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9916B1 - 태핏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정렬 장치 - Google Patents

태핏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정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9916B1
KR101289916B1 KR1020117002687A KR20117002687A KR101289916B1 KR 101289916 B1 KR101289916 B1 KR 101289916B1 KR 1020117002687 A KR1020117002687 A KR 1020117002687A KR 20117002687 A KR20117002687 A KR 20117002687A KR 101289916 B1 KR101289916 B1 KR 1012899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ppet
alignment device
opening
stem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026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28380A (ko
Inventor
안소니 피. 쿠페르
제임스 다렌 테더
Original Assignee
코요 베어링즈 유에스에이,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요 베어링즈 유에스에이, 엘엘씨 filed Critical 코요 베어링즈 유에스에이,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1100283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83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99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99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LCYCLICALLY OPERATING VALVES FOR MACHINES OR ENGINES
    • F01L1/00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e.g. lift-valve gear
    • F01L1/12Transmitting gear between valve drive and valve
    • F01L1/14Tappets; Push ro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LCYCLICALLY OPERATING VALVES FOR MACHINES OR ENGINES
    • F01L1/00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e.g. lift-valve gear
    • F01L1/12Transmitting gear between valve drive and valve
    • F01L1/14Tappets; Push rods
    • F01L1/143Tappets; Push rods for use with overhead camshaf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LCYCLICALLY OPERATING VALVES FOR MACHINES OR ENGINES
    • F01L1/00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e.g. lift-valve gear
    • F01L1/12Transmitting gear between valve drive and val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LCYCLICALLY OPERATING VALVES FOR MACHINES OR ENGINES
    • F01L1/00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e.g. lift-valve gear
    • F01L1/12Transmitting gear between valve drive and valve
    • F01L1/14Tappets; Push rods
    • F01L1/146Push-ro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21Elements
    • Y10T74/2101Cams
    • Y10T74/2107Follow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태핏(10)은 축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태핏(10)은 개구(18)를 형성하는 스커트와 개구(18) 내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위치설정된 정렬 장치(22)를 포함한다. 정렬 장치(22)는 축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평면을 통해 취할 때 대체로 T자 형상인 단면 형상을 갖고, 축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평면을 통해 취할 때 비-T자 형상인 단면 형상을 갖는다.

Description

태핏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정렬 장치{ALIGNMENT DEVICE FOR USE WITH A TAPPET}
관련 출원
본 출원은 2008년 9월 4일자로 제출된 미국 가특허 출원 제61/094,225호에 대해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전체 내용이 본 명세서에 참조로 통합된다.
본 발명은 태핏(tappet)에 관한 것으로, 특히 태핏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정렬 장치에 관한 것이다.
태핏은 전형적으로 엔진의 캠 샤프트로부터 하나 이상의 흡기 또는 배기 밸브로 모션을 전송하기 위해서 내연기관의 밸브 트레인 내에 포함된다. 캠 샤프트가 회전할 때, 태핏은 캠 샤프트로부터 측방 힘 및 하방 힘 양쪽 모두를 수용하지만, 밸브를 개방하거나 그리고/또는 폐쇄하도록 밸브에 하방 힘만을 전송한다. 따라서, 태핏은 엔진의 작동 동안 밸브 손상 또는 굽힘의 가능성을 감소시킨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축을 따라 이동가능한 태핏을 제공한다. 태핏은 개구를 형성하는 스커트(skirt)와 개구 내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위치설정된 정렬 장치를 포함한다. 정렬 장치는 축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평면을 통해 취할 때 대체로 T자 형상인 단면 형상을 갖고, 축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평면을 통해 취할 때 비-T자 형상인 단면 형상을 갖는다.
다른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축을 따라 이동 가능한 태핏을 제공한다. 태핏은 대체로 원통형 외부 표면, 개구, 및 개구에 인접한 외부 표면 내에 형성된 편평부(flat)를 형성하는 스커트를 포함한다. 태핏은 개구 내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위치설정된 정렬 장치를 포함한다. 정렬 장치는 스템부(stem portion), 헤드부, 스템부와 헤드부 사이에 형성된 립(lip)을 포함한다. 립은 편평한 표면 대 편평한 표면 맞물림을 제공하도록 편평부와 맞물림으로써, 스커트와 정렬 장치 사이의 접촉 영역을 증가시킨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들은 상세한 기술 및 수반하는 도면들을 고려함으로써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렬 장치를 포함하는 태핏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태핏 및 정렬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태핏 및 정렬 장치의 일부분의 확대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내연기관의 안내 보어 내에서 위치설정된 태핏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정렬 장치의 확대된 사시도이다.
