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9600B1 - 차량용 스위치 및 전장모듈 종합 테스터 - Google Patents

차량용 스위치 및 전장모듈 종합 테스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9600B1
KR101269600B1 KR1020110073446A KR20110073446A KR101269600B1 KR 101269600 B1 KR101269600 B1 KR 101269600B1 KR 1020110073446 A KR1020110073446 A KR 1020110073446A KR 20110073446 A KR20110073446 A KR 20110073446A KR 101269600 B1 KR101269600 B1 KR 1012696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switch
module
vehicle
elect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34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12326A (ko
Inventor
김규석
최경택
Original Assignee
최경택
김규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경택, 김규석 filed Critical 최경택
Priority to KR10201100734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9600B1/ko
Publication of KR201300123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23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96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96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27Testing of circuit interrupters, switches or circuit-break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4Housings; Supporting members; Arrangements of terminals
    • G01R1/0408Test fixtures or contact fields; Connectors or connecting adaptors; Test clips; Test sockets
    • G01R1/0416Connectors,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H01R13/645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by exchangeable elements on case or ba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sts Of Electronic Circu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스위치 및 전장모듈 종합 테스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의 전장품마다 연계조립된 각종 스위치 및 전장모듈의 성능시험을 단일 장비만으로도 실시할 수 있도록 한 차량용 스위치 종합 테스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박스형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 수용조립된 상태로, 차량용 스위치 및 전장모듈의 성능시험에 필요한 프로그램 수행 및 그 수행 데이터 취득에 따른 성능시험 결과를 출력하게 된 시스템하드웨어, 및 상기 시스템하드웨어와 스위치 및 전장모듈과의 연결접속을 목적으로 하되, 상기 스위치 및 전장모듈의 각 접속소켓 형태와 연결케이블 유형에 대응하여 어댑터의 교체조립이 가능한 커넥션유니트로 구성되며; 상기 시스템하드웨어는, 주회로기판, 중앙처리장치, 주전원장치와 더불어, 테스트시스템과 상기 스위치 및 전장모듈 상호 간의 커넥션을 목적으로 하는 인터페이스모듈과, 상기 인터페이스모듈과 상기 커넥션유니트 상호 간의 연결접속을 위한 모듈연계기판과, 상기 스위치 및 전장모듈의 성능시험 특성에 따라 보강전력을 추가로 공급할 수 있는 보조전원장치 및 전자부하기가 더 구성되는 한편, 상기 본체의 일 측 단부에는, 상기 커넥션유니트의 분해조립을 위한 마운팅홀이 관통형성된다.

Description

차량용 스위치 및 전장모듈 종합 테스터{THE TESTING EQUIPMENT OF ELECTRONIC COMPONENTS MODULE AND SWITCH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스위치 및 전장모듈 종합 테스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의 전장품마다 연계조립된 각종 스위치 및 전장모듈의 성능시험을 단일 장비만으로도 실시할 수 있도록 한 차량용 스위치 및 전장모듈 종합 테스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自動車, Automobile / 이하 "차량"이라 함)의 인스트루먼트패널(Instrument panel)·도어(Door) 등에는 차량운행 및 편의장치 제어를 위한 각종 전장품(電裝品, Electronic components and equipments / 전기에 관련된 부품)이 장착되기 마련이며, 이들 전장품에는 장치조작에 필요한 각종 스위치(Switch) 및 전장모듈(Electronic components module)이 연계조립되어 있다.
예컨대, 많은 데이터를 전송해야 할 수도 있는 복잡한 파워트레인(Powertrain) 제어모듈에서부터 단순히 ON/OFF 신호를 송출하기 위한 에어백(Air bag) 모듈에 이르기까지 이러한 전장모듈 모두에는 스위치가 반드시 구비되어야 하며 그 종류도 매우 광범위하다.
