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5539B1 - 취성 재료 기판의 가공 방법과 그것에 이용하는 가공 장치 - Google Patents

취성 재료 기판의 가공 방법과 그것에 이용하는 가공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5539B1
KR101275539B1 KR1020110022714A KR20110022714A KR101275539B1 KR 101275539 B1 KR101275539 B1 KR 101275539B1 KR 1020110022714 A KR1020110022714 A KR 1020110022714A KR 20110022714 A KR20110022714 A KR 20110022714A KR 101275539 B1 KR101275539 B1 KR 1012755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cooling
crack
roller
reg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27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05343A (ko
Inventor
아츠시 이무라
유스케 히라우치
Original Assignee
미쓰보시 다이야몬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보시 다이야몬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보시 다이야몬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1053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53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55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55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3/00Severing cooled glass
    • C03B33/02Cutting or splitting sheet glass or ribbons;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 C03B33/023Cutting or splitting sheet glass or ribbons;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the sheet or ribbon being in a horizontal position
    • C03B33/033Apparatus for opening score lines in glass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6/00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 B23K26/36Removing material
    • B23K26/38Removing material by boring or cut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3/00Severing cooled glass
    • C03B33/08Severing cooled glass by fusing, i.e. by melting through the glass
    • C03B33/082Severing cooled glass by fusing, i.e. by melting through the glass using a focussed radiation beam, e.g. laser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3/00Severing cooled glass
    • C03B33/09Severing cooled glass by thermal shock
    • C03B33/091Severing cooled glass by thermal shock using at least one focussed radiation beam, e.g. laser beam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40/00Technologies relating to the processing of minerals
    • Y02P40/50Glass production, e.g. reusing waste heat during processing or shaping
    • Y02P40/57Improving the yield, e-g- reduction of reject r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Re-Forming, After-Treatment, Cutting And Transporting Of Glass Products (AREA)
  • Processing Of Stones Or Stones Resemblance Materials (AREA)

Abstract

(과제) 분단 예정 라인을 따라 정밀도 좋게 기판을 분단할 수 있는 기판의 분단 방법을 제공한다.
(해결 수단) 기판(W)의 분단 예정 라인(L)을 따라 이동시키면서 레이저 조사함으로써 기판(W)에 국소적인 압축 응력을 발생시키는 가열 공정과, 가열된 영역을 냉각함으로써 인장 응력을 발생시켜 균열(10)을 분단 예정 라인(L)을 따라 진전시키는 냉각 공정과, 인장 응력이 잔류하여 균열(10)의 개구부가 열려 있는 동안에, 이 균열의 개구부가 발생하고 있는 영역에 대하여 외력을 인가하여 균열을 두께 방향으로 침투시키는 브레이크 공정을 구비한다.

Description

취성 재료 기판의 가공 방법과 그것에 이용하는 가공 장치{PROCESSING METHOD FOR BRITTLE MATERIAL SUBSTRATE AND PROCESSING APPARATUS USED THEREIN}
본 발명은, 유리, 실리콘, 세라믹, 반도체 등의 취성 재료 기판(brittle material substrate}에 대하여, 분단(dividing) 예정 라인을 따라 레이저 광을 조사하여 국소 가열하고, 계속해서 냉매를 분사하여 국소 냉각함으로써 당해 기판에 균열(crack)을 형성하는 가공 방법과 그것에 이용하는 가공 장치에 관한 것이다. 여기에서 말하는 「가공」은, 가열과 냉각에 의해 기판에 열응력 분포를 발생시켜 당해 기판에 균열을 형성하는 가공을 말하지만, 형성되는 균열이 기판 표면으로부터 이면(裏面)에 도달하도록 하여 완전 분단시키는 경우와 함께, 분단 예정 라인에 깊은 균열(기판 두께의 80% 이상의 균열)을 형성하여 완전 분단의 직전 상태로 하는 바와 같은 가공도 포함된다.
