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8874B1 - 1-팔미토일-3-아세틸글리세롤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1-팔미토일-2-리놀레오일-3-아세틸글리세롤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1-팔미토일-3-아세틸글리세롤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1-팔미토일-2-리놀레오일-3-아세틸글리세롤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8874B1
KR101278874B1 KR1020110096341A KR20110096341A KR101278874B1 KR 101278874 B1 KR101278874 B1 KR 101278874B1 KR 1020110096341 A KR1020110096341 A KR 1020110096341A KR 20110096341 A KR20110096341 A KR 20110096341A KR 101278874 B1 KR101278874 B1 KR 1012788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lmitoyl
acetylglycerol
linoleoyl
content
palmitoylglyce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63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32628A (ko
Inventor
이태석
육진수
유창현
이철민
김은경
이주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엔지켐생명과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201100963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8874B1/ko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엔지켐생명과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엔지켐생명과학
Priority to IN2166DEN2014 priority patent/IN2014DN02166A/en
Priority to JP2014531727A priority patent/JP5799171B2/ja
Priority to CA2849289A priority patent/CA2849289C/en
Priority to AU2012310342A priority patent/AU2012310342B2/en
Priority to US14/346,783 priority patent/US20140243548A1/en
Priority to RU2014116232/04A priority patent/RU2566826C1/ru
Priority to ES12834214.4T priority patent/ES2620103T3/es
Priority to EP12834214.4A priority patent/EP2759529B1/en
Priority to PCT/KR2012/007644 priority patent/WO2013043009A2/ko
Priority to CN201280046277.7A priority patent/CN103827075B/zh
Publication of KR201300326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26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88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8874B1/ko
Priority to US14/958,734 priority patent/US9701613B2/en
Priority to US15/448,728 priority patent/US20170183287A1/en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67/00Preparation of carboxylic acid esters
    • C07C67/08Preparation of carboxylic acid esters by reacting carboxylic acids or symmetrical anhydrides with the hydroxy or O-metal group of organic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67/00Preparation of carboxylic acid esters
    • C07C67/30Preparation of carboxylic acid esters by modifying the acid moiety of the ester, such modification not being an introduction of an ester group
    • C07C67/307Preparation of carboxylic acid esters by modifying the acid moiety of the ester, such modification not being an introduction of an ester group by introduction of halogen; by substitution of halogen atoms by other haloge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BGENERAL METHODS OF ORGANIC CHEMISTRY; APPARATUS THEREFOR
    • C07B57/00Separation of optically-active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67/00Preparation of carboxylic acid esters
    • C07C67/10Preparation of carboxylic acid esters by reacting carboxylic acids or symmetrical anhydrides with ester groups or with a carbon-halogen bond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67/00Preparation of carboxylic acid esters
    • C07C67/14Preparation of carboxylic acid esters from carboxylic acid hal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67/00Preparation of carboxylic acid esters
    • C07C67/48Separation; Purification; Stabilisation; Use of additives
    • C07C67/52Separation; Purification; Stabilisation; Use of additives by change in the physical state, e.g. crystallis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69/00Esters of carboxylic acids; Esters of carbonic or haloformic acids
    • C07C69/02Esters of acyclic saturated monocarboxylic acids having the carboxyl group bound to an acyclic carbon atom or to hydrogen
    • C07C69/22Esters of acyclic saturated monocarboxylic acids having the carboxyl group bound to an acyclic carbon atom or to hydrogen having three or more carbon atoms in the acid moiety
    • C07C69/30Esters of acyclic saturated monocarboxylic acids having the carboxyl group bound to an acyclic carbon atom or to hydrogen having three or more carbon atoms in the acid moiety esterified with trihydroxylic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69/00Esters of carboxylic acids; Esters of carbonic or haloformic acids
    • C07C69/34Esters of acyclic saturated polycarboxylic acids having an esterified carboxyl group bound to an acyclic carbon atom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BGENERAL METHODS OF ORGANIC CHEMISTRY; APPARATUS THEREFOR
    • C07B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pecific properties of organic compounds
    • C07B2200/07Optical isom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컬럼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정제 과정 없이, 고순도 및 고수율로 1-팔미토일-3-아세틸글리세롤을 제조하는 방법 및 이를 핵심 중간체로 사용하여 고순도 및 고수율로 1-팔미토일-2-리놀레오일-3-아세틸글리세롤을 제조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상기 1-팔미토일-3-아세틸글리세롤 제조방법은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1-팔미토일글리세롤을 아세틸화제와 반응시켜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1-팔미토일-3-아세틸글리세롤을 포함하는 반응 혼합물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반응 혼합물을 탄소수 5 내지 7의 포화탄화수소 용매 중에서 결정화시켜 상기 광학활성 1-팔미토일-3-아세틸글리세롤을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11074327964-pat00014

[화학식 2]
Figure 112011074327964-pat00015

상기 화학식 1 및 2는 라세믹체 또는 광학활성체이다.

