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4743B1 - 발포성형물용 금형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발포성형물용 금형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4743B1
KR101294743B1 KR1020120003414A KR20120003414A KR101294743B1 KR 101294743 B1 KR101294743 B1 KR 101294743B1 KR 1020120003414 A KR1020120003414 A KR 1020120003414A KR 20120003414 A KR20120003414 A KR 20120003414A KR 101294743 B1 KR101294743 B1 KR 1012947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steam
cavity
core
processing ste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34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82287A (ko
Inventor
이한상
류제진
Original Assignee
(주)엠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엠코리아 filed Critical (주)엠코리아
Priority to KR10201200034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4743B1/ko
Priority to PCT/KR2012/000785 priority patent/WO2013105685A1/ko
Publication of KR201300822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22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47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47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23/00Extruding metal; Impact extrusion
    • B21C23/02Making uncoated products
    • B21C23/04Making uncoated products by direct extrusion
    • B21C23/14Making other produ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3/00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5/00Making specific metal objects by operatio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group in this subclass
    • B23P15/24Making specific metal objects by operatio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group in this subclass 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29C44/34Auxiliary operations
    • B29C44/58Moulds
    • B29C44/588Moulds with means for venting, e.g. releasing foaming g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캐비티금형 및/또는 코어금형 측에 스팀홀을 일체로 가공함으로써 스팀 내지 냉각수의 분사효율을 향상된 발포성형물 금형을 제조하는 발포성형물용 금형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발포성형물용 금형의 제조방법은, 복수의 후육부 및 복수의 박육부가 교대로 형성된 캐비티금형 및/또는 코어금형을 개별적으로 각각 압출성형하는 압출성형단계; 상기 캐비티금형 및/또는 코어금형의 박육부 측에 복수의 스팀홀을 가공하는 스팀홀 가공단계; 및 복수의 스팀홀이 가공된 캐비티금형 및/또는 코어금형을 후가공하는 후가공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발포성형물용 금형의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MOLD FOR FOAM ARTICLE}
본 발명은 발포성형물용 금형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캐비티금형 및/또는 코어금형 측에 스팀홀을 일체로 가공함으로써 스팀 내지 냉각수의 분사효율을 향상된 발포성형물 금형을 제조하는 발포성형물용 금형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발포 폴리프로필렌(Expanded Polypropylene: 이하 'EPP'라 부름) 또는 발포 폴리스틸렌(Expanded Poly-Styrene: 이하 'EPS'라 부름) 등과 같은 발포성형물은 포장용기, 자동차 범퍼 등과 같이 그 활용범위가 매우 넓다.
이러한 발포성형물을 성형하는 금형장치는 캐비티금형 및 코어금형을 포함하고, 캐비티금형 및 코어금형 사이에는 성형공간이 형성되며, 이 성형공간으로 구형의 비드수지(1차 발포된 고체형태)를 주입한 후에, 열을 가한 후에 냉각시켜 발포성형물을 성형한다.
이러한 발포성형물 금형장치는 비드수지를 성형공간으로 주입할 때, 캐비티금형과 코어금형 사이를 약간 들뜬 상태로 닫는다(크래킹 상태). 이는 캐비티금형과 코어금형 사이의 성형공간으로 비드수지가 주입될 때 금형 내의 밀도를 높이기 위함이다. 그리고, 비드수지의 주입이 완료되면 캐비티금형과 코어금형을 완전히 밀착시켜 그 성형공간이 완전닫힘 상태가 되도록 한다.
한편, 캐비티금형 또는 코어금형에는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되고, 복수의 관통공에는 복수의 스팀캡이 개별적으로 설치된다. 스팀캡에는 복수의 노즐공이 형성되고, 스팀 내지 냉각수 등이 복수의 노즐공을 통해 캐비티금형과 코어금형 사이의 성형공간 내로 분사되도록 구성된다. 이렇게 스팀캡을 통해 스팀, 냉각수 등을 성형공간 내로 분사함으로써 비드수지의 용융 내지 냉각이 이루어져 소정의 발포성형물이 성형된다.
