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7001B1 - 열교환기 - Google Patents

열교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7001B1
KR101277001B1 KR1020117003860A KR20117003860A KR101277001B1 KR 101277001 B1 KR101277001 B1 KR 101277001B1 KR 1020117003860 A KR1020117003860 A KR 1020117003860A KR 20117003860 A KR20117003860 A KR 20117003860A KR 101277001 B1 KR101277001 B1 KR 1012770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rectifying plate
bare
tube portion
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038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43698A (ko
Inventor
세이지 가가와
모리토시 무라카미
유이치로 사토
나오유키 가미야마
츠요시 미야지
Original Assignee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436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36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70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70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B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 F22B37/00Component parts or details of steam boilers
    • F22B37/02Component parts or details of steam boilers applicable to more than one kind or type of steam boiler
    • F22B37/40Arrangements of partition walls in flues of steam boilers, e.g. built-up from baff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B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 F22B1/00Methods of steam generation characterised by form of heating method
    • F22B1/02Methods of steam generation characterised by form of heating method by exploitation of the heat content of hot heat carriers
    • F22B1/18Methods of steam generation characterised by form of heating method by exploitation of the heat content of hot heat carriers the heat carrier being a hot gas, e.g. waste gas such as exhaust gas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13/00Fittings for chimneys or flu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MCASINGS, LININGS, WALLS OR DOORS SPECIALLY ADAPTED FOR COMBUSTION CHAMBERS, e.g. FIREBRIDGES; DEVICES FOR DEFLECTING AIR, FLAMES OR COMBUSTION PRODUCTS IN COMBUSTION CHAMBERS; SAFETY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COMBUSTION APPARATUS; DETAILS OF COMBUSTION CHAMB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3M9/00Baffles or deflectors for air or combustion products; Flame shields
    • F23M9/003Baffles or deflectors for air or combustion products; Flame shields in flue gas du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 Chimneys And Flues (AREA)

Abstract

덕트 확장부와 전열관 번들 수납 덕트와 전열관 번들 수납 덕트내에 배기가스에 유동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서 복수단 마련된 전열관 번들을 갖는 열교환기에 있어서, 각 전열관 번들의 베어 튜브부의 상류측 및 후류측에 각각 마련된 베어 튜브부 상류측 정류판 및 베어 튜브부 후류측 정류판과, 덕트 확장부내에 및/또는 전열관 번들보다 상류측의 전열관 번들 수납 덕트내에 마련된 복수단의 도입부 정류판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것에 의해서, 각 전열관 번들의 베어 튜브부에 있어서의 편류를 대폭적으로 경감할 수 있다.

Description

열교환기{HEAT EXCHANGER}
본 발명은 열회수기 등의 열교환기에 있어서 열교환기 내를 흐르는 가스류를 균일하게 하는 열교환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연소 배기가스의 통로 중에 벤드부를 형성하여 지그재그 형상으로 배치된 전열관에 있어서, 편류(偏流)가 발생하는 노벽(爐壁) 근방의 벤드부의 마모가 크기 때문에, 이웃하는 벤드부 끼리 사이에, 노벽에 베플판(baffle plate)을 배치하여 편류를 방지한 것이 개시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또한, 화로의 후방측에 부측벽(副側壁)을 거쳐서 접속되며 또한 내부에 복수의 루프관으로부터 이루어지는 재열기 및 과열기가 배치되는 후방부 전열부를 구비한 석탄 보일러의 후방부 전열부의 루프관 마모 방지 장치에 있어서, 후방부 전열부를 구성하는 전열관벽에 있어서의 재열기 및 과열기의 루프관의 절곡 단부의 상측 위치에, 대략 수평방향으로 소정 폭을 갖고서 유로내로 장출(張出)하는 이로젼 배플(erosion baffle)을 장착하여, 해당 이로젼 배플의 전체면에 석탄재 유통 구멍을 마련한 것이 개시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2).
또한, 보일러 측벽의 열교환 튜브의 상부에 편류 방지판을 마련한 것이 개시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3).
