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3940B1 - 중량물 이송용 보기트레인 및 그 운용 방법 - Google Patents

중량물 이송용 보기트레인 및 그 운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3940B1
KR101273940B1 KR1020110031518A KR20110031518A KR101273940B1 KR 101273940 B1 KR101273940 B1 KR 101273940B1 KR 1020110031518 A KR1020110031518 A KR 1020110031518A KR 20110031518 A KR20110031518 A KR 20110031518A KR 101273940 B1 KR101273940 B1 KR 1012739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e
assembly
gear
view
w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15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13864A (ko
Inventor
이현철
정명준
Original Assignee
성동조선해양(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동조선해양(주) filed Critical 성동조선해양(주)
Priority to KR10201100315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3940B1/ko
Publication of KR201201138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38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39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39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3/00Launching or hauling-out by landborne slipways; Slipways
    • B63C3/12Launching or hauling-out by landborne slipways; Slipways using cra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CLOCOMOTIVES; MOTOR RAILCARS
    • B61C13/00Locomotives or motor railcar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to special systems or purposes
    • B61C13/02Locomotives or motor railcar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to special systems or purposes for towing or transporting ships or for like special purp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Platform Screen Doors And Railroad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량물 이송용 보기트레인 및 그 운용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기(bogie)에 장착된 구동 유닛으로 구동력을 전달받아 스스로 이동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 구동 유닛과 결합된 구동절환 유닛에 의하여 구동력의 전달이 차단되도록 하며, 이를 위하여 선박 이송을 위하여 최종 지지점을 확정한 후, 제1, 2 보기트레인을 투입한 다음, 선박을 들어올리며, 투입된 제1, 2 보기트레인 중 구동 유닛이 장착된 제2 보기트레인의 구동을 차단한 후, 구동 유닛을 가동시켜 플로팅 도크로 선박을 이송시키는 실시예를 적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중량물 이송용 보기트레인 및 그 운용 방법{BOGIE TRAIN FOR HEAVY LOAD TRANSFER AND OPERATING METHOD OF IT}
본 발명은 중량물 이송용 보기트레인 및 그 운용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발생되는 구동력으로 자가 구동에 의한 중량물 이송이 가능함은 물론, 비상시 또는 이상 발생시 구동 전달을 차단하여 아이들(idle) 상태에서도 중량물의 이송이 가능하도록 하는 중량물 이송용 보기트레인 및 그 운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대의 선박 건조는 다양한 방법으로 이루어지며, 일반적으로 육상에서 건조되는 경우에는 다양한 도구와 장비를 이용하여 진수하게 된다.
건조된 선박은 보통 건조된 선박에 로프 또는 와이어를 연결하고 윈치로 견인하여 이송하게 된다.
