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0810B1 - 유아용 차량 시트 - Google Patents

유아용 차량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0810B1
KR102130810B1 KR1020180148538A KR20180148538A KR102130810B1 KR 102130810 B1 KR102130810 B1 KR 102130810B1 KR 1020180148538 A KR1020180148538 A KR 1020180148538A KR 20180148538 A KR20180148538 A KR 20180148538A KR 102130810 B1 KR102130810 B1 KR 1021308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p
sheet
panel
movable panel
fixed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85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62759A (ko
Inventor
문상인
김주화
강훈효
양윤식
박대호
전의식
Original Assignee
대일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일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일공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485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0810B1/ko
Publication of KR202000627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27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08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08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21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having a seat and a base part
    • B60N2/2824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having a seat and a base part part of the base being supported by the vehicle fr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2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 B60N2/02246Electric motor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2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 B60N2/02246Electric motors therefor
    • B60N2/02253Electric motor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between the electric motor and the seat or seat parts
    • B60N2/023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03Adaptations for seat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75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inclinable, as a whole or partially
    • B60N2002/0236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아용 차량 시트에 관한 것이다. 가동 패널은 팝업시트의 하부를 지지한 상태로 고정 패널의 상부에 배치되어 고정 패널에 대해 승강 동작과 동시에 전후진 동작하여 팝업시트를 제1 위치와 제2 위치 간에 이동시킨다. 링크 기구는 가동 패널의 동작을 안내하도록 가동 패널을 고정 패널에 연결하는 것으로, 양쪽 단부가 가동 패널과 고정 패널에 좌우로 나란한 수평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프런트 링크와, 프런트 링크보다 후방에서 양쪽 단부가 가동 패널과 고정 패널에 좌우로 나란한 수평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며 고정 패널에 힌지 결합된 단부로부터 작동편이 연장된 리어 링크를 구비한다. 액추에이터는 리어 링크의 작동편을 전방으로 밀어서 가동 패널을 상승 동작과 동시에 후진 동작시키고, 리어 링크의 작동편을 후방으로 당겨서 가동 패널을 하강 동작과 동시에 전진 동작시킨다.

Description

유아용 차량 시트{Car seat for child}
본 발명은 차량에 채용되는 차량 시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아의 체격에 맞게 시트쿠션 부위의 높이를 조절 가능하게 구성된 차량 시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 시트는 성인의 평균적인 체격을 기준으로 제작되므로, 차량 시트의 안전벨트도 당연히 성인 기준으로 제작된다. 이로 인해, 유아가 성인 기준의 차량 시트에 착석하여 안전벨트를 매게 되면, 안전벨트가 유아의 어깨를 가로지르게 되는 것이 아니라 목 부분에 걸리게 되므로, 충돌 사고시에는 물론이고 평상시에도 안전벨트에 의해 찰과상을 입을 수 있는 등 대단히 위험하다. 따라서, 차량 운행시 유아를 보호하기 위해 유아 전용의 안전벨트가 달린 카시트를 차량 시트에 장착하여 주로 사용하고 있다.
그런데, 전술한 바와 같이, 유아가 차량에 탑승할 때마다 별도의 카시트를 외부 보관장소로부터 가져다가 차량 시트에 장착하여 사용한 후, 분리해서 다시 외부 보관장소로 가져가기가 번거로울 수 있다. 유아가 차량에 탑승하지 않더라도 차량 시트에 카시트를 장착한 상태나 분리한 상태로 차량 내부에 보관해둘 수 있으나, 카시트를 차량 내부에 보관하게 되면, 차량 내부 공간의 활용성도 떨어뜨리는 요인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유아의 체격에 맞게 시트쿠션 부위의 높이를 전동식으로 조절 가능하게 되어, 사용 편의성과 차량 내부 공간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게 하는 유아용 차량 시트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차량 시트는 전방에 가깝게 팝업시트 수용부가 함몰되어 형성된 시트쿠션과, 팝업시트 수용부에 접혀서 수용되는 제1 위치로부터 상승 동작과 동시에 후진 동작하여 팝업되는 제2 위치로 이동하는 팝업시트, 및 팝업시트를 제1 위치와 제2 위치 간에 이동시키는 팝업시트 구동기구를 포함한다.