또한, 석탄 보일러의 횡치형(橫置型) 열교환기에 관하여, 석탄재에 의한 전열관 튜브의 마모,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횡치 엘리먼트는 상부로부터 2단째가 베어 튜브(bare tube), 3단째 이하가 스파이럴 핀 튜브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단부와 측벽관 사이의 스페이스에는 가스가 많이 유입되어, 이 부근의 튜브가 손상하므로 편류 방지판을 마련한 것이 개시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4).
또한, 가스 터빈의 배기가스 등으로부터 열을 회수하는 배열 회수 장치에 관하여, 전면, 후면 및 측면 덕트 케이싱에 의하여 4면이 형성되고 내부를 배기가스가 통과하는 덕트와, 덕트내에 마련되고 배기가스의 유동 방향과 직교하도록 배치되고 측면 덕트 케이싱과 그 관축 길이방향이 평행한 복수개의 핀 부착 전열관에 의하여 형성된 핀 부착 전열관군을 구비한 배열 회수 장치에 있어서, 핀 부착 전열관군의 배기가스 상류측과 후류측의 양측면 덕트 케이싱의 내면에 각각 고정되고 상기 관축 길이방향을 따르는 핀 부착 전열관군의 단부를 덮도록 형성된 배플을 구비한 것이 개시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5).
이와 같이, 종래부터, 열교환기(전열관, 재열기, 가열기, 열교환 튜브, 전열관 튜브, 혹은 배열 회수 장치)에 있어서, 열교환기 내를 흐르는 가스류를 균일하게 하기 위하여, 각종 정류판(整流板)(베플판, 이로젼 배플, 편류 방지판, 혹은 배플)이 제안되어 있다.
그렇지만, 특허문헌 1 내지 5에 기재된 내용은 모두 열교환기의 근방 밖에 정류판이 마련되지 않아, 충분한 정류(편류의 경감) 효과를 얻을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일본 실용신안 공개 제 1985-128107 호 공보(일본 실용신안 출원 제 1984-12671 호) 일본 특허 공개 제 1996-110007 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 1999-72202 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 1999-118101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 1997-137906 호 공보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서, 대폭적으로 편류를 경감할 수 있는 열교환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문제점에 대하여 본 발명은 이하의 각 수단으로서 과제의 해결을 도모한다.
제 1 수단의 열교환기는, 덕트 확장부와 전열관 번들 수납 덕트와 상기 전열관 번들 수납 덕트내에 배기가스의 유동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단 마련된 전열관 번들을 가지는 열교환기에 있어서, 상기 각 전열관 번들의 베어 튜브부의 상류측 및 후류측에 각각 마련된 베어 튜브부 상류측 정류판 및 베어 튜브부 후류측 정류판과, 상기 덕트 확장부내에 및/또는 상기 전열관 번들보다 상류측의 상기 전열관 번들 수납 덕트내에 마련된 복수단의 도입부 정류판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2 수단의 열교환기는, 제 1 수단에 있어서, 상기 각 베어 튜브부 상류측 정류판 또는 상기 각 베어 튜브부 후류측 정류판이 평판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3 수단의 열교환기는, 제 1 수단에 있어서, 상기 각 베어 튜브부 상류측 정류판이 다수의 구멍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4 수단의 열교환기는, 제 3 수단에 있어서, 상기 각 베어 튜브부 상류측 정류판의 다수의 구멍의 개구율이 20% 내지 5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5 수단의 열교환기는, 제 3 또는 제 4 수단에 있어서, 상기 각 베어 튜브부 상류측 정류판과 상기 각 전열관 번들의 가장 상류측의 열매체 튜브 사이의 거리가 상기 구멍의 직경(D)의 10배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6 수단의 열교환기는, 제 1 수단에 있어서, 상기 각 도입부 정류판에는, 압손 계수(壓損係數)가 1 내지 3의 범위 내가 되도록 복수의 개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7 수단의 열교환기는, 제 1 수단에 있어서, 상기 복수단의 도입부 정류판이 띠 형상의 평판을 우물 정(井)자형으로 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8 수단의 열교환기는, 제 1 내지 제 7 수단 중 어느 하나의 수단에 있어서, 후류측의 상기 각 도입부 정류판에 형성된 복수의 개구가, 그 총면적이 상류측의 상기 도입부 정류판에 형성된 복수의 개구의 총면적과 동등하거나 혹은 보다 커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각 청구항에 따른 발명은, 상기의 각 수단을 채용하고 있어, 열교환기에 유입되는 배기가스는, 덕트 확장부내에 및/또는 상기 전열관 번들보다 상류측의 상기 전열관 번들 수납 덕트내에 마련된 복수단의 도입부 정류판에 의해서, 그 흐름이 정류되고, 정류된 배기가스가 각 전열관 번들로 흘러들어가므로, 각 전열관 번들의 베어 튜브부의 상류측 및 후류측에 각각 마련된 베어 튜브부 상류측 정류판 및 베어 튜브부 후류측 정류판에 의하여 편류를 대폭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열교환기를 채용한 화력 플랜트의 전체 구성도,
도 2는 도 1에 있어서의 열교환기의 확대 평면도,
도 3은 도 2에 있어서의 도입부 정류판의 구성도로서, (a)는 측면도, (b)는 정면도,
도 4는 도 2에 있어서의 핀 튜브부의 베어 튜브부 근방의 확대도.
