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1016B1 - 미숫가루와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미숫가루와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1016B1
KR101271016B1 KR1020110068309A KR20110068309A KR101271016B1 KR 101271016 B1 KR101271016 B1 KR 101271016B1 KR 1020110068309 A KR1020110068309 A KR 1020110068309A KR 20110068309 A KR20110068309 A KR 20110068309A KR 101271016 B1 KR101271016 B1 KR 1012710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ins
fish
roasted
concentrate
roa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83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7779A (ko
Inventor
김은주
Original Assignee
김은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은주 filed Critical 김은주
Priority to KR10201100683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1016B1/ko
Publication of KR201300077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77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10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101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98Dry unshaped finely divided cereal produc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23L7/117 - A23L7/196 and A23L29/00, e.g. meal, flour, powder, dried cereal creams or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1/00Pulses, i.e. fruits of leguminous plants, for production of food; Products from legum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1/05Mashed or comminuted pulses or legumes; Products made therefro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7/00Food-from-the-sea products; Fish products; Fish meal; Fish-egg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7/20Fish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Botany (AREA)
  • Cereal-Derived Product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잉어와 같은 어류의 영양분과 곡물의 영양분이 함유되어 균형있는 영양식을 제공함과 어류의 영양분이 곡물에 흡수되어 어류의 가시와 같은 거친맛이 제거된 미숫가루와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은 곡물을 세척하는 세척단계, 세척단계에서 세척된 곡물에 어류농축액이 흡수되도록 하는 흡수단계, 흡수단계에서 어류농축액이 흡수된 곡류를 건조하는 건조단계, 건조단계에서 건조된 곡류를 볶는 볶는단계, 볶는단계에서 볶아진 볶은곡류에 별도로 볶아진 볶은콩을 혼합하는 혼합단계, 혼합된 볶은곡류와 볶은콩을 분쇄하여 분말화단계로 미숫가루를 제조하는 것을 특징적 구성으로 한다.

Description

미숫가루와 그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powder of roast grain}
본 발명은 곡물과 어류의 영양분이 포함된 미숫가루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어류의 영양분이 곡물에 흡수되어 어류의 가시와 같은 거친맛이 제거된 미숫가루에 관한 것이다.
현대인은 고혈압, 당뇨병, 대장암 등 각종 성인병에 노출되어 있으며, 이러한 성인병 발생의 주요 원인은 동물성 식품과 여러 가지 가공식품의 과다섭취로 인한 열량과다 및 지방섭취의 증가 등을 들 수 있다.
이에 최근에는 식이요법을 통해 성인병을 예방하면서 건강을 증진하기 위한 것으로서, 미숫가루와 선식 등을 이용하고 있으나 영양의 불균형을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미숫가루, 선식 등은 찹쌀, 맵쌀, 현미, 보리 등과 같은 곡물을 적어도 한 종류 이상 혼합하여 건조와 볶음 공정 후 및 분말로 제조하여 필요시 물과 우유 등에 타서 음용하는 것이나, 곡물에 함유된 영양소의 한계로 인해 이에 의존하여 장기 복용하는 경우 영양의 불균형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어류 등을 포함한 미숫가루, 선식 등의 제품을 생산해내는 방안을 제시할 수 있는데, 이러한 분말 형태의 어류가 포함된 제품은 물에 혼합하여 죽 또는 음료수로 섭취할 때 어류에 포함된 가시 등의 거친 맛에 이유식, 환자식의 대용으로 어려움은 물론 성인의 경우에도 목넘김이 불편하여 섭취의 어려움이 있었다.

[선행 문헌]
공개특허공보 제10-2005-0105633호(2005.11.04.)
