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3177B1 - 입력 장치 - Google Patents

입력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3177B1
KR101283177B1 KR1020117012990A KR20117012990A KR101283177B1 KR 101283177 B1 KR101283177 B1 KR 101283177B1 KR 1020117012990 A KR1020117012990 A KR 1020117012990A KR 20117012990 A KR20117012990 A KR 20117012990A KR 101283177 B1 KR101283177 B1 KR 1012831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load
user
unit
input obj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129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82613A (ko
Inventor
도모타케 아오노
Original Assignee
쿄세라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쿄세라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쿄세라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100826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26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31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31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6Input arrangements with force or tactile feedback as computer generated output to the u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1
    • G06F2203/014Force feedback applied to GU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5Pressure sensors for measuring the pressure or force exerted on the touch surface without providing the touch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입력 장치(10)는 입력 오브젝트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32), 입력 오브젝트에 대한 가압 입력을 받아들이기 위한 입력부(34), 입력부(34)에 대한 가압 하중을 검출하기 위한 하중 검출부(40), 및 하중 검출부(40)에 의해 검출된 가압 하중이 하중 기준을 만족하는 경우 가압 입력을 받아들이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20)를 갖는다. 제어부(20)는, 입력 오브젝트에 대한 가압 입력을 받아들이기 위한 하중 기준이 해당 입력 오브젝트에 인접한 다른 입력 오브젝트에 대한 가압 입력을 받아들이기 위한 하중 기준과 다르게 되도록 제어한다.

Description

입력 장치{INPUT DEVICE}
관련 출원에 대한 상호 참조
본 출원은, 2008년 12월 25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08-331056호의 우선권을 주장하는 것이며, 이 일본 특허출원의 개시 전체는 본 명세서에서 참조로서 인용된다.
본 발명은, 입력 장치에 관한 것이며, 더 상세하게는, 터치 패널을 갖는 입력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휴대전화와 같은 휴대단말에 대해, 유저가 단말의 조작을 실시할 때에 사용하는 입력 장치는, 각 단말의 기능이나 용도에 따라 여러 가지가 개발되어 왔다. 많은 경우, 입력 장치가 본체의 표면에 미리 배치된 기계적인 키 또는 버튼을 가져, 유저가 손가락 등으로 키를 직접 누르는 것에 의해, 입력 조작을 실시하게 된다.
이러한 단말에서의 입력 장치의 기계적인 키(예를 들면 숫자 패드)는, 해당 단말의 주요한 용도에 맞도록 보통은 미리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일단 규정되면, 키의 물리적 배치를 나중에 변경할 수 없다.
최근에, 소형 휴대단말에 다양한 기능이 통합되고 있다. 예컨대, 휴대전화는 디지탈 카메라 기능 및 음악 재생 기능을 갖는다. 휴대전화와 같이, 단말의 주요한 용도를 위한 기능 이외에 보조적인 기능이 많이 탑재되고 있는 것이나,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휴대 정보 단말)와 같이, 1개의 단말로 스케줄 관리, 주소록 등, 주요한 용도를 복수 가지는 휴대단말이 있다. 이러한 단말에 대해서, 키의 배치가 고정되면, 특정 기능을 사용할 경우에는, 유저에게 상당한 불편함을 느끼게 할 수 있다.
그러한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서, 표시부를 구성하는 액정 표시 화면의 전면에 투명한 입력부를 겹쳐지게 배치하도록 설계된 터치 패널을 갖는 입력 장치가 개시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그러한 터치 패널을 갖는 입력 장치는, 일반적으로, 터치 패널의 표시 화면상에, 조작 키와 버튼의 그래픽 화상(이하, "입력 오브젝트"라고 함)을 표시한다. 표시 화면상에 표시된 입력 오브젝트를 유저가 누르면, 그 위치에 대응하는 터치 패널의 입력부가 입력을 받아들이게 되어 있다.
상기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접이식 휴대전화는, 터치 패널의 표시 화면상에 임의로 배치된 입력 오브젝트를 표시하여, 유저의 조작 입력을 받아들일 수가 있어 자유로운 키 등의 배치를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 휴대전화기는, 단말의 각 기능을 바꿀 때마다, 그 기능에 맞도록 입력 오브젝트의 배치를 원하는 대로 변경할 수 있으므로, 지극히 양호한 조작성을 제공할 수가 있다. 예를 들면, 유저가 휴대전화에 탑재되고 있는 디지털카메라 기능을 사용할 때는, 이 휴대전화기는, 터치 패널 상에 디지털카메라용의 조작부를 구성하는 입력 오브젝트를 표시해 조작 입력을 받아들일 수가 있다. 다른 한편, 유저가 이 휴대전화를 이용해 메시지에서 문자를 입력할 때는, 이 휴대전화는, 터치 패널 상에 퍼스널 컴퓨터(PC)와 같은 키보드를 구성하는 입력 오브젝트를 표시해 입력을 받아들일 수가 있다. 이와 같이, 이 휴대전화기는, 터치 패널을 갖추는 것으로, 1개의 입력 장치를, 복수의 기능에 각각 최적화시켜 조작 입력을 받아들일 수가 있다.
또, 터치 패널을 갖는 입력 장치는, 표시부 상에 표시된 입력 오브젝트에 유저가 손가락 등으로 직접 접촉하는(터치하는) 입력 방식에 의해 입력을 받아들이기 때문에, 유저는 지극히 직감적인 조작을 실시할 수가 있다. 즉, 유저는, 터치 패널의 화면에 표시된 안내에 따라, 화면에 표시된 입력 오브젝트에 손가락 등으로 직접 터치하는 것으로 조작을 실시한다. 이 때문에, 유저는, 화면에 표시된 안내에 따라 직감적인 조작에 의해 매우 용이하게 단말을 동작시킬 수가 있어 결과적으로 오조작을 저감시키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최근에, 이와 같이, 터치 패널을 갖추는 휴대단말을 이용해, 현재, 유저는, 통상의 휴대전화에 의한 통화나 메시지 작성할 때의 조작 입력뿐만 아니라, 인터넷 및 웹사이트를 이용해 전달되는 콘텐츠를 시청(브라우즈)할 때의 조작 입력을 실시할 수도 있다. 또, 이러한 터치 패널을 갖는 입력 장치는, 휴대단말뿐만 아니라, 예를 들면 은행 등의 ATM(현금 자동 입출금기)나, 역의 매표기에 일반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또한, 패스트푸드 점등의 점포에서는, 종업원이 고객의 주문을 처리할 때, 상술한 것 같은 터치 패널을 가지는 입력 장치를 갖춘 단말장치를 이용해 업무를 하고 있다. 입력 장치에 터치 패널을 이용할 경우, 키보드와 같은 기계식의 버튼과 키는 더 이상 필수적인 요소는 아니다. 따라서, 단말장치에 기계식의 버튼 등을 배치하는 영역이 적어도 되기 때문에, 단말장치 자체를 전체적으로 소형화할 수가 있다. 이 때문에, 점포나 역 구내 등에 둘 수 있는 단말장치의 설치 장소의 자유도를 높일 수도 있다.
또, 입력 장치에 터치 패널을 이용하면, 종래 일반적인 기기의 구성과 같이, 각종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유저의 조작 입력을 받아들이는 입력부를, 별개의 기능부로서 구성할 필요는 없고, 정보 표시부와 입력부를 동일한 화면상에 구성할 수가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터치 패널상에 키보드의 키를 구성하는 입력 오브젝트를 표시시켜 유저의 입력을 받아들여 또한, 이 입력 결과를, 해당 터치 패널 상의 키보드의 곁에 표시시킬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유저는, 동일한 화면상에, 입력 조작과 그 입력 결과의 확인을 실시할 수가 있다.
이상 설명한 것처럼, 터치 패널은, 입력부와 표시부를 동일 화면상에 구성할 수가 있어 또한 한편 그 조작 입력을 직관적으로 실시할 수가 있다고 하는 장점이 있다. 이 때문에, 이러한 입력 장치를 갖는 단말장치의 수는 더욱더 증가하고 있다.
그렇지만, 터치 패널을 가지는 입력 장치에서는, 입력부와 표시부를 동일 화면상에 구성해, 직관적인 조작 입력을 받아들이기 때문에 생기는 특유의 문제점도 있다. 즉, 터치 패널은, 입력 오브젝트를 자유롭게 배치해 표시부를 구성할 수가 있지만, 통상은 입력부의 표면 전체가 평탄하기 때문에, 입력 오브젝트와 다른 영역과의 경계를, 유저가 촉각에 의해 판정하는 것은 곤란하다. 또, 터치 패널에 대해서 입력을 실시할 때, 유저는 스스로의 손가락이나 스타일러스(stylus) 등으로 입력부에 직접 접하기 때문에, 가압 입력을 실시하는 순간은 입력 오브젝트가 숨어 버려, 유저는 조작 입력을 받아들이는 입력 오브젝트를 시인할 수 없다.
따라서, 유저는, 손가락이 입력 오브젝트를 터치하고 있는지를 손가락의 감촉으로 판단할 수 없기 때문에, 의도하지 않은 위치를 눌러 버릴 우려가 항상 있다. 즉, 의도하는 위치와 미묘하게 다른 위치를 눌러 버려, 입력하려고 하는 입력 오브젝트로부터 빗나간 위치를 눌러 버리거나 입력하려고 하는 입력 오브젝트에 인접한 다른 입력 오브젝트를 눌러 버리는 위험성이 있다. 입력하려고 하는 입력 오브젝트를 손가락으로 누르려면, 해당 입력 오브젝트가 손가락에 의해 숨어 버리기 때문에, 의도하지 않은 입력을 할 수 있는 위험성이 더 높아진다.
또, 유저가 의도하지 않는 입력을 입력 장치에 받아들이게 되면, 이것에 근거해 유저가 의도하지 않는 동작이 개시되는 경우가 있다. 그러한 경우, 유저는, 해당 의도하지 않는 동작을 정지하기 위한(취소하기 위한) 추가 조작을 실시하지 않으면 안 된다. 또한, 해당 의도하지 않는 동작으로 인해 실행 중이던 중요한 처리나 동작이 정지되는 경우, 이것은 회복 불가능한 상황을 초래할 수 도 있다. 따라서, 유저의 의도하지 않는 입력에 근거해 의도하지 않는 동작이 개시될 위험을 가능한 줄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한 사정에 대처할 수 있는 기술로서, 터치 패널에 대한 입력의 가압력을 검출하는 수단을 마련해 유저의 터치 패널에 대한 입력의 위치 및 가압력에 따라, 터치 패널 표면의 높낮이를 변화시키는 기구를 갖추는 입력 장치가 제안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2 참조).
[선행 기술 문헌]
[특허문헌]
특허문헌 1: 일본국특허공개 제2006-311224호
특허문헌 2: 일본특허 제4039344호
상기 특허문헌 2에 기재된 입력 장치에 의하면, 터치 패널의 표시부에 표시된 입력 오브젝트에 대한 유저의 입력이 있을 경우, 터치 패널의 높이를 변화시키는 것으로, 유저가 입력 오브젝트에 터치하고 있음을 나타낼 수가 있다. 즉, 이 입력 장치는, 예를 들면, 유저가 입력 오브젝트에 터치하는 경우, 입력 오브젝트 이외의 개소를 터치하는 경우의 레벨보다 터치 패널 표면을 더 높임으로써, 유저가 터치한 위치가 입력 오브젝트인 것을 나타낸다. 또한, 이 입력 장치는, 터치 패널의 입력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위치에 유저가 가볍게 터치했던 것이 인식되었을 경우, 입력 오브젝트를 확대 표시해 보기 쉽게 한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2의 도 7 및 도 10등 참조). 이러한 여러 가지의 조치를 강구하는 것으로, 특허문헌 2에 기재된 입력 장치는, 유저의 오조작을 피할 수 있도록 입력을 지원하고 있다.
