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7084B1 - 경계 영역 보정 방법 및 그를 이용한 화상형성장치와 화상형성 방법 그리고 이를 구현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 Google Patents

경계 영역 보정 방법 및 그를 이용한 화상형성장치와 화상형성 방법 그리고 이를 구현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7084B1
KR101287084B1 KR1020080003382A KR20080003382A KR101287084B1 KR 101287084 B1 KR101287084 B1 KR 101287084B1 KR 1020080003382 A KR1020080003382 A KR 1020080003382A KR 20080003382 A KR20080003382 A KR 20080003382A KR 101287084 B1 KR101287084 B1 KR 1012870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or
boundary
area
colors
boundary reg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33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4409A (ko
Inventor
정우준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900044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44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70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70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46Colour picture communication systems
    • H04N1/56Processing of colour picture signals
    • H04N1/58Edge or detail enhancement; Noise or error suppression, e.g. colour misregistration corr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acsimile Image Signal Circuits (AREA)
  • Color Image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경계 영역 보정 방법 및 그를 이용한 화상형성장치와 화상 형성 방법 그리고 이를 구현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경계 영역 보정 방법은 하프토닝된 이미지로부터 경계 영역을 검출하는 단계, 검출된 경계 영역 중 복수의 색상이 오버랩된 경계 영역에 대하여는 블랙 색상의 존재 여부에 따라 색상을 조절하고, 하나의 색상이 존재하는 경계 영역에 대하여는 하나의 색상의 경계 영역을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하프토닝된 이미지의 경계 영역을 용이하게 보정할 수 있다.
색상 보정, 경계 영역, 오버랩, 블랙 색상, 확장, 강조

Description

경계 영역 보정 방법 및 그를 이용한 화상형성장치와 화상 형성 방법 그리고 이를 구현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Method for revising edge region, and device and method forming image using the same,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본 발명은 경계 영역 보정 방법 및 그를 이용한 화상형성장치와 화상 형성 방법 그리고 이를 구현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경계 영역에서 발생하는 트랩 현상을 해소할 수 있는 경계 영역 보정 방법 및 그를 이용한 화상형성장치와 화상 형성 방법 그리고 이를 구현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사진방식은 레이저 프린터(Laser Beam Printer), LPH(LED Print Head) 프린터 및 팩시밀리와 같은 화상형성장치에 채용되고 있다. 이러한, 전자사진방식의 화상형성장치는 대전, 노광, 현상, 전사, 및 정착과정을 통해 인쇄작업을 수행한다.
도 1은 일반적인 형태의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인쇄과정을 간략히 살펴보면, 3개의 롤러(11,12,13)에 의해 순환하는 감광벨트(14)에 대해 옐로우 광주사장치(31)가 광을 주사하고, 주사된 광에 의해 감광벨트(14)에는 정전잠상이 형성되며, 정전잠상은 옐로우 현상기(21)로부터 공급되는 옐로우 현상제에 의해 현상된다.
이와 동일한 과정으로, 마젠타(M), 시안(C), 블랙(K)의 순서로 각 색상별 광주사장치(32,33,34)가 광을 주사하고, 각각에 대응하는 색상별 현상기(22,23,24)로부터 공급되는 현상제에 의해 컬러 화상이 형성된다.
감광벨트(14)상에 형성된 컬러 화상은 건조장치(40)를 거쳐 전사롤러(51)에 서 1차 전사되고, 전사롤러(51) 및 정착롤러(52)의 회전에 의해 전사롤러(51)상의 화상이 인쇄매체(60)에 2차 전사되어 인쇄가 완료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에서, 색상별 광주사장치(31,32,33,34)는 각 광주사장치(31,32,33,34)로부터 출사되어 감광벨트(14)에 형성되는 주사 라인들 사이의 간격이 정확히 일치하도록 설치되어야 한다.
각 주사 라인들 사이의 간격이 정확하게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색상들이 교차하게 되어 트랩(trap)(혹은 미스 레지스트레이션(misregistration))이 발생하게 되므로, 이를 해소하기 위한 컬러 보정을 필요로 한다.
