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1039B1 - 촬상장치 - Google Patents

촬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1039B1
KR101271039B1 KR1020100106450A KR20100106450A KR101271039B1 KR 101271039 B1 KR101271039 B1 KR 101271039B1 KR 1020100106450 A KR1020100106450 A KR 1020100106450A KR 20100106450 A KR20100106450 A KR 20100106450A KR 101271039 B1 KR101271039 B1 KR 1012710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monitor
state
rotational axis
lcd monitor
imag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64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47156A (ko
Inventor
시게시 마에카와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471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71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10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10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3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onic viewfinders, e.g. rotatable or detachable
    • H04N23/531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onic viewfinders, e.g. rotatable or detachable being rotatable or detachab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1Hous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Structure And Mechanism Of Cameras (AREA)
  • Camera Bodies And Camera Details Or Accessories (AREA)
  • Accessories Of Cameras (AREA)
  • Endoscopes (AREA)

Abstract

촬상장치는, 손잡이 파지부보다도 더욱 전방에 형성되고, 표시 모니터의 표시면을 대향시킨 상태에서 표시 모니터를 수납하는 대좌부와, 그 대좌부보다도 더욱 전방에 형성된 돌출부와, 한쪽이 표시 모니터에 고정되고, 다른쪽이 돌출부에 고정되는 힌지부재를 구비한다. 표시 모니터를 힌지부재의 제1 회전 축을 중심으로 제1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그립부와는 반대측으로 상기 대좌부로부터 표시 모니터가 인출된다. 표시 모니터를 제1 회전 축을 중심으로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그립부측으로 상기 대좌부로부터 표시 모니터가 인출된다.

Description

촬상장치{IMAGING APPARATUS}
본 발명은,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모니터를 구비한 촬상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촬영중의 화상을 표시시키는 표시부를 구비한 디지털 스틸 카메라와 비디오카메라 등의 촬상장치가 보급되고 있다.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 2005-210677호에는, 비디오카메라 본체에 설치된 손잡이의 선단에 표시부로서의 액정 디스플레이를 배치한 촬상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최근, 표시부가 대형화하고 있다. 이렇게 하여, 표시부는 간단히 촬영자가 촬영하고 있는 화상을 확인할뿐만아니라, 촬영자이외의 스태프(staff)가 그 화상을 확인하기 위해서도 사용되게 되어 있다.
그런데,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 2005-210677호에 기재된 표시부에 있어서는, 표시부가 촬상장치의 좌측으로만 개폐되므로, 촬상장치의 오른쪽에서 표시부에 표시되는 화상을 확인하는 것은 어렵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일 국면에 따른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모니터를 구비한 촬상장치는,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모니터를 구비한 촬상장치로서, 상기 촬상장치의 오른쪽면에 형성된 그립부; 상기 촬상장치 앞측 상부에 형성된 전각부; 상기 촬상장치의 뒤측 상부에 형성된 후각부; 상기 전각부와 상기 후각부를 연결하는 손잡이 파지부; 상기 손잡이 파지부보다도 더욱 전방에 형성된 대좌부; 상기 대좌부의 상 표면에 설치된 복수의 조작 부재; 상기 상 표면의 이면에 형성되고, 상기 이면에 대향하는 표시면을 갖는 상기 표시 모니터를 수납하는 수납부; 상기 대좌부보다 더욱 전방에 형성된 돌출부; 및 한쪽이 상기 표시 모니터에 고정되고, 다른쪽이 상기 돌출부에 고정되는 힌지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표시 모니터를 상기 힌지부재의 제1 회전 축을 중심으로 제1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표시 모니터가 상기 대좌부에 수납된 제 1 상태로부터 상기 그립부와는 반대측에 있는 제 2 상태로 인출되고, 상기 표시 모니터를 상기 제1 회전 축을 중심으로 상기 제1 방향과는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표시 모니터가 상기 대좌부에 수납된 제 1 상태로부터 상기 그립부 측에 있는 제 3 상태로 인출된다.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의하면, 촬상장치의 표시부에 표시된 화상을 촬상장치의 오른쪽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들 및 국면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아래의 예시적 실시예들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 포함되고 그 일부를 구성하는 첨부도면들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 특징들 및 국면들을 나타내고, 이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는 역할을 한다.
