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4656B1 - 표시장치용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 - Google Patents

표시장치용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4656B1
KR101274656B1 KR1020050035961A KR20050035961A KR101274656B1 KR 101274656 B1 KR101274656 B1 KR 101274656B1 KR 1020050035961 A KR1020050035961 A KR 1020050035961A KR 20050035961 A KR20050035961 A KR 20050035961A KR 101274656 B1 KR101274656 B1 KR 1012746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te
inspection
control signal
lines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59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13089A (ko
Inventor
박광순
권극상
윤수영
전민두
김홍재
김태만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359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4656B1/ko
Publication of KR200601130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30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46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46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00Lighting devices or systems using a string or strip of light sources
    • F21S4/10Lighting devices or systems using a string or strip of light sources with light sources attached to loose electric cables, e.g. Christmas tree ligh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9/00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 F21V19/001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the light sources being semiconductors devices, e.g. LEDs
    • F21V19/0015Fastening arrangements intended to retain light sources
    • F21V19/0025Fastening arrangements intended to retain light sources the fastening means engaging the conductors of the light source, i.e. providing simultaneous fastening of the light sources and their electric conne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02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making direct electrical contact, e.g. by pierc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03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electronics drivers or controllers for operating the light source, e.g. for a LED arra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2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decorative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 F21W2121/04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decorative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for Christmas tre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01/00Point-like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quid Crystal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검사용 게이트 패드의 개수를 최소화하여 표시장치를 검사할 수 있도록 한 표시장치용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표시장치용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은 게이트 라인들과 데이터 라인들의 교차부마다 마련되는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표시영역과 상기 표시영역의 외곽에 마련되는 비표시영역을 포함하는 기판과, 상기 비표시영역에 형성되어 상기 게이트 라인들에 게이트 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게이트 구동회로와, 상기 게이트 구동회로와 상기 표시영역 사이의 상기 비표시영역에 형성되어 상기 트랜지스터의 검사공정시 상기 게이트 라인에 게이트 신호를 공급하는 검사용 스위칭부와, 상기 각 데이터 라인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데이터 패드와, 상기 비표시영역에 형성되어 상기 검사용 스위칭부에 서로 다른 제어신호를 공급하며 상기 데이터 패드들에 검사신호를 공급하는 검사용 패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어레이 기판, MPS, 검사패드, 제어신호, 내장, 게이트 구동회로

Description

표시장치용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TRANSISTOR ARRAY SUBSTRATE FOR DISPLAY DEVICE}
도 1은 관련기술에 따른 표시장치용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장치용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제 1 실시 예에 따른 검사용 스위칭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제 1 실시 예에 따른 검사용 스위칭부의 구동파형을 나타내는 파형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제 1 실시 예에 따른 검사용 스위칭부의 다른 구동파형을 나타내는 파형도.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제 2 실시 예에 따른 검사용 스위칭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제 2 실시 예에 따른 검사용 스위칭부의 구동파형을 나타내는 파형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10, 110 : 기판 20, 120 : 표시영역
21, 121 : 비표시영역 40, 140 : 게이트 구동회로
42, 142 : 쉬프트 레지스터 50, 150 : 검사용 데이터 패드부
60, 160 : 검사용 게이트 패드부 70, 170 : 검사용 패드부
180 : 검사용 스위칭부 182 : 검사용 게이트 신호 발생부
본 발명은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검사용 게이트 패드의 개수를 최소화하여 표시장치를 검사할 수 있도록 한 표시장치용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음극선관(Cathode Ray Tube)의 단점인 무게와 부피를 줄일 수 있는 각종 평판 표시장치들이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평판 표시장치로는 액정 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전계방출 표시장치(Field Emission Display), 플라즈마 표시 패널(Plasma Display Panel) 및 발광 표시장치(Light Emitting Display) 등이 있다.
액정 표시장치는 전계를 이용하여 액정의 광투과율을 조절함으로써 화상을 표시하게 된다. 이러한 액정 표시장치는 서로 대향하여 합착된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 및 컬러필터 어레이 기판과, 두 어레이 기판 사이에서 셀갭을 일정하게 유지시키기 위한 스페이서와, 스페이서에 의해 마련된 액정공간에 채워진 액정을 구비 한다.
컬러필터 어레이 기판은 컬러를 구현하기 위하여 컬러필터 및 빛샘 방지를 위한 블랙 매트릭스와, 액정셀들에 공통적으로 기준전압을 공급하는 공통전극과, 그들 위에 액정 배향을 위해 도포된 상부 배향막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공통전극은 액정 모드에 따라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에 형성될 수 있다.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은 게이트 라인들 및 데이터 라인들과, 그 게이트 라인들과 데이터 라인들의 교차부마다 형성된 박막 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 이하 "TFT"라 함)와, 액정셀 단위로 형성되어 TFT에 접속된 화소전극과, 그들 위에 액정 배향을 위해 도포된 하부 배향막 등으로 구성된다.