트랩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은 위치 감지 센서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위치 감지 센서와 같이 하드웨어적인 방법에 의한 컬러 보정은 화상형성장치 자체의 원가 상승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추가적인 구성 없이 소프트웨어적인 방법으로 복수의 색상이 교차하는 영역의 오차를 미리 예측하여 보정하는 경계 영역 보정 방법 및 그를 이용한 화상형성장치와 화상 형성 방법 그리고 이를 구현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계 영역 보정 방법은 하프토닝된 이미지로부터 경계 영역을 검출하는 단계, 검출된 경계 영역 중 복수의 색상이 오버랩된 경계 영역에 대하여는 블랙 색상의 존재 여부에 따라 색상을 조절하고, 하나의 색상이 존재하는 경계 영역에 대하여는 하나의 색상의 경계 영역을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조절하는 단계는, (a) 복수의 색상이 오버랩된 경계 영역에 대하여 경계 영역에 블랙 색상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b) 복수의 색상이 오버랩된 경계 영역에 대하여 블랙 색상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블랙 색상을 강조하고, 블랙 색상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경계 영역에 존재하는 각 색상 영역을 외부로 확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b) 단계는 블랙 색상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블랙 색상을 제외한 다른 색상을 제거하여 블랙 색상을 강조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블랙 색상을 제외한 다른 색상은 마젠타(Magenta), 및 시안(Cyan) 색상일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조절하는 단계는 하나의 색상이 존재하는 경계 영역에 대하여 경계 영역에 존재하는 색상을 강조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하프토닝된 이미지로부터 검출된 경계 영역을 복수의 색상이 오버랩된 경계 영역과 하나의 색상이 존재하는 경계 영역으로 구분하는 경계영역 구분부, 및 복수의 색상이 오버랩된 경계 영역에 대하여는 블랙 색상의 존재 여부에 따라 색상을 조절하고, 하나의 색상이 존재하는 경계 영역에 대하여는 하나의 색상의 경계 영역을 조절하는 색상 조절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색상 조절부는 복수의 색상이 오버랩된 경계 영역에 대하여, 블랙 색상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블랙 색상을 제외한 다른 색상을 제거하는 색상 제거부, 블랙 색상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경계 영역에 존재하는 각 색상 영역을 외부로 확장하는 경계 영역 확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블랙 색상을 제외한 다른 색상은 마젠타(Magenta), 및 시안(Cyan) 색상일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색상 조절부는 하나의 색상이 존재하는 경계 영역에 대하여 경계 영역에 존재하는 색상을 강조하는 색상 강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복수의 색상이 오버랩된 경계 영역에 대하여 경계 영역에 블랙 색상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블랙 색상 판단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하프토닝된 이미지의 경계 영역 중 복수의 색상이 오버랩된 경계 영역에 대하여는 블랙 색상의 존재 여 부에 따라 색상을 조절하고, 하나의 색상이 존재하는 경계 영역에 대하여는 하나의 색상의 경계 영역을 조절하는 이미지 처리부, 및 색상 및 경계 영역 중 하나가 조절된 하프토닝된 이미지를 인쇄하는 인쇄 엔진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이미지 처리부는, 복수의 색상이 오버랩된 경계 영역에 대하여, 블랙 색상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블랙 색상을 제외한 다른 색상을 제거하고, 블랙 색상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경계 영역에 존재하는 각 색상 영역을 외부로 확장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이미지 처리부는, 하나의 색상이 존재하는 경계 영역에 대하여 경계 영역에 존재하는 색상을 강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복수의 색상이 교차되는 에러를 예견하는 예견부, 및 복수의 색상이 오버랩되는 경계 영역에서 적어도 하나의 색상 조절에 의해 예견된 에러를 보정하는 보정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예견부는 경계 영역에서의 블랙 색상의 존재 여부에 기반하여 에러를 예견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방법은, 복수의 색상이 교차되는 에러를 예견하는 단계 및 복수의 색상이 오버랩되는 경계 영역에서 적어도 하나의 색상 조절에 의해 예견된 에러를 보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복수의 색상이 교차되는 에러를 예견하는 단계, 및 복수의 색상이 오버랩되는 경계 영역에서 적어도 하나의 색상 조절에 의해 예견된 에러를 보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경계 영역 보정 방법 및 그를 이용한 화상형성장치와 화상 형성 방법 그리고 이를 구현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화상형성장치의 기구적인 특성에 의해 발생하는 칼라별 오차 현상을 추가적인 구성 없이 소프트웨어적인 방법으로 오차를 미리 예측하여 보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에 따라, 중저가형의 화상형성장치에도 칼라별 오차 현상을 해소하기 위하여 적용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블럭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화상형성장치(100)는 경계 영역 검출부(110), 경계 영역 구분부(120), 및 색상 조절부(130)를 포함한다.