한편, 상기한 스위치 및 전장모듈은 차량 출시 이전 별도의 테스트장비를 이용하여 성능(접점, 회로쇼트, 전압강하 등)시험을 실시하게 되는데, 이는 차량의 초기 고장률 최소화는 물론 허용오차 증가에 따른 설계오류 및 액세스가 불가능한 노드(Node : 데이터를 전송하는 통로에 접속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단위)가 테스트에 맞게 설계되지 않은 결과로 인한 장애감지를 위한다.
이러한 목적으로, 국내공개특허 제1996-6251호를 통해, 스위치의 전압강화와 전기적 성능을 측정하기 위한 자동차의 스위치 성능 시험장치가 개시된바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스위치 성능 시험장치의 구성관계를 나타낸 블럭도로써,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상기 자동차 스위치 성능 시험장치는, D/C 컨버터(901)에 파워서플라이(902)가 연결되고, 상기 파워서플라이(902)에 전장품의 동작을 제어하는 스위치(903)가 연결되며, 상기 스위치(903)에 전기부하기(904)가 연결됨에 따라, 차량용 스위치의 전압강화 및 전기적 성능을 측정할 수 있게 된다.
하지만, 상기한 파워서플라이(902)에 해당 스위치(903)가 단순 연결되는 구조를 갖는 종래의 스위치 성능 시험장치로써는, 접속소켓 형태와 연결케이블의 유형이 제각각인 스위치 및 전장모듈 모두의 성능을 시험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때문에, 스위치 및 전장모듈 각각의 동작특성에 맞는 여러 종류의 테스트장비를 구비하여야 하지만, 자동차산업(自動車産業, Automobile industry)의 첨단화에 따른 차량 내 전장품의 스위치 및 전장모듈의 다양화로 이들의 성능시험을 위한 테스트장비 역시 다종화(多種化)되는 실정에 맞물려 장비구축을 위한 비용지출의 부담을 가중시키게 되는 문제점을 초래해 왔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다수의 테스트장비 구축에 따른 개별시스템 구조로 인하여, 이들의 설치 및 보관 장소 마련의 문제점은 감내하더라도 해당 스위치의 성능시험을 위한 각각의 테스트장비를 별도 가동해야 하는 등 작업상 능률저하와 더불어 그로 인한 성능시험기간의 장기화로 결국 신차 출시시점이 지연되는 원인으로 작용해 왔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차량용 스위치 및 전장모듈의 성능시험 장비인 테스터를 구축하되, 스위치 및 전장모듈의 접속소켓 형태와 연결케이블 유형에 대응한 교환형 어댑터를 포함하는 커넥션유니트를 본체에 구비결합하여, 접속유형이 제각각인 각종 스위치 및 전장모듈 모두의 성능시험이 가능토록 하는 차량용 스위치 및 전장모듈 종합 테스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박스형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 수용조립된 상태로, 차량용 스위치 및 전장모듈의 성능시험에 필요한 프로그램 수행 및 그 수행 데이터 취득에 따른 성능시험 결과를 출력하게 된 시스템하드웨어; 및, 상기 시스템하드웨어와 스위치 및 전장모듈과의 연결접속을 목적으로 하되, 상기 스위치 및 전장모듈의 각 접속소켓 형태와 연결케이블 유형에 대응하여 어댑터의 교체조립이 가능한 커넥션유니트;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시스템하드웨어는, 주회로기판, 중앙처리장치, 주전원장치와 더불어, 테스트시스템과 상기 스위치 및 전장모듈 상호 간의 커넥션을 목적으로 하는 인터페이스모듈과, 상기 인터페이스모듈과 상기 커넥션유니트 상호 간의 연결접속을 위한 모듈연계기판과, 상기 스위치 및 전장모듈의 성능시험 특성에 따라 보강전력을 추가로 공급할 수 있는 보조전원장치 및 전자부하기가 더 구성되는 한편, 상기 본체의 일 측 단부에는, 상기 커넥션유니트의 분해조립을 위한 마운팅홀이 관통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더하여, 상기 커넥션유니트는, 상기 시스템하드웨어와 상기 스위치 및 전장모듈 상호 간의 커넥션을 목적으로 하는 인터페이스모듈과 연결접속을 이루게 된 고정형 어댑터와, 상기 고정형 어댑터와의 착탈식 조립에 따라, 상기 스위치 및 전장모듈의 접속소켓 형태와 연결케이블 유형에 맞춰 그에 대응하는 다른 어댑터로의 교체가 가능한 교환형 어댑터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형 어댑터는, 