액정 표시패널은 하부 어레이 기판과 상부 어레이 기판을 별도로 제작하여 합착한 다음 액정을 주입하여 완성하게 된다.
이러한 액정 표시장치에 이용되는 TFT는 반도체층으로 아몰퍼스(Amorphous) 실리콘 또는 폴리(Poly) 실리콘을 이용한다. 아몰퍼스형 액정 표시장치는 아몰퍼스 실리콘층이 비교적 균일성이 좋고 특성이 안정된 장점을 가지고 있으나, 전하이동도가 작아 화소밀도를 향상시키기 어려운 단점을 가진다. 그러나, 최근에는 회로적 보완을 통해 아몰퍼스 실리콘을 이용한 구동회로를 어레이 기판 상에 내장할 수 있게 되었다.
이와 달리, 폴리 실리콘형 액정 표시장치는 폴리 실리콘층이 전하이동도가 높음에 따라 화소밀도를 증가시키는데 유리한 장점을 가진다. 또한 상대적으로 빠른 응답속도를 요하는 구동회로들을 어레이 기판 상에 내장하여 제조단가를 낮출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이러한, 폴리 실리콘 또는 아몰퍼스 실리콘 TFT를 이용한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은 제조공정 후에 신호라인들의 쇼트, 오픈과 같은 신호 라인 불량과 TFT의 불량여부를 검출하기 위하여 MPS(Mass Production System) 검사공정을 거치게 된다.
도 1은 관련기술에 따라 표시장치용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관련기술에 따른 표시장치용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은 게이트 라인들(G)과 데이터 라인들(D)의 교차부에 액정셀이 형성된 표시영역(20)과 표시영역(20)의 외곽에 마련되는 비표시영역(21)을 포함하는 기판(10)과, 비표시영역(21)에 형성되어 게이트 라인들(G)에 게이트 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게이트 구동회로(40)와, 각 데이터 라인(D)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데이터 패드(30)와, 비표시영역(21)에 형성되어 게이트 구동회로(40)와 데이터 패드들(30)에 검사신호를 공급하는 검사용 패드부(70)를 구비한다.
표시영역(20)에 마련된 각 액정셀은 게이트 라인(G)과 데이터 라인(D)의 교차부에 각각 형성되는 TFT(22)와, TFT(22)와 접속된 화소전극(24)을 구비한다.
게이트 라인(G)은 게이트 구동회로(40)로부터의 게이트 신호를 TFT(22)에 공급한다.
데이터 라인(D)은 데이터 패드(30)로부터 TFT(22)를 통해 공급되는 화소신호를 화소전극(24)에 공급한다.
TFT(22)는 게이트 라인(G)의 게이트 신호에 응답하여 데이터 라인(D)으로부 터의 화소신호를 화소전극(24)에 공급한다.
화소전극(24)은 화소전압에 의해 공통전극(도시하지 않음)과 전위차를 발생시키게 된다. 이러한 전위차에 의해 액정분자들이 유전 이방성에 의해 회전하게 된다. 액정분자들의 회전 정도에 따라 액정셀의 광 투과율을 조절함으로써 화상을 구현하게 된다.
게이트 구동회로(40)는 각 게이트 라인(G)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복수의 쉬프트 레지스터(42)를 구비한다.
각 쉬프트 레지스터(42)는 검사용 패드부(70)로부터의 게이트 구동신호에 응답하여 게이트 신호를 발생하여 게이트 라인들(G)에 순차적으로 공급한다.
검사용 패드부(70)는 데이터 패드들(30)에 검사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검사용 데이터 패드부(50)와, 게이트 구동회로(40)의 구동에 필요한 게이트 구동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검사용 게이트 패드부(60)를 구비한다.
검사용 데이터 패드부(50)는 홀수번째 데이터 패드들(30)에 공통적으로 접속된 제 1 검사용 데이터 패드(52)와, 짝수번째 데이터 패드들(30)에 공통적으로 접속된 제 2 검사용 데이터 패드(54)를 포함한다. 이러한, 제 1 및 제 2 검사용 데이터 패드(52, 54)는 도시하지 않은 검사장치로부터의 검사신호를 각 데이터 패드(30)에 공급한다.
검사용 게이트 패드부(60)는 게이트 구동회로(40)의 각 쉬프트 레지스터(62)에 접속된 복수의 검사용 게이트 패드(62)를 포함한다. 이러한, 복수의 검사용 게이트 패드(62)는 상기 검사장치로부터의 게이트 구동신호를 각 쉬프트 레지스터 (62)에 공급한다.
한편, 검사용 게이트 패드부(60) 및 검사용 데이터 패드부(50)는 MPS 검사공정 이후 스크라이빙 공정을 통해 제거된다.
상기 MPS 검사공정에서는 도시하지 않은 MPS 검사장치의 측정단자를 통해 검사용 게이트 패드부(60)에 게이트 구동신호를 공급함과 동시에 검사용 데이터 패드부(50)에 검사신호를 공급한다. 이에 따라, 게이트 구동회로(40)의 각 쉬프트 레지스터(42)는 검사용 게이트 패드(62)를 통해 공급되는 게이트 구동신호에 응답하여 게이트 신호를 발생하여 게이트 라인들(G)에 순차적으로 공급한다. 이와 동기되도록 데이터 라인(D)에는 검사용 데이터 패드(52, 54)로부터 검사신호가 공급된다.
