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4162B1 - 차체 도장 시스템용 도료 공급 장치 - Google Patents

차체 도장 시스템용 도료 공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4162B1
KR101274162B1 KR1020070120305A KR20070120305A KR101274162B1 KR 101274162 B1 KR101274162 B1 KR 101274162B1 KR 1020070120305 A KR1020070120305 A KR 1020070120305A KR 20070120305 A KR20070120305 A KR 20070120305A KR 101274162 B1 KR101274162 B1 KR 1012741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nt
viscosity
circulation tank
viscometer
boo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03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53452A (ko
Inventor
허남철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203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4162B1/ko
Publication of KR200900534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34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41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41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9/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 B05B9/03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B05B9/04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 pressurised or compressible container; with pump
    • B05B9/0403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 pressurised or compressible container; with pump with pumps fo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2/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004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comprising sensors for monitoring the delivery, e.g. by displaying the sensed value or generating an ala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6/00Spray booth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 Nozz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도료를 저장하는 도료 저장탱크와, 상기 도료 저장탱크로부터 제공되는 도료를 저장하면서 도료 공급라인을 통해 상기 도료를 도장 부스로 공급함과 동시에 상기 도장 부스에서 리턴되는 도료를 저장하기 위한 순환탱크와, 상기 순환탱크에 저장된 도료를 상기 도장 부스로 공급하기 위한 도료 공급펌프를 포함하며, ⅰ)상기 도장 부스의 스프레이유닛과 상기 도료 공급라인을 연결하는 연결라인에 설치되어 상기 연결라인을 통해 유동되는 상기 도료의 점도를 감지하고 그 감지 신호를 제어기로 출력하는 제1 점도계와, ⅱ)상기 도장 부스와 상기 순환탱크를 연결하는 도료 리턴라인에 설치되어 상기 도료 리턴라인을 통해 유동되는 상기 도료의 점도를 감지하고 그 감지 신호를 상기 제어기로 출력하는 제2 점도계와, ⅲ)상기 순환탱크에 설치되어 상기 순환탱크에 저장된 상기 도료의 점도를 감지하고 그 감지 신호를 상기 제어기로 출력하는 제3 점도계와, ⅳ)상기 도료 저장탱크 및 상기 순환탱크와 연결되게 구성되며, 상기 각각의 점도계에서 감지된 상기 도료의 점도에 따라 상기 제어기에 의해 제어되어 상기 도료 저장탱크 및 상기 순환탱크에 저장된 상기 도료의 점도를 조정하는 점도 조정유닛을 더욱 포함하여, 도료 저장탱크 및 순환탱크와 도장 부스 사이의 도료 공급 구간에서 도료의 점도를 측정하고 그 측정값에 따라 도료의 점도를 보정할 수 있도록 하는 차체 도장 시스템용 도료 공급 장치를 제공한다.
Figure R1020070120305
도료, 도장, 공급, 점도, 측정, 보정, 조정

Description

차체 도장 시스템용 도료 공급 장치 {PAINT SUPPLY APPARATUS VEHICLE BODY PAINTING SYSTEM}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차체 도장 라인의 도장 공정 중 중도 및 상도 공정에 적용되는 차체 도장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도료를 공급하기 위한 탱크와 도장 부스 사이의 도료 공급 구간에서 도료의 점도를 측정하고 그 측정값에 따라 도료의 점도를 보정할 수 있도록 하는 차체 도장 시스템용 도료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차체의 도장 공정은 소재의 부식을 방지하고, 방음과 함께 미관을 수려하게 하여 상품성을 높이는 것으로, 전처리 공정의 건조로를 통과한 소재는 방청과 표면광택의 인자가 되는 전착(하도) 공정과, 실러를 도포한 후, 도료의 내 치핑성, 평활성, 내후성 등을 갖게 하는 중도 공정 및 미관 상의 광택감을 주는 상도 공정 및 클리어 공정 등을 통하여 도장막을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도장 공정 중에서 특히, 중도 공정과 상도 공정에서는 차체에 대한 도료의 도장을 실시하는 차체 도장 시스템이 제공되는 바, 상기 차체 도장 시스템은 별도 저장된 도료를 도장 부스로 공급할 수 있는 도료 공급 장치를 구비하고 있 다.