Description

1-팔미토일-3-아세틸글리세롤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1-팔미토일-2-리놀레오일-3-아세틸글리세롤의 제조방법{Method for preparing of 1-palmitoyl-3-acetylglycerol and Method for preparing of 1-palmitoyl-2-linoleoyl-3-acetyl glycerol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1-팔미토일-3-아세틸글리세롤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1-팔미토일-2-리놀레오일-3-아세틸글리세롤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컬럼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정제 과정 없이, 고순도 및 고수율로 1-팔미토일-3-아세틸글리세롤을 제조하는 방법 및 이를 핵심 중간체로 사용하여 고순도 및 고수율로 1-팔미토일-2-리놀레오일-3-아세틸글리세롤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녹용의 한 성분인 rac-1-팔미토일-2-리놀레오일-3-아세틸글리세롤(rac-1-palmitoyl-2-linoleoyl-3-acetylglycerol)은 녹용의 클로로포름 추출물로부터 얻을 수 있는 조혈모세포 및 혈소판 전구세포 증식 촉진활성을 나타내는 활성성분 중 가장 활성이 강한 성분의 하나로 알려져 있다(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283010호 참조).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291743호에는 상기 rac-1-팔미토일-2-리놀레오일-3-아세틸글리세롤을 (a) 글리세롤로부터 합성하거나, (b) 포스파티딜콜린의 가아세트산 분해반응으로부터 얻는 두 가지 합성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a) 방법은 위치 선택성이 전혀 없이 글리세롤과 팔미틱산의 반응으로부터 생성된 생성물 중에서 1-팔미토일글리세롤을 컬럼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하여 분리하고, 분리한 1-팔미토일글리세롤을 다시 순차적으로 아세틸화 반응 후 컬럼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한 분리, 리놀레오일화 반응 후 컬럼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한 분리 등의 과정을 거쳐 목적화합물인 rac-1-팔미토일-2-리놀레오일-3-아세틸글리세롤을 얻는 것으로서, 상기 방법은 위치 선택성이 없어 매 단계마다 컬럼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하여 화합물을 분리 및 정제하여야 하므로 수율이 대단히 낮다는 단점이 있다(글리세롤로부터 약 3.21%). 더욱이, 상기 (a) 방법은 N,N'-디사이클로헥실카보디이미드(N,N'-dicyclohexylcarbodiimide: DCC)를 이용한 에스테르화 반응(Steglich esterification)으로서, DCC와 카르복실산의 부가체(adduct)에서 아실기가 이동하는 부반응이 일어나므로, 이를 억제하기 위하여 촉매로서 값비싼 4-디메틸아미노피리딘(4-dimethylaminopyridine: DMAP)을 1 당량 이상으로 다량 사용하여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부반응을 완전히 없앨 수는 없고, 반응의 부생성물로 디사이클로헥실우레아(dicyclohexylurea)가 생성되어 여과 및 추출로도 완전히 제거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통상적으로, 글리세롤의 1번, 2번 위치에 서로 다른 지방산의 에스테르기를 갖고 있으며 3번 위치에 아세틸기를 포함하는 글리세롤 유도체를 위치 선택적으로 합성하는 경우, 여러 가지 공지의 방법으로 글리세롤의 1번 위치에 위치 선택적으로 에스테르기를 도입한 후, 2번 위치의 히드록실기보다 반응성이 더 우수한 3번 위치의 히드록실기를 보호하고, 2번 위치에 에스테르기를 도입하여야 한다. 그러나, 상기 방법은 글리세롤의 1, 2 및 3번 위치에 위치 선택적으로 에스테르기를 도입할 수는 있으나, 글리세롤의 3번 위치에 유도체를 도입하기 위하여 보호기를 제거할 때 2번 위치의 에스테르기가 3번 위치로 전이되는 현상이 매우 심각하게 일어나게 된다(J. Org. Chem., 52(22), 4973 ~ 4977, 1987 참조). 또한, 보호기의 도입과 탈보호 반응 등을 거쳐야 하므로 합성단계가 길어지는 단점이 있다.
다만, 글리세롤의 1번 위치에 지방산의 에스테르기를 포함하며, 3번 위치에 아세틸기를 포함하는 글리세롤 유도체, 예를 들면,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1-팔미토일-3-아세틸글리세롤(1-palmitoyl-3-acetylglycerol)로부터 1-팔미토일-2-리놀레오일-3-아세틸글리세롤(1-palmitoyl-2-linoleoyl-3-acetylglycerol)을 합성할 경우, 상기 단점들을 극복할 수 있으므로, 라세믹(racemic) 또는 광학활성 1-팔미토일-3-아세틸글리세롤을 순수한 형태로 합성할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화학식 1]
Figure 112011074327964-pat00001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컬럼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분리 및 정제과정 없이, 라세믹(racemic) 또는 광학활성 1-팔미토일-3-아세틸글리세롤을 고순도 및 고수율로 제조할 수 있는 새로운 1-팔미토일-3-아세틸글리세롤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1-팔미토일-3-아세틸글레세롤을 중간체로 사용하여, 컬럼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분리 및 정제과정 없이, 라세믹(racemic) 또는 광학활성 1-팔미토일-2-리놀레오일-3-아세틸글리세롤을 고순도 및 고수율로 제조할 수 있는 새로운 1-팔미토일-2-리놀레오일-3-아세틸글리세롤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1-팔미토일글리세롤을 아세틸화제와 반응시켜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1-팔미토일-3-아세틸글리세롤을 포함하는 반응 혼합물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반응 혼합물을 탄소수 5 내지 7의 포화탄화수소 용매 중에서 결정화시켜 상기 광학활성 1-팔미토일-3-아세틸글리세롤을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1-팔미토일-3-아세틸글리세롤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11074327964-pat00002
[화학식 2]
Figure 112011074327964-pat00003
상기 화학식 1 및 2는 라세믹체 또는 광학활성체이다.
본 발명은, 또한, 유기 염기의 존재 하에, 리놀레산을 피발로일클로라이드와 비극성 유기용매 중에서 반응시켜 혼성 무수물(mixed anhydride)을 제조하는 단계; 및 4-디메틸아미노피리딘의 존재 하에, 상기 1-팔미토일-3-아세틸글리세롤 및 혼성 무수물을 반응시켜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1-팔미토일-2-리놀레오일-3-아세틸글리세롤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1-팔미토일-2-리놀레오일-3-아세틸글리세롤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화학식 3]
Figure 112011074327964-pat00004
상기 화학식 3은 라세믹체 또는 광학활성체이다.
