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60469A - 자동차의 러기지룸 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러기지룸 구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10060469A KR20110060469A KR1020090117065A KR20090117065A KR20110060469A KR 20110060469 A KR20110060469 A KR 20110060469A KR 1020090117065 A KR1020090117065 A KR 1020090117065A KR 20090117065 A KR20090117065 A KR 20090117065A KR 20110060469 A KR20110060469 A KR 2011006046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uggage
- board
- luggage board
- front plate
- luggage room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5/00—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 B60R5/04—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arranged at rear of vehicl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1—Liners for load platforms or load compartments
- B60R13/011—Liners for load platforms or load compartments for internal load compartments, e.g. car trunk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5/00—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 B60R5/003—Luggage racks, e.g. for buss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087—Luggage compartm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1—Liners for load platforms or load compartments
- B60R2013/016—Liners for load platforms or load compartments integrating other functions or 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러기지룸 구조에 관한 것으로, 양측면을 형성하는 사이드트림, 하면을 형성하는 플로어패널, 후방면을 형성하는 트랜스버스트림 및 후방시트에 의해서 형성되는 러기지룸; 상기 러기지룸의 내부공간에 설치되며, 상하 양방향으로 접혀지는 전방판과 후방판을 구비하는 러기지보드와; 상기 사이드트림에 형성되고, 상기 러기지보드의 전방판 양측단부가 삽입되어 안내되며, 제1 위치에 형성되는 제1 수평부, 상기 제1 위치 보다 높은 제2 위치형성되는 제2 수평부, 상기 제1 수평부의 후방으로부터 상향 경사를 가지는 경사부, 그리고 상기 제2 수평부의 후방과 연통되며 상기 제2 수평부 보다 상부로 돌출형성되는 곡선형상이고 그 후방이 상기 경사부와 연통되는 곡선부를 구비하는 안내레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본 발명은 러기지보드를 안내레일에 구속시킴으로써 1단 위치 및 1단 위치보다 높은 2단 위치로 안정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또한 1단 위치 및 2단 위치에서 러기지보드를 전방으로 접어 러기지룸에 대해서 다양한 형태의 수납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러기지룸, 러기지보드, 수납성
Description
본 발명은 자동차의 러기지룸 구조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러기지 보드의 높이 및 전후방향의 길이를 변화시킴으로써 러기지룸의 수납성 향상 및 다양한 공간 확보가 가능한 자동차의 러기지룸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러기지룸은 자동차의 후방시트의 뒤쪽에 형성되는 공간으로, 후방시트를 중심으로 하여 좌,우에 위치되는 사이드 트림과 이 사이드 트림의 후방에 위치되며, 플로어패널로부터 소정높이를 갖는 리어 트랜스버스 트림에 의해 형성되며 화물을 적재하는 공간으로서 활용된다.
특히 승용차의 경우에는 러기지룸을 형성하는 플로어패널에 하부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스페어 타이어 등을 수납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공간을 트렁크 보드가 덮고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최근에는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서 자동차의 러기지룸에 대해서 수납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 중 하나로, 앞서 설명한 트렁크 보드의 높이방향 설치위치를 변경하여 러기지룸을 1단 또는 2단 상태로 형성함으로써 수납성을 향상시키는 러기지룸 구조가 제안되고 있다. 도 1은 러기지 보드를 사용하여 러기지룸을 1단 또는 2단 상태로 형성할 수 있는 러기지룸 구조와 관련된 종래기술(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08-150003호)을 도시한 것이다. 도 1의 (a)는 트렁크 보드(11)가 1단 위치에서 자동차의 리어플로어패널(4)에 놓여져 있는 1단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의 (b)는 트렁크 보드(11)를 상부로 이동시키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의 (c)는 트렁크 보드(11)가 상부로 이동된 2단 위치에 놓여져 있는 2단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종래기술의 트렁크 보드(11)는 본체(20), 그리고 본체(20)와 연결부(22)를 통해서 연결되며 하부로 접힐 수 있는 후방부(21)를 구비한다. 또한 사이드 트림(7)에는 선반부재(12)가 소정 높이의 위치에 부착되어 있으며, 선반부재(12)에는 트렁크 보드(11)가 놓여지는 선반부(31)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선반부재(12)는 후방에는 후방을 향하여 상향 경사진 홈(14)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를 가지는 종래의 러기지룸 구조에서, 트렁크 보드(11)를 1단 위치에서 2단 위치로 변경하기 위해서 사용자는, 도 1의 (b) 및 (c)에 도시된 것과 같이 1단 위치에 놓여져 있는 트렁크 보드(11)를 후방을 향하여 상향경사진 상태로 만든 후, 경사진 홈(14)을 통과하도록 끌어당겨 트렁크 보드(11)를 후방으로 빼내고, 이후 빼내어진 트렁크 보드(11)를 다시 전방으로 밀면서 사이드 트림(7)에 형성되어 있는 선반부재(12)의 위에 올려놓음으로써 2단 위치에 위치시킬 수 있다.