종래 기술에 따른 차체 도장 시스템의 도료 공급 장치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료 드럼(8)으로부터 공급되는 도료를 저장하는 도료 저장탱크(1)와, 도료 저장탱크(1)로부터 제공되는 도료를 저장하면서 그 도료를 도장 부스(9)로 공급함과 동시에 도장 부스(9)에서 리턴되는 도료를 저장하는 순환탱크(3)와, 순환탱크(3)에 저장된 도료를 도장 부스(9)로 공급하기 위한 도료 펌프(5)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 따른 도료 공급 장치에 의하면, 도료 저장탱크(1)에 저장된 도료를 순환탱크(3)로 공급하고, 그 순환탱크(3)에 저장되는 도료를 도장 부스(9)로 공급하며, 도장 부스(9)로부터 리턴되는 도료를 순환탱크(3)에 저장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이와 같은 도료 공급 장치를 운용하는데 있어, 차체의 도장 품질을 일정하게 유지시키기 위해서는 순환탱크(3)로부터 도장 부스(9)로 공급되는 도료의 점도 관리가 매우 중요하다.
이에 종래에서는 별도의 점도계를 이용하여 수작업으로서 순환탱크(3)에 저장된 도료의 점도를 측정하고, 도료의 점도에 따라 순환탱크(3)로 신너를 투입하거나 도료 원액을 투입하는 방식으로서 도료의 점도를 조정하고 있다.
그런데, 종래에서는 상기에서와 같이 수작업으로서 도료의 점도를 측정하고 그 점도에 따라 신너 또는 도료 원액을 순환탱크에 투입하여 도료의 점도를 조정하기 때문에, 도료의 점도 측정 및 점도 조정에 걸리는 시간이 과다하게 소요된다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또한, 종래에서는 도료 점도의 관리가 차체로 분사되는 도료의 점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킴을 최종 목적으로 하고 있으나, 도료를 공급하기 위한 순환탱크의 점도를 기준으로 스프레이 도료의 점도를 제어하기 때문에, 그 순환탱크와 도장 부스를 연결하는 도료 공급 구간에서의 도료 점도가 상이하여 순환탱크의 기준 점도로는 차체로 분사되는 도료의 점도를 제어하기가 힘들고, 상기 도료 공급 구간의 일부 구간에서 도료의 점도가 상승함에 따라 배관의 막힘 현상 등을 야기시킨다는 문제점도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상기에서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도료를 공급하기 위한 탱크와 도장 부스 사이의 도료 공급 구간에서 도료의 점도를 측정하고 그 측정값에 따라 도료의 점도를 보정할 수 있도록 하는 차체 도장 시스템용 도료 공급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차체 도장 시스템용 도료 공급 장치는, 도료를 저장하는 도료 저장탱크와, 상기 도료 저장탱크로부터 제공되는 도료를 저장하면서 도료 공급라인을 통해 상기 도료를 도장 부스로 공급함과 동시에 상기 도장 부스에서 리턴되는 도료를 저장하기 위한 순환탱크와, 상기 순환탱크에 저장된 도료를 상기 도장 부스로 공급하기 위한 도료 공급펌프를 포함하며, ⅰ)상기 도장 부스의 스프레이유닛과 상기 도료 공급라인을 연결하는 연결라인에 설치되어 상기 연결라인을 통해 유동되는 상기 도료의 점도를 감지하고 그 감지 신호를 제어기로 출력하는 제1 점도계와, ⅱ)상기 도장 부스와 상기 순환탱크를 연결하는 도료 리턴라인에 설치되어 상기 도료 리턴라인을 통해 유동되는 상기 도료의 점도를 감지하고 그 감지 신호를 상기 제어기로 출력하는 제2 점도계와, ⅲ)상기 순환탱크에 설치되어 상기 순환탱크에 저장된 상기 도료의 점도를 감지하고 그 감지 신호를 상기 제어기로 출력하는 제3 점도계와, ⅳ)상기 도료 저장탱크 및 상기 순환탱크와 연결되게 구성되며, 상기 각각의 점도계에서 감지된 상기 도료의 점도에 따라 상기 제어기에 의해 제어되어 상기 도료 저장탱크 및 상기 순환탱크에 저장된 상기 도료의 점도를 조정하는 점도 조정유닛을 더욱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차체 도장 시스템용 도료 공급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점도계는 상기 연결라인에서 분기되어 그 연결라인에 다시 합쳐지는 제1 바이패스 유로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차체 도장 시스템용 도료 공급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2 점도계는 상기 도료 리턴라인에서 분기되어 그 도료 리턴라인에 다시 합쳐지는 제2 바이패스 유로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차체 도장 시스템용 도료 공급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3 점도계는 상기 순환탱크에서 분기되어 그 순환탱크 다시 합쳐지는 제3 바이패스 유로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차체 도장 시스템용 도료 공급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 유로에는 상기 도료의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시켜 주기 위한 레귤레이터가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차체 도장 시스템용 도료 공급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점도 조정유닛은 신너를 저장하는 