그러나, 전술한 윈치에 의한 견인 방법은 중소규모의 선박에는 적용할 수 있지만, 대형 선박은 원취로 견인하는 과정에서 와이어가 파손되거나 절단되며, 와이어의 장력으로 인하여 선박이 자동적으로 진수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건조된 선박은 순차적으로 배열된 복수의 대차를 밀고 당기는 푸시풀 장치를 이용하여 이송하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그러나, 전술한 푸시풀 장치는 레일을 클램핑하면서 건조된 선박을 이송하는 메커니즘의 특성상, 레일이 손상되거나 파손될 수 있음은 물론, 사용 전후로 레일을 청소해야하는 번거로운 문제가 뒤따르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자가 구동에 의한 중량물 이송이 가능함은 물론, 무구동 상태에서도 중량물의 이송이 가능하도록 하는 중량물 이송용 보기트레인 및 그 운용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대형의 중량물을 이송함에 있어서 정확한 지지점의 파악과 함께 중량물의 이송에 따른 에너지 및 동력을 최소화하면서도 효율적인 이송이 가능하도록 하는 중량물 이송용 보기트레인 및 그 운용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플로팅 도크를 향하여 가설된 레일을 따라 이동하고 상측에 잭업 실린더가 장착되는 보기(bogie)와, 상기 보기에 장착되며 상기 잭업 실린더의 상단부에 결합된 로드빔에 중량물을 적재하고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 유닛과, 상기 보기에 장착되고 상기 구동 유닛과 결합되어 상기 중량물의 이송시에는 상기 보기에 구동력을 전달하며 상기 구동 유닛의 정지 또는 이상 발생시에는 구동력을 차단하는 구동절환 유닛을 포함하는 실시예의 적용이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중량물 이송용 보기트레인을 이용하여, 육상에서 건조되는 선박의 선수에서 선미 방향에 따른 하중 분포를 계산하고 상기 선박의 저면 형상에 따라 검색된 복수의 하중 지지점 중에서 플로팅 도크를 향하여 가설된 레일과 일직선상에 있는 하중 지지점을 선택하여 최종 지지점을 확정하는 제1 단계와, 육상에서 건조된 선박을 인상시키는 제2 단계와, 상기 플로팅 도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최종 지지점에 대응하는 상기 레일상에 순차적으로 상기 선박의 하중을 지지하는 무 구동의 제1 보기트레인을 복수대 탑재하고 상기 플로팅 도크로부터 가장 먼 레일상에 순차적으로 상기 선박의 하중을 지지하며 자가 구동이 가능한 구동 유닛이 내장된 제2 보기트레인을 복수대 탑재하는 제3 단계와, 상기 구동 유닛과 결합되어 상기 제2 보기트레인의 휠에 구동력을 전달 또는 차단하는 구동절환 유닛을 차단 상태로 하여 제1 보기트레인과 같은 무구동 상태로 만드는 제4 단계와, 상기 구동 유닛을 가동시키고 상기 구동절환 유닛을 전달 상태로 전환시켜 제2 보기트레인을 상기 플로팅 도크측으로 이동시키면서 상기 선박을 이송하는 제5 단계를 포함하는 운용 방법을 위한 실시예의 적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우선, 본 발명은 레일 상을 단순 왕복 가능한 휠이 장착된 보기의 내부에 구동 유닛을 마련하여 자가 구동에 따른 중량물의 이송이 가능하므로 레일을 클램핑하면서 이동하는 기존의 푸시풀 장치에 비하여 레일 손상 및 파손의 문제점을 최소화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구동 유닛과 결합되어 보기의 휠에 구동력을 전달하거나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구동절환 유닛이 마련된 구조에 따라 비상시 또는 구동 유닛에 이상이 발생하였을 경우 보기의 휠측으로 구동력이 전달되는 것을 차단시켜 아이들(idle) 상태로 이동하거나 중량물의 이송이 가능하도록 하므로, 안전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경우에 따라 평지를 단순 이동하거나 작업 시작시 보기를 레일에 진입시키거나 작업 완료시 보기를 레일로부터 분리코자 할때 중량물을 적절한 높이로 승강하는 잭업 실린더의 유압 일부를 이용하거나 별도로 마련된 보조 유압원에 의하여 작동되는 보조휠 어셈블리 등의 추가적인 수단에 의하여 이동상의 편의를 도모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대형 선박과 같은 대형의 중량물을 이송함에 있어서 사전에 정확한 지지점을 예측하여 구동 유닛이 장착된 보기를 포함하는 보기트레인과 구동 유닛이 생략된 일반적인 보기트레인을 적절하게 배치하여 플로팅 도크까지 이송시키는 방법을 채택함으로써 소요 에너지 및 동력을 최소화하면서도 효율적인 이송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량물 이송용 보기트레인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측면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량물 이송용 보기트레인의 주요부인 구동 유닛으로부터 보기의 휠까지 구동력이 전달되는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량물 이송용 보기트레인의 주요부인 구동절환 유닛의 구조 및 작동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량물 이송용 보기트레인의 운용 방법을 나타낸 블록선도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량물 이송용 보기트레인의 운용 방법에 따른 보기트레인의 배치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량물 이송용 보기트레인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측면 개념도이다.
본 발명은 보기(100, bogie)에 장착된 구동 유닛(200)으로 구동력을 전달받아 스스로 이동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 구동 유닛(200)과 결합된 구동절환 유닛(300)에 의하여 구동력의 전달이 차단되도록 하는 구조임을 파악할 수 있다.
