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5752B1 - 단열 및 흡음을 위한 배관커버장치 - Google Patents

단열 및 흡음을 위한 배관커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5752B1
KR101265752B1 KR1020100087888A KR20100087888A KR101265752B1 KR 101265752 B1 KR101265752 B1 KR 101265752B1 KR 1020100087888 A KR1020100087888 A KR 1020100087888A KR 20100087888 A KR20100087888 A KR 20100087888A KR 101265752 B1 KR101265752 B1 KR 1012657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cover device
portions
pipe cover
heat insul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78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25781A (ko
Inventor
배신현
배정현
Original Assignee
(주)앤에이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앤에이피 filed Critical (주)앤에이피
Priority to KR10201000878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5752B1/ko
Publication of KR201200257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57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57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57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0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2Shape or form of insulating materials, with or without coverings integral with the insulating materials
    • F16L59/029Shape or form of insulating materials, with or without coverings integral with the insulating materials layer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00Layered products having a non-planar shape
    • B32B1/08Tubular produ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2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aluminium or cop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02Energy absorbers; Noise absorbers
    • F16L55/033Noise absor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6/00Composition of foam
    • B32B2266/12Gel
    • B32B2266/126Aerogel, i.e. a supercritically dried g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11/00Metals, their alloys or their compounds
    • B32B2311/24Alumini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97/00Tubular articles, e.g. hoses, pi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0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6Arrangements using an air layer or vacuu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Insulation (AREA)

Abstract

배관을 통해 온도 변화에 민감한 유체나 저온 및 고온의 유체 이송 시 단열 상태를 유지하는 것은 물론, 유체 이송 시 배관 내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차단하는 배관커버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된 배관커버장치는 배관을 감싸는 적어도 하나의 단열층; 상기 단열층을 감싸는 적어도 하나의 흡음층; 및 상기 흡음층을 감싸는 외부 재킷;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 상기 단열층은 에어로젤(Aerogel)로 이루어지고, 흡음층은 알루미늄 폼(Aluminum form) 또는 납 폼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Description

단열 및 흡음을 위한 배관커버장치{PIPE COVER APPARATUS FOR HEAT ISOLATION AND ACOUSTIC ABSORPTION}
본 발명은 배관커버장치에 관한 것으로, 온도 변화에 민감한 유체나 저온 및 고온의 유체를 이송하는 배관을 단열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배관커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뜨거운 난방 용수나 극저온 가스를 수송하는데 사용되는 배관은 내부를 흐르는 유체가 배관의 외부 온도에 영향을 받지 않고 가능한 온도를 장시간 유지하기 위해 우수한 단열특성이 요구된다.
이러한 단열 특성을 위해 종래에는 배관 외주에 직접 단열시트 등을 적층한 단열 배관을 사용하였다. 이 경우 배관이 노후화되어 배관의 단열부의 일부가 파손되면 새로운 단열 배관으로 교체해야 하는 등 유지보수가 용이하지 못하고 많은 비용이 소모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배관과 별도로 제작하여 배관 시공 후 배관의 외주에 부착하는 배관용 커버가 국내 등록특허 제650827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에 개시된 배관용 커버는 단열층을 구비하고 있으나 흡음을 위한 구성이 개시되어 있지 않아, 배관 내부에서 빠른 속도로 이송되는 유체에 의해 발생하는 소음으로 인해 정숙한 작업환경을 기대할 수 없었다.
