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4402B1 - 러기지 트레이 - Google Patents

러기지 트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4402B1
KR101294402B1 KR1020110129593A KR20110129593A KR101294402B1 KR 101294402 B1 KR101294402 B1 KR 101294402B1 KR 1020110129593 A KR1020110129593 A KR 1020110129593A KR 20110129593 A KR20110129593 A KR 20110129593A KR 101294402 B1 KR101294402 B1 KR 1012944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uggage
luggage board
tray
support
horizontal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95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63201A (ko
Inventor
장재은
송태훈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주식회사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주식회사,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295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4402B1/ko
Publication of KR201300632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32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44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44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5/00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 B60R5/04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arranged at rear of vehicle
    • B60R5/044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arranged at rear of vehicle luggage covering means, e.g. parcel shelves
    • B60R5/045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arranged at rear of vehicle luggage covering means, e.g. parcel shelves collapsible or transformable
    • B60R5/047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arranged at rear of vehicle luggage covering means, e.g. parcel shelves collapsible or transformable collapsible by rolling-u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5/00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 B60R5/04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arranged at rear of vehicle
    • B60R5/044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arranged at rear of vehicle luggage covering means, e.g. parcel she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9/00Supplementary fittings on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e.g. luggage, sports gear or the like
    • B60R9/06Supplementary fittings on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e.g. luggage, sports gear or the like at vehicle front or rear
    • B60R9/065Enclosure-type carriers, e.g. trun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러기지 트레이에 관한 것으로 전방벽, 상기 전방벽의 양단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하는 두 개의 측벽, 그리고 상기 두 개의 측벽 후방을 연결하는 후방벽을 포함하는 트레이몸체와; 상기 트레이몸체의 내부 공간에 수평하게 놓여져 내부 공간을 구획하며, 서로 접혀지는 전방판과 후방판으로 이루어지는 러기지보드와; 상기 측벽에 형성되며, 제1 위치에 수평하게 형성되는 제1 수평부, 상기 제1 위치 보다 높은 위치에 수평하게 형성되는 제2 수평부, 상기 제1 수평부의 후방과 과 상기 제2 수평부의 후방을 연통하는 곡선부를 구비하는 안내레일과; 상기 안내레일을 후방에서 상기 측벽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러기지보드가 상기 곡선부를 따라 이동할 때 상기 러기지보드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르는 러기지 트레이는,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러기지보드를 상단위치에서 하단위치로 또는 하단위치에서 상단위치로 이동시킬 때 러기지보드를 지지부 중심으로 회전시킬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보다 적은 힘을 가지고 러기지 보드를 이동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러기지 트레이{Luggage Tray}
본 발명은 차량의 후방시트의 뒤쪽에 형성되어 화물이 적재되는 적재공간을 형성하는 러기지 트레이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러기지 보드에 의해서 상, 하 2단으로 나누어질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러기지 트레이에 관한 것이다.
최근 차량의 후방에 위치하는 적재공간을 러기지보드에 의해서 상, 하 2단으로 구획하여 그 활용성을 증가시키고자 하고 있다. 그 중 하나로 본 출원인 출원한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60469호(특허문헌 1)에 기재된 러기지 룸 구조를 들 수 있다.
위 러기지 룸 구조는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러기지 룸의 양측면을 형성하는 사이드트림(12)에 러기지보드(20)를 안내하는 안내레일(30)이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안내레일(30)은 하부에 위치하는 제1 수평부(31), 이 제1 수평부(31)보다 높은 위치에 위치하는 제2 수평부(32), 제1 수평부(31)의 후방으로부터 상향 경사를 가지는 경사부(33), 그리고 제2 수평부(32)의 후방과 연통되며 제2 수평부(32) 보다 상부로 돌출형성되는 곡선형상이고 그 후방이 경사부(33)와 연통되는 곡선부(34)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 안내레일(30)을 따라서 러기지보드(20)의 전방판(21)의 양측 전방에 돌출되는 삽입부재(26a, 26b)가 이동하게 된다. 또한 러기지보드(20)는 서로 접혀지는 전방판(21)과 후방판(22)로 구성된다. 그리고 사이드트림(12)에는 러기지보드(20)를 제2 수평부(32)의 위치(상단위치)에서 지지할 수 있도록 지지부재(40, 50)가 형성되어 있다.
