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9443B1 - 배관용 단열장치 - Google Patents

배관용 단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9443B1
KR101889443B1 KR1020180001650A KR20180001650A KR101889443B1 KR 101889443 B1 KR101889443 B1 KR 101889443B1 KR 1020180001650 A KR1020180001650 A KR 1020180001650A KR 20180001650 A KR20180001650 A KR 20180001650A KR 101889443 B1 KR101889443 B1 KR 1018894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fastening
heat insulating
finishing
finishing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16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기
Original Assignee
(주)동인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동인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동인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800016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9443B1/ko
Priority to PCT/KR2018/000687 priority patent/WO2019135434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94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94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0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2Shape or form of insulating materials, with or without coverings integral with the insulating materials
    • F16L59/021Shape or form of insulating materials, with or without coverings integral with the insulating materials comprising a single piece or sleeve, e.g. split sleeve, two half sleeves
    • F16L59/024Shape or form of insulating materials, with or without coverings integral with the insulating materials comprising a single piece or sleeve, e.g. split sleeve, two half sleeves composed of two half slee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0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10Bandages or covers for the protection of the insulation, e.g. against the influence of the environment or against mechanical dama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0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14Arrangements for the insulation of pipes or pipe systems
    • F16L59/147Arrangements for the insulation of pipes or pipe systems the insulation being located inwardly of the outer surface of the pi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배관용 단열장치는, 배관의 폭방향 일측과 타측을 감싸는 제1 단열재 및 제2 단열재; 연성을 갖는 시트구조로 제작되어 상기 제1 단열재의 외측면을 덮는 제1 마감커버; 금속판으로 제작되어 상기 제2 단열재의 외측면을 덮는 제2 마감커버; 상기 제1 단열재와 제2 단열재의 표면 중 상기 제1 마감커버 또는 제2 마감커버에 의해 덮이지 아니한 부위를 덮으며, 폭방향 양측이 두 겹으로 겹쳐지도록 폴딩되는 제1 보호시트 및 제2 보호시트; 상기 제1 마감커버와 제2 마감커버를 결합시키는 체결수단; 상기 제1 마감커버의 폭방향 양단이 각각 삽입되는 한 쌍의 제1 체결소켓; 상기 제2 마감커버의 폭방향 양단이 각각 삽입되는 한 쌍의 제2 체결소켓; 상기 제1 체결소켓과 제2 체결소켓이 서로 마주보는 면에 삽입되는 체결패킹; 상기 제1 보호시트 중 두 겹으로 겹쳐진 폭방향 일측을 관통한 후 상기 제1 체결소켓 중 상기 제1 마감커버가 삽입된 부위를 관통하도록 체결되고, 상기 제2 보호시트 중 두 겹으로 겹쳐진 폭방향 일측을 관통한 후 상기 제2 체결소켓 중 상기 제2 마감커버가 삽입된 부위를 관통하도록 체결되는 다수 개의 체결리벳; 상기 제1 보호시트와 제2 보호시트의 폭방향 양측 중 접힌 부위에 삽입되는 고정와이어; 상기 체결리벳의 헤드가 안착되는 체결와셔;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배관용 단열장치 {PIPE INSULATION APPARATUS}
본 발명은 배관의 외측면을 둘러싸도록 설치되는 배관용 단열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배관에 착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되 좁은 공간에서도 설치가 용이한 배관용 단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오피스 빌딩, 산업용 건물 및 아파트 등의 건물에는 각종 배관 설비들이 설치되며, 이러한 배관 설비들은 보온 및 보냉 또는 부가적으로 배관설비의 수명연장 및 외관디자인을 위한 목적으로 보온 커버들이 설치되어 사용되며, 이러한 보온 커버는 주로 배관 설비에 있어 밸브, T형관, 엘보우, 직관 등에 사용된다.
특히, 발전소(원자력, 화력 등) 및 석유화학플랜트 등에는 보일러에서 생산된 고온 고압의 증기가 터빈에 회전력을 제공하여 최종적으로 전기적 에너지를 생산하는 것으로, 고온 고압의 증기와 온수는 배관을 통하여 각 계통별로 빠른 속도로 이송되고 있으며, 이송과정 중 배관 내부의 유체마찰 및 캐비테이션(Cavitation) 등에 의한 배관 두께가 얇아져 정상운전 중 계통의 안전사고를 유발시킬 수 있는 위험성이 잠재하고 있어 발전설비의 계획 예방정비 중에 배관의 감육상태(부식 등의 원인으로 인해 배관의 벽이 얇아지는 상태) 점검으로 설비의 건전성을 확인하고 있다.
