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6647B1 - 화상형성장치, 화상처리장치, 화상처리방법 및 기억매체 - Google Patents

화상형성장치, 화상처리장치, 화상처리방법 및 기억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6647B1
KR101276647B1 KR1020090087667A KR20090087667A KR101276647B1 KR 101276647 B1 KR101276647 B1 KR 101276647B1 KR 1020090087667 A KR1020090087667 A KR 1020090087667A KR 20090087667 A KR20090087667 A KR 20090087667A KR 101276647 B1 KR101276647 B1 KR 1012766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sub
image processing
color
scanning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76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05321A (ko
Inventor
츠토무 우다카
Original Assignee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1053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53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66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66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1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 G03G15/0142Structure of complete machines
    • G03G15/0178Structure of complete machines using more than one reusable electrographic recording member, e.g. one for every monocolour image
    • G03G15/0194Structure of complete machines using more than one reusable electrographic recording member, e.g. one for every monocolour image primary transfer to the final recording medium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1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1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 G03G2215/0103Plural electrographic recording members
    • G03G2215/0119Linear arrangement adjacent plural transfer points
    • G03G2215/0122Linear arrangement adjacent plural transfer points primary transfer to an intermediate transfer belt
    • G03G2215/0125Linear arrangement adjacent plural transfer points primary transfer to an intermediate transfer belt the linear arrangement being horizontal or slanted
    • G03G2215/0132Linear arrangement adjacent plural transfer points primary transfer to an intermediate transfer belt the linear arrangement being horizontal or slanted vertical medium transport path at the secondary transf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1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 G03G2215/0151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characterised by the technical problem
    • G03G2215/0158Colour registr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lor Electrophotography (AREA)
  • Control Or Security For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화상 데이터를 취득해서 화상처리를 실시하고, 각 색마다의 화상 데이터인 각 색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화상처리수단과, 상기 화상처리수단에서 생성된 상기 각 색 화상 데이터에 근거하여 주주사 방향으로 화소가 늘어선 화소열을 부주사 방향으로 배열시킨 정전잠상을 형성하고, 형성된 정전잠상을 현상하여 각 색 토너상을 각각 형성하는 복수의 토너상형성수단과, 상기 토너상형성수단 각각에서 형성된 각 색 토너상을 유지하면서 이동하는 토너상유지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화상처리수단은 상기 각 색 화상 데이터에 근거하여 형성되는 상기 정전잠상의 부주사 방향의 위치마다, 해당 위치에 형성된 상기 각 색 토너상이 상기 토너상유지부재에 유지될 때의 해당 토너상유지부재의 이동속도의 변동량에 대응시킨 열수(列數)의 상기 화소열을 추가 또는 삭제하는 화상처리를 상기 각 색 화상 데이터에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Figure R1020090087667
화상형성장치, 화상처리장치, 화상처리방법, 화상 데이터

Description

화상형성장치, 화상처리장치, 화상처리방법 및 기억매체{IMAGE FORMING APPARATUS, IMAGE PROCESSOR, IMAGE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 화상처리장치, 화상처리방법 및 기억매체에 관한 것이다.
컬러 복사기나 컬러프린터 등의 화상형성장치에서는, 일반적으로 각 색 토너상을 예를 들면 중간전사체 위에 순차적으로 겹치면서 형성하고, 각 색 토너상을 중간전사체로부터 용지 위로 일괄하여 전사하는 프로세스를 거친다. 그 때에, 일괄 전사부와 일괄 전사부의 주변에 배치된 용지반송부재 사이에 용지의 잡아 당김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해서, 보통 일괄 전사부의 주변에 배치되는 용지반송부재는 상류측만큼 용지 반송속도가 빠르게 설정된다. 그 때문에, 중간전사체에는 용지로부터 반송 방향으로의 힘이 새롭게 가해져서 중간전사체의 반송속도에 변동이 생기고, 사용되는 용지의 종류에 따라서는 화상에 색 편차 등이 발생할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는 전사재를 미리 정해진 타이밍으로 화상전사부에 반송하는 레지스트 롤러의 선속을 바꿈으로써 전사 흔들림이나 색 편차 등을 억제하는 컬러 화상형성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2에는 용지의 반송 방향의 길이가 전사 벨트로부터 정착 장치까지의 반송 패스(path)보다 긴 용지를 반송할 경우에는 정착 장치, 반송 벨트, 레지스트 롤러의 적어도 한쪽의 선속을 변경하여, 용지에 전사되는 화상의 반송 방향(부주사 방향)으로의 늘어남(배율오차) 발생을 억제하는 화상형성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평5-27514호
[특허문헌 2]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제2003-84643호
여기서, 일반적으로 화상형성장치에는 각종의 용지가 다양한 환경하에서 사용된다. 그리고, 사용되는 용지의 두께, 길이 및 종류나, 용지가 사용될 때의 온도, 습도환경 등의 요인에 의해 용지로부터 중간전사체 등의 토너상유지부재에 가해지는 부하는 다르다. 그 때문에, 사용하는 용지나 온도, 습도환경 등에 의해 화상에 생기는 색 편차량은 변동한다.
본 발명은 각종의 용지가 사용되는 화상형성장치에서 화상에 생기는 색 편차를 저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화상 데이터를 취득해서 화상처리를 실시하고, 각 색마다의 화상 데이터인 각 색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화상처리수단과, 상기 화상처리수단에서 생성된 상기 각 색 화상 데이터에 근거하여 주주사 방향으로 화소가 늘어선 화소열을 부주사 방향으로 배열시킨 정전잠상을 형성하고, 형성된 정전잠상을 현상하여 각 색 토너상을 각각 형성하는 복수의 토너상형성수단과, 상기 토너상형성수단 각각에서 형성된 각 색 토너상을 유지하면서 이동하는 토너상유지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화상처리수단은 상기 각 색 화상 데이터에 근거하여 형성되는 상기 정전잠상의 부주사 방향의 위치마다, 해당 위치에 형성된 상기 각 색 토너상이 상기 토너상유지부재에 유지될 때의 해당 토너상유지부재의 이동속도의 변동량에 대응시킨 열수(列數)의 상기 화소열을 추가 또는 삭제하는 화상처리를 상기 각 색 화상 데이터에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이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화상처리수단은 추가 또는 삭제하는 화소의 배치 위치를 미리 정한 규칙에 따라서 설정하는 상기 화상처리를 상기 각 색 화상 데이터에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 기재의 화상형성장치이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토너상유지부재에 유지된 상기 각 색 토너상이 전사되는 기록재의 종류마다, 상기 정전잠상의 부주사 방향의 상기 위치와 추가 또는 삭제하는 상기 화소열의 열수의 대응관계를 기억하는 기억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화상처리수단은 상기 기억수단에 기억된 상기 대응관계에 근거하여, 상기 정전잠상의 부주사 방향의 위치마다 상기 화소열을 추가 또는 삭제하는 화상처리를 상기 각 색 화상 데이터에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 기재의 화상형성장치이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기억수단은 상기 기록재의 종류마다의 상기 대응관계를, 자신의 장치 내의 습도 및 온도의 복수의 조합마다 기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3 기재의 화상형성장치이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은, 화상 데이터를 취득하는 취득수단과, 상기 취득수단에서 취득된 상기 화상 데이터에 화상처리를 실시하여, 각 색마다의 화상 데이터인 각 색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화상처리수단과, 상기 각 색 화상 데이터에 근거하여 주주사 방향으로 화소가 늘어선 화소열을 부주사 방향으로 배열시킨 정전잠상을 형성하고, 형성된 정전잠상을 현상하여 각 색 토너상을 각각 형성하는 복수의 토너상형성수단으로, 화상처리가 실시된 해당 각 색 화상 데이터를 전송하는 전송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화상처리수단은 상기 토너상형성수단에서 형성되는 상기 정전잠상의 부주사 방향의 위치마다, 해당 위치에 형성된 상기 각 색 토너상이 해당 각 색 토너상을 유지하면서 이동하는 토너상유지부재에 유지될 때의 해당 토너상유지부재의 이동속도의 변동량에 대응시킨 열수(列數)의 상기 화소열을 추가 또는 삭제하는 화상처리를 상기 각 색 화상 데이터에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장치이다.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화상처리수단은, 추가 또는 삭제하는 화소의 배치 위치를 미리 정한 규칙에 따라서 설정하는 상기 화상처리를 상기 각 색 화상 데이터에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5 기재의 화상처리장치이다.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토너상유지부재에 유지된 상기 각 색 토너상이 전사되는 기록재의 종류마다, 상기 정전잠상의 부주사 방향의 상기 위치와 추가 또는 삭제하는 상기 화소열의 열수의 대응관계를 기억하는 기억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화상처리수단은 상기 기억수단에 기억된 상기 대응관계에 근거하여, 상기 정전잠상의 부주사 방향의 위치마다 상기 화소열을 추가 또는 삭제하는 화상처리를 상기 각 색 화상 데이터에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5 기재의 화상처리장치이다.
청구항 8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기억수단은 상기 기록재의 종류마다의 상기 대응관계를, 자신의 장치 내의 습도 및 온도의 복수의 조합마다 기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7 기재의 화상처리장치이다.
청구항 9에 기재된 발명은, 화상 데이터를 취득해서 화상처리를 실시하고, 각 색마다의 화상 데이터인 각 색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화상처리수단과, 해당 화상처리수단에서 생성된 해당 각 색 화상 데이터에 근거하여 주주사 방향으로 화소가 늘어선 화소열을 부주사 방향으로 배열시킨 정전잠상을 형성하고, 형성된 해당 정전잠상을 현상하여 각 색 토너상을 각각 형성하는 복수의 토너상형성수단과, 해당 토너상형성수단 각각에서 형성된 해당 각 색 토너상을 유지하면서 이동하는 토너상유지부재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에서의 화상처리방법으로서, 상기 각 색 화상 데이터에 근거하여 형성되는 상기 정전잠상의 부주사 방향의 위치마다, 해당 위치에 형성된 상기 각 색 토너상이 상기 토너상유지부재에 유지될 때의 해당 토너상유지부재의 이동속도의 변동량에 대응시킨 열수의 화소열을 추가 또는 삭제하는 화상처리를 해당 각 색 화상 데이터에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방법이다.
