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6473B1 - 송풍 장치 및 이온 발생 장치 - Google Patents
송풍 장치 및 이온 발생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76473B1 KR101276473B1 KR1020117026676A KR20117026676A KR101276473B1 KR 101276473 B1 KR101276473 B1 KR 101276473B1 KR 1020117026676 A KR1020117026676 A KR 1020117026676A KR 20117026676 A KR20117026676 A KR 20117026676A KR 101276473 B1 KR101276473 B1 KR 10127647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lower
- ion
- ion generator
- ions
- main body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7664 blowing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150000002500 ions Chemical class 0.000 claims description 33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0000001012 protector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9423 ventil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8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6698 in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856 pac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5856 abnorma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411 advers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276 controll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41000894006 Bacteri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RYGMFSIKBFXOCR-UHFFFAOYSA-N Copper Chemical compound [Cu] RYGMFSIKBFXOC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41000233866 Fungi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700605 Viruse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3228 biological regu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141 concen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802 copp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49 copp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37 corr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20 evap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704 evapo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71 impair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0365 information process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WABPQHHGFIMREM-UHFFFAOYSA-N lead(0) Chemical compound [Pb] WABPQHHGFIMRE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257 mal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595 mi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 mois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44 sputter depos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44 upstream manufactu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36—Controlling flow of gases or vapour
- B03C3/368—Controlling flow of gases or vapour by other than static mechanical means, e.g. internal ventilator or recycl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38—Particle charging or ionising stations, e.g. using electric discharge, radioactive radiation or flames
- B03C3/383—Particle charging or ionising stations, e.g. using electric discharge, radioactive radiation or flames using radiatio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6—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pump being electrically drive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32—Supports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or ventilation uni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92—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by electrical means, e.g. by applying electrostatic fields or high voltag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3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ionisation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T—SPARK GAPS; OVERVOLTAGE ARRESTERS USING SPARK GAPS; SPARKING PLUGS; CORONA DEVICES; GENERATING IONS TO BE INTRODUCED INTO NON-ENCLOSED GASES
- H01T19/00—Devices providing for corona discharge
- H01T19/04—Devices providing for corona discharge having pointed electrod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T—SPARK GAPS; OVERVOLTAGE ARRESTERS USING SPARK GAPS; SPARKING PLUGS; CORONA DEVICES; GENERATING IONS TO BE INTRODUCED INTO NON-ENCLOSED GASES
- H01T23/00—Apparatus for generating ions to be introduced into non-enclosed gases, e.g. into the atmospher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2201/00—Details of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 B03C2201/06—Ionising electrode being a needl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2201/00—Details of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 B03C2201/24—Details of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for measuring or calculating of parameters, e.g. efficiency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2201/00—Details of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 B03C2201/32—Checking the quality of the result or the well-functioning of the devic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 Elimination Of Static Electricity (AREA)
Abstract
방진 기능을 구비한 공간 절약의 송풍기의 설치 구조를 실현함으로써, 이온 발생 장치의 소형화를 도모한다. 본체 케이스(4)에 송풍기(2)를 보유 지지하는 보유 지지 케이스(61)와, 송풍용의 덕트(14)가 형성된 설치대(64)가 설치된다. 송풍기(2)의 팬 케이싱(20)의 외면에 쿠션재(60)가 설치되고, 송풍기(2)는 쿠션재(60)를 개재하여 보유 지지 케이스(61)에 적재된다. 송풍기(2)의 팬 분출구(23)가 덕트(14)의 개구에 끼워 넣어진다. 송풍기(2)는 본체 케이스(4)에 설치된 보유 지지 케이스(61)와 본체 케이스(4)의 일부인 설치대(64) 사이에 끼워져 고정된다. 팬 케이싱(20)에 2개의 설치 부재(80)가 형성된다. 한쪽의 설치 부재(80)가 보유 지지 케이스(61)에 형성된 한 쌍의 규제 부재(81, 82) 사이에 끼워진다. 다른쪽의 설치 부재(80)가 보유 지지 케이스(61)와 설치대(64)에 각각 형성된 규제 부재(83, 84) 사이에 끼워진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발생한 이온을 외부로 방출하기 위한 송풍 장치와, 이것을 탑재한 이온 발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공기 중의 물 분자를 정(플러스) 및/또는 부(마이너스)의 이온에 의해 대전시킴으로써, 거주 공간 내의 공기를 청정화하는 기술이 활발하게 이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공기 청정기를 비롯한 이온 발생 장치에서는 내부의 송풍로의 도중에 플러스 이온 및 마이너스 이온을 발생시키는 이온 발생기가 배치된다. 이온 발생 장치에는 송풍기가 내장되고, 발생한 이온은 송풍기로부터의 바람에 의해 거주 공간에 방출된다.
청정 공기 중의 물 분자를 대전시키고 있는 이온은 거주 공간에 있어서 부유 입자를 불활성화시켜, 부유 세균을 사멸시킴과 함께 악취 성분을 변성시킨다. 그로 인해, 거주 공간 전체의 공기가 청정화된다.
통상, 송풍기는 이온 발생 장치의 본체 케이스에 나사 고정된다. 운전 시, 송풍기의 진동이 본체 케이스에 전달되고, 공명하여 소음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이 진동 전달을 방지하기 위하여, 특허문헌 1에서는 팬을 팬 베이스에 체결 고정한 상태에서, 팬 베이스의 주연부를 방진 패킹을 개재하여 케이싱 본체와 방진 플레이트 사이에 끼워 넣은 것이 기재되어 있다.
또한, 표준적인 이온 발생기는 바늘 전극과 대향 전극의 사이, 또는 방전 전극과 유전 전극의 사이에 고전압 교류의 구동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코로나 방전을 발생시켜 플러스 이온 및 마이너스 이온을 발생시킨다.
이온 발생기의 가동이 장기에 걸치면, 코로나 방전에 수반하는 스퍼터링 증발에 의해 방전 전극이 손모된다. 또한, 화학 물질, 진애 등의 이물질이 방전 전극에 누적적으로 부착된다. 이러한 경우, 방전이 불안정해져 이온의 발생량이 감소하는 것을 피할 수 없다.
특허문헌 2에 기재된 이온 발생 장치에서는 이온의 발생의 유무를 검출하여, 이온이 발생하고 있지 않은 것이 검출되었을 때, 이온 발생기의 보수가 필요한 것을 사용자에게 통지한다. 여기서, 이온 발생 장치에는 이온의 발생의 유무를 검출하기 위하여 이온 검출기가 설치된다. 이온 검출기는 이온 발생기와 함께 송풍로에 면하도록 설치되고, 송풍 방향에 대하여 이온 발생기가 상류측에 배치되고, 이온 검출기가 하류측에 배치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팬을 방진 패킹에 의해 보유 지지함으로써, 팬의 진동이 나사를 통하여 본체 케이스에 전달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그러나, 방진 패킹을 고정하기 위하여 새롭게 방진 플레이트를 사용하지 않으면 안된다. 또한, 방진 플레이트를 배치하기 위한 공간도 필요하게 된다.
예를 들어, 송풍 장치를 탑재하는 이온 발생 장치에서는 손쉽게 설치할 수 있는 휴대용 타입이 제공되고 있다. 장치로서 컴팩트 크기가 요구되지만, 새로운 부재를 설치하면 콤팩트화가 곤란해짐과 함께 설치 작업에도 손이 많이 간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온 발생 장치에서는 이온 검출기가 필수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이온 발생기와 이온 검출기가 송풍로에 있어서 송풍 방향을 따라 배열하여 배치된다. 그런데, 이온 발생 장치를 소형화하기 위해서는 송풍로의 소형화가 필수적이지만, 상기와 같은 배치로 하면 송풍로가 길어지게 되어 송풍로의 소형화를 저해한다.