상기 본체 내측에 배치된 상태로, 상기 교환형 어댑터와 조립접속되는 다수의 제1인쇄회로기판과, 상기 제1인쇄회로기판을 상기 본체 내에 조립고정하기 위한 단일 제1고정패널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더하여, 상기 교환형 어댑터는, 상기 제1인쇄회로기판과 착탈식 조립을 이룰 수 있도록 된 제2인쇄회로기판과, 상기 제2인쇄회로기판의 일 측에 밀착조립됨으로써, 상기 본체의 일 측 단부에 관통형성된 마운팅홀을 마감하도록 배치되는 제2고정패널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고정패널과 상기 제1인쇄회로기판은, 조립나사를 포함하는 별도의 단붙이포스트에 의해 일체형으로 조립되되, 상기 제1인쇄회로기판의 각 모서리 부위마다 통공이 형성됨에 따라 상기 단붙이포스트의 관통체결이 가능한 한편, 상기 제1인쇄회로기판이 다 방향으로 미세유동을 이룰 수 있게 상기 단붙이포스트의 직경에 비해 확장된 내경크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하여, 상기 제2고정패널의 외면 양측 가장자리에는, 상기 교환형 어댑터의 분해조립을 용이케 하기 위한 착탈손잡이가 구비결합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의 설명에서 분명히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차량용 스위치 및 전장모듈 종합 검사장치는, 성능시험을 위한 각종 스위치 및 전장모듈을 커넥션유니트를 이용하여 테스트시스템에 간단히 연결접속시킬 수 있음으로 인한 장비의 호환성 및 사용성 증대의 효과를 가져다준다.
또한, 단일 장비 구축에 따른 기존 설치 및 보관 장소 마련에 대한 문제점 해소는 물론 성능시험의 그 특성에 따라 각각의 테스트장비를 별도로 가동해야만 했던 개별시스템의 통합을 통한 작업능률의 극대화 효과를 나타낸다.
이와 함께, 상술한 바와 같은 장비의 단일화를 통해, 장비구축에 소요되는 비용을 획기적으로 절감함과 아울러 유지보수성을 향상시켜 동종업계의 투자가치 상승 및 생산성 향상에 크게 기여할 수 있는 아주 유용한 발명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스위치 성능 시험장치의 구성관계를 나타낸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스위치 및 전장모듈 종합 테스터의 내부구성을 나타낸 정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스위치 및 전장모듈 종합 테스터에 있어서, 인터페이스모듈과 커넥션유니트의 연계구조를 나타낸 요부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스위치 및 전장모듈 종합 테스터에 있어서, 제1인쇄회로기판 및 제1고정패널의 배치관계를 나타낸 요부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스위치 및 전장모듈 종합 테스터에 있어서, 제2고정패널의 전면부 구조를 나타낸 요부확대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중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스위치 및 전장모듈 종합 테스터의 내부구성을 나타낸 정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스위치 및 전장모듈 종합 테스터에 있어서 인터페이스모듈과 커넥션유니트의 연계구조를 나타낸 요부확대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스위치 및 전장모듈 종합 테스터에 있어서 제1인쇄회로기판 및 제1고정패널의 배치관계를 나타낸 요부확대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스위치 및 전장모듈 종합 테스터에 있어서 제2고정패널의 전면부 구조를 나타낸 요부확대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스위치 및 전장모듈 종합 테스터(A)는, 단일 테스트장비 구축을 위한 박스형 본체(1)와, 상기 본체(1) 내부에 수용조립된 상태로 차량용 스위치 및 전장모듈의 성능시험에 필요한 프로그램 수행 및 그 수행 데이터 취득에 따른 성능시험 결과를 출력하게 된 시스템하드웨어(2)와, 상기 시스템하드웨어(2)와 스위치 및 전장모듈과의 연결접속을 목적으로 하되 상기한 스위치 및 전장모듈의 각 접속소켓 형태와 연결케이블 유형에 대응하여 어댑터의 교체조립이 가능한 커넥션유니트(3)로 구성된다.