청구항 10에 기재된 발명은,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을 기억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매체로서, 상기 프로그램은, 화상 데이터를 취득하는 기능과, 취득된 상기 화상 데이터로부터 각 색마다의 화상 데이터인 각 색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기능과, 생성된 상기 각 색 화상 데이터에 근거하여 형성되는 주주사 방향으로 화소가 늘어선 화소열을 부주사 방향으로 배열시킨 정전잠상의 부주사 방향의 위치마다, 해당 위치에 형성된 각 색 토너상이 해당 각 색 토너상을 유지하면서 이동하는 토너상유지부재에 유지될 때의 해당 토너상유지부재의 이동속도의 변동량에 대응시킨 열수의 해당 화소열을 추가 또는 삭제하는 화상처리를 해당 각 색 화상 데이터에 실시하는 기능을 상기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억매체 이다.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의하면, 본 발명을 채용하지 않을 경우와 비교하여, 각종의 용지가 사용되는 화상형성장치에서 화상에 생기는 색 편차를 저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2에 의하면, 본 발명을 채용하지 않을 경우와 비교하여, 화소열을 삭제했을 경우에 화상이 소멸하여 보기 어려워지는 부분이 생기거나, 화소열을 추가했을 경우에 화상에 두드러지는 부분이 생기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3에 의하면, 본 발명을 채용하지 않을 경우와 비교하여, 사용하는 기록재의 종류에 대응시켜서 화상에 생기는 색 편차를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4에 의하면, 본 발명을 채용하지 않을 경우와 비교하여, 변동하는 습도 및 온도에 대응시켜서 화상에 생기는 색 편차를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5에 의하면, 본 발명을 채용하지 않을 경우와 비교하여, 각종의 용지가 사용되는 화상형성장치에서 화상에 생기는 색 편차를 저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6에 의하면, 본 발명을 채용하지 않을 경우와 비교하여, 화소열을 삭제했을 경우에 화상이 소멸하여 보기 어려워지는 부분이 생기는 것을 억제하고, 화소열을 추가했을 경우에 화상에 두드러지는 부분이 생기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7에 의하면, 본 발명을 채용하지 않을 경우와 비교하여, 사용하는 기록재의 종류에 대응시켜서 화상에 생기는 색 편차를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8에 의하면, 본 발명을 채용하지 않을 경우와 비교하여, 변동하는 습도 및 온도에 대응시켜서 화상에 생기는 색 편차를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9에 의하면, 본 발명을 채용하지 않을 경우와 비교하여, 각종의 용지가 사용되는 화상형성장치에서 화상에 생기는 색 편차를 저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10에 의하면, 본 발명을 채용하지 않을 경우와 비교하여, 각종의 용지가 사용되는 화상형성장치에서 화상에 생기는 색 편차를 저감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화상형성장치의 설명>
도 1은 본 실시예가 적용되는 화상형성장치(1)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나타낸 화상형성장치(1)는 소위 탠덤형(tandem type)의 디지털 컬러프린터로서, 화상 데이터에 의거하여 컬러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형성 프로세스부(20), 화상형성장치(1) 전체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60), 예를 들면 퍼스널 컴퓨터(PC) 등의 화상생성장치나 스캐너 등의 화상판독장치 등으로부터 수신한 화상 데이터에 화상처리를 시행하는 화상처리수단(화상처리장치)의 일례인 화상처리부(22) 및 외부기억부(90)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화상형성장치(1)는 장치 내의 습도를 검출하는 습도센서(66), 장치 내 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센서(67)를 구비하고 있다.
화상형성 프로세스부(20)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서 병렬적으로 배치된 옐로(yellow)(Y), 마젠타(magenta)(M), 시안(cyan)(C), 블랙(black)(K)의 각 색 토너상을 각각 형성하는 4개의 화상형성유닛(30Y, 30M, 30C, 30K)(이하,「화상형성유닛(30)」이라고도 총칭함)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그 이외에 예를 들면 라이트 시안(light cyan)(LC), 라이트 마젠타(light magenta)(LM), 클리어 토너(clear toner)나 코퍼레이트 컬러(corporate color) 등의 각 색 토너상을 형성하는 것을 추가하여, 5색 이상의 화상형성유닛을 구비한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화상형성유닛(30)은 화살표 A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정전잠상이 형성되는 감광체드럼(31), 감광체드럼(31)의 표면을 미리 결정한 전위로 균일하게 대전하는 대전 롤러(32), 감광체드럼(31) 위에 형성된 정전잠상을 현상하는 현상기(33), 1차전사 후의 감광체드럼(31) 표면을 청소하는 드럼클리너(34)를 구비하고 있다. 각 화상형성유닛(30)에 배치된 현상기(33)는 토너 용기(35Y, 35M, 35C, 35K)로부터 공급되는 Y,M,C,K의 각 색 토너에 의해, 감광체드럼(31) 위의 정전잠상을 현상한다.
또한, 화상형성 프로세스부(20)는 각 화상형성유닛(30)에 설치된 각 감광체드럼(31)을 노광하는 레이저 노광기(26)(LED나 유기EL 등의 발광소자 어레이를 사용한 것이어도 좋음), 각 화상형성유닛(30)의 각 감광체드럼(31) 위에 형성된 각 색 토너상이 다중 전사되고, 다중 전사된 각 색 토너상을 유지하면서 반송하는 토너상유지부재의 일례인 중간전사벨트(41), 각 화상형성유닛(30)의 각 색 토너상을 1차전사부(Tr1)에서 중간전사벨트(41)로 순차적으로 전사(1차전사)하는 1차전사 롤 러(42), 중간전사벨트(41) 위에 전사된 중첩 토너상을 2차전사부(Tr2)에서 기록재(기록지)인 용지 P(P1,P2)로 일괄 전사(2차전사)하는 2차전사 롤러(40), 2차전사된 화상을 용지 P위에 정착시키는 정착기(80)를 구비하고 있다.
레이저 노광기(26)는 광원으로서의 반도체레이저(27), 레이저광을 감광체드럼(31)에 주사 노광하는 주사 광학계(미도시), 예를 들면 정육각면체로 형성된 회전다면경(폴리곤 미러)(28), 반도체레이저(27)의 구동을 제어하는 레이저 드라이버(29)를 구비하고 있다. 레이저 드라이버(29)는 화상처리부(22)로부터 화상 데이터, 또는 제어부(60)로부터 광량 제어신호 등을 취득하여 반도체레이저(27)의 점등 제어 또는 출력 광량 제어 등을 행한다.
1차전사 롤러(42)는 1차전사 전원(미도시)으로부터 1차전사 바이어스 전압의 공급을 받아, 중간전사벨트(41) 위에 각 색 토너상을 1차전사한다. 또한, 2차전사 롤러(40)는 2차전사 전원(미도시)으로부터 2차전사 바이어스 전압의 공급을 받아 용지 P위에 각 색 토너상을 2차전사한다.
정착기(80)는 내부에 가열원을 구비한 정착 롤러(82)와, 이 정착 롤러(82)에 대해 압접 배치된 가압 롤러(83)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정착 롤러(82)와 가압 롤러(83) 사이에 형성된 닙부(Fnip)에 미정착 토너상을 유지한 용지 P를 통과시켜서, 용지 P에 토너상을 정착한다.
이러한 화상형성장치(1)에서, 화상처리부(22)는 취득수단의 일례인 화상데이터 입력부(미도시)에서 PC나 스캐너 등으로부터 송신된 화상 데이터를 취득하고, 취득한 화상 데이터에 대하여 미리 정해진 화상처리를 실시하고, 각 색으로 분해된 화상 데이터(각 색 화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그리고, 화상처리부(22)는 전송 수단의 일례인 화상 데이터 전송부(미도시)로부터 각 색 화상 데이터를 화상형성 프로세스부(20)의 레이저 노광기(26)에 공급한다.
한편, 감광체드럼(31)은 대전 롤러(32)에 의해 균일하게 대전된다. 그리고, 레이저 노광기(26)는 각 화상형성유닛(30)에서 균일하게 대전된 감광체드럼(31)을, 화상처리부(22)로부터 송신된 각 색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점등 제어된 레이저광으로 주사 노광한다. 이에 따라, 감광체드럼(31) 각각에는 각 색의 정전잠상이 형성된다. 형성된 정전잠상은 각 현상기(33)에 의해 현상되고, 각 감광체드럼(31) 위에는 각 색 토너상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레이저 노광기(26) 및 화상형성유닛(30), 그 외에 필요에 따라 다른 구성부가 토너상 형성수단으로서 기능한다.
각 화상형성유닛(30)에서 형성된 각 색 토너상은, 구동 롤러(49)에 의해 도 1의 화살표 B방향으로 순환 이동하는 중간전사벨트(41) 위로, 미리 정해진 1차전사 바이어스 전압이 인가된 1차전사 롤러(42)에 의해 순차적으로 1차전사된다. 이에 따라, 중간전사벨트(41) 위에는 각 색 토너상이 겹쳐진 중첩 토너상이 형성된다. 중첩 토너상은 중간전사벨트(41)의 이동에 따라 2차전사 롤러(40)와 구동 롤러(49)가 배치된 2차전사부(Tr2)를 향해 반송된다.
한편, 화상형성장치(1)에는 복수의, 예를 들면 용지 유지부(71A, 71B)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예를 들면 조작 입력부(미도시)를 사용한 유저로부터의 지시 입력에 기초하여, 예를 들면 용지 유지부(71A)에 유지된 용지 P1이 픽업 롤러(72) 에 의해 꺼내진다. 꺼내진 용지 P1은 반송 경로(R1)에 따라 1매씩 반송되고, 레지스트 전(前) 반송 롤러(73)에 의해 레지스트 롤러(74)의 위치까지 반송된다.
레지스트 롤러(74)는 중간전사벨트(41) 위를 중첩 토너상이 2차전사부(Tr2)에 반송되는 타이밍에 맞추어 용지 P1을 2차전사부(Tr2)에 공급한다. 그리고, 미리 정해진 2차전사 바이어스 전압이 인가된 2차전사 롤러(40)와 구동 롤러(49) 사이에 형성된 전사전계(轉寫電界)의 작용에 의해 중첩 토너상은 용지 P1위로 일괄해서 2차전사된다.