종래, 취성 재료인 유리 기판을 분단(할단)하는 방법으로서, 예를 들면 특허문헌 1 그리고 특허문헌 2에서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기판을 국소적으로 가열 및 냉각하고, 그때에 발생하는 열응력(압축 응력 그리고 인장 응력)에 의해, 미리 기판의 단부(端部)에 형성되어 있는 초기 균열(트리거)을 기점으로 하여 균열을 소망하는 방향으로 진전시켜, 기판에 스크라이브 라인(scribing line)을 형성하거나, 완전 분단(판두께가 매우 얇을 때 등)하거나 하는 가공 방법이 알려져 있다.
구체적으로는, 열원으로서 레이저 빔을 사용하여, 테이블 상에 보지(保持;holding)시킨 기판을 레이저 빔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함으로써 레이저 빔을 기판의 분단 예정 라인을 따라 국소적으로 조사하여 가열함과 함께, 이에 추종하여 냉각 유닛의 노즐로부터 냉매를 분사한다. 이때 가열에 의해 발생하는 압축 응력과, 급냉에 의해 발생하는 인장 응력에 의한 응력 분포를 이용하여, 균열을 분단 예정 라인의 방향으로 진전시켜, 한줄의 스크라이브 라인을 형성한다.
그리고, 기판이 매우 얇은 경우 등에서 완전 분단되어 버리는 경우를 제외하고, 스크라이브 라인(균열)을 따라, 브레이크 바를 누르거나, 롤러를 압접 전동(rolling)하거나 함으로써 기판을 휘게 함으로써 기판을 분단하도록 하고 있다.
일본공개특허공보 2004-182530호 일본공개특허공보 2005-263578호
그러나, 전술한 종래 방법에서는, 가열, 냉각을 행한 후에, 외력을 주어 기판을 휘게 하여 분단할 때에, 분단되어 형성된 단면(端面)끼리가 서로 압압(pushing)해 버려, 정밀도 좋게 분단 예정 라인을 따라 분단할 수 없는 경우가 있었다. 또한, 분단면이 조잡해진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본 과제를 해결하여, 분단 예정 라인을 따라 정밀도 좋게 분단할 수 있는 기판의 분단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검토한 후에, 발명자의 반복 실험에 의해, 분단되어 형성된 단면끼리가 서로 압압하는 것은, 이하의 점이 요인이 되어 있는 것을 알았다. 도 6은, 국소 가열 후에, 가열 부분에 추종하여, 냉매를 분사하여 냉각한 직후의 기판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또한, 설명의 편의상, 균열 등을 과장하여 도시하고 있다.
기판(W)을 레이저 빔에 의해 국소적으로 가열한 후, 이 가열 부분을 냉각 장치의 노즐(13)로부터의 냉매에 의해 급냉하면, 인장 응력이 발생한다. 이 인장 응력에 의해, 도 6(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균열(11)이 발생한다. 이 균열의 개구부는 냉매가 분사되는 냉각 포인트로부터 떨어짐에 따라, 곧 닫혀, 도 6(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육안으로 볼 수 없는 블라인드 크랙(blind crack;12)이 된다. 블라인드 크랙은, 냉각에 의해 인장 응력이 발생하고 있는 영역이, 시간 경과에 따라 온도가 완화되어 재차 표면 온도가 상승했을 때에, 압축 응력으로 바뀌게 되어, 균열면이 압축되어 균열이 닫혀 있다고 생각된다. 이러한 블라인드 크랙(한번 발생한 균열의 개구부가 재차 닫혀 육안으로 보이지 않게 되어 있지만 내부에 균열이 남아 있는 상태)이 발생하고 있는 상태에서, 외력을 인가하여 기판을 휘게 하여 브레이크를 행하면, 균열의 개구부에 압축 응력이 잔류하여 닫혀 있기 때문에 큰 외력을 필요로 하고, 무리하게 분단하려고 하면 분단되어 형성된 단면끼리가 서로 압압해 버린다고 생각된다. 이 압축 응력이, 정밀도 좋게 분단 예정 라인을 따라 분단할 수 없게 되는 경우의 요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다음과 같은 기술적 수단을 강구했다. 