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6748B1 - 단말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단말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6748B1
KR101266748B1 KR1020090017598A KR20090017598A KR101266748B1 KR 101266748 B1 KR101266748 B1 KR 101266748B1 KR 1020090017598 A KR1020090017598 A KR 1020090017598A KR 20090017598 A KR20090017598 A KR 20090017598A KR 101266748 B1 KR101266748 B1 KR 1012667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me
terminal device
acceleration sensor
hold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75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32489A (ko
Inventor
도시히로 아자미
히로시 간노
이꾸로 히비노
소스께 조고
Original Assignee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1324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324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67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67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9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 single or a set of motion sensors for pointer control or gesture input obtained by sensing movements of the portable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46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the device orientation or free movement in a 3D space, e.g. 3D mice, 6-DOF [six degrees of freedom] pointers using gyroscopes, accelerometers or tilt-sens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7Audio in a user interface, e.g. using voice commands for navigating, audio feedba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Abstract

유지된 것이 검지된 경우에, 소정의 출력 처리를 행하는 것이다. 단말 장치는 유지된 것을 검지하는 수단과, 검지하는 수단에 의해 그 단말 장치가 유지된 것이 검지되었는지의 여부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조건을 충족시키는 것을 판단하는 수단과, 판단하는 수단에 의해 상기 조건을 충족시키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 소정의 출력 처리를 행하는 수단을 갖는다.
단말 장치, 가속도 센서, 중앙 연산 처리 장치, 음성 출력부, 타이머

Description

단말 장치 및 방법{TERMINAL DEVICE AND METHOD}
본 발명은, 특정한 처리를 실행하는 단말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단말 장치, 예를 들면 휴대 단말기에서는 특정한 버튼을 누르거나, 폴더형의 케이스를 열거나 함으로써, 시각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취침 중 등, 어둠 속에서 시각 정보를 알고자 하는 경우에는, 휴대 단말기의 조작 버튼을 누름으로써, 그 휴대 단말기의 표시 화면에 시각이 표시된다. 또한, 그 휴대 단말기가 폴더형인 경우에는, 그 휴대 단말기를 열음으로써, 그 휴대 단말기의 표시 화면에 시각이 표시된다.
[비특허 문헌 1] [online][평성 20년 4월 30일 검색], 인터넷<URL : http://www.nttdocomo.co.jp/support/trouble/mamual/download/904i/f904i/index.html>, 32 페이지
그러나, 어둠 속에서는 압하할 조작 버튼을 찾는 것이 어렵다. 또한, 휴대 단말기의 메인 디스플레이의 표시는, 어둠에 익숙해진 눈에는 지나치게 눈부신 경 우가 있다.
따라서, 본 단말 장치 및 방법은 전술한 문제점 중 적어도 1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해당 단말 장치가 유지된 것이 검지된 경우에, 소정의 출력 처리를 행할 수 있는 단말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단말 장치는,
유지된 것을 검지하는 수단과,
상기 검지하는 수단에 의해 해당 단말 장치가 유지된 것이 검지되었는지의 여부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조건을 충족시키는 것을 판단하는 수단과,
상기 판단하는 수단에 의해 상기 조건을 충족시키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 소정의 출력 처리를 행하는 수단
을 갖는다.
본 방법은,
단말 장치가, 유지된 것을 검지하는 스텝과,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검지하는 스텝에 의해 그 단말 장치가 유지된 것이 검지되었는지의 여부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조건을 충족시키는 것을 판단하는 스텝과,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판단하는 스텝에 의해 상기 조건을 충족시키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 소정의 출력 처리를 행하는 스텝
을 갖는다.
개시된 단말 장치 및 방법에 따르면, 해당 단말 장치가 유지된 것이 검지된 경우에, 소정의 출력 처리를 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를, 이하의 실시예에 기초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전체 도면에서, 동일 기능을 갖는 것은 동일 부호를 이용하고, 반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100)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100)에는 휴대 단말기가 포함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100)에는, 휴대 정보 단말기(PDA : Personal Digital Assistants)가 포함되어도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100)는, 그 단말 장치(100)가 유지된 것을 검지하는 수단을 갖는다. 그 검지하는 수단은, 그 단말 장치(100)에 대해 어떠한 접촉이 행해진 것을 감지한다. 예를 들면, 그 검지하는 수단은, 유저가 그 단말 장치(100)를 붙잡는 것을 검지하도록 하여도 된다. 또한, 예를 들면, 그 검지하는 수단은, 직접 그 단말 장치(100)를 붙잡는 것을 검지하는 경우 외에, 직접적 및/또는 간접적으로 그 단말 장치(100)에 (물리적으로) 접촉한 것을 검지하도록 하여도 된다. 예를 들면, 그 검지하는 수단은, 그 단말 장치(100)에 대해, 눌려진 것 및/또는 두드려진 것을 검지하도록 하여도 된다.
예를 들면, 단말 장치(100)는, 검지하는 수단으로서, 가속도 센서, 각속도 센서(자이로), 힘 센서 및 정전 센서 중 적어도 1개를 갖도록 하여도 된다. 또한, 물리적으로 접촉한 것을 검지할 수 있는 것이면, 전술한 센서 이외의 것을 갖도록 하여도 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는, 그 검지하는 수단의 일례로서, 가속도 센서를 갖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경우, 단말 장치(100)는 가속도 센서로부터의 출력을 정기적으로 판독한다. 단말 장치(100)는 판독한 가속도에 일정 이상의 변화가 있었던 경우, 유저가 그 단말 장치(100)를 붙잡고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100)는, 처리를 행하는 것을 판단하는 수단을 갖는다. 그 처리를 행하는 것을 판단하는 수단은, 그 검지하는 수단이, 그 단말 장치(100)가 유지된 것을 검지한 경우에, 미리 결정된 조건을 충족시키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예를 들면, 그 조건으로서, 그 검지하는 수단에서, 소정 시간, 그 단말 장치(100)가 붙잡혀진 것이 검지되지 않았던 것으로 하여도 된다. 예를 들면, 처리를 행하는 것을 판단하는 수단은, 그 검지하는 수단이, 그 단말 장치(100)가 유지된 것을 검지한 경우에, 전회의 검지된 시각으로부터 소정 시간, 예를 들면 1시간 정도, 붙잡혀진 것이 검지되지 않은 경우에, 조건을 충족시키는 것으로 판단하여도 된다.
또한, 처리를 행하는 것을 판단하는 수단은, 상기 단말 장치(100)가 음성 출력할 수 없는 동작 모드가 아닌 경우에, 조건을 충족시키는 것으로 판단하여도 된다. 예를 들면, 처리를 행하는 것을 판단하는 수단은, 그 단말 장치(100)가 착신 시에, 착신음을 울리는 대신에 바이브레이터를 진동시키는 매너 모드가 아닌 경우 에, 조건을 충족시키는 것으로 판단하여도 된다.
또한, 처리를 행하는 것을 판단하는 수단은, 현재의 시각이 미리 설정된 시간의 범위에 포함되는 경우에, 조건을 충족시키는 것으로 판단하여도 된다. 예를 들면, 처리를 행하는 것을 판단하는 수단은, 현재의 시각이, 0시 내지 6시인 경우에, 조건을 충족시키는 것으로 판단하여도 된다. 이 시간의 범위는, 음성 출력을 행하여도 되는 시간으로서 미리 설정되어도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100)는, 처리를 실시하는 수단을 갖는다. 그 처리를 실시하는 수단은, 그 처리를 행하는 것을 판단하는 수단이 처리를 행하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에 처리를 실시한다. 예를 들면, 그 처리를 실시하는 수단은, 시각을 음성 출력하는 경우에는, 음성을 합성하는 수단과, 그 합성된 음성을 출력하는 스피커를 갖도록 하여도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실시하는 처리의 예로서, 현재 시각, 메일 수신 상황, 일기 예보 등의 정보를 음성 출력 및/또는 표시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예를 들면, 단말 장치(100)는 음성 합성을 행하고, 스피커로부터 그 합성된 음성을 출력한다. 또한, 예를 들면, 단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에 표시한다. 그 디스플레이에는 메인의 디스플레이와 서브의 디스플레이가 있지만, 어느 쪽이어도 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는, 일례로서 서브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현재 시각, 메일 수신 상황, 일기 예보 등의 정보 이외에도, 스케줄, 뉴스의 헤드라인을 음성 출력 및/또는 표시하도록 하여도 된다.