이러한 종래기술의 러기지룸구조는, 경사진 홈(14)의 후방에 어떠한 구조물도 구비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가 1단 위치에서 2단 위치로 변경하기 위해서 트렁크 보드(11)를 홈(14)을 통해서 경사진 상태로 후방으로 끌어당기는 경우, 후방으로의 한계를 알 수 없다. 이로 인해서 사용자는 트렁크 보드(11)를 후방으로 끌어당기면서 트렁크 보드(11)가 홈(14)을 벗어났는지 여부는 확인해야하는 작업상 불편한 점이 있다. 또한 종래기술의 러기지룸구조는, 도 1의 (c)와 같이 2단 위치에서 트렁크 보드(11)의 후방부(21)가 하방으로 접혀진 상태를 유지하므로, 트렁크 보드(11)의 상부 공간만을 이용할 수 있을 뿐 하부 공간은 전혀 이용할 수 없다. 이로 인해서 종래기술의 러기지룸구조는 수납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간단한 조작으로 러기지룸을 1단 또는 2단 상태로 변경할 수 있으며, 아울러 러기지룸의 수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동차의 러기지룸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위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르는 자동차의 러기지룸 구조는, 양측면을 형성하는 사이드트림, 하면을 형성하는 플로어패널, 후방면을 형성하는 트랜스버스트림 및 후방시트에 의해서 형성되는 러기지룸; 상기 러기지룸의 내부공간에 설치되며, 상하 양방향으로 접혀지는 전방판과 후방판을 구비하는 러기지보드와; 상기 사이드트림에 형성되고, 상기 러기지보드의 전방판 양측단부가 삽입되어 안내되며, 제1 위치에 형성되는 제1 수평부, 상기 제1 위치 보다 높은 제2 위치형성되는 제2 수평부, 상기 제1 수평부의 후방으로부터 상향 경사를 가지는 경사부, 그리고 상기 제2 수평부의 후방과 연통되며 상기 제2 수평부 보다 상부로 돌출형성되는 곡선형상이고 그 후방이 상기 경사부와 연통되는 곡선부를 구비하는 안내레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본 발명은 러기지보드를 안내레일에 구속시킴으로써 1단 위치 및 1단 위치보다 높은 2단 위치로 안정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또한 1단 위치 및 2단 위치에서 러기지보드를 전방으로 접어 러기지룸에 대해서 다양한 형태의 수납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는 자동차의 러기지룸 구조는, 상기 러기지보드의 전방 판 양측단부에는 상기 안내레일에 삽입되는 원형의 외주형상을 가지는 삽입부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또는 본 발명에 따르는 자동차의 러기지룸 구조는, 상기 삽입부재는 상기 러기지보드의 전방판 양측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롤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삽입부재와 안내레일 사이의 마찰을 적게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서 러기지보드를 안내레일을 따라 이동시킬 때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는 자동차의 러기지룸 구조는, 상기 제2 수평부의 직하부에서 사이드트림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러기지보드를 지지하는 제1 지지부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또한 상기 제1 지지부재의 후방으로부터 간격을 두고 제1 지지부재와 동일한 높이에서 