본 발명에 따른 1-팔미토일-3-아세틸글리세롤의 제조방법은, 1-팔미토일-3-아세틸글리세롤(라세믹체 또는 광학활성체)을 컬럼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분리 및 정제 과정이 없이, 고순도 및 고수율로 간단한 공정(아세틸화 단계 및 결정화 단계)을 통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1-팔미토일-2-리놀레오일-3-아세틸글리세롤의 제조방법은, 상기 1-팔미토일-3-아세틸글리세롤을 중간체로 사용하고, 커플링 시약(피발로일클로라이드)을 사용하여, 1-팔미토일-2-리놀레오일-3-아세틸글리세롤(라세믹체 또는 광학활성체)을 컬럼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분리 및 정제 과정이 없이, 고순도(98% 이상) 및 고수율로 제조할 수 있어, 대량생산에 적합하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1-팔미토일-3-아세틸글리세롤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1-팔미토일-2-리놀레오일-3-아세틸글리세롤의 제조방법은 컬럼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분리 및 정제 과정이 없이, 고순도 및 고수율로 1-팔미토일-2-리놀레오일-3-아세틸글리세롤(라세믹체 또는 광학활성체) 및 그의 중간체인 1-팔미토일-3-아세틸글리세롤(라세믹체 또는 광학활성체)을 제조하는 방법이다.
본 발명에 따라,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1-팔미토일-3-아세틸글리세롤(1-palmitoyl-3-acetylglycerol)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먼저, 출발물질로서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1-팔미토일글리세롤(1-palmitoylglycerol)을 아세틸화제와 반응(아세틸화 반응)시켜 상기 1-팔미토일-3-아세틸글리세롤을 포함하는 반응 혼합물을 형성한다.
Figure 112011074327964-pat00005
Figure 112011074327964-pat00006
상기 화학식 1 및 2는 라세믹체 또는 광학활성체이다.
상기 아세틸화 반응 수행 시 상기 1-팔미토일-3-아세틸글리세롤(1-palmitoyl-3-acetylglycerol) 외에도 부반응 생성물로서 1-팔미토일-2-아세틸글리세롤(1-palmitoyl-2-acetylglycerol) 및 1-팔미토일-2,3-디아세틸글리세롤(1-palmitoyl-2,3-diacetylglycerol)이 생성되게 된다. 이에 본 연구진은 자세한 반응 메카니즘 연구를 통하여, 아세틸화 반응 시 1-팔미토일-2-아세틸글리세롤은 아세틸화 반응 초기 1-팔미토일글리세롤의 2번과 3번 위치의 히드록실(hydroxyl)기의 경쟁반응에 의하여 생성되며, 생성된 부산물인 1-팔미토일-2-아세틸글리세롤의 3번 위치의 히드록실기는 출발물질인 1-팔미토일글리세롤의 3번 위치의 히드록실기와 경쟁반응하며 아세틸화되어 부산물인 1-팔미토일-2,3-아세틸글리세롤을 생성한다는 것을 알아내었다. 따라서, 본 연구진은 이러한 반응 메카니즘을 이용하여 반응완결 시 반응 혼합물 중에 존재하는 화합물의 종류를 단순화시키기 위하여, 아세틸화 반응 시 아세틸화제의 양을 조절하여 부산물인 1-팔미토일-2-아세틸글리세롤을 모두 1-팔미토일-2,3-디아세틸글리세롤로 전환시키고, 또한, 출발물질(1-팔미토일글리세롤)도 전혀 존재하지 않는 정도로 사용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반응시킬 때 4종류의 화합물(1-팔미토일-3-아세틸글리세롤, 1-팔미토일-2-아세틸글리세롤, 1-팔미토일-2,3-디아세틸글리세롤 및 미반응 1-팔미토일글리세롤)이 존재하는 반응 혼합물을 1-팔미토일-3-아세틸글리세롤 및 부산물인 1-팔미토일-2,3-디아세틸글리세롤의 단 두 가지 화합물만 존재하도록 단순화시키는 데 성공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아세틸화 반응에 있어서 출발물질 및 부산물인 1-팔미토일-2-아세틸글리세롤을 최대한 없애는 것은 매우 중요한 사항으로서, 만일 이들이 남아 있게 되면, 1-팔미토일-3-아세틸글리세롤만을 순수하게 정제하는 정제방법(결정화 단계)에서 제거되지 않고 잔류하게 되며, 최종적으로 1-팔미토일-2-리놀레오일-3-아세틸글리세롤(1-palmitoyl-2-linoleoyl-3-acetylglycerol)을 합성하는 데 있어서, 부생성물인 1-팔미토일-2,3-리놀레오일글리세롤(1-palmitoyl-2,3-linoleoylglycerol) 또는 1-팔미토일-2-아세틸-3-리놀레오일글리세롤(1-palmitoyl-2-acetyl-3-linoleoyl glycerol)의 생성의 원인이 되고, 이를 컬럼크로마토그래피를 사용하여 제거해야 하기 때문에 정제가 매우 힘들게 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아세틸화제로는 아세틸클로라이드, 아세틸브로마이드, 이들의 혼합물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아세틸화제의 함량은 상기 1-팔미토일글리세롤에 대하여 1.3 내지 1.4 당량, 바람직하게는 1.31 내지 1.35 당량이다. 상기 아세틸화제의 함량이 상기 1-팔미토일글리세롤에 대하여 1.3 당량 미만이면, 반응 혼합물에 미반응 1-팔미토일글리세롤 및 1-팔미토일-2-아세틸글리세롤이 존재할 우려가 있으며, 1.4 당량을 초과하면, 생성된 1-팔미토일-3-아세틸글리세롤이 더욱 아세틸화 반응을 수행하여 1-팔미토일-2,3-아세틸글리세롤을 생성하므로, 1-팔미토일-3-아세틸글리세롤의 수율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상기 아세틸화 반응은, 용매 중에서 유기 염기 존재 하에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유기 염기로는 피리딘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유기 염기의 함량은 상기 1-팔미토일글리세롤에 대하여 1.3 내지 5 당량, 바람직하게는 2 내지 4.5 당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3 내지 4 당량이다. 상기 유기 염기의 함량이 상기 1-팔미토일글리세롤에 대하여 1.3 당량 미만이면, 아세틸화 반응 시 생성되는 산을 전부 중화시키지 못할 우려가 있고, 5 당량을 초과하여도, 별다른 이점은 없다. 상기 용매로는 디클로로메탄,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이들의 혼합물 등의 비극성 비양성자성 용매, 바람직하게는 디클로로메탄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용매의 함량은 상기 1-팔미토일글리세롤 중량에 대한 부피비로서 5 내지 10배, 바람직하게는 8 내지 10배이다. 상기 용매의 함량이 너무 적으면, 반응 시 석출되는 염에 의하여 교반이 원활하지 않을 우려가 있고, 너무 많아도 별다른 이점은 없다.