이 입력 장치에 의하면, 유저는, 손가락이 터치하고 있는 터치 패널의 위치에 입력 오브젝트가 존재하는지 아닌지를, 손가락의 감촉으로 판별할 수가 있다. 또, 유저가 터치하고 있는 입력 오브젝트를 확대 표시할 수 있으므로, 이 입력 장치는 입력 오브젝트를 터치하고 있는 손가락으로 숨겨진 부분을 상대적으로 작게 할 수가 있다. 따라서, 이 입력 장치에 의하면, 유저의 의도하지 않는 입력을 받아들일 위험을 줄일 수 있다.
그렇지만, 이러한 기술을, 예를 들면 휴대전화와 같은 소형의 휴대단말에 적용할 경우에 단점들이 있다. 즉, 상술한 것 같은 터치 패널 표면의 높이를 변화시키는 메커니즘은, 해당 터치 패널 표면의 변화폭보다 상당히 큰 폭을 필요로 한다. 이것은, 터치 패널의 높이를 변화시키는 기계적인 구동장치가 적어도 어느 정도의 크기를 필요로 하며, 터치 패널 전체의 높이를 변화시키는 공간을 확보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있다. 최근의 휴대전화기의 개발에서는, 가능한 소형화가 요구되고 있어 터치 패널 표면의 높이를 변화시키는 그러한 메커니즘을 휴대전화기의 본체에 탑재할 경우에는, 기술적으로 곤란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 휴대전화와 같은 소형의 휴대단말은, 은행의 ATM이나 역의 매표기 등 대형의 단말의 경우와 달리, 표시부를 겸하는 터치 패널 그 자체의 크기도 상당한 제약을 받기 때문에, 입력 오브젝트를 표시하는 표시부도 필연적으로 소형으로 된다. 한편, 터치 패널에 대한 유저의 각종 입력을 받아들이기 위해, 소형의 휴대단말이어도, 입력 오브젝트도 각종의 것을 다수 표시할 필요도 있다. 그 때문에, 유저가 입력 오브젝트에 터치한 경우 입력 오브젝트를 확대 표시하는 일도, 휴대단말의 경우에는 곤란하다고 생각된다.
또, 이와 같이 면적이 한정된 터치 패널에 다수의 입력 오브젝트를 표시하는 경우,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터치 패널의 높이를 변화시켜, 유저가 터치하고 있는 위치가 입력 오브젝트인지 아닌지를 나타내는 일도 실제로 곤란하다고 생각된다. 특히, 크기가 제한된 다수의 입력 오브젝트를 인접한 위치에 배치할 경우, 이러한 입력 오브젝트 간의 간격은 거의, 혹은 전혀 존재하지 않는다. 그 때문에, 이러한 각 입력 오브젝트의 가장자리 부분(키의 가장자리에 상당하는 부분)을, 터치 패널의 높이를 변화시키는 것으로 유저에게 인식시키는 것은 매우 곤란하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휴대전화와 같은 소형 휴대단말의 터치 패널 상에, 다수의 소형 입력 오브젝트를 인접한 위치에 표시하는 경우, 상기 특허문헌 2에 기재된 방식을 적용하는 것으로서 유저의 오입력을 저감시키는 것은 곤란하다고 생각된다.
또, 휴대전화와 같은 소형의 휴대단말의 경우, 면적이 한정된 터치 패널에 다수의 입력 오브젝트를 표시할 뿐만 아니라, 유저가, 걸으면서 또는 다른 동작을 실시하면서 유저의 입력을 받아들이는 특수한 사정도 있다. 이와 같이 유저가 입력부를 주시하고 있지않은 것 같은 경우여도, 다수의 입력 오브젝트에 대한 입력을 유저의 의도대로 받아들여, 유저의 오조작을 회피하는 것을 지원하는 입력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그러한 사정을 고려한 본 발명의 목적은, 예를 들면 휴대단말에 탑재되는 터치 패널 상의 복수의 인접한 입력 오브젝트에 대한 가압 입력을 받아들일 때에 유저의 오조작을 저감할 수 있는 입력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따른 입력 장치는:
입력 오브젝트를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는 상기 입력 오브젝트에 대한 가압 입력을 받아들이는 입력부;
상기 입력부에 대한 가압 하중을 검출하는 하중 검출부;
상기 하중 검출부에 의해 검출되는 가압 하중이 하중 기준을 만족할 경우, 상기 가압 입력을 받아들이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 오브젝트에 대한 가압 입력을 받아들이는 하중 기준이 해당 입력 오브젝트에 인접한 다른 입력 오브젝트에 대한 가압 입력을 받아들이는 하중 기준과 다르도록 제어한다.
본 발명의 제 2 관점은, 제 1 관점에 따른 입력 장치가 상기 입력부를 진동시키는 진동부를 또한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하중 검출부에 의해 검출되는 가압 하중이 하중 기준을 만족할 경우, 상기 진동부를 구동하도록 제어한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3 관점은, 제 2 관점에 따른 입력 장치에 대해,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하중 검출부에 의해 검출되는 가압 하중이 하중 기준을 만족한 후에, 상기 하중 검출부에 의해 검출되는 가압 하중이 해당 하중 기준을 만족하지 않게 될 경우에도 상기 진동부를 재차 구동하도록 제어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4 관점은, 제 1 내지 제 3 관점 중 어느 한 관점에 따른 입력 장치에 대해,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하중 검출부에 의해 검출되는 가압 하중이 하중 기준을 만족한 후, 상기 하중 검출부에 의해 검출되는 가압 하중이 해당 하중 기준을 만족하지 않게 될 경우에 상기 입력부가 받아들이고 있는 상기 입력 오브젝트에 대한 가압 입력을 확정하도록 제어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입력 장치를 갖추는 휴대전화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휴대전화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에 나타낸 휴대전화의 터치 패널, 하중 검출부, 및 진동부의 실장 구조의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유저가 터치 패널의 입력부를 누를 때의, 하중 검출부가 검출하는 하중(가압력)의 시간 변화의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휴대전화의 진동부가 발생시키는 진동의 파형의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6은, 본 실시형태에 의한 입력 오브젝트의 하중 기준 설정 처리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실시형태에 의한 입력 오브젝트의 하중 기준 설정 처리에 근거하는 표시부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8은, 본 실시형태에 의한 입력 오브젝트의 하중 기준 설정 처리에 근거하는 표시부의 다른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9는, 본 실시형태에 의한 입력 오브젝트의 가압 입력 접수 처리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실시형태에 의한 하이라이트 표시 및 가압 표시를 설명하는 도이다.
도 11은, 입력 오브젝트의 가압 입력 접수 처리에 대해, 하중 검출부가 검출하는 하중(가압력)의 시간 변화의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해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형태에서는, 본 발명의 입력 장치를 갖추는 휴대단말의 일례로서 휴대전화를 상정해 설명한다. 그렇지만, 본 발명의 입력 장치를 적용할 수 있는 휴대단말은 휴대전화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PDA 등 터치 패널을 가지는 임의의 휴대단말 등에 적용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터치 패널을 가지는 휴대단말로 한정되는 것도 아니고, 상술한 것 같은 은행의 ATM이나 역의 매표기 등, 터치 패널을 가지는 임의의 입력 단말에도 적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입력 장치를 갖추는 휴대전화(10)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외관 사시도이다. 이 휴대전화(10)는, 액정 디스플레이(LCD) 또는 유기 EL 디스플레이 등에 여러 가지의 정보 및 키와 버튼의 그래픽 화상을 표시하며, 단말 본체의 전면에, 그 일부가 도면에 표시된 표시부(32)를 갖추고 있다. 또, 휴대전화(10)는, 표시부(32)의 전면에, 유저의 손가락이나 스타일러스에 의한 입력을 받아들이는 매트릭스 스위치 등으로 구성한 입력부(34)를 갖는다. 본 실시형태에서, 터치 패널(30)은 표시부(32)와 입력부(34)를 포함한다. 휴대전화(10)는 또한, 마이크 등에 의해 구성되는 음성 입력부(70), 스피커 등에 의해 구성되는 음성 출력부(80) 및, 적어도 1개의 기계적인 키에 의해 구성되는 키 입력부(90)를 더 포함한다.
그 밖에도, 휴대전화(10)는, 필요한 기능에 따라, 디지탈 카메라 기능부, 원세그(One-seg) 방송용 튜너, 적외선 통신 기능부 등의 근거리 통신부, 및 각종 인터페이스 등을 갖추는 경우도 있지만, 이러한 상세한 것에 대하여는 도시 및 설명을 생략한다.
도 2는, 휴대전화(10)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가리키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휴대전화(10)는, 제어부(20), 터치 패널(30), 하중 검출부(40), 진동부(50), 기억부(60), 음성 입력부(70), 음성 출력부(80), 및 키 입력부(90)를 갖추고 있다. 제어부(20)는, 휴대단말(10)의 각 기능 블록뿐만 아니라 휴대단말(10) 전체를 제어 및 관리한다. 터치 패널(30)은, 상술한 것처럼, 유저로부터의 입력을 받아들이는 입력부(34)를, 표시부(32)의 전면에 중첩시켜 배치하는 것으로써 구성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터치 패널(30)은, 유저로부터의 조작 입력을 받아들임과 동시에, 각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하, 줄여서 "애플리케이션"이라고 한다)에 따른 입력 결과 등 각종 정보의 표시를 실시한다.
터치 패널(30)의 입력부(34)는, 유저의 손가락이나 스타일러스 등의 접촉(누름)에 의한 입력을 검출하는 것으로써, 해당 접촉에 의한 입력이 검출된 위치에 대응하는 신호를 출력한다. 이 터치 패널(30)은, 예를 들면 저항막 방식이나 정전 용량 방식 등의 공지의 것을 이용해 구성한다. 표시부(32)는, 각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표시를 실시하는 것 외에, 입력부(34)에의 유저의 조작 입력을 받아들이는 각종 키와 버튼으로 구성하는 유저 인터페이스의 그래픽 화상을 소정의 표시 영역에 표시한다. 본 실시형태에 대해서는, 터치 패널(30)의 입력부(34)에 대한 유저의 조작 입력을 받아들이기 위해, 표시부(32)에 표시하는 각종 키 및 버튼의 화상을 "입력 오브젝트"라고 한다.
하중 검출부(40)는 예를 들면 스트레인 게이지 센서일 수 있어, 터치 패널(30)(또는 입력부(34))에 대한 가압 하중을 검출할 수 있다. 진동부(50)는 예를 들면, 압전 소자 또는 초음파 변환기일 수 있어, 터치 패널(30)을 진동시킨다. 또한, 하중 검출부(40), 진동부(50) 및 터치 패널(30)의 구성상의 관계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기억부(60)는, 각종 애플리케이션 및 입력된 각종 정보 등을 기억함과 함께, 워크메모리 등으로 해서도 기능한다. 또, 기억부(60)는, 각 애플리케이션에 응해 사용되는 각종의 입력 오브젝트를 포함한 복수의 템플릿 등도 기억한다.
음성 입력부(70)는, 유저의 음성 등을 입력 신호로 변환해 제어부(20)에 전달한다. 음성 출력부(80)는, 제어부(20)로부터 전달된 음성 신호를 음성으로 변환한다. 키 입력부(90)는, 유저에 의한 조작 입력에 대응하는 신호를 제어부(20)에 송신한다. 키 입력부(90)를 구성하는 각종 키는, 사용하는 애플리케이션에 따라, 그 용도 및 기능이 규정된다.
또한, 휴대전화(10)는 또한, 음성 통화 및 전자 메일의 데이터 등 각종 정보를 인터넷이나 무선 통신 등을 개입시켜 기지국으로/으로부터 송수신하는 안테나 및 무선 통신부 등 통상의 휴대전화로서의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필요한 각종 기능부도 갖추고 있다. 그렇지만, 그러한 기능부는 공지기술의 것과 특별히 차별화되는 점이 없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다음으로, 하중 검출부(40), 진동부(50) 및 터치 패널(30) 사이의 구성상의 관계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한 휴대전화(10)의 터치 패널(30), 하중 검출부(40), 및 진동부(50)의 실장 구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의 (A)는 주요부 단면도이며, 도 3의 (B)는 주요부 평면도이다.