여기서, 팝업시트 구동기구는 고정 패널과, 가동 패널과, 링크 기구, 및 액추에이터를 포함한다. 고정 패널은 팝업시트 수용부 내에 고정된 상태로 배치된다. 가동 패널은 팝업시트의 하부를 지지한 상태로 고정 패널의 상부에 배치되어 고정 패널에 대해 승강 동작과 동시에 전후진 동작하여 팝업시트를 제1 위치와 제2 위치 간에 이동시킨다.
링크 기구는 가동 패널의 동작을 안내하도록 가동 패널을 고정 패널에 연결하는 것으로, 양쪽 단부가 가동 패널과 고정 패널에 좌우로 나란한 수평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프런트 링크와, 프런트 링크보다 후방에서 양쪽 단부가 가동 패널과 고정 패널에 좌우로 나란한 수평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며 고정 패널에 힌지 결합된 단부로부터 작동편이 연장된 리어 링크를 구비한다. 액추에이터는 리어 링크의 작동편을 전방으로 밀어서 가동 패널을 상승 동작과 동시에 후진 동작시키고, 리어 링크의 작동편을 후방으로 당겨서 가동 패널을 하강 동작과 동시에 전진 동작시킨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에 유아 탑승시 별도의 카시트를 시트쿠션에 장착하지 않고도 유아의 체격에 맞게 팝업시트를 전동식으로 팝업시켜 사용함에 따라 사용 편의성을 높일 수 있으며, 사용 후에는 팝업시트를 시트쿠션에 접어둘 수 있어 차량 내부 공간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보호부재들에 의해 유아가 차량 주행에 따른 관성과 충격으로부터 팝업시트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벨트 가이드에 의해 유아의 신장에 맞춰 안전벨트의 착용 높이를 제한하여 안전벨트의 착용을 안전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차량 시트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있어서, 팝업시트가 시트쿠션으로부터 팝업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있어서, 팝업시트를 접은 상태의 팝업시트 구동기구를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있어서, 팝업시트를 팝업시킨 상태의 팝업시트 구동기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팝업시트 구동기구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은 팝업시트 구동기구의 작용 예를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도 8은 보호부재들이 더 포함된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에 있어서, 보호부재들이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에 있어서, 벨트 가이드의 작용 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사용하며,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차량 시트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있어서, 팝업시트가 시트쿠션으로부터 팝업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있어서, 팝업시트를 접은 상태의 팝업시트 구동기구를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있어서, 팝업시트를 팝업시킨 상태의 팝업시트 구동기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팝업시트 구동기구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은 팝업시트 구동기구의 작용 예를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차량 시트는 시트쿠션(100)과, 팝업시트(200), 및 팝업시트 구동기구(300)를 포함한다.
시트쿠션(100)은 전방에 가깝게 팝업시트 수용부(110)가 함몰되어 형성된다. 팝업시트 수용부(110)는 전방과 상방이 트인 형태로 시트쿠션(100)에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팝업시트 수용부(110)의 전후 길이는 시트쿠션(100)의 전체 길이의 대략 절반 정도로 설정될 수 있다. 시트쿠션(100)은 좌,우측 가장자리 부위와 후방 부위가 연결된 ㄷ자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시트쿠션(100)은 기본 형태를 이루는 시트쿠션 프레임에 패드 부재로 감싸져 구성될 수 있다. 시트쿠션(100)의 후방에는 시트백(400)이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시트쿠션(100)은 차량 후열 시트에 적용될 수 있으나, 차량 조수석 시트에 적용될 수도 있다.