또한, 2차전사부(Tr2)로의 용지 P의 반송은 용지 유지부(71A, 71B)에 유지된 용지 P1,P2가 반송되는 반송 경로(R1) 이외에, 용지 P에의 양면 인쇄시에 사용되는 양면 반송로(R2), 또는 용지 P를 입력할 때에 사용되는 입력용 용지 유지부(75)로부터의 반송 경로(R3)로부터도 행해진다.
그 후, 2차전사부(Tr2)에서 각 색 토너상이 정전(靜電)전사된 용지 P1은 중간전사벨트(41)로부터 박리되어 정착기(80)를 향해서 반송된다. 정착기(80)에서는, 용지 P1이 정착기(80)의 닙부(Fnip)를 통과함으로써, 각 색 토너상이 용지 P1에 정착된다. 그리고, 정착 화상이 형성된 용지 P1은 화상형성장치(1)의 배출부에 설치된 용지적재부(91)로 반송된다. 한편, 2차전사 후에 중간전사벨트(41)에 부착되어 있는 토너(전사 잔류 토너)는, 중간전사벨트(41)에 접촉하여 배치된 벨트 클리너(45)에 의해 삭제되어 다음 화상형성 사이클에 대비되어 진다.
이에 따라, 화상형성장치(1)에서의 화상형성은 지정된 매수만큼만 반복해서 실행된다.
<화상형성장치의 용지반송기구의 설명>
다음으로, 본 실시예의 화상형성장치(1)에서의 레지스트 전(前) 반송 롤러(73) 및 레지스트 롤러(74)로부터 2차전사부(Tr2)를 거쳐 정착기(80)에 이르기까지의 용지 P의 반송기구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레지스트 전 반송 롤러(73)로부터 정착기(80)에 이르기까지의 용지 P의 반송기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레지스트 전 반송 롤러(73)는, 도시되지 않은 구동기구에 의해 반송속도 Va로 용지 P를 레지스트 롤러(74)를 향해 반송한다. 레지스트 롤러(74)는 중첩 토너상이 2차전사부(Tr2)로 반송되는 타이밍에 맞추어, 도시되지 않은 구동기구에 의해 반송속도 Vr로 용지 P를 2차전사부(Tr2)를 향해 반송한다. 한편, 중간전사벨트(41)를 구동하는 구동 롤러(49)는 주속이 미리 정해진 설계값 Vb로 설정되어, 중간전사벨트(41)를 이동속도 Vb로 순환 이동시킨다. 또한, 정착기(80)에서는 정착 롤러(82) 및 가압 롤러(83)가 주속 Vf로 회전한다.
2차전사부(Tr2)의 상류측에서는, 레지스트 전 반송 롤러(73)에 의한 용지 P의 반송속도 Va와, 레지스트 롤러(74)에 의한 용지 P의 반송속도 Vr와, 구동 롤러(49)에 의한 중간전사벨트(41)의 이동속도 Vb는 Va≥Vr≥Vb의 관계를 만족시키도록 설정된다.
즉, 중첩 토너상이 전사되는 2차전사부(Tr2)에서는, 2차전사부(Tr2)에서의 용지 P의 반송속도를 중간전사벨트(41)의 이동속도 Vb와 일치시키는 것이 이상적이다. 용지 P의 반송속도와 중간전사벨트(41)의 이동속도 Vb가 일치하면, 중첩 토너 상은 중간전사벨트(41) 위에 유지된 상태와 1대1로 용지 P에 전사되므로 중첩 토너상에 용지 P반송 방향의 배율 편차가 발생하지 않기 때문이다.
그러나, 실제의 화상형성장치(1)에서는 중간전사벨트(41)나 용지 P의 반송기구를 구성하는 구성요소 등에 있어서의 제조상의 치수오차나 조립오차, 또는 이들을 동작시킬 때의 구동 모터의 회전 불균일 등이 존재한다. 그 때문에, 용지 P의 반송속도와 중간전사벨트(41)의 이동속도 Vb를 오차 없이 정확하게 일치시키는 것은 어렵다. 이 때문에, 보통 용지 P의 반송속도와 중간전사벨트(41)의 이동속도 Vb는 정확하게 일치하지 않는 것을 전제로 하여 Va, Vr, Vb의 관계가 설정된다. 구체적으로는, Vr≥Vb로 설정하고, 2차전사부(Tr2)의 상류측에 용지 P의 느슨함이 생기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한, 2차전사부(Tr2)에서는 2차전사부(Tr2)의 상류측에 배치된 레지스트 롤러(74) 등의 반송기구로부터의 구동의 영향이 완화되어, 용지 P는 중간전사벨트(41)의 이동에 따라 이동하기 쉽다. 마찬가지로, 레지스트 전 반송 롤러(73)와 레지스트 롤러(74) 사이에서는 Va≥Vr로 설정되고, 레지스트 전 반송 롤러(73)와 레지스트 롤러(74) 사이에 용지 P의 느슨함이 생기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한, 2차전사부(Tr2)의 하류측에서는 상기와 같은 이유로, 중간전사벨트(41)의 이동속도 Vb와 정착기(80)의 주속 Vf는 Vb≥Vf의 관계를 만족시키도록 설정된다. 그 때문에, 2차전사부(Tr2)와 정착기(80) 사이에는 용지 P의 느슨함이 생긴다. 또한, 2차전사부(Tr2)의 하류측에 배치된 정착기(80)의 구동의 영향이 완화되어, 용지 P는 중간전사벨트(41)의 이동에 따라 이동하기 쉬워진다.
이러한 것으로부터, 2차전사부(Tr2)나 2차전사부(Tr2)의 상하류측의 용지 P 의 반송 경로에 구성된 반송기구 각각에는 용지 P의 반송속도가 Va≥Vr≥Vb≥Vf의 관계로 설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반송기구 각각의 속도로 Va≥Vr≥Vb≥Vf로 하는 속도차이를 만듦으로써 용지 P는 2차전사부(Tr2)에서 중간전사벨트(41)의 이동에 따라 반송되기 쉬워진다. 그 때문에, 용지 P에 전사된 중첩 토너상은 중간전사벨트(41) 위에 유지된 상태로부터의 편차량이 작게 억제된다. 그러나, 2차전사부(Tr2)나 2차전사부(Tr2)의 상하류측에 설치된 반송기구 각각에 속도차이가 설정됨으로써, 중간전사벨트(41) 자체의 이동속도 Vb가 영향을 받는 것이 된다.
예를 들면, 레지스트 롤러(74)로부터 반출된 용지 P는, 중간전사벨트(41)의 이동속도 Vb보다는 빠른 반송속도 Vr의 레지스트 롤러(74)에 의해 반송된다. 그 때문에, 용지 P가 2차전사부(Tr2)를 통과할 때는, 중간전사벨트(41)는 용지 P와의 접촉에 의해 용지 P로부터의 압입력(가속력)을 받게 된다. 이에 따라, 중간전사벨트(41)는 이동 방향으로 가속된다.
또한, 예를 들면 2차전사부(Tr2)를 통과한 용지 P가 정착기(80)의 닙부(Fnip)에 진입한 후에는, 2차전사부(Tr2)의 하류측에서의 용지 P의 반송속도는 중간전사벨트(41)의 이동속도 Vb보다는 느린 주속 Vf의 정착기(80)에 의해 감속된다. 그 때문에, 2차전사부(Tr2)와 정착기(80) 사이에 용지 P의 느슨함이 형성될 때까지는, 중간전사벨트(41)는 용지 P의 감속에 의한 되밀림력(브레이크력)을 받게 된다. 이에 따라, 중간전사벨트(41)는 감속된다.
또한, 예를 들면 용지 P의 후단이 레지스트 롤러(74)를 통과한 후에는, 중간 전사벨트(41)의 이동속도 Vb보다 빠른 반송속도 Vr로 설정된 레지스트 롤러(74)로부터의 반송력이 없어진다. 그 때문에 중간전사벨트(41)는 용지 P의 감속에 의한 브레이크력을 받게 되어 감속된다.
이러한 가속이나 감속에 의한 중간전사벨트(41)의 이동속도의 변동은, 용지 P와 중간전사벨트(41)의 마찰력에 비례해서 커진다. 특히, 가압된 2차전사부(Tr2)의 닙 압(壓)을 높이는 두꺼운 종이나 표면성의 거친 용지 P등에서는, 중간전사벨트(41)가 용지 P로부터 받는 압입력이나 브레이크력이 커져서, 중간전사벨트(41)의 이동속도의 변동량은 커진다.
<중간전사벨트의 이동속도의 변동에 관한 설명>
계속해서, 레지스트 롤러(74)와 중간전사벨트(41)와 정착기(80) 사이에 Vr≥Vb≥Vf가 되는 속도차이를 만듦으로써, 중간전사벨트(41)에 발생하는 이동속도의 변동에 관해 설명한다.
도 3은 (a)용지 P의 선단부가 2차전사부(Tr2)에 진입하기 전의 상태와, (b)용지 P의 선단부가 2차전사부(Tr2)에 진입했을 때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a)용지 P가 2차전사부(Tr2)를 통과하고 있는 도중으로서 용지 P의 선단부가 정착기(80)에 진입하기 전의 상태와, (b)용지 P의 선단부가 정착기(80)의 닙부(Fnip)에 진입한 때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a)용지 P가 레지스트 롤러(74)와 정착기(80) 양쪽을 통과하고 있는 상태와, (b)용지 P의 후단부가 레지스트 롤러(74)를 통과한 때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또한, 도 6은 (a)용지 P의 후단부가 레지스트 롤러(74)를 통과한 후의 상태와, (b)용지 P의 후단부가 2차전사 부(Tr2)를 통과한 후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도 3의 (a)에 나타낸 용지 P의 선단부가 2차전사부(Tr2)에 진입하기 전의 상태에서는, 중간전사벨트(41)는 용지 P로부터 어떤 힘도 받지 않고 있다. 그 때문에, 중간전사벨트(41)는 설계값인 이동속도 Vb0로 이동하고 있다.
다음으로, 도 3의 (b)에 나타낸 용지 P의 선단부가 2차전사부(Tr2)에 진입한 때는, 용지 P의 반송속도는 레지스트 롤러(74)에 설정된 반송속도 Vr(≥Vb0)이기 때문에, 중간전사벨트(41)는 용지 P와의 접촉에 의해 용지 P로부터 압입력을 받기 시작한다. 이에 따라, 중간전사벨트(41)의 이동속도 Vb는 설계값 Vb0로부터의 가속을 시작한다.