사이드트림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러기지보드를 지지하는 제2 지지부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아울러 상기 제1 지지부재와 동일한 높이에서 상기 트랜스버스 트림에 형성되어 상기 러기지보드의 후방판을 지지하는 지지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서 러기지보다는 2단 위치에서 양측은 제1 지지부재 및 제2 지지부재에서 지지되며, 후방단은 지지홈에 의해서 지지되기 때문에,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는 자동차의 러기지룸 구조는, 상기 러기지보드의 전방판 또는 후방판에는 파지할 수 있는 파지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사용자를 파지부를 사용하여 러기지보드를 용이하게 파지하여 이동시키거나 접을 수 있으며, 그 결과 러기지룸의 내부공간을 용이하게 구획할 수 있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는 러기지룸 구조는, 다양한 형태로 내부공간을 변화시킬 수 있기 때문에 수납성을 개선하는 효과를 가지며, 아울러 러기지보드를 이동시킴에 있어서 동작의 안정성을 확보함으로써 간단한 조작에 의해서 내부공간을 변화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본 발명에 따르는 러기지룸 구조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르는 러기지룸 구조를 측면에서 본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르는 러기지룸 구조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러기기룸(110)은 자동차의 후방에 형성되는 내부공간으로, 이 내부공간은 자동차의 후방에 위치하는 후방시트(111), 자동차의 좌,우측에 설치되어 좌,우측면을 형성하는 사이드트림(112, 113)(도 2는 좌,우측 중 하나의 사이드 트림만이 도시되어 있음), 하면을 형성하는 플로어패널(114), 그리고 플로어패널(114)의 후방에서 위쪽으로 돌출하여 후방면을 형성하는 트랜스버스 트림(115)에 의해서 형성된다. 한편, 자동차 중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SUV 차량의 경우에는 러기지룸(100)의 상면을 형성하는 커버부재(116)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도면부호 119는 러기지품을 개폐하는 도어이다.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플로어패널(114)은 하부로 오목하게 파여진 형상의 하부공간을 가지고 있으며, 이 하부공간에는 스페어 타이어나, 이를 스페어타이어 를 교환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용구(117) 등이 수납될 수 있다. 통상 플로어패널(114)은 러기지보드(120)에 의해서 덮여져 있으며, 이러한 상태를 1단 상태라고 한다. 또한 1단 상태를 형성하는 러기지보드(120)의 높이방향 위치를 1단 위치라고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러기지보드(120)는 러기지룸(110)의 좌,우 폭에 대응하는 폭을 가지고 있으며, 전방에 형성되는 전방판(121) 및 후방에 형성되는 후방판(122)을 구비한다. 전방판(121) 및 후방판(122)은 연결부(123)에 의해서 연결되며, 연결부(123)는 전방판(121) 및 후방판(122) 보다 얇은 두께로 형성하거나 힌지구조로 형성됨으로써 전방판(121)에 대해서 후방판(122)이 상하 양방향으로 접힐 수 있게 되어 있다.