본체(1)에는, 상기 시스템하드웨어(2)의 내재수용 및 조립장착을 위한 내부공간이 마련되는 한편, 상단 일 부위에는 상기 커넥션유니트(3)의 분해조립을 위한 마운팅홀(11)이 관통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시스템하드웨어(2)는, 상기한 스위치 및 전장모듈의 접점, 회로 쇼트, 전압 강하 등과 같은 각종 성능시험에 필요한 프로그램 수행 및 그 수행결과에 따른 성능시험 데이터 출력을 위한 테스트시스템인 것으로, 시스템 실행환경 설정 및 정보 유지와 더불어 데이터 교환을 위한 주회로기판(Motherboard, 21)과, 프로그램 명령어의 해석과 자료의 연산 및 비교 등의 처리를 제어하게 된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22)와, 시스템에 안정적인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주전원장치(Power supply, 23)와, 시스템과 상기한 스위치 및 전장모듈 상호 간의 커넥션(Connection)을 목적으로 하는 인터페이스모듈(Interface module, 24)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더하여, 상기 인터페이스모듈(24)과 상기 커넥션유니트(3) 상호 간의 연결접속을 위한 모듈연계기판(25)과, 성능시험 특성에 따라 상기한 스위치 및 전장모듈로 보강전력을 추가로 공급할 수 있는 보조전원장치(26) 및 전자부하기(27)를 더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모듈연계기판(25)의 일 측 단부에는, 상기한 커넥션유니트(3)와의 연결접속을 위한 하나 이상 다수의 제1케이블커넥터(251)가 구비되는 한편, 상기 제1케이블커넥터(251)에는 신호케이블(c) 일 측의 배선커넥터(c-1)가 결속됨이 바람직하다.
커넥션유니트(3)는, 각종 스위치 및 전장모듈을 상기 시스템하드웨어(2)에 간단히 접속시키기 위한 장착수단인 것으로,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마운팅홀(11)에 근접한 상기 본체(1) 내측에 조립고정되되 상기한 신호케이블(c)에 의해 상기 인터페이스모듈(24)과 연결접속을 이루게 된 고정형 어댑터(31)와, 상기 고정형 어댑터(31)와의 착탈식 조립에 따라 상기한 스위치 및 전장모듈의 접속소켓 형태와 연결케이블 유형에 맞춰 그에 대응하는 다른 어댑터로의 교체가 가능한 교환형 어댑터(32)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형 어댑터(31)는, 상기 본체(1) 내측으로 배치된 상태로 상기한 교환형 어댑터(32)와 조립접속되는 다수개의 제1인쇄회로기판(311)과, 상기 제1인쇄회로기판(311)을 상기한 본체(1) 내에 조립고정하기 위한 단일 제1고정패널(312)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1인쇄회로기판(311)에는, 상기한 교환형 어댑터(32)와의 연결접속을 위한 하나 이상 다수의 제1접속커넥터(311-1)가 일 측에 구비결합되고, 상기 신호케이블(c)의 다른 일 측 배선커넥터(c-1) 연결을 위한 하나 이상 다수의 제2케이블커넥터(311-2)가 대향 타 측에 구비결합된다.