팝업시트(200)는 팝업시트 수용부(110)에 접혀서 수용되는 제1 위치로부터 상승 동작과 동시에 후진 동작하여 팝업되는 제2 위치로 이동한다. 팝업시트(200)는 제1 위치에 놓인 상태에서 팝업시트 수용부(110)의 개구를 전체적으로 덮을 수 있게 형성된다. 팝업시트(200)는 완충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팝업시트(200)는 제1 위치에서 시트쿠션(100)과 상면이 서로 이어지게 동일 높이로 접힘으로써, 성인이 팝업시트(200)와 시트쿠션(100)에 공히 착석할 수 있게 한다. 또한, 팝업시트(200)는 제2 위치에서 시트쿠션(100)보다 높게 팝업됨으로써, 유아가 팝업시트(200)에 착석할 수 있게 한다. 이 상태에서, 유아는 시트쿠션(100) 또는 시트백(400)에 마련된 안전벨트를 안전하게 멜 수 있게 된다.
팝업시트 구동기구(300)는 팝업시트(200)를 제1 위치와 제2 위치 간에 이동시킨다. 팝업시트 구동기구(300)는 고정 패널(310)과, 가동 패널(320)과, 링크 기구(330), 및 액추에이터(340)를 포함한다.
고정 패널(310)은 팝업시트 수용부(110) 내에 고정된 상태로 배치된다. 고정 패널(310)은 팝업시트 수용부(110) 내의 바닥에 배치되는 시트쿠션 프레임에 고정될 수 있다. 고정 패널(310)은 좌,우측 가장자리로부터 각각 상방으로 연장된 플랜지(311)들에 의해 시트쿠션 프레임에 고정될 수 있다.
가동 패널(320)은 팝업시트(200)의 하부를 지지한 상태로 고정 패널(310)의 상부에 배치되어 고정 패널(310)에 대해 승강 동작과 동시에 전후진 동작하여 팝업시트(200)를 제1 위치와 제2 위치 간에 이동시킨다. 가동 패널(320)은 전방 및 좌,우측 가장자리로부터 각각 하방으로 연장된 플랜지(321)들에 의해 팝업시트(200)에 고정될 수 있다.
링크 기구(330)는 가동 패널(320)의 동작을 안내하도록 가동 패널(320)을 고정 패널(310)에 연결한다. 즉, 링크 기구(330)는 가동 패널(320)이 고정 패널(310)에 대해 승강 동작과 동시에 전후진 동작하도록 안내한다.
링크 기구(330)는 프런트 링크(331)와, 리어 링크(332)를 구비한다. 프런트 링크(331)는 양쪽 단부가 가동 패널(320)과 고정 패널(310)에 좌우로 나란한 수평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된다. 프런트 링크(331)는 한 쌍의 프런트 링크부재(331a)들이 앞쪽에서 연결대(331b)에 의해 연결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연결대(331b)는 좌우로 수평 연장된 형태로 이루어져 프런트 링크부재(331a)들의 앞쪽 중앙 부위를 연결할 수 있다. 프런트 링크부재(331a)들과 연결대(331b)는 일체화되게 제조될 수 있다.
각각의 프런트 링크부재(331a)는 한쪽 단부가 가동 패널(320)의 상측 힌지 브래킷(333)에 좌우로 나란한 수평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힌지축으로 결합되고, 다른 쪽 단부가 고정 패널(310)의 하측 힌지 브래킷(334)에 좌우로 나란한 수평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힌지축으로 결합될 수 있다.
상측 힌지 브래킷(333)은 상측 부위가 가동 패널(320)에 고정되고 좌우측 부위가 하방으로 연장 형성된 연장편(333a)들을 갖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측 힌지 브래킷(334)은 하측 부위가 고정 패널(310)에 고정되고 좌우측 부위가 상방으로 연장 형성된 연장편(334a)들을 갖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프런트 링크부재(331a)는 한쪽 단부가 상측 힌지 브래킷(333)의 외측 연장편(333a)에 힌지축으로 결합되고, 다른 쪽 단부가 하측 힌지 브래킷(334)의 외측 연장편(334a)에 힌지축으로 결합될 수 있다.