이어지는 도 4의 (a)에 나타낸 용지 P가 2차전사부(Tr2)를 통과하고 있는 도중으로서 용지 P의 선단부가 정착기(80)에 진입하기 전의 상태에서는, 레지스트 롤러(74)의 반송속도 Vr로 반송되는 용지 P로부터의 압입력에 의해, 중간전사벨트(41)의 이동속도 Vb는 설계값 Vb0로부터 서서히 가속되어서 이동속도 Vb1에 도달한다.
그 후, 도 4의 (b)에 나타낸 용지 P의 선단부가 정착기(80)의 닙부(Fnip)에 진입한 때는, 2차전사부(Tr2)의 하류측에서의 용지 P의 반송속도는 정착기(80)에 설정된 주속 Vf(≤Vb0)로 감속된다. 그 때문에, 중간전사벨트(41)는 용지 P로부터 브레이크력을 받기 시작한다. 이에 따라, 중간전사벨트(41)의 이동속도 Vb는 이동속도 Vb1으로부터 감속을 시작한다.
그리고, 도 5의 (a)에 나타낸 용지 P가 레지스트 롤러(74)와 정착기(80)의 양쪽을 통과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2차전사부(Tr2)와 정착기(80) 사이에 용지 P의 느슨함이 생길 때까지는, 중간전사벨트(41)가 용지 P로부터의 브레이크력에 의해 감속된다. 따라서, 2차전사부(Tr2)와 정착기(80) 사이에 용지 P의 느슨함이 생길 때까지, 중간전사벨트(41)의 이동속도 Vb는 이동속도 Vb2(≤Vb1)가 된다. 그 후, 2차전사부(Tr2)와 정착기(80) 사이에 용지 P의 느슨함이 생긴 후에는, 중간전사벨트(41)가 용지 P로부터 받는 브레이크력은 작아진다. 그 때문에, 레지스트 롤러(74)의 반송속도 Vr로 반송되는 용지 P로부터의 압입력에 의해, 중간전사벨트(41)는 다시 이동속도 Vb2로부터 서서히 가속된다. 그리고, 중간전사벨트(41)의 이동속도 Vb는 이동속도 Vb1에 도달한다.
그 후, 도 5의 (b)에 나타낸 용지 P의 후단부가 레지스트 롤러(74)를 통과한 때는, 중간전사벨트(41)는 레지스트 롤러(74)의 반송속도 Vr로 반송되는 용지 P으로부터의 압입력이 없어진다. 이에 따라, 중간전사벨트(41)는 용지 P로부터 브레이크력을 받아서, 중간전사벨트(41)의 이동속도 Vb는 이동속도 Vb1으로부터 감속을 시작한다.
이어지는 도 6의 (a)에 나타낸 용지 P의 후단부가 레지스트 롤러(74)를 통과한 후에는, 중간전사벨트(41)는 이동속도 Vb1으로부터 서서히 감속되어, 중간전사벨트(41)의 이동속도 Vb는 설계값 Vb0로 돌아간다.
그리고, 중간전사벨트(41)의 이동속도 Vb가 설계값 Vb0로 돌아간 상태에서, 도 6의 (b)에 나타낸 용지 P의 후단부가 2차전사부(Tr2)를 통과한다.
다음의 도 7은 중간전사벨트(41)의 이동속도 Vb의 변동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레지스트 롤러(74)로부터의 용지 P의 반송이 개시되고(t0), 용지 P의 선단부가 2차전사부(Tr2)에 진입하는 시점 t1까지는(도 3의 (a),(b)) 중간전사벨트(41)의 이동속도 Vb는 설계값 Vb0이 유지된다. 계속되는 용지 P의 선단부가 정착기(80)에 진입하는 시점 t2까지는(도 4의 (a),(b)), 레지스트 롤러(74)의 반송속도 Vr로 반송되는 용지 P로부터의 압입력에 의해, 중간전사벨트(41)의 이동속도 Vb는 설계값 Vb0로부터 서서히 가속되어서 이동속도 Vb1에 도달한다.
다음, 용지 P의 선단부가 정착기(80)에 진입한 시점 t2(도 4의 (b))의 뒤, 2차전사부(Tr2)와 정착기(80) 사이에 용지 P의 느슨함이 생기는 시점 t3까지는(도 5의 (a)), 중간전사벨트(41)는 용지 P로부터의 브레이크력에 의해 감속되어, 중간전사벨트(41)의 이동속도 Vb는 이동속도 Vb2(≤Vb1)가 된다. 2차전사부(Tr2)와 정착기(80) 사이에 용지 P의 느슨함이 생긴 시점 t3의 뒤에는(도 5의 (a)), 중간전사벨트(41)가 용지 P로부터 받는 브레이크력은 작아진다. 그 때문에, 중간전사벨트(41)는 다시 이동속도 Vb2로부터 서서히 가속된다.
그리고, 용지 P의 후단부가 레지스트 롤러(74)를 통과하는 시점 t4까지는 (도 5의 (b)), 중간전사벨트(41)의 이동속도 Vb는 다시 이동속도 Vb1에 도달한다.
계속해서 용지 P의 후단부가 레지스트 롤러(74)를 통과한 시점 t4의 뒤에는 (도 6의 (a)), 중간전사벨트(41)는 레지스트 롤러(74)의 반송속도 Vr로 반송되는 용지 P로부터의 압입력이 없어지기 때문에, 중간전사벨트(41)는 용지 P로부터 브레이크력을 받는다. 이에 따라, 중간전사벨트(41)는 이동속도 Vb1로부터 서서히 감속 되어, 시점 t4 뒤의 시점 t5에는 중간전사벨트(41)의 이동속도 Vb는 설계값 Vb0로 돌아간다.
그리고, 중간전사벨트(41)의 이동속도 Vb가 설계값 Vb0로 돌아간 시점 t5의 뒤에, 용지 P의 후단부가 2차전사부(Tr2)를 통과한다(도 6의 (b)).
이와 같이, 중간전사벨트(41)의 이동속도 Vb는 예를 들면 도 7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변동한다. 그 때문에, 화상형성유닛(30Y, 30M, 30C, 30K)에서 형성된 Y,M,C,K의 각 색 토너상이 중간전사벨트(41)에 1차전사되는 때에는, 용지 P의 선단부가 2차전사부(Tr2)에 진입하는 시점 t1으로부터 중간전사벨트(41)의 이동속도 Vb가 설계값 Vb0로 돌아가는 시점 t5까지의 사이, 중간전사벨트(41)의 이동속도 Vb의 변동분에 따른 1차전사 편차가 발생한다.
한편, 각 화상형성유닛(30)은 중간전사벨트(41)에 따라 다른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Y,M,C,K의 각 색 토너상을 형성하는 타이밍에 시간차이가 있다. 예를 들면, 각 화상형성유닛(30) 서로가 동일한 간격 D씩 떨어져서 배치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그 경우에는, 각 화상형성유닛(30)은 동일한 화상영역에 대해 각각 D/Vb의 시간차이로 각 색 토너상을 형성하고, 1차전사한다. 즉, 화상형성유닛(30K)을 기준으로 생각하면, 동일한 화상영역에 대해서는, 화상형성유닛(30Y)은 화상형성유닛(30K)보다 시간 3D/Vb 전에 Y색 토너상을 1차전사하고 있다. 화상형성유닛(30M)은 화상형성유닛(30K)보다 시간 2D/Vb 전에 M색 토너상을 1차전사하고 있다. 화상형성유닛(30C)은 화상형성유닛(30K)보다 시간 D/Vb 전에 C색 토너상을 1차전사하고 있다. 이에 따라, 용지 P의 선단부가 2차전사부(Tr2)에 진입하는 시점 t1으로부터 중간전사벨트(41)의 이동속도 Vb가 이동속도 Vb0로 돌아가는 시점 t5까지의 사이에서는, 각 화상형성유닛(30)은 각각이 다른 화상영역에 관한 화상형성을 행하고, 토너상을 중간전사벨트(41)에 1차전사하고 있다. 그 때문에, 동일한 화상영역에서의 각 색 토너상의 중간전사벨트(41)의 이동속도 Vb의 변동분에 따른 1차전사 편차량은 각 색 토너상마다 다른 것이 된다. 그 결과, 화상에는 색 편차가 발생한다.
도 8은 화상에 발생하는 색 편차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에서는 중간전사벨트(41) 위에서의 1매째의 용지영역 및 2매째의 용지영역과, 각 화상형성유닛(30)이 각 색 토너상을 1차전사하는 중간전사벨트(41) 위에서의 영역(각 색 토너상 1차전사영역)과, 중간전사벨트(41) 위의 2차전사가 행해진 영역(2차전사부(Tr2))으로 나타내고 있다. 상기의 도 7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1매째 용지영역의 선단이 2차전사부(Tr2)에 진입한 시점 t1으로부터, 중간전사벨트(41)의 이동속도 Vb의 변동이 시작된다. 그리고, 그 시점 t1이후에는, 화상형성유닛(30K)에서는 K색 토너상 1차전사영역보다 하류측의 중간전사벨트(41) 위의 영역에서, 중간전사벨트(41)의 이동속도 Vb의 변동량에 따른 1차전사 편차가 발생한다. 마찬가지로, 화상형성유닛(30C), 화상형성유닛(30M) 및 화상형성유닛(30Y) 각각에서는 C색 토너상 1차전사영역, M색 토너상 1차전사영역 및 Y색 토너상 1차전사영역 각각보다 하류측의 중간전사벨트(41) 위의 영역에서, 중간전사벨트(41)의 이동속도 Vb의 변동량에 따른 1차전사 편차가 발생한다. 그 때문에, 도 8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각 색 토너상에는 각 화상형성유닛(30) 상호의 배치 위치의 편차에 대응하여, 중간전사벨트(41)의 이동속도 Vb의 변동 패턴에 따른 1차전사 편차가 발생한다. 그 결과, 동일한 화 상영역상에서의 각 색 토너상의 1차전사 편차량은 다르게 되고, 화상에는 색 편차가 발생한다. 2매째 용지영역 이후에서도 동일하다.