다음으로, 상기 반응 혼합물을 탄소수 5 내지 7의 포화탄화수소 용매 중에서 결정화시켜 상기 1-팔미토일-3-아세틸글리세롤을 분리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1-팔미토일-3-아세틸글리세롤 및 부산물인 1-팔미토일-2,3-아세틸글리세롤이 포함된 반응 혼합물을 펜탄, 헥산, 헵탄과 같은 탄소수 5 내지 7의 포화탄화수소 용매, 바람직하게는 헥산 중에서 용해시킨 후, 0 내지 15℃,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0℃의 결정화 온도로 냉각하면, 상기 용매에 대하여 높은 용해도를 갖는 1-팔미토일-2,3-아세틸글리세롤은 계속 용해되어 있는 반면, 1-팔미토일-3-아세틸글리세롤은 순수하게 결정화된다. 결정화된 1-팔미토일-3-아세틸글리세롤을 여과하여, 1-팔미토일-2-리놀레오일-3-아세틸글리세롤의 합성 시 부산물을 발생시키는 불순물이 없는, 상온에서 고체상태의 화합물인 1-팔미토일-3-아세틸글리세롤을 간단하게 비교적 높은 수율(예를 들어, 60 내지 65%) 및 고순도로 얻을 수 있었다. 상기 포화탄화수소 용매의 함량은 상기 반응 혼합물 중량에 대한 부피비로서 2.5 내지 5배, 바람직하게는 3 내지 4배이다. 상기 용매의 함량이 너무 적으면, 결정화 과정에서 반응 혼합물의 교반이 어려워지며, 너무 많으면, 결정화된 1-팔미토일-3-아세틸글리세롤의 수율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에 따라,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1-팔미토일-2-리놀레오일-3-아세틸글리세롤(1-palmitoyl-2-linoleoyl-3-acetylglycerol)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a) 상기 1-팔미토일-3-아세틸글리세롤의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1-팔미토일-3-아세틸글리세롤을 제조하고, (b) 유기 염기의 존재 하에, 리놀레산(linoleic acid)을 피발로일클로라이드(pivaloyl chloride)와 비극성 유기용매 중에서 반응시켜, 리놀레산의 활성화된 형태인 혼성 무수물(mixed anhydride,
Figure 112011074327964-pat00007
)을 제조한 다음, (c) 4-디메틸아미노피리딘(4-dimethylamino pyridine: DMAP)의 존재 하에,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1-팔미토일-3-아세틸글리세롤 및 상기 혼성 무수물을 반응시켜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1-팔미토일-2-리놀레오일-3-아세틸글리세롤을 제조한다.
Figure 112011074327964-pat00008
상기 화학식 3은 라세믹체 또는 광학활성체이다.
상기 리놀레산 및 피발로일클로라이드를 반응시키는 단계((b) 단계)은, 통상적인 비극성 유기용매 중에서 잘 진행되지만 생성물의 정제의 용이성 및 제품으로의 개발 시 잔류용매 등을 고려하여 펜탄, 헥산, 헵탄 등의 탄소수 5 내지 7의 포화탄화수소 용매, 이들의 혼합물 중에서 반응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유기 염기는 리놀레산과 피발로일클로라이드의 반응에서 발생하는 염산(HCl), 및 제조된 혼성 무수물과 상기 1-팔미토일-3-아세틸글리세롤이 반응 시 발생하는 피발산(pivalic acid)을 중화키기 위한 것으로서, 트리에틸아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리놀레산 및 피발로일클로라이드를 반응시키는 단계((b) 단계)에서, 상기 리놀레산의 사용량은 상기 1-팔미토일-3-아세틸글리세롤에 대하여 1 내지 1.05 당량, 바람직하게는 1.01 내지 1.04 당량이고, 상기 피발로일클로라이드는 리놀레산보다 적거나 같은 양을 사용하여야 하며, 예를 들어, 상기 피발로일클로라이드의 함량은 상기 리놀레산에 대하여 0.97 내지 1 당량, 바람직하게는 0.98 내지 0.99 당량이다. 상기 리놀레산의 함량이 상기 1-팔미토일-3-아세틸글리세롤에 대하여 1 당량 미만이면, 1-팔미토일-2-리놀레오일-3-아세틸글리세롤 제조 시, 미반응 1-팔미토일-3-아세틸글리세롤이 존재할 우려가 있으며, 1.05 당량을 초과하면, 별다른 장점은 없고 잔류(미반응) 리놀레산의 제거가 어려워질 우려가 있다. 상기 피발로일클로라이드의 함량이 상기 범위를 벗어날 경우, 1-팔미토일-3-아세틸글리세롤과 반응하여 부생성물을 형성하거나, 미반응 리놀레산의 제거가 어려워질 우려가 있다. 상기 유기 염기의 함량은 상기 1-팔미토일글리세롤에 대하여 2 내지 3 당량, 바람직하게는 2.1 내지 2.3 당량이다. 상기 유기 염기의 함량이 상기 범위를 벗어날 경우, 반응 시 발생하는 염산(HCl) 및 피발산(pivalic acid)을 중화시키지 못하거나, 별다른 장점이 없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비극성 유기용매의 함량은 상기 1-팔미토일-3-아세틸글리세롤 중량에 대한 부피비로서 10 내지 15배, 바람직하게는 11 내지 12배이다. 상기 비극성 유기용매의 함량이 상기 1-팔미토일-3-아세틸글리세롤 중량에 대한 부피비로서 10배 미만이면, 반응물들의 교반이 어려워질 우려가 있고, 15배를 초과하여도, 특별한 장점은 없다.