한편, 상기한 제1인쇄회로기판(311)과 상기 제1고정패널(312)은, 조립나사를 포함하는 별도의 단붙이포스트(312-1)에 의해 일체형으로 조립되는바, 상기 제1인쇄회로기판(311)의 각 모서리 부위마다 통공(311a)이 형성됨으로써, 상기한 단붙이포스트(312-1)의 관통삽입이 가능한 한편, 상기 제1고정패널(312)이 상,하,좌,우로 미세유동을 이룰 수 있도록 상기한 단붙이포스트(312-1)의 직경에 비해 확장된 내경 크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인쇄회로기판(311)의 중앙부에 병렬로 배치되는 제1접속케이블(311-1)과 차후 후술될 제2인쇄회로기판의 제2접속커넥터(321-1)가 상호 간 유기적인 끼움 조립(접속)을 이룰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교환형 어댑터(32)는, 상기 제1인쇄회로기판(311)과 착탈식 조립을 이룰 수 있도록 된 제2인쇄회로기판(321)과, 상기 제2인쇄회로기판(321)의 일 측에 밀착조립됨으로써 상기 본체(1)의 마운팅홀(11)을 마감하도록 배치되는 제2고정패널(322)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제2인쇄회로기판(321)에는, 상기 제1접속커넥터(311-1)에 끼움 접속되는 하나 이상 다수의 제2접속커넥터(321-1)가 일 측에 구비되고, 상기한 스위치 및 전장모듈의 접속소켓(s)을 연결접속시킬 수 있는 외부연결커넥터(321-2)가 상기 본체(1) 외부를 향하도록 대향 타 측에 구비되어 있다.
더하여, 상기 제2고정패널(322)의 외면 양측 가장자리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교환형 어댑터(32)의 분해조립을 용이케 하기 위한 착탈손잡이(322-1)가 각각 구비결합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되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스위치 및 전장모듈 종합 테스터(A)의 작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3a를 참조하여, 해당 성능시험을 위한 스위치 또는 전장모듈의 접속소켓(s)을 상기 커넥션유니트(3)의 교환형 어댑터(32)에 구비된 상기 외부연결커넥터(321-2)에 결속(접속)시킨다.
이렇게, 본 발명의 테스터(A)에 스위치 또는 전장모듈의 연결접속을 완료하게 되면, 상기 시스템하드웨어(2)에 전력을 공급하여 테스트시스템 구동으로 인한 설정 프로그램 수행에 따라 상기한 스위치 또는 전장모듈로 신호(디지털 신호, 아날로그 신호, 펄스 등)를 전달하거나 계측(計測, Instrumentation)하게 된다.
이로써, 상기 스위치 및 전장모듈로의 신호 입·출력으로 인한 성능시험의 결과치를 상기의 시스템하드웨어(2)가 데이터로써 취득하게 되는 것이며, 그 데이터를 작업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모니터 등과 같은 주변기기를 통해 표출하거나 프린터로 출력하는 것으로 해당 스위치 및 전장모듈의 성능시험이 완료되는 것이다.
여기서, 접속소켓 형태와 연결케이블 유형이 제각각인 각종 스위치 및 전장모듈을 상기 시스템하드웨어(2)에 연결접속하기 위하여는, 상기한 커넥션유니트(3)의 교환형 어댑터(32)를 교체적용함을 통해 가능하다.
