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48962A - 자동차 전장부품 검사기 - Google Patents

자동차 전장부품 검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48962A
KR20160148962A KR1020150085813A KR20150085813A KR20160148962A KR 20160148962 A KR20160148962 A KR 20160148962A KR 1020150085813 A KR1020150085813 A KR 1020150085813A KR 20150085813 A KR20150085813 A KR 20150085813A KR 20160148962 A KR20160148962 A KR 201601489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pection
cover
unit
jig
electric compon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58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준희
김진영
Original Assignee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0858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48962A/ko
Publication of KR201601489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896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005Testing of electric installations on transport means
    • G01R31/006Testing of electric installations on transport means on road vehicles, e.g. automobiles or trucks
    • G01R31/024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9/00Electric signal transmission systems
    • G08C19/02Electric signal transmission systems in which the signal transmitted is magnitude of current or voltag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nd Detecting Electric Faults (AREA)

Abstract

자동차 전장부품 검사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자동차 전장부품 검사기는, 자동차의 전장부품을 검사하고, 전원버튼, 동작버튼, 리셋버튼 및 표시등이 형성된 몸체; 몸체의 내부에 구비되고, 전장부품에 펌웨어를 설치하고 전장부품의 쇼트검사 및 전류검사를 수행하는 제어부; 몸체의 상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전장부품과 제어부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전장부품의 포트와 연결되는 복수의 연결핀이 구비된 지그; 및 지그의 위쪽에서 상승하거나 하강하고, 하강시 지그 위에 안착된 전장부품의 유동을 방지하는 커버를 포함하고, 동작버튼을 누르면 커버가 하강하고, 연결핀이 포트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어부가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차 전장부품 검사기{TESTER FOR ELECTRONIC COMPONENTS AND EQUIPMENTS OF AUTOMOBILE}
본 발명은 자동차 전장부품 검사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대량 생산되는 전장부품의 쇼트검사 및 전류검사를 신속하게 수행하면서도 검사가 정확하고 용이하게 수행되고, 전장부품의 검사시 펌웨어의 업로드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자동차 전장부품 검사기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기능은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비약적인 향상이 이루어져 왔다. 초기에는 기계적인 장치 위주로 자동차가 개발되어 왔으나, 오늘날의 자동차는 다양한 전자, 전기, 통신 장치의 복합체로 이루어져 있다.
다양한 편의기능, 안전기능들이 추가될수록 자동차를 제어하는 제어장치, 통신장치, 인디케이터 장치들의 종류와 수량이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고 있다. 이러한 장치를 전장품(Electronic components and equipments)이라 한다. 이러한 전장부품에는 각종 스위치 및 모듈이 연계 조립되어 생산된다.
자동차용 전장부품의 수량은 폭발적으로 늘어나고 있으며, 사람의 생명과 안전에 관련된 장치들도 점차 늘어가고 있는 실정이다. 예를 들어 파워 트레인, 에어백, 각종 인디케이터 모듈에 이르기까지 전장부품의 종류는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고 있다.