신너 드럼과, 도료를 저장하는 도료 드럼과, 상기 신너 드럼 및 상기 도료 드럼에 연결되는 연결라인과 상기 도료 저장탱크 및 순환탱크에 연결되는 연결라인에 각각 연결되게 설치되며 상기 신너 드럼에 저장된 신너 및 상기 도료 드럼에 저장된 상기 도료를 상기 도료 저장탱크와 상기 순환탱크로 공급하는 이송펌프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차체 도장 시스템용 도료 공급 장치에 의하면, 도료를 공급하기 위한 탱크와 도장 부스 사이의 도료 공급 구간에서 도료의 점도를 측정하고 그 측정값에 따라 도료의 점도를 보정할 수 있으므로, 스프레이유닛을 통해 분사되는 도료의 점도를 일정하게 유지시켜 차체의 동일한 외관 품질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도료 점도의 자동 측정이 가능하여 도료의 점도 관리가 용이하고, 점도 측정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도료 공급 구간의 도료 점도를 일정 수준으로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점도 상승으로 인한 배관 막힘 및 도료의 오염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도료의 점도 측정 및 점도 조정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므로, 도료를 측정하고 점도를 조정하기 위한 인원을 절감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차체 도장 시스템용 도료 공급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도료 공급 장치(100)는 차체의 도장 공정 중 도료의 내 치핑성, 평활성, 내후성 등을 갖게 하는 중도공정 및 미관상의 광택감을 주는 상도공정의 차체 도장 시스템에 적용된다.
이러한 도료 공급 장치(100)는 간단한 구조로서 차체에 대하여 스프레이 되는 도료의 점도를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 상기 도료 공급 장치(100)는 기본적으로, 도료 저장탱크(10)와, 순환탱크(20)와, 도료 공급펌프(3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도료 저장탱크(10)는 도료를 저장하고, 첨가제를 투입하여 도료의 물성을 조절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도료 저장탱크(10)에는 상기 도료를 교반하기 위한 제1 교반유닛(11)이 설치된다.
상기 순환탱크(20)는 도료 저장탱크(10)로부터 제공되는 도료를 저장하면서 그 도료를 도장 부스(80)로 공급하고, 상기 도장 부스(80)로부터 리턴되는 도료를 저장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순환탱크(20)는 도료 공급라인(21) 및 도료 리턴라인(23)를 통해 도장 부스(80)와 연결되게 설치된다. 이러한 순환탱크(20)의 내부에는 상기 도료를 교반시키기 위한 제2 교반유닛(25)이 설치된다.
상기에서, 도료 공급펌프(30)는 순환탱크(20)에 저장된 도료를 도장 부스(80)로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별도의 펌핑 라인을 통해 순환탱크(20)와 연결되며, 소정의 펌핑 압력으로서 상기 순환탱크(20)에 저장된 도료를 도료 공급라인(21)를 통해 도장 부스(80)로 압송시킬 수 있는 구조로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실시예에 의한 도료 공급 장치(100)는 도장 부스(80)의 스프레이유닛(81)과 상기 도료 공급라인(21)을 연결하는 연결라인(41)에 설치되는 제1 점도계(40)와, 상기 도료 리턴라인(23)에 설치되는 제2 점도계(50)와, 순환탱크(20)에 설치되는 제3 점도계(60)를 더욱 포함하고 있다.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제1 점도계(40)는 연결라인(41)에서 분기되어 그 연결라인(41)으로 다시 합쳐지는 제1 바이패스 유로(43)에 설치되며, 제1 바이패스 유로(43)를 통해 유동되는 도료의 점도를 감지(측정)하고 그 감지 신호를 제어기(90)로 출력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상기 제2 점도계(50)는 도료 리턴라인(23)에서 분기되어 그 도료 리턴라인(23)으로 다시 합쳐지는 제2 바이패스 유로(53)에 설치되며, 상기 제2 바이패스 유로(53)를 통해 유동되는 도료의 점도를 감지(측정)하고 그 감지 신호를 제어기(90)로 출력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3 점도계(60)는 순환탱크(20)에서 분기되어 그 순환탱크(20)로 다시 합쳐지는 제3 바이패스 유로(63)에 설치되며, 상기 순환탱크(20)의 내부에 저장된 도료의 점도를 감지(측정)하고 그 감지 신호를 제어기(90)로 출력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각 바이패스 유로(43, 53, 63)에는 도료의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시켜 주기 위한 레귤레이터(45, 55, 65)가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각 점도계(40, 50, 60)는 레귤레이터(45, 55, 65)에 의해 일정한 압력으로 조정된 도료의 유속을 감지하여 제어기(90)로 출력할 수 있는 구조로서 이루어진다.