상기 리놀레산 및 피발로일클로라이드를 반응시키는 단계((b) 단계)의 반응 온도는 15 내지 25℃,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24℃이고, 반응 시간은 30 내지 60분,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50분이다. 상기 반응 온도 및 반응 시간이 상기 범위를 벗어날 경우, 반응 진행이 느려지거나, 미반응물이 잔류할 우려가 있으며, 별다른 장점은 없다.
상기 혼성 무수물 및 1-팔미토일-3-아세틸글리세롤을 반응시키는 단계((c) 단계)는, 상기 혼성 무수물을 포함하는 반응 혼합물에 상기 1-팔미토일-3-아세틸글리세롤 및 촉매로서 4-디메틸아미노피리딘(DMAP)을 첨가한 후, 20 내지 40℃,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35℃의 온도에서, 4 내지 10시간, 바람직하게는 5 내지 6시간동안, 혼성 무수물 및 1-팔미토일-3-아세틸글리세롤을 반응시키는 단계이다. 상기 단계에서 제조되는 상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1-팔미토일-2-리놀레오일-3-아세틸글리세롤은, 컬럼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한 정제과정 없이도 약간의 정제공정, 예를 들면 통상의 추출 및 흡착 공정을 거치면 98% 이상의 고순도와 70% 이상의 고수율로 얻을 수 있다.
상기 4-디메틸아미노피리딘의 함량은 상기 1-팔미토일-3-아세틸글리세롤 100몰부에 대하여 1 내지 10몰부, 바람직하게는 1.1 내지 5몰부이다. 상기 4-디메틸아미노피리딘의 함량이 상기 1-팔미토일-3-아세틸글리세롤 100몰부에 대하여 1몰부 미만이면, 반응이 진행되지 않거나 느려질 우려가 있고, 10몰부를 초과하여도, 특별한 장점은 없다. 상기 반응 온도가 20℃ 미만이면, 반응 진행이 느려질 우려가 있고, 40℃를 초과하면, 부생성물이 생성될 우려가 있을 뿐 별다른 장점은 없다. 또한, 상기 반응 시간이 4시간 미만이면, 반응이 완전히 진행되지 못하여 미 반응물이 잔류할 우려가 있으며, 10시간을 초과하여도, 별다른 장점은 없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rac -1- 팔미토일 -3-아세틸글리세롤의 제조
rac-1-팔미토일글리세롤 250.0g을 디클로로메탄 2,500ml에 넣고 피리딘 183.4ml를 가한 후, 온도를 34 내지 35℃까지 가열하여 rac-1-팔미토일글리세롤을 모두 용해시킨 후, 다시 온도를 25℃까지 냉각하였다. 상기 반응물에 아세틸클로라이드 77.2g을 20 내지 25℃에서 천천히 적가하고, 약 1시간 동안 교반하여 반응시켰다. 반응 종결 후, 물(H2O) 1,250ml 및 진한 염산(c-HCl) 125.8ml를 가하여 pH를 2 내지 3 정도로 조정하여 층분리 시켰다. 유기층을 분리한 후, 유기층에 무수 황산마그네슘(MgSO4) 28g을 가하여 10분간 교반한 후, 황산마그네슘을 여과하여 제거하고, 여액을 감압농축시켰다. 잔류물에 헥산 845ml를 가한 후 교반하면서 0 내지 5℃로 냉각하여 결정을 석출시켰다. 약 30분간 결정을 숙성시킨 후, 여과하고 30℃에서 건조하여 rac-1-팔미토일-3-아세틸글리세롤 172.25g을 얻었다{수율: 61%, mp: 42 ~ 43.5℃, 1H NMR (250MHz, CDCl3): δ 0.88(t, J=7.5Hz, 3H), 1.16 - 1.25(m, 24H), 1.62(m, 2H), 2.06(s, 3H), 2.37(t, J=7.5Hz, 2H), 2.43(d, J=4.25Hz, 1H), 4.03 - 4.21(m, 5H)}.
[실시예 2] (R)-1- 팔미토일 -3-아세틸글리세롤의 제조
상기 rac-1-팔미토일글리세롤 대신 (R)-1-팔미토일글리세롤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R)-1-팔미토일-3-아세틸글리세롤 170.14g을 얻었다{수율: 60%, mp: 37 ~ 37.5℃, [α]D = -0.83 (c=0.65, EtOH), 1H NMR (250MHz, CDCl3): δ 0.88(t, J=7.5Hz, 3H), 1.17 - 1.25(m, 24H), 1.62(m, 2H), 2.07(s, 3H), 2.37(t, J=7.5Hz, 2H), 2.43(d, J=4.25Hz, 1H), 4.03 - 4.22(m, 5H)}.