따라서, MPS 검사공정에서는 게이트 라인(G)과 데이터 라인(D)에 각각 공급된 전기적 신호에 의해 각 라인들(G, D)과 TFT(22)의 불량 유무를 판별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관련기술에 따른 액정 표시장치의 MPS 검사공정은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에 내장된 게이트 구동회로(40)를 구동하여 각 라인들(G, D)과 TFT(22)의 불량 유무를 판별하게 된다.
그러나 관련기술에 따른 표시장치용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은 MPS 검사공정시 복수의 검사용 게이트 패드(62)를 통해 게이트 구동회로(40)의 구동에 필요한 복수의 게이트 구동신호를 공급하기 때문에 복수의 게이트 구동신호와 동일한 개수의 검사용 게이트 패드(62)가 필요하게 된다. 이에 따라, MPS 검사장치의 출력 채널도 검사용 게이트 패드(62)와 동일한 개수만큼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내장 게이트 구동회로(40)를 포함하는 표시장치용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을 MPS 검사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MPS 검사장치를 개조하거나 별도의 MPS 검사장치를 제작하기 위하여 신규 투자를 해야만 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검사용 게이트 패드의 개수를 최소화하여 표시장치를 검사할 수 있도록 한 표시장치용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장치용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은 게이트 라인들과 데이터 라인들의 교차부마다 마련되는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표시영역과 상기 표시영역의 외곽에 마련되는 비표시영역을 포함하는 기판과, 상기 비표시영역에 형성되어 상기 게이트 라인들에 게이트 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게이트 구동회로와, 상기 게이트 구동회로와 상기 표시영역 사이의 상기 비표시영역에 형성되어 상기 트랜지스터의 검사공정시 상기 게이트 라인에 게이트 신호를 공급하는 검사용 스위칭부와, 상기 각 데이터 라인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데이터 패드와, 상기 비표시영역에 형성되어 상기 검사용 스위칭부에 서로 다른 제어신호를 공급하며 상기 데이터 패드들에 검사신호를 공급하는 검사용 패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검사용 스위칭부는 상기 서로 다른 제어신호에 따라 게이트 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게이트 라인들에 동시에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검사용 스위칭부는 상기 서로 다른 제어신호가 공급되는 제 1 및 제 2 제어신호 라인과, 상기 제 1 및 제 2 제어신호 라인과 상기 각 게이트 라인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복수의 검사용 게이트 신호 발생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각 검사용 게이트 신호 발생부는 상기 제 1 제어신호 라인과 상기 게이트 라인에 다이오드 형태로 접속되어 상기 제 1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게이트 라인을 충전시키는 제 1 스위칭 소자와, 상기 제 1 및 제 2 제어신호 라인과 상기 게이트 라인에 접속되어 상기 제 2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게이트 라인에 충전된 전압을 방전시키는 제 2 스위칭 소자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검사용 스위칭부는 상기 서로 다른 제어신호에 따라 게이트 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홀수번째 및 짝수번째 게이트 라인들에 교번적으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검사용 스위칭부는 상기 서로 다른 제어신호가 공급되는 제 1 및 제 2 제어신호 라인과, 상기 제 1 및 제 2 제어신호 라인과 상기 홀수번째 게이트 라인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복수의 제 1 검사용 게이트 신호 발생부와, 상기 제 1 및 제 2 제어신호 라인과 상기 짝수번째 게이트 라인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복수의 제 2 검사용 게이트 신호 발생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각 제 1 검사용 게이트 신호 발생부는 상기 제 1 제어신호 라인과 상기 게이트 라인에 다이오드 형태로 접속되어 상기 제 1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게이트 라인을 충전시키는 제 1 스위칭 소자와, 상기 제 1 및 제 2 제어신호 라인과 상기 게이트 라인에 접속되어 상기 제 2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게이트 라인에 충전된 전 압을 방전시키는 제 2 스위칭 소자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각 제 2 검사용 게이트 신호 발생부는 상기 제 1 제어신호 라인과 상기 게이트 라인에 다이오드 형태로 접속되어 상기 제 2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게이트 라인을 충전시키는 제 3 스위칭 소자와, 상기 제 1 및 제 2 제어신호 라인과 상기 게이트 라인에 접속되어 상기 제 4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게이트 라인에 충전된 전압을 방전시키는 제 4 스위칭 소자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검사용 패드부는 상기 제 1 및 제 2 제어신호 라인 각각에 접속된 제 1 및 제 2 검사용 게이트 패드와, 홀수번째 및 짝수번째 상기 데이터 패드에 상기 검사신호를 공급하는 제 1 및 제 2 검사용 데이터 패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 및 실시 예를 통해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장치용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장치용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은 게이트 라인들(G)과 데이터 라인들(D)의 교차부마다 박막 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 이하 "TFT"라 함)(122)가 형성된 표시영역(120)과 표시영역(120)의 외곽에 마련되는 비표시영역(121)을 포함하는 기판(110)과, 비표시영역(121)에 형성되어 게이트 라인들(G)에 게이트 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게이트 구동회로(140)와, 게이트 구동회로(140)와 표시영역(120) 사이의 비표시영역(121)에 형성되어 TFT(122)의 검사공정시 게이트 라인(G)에 게이트 신호를 공급하는 검사용 스위칭부(180)와, 각 데이터 라인(D)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데이터 패드(130)와, 비표시영역(121)에 형성되어 검사용 스위칭부(180)와 데이터 패드들(130)에 검사신호를 공급하는 검사용 패드부(170)를 구비한다.