하지만, 종래의 발포성형물 금형장치는 복수의 관통공을 성형하는 공정, 스팁캠을 장착하는 공정, 관통공의 배면을 후가공하는 공정 등과 같이 다양한 공정이 소요됨에 따라 그 제조시간이 오래 걸릴뿐만 아니라 제조공정이 복잡하게 진행됨에 따라 제조단가가 상승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발포성형물 금형장치는 스팀캡의 밀봉적인 조립 상에 오차가 발생할 경우 스팀 내지 냉각수의 분사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여 발포성형물의 불량율이 높게 발생하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캐비티금형 및/또는 코어금형 측에 복수의 스팀홀을 일체로 가공함에 따라 그 제조시간 및 제조단가를 줄일 수 있는 발포성형물용 금형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발포성형물용 금형의 제조방법은,
복수의 후육부 및 복수의 박육부가 교대로 형성된 캐비티금형 및/또는 코어금형을 개별적으로 각각 압출성형하는 압출성형단계;
상기 캐비티금형 및/또는 코어금형의 박육부 측에 복수의 스팀홀을 가공하는 스팀홀 가공단계; 및
복수의 스팀홀이 가공된 캐비티금형 및/또는 코어금형을 후가공하는 후가공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캐비티금형 및/또는 상기 코어금형 각각은 복수의 금형분할체가 조립되는 구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압출성형단계에서, 상기 캐비티금형 및/또는 상기 코어금형의 각 금형분할체를 개별적으로 압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팀홀 가공단계는 상기 각 금형의 박육부에 복수의 스팀홀을 프레스 펀칭공정, 워터제트공정, 에칭공정 중에서 어느 하나의 공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후가공단계에서, 복수의 스팀홀이 가공된 복수의 금형분할체를 조립함으로써 상기 캐비티금형 및 상기 코어금형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팀홀 가공단계는 프레스 펀칭공정에 의해 이루어지고, 상기 프레스 펀칭공정은 복수의 펀치핀을 가진 상부다이가 각 금형분할체가 안착된 하부다이 측으로 프레스 펀칭함에 따라 각 금형분할체의 박육부 측에 복수의 스팀홀을 펀칭가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캐비티금형 또는 코어금형 측에 복수의 스팀홀을 일체로 가공함에 따라 그 제조시간 및 제조단가를 줄일 수 있고, 또한 스팀홀 측에서 오차율이 낮아 스팀 내지 냉각수의 분사를 원활하게 하여 발포 성형물의 품질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포성형물용 금형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공정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해 형성된 금형장치의 캐비티금형 및 코어금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화살표 A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발포성형물용 금형의 제조방법에서 스팀홀 가공단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분할제작된 복수의 금형분할체가 캐비티금형을 형성하도록 조립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포성형물용 금형의 제조방법을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발포성형물용 금형의 제조방법은 캐비티금형(10) 및/또는 코어금형(20)을 압출성형하는 압출성형단계(S1), 각 금형(10, 20)의 박육부(31)에 복수의 스팀홀(41)을 가공하는 스팀홀 가공단계(S2), 각 금형(10, 20)을 후가공하는 후가공단계(S3)로 이루어진다.
압출성형단계(S1)에서, 소정의 발포성형물을 성형할 수 있는 캐비티금형(10) 및/또는 코어금형(20)을 각각 압출성형한다.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캐비티금형(10)와 코어금형(20)이 형폐될 경우 캐비티금형(10)과 코어금형(20) 사이에는 성형공간(50)이 형성되고, 이 성형공간(50) 내에 충전물이 충전된 후에 성형된 후에 고화될 수 있다.
특히, 압출성형을 통해 캐비티금형(10) 및 코어금형(20)의 각 외면에 복수의 박육부(31) 및 복수의 후육부(32)를 성형하고, 복수의 박육부(31) 및 복수의 후육부(32)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태로 성형된다. 이에 복수의 박육부(31) 및 복수의 후육부(32)를 가진 캐비티금형(10) 및/또는 코어금형(20)을 형성한다.
박육부(31)의 두께(t1)는 2~3mm 범위 이내이고, 이에 박육부(31) 측에서 스팀홀(41)들의 가공이 매우 용이하다. 그리고, 후육부(32)의 두께(t2)는 7~10mm 범위 이내이고, 이에 후육부(32)들에 의한 그 강성이 보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박육부(31)와 후육부(32)의 두께 비율(t1/t2)이 1:1.5~5의 비율로 이루어짐에 따라 스팀홀(41)의 일체 가공이 매우 용이할 뿐만 아니라 각 금형(10, 20)의 강성이 유지되면서도 그 재료의 소비량을 줄임으로써 재료비의 절감을 도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복수의 박육부(31) 및 복수의 후육부(32)를 가진 캐비티금형(10) 및 코어금형(20)의 압출성형을 보다 용이하게 하도록 캐비티금형(10) 및 코어금형(20)을 복수의 금형분할체로 분할제작한 후에 스팀홀 가공단계(S2)를 거친 후에 후가공단계(S3)에서 조립되어 그 제작이 완료될 수도 있다.