더욱이 배관용 커버를 배관에 장착하기 위한 구조가 매우 복잡하므로 시공성이 나쁘고 작업효율이 현저히 낮은 문제가 있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배관을 통해 온도 변화에 민감한 유체나 저온 및 고온의 유체 이송 시 단열 상태를 유지하는 것은 물론, 유체 이송 시 배관 내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차단하는 배관커버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배관커버장치를 배관에 신속하고 용이하게 결합 및 분리할 수 있는 클램핑 구조를 구비한 배관커버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해 본 발명은, 배관을 감싸는 적어도 하나의 단열층; 상기 단열층을 감싸는 적어도 하나의 흡음층; 및 상기 흡음층을 감싸는 외부 재킷;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커버장치를 제공한다. 이 경우, 상기 단열층은 에어로젤(Aerogel)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단열층을 감싸는 다른 단열층을 포함하며, 상기 다른 단열층은 카본 파이버 및 세라믹 파이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흡음층은 흡음효과가 뛰어난 알루미늄 폼(Aluminum form) 또는 납 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배관용 커버는 상기 배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나누어지는 제1 및 제2 부분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및 제2 부분은 각각의 단면이 원호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및 제2 부분은 함께 상기 배관을 감쌀 때, 배관의 열 차단을 위해 상기 제1 및 제2 부분에 포함되어 있는 단열층 및 흡음층의 서로 맞닿는 단면이 동일 선상으로부터 어긋나게 배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부분의 단열층 또는 흡음층은 원주방향을 따라 동일 각도 회전한 상태로 배치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상기 제1 및 제2 부분은 서로 맞닿는 양측단 중 어느 한 측단이 상호 경첩 연결되며, 나머지 측단이 분리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및 제2 부분의 나머지 측단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외부 재킷이 연장되어 맞은편 외부 재킷에 오버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및 제2 부분은 서로 맞닿는 양측단이 각각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상기 제1 부분의 양측단 중 어느 일측단은 상기 제2 부분의 양측단 중 어느 일측단에 오버랩되도록 원주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부분의 양측단 중 나머지 측단은 상기 제2 부분의 양측단 중 나머지 측단에 오버랩되도록 원주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배관커버장치는 상기 배관을 따라 다수 개가 연속적으로 배치되면 서로 인접하는 상기 배관커버장치의 단열층 및 흡음층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상기 배관커버장치의 길이방향으로 오버랩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상기 제1 및 제2 부분은 서로 분리 가능하게 맞닿는 측단의 외부에 클램핑 유닛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클램핑 유닛은 상기 제1 및 제2 부분의 외부 재킷의 양 측단에 각각 형성된 한 쌍의 에지부에 배치되는 다수의 결합후크, 및 상기 다수의 결합후크와 분리 가능하게 끼움 결합되는 다수의 결합구멍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부분의 에지부에는 각각 상기 결합후크 및 결합구멍이 적어도 1열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부분의 에지부는 적어도 2단으로 단차지게 절곡 형성되며, 상기 에지부에는 상기 결합후크 및 결합구멍이 단차진 수에 대응하는 열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각 에지부의 동일한 열에는 각각 상기 결합후크 및 결합구멍이 적어도 한 쌍씩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부분의 일측단의 에지부에 형성된 상기 결합후크 및 결합구멍의 위치는 상기 제1 및 제2 부분의 타측단의 에지부에 형성된 상기 결합후크 및 결합구멍의 위치와 반대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부분의 일측단의 에지부에 2열 배치된 상기 결합후크 및 결합구멍의 위치는 서로 반대로 배치되고, 상기 제1 및 제2 부분의 타측단의 에지부에 2열로 배치된 상기 결합후크 및 결합구멍의 위치는 상기 제1 및 제2 부분의 일측단의 에지부에 2열로 배치된 상기 결합후크 및 결합구멍의 위치와 동일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외부 재킷은 재질이 스테인리스 스틸 또는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배관용 커버는 2중 단열층을 이용하여 초저온부터 고온까지(약 -200℃~650℃)의 넓은 온도범위에서 사용이 가능하며, 또한 소리 흡수율일 뛰어난 흡음층을 통해 유체 이송 시 배관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차단할 수 있어 정숙한 작업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배관용 커버를 일부분 분리형 또는 완전분리형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심플하면서 견고한 결합이 가능한 클램핑 구조를 채택함에 따라 시공 및 유지보수가 용이하므로 작업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커버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에 표시된 A방향에서 바라보는 도면,
도 3은 외부재킷의 일측단에 연장부를 형성한 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제1 단열층을 커버장치의 원주방향으로 소정 각도 회전하여 배치한 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제1 및 제2 단열층을 커버장치의 원주방향으로 소정 각도 회전하여 배치한 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제1 단열층을 커버장치의 길이방향으로 소정 길이 돌출하여 배치한 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제1 및 제2 단열층을 커버장치의 길이방향으로 소정 길이 돌출하여 배치한 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8은 커버장치의 제1 및 제2 부분이 완전 분리되는 구조를 가지는 다른 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9는 커버장치의 제1 및 제2 부분이 완전 분리되는 구조를 가지는 또 다른 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제1 부분의 결합돌기 및 수용홈의 배열을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제1 및 제2 부분 간의 연결 구조를 나타내는 확대단면도,
도 12는 커버장치의 제1 및 제2 부분이 완전 분리되는 구조를 가지는 또 다른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커버장치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의 파이프 커버장치(10)는 제1 부분(100) 및 제2 부분(200)을 포함하며, 제1 및 제2 부분(100,200)은 각각 및 외부 재킷(170,270)을 각각 포함한다.
