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59771A - 도료탱크 내 도료 점도 관리장치 - Google Patents

도료탱크 내 도료 점도 관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59771A
KR20160059771A KR1020140161720A KR20140161720A KR20160059771A KR 20160059771 A KR20160059771 A KR 20160059771A KR 1020140161720 A KR1020140161720 A KR 1020140161720A KR 20140161720 A KR20140161720 A KR 20140161720A KR 20160059771 A KR20160059771 A KR 201600597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scosity
paint
drum
temperature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17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석기
황희재
Original Assignee
이석기
황희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석기, 황희재 filed Critical 이석기
Priority to KR10201401617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59771A/ko
Publication of KR201600597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977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in groups B05C1/00 - B05C9/00
    • B05C11/10Storage, supply or control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Recovery of excess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40Mixing liquids with liquids; Emulsifying
    • B01F23/47Mixing liquids with liquids; Emulsifying involving high-viscosity liquids, e.g. asphal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8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in groups B05C1/00 - B05C9/00
    • B05C11/11Vats or other containers fo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측에 도료가 저장되는 드럼, 드럼 내측에 설치되며, 도료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 드럼 내측에 설치되며, 도료의 점도를 측정하는 점도센서, 드럼에 연결 설치되며, 드럼으로 희석제를 투여하는 희석제공급기, 온도센서와 점도센서 및 희석제공급기와 연결되며, 온도센서 및 점도센서에서 측정된 도료의 온도 및 점도를 입력받은 후, 미리 설정된 도료의 기준온도를 기준으로 한 관리점도를 유지하도록 희석제공급기를 통한 드럼으로의 희석제 투입량을 조절하는 공급제어부를 포함하는 도료탱크 내 도료 점도 관리장치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도료 탱크 내 도료 점도 관리장치는, 드럼 내측의 도료에 대한 온도수치와 점도수치가 온도센서 및 점도센서에서 측정된 후 공급제어부로 전달되면, 공급제어부는 미리 설정된 도료의 기준온도를 기준으로 한 관리점도를 유지하도록 희석제공급기를 통한 드럼으로의 희석제 투입량을 조절하면서 도료의 점도를 자동 보정함으로서, 상기 도료의 점도 유지가 용이하게 된다.