도 1은 액정 디스플레이(LCD) 모니터를 수납부에 수납한 비디오카메라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LCD모니터를 수납부에 수납한 비디오카메라를 설명하는 도다.
도 3은 LCD모니터를 그립부(grip portion)와는 반대측으로 인출했을 때의 2축 힌지의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LCD모니터를 그립부와는 반대측으로 인출한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LCD모니터를 그립부와는 반대측으로 인출한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LCD모니터를 그립부와는 반대측으로 인출한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LCD모니터를 그립부측으로 인출했을 때의 2축 힌지의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은 LCD모니터를 그립부측으로 인출한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는 LCD모니터를 그립부측으로 인출한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LCD모니터를 그립부측으로 인출한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LCD모니터를 그립부와는 반대측으로 인출한 비디오카메라의 후방에서 본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LCD모니터를 그립부측으로 인출한 비디오카메라의 후방에서 본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비디오카메라를 사람이 홀딩한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4는 LCD모니터의 교환 작업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5는 LCD모니터의 교환 작업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6은 LCD모니터의 교환 작업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여러 가지 예시적 실시예들, 특징들, 및 국면들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겠다.
도 1∼도 16은, 촬상장치로서의 비디오카메라(101)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는 비디오카메라(101)의 외관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도 6은 표시 모니터로서의 LCD모니터(104)를 그립부(203)와는 반대측으로 인출한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도 10은 LCD모니터(104)를 그립부(203)측으로 인출한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LCD모니터(104)를 그립부(203)와는 반대측으로 인출한 상태를 비디오카메라(101)의 후방에서 본 도면이다. 도 12는 LCD모니터(104)를 그립부(203)측으로 인출한 상태를 비디오카메라(101)의 후방에서 본 도면이다. 도 13은 비디오카메라(101)를 사람이 홀딩한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4∼도 16은 LCD모니터(104)의 교환 작업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비디오카메라(101)는, 카메라 본체부(102)와, 이 카메라 본체부(102)의 전방면에 돌출하도록 부착된 렌즈부(103)로 구성되어 있다. 렌즈부(103)선단에는, 렌즈부(103)에 입사하는 불필요한 빛을 차단하기 위한 렌즈 후드(110)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카메라 본체부(102)의 오른쪽면에는, 촬영자가 파지하는 그립부(203)가 카메라 본체부(102)에 일체로 설치된다. 그립부(203)에는, 그립 벨트가 배치된다. 촬영자는 그립부(203)와 그립 벨트와의 사이에 손을 넣고, 그립부(203)를 파지한다.
카메라 본체부(102)의 상부에는, 렌즈부(103)의 광축방향인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손잡이부(106)가 일체로 설치된다. 손잡이부(106)는, 카메라 본체부(102) 앞측 상부에 수직으로 설치된 전각(front leg)부(107)와, 카메라 본체부(102)의 뒤측 상부에 수직으로 설치된 후각(rear leg)부(108)와, 전각부(107)와 후각부(108)를 연결하는 손잡이 파지부(109)로 구성되어 있다. 후각부(108)의 상부이며, 손잡이 파지부(109)의 후단부에는, 촬영자가 시각적으로 피사체를 확인할 수 있는 전자 뷰(view) 파인더(105)가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전자 뷰 파인더(105)에는 아이컵(eye cup)(111)이 부착된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윗쪽으로 대략 70도 전자 뷰 파인더(105)를 회동시킬 수 있다.
또한, 도 1 및 도 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손잡이부(106)의 전방에는, 손잡이 파지부(109)에 연속해서 형성된 대좌부(pedestal portion)(112)와, 이 대좌부(112)의 선단에 연속해서 형성된 돌출부(113)가 설치된다. 대좌부(112)의 표면에는, 비디오카메라(101)를 조작하는 복수의 조작부재가 배치된다. 대좌부(112)의 이면에는, LCD모니터(104)를 수납하는 수납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는, LCD모니터(104)의 표시면(401)이 대좌부(112)의 이면에 대향한다. 그러므로, 표시면(401)은 대좌부(112)에 의해 보호된다.