자동차 완성차 업체는 이러한 다수의 전장부품을 부품 제조사로부터 납품을 받아 조립하여 하나의 완성된 차량으로 생산하고 있다. 따라서 완성차 업체에서는 부품 제조사에게 전장부품의 전수 검사(회로 쇼트, 소비전류, 전압강하, 통신기능, 휘도체크 등)를 반드시 하도록 요구하고 있다. 이러한 전수검사는 제품 생산시 발생하는 불량을 검사함으로써 생산성의 향상 및 신뢰성을 향상하고자 하는 노력이라 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269600호에는 차량용 스위치 및 전장모듈 종합 테스터가 게시되어 있으며, 등록특허공보 제1269600호는 박스형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 수용조립된 상태로, 차량용 스위치 및 전장모듈의 성능시험에 필요한 프로그램 수행 및 그 수행 데이터 취득에 따른 성능시험 결과를 출력하게 된 시스템하드웨어, 및 상기 시스템하드웨어와 스위치 및 전장모듈과의 연결접속을 목적으로 하되, 상기 스위치 및 전장모듈의 각 접속소켓 형태와 연결케이블 유형에 대응하여 어댑터의 교체조립이 가능한 커넥션유니트로 구성되며; 상기 시스템하드웨어는, 주회로기판, 중앙처리장치, 주전원장치와 더불어, 테스트시스템과 상기 스위치 및 전장모듈 상호 간의 커넥션을 목적으로 하는 인터페이스모듈과, 상기 인터페이스모듈과 상기 커넥션유니트 상호 간의 연결접속을 위한 모듈연계기판과, 상기 스위치 및 전장모듈의 성능시험 특성에 따라 보강전력을 추가로 공급할 수 있는 보조전원장치 및 전자부하기가 더 구성되는 한편, 상기 본체의 일 측 단부에는, 상기 커넥션유니트의 분해조립을 위한 마운팅홀이 관통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등록특허공보 제1269600호는 전장모듈의 성능시험 장비를 구축하되 스위치 및 모듈의 접속소켓 형태와 케이블 유형에 대응한 교환형 어댑터를 포함하는 커넥션 유니트를 본체에 구비하여 하나의 본체로 유니트만 교체하여 성능시험이 가능한 전장모듈 종합테스터를 제공하며, 위와 같은 기술은 다품종 소량 생산 제품에 대한 테스트를 유니트 교체 방식으로 진행하는 경우 장점을 갖는다.
등록특허공보 제1269600호는 모듈이 변경될경우를 대비하여 다양한 종류의 교환형 어댑터를 구비한 커넥션 유니트를 장착하고 있는 것이 가장 큰 특징이다. 물론 다품종 소량 제품의 테스트시 유니트만 교체하여 다품종의 제품을 하나의 시험기 본체를 사용하여 측정하는 것은 장점이지만, 실제 산업생산 현장에서는 하나의 제품이라도 대량으로 생산되며, 생산 즉시 검사하여 양품과 불량품을 판정하는 것이 일반적이고 보편화 되어있어 실제 생산라인에는 적용되지 않고 있다.
또한, 종래의 기술은 펌웨어가 탑재된 생산품만을 검사하기 때문에 테스트 공정 전에 펌웨어 탑재 공정이 선행되어야 하며, 펌웨어 탑재 공정과 테스트 공정은 조립이 완료된 전장부품의 전자회로에 관련된 공정이라는 공통점을 가짐에도 불구하고 각각 수행되어 생산완료시점을 지연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한편, 실제 전장부품들의 검사라인에서 가장 큰 부분중의 하나는 바로 제품을 시험기에 장착하고 빼는 공정이라 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자동차 전장부품의 경우 복잡한 형태를 갖고 있는 경우들이 대부분 이므로 작업자들이 검사기에 전장부품을 수동으로 체결하여 검사를 수행하고 완료되면 수동으로 제거하는 과정이 번거로운 단점이 있었다.