Description

도료탱크 내 도료 점도 관리장치{Coating viscosity correction device}
본 발명은 도료탱크 내부에 저장된 도료의 특성 및 물성 등을 고려하여 도장작업시 최상의 조건을 유지시키는 도료탱크 내 도료 점도 관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차체의 도장 공정은 소재의 부식을 방지하고, 방음과 함께 미관을 수려하게 하여 상품성을 높이는 것으로, 전처리 공정의 건조로를 통과한 소재는 방청과 표면광택의 인자가 되는 전착(하도) 공정과, 실러를 도포한 후, 도료의 내 치핑성, 평활성, 내후성 등을 갖게 하는 중도 공정 및 미관 상의 광택감을 주는 상도 공정 및 클리어 공정 등을 통하여 도장막을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도장 공정 중에서 특히, 중도 공정과 상도 공정에서는 차체에 대한 도료의 도장을 실시하는 차체 도장 시스템이 제공되는 바, 상기 차체 도장 시스템은 별도 저장된 도료를 도장 부스로 공급할 수 있는 도료 공급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이때, 도료 공급 장치는, 드럼에 저장된 도료를 펌프를 이용하여 코터로 이송한 후 제조사의 코팅방식에 따라 재공급한다. 이와 같은 재공급 과정에 있어, 도료의 유동성이 저하될 경우 코터 이송시 펌프의 부하 발생에 의한 트러블이 발생하며, 아울러 코팅시 일정한 박막두께의 도막제어가 곤란하게 되는 문제점이 생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방안으로서 도료의 점도를 일정 이상으로 유지하기 위해 사용 전에 도료를 승온하여 예열하기 위한 기술들이 연구되어 왔다.
그러나, 종래의 예열을 통한 도료의 점도를 유지할 경우, 에너지 소비가 커짐으로 인해 관리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과 더불어 도료 탱크 내 전체 도료의 승온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종래의 도료의 점도를 유지한 상태로 공급되게 하는 장치는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2014-0121134호(2014.10.15)에 제시된다.
본 발명은, 도료 탱크 내 도료 점도를 유지 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도료탱크 내 도료 점도 관리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내측에 도료가 저장되는 드럼, 상기 드럼 내측에 설치되며, 상기 도료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 상기 드럼 내측에 설치되며, 상기 도료의 점도를 측정하는 점도센서, 상기 드럼에 연결 설치되며, 상기 드럼으로 희석제를 투여하는 희석제공급기, 상기 온도센서와 상기 점도센서 및 상기 희석제공급기와 연결되며, 상기 온도센서 및 상기 점도센서에서 측정된 상기 도료의 온도 및 점도를 입력받은 후, 미리 설정된 도료의 기준온도를 기준으로 한 관리점도를 유지하도록 상기 희석제공급기를 통한 상기 드럼으로의 희석제 투입량을 조절하는 공급제어부를 포함하는 도료탱크 내 도료 점도 관리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공급제어부는, 상기 온도센서에 측정된 상기 도료의 온도가 상기 기준온도보다 낮은 상태에서 상기 점도센서에서 측정된 상기 도료의 점도가 상기 관리점도보다 높을 경우, 상기 드럼 내측으로 상기 희석제를 유입시켜 상기 관리점도가 되도록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준온도는 25℃ 이며, 상기 관리점도는 14.5 ~ 16.5 sec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드럼에는 교반날개를 가지는 교반기가 설치되며, 상기 교반기의 교반날개는 상기 드럼 내측의 상기 도료에 잠김상태로 배치되며, 상기 교반날개가 설치된 위치와 동일한 위치에 상기 온도센서 및 상기 점도센서가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도료 탱크 내 도료 점도 관리장치는, 드럼 내측의 도료에 대한 온도수치와 점도수치가 온도센서 및 점도센서에서 측정된 후 공급제어부로 전달되면, 공급제어부는 미리 설정된 도료의 기준온도를 기준으로 한 관리점도를 유지하도록 희석제공급기를 통한 드럼으로의 희석제 투입량을 조절하면서 도료의 점도를 자동 보정함으로서, 상기 도료의 점도 유지가 용이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료탱크 내 도료 점도 관리장치의 개략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료탱크 내 도료 점도 관리장치의 개략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도료탱크 내 도료 점도 관리장치는, 드럼(100), 온도센서(200), 점도센서(300), 희석제공급기(400), 공급제어부(50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드럼(100)은 도료를 저장하도록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통 형상 부재이다. 이러한, 상기 드럼(100)에는 상기 도료를 외부에서 내측 상기 공간부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공급구(101)와, 상기 공급구를 통해 상기 공간부에 저장된 상기 도료를 외부로 배출되게 하는 배출구(102) 및, 이후 설명될 희석제공급기(400)와 연결되어 희석제공급기(400)로부터 희석제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희석제공급구(103)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식별번호 112는 상기 드럼(100) 내부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센서이다.
그리고, 상기 드럼(100)에는 상기 도료를 교반시키는 교반기(110)를 연결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교반기(110)는 상기 도료를 교반시키는 교반날개(111)를 상기 드럼(100) 내측에 저장된 상기 도료에 잠김 배치되도록 설치한다.