대좌부(112)의 오른쪽에는, 건(gun) 마이크등의 외부 마이크를 보유하기 위해서 배치된 외부 마이크 보유부(114)가 부착되어 있다.
돌출부(113)는, 전방 및 좌우측에 개구된 중공부로 이루어진다. 그 중공부 내부에는, (도면에 나타나 있지 않은) 마이크가 수납되어 있다. 돌출부(113)의 이면에는, LCD모니터(104)를 손잡이부(106)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힌지부재로서의 2축 힌지(301)가 부착되어 있다. 힌지 커버(115)는 2축 힌지(301)를 덮는다.
도 3은, LCD모니터(104)를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수납 상태로부터 그립부(203)와는 반대측으로 인출한 상태를 보이고 있다. 도 3은, 대좌부(112) 및 돌출부(113)를 이면측에서 본 도면이다. 또한, 도 3은, 힌지 커버(115)가 떼어져, 2축 힌지(301)를 노출시킨 상태다.
2축 힌지(301)는, LCD모니터(104)를 제1 회전 축(303)을 중심으로 해서 회동시킬 수 있다. 또한, 도 3의 상태에서는, 2축 힌지(301)는, 제2 회전 축(304)을 중심으로 해서 LCD모니터(104)를 회동시킬 수 있다. 제2 회전 축(304)은 LCD모니터(104)의 짧은 변 방향의 중심선과 평행하게 오프셋한 위치에 설정되어 있다.
또한,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수납 상태와, 도 3에 나타낸 상태에 있어서, LCD모니터(104)의 짧은 변 방향의 중심선과 제1 회전 축(303)이 직교하는 위치 관계가 된다. 따라서, 제1 회전 축(303)과 제2 회전 축(304)은 교차하지 않고, 비틀어진 위치의 관계가 된다. 제1 회전 축(303)과 제2 회전 축(304)이 이루는 각도가 90도가 된다.
2축 힌지(301)는, 돌출부(113)의 이면에 대하여 나사로 체결되는 체결부(305), 체결부(305)에 대하여 회동하는 제1 회전부(306), 및 제1 회전부(306)에 대하여 회동하는 제2 회전부(307)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체결부(305)에는 축부(308)가 형성되어 있다. 제1 회전부(306)에는, 축부(308)에 삽입되는 베어링부가 형성된다. 축부(308)의 중심축이 제1 회전 축(303)이 된다. 제2 회전부(307)에는 축부(309)가 형성되어 있다. 제1 회전부(306)에는, 축부(309)에 삽입되는 베어링부가 형성된다. 축부(309)의 중심축이 제2 회전 축(304)이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체결부(305)에 대하여 제1 회전부(306)는 제1 회전 축(303)을 중심으로 회동함과 아울러, 제1 회전부(306)에 대하여 제2 회전부(307)는 제2 회전 축(304)을 중심으로 회동한다. 제2 회전부(307)는 LCD모니터(104)의 모니터 케이스(403)에 대하여 나사로 체결되어 있다. 따라서, 2축 힌지(301)의 한쪽 끝은 LCD모니터(104)에 고정되고, 2축 힌지(301)의 다른쪽 끝은 돌출부(113)에 고정된다.
제1 회전부(306)는 체결부(305)에 대하여 제1 방향인 화살표 Y방향으로 약 90도까지 회동함과 아울러, 그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의 제2 방향인 화살표 Y'방향으로 약 90도까지 회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회전부(306)는 체결부(305)에 대하여 약 180도의 범위에서 회동시킬 수 있다. 도 3은 LCD모니터(104)를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도 3의 화살표 Y방향으로 약 90도 회동시키고, 대좌부(112)로부터 그립부(203)와는 반대측으로 인출한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제2 회전부(307)는, 도 3의 상태로부터 제1 회전부(306)에 대하여 화살표 X방향으로 약 90도까지 회동함과 아울러, 화살표 X'방향으로 약 180도까지 회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2 회전부(307)는 제1 회전부(306)에 대하여 약 270도의 범위에서 회동시킬 수 있다.