보기(100)는 플로팅 도크(이하 미도시)를 향하여 가설된 레일을 따라 이동하며, 상측에 잭업 실린더(101)가 장착된다.
구동 유닛(200)은 보기(100)에 장착되며, 잭업 실린더(101)의 상단부에 결합된 로드빔(102)에 중량물을 적재하고 레일(500, 이하 도 9 및 도 10 참고)을 따라 이동하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역할을 한다.
구동절환 유닛(300)은 보기(100)에 장착되고, 구동 유닛(200)과 결합되어 중량물의 이송시에는 보기(100)에 구동력을 전달하며, 구동 유닛(200)의 정지 또는 이상 발생시에는 구동력을 차단하는 것이다.
구동절환 유닛(300)은 유압모터 등으로 가동되는 트레인과 같은 장치의 경우 구동모터 및 감속기 등의 구동전달 부재가 휠에 바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 전원 또는 유압이 부여되어여 휠을 굴리며 이동할 수 있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마련된 기술적 수단이라 할 수 있다.
또한, 구동절환 유닛(300)은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일반적인 트레인의 경우 중량물을 이송하는 도중에 구동전달 부재가 고장나거나 이상이 발생하여 작동이 되지 않을 경우 휠과 구동전달 부재 상호간의 연결을 해제할 수 없게 됨에 따라 이러한 상호간의 연결이 브레이크로써 작용하게 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마련된 기술적 수단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시예의 적용이 가능하며 다음과 같은 다양한 실시예의 적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보기(1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레일(500)을 따라 이동하면서 중량물을 이송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측에 마련된 잭업 실린더(101)는 유압으로 작동되며 승강하되 상부측의 로드빔(102)과 구면 베어링(이하 미도시) 등의 연결부재로 연결되어 승강에 따른 지지가 가능하도록 함은 물론 경우에 따라 틸팅 승강이 가능하도록 하는 변형 및 응용 또한 가능하다.
보기(100)에는 도 3과 같이 잭업 실린더(101)의 하부측에 구동 유닛의 미가동 상태에서 보기를 레일에 진입시키거나 레일(500)로부터 분리할 때 레일(500)에 접촉되어 이동 가능하게 보조휠 어셈블리(150)가 더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조휠 어셈블리(150)는 잭업 실린더의 작동 유체 일부를 바이패스시켜 신축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조 실린더(152)와, 보조 실린더 단부에 장착된 브라켓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보조 실린더에 연동하여 승강하면서 레일에 접촉 또는 이격되는 휠(154)을 포함하는 구조의 실시예를 적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구동 유닛(2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보기(100)에 자체적으로 레일(500)을 이동할 수 있는 구동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전달 어셈블리(210)와, 보기(100)의 적절한 이동 속도를 조성하는 감속 어셈블리(220)를 포함한다.
구동전달 어셈블리(210)는 보기(100)에 장착되어 정, 역회전하며 보기(100)의 휠(110)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도 2와 같이 구동 모터(212)와 구동전달 기어(214)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감속 어셈블리(220)는 구동전달 어셈블리(210)와 휠(110)을 상호 연결하며 대형 중량물인 선박을 안전하게 플로팅 도크로 이송시키기 위하여 구동전달 어셈블리(210)의 정, 역회전 속도를 저감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감속부재(230)와 제2 감속부재(240)를 포함하는 구조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구동 유닛(200)은 구동 모터(212)로부터 발생된 구동력을 제1 감속부재(230) 및 제2 감속부재(240)를 통하여 휠(110)에 전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후술할 구동절환 유닛(300)은 감속 어셈블리(220)에 장착되어 구동전달 어셈블리(210)로부터 휠(110)측으로 구동력을 전달 또는 차단시키는 구조임을 도 2 내지 도 6을 통하여 알 수 있다.
구동전달 어셈블리(210)의 구동 모터(212)는 보기(100)에 장착되어 정, 역회전하면서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것으로, 더욱 큰 이송력을 발생시키기 위하여 바람직하게는 유압 모터와 같은 것을 사용할 수 있다.