즉, 본 발명의 기판 가공 방법에서는, 취성 재료 기판의 분단 예정 라인을 따라 레이저 빔을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면서 조사함으로써 가열하여 기판에 국소적인 압축 응력을 발생시키는 가열 공정과, 가열된 영역의 바로 뒤에 냉매를 분사하여 형성한 냉각 영역을 레이저 빔에 추종하여 이동시키면서 취성 재료 기판을 국소 냉각함으로써 인장 응력을 발생시켜 분단 예정 라인을 따라 균열을 진전시키는 냉각 공정과, 이 인장 응력이 잔류하여 균열의 개구부가 열려 있는 동안에, 이 균열의 개구부가 발생하고 있는 영역에 대하여 외력을 인가하여 균열을 두께 방향으로 침투시키는 브레이크 공정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여기에서, 브레이크 공정에 있어서의 외력을 인가시키는 위치는, 냉각 공정에 의한 냉각 영역의 냉각 중심으로부터 냉각 영역의 이동 방향 후방측으로 20㎜, 그리고, 냉각 영역의 이동 방향 전방측으로 5㎜의 범위에 배치하는 것이 좋다. 특히, 냉각에 의해 발생한 균열의 개구부가 최대로 열려 있는 위치가 가장 바람직하고, 기판의 냉각 중심(cp)으로부터 냉각 영역의 이동 방향과 반대 방향이 되는 후방을 향하여 0㎜∼10㎜의 범위의 위치가 적절하다.
또한, 본 발명의 기판 가공 장치에는, 테이블 상에 올려놓여진 취성 재료 기판의 분단 예정 라인을 따라 상기 기판의 상방으로부터 레이저 빔을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면서 조사함으로써 가열하여 기판에 국소적인 압축 응력을 발생시키는 레이저 조사 기구와, 가열된 영역의 바로 뒤에 냉매를 분사하여 형성한 냉각 영역을 레이저 빔에 추종하도록 이동시켜 취성 재료 기판을 국소 냉각함으로써 인장 응력을 발생시켜 분단 예정 라인을 따라 균열을 진전시키는 냉각 기구를 구비한 레이저 가공 장치로서, 상기 테이블은 상기 기판의 분할 예정 라인의 하면측을 노출시키기 위한 간극(gap)을 사이에 두고 양측으로 분할되고, 냉매의 분사에 의해 발생한 인장 응력이 잔류하여 균열의 개구부가 열려 있는 동안에, 이 균열의 개구부가 발생하고 있는 영역에 대하여, 상기 기판의 하방으로부터 외력을 인가하여 균열을 두께 방향으로 침투시키는 브레이크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에서 상기 브레이크 기구는, 상기 테이블에 대하여, 상기 간극을 따라 상대적으로 이동하면서 기판의 분할 예정 라인의 하면을 압압하는 롤러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냉각 기구는 냉매를 분사하는 노즐을 갖고, 냉매가 분사되는 냉각 포인트의 중심으로부터, 노즐의 기판에 대한 이동 방향과 반대측인 후방측 20㎜, 그리고, 이동 방향 전방측 5㎜의 범위 내에 상기 롤러를 배치하고 있다.
또한 상기 브레이크 기구는, 상기 롤러에 상대하는 상기 기판의 상방의 위치에 오목면 형상의 주면(周面)을 갖는 받침 롤러를 추가로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의 가공 방법과 가공 장치에 의하면, 브레이크 공정에서의 외력을 인가하는 위치를, 냉각 공정에 의한 급격한 냉각에 의해 발생한 균열이 블라인드 크랙이 되지 않고, 균열의 개구부가 열려 있는 영역 내로 하고 있기 때문에, 외력을 조금 주는 것만으로, 즉, 균열의 개구부가 열려 있는 영역을 외력으로 조금 휘게 하는 것만으로, 무리 없이 균열을 침투시켜 분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종래와 같은, 분단되어 형성된 단면끼리가 서로 압압하는 바와 같은 현상을 없앨 수 있어, 분단 예정 라인을 따라 정밀도 좋게 분단할 수 있음과 함께, 매끄럽고, 깨끗한 가공면을 얻을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브레이크 공정에 있어서의 외력의 인가 수단으로서 기판에 압접하는 롤러를 사용하고, 이 롤러를 기판의 레이저 빔 조사면과는 반대측에 배치하여, 롤러를 누름으로써 외력을 인가하도록 하는 것이 좋다.