러기지보드(120)의 전방판(121)에는 연결부(123)에 인접한 영역에 전방판(121)을 관통하는 파지부(124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러기지보드(120)의 후방판(122)의 후방단부 부근에도 후방판(122)을 관통하는 파지부(124b, 124c)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파지부(124a, 124b, 124c)는 사용자가 손으로 전방판(121) 또는 후방판(122)을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전방판(121)의 최전방의 좌,우 양단부에는 좌,우측으로 돌출하는 삽입부재(126)가 형성되어 있다. 삽입부재(126a, 126b)는 후술하는 안내레일(130)에 삽입된다. 아울러 삽입부재(126a, 126b)는 안내레일(130)과의 마찰을 작게 하기 위해서 원형의 외주형상을 가지도록 한다. 보다 마찰을 작게 하기 위해서, 삽입부재(126a, 126b)는 전방판(121)의 양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롤러일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사용자가 전방판(121)을 안내레일(130)을 따라서 이동시킬 때, 과도한 힘을 사용하지 않고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사이드트림(112)에는 러기지보드(120)의 삽입부재(126a)가 삽입되어 안내되는 안내레일(130)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는 양측의 사이드트림(112, 113) 중 하나의 사이드트림(112)을 중심으로 설명하나 이와 마주보는 사이드트림(113)에도 삽입부재(126b)가 삽입되는 안내레일이 안내레일(130)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안내레일(130)은 삽입부재(126a)가 삽입될 수 있도록 사이드트림(112)의 내측으로 오목하게 들어간 형상을 가지며, 또한 오목한 형상의 외측으로 볼록하게 돌출하는 돌출라인(130a)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이 돌출라인(130a)은 삽입부재(126a)가 이동 중에 안내레일(13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더욱 확실시하게 방지한다.
안내레일(130)은 자동차의 전,후 방향으로 수평하게 형성되는 제1 수평부(131), 제1 수평부(131) 보다 높이방향으로 일정 간격 높게 형성되는 제2 수평부(132)를 구비하고 있다. 제1 수평부(131)는 러기지보드(120)가 플로어패널(114)을 덮고 있는 1단 상태에서의 러기지보드(120)의 위치(1단 위치)와 수평한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러기지보드(120)의 삽입부재(126b)가 제1 수평부(131)에 삽입된 상태에서 펼쳐지게 되면 러기지보드(120)는 1단 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또한 제2 수평부(132)는 러기지보드(120)가 상부로 이동하여 2단 상태를 유지하는 2단 위치에 형서된다. 구체적으로 통상 이 2단 위치는 도 2에서 후방시트(111)를 접었을 경우 후방시트(111)의 높이와 동일한 위치로 결정되며, 이로 인해서 2단 상태에 서는 러기지보드(120)가 접혀진 후방시트(111)와 함께 동일한 위치에서 후방시트(11)와 평평한 상태를 연속적으로 유지하기 때문에, 후방시트(111)까지 수납공간을 전후방향으로 넓게 할 수 있다.
또한, 안내레일(130)은 러기지보드(120)를 1단 위치에서 2단 위치로 또는 그 반대로 부드럽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제1 수평부(131) 및 제2 수평부(132)와 연속하여 연결되는 경사부(133)와 곡선부(134)를 구비한다. 경사부(133)는 제1 수평부(131)의 후방으로부터 상향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되며, 제2 수평부(132)의 위치까지 위쪽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곡선부(134)는 경사부(133)와 연통됨과 동시에 제2 수평부(132)와 연통되며, 제2 수평부(132)의 위치 보다 위쪽으로 돌출하여 형성되는 곡선형상의 부분이다.
러기지보드(120)의 삽입부재(126a)는 안내레일(130)의 제1 수평부(131), 경사부(133), 곡선부(134) 및 제2 수평부(132)에 구속되어 1단 위치 및 2단 위치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2 수평부(132)의 직하부에는 사이드트림(112)으로부터 내부공간을 향하여 돌출하는 제1 지지부재(140)가 형성되어 있다. 제1 지지부재(140)는 막대모양의 부재로서 제2 수평부(132)의 길이와 거의 동일한 길이를 가지고 있으며 수평하게 형성된다. 러기지보드(120)의 전방판(121)은 2단 위치에서 제1 지지부재(140)에 의해서 지지된다.
또한 제1 지지부재(140)의 후방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제2 지지부재(150)가 형성된다. 제2 지지부재(150)는 제1 지지부재(140)와 같이 사이드트림(112)으로부 터 내부공간을 향하여 돌출형성되며 수평하게 형성된다. 러기지보드(120)의 후방판(122)은 2단 위치에서 제2 지지부재(150)에 의해서 지지된다.