경계 영역 검출부(110)는 하프토닝된 이미지로부터 경계 영역을 검출한다. 여기서, 경계 영역은 이미지의 테두리가 다른 이미지 혹은 배경과 접촉되는 부분을 의미한다.
경계 영역 구분부(120)는 경계 영역 검출부(110)에 의해 검출된 경계 영역을 복수의 색상이 오버랩된 경계 영역과 하나의 색상만이 존재하는 경계 영역으로 구분한다.
색상 조절부(130)는 복수의 색상이 오버랩된 경계 영역에 대하여는 블랙 색상의 존재 여부에 따라 색상을 조절하고, 하나의 색상이 존재하는 경계 영역에 대 하여는 하나의 색상의 경계 영역을 조절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블럭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화상형성장치(100)는 경계 영역 검출부(110), 경계 영역 구분부(120), 블랙 색상 판단부(140), 및 색상 조절부(130)를 포함한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한 화상형성장치(100)의 다른 실시예로,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는 동일한 부호를 표기하였다.
경계 영역 검출부(110)는 하프토닝된 이미지로부터 경계(edge) 영역을 검출한다. 여기서, 경계 영역은 이미지의 테두리가 다른 이미지 혹은 배경과 교차하는 부분을 의미한다. 또한, 하프토닝된 이미지는 RGB 타입의 이미지가 칼라 매칭에 의해 CMYK 타입으로 변환된 후, 프린터 드라이버 혹은 화상형성장치(100)에서 하프토닝을 수행하여 생성된 CMYK 이미지이다.
경계 영역 구분부(120)는 경계 영역 검출부(110)에 의해 검출된 경계 영역을 복수의 색상이 오버랩된 경계 영역 및 하나의 색상이 존재하는 경계 영역으로 구분한다.
블랙 색상 판단부(140)는 경계 영역 구분부(120)에 의해 복수의 색상이 오버랩된 경계 영역으로 구분된 경계 영역에 블랙(Black) 색상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색상 조절부(130)는 경계 영역 구분부(120)에 의해 복수의 색상이 오버랩된 경계 영역으로 구분된 경계 영역에 대하여 블랙 색상 판단부(140)의 블랙 색상의 존재 여부에 따라 색상을 조절한다.
색상 조절부(130)는 경계 영역 구분부(120)에 의해 하나의 색상이 존재하는 경계 영역으로 구분된 경계 영역에 대하여 경계 영역에 존재하는 하나의 색상의 경계 영역을 조절한다.
색상 조절부(130)는 색상 강조부(132), 경계 영역 확장부(134), 및 색상 제거부(136)를 포함한다.
색상 강조부(132)는 하나의 색상이 존재하는 경계 영역에 대하여 경계 영역에 존재하는 색상을 강조한다. 예를 들어, 하나의 색상이 존재하는 경계 영역에 시안 색상이 존재할 경우, 색상 강조부(132)는 시안 색상을 강조한다. 여기서, 색상을 강조하는 것은 경계 영역에 해당하는 하프톤 값을 동일하게 반영하는 것을 의미한다.
경계 영역 확장부(134)는 블랙 색상 판단부(140)에 의해 복수의 색상이 오버랩된 경계 영역에 블랙 색상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복수의 색상이 오버랩된 경계 영역에 존재하는 각 색상 영역을 외부로 확장한다. 즉, 경계 영역 확장부(134)는 시안 및 마젠타 색상을 외부로 확장한다. 이때, 옐로우 색상은 적용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색상 제거부(136)는 블랙 색상 판단부(140)에 의해 복수의 색상이 오버랩된 경계 영역에 블랙 색상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블랙 색상을 제외한 다른 색상을 제거한다. 색상 제거부(136)에서 블랙 색상을 제외한 다른 색상을 제거함에 따라, 블랙 색상이 강조되는 효과를 갖는다.