즉, 이러한 화상의 색 편차는, 각 화상형성유닛(30)의 감광체드럼(31) 위에서는 부주사 방향과 동일한 크기(길이)로 형성되어 있었던 각 색 토너 화상이, 중간전사벨트(41)의 이동속도 Vb로 변동이 생기기 때문에 1차전사시에 중간전사벨트(41) 위에 신장·압축되어, 중간전사벨트(41) 위에서의 부주사 방향의 크기가 일치하지 않게 되는(부주사 방향으로 동일한 크기가 아니게 되는) 것으로부터 발생한다.
<화상에 색 편차가 발생하는 메커니즘의 설명>
화상에 색 편차가 발생하는 메커니즘을 도면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9는 중간전사벨트(41)의 이동속도 Vb가 변동하기 때문에, 동일한 화상영역에 관한 1차전사영역에서의 부주사 방향의 크기가 각 색 토너상마다 다르게 되는 것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2차전사부(Tr2)에서 중간전사벨트(41)가 용지 P로부터의 영향을 받지 않고, 중간전사벨트(41)가 설계값 Vb0(설계속도)로 이동하고 있을 경우에는, 동일한 화상영역을 구성하는 각 색 토너상에 할당되는 중간전사벨트(41) 위에서의 1차전사영역은, 도 9의 좌단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각 색 토너상 모두 부주사 방향으로 설계상의 크기(길이) L0의 영역(본래의 1차전사영역길이)이 된다. 그 때문에, 각 화상형성유닛(30)의 감광체드럼(31) 위에 부주사 방향으로 크기(길이) L0의 영역으로서 형성된 각 색 토너상은, 부주사 방향으로 크기 L0의 영역에서, 즉 등배(等倍)로 중간전사벨트(41) 위에 1차전사된다. 그 때문에 화상에 발생하는 색 편차는 경미하다.
그러나, 상기의 도 8을 사용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중간전사벨트(41)에 발생하는 이동속도 Vb의 변동량이 각 색 토너상의 1차전사영역마다 다르기 때문에, 동일한 화상영역을 구성하는 각 색 토너상에 할당되는 중간전사벨트(41) 위에서의 1차전사영역의 길이(각 색 토너상의 1차전사영역길이)는, 부주사 방향으로 다른 크기(길이)의 영역이 된다. 예를 들면, 동일의 화상영역을 구성하는 K색 토너상에 할당되는 1차전사영역의 크기(K색 토너상의 1차전사영역길이)는 부주사 방향으로 길이 L0+L1이 된다. 마찬가지로, C색 토너상의 1차전사영역길이는 부주사 방향으로 길이 L0+L2, M색 토너상의 1차전사영역길이는 부주사 방향으로 길이 L0+L3, Y색 토너상의 1차전사영역길이는 부주사 방향으로 길이 L0+L4가 된다. 여기서, L1,L2,L3,L4는 각각 중간전사벨트(41)의 이동속도 Vb가 변동하는 것에 의한 1차전사영역의 신장량(△L)이고, 본 실시예에서는 중간전사벨트(41)가 설계값 Vb0보다 빨라지기 때문에 L1,L2,L3,L4≥0이다. 또한, 중간전사벨트(41)가 설계값 Vb0보다 늦어지는 다른 실시예에서는 L1,L2,L3,L4<0이 될 경우도 있다.
그 때문에, 각 화상형성유닛(30)의 감광체드럼(31) 위에 형성된 각 색 토너상은 중간전사벨트(41) 위에 1차전사될 때에, 부주사 방향으로 각각 (L0+L1)/L0배, (L0+L2)/L0배, (L0+L3)/L0배, (L0+L4)/L0배 만큼 신장된다. 그리고, 이 1차전사시의 각 색 토너상의 신장 배율이 다르기 때문에 화상에는 색 편차가 발생한다.
여기서 도 10은, 동일한 화상영역을 구성하는 각 색 토너상이 중간전사벨트(41) 위에 1차전사되었을 때의 각 색 토너상의 부주사 방향의 1차전사영역길이를 비교한 도면이다. 또한, 도 10은 상기한 도 8의 P영역에서의 각 색 토너상에 할당된 1차전사영역길이를 예시하고 있다. 상기의 도 9를 사용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중간전사벨트(41)의 이동속도 Vb가 변동하기 때문에, 동일한 화상영역을 구성하는 각 색 토너상에 할당된 1차전사영역길이는 부주사 방향으로 다른 크기를 가지게 된다. 그 때문에, 각 화상형성유닛(30)의 감광체드럼(31)위에서는 부주사 방향으로 동일한 크기(길이) L0로 형성되어 있었던 각 색 토너상이, 중간전사벨트(41) 위에서의 각 색 토너상 1차전사영역에서는 동일한 크기(길이)가 아니게 된다. 즉, 도 10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감광체드럼(31) 위에서는 부주사 방향으로 크기 L0로 형성되어 있었던 각 색 토너상이, 중간전사벨트(41) 위에서는 K색 토너상이 부주사 방향으로 크기 L0+L1, C색 토너상이 부주사 방향으로 크기 L0+L2, M색 토너상이 부주사 방향으로 크기 L0+L3, Y색 토너상이 부주사 방향으로 크기 L0+L4가 된다.
또한, 도 10에서는 중간전사벨트(41)의 이동속도 Vb가 설계값 Vb0인 경우의 각 색 토너상의 1차전사영역길이를 「본래의 1차전사영역길이」라고 하고 있다. 또한, 중간전사벨트(41)의 이동속도 Vb가 변동한 경우의 각 색 토너상의 1차전사영역에서의 부주사 방향의 크기를 「실제의 1차전사영역길이」라고 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10에 예시한 도 8의 P영역의 Y색 토너상에서는, 중간전사벨트(41)의 이동속도 Vb의 변동량이 작기 때문에, 「본래의 1차전사영역길이」와 「실제의 1차전사영역길이」의 차이(L4)는 작다. 그에 대해, 도 10에 예시한 도 8의 P영역의 C색 토너상, M색 토너상 및 K색 토너상에서는, 중간전사벨트(41)의 이동속도 Vb의 변동량이 비교적 크기 때문에 「본래의 1차전사영역길이」와「실제의 1차전사영역길이」와의 차이(L1,L2,L3)는 크다. 그 때문에, 도 8의 P영역에서는 예를 들면 Y색 토너상과, C색 토너상, M색 토너상, 및 K색 토너상과의 사이에서 중간전사벨트(41) 위에서의 부주사 방향의 화상영역에 편차가 크게 생기고, 화상에 색 편차가 발생한다.
<화상처리부가 행하는 화상처리의 설명>
따라서, 본 실시예의 화상형성장치(1)에서는, 중간전사벨트(41) 위에서의 동일한 화상영역을 구성하는 각 색 토너상의 부주사 방향의 크기(1차전사영역길이)가 일치 또는 근사하도록, 예를 들면 도 7에 나타낸 중간전사벨트(41)의 이동속도 Vb의 변동량에 대응시킨 열수(列數)의 화소열을, 각 화상형성유닛(30)의 감광체드럼(31) 위에 형성되는 각 색 정전잠상(각 색 토너상)에서, 각 색 정전잠상의 부주사 방향의 위치마다 추가(보간) 또는 삭감(솎음)한다. 여기서의 「화소열」이란, 주주사 방향의 화소의 배열을 말하고, 화소열이 부주사 방향으로 배열되어 각 색 정전잠상이 구성된다.
구체적으로는, 본실시예에서는, 예를 들면 도 7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2차전사부(Tr2)에 진입하는 용지 P로부터의 압입력을 받아서 중간전사벨트(41)의 이동속도 Vb가 설계값 Vb0(설계속도)보다 빨라진다. 그 때문에, 본 실시예의 화상처리수단(화상처리장치)의 일례인 화상처리부(22)는 각 화상형성유닛(30)의 감광체드럼(31) 위에 형성하는 각 색 정전잠상에 관한 것으로서, 부주사 방향의 화소열을 예를 들면 도 7에 나타낸 중간전사벨트(41)의 이동속도 Vb의 변동량에 대응시킨 화소열수(열수)만 삭감(솎음)하는 솎음 처리를 실시한다. 예를 들면, 화상처리부(22) 는 중간전사벨트(41)의 이동속도 Vb의 변동량이 클 경우에는, 정전잠상에 관해서 부주사 방향으로 솎음하는 열수를 이동속도 Vb의 변동량에 비례시켜서 많게 설정하는 화상처리를 시행한다. 한편, 중간전사벨트(41)의 이동속도 Vb의 변동량이 작을 경우에는, 정전잠상에 관해서 부주사 방향으로 솎음하는 열수를 이동속도 Vb의 변동량에 비례시켜서 적게 설정하는 화상처리를 시행한다.
따라서, 1차전사영역에서 신장되는 토너상은 화상처리부(22)에 의한 부주사 방향에 관한 화소열수(열수)의 솎음에 의해, 감광체드럼(31) 위에서는 부주사 방향으로 압축된 정전잠상이 형성된다. 그 때문에, 1차전사영역에서는, 부주사 방향으로 압축되어 형성된 감광체드럼(31) 위의 토너상이 중간전사벨트(41) 위에서 부주사 방향으로 신장되므로, 중간전사벨트(41)가 설계값 Vb0(설계속도)로 이동하고 있는 상태의 본래의 1차전사영역길이로 1차전사된다. 그 때에, 정전잠상에서 솎음하는 부주사 방향의 화소열수는, 본래의 1차전사영역길이로 1차전사되도록, 각 색 토너상의 1차전사영역에서의 중간전사벨트(41)의 이동속도 Vb의 변동량에 대응시켜서 설정한다. 또한, 중간전사벨트(41)의 이동속도 Vb의 변동량은, 동일한 화상영역이더라도 각 색 토너상의 1차전사영역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각 색 토너상마다 별개로 설정한다. 이에 따라, 각 화상형성유닛(30)에 형성된 각 색 토너상이 중간전사벨트(41) 위에 1차전사될 때는, 중간전사벨트(41)의 이동속도 Vb의 변동에 대응하여, 중간전사벨트(41) 위의 동일한 화상영역 위에서의 각 색 토너상의 부주사 방향의 크기는 일치 또는 근사한다. 따라서, 화상에 생기는 색 편차가 저감된다.