표시영역(120)에는 게이트 라인(G)과 데이터 라인(D)의 교차부에 각각 화소셀이 형성된다. 각 화소셀은 게이트 라인(G)과 데이터 라인(D)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TFT(122)와, TFT(122)와 접속된 화소전극(124)을 구비한다. 이러한, 화소셀은 액정 표시장치의 액정셀 및 발광 표시장치의 발광셀 중 어느 하나가 될 수 있으며, 이하 액정셀로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게이트 라인(G)은 게이트 구동회로(140)로부터의 게이트 신호를 TFT(122)에 공급한다.
데이터 라인(D)은 데이터 패드(130)로부터 TFT(122)를 통해 공급되는 화소신호를 화소전극(124)에 공급한다.
TFT(122)는 게이트 라인(G)의 게이트 신호에 응답하여 데이터 라인(D)으로부터의 화소신호를 화소전극(124)에 공급한다.
화소전극(124)은 화소전압에 의해 공통전극(도시하지 않음)과 전위차를 발생시키게 된다. 이러한 전위차에 의해 액정분자들이 유전 이방성에 의해 회전하게 된다. 액정분자들의 회전 정도에 따라 액정셀의 광 투과율을 조절함으로써 화상을 구현하게 된다.
게이트 구동회로(140)는 각 게이트 라인(G)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복수의 쉬 프트 레지스터(142)를 구비한다.
각 쉬프트 레지스터(142)는 비표시영역(121)에 형성된 도시하지 않은 소수의 게이트 패드를 통해 인가되는 게이트 구동신호에 응답하여 게이트 신호를 발생하여 게이트 라인들(G)에 순차적으로 공급한다. 여기서, 각 쉬프트 레지스터(142)의 구동불량은 별도의 회로패턴 검사공정시 검출하게 된다.
검사용 패드부(170)는 데이터 패드들(130)에 검사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검사용 데이터 패드부(150)와, 검사용 스위칭부(180)의 구동에 필요한 서로 다른 제어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검사용 게이트 패드부(160)를 구비한다.
검사용 데이터 패드부(150)는 홀수번째 데이터 패드들(130)에 공통적으로 접속된 제 1 검사용 데이터 패드(152)와, 짝수번째 데이터 패드들(130)에 공통적으로 접속된 제 2 검사용 데이터 패드(154)를 포함한다. 이러한, 제 1 및 제 2 검사용 데이터 패드(152, 154)는 도시하지 않은 검사장치로부터의 검사신호를 각 데이터 패드(130)에 공급한다.
검사용 게이트 패드부(160)는 제 1 및 제 2 제어신호 라인(CL1, CL2)을 통해 검사용 스위칭부(180)에 공통적으로 접속된 제 1 및 제 2 검사용 게이트 패드(162, 164)를 포함한다. 이러한, 제 1 및 제 2 검사용 게이트 패드(162, 164)는 제 1 및 제 2 제어신호 라인(CL1, CL2)을 통해 상기 검사장치로부터 공급되는 서로 다른 제 1 및 제 2 제어신호를 검사용 스위칭부(180)에 공급한다.
한편, 검사용 게이트 패드부(160) 및 검사용 데이터 패드부(150)는 MPS 검사공정 이후 스크라이빙 공정을 통해 제거된다.
검사용 스위칭부(180)는 제 1 및 제 2 제어신호 라인(CL1, CL2)에 접속됨과 아울러 각 게이트 라인(G)에 접속된 복수의 검사용 게이트 신호 발생부(182)를 구비한다.
각 검사용 게이트 신호 발생부(182)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제어신호 라인(CL1)과 게이트 라인(G)에 다이오드 형태로 접속된 제 1 스위칭 소자(T1)와, 제 1 및 제 2 제어신호 라인(CL1, CL2)과 게이트 라인(G)에 접속된 제 2 스위칭 소자(T2)를 구비한다.
제 1 스위칭 소자(T1)의 게이트 전극 및 소스 전극은 제 1 제어신호 라인(CL1)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드레인 전극은 게이트 라인(G)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에 따라, 제 1 스위칭 소자(T1)는 제 1 제어신호 라인(CL1)으로부터의 제 1 제어신호를 게이트 라인(G)에 공급한다.