이에 따라, 균열의 개구부가 열려 있는 영역을 정확하게 휘게 할 수 있어, 무리 없이 균열을 침투시켜 분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공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레이저 가공 장치의 일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있어서의 가공시의 열응력의 발생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로, 압축 응력이 발생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가공시의 열응력의 발생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로, 인장 응력이 발생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도 5는 외력이 인가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6은 레이저 가공 후에, 냉매를 분사하여 냉각한 직후의 기판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가공 방법의 상세를, 그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공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레이저 가공 장치의 일 예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2는 가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레이저 가공 장치는, 유리 기판(W)을 올려놓기 위한 2분할된 테이블(1)을 구비하고 있다. 테이블(1)은, 기판(W)을 올려놓기 위한 평평한 상면(2)을 갖고 있고, 상면(2)에는 다수의 에어 흡인구멍(3)이 형성되어 있다. 이 에어 흡인구멍(3)은, 올려놓여지는 기판(W)을 흡인 보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테이블(1)의 내부에 설치된 매니폴드(도시하지 않음)를 통하여 에어 흡인 펌프(도시하지 않음)로 연통(communication)되어 있다. 또한, 테이블(1)에 올려놓여진 기판(W)을, 흡반(吸盤; 4)을 통하여 들어 올려 반송시키기 위한 반송 로봇(5)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테이블(1) 상에 올려놓여진 기판(W)을, 분단 예정 라인을 따라 가공하기 위해, 기판(W)에 국소적인 압축 응력을 발생시키는 가열 수단으로서의 레이저 조사 기구(6)와, 이 레이저 조사 기구(6)에 의한 가열 영역(레이저 스폿)에 추종하여, 가열 영역의 바로 뒤를 냉매 분사에 의해 냉각함으로써 인장 응력을 발생시켜, 균열을 분단 예정 라인을 따라 진전시키는 냉각 기구(7)와, 이 인장 응력이 잔류하고 있는 동안에, 냉각 영역 근방(균열의 개구부가 발생하고 있는 영역)에 대하여 외력을 인가하여 균열을 두께 방향으로 침투시키는 브레이크 기구(8)가 설치되어 있다.
냉각 기구(7)는, 선단(先端)으로부터 냉매를 분사하는 노즐(7a)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브레이크 기구(8)는, 기판(W)의 하방측에 배치된 롤러(8a)를 구비하고 있고, 이 롤러(8a)를 분할된 테이블(1)의 간극(gap)에서, 아래로부터 압압시킴으로써 기판(W)을 압압하여 분단하게 되어 있다. 또한, 롤러(8a)에 상대하여, 기판(W)의 상방측에 오목면 형상의 주면(周面)을 갖는 받침 롤러(8b)를 설치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레이저 조사 기구(6), 냉각 기구(7), 브레이크 기구(8)는, 레이저 조사 기구(6)를 선두로 하여 순차로 일직선 상에 배열되어 공통의 보지 부재(holding member;9)에 의해 보지되어 있고, 구동 기구(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기판(W)을 올려놓은 테이블(1)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배열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브레이크 기구(8)의 롤러(8a)는, 노즐(7a)로부터의 냉매 분사에 의한 급격한 냉각에 의해 발생한 균열(10)(도 4 참조)이 블라인드 크랙이 되지 않고, 균열의 개구부가 열려 있는 영역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는, 가공해야 할 유리 기판(W)의 두께가 0.4㎜∼1.1㎜ 정도, 기판(W)의 전송 속도가 50㎜/초∼500㎜/초로 했을 때에, 노즐(7a)에 의한 냉각 포인트의 중심(cp)(도 2)으로부터 노즐(7a)의 기판(W)에 대한 이동 방향(화살표 방향)과 반대 방향인 후방측의 20㎜ 그리고 이동 방향 전방측 5㎜의 범위에 롤러(8a)가 배치된다.