또한, 이온 발생기로부터 발생한 플러스 이온 및 마이너스 이온은, 송풍기로부터의 바람에 의해 하류에 있는 이온 검출기를 향하여 흐른다. 이온 검출기는 플러스 이온과 마이너스 이온 중 어느 한쪽의 이온을 포집하여 검출한다. 그러나, 이온 검출기를 통과하는 이온은 어느 정도의 속도로 통과하기 때문에, 이온을 이온 검출기에서 잡는 것이 곤란하게 된다. 그로 인해, 이온이 충분히 발생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온 검출기가 이온을 적게 검출하여 이온 발생 없음으로 오검출할 우려가 있다. 게다가, 이온 검출기는 한쪽의 이온 뿐만 아니라, 다른쪽의 이온도 포집하게 되어 이온 검출 정밀도가 나빠져 오검출의 원인으로 된다.
본 발명은 상기를 감안하여 방진 기능을 구비한 공간 절약의 설치 구조로 함으로써, 송풍 장치를 탑재하는 이온 발생 장치의 소형화를 도모함과 함께, 이온 발생의 유무를 확실하게 검출할 수 있는 이온 발생 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팬 모터 및 팬을 내장한 팬 케이싱을 갖는 송풍기가 본체 케이스에 장착된 송풍 장치이며, 팬 케이싱이 쿠션재를 개재하여 보유 지지 케이스에 보유 지지되고, 보유 지지 케이스가 본체 케이스에 설치된 것이다.
송풍기는 보유 지지 케이스에 적재된다. 송풍기와 보유 지지 케이스의 사이에 쿠션재가 개재되므로, 송풍기의 진동은 보유 지지 케이스에 전달되지 않고, 또한 보유 지지 케이스로부터 본체 케이스로 전달되는 일도 없다.
본체 케이스에 송풍용의 덕트가 형성된 설치대가 설치되고, 보유 지지 케이스가 설치대에 결합되고, 송풍기의 분출구가 덕트에 끼워 넣어진다. 설치대는 송풍기의 상방에 위치하고, 송풍기와 설치대의 사이에 쿠션재가 설치된다.
여기서, 설치대는 본체 케이스의 일부로 간주할 수 있다. 그리고, 송풍기의 분출구가 덕트에 끼워 넣어짐으로써, 송풍기는 본체 케이스의 일부에 접촉하게 된다. 즉, 송풍기가 설치대와 보유 지지 케이스 사이에 끼워짐으로써, 송풍기는 본체 케이스에 끼워져 고정되게 된다. 본체 케이스의 일부인 설치대와 송풍기의 사이에 쿠션재가 개재되므로, 송풍기의 진동은 설치대에 전달되지 않는다.
송풍기가 본체 케이스로부터 탈락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송풍기의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 부재가 설치된다. 설치대는 송풍기의 상방에 위치하므로, 송풍기는 상하 방향으로부터 끼워진 구조이며, 상하 방향으로는 이동하지 않는다. 따라서, 규제 부재를 설치함으로써 상하 방향과는 다른 방향에서의 이동을 규제할 수 있어, 본체 케이스로부터의 탈락을 방지할 수 있다.
송풍기의 팬 케이싱에 설치 부재가 형성되고, 설치 부재를 끼우도록 한 쌍의 규제 부재가 보유 지지 케이스 혹은 설치대에 형성된다. 규제 부재가 새롭게 설치되지만, 송풍기의 주위에 형성되므로 공간을 취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이온을 발생시키는 이온 발생기와, 발생한 이온을 검출하는 이온 검출기를 구비하고, 발생한 이온을 분출구로부터 외부로 분출시키기 위한 송풍로가 형성되고, 송풍로를 사이에 끼워 이온 발생기와 이온 검출기가 대향하여 배치된 것이다.
이온 발생기와 이온 검출기는 상대되어 있고, 송풍로에서의 송풍 방향을 따라 배열하여 배치되어 있지 않다. 그로 인해, 이온 검출기를 설치하여도 송풍로가 길어지는 일은 없다.
송풍로의 가장 좁은 위치에 이온 발생기와 이온 검출기가 설치된다. 이온 발생기로부터 발생한 이온은 송풍로 내의 좁은 공간에 채워지게 되고, 이온 검출기에 고농도의 이온이 도달하여 확실하게 이온을 검출할 수 있다.
송풍로의 상대되는 한쪽의 벽에 이온 발생기가 설치되고, 다른쪽의 벽에 이온 검출기가 설치되고, 이온 발생기에 대향하는 벽이 이온 발생을 저해하지 않도록 이온 발생기와 대향하는 벽과의 간격이 규정된다. 이온 발생기에 대향하는 송풍로 벽이 지나치게 가까우면, 이온 발생기에서의 방전에 악영향을 미친다. 그러나, 이 간격을 적절한 거리로 규정함으로써, 대향하는 벽이 방전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이온의 검출 시에도 고농도로 이온이 분포한 상태로 되므로 발생한 이온을 확실하게 검출할 수 있다.
이온 발생기는 간격을 두고 배치된 한 쌍의 방전 전극을 갖고, 플러스 이온과 마이너스 이온 중 어느 한쪽의 이온이 한쪽의 방전 전극으로부터 발생하고, 다른쪽의 이온이 다른쪽의 방전 전극으로부터 발생한다. 이온 검출기는 플러스 이온과 마이너스 이온 중 어느 한쪽의 이온을 포집하여 검출하고, 이온 검출기의 포집면의 일부가 다른쪽의 이온의 포집을 방지하기 위한 보호체에 덮어져 있다. 보호체는 다른쪽의 이온을 발생하는 방전 전극에 대향하여 설치된다. 보호체가 다른쪽의 이온을 포집함으로써, 다른쪽의 이온이 포집면에 부착되기 어려워진다. 포집면에서는 한쪽의 이온이 집중적으로 포집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쿠션재를 개재하여 송풍기를 끼워 넣어 본체 케이스에 고정하는 구조이므로, 본체 케이스에 직접 송풍기는 접촉하지 않는다. 그로 인해, 송풍기의 진동이 본체 케이스에 전달되지 않고, 공명하여 소음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온 발생기와 이온 검출기가 송풍로를 사이에 두고 대향하여 배치됨으로써, 송풍로가 길어지지 않아 송풍로를 소형화할 수 있다. 게다가, 이온 발생기와 이온 검출기가 송풍로의 가장 좁은 위치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송풍로를 좁게 함으로써 발생한 공간을 이용하여, 이것들을 장착할 수 있어 장치 전체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이온 발생기로부터 발생한 이온의 근처에 이온 검출기가 위치하게 되므로, 발생한 이온을 확실하게 검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이온 발생 장치의 단면도.
도 2는 이온 발생 장치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3은 이온 발생기의 정면도.
도 4는 이온 발생기의 횡단면도.
도 5는 이온 검출기의 포집면의 정면도.
도 6은 이온 검출기의 출력 전압의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모드 1에 의한 판정의 흐름도.
도 8은 통상 모드에 의한 판정의 흐름도.
도 9는 모드 2에 의한 판정의 흐름도.
도 10은 모드 3에 의한 판정의 흐름도.
도 11은 모드 4에 의한 판정의 흐름도.
도 12는 모드 5에 의한 판정의 흐름도.
도 13은 모드마다의 이온 발생기의 동작 흐름도.
도 14는 모드마다의 송풍기의 동작 흐름도.
도 15는 본 발명의 송풍 장치를 탑재한 이온 발생 장치의 단면도.
도 16은 송풍기의 설치 구조에 관한 분해 사시도.
도 17은 본체 케이스에 설치된 송풍기를 전방면으로부터 본 도면.
도 18은 본체 케이스에 설치된 송풍기를 배면으로부터 본 도면.
도 2는 이온 발생 장치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3은 이온 발생기의 정면도.
도 4는 이온 발생기의 횡단면도.
도 5는 이온 검출기의 포집면의 정면도.
도 6은 이온 검출기의 출력 전압의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모드 1에 의한 판정의 흐름도.
도 8은 통상 모드에 의한 판정의 흐름도.
도 9는 모드 2에 의한 판정의 흐름도.