리어 링크(332)는 프런트 링크(331)보다 후방에서 양쪽 단부가 가동 패널(320)과 고정 패널(310)에 좌우로 나란한 수평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된다. 리어 링크(332)는 한 쌍의 리어 링크부재(332a)들을 구비할 수 있다.
각각의 리어 링크부재(332a)는 한쪽 단부가 가동 패널(320)의 상측 힌지 브래킷(333)에 좌우로 나란한 수평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힌지축으로 결합되고, 다른 쪽 단부가 고정 패널(310)의 하측 힌지 브래킷(334)에 좌우로 나란한 수평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힌지축으로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리어 링크부재(332a)는 프런트 링크부재(331a)보다 후방에서 한쪽 단부가 상측 힌지 브래킷(333)의 내측 연장편(333a)에 힌지축으로 결합되고, 다른 쪽 단부가 하측 힌지 브래킷(334)의 내측 연장편(334a)에 힌지축으로 결합될 수 있다.
리어 링크(332)는 구동 링크로 기능하고, 프런트 링크(331)는 종동 링크로 기능할 수 있다. 리어 링크(332)는 액추에이터(340)의 동력을 제공받아 고정 패널(310)의 힌지축을 중심으로 정,역 회전함에 따라 가동 패널(320)을 승강시킬 수 있다. 가동 패널(320)이 리어 링크(332)의 회전에 의해 승강할 때, 프런트 링크(331)는 가동 패널(320)을 대략 수평 자세로 유지시킨 상태로 반원 운동시키도록 구속할 수 있다. 따라서, 가동 패널(320)은 리어 링크(332)와 프런트 링크(331)에 의해 안정적인 자세로 팝업시트(200)의 제1 위치와 제2 위치 간에 이동할 수 있다.
프런트 링크부재(331a) 및 리어 링크부재(332a)의 길이에 따라 팝업시트(200)의 팝업 높이가 좌우될 수 있다. 프런트 링크부재(331a) 및 리어 링크부재(332a)는 팝업시트(200)를 설정 높이로 팝업시킬 수 있는 길이로 설정될 수 있다.
리어 링크(332)는 고정 패널(310)에 힌지 결합된 단부로부터 작동편(332b)이 연장된다. 즉, 리어 링크부재(332a)들 중 어느 하나는 고정 패널(310)에 힌지 결합된 단부로부터 연장된 작동편(332b)을 갖는다. 작동편(332b)은 액추에이터(340)에 의해 전방으로 밀리거나 후방으로 당겨짐에 따라 리어 링크(332)를 고정 패널(310)의 힌지축을 중심으로 정,역 회전시킬 수 있게 한다.
작동편(332b)은 가동 패널(320)이 팝업시트(200)의 제1 위치에 놓인 기준으로 고정 패널(310)의 힌지축에 결합된 리어 링크부재(332a)의 단부로부터 후방으로 하향 경사진 형태로 연장될 수 있다. 작동편(332b)은 리어 링크부재(332a)와 일체화되도록 제조될 수 있다.
액추에이터(340)는 리어 링크(332)의 작동편(332b)을 전방으로 밀어서 가동 패널(320)을 상승 동작과 동시에 후진 동작시키고, 리어 링크(332)의 작동편(332b)을 후방으로 당겨서 가동 패널(320)을 하강 동작과 동시에 전진 동작시킨다.
액추에이터(340)는 회전 모터(341)와, 구동 로드(342), 및 동력전달기(343)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 모터(341)는 정,역 가능하게 구성된다. 즉, 회전 모터(341)는 구동축이 모터 몸체에 대해 정,역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다.