(000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269600호 (등록일: 2013.05.24)
본 발명의 목적은, 대량 생산되는 전장부품의 쇼트검사 및 전류검사를 신속하게 수행하면서도 검사가 정확하고 용이하게 수행되고, 전장부품의 검사시 펌웨어의 업로드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으며, 전장부품의 형태가 복잡하더라도 장착 및 분리과정이 용이하도록 이루어지는 자동차 전장부품 검사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자동차의 전장부품을 검사하고, 전원버튼, 동작버튼, 리셋버튼 및 표시등이 형성된 몸체; 상기 몸체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전장부품에 펌웨어를 설치하고 상기 전장부품의 쇼트검사 및 전류검사를 수행하는 제어부; 상기 몸체의 상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전장부품과 상기 제어부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전장부품의 포트와 연결되는 복수의 연결핀이 구비된 지그; 및 상기 지그의 위쪽에서 상승하거나 하강하고, 하강시 상기 지그 위에 안착된 상기 전장부품의 유동을 방지하는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동작버튼을 누르면 상기 커버가 하강하면서 상기 전장부품을 가압하여 상기 연결핀이 상기 포트에 완전히 삽입된 후 상기 펌웨어 설치, 상기 쇼트검사 및 상기 전류검사가 연속적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전장부품 검사기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커버는 제1 액추에이터에 의해 상승하거나 하강하고, 상기 몸체의 상면에는, 상기 제1 액추에이터가 상기 커버의 위쪽에 설치되도록 상기 커버의 위쪽으로 연장되는 브래킷이 결합되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펌웨어를 저장하고 DAQ(Data acquisition)를 수행하는 제1 회로부; 상기 제1 액추에이터를 작동시키는 제2 회로부; 및 상기 제1 회로부, 상기 제2 회로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메인회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지그는, 상기 전장부품이 상면에 안착되고, 세로방향의 관통홀이 형성된 안착부; 상기 연결핀이 상방으로 돌출되고, 상기 관통홀 상에서 세로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이동부; 상기 이동부를 상방으로 가압하는 스프링; 상기 이동부의 높이를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이동부를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키고, 상기 제2 회로부에 의해 작동하는 제2 액추에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회로부는, 상기 커버의 하강 후 상기 감지부에 의해 상기 이동부가 설정높이 이상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2 액추에이터를 작동시켜 상기 이동부를 상승시키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몸체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쇼트검사 및 전류검사의 데이터를 외부입출력장치로 전송하기 위해 상기 외부입출력장치와 통신선으로 연결되는 인터페이스 모듈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동작버튼을 누르면 커버가 하강하면서 전장부품을 가압하여 연결핀이 포트에 완전히 삽입된 후 펌웨어 설치, 쇼트검사 및 전류검사가 연속적으로 수행됨에 따라, 대량 생산되는 전장부품의 쇼트검사 및 전류검사를 신속하게 수행하면서도 검사가 정확하고 용이하게 수행되고, 전장부품의 검사시 펌웨어의 업로드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으며, 전장부품의 형태가 복잡하더라도 장착 및 분리과정이 용이하도록 이루어지는 자동차 전장부품 검사기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메인회로부는 커버의 하강 후 감지부의 신호에 의해 이동부가 설정높이 이상으로 판단되면 제2 액추에이터를 작동시켜 이동부를 상승시키도록 이루어짐에 따라, 전장부품의 포트에 연결되는 연결핀의 파손이 방지되도록 이루어지는 자동차 전장부품 검사기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전장부품 검사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자동차 전장부품 검사기의 사용상태도.
도 3은 도 1의 자동차 전장부품 검사기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전장부품 검사기의 부분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자동차 전장부품 검사기는, 대량 생산되는 전장부품의 쇼트검사 및 전류검사를 신속하게 수행하면서도 검사가 정확하고 용이하게 수행되고, 전장부품의 검사시 펌웨어의 업로드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으며, 전장부품의 형태가 복잡하더라도 장착 및 분리과정이 용이하도록 이루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전장부품 검사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자동차 전장부품 검사기의 사용상태도, 도 3은 도 1의 자동차 전장부품 검사기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전장부품 검사기의 부분단면도.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전장부품 검사기(1)는, 대량 생산되는 전장부품(EA)의 쇼트검사 및 전류검사를 신속하게 수행하면서도 검사가 정확하고 용이하게 수행되고, 전장부품(EA)의 검사시 펌웨어의 업로드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며, 몸체(10), 제어부(20), 지그(30) 및 커버(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0)는 제어부(20), 지그(30) 및 커버(40)가 내외부에 설치되는 골격을 형성하는 구성으로서, 대략 육면체의 박스 형태로 형성된다.
몸체(10)의 상면에는 브래킷(11)이 결합된다. 브래킷(11)은 후술할 제1 액추에이터(A1)가 설치되는 구성으로서, 'ㄱ'자 형태로 형성되어 일단부는 몸체(10)의 상면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지그(30)의 위쪽에 배치되어 커버(40)를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키는 제1 액추에이터(A1)가 설치된다.