도 2를 참고하면, 제1 및 제2 부분(100,200)은 배관(P)의 길이방향을 따라 대략 대칭으로 형성되며 각각의 단면이 대략 원호를 이룬다. 이러한 제1 및 제2 부분(100,200)은 일측이 상호 경첩(20)에 의해 피봇 연결되고 타측이 적어도 한쌍의 클램핑유닛(30)에 의해 상호 분리 가능하게 연결된다.
한쌍의 클램핑유닛(30)은 후크부(31), 연결고리(33) 및 록킹부(35)를 포함한다. 후크부(31)는 제1 부분(100)에 고정되며, 록킹부(35)는 제2 부분(200)에 고정되고, 이 경우 연결고리(33)는 록킹부(35)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배관커버장치(10)를 배관(P)에 결합시키는 경우, 제1 및 제2 부분(100,200)이 배관(P)을 감싸도록 한 뒤, 연결고리(33)를 후크부(31)에 걸고 록킹부(35)를 제1 부분(100) 측으로 당겨 연결고리(33)를 후크부(31)에 소정의 탄력을 가지는 상태로 연결한다. 반대로 배관커버장치(10)를 배관(P)으로부터 분리시키는 경우, 록킹부(35)를 제2 부분(200)측으로 선회시켜 연결고리(31)를 후크부(35)로부터 이탈시킨 뒤 제1 및 제2 부분(100,200)을 경첩(20)을 중심으로 선회시켜 감싸고 있던 배관(P)으로부터 분리한다.
제1 및 제2 부분(100,200)은 각각 배관(P)이 외부 온도에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기 위해, 각각 제1 단열층(110,210) 및 제2 단열층(130,230)을 포함하며, 배관(P)의 소음을 차단하기 위한 흡음층(150,250)과 외부 재킷(170,270)을 포함한다. 이 경우, 내측으로부터 제1 단열층(110,210), 제2 단열층(130,230), 흡음층(150,250) 및 외부 재킷(170,270) 순서로 적층된다.
제1 단열층(110,210)은 배관(P)의 외주면과 직접 접촉하며, 재질은 에어로젤(Aerogel)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에어로젤은 고체 상태의 물질로 젤에서 액체 대신 기체로 채워져 있고 초저밀도와 같은 현저한 물성을 나타내므로, 공기가 기공을 통해 순환할 수 없도록 대류를 효과적으로 차단함으로써 높은 단열 성능을 갖는다. 또한 에어로젤이 가지는 장점은 무게가 가볍고, 배관(P)을 통해 고온의 유체를 이송하는 경우 배관(P)에 직접 접촉한 상태에서 별도의 유독가스가 발생하지 않으며, 열전도도가 낮다. 이러한 제1 단열층(110,210)의 사용온도는 대략 -200℃~650℃ 범위로 설정된다.
제2 단열층(130,230)은 카본 파이버(carbon fiber) 또는 세라믹 파이버(ceramic fiber)인 고온복합단열재로 이루어지며, 제1 단열층(110,210)과 함께 사용할 경우 대략 1300℃의 열충격에도 견딜 수 있다. 이 경우 제2 단열층(130,230)은 카본 파이버 및 세라믹 파이버의 복합층으로 형성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이와 같은 제2 단열층(130,230)은 제1 단열층(110,210)과 함께 사용 시 2중으로 단열을 행함에 따라, 유독가스 발생을 유발하지 않으면서도 초고온에서의 열충격을 견디는 등 단열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사용되는 배관의 온도가 약 650℃ 이하인 경우 제2 단열층(130,230)을 생략하고 제1 단열층(110,210) 만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제1 단열층(110,210) 만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제1 단열층(110,210)의 두께를 더 늘리면 약 650℃ 이상에서도 제2 단열층(130,230) 없이 사용이 가능하다.