특히, 냉각에 의해 발생한 균열의 개구부가 크게 열려 있는 위치가 가장 바람직하고, 냉각 포인트의 중심(cp)(도 2)으로부터 노즐(7a)의 기판(W)에 대한 이동 방향과는 반대 방향의 후방측을 향하여 0㎜∼10㎜의 범위 내의 위치가 적절하다. 덧붙여 말하면, 종래는 스크라이브와 브레이크는 별도의 공정에서 행해야 한다는 생각이 있어, 롤러 브레이크를 행하는 경우에는, 가급적 진동을 주지 않는 편이 좋다고 생각하고, 또한 기판(W)이 충분히 냉각되어 균열이 기판의 두께 방향으로 진전이 끝난 후에 브레이크 공정을 형성하는 편이 좋다고 생각하여, 충분히 냉매 분사 위치로부터 떨어진 위치(냉각 중심(cp)으로부터 후방측을 향하여 20㎜ 이상 이격)에 롤러가 배치되도록 하고 있었다.
또한, 롤러(8a)를 냉각 포인트의 중심(cp)으로부터 노즐(7a)의 기판(W)에 대한 이동 방향 전방측으로 5㎜보다 떨어진 위치에 배치한 경우에는, 균열을 침투시키는 효과를 볼 수 없었다.
다음으로, 가공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기판(W)을 분단 예정 라인(L)을 따라 가공할 때에 있어서, 기판(W)의 분단 예정 라인(L)이 레이저 가공 장치에 있어서의 소정의 가공 위치에 오도록 위치 맞춤을 하면서 테이블(1)에 보지시킨다. 그리고, 레이저 조사 기구(6)(보지 부재(9))를 분단 예정 라인(L)을 따라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면서 기판(W)에 레이저 빔을 조사함으로써,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판(W)에 국소적인 압축 응력의 영역(P1)을 발생시킨다. 이어서,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레이저 빔에 추종시켜 레이저 빔에 의해 가열된 영역의 바로 뒤(따라서, P1은 조금 기판 내부로 이동함)를, 냉각 기구(7)의 노즐(7a)로부터의 냉매 분사에 의해 급냉하여 인장 응력(P2)을 발생시킨다.
이에 따라 균열(10)이 분단 예정 라인(L)(도 1)을 따라 형성된다. 또한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브레이크 기구(8)의 롤러(8a)를 상승시켜, 냉각 공정에 의해 균열(10)이 발생하고 있는 영역을 휘게 하여, 균열 깊이를 판두께의 100%(완전 분단)에서 80%까지 침투시킨다.
이때, 브레이크 기구(8)의 롤러(8a)의 압접 위치가, 노즐(7a)에 의한 급격한 냉각에 의해 발생한 균열(10)이 블라인드 크랙이 되지 않고, 균열(10)의 개구부가 열려 있는 영역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롤러(8a)를 조금 압압시키는 것만으로, 즉, 균열(10)의 개구부가 열려 있는 영역을 롤러(8a)로 조금 휘게 하는 것만으로, 무리 없이 균열을 침투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분단되어 형성된 단면끼리가 서로 압압하는 바와 같은 현상을 없앨 수 있어, 분단 예정 라인을 따라 정밀도 좋게 분단할 수 있음과 함께, 매끄럽고, 깨끗한 분단면을 얻을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반드시 상기의 실시 형태로 특정되는 것이 아니라, 그 목적을 달성하고, 특허청구 범위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적절히 수정,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가공 방법은, 유리 기판 등의 취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기판을 가공하는 데에 이용할 수 있다.