터치 패널(30)에 각종의 입력 오브젝트를 표시하는 표시부(32)는, 하우징(12) 내에 하우징된다. 본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입력 장치는, 표시부(32) 상에, 탄성 부재로 이루어지는 절연체(36)를 개입시켜, 입력부(34)를 지지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입력 장치는, 표시부(32) 및 입력부(34)가 평면에서는 직사각형이다. 도 3에서 터치 패널(30)은, 정방형이지만, 터치 패널(30)을 실장하는 휴대단말의 사양에 따라 직사각형이라고 해도 좋다. 또, 이 입력 장치는, 입력부(34)를, 도 3의 (B)에 가상선으로 가리키는 표시부(32)의 표시 영역(A) 외부의 4개의 구석에 배치한 절연체(36)를 개입시켜, 표시부(32)에서 지지한다.
또, 이 입력 장치는, 하우징(12)에, 표시부(32)의 표시 영역 외부의 입력부(34)의 표면 영역을 덮도록 상부 커버(14)를 마련해 둔다. 이 상부 커버(14)와 입력부(34) 사이에, 탄성 부재로 이루어지는 절연체(16)를 배치한다.
또한, 입력부(34)는, 표면, 즉 조작 입력을 받아들이는 면이 투명 필름으로 형성되어 이면이 유리로 형성된다. 이 입력부(34)는, 조작면이 눌러지면, 가압력에 비례하여 표면의 투명 필름이 약간 휘는(스트레인되는) 구조의 것을 이용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입력 장치는, 입력부(34)의 표면의 투명 필름상에서, 상부 커버(14)로 덮이는 각 변의 근방에, 입력부(34)에 가해진 가압 하중(가압력)을 검출하기 위한 스트레인 게이지 센서를 접착 등에 의해 마련한다. 또, 이 입력 장치는, 입력부(34)의 이면의 유리면에, 대향하는 2개의 변 각각 근방에, 입력부(34)를 진동시키기 위한 압전 소자 또는 초음파 변환기를, 각각 접착 등에 의해 마련한다. 즉, 도 3에 나타내는 입력 장치에서, 도 2에 나타낸 하중 검출부(40) 및 진동부(50)는 각각 4개의 스트레인 게이지 센서와 두 개의 진동자를 포함한다. 또한, 도 3의 (B)는, 도 3의 (A)에 나타낸 하우징(12), 상부 커버(14), 및 절연체(16)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입력 장치는, 제어부(20)에 대해, 입력부(34)로 검출되는 입력을 감시함과 함께, 하중 검출부(40)로 검출되는 가압 하중을 감시한다. 제어부(20)는, 입력부(34)로 검출된 가압 입력이 표시부(32)에 표시된 입력 오브젝트에 대한 입력이고, 하중 검출부(40)에 의해 검출되는 가압 하중이, 해당 입력을 받아들일 때의 소정의 기준을 만족할 경우, 해당 입력을 통상 입력으로서 받아들인다. 이하, 이러한 "입력을 받아들일 때의 기준"을, 단지 "하중 기준"이라고 한다. 또, 입력이 하중 기준을 만족할 때, 제어부(20)는, 진동부(50)에 진동을 발생시켜, 입력부(34)를 누르고 있는 유저의 손가락 혹은 스타일러스 등의 오브젝트에 대해서 진동을 전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하중 검출부(40)는, 예를 들면, 4개의 스트레인 게이지 센서의 출력의 평균 출력치로부터 하중을 검출한다. 또, 진동부(50)는, 예를 들면, 2개의 초음파 변환기를 동상으로 구동한다. 이러한, 하중 기준이 만족될 때 발생하는 진동부(50)의 진동에 의해, 유저는, 스스로의 가압 입력을 적절히 받아들임을 인식할 수가 있다.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에 의한, 입력 오브젝트의 하중 기준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유저가 터치 패널(30)의 입력부(34)를 누르는 동작에 의해 조작 입력을 실시할 때의, 하중 검출부(40)가 검출하는 가압 하중(가압력)의 시간 변화의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일반적으로, 유저는, 터치 패널(30)의 입력부(34)를 누르는 동작(가압 입력)을 실시할 때, 입력부(34)에 터치하고 나서, 입력을 받아들인다고 판단할 수 있는 시점까지는, 입력부(34)에 대한 가압력을 계속 증대시킨다(즉, 유저는 입력부(34)를 누르는 동작을 실시한다). 또, 유저는, 입력을 받아들인다고 판단한 시점으로부터는, 입력부(34)에 대한 가압력을 감소시킨다(즉, 입력부(34)로부터 손가락 등을 떼어 놓으려고 하는 동작을 실시한다). 따라서, 하중 검출부(40)가 검출하는 하중은, 도 4에 나타내는 곡선과 같이,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시간의 경과에 따라 처음은 위쪽으로 증가한 후, 아래쪽으로 감소한다.
이하, 입력 오브젝트의 하중 기준 설정 처리를 준비하는 초기설정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입력 오브젝트의 하중 기준 설정 처리를 실시하는 전제로서 우선, 표시부(32)에 표시되고 있는 입력 오브젝트에 대한 통상의 조작 입력으로서 입력부(34)에 입력된다고 판정하기 위한 하중 기준(P1)을 설정한다. 이때, 하중 기준(P1)은, 유저가 표시부(32)에 대해서 통상의 조작 입력을 실시할 때의 통상의 가압력에 근거해, 제어부(20)가 설정을 실시한다. 이 설정에 근거해, 유저가 통상의 조작 입력을 실시할 때의 통상의 가압력으로서 P1(A1)을 넘는 가압 하중이 하중 검출부(40)에 의해 검출되는 경우, 제어부(20)는, 표시부(32)에 표시되고 있는 입력 오브젝트가 눌러졌다고 판정한다. 또, (A1의 뒤) 눌러진 입력 오브젝트에 대해서 P1 아래로(A2) 강하한 가압 하중이 하중 검출부(40)에 의해 검출되었을 경우, 제어부(20)는, 가압 중의 입력 오브젝트에 대한 조작 입력이 완료(확정)했다고 판정한다.
이와 같이, 하중 기준(P1)을 설정하는 것으로써, 유저가 입력부(34)에 매우 가볍게 터치한 것만으로 입력으로서 판정해 버리는 것을 막아, 이것에 의해, 유저의 의도하지 않는 입력을 회피할 수가 있다.
또, 이와 같이 하중 기준(P1)을 설정하는 것으로써, 입력부(34) 상에서 동일 위치(동일 입력 오브젝트)를 연속해 여러 차례 누르는 연타 입력을 실시하는 경우, 유저는, 1회의 입력마다 입력부(34)로부터 손가락을 떼어 놓는 일 없이 연타 입력을 실시할 수가 있다. 즉, 입력부(34) 상에 유저의 손가락이 터치한 채로 있어도, 유저는, 손가락의 가압력을 하중 기준(P1)을 넘어 상승 및 하강하게 조정함으로써, 해당 입력을 연타 입력으로서 입력부(34)에 인식시킬 수가 있다. 이러한 입력 방법은, 유저 손가락의 작은 스트로크만을 필요로 하므로, 유저는, 이 입력 방법에 익숙하게 됨으로써, 보다 적은 움직임으로 재빠르고 편하게 입력을 실시할 수가 있다.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어부(20)는, 유저가 입력부(34)에 대해서 통상의 조작 입력을 실시할 때의 통상의 가압력보다 큰(강하다) 가압력에 근거해, 하중 기준(P2)을 설정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와 같이 설정한 하중 기준(P2)을 넘는 가압을, 상술한 하중 기준(P1)인 입력 오브젝트와 인접해 있는 다른 입력 오브젝트에 대한 입력으로서 받아들인다. 이 때문에, 하중 기준(P1)의 입력 오브젝트에 인접한 다른 입력 오브젝트에 대해서, P1보다 큰 가압력 하중 기준(P2(B2))을 넘는 가압 하중이 하중 검출부(40)에 의해 검출된 경우, 제어부(20)는, 이 인접한 입력 오브젝트가 눌려진다고 판정한다. 또, (B1의 뒤) 눌려진 해당 인접한 입력 오브젝트에 대해서 P2(B2) 아래로 강하하는 가압 하중이 하중 검출부(40)에 의해 검출되었을 경우, 제어부(20)는, 가압중의 입력 오브젝트에 대한 조작 입력이 완료(확정)했다고 판정한다. 즉, 제어부(20)는, 표시부(32)에 표시되고 있는 입력 오브젝트에 대한 가압 입력을 받아들이는 하중 기준(P1)보다, 해당 입력 오브젝트에 인접해 표시된 다른 입력 오브젝트에 대한 가압 입력을 받아들이는 하중 기준을 높게 제어한다.
따라서, 하중 기준(P1)의 입력 오브젝트에 인접해 있는 다른 입력 오브젝트에 대해서, 유저가 통상의 조작 입력을 실시할 때의 통상의(P2 이하의) 가압력으로 눌러도, 제어부(20)는, 이 가압 입력을, 이 인접한 입력 오브젝트에 대한 입력으로서 받아들이지 않는다. 그러나 유저가 통상의 조작 입력을 실시할 때의 통상의 가압력(P1)보다 큰 P2를 넘는 가압력으로 눌렀을 경우에만, 제어부(20)는, 이 가압 입력을, 이 입력 오브젝트에 대한 입력으로서 받아들인다.
또한, 상술의 설명에서는, 예로서 하중 기준(P1, P2)을 "가압 하중의 역치"로서 한정하여 하중 기준의 값을 넘었을 경우에 "하중 기준이 만족된다"라고 판정하는 데 사용된다. 이러한 방식의 판정이 다음의 설명에 적용될지라도, "하중 기준이 만족된다"라고 판정할 수 있는 다른 조건이 또한 있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입력 오브젝트에 대한 유저의 가압 입력에 의한 가압 하중이 상기 하중 기준에 "도달했을"경우에 하중 기준이 만족된다고 판정할 수도 있다. 또, 상기 하중 기준의 값을 나타내는 가압 하중이 하중 검출부(40)에 의해 "검출된" 경우에 하중 기준이 만족된다고 판정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진동부(50)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진동부(50)는, 제어부(20)의 제어에 의해 입력부(34)를 진동시킨다. 이 입력부(34)의 진동은, 조작 입력을 실시하는 유저의 손가락이나 스타일러스 등에 전도되기 때문에, 유저는, 입력부(34)에 대한 입력을 적절히 받아들여짐을, 진동을 느낌으로써 인식할 수가 있다. 이 진동을 발생할 때, 제어부(20)는, 하중 검출부(40)에 의해 검출되는 가압 하중이 하중 기준을 만족할 때, 진동부(50)를 구동하도록 제어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하중 기준(P1) 및 하중 기준(P2) 각각이 만족될 때 서로 다른 진동을 발생시킨다. 즉, 제어부(20)는, 하중 기준(P1)인 입력 오브젝트에 대해서는, 하중 기준(P1)에 대응하는 진동을 발생시킨다. 이것에 의해, 유저는, 입력 오브젝트에 대해 하중 기준(P1)의 입력을 적절히 받아들임을 인식할 수 있다. 또, 제어부(20)는, 하중 기준(P2)인 입력 오브젝트에 대해서는, 하중 기준(P2)에 대응하는, P1의 경우와는 다른 진동을 발생시킨다. 이것에 의해, 유저는, 입력 오브젝트에 대해 가압 하중(P2)에 의한 입력을 적절히 받아들일 수 있던 것을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하중 기준(P1)인 입력 오브젝트에 대해서, 도 4에 나타내는 P1(A1)을 넘는 가압 하중이 하중 검출부(40)에 의해 검출된 시점에서, 제어부(20)는, 도 5의 (A)에 나타내는 파형의 진동을 진동부(50)에 발생시킨다. 이 후, 입력 오브젝트에 대해서, 도 4에 나타내는 P1(A2) 이하가 되는 가압 하중이 하중 검출부(40)에 의해 검출된 시점에서, 제어부(20)는, 도 5의 (B)에 나타내는 파형의 진동을 진동부(50)에 발생시킨다. 또, 하중 기준(P2)인 입력 오브젝트에 대해서, 도 4에 나타내는 P2(B1)를 넘는 가압 하중이 하중 검출부(40)에 의해 검출된 시점에서, 제어부(20)는, 도 5의 (C)에 나타내는 파형의 진동을 진동부(50)에 발생시킨다. 이 후, 이 입력 오브젝트에 대해서, 도 4에 나타내는 P2(B2) 이하가 되는 가압 하중이 하중 검출부(40)에 의해 검출된 시점에서, 제어부(20)는, 도 5의 (D)에 나타내는 파형의 진동을 진동부(50)에 발생시킨다.