도 6은 태핏에 결합된 도 5에 도시된 정렬 장치의 확대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렬 장치의 확대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렬 장치의 일부분의 확대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임의의 실시예가 상세하게 설명되기 이전에, 본 발명은 이하의 기술에서 개시되거나 이하의 도면에서 설명된 부품들의 배열과 상세한 구성에 대해 본 출원에서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가 가능할 수 있고 다양한 방식으로 실시되거나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표현 및 용어가 기재의 목적을 위한 것이고 제한되는 것으로 간주되지 않아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내포하는", "포함하는" 또는 "구비하는"의 사용은 이후에 열거된 항목들과 이들의 등가물뿐만 아니라 추가적인 항목들을 포괄하는 것을 의미한다. 달리 구체화되거나 제한되지 않는다면, "장착되는", "연결되는", "지지되는" 및 "결합되는"이라는 용어와 이들의 변형들은 넓게 사용되고 직접 및 간접 장착, 연결, 지지 및 결합을 양쪽 모두 포괄한다. 또한, "연결되는" 및 "결합되는"은 물리적 또는 기계적 연결 또는 결합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상단", "저부", "후방", "전방", "수평" 등의 용어들은 도면에서 도시된 배향에 대하여 기술을 용이하도록 사용되고 제한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을 구현하는 태핏(10)을 예시한다. 태핏(10)은 밸브 트레인의 흡기 밸브 또는 배기 밸브를 개방하고 폐쇄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도록 내연기관의 밸브 트레인 내에 사용하도록 구성된다. 엔진의 캠 샤프트가 회전할 때, 캠 샤프트의 일부분 또는 캠 샤프트에 연결된 로커 아암은 캠 샤프트의 회전 이동을 태핏(10)의 선형 이동으로 변환하도록 태핏(10)과 맞물린다. 태핏(10)이 선형 방향으로 이동할 때, 밸브가 개방되고 폐쇄되도록 흡기 또는 배기 밸브의 밸브 헤드는 태핏(10) 내에 위치설정되어 태핏에 연결된다. 이에 의해, 캠 샤프트로부터의 힘은 밸브의 이동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향으로의 힘만이 밸브에 작용하도록 태핏(10)을 통해 밸브로 전달된다. 또한, 태핏(10)은 회전 힘이 밸브에 전달되는는 것을 억제하도록 캠 샤프트와 밸브 사이에서 비틀림 진동 격리 장치로서 역할을 한다. 태핏(10)은 하나의 부품의 회전 이동을 다른 부품의 선형 이동으로 전환하는 것이 바람직한 다른 형태의 조립체들에서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태핏(10)은 유체(예를 들어, 연료, 오일, 물 또는 유사한 것)를 이동하도록 돕기 위해서 유체 펌프에서 사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시된 태핏(10)은 컵 형상인 태핏이고 스커트(14)를 포함한다. 스커트(14)는 대체로 원통형이고 정렬 장치(22)를 수용하기 위한 개구(18)를 형성한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개구(18)는 대체로 직사각형이고, 예를 들어, 스커트(14) 내로의 관통, 기계가공, 또는 절단에 의해 형성된다. 또한, 개구(18)는 정렬 장치(22) 및 태핏(10)의 조립 동안 정렬 장치(22)를 위한 틈새를 제공하도록 정렬 장치(22)보다 대체로 더 크다(예를 들어, 더 넓다). 또한, 대체로 더 큰 개구(18)를 제공하는 것은 스커트(14) 내의 개구(18)를 위치시키고 기계가공하는 동안 공차를 증가시킨다. 다른 실시예에서, 개구(18)는 유사하게 형상화된 정렬 장치를 수용하기 위하여 다른 적합한 형상일 수 있고 그리고/또는 개구(18)는 비교적 더 크거나 작을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커트(14)는 개구(18)에 인접한 스커트(14)의 외부 표면(34) 상에 형성된 두 개의 편평부(26, 30) 또는 만입부(indentation)를 또한 형성한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편평부(26, 30)는 개구(18)의 대향 측면 상에서[예를 들어, 태핏(10)의 왕복 방향에 대하여 선단 및 후단 측면들 상의 위 및 아래에서] 위치설정된다. 