<제1 실시예>
본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100)에 대해서,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100)는, 현재의 시각을 음성으로 출력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100)는, 가속도 센서(102)를 갖는다. 가속도 센서(102)는, 그 단말 장치(100)에 대한 접촉 동작을 검지한다. 예를 들면, 유저가 그 단말 장치(100)에 대해 어떠한 접촉을 행한 것을 검지한다. 가속도 센서(102)는, 예를 들면, 그 단말 장치(100)에 생긴 가속도를 검지한다. 가속도 센서(102)는, 가속도를 후술하는 가속도 센서 판독부(106)에 입력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100)는, 타이머(104)를 갖는다. 타이머(104)는, 타이머값을 가속도 센서 판독부(106)에 입력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100)는, 가속도 센서 판독부(106)를 갖는다. 가속도 센서 판독부(106)는, 타이머(104)에 의해 입력된 타이머값에 기초하여, 가속도 센서(102)의 값을 정기적으로 판독한다. 가속도 센서 판독부(106)는, 가속도 센서(102)의 값을 가속도 센서값 유지부(108) 및 가속도 센서값 판정부(110)에 입력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100)는, 가속도 센서값 유지부(108)를 갖는다. 가속도 센서값 유지부(108)는, 입력된 가속도 센서의 값을 유지한다. 가속도 센서값 유지부(108)는, 유지하고 있는 가속도 센서의 값을 가속도 센서값 판정부(110)에 입력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100)는, 가속도 센서값 판정부(110)를 갖는다. 가속도 센서값 판정부(110)는, 가속도 센서 판독부(106) 및 가속도 센서값 유지 부(108)에 의해 입력된 가속도 센서의 값에 기초하여, 그 단말 장치(100)가 유저에 의해 붙잡혀져 있는(유지되어 있는)지를 판정한다. 가속도 센서값 판정부(110)는, 예를 들면 가속도 센서 판독부(106)에 의해 입력된 가속도가, 가속도 센서값 유지부(108)에 의해 입력된 가속도와 상이한 경우에, 그 단말 장치(100)가 유저에 의해 붙잡혀져 있는 것으로 판정하도록 하여도 된다. 여기서, 가속도 센서값 유지부(108)에 의해 입력된 센서값은, 가속도 센서 판독부(106)에 의해 입력된 센서값보다도 전에 판독된 센서값이다. 그 전에 판독된 센서값은, 그 단말 장치(100)가 유지되어 있지 않은 경우의 가속도의 값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가속도 센서값 판정부(110)는 가속도 센서 판독부(106)에 의해 입력된 센서값이, 소정의 임계값 이상인 경우에, 그 단말 장치(100)가 유지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하도록 하여도 된다. 이 경우, 소정의 임계값이란, 단말 장치(100)가 유저에 의해 붙잡혀져 있는 경우에 생기는 가속도의 최저값이어도 된다.
또한, 단말 장치(100)가 유저에 의해 붙잡혀져 있는 경우와 같이 손으로 유지되어 있는 경우에 한정되지 않고, 그 단말 장치(100)에 대해, 누르거나, 두드리거나 하는 경우를 판정하도록 하여도 된다. 가속도 센서값 판정부(110)는, 그 단말 장치(100)가 유저에 의해 유지되어 있는 것으로 판정한 경우, 유지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후술하는 비유지 개시 시각 설정부(114) 및 비유지 시간 판정부(116)에 입력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100)는, 리얼 타임 클럭(112)을 갖는다. 리얼 타임 클럭(112)은, 클럭의 값을 후술하는 비유지 개시 시각 설정부(114) 및 비유지 시간 판정부(116)에 입력한다. 그 클럭값은, 현재의 시각을 나타내는 값이어도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100)는, 비유지 개시 시각 설정부(114)를 갖는다. 비유지 개시 시각 설정부(114)는, 가속도 센서값 판정부(110)에 의해 입력된 그 단말 장치(100)가 유지되어 있는 정보 및 리얼 타임 클럭(112)에 의해 입력된 클럭의 값에 기초하여, 그 단말 장치(100)가 유저에 의해 유지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그 유지되어 있지 않은 시각의 개시 시각을 설정한다. 비유지 개시 시각 설정부(114)는, 그 유지되어 있지 않은 시각의 개시 시각을 비유지 시간 판정부(116)에 입력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100)는, 비유지 시간 판정부(116)를 갖는다. 비유지 시간 판정부(116)는, 비유지 개시 시각 설정부(114)에 의해 입력된 유지되어 있지 않은 시각의 개시 시각과, 가속도 센서값 판정부(110)에 의해 입력된 유지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와, 리얼 타임 클럭(112)에 의해 입력된 클럭값에 기초하여, 유지되어 있지 않은 시간의 경과 시간을 구한다. 그리고, 비유지 시간 판정부(116)는, 그 유지되어 있지 않은 시간의 경과 시간에 기초하여, 그 경과 시간이 소정 시간 이상인 경우에는, 후술하는 음성 출력부(118)에 현재의 시각을 출력하도록 명령한다. 그 소정 시간은, 미리 설정되도록 하여도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100)의 하드웨어 구성예에 대해서,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100)는, CPU(152)와, ROM(154)과, RAM(156)과, 앰프(158)와, 스피커(160)를 갖는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1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가속도 센서(102)를 갖는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1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리얼 타임 클럭(112)을 갖는다.
CPU(152)를 단말 장치(100)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은 제조 단계에서, ROM(154)에 기입되어 있다. 그리고, CPU(152)는, 이 프로그램에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처리를 실행한다. 또는, 프로그램은, 예를 들면 플렉시블 디스크, CD-ROM, 메모리 카드 등의 기록 매체에 기록된 상태로 제공되어도 된다. 이 기록 매체를 단말 장치(100)와 접속된 보조 기억 장치에 삽입함으로써, 매체에 기록된 프로그램이 판독되고, ROM(154)에 기입되어, 실행되어도 된다. 이 경우, ROM(154)은 재기입 가능한 플래시 메모리로 구성하면 된다. 또한, 프로그램을, 통신망을 통해서 다운로드하고, 재기입 가능한 플래시 메모리로 구성된 ROM(154)에 기입하여, 실행하여도 된다. 기록 매체로부터 판독되거나, 혹은 다운로드된 프로그램을, 하드디스크 장치에 카피ㆍ인스톨하여 실행하도록 하여도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100)의 동작에 대해서,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단말 장치(100)는, 가속도 센서값을 판독한다(스텝 S302). 예를 들면, 가속도 센서 판독부(106)는, 가속도 센서(102)에 의해 입력된 센서값을 판독한다. 가속도 센서 판독부(106)는, 판독한 가속도 센서값을 가속도 센서값 유지부(108) 및 가속도 센서값 판정부(110)에 입력한다. 가속도 센서값 유지부(108)는, 입력된 가속도 센서값을 A0으로서 기억한다. 가속도 센서값 판정부(110)는, 입력된 가속도 센서값에 기초하여, 그 단말 장치(100)가 유지되어 있는지를 판정한다. 가속도 센서값 판정부(110)는, 그 단말 장치(100)가 유지되어 있는지의 판정 결과를 비유지 개시 시각 설정부(114) 및 비유지 시간 판정부(116)에 입력한다.
단말 장치(100)는, 그 단말 장치(100)가 유지되어 있지 않은 상태의 개시 시각을 설정한다(스텝 S304). 예를 들면, 비유지 개시 시각 설정부(114)는, 가속도 센서값 판정부(110)에 의해 입력된 그 단말 장치(100)가 유지되어 있는지의 판정 결과에 기초하여, 그 단말 장치(100)가 유지되어 있는 상태로부터 유지되어 있지 않은 상태로 된 경우에, 그 유지되어 있지 않은 판정 결과가 입력된 시각을 설정한다. 비유지 개시 시각 설정부(114)는, 그 유지되어 있지 않은 판정 결과가 입력된 시각과, 그 단말 장치(100)가 유지되어 있지 않은 상태의 개시 시각을 T0으로서 기억한다.
단말 장치(100)는, 소정 시간이 경과되었는지를 판단한다(스텝 S306). 예를 들면, 가속도 센서 판독부(106)는 타이머(104)에 의해 입력된 타이머값에 기초하여, 전회의 가속도 센서값의 판독 시각으로부터 소정의 시각이 경과되었는지를 판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일례로서 소정 시간이 100㎳인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소정 시간은 적절하게 변경 가능하다.
소정 시간이 경과되지 않은 경우(스텝 S306 : "아니오"), 스텝 S306으로 되돌아간다. 소정 시간 경과한 경우(스텝 S306 : "예"), 단말 장치(100)는, 가속도 센서값을 판독한다(스텝 S308). 예를 들면, 가속도 센서 판독부(106)는, 가속도 센서(102)에 의해 입력된 센서값을 판독한다. 가속도 센서 판독부(106)는, 판독한 가속도 센서값을 가속도 센서값 유지부(108) 및 가속도 센서값 판정부(110)에 입력한다. 가속도 센서값 유지부(108)는, 입력된 가속도 센서값을 A1로서 기억한다.