몸체(10)의 전면에는 자동차 전장부품 검사기(1)의 작동을 온오프하는 전원버튼(B1), 동작버튼(B2) 및 리셋버튼(B3), 그리고 검사결과를 표시하는 및 표시등(L)이 형성된다. 표시등(L)은 연결핀의 개수에 대응하여 복수로 형성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몸체(10)의 측면에는 외부전원이 연결되는 전원포트 및 후술할 인터페이스 모듈(50)과 컴퓨터 간 통신선을 연결하는 통신포트(RS-232)가 형성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20)는 자동차 전장부품 검사기(1)의 작동을 제어하는 구성으로서, 신호와 전기적 에너지 처리 기능을 갖는 하드웨어로 이루어진다. 제어부(20)는 몸체(10)의 내부에 설치되며, 제1 회로부(21), 제2 회로부(22) 및 메인회로부(2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 회로부(21)는 펌웨어를 저장하고 DAQ(Data acquisition)를 수행하는 구성으로서, 펌웨어 다운로드 회로 및 DAQ 회로를 기반으로 한다.
제1 회로부(21)는 유무선으로 연결된 컴퓨터를 통해 전장부품(EA)의 펌웨어를 다운받아 저장하며 검사 개시전에 연결핀(PI)에 접속된 전장부품(EA)에 펌웨어를 설치한다.
또한, DAQ 회로는 쇼트검사 및 전류검사시 메인회로부(23)의 제어를 따라 전장부품(EA)의 검사시그널을 송신하고 검사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하게 된다.
제1 회로부(21)의 DAQ 회로는 컴퓨터와 외부 신호 사이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한다. DAQ 하드웨어는 쇼트검사 및 전류검사시 반입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화하여 연결된 컴퓨터가 그 신호를 해독하도록 하는 디바이스 역할을 한다.
신호 측정에 사용되는 DAQ 디바이스는 신호 컨디셔닝 회로,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ADC), 컴퓨터 버스 등으로 구성된다. DAQ는 검사기 제조 분야에서 널리 공지된 기술로서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2 회로부(22)는 제1 액추에이터(A1)를 작동시키는 구성으로서, 메인회로부(23)에 의해 제어된다.
제1 액추에이터(A1)는 커버(40)를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키기 위한 구성으로서, 바람직하게는 공압작동기(pneumatic actuator)로 이루어진다. 공압작동기의 실린더는 브래킷(11)의 타단부에 결합되고, 피스톤의 단부에는 커버(40)가 결합된다. 피스톤은 제2 회로부(22)의 신호에 의해 커버(40)를 하강 및 상승시키게 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액추에이터(A1)가 공압작동기로 이루어지는 경우 몸체(10)에는 공압작동기의 공압을 표시하는 압력계(PG)가 설치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회로부(23)는 제1 회로부(21) 및 제2 회로부(22)의 동작을 제어하는 구성으로서, MCU(Micro Controller Unit)로 이루어진다.
MCU는 전장부품(EA)의 검사시 제1 회로부(21) 및 제2 회로부(22)의 단계별 프로세스를 제어하게 된다. 제1 회로부(21) 및 제2 회로부(22)의 단계별 프로세스에 의한 검사절차는 후술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그(30)는 전장부품(EA)이 안착되는 구성으로서, 안착부(31) 및 결합프레임(3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안착부(31)는 전장부품(EA)이 상면에 안착되는 구성으로서, 복수의 전장부품(EA)에 대한 펌웨어 설치 및 검사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복수의 연결핀(PI)이 구비된다. 연결핀(PI)은 검사되는 전장부품(EA)의 포트(PT)와 대응되는 종류로 구비된다.