도 4는, 도 3과 마찬가지로, LCD모니터(104)를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수납 상태로부터 그립부(203)와는 반대측으로 인출한 상태를 보이고 있다. 이 때, 2축 힌지(301) 내부에서는, 제1 회전부(306)는 체결부(305)에 대하여 도 3의 화살표 Y방향으로 약 90도 회동된다. 따라서, 비디오카메라(101)는, 도 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LCD모니터(104)의 표시면(401)이 위를 향한 상태에서 대좌부(112)로부터 노출하는 상태로 바뀐다. 이 상태에서는, 로앵글(low angle) 촬영시에, 그립부(203)와는 반대측에서 LCD모니터(104)에 의해 피사체를 확인할 수 있다. 도 4는 힌지 커버(115)를 부착한 상태로 되어 있다.
도 4의 상태로부터 표시면(401)이 비디오카메라(101)의 후방으로 향하도록, LCD모니터(104)를 제2 회전 축(304)을 중심으로 해서 회동시킨다. 이렇게 함으로써, 비디오카메라(101)는 도 5에 나타낸 상태로 된다. 이 때, 2축 힌지(301) 내부에서는, 도 3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제2 회전부(307)가 제1 회전부(306)에 대하여 도 3의 화살표 X'방향으로 약 90도 회동한다.
또한, 도 5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LCD모니터(104)의 표시면(401)을 제2 회전 축(304)을 중심으로 하여, 한층 더 90도까지 아래쪽을 향해서 회동시킬 수 있다. LCD모니터(104)를 그립부(203)와는 반대측으로 인출한 상태에서는, 제2 회전 축(304)을 중심으로 LCD모니터(104)를 회동시킴으로써, LCD모니터(104)의 표시면(401)은 도 5에 나타낸 상태를 경유하여, 비디오카메라(101)의 아래쪽으로 향한다. 따라서, 하이앵글(high angle) 촬영시에도, LCD모니터(104)로 피사체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도 4의 상태로부터 표시면(401)이 비디오카메라(101)의 전방으로 향하도록, LCD모니터(104)를 제2 회전 축(304)을 중심으로 해서 회동시킨다. 이렇게 함으로써, 비디오카메라(101)는 도 6에 나타낸 상태로 된다. 이 때, 2축 힌지(301) 내부에서는, 도 3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제2 회전부(307)가 제1 회전부(306)에 대하여 도 3의 화살표 X방향으로 약 90도 회동한다.
도 7은, LCD모니터(104)를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수납 상태로부터 그립부(203)측으로 인출한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도, 도 3과 마찬가지로, 대좌부(112) 및 돌출부(113)를 이면측에서 본 도면이다. 도 7은, 힌지 커버(115)가 떼어지고, 2축 힌지(301)를 노출시킨 상태다. 도 7은LCD모니터(104)를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화살표 Y'방향으로 약 90도 회동시켜, 대좌부(112)로부터 그립부(203)와는 반대측으로 인출한 상태다.
제2 회전부(307)는, 도 7의 상태로부터 제1 회전부(306)에 대하여 화살표 X'방향으로 약 180도까지 회동함과 아울러, 화살표 X방향으로 약 90도까지 회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2 회전부(307)는 제1 회전부(306)에 대하여 약 270도의 범위에서 회동시킬 수 있다.
도 8은, LCD모니터(104)를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수납 상태로부터 그립부(203)측으로 인출한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 때, 2축 힌지(301) 내부에서는, 제1 회전부(306)는 체결부(305)에 대하여 도 7의 화살표 Y'방향으로 약 90도 회동한다. 따라서, 비디오카메라(101)는, 도 8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LCD모니터(104)의 표시면(401)이 위를 향한 상태에서 대좌부(112)로부터 노출하는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는, 로앵글 촬영시에, 그립부(203)측에서 LCD모니터(104)에 의해 피사체를 확인할 수 있다.
도 8의 상태로부터 표시면(401)이 비디오카메라(101)의 후방으로 향하도록, LCD모니터(104)를 제2 회전 축(304)을 중심으로 해서 회동시킨다. 이렇게 함으로써, 비디오카메라(101)는 도 9에 나타낸 상태가 된다. 이 때, 2축 힌지(301) 내부에서는, 도 7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제2 회전부(307)가 제1 회전부(306)에 대하여 도 7의 화살표 X방향으로 약 90도 회동한다.