구동 로드(342)는 앞쪽 단부가 작동편(332b)에 좌우로 나란한 수평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된다. 구동 로드(342)는 앞쪽 부위가 작동편(332b)에 대해 상대 회전하게 되므로, 전후진 이동시 리어 링크(332)를 고정 패널(310)의 힌지축을 중심으로 원활하게 회전시킬 수 있게 한다.
동력전달기(343)는 고정 패널(310)에 지지된 상태로 회전 모터(341)의 정,역 회전력을 제공받아 구동 로드(342)를 전후진시킨다. 예컨대, 동력전달기(343)는 웜 기어(worm gear, 343a)와, 웜 스크류(worm screw, 343b), 및 전달기 몸체(343c)를 포함할 수 있다. 웜 기어(343a)는 회전 모터(341)의 구동축에 동축으로 고정되어 정,역 회전한다.
웜 스크류(343b)는 웜 기어(343a)와 치합된다. 웜 스크류(343b)는 웜 기어(343a)의 회전에 따라 회전과 동시에 선형 운동한다. 즉, 웜 스크류(343b)는 웜 기어(343a)의 정,역 회전에 따라 정,역 회전하면서 전후진할 수 있다. 웜 스크류(343b)는 축 부재의 외주면에 나사형 웜이 형성된 구성을 갖는다. 웜 스크류(343b)는 앞쪽 부위가 축 방향을 중심으로 구동 로드(342)의 뒤쪽 부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웜 스크류(343b)의 회전 및 선형 운동시 구동 로드(342)에 선형 운동만을 전달할 수 있다.
전달기 몸체(343c)는 웜 스크류(343b)의 회전 및 선형 운동을 지지할 수 있다. 전달기 몸체(343c)는 회전 모터(341)의 몸체를 고정해서 웜 기어(343a)가 웜 스크류(343b)에 치합된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 전달기 몸체(343c)는 웜 기어(343a)보다 뒤쪽 부위가 좌우로 나란한 수평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전달기 몸체(343c)는 힌지 브래킷(344)을 매개로 고정 패널(310)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전달기 몸체(343c)는 뒤쪽 부위가 고정 패널(310)에 대해 상대 회전하게 되므로, 구동 로드(342)의 전후진 이동에 따라 리어 링크(332)를 고정 패널(310)의 힌지축을 중심으로 원활하게 회전시킬 수 있게 한다.
다른 예로, 동력 전달기(343)는 웜 기어(343a)와 웜 스크류(343b) 대신, 피니언 기어와 랙 기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액추에이터(340)는 공압 또는 유압 실린더와 같은 선형 액추에이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액추에이터(340)는 예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고 전술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범주에서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액추에이터(340)는 조작부(350)의 조작에 따라 제어부(36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팝업시트(200)의 위치는 위치 센서(미도시)에 의해 감지되어 제어부(360)로 제공될 수 있다. 제어부(360)는 위치 센서로부터 제공된 위치 정보를 기초로 액추에이터(340)를 구동시켜 팝업시트(200)의 위치를 제어할 수 있다. 위치 센서는 근접 센서 등으로 이루어져 가동 패널(320)의 위치를 감지하거나, 엔코더 등으로 이루어져 회전 모터(341)의 회전 위치 및 방향을 감지함으로써, 팝업시트(200)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조작부(350)는 팝업 조작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팝업 조작 버튼을 조작하여 팝업시트(200)를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팝업시키는 명령을 입력하면, 제어부(360)는 조작 명령에 따라 회전 모터(341)를 제어하여 팝업시트(200)를 팝업시킬 수 있다. 사용자가 팝업 조작 버튼을 조작하여 팝업시트(200)를 제2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복귀시키는 명령을 입력하면, 제어부(360)는 조작 명령에 따라 회전 모터(341)를 제어하여 팝업시트(200)를 복귀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차량 시트에 의하면, 차량에 유아 탑승시 별도의 카시트를 시트쿠션에 장착하지 않고도 유아의 체격에 맞게 팝업시트(200)를 전동식으로 팝업시켜 사용함에 따라 사용 편의성을 높일 수 있으며, 사용 후에는 팝업시트(200)를 시트쿠션(100)에 접어둘 수 있어 차량 내부 공간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한편,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아용 차량 시트는 팝업시트(200)의 양측에 각각 접힌 상태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어 펼쳐지도록 장착되는 보호부재(500)들을 포함할 수 있다. 팝업시트(200)가 시트쿠션(100)에 수용된 상태에서, 보호부재(500)들은 팝업시트(200)의 양측에 완전히 접혀서 위치됨으로써, 성인이 팝업시트(200)와 시트쿠션(100)에 공히 착석한 상태에서 거치적거리지 않게 한다.