제 2 스위칭 소자(T2)의 게이트 전극은 제 2 제어신호 라인(CL2)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소스 전극은 게이트 라인(G)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한, 제 2 스위칭 소자(T2)의 드레인 전극은 제 1 제어신호 라인(CL1)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에 따라, 제 2 스위칭 소자(T2)는 제 2 제어신호 라인(CL2)에 따라 게이트 라인(G)에 충전된 전압을 방전시킨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장치용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의 MPS 검사공정에서는 도시하지 않은 MPS 검사장치의 측정단자를 통해 검사용 게이트 패드부(160)에 제 1 및 제 2 제어신호를 공급함과 동시에 검사용 데이터 패드부(150)에 검사신호를 공급한다. 이에 따라, 검사용 스위칭부(180)는 제 1 및 제 2 검사용 게이트 패드(162, 164)를 통해 제 1 및 제 2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검사용 게이트 신호를 게이트 라인(G)에 동시에 공급한다. 이와 동기되도록 데이터 라인(D)에는 검사용 데이터 패드(152, 154)로부터 검사신호가 공급된다. 따라서, MPS 검사공정에서는 게이트 라인(G)과 데이터 라인(D)에 각각 공급된 전기적 신호에 의해 각 라인들(G, D)과 TFT(122)의 불량 유무를 판별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장치용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의 MPS 검사공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MPS 검사장치의 측정단자를 통해 검사용 게이트 패드부(160) 및 검사용 데이터 패드부(150)에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그런 다음, MPS 검사장치의 측정단자를 통해 도 4에 도시된 하이 상태의 제 1 제어신호(CS1) 및 로우 상태의 제 2 제어신호(CS2)를 검사용 게이트 패드부(160)에 공급한다. 이와 동시에 MPS 검사장치의 측정단자를 통해 도시하지 않은 검사신호를 검사용 데이터 패드부(150)에 공급한다.
이에 따라, 각 검사용 게이트 신호 발생부(182)의 제 1 스위칭 소자(T1)는 제 1 제어신호 라인(CL1)에 공급되는 하이 상태의 제 1 제어신호(CS1)에 의해 턴-온되고, 제 2 스위칭 소자(T2)는 제 2 제어신호 라인(CL2)에 공급되는 로우 상태의 제 2 제어신호(CS2)에 의해 턴-오프된다. 따라서, 하이 상태의 제 1 제어신호(CS1)는 각 제 1 스위칭 소자(T1)를 통해 게이트 라인(G)에 공급된다. 이때, 하이 상태의 제 1 제어신호(CS1), 즉 하이 상태의 검사용 게이트 신호(GS)는 복수의 게이트 라인들(G)에 동시에 공급된다.
이어서, MPS 검사장치의 측정단자를 통해 로우 상태의 제 1 제어신호(CS1) 및 하이 상태의 제 2 제어신호(CS2)를 검사용 게이트 패드부(160)에 공급한다.
이에 따라, 각 검사용 게이트 신호 발생부(182)의 제 1 스위칭 소자(T1)는 제 1 제어신호 라인(CL1)에 공급되는 로우 상태의 제 1 제어신호(CS1)에 의해 턴-오프되고, 제 2 스위칭 소자(T2)는 제 2 제어신호 라인(CL2)에 공급되는 하이 상태의 제 2 제어신호(CS2)에 의해 턴-온된다. 따라서, 각 게이트 라인(G)에 공급된 하이 상태의 검사용 게이트 신호(GS)는 각 제 2 스위칭 소자(T2)를 통해 제 1 제어신호 라인(CL1)으로 방전된다.
따라서, MPS 검사공정에서는 제 1 및 제 2 제어신호(CS1, CS2)를 이용하여 각 검사용 게이트 신호 발생부(182)의 제 1 및 제 2 스위칭 소자(T1, T2)를 교번적으로 스위칭시킴으로써 각 라인들(G, D)과 TFT(122)의 불량 유무를 판별하게 된다.
이와 같이, MPS 검사공정이 완료되면 정상적인 구동을 위하여 제 1 및 제 2 검사용 게이트 패드(162, 164)에는 각 검사용 게이트 신호 발생부(182)의 제 1 및 제 2 스위칭 소자(T1, T2)가 동작하지 못하도록 플로팅 상태이거나 접지전압이 강제적으로 공급된다.
한편, 제 2 검사용 게이트 패드(164)에 공급되는 제 2 제어신호(CS2)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제어신호(CS1)의 하이 상태인 구간에 로우 상태를 유지하는 반면에 그 외의 구간에는 하이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장치용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에 있어서 검사용 스위칭부(18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도 2와 결부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검사용 스위칭부(180)는 홀수번째 게이트 라인(G1, G3, G5 내지 Gn-1) 각각에 접속됨과 아울러 제 1 및 제 2 제어신호 라인(CL1, CL2)에 접속된 복수의 제 1 검사용 게이트 신호 발생부(182o)와, 짝수번째 게이트 라인(G2, G4, G6 내지 Gn) 각각에 접속됨과 아울러 제 1 및 제 2 제어신호 라인(CL1, CL2)에 접속된 복수의 제 2 검사용 게이트 신호 발생부(182e)를 구비한다.