(화력 플랜트의 개요)
우선, 도 1에 근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열교환기를 채용한 화력 플랜트의 전체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보일러(1)의 연료로서는 석탄, 석유 등이 사용되고 있으며, 보일러(1)로부터의 배기가스 중에는, 질소산화물(NOx), 유황산화물(SOx), 더스트 등의 대기오염 물질이 포함되어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일러(1)로부터 배출된 연소 배기가스는 촉매가 충전된 탈초(脫硝) 장치(2)로 도입된다.
탈초 장치(2)에 있어서, 환원제로서 주입되는 암모니아(NH3)에 의해, 배기가스 중의 NOX가 물과 질소로 환원되어 무해화(無害化)된다.
탈초 장치(2)로부터 배출된 고온의 배기가스의 온도는 에어 히터(A/H)를 경유하여, 일반적으로 120℃ 내지 150℃가 되고 있다.
이러한 고온의 배기가스는, 열교환기로서의 열회수 장치(3)로 도입되어, 열매체(물 등)와 열교환을 실행함으로써 열회수된다.
열회수 장치(3)로부터 배출된 배기가스 온도는 80℃ 내지 110℃가 된다.
또한, 열회수 장치(3)에 있어서 가열된 열매체는 열매체 순환 배관(8)을 거쳐서 후술하는 재가열 장치(6)로 보내진다.
이 열회수 장치(3)의 측부에는, 수트 블로어(soot blower) 장치가 마련되어 있다.
열회수 장치(3)로부터 배출된 저온의 배기가스는 합류하여 전기 집진 장치(4)로 도입되어서, 저온의 배기가스로부터 더스트가 제거된다.
더스트가 제거된 배기가스는 전동기에 의해 구동되는 송풍기(ID 팬)(10)에 의해 가압된다.
또한, 송풍기(10)는 마련되지 않는 경우도 있다.
그 후, 탈류(脫硫) 장치(5)로 도입된다.
탈류 장치(5)에 있어서, 석회석에 의해 배기가스 중의 SOX가 흡수 제거되어, 부생물로서 석고가 생성된다.
이 때, 탈류 장치(5)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는 일반적으로 45℃ 내지 55℃로 저하되어 있다.
이 배기가스를 그대로 대기에 방출하면, 저온이기 때문에 확산하기 어려워, 백연(흰 연기)가 되는 등의 문제가 생긴다.
따라서, 이 배기가스를 재가열 장치(6)로 도입하여, 열회수 장치(3)로부터 열매체 순환 배관(8)을 거쳐서 보내진 열매체에 의해 소정 온도 이상으로 가열하여, 굴뚝(7)으로부터 배출하고 있다.
또한, 도 1에는 보일러(1)의 예가 도시되어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내연기관, 가스 터빈, 소각로 등 각종 배기가스 발생원이 채용 가능하다.
또한, 화력 플랜트로서는, 화력 발전 플랜트, 쓰레기 등 소각 플랜트가 채용 가능하다.
(열교환기의 구성)
다음에, 도 2에 근거하여, 열교환기로서의 열회수 장치(3)의 상세한 내용을 설명한다.
또한, 열교환기로서는, 도 2에 도시한 열회수 장치(3) 이외에, 전열관, 재열기, 과열기, 열교환 튜브, 전열관 튜브 등이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탈초 장치(2)의 후류측의 배기가스 덕트(20)에는, 단면이 사각인 덕트 형상의 열회수 장치(3)가 접속되어 있다.