편평부(26, 30)는 개구(18) 내에서 정렬 장치(22)를 위치설정하고 고정하는 것을 돕도록 개구(18)의 주변길이를 넘어 연장하는 정렬 장치(22)의 부분들을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정렬 장치(22)의 종방향 축이 태핏(10)의 종방향 축에 대체로 평행하고 태핏의 종방향 축으로부터 적절하게 이격되도록 편평부(26, 30)는 태핏(10)과 정렬 장치(22) 사이에서 축 대 축 위치를 제어하는 것을 돕는다. 예시된 편평부(26, 30)는 개구(18)의 폭보다 작지만, 정렬 장치(22)와 대체로 동일한 폭을 갖는다. 경사 에지(38, 42)는 개구(18) 내로 정렬 장치(22)의 조립(예를 들어, 삽입)을 용이하게 하도록 각각의 편평부(26, 30)와 개구(18) 사이에서 형성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태핏(10)은, 예를 들어, 내연기관의 실린더 헤드(50) 내의 안내 보어(46) 내에서 위치설정된다. 태핏(10)은 내연기관의 캠 샤프트로부터 밸브(예를 들어, 흡기 밸브 또는 배기 밸브)로 모션을 전달하도록 중앙 축(54)을 따라 안내 보어(46) 내에서 이동한다(예를 들어, 진동하거나 왕복한다). 예시된 안내 보어(46)는 안내 보어(46)의 길이의 일부분을 따라 연장하는 홈(58)을 형성한다. 홈(58)은 엔진의 제작 및 조립 동안 보어(46) 내에서 태핏(10)의 적절한 정렬을 보장하도록 정렬 장치(22)의 일부분을 수용한다. 홈(58) 및 정렬 장치(22)는 내연기관의 작동 동안 중앙 축(54)을 중심으로 태핏(10)의 회전을 방지하도록 또한 상호 작동한다.
도 5는 더욱 상세하게 정렬 장치(22)를 예시한다. 예시된 정렬 장치(22) 또는 은못(dowel) 핀은 단일 편으로서 일체로 형성된 스템부(62) 및 헤드부(66)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스템부(62) 및 헤드부(66)는 용접, 접착 또는 달리 함께 체결된 개별 단편일 수 있다. 각각의 부분(62, 66)은 대체로 평면의 제1, 또는 상단, 표면(70, 74)과 대체로 평면의 제2, 또는 저부, 표면(78, 82)(도 6)을 포함한다. 스템부(62)는 스커트(14)에 은못 핀(22)을 결합하도록 스커트(14) 내의 개구(18) 내에서 끼워 맞춰진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템부(62)가 스템부(62)의 상단 및 저부 표면들(70, 78)과 개구의 내부 주변길이 표면(86)(도 3) 사이에서 간섭 끼워맞춤(interference fit)에 의해 적소에서 유지되도록 스템부(62)의 높이는 개구(18)의 높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몇몇 실시예에서, 스템부(62)는 적합한 커플링 수단(예를 들어, 체결부, 접착제 또는 유사한 것)을 사용하여 스커트(14)의 개구(18) 내에서 추가로 고정될 수 있다.
헤드부(66)는 스커트(14)로부터 바깥쪽으로 연장하고 안내 보어(46) 내에 형성된 홈(58) 내에서 끼워 맞춰진다(도 4). 예시된 실시예에서, [태핏(10)의 이동의 방향에서 측정된 바와 같은] 은못 핀(22)의 헤드부(66)의 높이(H1)는 [높이(H1)와 같은 방향에서 측정된 바와 같은] 스템부(62)의 높이(H2)보다 더 크고, 스템부(62) 및 헤드부(66)의 상단 표면들(70, 74) 사이에의 상부 립(90)과 스템부(62) 및 헤드부(66)의 저부 표면들(78, 82) 사이에서의 하부 립(94)을 형성한다. 각각의 립(90, 94)은 개구(18) 내에서 은못 핀(22)을 위치설정하고 고정하는 것을 돕도록 개구(18)에 인접한 편평부들(26, 30) 중 하나의 편평부 내에서 끼워 맞춰진다. 편평부들(26, 30) 및 립들(90, 94)은 편평 표면 대 편평 표면 맞물림을 또한 제공하여, 스커트(14)와 은못 핀(22) 사이의 접촉 영역을 증가시킨다. 몇몇 실시예에서, 헤드부(66)의 높이(H1)와 스템부(62)의 높이(H2) 사이의 차이는 각각의 립(90, 94)이 약 0.25 mm와 약 3.0 mm 크기가 되도록 약 0.5 mm와 약 6 mm 사이이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높이 차이가 약 1.0 mm이도록 헤드부(66)의 높이(H1)는 약 5.0 mm이고 스템부(62)의 높이(H2)는 약 4.0 mm이고, 각각의 립(90, 94)은 약 0.5 mm 크기이다.