구동전달 기어(214)는 도 5 및 도 6을 참고하면 구동 모터(212)의 구동축(미도시) 단부에 장착되며 감속 어셈블리(220)와 치합되는 구조임을 알 수 있다.
감속 어셈블리(220)의 제1 감속부재(230)는 일단부는 구동전달 기어(214)와 결합되고, 타단부가 회전 지지되는 것으로, 제1 전달축(234)에 제1, 2 기어(232, 236)가 장착된 구조이다.
제2 감속부재(240)는 제1 감속부재(230)와 치합되고, 양단부는 보기(100)의 하부 양측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휠(110)과 치합되는 것으로, 제2 전달축(244)에 제3, 4 기어(242, 246)가 각각 장착되고, 제4 기어(246)는 휠(110)에 장착된 제5 기어(248)와 치합되어 구동 모터(212)로부터 공급받은 구동력으로 휠(110)을 회전시키게 된다.
여기서, 후술할 구동절환 유닛(300)은 더욱 상세하게는 제2 감속부재(240)에 결합되는 것임을 파악할 수 있다.
제1 감속부재(230)의 제1 기어(232)는 구동전달 기어(214)와 치합되고, 제1 전달축(234)의 일단부는 제1 기어(232)와 결합되고, 제1 전달축(234)의 타단부는 축받이 부재(233)로 회전 지지된다.
그리고, 제2 기어(236)는 제1 전달축(234)의 중앙부에 장착되어 제1 전달축(234)과 연동 회전하며, 제2 감속부재(240), 즉 제3 기어(242)와 치합되는 것이다.
그리고, 제2 감속부재(240)의 제3 기어(242)는 제2 기어(236)와 치합되며, 제2 전달축(244)은 제1 전달축(234)과 평행하게 배치되어 중앙부에 제3 기어(242)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길이 방향을 따라 후술할 구동절환 유닛(300)이 왕복하면서 제3 기어(242)와 결합 또는 결합 해제되는 것이다.
여기서, 제4 기어(246)는 제2 전달축(244)의 양단부에 각각 장착되어 제2 전달축(244)과 연동 회전하며, 제5 기어(248)는 보기(100)의 휠(110)에 각각 장착되어 상호 대향하며 제4 기어(246)와 각각 치합되는 구조임을 알 수 있다.
이때, 제3 기어(242)는 후술할 구동절환 유닛(300)과 결합되면 구동 기어가 되며, 구동절환 유닛(300)과 분리되면 제2 전달축(244)의 회전과 별개로 회전 가능한 아이들(idle) 기어가 됨으로써 구동 유닛(200)으로부터의 구동력을 전달 또는 차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감속 어셈블리(220)에 의한 감속은 제2 기어(236)의 직경과 기어잇수는 제3 기어(242)의 직경과 기어잇수에 비하여 작으며, 제4 기어(246)의 직경과 기어잇수는 제5 기어(248)의 직경과 기어잇수에 비하여 작게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구현되는 것이다.
한편, 구동절환 유닛(3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구동 유닛(200)으로부터 발생된 구동력을 휠(110)측으로 전달하거나 차단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도 3 및 도 4와 같이 절환 어셈블리(310)와 조작 어셈블리(320)를 포함하는 구조임을 알 수 있다.
절환 어셈블리(310)는 구동 유닛(200)과 결합되어 일정 구간을 왕복하면서 구동 유닛(200)의 구동력을 연결 또는 차단시키고, 조작 어셈블리(320)는 보기(100)의 상측에 노출되어 절환 어셈블리(310)를 왕복시킨다.
절환 어셈블리(310)는 더욱 상세하게는 제2 전달축(244)과 결합되어 일정 구간을 왕복하면서 제3 기어(242)와 결합 또는 결합 해제되면서 제2 기어(236)로부터 공급되는 구동력을 휠(110)측으로 연결 또는 차단시키는 것으로, 고정돌턱(312)과 클러치 블럭(314)이 상호 결합 또는 분리되는 구조이다.
조작 어셈블리(320)는 더욱 상세하게는 조작축(322)에 형성된 조작 링크(324)가 절환 어셈블리(310)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조작 레버(326)로 고정돌턱(312)과 클러치 블럭(314) 상호간의 결합 또는 분리 동작을 실시하는 구조이다.