LCD모니터(104)를 도 9의 상태로 바꾸었을 때에, 외부 마이크 보유부(114)가 표시면(401)을 차단하지 않도록, 제2 회전 축(304)은 LCD모니터(104)의 중심위치로부터 오프셋된 위치에 있다. 따라서, 도 9의 상태에서 LCD모니터(104)의 높이 방향의 위치는, 도 5의 상태의 LCD모니터(104)의 높이 방향의 위치보다도, 낮아진다.
도 11은, LCD모니터(104)를 도 5의 상태라고 했을 때에, 비디오카메라(101)를 후방에서 본 도면이다. 도 12는, LCD모니터(104)를 도 9의 상태라고 했을 때에, 비디오카메라(101)를 후방에서 본 도면이다. 도 11 및 도 12에 있어서, 선 404는 LCD모니터(104)의 중심선을 나타낸다.
도 1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도 5의 상태에서는, 중심선(404)이 제2 회전 축(304)보다도 위쪽에 위치된다. 이렇게 하여, LCD모니터(104)는, 렌즈부(103)에 설치된 조작 링(ring)의 조작을 방해하지 않도록 위치된다. 한편, 도 1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도 9의 상태에서는, 중심선(404)이 제2 회전 축(304)보다도 아래에 위치된다. 그래서, 표시면(401)이 외부 마이크 보유부(114)보다 아래에 위치된다. 이에 따라, 도 5의 상태에서는, LCD모니터(104)는, 조작 링의 조작을 방해하지 않는다. 또한, 도 9의 상태에서는, 외부 마이크 보유부(114)가 LCD모니터(104)에 표시된 화상의 확인을 방해하지 않는다.
또한, 도 8의 상태로부터 표시면(401)이 비디오카메라(101)의 전방을 향하도록, LCD모니터(104)를 제2 회전 축(304)을 중심으로 해서 회동시킨다. 이렇게 함으로써, 비디오카메라(101)는 도 10에 나타낸 상태가 된다. 이 때, 2축 힌지(301) 내부에서는, 도 7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제2 회전부(307)가 제1 회전부(306)에 대하여 도 7의 화살표 X'방향으로 약 90도 회동한다. 제2 회전 축(304)은 LCD모니터(104)의 중심위치로부터 오프셋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도 10의 상태에서는, LCD모니터(104)가 외부 마이크 보유부(114)와 겹치도록 위치된다. 그러나, 외부 마이크 보유부(114)가 LCD모니터(104)보다도 후방에 위치되어 있으므로, 표시면(401)이 전방을 향하고 있는 경우, 상기 외부 마이크 보유부(114)는 표시면(401)을 차단하지 않는다.
도 10의 상태로부터 LCD모니터(104)의 표시면(401)을 제2 회전 축(304)을 중심으로 하고, 한층 더 90도까지 아래쪽을 향해서 회전시킬 수 있다. LCD모니터(104)를 그립부(203)측으로 인출하는 경우, 제2 회전 축(304)을 중심으로 LCD모니터(104)를 회동시킴으로써, LCD모니터(104)의 표시면(401)은 도 10에 나타낸 상태를 경유하고, 비디오카메라(101)의 아래쪽을 향한다. 따라서, 대면 상태에 있어서의 하이앵글 촬영시에도, LCD모니터(104)로 피사체를 확인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카메라(101)에서, 제1 회전부(306)는 체결부(305)에 대하여 화살표 Y방향 및 화살표 Y'방향으로 약 90도 회동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LCD모니터(104)를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수납 상태로부터 그립부(203)측 및 그립부(203)의 반대측으로 인출할 수 있다.
따라서, 그립부(203)의 반대측으로부터 촬영 화상을 모니터링할 때, 비디오카메라(101)를 도 5 또는 도 6에 나타낸 상태로 바꾸어도 된다. 그립부(203)측으로부터 그 촬영 화상을 모니터링할 때, 비디오카메라(101)를 도 9 또는 도 10에 나타낸 상태로 바꾸어도 된다.
또한, 도 5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LCD모니터(104)의 표시면(401)을 제2 회전 축(304)을 중심으로 하여, 한층 더 90도까지 아래쪽을 향해서 회전시킬 수 있다. 한층 더, 도 10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LCD모니터(104)의 표시면(401)을 제2 회전 축(304)을 중심으로 하여, 한층 더 90도까지 아래쪽을 향해서 회전시킬 수 있다.