W : 기판
L : 분단 예정 라인
1 : 테이블
6 : 레이저 조사 기구
7 : 냉각 기구
7a : 노즐
8 : 브레이크 기구
8a : 롤러
10 : 균열

Claims (7)

  1. 취성 재료 기판의 분단 예정 라인을 따라 레이저 빔을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면서 조사함으로써 가열하여 기판에 국소적인 압축 응력을 발생시키는 가열 공정과, 가열된 영역의 바로 뒤에 냉매를 분사하여 형성한 냉각 영역을 레이저 빔에 추종하여 이동시키면서 취성 재료 기판을 국소 냉각함으로써 인장 응력을 발생시켜 분단 예정 라인을 따라 균열을 진전시키는 냉각 공정과, 이 인장 응력이 잔류하여 균열의 개구부가 열려 있는 동안에, 이 균열의 개구부가 발생하고 있는 영역에 대하여 외력을 인가하여 균열을 두께 방향으로 침투시키는 브레이크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브레이크 공정에 있어서의 외력을 인가시키는 위치는, 상기 냉각 영역의 범위 내로서, 냉각 공정에 의한 냉각 영역의 냉각 중심으로부터 냉각 영역의 이동 방향 후방측으로 20mm, 그리고, 냉각 영역의 이동 방향 전방 측으로 5mm의 범위 내이며, 냉각 공정에 의해 균열이 다 진전하기 전의 영역인 취성 재료 기판의 가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 공정에서 롤러를 사용하여, 이 롤러를 기판의 레이저 조사면과는 반대측에 배치하여, 롤러를 압접함으로써 외력을 인가하도록 한 취성 재료 기판의 가공 방법.
  3. 삭제
  4. 테이블 상에 올려놓여진 취성 재료 기판의 분단 예정 라인을 따라 상기 기판의 상방으로부터 레이저 빔을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면서 조사함으로써 가열하여 기판에 국소적인 압축 응력을 발생시키는 레이저 조사 기구와,
    가열된 영역의 바로 뒤에 냉매를 분사하여 형성한 냉각 영역을 레이저 빔에 추종하도록 이동시켜 취성 재료 기판을 국소 냉각함으로써 인장 응력을 발생시켜 분단 예정 라인을 따라 균열을 진전시키는 냉각 기구를 구비한 레이저 가공 장치로서,
    상기 테이블은 상기 기판의 분할 예정 라인의 하면측을 노출시키기 위한 간극(gap)을 사이에 두고 양측으로 분할되고,
    냉매의 분사에 의해 발생한 인장 응력이 잔류하여 균열의 개구부가 열려 있는 동안에, 이 균열의 개구부가 발생하고 있는 영역에 대하여, 상기 기판의 하방으로부터 외력을 인가하여 균열을 두께 방향으로 침투시키는 브레이크 기구를 추가로 구비하며,
    상기 브레이크 기구는, 상기 브레이크 기구에 의해 외력이 인가되는 위치가, 상기 냉각 영역의 범위 내로서, 상기 냉각 영역의 냉각 중심으로부터 냉각 영역의 이동 방향 후방측 20mm, 그리고, 냉각 영역의 이동 방향 전방 측으로 5mm의 범위 내이며, 냉각 공정에 의해 균열이 다 진전하기 전의 영역에 있도록 배치되는 레이저 가공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 기구는, 상기 테이블에 대하여, 상기 간극을 따라 상대적으로 이동하면서 기판의 분할 예정 라인의 하면을 압압(pushing)하는 롤러로 이루어지는 레이저 가공 장치.
  6. 삭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 기구는, 상기 롤러에 상대하는 상기 기판의 상방의 위치에 오목면 형상의 주면(周面)을 갖는 받침 롤러를 추가로 구비한 레이저 가공 장치.