색상 제거부(136)에서도 옐로우 색상은 배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므 로, 블랙 색상을 제외한 다른 색상은 시안 및 마젠타 색상이 된다. 즉, 색상 제거부(136)는 복수의 색상이 오버랩된 경계 영역에 블랙 색상이 존재할 경우, 해당 경계 영역에서 시안 및 마젠타 색상을 제거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블럭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화상형성장치(400)는 이미지 처리부(410), 및 인쇄 엔진부(420)를 포함한다.
이미지 처리부(410)는 하프토닝된 이미지의 경계 영역 중 복수의 색상이 오버랩된 경계 영역에 대하여는 블랙 색상의 존재 여부에 따라 색상을 조절하고, 하나의 색상이 존재하는 경계 영역에 대하여는 하나의 색상의 경계 영역을 조절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이미지 처리부(410)는 복수의 색상이 오버랩된 경계 영역에 대하여, 블랙 색상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블랙 색상을 제외한 다른 색상을 제거하고, 블랙 색상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경계 영역에 존재하는 각 색상 영역을 외부로 확장한다. 또한, 상기 이미지 처리부(410)는 하나의 색상이 존재하는 경계 영역에 대하여 경계 영역에 존재하는 하나의 색상을 강조한다.
이미지 처리부(410)에서 수행하는 기능은 도 3에 도시한 경계 영역 검출부(110), 경계 영역 구분부(120), 블랙 색상 판단부(140), 및 색상 조절부(130)의 기능과 동일하다.
인쇄 엔진부(420)는 이미지 처리부(410)에 의해 경계 영역이 조절된 하프토닝된 이미지를 인쇄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블럭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화상형성장치(500)는 예견부(510), 및 보정부(520)를 포함한다.
예견부(510)는 복수의 색상이 교차되는 에러를 예견한다. 이때, 예견부(510)는 경계 영역에서의 블랙 색상의 존재 여부에 기반하여 에러를 예견할 수 있다. 즉, 블랙 색상의 존재 여부에 따라 에러의 종류가 달라진다. 예견부(510)에서 예견된 에러가 블랙 색상의 존재 여부에 기반함에 따라, 보정부(520)에서 에러 보정시 적용되는 에러 보정 방법이 블랙 색상의 존재 여부에 따라 달라지게 된다.
보정부(520)는 복수의 색상이 오버랩되는 경계 영역에서 적어도 하나의 색상 조절에 의해 예견된 에러를 보정한다. 보정부(520)는 예견부(510)에 의해 예견된 에러 보정시 경계 영역에 블랙 색상이 존재하지 않는 에러인 경우, 경계 영역에 존재하는 각 색상 영역을 외부로 확장하여 에러를 보정할 수 있다. 또한, 보정부(520)는 예견부(510)에 의해 예견된 에러 보정시 경계 영역에 블랙 색상이 존재하는 에러인 경우, 블랙 색상을 제외한 다른 색상을 제거하여 에러를 보정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한 블랙 색상 판단부(140) 혹은 블랙 색상 판단부(140), 경계 영역 검출부(110), 및 경계 영역 구분부(120)의 결합은 도 5에 도시한 예견부(510)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한 색상 조절부(130) 혹은 도 4에 도시한 이미지 처리부(410)의 기능은 도 5의 보정부(520)에 포함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한 화상형성장치(100, 400, 500)은 PDL(Page Description Language), 혹은 PS(Postscript)를 사용한 장치일 수 있다.
도 6a 및 도 6b는 복합 색상을 갖는 이미지의 경계 영역 보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a는 CMYK 색상이 오버랩되어 있는 경우의 이미지를 보인 것으로, 두 가지 이미지가 교차되는 부분에 경계 영역이 발생한다. 이 경우, 경계 영역 검출부(110)에서 경계 영역을 검출한 후, 경계 영역 구분부(120)에서 복수의 색상이 오버랩된 경계 영역으로 구분된다.