도 10은 모드 3에 의한 판정의 흐름도.
도 11은 모드 4에 의한 판정의 흐름도.
도 12는 모드 5에 의한 판정의 흐름도.
도 13은 모드마다의 이온 발생기의 동작 흐름도.
도 14는 모드마다의 송풍기의 동작 흐름도.
도 15는 본 발명의 송풍 장치를 탑재한 이온 발생 장치의 단면도.
도 16은 송풍기의 설치 구조에 관한 분해 사시도.
도 17은 본체 케이스에 설치된 송풍기를 전방면으로부터 본 도면.
도 18은 본체 케이스에 설치된 송풍기를 배면으로부터 본 도면.
본 실시 형태의 이온 발생 장치를 도 1에 도시한다. 이온 발생 장치는 이온을 발생하는 이온 발생기(1)와, 발생한 이온을 분출하기 위한 송풍기(2)와, 발생한 이온을 검출하는 이온 검출기(3)를 구비하고 있다. 이것들은 본체 케이스(4)에 내장되어 있다. 그리고, 이온 발생 장치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온 발생기(1) 및 송풍기(2)를 구동 제어하는 제어부(5)를 구비하고 있다. 마이크로컴퓨터로 이루어지는 제어부(5)는, 이온 검출기(3)에 의한 이온 검출을 실행하여 이온 발생의 유무를 판정한다.
본체 케이스(4)의 상면에 분출구(10)가 형성되고, 본체 케이스(4)의 배면에 커버(11)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커버(11)에 필터를 갖는 흡입구(12)가 형성되고, 본체 케이스(4)의 배면의 하부에도 흡입구(13)가 형성된다. 본체 케이스(4)의 하부에 송풍기(2)가 설치되고, 송풍기(2)와 분출구(10)의 사이에 덕트(14)가 설치된다. 송풍기(2)로부터 분출구(10)를 향하는 송풍로(15)가 형성되고, 덕트(14)의 내부가 송풍로(15)로 된다.
덕트(14)는 각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측 및 하측이 넓고 중간 부분이 좁게 되어 있다. 덕트(14)의 상단부의 출구가 분출구(10)에 연통된다. 분출구(10)에는 루버(16)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온 발생기(1) 및 이온 검출기(3)는 덕트(14)에 설치되고, 송풍로(15)에 면해 있다. 이온 발생기(1) 및 이온 검출기(3)는 송풍로(15)가 가장 좁아진 중간 부분에 위치하고, 대향하여 배치된다. 즉, 덕트(14)의 폭을 좁게 함으로써 발생한 공간에 이온 발생기(1) 및 이온 검출기(3)가 설치된다. 이에 의해, 본체 케이스(4) 내의 공간을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어 장치 전체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덕트(14)의 하단부의 입구에 송풍기(2)가 연통된다. 송풍기(2)는 시로코 팬으로 되고, 팬 케이싱(20)에 팬(21)이 회전 가능하게 내장되고, 팬 모터(22)에 의해 팬(21)이 회전된다. 팬 케이싱(20)은 본체 케이스(4)에 설치된다. 팬 케이싱(20)의 상부에 팬 분출구(23)가 형성되고, 팬 분출구(23)가 덕트(14)의 입구에 접속되고, 팬 분출구(23)가 송풍로(15)에 연통된다. 송풍기(2)에 의해 흡입구(12, 13)로부터 흡입된 공기가 송풍로(15)를 하측으로부터 상측을 향하여 통과하고, 이온 발생기(1)로부터 발생한 이온을 수반한 공기가 분출구(10)로부터 분출된다. 바람은 송풍로(15)를 하측으로부터 상측을 향하여 흐르고, 이 방향이 송풍 방향으로 된다.
이온 발생기(1)는 방전 전극(30) 및 유도 전극(31)을 갖고, 이것들이 수용 케이스(32)에 내장된다. 방전 전극(30)은 바늘 전극으로 되고, 유도 전극(31)은 환상으로 형성되고, 방전 전극(30)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하여 방전 전극(30)의 주위를 둘러싸고 있다. 방전 전극(30) 및 유도 전극(31)은 좌우 한 쌍으로 설치되고, 송풍 방향과 직교하는 좌우 방향으로 배열된다. 한쪽의 방전 전극(30)은 플러스 이온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이고, 다른쪽의 방전 전극(30)은 마이너스 이온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이다.
수용 케이스(32)의 전방면에 2개의 관통 구멍(34)이 형성되고, 관통 구멍(34)에 방전 전극(30)이 면해 있다. 방전 전극(30)은 관통 구멍(34)의 중심에 위치한다. 또한, 각 방전 전극(30)에 고전압을 인가하는 고전압 발생 회로(35)가 설치되고, 제어부(5)에 접속된다. 방전 전극(30), 유도 전극(31) 및 고전압 발생 회로(35)는 유닛화되며, 이 이온 발생 유닛(36)이 수용 케이스(32) 내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수용 케이스(32)의 전방면에 핀 커넥터(37)가 설치되어, 본체 케이스(4)측의 소켓(38)과 접속된다. 핀 커넥터(37)를 통하여 고전압 발생 회로(35)에 제어부(5)로부터 구동 신호가 입력됨과 함께, 직류 전원 혹은 교류 전원이 공급된다.
수용 케이스(32)는 본체 케이스(4)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된다. 본체 케이스(4)의 배면에 삽입구(39)가 형성되고, 커버(11)를 제거한 상태에 있어서 수용 케이스(32)는 삽입구(39)로부터 출납된다. 수용 케이스(32)가 삽입구(39)에 삽입되었을 때, 수용 케이스(32)에 형성된 갈고리가 본체 케이스(4)에 형성된 탄성을 갖는 절결부에 걸림으로써 수용 케이스(32)가 장착된다. 덕트(14)의 배면측의 벽에 발생 창(40)이 형성되고, 수용 케이스(32)가 장착되었을 때, 발생 창(40)에 수용 케이스(32)가 끼워 넣어진다. 수용 케이스(32)의 전방면이 송풍로(15)에 노출된다.
수용 케이스(32)의 전방면에는 각 관통 구멍(34)에 대하여 아치 형상의 가드 리브(41)가 각각 설치된다. 가드 리브(41)는 관통 구멍(34)을 넘고 있다. 이에 의해, 유저가 방전 전극(30)에 직접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온 발생기(1)가 본체 케이스(4)에 장착되었을 때, 가드 리브(41)는 송풍로(15) 내에 돌출되어 송풍 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된다.
유저가 본체 케이스(4)로부터 수용 케이스(32)를 강하게 인장하기 시작하면, 절결부가 변형되어 갈고리가 벗겨져 수용 케이스(32)가 본체 케이스(4)로부터 취출된다. 그리고, 수용 케이스(32)는 개폐 가능하게 되고, 수용 케이스(32)를 개방함으로써 이온 발생 유닛(36)을 취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온 발생기(1)는 카트리지로서 취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온 발생기(1)가 수명에 도달하였을 때, 새로운 카트리지로 교환하면 된다. 낡은 카트리지를 분해하여 이온 발생 유닛(1)을 유지 보수하면, 카트리지를 재생할 수 있어 재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이온 검출기(3)는 발생한 이온을 포집하는 포집체(42)와, 포집한 이온에 따른 검출 신호를 제어부(5)에 출력하는 이온 검출 회로(43)를 갖는다. 포집체(42)는 이온 검출기(3)의 전방면에 설치되어, 도전성을 갖는 포집 전극으로 되고, 구리 테이프에 의해 형성된다. 포집체(42)와 이온 검출 회로(43)는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이온 검출 회로(43)는 제어부(5)에 리드선을 통하여 접속된다.