헤드부(66)가 스템부(62)보다 더 크기 때문에, 은못 핀(22)은 그 측면 상에서 볼 때 그리고 중앙 축(54)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거나, 혹은 포함하는, 평면을 통해 취할 때 대체로 T자 형상인 단면 형상을 갖는다(도 4 및 도 6 참조). 이에 의해, 평면은 태핏(10)의 이동 방향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한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중앙 축(54)은 평면이 실질적으로 수직 평면이 되도록 수직 방향에서 연장한다. 이러한 배향은 단지 예시적인 목적을 위한 것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태핏(10)은 수직에 대하여 소정 각도에서(예를 들어, 약 1도 내지 179도 사이에서) 왕복할 수 있다. 또한, 평면은 평면이 태핏(10)의 이동 방향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향에서 연장하도록 수직에 대하여 각이 질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스템부(62) 및 헤드부(66)는 은못 핀(22)이 만곡된 측면 표면(98)을 포함하도록 대체로 동일한 폭을 갖는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은못 핀(22)은 (예를 들어, 상단 또는 저부로부터 볼 때) 중앙 축(54)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평면(102)(도 6)을 통해 취할 때 부분적으로 원형 단면 형상을 갖는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평면(102)은 실질적으로 수평 평면이지만, 태핏(10)이 수직에 대하여 소정 각도에서 왕복하는 실시예에서 수평에 대하여 대안적으로 각이 질 수 있다.
스템부(62)는 평면(102)을 통해 취할 때 은못 핀(22)의 단면 형상이 단지 부분적인 원형이 되도록 평면의 후방 표면(106)을 포함한다. 평면의 후방 표면(106)은 스템부(62)가 태핏(10) 내로 연장하는 크기를 최소화하여, 다른 부품들(예를 들어, 밸브 스프링, 펌프 플런저 또는 흡기 또는 배기 밸브의 헤드)을 위한 스커트(14)의 캐비티(110)(도 4) 내에서의 틈새를 제공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은못 핀(22)은 평면(102)을 통해 취할 때 다른 적합한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은못 핀(22)은 완전한 원형(도 7), 직사각형, 사각형 또는 육각형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은못 핀(22)을 통해, 그리고 특히 스템부(62)와 헤드부(66) 사이의 인터페이스에서 일정한 폭을 제공한다면, 임의의 계단식 구조 또는 응력 집중을 제거함으로써 은못 핀(22)의 전체 강도를 증가시키고, 태핏(10)이 중앙 축(54)을 중심으로 안내 보어(46)(도 4) 내에서 회전하려 할 때 은못 핀(22)의 전단 가능성을 감소시킨다.
스템부(62)는 스템부(62)의 상단 표면(70)과 후방 표면(106) 사이에서 상부 경사 에지(114)를 포함한다. 또한, 스템부(62)는 스템부(62)의 저부 표면(78)과 후방 표면(106) 사이에서 하부 경사 에지(118)를 포함한다. 스템부(62)의 경사 에지(114, 118)는 태핏(10)의 조립 동안 스커트(14) 내의 개구(18) 내로 스템부(62)의 삽입을 용이하게 한다.
스템부(62)와 유사하게, 헤드부(66)는 헤드부(66)의 상단 표면(74)과 만곡된 측면 표면(98) 사이에서 상부 경사 에지(122)를 포함한다. 또한, 헤드부(66)는 헤드부(66)의 저부 표면(82)과 만곡된 측면 표면(98) 사이에서 하부 경사 에지(126)를 포함한다. 헤드부(66)의 경사 에지들(122, 126)은 상단 및 저부 표면들(74, 82)과 만곡된 측면 표면(98) 사이에서의 더 원활한 전이를 발생시키고, 은못 핀(22)이 안내 보어(46) 내에서 왕복하는 동안 안내 보어(46)의 표면 상에 형성된 결함부(예를 들어, 돌출부) 상에 포획되거나 스내깅(snagging)되는 은못 핀(22)의 가능성을 감소시킨다.