이를 위해,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고정패널(322)의 착탈손잡이(322-1)를 작업자가 직접 손으로 부여잡은 다음 본체(1) 외측으로 잡아당겨 상기한 교환형 어댑터(32)를 고정형 어댑터(31)로부터 분리시키고, 해당 성능시험을 위한 스위치 및 전장모듈의 접속소켓과 연결케이블 규격에 맞는 다른 교환형 어댑터(32)를 조립 적용하는 것을 통해 상기한 시스템하드웨어(2)와 스위치 및 전장모듈 상호 간을 연결접속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여러 종류의 스위치 및 전장모듈의 성능시험을 용이하고도 신속히 실시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주와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A : 테스터, 1 : 본체
2 : 시스템하드웨어, 3 : 커넥션유니트
11 : 마운팅홀, 21 : 주회로기판
22 : 중앙처리장치, 23 : 주전원장치
24 : 인터페이스모듈, 25 : 모듈연계기판
26 : 보조전원장치, 27 : 전자부하기
31 : 고정형 어댑터, 32 : 교환형 어댑터
251 : 제1케이블커넥터, 311 : 제1인쇄회로기판
311a : 통공, 311-1 : 제1접속커넥터
311-2 : 제2케이블커넥터, 312 : 제1고정패널
312-1 : 단붙이포스트, 321 : 제2인쇄회로기판
321-1 : 제2접속커넥터, 321-2 : 외부연결커넥터
322 : 제2고정패널, 322-1 : 착탈손잡이

Claims (7)

  1. 박스형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 수용조립된 상태로, 차량용 스위치 및 전장모듈의 성능시험에 필요한 프로그램 수행 및 그 수행 데이터 취득에 따른 성능시험 결과를 출력하게 된 시스템하드웨어 및 상기 시스템하드웨어와 스위치 및 전장모듈과의 연결접속을 목적으로 하되, 상기 스위치 및 전장모듈의 각 접속소켓 형태와 연결케이블 유형에 대응하여 어댑터의 교체조립이 가능한 커넥션유니트로 구성된 차량용 스위치 및 전장모듈 종합 테스터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하드웨어는, 주회로기판, 중앙처리장치, 주전원장치와 더불어,
    테스트시스템과 상기 스위치 및 전장모듈 상호 간의 커넥션을 목적으로 하는 인터페이스모듈과, 상기 인터페이스모듈과 상기 커넥션유니트 상호 간의 연결접속을 위한 모듈연계기판과, 상기 스위치 및 전장모듈의 성능시험 특성에 따라 보강전력을 추가로 공급할 수 있는 보조전원장치 및 전자부하기가 더 구성되는 한편,
    상기 본체의 일 측 단부에는, 상기 커넥션유니트의 분해조립을 위한 마운팅홀이 관통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위치 및 전장모듈 종합 테스터.
  2. 삭제
  3. 박스형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 수용조립된 상태로, 차량용 스위치 및 전장모듈의 성능시험에 필요한 프로그램 수행 및 그 수행 데이터 취득에 따른 성능시험 결과를 출력하게 된 시스템하드웨어 및 상기 시스템하드웨어와 스위치 및 전장모듈과의 연결접속을 목적으로 하되, 상기 스위치 및 전장모듈의 각 접속소켓 형태와 연결케이블 유형에 대응하여 어댑터의 교체조립이 가능한 커넥션유니트로 구성된 차량용 스위치 및 전장모듈 종합 테스터에 있어서;
    상기 커넥션유니트는, 상기 시스템하드웨어와 상기 스위치 및 전장모듈 상호 간의 커넥션을 목적으로 하는 인터페이스모듈과 연결접속을 이루게 된 고정형 어댑터와,
    상기 고정형 어댑터와의 착탈식 조립에 따라, 상기 스위치 및 전장모듈의 접속소켓 형태와 연결케이블 유형에 맞춰 그에 대응하는 다른 어댑터로의 교체가 가능한 교환형 어댑터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위치 및 전장모듈 종합 테스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형 어댑터는, 상기 본체 내측에 배치된 상태로, 상기 교환형 어댑터와 조립접속되는 다수의 제1인쇄회로기판과,
    상기 제1인쇄회로기판을 상기 본체 내에 조립고정하기 위한 단일 제1고정패널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위치 및 전장모듈 종합 테스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교환형 어댑터는, 상기 제1인쇄회로기판과 착탈식 조립을 이룰 수 있도록 된 제2인쇄회로기판과,
    상기 제2인쇄회로기판의 일 측에 밀착조립됨으로써, 상기 본체의 일 측 단부에 관통형성된 마운팅홀을 마감하도록 배치되는 제2고정패널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위치 및 전장모듈 종합 테스터.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패널과 상기 제1인쇄회로기판은, 조립나사를 포함하는 별도의 단붙이포스트에 의해 일체형으로 조립되되,
    상기 제1인쇄회로기판의 각 모서리 부위마다 통공이 형성됨에 따라 상기 단붙이포스트의 관통체결이 가능한 한편, 상기 제1인쇄회로기판이 다 방향으로 미세유동을 이룰 수 있게 상기 단붙이포스트의 직경에 비해 확장된 내경크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위치 및 전장모듈 종합 테스터.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고정패널의 외면 양측 가장자리에는, 상기 교환형 어댑터의 분해조립을 용이케 하기 위한 착탈손잡이가 구비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위치 및 전장모듈 종합 테스터.