본 발명은 잉어와 같은 어류의 영양분과 곡물의 영양분이 함유되어 균형있는 영양식을 제공함과 어류의 영양분이 곡물에 흡수되어 어류의 가시와 같은 거친맛이 제거된 미숫가루와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예는; 어류농축액에 곡물을 넣고 가열하여 상기 곡물에 상기 어류농축액의 영양분을 포함하는 흡수단계와,
흡수단계에서 어류농축액이 흡수된 곡류를 건조하는 건조단계, 건조단계에서 건조된 곡류를 볶는 볶는단계, 볶는 단계에서 볶아진 볶은곡류를 분쇄하여 분말화단계로 미숫가루를 제조하는 것을 특징적 구성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이 실시예는; 어류농축액에 곡물을 넣고 가열하여 상기 곡물에 상기 어류농축액의 영양분을 포함하는 흡수단계와, 흡수단계에서 어류농축액이 흡수된 곡류를 건조하는 건조단계, 건조단계에서 건조된 곡류를 볶는 볶는단계, 볶는단계에서 볶아진 볶은곡류에 별도로 볶아진 볶은콩을 혼합하는 혼합단계, 혼합된 볶은곡류와 볶은콩을 분쇄하여 분말화단계로 미숫가루를 제조하는 것을 특징적 구성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찹쌀, 보리쌀과 같은 곡물에 액체 상태인 어류농축액을 흡수시키어 최종 분말화함으로써, 어류와 곡류의 영양을 담은 미숫가루가 제조됨은 물론 음용시 어류에 포함된 가시와 같은 거친 입자가 제거되어 맛과 영양 및 섭취가 용이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미숫가루는 어류농축액에 곡물을 넣고 가열하여 상기 곡물에 상기 어류농축액의 영양분을 포함하는 흡수단계와, 세척단계에서 세척된 곡물에 어류농축액이 흡수되도록 하는 흡수단계, 흡수단계에서 어류농축액이 흡수된 곡류를 건조하는 건조단계, 건조단계에서 건조된 곡류를 볶는 볶는단계, 볶는단계에서 볶아진 볶은곡류를 분쇄하여 분말화단계로 제조된다.
또한 본 발명의 미숫가루는 곡물 중 콩을 세척과 건조 후에 별도로 볶아서 분말화할 수 있으며, 이는 음용자의 기호에 따라 고유향과 맛을 유지하기 위한 것이다.
즉, 콩을 별도로 볶아 제조하는 미숫가루는 곡물을 세척하는 세척단계, 세척단계에서 세척된 곡물에 어류농축액이 흡수되도록 하는 흡수단계, 흡수단계에서 어류농축액이 흡수된 곡류를 건조하는 건조단계, 건조단계에서 건조된 곡류를 볶는 볶는단계, 볶는단계에서 볶아진 볶은곡류에 별도로 볶아진 볶은콩을 혼합하는 혼합단계, 혼합된 볶은곡류와 볶은콩을 분쇄하여 분말화단계로 구성된다.
상기 미숫가루의 제조단계에서 곡물의 세척은 세척조에 충전된 세척수에 침지하여 세척하거나, 곡물을 자동화공정에 의해 컨베어벨트 등을 이용하여 이송하는 과정에서 고압 세척설비를 이용하여 세척할 수도 있으며, 일반가정에서와 같이 소량의 곡물을 수도물을 이용하여 세척할 수도 있다.
상기 흡수단계는 상기 어류농축액에 상기 곡물을 넣고 가열하여 상기 곡물에 상기 어류농축액을 영양분을 포함하는 단계로서, 세척된 곡물을 어류농축액에 침지할 수도 있고, 세척된 곡물을 어유농축액으로 증숙시킬 수도 있으며, 세척된 곡물을 어류농축액으로 끓일 수도 있다.
상기 침지하는 방법은 어류농축액에 곡물의 양과 불림 정도를 환산하여 그 침지 시간을 정할 수 있으며, 상기 침지방식의 흡수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된 미숫가루는 어류의 영양분을 함유하면서도 곡물의 볶음맛에 익숙해진 음용자의 기호에 맞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증숙하는 방법과 삶는 방법은 곡물을 찜통과 가열솥 및 압력솥에서 어류농축액으로 가열을 하는 방식으로 이는 곡물이 익어지면서 곡물 내에 어류농축액이 침지 방식보다 보다 많이 흡수될 수 있는 것으로서, 이와 같이 제조된 미숫가루는 침지 방식으로 제조된 미숫가루보다 중량단위당 어류농축액의 함량이 많고 부드러워 이유식, 성장기 청소년, 환자보충식 등으로 적합하다 할 것이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어류농축액은 일반적인 방식으로 추출한 모든 어류종의 액을 포함하여도 본 발명의 실시가 가능하나, 담수어종 중 잉어농축액, 메기농축액을 적용함이 바람직한 것으로서, 이는 잉어, 메기의 영양분이 곡물의 영양분을 보완함은 물론 부작용 없이 성인병을 예방 및 치료하면서 적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잉어는 영양성분이 100g당 열량이 99kcal, 단백질 18.9g, 지방 2.1g, 당분1.1g, 칼슘 72mg, 인 195mg, 철 1.8mg, 비타민A 201U, 비타민B 0.4mg 등이 함유된 저지방, 저당분, 고단백질 식품이다.