[실시예 3] rac -1- 팔미토일 -2- 리놀레오일 -3-아세틸글리세롤의 제조
리놀레산(linoleic acid, 99%) 2.89g 및 1.262ml의 피발로일클로라이드(pivaloyl chloride)를 헥산(hexane) 28.9ml에 넣고, 트리에틸아민(triethylamine) 2.857ml를 용액의 온도를 20 내지 25℃로 유지하면서 천천히 적가하여 넣은 후, 30분간 교반하여 혼성 무수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혼성 무수물이 포함된 반응 혼합물에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rac-1-팔미토일-3-아세틸글리세롤 3.726g 및 4-디메틸아미노피리딘(DMAP) 61mg를 넣은 후, 25~35℃에서 6시간 동안 교반하고, 추출 및 흡착 공정 등으로 정제하여 rac-1-팔미토일-2-리놀레오일-3-아세틸글리세롤 4.63g을 얻었다(수율: 72.9%).
[실시예 4] (R)-1- 팔미토일 -2- 리놀레오일 -3-아세틸글리세롤의 제조
상기 rac-1-팔미토일-3-아세틸글리세롤 대신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된 (R)-1-팔미토일-3-아세틸글리세롤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R)-1-팔미토일-2-리놀레오일-3-아세틸글리세롤 4.47g을 얻었다(수율: 70.39%).

Claims (8)

  1.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1-팔미토일글리세롤을, 상기 1-팔미토일글리세롤에 대하여 1.3 내지 1.4 당량의 아세틸화제와 반응시켜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1-팔미토일-3-아세틸글리세롤을 포함하는 반응 혼합물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반응 혼합물을 탄소수 5 내지 7의 포화탄화수소 용매 중에서 결정화시켜 상기 광학활성 1-팔미토일-3-아세틸글리세롤을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1-팔미토일-3-아세틸글리세롤 제조방법.
    [화학식 1]
    Figure 112013005031861-pat00009

    [화학식 2]
    Figure 112013005031861-pat00010

    상기 화학식 1 및 2는 라세믹체 또는 광학활성체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세틸화제는 아세틸클로라이드, 아세틸브로마이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인 1-팔미토일-3-아세틸글리세롤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화탄화수소 용매의 함량은 상기 반응 혼합물 중량에 대한 부피비로서 2.5 내지 5배이며, 상기 결정화 온도는 0 내지 15℃인 것인 1-팔미토일-3-아세틸글리세롤 제조방법.
  4.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1-팔미토일글리세롤을, 상기 1-팔미토일글리세롤에 대하여 1.3 내지 1.4 당량의 아세틸화제와 반응시켜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1-팔미토일-3-아세틸글리세롤을 포함하는 반응 혼합물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반응 혼합물을 탄소수 5 내지 7의 포화탄화수소 용매 중에서 결정화시켜 상기 1-팔미토일-3-아세틸글리세롤을 분리하는 단계;
    유기 염기의 존재 하에, 리놀레산을 피발로일클로라이드와 비극성 유기용매 중에서 반응시켜 혼성 무수물(mixed anhydride)을 제조하는 단계; 및
    4-디메틸아미노피리딘의 존재 하에, 상기 1-팔미토일-3-아세틸글리세롤 및 혼성 무수물을 반응시켜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1-팔미토일-2-리놀레오일-3-아세틸글리세롤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비극성 유기용매는 탄소수 5 내지 7의 포화탄화수소 용매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1-팔미토일-2-리놀레오일-3-아세틸글리세롤 제조방법.
    [화학식 1]
    Figure 112013005031861-pat00011

    [화학식 2]
    Figure 112013005031861-pat00012

    [화학식 3]
    Figure 112013005031861-pat00013

    상기 화학식 1 내지 3은 라세믹체 또는 광학활성체이다.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아세틸화제는 아세틸클로라이드, 아세틸브로마이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인 1-팔미토일-2-리놀레오일-3-아세틸글리세롤 제조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포화탄화수소 용매의 함량은 상기 반응 혼합물 중량에 대한 부피비로서 2.5 내지 5배이며, 상기 결정화 온도는 0 내지 15℃인 것인 1-팔미토일-2-리놀레오일-3-아세틸글리세롤 제조방법.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리놀레산의 함량은 상기 1-팔미토일-3-아세틸글리세롤에 대하여 1 내지 1.05 당량이고, 상기 피발로일클로라이드의 함량은 상기 리놀레산에 대하여 0.97 내지 1 당량이고, 상기 유기 염기의 함량은 상기 1-팔미토일글리세롤에 대하여 2 내지 3 당량이고, 상기 비극성 유기용매의 함량은 상기 1-팔미토일-3-아세틸글리세롤 중량에 대한 부피비로서 10 내지 15배이며, 상기 4-디메틸아미노피리딘의 함량은 상기 1-팔미토일-3-아세틸글리세롤 100몰부에 대하여 1 내지 10몰부인 것인 1-팔미토일-2-리놀레오일-3-아세틸글리세롤 제조방법.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염기는 트리에틸아민인 것인 1-팔미토일-2-리놀레오일-3-아세틸글리세롤 제조방법.