상기 온도센서(200)는 상기 드럼(100) 내측의 공간부에 저장되는 상기 도료의 온도를 측정한다. 이러한, 상기 온도센서(200)는 상기 드럼(100) 내측,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교반기(110)의 교반날개(111)가 배치된 수직방향 위치와 동일한 수직방향 위치에 배치되도록 설치됨으로서, 상기 도료의 교반이 가장 잘 이루어진 위치에서의 온도를 측정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온도센서(200)는 상기 드럼(100) 내측에 설치된 상태로 이후 설명될 공급제어부(50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측정된 상기 드럼(100) 내 도료의 온도수치를 공급제어부(500)로 전달한다.
상기 점도센서(300)는 상기 드럼(100) 내측의 공간부에 저장되는 상기 도료의 점도를 측정한다. 이러한, 상기 점도센서(300)는 앞서 설명한 상기 온도센서(200)와 마찬가지로 상기 드럼(100) 내측,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교반기(110)의 교반날개(111)가 배치된 수직방향 위치와 동일한 수직방향 위치에 배치되도록 설치됨으로서, 상기 도료의 교반이 가장 잘 이루어진 위치에서의 점도를 측정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점도센서(300)는 상기 드럼(100) 내측에 설치된 상태로 이후 설명될 공급제어부(50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측정된 상기 드럼(100) 내 도료의 점도수치를 공급제어부(500)로 전달한다.
이러한, 상기 온도센서(200)와 상기 점도센서(300)는 일체형으로 모듈화하여 설치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각각 별도의 센서 구성으로 설치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희석제공급기(400)는 상기 드럼(100) 내측으로 희석제를 공급하는 부분이다. 이러한, 상기 희석제공급기(400)는 상기 드럼(100) 및 이후 설명될 공급제어부(500)와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희석제공급기(400)는 공급제어부(500)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드럼(100)으로의 상기 희석제 투입량을 조절하게 된다. 즉, 상기 희석제공급기(400)는 공급제어부(500)로부터 상기 드럼(100)으로 상기 희석제를 투입하라는 신호를 플로메타(도면미도시)에서 전달받으면, 방폭 솔밸브(도면미도시)에 차단된 에어를 열어서 희석제가 저장된 저장탱크(도면미도시)의 허스키펌프(도면미도시)를 작동시켜, 상기 드럼(100)으로 희석제가 투입될 수 있게 한다. 이후, 상기 희석제공급기(400)는 상기 드럼(100)으로 정해진 량의 희석제가 투입되면, 방폭 솔밸브가 에어를 차단시켜 상기 허스키 펌프의 작동을 멈춰 희석제의 투입을 차단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희석제공급기(400)에 의해 상기 드럼(100)으로 공급되는 상기 희석제는 신너(Thinner)를 선택 사용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음은 물론이다.
상기 공급제어부(500)는 상기 희석제공급기(400)를 통한 상기 드럼(100)으로의 상기 희석제 투입량을 조절하게 된다. 즉, 상기 공급제어부(500)에는 도장작업에 적합한 상기 도료의 기준온도에서의 관리점도가 미리 저장된 상태로 설정되며, 이렇게 미리 설정된 상기 도료의 기준온도를 기준으로 한 관리점도를 유지하도록 상기 희석제공급기(400)를 통한 상기 드럼(100)으로의 상기 희석제 투입량이 조절되도록 상기 희석제공급기(400)의 작동을 제어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공급제어부(500)는 상기 온도센서(200)와 상기 점도센서(300) 및 상기 희석제공급기(40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온도센서(200)와 상기 점도센서(300)로부터 측정된 상기 드럼(100) 내 도료의 온도수치 및 점도수치를 전달받은 후, 상기 희석제공급기(400)를 조절하게 된다.
이같은, 상기 공급제어부(500)는 상기 온도센서(200)에서 측정된 상기 드럼(100) 내 상기 도료의 온도를 입력받아 미리 설정된 도료의 기준온도와 비교한 후, 설정된 기준온도보다 낮을 경우에 대해서만 상기 희석제공급기(400)를 통한 상기 드럼(100) 내측으로의 상기 희석제 공급이 이루어지게 한다. 즉, 상기 드럼(100) 내 상기 도료의 온도가 설정된 도료의 기준온도보다 높을 경우에는 도료의 점도가 상기 관리점도보다 낮은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바, 상기 희석제공급기(400)를 통한 상기 드럼(100) 내측으로의 상기 희석제 공급은 필요없게 된다.
여기서, 상기 공급제어부(500)에서 설정되는 상기 드럼(100) 내 도료의 기준온도는 25℃를 기준으로 관리점도를 14.5 ~ 16.5 sec 를 유지하는 것으로 설정된다. 따라서, 일예로서, 상기 공급제어부(500)는 상기 온도센서(200)에서 측정된 상기 도료의 온도가 상기 기준온도인 25℃보다 낮아 상기 점도센서에서 측정된 상기 도료의 점도수치가 상기 관리점도인 14.5 ~ 16.5 sec 보다 높을 경우, 상기 희석제공급기(400)의 플로메타에 작동신호를 보냄으로서 방폭 솔밸브에 의해 차단된 에어를 열어, 상기 저장탱크의 허스키펌프를 작동되게 하면서, 상기 저장탱크 내 상기 희석제는 상기 드럼(100) 내측으로 공급된다. 이때, 상기 드럼(100) 내측으로 공급되는 상기 희석제의 공급량은 상기 교반기(110)에 의해 교반되면서 상기 점도센서(300)에서 측정되는 상기 도료의 점도가 미리 설정된 상기 도료의 관리점도가 될 때까지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도료 탱크 내 도료 점도 관리장치는, 상기 드럼(100) 내측의 상기 도료에 대한 온도수치와 점도수치가 상기 온도센서(200) 및 점도센서(300)에서 측정된 후 상기 공급제어부(500)로 전달되면, 상기 공급제어부(500)는 미리 설정된 상기 도료의 기준온도를 기준으로한 관리점도를 유지하도록 상기 희석제공급기(400)를 통한 상기 드럼(100)으로의 희석제 투입량을 조절하면서, 상기 도료의 점도를 자동 보정함으로서, 상기 도료의 점도 유지가 용이하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드럼 200: 온도센서
300: 점도센서 400: 희석제공급기
500: 공급제어부