그리고 러기지룸(110)의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트랜스버스 트림(115)에는 2단 위치에서 러기지보드(120)의 후방판(122)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홈(115a)이 형성되어 있다. 이 지지홈(115a)은 러기지보드(120)의 2단 위치에서 후방판(122)의 후방단부(122a)가 삽입되어 지지될 수 있는 높이에 형성된다.
따라서 러기지보드(120)는 2단 위치로 이동하게 되면, 제1 지지부재(140)에 의해서 전방판(121)의 좌,우 양측이 지지되며, 제2 지지부재(150)에 의해서 후방판(122)의 좌,우 양측이 지지되고, 아울러 지지홈(115a)에 의해서 후방판(122)의 후방단부(122a)가 지지됨으로써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서 2단 위치에서도 러기지보드(110)에 화물 등을 올려놓을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르는 러기지룸 구조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4a 및 도 4b는 러기지보드가 1단 위치에서 2단 위치로 이동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5는 러기지보드가 2단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6은 러기지 보드가 1단 위치에서 접혀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은 러기지보드가 2단 위치에서 접혀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서, 통상 러기지보드(120)는 1단 위치에서 도 2 및 도 3과 같이 장착된다. 구체적으로 러기지보드(120)의 삽입부재(126a)가 안내레일(130) 중 제1 수평부(131)에 삽입된 1단 상태를 유지한다. 1단 상태에서는 플로어패널(114)에 형성된 하부공간 이외의 내부공간 즉, 러기지보드(120)의 상부에 형성되는 공간에 화물을 수납할 수 있다.
사용자가 러기지보드(120)를 2단 위치로 이동시키고자 할 때는, 도 4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사용자는 자동차의 후방에서 러기지보드(120)의 전방판(121)의 후방에 형성되어 있는 파지부(124a)를 파지하여 후방으로 잡아당긴다. 이로 인해서 연결부(123)를 중심으로 전방판(121)과 후방판(122)이 위쪽으로 접혀지며, 이때 전방판(121)에 형성된 삽입부재(126a)는 제1 수평부(131)를 따라 후방으로 이동한다. 이후 사용자가 계속하여 러기지보드(110)의 전방판(121)을 후방으로 잡아당기면 삽입부재(126a)가 안내레일(130)의 경사부(133)를 따라서 상부로 이동하여 상부에 형성된 곡선부(134)로 진입한다.
곡선부(134)로 진입된 삽입부재(126a)는 곡선부(134)에 구속되어 사용자가 계속하여 후방으로 러기지보드(120)를 잡아당기더라고 후방으로 이동되지 않는다. 이때 사용자는 러기지보드(120)가 2단 위치로 충분히 상승하였음을 감지할 수 있으며 이후 러기지보드(120)를 전방으로 밀게 된다. 이에 의해서 삽입부재(126a)는 도 4b에 도시된 것과 같이 곡선부(134)에 의해서 전방으로 안내되고 이후 제2 수평부(132)로 진입하여 제2 수평부(132)에 의해서 전방으로 안내된다. 이때 곡선부(134)는 러기지보드(120)의 전방판(121)의 자중에 의해서 자연스럽게 삽입부재(126a)가 전방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전방판(121)을 제2 수평부(132)로 이동시키는데 큰 힘을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삽입부재(126a)가 곡선부(134)로 안내되면 곡선형상에 의해서 삽입부재(126a)가 약간 전방으로 이동된 상태이기 때문에 자중에 의해서 전방판(120)이 하부로 이동하더라도 경사부(133)로 다시 삽 입되지 않는다. 따라서 1단 위치로부터 2단 위치로의 이동의 정확성을 담보할 수 있다.