위 러기지 룸 구조에서 러기지보드(20)는 전방판(21)과 후방판(22)가 서로 접혀지는 구성을 가지고 있으며, 안내레일(30)을 따라서 제1 수평부(31) 및 제2 수평부(32)로 안내되어 제1 수평부(31)의 위치(하단위치) 및 제2 수평부(32)의 위치(상단위치)에 위치할 수 있게 되어, 러기지 룸을 수평방향으로 상, 하 2단으로 구획할 수 있다. 또한 러기지보드(20)는 상단위치 및 하단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 접혀질 수 있기 때문에 러기지 룸의 다양한 공간활용이 가능하다.
하지만 위 러기지 룸 구조는 러기지보드(20)를 상단위치 및 하단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서, 러기지보드(20)의 후방을 사용자가 파지한 후 안내레일(30)을 따라서 이동하도록 하기 때문에, 이동시 사용자의 힘에만 의존할 수밖에 없기 때문에 용이성 및 편리성이라는 측면에서 문제가 있었다.
또한 위 러기지 룸 구조에서는 러기지보드(20)를 하단위치 및 상단위치에만 위치시킬 수 있을 뿐이기 때문에, 러기지보드(20)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 보관 등 그 처리가 문제가 되었다.
특허문헌 1 :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60469호
본 발명은 위 종래 러기지 룸 구조의 문제점을 해결한 것으로, 러기지보드를 상단위치 및 하단위치에서 펼치거나 접거나 하도록 하여 다양한 활용을 도모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보다 적은 힘으로 러기지보드를 상단위치 및 하단위치로 용이하게 위치시킬 수 있고, 아울러 러기지보드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경사지게 위치시켜 거치할 수 있는 러기지 트레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위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러기지 트레이에 관한 것으로 전방벽, 상기 전방벽의 양단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하는 두 개의 측벽, 그리고 상기 두 개의 측벽 후방을 연결하는 후방벽을 포함하는 트레이몸체와; 상기 트레이몸체의 내부 공간에 수평하게 놓여져 내부 공간을 구획하며, 서로 접혀지는 전방판과 후방판으로 이루어지는 러기지보드와; 상기 측벽에 형성되며, 제1 위치에 수평하게 형성되는 제1 수평부, 상기 제1 위치 보다 높은 위치에 수평하게 형성되는 제2 수평부, 상기 제1 수평부의 후방과 과 상기 제2 수평부의 후방을 연통하는 곡선부를 구비하는 안내레일과; 상기 안내레일을 후방에서 상기 측벽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러기지보드가 상기 곡선부를 따라 이동할 때 상기 러기지보드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는 러기지 트레이는, 상기 안내레일의 제2 수평부의 하부에서 상기 측벽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러기지보드를 받쳐주는 제1 받침부와, 상기 제1 받침부 후방에서 상기 측벽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러기지보드를 받쳐주는 제2 받침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는 러기지 트레이는, 상기 트레이몸체의 후방벽의 상부에 일정한 폭을 가지고 상부로 돌출되는 리브를 더 포함하며, 상기 러기지보드에는 그 후방모서리를 따라서 하부로 돌출되어 상기 리브를 내측으로 감싸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는 러기지 트레이에서, 상기 안내레일의 제2 수평부 전방에는 전방 하부로 향해서 경사져 연장하는 경사부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는 러기지 트레이는, 상기 트레이몸체의 전방벽에는 후방으로 돌출하여 상기 러기지보드의 전방단부를 받쳐주는 전방받침대가 형성되며, 상기 전방벽에는 전방받침대의 상부에서 전방을 향해서 상향경사진 경사면을 가지는 미끄럼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러기지보드의 전방단부에는 상기 미끄럼부재가 수용하기 위한 수용홈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르는 러기지 트레이는, 박스형상의 러기지몸체에 의해서 구조적으로 안정하게 러기지보드를 지지하며, 또한 러기지보드를 상단위치에서 하단위치로 또는 하단위치에서 상단위치로 이동시킬 때 러기지보드를 지지부 중심으로 회전시킬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보다 적은 힘을 가지고 러기지 보드를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는 러기지 트레이는, 러기지보드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러기지 보드를 전방에 경사지게 위치시켜 거치할 수 있기 때문에 보관 및 처리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러기지 룸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르는 러기지 트레이에서 트레이몸체 및 러기지 보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르는 러기지 트레이에서 러기지보드가 상단에서 하단으로 이동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르는 러기지 트레이에서 러기지 보드가 이동하는 모습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르는 러기지 트레이에서 러기지 보드가 거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르는 러기지 트레이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르는 러기지 트레이(100)는 트레이몸체(200), 러기지보드(300) 및 트레이몸체(200)에 형성되는 안내레일(400)을 포함한다. 러기지보드(300)는 안내레일(400)을 따라서 안내되어 이동하면서 트레이몸체(200)에 대해서 상단위치 및 하단위치에 위치하여 러기지 트레이(100)의 수평하게 2단으로 구획하게 된다.