이온 검출 회로(43)는 공지된 것이며, 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제2007-114177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이온 검출 회로(43)는 정류용의 다이오드, p-MOS형 FET 등으로 구성된다. 이온 검출기(3)는 플러스 이온 혹은 마이너스 이온 중 어느 한쪽의 이온을 검출한다. 포집체(42)가 발생한 양쪽 이온 중 한쪽의 이온을 포집하면, 포집체(42)의 전위가 상승한다. 포집한 이온량에 따라 전위가 상승한다. 이온 검출 회로(43)는, 이 전위에 따른 출력 전압을 A/D 변환하여 제어부(5)에 출력한다. 제어부(5)는 이온 검출기(3)로부터의 입력값에 기초하여 이온 발생에 관한 판단을 행한다.
이온 검출기(3)는 송풍로(15)에 설치된다. 즉, 이온 검출기(3)가 덕트(14)의 전방면측의 벽에 형성된 검출 창(45)에 끼워 넣어진다. 이온 검출기(3)의 전방면이 송풍로(15)에 노출되고, 이온 발생기(3)의 전방면과 송풍로(15)를 사이에 끼워 상대된다. 그리고, 포집체(42)는 좌우 방향의 일측으로 치우쳐 배치된다. 포집체(42)가 한쪽의 이온을 발생시키는 방전 전극(30)의 전방에 위치하고, 다른쪽의 방전 전극(30)의 전방에는 위치하지 않는다. 이에 의해, 포집체(42)는 한쪽의 이온을 집중적으로 포집할 수 있다. 또한, 이온 검출기(3)의 전방면의 일부는 금속판제의 보호체에 의해 덮어져 있다. 보호체는 포집하는 이온과는 역극성의 이온을 발생하는 다른쪽의 방전 전극(30)에 대향하여 배치된다. 다른쪽의 방전 전극(30)으로부터 발생한 이온은 보호체에 포집되어, 포집체(42)를 향하는 이온이 감소하여 역극성의 이온이 포집체(42)에 포집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본체 케이스(4)의 상면에는 조작 패널(50)이 설치되고, 조작 패널(50)은 운전 스위치 등을 갖는 조작부(51) 및 표시부(52)를 구비하고 있다. 운전 스위치가 조작되면, 제어부(5)는 이온 발생기(1) 및 송풍기(2)를 구동함과 함께 표시부(52)를 동작시켜 운전 중인 것을 표시시킨다. 또한, 도 2 중, 도면 부호 53은 EEPROM 등이 재기입 가능한 불휘발성의 기억 소자이며, 이온 발생기(1)에 관한 정보를 기억한다.
이온 발생 장치가 운전되면, 이온 발생기(1)의 한쪽의 방전 전극(30)으로부터 플러스 이온이 발생하고, 다른쪽의 방전 전극(30)으로부터 마이너스 이온이 발생한다. 발생한 이온은 송풍기(2)에 의해 하방으로부터 분출된 바람에 운반되어, 분출구(10)로부터 외부로 분출된다. 방출된 이온은 부유하는 곰팡이균이나 바이러스를 공중에서 분해, 제거한다.
이온 발생 장치를 장기간 사용하고 있으면, 방전 전극(30)이 열화되거나, 각 전극(30, 31)에 쓰레기가 부착되거나 하여 방전이 불안정하게 된다. 발생하는 이온이 감소하여 상기의 효과가 얻어지지 않게 된다. 따라서, 이온 발생 장치의 제어부(5)는 운전 시간을 적산하여 총 운전 시간이 교환 예고 시간, 예를 들어 17500시간에 도달하였을 때, 이온 발생기(1)의 교환을 재촉하는 표시를 행한다. 그 후에도 운전은 되지만, 총 운전 시간이 교환 시간, 예를 들어 19000시간에 도달하였을 때, 제어부(5)는 이온 발생기(1)가 수명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하여 운전을 정지함과 함께 교환을 통지한다.
그러나, 이온 발생 장치가 사용되는 환경에 따라서는 먼지, 습기, 오일 미스트 등이 방전 전극(30)에 부착하여, 상기의 시간이 경과하기 전에 이온 발생기(1)가 수명에 도달하는 경우가 있다. 이온 발생기(1)가 수명이 되면, 이온의 발생량이 줄어들거나 이온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이온 검출기(3)가 이온의 발생을 검출하고, 제어부(5)는 이온 발생기(1)로부터의 입력값에 기초하여 이온 발생의 유무를 판정한다. 그리고, 제어부(5)는 이온의 발생 없음으로 판정하면, 운전을 정지하고 이온 발생기(1)를 교환하도록 표시를 행한다.
제어부(5)는 이온 검출을 실행할 때, 이온 발생기(1)를 소정 시간 온하고, 계속해서 동일 시간만큼 오프한다. 이 온 오프가 미리 설정된 이온 판정 시간만큼 반복된다. 이 시간 중, 이온 검출기(3)는 이온을 검출한다. 이때의 이온 검출기(3)로부터의 출력 전압을 도 6에 나타낸다. 이온 발생기(1)가 온일 때, 이온이 발생하므로 출력 전압은 상승하여 일정 전압으로 포화된다. 이온 발생기(1)가 오프일 때, 이온은 발생하지 않으므로 출력 전압은 거의 0V로 된다.
이온 검출기(3)로부터의 출력 전압에 따른 입력값이 제어부(5)에 입력된다. 제어부(5)는 이온 판정 시간 중에 검출된 입력값의 최대값과 최소값의 차를 산출하고, 이 차가 임계값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이온 발생의 유무를 판정한다. 제어부(5)는 최대값과 최소값의 차가 임계값 이상인 경우, 이온의 발생 있음으로 판정한다. 최대값과 최소값의 차가 임계값 미만인 경우, 이온의 발생 없음으로 판정한다. 또한, 임계값은 0.5V로 된다. 이 값은 단위 시간당의 표준의 방전 횟수일 때의 이온 농도에 대하여, 이온 농도가 반감할 때의 방전 횟수에서 이온 발생기(1)를 온 오프하였을 때, 이온 검출기(3)로부터의 출력 전압에 기초하여 설정된다.
이온 발생의 판정은, 우선 운전 개시 시에 행해진다. 그리고, 운전 중에는 소정의 타이밍에서 판정이 행해진다. 제어부(5)는 이온의 발생 없음과 소정 횟수 판정을 하면, 다시 판정을 행하여 최종적으로 이온 발생 에러인지의 여부의 판정을 행한다. 이온 발생 에러로 판정되면, 운전이 정지된다.
상기와 같이 운전이 개시되면, 제어부(5)는 복수회의 이온 발생의 판정을 행한다. 우선, 운전 개시 시, 제어부(5)는 모드 1에 의한 판정을 행한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모드 1에서는 이온 판정 시간은 최소 시간인 2초로 되고, 제어부(5)는 송풍기(2)를 정지시켜 이온 발생기(1)를 1초 온/1초 오프하여 이온 검출을 행하여, 센서 입력에 기초하여 이온 발생의 유무를 판정한다. 그리고, 판정이 종료된 후, 제어부(5)는 송풍기(2)를 구동한다.
이와 같이, 운전 개시 시에 송풍기(2)를 구동하지 않고, 이온 발생기(1)만을 구동함으로써, 발생한 이온은 바람에 흘려지지 않고, 이온 발생기(1)와 이온 검출기(3)의 사이의 좁은 공간에 채워진다. 즉, 이온 발생기(1)와 이온 검출기(3)가 대향 배치되어 있으므로, 송풍기를 구동하지 않아도 발생한 이온은 이온 검출기(3)에 도달한다. 이온 검출기(3)는 발생한 이온을 확실하게 포집할 수 있다. 따라서, 이온이 발생하고 있으면 반드시 포집되므로, 이온의 발생 없음과 같은 오판정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온 판정 시간은 단시간이므로, 바로 송풍기(2)가 구동되어 유저에게 운전상의 위화감을 주는 일이 없다.