KR1020110022714A 2010-03-18 2011-03-15 취성 재료 기판의 가공 방법과 그것에 이용하는 가공 장치 KR1012755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062143A JP5249979B2 (ja) 2010-03-18 2010-03-18 脆性材料基板の加工方法およびこれに用いるレーザ加工装置
JPJP-P-2010-062143 2010-03-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5343A KR20110105343A (ko) 2011-09-26
KR101275539B1 true KR101275539B1 (ko) 2013-06-17

Family

ID=447756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2714A KR101275539B1 (ko) 2010-03-18 2011-03-15 취성 재료 기판의 가공 방법과 그것에 이용하는 가공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249979B2 (ko)
KR (1) KR101275539B1 (ko)
CN (1) CN102218778B (ko)
TW (1) TWI45433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515494B (zh) * 2011-12-05 2014-04-09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玻璃基板切割装置
JP6255595B2 (ja) 2012-10-12 2018-01-10 株式会社Ihi 割断装置
JP2014091134A (ja) * 2012-11-01 2014-05-19 Ihi Corp レーザ加工装置
EP2754524B1 (de) 2013-01-15 2015-11-25 Corning Laser Technologies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laserbasierten Bearbeiten von flächigen Substraten, d.h. Wafer oder Glaselement, unter Verwendung einer Laserstrahlbrennlinie
EP2781296B1 (de) 2013-03-21 2020-10-21 Corning Laser Technologies GmbH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ausschneiden von konturen aus flächigen substraten mittels laser
US9517963B2 (en) 2013-12-17 2016-12-13 Corning Incorporated Method for rapid laser drilling of holes in glass and products made therefrom
US20150165560A1 (en) 2013-12-17 2015-06-18 Corning Incorporated Laser processing of slots and holes
US10442719B2 (en) 2013-12-17 2019-10-15 Corning Incorporated Edge chamfering methods
US11556039B2 (en) 2013-12-17 2023-01-17 Corning Incorporated Electrochromic coated glass articles and methods for laser processing the same
CN103896483B (zh) * 2014-03-27 2016-08-17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玻璃基板切割设备及切割方法
KR102445217B1 (ko) 2014-07-08 2022-09-20 코닝 인코포레이티드 재료를 레이저 가공하는 방법 및 장치
CN107073642B (zh) 2014-07-14 2020-07-28 康宁股份有限公司 使用长度和直径可调的激光束焦线来加工透明材料的系统和方法
EP3169635B1 (en) 2014-07-14 2022-11-23 Corning Incorporated Method and system for forming perforations
CN107073641B (zh) 2014-07-14 2020-11-10 康宁股份有限公司 接口块;用于使用这种接口块切割在波长范围内透明的衬底的系统和方法
WO2016010943A2 (en) 2014-07-14 2016-01-21 Corning Incorporated Method and system for arresting crack propagation
KR101659454B1 (ko) * 2014-08-21 2016-09-23 한국미쯔보시다이아몬드공업(주) 기판 브레이크 장치
CN107406293A (zh) 2015-01-12 2017-11-28 康宁股份有限公司 使用多光子吸收方法来对经热回火的基板进行激光切割
EP3274306B1 (en) 2015-03-24 2021-04-14 Corning Incorporated Laser cutting and processing of display glass compositions
EP3274313A1 (en) 2015-03-27 2018-01-31 Corning Incorporated Gas permeable window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CN110121398B (zh) 2016-08-30 2022-02-08 康宁股份有限公司 透明材料的激光加工
US10730783B2 (en) 2016-09-30 2020-08-04 Corning Incorporated Apparatuses and methods for laser processing transparent workpieces using non-axisymmetric beam spots
JP7066701B2 (ja) 2016-10-24 2022-05-13 コーニング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シート状ガラス基体のレーザに基づく加工のための基体処理ステーション
US10752534B2 (en) 2016-11-01 2020-08-25 Corning Incorporated Apparatuses and methods for laser processing laminate workpiece stacks