각 제 1 검사용 게이트 신호 발생부(182o)는 제 1 제어신호 라인(CL1)과 홀수번째 게이트 라인(Go)에 다이오드 형태로 접속된 제 1 스위칭 소자(T1)와, 제 2 제어신호 라인(CL2)과 홀수번째 게이트 라인(Go)에 다이오드 형태로 접속된 제 2 스위칭 소자(T2)를 구비한다.
제 1 스위칭 소자(T1)의 게이트 전극 및 소스 전극은 제 1 제어신호 라인(CL1)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드레인 전극은 홀수번째 게이트 라인(Go)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에 따라, 제 1 스위칭 소자(T1)는 제 1 제어신호 라인(CL1)으로부터의 제 1 제어신호를 홀수번째 게이트 라인(Go)에 공급한다.
제 2 스위칭 소자(T2)의 게이트 전극은 제 2 제어신호 라인(CL2)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소스 전극은 홀수번째 게이트 라인(Go)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한, 제 2 스위칭 소자(T2)의 드레인 전극은 제 1 제어신호 라인(CL1)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에 따라, 제 2 스위칭 소자(T2)는 제 2 제어신호 라인(CL2)에 따라 홀수번째 게이트 라인(Go)에 충전된 전압을 방전시킨다.
각 제 2 검사용 게이트 신호 발생부(182e)는 제 2 제어신호 라인(CL2)과 짝 수번째 게이트 라인(Ge)에 다이오드 형태로 접속된 제 3 스위칭 소자(T3)와, 제 1 및 제 2 제어신호 라인(CL1, CL2)과 짝수번째 게이트 라인(Ge)에 제 4 스위칭 소자(T4)를 구비한다.
제 3 스위칭 소자(T3)의 게이트 전극 및 소스 전극은 제 2 제어신호 라인(CL2)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드레인 전극은 짝수번째 게이트 라인(Ge)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에 따라, 제 3 스위칭 소자(T3)는 제 2 제어신호 라인(CL2)으로부터의 제 2 제어신호를 짝수번째 게이트 라인(Ge)에 공급한다.
제 4 스위칭 소자(T4)의 게이트 전극은 제 1 제어신호 라인(CL1)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소스 전극은 짝수번째 게이트 라인(Ge)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한, 제 4 스위칭 소자(T4)의 드레인 전극은 제 2 제어신호 라인(CL2)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에 따라, 제 4 스위칭 소자(T4)는 제 1 제어신호 라인(CL1)에 따라 짝수번째 게이트 라인(Ge)에 충전된 전압을 방전시킨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검사용 스위칭부(180)를 가지는 표시장치용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의 MPS 검사공정에서는 도시하지 않은 MPS 검사장치의 측정단자를 통해 검사용 게이트 패드부(160)에 제 1 및 제 2 제어신호를 공급함과 동시에 검사용 데이터 패드부(150)에 검사신호를 공급한다. 이에 따라, 검사용 스위칭부(180)는 제 1 및 제 2 검사용 게이트 패드(162, 164)를 통해 제 1 및 제 2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검사용 게이트 신호를 홀수번째 및 짝수번째 게이트 라인(Go, Ge)에 교번적으로 공급한다. 이와 동기되도록 데이터 라인(D)에는 검사용 데이터 패드(152, 154)로부터 검사신호가 공급된다. 따라서, MPS 검사공정에서는 게이트 라인(G)과 데이터 라인(D)에 각각 공급된 전기적 신호에 의해 각 라인들(G, D)과 TFT(122)의 불량 유무를 판별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검사용 스위칭부(180)를 가지는 표시장치용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의 MPS 검사공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MPS 검사장치의 측정단자를 통해 검사용 게이트 패드부(160) 및 검사용 데이터 패드부(150)에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그런 다음, MPS 검사장치의 측정단자를 통해 도 7에 도시된 하이 상태의 제 1 제어신호(CS1) 및 로우 상태의 제 2 제어신호(CS2)를 검사용 게이트 패드부(160)에 공급한다. 이와 동시에 MPS 검사장치의 측정단자를 통해 도시하지 않은 검사신호를 검사용 데이터 패드부(150)에 공급한다.
이에 따라, 각 제 1 검사용 게이트 신호 발생부(182o)의 제 1 스위칭 소자(T1)는 제 1 제어신호 라인(CL1)에 공급되는 하이 상태의 제 1 제어신호(CS1)에 의해 턴-온되고, 제 2 스위칭 소자(T2)는 제 2 제어신호 라인(CL2)에 공급되는 로우 상태의 제 2 제어신호(CS2)에 의해 턴-오프된다. 따라서, 하이 상태의 제 1 제어신호(CS1)는 각 제 1 스위칭 소자(T1)를 통해 홀수번째 게이트 라인(Go)에 공급된다. 이때, 하이 상태의 제 1 제어신호(CS1), 즉 하이 상태의 검사용 게이트 신호(GS)는 홀수번째 게이트 라인들(Go)에 동시에 공급된다.