따라서, 촬영 상황에 따라, LCD모니터(104)의 표시면(401)의 방향을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다.
도 13은 도 5에 나타낸 상태에 있는 비디오카메라(101)를 촬영자가 파지하고 있는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러한 종류의 비디오카메라는, 가정용 비디오카메라보다는 대형이 중량도 무겁다. 이에 따라, 비디오카메라를 꽉 파지하기 위해서는, 도 1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촬영자는 팔로 쥐고 팔 꿈치를 구부린 상태에서 파지한다.
도 13에 있어서, 촬영자의 눈은, LCD모니터(104)의 표시면(401)으로부터 거리 D에 떨어져 있다. 본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카메라(101)에서는, 2축 힌지(301)가 손잡이부(106)의 선단에 위치하는 돌출부(113)의 이면에 배치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LCD모니터(104)의 표시면(401)이 후방을 향했을 때에, 거리D를 길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도 13에 나타낸 것처럼 비디오카메라(101)를 파지한 경우에도, LCD모니터(104)의 표시면(401)을 촬영자의 눈으로부터 가능한 멀리 놓을 수 있다.
다음에, LCD모니터(104)의 교환 작업을 설명한다.
도 14 및 도 15는 렌즈 후드(110) 및 힌지 커버(115)를 뗀 비디오카메라(101)를 저면에서 본 도면이다. 도 16은 렌즈 후드(110) 및 힌지 커버(115)를 뗀 비디오카메라(101)를 측면에서 본 도면이다. 힌지 커버(115)는 나사로 고정되고, 나사를 제거함으로써 비디오카메라(101)로부터 힌지 커버(115)를 제거할 수 있다.
도 14∼도 16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2축 힌지(301)의 체결부(305)는 렌즈부(103)의 선단부로부터 돌출되게 배치되어 있다. 체결부(305)를 돌출부(113)의 이면에 체결하고 있는 나사(1001)를 풀음으로써, LCD모니터(104)는 2축 힌지(301)와 함께 비디오카메라(101)로부터 뗄 수 있다. 또한, 2축 힌지(301)에는, 전기적인 결선을 하기 위한 배선, 플렉시블 기판등의 (도면에 나타나 있지 않은) 결선부품이 삽입되어 있다. 이들 부품은, 커넥터를 제거함으로써 비디오카메라(101)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도 16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선A-A로 나타낸 렌즈부(103) 선단의 위치보다도 전방에 2축 힌지(301)가 돌출부(113)의 이면에 체결되어 있는 위치가 돌출하고 있다. 이 때문에, 드라이버등의 공구에 의해 간단하게 체결부(305)를 체결하고 있는 나사(1001)를 푸는 것이 가능해진다. 한층 더, 2축 힌지(301)의 아래쪽에 큰 스페이스가 확보된다. 그래서, 커넥터의 착탈동작도 간단하고 확실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의하면, 카메라 본체부(102)의 상부에 배치된 손잡이부(106)의 전방에 LCD모니터(104)의 2축 힌지(301)를 배치하였다. 이것에 의해, LCD모니터(104)의 표시면(401)을 후방으로 향했을 경우에, 표시면(401)을 비디오카메라(101)의 후단으로부터 멀리 놓을 수 있다. 따라서, 촬영자가 비디오카메라(101)를 얼굴에 가까이 한 상태에서 파지하는 경우에도, 촬영자의 눈과 표시면(401) 사이의 거리를 확보할 수 있다. 그래서, 피사체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비디오카메라(101)의 그립부측(촬상장치의 오른쪽)뿐만 아니라 그립부와는 반대측(촬상장치의 왼쪽)으로도 LCD모니터(104)를 회동시킬 수 있는 구성으로 했다. 이에 따라, 촬영자는, 다양한 촬영 자세로 LCD모니터(104)의 표시면(401)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한층 더, 2축 힌지(301)가 고정되는 손잡이부(106)의 돌출부(113)는, 렌즈 후드(110)를 뗀 렌즈부(103)의 선단보다도 멀리 돌출한 위치에 위치된다. 이것에 의해, 2축 힌지(301)의 체결부(305)와 돌출부(113)를 체결하는 나사를 풀었을 때에, 2축 힌지(301)의 아래쪽으로 충분한 스페이스를 확보할 수 있고, 렌즈부(103)는 그 작업을 방해하지 않는다.