제어부(5)는 모드 1에 있어서 이온의 발생 있음으로 판정하면, 이온 발생의 판정을 행하지 않는 통상 모드로 이행한다. 제어부(5)는 에러 카운터가 0인지를 확인한다. 이온의 발생 있음이 검출되면, 에러 카운터는 0으로 리셋된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상 모드에서는 이온 발생의 판정을 행하지 않고, 소정 시간 예를 들어 3시간 운전이 행해진다. 3시간 경과하면, 제어부(5)는 모드 2에 의한 판정을 행한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드 2에서는 이온 판정 시간은 좀 길게 설정되고, 송풍기(2)를 구동하면서 이온 발생기(1)를 10초 온/10초 오프하여 1분간의 이온 판정 시간의 사이에 이온 검출을 행하여 이온 발생의 유무를 판정한다. 또한, 1분간에 3회 온 오프가 되지만, 1분간의 최대의 입력값과 최소의 입력값의 차에 기초하여 1회 판정하여도 되고, 혹은 1회의 온 오프마다의 최대의 입력값과 최소의 입력값의 차에 기초하여 합계 3회의 판정을 행하여도 된다.
또한, 모드 1에 있어서, 이온의 발생 없음으로 판정되었을 때, 제어부(5)는 다음의 판정으로서 모드 2에 의한 판정을 행한다. 이때, 모드 2의 개시는 모드 1에 있어서 판정한 후, 곧 행해진다. 혹은, 수초 정도 경과하고 나서 행하여도 된다.
제어부(5)는 모드 2에 있어서 이온의 발생 있음으로 판정하면, 에러 카운터를 리셋하여 통상 모드를 실행한다. 3시간 경과 후에, 제어부(5)는 다시 모드 2에 의한 판정을 행한다. 제어부(5)는 모드 2에 있어서 이온의 발생 없음으로 판정하면, 바로 혹은 단시간 사이에 모드 3에 의한 판정을 행한다.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모드 3에서는 이온 판정 시간은 짧게 설정되고, 송풍기(2)를 구동하면서 이온 발생기(1)를 1초 온/1초 오프하여 10초간의 이온 판정 시간의 동안에 이온 검출을 행하여 이온 발생의 유무를 판정한다. 제어부(5)는 상기와 마찬가지로 10초간의 최대의 입력값과 최소의 입력값의 차에 기초하는 1회의 판정, 혹은 1회의 온 오프마다의 최대의 입력값과 최소의 입력값의 차에 기초하는 합계 5회의 판정을 행한다.
제어부(5)는 모드 3에 있어서 이온의 발생 있음으로 판정하면, 에러 카운터를 리셋하여 통상 모드를 실행한다. 3시간 경과 후에, 제어부(5)는 다시 모드 2에 의한 판정을 행한다. 제어부(5)는 모드 3에 있어서 이온의 발생 없음으로 판정하면, 에러 카운터가 소정 횟수 미만, 예를 들어 60회 미만인지의 여부를 체크한다. 에러 카운터가 60회 미만일 때, 제어부(5)는 에러 카운터를 1개 카운트 업한다. 에러 카운터가 60회 미만일 때, 제어부(5)는 통상 모드를 실행하고, 3시간 경과 후에 모드 2에 의한 판정을 행한다. 또한, 에러 카운터의 소정 횟수는 적절히 설정하여도 된다.
에러 카운터가 60회 이상일 때, 제어부(5)는 모드 4에 의한 판정을 행한다.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모드 4에서는 이온 판정 시간은 좀 길게 설정되고, 송풍기(2)를 정지시켜 이온 발생기(1)를 10초 온/10초 오프하여 1분간의 이온 판정 시간의 사이에 이온 검출을 행하여 이온 발생의 유무를 상기와 마찬가지로 판정한다. 제어부(5)는 모드 4에 있어서 이온의 발생 있음으로 판정하면, 에러 카운터를 리셋하여 통상 모드를 실행한다. 3시간 경과 후에, 제어부(5)는 다시 모드 2에 의한 판정을 행한다. 제어부(5)는 모드 4에 있어서 이온의 발생 없음으로 판정하면, 바로 혹은 단시간 사이에 모드 5에 의한 판정을 행한다.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모드 5에서는 이온 판정 시간은 짧게 설정되고, 송풍기(2)를 정지시켜 이온 발생기(1)를 1초 온/1초 오프하여 10초간의 이온 판정 시간의 사이에 이온 검출을 행하여 이온 발생의 유무를 판정한다. 제어부(5)는 모드 5에 있어서 이온의 발생 있음으로 판정하면, 에러 카운터를 리셋하여 통상 모드를 실행한다. 3시간 경과 후에, 제어부(5)는 다시 모드 2에 의한 판정을 행한다. 제어부(5)는 모드 5에 있어서 이온의 발생 없음으로 판정하면, 이온 발생 에러로 판단한다. 그리고, 제어부(5)는 바로 모든 부하를 정지시켜 운전을 중지함과 함께, 표시부(52)를 동작시켜 에러 표시를 행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어부(5)는 이온 발생의 판정 시를 포함하여 운전 중, 실행하는 모드에 따라 송풍기(2) 및 이온 발생기(1)의 구동을 제어한다.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어부(5)는 이온 발생기(1)의 고전압 발생 회로(35)를 제어할 때, 실행하는 모드를 판단한다. 통상 모드, 모드 1, 3, 5의 경우, 고전압 발생 회로(35)는 1초 온/1초 오프로 구동 제어된다. 제어부(5)는 1초마다 1초 플래그를 0이나 1로 전환하고, 1초 플래그가 1일 때, 고전압 발생 회로(35)에 온 신호를 출력하고 이온을 발생시킨다. 1초 플래그가 0일 때, 고전압 발생 회로(35)에 오프 신호를 출력하고 이온을 발생시키지 않는다. 모드 2, 4의 경우, 고전압 발생 회로(35)는 10초 온/10초 오프로 구동 제어된다. 제어부(5)는 10초마다 10초 플래그를 0이나 1로 전환하고, 10초 플래그가 1일 때, 고전압 발생 회로(35)에 온 신호를 출력하고 이온을 발생시킨다. 10초 플래그가 0일 때, 고전압 발생 회로(35)에 오프 신호를 출력하고 이온을 발생시키지 않는다.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어부(5)는 송풍기(2)를 제어할 때, 실행하는 모드를 판단한다. 모드 1, 4, 5의 경우, 제어부(5)는 팬 모터(22)에 오프 신호를 출력하고, 송풍기(2)를 정지시킨다. 통상 모드, 모드 2, 3의 경우, 제어부(5)는 팬 모터(22)에 온 신호를 출력하고, 송풍기(2)를 동작시킨다.
이상과 같이, 이온 발생의 유무의 판정 시에, 운전 중이라도 송풍기(2)를 정지시킴으로써, 이온이 발생하고 있는 경우, 이온이 날려 흘려지는 일이 없으므로 확실하게 이온을 검출할 수 있다. 그로 인해, 이온이 발생하고 있지 않다는 등의 오판정을 없앤다. 또한, 운전 개시 시에 이온 발생을 검출함으로써 빠르게 이상을 찰지할 수 있고, 계속해서 검출을 행함으로써 이상을 확증할 수 있어 판정 정밀도를 높일 수 있다.