Claims (4)

  1. 내측에 도료가 저장되는 드럼과;
    상기 드럼 내측에 설치되며, 상기 도료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와;
    상기 드럼 내측에 설치되며, 상기 도료의 점도를 측정하는 점도센서와;
    상기 드럼에 연결 설치되며, 상기 드럼으로 희석제를 투여하는 희석제공급기; 및,
    상기 온도센서와 상기 점도센서 및 상기 희석제공급기와 연결되며, 상기 온도센서 및 상기 점도센서에서 측정된 상기 도료의 온도 및 점도를 입력받은 후, 미리 설정된 도료의 기준온도를 기준으로 한 관리점도를 유지하도록 상기 희석제공급기를 통한 상기 드럼으로의 희석제 투입량을 조절하는 공급제어부를 포함하는 도료탱크 내 도료 점도 관리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급제어부는, 상기 온도센서에 측정된 상기 도료의 온도가 상기 기준온도보다 낮은 상태에서 상기 점도센서에서 측정된 상기 도료의 점도가 상기 관리점도보다 높을 경우, 상기 드럼 내측으로 상기 희석제를 유입시켜 상기 관리점도가 되도록 조절하는 도료탱크 내 도료 점도 관리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기준온도는 25℃ 이며,
    상기 관리점도는 14.5 ~ 16.5 sec 인 도료탱크 내 도료 점도 관리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드럼에는 교반날개를 가지는 교반기가 설치되며,
    상기 교반기의 교반날개는 상기 드럼 내측의 상기 도료에 잠김상태로 배치되며,
    상기 교반날개가 설치된 위치와 동일한 위치에 상기 온도센서 및 상기 점도센서가 설치되는 도료탱크 내 도료 점도 관리장치.
KR1020140161720A 2014-11-19 2014-11-19 도료탱크 내 도료 점도 관리장치 KR2016005977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1720A KR20160059771A (ko) 2014-11-19 2014-11-19 도료탱크 내 도료 점도 관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1720A KR20160059771A (ko) 2014-11-19 2014-11-19 도료탱크 내 도료 점도 관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9771A true KR20160059771A (ko) 2016-05-27

Family

ID=561059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1720A KR20160059771A (ko) 2014-11-19 2014-11-19 도료탱크 내 도료 점도 관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59771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53680A (zh) * 2018-11-19 2019-03-12 刘山平 一种化工工程用搅拌装置
KR102151452B1 (ko) * 2019-04-09 2020-09-03 이규득 코팅액 농도 및 온도 유지 시스템 및 방법
KR20210055393A (ko) * 2019-11-07 2021-05-1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도료 교반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교반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53680A (zh) * 2018-11-19 2019-03-12 刘山平 一种化工工程用搅拌装置
KR102151452B1 (ko) * 2019-04-09 2020-09-03 이규득 코팅액 농도 및 온도 유지 시스템 및 방법
KR20210055393A (ko) * 2019-11-07 2021-05-1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도료 교반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교반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59771A (ko) 도료탱크 내 도료 점도 관리장치
KR102585682B1 (ko) 배합물을 제조하기 위한 모듈식 제조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74325A (ko) 분말약품용 자동용해탱크
CN108144543A (zh) 步进式浓度配液系统和配液方法
US20150174600A1 (en) Method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a painting process
JP6017761B2 (ja) 液体混合装置
JP2018033322A5 (ko)
CN209680458U (zh) 一种涂布机自动搅拌和加料装置
CN104368492A (zh) 漆包线漆槽供漆装置
CN109071707B (zh) 用于制备由乙二醛化的聚丙烯酰胺组成的干增强剂的方法
JP2016091950A (ja) 線状材被覆方法及び線状材被覆装置
CN205711363U (zh) 碳纤维上浆系统
KR20140011078A (ko) 드립팬 유기코팅용액의 점도 유지 관리장치를 구비하는 강판의 코팅장치
KR101577644B1 (ko) 희석 용제량 산출용 자동 교반 도장기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582629B1 (ko) 도장 시스템
CN219907827U (zh) 蒸镀坩埚和蒸镀设备
CN206526808U (zh) 密胺树脂自动化生产装置
JPS6336862A (ja) 沈降性塗料供給装置
CN205540312U (zh) 浆料液位监控装置
CN204619903U (zh) 水性油漆自动加料系统
CN111359850A (zh) 双供料桶连续供料方法
CN107096419A (zh) 涂料生产方法
KR20210055393A (ko) 도료 교반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교반방법
JPS5820453A (ja) インク濃度の管理方法
KR101603659B1 (ko) 농도유지장치 및 수지코팅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