예컨대, 도 6에 예시된 바와 같이 캐비티금형(10)을 복수의 금형분할체(11, 12, 13, 14, 15)로 분할제작된 후에 각 금형분할체(11, 12, 13, 14, 15)의 외면에 복수의 박육부(31) 및 복수의 후육부(32)를 형성할 수 있다. 특히, 각 금형분할체(11, 12, 13, 14, 15)가 평판체 형태로 형성됨에 따라 금형분할체(11, 12, 13, 14, 15)의 외면에 복수의 박육부(31) 및 복수의 후육부(32)가 매우 용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코어금형(20)은 캐비티금형(10)과 유사 또는 동일하게 복수의 금형분할체로 분할제작된 후에 각 금형분할체의 외면에 복수의 박육부(31) 및 복수의 후육부(32)가 형성될 수 잇고, 이에 캐비티금형(10)과 동일하게 코어금형(20)의 외면에 복수의 박육부(31) 및 복수의 후육부(32)가 매우 용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스팀홀 가공단계(S2)에서, 각 금형(10, 20)의 박육부(31)에 복수의 스팀홀(41)을 프레스 펀칭공정, 워터제트공정, 에칭공정 중에서 어느 하나의 공정을 통해 가공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팀홀 가공단계(S2)는 프레스 펀칭공정을 통해 각 금형(10, 20)의 박육부(31) 측에 복수의 스팀홀(41)을 금형(10, 20) 측에 일체로 성형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다이(60) 및 하부다이(70)의 프레스 펀칭작동에 의해 각 금형(10, 20)의 박육부(31) 측에 복수의 스팀홀(41)이 가공된다.
도 4와 같이 상부다이(60)는 그 저면에 복수의 펀치핀(61)이 형성되고, 하부다이(70)는 금형(10, 20)의 박육부(31)에 대응하여 복수의 돌출부(71)를 가지며, 돌출부(71) 측에는 복수의 펀치공(71a)이 형성되고, 복수의 펀치핀(61)과 복수의 펀치공(71a)은 상하 수직방향으로 상호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된다.
도 5와 같이, 하부다이(70)의 돌출부(71) 측에 각 금형(10, 20)의 박육부(31)를 안착한 후에 상부다이(60)의 펀치핀(61)이 프레스 펀칭함에 따라 각 금형(10, 20)의 박육부(31) 측에 복수의 스팀홀(41)을 성형한다.
이러한 프레스 펀칭공정 이외에도 워터제트공정 또는 에칭공정 등과 같은 다양한 공정을 통해 스팀홀을 가공할 수 있다.
후가공단계(S3)에서는, 복수의 스팀홀(41)이 형성된 각 금형(10, 20)의 외곽처리 등과 같은 후가공처리를 수행할 수 있고, 특히 각 금형(10, 20)이 복수의 분할금형체로 구성될 경우 복수의 분할금형체를 견고하게 조립한다.
한편, 본 발명은 각 금형(10, 20) 또는 분할금형체가 압출성형됨에 따라 그 표면에 대한 사상작업이 거의 필요없으므로 전체적인 작업공정의 단순화를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캐비티금형(10) 및/또는 코어금형(20) 측에 복수의 스팀홀(41)을 일체로 가공함에 따라 그 제조시간 및 제조단가를 줄일 수 있고, 또한 스팀홀 측에서 오차율이 낮아 스팀 내지 냉각수의 분사를 원활하게 하여 발포 성형물의 품질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캐비티금형(10) 및/또는 코어금형(20)이 압출성형됨에 따라 후가공단계(S3)에서 별도의 사상작업이 최소화됨으로써 그 제조공정을 대폭 단순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0: 캐비티금형 20: 코어금형
31: 박육부 32: 후육부
41: 스팀홀 50: 성형공간
60: 상부다이 61: 펀치핀
70: 하부다이 71: 돌출부

Claims (6)

  1. 각 외면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복수의 후육부 및 복수의 박육부가 교대로 형성되도록 캐비티금형 및 코어금형을 개별적으로 각각 압출성형하는 압출성형단계;
    상기 캐비티금형 및 코어금형의 박육부 측에 복수의 스팀홀을 가공하는 스팀홀 가공단계; 및
    복수의 스팀홀이 가공된 캐비티금형 및 코어금형을 후가공하는 후가공단계;로 이루어지며,
    상기 캐비티금형 및 상기 코어금형 각각은 복수의 금형분할체가 조립되는 구조로 구성되고,
    상기 복수의 박육부와 상기 복수의 후육부의 두께비율은 1:1.5~5 임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성형물용 금형의 제조방법.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압출성형단계에서, 상기 캐비티금형 및 상기 코어금형의 각 금형분할체를 개별적으로 압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성형물용 금형의 제조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팀홀 가공단계는 상기 각 금형의 박육부에 복수의 스팀홀을 프레스 펀칭공정, 워터제트공정, 에칭공정 중에서 어느 하나의 공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성형물용 금형의 제조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후가공단계에서, 복수의 스팀홀이 가공된 복수의 금형분할체를 조립함으로써 상기 캐비티금형 및 상기 코어금형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성형물용 금형의 제조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팀홀 가공단계는 프레스 펀칭공정에 의해 이루어지고, 상기 프레스 펀칭공정은 복수의 펀치핀을 가진 상부다이가 하부다이 위에 안착된 각 금형분할체의 박육부를 프레스 펀칭함에 따라 각 금형분할체의 박육부 측에 복수의 스팀홀을 펀칭가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성형물용 금형의 제조방법.