KR1020110073446A 2011-07-25 2011-07-25 차량용 스위치 및 전장모듈 종합 테스터 KR1012696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3446A KR101269600B1 (ko) 2011-07-25 2011-07-25 차량용 스위치 및 전장모듈 종합 테스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3446A KR101269600B1 (ko) 2011-07-25 2011-07-25 차량용 스위치 및 전장모듈 종합 테스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2326A KR20130012326A (ko) 2013-02-04
KR101269600B1 true KR101269600B1 (ko) 2013-06-05

Family

ID=478930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3446A KR101269600B1 (ko) 2011-07-25 2011-07-25 차량용 스위치 및 전장모듈 종합 테스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960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8962A (ko) 2015-06-17 2016-12-27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자동차 전장부품 검사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36601A (ja) * 1994-11-09 1996-05-31 Fujitsu Ltd バックボード用布線試験治具
KR20000025130A (ko) * 1998-10-08 2000-05-06 홍종만 차량의 전장품 고장경보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02010305A (ja) * 2000-06-22 2002-01-11 Nec Corp 回線インタフェースカードテスター
KR20070086566A (ko) * 2004-11-30 2007-08-27 주식회사 아도반테스토 시험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36601A (ja) * 1994-11-09 1996-05-31 Fujitsu Ltd バックボード用布線試験治具
KR20000025130A (ko) * 1998-10-08 2000-05-06 홍종만 차량의 전장품 고장경보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02010305A (ja) * 2000-06-22 2002-01-11 Nec Corp 回線インタフェースカードテスター
KR20070086566A (ko) * 2004-11-30 2007-08-27 주식회사 아도반테스토 시험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8962A (ko) 2015-06-17 2016-12-27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자동차 전장부품 검사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2326A (ko) 2013-0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30106454A1 (en) Printed circuit board testing device
CN110268277A (zh) 用于印刷电路板的功能性测试器,以及相关的系统和方法
CN202404164U (zh) 一种供电系统处理机仿真系统
JP2010085403A (ja) 自動試験装置セルフ試験
US20040066207A1 (en) Flexible DUT interface assembly
WO2013141416A1 (ko) 차량용 케이블의 검사장치
CN206584345U (zh) 一种用于嵌入式计算机板卡可靠性试验的通用测试平台
KR101269600B1 (ko) 차량용 스위치 및 전장모듈 종합 테스터
KR100411138B1 (ko) 전기 차량용 배터리 시스템의 자가 진단장치
JP2008039452A (ja) 検査装置
EP3062115A1 (en) Interchangeable test panels for use in automated test equipment
JP2003515241A (ja) プラグコネクタを有するケーブルを試験するための装置
CN211043647U (zh) 一种便携式测试装备检验验收系统
KR100583620B1 (ko) Pxi 기반의 믹스드 신호용 반도체 소자의 테스트 장치
CN113848864A (zh) 车载域控制器模块的自动化测试设备
JP2010111295A (ja) 車載用通信線の異常診断装置
CN213715335U (zh) 一种电子元件自动化测试系统
JP2001197601A (ja) 鉄道車輌制御用継電器盤
CN109031019A (zh) 一种可组合型电气线路检测车
CN214311430U (zh) 一种多通道tcu耐久试验台
CN112465157B (zh) 一种具有良好可维修性的分层配电系统
CN203012500U (zh) 一种控制器测试系统
KR20100038971A (ko) 자동차 시험용 계측기의 설치장치
CN214446126U (zh) 一种整车网络适配工作台
JPH10267980A (ja) 多配線の布線検査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