흡음층(150,250)은 제2 단열층(130,230)을 감싸며, 재질은 알루미늄 폼(Aluminum form)으로 이루어진다. 알루미늄 폼은 예를 들면, 알루미늄 잉곳을 용해한 후 첨가재료(예를 들면, 폐티타늄) 등을 사용한 특수 발포공정을 통해 제작되는 신소재로서 독립된 다공질의 기공과 박막의 셀로 이루어져 있어 전 주파수 대역에서 높은 흡음특성을 가진다. 또한 흡음층(150,250)은 알루미늄 폼으로 이루어지는 것은 물론 납 폼으로 이루어지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외부 재킷(170,270)은 흡음층(150,250)을 감싸며 제1 및 제2 부분(100,200)의 최외측에 배치되어 내부의 제1 및 제2 단열층(110,210;130,230)과 흡음층(150,250)을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한다.
이러한 외부 재킷(170,270)은 소정의 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금속재 예를 들면, 스테인리스 스틸 또는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진다. 이 경우, 외부 재킷(170,270)은 금속재 이외에도 소정 두께를 가지는 유리섬유 시트(미도시)를 사용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도 3을 참고하면, 외부 재킷(170,270)은 클램핑유닛(30)의 록킹부(35)가 설치된 제1 부분(100)의 외부 재킷(170) 측단을 따라 연장부(171)가 형성된다. 연장부(171)는 제1 및 제2 부분(100,200)을 상호 결합시킬 때 맞은편 제2 부분(200)의 외부 재킷(270) 외측에 일부 오버랩된다. 이에 따라 제1 및 제2 부분(100,200)의 서로 맞닿는 부분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차폐할 수 있으므로 배관(P)을 통과하는 유체의 열손실의 차단할 수 있다.
도 4를 참고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배관(P)을 통과하는 유체의 열손실을 차단하기 위한 다른 실시예로서, 제1 단열층(110,210)을 각각 제1 및 제2 부분(100,200)의 원주방향을 따라 동일 각도를 회전시킨 상태로 배치하여, 제1 단열층(110,210)의 일측단이 제2 단열층(130,230)의 일측단으로부터 소정 거리(A1) 돌출되도록 한다. 이 경우 제1 단열층(110,210)의 타측단은 제2 단열층(130,230)의 타측단으로부터 안쪽으로 소정 거리(A1) 만큼 들어간다.
상기와 같이 제1 단열층(110,210)이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및 제2 부분(100,200)을 결합하여 배관(P)을 감싸면 제1 단열층(110,210)은 서로 맞닿는 끝단면이 제2 단열층(130,230) 및 흡음층(150,250)의 서로 일치한 상태로 배치된 끝단면의 동일 선상으로부터 어긋나게 배열되면서 서로 제2 단열층(130,230)의 접촉부를 오버랩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열손실을 유발하는 제1 및 제2 부분(100,200) 간의 접촉부를 커버할 수 있다.