가속도 센서값 판정부(110)는, 입력된 가속도 센서값 A1에 기초하여, 그 단말 장치(100)가 유지되어 있는지를 판정한다. 예를 들면, 가속도 센서값 판정부(110)는, 가속도 센서값 A1이 스텝 S302에서 판독된 가속도 센서값 A0과 상이한지를 판단한다(스텝 S310).
가속도 센서값 A1과 가속도 센서값 A0이 상이하지 않은 경우(스텝 S310 : "아니오"), 스텝 S306으로 되돌아간다. 가속도 센서값 A1과 가속도 센서값 A0이 상이한 경우(스텝 S310 : "예"), 단말 장치(100)는, 리얼 타임 클럭의 값이 소정 시간을 초과하는 값으로 되었는지를 판단한다(스텝 S312). 예를 들면, 가속도 센서값 판정부(110)는, 가속도 센서값 A1과 가속도 센서값 A0이 상이한지의 여부의 판정 결과를, 비유지 시간 판정부(116)에 입력한다. 비유지 시간 판정부(116)는, 가속도 센서값 판정부(110)에 의해 입력된 판정 결과에 기초하여, 그 판정 결과가 가속도 센서값 A1과 가속도 센서값 A0이 상이한 것을 나타내는 경우, 리얼 타임 클럭(112)에 의해 입력된 클럭값에 기초하여, 비유지 개시 시각 설정부(114)에 의해 입력된 비유지 개시 시각으로부터 소정 시간을 초과하였는지를 판단한다.
비유지 개시 시각으로부터 소정 시간을 초과하지 않은 경우(스텝 S312 : "아니오"), 스텝 S302로 되돌아간다. 이 경우, 단말 장치(100)는, 일시적으로 정지 상태에 놓여진 것으로 판단된다. 비유지 개시 시각으로부터 소정 시간을 초과한 경우(스텝 S312 : "예"), 단말 장치(100)는 스피커로부터 현재의 시각을 음성 출력 한다(스텝 S314). 예를 들면, 비유지 시간 판정부(116)는 비유지 개시 시각으로부터 소정 시간을 초과한 경우, 음성 출력부(118)에 음성 출력을 행하도록 명령한다. 이 명령에는 리얼 타임 클럭(112)에 의해 입력된 현재 시각을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되어도 된다. 음성 출력부(118)는 비유지 시간 판정부(116)에 의해 입력된 명령에 따라서, 현재 시각의 음성에 의한 출력을 행한다.
정지 상태에서는, 가속도 센서(102)의 판독값은, 연직 방향으로 1G를 나타낸다. 일정 시간 정지 상태에 놓여진 것은, 연직 방향의 1G가 계속되고 있는 것을 검출하면 된다. 단, 단말 장치(100)는 다양한 높는 방법에 의해 정지 상태로 될 가능성이 있다. 그 때문에, 가속도 센서 판독부(106)는, 가속도 센서(102)의 복수의 축의 값을 판독하고, 그 벡터가 일정하면, 정지 상태가 계속되고 있다고 간주하도록 하여도 된다. 또한, 가속도 센서 판독부(106)는, 정지 상태를 검출하는 경우에, 가속도의 절대값이 1G인지의 여부를 판정하여도 된다. 단 일반적인 사용 방법에서는, 1G 이외의 값이 일정 시간 계속되는 상황은 많지 않으므로, 반드시 절대값을 이용하여 판정하지 않아도, 정지 상태의 검출은 가능하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단말 장치(100)가 리얼 타임 클럭(112)을 갖지 않은 경우에는, 이하의 처리가 행해지도록 하여도 된다.
전술한 스텝 S304에서는, 단말 장치(100)가 유지되어 있지 않은 상태의 시간을 기억하는 변수 T가 0으로 설정된다. 이 경우, T는 단말 장치(100)가 유저에 의해 유지되어 있지 않는 것으로 추정할 수 있는 시간, 즉 단말 장치(100)가 마루나 책상 위 등에 놓여져 있는 것으로 추정할 수 있는 시간을 나타낸다.
또한, 전술한 스텝 S310에서, 가속도 센서값 A1과 가속도 센서값 A0이 상이하지 않은 경우(스텝 S310 : "아니오"), 변수 T에 소정 시간이 가산된 시간을 새롭게 변수 T로 하고, 스텝 S306으로 되돌아간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 장치에 접촉된 것을 검지하는 수단을 갖도록 함으로써, 유저는 취침 중에, 어둠 속에서도 비교적 간단히 행할 수 있는 「휴대 전화 단말기에 닿는」것만으로, 원하는 정보, 예를 들면 현재 시각을 입수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 장치에 닿는 것을 검지하는 수단으로서, 보수계로서 휴대 전화 단말기에 탑재가 진행되는 가속도 센서를 이용할 수 있다. 가속도 센서를 이용함으로써, 단말 장치에 새로운 부품을 추가하지 않고 실현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단말 장치의 코스트의 증가나 사이즈의 증대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일정 시간의 유지를 검지하지 않았던 경우에 음성 출력을 행하도록 함으로써, 필요 이상으로 음성 출력이 행해지는 것을 피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유저는 취침 중이면, 수시간은 단말 장치가 정지 상태에 놓여진다. 그 때문에, 단말 장치에 닿는 것을 검지하는 수단에 의한 검지가, 소정 시간, 예를 들면 1시간 이상 유지가 없었던 것을 조건으로, 처리를 행할지를 판단하도록 하여도 된다.
단말 장치가 정지 상태가 아닌 경우에는, 유저는 그 동안, 그 단말 장치를 유지하고, 조작을 하여, 그 단말 장치로부터 정보를 얻을 수 있는 상태에 있는 것으로 상정할 수 있다. 한편, 단말 장치가 일정 시간의 정지 상태에 있다라고 하는 것은, 그 동안 단말 장치로부터 정보를 얻고 있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 그 때문 에, 일정 시간의 정지 상태 후에 단말 장치가 유지된 경우에는, 유저는, 그 단말 장치로부터 얻고자 하는 정보는 많아질 것으로 상정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일정 시간의 정지 상태를 판단하고, 그 후의 유지에 의해, 필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유저에 대해, 효과적인 정보 제공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정보를 음성으로 출력함으로써, 어둠에 익숙해진 눈에, 눈부심을 느끼지 않고, 원하는 정보를 입수할 수 있다.
<제2 실시예>
본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100)에 대해서,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100)는, 전술한 실시예에서, 현재 시각이, 미리 결정되는 음성 출력을 행하여도 되는 시간에 해당하는 경우에 음성 출력을 행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100)는, 전술한 실시예에서, 그 단말 장치(100)가, 음성 출력을 행하여도 되는 동작 모드인 경우에 음성 출력을 행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100)는,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단말 장치에 음성 출력 시각 판정부(120)를 갖는다. 음성 출력 시각 판정부(120)는, 비유지 시간 판정부(116)에 의해 입력된 음성 출력을 행하는 것을 나타내는 명령에 기초하여, 그 명령에 포함되는 현재 시각을 나타내는 정보가 소정 시간 범위에 포함되는지를 판단한다. 음성 출력 시각 판정부(120)는, 그 명령에 포함되는 현재 시각을 나타내는 정보가 소정 시간 범위에 포함되는 경우에는, 그 명령을 후술하는 음성 출력 모드 판정부(122)에 입력한다. 여기서, 소정 시간 범위에는, 소정의 처리, 여기서는 현재 시각의 음성에 의한 출력 처리가 행해져도 되는 시간인 것이 바람직 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100)는,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단말 장치에 음성 출력 모드 판정부(122)를 갖는다. 음성 출력 모드 판정부(122)는, 그 단말 장치(100)의 동작 모드가 음성 출력을 행할 수 있는 모드인지를 판정한다. 예를 들면, 음성 출력 모드 판정부(122)는, 그 단말 장치(100)가, 매너 모드로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것을 판단한다. 매너 모드에서는, 예를 들면 착신 등의 경우에 음을 울리지 않고 바이브레이터로 진동을 발하도록 동작하도록 설정되어, 음성 출력은 할 수 없기 때문이다. 음성 출력 모드 판정부(122)는, 그 단말 장치(100)의 동작 모드가 음성 출력을 행할 수 있는 모드인 것으로 판단한 경우, 그 명령을 음성 출력부(118)에 입력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100)의 동작에 대해서,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일례로서 음성 출력을 행하여도 되는 시간 범위로서, 0시 내지 6시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100)의 스텝 S502-스텝 S512의 동작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스텝 S302-스텝 S312와 마찬가지이다.
