의 구 형상을 갖는 부재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보호 장비.
KR20140100013A 2014-08-04 2014-08-04 충격과 파편으로부터 신체를 보호해주는 유아용 보호 장비 KR1014936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00013A KR101493675B1 (ko) 2014-08-04 2014-08-04 충격과 파편으로부터 신체를 보호해주는 유아용 보호 장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00013A KR101493675B1 (ko) 2014-08-04 2014-08-04 충격과 파편으로부터 신체를 보호해주는 유아용 보호 장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93675B1 true KR101493675B1 (ko) 2015-03-02

Family

ID=530256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100013A KR101493675B1 (ko) 2014-08-04 2014-08-04 충격과 파편으로부터 신체를 보호해주는 유아용 보호 장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367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068532A (zh) * 2015-07-17 2015-11-18 济南大学 一种安全防护智能婴儿车
CN108032775A (zh) * 2017-11-08 2018-05-15 包头轻工职业技术学院 安全性增强的汽车座椅头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9656U (ko) * 1996-10-05 1998-07-15 임경춘 자동차용 헤드레스트의 안전장치
JP2001510755A (ja) * 1997-07-09 2001-08-07 ツィーグラー、ダグラス、ケー 安全座席の衝突パッド
KR100321422B1 (ko) * 1999-03-22 2002-03-18 이계안 헤드레스트 전방 이동 장치
US20130062919A1 (en) * 2011-09-08 2013-03-14 Chin-Ming Cheng Child safety sea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9656U (ko) * 1996-10-05 1998-07-15 임경춘 자동차용 헤드레스트의 안전장치
JP2001510755A (ja) * 1997-07-09 2001-08-07 ツィーグラー、ダグラス、ケー 安全座席の衝突パッド
KR100321422B1 (ko) * 1999-03-22 2002-03-18 이계안 헤드레스트 전방 이동 장치
US20130062919A1 (en) * 2011-09-08 2013-03-14 Chin-Ming Cheng Child safety seat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068532A (zh) * 2015-07-17 2015-11-18 济南大学 一种安全防护智能婴儿车
CN108032775A (zh) * 2017-11-08 2018-05-15 包头轻工职业技术学院 安全性增强的汽车座椅头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18510B2 (en) Impact protection for child car seat
AU2013273802B2 (en) Mechanical side impact protection for a child restraint
US7748781B2 (en) Head and body protection child safety seat
KR101332737B1 (ko) 에너지 흡수 장치를 구비한 아동 안전 좌석
CN102189947B (zh) 具有结构支承件的儿童安全座椅
US7654613B2 (en) Head and body protection system for a child safety seat
US7404402B2 (en) Whiplash restrainer
US6709062B2 (en) Head restraint for a passenger of a vehicle
JP5985058B2 (ja) エアーチューブを備えた乳児用カーシート
US8485580B2 (en) Apparatus for protecting a child's head
KR101493675B1 (ko) 충격과 파편으로부터 신체를 보호해주는 유아용 보호 장비
US2827305A (en) Curved safety barrier for vehicles
KR101694716B1 (ko) 유아용으로 변형 가능한 자동차용 시트
KR101296260B1 (ko) 유아용 보조시트를 갖는 차량의 리어시트
KR101713245B1 (ko) 휴대용 카시트
KR101570201B1 (ko) 유아용 보호 장비
KR200474567Y1 (ko) 차량 시트용 머리고정대
CN207697553U (zh) 儿童汽车座
US9580032B1 (en) Impact absorption cushion
CN207697561U (zh) 儿童汽车座
KR101746824B1 (ko) 인체 탑승용 이동수단의 신체 보호 장치
KR101554311B1 (ko) 차량용 에어완충식 시트
KR100977375B1 (ko) 헤드 보호장치를 갖는 어린이용 안전 시트
KR101880867B1 (ko) 카시트의 충격 흡수장치
JP7133287B2 (ja) 頭部保護部材及びチャイルドシ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