본 발명을 예시적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기재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개시된 예시적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을 알 것이다. 아래의 청구항의 범위는, 모든 변형, 동등한 구조 및 기능을 포함하도록 아주 넓게 해석해야 한다.

Claims (6)

  1.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모니터를 구비한 촬상장치로서,
    상기 촬상장치의 오른쪽면에 형성된 그립(grip)부;
    상기 촬상장치 앞측 상부에 형성된 전각(front leg)부;
    상기 촬상장치의 뒤측 상부에 형성된 후각(rear leg)부;
    상기 전각부와 상기 후각부를 연결하는 손잡이 파지부;
    상기 손잡이 파지부보다도 더욱 전방에 형성된 대좌(pedestal)부;
    상기 대좌부의 상 표면에 설치된 복수의 조작 부재;
    상기 상 표면의 이면에 형성되고, 상기 이면에 대향하는 표시면을 갖는 상기 표시 모니터를 수납하는 수납부;
    상기 대좌부보다 더욱 전방에 형성된 돌출부; 및
    한쪽이 상기 표시 모니터에 고정되고, 다른쪽이 상기 돌출부에 고정되는 힌지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표시 모니터를 상기 힌지부재의 제1 회전 축을 중심으로 제1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표시 모니터가 상기 대좌부에 수납된 제 1 상태로부터 상기 그립부와는 반대측에 있는 제 2 상태로 인출되고,
    상기 표시 모니터를 상기 제1 회전 축을 중심으로 상기 제1 방향과는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표시 모니터가 상기 대좌부에 수납된 제 1 상태로부터 상기 그립부 측에 있는 제 3 상태로 인출되는, 촬상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렌즈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힌지부재는 상기 렌즈부의 선단보다도 더욱 전방으로 상기 돌출부에 고정되는, 촬상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재는, 상기 제1 회전 축과 이루는 각도가 90도가 되는 제2 회전 축에 의해 상기 표시 모니터를 회동시키는 것이 가능한 2축 힌지이고, 상기 표시 모니터를 상기 제 1 상태로부터 상기 제 2 상태로 인출하는 경우에, 상기 제2 회전 축을 중심으로 상기 표시 모니터를 회동시킴으로써 상기 표시 모니터의 표시면은 상기 촬상장치의 후방을 향하는 상태를 경유하고, 상기 촬상장치의 아래쪽을 향하는 상태가 되는, 촬상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재는, 상기 제1 회전 축과 직교하는 상기 제2 회전 축에 의해 상기 표시 모니터를 회동시키는 것이 가능한 2축 힌지이며, 상기 표시 모니터의 짧은변 방향의 중심선으로부터 오프셋한 위치에 상기 제2 회전 축이 설정된, 촬상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모니터를 상기 제 1 상태로부터 상기 제 2 상태로 인출하고, 상기 표시면이 상기 촬상장치의 후방을 향하도록 상기 표시 모니터를 상기 제2 회전 축을 중심으로 회동시킨 경우에, 상기 표시 모니터의 짧은변 방향의 중심선이 상기 제2 회전 축보다도 높은 위치에 위치되도록, 상기 표시 모니터의 짧은변 방향의 중심선으로부터 오프셋한 위치에 상기 제2 회전 축이 설정된, 촬상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모니터가 상기 대좌부에 수납된 상태에서, 상기 제1 회전 축이 상기 표시 모니터의 짧은변 방향의 중심선과 직교하도록, 상기 제1 회전 축의 위치를 설정하는, 촬상장치.