결합프레임(35)은 안착부(31)를 몸체(10)의 상면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액자틀 형태로 형성되어 안착부(31)의 가장자리를 몸체(10)의 상면에 고정하게 된다. 결합프레임(35)에는 모서리마다 홀이 형성되며, 볼트에 의해 몸체(10)의 상면에 체결됨으로써 안착부(31)를 고정하게 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40)는 검사시 지그(30) 위에 안착된 전장부품(EA)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제1 액추에이터(A1)에 의해 지그(30)의 위쪽에서 상승하거나 하강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커버(40)는 투명한 아크릴판으로 형성되며, 이에 따라 검사를 수행하는 작업자는 검사가 수행되는 동안 전장부품(EA)의 상태를 관찰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자동차 전장부품 검사기(1)에 의한 전장부품(EA)의 검사는 아래와 같은 순서에 의해 이루어진다.
먼저, 안착부(31)에 전장부품(EA)이 안착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장부품(EA)의 안착시 커버(40)는 상승한 상태로 위치한다. 안착부(31)에는 연결핀(PI)마다 전장부품(EA)이 각각 안착되며, 전장부품(EA)의 안착시 작업자는 연결핀(PI)이 전장부품(EA)의 포트(PT)에 일부 삽입된 상태로 안착시키게 된다.
이후, 작업자가 동작버튼(B2)을 누르면 메인회로부(23)가 제1 회로부(21)와 제2 회로부(22)를 단계적으로 제어하여 전장부품(EA)에 대한 조립검사, 펌웨어 설치, 쇼트검사 및 전류검사를 실시하게 된다.
보다 자세하게는, 작업자가 동작버튼(B2)을 누르면 메인회로부(23)는 커버(40)가 하강하도록 제2 회로부(22)에 신호를 전달하여 제1 액추에이터(A1)를 작동시키게 된다. 커버(40)는 하강하면서 전장부품(EA)을 안착부(31) 방향으로 가압하게 되며, 이에 따라 연결핀(PI)이 포트(PT)에 완전히 삽입된다.
이후, 연결핀(PI)과 포트(PT)의 접속상태를 확인하는 조립검사가 수행된다. 제1 회로부(21)는 제어부(20)의 제어신호에 따라 전장부품(EA)과 CAN 통신에 의한 연결핀(PI)과 포트(PT)의 접속상태를 확인하게 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등(L)은 연결핀(PI)과 대응하는 개수로 구비되며, 접속불량이 감지되면 연결핀(PI)과 대응되는 표시등(L)이 접속불량을 나타내는 불빛을 점등하게 된다.
조립검사가 완료되면, 제1 회로부(21)는 제어부(20)의 제어신호에 의해 전장부품(EA)마다 펌웨어를 업로드하게 된다. 펌웨어를 업로드하는 동안 표시등(L)은 펌웨어의 업로드를 나타내는 불빛을 점등하게 된다.
펌웨어의 업로드가 완료되면, 제1 회로부(21)는 제어부(20)의 제어신호에 따라 전장부품(EA)에 대한 쇼트검사, 전류검사 및 전압검사를 순차적으로 실시하게 된다. 전류검사 및 전압검사는 각각 전장부품(EA)에 대한 CAN 메세지 송신에 의해 수행되며, 전류검사 및 전압검사의 데이터는 제1 회로부(21)에 저장된다.
쇼트검사, 전류검사 및 전압검사에서 불량이 감지되면 연결핀(PI)과 대응되는 표시등(L)이 쇼트검사, 전류검사 및 전압검사의 불량을 나타내는 특정 불빛을 점등하게 된다.
전장부품(EA)에 대한 쇼트검사, 전류검사 및 전압검사가 완료된 상태에서, 제어부(20)는 복수의 전장부품(EA)에 대한 검사결과 데이터가 모두 정상값인지 여부를 판별하고, 모두 정상값인 경우 커버(40)가 상승하도록 제2 회로부(22)에 신호를 전달하여 제1 액추에이터(A1)를 작동시키게 된다.
전장부품(EA)에 대한 쇼트검사, 전류검사 및 전압검사가 완료된 상태에서, 하나 이상의 검사결과 데이터가 정상값이 아닌 경우 제어부(20)는 제2 회로부(22)에 제1 액추에이터(A1)를 작동시키는 신호를 전달하지 않으며, 작업자는 표시등(L)을 통해 쇼트검사, 전류검사 및 전압검사의 불량을 시각적으로 확인한 후 리셋버튼(B3)을 눌러 커버(40)를 상승시키게 된다.