즉, 상기 각 점도계(40, 50, 60)는 레귤레이터(45, 55, 65)를 통해 일정한 압력으로 유지하는 도료의 유속으로서 회전되는 회전체(47, 57, 67)를 구비하면서 그 회전체(47, 57, 67)의 회전 속도를 감지하고 그 감지 신호를 제어기(90)로 출력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에 더하여, 본 실시예에 의한 도료 공급 장치(100)는 상기 각 점도계(40, 50, 60)에서 감지된 도료의 점도에 따라 도료 저장탱크(10) 및 순환탱크(20)로 신너 또는 도료를 투입하여 도료의 점도를 조정(보정)할 수 있는 점도 조정유닛(70)을 더욱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점도 조정유닛(70)은 신너를 저장하는 신너 드럼(71)과, 도료를 저장하는 도료 드럼(72)을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점도 조정유닛(70)은 제어기(90)에 의해 그 구동이 제어되는 이송펌프(74)가 제공되는데, 상기 이송 펌프(74)는 신너 드럼(71) 및 도료 드럼(72)에 연결되는 연결라인(75)과, 도료 저장탱크(10) 및 순환탱크(20)에 연결되는 연결라인(76)에 연결되게 설치된다.
즉, 상기 이송 펌프(74)는 각 점도계(40, 50, 60)에 의해 감지된 감지 신호에 따라 제어기(90)에 의해 제어되어 신너 드럼(71)에 저장된 신너를 도료 저장탱크(10) 및 순환탱크(20)로 공급하거나 도료 드럼(72)에 저장된 도료를 도료 저장탱크(10) 및 순환탱크(20)로 공급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신너 드럼(71) 및 도료 드럼(72)이 상기 연결라인(75)을 통해 이송 펌프(74)와 연결되는데, 신너 드럼(71)과 이송 펌프(74) 사이, 및 도료 드럼(72)과 이송 펌프(74) 사이의 연결라인(75)에는 유로를 가변하여 주는 솔레노이드 밸브(미도시)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차체 도장 시스템용 도료 공급 장치(100)에 있어, 차체에 대한 도장 작업이 이루어지게 되면, 순환탱크(20)에 저장된 도료는 도료 공급펌프(30)의 펌핑 작용으로서 도료 공급라인(21)을 통해 도장 부스(80)로 공급되고, 상기 도장 부스(80)에서 리턴되는 도료는 도료 리턴라인(23)을 통해 순환탱크(20)에 저장된다.
이러는 과정을 거치는 동안, 제1 점도계(40)는 제1 바이패스 유로(43)를 통해 유동되는 도료의 점도를 기설정된 시간 마다 감지(측정)하고 그 감지 신호를 제어기(90)로 출력한다.
제2 점도계(50)는 제2 바이패스 유로(53)를 통해 유동되는 도료의 점도를 기설정된 시간 마다 감지(측정)하고 그 감지 신호를 제어기(90)로 출력한다.
그리고 제3 점도계(60)는 순환탱크(20)의 내부에 저장된 도료의 점도를 기설정된 시간 마다 감지(측정)하고 그 감지 신호를 제어기(90)로 출력한다.
그러면, 상기 제어기(90)는 각 점도계(40, 50, 60)로부터 제공되는 감지 신호를 수신하고, 그 감지 신호를 기설정된 기준 데이터와 비교 판단하여 이에 상응하는 제어 신호를 점도 조정유닛(70)의 이송 펌프(74)로 인가한다.