절환 어셈블리(310)의 고정돌턱(312)은 제3 기어(242)의 일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제2 전달축(244)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연장된 것이며, 제3 기어(242)의 타측면에는 지지슬리브(242')가 마련되어 제2 전달축(244) 상에서 회전 지지를 도모할 수 있다.
제3 기어(242)는 후술할 클러치 블럭(314)과 결합되지 않은 상태에서 제2 전달축(244)의 외주면을 따라 돌출된 체결 플랜지(244")에 체결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돌턱(312)의 내주면을 따라 체결홈(242')을 마련할 수도 있다.
클러치 블럭(314)은 제3 기어(242)와 대향되는 면에 고정돌턱(312)에 대응하는 형상의 고정홈(313)이 형성되며 제2 전달축(244)의 길이 방향을 따라 외주면에 돌출된 안내 돌기(244')에 결합된다.
즉, 클러치 블럭(314)은 가장자리를 따라 반복적으로 형성된 고정홈(313)이 고정돌턱(312)의 가장자리를 따라 반복적으로 형성된 고정돌기(311)에 대응되고, 고정홈(313)과 고정홈(313) 사이에 배치되는 고정돌기(313')는 고정돌턱(312)의 고정돌기(311)와 고정돌기(311) 사이에 배치된 고정홈(311')에 대응되는 구조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조작 어셈블리(320)는 의하여 제2 전달축(244)의 길이 방향을 따라 클러치 블럭(314)을 왕복시키면서 도 5와 같이 고정돌턱(312)과 클러치 블럭(314)이 분리된 상태 및 도 6과 같이 고정돌턱(312)과 클러치 블럭(314)이 결합된 상태의 절환 동작이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조작 어셈블리(320)의 조작축(322)은 제2 전달축(244)과 직교방향으로 배치되어 정, 역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조작 링크(324)는 조작축(322)의 외주면으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 돌출되어 클러치 블럭(314)의 외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조작 레버(326)는 조작축(322)의 일단부로부터 돌출되어 보기(100) 상에 노출되어 파지 가능하게 장착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조작 레버(326)를 파지하고 일정 범위 내에서 회동시키면 도 5 및 도 6과 같은 구동 차단 및 구동 전달 상태를 반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구동절환 유닛(300)의 구조는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구조 및 메커니즘에 국한되지 않으며, 당업계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다양한 변형 및 응용 설계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한편, 보기(100)는 더욱 큰 구동력 및 이송력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로드빔(102)의 저면 양측에 레일의 형성 방향을 따라 이격하여 장착되고, 구동 유닛(200)은 보기(100) 각각에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중량물 이송용 보기트레인의 구성을 참고로 하여 이하, 중량물 이송용 보기트레인의 운용방법에 대하여 도 7 내지 도 10을 근거로 하여 설명한다.
참고로, 도 8 및 도 9에 굵고 투명하게 표시된 화살표는 플로팅 도크에 선박(600)을 안착시키기 위하여 이송시키는 방향을 나타낸다.
도면상에서 도시되지 않은 도면의 부호는 도 1 내지 도 6을 참고로 한다.
본 발명은 선박(600) 이송을 위하여 최종 지지점을 확정한 후, 제1, 2 보기트레인(I, II)을 투입한 다음, 선박(600)을 들어올리며, 투입된 제1, 2 보기트레인(I, II) 중 구동 유닛(200)이 장착된 제2 보기트레인(II)의 구동을 차단한 후, 구동 유닛(200)을 가동시켜 플로팅 도크로 선박(600)을 이송시키는 실시예의 적용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우선, 제1 단계(S10)에서 작업자는 육상에서 건조되는 선박(600)의 선수(611)에서 선미(612) 방향에 따른 하중 분포를 계산하고 선박(600)의 저면(610) 형상에 따라 검색된 복수의 하중 지지점 중에서 플로팅 도크(이하 미도시)를 향하여 가설된 레일(500)과 일직선상에 있는 하중 지지점을 선택하여 최종 지지점을 확정하게 된다.