도 5에 나타내는 진동의 예에서는, 낮은 하중 기준(P1)인 입력 오브젝트에 대해서는 짧은(낮은 주파수) 진동을 발생시키는 반면, 높은 하중 기준(P2)인 입력 오브젝트에 대해서는 긴(높은 주파수) 진동을 발생시키고 있다. 이것에 의해, 유저는, 약한(낮은) 가압 하중과 관련되는 입력에 대해서는 약한(짧은) 진동에 의해 입력의 확정을 실시할 수가 있고, 강한(높은) 가압 하중과 관련되는 입력에 대해서는 강한(긴) 진동에 의해 입력의 확정을 실시할 수가 있다.
다음으로, 도 6의 흐름도를 참조해, 본 실시형태에 의한 입력 오브젝트의 하중 기준 설정 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의한 입력 오브젝트의 하중 기준 설정 처리는, 제어부(20)가, 입력 오브젝트에 의해 구성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터치 패널(30)의 표시부(32) 상에 표시하는 애플리케이션을 기동하는 요구(명령)를 받는 것으로 개시한다. 우선, 유저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애플리케이션을 기동하는 명령을 받으면, 제어부(20)는, 기억부(60)에 기억되고 있는 각종 유저 인터페이스의 템플릿 중에서, 상술한 요구에 대응하는 템플릿을 읽어들인다(단계(S1)).
유저 인터페이스의 템플릿을 읽어들이면, 제어부(20)는, 템플릿에 포함되는 입력 오브젝트가 복수인지 아닌지를 판정한다(단계(S2)). 템플릿에 포함되는 입력 오브젝트가 복수인 경우, 제어부(20)는, 다음에, 인접한 입력 오브젝트가 소정의 간격보다 짧은 간격으로 배치되는 사양이 필요한지를 판정한다(단계(S3)). 또한, 소정의 간격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템플릿에 포함되는 입력 오브젝트가 복수 개이고, 한편, 인접한 입력 오브젝트가 소정의 간격보다 짧은 간격으로 배치되는 경우, 제어부(20)는, 이러한 입력 오브젝트에 대한 가압 입력을 받아들이는 하중 기준(P1 및 P2)이 서로 다르도록, 각 입력 오브젝트의 하중 기준을 설정한다(단계(S4)).
단계(S4)에서 각 입력 오브젝트의 하중 기준의 설정이 완료하면, 제어부(20)는, 이러한 입력 오브젝트를 표시부(32)에 표시해, 유저로부터의 입력을 받아들인다(단계(S5)). 또한, 단계(S2)에 대해 입력 오브젝트가 복수가 아닌 경우, 즉 입력 오브젝트가 1개밖에 없는 경우에는, 이 입력 오브젝트에 통상의 하중 기준(P1)을 설정하고 나서(단계(S6)), 처리는 단계(S5)로 이행한다. 또, 단계(S3)에 대해, 복수의 입력 오브젝트가 소정의 간격 이상의 간격으로 배치되는 경우에도, 그러한 입력 오브젝트 모두에 통상의 하중 기준(P1)을 설정하고 나서(단계 S6), 처리는 단계(S5)로 이행한다.
이상의 처리에 의해, 복수의 입력 오브젝트가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는 경우에, 각 입력 오브젝트에 대한 가압 입력을 받아들이는 하중 기준이 다르게 배치된다. 전술한 소정의 간격이란, 입력 오브젝트의 간격이 해당 소정의 간격보다 좁은 간격으로 배치되는 경우, 유저가 입력을 잘못해 의도하는 입력 오브젝트와는 다른 입력 오브젝트를 눌러 버릴 가능성이 높아지는 간격이다. 여기서, 소정의 간격은, 하나의 입력 오브젝트의 단부로부터 다른 입력 오브젝트의 단부까지의 거리나, 하나의 입력 오브젝트의 중심부로부터 다른 입력 오브젝트의 중심부까지의 거리일 수 있다. 이하, 상술한 처리의 결과를, 전형적인 실시예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예를 들면 도 7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저 메모 작성 애플리케이션을 기동하고 있는 경우를 설명한다. 이 애플리케이션은, 터치 패널(30)의 표시부(32)의 대략 하반부에 문자 입력 오브젝트를 표시해, 입력부(34)에 대한 유저의 입력을 받아들인다. 또한, 이 유저 메모 작성 애플리케이션은, 문자 입력 오브젝트를 소정의 간격 이상으로 배치해 표시한다. 따라서, 본 예에서는, 유저가 입력을 잘못해, 의도하는 입력 오브젝트와는 다른 입력 오브젝트를 눌러 버릴 가능성은 낮기 때문에, 제어부(20)는, 이러한 문자 입력 오브젝트에는, 각각 통상의 하중 기준(P1)을 설정한다. 또한, 가나 문자와 관련된 숫자 키패드를 이용해, 키의 입력 횟수에 따라, 각 키에 대응하는 가나 문자를 "히라가나" 순서로 천이시키는 것으로 각 문자를 입력하는 방식은, 종래 "멀티-탭 입력 방식"으로서 공지 기술이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도 7의 (A)에 나타내는 것 같은 문자의 입력을 완료한 후, 유저가 이 메모를 기억부(메모리)(60)에 보존하는 경우, 터치 패널(30)의 표시부(32)의 왼쪽 윗부분에 나타내는 "기능"의 입력 오브젝트에의 가압 입력에 따라, 제어부(20)는, 도 7의 (B)에 나타내는 것 같은, 이른바 풀다운 표시를 출현시킨다. 이 "기능"의 풀다운 메뉴에는, "보존" 및 "삭제"의 입력 오브젝트가 포함되어 있다. 이것들 2개의 입력 오브젝트가 소정의 간격보다 좁은 간격으로 배치되는 경우(예를 들면 서로 인접한 경우), 상술한 하중 기준 설정 처리에 의해, "보존"의 입력 오브젝트와 "삭제"의 입력 오브젝트에 대해, 가압 입력을 받아들이는 하중 기준이 다르게 설정된다. 이 경우, 이 "삭제"의 입력 오브젝트와 같이, 인접한 입력 오브젝트의 한편이, 복구 불가능한(중요한) 동작과 관련되는 것인 경우, 이 입력 오브젝트에 대해, 예를 들면 3N(뉴턴)으로 하는 하중 기준(P2)을 설정한다. 또, 이 "보존"의 입력 오브젝트와 같이, 하중 기준(P2)인 입력 오브젝트에 인접한 입력 오브젝트에는, 예를 들면 1N으로 하는 하중 기준(P1)을 설정한다.
이와 같이, 입력 오브젝트의 하중 기준을 다르게 설정함으로써, 예를 들면, 유저가 "보존"의 입력 오브젝트를 누르려고 의도하고 있었지만 잘못해 "삭제"의 입력 오브젝트를 눌러 버렸을 경우에 생긴 단점을 방지할 수가 있다. 즉, 본 실시형태에 의한 입력 장치는, "삭제"의 입력 오브젝트에 대해서, 통상의 조작 입력을 실시할 때의 통상의(P2 이하의) 가압력에 의한 입력이 있어도, 이것을 입력으로서 받아들이지 않는다. "삭제"의 입력 오브젝트에 대한 입력을 실시하기 위해서, 유저는, 의도적으로, 통상의 조작 입력을 실시할 때의 통상의 가압력(P1)보다 큰 하중 기준(P2)을 넘는 가압 하중에 의해 조작 입력을 실시할 필요가 있다.
또, 터치 패널(30)이, 복수의 입력 오브젝트에 대한 입력을 동시에 받아들이는 기능을 가지는 경우에서도, 상술한 것과 같은 처리를 실시할 수가 있다. 즉, 예를 들면, 유저가 "보존"의 입력 오브젝트를 누르려고 의도하고 있었지만, 잘못해(또는 입력부(34)를 누르는 손가락의 접촉 면적이 "보존"의 입력 오브젝트로부터 돌출되기 때문에) "보존"과 "삭제"의 입력 오브젝트를 양쪽 모두 동시에 눌러 버릴 우려가 있다. 이러한 경우에서도, "삭제"의 입력 오브젝트에 대해서, 통상의 조작 입력을 실시할 때의 통상의(P2 이하) 가압력에 의한 입력은 받아들일 수 없다. 또한, 상술한 경우와 반대로, 유저가 "삭제"의 입력 오브젝트를 누르려고 의도하고 있었지만 잘못해 "보존"의 입력 오브젝트를 눌러 버렸을 경우의 방법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상술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통상의 조작 입력을 근거로 한 가압 하중보다 큰(P2를 넘는) 하중이, (P1을 초과하는) 통상의 조작 입력을 근거로 한 통상의 가압력에 의한 입력을 받아들이기 위한 입력 오브젝트에 인접한 입력 오브젝트에 대해 설정된다. 통상의 조작 입력보다 큰(무거운) 가압 하중에 의한 입력은, 통상의 입력 방법으로서 상정되는 각종의 입력(예를 들면 홀딩 다운(holding down) 및 더블 클릭과 같은 2번 누름)과는 다른 입력이다. 따라서, 하중 기준(P2)인 입력 오브젝트에 대해서, 통상의 입력 방법으로서 상정되는 각종의 입력은 받아들일 수 없기 때문에, 유저가 의도하지 않은 부정확한 입력이 유효한 입력으로서 받아들일 수 없다. 즉, 유저의 의도하지 않는 조작에 의한 입력은 회피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처리에 의해 입력 오브젝트가 인접한 위치에 배치하는 경우, 하중 기준(P2)인 입력 오브젝트에 대한 입력은 통상의 조작 입력시보다 강한 가압력으로 입력할 필요가 있는 것을, 유저에게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도 7의 (C)에 나타내는 "삭제" 키의 입력 오브젝트와 같이, 유저가 강한 가압력으로 입력할 필요가 있는 입력 오브젝트는, 다른 입력 오브젝트와는 다른 색으로 표시부(32)에 표시한다. 이것에 의해, 다른 색의 입력 오브젝트는, 하중 기준(P2)인 입력 오브젝트인 것을 강조할 수가 있다. 또, 이러한 입력 오브젝트를 예를 들면 "'삭제'키를 강하게 접촉해 주세요"등의 문자를 표시부(32)의 소정 위치에 표시해도 괜찮다.
이제, 다른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8에 나타내는 유저 메모 작성 애플리케이션에 의한 표시 패널에는, 터치 패널(30)의 표시부(32)에 표시된 문자 입력 오브젝트의 구성이 도 7에 나타낸 것과 유사하지만, 유저의 입력 결과(메모)를 표시하는 큰 영역이 제공된다. 그 때문에, 유저의 가압 입력을 받아들이는 문자 입력 오브젝트를 배치하는 영역이 상대적으로 작아지고 있다. 이러한 경우,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입력 오브젝트의 면적을 각각 축소함과 함께, 입력 오브젝트 사이의 간격을 좁게 한다. 이 입력 오브젝트 사이의 간격이 소정의 간격보다 좁은 경우, 본 실시형태에 의한 입력 오브젝트의 하중 기준 설정 처리에 근거해, 제어부(20)는, 소정의 간격보다 짧은 간격으로 인접해 있는 입력 오브젝트에 대해 다른 하중 기준을 설정한다.