여기서, 제어기(90)가 순환탱크(20)로부터 도장 부스(80)로 공급되는 도료의 점도가 기설정된 점도 보다 낮다고 판단하는 경우, 상기 제어기(90)는 이에 상응하 는 제1 제어 신호를 이송 펌프(74)로 인가한다.
이에 따라, 상기 이송 펌프(74)는 도료 드럼(72)에 저장된 도료를 소정 펌핑 압력으로서 도료 저장탱크(10) 및 순환탱크(20)로 투입한다. 그러면, 상기 도료 저장탱크(10) 및 순환탱크(20)에 저장된 도료의 점도는 일정 수준으로 조정된다.
한편, 상기 제어기(90)가 순환탱크(20)로부터 도장 부스(80)로 공급되는 도료의 점도가 기설정된 점도 보다 높다고 판단하는 경우, 상기 제어기(90)는 이에 상응하는 제2 제어 신호를 이송 펌프(74)로 인가한다.
이에 따라, 상기 이송 펌프(74)는 신너 드럼(71)에 저장된 신너를 소정 펌핑 압력으로서 도료 저장탱크(10) 및 순환탱크(20)로 투입한다. 그러면, 상기 도료 저장탱크(10) 및 순환탱크(20)에 저장된 도료의 점도는 일정 수준으로 조정된다.
이로써 본 실시예에서는 도료 저장탱크(10) 및 순환탱크(20)와 도장 부스(80) 사이의 도료 공급 구간에서 도료의 점도를 측정하고 그 측정값에 따라 도료의 점도를 보정할 수 있으므로, 스프레이유닛(81)을 통해 분사되는 도료의 점도를 일정하게 유지시켜 차체의 동일한 외관 품질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도료 점도의 자동 측정이 가능하여 도료의 점도 관리가 용이하고, 점도 측정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도료 저장탱크(10) 및 순환탱크(20)와 도장 부스(80) 사이 도료 공급 구간의 도료 점도를 일정 수준으로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점도 상승으로 인한 배관 막힘 및 도료의 오염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이 도면들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설명하는데 참조하기 위함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한 도면에 한정해서 해석하여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차체 도장 시스템용 도료 공급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차체 도장 시스템용 도료 공급 장치에 적용되는 점도계 부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일반적인 차체 도장 시스템용 도료 공급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Claims (4)

  1. 도료를 저장하는 도료 저장탱크와, 상기 도료 저장탱크로부터 제공되는 도료를 저장하면서 도료 공급라인을 통해 상기 도료를 도장 부스로 공급함과 동시에 상기 도장 부스에서 리턴되는 도료를 저장하기 위한 순환탱크와, 상기 순환탱크에 저장된 도료를 상기 도장 부스로 공급하기 위한 도료 공급펌프를 포함하는 차체 도장 시스템용 도료 공급 장치에 있어서,
    상기 도장 부스의 스프레이유닛과 상기 도료 공급라인을 연결하는 연결라인에 설치되어 상기 연결라인을 통해 유동되는 상기 도료의 점도를 감지하고 그 감지 신호를 제어기로 출력하는 제1 점도계;
    상기 도장 부스와 상기 순환탱크를 연결하는 도료 리턴라인에 설치되어 상기 도료 리턴라인을 통해 유동되는 상기 도료의 점도를 감지하고 그 감지 신호를 상기 제어기로 출력하는 제2 점도계;
    상기 순환탱크에 설치되어 상기 순환탱크에 저장된 상기 도료의 점도를 감지하고 그 감지 신호를 상기 제어기로 출력하는 제3 점도계; 및
    상기 도료 저장탱크 및 상기 순환탱크와 연결되게 구성되며, 상기 각각의 점도계에서 감지된 상기 도료의 점도에 따라 상기 제어기에 의해 제어되어 상기 도료 저장탱크 및 상기 순환탱크에 저장된 상기 도료의 점도를 조정하는 점도 조정유닛
    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점도계는 상기 연결라인에서 분기되어 그 연결라인에 다시 합쳐지는 제1 바이패스 유로에 설치되고,
    상기 제2 점도계는 상기 도료 리턴라인에서 분기되어 그 도료 리턴라인에 다시 합쳐지는 제2 바이패스 유로에 설치되며,
    상기 제3 점도계는 상기 순환탱크에서 분기되어 그 순환탱크 다시 합쳐지는 제3 바이패스 유로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체 도장 시스템용 도료 공급 장치.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 유로에는 상기 도료의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시켜 주기 위한 레귤레이터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체 도장 시스템용 도료 공급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점도 조정유닛은,
    신너를 저장하는 신너 드럼과,
    도료를 저장하는 도료 드럼과,
    상기 신너 드럼 및 상기 도료 드럼에 연결되는 연결라인과 상기 도료 저장탱 크 및 순환탱크에 연결되는 연결라인에 각각 연결되게 설치되며, 상기 신너 드럼에 저장된 신너 및 상기 도료 드럼에 저장된 상기 도료를 상기 도료 저장탱크와 상기 순환탱크로 공급하는 이송펌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체 도장 시스템용 도료 공급 장치.