이후, 제2 단계(S20)에서 작업자는 작업자는 도 8과 같이 플로팅 도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최종 지지점에 대응하는 레일(500)상에 순차적으로 선박(600)의 하중을 지지하는 무 구동의 제1 보기트레인(I)을 복수대 탑재하고, 플로팅 도크로부터 가장 먼 레일(500)상에 순차적으로 선박(600)의 하중을 지지하며 자가 구동이 가능한 구동 유닛(200)이 장착된 제2 보기트레인(II)을 복수대 탑재한다.
여기서, 제1, 2 보기트레임(I, II)의 배치 상태는 이송할 선박(600)의 저면(610) 형상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도 9와 같이 크게 선수(611)측에 복수대의 제2 보기트레인(II)으로 구성된 자가 구동그룹(710)과, 선미(612)측에 복수대의 제1 보기트레인(I)으로 구성된 선도 아이들그룹(730)과, 선수(611)와 선미(612) 사이의 저면(610)에 배치되는 중간 지지그룹(720)으로 배치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중간 지지그룹(720)은 선박(600)의 저면(610)이 도시된 바와 같이 좁고 긴 벌크 선박과 같은 경우 우현 지지그룹(722)과, 센터 지지그룹(724) 및 좌현 지지그룹(726)으로 배치하여 선박(600)의 하중을 더욱 균일하고 안정적으로 지지하면서 이송할 수 있다.
계속하여, 제3 단계(S30)에서 크레인(미도시) 등의 설비를 이용하여 육상에서 건조된 선박(600)을 인상시키고, 제1, 2 보기트레인(I, II)이 투입될 준비를 한다.
여기서, 선박(600)은 트레슬(400, trestle, 도 10 참고)을 통하여 보기(100)의 로드빔(102)으로 지지되도록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4 단계(S40)에서 작업자는 구동 유닛(200)과 결합되어 제2 보기트레인(II)의 휠(110)에 구동력을 전달 또는 차단하는 구동절환 유닛(300)을 차단 상태로 하여 제1 보기트레인(I)과 같은 무구동 상태로 만들어 선박(600)의 이송을 준비한다.
최종적으로, 제5 단계(S50)에서 작업자는 구동 유닛(200)을 가동시키고, 구동절환 유닛(300)을 전달 상태로 전환시켜 제2 보기트레인(II)을 플로팅 도크측으로 이동시키면서 선박(600)을 이송시키게 되는 것이다.
한편, 제2 단계(S20)에서는 제1, 2 보기트레인(I, II)의 하부측으로부터 하강한 보조휠 어셈블리(150)를 레일(500)과 접촉시켜 최종 지지점에 대응하는 위치까지 제1, 2 보기트레인(I, II) 각각을 이송시킨 후 보조휠 어셈블리(150)를 상승시켜 제1, 2 보기트레인(I, II))에 수납시키는 위치결정 과정(S21)을 더 실시할 수 있다.
그리고, 제5 단계(S50)에서는 선박(600)이 플로팅 도크에 안착되면 제1, 2 보기트레인(I, II)의 하부측에 수납된 보조휠 어셈블리(150)를 하강시켜 제1, 2 보기트레인(I, II)을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정리과정(S51)을 더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제2 보기트레인(II)에는 구동절환 유닛(300)의 작동 상태 및 고장 유무를 파악 가능하며, 관제실과 실시간으로 통신하면서 구동절환 유닛(300)이 비정상일 경우 구동 유닛(200)이 제2 보기트레인(II)의 브레이크로 작동하면서 선박(600) 이송을 방해하지 않도록, 구동 유닛(200)의 가동을 정지시키고 제2 보기트레인(II)을 무구동 상태로 전환시키는 RFID 태그(미도시)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자가 구동에 의한 중량물 이송이 가능함은 물론, 무구동 상태에서도 중량물의 이송이 가능하고, 대형의 중량물을 이송함에 있어서 정확한 지지점의 파악과 함께 중량물의 이송에 따른 에너지 및 동력을 최소화하면서도 효율적인 이송이 가능하도록 하는 중량물 이송용 보기트레인 및 그 운용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해 업계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 및 응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일 것이다.