JP2018183838A (ja) * 2017-04-26 2018-11-22 川崎重工業株式会社 脆性材料分断装置及び脆性材料分断方法
FR3066487B1 (fr) * 2017-05-19 2021-12-10 Saint Gobain Procede de rompage d'une feuille de verre
FR3066488B1 (fr) * 2017-05-19 2022-03-04 Saint Gobain Procede de rompage d'une feuille de verre
US10626040B2 (en) 2017-06-15 2020-04-21 Corning Incorporated Articles capable of individual singulation
KR102022102B1 (ko) * 2017-12-21 2019-09-17 주식회사 넵시스 레이저 빔을 이용한 절단 장치
CN108751689A (zh) * 2018-07-11 2018-11-06 史千云 一种有效提高切口平整度的玻璃切割设备
CN115121747B (zh) * 2022-08-25 2022-12-06 泰州俊宇不锈钢材料有限公司 一种特种合金微丝用切断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62727A (ja) * 2004-03-19 2005-09-29 Shibaura Mechatronics Corp 脆性材料の割断加工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568809B (en) * 2001-09-21 2004-01-01 Mitsuboshi Diamond Ind Co Ltd Method for scribing substrate of brittle material and scriber
CN100528507C (zh) * 2002-11-06 2009-08-19 三星钻石工业股份有限公司 划线形成设备和划线形成方法
EP1630140A4 (en) * 2003-04-28 2006-10-25 Mitsuboshi Diamond Ind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SEPARATING FRAGILE PLATES
US20090050610A1 (en) * 2004-10-13 2009-02-26 Mitsuboshi Diamond Industrial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scribing brittle material board and system for breaking brittle material board
US20090230102A1 (en) * 2005-10-28 2009-09-17 Masanobu Soyama Method for Creating Scribe Line on Brittle Material Substrate and Apparatus for Creating Scribe Line
JPWO2007142264A1 (ja) * 2006-06-08 2009-10-29 東レ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基板割断装置、基板割断方法、及びこの装置または方法を用いて割断した割断基板
JP2010138046A (ja) * 2008-12-15 2010-06-24 Japan Steel Works Ltd:The 被割断材の加工方法および加工装置
JP5464952B2 (ja) * 2009-09-28 2014-04-09 株式会社ナガセインテグレックス レーザ加工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62727A (ja) * 2004-03-19 2005-09-29 Shibaura Mechatronics Corp 脆性材料の割断加工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218778A (zh) 2011-10-19
TWI454330B (zh) 2014-10-01
JP5249979B2 (ja) 2013-07-31
CN102218778B (zh) 2014-11-05
JP2011194644A (ja) 2011-10-06
TW201139025A (en) 2011-11-16
KR20110105343A (ko) 2011-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5539B1 (ko) 취성 재료 기판의 가공 방법과 그것에 이용하는 가공 장치
TWI380963B (zh) Method for processing brittle material substrates
JP5750202B1 (ja) 脆性材料の板材の分断方法及び分断装置
JP6349970B2 (ja) 基板分断方法並びに基板分断装置
KR101165982B1 (ko) 취성 재료 기판의 가공 방법
WO2007142264A1 (ja) 基板割断装置、基板割断方法、及びこの装置または方法を用いて割断した割断基板
KR101200789B1 (ko) 취성 재료 기판의 할단 방법
TW201620844A (zh) 分斷方法及分斷裝置
JP4619024B2 (ja) 脆性材料の割断加工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TW201620845A (zh) 分斷方法及分斷裝置
JP2012061681A (ja) レーザ割断装置
JP2006175847A (ja) 脆性材料の割断加工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JP2017014031A (ja) スクライブ方法並びにスクライブ装置
JP2017014032A (ja) スクライブ方法並びにスクライブ装置
KR100371011B1 (ko) 비금속 재료의 절단방법 및 절단장치
JP4149746B2 (ja) 硬質脆性板のスクライブ方法及び装置
KR20110105708A (ko) 취성 재료 기판의 분단 방법 및 그것에 이용하는 기판 분단 장치
JP2011084423A (ja) 熱応力割断装置、及び熱応力割断方法
KR20160057334A (ko) 스크라이브 방법 그리고 스크라이브 장치
JP2017019704A (ja) 硬質脆性板の割断方法及び装置
JP2018183838A (ja) 脆性材料分断装置及び脆性材料分断方法
CN112551876A (zh) 层叠基板的制造方法及层叠基板的制造装置
JP2011201200A (ja) 脆性材料基板のレーザ加工方法
JP2013082598A (ja) 高強度ガラス基板の加工装置
JP2014065629A (ja) 脆性材料基板の分断方法及びスクライ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