<각 색 토너상에 설정되는 솎음량의 설명>
도 10에 예시한 도 8의 P영역의 각 색 토너상에 설정되는 부주사 방향의 솎음량에 관해 설명한다. 도 11은 P영역에서의 색 편차를 저감하도록 P영역의 각 색 토너상에 설정되는 부주사 방향의 솎음량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각 색 토너상이 중간전사벨트(41) 위에 1차전사될 때에, K색 토너상, C색 토너상, M색 토너상, Y색 토너상 각각은 부주사 방향으로 (L0+L1)/L0배, (L0+L2)/L0배, (L0+L3)/L0배, (L0+L4)/L0배 만큼 신장된다. 그렇기 때문에, 화상처리부(22)는 도 1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감광체드럼(31) 위에 K색 토너상을 형성할 때에, 도 8의 P영역의 정전잠상의 부주사 방향의 화소열수를 P영역의 본래의 부주사 방향의 화소열수의 L0/(L0+L1)배로 설정한다. 즉, 화상처리부(22)는 K색의 정전잠상에서 (L0-L0/(L0+L1))×부주사 방향의 화소밀도(p)의 화소열수를 솎음 처리한다.
이에 따라, 감광체드럼(31) 위에는 부주사 방향으로 L0×L0/(L0+L1)의 크기를 가진 K색 토너상이 형성된다. 이것이 중간전사벨트(41) 위에 1차전사될 때에는 (L0+L1)/L0배 만큼 신장된다. 즉, 중간전사벨트(41) 위에는 부주사 방향으로 L0× L0/(L0+L1)×(L0+L1)/L0=L0의 크기를 가진 K색 토너상이 형성된다.
마찬가지로, 화상처리부(22)는 감광체드럼(31) 위에 C색 토너상, M색 토너상, 및 Y색 토너상을 형성할 때에, 도 8의 P영역의 정전잠상의 부주사 방향에 있어서의 화소열수를 P영역의 본래의 부주사 방향의 화소열수의 L0/(L0+L2)배, L0/(L0+L3)배, 및 L0/(L0+L4)배로 설정한다. 즉, 화상처리부(22)는 C색의 정전잠상에서 (L0-L0/(L0+L2))×부주사 방향의 화소밀도(p)의 화소열수, M색의 정전잠상에 서 (L0-L0/(L0+L3))×부주사 방향의 화소밀도(p)의 화소열수, Y색의 정전잠상에서 (L0-L0/(L0+L4))×부주사 방향의 화소밀도(p)의 화소열수를 솎음 처리한다. 이에 따라, 중간전사벨트(41) 위의 P영역에는 부주사 방향으로 L0의 크기를 가진 C색 토너상, M색 토너상, 및 Y색 토너상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본래는 감광체드럼(31) 위에서 부주사 방향을 크기L0로 형성되는 각 색 토너상은, 모두, 중간전사벨트(41) 위의 P영역에서 부주사 방향으로 L0의 크기를 가진 각 색 토너상으로서 1차전사된다. 그 때문에, 중간전사벨트(41) 위에서의 동일한 화상영역 위의 각 색 토너상의 부주사 방향 크기가 일치 또는 근사하고, 색 편차가 저감된다.
이와 같이, 중간전사벨트(41)에 이동속도 Vb의 변동이 발생할 경우에, 본 실시예의 화상처리부(22)는 부주사 방향에 대해, 중간전사벨트(41)의 이동속도 Vb의 변동량에 대응시켜서 부주사 방향의 화소열수를 솎음 처리한다. 이에 따라, 중간전사벨트(41) 위에서의 동일한 화상영역(예를 들면 도 8의 P영역) 위의 각 색 토너상의 부주사 방향 크기가 일치 또는 근사하고, 색 편차가 저감된다.
그 경우에, 각 색 토너상에 실시되는 솎음량은 각 색 토너상에 할당되는 중간전사벨트(41) 위의 1차전사영역의 신장량(△L)에 대응하여 설정된다. 예를 들면, 도 8의 P영역에서는 L1,L2,L3,L4에 대응시켜서 P영역에서 각 색 토너상(정전잠상)에 실시하는 솎음량을 설정한다.
또한, 중간전사벨트(41)의 이동속도 Vb의 변동량이 마이너스일 경우, 즉 중간전사벨트(41)의 이동속도 Vb가 설계값 Vb0보다 늦어진 경우에는, 화상처리부(22) 가 부주사 방향으로 화소열을 보간하는 화상처리를 행한다.
다음, 각 색 토너상 내의 부주사 방향의 위치에 대응해서 설정되는 솎음량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화상처리부(22)는 예를 들면, 도 8의 P영역에서는 1차전사영역의 신장량(L1,L2,L3,L4)에 대응시켜서, P영역의 각 색 토너상에 실시하는 솎음량을 설정한다. 그런데, 1차전사영역의 신장량은 각 색 토너상 내의 부주사 방향의 위치에 의해 다른 프로파일(profile)(각 색 토너상 내의 부주사 방향의 위치와 1차전사영역의 신장량의 대응관계)을 가지고 있다. 그 때문에, 1차전사영역의 신장량(예를 들면 도 8의 P영역에서의 L1,L2,L3,L4)은 각 색 토너상마다 각 색 토너상 내의 부주사 방향의 위치에 의해 다르다. 또한, 사용하는 용지 P의 종류, 화상형성장치(1) 내의 습도나 온도에 의해서도 다르다.
그 때문에, 본실시예에서는 미리, 사용하는 용지 P의 종류(종이종류)마다, 또한 화상형성장치(1) 내의 습도나 온도마다, 각 색 토너상 내의 부주사 방향 위치의 1차전사영역의 신장량의 프로파일(예를 들면, 도 7 참조)을 계측하여 둔다. 또한, 계측된 프로파일에 의거하여 각 색 토너상마다 각 색 토너상 내의 부주사 방향의 위치에 대응해서 설정하는 솎음량을 산출하여 둔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화상처리부(22)에서, 산출한 솎음량을 기억수단의 일례인 메모리(후단의 도 20의 불휘발성 메모리(104))에 기억시킨다. 따라서, 각 색 화상 데이터에 관한 화상처리를 실시할 때에 화상처리부(22)는 각 색 정전잠상의 부주사 방향에서의 화소열에 대해 메모리에 기억된 솎음량의 솎음 처리를 실시한다.
여기서, 도 12는 K색 토너상 내의 부주사 방향의 위치(영역)(z)와 솎음량과의 대응관계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C색 토너상 내의 부주사 방향의 위치(z)와 솎음량과의 대응관계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M색 토너상 내의 부주사 방향의 위치(z)와 솎음량과의 대응관계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Y색 토너상 내의 부주사 방향의 위치(z)와 솎음량과의 대응관계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도 15에서의 각 색 토너상 내의 부주사 방향의 위치(z)와 솎음량의 대응관계는, 예를 들면 종이종류 P1, 화상형성장치(1) 내의 특정 습도(예를 들면, 습도 H1), 특정 온도(예를 들면, 온도 T1)의 것이다.
그리고, 화상처리부(22)의 메모리에는 각 색 토너상(정전잠상) 내에서의 부주사 방향의 위치(z)와 솎음량의 대응관계가, 용지 P의 복수의 종이종류 P1∼Pn(n:정수)마다 테이블로서 기억되어 있다. 또한, 그 종이종류 P1∼Pn 각각의 화상형성장치(1) 내의 습도 및 온도의 복수 조합마다의 테이블로서 기억되어 있다. 화상처리부(22)는 사용되는 종이종류나, 습도센서(66)에서 검출된 습도, 및 온도센서(67)에서 검출된 온도에 의거하여 각 색 토너상에 관해서 사용하는 테이블을 메모리로부터 독출한다. 그리고, 화상처리부(22)는 메모리로부터 독출한 테이블을 이용하여, 각 색 토너상 내의 부주사 방향의 위치(z)에 대응한 솎음량으로의 부주사 방향 솎음 처리를 행하면서, 각 색의 화상처리를 실시한다.
또한, 중간전사벨트(41)의 이동속도 Vb가 설계값 Vb0보다 늦어진 경우에는, 화상처리부(22)는 부주사 방향으로 화소열을 보간하는 화상처리를 행한다. 그 경우에도, 화상처리부(22)의 메모리에는 각 색 토너상에 관한 부주사 방향의 위치(z)와 보간량과의 대응관계를 나타낸 테이블이 기억된다. 화상처리부(22)는 사용되는 종이종류나, 습도센서(66)에서 검출된 습도, 및 온도센서(67)에서 검출된 온도에 의거하여 각 색 토너상에 관해서 사용하는 테이블을 메모리로부터 독출한다. 그리고, 화상처리부(22)는 메모리로부터 독출한 테이블을 이용하여, 각 색 토너상 내의 부주사 방향의 위치(z)에 대응한 보간량으로의 부주사 방향 보간 처리를 행하면서 각 색의 화상처리를 실시한다.
<보간·솎음 처리되는 화소 배열의 설명>
그런데, 화상처리부(22)가 부주사 방향의 위치(z)에 대응한 부주사 방향의 보간 처리를 각 색 토너상에 실시할 경우에, 예를 들면 화상의 일부 등이 두드러지게 표현될 경우가 있다. 또한, 화상처리부(22)가 부주사 방향의 솎음 처리를 각 색 토너상에 실시할 경우에, 예를 들면 세선(細線) 등과 같은 화상이 소멸하거나 보이기 어려워질 경우가 있다.
그렇기 때문에, 화상처리부(22)는 부주사 방향의 위치(z)에 대응한 부주사 방향의 보간·솎음 처리를 각 색 토너상에 실시할 경우에는, 미리 정한 규칙에 따른 위치의 화소를 추가 또는 삭제한다.
도 16은 화상에 있어서의 화소의 추가(보간) 처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6에서는 부주사 방향으로 1화소 추가할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16의 (a)는 화소의 보간 처리가 행해지기 전의 화상, (b)는 보간되는 화소의 배치 위치, (c)는 화소의 보간 처리가 행해진 후의 화상을 각각 나타내고 있다.