이와 동시에, 각 제 2 검사용 게이트 신호 발생부(182e)의 제 3 스위칭 소자(T3)는 제 2 제어신호 라인(CL2)에 공급되는 로우 상태의 제 2 제어신호(CS2)에 의해 턴-오프되고, 제 4 스위칭 소자(T4)는 제 1 제어신호 라인(CL1)에 공급되는 하 이 상태의 제 1 제어신호(CS1)에 의해 턴-온된다. 따라서, 각 짝수번째 게이트 라인(Ge)에 공급된 하이 상태의 검사용 게이트 신호(GS)는 각 제 4 스위칭 소자(T4)를 통해 제 2 제어신호 라인(CL2)으로 방전된다.
이어서, MPS 검사장치의 측정단자를 통해 로우 상태의 제 1 제어신호(CS1) 및 하이 상태의 제 2 제어신호(CS2)를 검사용 게이트 패드부(160)에 공급한다.
이에 따라, 각 제 1 검사용 게이트 신호 발생부(182o)의 제 1 스위칭 소자(T1)는 제 1 제어신호 라인(CL1)에 공급되는 로우 상태의 제 1 제어신호(CS1)에 의해 턴-오프되고, 제 2 스위칭 소자(T2)는 제 2 제어신호 라인(CL2)에 공급되는 하이 상태의 제 2 제어신호(CS2)에 의해 턴-온된다. 따라서, 각 홀수번째 게이트 라인(Go)에 공급된 하이 상태의 검사용 게이트 신호(GS)는 각 제 2 스위칭 소자(T2)를 통해 제 1 제어신호 라인(CL1)으로 방전된다.
이와 동시에, 각 제 2 검사용 게이트 신호 발생부(182e)의 제 3 스위칭 소자(T3)는 제 2 제어신호 라인(CL2)에 공급되는 하이 상태의 제 2 제어신호(CS2)에 의해 턴-온되고, 제 4 스위칭 소자(T4)는 제 1 제어신호 라인(CL1)에 공급되는 로우 상태의 제 1 제어신호(CS1)에 의해 턴-오프된다. 따라서, 하이 상태의 제 2 제어신호(CS2)는 각 제 3 스위칭 소자(T3)를 통해 짝수번째 게이트 라인(Ge)에 공급된다. 이때, 하이 상태의 제 2 제어신호(CS2), 즉 하이 상태의 검사용 게이트 신호(GS)는 짝수번째 게이트 라인들(Ge)에 동시에 공급된다.
따라서, MPS 검사공정에서는 제 1 및 제 2 제어신호(CS1, CS2)에 따라 복수의 제 1 및 제 2 검사용 게이트 신호 발생부(182o, 182e)를 교번적으로 제어함으로 써 홀수번째 게이트 라인(Go)과 짝수번째 게이트 라인(Ge)에 교번적으로 검사용 게이트 신호(GS)를 공급하여 각 라인들(G, D)과 TFT(122)의 불량 유무를 판별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표시장치용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은 2개의 검사용 게이트 패드(162, 164)를 이용하여 MPS 검사공정을 위한 검사용 게이트 신호를 홀수번째 게이트 라인(Go)과 짝수번째 게이트 라인(Ge)으로 구분하여 발생함으로써 검사용 게이트 패드의 개수를 최소화하여 표시장치를 검사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검사용 스위칭부(182)는 도 2에서와 같이 게이트 라인(G)의 일측에 접속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표시영역(120)의 좌측 및 우측 중 적어도 하나의 비표시영역(121)에 내장되어 게이트 라인(G)에 접속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종래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장치용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은 2개의 검사용 게이트 패드에 공급되는 2개의 제어신호를 이용하여 게이트 신호를 발생함으로써 검사용 게이트 패드의 개수를 최소화하여 표시장치를 검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내장 게이트 구동회로를 포함하는 표시장치를 MPS 검사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MPS 검사장치를 개조 없이 MPS 검사공정을 실시할 수 있다.