도 5를 참고하면, 상술한 열손실 방지를 위한 또 다른 실시예로서, 제1 단열층(110,210) 및 제2 단열층(130,230)을 각각 제1 및 제2 부분(100,200)의 원주방향을 따라 소정 각도로 회전 배열하여, 제1 및 제2 단열층(110,210;130,230)의 끝단이 각각 소정 거리(A2,A3) 만큼 돌출되도록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제1 및 제2 부분(100,200)을 상호 결합시킬 경우, 제2 단열층(130,230)이 제1 단열층(110,210)에 오버랩되고, 흡음층(150,250)은 제2 단열층(130,230)에 오버랩됨에 따라, 열손실을 유발하는 제1 및 제2 부분(100,200) 간의 접촉부를 2중으로 커버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도면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흡음층(150,250)을 커버장치(10)의 원주방향으로 소정 각도만큼 회전 배치하여 제1 및 제2 부분(100,200) 결합 시 외부 재킷(170,270)이 서로 접촉하는 끝단을 오버랩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제1 및 제2 단열층(110,210;130,230)과 함께 커버장치(10)의 원주방향으로 소정 각도만큼 순차적으로 회전 배치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도 6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의 배관커버장치(10a,10b)는 소정 길이로 형성하여 다수 개를 사용하여 배관(P)을 커버할 수 있다. 이 경우 각 커버장치(10a,10b)를 배관에 결합시킬 때, 커버장치(10a,10b)가 상호 접하는 부분이 완전히 폐쇄되지 않으므로 이 부분을 통해 열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각 커버장치(10a,10b) 간에 발생하는 열손실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각 커버장치(10a,10b)의 제1 단열층(110,210)을 커버장치(10a,10b)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여 제1 단열층(110,210)의 선단이 제2 단열층(130,230)의 선단으로부터 소정 길이(L1) 돌출되도록 배치한다. 이와 같이 제1 단열층(110,210)이 각각 제1 및 제2 부분(100,200)으로부터 동일한 길이(L1)만큼 돌출된 상태에서 각 커버장치(10a,10b)를 배관(P)에 순차적으로 결합하면, 제1 단열층(110,210)이 제2 단열층(130,230)에 오버랩되어 각 커버장치(10a,10b) 간에 접하는 부분으로 열손실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을 참고하면, 도 6과 같은 방법으로 제1 및 제2 단열층(110,210;130,230)을 순차적으로 소정 길이(L2,L3) 만큼 돌출시켜 각 커버장치(10a,10b) 간에 접촉하는 부분에서 발생하는 열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도면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흡음층(150,250)을 커버장치(10a,10b)의 길이방향으로 동일 길이만큼 각각 돌출시켜 각 커버장치(10a,10b)가 서로 접촉하는 끝단을 오버랩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제1 및 제2 단열층(110,210;130,230)과 함께 커버장치(10a,10b)의 길이방향으로 소정 길이만큼 순차적으로 돌출 배치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더욱이 본 실시예의 커버장치(10,10a,10b)는 도면으로 도시하지 않았으나, 제1 단열층(110,210), 제2 단열층(130,230) 및 흡음층(150,25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커버장치(10,10a,10b)의 원주방향 및 길이방향으로 동시에 돌출시켜 배치시켜 사용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도 8을 참고하면, 제1 및 제2 부분(100,200)이 완전히 분리될 수 있도록 경첩(20, 도 2 참고)을 생략하고, 이 부분에 클램프 유닛(30a)이 설치된다. 이에 따라 커버장치(10c)는 제1 및 제 2 부분(100,200)이 서로 접촉하는 양측단에 설치된 클램프 유닛(30,30a)을 통해 배관(P)에 결합할 수 있다.
도 8에 개시된 상호 분리형 커버장치(10c)는 도 3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 2 부분(100,200)의 각 외장 재킷(170,270)의 길이방향 측단을 오버랩시킬 수 있도록 각각 연장부(미도시)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호 분리형 커버장치(10c)는 도 4 내지 7과 같이, 제1 단열층(110,210), 제2 단열층(130,230) 및 흡음층(150,25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커버장치(10c)의 원주방향이나 길이방향으로 돌출 배치하거나, 원주방향 및 길이방향으로 동시에 돌출 배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는, 에어로젤로 이루어진 제1 단열층(110,210)과 함께 카본 파이버 또는 세라믹 파이버로 이루어진 제2 단열층(130,230)을 함께 사용함으로써 최적의 단열구조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알루미늄 폼으로 이루어진 흡음층(150,250)은 유체의 이송에 의해 발생하는 배관(P) 내 소음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커버장치는 제1 및 제2 부분(100,200)이 클램핑 유닛(30,30a)에 의해 상호 결합되는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제1 및 제2 부분(100,200)을 감싸는 밴드(미도시)에 의해 제1 및 제2 부분(100,200)을 결합시키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이 경우 밴드는 탄력을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허리띠에 구비된 통상의 버클구조와 같이 통상의 연결 및 분리구조를 함께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9를 참고하면, 제1 및 제2 부분(100,200)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완전 분리되는 구조를 구비한다. 이 경우, 도 9에 도시된 제1 및 제2 부분(100,200)은 그 연결구조가 도 8에 도시된 제1 및 제2 부분(100,200)과 상이하다.