팝업시트(200)가 시트쿠션(100)으로부터 팝업된 상태에서, 보호부재(500)들은 상방으로 돌출되어 수직으로 펼쳐져 위치됨으로써, 팝업된 팝업시트(200)에 착석한 유아의 양 옆을 감싼다. 따라서, 보호부재(500)들은 유아가 차량 주행에 따른 관성과 충격으로부터 팝업시트(200)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보호할 수 있다.
보호부재(500)들은 팝업시트(200)의 양측에 완전히 접힌 상태에서 팝업시트(200)의 상면과 이어질 수 있는 높이를 가질 수 있다. 보호부재(500)는 좌우로 일정한 폭을 갖고 팝업시트(200)의 전후 길이와 동일한 길이를 갖는 형태로 팝업시트(200)의 양측에 배치될 수 있다. 팝업시트(200)는 양측에 보호부재(500)들이 배치되는 것에 상응하여, 보호부재(500)들의 좌우 폭만큼 좌우 폭이 축소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보호부재(500)는 팝업시트(200)에 완전히 접힌 기준으로 뒤쪽 부위가 좌우로 나란한 수평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팝업시트(200)의 옆면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 보호부재(500)는 힌지축이 억지끼움 방식으로 팝업시트(200)의 홈이나 홀에 결합됨으로써, 팝업시트(200)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보호부재(500)는 힌지축의 마찰력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접힌 위치와 펼쳐진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보호부재(500)는 통상적인 위치유지수단에 의해 접힌 위치와 펼쳐진 위치를 유지할 수도 있다.
보호부재(500)들은 상방으로 돌출되어 펼쳐진 상태에서 차량 안전벨트(10)를 걸어서 안전벨트의 착용 높이를 조절하도록 안내하는 벨트 가이드(51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벨트 가이드(510)는 성인 체형에 맞는 안전벨트(10)의 착용 높이를 제한하여 유아의 신장에 맞춰 사용 가능하도록 조절함으로써, 안전벨트(10)가 유아의 목을 지나가는 위험한 상황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한다.
예컨대, 벨트 가이드(510)는 가이드 홈(511)과 홀더(516)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홈(511)은 어느 하나의 보호부재(500)에 구비되고, 홀더(516)는 다른 하나의 보호부재(500)에 구비된다. 가이드 홈(511)은 해당 보호부재(500)가 수직으로 펼쳐진 기준으로 앞면으로부터 후방으로 상향 경사지게 일정 깊이로 함몰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가이드 홈(511)은 출입구의 상측 부위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된 턱(511a)을 가짐으로써, 안전벨트(10)를 끼운 상태에서 턱(511a)에 걸려서 쉽게 이탈되지 않게 할 수 있다.
홀더(516)는 해당 보호부재(500)가 수직으로 펼쳐진 기준으로 상단에 설치될 수 있다. 홀더(516)는 스트랩(517)과 후크(518)를 구비할 수 있다. 스트랩(517)은 보호부재(500)의 상단으로부터 인출되며, 후크(518)는 보호부재(500)로부터 인출된 스트랩(517)의 끝 부위에 고정된다.