스텝 S512에서, 단말 장치(100)는 리얼 타임 클럭의 값이 소정 시간을 초과하는 값으로 되었는지를 판단한다. 예를 들면, 가속도 센서값 판정부(110)는 가속도 센서값 A1과 가속도 센서값 A0이 상이한지의 여부의 판정 결과를, 비유지 시간 판정부(116)에 입력한다. 비유지 시간 판정부(116)는 가속도 센서값 판정부(110) 에 의해 입력된 판정 결과에 기초하여, 그 판정 결과가 가속도 센서값 A1과 가속도 센서값 A0이 상이한 것을 나타내는 경우, 리얼 타임 클럭(112)에 의해 입력된 클럭값에 기초하여, 비유지 개시 시각 설정부(114)에 의해 입력된 비유지 개시 시각으로부터 소정 시간을 초과하였는지를 판단한다. 비유지 개시 시각으로부터 소정 시간을 초과하지 않은 경우(스텝 S512 : "아니오"), 스텝 S502로 되돌아간다. 비유지 개시 시각으로부터 소정 시간을 초과한 경우(스텝 S512 : "예"), 단말 장치(100)는, 현재의 시각이 0시 내지 6시 사이인지를 판단한다(스텝 S514). 예를 들면, 비유지 시간 판정부(116)는 비유지 개시 시각으로부터 소정 시간을 초과한 경우, 음성 출력 시각 판정부(120)에 음성 출력을 행하도록 명령한다. 이 명령에는, 리얼 타임 클럭(112)에 의해 입력된 현재 시각을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되어도 된다. 음성 출력 시각 판정부(120)는, 그 명령에 포함되는 현재 시각을 나타내는 정보에 기초하여, 그 현재 시각이 0시 내지 6시의 시각 범위에 포함되는지를 판정한다. 이 시각 범위는 임의로 설정 가능하다.
현재 시각이 0시 내지 6시의 시각 범위에 포함되지 않은 경우(스텝 S514 : "아니오"), 스텝 S502로 되돌아간다. 한편, 현재 시각이 0시 내지 6시의 시각 범위에 포함되는 경우(스텝 S514 : "예"), 단말 장치(100)는, 그 단말 장치(100)가 매너 모드로 설정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스텝 S516). 예를 들면, 음성 출력 시각 판정부(120)는, 현재 시각이 0시 내지 6시의 시각 범위에 포함되는 경우, 비유지 시간 판정부(116)에 의해 입력된 명령을 음성 출력 모드 판정부(122)에 입력한다. 음성 출력 모드 판정부(122)는 입력된 명령에 기초하여, 그 단말 장치(100)의 동작 모드가 음성 출력을 행할 수 없는 모드인지를 판정한다. 예를 들면, 음성 출력 모드 판정부(122)는, 그 단말 장치(100)가, 매너 모드로 설정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
상기 단말 장치(100)의 동작 모드가 음성 출력을 행할 수 없는 모드인 것으로 판정한 경우(스텝 S516 : "예"), 스텝 S502로 되돌아간다. 한편, 그 단말 장치(100)의 동작 모드가 음성 출력을 행할 수 없는 모드가 아닌 것으로 판정한 경우(스텝 S516 : "아니오"), 단말 장치(100)는, 스피커로부터 현재 시각의 음성 출력을 행한다. 예를 들면, 음성 출력 모드 판정부(122)는 음성 출력 시각 판정부(120)에 의해 입력된 명령을 음성 출력부(118)에 입력한다. 이 명령에는, 현재 시각을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되어도 된다. 음성 출력부(118)는 음성 출력 모드 판정부(122)에 의해 입력된 명령에 따라서, 현재 시각의 음성에 의한 출력을 행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 장치에 닿는 것을 검지하는 수단을 가짐으로써, 유저는 취침 중에, 어둠 속에서도 비교적 간단히 행할 수 있는, 「휴대 전화 단말기에 닿는」 것만으로, 원하는 정보, 예를 들면 현재 시각을 입수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 장치에 닿는 것을 검지하는 수단으로서, 보수계로서 휴대 전화 단말기에 탑재가 진행되는 가속도 센서를 이용할 수 있다. 가속도 센서를 이용함으로써, 단말 장치에 새로운 부품을 추가하지 않고 실현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단말 장치의 코스트의 증가나 사이즈의 증대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일정 시간의 유지를 검지하지 않았던 경우에 음성 출력을 행하도록 함으로써, 필요 이상으로 음성 출력이 행해지는 것을 피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유저는 취침 중이면, 수시간은 단말 장치가 정지 상태에 놓여진다. 그 때문에, 단말 장치에 닿는 것을 검지하는 수단에 의한 검지가, 소정 시간, 예를 들면 1시간 이상 유지가 없었던 것을 조건으로, 처리를 행할지를 판단하도록 하여도 된다.
단말 장치가 정지 상태가 아닌 경우에는, 유저는 그 동안, 그 단말 장치를 유지하고, 조작을 하여, 그 단말 장치로부터 정보를 얻을 수 있는 상태에 있는 것으로 상정할 수 있다. 한편, 단말 장치가 일정 시간의 정지 상태에 있다라고 하는 것은, 그 동안 단말 장치로부터 정보를 얻고 있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 그 때문에, 일정 시간의 정지 상태 후에 단말 장치가 유지된 경우에는, 유저는, 그 단말 장치로부터 얻고자 하는 정보는 많아질 것으로 상정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일정 시간의 정지 상태를 판단하고, 그 후의 유지에 의해, 필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유저에 대해, 효과적인 정보 제공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정보를 음성으로 출력함으로써, 어둠에 익숙해진 눈에, 눈부심을 느끼지 않고, 원하는 정보를 입수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음성 출력을 행할 수 있는 시간 범위에 해당하는 경우에 음성 출력을 행할 수 있다. 그 시간 범위는 미리 설정되어도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음성 출력을 행할 수 있는 동작 모드인 경우에 음성 출력을 행할 수 있다.
<제3 실시예>
본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100)에 대해서,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100)는, 유저에 유지된 것을 검지한 경우, 메일이 수신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 그리고, 단말 장치(100)는 메일이 수신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 메일이 수신되어 있는 것을 음성 출력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100)에서는, 비유지 시간 판정부(116)는 비유지 개시 시각 설정부(114)에 의해 입력된 유지되어 있지 않은 시각의 개시 시각과, 가속도 센서값 판정부(110)에 의해 입력된 유지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와, 리얼 타임 클럭(112)에 의해 입력된 클럭값에 기초하여, 유지되어 있지 않은 시간의 경과 시간을 구한다. 그리고, 비유지 시간 판정부(116)는, 그 유지되어 있지 않은 시간의 경과 시간에 기초하여, 그 경과 시간이 소정 시간 이상인 경우에는, 후술하는 메일 수신 상황 확인부(124)에 메일이 수신되어 있는지를 출력하도록 명령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100)는,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단말 장치(100)에 메일 수신 상황 확인부(124)를 갖는다. 메일 수신 상황 확인부(124)는 비유지 시간 판정부(116)에 의해 입력된 명령에 기초하여, 메일이 수신되어 있는지를 확인한다. 메일 수신 상황 확인부(124)는, 그 단말 장치(100)에 메일이 수신되어 있는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메일 수신 상황 판정부(126)에 입력한다. 그 메일이 수신되어 있는지를 나타내는 정보에는, 비유지 시간 판정부(116)에 의해 입력된 명령이 포함되어도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100)는,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단말 장치(100)에 메일 수신 상황 판정부(126)를 갖는다. 메일 수신 상황 판정부(126)는 메일 수신 상황 확인부(124)에 의해 입력된 메일이 수신되어 있는지를 나타내는 정 보에 기초하여, 그 단말 장치(100)에 메일이 수신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 메일 수신 상황 판정부(126)는, 그 단말 장치(100)에 메일이 수신되어 있는 경우, 메일 수신 상황 확인부(124)에 의해 입력된 명령을 음성 출력부(118)에 입력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100)의 동작에 대해서, 도 7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100)의 스텝 S702-스텝 S712의 동작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스텝 S302-스텝 S312와 마찬가지이다.
스텝 S712에서, 단말 장치(100)는 리얼 타임 클럭의 값이 소정 시간을 초과하는 값으로 되었는지를 판단한다. 예를 들면, 가속도 센서값 판정부(110)는 가속도 센서값 A1과 가속도 센서값 A0이 상이한지의 여부의 판정 결과를, 비유지 시간 판정부(116)에 입력한다. 비유지 시간 판정부(116)는 가속도 센서값 판정부(110)에 의해 입력된 판정 결과에 기초하여, 그 판정 결과가 가속도 센서값 A1과 가속도 센서값 A0이 상이한 것을 나타내는 경우, 리얼 타임 클럭(112)에 의해 입력된 클럭값에 기초하여, 비유지 개시 시각 설정부(114)에 의해 입력된 비유지 개시 시각으로부터 소정 시간을 초과하였는지를 판단한다. 비유지 개시 시각으로부터 소정 시간을 초과하지 않은 경우(스텝 S712 : "아니오"), 스텝 S702로 되돌아간다. 비유지 개시 시각으로부터 소정 시간을 초과한 경우(스텝 S712 : "예"), 단말 장치(100)는 메일의 수신 상황을 확인한다(스텝 S714). 예를 들면, 비유지 개시 시각으로부터 소정 시간을 초과한 경우, 비유지 시간 판정부(116)는 메일 수신 상황 확인부(124)에 메일이 수신되어 있는지를 출력하도록 명령한다. 메일 수신 상황 확인부(124)는 비유지 시간 판정부(116)에 의해 입력된 명령에 따라서, 메일이 수신되어 있는지를 확인한다. 메일 수신 상황 확인부(124)는 메일이 수신되어 있는지의 확인 결과를 메일 수신 상황 판정부(126)에 입력한다. 그 확인 결과에는, 비유지 시간 판정부(116)에 의해 입력된 명령이 포함되어도 된다.