즉, 제1 및 제2 부분(100,200)의 클램핑 유닛(30b,30c)은 상호 끼움결합방식으로 되어 있으며, 다수의 결합후크(177,277)와 결합구멍(179,279)을 포함한다. 다수의 결합후크(177,277) 및 결합구멍(179,279)은 제1 단열층(110,210), 제2 단열층(130,230) 및 흡음층(150,250)의 끝단을 감싸는 에지부(173,174;273,274)에 각각 2열로 배치된다.
이 경우, 제1 및 제2 부분(100,200)의 일측단에 형성된 에지부(173,273)는 제1 열(C1)과 인접한 제2 열(C2)에 각각 결합후크(177,277)와 결합구멍(179,279)이 적어도 한 쌍씩 배치되며, 제1 열(C1)에 배치된 결합후크(177,277) 및 결합구멍(179,279)은 제2 열(C2)에 배치된 결합후크(177,277) 및 결합구멍(179,279)과 반대로 배치된다. 이때 제1 및 제2 부분(100,200)의 타측단에 형성된 에지부(174,274)는 제1 및 제2 부분(100,200)의 일측단의 에지부(173,273)에 형성된 결합후크(177,277) 및 결합구멍(179,279)과 동일하게 배열된다.
이러한 배치는 제1 및 제2 부분(100,200)이 모두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음을 감안한 것이다. 즉, 제1 및 제2 부분(100,200)을 상호 결합하기 위해 오목한 부분이 서로 마주한 상태에서 결합후크(177,277)를 결합구멍(179,279)에 삽입하는 경우, 제1 부분(100)의 에지부(173,174)와 이에 대응하는 제2 부분(200)의 에지부(273,274)에 형성된 결합후크(177,277) 및 결합구멍(179,279)이 서로 짝을 이루어 결합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에지부(173,174;273,274) 중 하나(173,273)는 외부 재킷(170,270)의 일단부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절곡되고, 나머지 하나(174,274)는 용접 등의 다양한 접합방법을 통해 외부 재킷(170,270)의 타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에지부(173,174;273,274)는 제1 및 제2 열이 서로 단차지게 형성되어 있어 제1 및 제2 부분(100,200) 간의 틈새로 열손실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외부 재킷(170.270)의 타단부에는 각각 연장부(171,271)가 형성되어 있어, 제1 및 제2 부분(100,200)으로 배관(P)을 감싸는 경우 각각 맞은편 외부 재킷(170,270)의 일단부에 오버랩되어 열손실을 유발하는 제1 및 제2 부분(100,200) 간의 틈새를 2중으로 커버할 수 있다.
도 10을 참고하면, 제1 부분(100)의 에지부(173,174)에 형성된 다수의 결합후크(177)와 결합구멍(179)은 길이(L)가 모두 동일하게 형성되며, 에지부(173,174)의 선단부(F) 및 후단부(R)에 각각 인접하게 배치된 결합후크(177)와 결합구멍(179)의 설정 위치가 다소 상이하다.
즉, 에지부(173,174)의 선단부(F)에 인접한 결합후크(177)와 결합구멍(179)은 선단부(F)로부터 제1 길이(α) 만큼 이격되어 있고, 에지부(173,174)의 후단부(R)에 인접한 결합후크(177)와 결합구멍(179)은 후단부(R)로부터 제1 길이(α)보다 더 긴 제2 길이(L+α) 만큼 이격되어 있다. 이는 제1 및 제2 부분(100,200)을 상호 결합 시, 제1 및 제2 부분(100,200)의 선/후단부(F,R)에 단차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 경우, 제2 부분(200)의 에지부(273,274)에 형성된 다수의 결합후크(277)와 결합구멍(279)의 위치도 상술한 제1 부분(100)과 동일하게 설정된다.