후크(518)는 뒤쪽 부위로부터 함몰된 끼움홈(518a)을 갖고 안전벨트(10)를 끼울 수 있다. 따라서, 후크(518)는 안전벨트(10)가 끼움홈(518a)에 끼워진 상태에서 앞쪽으로 이탈되지 않게 제한할 수 있다. 후크(518)의 끼움홈(518a)은 출입구의 상측 부위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된 턱(518b)을 가짐으로써, 안전벨트(10)를 끼운 상태에서 턱(518b)에 걸려서 쉽게 이탈되지 않게 할 수 있다. 또한, 후크(518)는 보호부재(500)가 완전히 접힌 상태에서 끼움홈(518a)에 의해 비닐봉투 등과 같은 수하물을 거는데 사용될 수 있다.
스트랩(517)은 보호부재(500)의 상단으로부터 인출되는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일 예로,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스트랩(517)은 보호부재(500) 안쪽의 릴에 감겨 스파이럴 스프링에 의해 감김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받은 상태로 보호부재(500)의 스트랩 출입구를 통해 풀려서 인출되거나 감겨서 인입된다. 스트랩(517)은 사용자가 잡아당김에 따라 풀린 상태에서 브레이크 장치에 의해 정지할 수 있고, 사용자가 해제 버튼을 눌러 브레이크 장치를 해제 동작시킴에 따라 스파이럴 스프링의 탄성력으로 자동 감길 수 있다.
브레이크 장치는 해제 버튼과, 릴에 형성된 브레이크 편과, 해제 버튼에 설치되어 브레이크 편과 선택적으로 접하는 브레이크 드럼, 및 브레이크 드럼이 브레이크 편과 접하도록 탄성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스프링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물론, 스트랩(517)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수단은 전술한 기능을 수행하는 범주에서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스트랩(517)은 보호부재(500)의 상단으로부터 인출되는 길이가 조절되므로, 안전벨트(10), 특히 3점식 안전벨트의 착용 높이를 유아의 신장에 맞춰 제한함으로써, 유아가 안전하게 안전벨트(10)를 착용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시트쿠션 200..팝업시트
300..팝업시트 구동기구 310..고정 패널
320..가동 패널 330..링크 기구
331..프런트 링크 332..리어 링크
340..액추에이터 341..회전 모터
342..구동 로드 343..동력전달기
350..조작부 360..제어부
400..시트백 500..보호부재
510..벨트 가이드 511..가이드 홈
516..홀더 517..스트랩
518..후크

Claims (4)

  1. 전방에 가깝게 팝업시트 수용부가 함몰되어 형성된 시트쿠션과, 상기 팝업시트 수용부에 접혀서 수용되는 제1 위치로부터 상승 동작과 동시에 후진 동작하여 팝업되는 제2 위치로 이동하는 팝업시트, 및 상기 팝업시트를 제1 위치와 제2 위치 간에 이동시키는 팝업시트 구동기구를 포함하며,
    상기 팝업시트 구동기구는,
    상기 팝업시트 수용부 내에 고정된 상태로 배치되는 고정 패널;
    상기 팝업시트의 하부를 지지한 상태로 상기 고정 패널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고정 패널에 대해 승강 동작과 동시에 전후진 동작하여 상기 팝업시트를 제1 위치와 제2 위치 간에 이동시키는 가동 패널;
    상기 가동 패널의 동작을 안내하도록 상기 가동 패널을 상기 고정 패널에 연결하는 것으로, 양쪽 단부가 상기 가동 패널과 고정 패널에 좌우로 나란한 수평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프런트 링크와, 상기 프런트 링크보다 후방에서 양쪽 단부가 상기 가동 패널과 고정 패널에 좌우로 나란한 수평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며 상기 고정 패널에 힌지 결합된 단부로부터 작동편이 연장된 리어 링크를 구비하는 링크 기구;
    상기 리어 링크의 작동편을 전방으로 밀어서 상기 가동 패널을 상승 동작과 동시에 후진 동작시키고, 상기 리어 링크의 작동편을 후방으로 당겨서 상기 가동 패널을 하강 동작과 동시에 전진 동작시키는 액추에이터; 및
    상기 팝업시트의 양측에 각각 접힌 상태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어 펼쳐지도록 장착되는 보호부재들;을 포함하며,
    상기 보호부재들은 상방으로 돌출되어 펼쳐진 상태에서 차량 안전벨트를 걸어서 안전벨트의 착용 높이를 조절하도록 안내하는 벨트 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차량 시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는,
    정,역 가능한 회전 모터와,
    앞쪽 단부가 상기 작동편에 좌우로 나란한 수평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구동 로드, 및
    상기 고정 패널에 지지된 상태로 상기 회전 모터의 정,역 회전력을 제공받아 상기 구동 로드를 전후진시키는 동력전달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차량 시트.