그런데, 이온 발생 장치에 이온 발생 에러가 일어나면, 이온 발생 장치의 운전은 불가능하다. 유저는 이온 발생기(1)를 본체 케이스(4)로부터 제거하고, 새로운 이온 발생기(1)를 장착한다. 낡은 이온 발생기(1)는 분해 가능하므로, 이온 발생 유닛(36)을 제거하고, 방전 전극(30)의 클리닝 등의 유지 보수를 행함으로써, 이온 발생기(1)는 재생되어 사용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이온 발생기(1)의 이온 발생 유닛(36) 내에 기억 소자(53)가 설치된다. 기억 소자(53)는 식별 정보, 리사이클 횟수 등의 유지 보수 정보를 기억한다. 퍼스널 컴퓨터 등의 정보 처리 장치가 이들 정보를 기억 소자(53)에 기입함과 함께 정보를 판독한다. 그리고, 재생된 이온 발생기(1)가 본체 케이스(4)에 장착되었을 때, 제어부(5)는 이온 발생기(1)의 적합을 판단한다. 즉, 제어부(5)는 이온 발생기(1)의 기억 소자(53)로부터 식별 정보를 판독한다. 사용 가능한 복수의 이온 발생기(1)의 식별 정보가 미리 메모리에 등록되어 있어, 제어부(5)는 판독한 식별 정보와 등록되어 있는 식별 정보를 대조한다. 식별 정보가 일치하면, 제어부(5)는 정규의 이온 발생기(1)인 것으로 인식하여 이온 발생기(1)의 동작을 허용한다. 식별 정보가 일치하지 않을 때, 정규품이 아니라고 판단하여 이온 발생기(1)의 동작을 금지한다. 이에 의해, 이온 발생기(1)의 정규품만이 사용 가능하게 되고, 조악한 모방품을 배제할 수 있어 이온 발생 장치의 기능 유지를 도모할 수 있다.
여기서, 본 이온 발생 장치는 휴대용 타입이다. 그로 인해, 본 장치는 테이블 위 등에 두고 사용되는 경우가 있으며, 운전 중에 송풍기(2)의 진동에 의해 발생하는 소음이 문제로 된다. 이 진동을 억제하기 위하여 방진을 고려한 송풍기(2)의 설치 구조로 된다. 도 15,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송풍기(2)를 쿠션재(60)를 개재하여 본체 케이스(4)에 보유 지지한 구조로 된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쿠션재(60)를 개재하여 송풍기(2)를 보유 지지하는 보유 지지 케이스(61)가 설치되고, 보유 지지 케이스(61)가 본체 케이스(4)에 설치됨으로써, 송풍기(2)는 간접적으로 본체 케이스(4)에 설치된다.
본체 케이스(4)의 저면은 개방되어 있고, 본체 케이스(4)는 케이스 바닥(62)에 끼워 넣어진다. 본체 케이스(4)의 하측의 공간이 송풍기(2)의 수용실(63)로 되고, 상측의 공간에 송풍로(15)가 형성되고, 이온 발생기(1) 및 이온 검출기(3)가 배치된다. 수용실(63)의 상방에 송풍기 고정용의 설치대(64)가 설치된다. 설치대(64)는 본체 케이스(4)의 배면 및 상면에 나사 고정된다. 따라서, 설치대(64)는 본체 케이스(4)의 일부로 간주할 수 있다.
설치대(64)에 덕트(14)가 설치된다. 덕트(14)는 세로 방향으로 분할된 전 덕트(65)와 후 덕트(66)를 조합함으로써 형성된다. 설치대(64)에 후 덕트(66)가 끼워 넣어지고, 후 덕트(66)에 전 덕트(65)가 가압되어 전 덕트(65)가 설치대(64)에 나사 고정된다. 전후의 덕트(65, 66)가 설치대(64)에 고정되어 송풍로(15)가 형성된다.
전 덕트(65)에 검출 창(45)이 형성되고, 이온 검출기(3)가 끼워 넣어진다. 후 덕트(66)에 발생 창(40)이 형성되고, 이온 발생기(1)가 끼워 넣어진다. 설치대(64)에 소켓(38)이 장착되고, 이온 발생기(1)의 핀 커넥터(37)가 삽입된다.
보유 지지 케이스(61)는 저벽(70), 전방벽(71), 측벽(72)에 의해 송풍기(2)의 3방면을 덮도록 형성된다. 송풍기(2)의 측방 및 배면측은 공기를 흡입하기 위하여 개방되어 있다. 보유 지지 케이스(61)의 저벽(70)은 케이스 바닥(62)에 설치되어 나사 고정된다. 보유 지지 케이스(61)의 전방벽(71) 및 측벽(72)의 상부 테두리는 설치대(64)의 하면에 형성된 외주연(73)에 둘러싸여져, 보유 지지 케이스(61)가 설치대(64)에 어긋나지 않도록 결합된다. 측벽(72)의 외면에는 팬 모터 구동용의 회로 기판(74)이 설치된다.
설치대(64)의 하면에는 덕트(14)가 돌출되고, 덕트(14)의 개구가 송풍로(15)의 입구로 된다. 송풍기(2)의 팬 분출구(23)는 팬 케이싱(20)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덕트(14)의 개구는 팬 분출구(23)보다도 크게 형성된다.
팬 분출구(23)가 덕트(14)의 개구의 내측에 밀착하도록 끼워 넣어지고, 팬 케이싱(20)이 설치대(64)에 접촉한다. 즉, 송풍기(2)는 본체 케이스(4)의 일부인 설치대(64)에 끼워 맞추어져 덕트(14)에 대하여 위치 결정된다.
쿠션재(60)는 고무, 스펀지 등의 탄성 부재로 이루어지고, 박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복수의 쿠션재(60)가 송풍기(2)의 팬 케이싱(20)의 외면에 부착된다. 각 쿠션재(60)는 보유 지지 케이스(61)와 팬 케이싱(20)의 사이에 개재 장착된다. 팬 케이싱(20)의 저면과 보유 지지 케이스(61)의 저벽(70)의 사이 및 팬 케이싱(20)의 전방면과 보유 지지 케이스(61)의 전방벽(71)의 사이에 각각 쿠션재(60)는 위치한다. 또한, 팬 케이싱(20)의 상면과 설치대(64)의 하면의 사이에도 쿠션재(60)가 개재 장착된다.
또한,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유 지지 케이스(61)의 저벽(70)에 함몰부(75)를 형성하면 된다. 이 함몰부(75)는 팬 케이싱(20)의 외주를 따라 형성된다. 쿠션재(60)는 함몰부(75)에 대향하도록 팬 케이싱(20)에 설치된다. 팬 케이싱(20)의 저면이 쿠션재(60)를 개재하여 보유 지지 케이스(61)에 지지된다.
이와 같이 송풍기(2)의 설치 구조로서 본체 케이스(4)에 의해 송풍기(2)를 상하 방향으로부터 끼우는 구조로 되어 있다. 즉, 송풍기(2)는 보유 지지 케이스(61)에 쿠션재(60)를 개재하여 적재되고, 이 송풍기(2)가 본체 케이스(4)에 고정된 보유 지지 케이스(61)와 본체 케이스(4)의 일부인 설치대(64)에 끼워짐으로써, 송풍기(2)는 본체 케이스(4)에 설치된다.
여기서, 좌우 방향, 즉 축 방향에 대하여 송풍기(2)의 이동을 규제하기 위한 규제 부재가 설치된다. 도 15,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팬 케이싱(20)의 외면에 설치 부재(80)가 형성된다. 설치 부재(80)는 평탄한 돌기이며, 한 쌍의 규제 부재(81, 82)에 의해 끼워 넣어진다. 이에 의해, 송풍기(2)는 축 방향에의 이동이 규제되어, 보유 지지 케이스(61)로부터 송풍기(2)가 탈락하는 것이 방지된다.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유 지지 케이스(61)의 저벽(70)과 전방벽(71)의 코너에 한 쌍의 규제 부재(81, 82)가 설치된다. 각 규제 부재(81, 82)는 평탄면을 갖는 돌기이다. 팬 케이싱(20)의 전방측 근처의 저면 가까이에 설치 부재(80)가 형성된다. 한 쌍의 규제 부재(81, 82)의 간격은 설치 부재(80)의 두께보다도 크게 되어 있으며, 설치 부재(80)가 규제 부재(81, 82)의 사이에 꼭 맞았을 때 간극이 생긴다. 이에 의해, 설치 부재(80)를 규제 부재(81, 82)의 사이에 원활하게 끼울 수 있다.