본 실시형태에 의한 하중 기준 설정 처리에 의해, 예를 들면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른 하중 기준의 입력 오브젝트가 교대로 배치된다. 도 8에 나타낸 예에서는, 인접하는 입력 오브젝트가 다른 하중 기준을 가짐을 나타내기 위해, 유저가 강한 가압력으로 입력할 필요가 있는 입력 오브젝트는 다른 컬러로 표시된다. 즉, 도 8에서는, 진한 색(파선이 사선으로 그어짐)의 입력 오브젝트는, 통상의 조작 입력을 실시할 때의 하중 기준(P1)보다 큰 하중 기준(P2)이 설정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한편, 통상의 색(흰색)의 입력 오브젝트는, 통상의 하중 기준(P1)이 설정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이 하중 기준이 설정된 결과, 통상의 하중 기준(P1)보다 큰 하중 기준(P2)이 설정되는 입력 오브젝트는, 터치 패널(30)의 입력부(34) 상에서, 통상의 하중 기준(P1)이 설정된 입력 오브젝트에 인접하게 배치가 된다. 즉, 통상의 하중 기준(P1)이 설정된 입력 오브젝트와 통상의 하중 기준(P1)보다 큰 하중 기준(P2)이 설정된 입력 오브젝트가, 교대로 배치된다. 따라서, 복수의 입력 오브젝트가 인접한 위치에서 밀집하게 배치되어도, 유저는, 이러한 입력 오브젝트의 입력을 구별해 실시할 수가 있다.
다음으로, 도 9에 나타내는 흐름도를 참조해, 도 6을 참조해 설명한 입력 오브젝트의 하중 기준 설정 처리에 의해 입력 오브젝트를 배치한 후에 실시하는, 입력 오브젝트의 가압 입력 접수 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본 처리는,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처리에 의해, 유저 메모 작성 애플리케이션 등을 기동해, 인접해 있는 입력 오브젝트를 표시부(32)에 표시한 후, 입력부(34)에 대한 유저의 입력을 받아들이는 시점으로부터 개시한다.
본 실시형태에 의한 입력 오브젝트의 가압 입력 접수 처리가 개시하면, 제어부(20)는, 터치 패널(30)의 입력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입력부(34)에 대한 유저의 손가락이나 스타일러스 등에 의한 입력(이하, 줄여서 "유저의 입력"이라 함)이 검출되는지를 판정한다(단계(S12)).
단계(S12)에서 입력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입력부 34에 대한 유저에 의한 입력이 검출되었을 경우, 제어부(20)는, 입력이 검출된 위치에 대응하는 표시부(32)의 위치가, 통상의 하중 기준(P1)보다 큰(높다) 하중 기준(P2)이 설정된 입력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위치인지 아닌지를 판정한다(단계(S13)). 입력 위치가, 통상의 하중 기준(P1)보다 큰 하중 기준(P2)이 설정된 입력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위치인 경우(단계(S13)의 예(Yes)), 제어부(20)는, 해당 입력 오브젝트를 하이라이트 표시한다(단계(S14)).
단계(S14)에서의 하이라이트 표시란, 입력 오브젝트에 대해서, 유저의 손가락 등이 터치하고 있는 것을 유저에게 알려주기 위한 강조 표시이다. 예를 들면, 도 10의 (A)에 나타내는 것 같은 "삭제" 키의 입력 오브젝트에 대한 유저의 입력이 검출되었을 경우, 제어부(20)는, 해당 입력 오브젝트를, 도 10의 (B)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하이라이트 표시한다. 이것에 의해, 유저는, 입력부(34)에 터치하고 있는 자신의 손가락 등에 의한 입력이 입력 장치에 적절히 검출되고 있는 것을 시인할 수 있다. 또한, 이 하이라이트 표시는, 유저의 손가락 등이 입력부(34)에 터치하고 있는 것만을 나타내는 것이어서, 이 시점에서는, 입력을 받아들인다(즉, 키가 눌려진다)고 아직은 판정되어 있지 않다.
다음으로, 제어부(20)는, 하중 검출부(40)에 의해 검출되는 가압 하중(P)이 하중 기준(P2)을 넘는지를 판정한다(단계(S15)). 하중 기준(P2)인 입력 오브젝트에 대해서는, 이 하중 기준(P2)을 넘는 가압 하중의 입력이 없다면, 제어부(20)는, 입력을 받아들인 것으로서 처리하지 않는다. 따라서, 단계(S15)에서, 하중 기준(P2)을 넘는 값의 가압 하중(P)이 하중 검출부(40)에 의해 검출되지 않는 경우, 제어부(20)는, 입력부(34)에 대한 유저에 의한 입력이 해제되는지를 판정한다(단계(S16)).
단계(S16)에서 해당 입력이 해제되지 않는(즉 유저가 손가락 등을 입력부(34)로부터 떼어 놓지 않았다)다고 판정된 경우, 제어부(20)는, 단계(S15)로 돌아가, 하중 검출부(40)에 의해 검출되는 가압 하중(P)을 감시한다. 단계(S16)에서, 입력부(34)에 대한 유저에 의한 입력이 해제된다고 판정된 경우, 유저가 접촉한 입력 오브젝트에 대해서는 입력이 되지 않았던 것으로 취급해, 제어부(20)는, 하이라이트 표시를 취소해(단계(S17)), 본 처리를 종료한다.
단계(S17)에서의 하이라이트 표시의 취소란, 입력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위치의 입력부(34)에 대한 유저의 손가락 등의 입력이 더 이상 검출되지 않게 된 것을, 유저에게 나타내기 위한 표시이다. 예를 들면, 제어부(20)는, 유저의 입력의 검출에 근거하여 표시부(32)에 표시하고 있던 입력 오브젝트의 하이라이트 표시를, 도 10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은 표시 상태로 다시 변경시킨다. 이것에 의해, 유저는, 입력부(34)에 터치하고 있던 자신의 손가락 등이, 입력부(34)로부터 떼어진다고 입력 장치가 적절히 인식하고 있는 것을 시인할 수 있다.
한편, 단계(S15)에서, 하중 기준(P2)(도 4에 나타내는 B1)을 넘는 가압 하중(P)이 하중 검출부(40)에 의해 검출된 경우, 제어부(20)는, 가압 하중(P)이 하중 기준(P2)을 넘은 것을 유저에게 알리기 위해서, 진동하도록 진동부(50)를 제어한다(단계(S18)). 이 경우, 제어부(20)는, 도 5의 (C)에 나타낸 것 같은 파형의 진동(강한 입력에 대응하는 더 긴 진동)을 발생시키도록 진동부(50)를 제어한다. 이것에 의해, 유저는, 가압 하중(P)이 하중 기준(P2)을 넘은 것을 식별할 수 있다.
또한, 단계(S18)에 대해, 제어부(20)는, 입력이 검출되고 있는 입력 오브젝트가 눌려진 것을 나타내도록 표시부(32)의 표시를 변경한다. 즉, 예를 들면, 도 10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은 하이라이트 된 입력 오브젝트의 표시를, 도 10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은 해당 입력 오브젝트가 눌러진 것을 나타내는 표시로 변경한다. 이것에 의해, 유저는, 입력부(34)에 터치하고 있던 자신의 손가락 등에 의한 가압 입력이, 입력 오브젝트에 대해서, 가압 입력으로서 입력 장치에 적절히 받아들일 수 있는 것을 시인할 수 있다.
단계(S18) 이후, 제어부(20)는, 입력부(34)에 대한 유저에 의한 입력의 가압력이 감소해, 하중 검출부(40)에 의해 검출되는 가압 하중(P)이 하중 기준(P2)(도 4에 나타내는 B2) 이하가 된지 아닌지를 판정한다(단계(S19)). 단계(S19)에서, 가압 하중(P)이 하중 기준(P2)이하가 되었다고 판정된 경우, 제어부(20)는, 현재 입력을 받아들이고 있는, 하중 기준(P2)인 입력 오브젝트에 대한 조작 입력이 확정된 것으로서 받아들인다(단계(S20)). 즉, 본 실시 형태에 의한 입력 처리에 대해서는, 기계식의 키에 비유하면, 키를 누른 시점에서는, 아직 키의 입력의 접수를 확정하지 않고, 키의 누름이 해제된 시점에서 처음으로 해당 키의 입력의 접수를 확정한다.
또, 단계(S20)에 대해서는, 제어부(20)는, 입력이 검출되고 있는 입력 오브젝트에 대한 가압 하중이 P2이하가 된 것을 나타내도록, 표시부(32)의 표시를 하이라이트 표시에 되돌린다. 즉, 예를 들면, 도 10의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입력 오브젝트가 눌러진 것을 나타내는 표시를, 도 10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하이라이트 표시된 입력 오브젝트의 표시에 되돌린다. 이것에 의해, 유저는, 입력 오브젝트에 대한 가압 입력이 입력으로서 확정되는 한편, 입력 오브젝트에 대한 가압력이 감소됨을 입력 장치가 적절히 인식하고 있음을 시인할 수 있다.
또한, 단계(S20)에 대해, 제어부(20)는, 하중 기준(P2)인 입력 오브젝트에 대한 조작 입력이 확정된 것을 유저에게 알리기 위해서, 진동부(50)를 진동시키도록 제어한다. 이때, 제어부(20)는, 도 5의 (D)에 나타낸 바와 같은 파형의 진동(강한 입력에 대응하는 더 긴 진동)을 발생시키도록 진동부(50)를 제어한다. 이것에 의해, 유저는, 하중 기준(P2)인 입력 오브젝트에 대한 조작 입력이 확정한 것을 식별할 수 있다.
단계(S20) 이후, 제어부(20)는, 입력부(34)에 대한 유저의 입력이 해제되는 지를 판정한다(단계(S21)). 단계(S21)에서 해당 입력이 해제되지 않는다고(즉, 유저가 손가락 등을 입력부(34)로부터 떼지 않음) 경우, 제어부(20)는, 하중 검출부(40)에 의해 검출되는 가압 하중(P)을 계속 감시한다. 단계(S21)에서, 입력부(34)에 대한 유저의 입력이 해제된다고 판정된 경우, 제어부(20)는, 상술한 단계(S17)로 이행해 하이라이트 표시를 취소해, 본 처리를 종료한다.
또한, 이상 설명한 것 같은, 단계(S15, S18, S19 및 S20)로 계속되는 일련의 처리를 할 때, 하중 검출부(40)에 의해 검출되는 입력부(34)에 대한 가압 하중의 시간 변화를 예시하면, 도 11에 나타내는 곡선(β)과 같이 된다.
한편, 단계(S13)에서, 입력 위치가, 하중 기준(P2)인 입력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위치가 아닌 경우, 제어부(20)는, 단계(S22)로 이행해, 해당 입력 오브젝트를 하이라이트 표시한다. 또한, 단계(S13)로부터 단계(S22)로 이행하는 경우라고 하는 것은, 유저의 입력이 검출된 입력 오브젝트가, 하중 기준(P1)이 설정된 입력 오브젝트인 경우이다. 이 경우에 실시하는 입력 오브젝트의 하이라이트 표시도, 단계(S14)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방식으로 하이라이트 표시를 실시한다.