이후, 블랙 색상 판단부(140)의 블랙 색상 포함 여부 판단에 따라, 경계 영역 확장부(134) 혹은 색상 제거부(136)의 동작에 의해 도 6b와 같이 보정된 이미지가 생성된다. 도 6b는 블랙 색상 판단부(140)에 의해 블랙 색상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어, 색상 제거부(136)에서 블랙 이외의 다른 색상을 제거하여 블랙 색상을 강조한 경우에 해당한다.
도 7a 및 도 7b는 시안 색상을 갖는 이미지의 경계 영역 보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a는 복수의 색상이 오버랩되어 있는 이미지를 보인 것이나, 블랙 색상 판단부(140)의 블랙 색상 포함 여부 판단 결과 블랙 색상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 해당한다. 이때, 경계 영역에 존재하는 색상은 시안 색상이다.
도 7a의 이미지의 경계 영역에는 블랙 색상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었음에 따라, 경계 영역 확장부(134)는 시안 색상을 화이트 영역 방향으로 확장한다. 경계 영역 확장부(134)에 의해 시안 색상이 확장되면, 도 7b와 같은 보정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도 8a 및 도 8b는 마젠타 색상을 갖는 이미지의 경계 영역 보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a는 복수의 색상이 오버랩되어 있는 이미지를 보인 것이나, 블랙 색상 판단부(140)의 블랙 색상 포함 여부 판단 결과 블랙 색상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 해당한다. 이때, 경계 영역에 존재하는 색상은 마젠타 색상이다.
도 8a의 이미지의 경계 영역에는 블랙 색상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었음에 따라, 경계 영역 확장부(134)는 마젠타 색상을 화이트 영역 방향으로 확장한다. 경계 영역 확장부(134)에 의해 마젠타 색상이 확장되면, 도 8b와 같은 보정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도 9a 및 9b는 본 발명의 화상형성장치에서 경계 영역 보정을 수행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a의 이미지를 살펴보면, 텍스트와 배경 사이에 트랩 현상이 발생하여 경계 영역에 오류가 발생한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경계 영역에 발생한 오류를 본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보정하면, 도 9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텍스트와 배경 사이에 트랩 현상이 보정된 깨끗한 상태의 이미지를 얻을 수 있다.
도 10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경계 영역 보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여기에서는 도 2 및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계 영역 보정 방법을 설명한다.
경계 영역 검출부(110)는 하프토닝된 이미지로부터 경계 영역을 검출하고, 경계 영역 구분부(120)는 검출된 경계 영역이 복수의 색상이 오버랩된 경계 영역인지 혹은 하나의 색상이 존재하는 경계 영역인지를 구분한다(S200).
경계 영역 구분부(120)에 의해 색상을 보정할 경계 영역이 복수의 색상이 오버랩된 경계 영역인 것으로 구분된 경우, 색상 조절부(130)는 블랙 색상의 존재 여부에 따라 색상을 조절하고, 색상을 보정할 경계 영역이 하나의 색상이 존재하는 경계 영역인 것으로 구분된 경우, 색상 조절부(130)는 하나의 색상의 경계 영역을 조절한다(S210).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경계 영역 보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여기에서는 도 3 및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경계 영역 보정 방법을 설명한다.
하프토닝 이미지가 입력되면(S300), 경계 영역 검출부(110)는 입력된 하프토닝 이미지로부터 경계 영역을 검출한다(S310).
경계 영역 구분부(120)는 경계 영역 검출부(110)에 의해 검출된 경계 영역이 복수의 색상이 오버랩된 경계 영역인지 혹은 하나의 색상이 존재하는 경계 영역인지를 구분한다.
경계 영역 구분부(120)에 의해 해당 경계 영역이 복수의 색상이 오버랩된 경계 영역으로 구분되면(S320-Y), 블랙 색상 판단부(140)는 해당 경계 영역에 블랙 색상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블랙 색상 판단부(140)에 의해 해당 경계 영역에 블랙 색상이 존재하는 것으 로 판단되면(S330-Y), 색상 제거부(136)는 해당 경계 영역에 존재하는 시안 및 마젠타 색상을 제거한다(S340).
만약, 블랙 색상 판단부(140)에 의해 해당 경계 영역에 블랙 색상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S330-N), 경계 영역 확장부(134)는 시안 및 마젠타 색상의 외부 경계 영역을 확장한다(S350).