도 1에 도시한 탈초 장치(2)로부터 배출된 배기가스는 열회수 장치(3)로 도입되도록 되어 있다.
열회수 장치(3)는 배기가스 덕트(20)의 후류측에 접속된 덕트 확장부(21)와, 덕트 확장부(21)의 후류측에 접속된 전열관 번들 수납 덕트(22)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덕트 확장부(21)내에 및/또는 전열관 번들 수납 덕트(22)내에는, 이하와 같이 복수장의 정류판(23 내지 27)이 장착되어 있다.
<덕트내의 정류판>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덕트 확장부(21)내에는, 3장의 도입부 정류판(다공판)(23, 24, 25)이 장착되어 있다.
또한, 3장의 도입부 정류판(다공판)(23, 24, 25) 중 한장 혹은 전부를 전열관 번들 수납 덕트(22)내[핀 튜브부(15)보다 상류측]에 장착해도 좋다.
각 도입부 정류판(23, 24, 25)은, 도 3의 (a)의 측면도, 도 3의 (b)의 정면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복수 라인의 띠 형상의 가로 평판(Px)과 복수 라인의 띠 형상의 세로 평판(Py)을 종횡으로 우물 정자형으로 조합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 경우, 각 도입부 정류판(23, 24, 25)의 개구는 3장의 합계 압손 계수[도입부 정류판(23…)이 2장 밖에 없는 경우는 2장의 합계 압손 계수]가 1 내지 3의 범위내, 바람직하게는 2가 되도록 한다.
그리고, 배기가스 덕트(20)의 단면적을 So, 1단째 도입부 정류판(23)의 다수(복수)의 개구의 총단면적을 S1, 2단째 도입부 정류판(24)의 다수(복수)의 개구의 총단면적을 S2, 3단째 도입부 정류판(25)의 다수(복수)의 개구의 총단면적을 S3, 전열관 번들 수납 덕트(22)의 단면적을 Sd라고 하면,
S1 < S2 < S3 <Sd
가 되도록, 각 도입부 정류판(23, 24, 25)에 다수(복수)의 개구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적어도 3단째(가장 후류측)의 도입부 정류판(25)의 개구의 총단면적(S3)은 배기가스 덕트(20)의 단면적(So)보다 커지도록 한다.
이와 같이, 각 도입부 정류판(23, 24, 25)을, 다수(복수)의 개구의 총단면적이 후류로 감에 따라서 점차 커지도록 구성하는 것에 의해, 열회수 장치(3a, 3b)의 입구 부근의 애쉬 이로젼(ash erosion)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단면적(So) < 총단면적(S1) < 총단면적(S2) < 총단면적(S3) < 단면적(Sd), 혹은, 총단면적(S1) < 단면적(So) < 총단면적(S2) < 총단면적(S3) < 단면적(Sd), 또는, 총단면적(S1) < 총단면적(S2) < 단면적(So) < 총단면적(S3) < 단면적(Sd)이 되도록 한다.
이 경우, 도 3에 도시한 우물 정자형의 것에서는, 가로 평판(Px) 및 세로 평판(Py)의 개수를 동일하게 하고, 각 가로 평판(Px) 및/또는 세로 평판(Py)의 장착 간격을 후류측의 도입부 정류판(23, 24, 25)으로 감에 따라서 동등하게 혹은 넓게 하는 것에 의해, 다수(복수)의 개구의 총단면적(S1, S2, S3)이 후류로 감에 따라서 점차 커지도록 구성해도 좋다.
혹은, 다수(복수)의 개구의 크기는 동일하게 하고, 가로 평판(Px) 및 세로 평판(Py)의 개수를 후류측의 도입부 정류판(23, 24, 25)으로 감에 따라서 증가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또한, 도입부 정류판은 2장 혹은 4장 이상(복수장)으로 해도 좋다.
또한, 각 도입부 정류판(23, 24, 25)의 형상으로서는, 도 3에 도시한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평판에 다수의 원형의 구멍을 뚫은 형상의 것이어도 좋다.