단말 장치(100)는 메일이 수신되어 있는지를 판정한다(스텝 S716). 메일이 수신되어 있지 않은 경우(스텝 S716 : "아니오"), 스텝 S702로 되돌아간다. 한편, 메일이 수신되어 있는 경우(스텝 S716 : "예"), 단말 장치(100)는 스피커로부터 수신 메일이 있는 것을 음성 출력한다. 예를 들면, 메일 수신 상황 판정부(126)는 메일 수신 상황 확인부(124)에 의해 입력된 메일이 수신되어 있는지의 확인 결과에 기초하여, 그 단말 장치(100)에 메일이 수신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 메일 수신 상황 판정부(126)는 메일이 수신되어 있는 것으로 판정한 경우, 메일 수신 상황 확인부(124)에 의해 입력된 명령을 음성 출력부(118)에 입력한다. 이 명령에는, 메일이 수신되어 있는지를 출력하는 명령이 포함되어도 된다. 음성 출력부(118)는 메일 수신 상황 판정부(126)에 의해 입력된 명령에 따라서, 수신 메일이 있는 것을 음성 출력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 장치에 닿는 것을 검지하는 수단을 가짐으로써, 유저는 취침 중에, 어둠 속에서도 비교적 간단히 행할 수 있는 「휴대 전화 단말기에 닿는」 것만으로, 원하는 정보, 예를 들면 전자 메일의 수신 상황을 입수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 장치에 닿는 것을 검지하는 수단으로서, 보 수계로서 휴대 전화 단말기에 탑재가 진행되는 가속도 센서를 이용할 수 있다. 가속도 센서를 이용함으로써, 단말 장치에 새로운 부품을 추가하지 않고 실현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단말 장치의 코스트나 사이즈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일정 시간의 유지를 검지하지 않았던 경우에 음성 출력을 행하도록 함으로써, 필요 이상으로 음성 출력이 행해지는 것을 피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유저는 취침 중이면, 수시간은 단말 장치가 정지 상태에 놓여진다. 그 때문에, 단말 장치에 닿는 것을 검지하는 수단에 의한 검지가, 소정 시간, 예를 들면 1시간 이상 유지가 없었던 것을 조건으로, 처리를 행할지를 판단하도록 하여도 된다.
단말 장치가 정지 상태가 아닌 경우에는, 유저는 그 동안, 그 단말 장치를 유지하고, 조작을 하여, 그 단말 장치로부터 정보를 얻을 수 있는 상태에 있는 것으로 상정할 수 있다. 한편, 단말 장치가 일정 시간의 정지 상태에 있다라고 하는 것은, 그 동안 단말 장치로부터 정보를 얻고 있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 그 때문에, 일정 시간의 정지 상태 후에 단말 장치가 유지된 경우에는, 유저는, 그 단말 장치로부터 얻고자 하는 정보는 많아질 것으로 상정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일정 시간의 정지 상태를 판단하고, 그 후의 유지에 의해, 필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유저에 대해, 효과적인 정보 제공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정보를 음성으로 출력함으로써, 어둠에 익숙해진 눈에, 눈부심을 느끼지 않고, 원하는 정보를 입수할 수 있다.
<제4 실시예>
본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100)에 대해서,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100)는, 유저에 의해 유지되어 있지 않은 상황으로 되어 일정 기간이 경과한 경우, 일기 예보를 음성 출력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100)에서는, 비유지 시간 판정부(116)는 비유지 개시 시각 설정부(114)에 의해 입력된 유지되어 있지 않은 시각의 개시 시각과, 가속도 센서값 판정부(110)에 의해 입력된 유지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와, 리얼 타임 클럭(112)에 의해 입력된 클럭값에 기초하여, 유지되어 있지 않은 시간의 경과 시간을 구한다. 그리고, 비유지 시간 판정부(116)는, 그 유지되어 있지 않은 시간의 경과 시간에 기초하여, 그 경과 시간이 소정 시간 이상인 경우에는, 음성 출력부(118)에 일기 예보를 음성 출력하도록 명령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100)는,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단말 장치(100)에 일기 예보 정보 획득ㆍ축적부(128)를 갖는다. 일기 예보 정보 획득ㆍ축적부(128)는 일기 예보 정보를 취득하고, 축적한다. 예를 들면, 일기 예보 정보 획득ㆍ축적부(128)는 일정 시간마다 일기 예보 정보를 취득하도록 하여도 된다. 여기서, 일정 시간은 일기 예보 정보가 갱신되는 시간 이상의 시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일기 예보 정보 획득ㆍ축적부(128)는 일기 예보 정보를 네트워크로부터 취득하도록 하여도 되고, 데이터 방송 경유로 취득하도록 하여도 된다. 일기 예보 정보 획득ㆍ축적부(128)는 축적한 일기 예보 정보를 음성 출력부(118)에 입력한다. 예를 들면, 일기 예보 정보 획득ㆍ축적부(128)는 축적한 일기 예보 정보 중, 최신의 일기 예보 정보를 음성 출력부(118)에 입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음성 출력부(118)는 비유지 시간 판정부(116)에 의해 입력된 일기 예보를 음성 출력하는 명령에 따라서, 일기 예보 정보 획득ㆍ축적부(128)에 의해 입력된 일기 예보 정보의 음성 출력을 행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100)의 동작에 대해서,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단말 장치(100)는 일정 시간마다 네트워크 혹은 데이터 방송 경유로, 일기 예보 정보를 획득하고, 축적한다(스텝 S902). 예를 들면, 일기 예보 정보 획득ㆍ축적부(128)는 일정 시간마다 네트워크 혹은 데이터 방송 경유로 일기 예보 정보를 획득하고, 축적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100)의 스텝 S904-스텝 S914의 동작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스텝 S302-스텝 S312와 마찬가지이다.
스텝 S914에서, 단말 장치(100)는 리얼 타임 클럭의 값이 소정 시간을 초과하는 값으로 되었는지를 판단한다. 예를 들면, 가속도 센서값 판정부(110)는 가속도 센서값 A1과 가속도 센서값 A0이 상이한지의 여부의 판정 결과를, 비유지 시간 판정부(116)에 입력한다. 비유지 시간 판정부(116)는 가속도 센서값 판정부(110)에 의해 입력된 판정 결과에 기초하여, 그 판정 결과가 가속도 센서값 A1과 가속도 센서값 A0이 상이한 것을 나타내는 경우, 리얼 타임 클럭(112)에 의해 입력된 클럭값에 기초하여, 비유지 개시 시각 설정부(114)에 의해 입력된 비유지 개시 시각으로부터 소정 시간을 초과하였는지를 판단한다. 비유지 개시 시각으로부터 소정 시간을 초과하지 않은 경우(스텝 S914 : "아니오"), 스텝 S904로 되돌아간다. 비유 지 개시 시각으로부터 소정 시간을 초과한 경우(스텝 S914 : "예"), 단말 장치(100)는 스피커로부터 날씨 정보를 음성 출력한다(스텝 S916). 예를 들면, 비유지 시간 판정부(116)는 비유지 개시 시각으로부터 소정 시간을 초과하는 것으로 판정한 경우, 음성 출력부(118)에 일기 예보를 음성 출력하도록 명령한다. 음성 출력부(118)는 비유지 시간 판정부(116)에 의해 입력된 일기 예보를 음성 출력하는 명령에 따라서, 일기 예보 정보 획득ㆍ축적부(128)에 의해 입력된 일기 예보 정보를 음성 출력한다. 그 후, 스텝 S904로 되돌아간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 장치에 닿는 것을 검지하는 수단을 가짐으로써, 유저는 취침 중에, 어둠 속에서도 비교적 간단히 행할 수 있는 「휴대 전화 단말기에 닿는」 것만으로, 원하는 정보, 예를 들면 일기 예보 정보를 입수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 장치에 닿는 것을 검지하는 수단으로서, 보수계로서 휴대 전화 단말기에 탑재가 진행되는 가속도 센서를 이용할 수 있다. 가속도 센서를 이용함으로써, 단말 장치에 새로운 부품을 추가하지 않고 실현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단말 장치의 코스트의 증가나 사이즈의 증대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일정 시간의 유지를 검지하지 않았던 경우에 음성 출력을 행하도록 함으로써, 필요 이상으로 음성 출력이 행해지는 것을 피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유저는 취침 중이면, 수시간은 단말 장치가 정지 상태에 놓여진다. 그 때문에, 단말 장치에 닿는 것을 검지하는 수단에 의한 검지가, 소정 시간, 예를 들면 1시간 이상 유지가 없었던 것을 조건으로, 처리를 행할지를 판단하도록 하여도 된다.