도 11을 참고하면, 제1 부분(100)의 결합후크(177)는 제1 부분(100)의 길이방향으로 소정 높이 절곡 형성된다. 이 결합후크(177)에 대응하는 제2 부분(200)의 결합구멍(279)은 결합후크(177)가 결합구멍(279)에 삽입된 후 결합방향으로 가이드 하는 가이드부(279a)가 형성된다.
도 9 내지 도 11에서는 에지부(173,174;273,274)에 형성된 결합후크(177,277) 및 결합구멍(179,279)이 각각 2열(C1,C2)로 배치된 예를 설명하였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즉, 도 12와 같이 에지부(173,174;273,274)가 다단 절곡 없이 평면상으로 형성하고, 결합후크(177,277) 및 결합구멍(179,279)이 에지부(173,174;273,274)에 각각 1열(C3)로 배치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이 경우, 도 12에 도시된 제1 및 제2 부분(100,200)은 도 9에 도시된 제1 및 제2 부분(100,200)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10,10a,10b,10c: 커버장치
30,30a,30b,30c,30d: 클램핑 유닛
100: 제1 부분 110,210: 제1 단열층
130:230: 제2 단열층 150,250: 흡음층
170,270: 외부 재킷 200: 제2 부분
177,277: 결합후크 179,279: 결합구멍

Claims (16)

  1. 유체를 이송하는 배관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배관커버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관의 길이 방향을 따라 단면이 원호를 이루도록 나누어지는 제1 및 제2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부분은 각각
    외부 재킷;
    상기 외부 재킷의 내면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흡음층; 및
    상기 흡음층의 내면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단열층;을 포함하며,
    상기 배관커버장치를 상기 배관에 설치하면 상기 단열층이 상기 배관의 외주면과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커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층은 에어로젤(Aerogel)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커버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층을 감싸는 다른 단열층을 포함하며, 상기 다른 단열층은 카본 파이버 및 세라믹 파이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커버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음층은 알루미늄 폼(Aluminum form) 또는 납 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커버장치.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부분은 함께 상기 배관을 감쌀 때, 상기 제1 및 제2 부분에 포함되어 있는 상기 단열층 및 흡음층의 서로 맞닿는 단면이 동일 선상으로부터 어긋나게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커버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부분의 단열층 또는 흡음층은 원주방향을 따라 동일 각도 회전한 상태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커버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부분은 서로 맞닿는 양측단 중 어느 한 측단이 상호 경첩 연결되며, 나머지 측단이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커버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부분의 나머지 측단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외부 재킷이 연장되어 맞은편 외부 재킷에 오버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커버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부분은 서로 맞닿는 양측단이 각각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커버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의 양측단 중 어느 일측단은 상기 제2 부분의 양측단 중 어느 일측단에 오버랩되도록 원주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부분의 양측단 중 나머지 측단은 상기 제2 부분의 양측단 중 나머지 측단에 오버랩되도록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커버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관커버장치는 상기 배관을 따라 다수 개가 연속적으로 배치되면 서로 인접하는 상기 배관커버장치의 단열층 및 흡음층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상기 배관커버장치의 길이방향으로 오버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커버장치.
  13. 제8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부분은 서로 분리 가능하게 맞닿는 측단의 외부에 클램핑 유닛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커버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 유닛은 상기 제1 및 제2 부분의 외부 재킷의 양 측단에 각각 형성된 한쌍의 에지부에 배치되는 다수의 결합후크, 및 상기 다수의 결합후크와 분리 가능하게 끼움 결합되는 다수의 결합구멍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커버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부분의 에지부에는 각각 상기 결합후크 및 결합구멍이 적어도 1열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커버장치.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재킷은 재질이 스테인리스 스틸 또는 알루미늄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커버장치.