작업자는 검사가 완료된 전장부품(EA)을 분리하고 외관검사를 실시한다. 작업자는 다시 검사를 수행할 전장부품(EA)을 안착부(31)에 안착시키게 된다.
제1 회로부(21)에 저장된 조립검사, 쇼트검사, 전류검사 및 전압검사에 대한 데이터는 실시간으로 컴퓨터에 전송되어 관리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터페이스 모듈(50)은 제1 회로부(21)에 저장된 조립검사, 쇼트검사, 전류검사 및 전압검사에 대한 데이터를 컴퓨터로 전송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몸체(10)의 내부에 구비되어 메인회로부(23)와 연결되며, 통신포트(RS-232)를 통해 외부입출력장치(컴퓨터)와 연결된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전장부품 검사기(1)는, 지그(30)가 안착부(31), 이동부(32), 스프링(33), 감지부(34) 및 제2 액추에이터(A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안착부(31)는 전장부품(EA)이 상면에 안착되는 구성으로서, 세로방향의 관통홀(H)이 형성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안착부(31)는 결합프레임(35)에 의해 몸체(10)의 상면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된다.
이동부(32)는 연결핀(PI)이 구비된 구성으로서, 관통홀(H) 상에서 세로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게 된다. 이동부(32)의 하단부에는 이동부(32)의 상방향 이동시 안착부(31)의 밑면에 걸림으로써 이동부(32)의 상방향 이동의 한계를 형성하는 걸림턱이 형성된다. 용이한 이해를 위해 연결핀(PI)과 제1 회로부(21)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선은 미표시되었다.
스프링(33)은 이동부(32)를 상방으로 가압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안착부(31)의 아래쪽에 이격된 고정부재와 안착부(31) 사이에 탄성 압축된 상태로 게재된다. 자세하게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고정부재는 가장자리가 안착부(31)와 결합된 구성으로서, 제2 액추에이터(A2)의 피스톤이 상승하거나 하강하는 홀이 형성된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부(32)는 평상시 스프링(33)에 의해 상방향으로 가압되어 걸림턱이 안착부(31)의 밑면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장부품(EA)의 안착시 작업자는 연결핀(PI)이 전장부품(EA)의 포트(PT)에 일부 삽입된 상태로 안착시키게 되며, 연결핀(PI)이 전장부품(EA)의 포트(PT)에 일부 삽입된 상태에서 이동부(32)는 스프링(33)의 압축에 의해 일정간격 하강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전장부품(EA)의 안착시 작업자가 연결핀(PI)을 포트(PT)에 삽입하지 않은 상태에서 전장부품(EA)을 안착시키거나, 연결핀(PI)이 삽입되는 포트(PT)의 구멍에 불량이 있을 경우에는 커버(40)의 하강시 연결핀(PI)이 포트(PT)의 구멍에 삽입되지 않은 상태에서 가압되어 변형될 수도 있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전장부품(EA)의 안착시 작업자가 연결핀(PI)을 포트(PT)에 삽입하지 않은 상태에서 전장부품(EA)을 안착시키거나, 연결핀(PI)이 삽입되는 포트(PT)의 구멍에 불량이 있더라도 커버(40)의 하강시 스프링(33)의 압축에 의해 이동부(32)가 하강함으로써 연결핀(PI)의 변형이 방지되는 이점이 있다.