트레이몸체(200)는 종래 차량의 후방 실내공간을 구성하는 사이드 트림 및 트랜스버스트림을 이용하지 않고, 이들과는 별도로 측벽 및 후방벽을 구성한 박스형상의 구조를 가지고 있다. 구체적으로 트레이몸체(200)는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전방벽(210), 측벽(220) 및 후방벽(2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도 2에서는 바닥면(240)을 일부 도시하고 있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제거될 수 있다. 이러한 박스형상의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트레이몸체(200)는 그 자체로 안정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전방벽(210)은 전방에 위치하면 측벽(220)이나 후방벽(230) 보다는 두껍게 형성하여 트레이몸체(200)의 전체적인 강성을 유지하도록 한다. 전방벽(210)에는 길이방향을 따라서 후방으로 돌출하는 전방받침대(211)가 형성되어 있다. 전방받침대(211)에는 러기지보드(300)가 상단위치에 있을 때, 러기지보드(300)의 전방단부가 놓여져 지지된다.
또한 전방벽(210)에는 전방받침대(211)의 상부에 미끄럼부재(212)가 전방벽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서로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개 형성되어 있다(도 2에서는 2개). 미끄럼부재(212)는 전방벽(210)으로부터 돌출된 전방받침대(211)의 상부에서 전방을 향하여 상향경사를 가지는 경사면을 가지고 있다. 미끄럼부재(212)는 러기지보드(300)가 전방받침대(211)에 받쳐진 상태에서 러기지보드(300)의 후방을 들어 올렸을 경우 러기지보드(300)의 전방단부가 미끄럼부재(212)를 타고 용이하게 미끄러지도록 한다.
트레이몸체(200)의 측벽(220)은 전방벽(210)의 양단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하며, 그 전방측에서 안내레일(400)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측벽(220)에는 러기지보드(300)의 측부를 상단위치에서 받쳐주기 위한 제1 받침부(221) 및 제2 받침부(222)가 내측으로 돌출형성된다. 제1 받침부(221)는 안내레일(400)이 위치하는 측벽(220)의 전방에 위치하며, 제2 받침부(222)는 제1 받침부(221)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후방에 위치한다.
또한 제2 받침부(222)의 후방 상부에는 측벽(220)으로부터 돌출되는 지지부(223)가 형성되어 있다. 지지부(223)는 전방으로 모서리가 형성되는 계단형상을 가지고 있다. 지지부(223)는 러기지보드(330)가 상단에서 하단으로, 또는 하단에서 상단으로 이동할 때 러기지보드(330)를 지지하면서 러기지보드(300)의 전방의 방향을 바꿀 수 있는 힌지역할을 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보다 용이하게 러기지보드(33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나중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트레이몸체(200)의 후방벽(230)은 측벽(220)의 후방단부를 연결한다. 후방벽(230)의 상부에는 리브(231)가 일정한 폭을 가지고 상부로 돌출형성되어 있다. 리브(231)는 복수개 형성되며(도 2에서는 3개), 이들은 서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다. 이러한 리브(231)는 후방벽(230)의 강성을 증대시키며, 러기지보드(300)가 상단위치에 있을 때 러기지보드(30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러기지보드(300)는 서로 접혀지는 전방판(310)과 후방판(320)으로 구성된다. 전방판(310)의 전방단부는 상단위치에서 위에서 설명한 트레이몸체(200)의 전방벽(210)에 형성되어 있는 전방받침대(211)에 놓여진다. 이때 전방받침대(211)의 상부에 형성된 미끄럼부재(212)와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서 전방판(310)의 전방단부에는 미끄럼부재(212)와 대응하는 위치에 미끄럼부재(212)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홈(311)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전방판(310)의 전방 양측에는 외부로 돌출하는 돌기(312)가 형성되어 있다(도 2에서는 일측의 돌기만 도시함). 이 돌기(312)는 안내레일(400)에 이동가능하게 수용되어 안내레일(310)을 따라서 러기지보드(300)가 안내되도록 한다.