KR1020100106450A 2009-10-29 2010-10-29 촬상장치 KR1012710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249092 2009-10-29
JP2009249092A JP5398476B2 (ja) 2009-10-29 2009-10-29 撮像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7156A KR20110047156A (ko) 2011-05-06
KR101271039B1 true KR101271039B1 (ko) 2013-06-04

Family

ID=434863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6450A KR101271039B1 (ko) 2009-10-29 2010-10-29 촬상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390716B2 (ko)
EP (2) EP2326077B1 (ko)
JP (1) JP5398476B2 (ko)
KR (1) KR101271039B1 (ko)
CN (1) CN10205589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98476B2 (ja) 2009-10-29 2014-01-29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
JP5943580B2 (ja) * 2011-10-31 2016-07-05 キヤノン株式会社 表示ユニット、及び表示ユニットを備える撮像装置
CN105431774B (zh) * 2013-03-15 2019-06-04 恩瑞克·劳尼 用于捕捉图像的移动装置的保持器
US9826134B2 (en) * 2015-03-27 2017-11-21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Imaging apparatus having a microphone and directivity control
JP6980576B2 (ja) * 2018-03-19 2021-12-15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
US11274787B2 (en) 2019-05-30 2022-03-15 Alcon Inc. Stopping element for limiting rotational range of a rotating par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58973A (ja) 2000-06-13 2001-12-26 Sony Corp ビデオカメラ
JP2008205589A (ja) * 2007-02-16 2008-09-04 Sony Corp ビューファインダーおよび撮像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58344B2 (ja) * 1990-03-15 1999-02-17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ビデオカメラ装置
JPH0622186A (ja) * 1992-07-06 1994-01-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左右対応ビデオカメラ装置
SE524024C2 (sv) * 2002-03-01 2004-06-15 Flir Systems Ab IR-kamera
JP4151003B2 (ja) 2002-09-13 2008-09-17 日本ビクター株式会社 カメラ一体型記録再生装置
KR100806390B1 (ko) * 2003-08-18 2008-02-27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촬영장치
JP2005101714A (ja) * 2003-09-22 2005-04-14 Fuji Photo Film Co Ltd 撮影装置
JP4380475B2 (ja) * 2003-10-02 2009-12-09 ソニー株式会社 撮像装置
JP2008020646A (ja) * 2006-07-12 2008-01-31 Sony Corp 撮像装置
JP4293256B2 (ja) * 2007-03-27 2009-07-08 ソニー株式会社 撮像装置
JP5398476B2 (ja) 2009-10-29 2014-01-29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58973A (ja) 2000-06-13 2001-12-26 Sony Corp ビデオカメラ
JP2008205589A (ja) * 2007-02-16 2008-09-04 Sony Corp ビューファインダーおよび撮像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7156A (ko) 2011-05-06
CN102055891A (zh) 2011-05-11
US20110102659A1 (en) 2011-05-05
EP2326077A2 (en) 2011-05-25
JP2011097347A (ja) 2011-05-12
JP5398476B2 (ja) 2014-01-29
EP2961154B1 (en) 2019-12-11
EP2326077A3 (en) 2011-12-07
EP2961154A1 (en) 2015-12-30
EP2326077B1 (en) 2015-08-12
US8390716B2 (en) 2013-03-05
CN102055891B (zh) 2013-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1039B1 (ko) 촬상장치
EP2336821B1 (en) Imaging apparatus
WO2005034509A1 (ja) 撮像装置
JP5455561B2 (ja) 撮像装置
JP2015186084A (ja) 撮像装置
JP2009065397A (ja) シューアダプタ及び撮像装置
JP2004166055A (ja) デジタルカメラ機能付き双眼鏡
JP5404327B2 (ja) 撮像装置
JP5483999B2 (ja) 撮像装置
JP5409274B2 (ja) 撮像装置
WO2014155431A1 (ja) カメラユニットに装着可能なアタッチメント、カメラシステム
JP4509234B2 (ja) 電子カメラ
US11910075B2 (en) Imaging apparatus
JP2006319660A (ja) デジタルカメラ
JP2020188336A (ja) 撮像装置、撮影レンズ、およびアクセサリー
KR200326585Y1 (ko) 흡착판이 있는 화상카메라
JP2005175843A (ja) ビデオカメラ
WO2012077251A1 (ja) 撮像装置
JP4766834B2 (ja) カメラ
JP2020086192A (ja) アイカップ
JP2009261015A (ja) ビデオカメラ
JP2012037655A (ja) 撮像装置
JP2009063776A (ja) 撮像装置
JP2017028472A (ja) 撮像装置
JP2020182044A (ja) 撮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