또한, 가장 후류측의 도입부 정류판(25)은 전열관 번들 수납 덕트(22)내에 장착해도 좋다.
또한, 1단째 도입부 정류판(23)의 개구의 상하 좌우 방향의 위치와 2단째 도입부 정류판(24)의 개구의 상하 좌우 방향의 위치, 혹은 2단째 도입부 정류판(24)의 개구의 상하 좌우 방향의 위치와 3단째 도입부 정류판(25)의 개구의 상하 좌우 방향의 위치가 일치하지 않도록, 각 도입부 정류판(23, 24, 25)을 구성하는 것에 의해, 배기가스의 흐름을 보다 균일화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3에 도시한 구조의 것에서는, 후류측의 가로 평판(Px)과 세로 평판(Py)이 교차하는 개소의 상하 좌우 방향의 위치가 그 상류측의 개구(Si)의 상하 좌우 방향의 위치에 위치하도록 한다.
<전열관 번들 수납 덕트내의 정류판>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열회수 장치(3)의 전열관 번들 수납 덕트(22)내에는, 배기가스의 유동 방향으로 고온 전열관 번들(11), 중온 전열관 번들(12) 및 저온 전열관 번들(13)로 이루어지는 3단(복수단)의 전열관 번들이 간격을 두고서 장착되어 있다.
전열관 번들(11 내지 13)은 각각 복수열, 다수단의 핀 튜브부(전열부)(15)와, 인접하는 핀 튜브부(전열부)(15)의 단부를 접속하는 베어 튜브부(U자형 관부)(18)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각 전열관 번들(11 내지 13)의 상류단 및 후류단은 열회수 장치(3)의 벽면에 장착된 헤더(14)에 접속되어 있다.
각 헤더(14)에는, 도 1에 도시한 열매체 순환 배관(8)이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각 핀 튜브부(15)의 양단의 베어 튜브부(18)의 상류측 및 후류측에는, 베어 튜브부(18)을 덮도록 베어 튜브부 상류측 정류판(26) 및 베어 튜브부 후류측 정류판(27)이 장착되어 있다.
다음에, 도 4에 근거하여, 핀 튜브부(15)의 양단부에 장착된 베어 튜브부 상류측 정류판(26) 및 베어 튜브부 후류측 정류판(27)의 상세한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핀 튜브부(15)는 복수조의 직관(直管)의 열매체 튜브(16)와, 각 열매체 튜브(16)의 외주면에 장착된 나선형상의 전열 핀(17)과, 인접하는 열매체 튜브(16)의 단부끼리를 접속하는 베어 튜브부(18)로 구성되어 있다.
이 베어 튜브부(18)에는 전열 핀(17)이 장착되지 않으며, 더우기 베어 튜브부(18)는 전열관 번들 수납 덕트(22)내에 수납되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베어 튜브부(18)에서는 가스 숏패스(gas short-pass)를 일으킬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가스 숏패스를 방지할 수 있도록, 베어 튜브부(18)의 상류측 및 후류측의 전열관 번들 수납 덕트(22)내의 측벽에 베어 튜브부 상류측 정류판(26) 및 베어 튜브부 후류측 정류판(27)이 장착되어 있다.
이 베어 튜브부 상류측 정류판(26)에는, 직경(D)의 다수의 구멍이 뚫려져 있다.
이러한 다수의 구멍에 의한 개구율은 20% 내지 50%로 한다.
또한, 열매체 튜브(16)[베어 튜브부(18)의 상류단]와 베어 튜브부 상류측 정류판(26)의 거리(L)가 구멍의 직경(D)의 10배 이상이 되는 위치에 열매체 튜브(16)를 배치한다.
또한, 거리(L)/구멍의 직경(D)의 비의 상한은 인접하는 핀 튜브부(15, 15)간의 거리, 전열관 번들 수납 덕트(22)의 크기 등에 의해 필연적으로 결정된다.
한편, 베어 튜브부 후류측 정류판(27)은 솔리드의 것을 배치한다.
이러한 구조로 함으로써, 열매체 튜브(16)의 부분에 있어서의 배기가스의 흐름의 압손과, 베어 튜브부(18) 부분에 있어서의 배기가스의 흐름의 압손을 거의 동일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배기가스를 정류(편류의 경감)할 수 있다.