100...보기 200...구동 유닛
300...구동절환 유닛 400...트레슬
500...레일 600...선박

Claims (11)

  1. 플로팅 도크를 향하여 가설된 레일을 따라 이동하며, 상측에 잭업 실린더가 장착되는 보기(bogie);
    상기 보기에 장착되며, 상기 잭업 실린더의 상단부에 결합된 로드빔에 중량물을 적재하고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것으로, 상기 보기의 휠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전달 어셈블리의 구동전달 기어와, 상기 구동전달 기어와 결합된 제1 감속부재에 치합되는 제2 감속부재를 포함하는 감속 어셈블리가 상기 보기의 휠을 상호 연결하는 구동 유닛;
    상기 보기에 장착되고, 상기 구동 유닛과 결합되어 상기 중량물의 이송시에는 상기 보기에 구동력을 전달하며, 상기 구동 유닛의 정지 또는 이상 발생시에는 구동력을 차단하는 것으로, 상기 제2 감속부재에 장착되는 절환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구동절환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물 이송용 보기트레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기에는,
    상기 잭업 실린더의 하부측에 상기 구동 유닛의 미가동 상태에서 상기 보기를 상기 레일에 진입시키거나 상기 레일로부터 분리할 때 상기 레일에 접촉되어 이동 가능하게 보조휠 어셈블리가 더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물 이송용 보기트레인.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동전달 어셈블리는 정, 역회전하고, 상기 감속 어셈블리는 상기 구동전달 어셈블리의 정, 역회전 속도를 저감시키며, 상기 구동절환 유닛은 상기 감속 어셈블리에 장착되어 상기 구동전달 어셈블리로부터 상기 보기의 휠측으로 구동력을 전달 또는 차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물 이송용 보기트레인.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보조휠 어셈블리는,
    상기 잭업 실린더의 작동 유체 일부를 바이패스시켜 신축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조 실린더와,
    상기 보조 실린더 단부에 장착된 브라켓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보조 실린더에 연동하여 승강하면서 상기 레일에 접촉 또는 이격되는 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물 이송용 보기트레인.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구동전달 어셈블리는,
    상기 보기에 장착되어 정, 역회전하면서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 모터를 더 포함하며,
    상기 구동전달 기어는 상기 구동 모터의 구동축 단부에 장착되며 상기 감속 어셈블리와 치합되며,
    상기 구동절환 유닛은 상기 감속 어셈블리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물 이송용 보기트레인.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감속부재의 일단부는 상기 구동전달 기어와 결합되고, 타단부가 회전 지지되며,
    상기 제2 감속부재의 양단부는 상기 보기의 하부 양측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상기 보기의 휠과 치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물 이송용 보기트레인.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동절환 유닛은,
    상기 보기의 상측으로부터 노출되어 상기 절환 어셈블리를 왕복시키는 조작 어셈블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절환 어셈블리는 일정 구간을 왕복하면서 상기 제2 감속부재의 기어와 결합 또는 결합 해제되면서 상기 기어로부터 공급되는 구동력을 상기 보기의 휠측으로 연결 또는 차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물 이송용 보기트레인.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절환 어셈블리는,
    상기 기어의 일측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고정돌턱과,
    상기 기어와 대향되는 면에 상기 고정돌턱에 대응하는 형상의 고정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2 감속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외주면에 돌출된 안내 돌기에 결합되고, 상기 보기에 장착된 조작 어셈블리에 의하여 상기 제2 감속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왕복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고정돌턱과 결합 또는 분리되는 클러치 블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물 이송용 보기트레인.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조작 어셈블리는,
    상기 제2 감속부재와 직교방향으로 배치되어 정, 역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조작축과,
    상기 조작축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클러치 블럭의 외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작 링크와,
    상기 조작축의 일단부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보기 상에 노출되어 파지 가능하게 장착되는 조작 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물 이송용 보기트레인.