후방판(320)은 전방판(310) 보다 폭이 좁아지는 턱(323)이 형성되어 있다. 이 턱(323)은 러기지보드(300)가 상단위치에서 펼쳐질 경우 트레이몸체(200)의 측벽(220)에 형성되어 있는 지지부(223)와의 간섭을 피하기 하기 위한 것이며, 아울러 하단위치에서 펼쳐질 경우 트레이몸체(200)의 측벽(220)의 형상과 간섭을 피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후방판(320)의 양면에는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스트립(231)이 마련되어 있다. 사용자는 스트립(231)을 파지하여 후방판(320)을 용이하게 잡아당길 수 있다.
후방판(320)은 하부면에는 후방모서리를 따라서 하부로 돌출하는 돌출부(322)가 형성되어 있다. 돌출부(322)는 러기지보드(300)가 상단위치에 있을 때 트레이몸체(200)의 후방벽(230)에 형성되어 있는 리브(231)를 내측으로 감싸면서 리브(231)에 맞춰진다. 따라서 러기지보드(300)가 보다 확실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
안내레일(400)은 트레이몸체(200)의 측벽(200)에서 전방측에 연속되는 홈 형상을 가지며, 제1 받침부(221)를 감싸는 형상을 가지고 있다. 안내레일(400)은 러기지보드(300)를 하단위치(제1 위치)에 위치하도록 안내하기 위한 제1 수평부(410)와, 러기지보드(300)를 하단위치 보다 높은 위치인 상단위치(제2 위치)에 위치하도록 안내하기 위한 제2 수평부(420)와, 제1 수평부(410)의 후방과 제2 수평부(420)의 후방을 연통하는 곡선부(430)를 구비한다.
또한 제2 수평부(420)의 전방에는 전방 하부로 향하여 일정 경사를 가지고 경사진 경사부(440)가 형성되어 있다. 경사부(440)는 러기지보드(300)가 전방으로 세워져 거치될 수 있도록 러기지보드(300)를 안내한 후 세워진 상태로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제1 수평부(410), 제2 수평부(420), 곡선부(430) 및 경사부(440)는 모두 측벽(220)에 오목하게 파여져 연속적으로 연결된 홈 형상이며, 러기지보드(300)의 돌기(312)가 이동가능하게 삽입되어 안내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라는 트레이몸체의 작용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의 (a) 내지 (f)에 도시된 것과 같이 러기지보드(300)는 트레이몸체(200)에 대해서 상단위치에서 하단위치로, 또는 하단위치에서 상단위치로 이동할 수 있으며, 상단위치 및 하단위치에서는 펼쳐지거나 접혀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3의 (a)는 러기지보드(300)가 상단위치에서 펼쳐진 상태를 나타낸다. 이때 러기지보드(300)는 전방에서는 트레이몸체(200)의 전방벽(210)에 형성되는 전방받침대(211)에 의해서 받쳐진다. 또한 러기지보드(300)의 전방단부에 형성된 수용홈(311)에는 전방받침대(211)의 상부에 형성된 미끄럼부재(212)가 삽입되어 수용된다. 그리고 러기지보드(300)의 측부는 측벽(220)에 형성된 제1 받침부(221) 및 제2 받침부(222)에 의해서 받쳐진다. 아울러 러기지보드(300)의 후방단부에 형성된 돌출부(322)는 후방벽(230)에 형성된 리브(231)를 내측으로 감싸 지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러기지보드(300)가 상단위치에 있을 경우 전방, 후방 및 측부에서 트레이몸체(200)에 의해서 지지되기 때문에 보다 확실하게 러기지보드(300)를 지지할 수 있다. 또한 트레이몸체(100)가 구조적으로 안정한 박스형상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보다 안정적으로 러기지보드(300)를 지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가 러기지보드(300)를 상단위치에서 접혀진 상태로 사용하고 자할 경우에는 도 3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러기지보드(300)의 스트립(321)을 잡아 후방판(320)을 들어 올려 전방판(310)으로 접어서 사용하면 된다.
또한 사용자는 러기지보드(300)를 상단위치에서 하단위치로 위치시키고자 할 경우, 도 3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러기지보드(300)를 접은 상태에서, 도 3의 (c)에 도시된 것과 같이 러기지보드(300)의 후방을 약간 들어 올린 후 후방으로 이동시킨다. 이 때, 도 4에 도시된 A 상태의 러기지보드(300)가 후방이 약간 들어 올려진 상태에서 안내레일(400)의 제2 수평부(420)를 따라서 후방으로 이동한다.