또한, 경계 영역 구분부(120)에 의해 해당 경계 영역이 하나의 색상이 존재하는 경계 영역인 것으로 구분되면(S320-N), 색상 강조부(132)는 해당 경계 영역에 존재하는 하나의 색상을 강조한다(S360).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경계 영역 보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여기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경계 영역 보정 방법을 설명한다.
예견부(510)는 복수의 색상이 교차되는 에러를 예견한다. 이때, 예견부(510)는 경계 영역에서의 블랙 색상의 존재 여부에 기반하여 에러를 예견할 수 있다(S600).
예견부(510)에 의해 에러가 예견된 이후, 보정부(520)는 복수의 색상이 오버랩되는 경계 영역에서 적어도 하나의 색상 조절에 의해 예견된 에러를 보정한다(S610).
이와 같은 절차에 의해, 이미지와 다른 이미지 혹은 배경이 교차하는 영역에 발생하는 트랩 현상을 해소할 수 있다.
상술한 화상 형성 방법은 경계 영역 보정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컴퓨 터 판독가능 매체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및 컴퓨터 판독가능 전송 매체를 포함한다.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판독된 후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데이터 저장 장치이다. 예를 들면,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는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ess Memory), CD-ROM, 마그네틱 테잎,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연결되어 네트워크를 통해 분산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 전송 매체는 전송 캐리어 웨이브 혹은 신호들을 전송할 수 있다(인터넷을 통한 유선 혹은 무선 데이터 전송).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형태의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블럭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블럭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블럭도,
도 6a 및 도 6b는 복합 색상을 갖는 이미지의 경계 영역 보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a 및 도 7b는 시안 색상을 갖는 이미지의 경계 영역 보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a 및 도 8b는 마젠타 색상을 갖는 이미지의 경계 영역 보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화상형성장치에서 경계 영역 보정을 수행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경계 영역 보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경계 영역 보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그리고,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경계 영역 보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화상형성장치 110 : 경계 영역 검출부
120 : 경계 영역 구분부 130 : 색상 조절부
132 : 색상 강조부 134 : 경계 영역 확장부
136 : 색상 제거부 140 : 블랙 색상 판단부

Claims (17)

  1. 경계 영역 검출부가, 하프토닝된 이미지를 사용해 상기 하프토닝된 이미지로부터 경계 영역을 검출하는 단계;
    색상 조절부가, 상기 검출된 경계 영역 중, 복수의 색상이 오버랩된 경계 영역에 대하여는 블랙 색상의 존재 여부에 따라 색상을 조절하고, 하나의 색상이 존재하는 경계 영역에 대하여는 상기 하나의 색상의 경계 영역을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조절하는 단계는,
    상기 검출된 경계 영역을 상기 복수의 색상이 오버랩된 경계 영역과 상기 하나의 색상이 존재하는 경계 영역으로 구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계 영역 보정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하는 단계는,
    (a) 상기 복수의 색상이 오버랩된 경계 영역에 대하여 상기 경계 영역에 블랙 색상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b) 상기 복수의 색상이 오버랩된 경계 영역에 대하여, 상기 블랙 색상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블랙 색상을 강조하고, 상기 블랙 색상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상기 경계 영역에 존재하는 각 색상 영역을 외부로 확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계 영역 보정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블랙 색상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상기 블랙 색상을 제외 한 다른 색상을 제거하여 상기 블랙 색상을 강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계 영역 보정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블랙 색상을 제외한 다른 색상은 마젠타(Magenta), 및 시안(Cyan) 색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계 영역 보정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하는 단계는,
    상기 하나의 색상이 존재하는 경계 영역에 대하여 상기 경계 영역에 존재하는 색상을 강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계 영역 보정 방법.