  10. 삭제
  11. 삭제
KR1020110031518A 2011-04-06 2011-04-06 중량물 이송용 보기트레인 및 그 운용 방법 KR1012739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1518A KR101273940B1 (ko) 2011-04-06 2011-04-06 중량물 이송용 보기트레인 및 그 운용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1518A KR101273940B1 (ko) 2011-04-06 2011-04-06 중량물 이송용 보기트레인 및 그 운용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3864A KR20120113864A (ko) 2012-10-16
KR101273940B1 true KR101273940B1 (ko) 2013-06-12

Family

ID=472832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1518A KR101273940B1 (ko) 2011-04-06 2011-04-06 중량물 이송용 보기트레인 및 그 운용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394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0642B1 (ko) * 2013-08-27 2015-04-10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열차용 브레이킹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9289B1 (ko) * 2013-08-02 2014-03-28 라인호(주) 이동효율이 향상된 선박이송장비 및 방법
CN108454798B (zh) * 2017-09-11 2022-04-26 青岛武船麦克德莫特海洋工程有限公司 浮式生产设施上部工艺模块的整体化建造安装方法
CN112320683A (zh) * 2020-11-03 2021-02-05 广州黄船海洋工程有限公司 一种移船用钢支架的运送装置以及运送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2977Y1 (ko) * 2005-11-15 2006-04-05 성 헌 이 선박용 이송대차의 견인장치
KR100929507B1 (ko) * 2008-01-31 2009-12-03 현대삼호중공업 주식회사 육상건조선박 로드아웃 설비
KR100950556B1 (ko) * 2008-01-31 2010-03-30 현대삼호중공업 주식회사 육상건조선박 로드아웃 설비
KR20110034479A (ko) * 2009-09-28 2011-04-05 현대삼호중공업 주식회사 육상건조선박의 로드아웃용 케리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2977Y1 (ko) * 2005-11-15 2006-04-05 성 헌 이 선박용 이송대차의 견인장치
KR100929507B1 (ko) * 2008-01-31 2009-12-03 현대삼호중공업 주식회사 육상건조선박 로드아웃 설비
KR100950556B1 (ko) * 2008-01-31 2010-03-30 현대삼호중공업 주식회사 육상건조선박 로드아웃 설비
KR20110034479A (ko) * 2009-09-28 2011-04-05 현대삼호중공업 주식회사 육상건조선박의 로드아웃용 케리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0642B1 (ko) * 2013-08-27 2015-04-10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열차용 브레이킹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3864A (ko) 2012-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3940B1 (ko) 중량물 이송용 보기트레인 및 그 운용 방법
US9809308B2 (en) Load transport and restraining devices and methods for restraining loads
KR101129704B1 (ko) 컨테이너선의 추진축 장착용 대차를 이용한 컨테이너선 추진축의 장착방법
CA3023113C (en) Inverted carrier lift device system and method
JP5127535B2 (ja) シャトル式門型クレーン
CN101475045B (zh) 一种造船过程中舵叶的吊装方法
CN101578219B (zh) 用于浮式采油装置的操作缆绳的牵引系统
KR102448405B1 (ko) 주행 설비
KR101803377B1 (ko) 선박
WO2009048342A9 (en) Mooring system and related means
KR101231862B1 (ko) 천장이동장치용 z축 이중화 동력전달장치
CN219950358U (zh) 一种集装箱的装卸装置
CN202080428U (zh) 重载齿轮回转式可升降全回转推进器
CN101927947A (zh) 全电动移动双箱吊具
CN217437636U (zh) 重物快速升降设备
CN114291120B (zh) 电力设备运输装置
JP5011241B2 (ja) 電動搬送車
KR101847016B1 (ko) 시추선의 스파이더 앤드 짐벌 이송 장치 및 이를 운용하는 방법
CN209127952U (zh) 全方位集装箱搬运车
JP2009242081A (ja) レールマウント式門型クレーンの台車を用いたレーン移動方法及び装置
KR20200056178A (ko) 중량물 이송장치 및 그가 적용된 해양 구조물
JP2005145663A (ja) 高圧ガス容器の移載装置
JP2004017805A (ja) 電気推進船の発電設備
CN114888485B (zh) 一种前角柱与角件的焊接设备
KR20160013739A (ko) 선박 엔진룸내 엔진 리프트의 크레인 이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