감육검사를 실시할 때 기존의 단열재로 시공된 경우에는 배관의 외부에 마감된 금속재질의 마감커버 및 단열재 등을 순차적으로 철거한 후에 감육검사를 실시하며, 감육검사가 완료된 이후에는 새로운 단열재를 부착하고, 마감커버로 마감하는 방식으로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감육검사 후의 단열재 시공방식은 매년 철거되는 단열재 및 마감커버의 폐기량으로 인해 자재의 막대한 낭비를 불러일으키고, 특히 엘보 또는 T-이음 부분의 경우에는 직관의 단열재 설치에 비해 고도의 숙련된 기능이 요구될 뿐만 아니라 잘못 시공된 경우 단열틈새(thermal notch)의 발생으로 인해 열피로현상(thermal stress)가 증가하여 그 부분에 대한 감육현상이 현저하게 진행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전체 배관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탈부착이 용이하고, 단열틈새 발생을 최소화함으로써 배관의 감육검사 및 단열재의 시공작업을 매우 간편하게 할 수 있는 배관용 단열장치가 제안된바 있다. 이러한 배관용 단열장치는 시공의 편의성 및 단열성이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으나, 외부커버가 금속으로 제작되므로 배관과 벽체 사이의 공간이 좁은 경우 시공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물론, 금속 재질의 외부커버를 설치하지 아니하고 소프트한 단열재만을 설치하면 배관 주변의 공간이 좁더라도 시공이 가능해지지만, 단열재가 직접 외부로 노출되면 단열재의 수명이 짧아지고 단열재가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지 못하게 된다는 단점이 있다.
KR 10-1184392 B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착탈 가능한 구조로 배관을 둘러싸도록 장착되되, 배관 주변의 공간이 좁더라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단열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배관용 단열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배관용 단열장치는, 배관의 폭방향 일측과 타측을 감싸는 제1 단열재 및 제2 단열재; 연성을 갖는 시트구조로 제작되어 상기 제1 단열재의 외측면을 덮는 제1 마감커버; 금속판으로 제작되어 상기 제2 단열재의 외측면을 덮는 제2 마감커버; 상기 제1 단열재와 제2 단열재의 표면 중 상기 제1 마감커버 또는 제2 마감커버에 의해 덮이지 아니한 부위를 덮으며, 폭방향 양측이 두 겹으로 겹쳐지도록 폴딩되는 제1 보호시트 및 제2 보호시트; 상기 제1 마감커버와 제2 마감커버를 결합시키는 체결수단; 상기 제1 마감커버의 폭방향 양단이 각각 삽입되는 한 쌍의 제1 체결소켓; 상기 제2 마감커버의 폭방향 양단이 각각 삽입되는 한 쌍의 제2 체결소켓; 상기 제1 체결소켓과 제2 체결소켓이 서로 마주보는 면에 삽입되는 체결패킹; 상기 제1 보호시트 중 두 겹으로 겹쳐진 폭방향 일측을 관통한 후 상기 제1 체결소켓 중 상기 제1 마감커버가 삽입된 부위를 관통하도록 체결되고, 상기 제2 보호시트 중 두 겹으로 겹쳐진 폭방향 일측을 관통한 후 상기 제2 체결소켓 중 상기 제2 마감커버가 삽입된 부위를 관통하도록 체결되는 다수 개의 체결리벳; 상기 제1 보호시트와 제2 보호시트의 폭방향 양측 중 접힌 부위에 삽입되는 고정와이어; 상기 체결리벳의 헤드가 안착되는 체결와셔;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 마감커버는, 상기 제1 단열재의 외측면을 감싸는 은박페브릭과, 상기 은박페브릭의 외측면을 감싸는 금속망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2 마감커버는, 복수 개의 조각편과, 상기 복수 개의 조각편을 연결하는 복수 개의 연결샤시로 구성되고, 상기 연결샤시는, 어느 하나의 조각편 끝단이 삽입되는 제1 삽입홈과, 다른 하나의 조각편 끝단이 삽입되는 제2 삽입홈과, 상기 제1 삽입홈 및 상기 제2 삽입홈의 내부 일측면에 형성되는 제1 돌기와, 상기 제1 삽입홈 및 상기 제2 삽입홈의 내부 타측면에 형성되는 제2 돌기를 구비한다.