  6. 하프토닝된 이미지로부터 검출된 경계 영역을 복수의 색상이 오버랩된 경계 영역과 하나의 색상이 존재하는 경계 영역으로 구분하는 경계영역 구분부; 및
    상기 복수의 색상이 오버랩된 경계 영역에 대하여는 블랙 색상의 존재 여부에 따라 색상을 조절하고, 하나의 색상이 존재하는 경계 영역에 대하여는 상기 하나의 색상의 경계 영역을 조절하는 색상 조절부;를 포함하되,
    상기 색상 조절부는 상기 복수의 색상이 오버랩된 경계 영역과 상기 하나의 색상의 경계 영역을 서로 다른 방식으로 색상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색상 조절부는,
    상기 복수의 색상이 오버랩된 경계 영역에 대하여, 상기 블랙 색상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상기 블랙 색상을 제외한 다른 색상을 제거하는 색상 제거부;
    상기 블랙 색상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상기 경계 영역에 존재하는 각 색상 영역을 외부로 확장하는 경계 영역 확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블랙 색상을 제외한 다른 색상은 마젠타(Magenta), 및 시안(Cyan) 색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색상 조절부는,
    상기 하나의 색상이 존재하는 경계 영역에 대하여 상기 경계 영역에 존재하는 색상을 강조하는 색상 강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색상이 오버랩된 경계 영역에 대하여 상기 경계 영역에 블랙 색상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블랙 색상 판단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1. 하프토닝된 이미지를 사용해 상기 하프토닝된 이미지의 경계 영역 중 복수의 색상이 오버랩된 경계 영역에 대하여는 블랙 색상의 존재 여부에 따라 색상을 조절하고, 하나의 색상이 존재하는 경계 영역에 대하여는 하나의 색상의 경계 영역을 조절하는 이미지 처리부; 및
    상기 색상 및 상기 경계 영역 중 하나가 조절된 하프토닝된 이미지를 인쇄하는 인쇄 엔진부;를 포함하되,
    상기 이미지 처리부는
    상기 경계 영역을 상기 복수의 색상이 오버랩된 경계 영역과 상기 하나의 색상이 존재하는 경계 영역으로 구분하고, 상기 구분한 각 경계 영역에서 상기 색상 및 상기 경계 영역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처리부는, 상기 복수의 색상이 오버랩된 경계 영역에 대하여, 상기 블랙 색상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상기 블랙 색상을 제외한 다른 색상을 제거하고, 상기 블랙 색상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경계 영역에 존재하는 각 색상 영역을 외부로 확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처리부는, 상기 하나의 색상이 존재하는 경계 영역에 대하여 상기 경계 영역에 존재하는 색상을 강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4. 하나의 색상이 존재하는 경계 영역과 구분되는 복수의 색상이 오버랩된 경계 영역에서 상기 복수의 색상이 교차되는 에러를 예견하는 예견부; 및
    상기 복수의 색상이 오버랩되는 경계 영역에서 적어도 하나의 색상 조절에 의해 상기 예견된 에러를 보정하는 보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예견부는 상기 경계 영역에서의 블랙 색상의 존재 여부에 기반하여 상기 에러를 예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6. 예견부가, 하나의 색상이 존재하는 경계 영역과 구분되는 복수의 색상이 오버랩된 경계 영역에서 상기 복수의 색상이 교차되는 에러를 예견하는 단계; 및
    보정부가, 상기 복수의 색상이 오버랩되는 경계 영역에서 적어도 하나의 색상 조절에 의해 상기 예견된 에러를 보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방법.