도 16의 (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보간되는 화소는 주주사 방향으로 미 리 정한 화소수마다의 주기를 가지고서 부주사 방향으로 1화소씩 벗어나서 배치되고 있다. 또한, 이 경우의 스크린각(θ1)은 화상의 스크린각(θ1)과 동일하게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도 16의 (c)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도 16의 (b)에 나타낸 배치 위치의 화소가 보간되면, 보간된 화소보다 부주사 방향 하류측의 화소는 각각 부주사 방향 하류측으로 1화소 벗어나서 배치된다. 또한, 도 16의 (c)의 화살표(→)는 본래 화상의 화소의 이동 방향을 나타내고 있다.
이렇게, 도 16의 (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은 부주사 방향으로 1화소씩 벗어나서 배치된 화소를 보간함으로써, 화소의 추가 영역이 부주사 방향의 넓은 영역으로 분산되어진다. 그 때문에, 화소가 보간된 영역이 두드러지게 표현되는 것이 억제된다.
다음의 도 17은 화상에 있어서의 화소의 삭제(솎음) 처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7에서는, 부주사 방향으로 1화소 삭제할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17의 (a)는 화소의 솎음 처리가 행해지기 전의 화상, (b)는 솎아지는 화소의 배치 위치, (c)는 화소의 솎음 처리가 행해진 후의 화상을 각각 나타내고 있다.
도 17의 (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솎아지는 화소는 도 16에 나타낸 경우와 마찬가지로, 주주사 방향으로 미리 규정한 화소수마다의 주기를 가지고서 부주사 방향으로 1화소씩 벗어나서 배치되어 있다. 또한, 이 경우의 스크린각(θ1)은 화상의 스크린각(θ1)과 동일하게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도 17의 (c)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도 17의 (b)에 나타낸 배치 위치의 화소가 솎아지면, 솎아진 화소보다 부주사 방향 하류측의 화소는 각각 부주사 방향 상류측으로 1화소 벗어나서 배치된다. 또한, 도 17의 (c)의 화살표(→)는 본래 화상의 화소의 이동 방향을 나타내고 있다.
이렇게, 도 17의 (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은 부주사 방향으로 1화소씩 벗어나서 배치된 화소를 솎아냄으로써 화소의 삭제영역이 부주사 방향의 넓은 영역으로 분산되어진다. 그 때문에, 화소가 삭제된 영역이 소멸하거나, 보이기 어려워지는 것이 억제된다.
상기의 도 16 및 도 17에 나타낸 예에서는, 보간·솎음되는 화소의 배치 위치가 화상의 스크린각(θ1)과 동일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설정을 사용한 경우에, 보간·솎음되는 화소와 본래 화상의 화소가 간섭하여, 보간·솎음 처리가 행해진 후의 화상에 예를 들면 간섭무늬가 생길 경우가 있다.
따라서, 보간·솎음되는 화소에 대해서 스크린 각도, 스크린 주기, 스크린 선수(線數), 스크린의 종류 등을 본래 화상의 화소와는 다르도록 설정해도 좋다.
도 18은 보간되는 화소의 스크린각도(θ2)를 원(元) 화상의 화소의 스크린각도(θ1)와 다르게 설정하여, 화소의 추가(보간) 처리를 행할 경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8에서도, 부주사 방향으로 1화소 추가할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18의 (a)는 화소의 보간 처리가 행해지기 전의 화상, (b)는 보간 되는 화소의 배치 위치, (c)는 화소의 보간 처리가 행해진 후의 화상을 각각 나타내고 있다.
도 18의 (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보간되는 화소는 주주사 방향으로 미 리 정한 화소수마다의 주기를 가지고 부주사 방향으로 2화소씩 벗어나서 배치되어 있다. 또한, 이 경우의 스크린각(θ2)은 화상의 스크린각(θ1)과는 다르도록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도 18의 (c)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도 18의 (b)에 나타낸 배치 위치의 화소가 보간되면, 보간된 화소보다 부주사 방향 하류측의 화소는 각각 부주사 방향 하류측으로 2화소 벗어나서 배치된다. 또한, 도 18의 (c)의 화살표(→)는 본래 화상의 화소의 이동 방향을 나타내고 있다.
이렇게, 도 18의 (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은 부주사 방향으로 2화소씩 벗어나서 배치된 화소를 보간함으로써, 화소의 추가 영역이 부주사 방향의 넓은 영역으로 분산되어진다. 그 때문에, 화소가 보간된 영역이 두드러지게 표현되는 것이 억제된다. 또한, 스크린각을 다르게 함으로써, 보간 처리가 행해진 후의 화상에 간섭무늬가 발생하는 것이 억제된다.
도 19는 솎아지는 화소의 스크린 각도(θ2)를 원(元) 화상의 화소의 스크린각도(θ1)와 다르게 설정하여, 화소의 삭제(솎음) 처리를 행할 경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9에서는 부주사 방향으로 1화소 삭제할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19의 (a)는 화소의 솎음 처리가 행해지기 전의 화상, (b)는 솎아지는 화소의 배치 위치, (c)는 화소의 솎음 처리가 행해진 후의 화상을 각각 나타내고 있다.
도 19의 (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솎아지는 화소는 도 18에 나타낸 경우와 마찬가지로, 주주사 방향으로 미리 규정한 화소수마다의 주기를 가지고서 부 주사 방향으로 2화소씩 벗어나서 배치되어 있다. 또한, 이 경우의 스크린각(θ2)은 화상의 스크린각(θ1)과는 다르도록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도 19의 (c)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도 19의 (b)에 나타낸 배치 위치의 화소가 솎아지면, 솎아진 화소보다 부주사 방향 하류측의 화소는 각각 부주사 방향 상류측으로 2화소 벗어나서 배치된다. 또한, 도 19의 (c)의 화살표(→)는 본래 화상의 화소의 이동 방향을 나타내고 있다.
이렇게, 도 19의 (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은 부주사 방향으로 2화소씩 벗어나서 배치된 화소를 솎아냄으로써 화소의 삭제영역이 부주사 방향의 넓은 영역으로 분산되어진다. 그 때문에, 화소가 삭제된 영역이 소멸하거나, 보이기 어려워지는 것이 억제된다. 또한, 스크린각을 다르게 함으로써, 삭제 처리가 행해진 후의 화상에 간섭무늬가 발생하는 것이 억제된다.
<화상처리부의 하드웨어 구성의 설명>
다음의 도 20은 화상처리부(22)의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0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화상처리부(22)는 각 색 정전잠상(각 색 토너상)에 부주사 방향의 화소를 추가(보간) 또는 삭감(솎음)하는 화상처리를 실행하는 것으로서, 미리 정해진 프로그램에 따라 디지털 연산 처리를 실행하는 CPU(101), CPU(101)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등이 격납된 RAM(102), CPU(101)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등에서 사용되는 설정값 등의 데이터가 격납된 ROM(103), 개서(改書) 가능하고 전원공급이 끊어졌을 경우에도 데이터를 유지할 수 있는 EEPROM 또는 플래시메모리(flash memory) 등의 불휘발성메모리(NVM: Non-Volatile Memory)(104), 화상처리부(22)에 접속되는 각부와의 신호 입출력을 제어하는 인터페이스부(105)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의 각 색 토너상 내에서의 부주사 방향의 위치(z)와 솎음량의 대응관계가 기술되는 테이블은 기억수단의 일례인 NVM(104)에 기억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화상형성장치(1)에서는 중간전사벨트(41) 위의 동일한 화상영역을 구성하는 각 색 토너상의 부주사 방향의 크기가 일치 또는 근사하도록, 중간전사벨트(41)의 이동속도 Vb의 변동량에 대응시켜서 각 화상형성유닛(30)의 감광체드럼(31) 위에 형성되는 각 색 토너상에서 부주사 방향의 화소열을 추가(보간) 또는 삭감(솎음)한다. 이에 따라, 각종의 용지 P가 사용되는 화상형성장치(1)에서 화상 위에서의 색 편차가 저감된다.
또한, 이상은 토너상유지부재의 일례인 중간전사벨트(41)를 채용한 화상형성장치의 케이스로 기술했지만, 상기한 바와 같이 토너상유지부재의 일례로서의 예를 들면, 벨트 모양의 감광체 위에 각 색의 토너상을 순차적으로 겹쳐서 현상하고 용지에 일괄 전사하는 소위 IOI(Image On Image) 방식의 화상형성장치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도 1은 본 실시예가 적용되는 화상형성장치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레지스트 전(前) 반송 롤러로부터 정착기에 이르기까지의 용지의 반송기구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a)용지의 선단부가 2차전사부에 진입하기 전의 상태와, (b)용지의 선단부가 2차전사부에 진입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a)용지가 2차전사부를 통과하고 있는 도중에서 용지의 선단부가 정착기에 진입하기 전의 상태와, (b)용지의 선단부가 정착기의 닙(nip)부에 진입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a)용지가 레지스트 롤러와 정착기 양쪽을 통과하고 있는 상태와, (b)용지의 후단부가 레지스트 롤러를 통과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a)용지의 후단부가 레지스트 롤러를 통과한 후의 상태와, (b)용지의 후단부가 2차전사부를 통과한 후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중간전사벨트의 이동속도의 변동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화상에 발생하는 색 편차를 설명하는 도면.
도 9는 동일의 화상영역에 관한 1차전사영역에서의 부주사 방향의 크기가 각 색 토너상마다 다르게 되는 것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10은 동일의 화상영역을 구성하는 각 색 토너상이 중간전사벨트 위에 1차전사된 때의 각 색 토너상의 부주사 방향의 1차전사영역 길이를 비교한 도면.
도 11은 P영역에서의 색 편차를 저감하도록 P영역의 각 색 토너상에 설정되 는 부주사 방향의 솎음량을 설명하는 도면.
도 12는 K색 토너상 내의 부주사 방향 위치와 솎음량의 대응관계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
도 13은 C색 토너상 내의 부주사 방향 위치와 솎음량의 대응관계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
도 14는 M색 토너상 내의 부주사 방향 위치와 솎음량의 대응관계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
도 15는 Y색 토너상 내의 부주사 방향 위치와 솎음량의 대응관계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
도 16은 화상에 있어서의 화소의 추가(보간) 처리를 설명하는 도면.
도 17은 화상에 있어서의 화소의 삭제(솎음) 처리를 설명하는 도면.