KR1020100087888A 2010-09-08 2010-09-08 단열 및 흡음을 위한 배관커버장치 KR1012657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7888A KR101265752B1 (ko) 2010-09-08 2010-09-08 단열 및 흡음을 위한 배관커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7888A KR101265752B1 (ko) 2010-09-08 2010-09-08 단열 및 흡음을 위한 배관커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5781A KR20120025781A (ko) 2012-03-16
KR101265752B1 true KR101265752B1 (ko) 2013-06-27

Family

ID=461319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7888A KR101265752B1 (ko) 2010-09-08 2010-09-08 단열 및 흡음을 위한 배관커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575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299379A (zh) * 2014-06-10 2016-02-03 上海梅山钢铁股份有限公司 一种管道隔音装置及隔音方法
EP3581841A4 (en) * 2017-02-13 2020-12-16 Joint Stock Company "Experimental And Design Organisation "Gidropress" Awarded The Order of The Red Banner of Labour And Czsr Order of Labour THERMAL INSULATION DEVICE FOR PIPE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758030A (zh) * 2014-12-15 2016-07-13 广西吉顺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保温管
CN108413182A (zh) * 2018-03-10 2018-08-17 重庆三二绝热制品有限公司 一种管路绝热结构
KR101992062B1 (ko) * 2018-11-19 2019-09-30 (주)셀텍월드 소음방지를 위한 비행기 엔진 성능 시험장치
CN112082006A (zh) * 2020-09-14 2020-12-15 李明辉 一种汽车进出气管路结构及其包覆工艺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76892A (ja) * 1987-12-29 1989-07-13 Hitachi Zosen Corp 消音器
JPH10160089A (ja) * 1996-11-26 1998-06-16 Hokkaido Sekisui Kogyo Kk 配管の凍結防止装置
JP2000304166A (ja) * 1999-04-21 2000-11-02 Tigers Polymer Corp 防音性ホース
KR100763430B1 (ko) * 2006-11-23 2007-10-04 (주)에스케이아이 보온단열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76892A (ja) * 1987-12-29 1989-07-13 Hitachi Zosen Corp 消音器
JPH10160089A (ja) * 1996-11-26 1998-06-16 Hokkaido Sekisui Kogyo Kk 配管の凍結防止装置
JP2000304166A (ja) * 1999-04-21 2000-11-02 Tigers Polymer Corp 防音性ホース
KR100763430B1 (ko) * 2006-11-23 2007-10-04 (주)에스케이아이 보온단열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299379A (zh) * 2014-06-10 2016-02-03 上海梅山钢铁股份有限公司 一种管道隔音装置及隔音方法
EP3581841A4 (en) * 2017-02-13 2020-12-16 Joint Stock Company "Experimental And Design Organisation "Gidropress" Awarded The Order of The Red Banner of Labour And Czsr Order of Labour THERMAL INSULATION DEVICE FOR PIP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5781A (ko) 2012-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1664B1 (ko) 히팅층을 구비한 배관커버장치
KR101265752B1 (ko) 단열 및 흡음을 위한 배관커버장치
JP6073891B2 (ja) パイプ・アンカ
US20110088805A1 (en) Heat insulator suitable for a vehicle exhaust pipe
KR20140080644A (ko) 듀얼 머플러
CN102954309A (zh) 一种蒸汽直埋管
KR100915630B1 (ko) 배관용 단열커버 및 그 시공방법
CN205371958U (zh) 可拆卸式法兰隔热保温护套
JP2010032015A (ja) 真空断熱構造水道管
KR101339856B1 (ko) 신축이음관 제조방법
CN202955402U (zh) 一种蒸汽直埋管
CN108953845B (zh) 分温度段的管道保温结构及管道
CN208651810U (zh) 一种保温型架空管固定支架
CN214946975U (zh) 一种含有管道保温结构的管道
CN220688432U (zh) 一种带有气凝胶的复合保温套
CN219912245U (zh) 一种用于蒸汽传输的保温管道
CN213576249U (zh) 一种管道保温结构
JP6726129B2 (ja) 配管の保温装置及びその施工方法
CN219159770U (zh) 一种拼装式供热管道
JP2009228837A (ja) 保温カバー
CN218094951U (zh) 一种lng管道气凝胶毯绝热保温系统
CN213271609U (zh) 一种塑套钢保温管塑套层连接结构
CN218293691U (zh) 一种排气管柔性节
CN210890617U (zh) 一种供热管道防冻装置
JP5547465B2 (ja) 真空断熱配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4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