고대 한방문헌의 "본초강목"에서는 잉어의 영양분이 부종을 내리고, 소변을 이롭게 하며 천식과 기침이 예방 치료되며, 비만과 몸이 붓는 여러 질환에도 효과가 우수하고, 신진대사, 소화장애, 염증, 관절염, 오한발열, 복부냉증, 간장병, 폐렴, 황달, 당뇨, 노이로제 등에 효과가 우수하다고 기록되어 있다.
메기는 영양성분이 100g당 단백질 18.10g, 지방 1.2g, 당질 0.1g, 칼슘 21mg, 인 217mg, 철 2.7mg, 비타민(A, B군, C, E...)등이 함유된 저지방, 저당분, 고단백질 식품이다.
이는 허준의 동의보감에서 "머여기(메기)는 성이 난이고 맛이 달며 독이 없다. 주로 부종에서 물기를 빠지게 하고 소변을 잘 통하게 한다. 못이나 늪이 있는 곳에서는 어디든지 살고있다. 머리는 크고 입은 모가 나며, 등은 까만 청색이고 비늘이 없으며 침을 많이 흘린다. 침은 세가지 소갈증(당뇨병)에 좋다"고 나온다.
또한 민간 식용요법에서 메기는 지방이 적고 단백질은 많아 추운 겨울철 영양 보충 및 다이어트 식품으로 제격이다. 또 각종 비타민과 필수 아미노산 등 영양분이 풍부하게 함유돼 있어 감기 예방뿐만 아니라 피부 미용에 좋다. 시력 보호와 당뇨병 예방에도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아울러 상기 실시예들에서 곡물은 선식의 7가지 주재료인 참쌀, 현미, 보리쌀, 검정콩, 검정깨, 들깨, 율무 등에 모든 잡곡류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된 구성인 것이나, 참쌀, 보리쌀 중 하나 이상이 콩류, 특히 검은콩과 혼합되어 잉어농축액 또는 메기농축액과 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찹쌀의 경우 위를 편안하게 하면서 어류액의 영양 보충이 이루어지고, 보리쌀의 경우 당이 있는 환자식에 적합하며, 콩의 경우 잉어와 메기 등의 담수어의 단백질에 식물성 단백질을 보완함으로써 중량단위당 많은 양의 영양소를 섭취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담수어 중 메기, 잉어 등을 곡물과 같이 섭취하여 이유식, 야간근무자, 수험생, 여행자, 등산, 낚시자, 군인들에게 분말형, 액체형, 고체형 등 당양한 형태로 제공되어 영양을 제공할 수 있으며, 특히 제조단계에서 어류의 거친 맛이 제거되어 장기간의 복용시에도 그 맛과 더불어 거부감 없이 영양을 보충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9)

  1. 어류농축액에 곡물을 넣고 가열하여 상기 곡물에 상기 어류농축액의 영양분을 포함하는 흡수단계와,
    상기 흡수단계에서 어류농축액이 흡수된 곡류를 건조하는 건조단계,
    상기 건조단계에서 건조된 곡류를 볶는 볶는단계, 및
    상기 볶는단계에서 볶아진 볶은곡류를 분쇄하는 분말화단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숫가루 제조방법.