KR1020120003414A 2012-01-11 2012-01-11 발포성형물용 금형의 제조방법 KR1012947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3414A KR101294743B1 (ko) 2012-01-11 2012-01-11 발포성형물용 금형의 제조방법
PCT/KR2012/000785 WO2013105685A1 (ko) 2012-01-11 2012-02-01 발포성형물용 금형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3414A KR101294743B1 (ko) 2012-01-11 2012-01-11 발포성형물용 금형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2287A KR20130082287A (ko) 2013-07-19
KR101294743B1 true KR101294743B1 (ko) 2013-08-08

Family

ID=487816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3414A KR101294743B1 (ko) 2012-01-11 2012-01-11 발포성형물용 금형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294743B1 (ko)
WO (1) WO201310568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0216B1 (ko) 2015-03-09 2016-04-08 동신산업(주) 이피피 발포 폼 성형금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0776B1 (ko) * 2014-10-23 2015-05-18 이춘우 발포폼 성형 금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30590A (ja) * 2003-01-28 2004-08-19 Sekisui Plastics Co Ltd 発泡樹脂成形型および成形品
KR20110076127A (ko) * 2009-12-29 2011-07-06 (주)엠코리아 조립식 캐비티금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15084B2 (ja) * 1998-10-07 2006-08-30 株式会社カネカ 凹凸模様を有する型内成形用金型の製作方法
KR200178729Y1 (ko) * 1999-11-03 2000-04-15 장석규 발포 스티로폼 성형기용 금형틀
KR100884876B1 (ko) * 2008-08-21 2009-02-23 김두갑 발포 스티로폼 성형기용 이동프레임
KR20110092218A (ko) * 2011-01-31 2011-08-17 주식회사 대부 금형장치 및 그 제품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30590A (ja) * 2003-01-28 2004-08-19 Sekisui Plastics Co Ltd 発泡樹脂成形型および成形品
KR20110076127A (ko) * 2009-12-29 2011-07-06 (주)엠코리아 조립식 캐비티금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0216B1 (ko) 2015-03-09 2016-04-08 동신산업(주) 이피피 발포 폼 성형금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2287A (ko) 2013-07-19
WO2013105685A1 (ko) 2013-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32007B2 (ja) 発泡構造材、樹脂製パネルの製造方法
KR101294743B1 (ko) 발포성형물용 금형의 제조방법
KR101134489B1 (ko) 발포성형체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20160000996U (ko) 사출 성형용 금형
KR101196735B1 (ko) 조립식 캐비티금형
KR101171935B1 (ko) 분사부가 일체로 형성된 금형을 가진 발포성형물 금형장치
KR101905751B1 (ko) 분할형 캐비티와 코어를 구비하는 금형장치
KR101970100B1 (ko) 발포 성형품 제조장치
KR100912855B1 (ko) 발포금형
KR101866091B1 (ko) 발포폼 성형 금형
KR101864348B1 (ko) 발포폼 성형 금형
KR102146258B1 (ko) 다단 강압 성형품 제조 방법
KR101171934B1 (ko) 조립식 캐비티금형
CN209320124U (zh) 透气发泡模具
KR101310373B1 (ko) 이피피 발포 폼 성형금형 및 그 성형품
JP5200828B2 (ja) 樹脂発泡成形品の製造方法及び樹脂発泡成形品
KR101142301B1 (ko) 인서트삽입형 발포성형물 금형장치
JP5810964B2 (ja) 樹脂成形品の成形方法
KR101738617B1 (ko) 부분 미발포 및 발포 사출 성형용 금형
JP5553398B2 (ja) 発泡成形品の製造方法
JP5607600B2 (ja) 発泡樹脂成形体構造
KR101658186B1 (ko) 발포폼 성형 금형
CN213972216U (zh) 发泡模具
KR20120008860A (ko) 포장상자용 성형금형
JP2009066941A (ja) 発泡樹脂成形品の成形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