또한,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유 지지 케이스(61)의 측벽(72)의 상부에 규제 부재(83)가 형성되고, 설치대(64)의 하면에도 규제 부재(84)가 형성된다. 각 규제 부재(83, 84)는 평탄면을 갖는 돌기이다. 팬 케이싱(20)의 배면측 근처의 상면 가까이에 설치 부재(80)가 형성된다. 양쪽 규제 부재(83, 84)의 간격은 설치 부재(80)의 두께보다도 크게 된다. 상기와 마찬가지로 설치 부재(80)와 양쪽 규제 부재(83, 84)의 사이에는 간극이 생겨, 설치 부재(80)를 규제 부재(83, 84)의 사이에 원활하게 끼울 수 있다.
또한, 송풍기(2)에 설치 부재(80)를 설치하고 있는데, 종래의 나사 고정 구조의 송풍기(2)에는 나사 고정용으로 설치 부재(80)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보유 지지 케이스(61)에는 나사 구멍용의 보스가 설치되어 있다. 본 구조에서는 이것들을 그대로 이용할 수 있으며, 보스가 한쪽의 규제 부재(81, 83)로 된다. 그로 인해, 다른쪽의 규제 부재(82, 84)를 추가하는 것만으로 본 구조를 실현할 수 있다. 그로 인해, 종래의 나사 고정 구조로부터 본 구조로 용이하게 개조할 수 있다.
이어서, 송풍기(2)의 설치 수순을 설명한다. 우선, 송풍기(2)의 팬 케이싱(20)의 외면에 복수의 쿠션재(60)를 소정의 위치에 부착한다. 송풍기(2)의 하측의 설치 부재(80)를 보유 지지 케이스(61)의 하측의 한 쌍의 규제 부재(81, 82)의 사이에 넣고, 송풍기(2)를 보유 지지 케이스(61)의 저벽(70)의 위에 둔다. 송풍기(2)의 상측의 설치 부재(80)는, 보유 지지 케이스(61)의 상측의 규제 부재(83)에 대향하고 있다. 이때, 송풍기(2)는 보유 지지 케이스(61) 상에 적재된 상태에 있다.
덕트(14)가 설치된 설치대(64)의 하방에 송풍기(2)가 적재된 보유 지지 케이스(61)를 갖고 간다. 송풍기(2)의 팬 분출구(23)를 덕트(14)의 개구에 삽입한다. 이것과 동시에 송풍기(2)의 상측의 설치 부재(80)를 보유 지지 케이스(61)의 규제 부재(83)와 설치대(64)의 규제 부재(84)의 사이에 넣는다. 보유 지지 케이스(61)를 케이스 바닥(62)에 얹고, 보유 지지 케이스(61)를 케이스 바닥(62)에 나사 고정한다. 설치대(64) 및 송풍기(2)가 설치된 케이스 바닥(62)에 본체 케이스(4)를 씌워 본체 케이스(4)를 설치대(64)에 나사 고정한다. 이온 발생기(1)를 본체 케이스(4)의 삽입구(39)로부터 장착한다. 마지막으로, 커버(11)를 본체 케이스(4)에 설치한다.
상기의 설치 구조에서는 송풍기(2)는 상하 방향으로부터 쿠션재(60)를 개재하여 본체 케이스(4)에 끼워져 고정된다. 송풍기(2)의 상방에 덕트(14)가 있으므로, 송풍기(2)를 보유 지지 케이스(61)에 적재하여 상하 방향으로부터 끼움으로써 송풍기(2)를 고정할 수 있다. 그로 인해, 상기와 같은 설치 구조가 적합하며, 적은 부재로 방진을 도모하면서 송풍기(2)를 고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송풍기(2)는 본체 케이스(4)에 나사 고정되어 있지 않다. 송풍기(2)의 진동이 쿠션재(60)에 흡수되므로, 진동이 본체 케이스(4)에 전달되지 않아, 본체 케이스(4)가 공명하여 소음을 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게다가, 규제 부재(81 내지 84)나 설치 부재(80)는 송풍기(2)의 주위에 종래부터 존재하는 공간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새로운 부재를 위하여 공간을 취하지 않고, 방진 기능을 구비한 공간 절약의 설치 구조를 실현할 수 있어 장치의 소형화를 저해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상기 실시 형태에 많은 수정 및 변경을 가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본 송풍 장치를 탁상에서 사용 가능한 소형의 공기 청정기, 제습기 등에 탑재하여도 된다. 이온 발생기에 설치하는 기억 소자로서 IC 태그를 사용하여도 된다.
상기에서는 팬 케이싱의 상면과 설치대의 사이에 쿠션재를 설치하고 있지만, 이 쿠션재를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 팬 케이싱의 상면과 설치대의 하면의 사이에는 간극이 있기 때문에 직접 진동이 전달되는 일은 없다. 또한, 한 쌍의 규제 부재 사이에 설치 부재를 끼우는 대신에 한 쌍의 설치 부재 사이에 규제 부재를 끼워도 된다.
1: 이온 발생기
2: 송풍기
3: 이온 검출기
4: 본체 케이스
5: 제어부
10: 분출구
14: 덕트
15: 송풍로
20: 팬 케이싱
21: 팬
22: 팬 모터
30: 방전 전극
31: 유전 전극
32: 수용 케이스
34: 관통 구멍
35: 고전압 발생 회로
41: 가드 리브
42: 포집체
43: 이온 검출 회로
46: 보호체
60: 쿠션재
61: 보유 지지 케이스
64: 설치대
80: 설치 부재
81 내지 84: 규제 부재
2: 송풍기
3: 이온 검출기
4: 본체 케이스
5: 제어부
10: 분출구
14: 덕트
15: 송풍로
20: 팬 케이싱
21: 팬
22: 팬 모터
30: 방전 전극
31: 유전 전극
32: 수용 케이스
34: 관통 구멍
35: 고전압 발생 회로
41: 가드 리브
42: 포집체
43: 이온 검출 회로
46: 보호체
60: 쿠션재
61: 보유 지지 케이스
64: 설치대
80: 설치 부재
81 내지 84: 규제 부재
Claims (11)
- 팬 모터 및 팬을 내장한 팬 케이싱을 갖는 송풍기가 본체 케이스에 장착된 송풍 장치로서,
팬 케이싱이 쿠션재를 개재하여 보유 지지 케이스에 보유 지지되고, 보유 지지 케이스가 본체 케이스에 설치되며,
본체 케이스에 송풍용의 덕트가 형성된 설치대가 설치되고, 보유 지지 케이스가 설치대에 결합되고, 송풍기의 분출구가 덕트에 끼워 넣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풍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송풍기가 본체 케이스로부터 탈락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송풍기의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 부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풍 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송풍기의 팬 케이싱에 설치 부재가 형성되고, 설치 부재를 사이에 끼우도록 한 쌍의 규제 부재가 보유 지지 케이스 혹은 설치대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풍 장치.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설치대는 송풍기의 상방에 위치하고, 송풍기와 설치대의 사이에 쿠션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풍 장치. - 본체 케이스에 이온을 발생하는 이온 발생기와, 제1항에 기재된 송풍 장치가 내장되고, 송풍 장치의 송풍기로부터의 바람에 의해 이온 발생기로부터 발생한 이온을 외부로 분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 발생 장치.