KR1020110096341A 2011-09-23 2011-09-23 1-팔미토일-3-아세틸글리세롤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1-팔미토일-2-리놀레오일-3-아세틸글리세롤의 제조방법 KR1012788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6341A KR101278874B1 (ko) 2011-09-23 2011-09-23 1-팔미토일-3-아세틸글리세롤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1-팔미토일-2-리놀레오일-3-아세틸글리세롤의 제조방법
EP12834214.4A EP2759529B1 (en) 2011-09-23 2012-09-24 Preparation method of 1-palmitoyl-3-acetylglycerol, and preparation method of 1-palmitoyl-2-linoleoyl-3-acetylglycerol using same
CA2849289A CA2849289C (en) 2011-09-23 2012-09-24 Preparation method of 1-palmitoyl-3-acetylglycerol, and preparation method of 1-palmitoyl-2-linoleoyl-3-acetylglycerol using same
AU2012310342A AU2012310342B2 (en) 2011-09-23 2012-09-24 Preparation method of 1-palmitoyl-3-acetylglycerol, and preparation method of 1-palmitoyl-2-linoleoyl-3-acetylglycerol using same
US14/346,783 US20140243548A1 (en) 2011-09-23 2012-09-24 Preparation method of 1-palmitoyl-3-acetylglycerol, and preparation method of 1-palmitoyl-2-linoleoyl-3-acetylglycerol using same
RU2014116232/04A RU2566826C1 (ru) 2011-09-23 2012-09-24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1-пальмитоил-3-ацетилглицерина и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1-пальмитоил-2-линолеоил-3-ацетилглицерина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этого соединения
IN2166DEN2014 IN2014DN02166A (ko) 2011-09-23 2012-09-24
JP2014531727A JP5799171B2 (ja) 2011-09-23 2012-09-24 1−パルミトイル−3−アセチルグリセロールの製造方法およびこれを利用した1−パルミトイル−2−リノレオイル−3−アセチルグリセロールの製造方法
PCT/KR2012/007644 WO2013043009A2 (ko) 2011-09-23 2012-09-24 1-팔미토일-3-아세틸글리세롤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1-팔미토일-2-리놀레오일-3-아세틸글리세롤의 제조방법
CN201280046277.7A CN103827075B (zh) 2011-09-23 2012-09-24 1-棕榈酰-3-乙酰基甘油的制备方法及使用其制备1-棕榈酰-2-亚油酰基-3-乙酰基甘油的方法
ES12834214.4T ES2620103T3 (es) 2011-09-23 2012-09-24 Método de preparación de 1-palmitoil-3-acetilglicerol y procedimiento de preparación de 1-palmitoil-2-linoleoil-3-acetilglicerol usando el mismo
US14/958,734 US9701613B2 (en) 2011-09-23 2015-12-03 Preparation method of 1-palmitoyl-3-acetylglycerol, and preparation method of 1-palmitoyl-2-linoleoyl-3-acetylglycerol using same
US15/448,728 US20170183287A1 (en) 2011-09-23 2017-03-03 Preparation method of 1-palmitoyl-3-acetylglycerol, and preparation method of 1-palmitoyl-2-linoleoyl-3-acetylglycerol us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6341A KR101278874B1 (ko) 2011-09-23 2011-09-23 1-팔미토일-3-아세틸글리세롤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1-팔미토일-2-리놀레오일-3-아세틸글리세롤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2628A KR20130032628A (ko) 2013-04-02
KR101278874B1 true KR101278874B1 (ko) 2013-06-26

Family

ID=479150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6341A KR101278874B1 (ko) 2011-09-23 2011-09-23 1-팔미토일-3-아세틸글리세롤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1-팔미토일-2-리놀레오일-3-아세틸글리세롤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3) US20140243548A1 (ko)
EP (1) EP2759529B1 (ko)
JP (1) JP5799171B2 (ko)
KR (1) KR101278874B1 (ko)
CN (1) CN103827075B (ko)
AU (1) AU2012310342B2 (ko)
CA (1) CA2849289C (ko)
ES (1) ES2620103T3 (ko)
IN (1) IN2014DN02166A (ko)
RU (1) RU2566826C1 (ko)
WO (1) WO2013043009A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82629A2 (ko) 2015-11-09 2017-05-18 주식회사 엔지켐생명과학 점막염의 치료 방법
EP3808729A1 (en) 2019-10-15 2021-04-21 Enzychem Lifesciences Corporation Method for producing 1-palmitoyl-2-linoleoyl-3-acetyl glycerol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8874B1 (ko) 2011-09-23 2013-06-26 주식회사 엔지켐생명과학 1-팔미토일-3-아세틸글리세롤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1-팔미토일-2-리놀레오일-3-아세틸글리세롤의 제조방법
CN105658213A (zh) 2013-08-19 2016-06-08 Enzychem生命科学株式会社 含有以单乙酰基二酰基甘油化合物作为有效成分的哮喘的预防或者治疗用组合物
US10555923B2 (en) 2015-11-14 2020-02-11 Enzychem Lifesciences Corporation Method for treating paroxysmal nocturnal hemoglobinuria
WO2017082709A1 (ko) 2015-11-14 2017-05-18 주식회사 엔지켐생명과학 용혈성 요독 증후군의 치료 방법
WO2019106632A1 (en) 2017-11-30 2019-06-06 Enzychem Lifesciences Corporation Compositions for prevention or treatment of acute radiation syndrome
RU2758793C1 (ru) * 2021-03-29 2021-11-01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Новосибир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Технический Университет» Адаптивная стартер-генераторная систем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91743B1 (ko) 1997-11-20 2001-05-15 전길자 글리세롤 유도체의 제조방법