감지부(34)는 이동부(32)의 높이를 감지하는 구성으로서, 이동부(32)의 아래쪽에서 고정부의 상면에 형성된 스위치 형태로 형성된다. 물론, 감지부(34)는 이동부(32)의 높이를 감지하는 포토센서로 구비될 수도 있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장부품(EA)의 안착시 작업자가 연결핀(PI)을 포트(PT)에 삽입하지 않은 상태에서 전장부품(EA)을 안착시키거나, 연결핀(PI)이 삽입되는 포트(PT)의 구멍에 불량이 있어, 커버(40)의 하강시 스프링(33)의 압축에 의해 이동부(32)가 하강하는 경우 이동부(32)의 밑면은 스위치에 접촉됨으로써 감지부(34)는 연결핀(PI)과 포트(PT)의 미접속을 감지하게 된다. 감지부(34)의 신호는 제1 회로부(21)로 전달되며, 제1 회로부(21)는 연결핀(PI)과 포트(PT)의 미접속 데이터를 저장하게 된다.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장부품(EA)의 안착시 연결핀(PI)이 전장부품(EA)의 포트(PT)에 일부 삽입된 상태에서는 이동부(32)가 스프링(33)의 압축에 의해 일정간격 하강하더라도 이동부(32)의 밑면은 스위치에 접촉되지 않게 된다.
제2 액추에이터(A2)는 이동부(32)를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키기 위한 구성으로서, 제2 회로부(22)에 의해 작동된다.
메인회로부(23)는,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40)의 하강 후 감지부(34)에 의해 이동부(32)가 설정높이 이상으로 판단되면,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회로부(22)를 통해 제2 액추에이터(A2)를 작동시켜 이동부(32)를 상승시킴으로써 연결핀(PI)을 포트(PT)에 완전히 삽입시키게 되며, 이후 조립검사, 쇼트검사, 전류검사 및 전압검사를 순차적으로 수행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동작버튼(B2)을 누르면 커버(40)가 하강하면서 전장부품(EA)을 가압하여 연결핀(PI)이 포트(PT)에 완전히 삽입된 후 펌웨어 설치, 쇼트검사 및 전류검사가 연속적으로 수행됨에 따라, 대량 생산되는 전장부품(EA)의 쇼트검사 및 전류검사를 신속하게 수행하면서도 검사가 정확하고 용이하게 수행되고, 전장부품(EA)의 검사시 펌웨어의 업로드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으며, 전장부품(EA)의 형태가 복잡하더라도 장착 및 분리과정이 용이하도록 이루어지는 자동차 전장부품 검사기(1)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메인회로부(23)는 커버(40)의 하강 후 감지부(34)의 신호에 의해 이동부(32)가 설정높이 이상으로 판단되면 제2 액추에이터(A2)를 작동시켜 이동부(32)를 상승시키도록 이루어짐에 따라, 전장부품(EA)의 포트(PT)에 연결되는 연결핀(PI)의 파손이 방지되도록 이루어지는 자동차 전장부품 검사기(1)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 : 전장부품 검사기 EA : 전장부품
10 : 몸체 PT : 포트
20 : 제어부 30 : 지그
40 : 커버 50 : 인터페이스 모듈
11 : 브래킷 21 : 제1 회로부
B1 : 전원버튼 22 : 제2 회로부
B2 : 동작버튼 23 : 메인회로부
B3 : 리셋버튼 A1 : 제1 액추에이터
L : 표시등 A2 : 제2 액추에이터
PG : 압력계
31 : 안착부
32 : 이동부
33 : 스프링
34 : 감지부
35 : 결합프레임
PI : 연결핀
H : 관통홀

Claims (5)

  1. 자동차의 전장부품을 검사하고,
    전원버튼, 동작버튼, 리셋버튼 및 표시등이 형성된 몸체;
    상기 몸체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전장부품에 펌웨어를 설치하고 상기 전장부품의 쇼트검사 및 전류검사를 수행하는 제어부;
    상기 몸체의 상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전장부품과 상기 제어부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전장부품의 포트와 연결되는 복수의 연결핀이 구비된 지그; 및
    상기 지그의 위쪽에서 상승하거나 하강하고, 하강시 상기 지그 위에 안착된 상기 전장부품의 유동을 방지하는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동작버튼을 누르면 상기 커버가 하강하면서 상기 전장부품을 가압하여 상기 연결핀이 상기 포트에 완전히 삽입된 후 상기 펌웨어 설치, 상기 쇼트검사 및 상기 전류검사가 연속적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전장부품 검사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제1 액추에이터에 의해 상승하거나 하강하고,
    상기 몸체의 상면에는, 상기 제1 액추에이터가 상기 커버의 위쪽에 설치되도록 상기 커버의 위쪽으로 연장되는 브래킷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전장부품 검사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펌웨어를 저장하고 DAQ(Data acquisition)를 수행하는 제1 회로부;