도 4b에 도시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러기지보드(120)의 후방판(122)의 파지부(124b, 124c)를 파지하여 상부로 들어올려 러기지 보드(120)를 수평하게 한 상태에서 내려놓으면, 전방판(121)의 좌,우측은 제1 지지부재(140)에 놓여지며, 후방판(122)의 좌,우측은 제2 지지부재(150)에, 그리고 후방단부(122a)는 지지홈(115a)에 놓여져, 도 5에서와 같이 2단 상태가 완성된다. 2단 상태에서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후방시트(111)를 접게 되면 접혀진 후방시트(111)의 상부면과 러기지보드(120)의 높이 동일하게 되어 전후방향으로 넓은 수납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르는 러기지보드(120)의 전방판(121) 및 후방판(122)은 연결부(123)를 중심으로 상하방향으로 접힐 수 있어 도 6 및 도 7과 같은 수납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6에 도시한 것과 같이, 1단 상태에서 후방판(122)의 파지부(124b, 124c)를 파지하여 후방판(122)를 전방으로 완전히 접게 되면, 플로어패널(114)의 하부 공간이 상부로 연통되게 된다. 따라서 전방판(121)이 있는 부분에는 높이가 작은 화물을 수납할 수 있으며, 후방판(122)이 접혀져 형선된 공간에는 높이가 큰 화물(118), 예를 들면 물병이나 쇼핑봉투 등을 구부리지 않고 안정적으로 수납할 수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한 것과 같이 2단 상태에서도 러기지보드(120)의 후방판(122)을 전방으로 접게 되면, 플로어패널(114)의 하부공간이 상부와 연통되어 높이가 큰 화물(118)을 수납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러기지보드를 안내레일에 구속시킴으로써 1단 위치 및 1단 위치보다 높은 2단 위치로 안정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또한 1단 위치 및 2단 위치에서 러기지보드를 전방으로 접어 러기지룸에 대해서 다양한 형태의 수납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 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기술의 러기지룸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르는 러기지룸 구조를 측면에서 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르는 러기지룸 구조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러기지보드가 1단 위치에서 2단 위치로 이동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러기지보드가 2단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러기지 보드가 1단 위치에서 접혀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러기지보드가 2단 위치에서 접혀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 러기지룸 111 : 후방시트
112, 113 : 사이드트림 114 : 플로어패널
115 : 트랜스버스 트림 116 : 커버부재
120 : 러기지보드 121 : 전방판
122 : 후방판 123 : 연결부
124a, 124b, 124c : 파지부 126a, 126b : 삽입부재
130 : 안내레일 131 : 제1 수평부
132 : 제2 수평부 133 : 경사부
134 : 곡선부
Claims (7)
- 양측면을 형성하는 사이드트림, 하면을 형성하는 플로어패널, 후방면을 형성하는 트랜스버스트림 및 후방시트에 의해서 형성되는 러기지룸,상기 러기지룸의 내부공간에 설치되며, 상하 양방향으로 접혀지는 전방판과 후방판을 구비하는 러기지보드와,상기 사이드트림에 형성되고, 상기 러기지보드의 전방판 양측단부가 삽입되어 안내되며, 제1 위치에 형성되는 제1 수평부, 상기 제1 위치 보다 높은 제2 위치형성되는 제2 수평부, 상기 제1 수평부의 후방으로부터 상향 경사를 가지는 경사부, 그리고 상기 제2 수평부의 후방과 연통되며 상기 제2 수평부 보다 상부로 돌출형성되는 곡선형상이고 그 후방이 상기 경사부와 연통되는 곡선부를 구비하는 안내레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러기지룸 구조.
- 제1항에 있어서,상기 러기지보드의 전방판 양측단부에는 상기 안내레일에 삽입되는 원형의 외주형상을 가지는 삽입부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러기지룸 구조.
- 제2항에 있어서,상기 삽입부재는 상기 러기지보드의 전방판 양측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롤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러기지룸 구조.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제2 수평부의 직하부에서 사이드트림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러기지보드를 지지하는 제1 지지부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러기지룸 구조.
- 제4항에 있어서,상기 제1 지지부재의 후방으로부터 간격을 두고 제1 지지부재와 동일한 높이에서 사이드트림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러기지보드를 지지하는 제2 지지부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러기지룸 구조.