KR1020070120305A 2007-11-23 2007-11-23 차체 도장 시스템용 도료 공급 장치 KR1012741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0305A KR101274162B1 (ko) 2007-11-23 2007-11-23 차체 도장 시스템용 도료 공급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0305A KR101274162B1 (ko) 2007-11-23 2007-11-23 차체 도장 시스템용 도료 공급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3452A KR20090053452A (ko) 2009-05-27
KR101274162B1 true KR101274162B1 (ko) 2013-06-11

Family

ID=408609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0305A KR101274162B1 (ko) 2007-11-23 2007-11-23 차체 도장 시스템용 도료 공급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416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3201487B4 (de) 2013-01-30 2021-11-11 Cefla Deutschland Gmbh Farbauftrag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Viskositätseinstellung
KR101632491B1 (ko) * 2014-09-02 2016-06-22 주식회사 포스코 마킹 장치용 도료 응고물 분쇄기 및 마킹 장치
KR102329437B1 (ko) * 2020-12-07 2021-11-22 (주)삼원기업 도료 도장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25365A (ja) * 1996-02-20 1997-09-02 Anest Iwata Corp 塗料粘度管理装置
JP2004516925A (ja) * 2000-10-27 2004-06-10 ノードソン コーポレーション 流体重量監視装置を備えている流体分配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25365A (ja) * 1996-02-20 1997-09-02 Anest Iwata Corp 塗料粘度管理装置
JP2004516925A (ja) * 2000-10-27 2004-06-10 ノードソン コーポレーション 流体重量監視装置を備えている流体分配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3452A (ko) 2009-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4162B1 (ko) 차체 도장 시스템용 도료 공급 장치
JP5906841B2 (ja) 塗料循環装置及び塗料循環方法
US11492786B2 (en) Method for fluid pressure control in a closed system
KR102474346B1 (ko) 실러 순환 시스템
KR102655417B1 (ko) 스프레이 건의 위치와 움직임에 대한 도장조건 제어장치
EP3137229B1 (en) Method for flow control calibration of high-transient systems
US20220127980A1 (en) Lubricant delivery system and method
US5310114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paint usage in a painting system
KR20160059771A (ko) 도료탱크 내 도료 점도 관리장치
US11400479B1 (en) Adhesive applicator control system
CN112955262A (zh) 校正对象的涂覆
KR20180081326A (ko) 차체 도장을 위한 페인트 공급 시스템
KR101964910B1 (ko) 프라이머 정상공급 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프라이머 정상공급 측정방법
EP1599632B1 (en) Method for feeding a treating agent to an application apparatus
JPH07185413A (ja) エアレスオートガンによる塗装装置
KR20020050885A (ko) 강판 용융도금공정에서의 도금량 제어장치
JP3182038B2 (ja) 塗料の流量制御方法及び流量制御装置
KR100716331B1 (ko) 자동차 도료용 고압세차성 평가장치
KR101283029B1 (ko) 버스 차체 도장라인의 전처리 장치
JPS5820453A (ja) インク濃度の管理方法
CN111295247A (zh) 用于输送工作介质的方法
JPH0796240A (ja) 粘性塗布材の塗布量制御方法及びシステム
JP2544463Y2 (ja) 少量塗料供給装置
JP4715001B2 (ja) 色紙の製造方法及び装置
JP4038891B2 (ja) 塗料供給装置および塗料の供給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