    상기 제1 액추에이터를 작동시키는 제2 회로부; 및
    상기 제1 회로부, 상기 제2 회로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메인회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전장부품 검사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그는,
    상기 전장부품이 상면에 안착되고, 세로방향의 관통홀이 형성된 안착부;
    상기 연결핀이 상방으로 돌출되고, 상기 관통홀 상에서 세로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이동부;
    상기 이동부를 상방으로 가압하는 스프링;
    상기 이동부의 높이를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이동부를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키고, 상기 제2 회로부에 의해 작동하는 제2 액추에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회로부는, 상기 커버의 하강 후 상기 감지부에 의해 상기 이동부가 설정높이 이상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2 액추에이터를 작동시켜 상기 이동부를 상승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전장부품 검사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쇼트검사 및 전류검사의 데이터를 외부입출력장치로 전송하기 위해 상기 외부입출력장치와 통신선으로 연결되는 인터페이스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전장부품 검사기.
KR1020150085813A 2015-06-17 2015-06-17 자동차 전장부품 검사기 KR2016014896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5813A KR20160148962A (ko) 2015-06-17 2015-06-17 자동차 전장부품 검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5813A KR20160148962A (ko) 2015-06-17 2015-06-17 자동차 전장부품 검사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8962A true KR20160148962A (ko) 2016-12-27

Family

ID=577370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5813A KR20160148962A (ko) 2015-06-17 2015-06-17 자동차 전장부품 검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48962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9600B1 (ko) 2011-07-25 2013-06-05 최경택 차량용 스위치 및 전장모듈 종합 테스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9600B1 (ko) 2011-07-25 2013-06-05 최경택 차량용 스위치 및 전장모듈 종합 테스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0243B1 (ko) 와이어링 하네스 커넥터 단자 검사장치
US6429673B1 (en) Printed wiring board inspection apparatus
CN111308316A (zh) 一种pcba自动化检测设备
KR100901389B1 (ko) 전장품 스위치의 작동검사장치
KR101996451B1 (ko) 와이어링 하네스 검사 장치
KR101151613B1 (ko) 항공기용 전자부품의 휴대용 시험장치
KR20160148962A (ko) 자동차 전장부품 검사기
KR100270519B1 (ko) 인쇄회로기판 검사 장치
CN215089021U (zh) 一种用于智慧黑板生产过程中的部件检测设备
KR100580542B1 (ko) 메탈돔의 텐션을 조절할수 있는 테스팅장치
CN215524830U (zh) 一种led灯的光亮度自动化测试装置
CN211262461U (zh) 一种称重传感器性能测试装置
CN203745492U (zh) 万能针床
KR102101317B1 (ko) 전투차량용 케이블조립체 테스트장치 및 테스트방법
CN209910855U (zh) 一种车用温度传感器综合性能的自动检测装置
KR101377537B1 (ko) 회로기판 기능검사장치
KR101177206B1 (ko) 디젤기관차 제어모듈 검사장치
KR100618147B1 (ko) 인쇄회로기판 검사장치
CN214473510U (zh) 空调显示板自动上电检测装置
KR101823001B1 (ko) 와이어 하네스용 자동 검사 시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와이어 하네스용 자동 검사 시험 시스템
CN205374687U (zh) 一种按键型换挡面板疲劳耐久试验台
CN218099456U (zh) 一种bcm测试装置
KR200366003Y1 (ko) 메탈돔의 검사장치
CN214278400U (zh) 一种对检测工装线路点检的装置
CN215219502U (zh) 一种双工位车载中控自动测试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