단말 장치가 정지 상태가 아닌 경우에는, 유저는 그 동안, 그 단말 장치를 유지하고, 조작을 하여, 그 단말 장치로부터 정보를 얻을 수 있는 상태에 있는 것으로 상정할 수 있다. 한편, 단말 장치가 일정 시간의 정지 상태에 있다라고 하는 것은, 그 동안 단말 장치로부터 정보를 얻고 있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 그 때문에, 일정 시간의 정지 상태 후에 단말 장치가 유지된 경우에는, 유저는, 그 단말 장치로부터 얻고자 하는 정보는 많아질 것으로 상정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일정 시간의 정지 상태를 판단하고, 그 후의 유지에 의해, 필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유저에 대해, 효과적인 정보 제공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정보를 음성으로 출력함으로써, 어둠에 익숙해진 눈에, 눈부심을 느끼지 않고, 원하는 정보를 입수할 수 있다.
<제5 실시예>
본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100)에 대해서,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100)는, 유저에 의해 유지되어 있지 않은 상황으로 되어 일정 기간이 경과한 경우, 현재 시각을 서브 디스플레이에 표시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100)에서는, 비유지 시간 판정부(116)는 비유지 개시 시각 설정부(114)에 의해 입력된 유지되어 있지 않은 시각의 개시 시각과, 가속도 센서값 판정부(110)에 의해 입력된 유지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와, 리얼 타임 클럭(112)에 의해 입력된 클럭값에 기초하여, 유지되어 있지 않은 시간의 경과 시간을 구한다. 그리고, 비유지 시간 판정부(116)는, 그 유지되어 있지 않은 시간의 경과 시간에 기초하여, 그 경과 시간이 소정 시간 이상인 경우에는, 서브 디스플레이 출력부(130)에 현재 시각을 표시하도록 명령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100)는,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단말 장치(100)와 음성 출력부(118) 대신에 서브 디스플레이 출력부(130)를 갖는다. 서브 디스플레이 출력부(130)는 서브 디스플레이로부터 현재 시각을 출력한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음성 출력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이 경우, 단말 장치(100)의 근방에 있는 제3자에 대해, 그 음성에 의해 폐를 끼칠 우려가 있다. 서브 디스플레이에 표시함으로써, 이와 같은 폐를 끼칠 우려가 없다. 또한, 서브 디스플레이에 표시함으로써, 메인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경우보다도, 유저에게 눈부심을 느끼게 하는 일이 없다. 서브 디스플레이는 메인의 디스플레이보다도 소형이며, 조도도 작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취침 중에, 시각을 확인하는 데에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100)의 동작에 대해서,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100)의 스텝 S1102-스텝 S1112의 동작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스텝 S302-스텝 S312와 마찬가지이다.
스텝 S1112에서, 단말 장치(100)는 리얼 타임 클럭의 값이 소정 시간을 초과하는 값으로 되었는지를 판단한다. 예를 들면, 가속도 센서값 판정부(110)는 가속도 센서값 A1과 가속도 센서값 A0이 상이한지의 여부의 판정 결과를, 비유지 시간 판정부(116)에 입력한다. 비유지 시간 판정부(116)는 가속도 센서값 판정부(110)에 의해 입력된 판정 결과에 기초하여, 그 판정 결과가 가속도 센서값 A1과 가속도 센서값 A0이 상이한 것을 나타내는 경우, 리얼 타임 클럭(112)에 의해 입력된 클럭값에 기초하여, 비유지 개시 시각 설정부(114)에 의해 입력된 비유지 개시 시각으로부터 소정 시간을 초과하였는지를 판단한다. 비유지 개시 시각으로부터 소정 시간을 초과하지 않은 경우(스텝 S1112 : "아니오"), 스텝 S1102로 되돌아간다. 비유지 개시 시각으로부터 소정 시간을 초과한 경우(스텝 S1112 : "예"), 단말 장치(100)는 서브 디스플레이로부터 현재 시각을 화상 출력한다(스텝 S1114). 예를 들면, 비유지 시간 판정부(116)는 비유지 개시 시각으로부터 소정 시간을 초과하는 것으로 판정한 경우, 서브 디스플레이 출력부(130)에 현재 시각을 출력하도록 명령한다. 서브 디스플레이 출력부(130)는 비유지 시간 판정부(116)에 의해 입력된 현재 시각을 출력하는 명령에 따라서, 서브 디스플레이에 현재 시각을 표시한다. 그 후, 스텝 S1102로 되돌아간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 장치에 닿는 것을 검지하는 수단을 가짐으로써, 유저는 취침 중에, 어둠 속에서도 비교적 간단히 행할 수 있는 「휴대 전화 단말기에 닿는」 것만으로, 원하는 정보, 예를 들면 현재 시각을 입수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 장치에 닿는 것을 검지하는 수단으로서, 보수계로서 휴대 전화 단말기에 탑재가 진행되는 가속도 센서를 이용할 수 있다. 가속도 센서를 이용함으로써, 단말 장치에 새로운 부품을 추가하지 않고 실현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단말 장치의 코스트의 증가나 사이즈의 증대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일정 시간의 유지를 검지하지 않았던 경우에 화상 출력을 행하도록 함으로써, 필요 이상으로 표시가 행해지는 것을 피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유저는 취침 중이면, 수시간은 단말 장치가 정지 상태에 놓여진다. 그 때문에, 단말 장치에 닿는 것을 검지하는 수단에 의한 검지가, 소정 시간, 예를 들면 1시간 이상 유지가 없었던 것을 조건으로, 처리를 행할지를 판단하도록 하여도 된다.
단말 장치가 정지 상태가 아닌 경우에는, 유저는 그 동안, 그 단말 장치를 유지하고, 조작을 하여, 그 단말 장치로부터 정보를 얻을 수 있는 상태에 있는 것으로 상정할 수 있다. 한편, 단말 장치가 일정 시간의 정지 상태에 있다라고 하는 것은, 그 동안 단말 장치로부터 정보를 얻고 있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 그 때문에, 일정 시간의 정지 상태 후에 단말 장치가 유지된 경우에는, 유저는, 그 단말 장치로부터 얻고자 하는 정보는 많아질 것으로 상정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일정 시간의 정지 상태를 판단하고, 그 후의 유지에 의해, 필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유저에 대해, 효과적인 정보 제공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정보를 화상 출력함으로써, 단말 장치의 근방에 있는 제3자에 대해, 상기 음성에 의해 폐를 끼칠 우려가 없다. 또한, 서브 디스플레이에 표시함으로써, 메인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경우보다도, 유저에게 눈부심을 느끼게 하는 일이 없다.
<제6 실시예>
본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100)에 대해서,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단말 장치(100)에 따라서는, 현재 시각이 서브 디스플레이에 표시되고, 전력 절약화를 위해 백라이트가 꺼져 있는 경우가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 치(100)는, 이와 같이 현재 시각이 서브 디스플레이에 표시되고, 전력 절약화를 위해 백라이트가 꺼져 있는 단말 장치(100)에서, 서브 디스플레이의 백라이트를 점등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서브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현재 시각을 보기 쉽게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100)에서는, 비유지 시간 판정부(116)는 비유지 개시 시각 설정부(114)에 의해 입력된 유지되어 있지 않은 시각의 개시 시각과, 가속도 센서값 판정부(110)에 의해 입력된 유지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와, 리얼 타임 클럭(112)에 의해 입력된 클럭값에 기초하여, 유지되어 있지 않은 시간의 경과 시간을 구한다. 그리고, 비유지 시간 판정부(116)는, 그 유지되어 있지 않은 시간의 경과 시간에 기초하여, 그 경과 시간이 소정 시간 이상인 경우에는, 후술하는 서브 디스플레이 조명 점등부(132)에 서브 디스플레이의 백라이트를 점등하도록 명령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100)는,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단말 장치(100)와 음성 출력부(118) 대신에 서브 디스플레이 조명 점등부(132)를 갖는다. 서브 디스플레이 조명 점등부(132)는 서브 디스플레이의 백라이트를 점등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100)의 동작에 대해서,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100)의 스텝 S1302-스텝 S1312의 동작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스텝 S302-스텝 S312와 마찬가지이다.