이후 도 3의 (d) 및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일정 거리 후방으로 이동된 러기지보드(300)의 돌기(312)는 안내레일(400)의 곡선부(430)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 러기지보드(300)는 도 4의 B 상태가 되며, 측벽(220)에 형성되어 있는 지지부(223)에 의해서 일점이 지지된다. 지지부(223)의 일점에서 지지된 러기지보드(300)는 돌기(312)가 곡선부(430)를 따라서 하부로 이동할 경우 지지부(223)의 일점을 지지점으로 하여 하부로 용이하게 회전할 수 있다. 즉 지지부(223)는 러기지보드(300)의 상단위치에서 하단위치로의 회전을 위한 힌지역할을 한다. 이후 러기지보드(300)의 돌기(312)가 곡선부(430)를 따라서 제1 수평부(410)로 이동한다.
다음으로 러기지보드(300)의 돌기(312)가 곡선부(430)를 따라서 제1 수평부(410)에 위치하게 된 러기지보드(300)를 전방으로 밀게 되면 도 3의 (e)에 도시된 것 같이 러기지보드(300)는 하단위치에서 수평하게 위치된다. 즉 러기지보드(300)는 도 4에 도시된 C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러기지보드(300)는 접혀진 상태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러기지보드(300)를 펼쳐서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사용자는 스트립(321)을 파지하여 후방으로 당기게 되면, 도 3의 (f)와 같이 러기지보드(300)가 하단위치에서 펼쳐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도 5의 (a) 내지 (e)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르는 러기지트레이에서는 러기지보드(300)가 상단위치에서 거치위치로 변경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5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사용자가 러기지보드(300)의 스트립(321)을 파지한 여 후방판(320)을 들어 올려 전방판(310)에 대해서 접는다. 이후 도 5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접혀진 상태의 러기지보드(300)를 후방으로 이동시켜 러기지보드(300)의 돌기(312)가 안내레일(400)의 제2 수평부(420)와 경사부(440)가 만나는 위치에 위치하도록 한다.
이후 도 5의 (c)에 도시된 것과 같이 러기지보드(300)의 후방을 들어 올리게 되면, 러기지보드(300)의 전방단부에 형성된 수용홈(311)이 미끄럼부재(212)로부터 이탈되면서 미끄럼부재(212)를 타고 하부로 미끄러진다. 따라서 미끄럼부재(212)로 인해서 러기지보드(300)가 용이하게 전방벽(210)으로부터 이탈할 수 있다. 이후 도 5의 (d)에 도시된 것과 같이 러기지보드(300)를 경사지게 한 상태에서, 돌기(312)가 안내레일(400)의 경사부(440)를 따라서 이동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하여 도 5의 (e)에 도시된 것과 같이 러기지보드(300)는 접혀진 상태에서 트레이몸체(200)의 전방에 경사진 상태로 거치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르는 러기지 트레이(100)에서는 러기지보드(300)를 상단위치에서 하단위치로 또는 하단위치에서 상단위치로 이동시킬 때 측벽(220)에 형성된 지지부(223)를 힌지점으로 하여 러기지보드(300)를 회전시킬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보다 적은 힘으로 러기지보드(300)를 이동시키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는 러기지 트레이(100)에서는 러기지보드(300)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러기지보드(300)를 전방에 경사진 상태로 거치할 수 있기 때문에 러기지보드(300)의 보관 처리가 용이하게 된다.
이상은 본 발명에 따르는 러기지 트레이(100)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형태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서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될 수 있다.