도 7은 태핏(10)과 사용하기 위한 정렬 장치(222)의 다른 예를 예시한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위에서 기술한 정렬 장치(22)와 유사하게, 예시된 정렬 장치(222), 또는 은못 핀은 단일 편으로서 일체로 형성된 스템부(262) 및 헤드부(266)를 포함한다. 각각의 부분(262, 266)은 대체로 평면인 상단 표면(270, 274) 및 대체로 평면인 저부 표면을 포함한다. 스템부(262)는 스커트(14)에 은못 핀(222)을 결합시키도록 스커트(14) 내의 개구(18) 내에서 끼워 맞춰진다. 스템부(262)의 높이는 스템부(262)가 간섭 끼워맞춤에 의해 적소에 유지되지만 다른 적합한 결합 수단을 사용하여 개구(18) 내에서 추가로 또는 대안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개구(18)의 높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헤드부(266)는 스커트(14)로부터 바깥쪽으로 연장하고 안내 보어(46) 내에 형성된 홈(58) 내에서 끼워 맞춤된다(도 4). 예시된 실시예에서, 은못 핀(222)의 헤드부(266)의 높이는 스템부(262)의 높이보다 더 크고, 스템부(262) 및 헤드부(366)의 상단 표면들(270, 274) 사이의 상부 립(290)과 스템부(262) 및 헤드부(266)의 저부 표면들 사이의 하부 립(294)을 형성한다. 각각의 립(29, 294)은 개구(18) 내에 은못 핀(222)을 위치설정하고 고정하는 것을 돕도록 개구(18)에 인접한 편평부들(26, 30)(도 3) 중 하나의 편평부 내에서 끼워 맞춰진다.
위에서 기술한 은못 핀(22)과 유사하게, 스템부(262)와 헤드부(266) 사이의 높이 차이는 중앙 축(54)에 평행하거나 혹은 포함하는 평면을 통해 취할 때 은못 핀(222)이 대체로 T자 형상인 단면 형상을 갖게 한다(도 4). 스템부(262) 및 헤드부(266)의 폭들은 은못 핀(222)이 연속적인 만곡된 측면 표면(298)을 포함하도록 동등하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은못 핀(222)은 중앙 축(54)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평면(102)(도 6)을 통해 취할 때 완전하게 원형 단면 형상을 갖는다. 이러한 구조는 스커트(14)의 캐비티(46) 내에서의 공간이 은못 핀(222)으로 하여금 캐비티(110) 내로 더 깊게 돌출하게 허용할 때 실행될 수 있다.
예시된 헤드부(266)는 헤드부(266)의 상단 표면(274)과 만곡된 측면 표면(298) 사이에서 상부 경사 에지(322)를 포함한다. 또한, 헤드부(266)는 헤드부(266)의 저부 표면과 만곡된 측면 표면(298) 사이에서 하부 경사 에지(326)를 포함한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스템부(262)는 스템부(262)의 만곡된 측면 표면(298)과 상단 및 저부 표면들(270) 사이에서 비경사 에지들(314, 318)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위에서 기술한 은못 핀(22)과 유사하게, 스템부(262)는 상부 및 하부 경사 에지들을 포함한다.
도 8은 태핏(10)과 사용하기 위한 정렬 장치(422)의 다른 예의 일부분을 예시한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위에서 기술한 정렬 장치들(22, 222)과 유사하게, 예시된 정렬 장치(422), 또는 은못 핀은 단일 편으로서 일체로 형성된 스템부(462) 및 헤드부(466)를 포함한다. 각각의 부분(462, 466)은 대체로 평면인 상단 표면(470, 474) 및 대체로 평면인 저부 표면(도시 생략)을 포함한다. 스템부(462)는 스커트(14)에 은못 핀(422)을 결합시키도록 스커트(14) 내의 개구(18) 내에서 끼워 맞춰진다. 스템부(462)의 높이는 스템부(462)가 간섭 끼워맞춤에 의해 적소에 유지되지만 다른 적합한 결합 수단을 사용하여 개구(18) 내에서 추가로 또는 대안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개구(18)의 높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헤드부(466)는 스커트(14)로부터 바깥쪽으로 연장하고 안내 보어(46) 내에 형성된 홈(58) 내에서 끼워 맞춤된다(도 4). 예시된 실시예에서, 은못 핀(422)의 헤드부(466)의 높이는 스템부(462)의 높이보다 더 크고, 스템부(462) 및 헤드부(466)의 상단 표면들(470, 474) 사이의 상부 립(490)과 스템부(462) 및 헤드부(466)의 저부 표면들 사이의 하부 립(도시 생략)을 형성한다. 각각의 립(490)은 개구(18) 내에 은못 핀(422)을 위치설정하고 고정하는 것을 돕도록 개구(18)에 인접한 편평부들(26, 30)(도 3) 중 하나의 편평부 내에서 끼워 맞춰진다. 예시된 은못 핀(422)은 상부 립(490)에 인접하여 형성된 언더컷(496)을 또한 포함한다. 언더컷(496)은 스템부(462)가 개구(18) 내로 삽입될 때 스커트(14)를 위한 추가적은 틈새를 제공한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은못 핀(422)은 예시된 언더컷(496)과 유사한 방식으로 스템부(462)와 헤드부(466) 사이에서 저부 립에 인접하여 형성된 제2 언더컷을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위에서 기술한 은못 핀(22, 222)과 유사하게, 스템부(462)와 헤드부(466) 사이의 높이 차이는 중앙 축(54)에 평행하거나 혹은 포함하는 평면을 통해 취할 때 은못 핀(422)이 대체로 T자 형상인 단면 형상을 갖게 한다(도 4). 스템부(462) 및 헤드부(466)의 폭들은 은못 핀(422)이 만곡된 측면 표면(498)을 포함하도록 동등하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도 5 및 도 6에서 도시된 은못 핀(22)과 유사하게, 은못 핀(422)이 중앙 축(54)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평면(102)(도 6)을 통해 취할 때 부분적인 원형 단면 형상을 갖도록 스템부(462)는 평면 후방 표면(506)을 포함한다.