스텝 S1312에서, 단말 장치(100)는 리얼 타임 클럭의 값이 소정 시간을 초과 하는 값으로 되었는지를 판단한다. 예를 들면, 가속도 센서값 판정부(110)는 가속도 센서값 A1과 가속도 센서값 A0이 상이한지의 여부의 판정 결과를, 비유지 시간 판정부(116)에 입력한다. 비유지 시간 판정부(116)는 가속도 센서값 판정부(110)에 의해 입력된 판정 결과에 기초하여, 그 판정 결과가 가속도 센서값 A1과 가속도 센서값 A0이 상이한 것을 나타내는 경우, 리얼 타임 클럭(112)에 의해 입력된 클럭값에 기초하여, 비유지 개시 시각 설정부(114)에 의해 입력된 비유지 개시 시각으로부터 소정 시간을 초과하였는지를 판단한다. 비유지 개시 시각으로부터 소정 시간을 초과하지 않은 경우(스텝 S1312 : "아니오"), 스텝 S1302로 되돌아간다. 비유지 개시 시각으로부터 소정 시간을 초과한 경우(스텝 S1312 : "예"), 단말 장치(100)는 서브 디스플레이의 백라이트를 온으로 한다(스텝 S1314). 예를 들면, 비유지 시간 판정부(116)는 비유지 개시 시각으로부터 소정 시간을 초과하는 것으로 판정한 경우, 서브 디스플레이 조명 점등부(132)에 서브 디스플레이의 백라이트를 점등하도록 명령한다. 서브 디스플레이 조명 점등부(132)는 비유지 시간 판정부(116)에 의해 입력된 서브 디스플레이의 백라이트를 점등하는 명령에 따라서, 서브 디스플레이의 백라이트를 점등한다. 그 후, 스텝 S1302로 되돌아간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 장치에 닿는 것을 검지하는 수단을 가짐으로써, 유저는 취침 중에, 어둠 속에서도 비교적 간단히 행할 수 있는 「휴대 전화 단말기에 닿는」 것만으로, 원하는 정보, 예를 들면 현재 시각을 입수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 장치에 닿는 것을 검지하는 수단으로서, 보수계로서 휴대 전화 단말기에 탑재가 진행되는 가속도 센서를 이용할 수 있다. 가 속도 센서를 이용함으로써, 단말 장치에 새로운 부품을 추가하지 않고 실현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단말 장치의 코스트의 증가나 사이즈의 증대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일정 시간의 유지를 검지하지 않았던 경우에 서브 디스플레이의 조명의 점등을 행하도록 함으로써, 필요 이상으로 조명의 점등이 행해지는 것을 피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유저는 취침 중이면, 몇시간은 단말 장치가 정지 상태에 놓여진다. 그 때문에, 단말 장치에 닿는 것을 검지하는 수단에 의한 검지가, 소정 시간, 예를 들면 1시간 이상 유지가 없었던 것을 조건으로, 처리를 행할지를 판단하도록 하여도 된다.
단말 장치가 정지 상태가 아닌 경우에는, 유저는 그 동안, 그 단말 장치를 유지하고, 조작을 하여, 그 단말 장치로부터 정보를 얻을 수 있는 상태에 있는 것으로 상정할 수 있다. 한편, 단말 장치가 일정 시간의 정지 상태에 있다라고 하는 것은, 그 동안 단말 장치로부터 정보를 얻고 있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그 때문에, 일정 시간의 정지 상태 후에 단말 장치가 유지된 경우에는, 유저는, 그 단말 장치로부터 얻고자 하는 정보는 많아질 것으로 상정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일정 시간의 정지 상태를 판단하고, 그 후의 유지에 의해, 필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유저에 대해, 효과적인 정보 제공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현재 시각이 서브 디스플레이에 표시되고, 전력 절약화를 위해 백라이트가 꺼져 있는 단말 장치(100)에서, 서브 디스플레이의 백라이트를 점등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서브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현재 시각을 보기 쉽게 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상, 본 발명을 몇 개의 실시예로 나누어 설명하였지만, 각 실시예의 구분은 본 발명에 본질적인 것은 아니며, 2 이상의 실시예가 필요에 따라서 사용되어도 된다. 발명의 이해를 촉구하기 위해 구체적인 수치예를 이용하여 설명하였지만,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그들 수치는 단순한 일례에 지나지 않고 적절한 어떠한 값이 사용되어도 된다.
이상,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를 참조하면서 설명되어 왔지만, 각 실시예는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고, 당업자는 다양한 변형예, 수정예, 대체예, 치환예 등을 이해할 것이다 설명의 편의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기능적인 블록도를 이용하여 설명되었지만, 그와 같은 장치는 하드웨어이고, 소프트웨어로 또는 그들 조합으로 실현되어도 된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정신으로부터 일탈하지 않고, 다양한 변형예, 수정예, 대체예, 치환예 등이 포함된다.
<부기 1>
유지된 것을 검지하는 수단과,
상기 검지하는 수단에 의해 해당 단말 장치가 유지된 것이 검지되었는지의 여부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조건을 충족시키는 것을 판단하는 수단과,
상기 판단하는 수단에 의해 상기 조건을 충족시키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 소정의 출력 처리를 행하는 수단
을 갖는 단말 장치.
<부기 2>
부기 1에 기재된 단말 장치에 있어서,
상기 검지하는 수단은, 가속도 센서, 각속도 센서, 힘 센서 및 정전 센서 중 적어도 1개를 포함하는 단말 장치.
<부기 3>
부기 2에 기재된 단말 장치에 있어서,
상기 판단하는 수단은, 상기 검지하는 수단에 의해 검지된 값이 전회의 값과 상이한지의 여부에 기초하여, 해당 단말 장치가 유지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말 장치.
<부기 4>
부기 1 내지 부기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단말 장치에 있어서,
상기 판단하는 수단은, 상기 검지하는 수단에 의해 해당 단말 장치가 유지된 것이 검지된 경우에, 전회의 유지된 시간으로부터 소정 시간 경과한 경우에, 상기 조건을 충족시키는 것으로 판단하는 단말 장치.
<부기 5>
부기 4에 기재된 단말 장치에 있어서,
상기 판단하는 수단은, 현재 시각이 미리 설정되는 시각의 범위에 포함되는 경우에, 상기 조건을 충족시키는 것으로 판단하는 단말 장치.
<부기 6>
부기 5에 기재된 단말 장치에 있어서,
상기 판단하는 수단은, 해당 단말 장치가, 음성 출력이 가능한 동작 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조건을 충족시키는 것으로 판단하는 단말 장치.
<부기 7>
부기 1 내지 부기 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단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출력 처리를 행하는 수단은, 그 소정의 출력을 음성 또는 표시에 의해 행하는 단말 장치.
<부기 8>
부기 7에 기재된 단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출력 처리를 행하는 수단은, 시각, 일기 예보 및 메일이 수신되어 있는 것 중 적어도 1개의 출력을 행하는 단말 장치.
<부기 9>
단말 장치가, 유지된 것을 검지하는 스텝과,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검지하는 스텝에 의해 그 단말 장치가 유지된 것이 검지되었는지의 여부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조건을 충족시키는 것을 판단하는 스텝과,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판단하는 스텝에 의해 상기 조건을 충족시키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 소정의 출력 처리를 행하는 스텝
을 갖는 방법.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를 나타내는 부분 블록도.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를 나타내는 부분 블록도.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도.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를 나타내는 부분 블록도.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도.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를 나타내는 부분 블록도.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도.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를 나타내는 부분 블록도.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도.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를 나타내는 부분 블록도.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도.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를 나타내는 부분 블록도.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단말 장치
102 : 가속도 센서
104 : 타이머
106 : 가속도 센서 판독부
108 : 가속도 센서값 유지부
110 : 가속도 센서값 판정부
112 : 리얼 타임 클럭
114 : 비유지 개시 시각 설정부
116 : 비유지 시간 판정부
118 : 음성 출력부
120 : 음성 출력 시각 판정부
122 : 음성 출력 모드 판정부
124 : 메일 수신 상황 확인부
126 : 메일 수신 상황 판정부
128 : 일기 예보 정보 획득ㆍ축적부
130 : 서브 디스플레이 출력부
132 : 서브 디스플레이 조명 점등부
152 : 중앙 연산 처리 장치(CPU : Central Processing Unit)
154 : ROM(Read Only Memory)
156 : RAM(Random Access Memory)
158 : 앰프
160 : 스피커

Claims (6)

  1. 유저에 의해 단말 장치가 유지된 것을 검지하는 수단과,
    상기 검지하는 수단에 의해 상기 단말 장치가 유지된 것이 검지된 경우, 미리 결정된 조건을 충족시키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수단과,
    상기 판단하는 수단에 의해 상기 조건을 충족시키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 소정의 출력 처리를 행하는 수단
    을 갖고,
    상기 판단하는 수단은,
    상기 단말 장치가 유저에 의해 유지되어 있지 않은 시각의 개시 시각을 설정하는 비유지 개시 시각 설정부와,
    상기 유지되어 있지 않은 시각의 개시 시각으로부터의 경과 시간이 소정의 시간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비유지 시간 판정부와,
    상기 비유지 시간 판정부에 의해 상기 경과 시간이 소정의 시간 이상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현재 시각을 나타내는 정보가 소정의 시간 범위에 포함되는지를 판단하는 출력 시각 판정부를 갖고,
    상기 현재 시각을 나타내는 정보가 소정의 시간 범위에 포함되는 경우에는, 음성에 의한 출력 처리를 행하는 단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지하는 수단은, 가속도 센서, 각속도 센서, 힘 센서 및 정전 센서 중 적어도 1개를 포함하는 단말 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출력 처리를 행하는 수단은, 그 소정의 출력을 다시 표시에 의해 행하는 단말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출력 처리를 행하는 수단은, 시각, 일기 예보 및 메일이 수신되어 있는 것 중 적어도 1개의 출력을 행하는 단말 장치.