다음으로, 제어부(20)는, 하중 검출부(40)에 의해 검출되는 가압 하중(P)이 하중 기준(P1)을 넘는지를 판정한다(단계(S23)). 하중 기준(P1)인 입력 오브젝트에 대해서는, 제어부(20)는, 통상의 조작 입력을 실시하는 경우와 같게, 하중 기준(P1)을 넘는 입력이 이루어지면, 입력을 받아들인 것으로서 처리한다. 그 때문에, 단계(S23)에서, 하중 기준(P1)을 넘는 가압 하중(P)이 하중 검출부(40)에 의해 검출되지 않는 경우, 제어부(20)는, 입력부(34)에 대한 유저의 입력이 해제되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단계(S24)).
단계(S24)에서 유저의 입력이 해제되지 않는다고(즉, 유저가 손가락 등을 입력부(34)로부터 떼지 않는다고) 판정한 경우, 제어부(20)는, 단계(S23)로 돌아와, 하중 검출부(40)에 의해 검출되는 가압 하중(P)을 감시한다. 단계(S24)에서, 입력부(34)에 대한 유저의 입력이 해제되었을 경우, 제어부(20)는, 유저가 터치한 입력 오브젝트에 대해서는 입력이 되지 않았던 것으로 취급해, 하이라이트 표시를 취소하고(단계(S17)), 본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단계(S23)에서, 하중 기준(P1)(도 4에 나타내는 A1)을 넘는 가압 하중(P)이 하중 검출부(40)에 의해 검출되었을 경우, 제어부(20)는, 가압 하중(P)이 하중 기준(P1)을 넘은 것을 유저에게 알리기 위해서, 진동하도록 진동부(50)를 제어한다. 이 경우, 제어부(20)는, 도 5의 (A)에 나타낸 파형의 진동(약한(통상의) 입력에 대응하는 약간 짧은 진동)를 발생시키도록 진동부(50)를 제어한다. 이것에 의해, 유저는, 가압 하중(P)이 하중 기준(P1)을 넘은 것을 식별할 수 있다.
또한, 단계(S25)에 대해, 제어부(20)는, 입력이 검출되고 있는 입력 오브젝트가 눌러진 것을 나타내도록 표시부(32)의 표시를 변경한다. 즉, 제어부(20)는, 표시를, 도 10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하이라이트 표시로부터, 도 10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해당 입력 오브젝트가 눌러진 것을 나타내는 표시로 변경한다. 이것에 의해, 유저는, 입력부(34)에 접촉하고 있던 자신의 손가락 등에 의한 가압 입력이, 입력 오브젝트에 대해서, 가압 입력으로서 입력 장치에 적절히 받아들일 수 있는 것을 시인할 수 있다.
단계(S25) 이후, 제어부(20)는, 입력부(34)에 대한 유저의 입력의 가압력이 감소해, 하중 검출부(40)에 의해 검출되는 가압 하중(P)이 하중 기준(P1)(도 4에 나타내는 A2) 이하인지를 판정한다(단계(S26)). 단계(S26)에서, 가압 하중(P)이 하중 기준(P1) 이하가 되었을 경우, 제어부(20)는, 현재 입력을 받아들이고 있는 하중 기준(P1)인 입력 오브젝트에 대한 조작 입력이 확정된 것으로서 받아들인다(단계(S27)).
또, 단계(S27)에 대해, 제어부(20)는, 입력이 검출되고 있는 입력 오브젝트에 대한 가압 하중이 P1이하가 된 것을 나타내도록, 표시부(32)의 표시를 하이라이트 표시에 되돌린다. 즉, 예를 들면, 도 10의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입력 오브젝트가 눌러진 것을 나타내는 표시를, 도 10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이라이트 표시된 입력 오브젝트의 표시로 되돌린다. 이것에 의해, 유저는, 입력 오브젝트에 대한 가압 입력이 입력으로서 확정되는 한편, 입력 오브젝트의 가압력이 감소됨이 입력 장치에 적절히 인식되고 있는 것을 시인할 수 있다.
또한, 단계(S27)에 대해, 제어부(20)는, 하중 기준(P1)인 입력 오브젝트에 대한 조작 입력이 확정된 것을 유저에게 알리기 위해서, 진동하도록 진동부(50)를 제어한다. 이때, 제어부(20)는, 도 5의 (B)에 나타낸 파형의 진동(약한(통상의) 입력에 대응하는 더 짧은 진동)을 발생시키도록 진동부(50)를 제어한다. 이것에 의해, 유저는, 하중 기준(P1)인 입력 오브젝트에 대한 조작 입력이 확정된 것을 인식할 수 있다.
단계(S27) 이후, 제어부(20)는, 입력부(34)에 대한 유저의 입력이 해제되는 지를 판정한다(단계(S21)). 단계(S21)에서 해당 입력이 해제되지 않는다(즉, 유저가 손가락 등을 입력부(34)로부터 떼지 않는다)고 판정된 경우, 제어부(20)는, 하중 검출부(40)에 의해 검출되는 가압 하중(P)을 계속 감시한다. 단계(S21)에서, 입력부(34)에 대한 유저의 입력이 해제되었을 경우, 제어부(20)는 상술한 단계(S17)로 이행해 하이라이트 표시를 취소해, 본 처리를 종료한다.
또한, 단계(S23, S25, S26 및 S27)로 계속되는 일련의 처리를 할 때, 하중 검출부(40)에 의해 검출되는 입력부(34)에 대한 가압 하중의 시간 변화를 예시하면, 도 11에 나타내는 곡선(α)과 같이 된다.
한편, 단계(S26)에서, 가압 하중(P)이 하중 기준(P1) 이하가 되지 않는 경우, 제어부(20)는, 입력부(34)에 의해 검출되는 가압 입력의 위치가 변화하는, 이른바 슬라이드 입력이 검출되는지를 판정한다(단계(S28)). 여기서, 슬라이드 입력은, 유저가 입력부(34)를 손가락 등으로 누른 채로, 그 손가락 등을 이동시켜, 원래 누르고 있던 입력 오브젝트로부터 다른 입력 오브젝트까지 입력 위치가 변화하는 입력을 나타낸다.
단계(S28)에서, 이러한 슬라이드 입력이 입력부(34)에 검출되지 않는다고 판정된 경우, 제어부(20)는, 단계(S26)에 돌아와, 하중 검출부(40)에 의해 검출되는 가압 하중(P)을 계속 감시한다. 그렇지만, 단계(S28)에서, 입력부(34)에 대해 가압 하중이 P1을 넘은 슬라이드 입력이 검출되었을 경우, 제어부(20)는, 단계(S13)로 이행해 계속 처리한다. 또한, 단계(S28)로부터 단계(S13)로 이행하기 전, 제어부(20)는, 원래 입력이 검출되고 있던(슬라이드 입력을 하기 전의) 입력 오브젝트의 가압 표시를 취소한다.
슬라이드 입력(단계(S28)) 후의 단계(S13)에 대해, 슬라이드 입력에 의해 입력 위치가 낮은 하중 기준(P1)인 입력 오브젝트로 변화한 경우, 처리의 흐름은, 단계(S22, S23 및 S25)를 따른다. 즉, 하중 기준(P1)인 입력 오브젝트에 대한 입력의 가압 하중(P)이, 하중 기준(P1)을 넘은 시점에서는 아직 입력을 받아들이지(확정하지) 않으므로, 유저는, 슬라이드 입력에 의해 입력 오브젝트를 변경할 수 있다. 슬라이드 입력에 의해 입력 오브젝트를 변경해, 하중 기준(P1)인 입력 오브젝트에 대해서 가압 입력의 가압 하중이 P1이하가 되었을 경우, 제어부(20)는, 그 시점에서 누르고 있는 하중 기준(P1)인 입력 오브젝트에 대한 입력을 확정한다.
한편, 슬라이드 입력(단계(S28)) 후의 단계(S13)에 대해, 슬라이드 입력에 의해 입력 위치가 높은 하중 기준(P2)인 입력 오브젝트로 변화한 경우, 단계(S14)로 이행해, 제어부(20)는 해당 입력 오브젝트를 하이라이트 표시한다. 여기서, 가압 하중(P1)을 넘은 가압 하중으로 행해진 슬라이드 입력의 가압 하중이 P2를 넘지 않으면, 제어부(20)는, 입력 위치가 변화한 높은 하중 기준(P2)인 입력 오브젝트에 대한 입력을, 가압 입력으로서 받아들이지 않는다. 즉, 유저는, 하중 기준(P1)인 입력 오브젝트에 대해서 검출되고 있던 원래의 가압 입력(P1<P<P2)을, 이 원래의 가압 입력의 미확정 상태를 유지한 채, 하중 기준(P2)의 입력 오브젝트까지 슬라이드 입력을 실시하는 것으로, 가압 하중이 다른 입력 오브젝트에 대한 입력으로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처리 이후, 단계(S15)에서, 제어부(20)는, 하중 검출부(40)에 의해 검출되는 가압 하중(P)이, 하중 기준(P2)을 넘는지를 판정한다. 단계(S15)에서, 하중 기준(P2)을 넘는 가압 하중(P)이 하중 검출부(40)에 의해 검출되었을 경우, 제어부(20)는, 해당 입력 오브젝트가 눌러진 것으로서 취급한다. 또한, 단계(S19)에서, 가압 하중(P)이 하중 기준(P2) 이하가 되었을 경우, 제어부(20)는, 현재 입력을 받아들이고 있는 해당 입력 오브젝트에 대한 조작 입력을, 확정된 입력으로서 받아들인다.
이와 같이, 단계(S28)의 슬라이드 입력을 받아들이는 처리에 의해, 하중 기준(P2)의 입력 오브젝트를 누르려고 의도하고 있던 유저가, 잘못해 하중 기준(P1)의 입력 오브젝트를 눌러 버렸을 경우에도 대처할 수 있다. 즉, 이 처리에 의해, 예를 들면 도 7에 나타내는 예에 대해, 유저가 "삭제"의 입력 오브젝트(하중 기준(P2)(높은))을 누르려고 의도하고 있었지만 잘못해 "보존"의 입력 오브젝트(하중 기준(P1)(낮은))를 눌러 버렸을 경우에 대처할 수가 있다. 이러한 경우의 처리 및 조작에 대해, 이하,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처음에, 하중 기준(P2)인 입력 오브젝트를 누르려고 의도하면서, 잘못해 하중 기준(P1)인 입력 오브젝트를 눌렀을 경우(단계(S23)의 예), 유저는, 하중 기준(P2)에 대응하는 더 긴 진동을 기대한다. 그렇지만, 실제는, 하중 기준(P1)에 대응하는 짧은 진동이 발생한다(단계(S25)). 이 진동에 의해, 유저는 가압 입력이 하중 기준(P2)의 입력 오브젝트에 대해서 적절히 입력되지 않고, 하중 기준(P1)의 입력 오브젝트에 터치하고 있음을 인식할 수 있다. 그렇지만, 이 시점에서는, 유저가 누르고 있는 입력 오브젝트(하중 기준(P1))에 대한 조작 입력은, 아직 확정하고 있지 않다(확정 처리는 단계(S27)에서 행해진다).
이 진동에 의해 잘못해 하중 기준(P1)의 입력 오브젝트를 누르고 있다고 인식한 유저는, 하중 기준(P1)을 넘는 가압 하중을 유지한 채로, 하중 기준(P2)의 당초 의도한 입력 오브젝트까지, 입력부(34)를 누르고 있는 손가락 등을 슬라이드할 수 있다(단계(S28)). 하중 기준(P1)의 입력 오브젝트로부터 유저가 당초 의도한 하중 기준(P2)의 입력 오브젝트까지 슬라이드 입력을 실시하면(단계(S13)), 이동처의 하중 기준(P2)의 입력 오브젝트는, 하이라이트 표시된다(단계(S14)). 하지만, 입력 오브젝트의 가압 표시는 아직 표시되지 않는다.