스템부(462)는 스템부(462)의 상단 표면(470)과 후방 표면(506) 사이에서 상부 경사 에지(514)를 포함한다. 또한, 헤드부(466)는 헤드부(466)의 상단 표면(474)과 만곡된 측면 표면(498) 사이에서 상부 경사 에지(522)를 포함한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스템부(462) 및 헤드부(466) 각각은 저부 표면들과 후방 표면(506) 또는 측면 표면(498) 사이에서 하부 경사 에지를 각각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양호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기술되었지만, 변형 및 수정이 기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독립적인 태양들의 범위 및 정신 내에서 존재한다.

Claims (20)

  1. 축을 따라 이동가능한 태핏이며,
    개구를 형성하는 스커트와,
    개구 내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위치설정된 정렬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정렬 장치는, 헤드부와, 스템부와, 축에 평행한 평면을 통해 취할 때 T자 형상인 단면 형상을 갖고 축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평면을 통해 취할 때 비-T자 형상인 단면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정렬 장치는 축에 수직인 평면을 통해 취해진 단면에서 볼 때 스템부와 헤드부 사이의 인터페이스에서 일정한 폭을 갖고, 인터페이스에서 스템부의 폭은 헤드부의 폭과 동일한
    태핏.
  2. 제1항에 있어서,
    비-T자 형상인 단면 형상은 부분적으로 원형 단면 형상인
    태핏.
  3. 제2항에 있어서,
    정렬 장치는 부분적으로 원형 단면 형상을 형성하도록 만곡 표면 및 평면 표면을 포함하는
    태핏.
  4. 제1항에 있어서,
    비-T자 형상인 단면 형상은 완전하게 원형 단면 형상인
    태핏.
  5. 제1항에 있어서,
    스템부는 제1 높이를 갖고, 헤드부는 제2 높이를 갖고, 제2 높이는 제1 높이보다 더 큰
    태핏.
  6. 제5항에 있어서,
    제1 높이와 제2 높이 사이의 차이는 0.5 mm와 6.0 mm 사이인
    태핏.
  7. 제5항에 있어서,
    제1 높이는 4.0 mm이고, 제2 높이는 5.0 mm인
    태핏.
  8. 제5항에 있어서,
    스템부는 실질적으로 개구 내에서 위치설정되고, 헤드부는 스커트로부터 바깥쪽으로 연장하는
    태핏.
  9. 제5항에 있어서,
    정렬 장치는 스템부의 평면 표면과 헤드부의 평면 표면 사이에 형성된 립을 포함하는
    태핏.
  10. 제9항에 있어서,
    스커트는 개구에 인접한 편평부를 포함하고, 정렬 장치의 립은 편평부와 맞물리는
    태핏.
  11. 제10항에 있어서,
    정렬 장치는 스템부의 제2 평면 표면과 헤드부의 제2 평면 표면 사이에 형성된 제2 립을 포함하고, 스커트는 개구에 인접한 제2 편평부를 포함하고, 정렬 장치의 제2 립은 제2 편평부와 맞물리는
    태핏.
  12. 제9항에 있어서,
    정렬 장치는 립에 인접하여 형성된 언더컷을 포함하는
    태핏.
  13. 제5항에 있어서,
    스템부는 하나 이상의 경사 에지를 포함하고, 하나 이상의 경사 에지는 개구 내로 스템부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는
    태핏.