도 18은 보간되는 화소의 스크린 각도를 본래 화상의 화소의 스크린 각도와 다르게 한 설정으로서 화소의 추가(보간) 처리를 행할 경우를 설명하는 도면.
도 19는 솎음되는 화소의 스크린 각도를 본래 화상의 화소의 스크린 각도와 다르게 한 설정으로서 화소의 삭제(솎음) 처리를 행할 경우를 설명하는 도면.
도 20은 화상처리부의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부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화상형성장치 20: 화상형성 프로세스부
22: 화상처리부 30(30Y,30M,30C,30K):화상형성유닛
31: 감광체드럼 41: 중간전사벨트
42: 1차전사 롤러 49: 구동 롤러
60: 제어부 66: 습도센서
67: 온도센서 73: 레지스트 전(前) 반송 롤러
74: 레지스트 롤러 80: 정착기

Claims (10)

  1. 화상 데이터를 취득해서 화상처리를 실시하고, 각 색마다의 화상 데이터인 각 색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화상처리수단과,
    상기 화상처리수단에서 생성된 상기 각 색 화상 데이터에 근거하여 주주사 방향으로 화소가 늘어선 화소열을 부주사 방향으로 배열시킨 정전잠상을 형성하고, 형성된 정전잠상을 현상하여 각 색 토너상을 각각 형성하는 복수의 토너상형성수단과,
    상기 토너상형성수단 각각에서 형성된 각 색 토너상을 유지하면서 이동하는 토너상유지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화상처리수단은 상기 각 색 화상 데이터에 근거하여 형성되는 상기 정전잠상의 부주사 방향의 위치마다, 해당 위치에 형성된 상기 각 색 토너상이 상기 토너상유지부재에 유지될 때의 해당 토너상유지부재의 이동속도의 변동량에 대응시킨 열수(列數)의 상기 화소열을 추가 또는 삭제하는 화상처리를 상기 각 색 화상 데이터에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처리수단은, 추가 또는 삭제하는 화소의 배치 위치를 미리 정한 규칙에 따라서 설정하는 상기 화상처리를 상기 각 색 화상 데이터에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토너상유지부재에 유지된 상기 각 색 토너상이 전사되는 기록재의 종류마다, 상기 정전잠상의 부주사 방향의 상기 위치와 추가 또는 삭제하는 상기 화소열의 열수의 대응관계를 기억하는 기억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화상처리수단은 상기 기억수단에 기억된 상기 대응관계에 근거하여, 상기 정전잠상의 부주사 방향의 위치마다 상기 화소열을 추가 또는 삭제하는 화상처리를 상기 각 색 화상 데이터에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수단은 상기 기록재의 종류마다의 상기 대응관계를, 자신의 장치 내의 습도 및 온도의 복수의 조합마다 기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5. 화상 데이터를 취득하는 취득수단과,
    상기 취득수단에서 취득된 상기 화상 데이터에 화상처리를 실시하여, 각 색마다의 화상 데이터인 각 색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화상처리수단과,
    상기 각 색 화상 데이터에 근거하여 주주사 방향으로 화소가 늘어선 화소열을 부주사 방향으로 배열시킨 정전잠상을 형성하고, 형성된 정전잠상을 현상하여 각 색 토너상을 각각 형성하는 복수의 토너상형성수단으로, 화상처리가 실시된 해당 각 색 화상 데이터를 전송하는 전송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화상처리수단은 상기 토너상형성수단에서 형성되는 상기 정전잠상의 부주사 방향의 위치마다, 해당 위치에 형성된 상기 각 색 토너상이 해당 각 색 토너상을 유지하면서 이동하는 토너상유지부재에 유지될 때의 해당 토너상유지부재의 이동속도의 변동량에 대응시킨 열수(列數)의 상기 화소열을 추가 또는 삭제하는 화상처리를 상기 각 색 화상 데이터에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처리수단은, 추가 또는 삭제하는 화소의 배치 위치를 미리 정한 규칙에 따라서 설정하는 상기 화상처리를 상기 각 색 화상 데이터에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토너상유지부재에 유지된 상기 각 색 토너상이 전사되는 기록재의 종류마다, 상기 정전잠상의 부주사 방향의 상기 위치와 추가 또는 삭제하는 상기 화소열의 열수의 대응관계를 기억하는 기억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화상처리수단은 상기 기억수단에 기억된 상기 대응관계에 근거하여, 상기 정전잠상의 부주사 방향의 위치마다 상기 화소열을 추가 또는 삭제하는 화상처리를 상기 각 색 화상 데이터에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수단은 상기 기록재의 종류마다의 상기 대응관계를, 자신의 장치 내의 습도 및 온도의 복수의 조합마다 기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장치.
  9. 화상 데이터를 취득해서 화상처리를 실시하고, 각 색마다의 화상 데이터인 각 색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화상처리수단과, 해당 화상처리수단에서 생성된 해당 각 색 화상 데이터에 근거하여 주주사 방향으로 화소가 늘어선 화소열을 부주사 방향으로 배열시킨 정전잠상을 형성하고, 형성된 해당 정전잠상을 현상하여 각 색 토너상을 각각 형성하는 복수의 토너상형성수단과, 해당 토너상형성수단 각각에서 형성된 해당 각 색 토너상을 유지하면서 이동하는 토너상유지부재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에서의 화상처리방법으로서,
    상기 각 색 화상 데이터에 근거하여 형성되는 상기 정전잠상의 부주사 방향의 위치마다, 해당 위치에 형성된 상기 각 색 토너상이 상기 토너상유지부재에 유지될 때의 해당 토너상유지부재의 이동속도의 변동량에 대응시킨 열수(列數)의 화소열을 추가 또는 삭제하는 화상처리를 해당 각 색 화상 데이터에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처리방법.
  10.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을 기억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매체로서,
    상기 프로그램은,
    화상 데이터를 취득하는 기능과,
    취득된 상기 화상 데이터로부터 각 색마다의 화상 데이터인 각 색 화상 데이 터를 생성하는 기능과,
    생성된 상기 각 색 화상 데이터에 근거하여 형성되는 주주사 방향으로 화소가 늘어선 화소열을 부주사 방향으로 배열시킨 정전잠상의 부주사 방향의 위치마다, 해당 위치에 형성된 각 색 토너상이 해당 각 색 토너상을 유지하면서 이동하는 토너상유지부재에 유지될 때의 해당 토너상유지부재의 이동속도의 변동량에 대응시킨 열수의 해당 화소열을 추가 또는 삭제하는 화상처리를 해당 각 색 화상 데이터에 실시하는 기능을 상기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억매체.
KR1020090087667A 2009-03-18 2009-09-16 화상형성장치, 화상처리장치, 화상처리방법 및 기억매체 KR10127664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066181 2009-03-18
JP2009066181A JP2010217691A (ja) 2009-03-18 2009-03-18 画像形成装置、画像処理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5321A KR20100105321A (ko) 2010-09-29
KR101276647B1 true KR101276647B1 (ko) 2013-06-19

Family

ID=427373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7667A KR101276647B1 (ko) 2009-03-18 2009-09-16 화상형성장치, 화상처리장치, 화상처리방법 및 기억매체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749840B2 (ko)
JP (1) JP2010217691A (ko)
KR (1) KR10127664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37438B2 (ja) * 2010-11-09 2014-12-10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JP6435788B2 (ja) * 2014-11-07 2018-12-12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搬送装置
JP2021015243A (ja) * 2019-07-16 2021-02-12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63089A (ja) * 2002-03-11 2003-09-19 Minolta Co Ltd 画像形成装置
JP2007276270A (ja) * 2006-04-06 2007-10-25 Fuji Xerox Co Ltd 画像形成装置
JP2009046218A (ja) * 2007-08-16 2009-03-05 Ricoh Co Ltd 記録媒体検出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93735B2 (ja) 1991-07-24 2001-07-30 株式会社リコー カラー画像形成装置の搬送装置
CA2128858A1 (en) * 1993-10-28 1995-04-29 Douglas N. Curry Two dimensional linear interpolation with slope output for a hyperacuity printer
US5767870A (en) * 1995-01-03 1998-06-16 Xerox Corporation Edge insensitive pixel deletion method for printing high resolution image
JP4686081B2 (ja) 2001-09-13 2011-05-18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US20060033806A1 (en) * 2004-08-16 2006-02-16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Optical signal generating apparatus, optical signal generating method,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5217426B2 (ja) * 2007-12-27 2013-06-19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処理装置、画像形成装置、画像処理プログラム、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63089A (ja) * 2002-03-11 2003-09-19 Minolta Co Ltd 画像形成装置
JP2007276270A (ja) * 2006-04-06 2007-10-25 Fuji Xerox Co Ltd 画像形成装置
JP2009046218A (ja) * 2007-08-16 2009-03-05 Ricoh Co Ltd 記録媒体検出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5321A (ko) 2010-09-29
US8749840B2 (en) 2014-06-10
JP2010217691A (ja) 2010-09-30
US20100238463A1 (en) 2010-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43604B2 (en) Image correcting device,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correcting method
JP4937097B2 (ja) 画像補正装置、画像形成装置および画像補正方法
US8384958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density-shift correction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KR101276647B1 (ko) 화상형성장치, 화상처리장치, 화상처리방법 및 기억매체
JP5515893B2 (ja) 光書き込み装置、画像形成装置及び光書き込み装置の制御方法
JP4939119B2 (ja) 画像形成装置
JP6308846B2 (ja) 画像形成装置
JP2013010266A (ja)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8095022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capable of calculating amount of toner adhesion accurately
JP2009205024A (ja)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画像形成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
JP6528998B2 (ja) 画像形成装置
JP6455730B2 (ja) 画像形成装置
JP6091408B2 (ja) 画像形成装置
JP6091404B2 (ja) 画像形成装置
JP6165112B2 (ja) 画像形成装置
US20230393509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7296782A (ja) 画像形成装置
JP4337801B2 (ja) 画像形成装置およびその露光制御方法
JP6823814B2 (ja) 画像形成装置
JP2024017500A (ja) 画像形成装置
JP5812950B2 (ja) 画像形成装置
JP2022019389A (ja) 画像形成装置
JP5790137B2 (ja) 画像処理方法
JP2019020458A (ja) 画像形成装置
JP2019020460A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