또한, 베어 튜브부 상류측 정류판(26) 및 베어 튜브부 후류측 정류판(27)의 쌍방 모두, 솔리드의 것으로 해도 좋거나, 혹은 쌍방 모두 다수의 구멍을 뚫은 것으로 해도 좋다.
또한, 베어 튜브부 상류측 정류판(26) 및 베어 튜브부 후류측 정류판(27)은 유지보수를 고려하여 착탈 가능한 것으로 한다.
(그 외의 실시형태)
이상, 본 발명의 각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의 각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내에서 각종 변경을 추가해도 좋다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1 : 보일러 2 : 탈초 장치
3 : 열회수 장치(열교환기) 4 : 전기 집진 장치
5 : 탈류 장치 6 : 재가열 장치
7 : 굴뚝 8 : 열매체 순환 배관
9 : 수트 블로어 장치 10 : 송풍기
11 : 고온 전열관 번들 12 : 중온 전열관 번들
13 : 저온 전열관 번들 14 : 헤더
15 : 핀 튜브부(전열부) 16 : 열매체 튜브
17 : 전열 핀 18 : 베어 튜브부(U자형 관부)
20 : 배기가스 덕트 21 : 덕트 확장부
22 : 전열관 번들 수납 덕트 23 : 1단째 도입부 정류판
24 : 2단째 도입부 정류판 25 : 3단째 도입부 정류판
26 : 베어 튜브부 상류측 정류판 27 : 베어 튜브부 후류측 정류판
So : 배기가스 덕트 단면적
S1 : 1단째 도입부 정류판의 개구의 총단면적
S2 : 2단째 도입부 정류판의 개구의 총단면적
S3 : 3단째 도입부 정류판의 개구의 총단면적
Sd : 전열관 번들 수납 덕트 단면적 Si : 도입부 정류판의 각 개구
D : 구멍의 직경 L : 거리
Px : 가로 평판 Py : 세로 평판

Claims (8)

  1. 덕트 확장부와, 전열관 번들 수납 덕트와, 상기 전열관 번들 수납 덕트내에 배기가스에 유동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서 복수단 마련된 전열관 번들을 갖는 열교환기에 있어서,
    상기 각 전열관 번들의 베어 튜브부의 상류측 및 후류측에 각각 마련된 베어 튜브부 상류측 정류판 및 베어 튜브부 후류측 정류판과,
    상기 덕트 확장부내에 마련된 복수단의 도입부 정류판을 구비하며,
    복수단의 상기 도입부 정류판은, 상류측의 상기 도입부 정류판의 개구의 상하 좌우 방향의 위치와 하류측의 상기 도입부 정류판의 개구의 상하 좌우 방향의 위치가 일치하지 않도록, 각 도입부 정류판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베어 튜브부 상류측 정류판 또는 상기 각 베어 튜브부 후류측 정류판은 평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베어 튜브부 상류측 정류판은 다수의 구멍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각 베어 튜브부 상류측 정류판의 다수의 구멍의 개구율은 20% 내지 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각 베어 튜브부 상류측 정류판과 상기 각 전열관 번들의 가장 상류측의 열매체 튜브 사이의 거리는 상기 구멍의 직경(D)의 10배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도입부 정류판에는, 압손 계수가 1 내지 3의 범위내가 되도록 복수의 개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단의 도입부 정류판은 띠 형상의 평판을 우물 정자형으로 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후류측의 상기 각 도입부 정류판에 형성된 복수의 개구는 그 총면적이 상류측의 상기 도입부 정류판에 뚫린 복수의 개구의 총면적과 동등하거나 혹은 보다 커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
KR1020117003860A 2009-03-18 2009-08-06 열교환기 KR10127700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065610A JP5010635B2 (ja) 2009-03-18 2009-03-18 熱交換器
JPJP-P-2009-065610 2009-03-18
PCT/JP2009/063965 WO2010106699A1 (ja) 2009-03-18 2009-08-06 熱交換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3698A KR20110043698A (ko) 2011-04-27
KR101277001B1 true KR101277001B1 (ko) 2013-06-24

Family

ID=427393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3860A KR101277001B1 (ko) 2009-03-18 2009-08-06 열교환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400102B2 (ko)
EP (1) EP2410241A4 (ko)
JP (1) JP5010635B2 (ko)
KR (1) KR101277001B1 (ko)
TW (1) TW201035494A (ko)