  14. 제5항에 있어서,
    헤드부는 하나 이상의 경사 에지를 포함하고, 하나 이상의 경사 에지는 태핏이 축을 따라 이동할 때 정렬 장치 방해의 가능성을 감소시키는
    태핏.
  15. 제1항에 있어서,
    스커트는 개구에 인접한 하나 이상의 경사 에지를 포함하고, 하나 이상의 경사 에지는 개구 내로 정렬 장치의 일부분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는
    태핏.
  16. 축을 따라 이동가능한 태핏이며,
    원통형 외부 표면, 개구, 및 개구에 인접한 외부 표면에 형성된 편평부를 형성하는 스커트와,
    개구 내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위치설정된 정렬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정렬 장치는 스템부 및 헤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정렬 장치는 축에 수직인 평면을 통해 취해진 단면에서 볼 때 스템부와 헤드부 사이의 인터페이스에서 일정한 폭을 갖고, 인터페이스에서 스템부의 폭은 헤드부의 폭과 동일한
    태핏.
  17. 제16항에 있어서,
    헤드부와 스템부 사이에 형성된 립을 더 포함하고, 상기 립은 편평 표면 대 편평 표면 맞물림을 제공하도록 편평부와 맞물리고, 이에 의해 스커트와 정렬 장치 사이의 접촉 영역을 증가시키는
    태핏.
  18. 제17항에 있어서,
    편평부는 태핏이 축을 따라 이동할 때 개구의 선단 및 후단 측면을 형성하는 개구의 측면에 인접하여 형성되는
    태핏.
  19. 제17항에 있어서,
    편평부는 제1 편평부이고, 스커트는 제1 편평부로부터 개구의 대향 측면에 인접한 외부 표면에서 형성된 제2 편평부를 형성하고, 정렬 장치는 스템부와 헤드부 사이에 형성되고 제2 편평부와 맞물리는 제2 립을 포함하는
    태핏.
  20. 제17항에 있어서,
    정렬 장치는 축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평면을 통해 취할 때 대체로 T자 형상인 단면 형상을 갖고, 축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평면을 통해 취할 때 비-T자 형상인 단면 형상을 갖는
    태핏.
KR1020117002687A 2008-09-04 2009-09-04 태핏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정렬 장치 KR10128991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9422508P 2008-09-04 2008-09-04
US61/094,225 2008-09-04
PCT/US2009/055974 WO2010028204A1 (en) 2008-09-04 2009-09-04 Alignment device for use with a tappe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8380A KR20110028380A (ko) 2011-03-17
KR101289916B1 true KR101289916B1 (ko) 2013-07-25

Family

ID=413818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2687A KR101289916B1 (ko) 2008-09-04 2009-09-04 태핏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정렬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616168B2 (ko)
EP (1) EP2310638B1 (ko)
JP (1) JP5236809B2 (ko)
KR (1) KR101289916B1 (ko)
CN (1) CN102112705B (ko)
WO (1) WO201002820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701243S1 (en) * 2011-12-13 2014-03-18 Eaton Corporation Pump actuator anti-rotation device
JP5459329B2 (ja) * 2012-01-31 2014-04-02 株式会社デンソー サプライポンプ
DE102012209186A1 (de) * 2012-05-31 2013-12-05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Stößel für einen Ventil- oder Pumpentrieb, sowi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Stößels
US9217407B2 (en) * 2013-03-05 2015-12-22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Mechanical lifter
DE112017000480T5 (de) * 2016-02-19 2018-10-31 Eaton Intelligent Power Limited MOTORVENTILSTÖßEL MIT VERDREHSCHUTZSTECKER
US10690016B2 (en) 2016-02-19 2020-06-23 Eaton Intelligent Power Limited Engine valve lifter having anti-rotation plug
CN109154211B (zh) * 2016-04-15 2021-10-15 光洋轴承北美有限责任公司 具有接收在托板上的内杯的从动件
KR101774699B1 (ko) 2016-07-15 2017-09-19 영신정공주식회사 솔리드 타입 회전방지부를 갖는 롤러 태핏 장치
USD932853S1 (en) 2017-02-17 2021-10-12 Eaton Intelligent Power Limited Engine valve lifter having anti-rotation plug
USD885439S1 (en) 2017-02-17 2020-05-26 Eaton Corporation Engine valve lifter having anti-rotation plug
EP3732354A1 (en) * 2017-12-28 2020-11-04 Eaton Intelligent Power Limited Engine valve lifter having anti-rotation plug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36711A (ja) 1998-10-30 2000-05-16 Otics Corp 可変動弁機構