  2. 어류농축액에 곡물을 넣고 가열하여 상기 곡물에 상기 어류농축액의 영양분을 포함하는 흡수단계와,
    상기 흡수단계에서 어류농축액이 흡수된 곡류를 건조하는 건조단계,
    상기 건조단계에서 건조된 곡류를 볶는 볶는단계,
    상기 볶는단계에서 볶아진 볶은곡류에 별도로 볶아진 볶은콩을 혼합하는 혼합단계, 및
    상기 혼합된 볶은곡류와 볶은콩을 분쇄하여 분말화단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숫가루 제조방법.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곡물은 찹쌀, 보리쌀, 콩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숫가루 제조방법.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어류농축액은 잉어농축액, 메기농축액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숫가루 제조방법.
  8. 상기 제 1항에 기재된 미숫가루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숫가루.
  9. 상기 제 2항에 기재된 미숫가루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숫가루.
KR1020110068309A 2011-07-11 2011-07-11 미숫가루와 그 제조방법 KR1012710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8309A KR101271016B1 (ko) 2011-07-11 2011-07-11 미숫가루와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8309A KR101271016B1 (ko) 2011-07-11 2011-07-11 미숫가루와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7779A KR20130007779A (ko) 2013-01-21
KR101271016B1 true KR101271016B1 (ko) 2013-06-04

Family

ID=478380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8309A KR101271016B1 (ko) 2011-07-11 2011-07-11 미숫가루와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101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4239A (ko) 2020-07-28 2022-02-04 (주)더맘 선식 발포정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선식 발포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3500A (ko) * 2002-10-14 2004-04-28 손종업 천연 조미료를 이용한 즉석 죽의 제조방법
KR20090125342A (ko) * 2008-06-02 2009-12-07 최승태 기능성 곡물의 제조방법
KR20100079227A (ko) * 2008-12-29 2010-07-08 오세권 곡분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3500A (ko) * 2002-10-14 2004-04-28 손종업 천연 조미료를 이용한 즉석 죽의 제조방법
KR20090125342A (ko) * 2008-06-02 2009-12-07 최승태 기능성 곡물의 제조방법
KR20100079227A (ko) * 2008-12-29 2010-07-08 오세권 곡분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4239A (ko) 2020-07-28 2022-02-04 (주)더맘 선식 발포정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선식 발포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7779A (ko) 2013-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Okafor et al. Production and Evaluation of Breakfast Cereals from Blends of A frican Yam Bean (S phenostylis stenocarpa), Maize (Z ea mays) and Defatted Coconut (C ocus nucifera)
CN107692172A (zh) 一种肉酱及制备方法和用途
CN103783227B (zh) 青稞复合型袋泡茶
CN105410571A (zh) 一种早餐粉
KR101342517B1 (ko) 건강 기능성 죽 및 상기 죽의 제조방법
CN103932053A (zh) 即食小米粉及其加工方法
CN106173858A (zh) 一种五行谷物营养配方套餐的制备方法及应用
CN109497458A (zh) 一种大鲵营养均衡养生食品及其制备方法
CN102524656A (zh) 一种竹营养配方
KR101271016B1 (ko) 미숫가루와 그 제조방법
CN103907973A (zh) 一种纯天然低温烘焙熟的花生粉及其制作方法
KR102660496B1 (ko) 방풍나물을 첨가한 굴국 식품 제조방법 및 굴국 식품
CN102669567B (zh) 一种复合杂粮及其制作方法
KR101263200B1 (ko) 흑마늘 밥 제조방법 및 흑마늘 밥
CN108497115A (zh) 一种藜麦奶茶及其制备方法
KR20180010432A (ko) 곡물 꿀 칼슘 먹물 해초 생선을 살균배합으로 응고 없는 조성물 및 제조방법
CN105011031A (zh) 一种紫苏叶海参黑豆糕及其制备方法
CN104489618A (zh) 一种辣椒叶酱及其制备方法
CN104041897B (zh) 玫瑰花渣红豆复合保健饮料及其制作方法
KR20090119380A (ko) 밤음료 제조방법
KR20190007687A (ko) 음료용 누룽지 숭늉분말 제조방법
KR101067611B1 (ko) 팥 음료 제조방법
Kakkar et al. Immunity boosting health drink mixes: A patent based review
CN106106646A (zh) 一种番茄冻豆腐小蛋糕
CN105309880A (zh) 一种营养糕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3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