  17. 하나의 색상이 존재하는 경계 영역과 구분되는 복수의 색상이 오버랩된 경계 영역에서 상기 복수의 색상이 교차되는 에러를 예견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색상이 오버랩되는 경계 영역에서 적어도 하나의 색상 조절에 의해 상기 예견된 에러를 보정하는 단계;를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KR1020080003382A 2007-07-03 2008-01-11 경계 영역 보정 방법 및 그를 이용한 화상형성장치와 화상형성 방법 그리고 이를 구현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KR10128708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066580 2007-07-03
KR1020070066580 2007-07-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4409A KR20090004409A (ko) 2009-01-12
KR101287084B1 true KR101287084B1 (ko) 2013-07-17

Family

ID=402215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3382A KR101287084B1 (ko) 2007-07-03 2008-01-11 경계 영역 보정 방법 및 그를 이용한 화상형성장치와 화상형성 방법 그리고 이를 구현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090010562A1 (ko)
KR (1) KR10128708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2092B1 (ko) 2010-10-05 2018-10-26 삼성전자 주식회사 액체 렌즈
KR101912093B1 (ko) 2010-10-29 2018-10-26 삼성전자 주식회사 광학 장치
KR102057197B1 (ko) 2015-02-17 2019-12-18 삼성전자주식회사 하이브리드 해프토닝 개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04906A (ja) * 1996-09-27 1998-04-24 Xerox Corp ハローの視覚的作用を軽減する方法
KR20040089513A (ko) * 2003-04-11 2004-10-21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화상 처리 장치, 묘화 데이터 처리 방법 및 이 방법을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JP2006208724A (ja) 2005-01-27 2006-08-10 Ricoh Co Ltd 印刷装置
US20070030503A1 (en) 2005-08-02 2007-02-08 Kazunari Tonami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 product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9026159T2 (de) * 1989-08-02 1996-10-17 Canon Kk Bildverarbeitungsgerät
JPH0372778A (ja) * 1989-08-11 1991-03-27 Fuji Xerox Co Ltd 画像処理装置の領域識別方式
US6064494A (en) * 1994-11-18 2000-05-16 Minolta Co., Ltd. Image processor
US6449060B1 (en) * 1996-07-22 2002-09-10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JP3635194B2 (ja) * 1997-09-09 2005-04-06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2次微分値画像の再構成処理方法およびこの再構成処理方法に基づく画像の輪郭強調処理方法ならびにこの輪郭強調処理方法に基づく記録を行う熱転写プリンタ
US6804417B1 (en) * 2000-03-31 2004-10-12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ixel depletion technique
US6867884B1 (en) * 2000-07-07 2005-03-15 Kodak Polychrome Graphics, Llc Halftone dot placement for multi-color images
US7639392B2 (en) * 2003-03-28 2009-12-29 Infoprint Solutions Company, Llc Methods, systems, and media to enhance image processing in a color reprographic system
US7756353B2 (en) * 2005-12-16 2010-07-13 Primax Electronics Ltd. Edge enhancement method for halftone image
US20070139670A1 (en) * 2005-12-21 2007-06-21 Wen-Ning Kuo Color image edge enhancement method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04906A (ja) * 1996-09-27 1998-04-24 Xerox Corp ハローの視覚的作用を軽減する方法
KR20040089513A (ko) * 2003-04-11 2004-10-21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화상 처리 장치, 묘화 데이터 처리 방법 및 이 방법을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JP2006208724A (ja) 2005-01-27 2006-08-10 Ricoh Co Ltd 印刷装置
US20070030503A1 (en) 2005-08-02 2007-02-08 Kazunari Tonami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 produc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4409A (ko) 2009-01-12
US20090010562A1 (en) 2009-0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14586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for controlling a fixing temperature
JP5803268B2 (ja)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4966787B2 (ja) カラー画像形成装置及びカラー画像補正方法
KR102056967B1 (ko) 화상 형성 장치, 화상 형성 장치의 제어 방법, 화상 처리 시스템, 및 프로그램
JP6128827B2 (ja) 画像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KR101287084B1 (ko) 경계 영역 보정 방법 및 그를 이용한 화상형성장치와 화상형성 방법 그리고 이를 구현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JP3613493B2 (ja) カラー画像形成装置及びカラー画像形成方法
US8830524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image forming method, and program
JP4485430B2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その方法をコンピュータに実行させるプログラム
JP2007020111A (ja) 画像形成装置および画像濃度補正方法
JP2016139086A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404340B2 (ja)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6183135B2 (ja) 検査装置、画像形成装置、検査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6326768B2 (ja) 画像検査装置、画像検査システム及び画像検査方法
US10578994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that determines a fixing temperature for a fixing operation based on toner amounts of blocks of image data and related image form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US8711431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acquiring image processing time detected when the acquired time is longer that the previously set time and to correct output image density using generated patch pattern
JP2010192962A (ja) 画像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9305247B2 (en) Image forming device that performs misregistration correction to correct positions of color images
JP6394993B2 (ja) 画像形成装置およびトナー消費量算出方法
JP3868441B2 (ja) カラー画像形成装置及びカラー画像形成方法
KR20080019444A (ko)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색상 보정 방법
US8411337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method
JP6565463B2 (ja) 画像処理装置、画像形成装置、およ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JP2007174050A (ja) 画像処理装置
JP2013179511A (ja) 検品装置、検品方法、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