JP2001289019A (ja) 2000-04-10 2001-10-19 Honda Motor Co Ltd 内燃機関の動弁装置
JP2006528296A (ja) * 2003-07-21 2006-12-14 バイエリッシェ モートーレン ウエルケ アクチエンゲゼルシャフト バルブタペット装置、特に、湾曲したカム従動面を有し且つ回り止めされたバケットタペット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92309A (ja) * 1984-10-12 1986-05-1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圧入部品
DE3638202A1 (de) * 1986-11-08 1988-05-19 Schaeffler Waelzlager Kg Hydraulisches spielausgleichselement
JPS63140106U (ko) * 1987-03-06 1988-09-14
JPH02118103U (ko) 1989-03-07 1990-09-21
JPH06312322A (ja) * 1993-04-26 1994-11-08 Mitsubishi Materials Corp 中空可動軸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74807U (ja) * 1993-06-24 1995-01-24 富士重工業株式会社 エンジンの動弁装置
DE4324756C2 (de) 1993-07-23 1997-06-12 Iav Motor Gmbh Verdrehsicherung für einen Ventilstößel
JP3700409B2 (ja) * 1998-09-04 2005-09-2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3次元カム用バルブリフタおよび可変動弁装置
US6196176B1 (en) * 1998-12-15 2001-03-06 Ina Walzlager Schaeffler Ohg Switchable cam follower
JP2001349210A (ja) * 2000-06-06 2001-12-21 Honda Motor Co Ltd 内燃機関の動弁装置
JP2002089210A (ja) * 2000-09-12 2002-03-27 Toyota Motor Corp バルブリフタの回り止め機構
DE102004036106A1 (de) 2004-07-24 2006-03-16 Ina-Schaeffler Kg Periodisch beaufschlagbarer Stößel für einen Ventil- oder Pumpentrieb
DE102004056457A1 (de) * 2004-11-23 2006-06-08 Schaeffler Kg Tassenstößel für eine Brennkraftmaschin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36711A (ja) 1998-10-30 2000-05-16 Otics Corp 可変動弁機構
JP2001289019A (ja) 2000-04-10 2001-10-19 Honda Motor Co Ltd 内燃機関の動弁装置
JP2006528296A (ja) * 2003-07-21 2006-12-14 バイエリッシェ モートーレン ウエルケ アクチエンゲゼルシャフト バルブタペット装置、特に、湾曲したカム従動面を有し且つ回り止めされたバケットタペッ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310638B1 (en) 2014-07-02
WO2010028204A1 (en) 2010-03-11
CN102112705A (zh) 2011-06-29
US8616168B2 (en) 2013-12-31
JP5236809B2 (ja) 2013-07-17
KR20110028380A (ko) 2011-03-17
US20110259142A1 (en) 2011-10-27
EP2310638A1 (en) 2011-04-20
JP2011528086A (ja) 2011-11-10
CN102112705B (zh) 2015-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9916B1 (ko) 태핏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정렬 장치
KR101627956B1 (ko) 종동자 메커니즘
US7823555B2 (en) Low profile valve lifter assembly
CN106555629B (zh) 阀致动系统
EP2716888A1 (en) Rocker cover system
KR20160085746A (ko) 갤러리에 핀없는 피스톤
US9109470B2 (en) Timing belt pulley mounting and geometry for use in internal combustion engines
JP2022509547A (ja) バルブブリッジガイドを備えたバルブブリッジシステム
US20190085731A1 (en) Welded high-pressure fuel pump roller tappet
CN106555627B (zh) 用于阀致动系统的摇杆基座
US7836860B2 (en) Engine rocker arm
JP3843926B2 (ja) エンジンの動弁装置
US20110220051A1 (en) Push Rod Retainer, Rocker Arm and Method for Retaining Together a Push Rod and a Rocker Arm
JP5093920B2 (ja) ロッカアーム
US6474282B1 (en) Flat rocker arm having a clevis
CN102135047B (zh) 用于装配气门摇臂的紧固设备
EP0853187A1 (en) Valve lifter structure
JP2012219629A (ja) エンジン
US20100242894A1 (en) Valve lifter guide and method of using same
EP1059423A2 (en) Valve driving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EP3144490B1 (en) Anti-rotation device for lifter
JP6691469B2 (ja) 内燃機関の可変動弁機構
JP4762091B2 (ja) バルブ休止機構付きバルブリフタ
JP3838185B2 (ja) エンジンの動弁装置
JP2013503300A (ja) 低摩擦スカートを有するモノブロックピスト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