WO (1) WO201010669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21472B2 (ja) * 2011-02-28 2015-05-20 三菱重工業株式会社 熱交換器
JP5705717B2 (ja) * 2011-12-16 2015-04-22 東京エレクトロン株式会社 熱処理装置用熱交換器、及び、これを備えた熱処理装置
TWI547674B (zh) * 2012-11-01 2016-09-01 bao-ming Li Heat supply system for heat supply systems
JP6296233B2 (ja) * 2014-03-13 2018-03-20 株式会社Ihi 排ガスの整流構造、この整流構造を備えた排熱回収ボイラ及び整流方法
JP6373058B2 (ja) * 2014-05-19 2018-08-15 株式会社サムソン 管群構造ボイラ
JP2017032232A (ja) * 2015-08-04 2017-02-09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蒸発器及びランキンサイクルシステム
US10197272B2 (en) * 2015-09-25 2019-02-05 Fuel Tech, Inc. Process and apparatus for reducing acid plume
CN108700392A (zh) 2016-02-17 2018-10-23 株式会社Ihi 热处理装置
CN106090973B (zh) * 2016-06-22 2018-04-10 上海和衡能源科技发展有限公司 烟气处理系统及方法
JP2018109464A (ja) * 2016-12-28 2018-07-12 三菱重工業株式会社 熱交換器及び船舶
KR102288553B1 (ko) * 2017-01-30 2021-08-10 미츠비시 파워 가부시키가이샤 가스-가스 열교환기
KR101983969B1 (ko) * 2017-11-17 2019-09-03 한국전력공사 순환유동층 보일러
JP7130569B2 (ja) * 2019-02-01 2022-09-05 三菱重工業株式会社 熱交換器及びボイラ並びに熱交換器の吸熱量調整方法
IT201900022395A1 (it) * 2019-11-28 2021-05-28 Ac Boilers S P A Caldaia a recupero e impianto comprendente detta caldaia a recupero
CN112696550B (zh) * 2020-12-28 2022-04-22 中国航空工业集团公司沈阳空气动力研究所 一种扩散整流的均流结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76708U (ja) * 1983-10-25 1985-05-29 三菱重工業株式会社 流体加熱装置
JPH066901U (ja) * 1992-06-17 1994-01-28 石川島播磨重工業株式会社 排熱回収ボイラのガス偏流防止装置
JPH08110007A (ja) * 1994-10-12 1996-04-30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後部伝熱部のループ管摩耗防止装置
JPH08145301A (ja) * 1994-11-25 1996-06-07 Babcock Hitachi Kk 廃熱回収ボイラ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91630A (en) * 1963-04-11 1965-06-29 Cottrell Res Inc Gas flow control system for sub-sonic divergent diffusers
DE2439144C3 (de) * 1974-08-14 1979-04-05 Siemens Ag, 1000 Berlin Und 8000 Muenchen Vorrichtung zum Verteilen strömender Medien von einem Strömungsquerschnitt auf einen davon verschiedenen Strömungsquerschnitt
US4285838A (en) * 1977-12-08 1981-08-25 Babcock-Hitachi Kabushiki Kaisha Method of producing plate-shaped catalyst unit for NOx reduction of exhaust gas
DE2934137C2 (de) * 1978-08-25 1985-05-15 Nissan Motor Co., Ltd., Yokohama, Kanagawa Strömungsmeßanordnung zum Messen einer Strömungsmenge in einem rohrförmigen Kanal
JPS5912671U (ja) 1982-07-15 1984-01-26 共同印刷株式会社 縦三折封書帳票
JPS60128107U (ja) 1984-02-01 1985-08-28 三菱重工業株式会社 伝熱管
US4685426A (en) * 1986-05-05 1987-08-11 The Babcock & Wilcox Company Modular exhaust gas steam generator with common boiler casing
JPS6418101A (en) 1987-07-13 1989-01-20 Yasuto Ozaki Prism for unidirectional diffusion
US5131459A (en) * 1991-10-08 1992-07-21 Deltak Corporation Heat exchanger with movable tube assemblies