Claims (9)

  1. 게이트 라인들과 데이터 라인들의 교차부마다 마련되는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표시영역과 상기 표시영역의 외곽에 마련되는 비표시영역을 포함하는 기판과,
    상기 비표시영역에 형성되어 상기 게이트 라인들에 게이트 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게이트 구동회로와,
    상기 게이트 구동회로와 상기 표시영역 사이의 상기 비표시영역에 형성되어 상기 트랜지스터의 검사공정시 상기 게이트 라인에 게이트 신호를 공급하는 검사용 스위칭부와,
    상기 각 데이터 라인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데이터 패드와, 그리고
    상기 비표시영역에 형성되어 상기 검사용 스위칭부에 서로 다른 제어신호를 공급하며 상기 데이터 패드들에 검사신호를 공급하는 검사용 패드부를 구비하며,
    상기 검사용 스위칭부는
    상기 서로 다른 제어신호가 공급되는 제 1 및 제 2 제어신호 라인과,
    상기 제 1 및 제 2 제어신호 라인과 상기 홀수번째 게이트 라인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복수의 제 1 검사용 게이트 신호 발생부와,
    상기 제 1 및 제 2 제어신호 라인과 상기 짝수번째 게이트 라인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복수의 제 2 검사용 게이트 신호 발생부를 구비하고,
    상기 각 제 1 검사용 게이트 신호 발생부는
    상기 제 1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게이트 라인을 충전시키는 제 1 스위칭 소자와, 상기 제 2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게이트 라인에 충전된 전압을 방전시키는 제 2 스위칭 소자를 구비하며,
    상기 각 제 2 검사용 게이트 신호 발생부는
    상기 제 2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게이트 라인을 충전시키는 제 3 스위칭 소자와, 상기 제 1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게이트 라인에 충전된 전압을 방전시키는 제 4 스위칭 소자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용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용 스위칭부는 상기 서로 다른 제어신호에 따라 게이트 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홀수번째 및 짝수번째 게이트 라인들에 교번적으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용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스위칭 소자는 상기 제 1 제어신호 라인과 상기 게이트 라인에 다이오드 형태로 접속되며, 상기 제 2 스위칭 소자는 상기 제 1 및 제 2 제어신호 라인과 상기 게이트 라인에 접속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용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스위칭 소자는
    상기 제 1 제어신호 라인과 상기 게이트 라인에 다이오드 형태로 접속되며, 상기 제 4 스위칭 소자는 상기 제 1 및 제 2 제어신호 라인과 상기 게이트 라인에 접속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용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용 패드부는,
    상기 제 1 및 제 2 제어신호 라인 각각에 접속된 제 1 및 제 2 검사용 게이트 패드와,
    홀수번째 및 짝수번째 상기 데이터 패드에 상기 검사신호를 공급하는 제 1 및 제 2 검사용 데이터 패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용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
KR1020050035961A 2005-04-29 2005-04-29 표시장치용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 KR1012746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5961A KR101274656B1 (ko) 2005-04-29 2005-04-29 표시장치용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5961A KR101274656B1 (ko) 2005-04-29 2005-04-29 표시장치용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3089A KR20060113089A (ko) 2006-11-02
KR101274656B1 true KR101274656B1 (ko) 2013-06-12

Family

ID=376515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5961A KR101274656B1 (ko) 2005-04-29 2005-04-29 표시장치용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465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601174B (zh) * 2017-01-03 2019-12-17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移位寄存器、驱动方法、goa电路和显示装置
CN109545118B (zh) * 2019-01-16 2022-04-15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检测电路及驱动方法、显示面板
CN112992024B (zh) * 2021-02-08 2022-10-14 昆山龙腾光电股份有限公司 显示装置及其检测方法
CN112927639B (zh) * 2021-03-31 2024-03-08 厦门天马微电子有限公司 阵列基板、显示面板和显示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95143A (ja) * 1992-09-10 1994-04-08 Toshiba Corp 電子映像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95143A (ja) * 1992-09-10 1994-04-08 Toshiba Corp 電子映像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3089A (ko) 2006-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24743B2 (ja) スイッチ制御ユニット、液晶セル組立後検査装置と方法
KR101090255B1 (ko) 표시 장치용 표시판 및 표시 장치의 검사 방법
JP2009516174A (ja) 集積ドライバicを有するtft−lcdの検査用ショートバーおよび高周波クロック信号を用いたアレイ試験
JP2007025700A (ja) 液晶表示パネルとその製造方法及びその検査方法
KR20080010837A (ko)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의 불량 검사 모듈 및 방법
US20060103416A1 (en) Substrate inspecting method
CN103426369B (zh) 显示屏
KR101947378B1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JP3790684B2 (ja) 検査用回路、検査方法および液晶セルの製造方法
KR101274656B1 (ko) 표시장치용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
JP2007292750A (ja) 表示パネルの検査装置及び検査方法
KR101107708B1 (ko) 액정 표시 장치의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
KR101174156B1 (ko) 평판 표시장치
KR20110032328A (ko) 액정표시장치
KR20110034871A (ko) 액정표시장치
JP2009103872A (ja) 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基板及び液晶表示装置、並びに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基板の製造方法
TWI240083B (en) Method of inspecting array substrate and array substrate inspecting apparatus
KR20080000417A (ko) 평판 표시장치 및 그의 검사방법
JP2007199429A (ja) 液晶表示パネルの製造方法、検査方法および検査装置
JP2007171428A (ja) 表示パネルの製造方法、検査方法および検査装置
KR101192050B1 (ko) 평판표시장치의 검사방법 및 장치
KR100771906B1 (ko) 액정 표시패널의 검사 장비
KR101074410B1 (ko) 평판 표시장치와 그의 검사방법
KR101768483B1 (ko) 액정 표시 장치
JP2007233391A (ja) 画像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