KR100754888B1 (ko) * 2004-03-22 2007-09-04 주식회사 엔지켐 글리세롤 유도체의 위치 선택적인 제조방법 및 그 중간체
KR100789323B1 (ko) 2005-07-20 2007-12-28 주식회사 엔지켐 글리세롤 유도체의 위치 선택적 제조방법 및 그 중간체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94438B2 (ja) * 1985-11-06 1994-11-24 株式会社ツムラ 新規なグリセリン誘導体
JPH0694438A (ja) 1992-09-14 1994-04-05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光切断法による外観検査装置
JP3408337B2 (ja) * 1994-10-05 2003-05-19 花王株式会社 グリセリン誘導体の製造法
JPH09110787A (ja) * 1995-10-11 1997-04-28 Hoechst Japan Ltd 無溶媒反応による1級アルコールとフェノールのアセチル化方法
DK0847994T3 (da) * 1996-12-11 2003-07-28 Hoffmann La Roche Fremgangsmåde til fremstilling af blandede anhydrider
DE69833333T2 (de) * 1997-11-20 2006-10-19 Jhon, Gil Ja Pharmazeutische zusammensetzung enthaltend geweihextrakte von cervus nippon mit wachstumsstimulierender aktivität auf hematopoietische stammzellen und megakaryozyten
KR100283010B1 (ko) 1997-11-20 2001-04-02 전길자 녹용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혈모세포 및 혈소판 전구세포 증식촉진용 조성물
KR20010008387A (ko) * 2000-11-30 2001-02-05 이성권 결정화방법을 이용한 고순도 불포화지방산의 분리 정제 방법
KR20050118057A (ko) * 2004-04-24 2005-12-15 김상희 아세틸디아실글리세롤류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항암제 및 건강식품
WO2010006261A1 (en) * 2008-07-10 2010-01-14 Hong John J Methods for inducing stem cell migration and specialization with ec-18
KR101278874B1 (ko) 2011-09-23 2013-06-26 주식회사 엔지켐생명과학 1-팔미토일-3-아세틸글리세롤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1-팔미토일-2-리놀레오일-3-아세틸글리세롤의 제조방법
JP6094438B2 (ja) 2013-09-27 2017-03-1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内燃機関の制御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91743B1 (ko) 1997-11-20 2001-05-15 전길자 글리세롤 유도체의 제조방법
KR100754888B1 (ko) * 2004-03-22 2007-09-04 주식회사 엔지켐 글리세롤 유도체의 위치 선택적인 제조방법 및 그 중간체
KR100789323B1 (ko) 2005-07-20 2007-12-28 주식회사 엔지켐 글리세롤 유도체의 위치 선택적 제조방법 및 그 중간체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Han et al. Monoacetyldiglycerides as New Ca2+ Mobilizing Agents in Rat Pancreatic Acinar Cells. Bioorganic & Medicinal Chemistry Letters, vol.9, 1999, pp.59-64. *
Han et al. Monoacetyldiglycerides as New Ca2+ Mobilizing Agents in Rat Pancreatic Acinar Cells. Bioorganic & Medicinal Chemistry Letters, vol.9, 1999, pp.59-64.*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82629A2 (ko) 2015-11-09 2017-05-18 주식회사 엔지켐생명과학 점막염의 치료 방법
EP3808729A1 (en) 2019-10-15 2021-04-21 Enzychem Lifesciences Corporation Method for producing 1-palmitoyl-2-linoleoyl-3-acetyl glycerol
KR20210044619A (ko) * 2019-10-15 2021-04-23 주식회사 엔지켐생명과학 1-팔미토일-2-리놀레오일-3-아세틸 글리세롤의 제조 방법
KR102333606B1 (ko) * 2019-10-15 2021-12-01 주식회사 엔지켐생명과학 1-팔미토일-2-리놀레오일-3-아세틸 글리세롤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043009A3 (ko) 2013-05-30
AU2012310342A1 (en) 2014-04-03
US9701613B2 (en) 2017-07-11
WO2013043009A2 (ko) 2013-03-28
KR20130032628A (ko) 2013-04-02
IN2014DN02166A (ko) 2015-05-15
JP5799171B2 (ja) 2015-10-21
EP2759529B1 (en) 2016-12-21
US20160083329A1 (en) 2016-03-24
JP2014528945A (ja) 2014-10-30
ES2620103T3 (es) 2017-06-27
CA2849289C (en) 2016-05-10
CN103827075A (zh) 2014-05-28
EP2759529A4 (en) 2015-05-20
CA2849289A1 (en) 2013-03-28
CN103827075B (zh) 2015-09-16
EP2759529A2 (en) 2014-07-30
AU2012310342B2 (en) 2015-11-26
US20170183287A1 (en) 2017-06-29
RU2566826C1 (ru) 2015-10-27
US20140243548A1 (en) 2014-08-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8874B1 (ko) 1-팔미토일-3-아세틸글리세롤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1-팔미토일-2-리놀레오일-3-아세틸글리세롤의 제조방법
JP4717117B2 (ja) グリセロール誘導体の製造方法及びその中間体
US20150266803A1 (en) Method for preparing monoacetyglycerols and esters thereof
KR20120111929A (ko) 피리피로펜 유도체의 제조방법
EP2914574B1 (en) New process
CA2615832A1 (en) Method for producing nebivolol
JP2022503397A (ja) 高収率の血管漏出遮断薬の調製方法
KR100754888B1 (ko) 글리세롤 유도체의 위치 선택적인 제조방법 및 그 중간체
KR102333606B1 (ko) 1-팔미토일-2-리놀레오일-3-아세틸 글리세롤의 제조 방법
JP3193597B2 (ja) グリシン誘導体の製造方法
KR101350540B1 (ko) 엘-3-오-알킬 아스코르빈산의 제조방법
JP3979743B2 (ja) 光学活性なビニルホスフィンオキシドの製造方法
WO2022195288A1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an n-acylethanolamide derivative
CN110577551A (zh) 喜树碱-甘氨酸-5,6-二溴去甲斑蝥素结合物及其应用
KR100503022B1 (ko) 심바스타틴의 신규 제조방법 및 그에 사용되는 합성 중간체
Suzuka et al. Preparation of (Z)-3-acetoxy-5-carbomethoxy-l-cyclohexene
JP3876079B2 (ja) 1,24−ジヒドロキシコレステロール類の製造法
EP1990334A1 (en) Usage of poly-3-hydroxyalkanoates in preparation of beta-lactam compounds
JP2003246781A (ja) オキサゾール化合物の製造方法
CN1903868A (zh) 依托泊苷磷酸酯的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