US5256229A (en) 1992-10-23 1993-10-26 Denco, Inc. Sterile containment welding device for plastic tubes
JP3426675B2 (ja) * 1993-12-24 2003-07-14 関西電力株式会社 整流装置
JPH0828808A (ja) * 1994-07-19 1996-02-02 Babcock Hitachi Kk 廃熱回収ボイラ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H08159402A (ja) * 1994-12-09 1996-06-21 Babcock Hitachi Kk ボイラ装置と伝熱器補修方法
JPH09137906A (ja) 1995-11-14 1997-05-27 Mitsubishi Heavy Ind Ltd 排熱回収装置
JP3572139B2 (ja) 1996-04-09 2004-09-29 三菱重工業株式会社 熱交換器及びこれを備えた排煙処理装置
JP3848750B2 (ja) 1997-08-29 2006-11-22 三菱重工業株式会社 横置き型熱交換器
JPH11118101A (ja) 1997-10-20 1999-04-30 Mitsubishi Heavy Ind Ltd ボイラにおける横置型熱交換器
JP3546132B2 (ja) 1997-12-22 2004-07-21 三菱重工業株式会社 排煙処理方法
DE19959342A1 (de) * 1999-12-09 2001-06-13 Abb Alstom Power Ch Ag Abhitzedampferzeuger
JP2006214625A (ja) * 2005-02-02 2006-08-17 Babcock Hitachi Kk 排熱回収ボイラ
JP4842007B2 (ja) * 2006-05-02 2011-12-21 バブコック日立株式会社 排熱回収ボイラ
JP4854422B2 (ja) * 2006-07-31 2012-01-18 バブコック日立株式会社 貫流型排熱回収ボイラの制御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76708U (ja) * 1983-10-25 1985-05-29 三菱重工業株式会社 流体加熱装置
JPH066901U (ja) * 1992-06-17 1994-01-28 石川島播磨重工業株式会社 排熱回収ボイラのガス偏流防止装置
JPH08110007A (ja) * 1994-10-12 1996-04-30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後部伝熱部のループ管摩耗防止装置
JPH08145301A (ja) * 1994-11-25 1996-06-07 Babcock Hitachi Kk 廃熱回収ボイ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106699A1 (ja) 2010-09-23
US9400102B2 (en) 2016-07-26
TWI372843B (ko) 2012-09-21
JP5010635B2 (ja) 2012-08-29
EP2410241A4 (en) 2017-08-23
JP2010216749A (ja) 2010-09-30
EP2410241A1 (en) 2012-01-25
US20110139426A1 (en) 2011-06-16
TW201035494A (en) 2010-10-01
KR20110043698A (ko) 2011-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7001B1 (ko) 열교환기
JP5462128B2 (ja) 火力発電プラント
KR100279334B1 (ko) 핀 튜브를 사용한 열교환기
WO2004042280A1 (ja) 排ガス処理装置
WO2016133116A1 (ja) 排ガス熱回収システム
WO2011104918A1 (ja) 熱交換器および熱交換器の点検方法
EP3236025B1 (en) System and method for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a selective catalyst reduction system in a heat recovery steam generator
JP2001272001A (ja) ボイラ装置
CN114599928A (zh) 气气热交换器
US6405791B1 (en) Air heater gas inlet plenum
JP2005140370A (ja) 排熱回収ボイラ
JP3737186B2 (ja) 排熱回収装置
KR102047390B1 (ko) 바디셀 보강돌부를 구비하는 이지알 쿨러
CN112005073A (zh) 热交换器
CN211435687U (zh) 热电厂用净化烟道装置
CN102607319A (zh) 用于氟塑料换热管烟气换热器的换热管束定位网
KR102445936B1 (ko) 순환 유동층 보일러
JP2542003B2 (ja) 脱硝装置
JP5144447B2 (ja) ボイラ装置
JP2003166711A (ja) 流体通路及び排煙処理装置
KR20100137233A (ko) 선박 엔진 절탄기의 효율 증가 보조 장치
JPH066901U (ja) 排熱回収ボイラのガス偏流防止装置
KR100747739B1 (ko) 보일러 탈황설비의 가스쿨러 진동저감 구조
JP3625948B2 (ja) 熱交換器及び熱交換器の製造方法
CN204404143U (zh) 一种管式空预器锅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3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