- 제5항에 있어서,
발생한 이온을 검출하는 이온 검출기를 구비하고, 발생한 이온을 분출구로부터 외부로 분출시키기 위한 송풍로가 형성되고, 송풍로를 사이에 끼워 이온 발생기와 이온 검출기가 대향하여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 발생 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송풍로의 가장 좁은 위치에 이온 발생기와 이온 검출기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 발생 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송풍로의 상대되는 한쪽의 벽에 이온 발생기가 설치되고, 다른쪽의 벽에 이온 검출기가 설치되고, 이온 발생기에 대향하는 벽이 이온 발생을 저해하지 않도록 이온 발생기와 대향하는 벽과의 간격이 규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 발생 장치. -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이온 발생기는 간격을 두고 배치된 한 쌍의 방전 전극을 갖고, 플러스 이온과 마이너스 이온 중 어느 한쪽의 이온이 한쪽의 방전 전극으로부터 발생하고, 다른쪽의 이온이 다른쪽의 방전 전극으로부터 발생하고, 이온 검출기는 플러스 이온과 마이너스 이온 중 어느 한쪽의 이온을 포집하여 검출하고, 이온 검출기의 포집면의 일부가 다른쪽의 이온의 포집을 방지하기 위한 보호체에 덮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 발생 장치. - 제9항에 있어서,
보호체는 다른쪽의 이온을 발생하는 방전 전극에 대향하여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 발생 장치. - 삭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09-138056 | 2009-06-09 | ||
JP2009138063A JP4728416B2 (ja) | 2009-06-09 | 2009-06-09 | 送風装置 |
JP2009138056A JP4728415B2 (ja) | 2009-06-09 | 2009-06-09 | イオン発生装置 |
JPJP-P-2009-138063 | 2009-06-09 | ||
PCT/JP2010/058394 WO2010143502A1 (ja) | 2009-06-09 | 2010-05-18 | 送風装置およびイオン発生装置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23647A KR20120023647A (ko) | 2012-03-13 |
KR101276473B1 true KR101276473B1 (ko) | 2013-06-19 |
Family
ID=433087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7026676A KR101276473B1 (ko) | 2009-06-09 | 2010-05-18 | 송풍 장치 및 이온 발생 장치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1) | US8797704B2 (ko) |
KR (1) | KR101276473B1 (ko) |
CN (2) | CN102428324B (ko) |
MY (1) | MY152254A (ko) |
SG (2) | SG185998A1 (ko) |
WO (1) | WO2010143502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2650446B (zh) * | 2011-02-28 | 2016-06-15 | 博西华电器(江苏)有限公司 | 一种机箱及设置有该种机箱的抽油烟机 |
JP5836553B2 (ja) * | 2012-01-10 | 2015-12-24 | シャープ株式会社 | 空気調和装置 |
US10241106B2 (en) * | 2013-05-27 | 2019-03-26 | Hitachi, Ltd. | Atmospheric pressure ion detector for outside air measurement |
WO2015050045A1 (ja) * | 2013-10-02 | 2015-04-09 | シャープ株式会社 | イオン発生装置および電気機器 |
JP5945970B2 (ja) * | 2013-10-23 | 2016-07-05 | Smc株式会社 | イオナイザ及びその制御方法 |
JP5945972B2 (ja) * | 2013-11-01 | 2016-07-05 | Smc株式会社 | イオナイザ及びその制御方法 |
CN103776104B (zh) * | 2014-01-10 | 2016-06-22 | 安徽锋亚环境技术有限公司 | 基于低温等离子体的室内空气净化装置 |
WO2016035389A1 (ja) * | 2014-09-05 | 2016-03-10 | シャープ株式会社 | イオン発生機 |
JP6580906B2 (ja) * | 2015-09-03 | 2019-09-25 | シャープ株式会社 | イオン発生装置及びイオン発生器 |
JP6656887B2 (ja) * | 2015-11-10 | 2020-03-04 | シャープ株式会社 | ポータブル型空気清浄機 |
JP2017157298A (ja) * | 2016-02-29 | 2017-09-07 | シャープ株式会社 | プラズマ生成装置 |
WO2018055784A1 (ja) * | 2016-09-21 | 2018-03-29 | シャープ株式会社 | 放電装置および電気機器 |
JP7001695B2 (ja) * | 2017-08-22 | 2022-01-20 | シャープ株式会社 | 送風装置 |
JP7002353B2 (ja) * | 2018-01-26 | 2022-01-20 | シャープ株式会社 | 冷蔵庫 |
US11268537B2 (en) | 2018-08-06 | 2022-03-08 |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 Interface for a plenum fan |
US11730210B2 (en) | 2020-08-18 | 2023-08-22 | Iona Tech Llc | Wireless anti-static device for ESD mitigation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9119657A (ja) * | 1995-10-25 | 1997-05-06 | Mitsubishi Electric Corp | 冷凍・空調装置 |
JP2006084165A (ja) | 2004-09-17 | 2006-03-30 | Max Co Ltd | 空調機 |
JP2007247444A (ja) | 2006-03-14 | 2007-09-27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送風ファン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電子機器 |
Family Cites Familie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055963A (en) * | 1990-08-15 | 1991-10-08 | Ion Systems, Inc. | Self-balancing bipolar air ionizer |
JP2003336872A (ja) | 2002-05-23 | 2003-11-28 | Sharp Corp | イオン発生素子 |
JP4133128B2 (ja) | 2002-08-30 | 2008-08-13 | 日本無機株式会社 | 空気清浄装置 |
CN1549413A (zh) * | 2003-05-16 | 2004-11-24 | 日本帕金考部件株式会社 | 离子产生装置 |
JP2007114177A (ja) | 2005-09-21 | 2007-05-10 | Sharp Corp | イオン検出装置及びイオン発生装置 |
JP5011540B2 (ja) * | 2007-06-27 | 2012-08-29 | 日立マクセル株式会社 | イオン発生装置 |
-
2010
- 2010-05-18 CN CN201080021502.2A patent/CN102428324B/zh active Active
- 2010-05-18 MY MYPI2011005772 patent/MY152254A/en unknown
- 2010-05-18 KR KR1020117026676A patent/KR101276473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0-05-18 WO PCT/JP2010/058394 patent/WO2010143502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0-05-18 SG SG2012083929A patent/SG185998A1/en unknown
- 2010-05-18 US US13/376,885 patent/US8797704B2/en active Active
- 2010-05-18 SG SG2011084423A patent/SG176106A1/en unknown
- 2010-06-04 CN CN2010202193006U patent/CN201717512U/zh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9119657A (ja) * | 1995-10-25 | 1997-05-06 | Mitsubishi Electric Corp | 冷凍・空調装置 |
JP2006084165A (ja) | 2004-09-17 | 2006-03-30 | Max Co Ltd | 空調機 |
JP2007247444A (ja) | 2006-03-14 | 2007-09-27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送風ファン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電子機器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02428324A (zh) | 2012-04-25 |
CN102428324B (zh) | 2014-12-31 |
CN201717512U (zh) | 2011-01-19 |
MY152254A (en) | 2014-09-15 |
SG185998A1 (en) | 2012-12-28 |
SG176106A1 (en) | 2011-12-29 |
WO2010143502A1 (ja) | 2010-12-16 |
KR20120023647A (ko) | 2012-03-13 |
US20120081831A1 (en) | 2012-04-05 |
US8797704B2 (en) | 2014-08-0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276473B1 (ko) | 송풍 장치 및 이온 발생 장치 | |
JP4728415B2 (ja) | イオン発生装置 | |
JP2011228075A (ja) | イオン発生装置 | |
JP4728416B2 (ja) | 送風装置 | |
KR20070109847A (ko) | 코로나 방전형 이오나이저 및 팬 유닛 | |
KR101179325B1 (ko) | 이온 발생 장치 | |
KR20200056092A (ko) | 공기 청정기 및 공기청정기의 제어방법 | |
JP4769900B2 (ja) | イオン発生装置及びその装置におけるイオン検出方法 | |
JP3090059B2 (ja) | 粉塵検知センサ付空気清浄機 | |
JP2006308121A (ja) | クロスフローファン付き機器 | |
JP2006234246A (ja) | 空気調和機 | |
JP2604304B2 (ja) | 空気清浄機 | |
JP2015232433A (ja) | 空気清浄機 | |
JP2013218852A (ja) | 帯電粒子発生装置 | |
JP6254710B2 (ja) | イオン発生機 | |
JP6441328B2 (ja) | イオン発生装置 | |
CN103635753B (zh) | 空调机 | |
JP2003279088A (ja) | ファンフィルター装置とそのリモコンユニット | |
JP5774936B2 (ja) | イオン送出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電気機器 | |
JP3533323B2 (ja) | 空気清浄機 | |
KR20060027148A (ko) | 공기청정기의 필터 세척 및 교환시기 검출장치 | |
JPH0427548Y2 (ko)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603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602 Year of fee payment: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