거기서, 유저에 의해 P2를 넘는 가압 하중으로 입력할 때(단계(S15)), 제어부(20)는, 유저가 당초 의도한 하중 기준(P2)의 입력 오브젝트에 대해서 가압 입력을 받아들인다(단계(S18)). 이때의 유저에 의한 조작은, 당초 의도한 입력 오브젝트까지 슬라이드 입력한 후에, 해당 입력 오브젝트를 강하게 누르는 동작에 상당한다. 그 후, 유저에 의해 가압 하중을 감소시키거나 입력부(34)로부터 손가락을 떼어 놓을 때(단계(S19)), 제어부(20)는, 유저가 당초 의도한 하중 기준(P2)의 입력 오브젝트에 대한 가압 입력을 확정한다(단계(S20)).
슬라이드 입력을 거치는 전후의 일련의 처리를 할 때, 하중 검출부(40)에 의해 검출되는 입력부(34)에 대한 가압 하중의 시간 변화를 예시하면, 도 11에 나타내는 곡선(γ)과 같이 된다. 곡선(γ)에 대해, 유저가 하중 기준(P2)의 입력 오브젝트를 누르려고 의도하면서, 잘못해 하중 기준(P1)의 입력 오브젝트를 누른 시점이 A1에 상당해, 이것에 대응하는 동작은 단계(S13) 내지 단계(S22)이다. 또, 의도와 다른 진동을 받아들임으로써 이러한 부정확한 입력을 알아차린 후, 유저가 슬라이드 입력을 실시하는 기간(단계(S28))이, A1과 B1 사이의 평탄한 부분이다. 또한, 유저가 당초 의도한 입력 오브젝트까지 슬라이드 입력한 후, 해당 입력 오브젝트를 강하게 누르는 시점이 B1에 상당하고, 이것에 대응하는 동작은 단계(S15) 내지 단계(S18)이다. 그 후, 가압 하중의 변화는 유저가 가압력을 감소시키면서 입력부(34)로부터 손가락을 떼어 놓으려고 할 때 B2를 통과하고, 이것에 대응하는 동작은 단계(S19) 및 단계(S20)이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입력 오브젝트의 가압 입력 접수 처리에 의해, 유저가 하중 기준(P2)의 입력 오브젝트(예를 들면, 도 8의 "삭제")를 누르려고 의도하고 있었지만, 잘못해 하중 기준(P1)의 입력 오브젝트(예를 들면, 도 8의 "보존")를 눌러 버렸을 경우에도 대처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무수한 변경 또는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술한 실시형태에 대해서는, 입력 오브젝트의 하중 기준(P1, P2) 및 소정의 간격을 미리 설정하는 것을 상정했지만, 필요에 따라, 유저가 이들을 변경 또는 조정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조작중에, 유저가 가압 하중의 설정에 대해 위화감이 있는 경우, 나중에 적절히 설정을 수정할 수가 있다.
또,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유저의 입력의 가압 하중이 P1 또는 P2를 넘었을 때, 그것을 유저에게 알리기 위해서, 진동부(50)를 진동시킨다. 진동부(50)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은, 도 5에 기재한 파형에 근거하는 진동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유저에 의한 가압 하중이 P1 또는 P2를 넘는지가 구별되는 한은 임의의 파형으로 할 수가 있다. 또, 이러한 경우에 진동을 발생시키는 것은 필수의 요건은 아니고, 음성 출력부(80)로부터 특정의 소리를 발생할 수도 있다. 또한, 해당 입력을 받아들이고 있는 입력 오브젝트의 색이나 표시 상태를 표시부(32) 상에서 변화시키는 것으로, 유저에 의한 입력의 가압 하중이 P1 또는 P2를 넘은 것을 나타내도 괜찮다.
또,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입력 오브젝트가 소정의 간격보다 좁은 간격으로 배치되는 경우, 유저의 오조작을 방지하기 위해서, 입력 오브젝트에 설정된 하중 기준은 서로 다르다. 그렇지만, 인접한 입력 오브젝트가 간격이 없이 배치된다 하더라도, 각각의 입력 오브젝트의 입력 접수 범위가 넓은 경우, 유저가 입력을 잘못할 가능성은 낮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 개개의 입력 오브젝트의 입력 접수 범위가 소정의 면적 이상이면, 그들에 대한 하중 기준을 다르게 설정할 필요는 없다. 또, 개개의 입력 오브젝트의 입력 접수 범위가 넓으면 유저가 입력을 잘못할 가능성이 낮은 것에 기초하여, 하중 기준을 다르게 할 지의 기준이 되는 소정의 간격을 입력 오브젝트의 입력 접수 범위의 크기에 따라 변동시켜도 괜찮다. 즉, 소정의 간격으로서 1cm를 설정한 경우, 입력 오브젝트의 입력 접수 범위가 넓고(즉, 입력 오브젝트가 큰) 그리고 입력 오브젝트의 간격이 예를 들면 0.1cm보다 넓으면 동일한 하중 기준이 설정될 수 있고, 입력 접수 범위가 좁고 간격이 예를 들면 2cm보다 좁으면 하중 기준이 다르게 설정될 수 도 있다.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가장 단순한 예로서 하중 기준이 P1 및 P2의 2개의 경우를 설명했지만, 필요에 따라서, 이 하중 기준을 3개 이상으로 해도 괜찮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의 입력 장치에 의하면, 터치 패널의 입력부에 대한 가압 하중을 검출해, 어느 입력 오브젝트에 대한 가압 입력을 받아들이는 하중 기준과 이 입력 오브젝트와 인접한 다른 입력 오브젝트에 대한 가압 입력을 받아들이는 하중 기준을 다르게 한다. 따라서, 소형의 터치 패널의 입력부에 있어 다수의 입력 오브젝트를 인접해 표시시켰다고 해도, 유저는, 각 입력 오브젝트에 대한 입력을 구별해 실시할 수가 있다.
10: 휴대전화 20: 제어부
30: 터치 패널 32: 표시부
34: 입력부 40: 하중 검출부
50: 진동부 60: 기억부
70: 음성 입력부 80: 음성 출력부
90: 키 입력부

Claims (4)

  1. 입력 오브젝트를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는 상기 입력 오브젝트에 대한 가압 입력을 검출하는 입력부;
    상기 입력부에 대한 가압 하중을 검출하는 하중 검출부; 및
    상기 하중 검출부에 의해 검출되는 가압 하중이 하중 기준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가압 입력을 받아들이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 오브젝트가 다른 입력 오브젝트에 인접해 있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입력 오브젝트에 대한 가압 입력을 받아들이는 하중 기준이 해당 입력 오브젝트에 인접한 다른 입력 오브젝트에 대한 가압 입력을 받아들이는 하중 기준과 다르게 되도록 제어하는, 입력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를 진동시키는 진동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하중 검출부에 의해 검출되는 가압 하중이 하중 기준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진동부를 구동하도록 제어하는, 입력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하중 검출부에 의해 검출되는 가압 하중이 하중 기준을 만족한 후, 상기 하중 검출부에 의해 검출되는 가압 하중이 해당 하중 기준을 만족하지 않은 경우에 상기 진동부를 다시 구동하도록 제어하는, 입력 장치.
  4.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하중 검출부에 의해 검출되는 가압 하중이 하중 기준을 만족한 후, 상기 하중 검출부에 의해 검출되는 가압 하중이 해당 하중 기준을 만족하지 않은 경우에 상기 입력부가 받아들이고 있는 상기 입력 오브젝트에 대한 가압 입력을 확정하도록 제어하는, 입력 장치.
KR1020117012990A 2008-12-25 2009-12-25 입력 장치 KR10128317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331056 2008-12-25
JP2008331056A JP4746085B2 (ja) 2008-12-25 2008-12-25 入力装置
PCT/JP2009/007316 WO2010073729A1 (ja) 2008-12-25 2009-12-25 入力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2613A KR20110082613A (ko) 2011-07-19
KR101283177B1 true KR101283177B1 (ko) 2013-07-05

Family

ID=422873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12990A KR101283177B1 (ko) 2008-12-25 2009-12-25 입력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448649B2 (ko)
EP (1) EP2372502A4 (ko)
JP (1) JP4746085B2 (ko)
KR (1) KR101283177B1 (ko)
CN (1) CN102257459B (ko)
WO (1) WO201007372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85493B2 (en) * 2008-12-12 2020-03-10 Apple Inc. Touch sensitive mechanical keyboard
US20100149099A1 (en) * 2008-12-12 2010-06-17 John Greer Elias Motion sensitive mechanical keyboard
JP4746086B2 (ja) 2008-12-25 2011-08-10 京セラ株式会社 入力装置
JP4746085B2 (ja) 2008-12-25 2011-08-10 京セラ株式会社 入力装置
JP4885938B2 (ja) 2008-12-25 2012-02-29 京セラ株式会社 入力装置
WO2011024434A1 (ja) * 2009-08-27 2011-03-03 京セラ株式会社 触感呈示装置及び触感呈示装置の制御方法
JP5463240B2 (ja) * 2010-08-25 2014-04-09 京セラ株式会社 入力装置
JP5732783B2 (ja) * 2010-09-02 2015-06-10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入力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675324B2 (ja) * 2010-12-24 2015-02-25 シャープ株式会社 入力表示装置および加熱調理器
JP5883219B2 (ja) * 2010-12-24 2016-03-09 シャープ株式会社 加熱調理器
US9256312B2 (en) 2011-04-26 2016-02-09 Kyocera Corporation Communication device and communication system
JP5461471B2 (ja) * 2011-05-12 2014-04-02 京セラ株式会社 入力装置および制御方法
US8952987B2 (en) * 2011-05-19 2015-02-10 Qualcomm Incorporated User interface elements augmented with force detection
JP5775849B2 (ja) * 2011-05-27 2015-09-09 京セラ株式会社 電子機器
JP5819114B2 (ja) * 2011-06-27 2015-11-18 京セラ株式会社 携帯電子機器
US9417754B2 (en) 2011-08-05 2016-08-16 P4tents1, LLC User interface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US8976128B2 (en) * 2011-09-12 2015-03-10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Using pressure differences with a touch-sensitive display screen
US9454239B2 (en) 2011-09-14 2016-09-27 Apple Inc. Enabling touch events on a touch sensitive mechanical keyboard
US9785251B2 (en) 2011-09-14 2017-10-10 Apple Inc. Actuation lock for a touch sensitive mechanical keyboard
US9041652B2 (en) 2011-09-14 2015-05-26 Apple Inc. Fusion keyboard
JP2013070303A (ja) 2011-09-26 2013-04-18 Kddi Corp 画面への押圧で撮影が可能な撮影装置、撮影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8581870B2 (en) 2011-12-06 2013-11-12 Apple Inc. Touch-sensitive button with two levels
KR101943435B1 (ko) * 2012-04-08 2019-04-17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WO2013169875A2 (en) 2012-05-09 2013-11-14 Yknots Industries Ll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displaying content associated with a corresponding affordance
CN104487928B (zh) 2012-05-09 2018-07-06 苹果公司 用于响应于手势而在显示状态之间进行过渡的设备、方法和图形用户界面
WO2013169849A2 (en) 2012-05-09 2013-11-14 Industries Llc Yknots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displaying user interface objects corresponding to an application
WO2013169845A1 (en) 2012-05-09 2013-11-14 Yknots Industries Ll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scrolling nested regions
AU2013259637B2 (en) 2012-05-09 2016-07-07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selecting user interface objects
EP2847661A2 (en) 2012-05-09 2015-03-18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oving and dropping a user interface object
AU2013259606B2 (en) 2012-05-09 2016-06-02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in response to a user contact
WO2013169843A1 (en) 2012-05-09 2013-11-14 Yknots Industries Ll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anipulating framed graphical objects
WO2013169865A2 (en) 2012-05-09 2013-11-14 Yknots Industries Ll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oving a user interface object based on an intensity of a press input
CN107977084B (zh) 2012-05-09 2021-11-05 苹果公司 用于针对在用户界面中执行的操作提供触觉反馈的方法和装置
WO2013169851A2 (en) 2012-05-09 2013-11-14 Yknots Industries Ll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facilitating user interaction with controls in a user interface
CN109298789B (zh) 2012-05-09 2021-12-31 苹果公司 用于针对激活状态提供反馈的设备、方法和图形用户界面
WO2013169842A2 (en) 2012-05-09 2013-11-14 Yknots Industries Ll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selecting object within a group of objects
JP2013257657A (ja) * 2012-06-11 2013-12-26 Fujitsu Ltd 情報端末装置及び表示制御方法
KR101946365B1 (ko) 2012-08-20 2019-02-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IL221862A (en) * 2012-09-10 2015-03-31 Elbit Systems Ltd Attacking a physical touch event on optical touch screens
AU2013368443B2 (en) 2012-12-29 2016-03-24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transitioning between touch input to display output relationships
WO2014105275A1 (en) 2012-12-29 2014-07-03 Yknots Industries Ll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forgoing generation of tactile output for a multi-contact gesture
EP2939096B1 (en) 2012-12-29 2019-08-28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determining whether to scroll or select contents
EP2939095B1 (en) 2012-12-29 2018-10-03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oving a cursor according to a change in an appearance of a control icon with simulated three-dimensional characteristics
WO2014105279A1 (en) 2012-12-29 2014-07-03 Yknots Industries Ll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switching between user interfaces