100 : 러기지 트레이 200 : 트레이몸체
210 : 전방벽 220 : 측벽
230 : 후방벽 223 : 지지부
300 : 러기지보드 400 : 안내레일

Claims (5)

  1. 전방벽, 상기 전방벽의 양단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하는 두 개의 측벽, 그리고 상기 두 개의 측벽 후방을 연결하는 후방벽을 포함하는 트레이몸체와,
    상기 트레이몸체의 내부 공간에 수평하게 놓여져 내부 공간을 구획하며, 서로 접혀지는 전방판과 후방판으로 이루어지는 러기지보드와,
    상기 측벽에 형성되며, 제1 위치에 수평하게 형성되는 제1 수평부, 상기 제1 위치 보다 높은 위치에 수평하게 형성되는 제2 수평부, 상기 제1 수평부의 후방과 과 상기 제2 수평부의 후방을 연통하는 곡선부를 구비하는 안내레일과,
    상기 안내레일을 후방에서 상기 측벽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러기지보드가 상기 곡선부를 따라 이동할 때 상기 러기지보드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트레이몸체의 전방벽에는 후방으로 돌출하여 상기 러기지보드의 전방단부를 받쳐주는 전방받침대가 형성되며,
    상기 전방벽에는 전방받침대의 상부에서 전방을 향해서 상향경사진 경사면을 가지는 미끄럼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러기지보드의 전방단부에는 상기 미끄럼부재가 수용하기 위한 수용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을 하는 러기지 트레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안내레일의 제2 수평부의 하부에서 상기 측벽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러기지보드를 받쳐주는 제1 받침부와, 상기 제1 받침부 후방에서 상기 측벽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러기지보드를 받쳐주는 제2 받침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러기지 트레이.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몸체의 후방벽의 상부에 일정한 폭을 가지고 상부로 돌출되는 리브를 더 포함하며,
    상기 러기지보드에는 그 후방모서리를 따라서 하부로 돌출되어 상기 리브를 내측으로 감싸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러기지 트레이.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안내레일의 제2 수평부 전방에는 전방 하부로 향해서 경사져 연장하는 경사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러기지 트레이.
  5. 삭제
KR1020110129593A 2011-12-06 2011-12-06 러기지 트레이 KR1012944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9593A KR101294402B1 (ko) 2011-12-06 2011-12-06 러기지 트레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9593A KR101294402B1 (ko) 2011-12-06 2011-12-06 러기지 트레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3201A KR20130063201A (ko) 2013-06-14
KR101294402B1 true KR101294402B1 (ko) 2013-08-08

Family

ID=488606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9593A KR101294402B1 (ko) 2011-12-06 2011-12-06 러기지 트레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440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8804B1 (ko) 2014-09-02 2015-10-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 트렁크용 가변 파티션 장치
GB2576527B (en) * 2018-08-22 2021-03-03 Jaguar Land Rover Ltd Component stowage system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91127A (ja) 2005-12-22 2007-08-02 Piolax Inc デッキボードの上下動機構
JP2009241631A (ja) * 2008-03-28 2009-10-22 Mazda Motor Corp 自動車荷室のボード開閉装置
KR20110060469A (ko) * 2009-11-30 2011-06-08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러기지룸 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91127A (ja) 2005-12-22 2007-08-02 Piolax Inc デッキボードの上下動機構
JP2009241631A (ja) * 2008-03-28 2009-10-22 Mazda Motor Corp 自動車荷室のボード開閉装置
KR20110060469A (ko) * 2009-11-30 2011-06-08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러기지룸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3201A (ko) 2013-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522550B1 (en) Trunk of a motor vehicle
US20150054299A1 (en) Luggage board movement mechanism
CN101298236B (zh) 具有储物箱的车辆座椅
KR100663603B1 (ko) 차량의 트렁크 구조
JP2005516843A5 (ko)
US20120160793A1 (en) Storage rack
KR101294402B1 (ko) 러기지 트레이
US8870257B2 (en) Vehicle equipped with a luggage compartment having a height-adjustable loading floor
JP4380023B2 (ja) 車両の後部荷室構造
CN206287909U (zh) 用于在皮卡车的货厢中储存一个或多个物品的装置及车辆
JP2007175282A (ja) 可収納ハンガー
JP5924768B2 (ja) 折畳コンテナ
JP5140033B2 (ja) 収納構造体
CN215717710U (zh) 可收纳车载房的地板展收机构
JP2009154796A (ja) デッキボードの収納構造
CN101412362A (zh) 滑动车顶结构及具有该结构的车辆
JP2006224780A (ja) 車両用シートの物入れ構造
ITFI20030086U1 (it) Tavolo ribaltabile per vano passeggeri di carrozze ferroviarie
KR101181184B1 (ko) 자동차의 러기지룸 구조
CN109562712B (zh) 用于机动车辆的具有便利的转换性的可转换为台面的托座
JP6310518B2 (ja) シート下収納装置
JP2006282126A (ja) 車両用ラゲージフロア構造
JP6508002B2 (ja) 車両の後部構造
JP3878056B2 (ja) 格納式荷受台昇降装置
KR102407032B1 (ko) 크기 조절 및 적재함 탈부착이 가능한 핸드카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