- 제5항에 있어서,상기 제1 지지부재와 동일한 높이에서 상기 트랜스버스 트림에 형성되어 상기 러기지보드의 후방판을 지지하는 지지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러기지룸 구조.
- 제1항에 있어서,상기 러기지보드의 전방판 또는 후방판에는 파지할 수 있는 파지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러기지룸 구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117065A KR101181184B1 (ko) | 2009-11-30 | 2009-11-30 | 자동차의 러기지룸 구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117065A KR101181184B1 (ko) | 2009-11-30 | 2009-11-30 | 자동차의 러기지룸 구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60469A true KR20110060469A (ko) | 2011-06-08 |
KR101181184B1 KR101181184B1 (ko) | 2012-09-18 |
Family
ID=443952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117065A KR101181184B1 (ko) | 2009-11-30 | 2009-11-30 | 자동차의 러기지룸 구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181184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94402B1 (ko) * | 2011-12-06 | 2013-08-08 | 기아자동차주식회사 | 러기지 트레이 |
EP2815922A1 (en) * | 2012-02-17 | 2014-12-24 | Nissan Motor Co., Ltd | Luggage board movement mechanism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312368A (ja) * | 2002-04-24 | 2003-11-06 | Nissan Motor Co Ltd | 車両用ラゲッジルーム構造 |
JP2009196482A (ja) * | 2008-02-21 | 2009-09-03 | Kasai Kogyo Co Ltd | 車両用トノボード装置 |
JP2009241631A (ja) * | 2008-03-28 | 2009-10-22 | Mazda Motor Corp | 自動車荷室のボード開閉装置 |
-
2009
- 2009-11-30 KR KR1020090117065A patent/KR101181184B1/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94402B1 (ko) * | 2011-12-06 | 2013-08-08 | 기아자동차주식회사 | 러기지 트레이 |
EP2815922A1 (en) * | 2012-02-17 | 2014-12-24 | Nissan Motor Co., Ltd | Luggage board movement mechanism |
EP2815922A4 (en) * | 2012-02-17 | 2015-03-11 | Nissan Motor | LUGGAGE TRAVEL MECHANISM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181184B1 (ko) | 2012-09-1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546598B1 (en) | Vehicle luggage compartment structure | |
JP4552256B2 (ja) | 車両用荷室構造 | |
US6516983B2 (en) | Moveable cargo support panel for use in a vehicle | |
US6626481B2 (en) | Vehicular seat system | |
EP2123505B1 (en) | Vehicle seat stowage structure | |
CN102887118A (zh) | 用于机动车辆的电池充电工具包 | |
JP2007269086A (ja) | 車両用乗降ステップ構造 | |
KR102689990B1 (ko) | 차량용 수납부의 슬라이딩 이송장치 | |
KR101181184B1 (ko) | 자동차의 러기지룸 구조 | |
JP2011051534A (ja) | 車両用ポケット構造 | |
JP3700651B2 (ja) | 自動車用トランク構造 | |
JP2006335348A (ja) | 自動車のトランク用積込み装置 | |
JP2001001836A (ja) | 車両のバックドアの構造 | |
CN113734062A (zh) | 一种汽车行李箱 | |
JP2000192693A (ja) | 自動車の後部延長構造 | |
JPH10309991A (ja) | 自動車デッキボード構体 | |
JPH0735190U (ja) | バン型車両におけるパッケージトレイの支持構造 | |
JP2008230288A (ja) | 車両の車室内構造 | |
JP2003025920A (ja) | 自動車のラゲージルーム構造 | |
JP4687547B2 (ja) | 車両のトノカバー装置 | |
JP2007269083A (ja) | 車両用乗降ステップ構造 | |
JPH10248874A (ja) | 緊急自動車 | |
JP4528060B2 (ja) | 自動車 | |
JP2545993Y2 (ja) | 自動車の長尺物用収納袋 | |
JP3684632B2 (ja) | 自動車用室内トリ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831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829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827 Year of fee payment: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