CN105264479B (zh) 2012-12-29 2018-12-25 苹果公司 用于对用户界面分级结构进行导航的设备、方法和图形用户界面
US9626008B2 (en) * 2013-03-11 2017-04-18 Barnes & Noble College Booksellers, Llc Stylus-based remote wipe of lost device
JP5815612B2 (ja) * 2013-07-29 2015-11-17 京セラ株式会社 電子機器
US9665206B1 (en) 2013-09-18 2017-05-30 Apple Inc. Dynamic user interface adaptable to multiple input tools
CN106575230A (zh) 2014-09-02 2017-04-19 苹果公司 用于可变触觉输出的语义框架
US10048757B2 (en) 2015-03-08 2018-08-14 Apple Inc. Device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media presentation
US10095396B2 (en) 2015-03-08 2018-10-09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interacting with a control object while dragging another object
US9632664B2 (en) 2015-03-08 2017-04-25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manipulating user interface objects with visual and/or haptic feedback
US9990107B2 (en) 2015-03-08 2018-06-05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displaying and using menus
US9645732B2 (en) 2015-03-08 2017-05-09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displaying and using menus
US9785305B2 (en) 2015-03-19 2017-10-10 Apple Inc. Touch input cursor manipulation
US9639184B2 (en) 2015-03-19 2017-05-02 Apple Inc. Touch input cursor manipulation
US10152208B2 (en) 2015-04-01 2018-12-11 Apple Inc. Devices and methods for processing touch inputs based on their intensities
US20170045981A1 (en) 2015-08-10 2017-02-16 Apple Inc. Devices and Methods for Processing Touch Inputs Based on Their Intensities
JP5976166B2 (ja) * 2015-06-02 2016-08-23 Kddi株式会社 画面への押圧で撮影が可能な撮影装置、撮影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9891811B2 (en) 2015-06-07 2018-02-13 Apple Inc. Devices and methods for navigating between user interfaces
US9830048B2 (en) 2015-06-07 2017-11-28 Apple Inc. Devices and methods for processing touch inputs with instructions in a web page
US10346030B2 (en) 2015-06-07 2019-07-09 Apple Inc. Devices and methods for navigating between user interfaces
US10200598B2 (en) 2015-06-07 2019-02-05 Apple Inc. Devices and methods for capturing and interacting with enhanced digital images
US9860451B2 (en) 2015-06-07 2018-01-02 Apple Inc. Devices and methods for capturing and interacting with enhanced digital images
US9674426B2 (en) 2015-06-07 2017-06-06 Apple Inc. Devices and methods for capturing and interacting with enhanced digital images
JP6187546B2 (ja) * 2015-06-22 2017-08-30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操作表示システム、操作表示装置および操作表示プログラム
US9880735B2 (en) 2015-08-10 2018-01-30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manipulating user interface objects with visual and/or haptic feedback
US10248308B2 (en) 2015-08-10 2019-04-02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manipulating user interfaces with physical gestures
US10235035B2 (en) 2015-08-10 2019-03-19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content navigation and manipulation
US10416800B2 (en) 2015-08-10 2019-09-17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adjusting user interface objects
DK179823B1 (en) 2016-06-12 2019-07-12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PROVIDING HAPTIC FEEDBACK
DK179489B1 (en) 2016-06-12 2019-01-04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providing haptic feedback
JP2016192230A (ja) * 2016-07-19 2016-11-10 Kddi株式会社 保持する手の左右に応じて表示が可変な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装置、表示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DK201670720A1 (en) 2016-09-06 2018-03-26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Generating Tactile Outputs
KR102628789B1 (ko) * 2016-09-09 2024-01-25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DK201770372A1 (en) * 2017-05-16 2019-01-08 Apple Inc. TACTILE FEEDBACK FOR LOCKED DEVICE USER INTERFACE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53387A1 (en) * 2004-07-30 2006-03-09 Apple Computer, Inc. Operation of a computer with touch screen interface
JP2008123453A (ja) * 2006-11-15 2008-05-29 Sony Corp 基板支持振動構造、触覚機能付きの入力装置及び電子機器

Family Cites Families (4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90687A (ja) 1984-10-12 1986-05-08 株式会社 大一商会 報知装置を備えたパチンコ機
JP2839972B2 (ja) * 1991-11-15 1998-12-24 シャープ株式会社 感圧式座標入力装置
JPH06161660A (ja) 1992-11-27 1994-06-10 Toshiba Corp 感圧式タブレットを使用した位置情報入力装置
JPH0876925A (ja) 1994-09-02 1996-03-22 Kokusai Electric Co Ltd 入出力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3009344B2 (ja) 1995-07-28 2000-02-14 三井化学株式会社 電子写真トナー用樹脂組成物および電子写真トナー
JPH0962446A (ja) 1995-08-22 1997-03-07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タッチパネル入力方法及びその装置
JP3727399B2 (ja) 1996-02-19 2005-12-14 ミサワホーム株式会社 画面表示式キー入力装置
JPH10171600A (ja) * 1996-12-06 1998-06-26 Brother Ind Ltd 入力装置
US6377685B1 (en) * 1999-04-23 2002-04-23 Ravi C. Krishnan Cluster key arrangement
JP4582863B2 (ja) 2000-05-22 2010-11-17 株式会社バンダイナムコゲームス 立体視映像表示装置、及び情報記憶媒体
US6888537B2 (en) * 2002-02-13 2005-05-03 Siemens Technology-To-Business Center, Llc Configurable industrial input devices that use electrically conductive elastomer
US7456823B2 (en) * 2002-06-14 2008-11-25 Sony Corporation User interface apparatus and portable information apparatus
JP4115198B2 (ja) * 2002-08-02 2008-07-0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タッチパネルを備えた表示装置
US7453439B1 (en) * 2003-01-16 2008-11-18 Forward Input Inc. System and method for continuous stroke word-based text input
US7685538B2 (en) * 2003-01-31 2010-03-23 Wacom Co., Ltd. Method of triggering functions in a computer application using a digitizer having a stylus and a digitizer system
GB0312465D0 (en) 2003-05-30 2003-07-09 Therefore Ltd A data input method for a computing device
US20050044500A1 (en) * 2003-07-18 2005-02-24 Katsunori Orimoto Agent display device and agent display method
JP4037378B2 (ja) * 2004-03-26 2008-01-23 シャープ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画像出力装置、情報処理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2005332063A (ja) * 2004-05-18 2005-12-02 Sony Corp 触覚機能付き入力装置、情報入力方法及び電子機器
US20060001654A1 (en) * 2004-06-30 2006-01-05 National Semiconductor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performing data entry with light based touch screen displays
US7429993B2 (en) * 2004-09-17 2008-09-30 Microsoft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presenting functionally-transparent, unobtrusive on-screen windows
JP4631443B2 (ja) * 2005-01-13 2011-02-16 ソニー株式会社 触覚機能付きの入出力装置及び電子機器
JP4166229B2 (ja) 2005-03-14 2008-10-1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タッチパネルを備えた表示装置
US7382357B2 (en) * 2005-04-25 2008-06-03 Avago Technologies Ecbu Ip Pte Ltd User interface incorporating emulated hard keys
JP2006311224A (ja) 2005-04-28 2006-11-09 Nec Saitama Ltd 折り畳み型携帯電話機
US7609178B2 (en) * 2006-04-20 2009-10-27 Pressure Profile Systems, Inc. Reconfigurable tactile sensor input device
US7956846B2 (en) * 2006-01-05 2011-06-07 Apple Inc.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content-dependent touch sensitivity
JP2008033739A (ja) * 2006-07-31 2008-02-14 Sony Corp 力覚フィードバックおよび圧力測定に基づくタッチスクリーンインターラクション方法および装置
JP4829070B2 (ja) 2006-10-23 2011-11-30 光洋電子工業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へのタッチ操作無効化方法およびタッチパネル式電子機器
CN101675410A (zh) * 2007-02-23 2010-03-17 Tp-I股份有限公司 使用数字装置中的指点设备的虚拟键盘输入系统
JP2008225690A (ja) * 2007-03-09 2008-09-25 Sony Corp 振動体、触覚機能付きの入力装置及び電子機器
US7973778B2 (en) * 2007-04-16 2011-07-05 Microsoft Corporation Visual simulation of touch pressure
JP2008305174A (ja) 2007-06-07 2008-12-18 Sony Corp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
TW200923758A (en) * 2007-11-27 2009-06-01 Wistron Corp A key-in method and a content display method of an electronic device, and the application thereof
JP5257197B2 (ja) * 2008-03-31 2013-08-07 住友化学株式会社 有機金属化合物供給装置
JP5100556B2 (ja) * 2008-07-30 2012-12-19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方法及び装置
US10983665B2 (en) * 2008-08-01 2021-04-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for implementing user interface
US20100039393A1 (en) * 2008-08-15 2010-02-18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Text entry on touch screen cellphones by different pressure levels
JP4746086B2 (ja) * 2008-12-25 2011-08-10 京セラ株式会社 入力装置
JP4746085B2 (ja) 2008-12-25 2011-08-10 京セラ株式会社 入力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53387A1 (en) * 2004-07-30 2006-03-09 Apple Computer, Inc. Operation of a computer with touch screen interface
JP2008123453A (ja) * 2006-11-15 2008-05-29 Sony Corp 基板支持振動構造、触覚機能付きの入力装置及び電子機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372502A4 (en) 2012-06-13
JP4746085B2 (ja) 2011-08-10
KR20110082613A (ko) 2011-07-19
EP2372502A1 (en) 2011-10-05
US20110169765A1 (en) 2011-07-14
WO2010073729A1 (ja) 2010-07-01
CN102257459B (zh) 2015-04-08
US9448649B2 (en) 2016-09-20
CN102257459A (zh) 2011-11-23
JP2010152716A (ja) 2010-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3177B1 (ko) 입력 장치
KR101177239B1 (ko) 입력 장치
KR101287791B1 (ko) 입력 장치
US10871892B2 (en) Input device
JP5654114B2 (ja) タッチセンサを備えた電子機器
JP4723656B2 (ja) 入力装置
US20130318474A1 (en) Location of a touch-sensitive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JP5718475B2 (ja) 触感呈示装置
JP5519020B2 (ja) 入力装置および入力装置の制御方法
JP5461471B2 (ja) 入力装置および制御方法
EP2431849B1 (en) Location of a touch-sensitive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JP5774366B2 (ja) 入力装置および制御方法
JP5160683B2 (ja) 入力装置および入力装置の制御方法
JP5606984B2 (ja) 入力装置および入力装置の制御方法
JP2013058269A (ja) 入力装置および入力装置の制御方法
JP5518821B2 (ja) 入力装置および入力装置の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