  6. 유저에 의해 단말 장치가 유지된 것을 검지하는 스텝과,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검지하는 스텝에 의해 상기 단말 장치가 유지된 것이 검지된 경우, 미리 결정된 조건을 충족시키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스텝과,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판단하는 스텝에 의해 상기 조건을 충족시키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 소정의 출력 처리를 행하는 스텝
    을 갖고,
    상기 판단하는 스텝은,
    상기 단말 장치가 유저에 의해 유지되어 있지 않은 시각의 개시 시각을 설정하는 스텝과,
    상기 유지되어 있지 않은 시각의 개시 시각으로부터의 경과 시간이 소정의 시간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스텝과,
    상기 경과 시간이 소정의 시간 이상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현재 시각을 나타내는 정보가 소정의 시간 범위에 포함되는지를 판단하는 스텝을 갖고,
    상기 현재 시각을 나타내는 정보가 소정의 시간 범위에 포함되는 경우에는, 음성에 의한 출력 처리를 행하는 방법.
KR1020090017598A 2008-06-19 2009-03-02 단말 장치 및 방법 KR10126674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160936A JP5359046B2 (ja) 2008-06-19 2008-06-19 端末装置及び方法
JPJP-P-2008-160936 2008-06-19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8083A Division KR20110076852A (ko) 2008-06-19 2011-05-20 단말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32489A KR20090132489A (ko) 2009-12-30
KR101266748B1 true KR101266748B1 (ko) 2013-05-28

Family

ID=4143178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7598A KR101266748B1 (ko) 2008-06-19 2009-03-02 단말 장치 및 방법
KR1020110048083A KR20110076852A (ko) 2008-06-19 2011-05-20 단말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8083A KR20110076852A (ko) 2008-06-19 2011-05-20 단말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90318184A1 (ko)
JP (1) JP5359046B2 (ko)
KR (2) KR101266748B1 (ko)
CN (1) CN101610298B (ko)
TW (1) TW201002034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79781B2 (ja) * 2009-12-25 2012-11-21 楽天株式会社 携帯型端末装置及び携帯型端末装置用プログラム
JP5599239B2 (ja) 2010-06-28 2014-10-01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印刷装置及びその印刷方法
CN102752437A (zh) * 2011-04-19 2012-10-24 中国移动通信集团广东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及其手握响应方法
KR101515629B1 (ko) 2012-01-07 2015-04-27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부를 갖는 휴대단말의 이벤트 제공 방법 및 장치
CN103116412A (zh) * 2013-02-05 2013-05-22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开启音乐播放器的方法及系统
JP2014165659A (ja) * 2013-02-25 2014-09-08 Aiphone Co Ltd 携帯通話機器
KR101801554B1 (ko) 2013-07-11 2017-11-27 삼성전자주식회사 컨텐츠를 표시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방법
KR102158843B1 (ko) * 2013-08-05 2020-10-23 삼성전자주식회사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한 사용자 입력 방법 및 모바일 디바이스
CN104951217A (zh) * 2014-03-24 2015-09-30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信息处理方法及电子设备
CN104754139A (zh) * 2015-04-20 2015-07-01 深圳市欧珀通信软件有限公司 消息提示方法及装置
CN104902077B (zh) * 2015-04-29 2018-03-09 深圳市万普拉斯科技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信息通知的方法及其装置
CN104867478B (zh) * 2015-05-20 2017-12-12 胡桂钢 一种控制智能设备亮度的方法及智能设备
CN105245698A (zh) * 2015-09-23 2016-01-13 努比亚技术有限公司 一种控制铃声的方法及装置
CN108052960A (zh) * 2017-11-28 2018-05-18 深圳市金立通信设备有限公司 识别终端握持状态的方法、模型训练方法及终端
CN108595013B (zh) * 2018-05-15 2021-06-01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握持识别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48689A (ja) * 1991-08-20 1993-02-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コードレス電話装置
JP2000278383A (ja) * 1999-03-23 2000-10-06 Nec Saitama Ltd 携帯機器の表示照明構造及び表示照明方法。
JP4232351B2 (ja) * 2001-05-11 2009-03-04 日本電気株式会社 携帯電話機
JP2003152832A (ja) * 2001-11-13 2003-05-23 Yamaha Corp 携帯端末装置
CN1666169B (zh) * 2002-05-16 2010-05-05 索尼株式会社 输入方法和输入装置
JP3950825B2 (ja) * 2003-07-24 2007-08-01 埼玉日本電気株式会社 携帯電話装置並びにその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
KR20050019171A (ko) * 2003-08-18 2005-03-03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움직임을 감지하여 벨소리/진동량을 조절하는 방법 및이를 구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JP2006340171A (ja) * 2005-06-03 2006-12-14 Sanyo Electric Co Ltd 折畳式携帯電話装置
JP4375290B2 (ja) * 2005-06-29 2009-12-02 株式会社カシオ日立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 燃料電池内蔵型の携帯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CN100574481C (zh) * 2005-07-25 2009-12-23 索尼株式会社 信息处理装置及方法
JP2007089131A (ja) * 2005-07-25 2007-04-05 Sony Corp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記録媒体
US7633076B2 (en) * 2005-09-30 2009-12-15 Apple Inc. Automated response to and sensing of user activity in portable devices
SE531042C2 (sv) * 2005-12-29 2008-11-25 Gm Global Tech Operations Inc Gripdon och metod för att tillhandahålla ett gripd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610298A (zh) 2009-12-23
CN101610298B (zh) 2013-04-24
JP5359046B2 (ja) 2013-12-04
TW201002034A (en) 2010-01-01
US20090318184A1 (en) 2009-12-24
KR20110076852A (ko) 2011-07-06
JP2010004296A (ja) 2010-01-07
KR20090132489A (ko) 2009-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6748B1 (ko) 단말 장치 및 방법
JP4571690B2 (ja) モバイルデバイスの運動を介したユーザ入力に応じてモバイルデバイスを操作するための方法、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を記憶した記憶媒体
JP2006074477A (ja) 通信用端末装置、通信用端末装置の機能設定変更方法及びそのプログラム
WO2009090691A1 (ja) 携帯電子機器
KR20100082552A (ko)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 감지 장치 및 방법
JP2009296170A (ja) 携帯端末
WO2006080692A1 (en) Method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playing multimedia content
CN103037068A (zh) 自动切换振铃模式的方法及其电子装置
JP5851328B2 (ja) 携帯通信装置、通信方法、及び通信プログラム
JP2006197509A (ja) 放送電波受信機能付き携帯端末
JP2007201859A (ja) 着信制御システム及び着信制御方法
JP5157886B2 (ja) 携帯情報端末の報知方法、携帯情報端末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7013837A (ja) 携帯端末装置、報知パターンデータ作成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05069589A1 (ja) 携帯端末
KR20070045900A (ko) 휴대단말기에서 정보 분석 및 그에 따른 실행 방법
KR20070038374A (ko) 휴대단말기의 알람제어 방법
CN104113638A (zh) 一种利用感应器实现手机快速静音的方法及系统
KR20060027208A (ko) 휴대용 단말기의 호 착신 알림 모드 변경방법
KR101450534B1 (ko)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알람 제어 방법 및 제어 시스템
JP4446965B2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JP2006135634A (ja) 携帯型移動通信端末装置およびマナーモード設定方法
JP2006300695A (ja) アラーム機能付き携帯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15114187A (ja) 時刻通知装置、および時刻通知プログラム
KR101306700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위한 매너모드 자동 복귀 방법
JP4341366B2 (ja) 通信端末装置及びファイル再生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