  3. 삭제
  4. 삭제
KR1020180148538A 2018-11-27 2018-11-27 유아용 차량 시트 KR1021308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8538A KR102130810B1 (ko) 2018-11-27 2018-11-27 유아용 차량 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8538A KR102130810B1 (ko) 2018-11-27 2018-11-27 유아용 차량 시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2759A KR20200062759A (ko) 2020-06-04
KR102130810B1 true KR102130810B1 (ko) 2020-07-06

Family

ID=710810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8538A KR102130810B1 (ko) 2018-11-27 2018-11-27 유아용 차량 시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081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95698U (ja) 2002-10-21 2003-08-15 學 渡邉 チャイルド、ジュニア対応の自動車シート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278775B (en) * 1993-06-11 1997-08-13 Hammerstein Gmbh C Rob Child seat capable of being integrated into a motor-vehicle seat
KR101252497B1 (ko) * 2011-06-09 2013-04-09 현대다이모스(주) 리어시트 편의 장치
KR101296260B1 (ko) * 2011-10-18 2013-08-20 한일이화주식회사 유아용 보조시트를 갖는 차량의 리어시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95698U (ja) 2002-10-21 2003-08-15 學 渡邉 チャイルド、ジュニア対応の自動車シー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2759A (ko) 2020-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61777B2 (en) System for seat-actuated head rest extension and retraction
US8746793B2 (en) Child safety seat with side impact protection
JP4428666B2 (ja) 乗員を中心に位置させる人間工学的支持装置および方法
JP5746336B2 (ja) 電気機械プッシュボタン車両座席作動機構
JP5663323B2 (ja) 車両用シート装置
US20150183345A1 (en) Vehicle seat
EP2716494B1 (en) Child safety seat
US9475453B2 (en) Seat belt arrangement for a suspension seat and vehicle equipped with such an arrangement
JP2000177532A (ja) 頭支えを安全ベルト装置に関連させる装置
KR20180004630A (ko) 유모차
KR102130810B1 (ko) 유아용 차량 시트
US10730411B2 (en) Motor vehicle seat
JP2009225965A (ja) 自動車用乗降補助装置
CN108177572B (zh) 用于车辆座椅的碰撞响应式托盘桌
EP2058165B1 (en) Seat restraining device
JP2009078639A (ja) 乗員保護装置
NL2017770B1 (nl) Inklapbare wieginrichting voor een kinderwagen, kinderwagen voorzien daarvan en werkwijze daarvoor
JP2004299657A (ja) 乗り物用シート
CN106585501B (zh) 一种滑动的货物后箱盖
JP2022130214A (ja) 車両用乗員拘束装置
EP1048514A1 (fr) Console pour un habitacle de véhicule automobile
JP3719230B2 (ja) 車両のスロープ装置
JP4635817B2 (ja) シートベルト装置
JP3543186B2 (ja) 自動車用シート
JP4981384B2 (ja) オットマン装置及びシ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