상기 배관용 단열장치는, 길이방향 일단이 상기 제1 보호시트에 결합되고 길이방향 타단이 상기 제1 단열재를 관통하여 상기 제1 마감커버에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제1 연결시트와, 길이방향 일단이 상기 제2 보호시트에 결합되고 길이방향 타단이 상기 제2 단열재를 관통하여 상기 제2 마감커버에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제2 연결시트를 더 포함한다.
상기 배관용 단열장치는, 상기 제1 마감커버 및 제2 마감커버의 내측면으로부터 상기 배관의 중심을 향해 연장되는 외측관과, 길이방향 일단이 상기 외측관 내부에 삽입되고 길이방향 타단이 상기 제1 보호시트 및 제2 보호시트에 안착되는 내측관과, 상기 외측관 및 내측관의 외주면을 감싸는 코일스프링 형상을 이루되 길이방향 양단이 상기 제1 마감커버와 제1 보호시트에 안착되거나 상기 제2 마감커버와 제2 보호시트에 안착되는 탄성체로 구성되는 방진수단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제1 마감커버의 내측면 중 상기 외측관이 결합되는 지점에 설치되는 보강판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제1 체결소켓은, 상기 제2 체결소켓의 외측면을 덮는 연장편을 더 포함한다.
상기 배관용 단열장치는, 링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 마감커버와 제2 마감커버의 길이방향 양단이 삽입되는 한 쌍의 연결소켓; 두 개의 마감커버가 길이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열될 때, 상호 마주보는 두 개의 연결소켓 사이에 삽입되는 링형상의 연결패킹; 상호 마주보는 두 개의 연결소켓을 덮도록 장착되어 일렬로 배열된 두 개의 마감커버를 일체로 결합시키며, 상기 연결소켓을 향하는 내측면에 커넥터패킹이 구비되는 커넥터링; 상기 제1 보호시트의 길이방향 일측 또는 제2 보호시트의 길이방향 일측을 관통한 후, 상기 연결소켓 중 상기 제1 마감커버 또는 제2 마감커버가 삽입된 부위를 관통하도록 체결되는 다수 개의 연결리벳;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제1 마감커버는 상기 연결소켓에 삽입되는 부위가 두 겹으로 겹쳐지도록 폴딩되며, 상기 제1 마감커버의 폴딩된 부위에 삽입되는 보강판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제1 보호시트와 제2 보호시트의 길이방향 양측은, 상기 연결리벳이 관통되는 부위가 두 겹으로 겹쳐지도록 폴딩되며, 상기 제1 보호시트와 제2 보호시트의 길이방향 양측 중 폴딩된 부위에 삽입되는 고정링과, 상기 연결리벳의 헤드가 안착되는 연결와셔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배관용 단열장치는, 배관의 폭방향 일측과 타측을 감싸는 반원통 형상의 제1 단열재 및 제2 단열재; 연성을 갖는 시트구조로 제작되어 상기 제1 단열재의 외측면을 덮는 제1 마감커버; 연성을 갖는 시트구조로 제작되어 상기 제2 단열재의 외측면을 덮는 제2 마감커버; 상기 제1 단열재와 제2 단열재의 표면 중 상기 제1 마감커버 또는 제2 마감커버에 의해 덮이지 아니한 부위를 덮으며, 폭방향 양측이 두 겹으로 겹쳐지도록 폴딩되는 제1 보호시트 및 제2 보호시트; 상기 제1 마감커버와 제2 마감커버를 결합시키는 체결수단; 상기 제1 마감커버의 폭방향 양단이 각각 삽입되는 한 쌍의 제1 체결소켓; 상기 제2 마감커버의 폭방향 양단이 각각 삽입되는 한 쌍의 제2 체결소켓; 상기 제1 체결소켓과 제2 체결소켓이 서로 마주보는 면에 삽입되는 체결패킹; 상기 제1 보호시트 중 두 겹으로 겹쳐진 폭방향 일측을 관통한 후 상기 제1 체결소켓 중 상기 제1 마감커버가 삽입된 부위를 관통하도록 체결되고, 상기 제2 보호시트 중 두 겹으로 겹쳐진 폭방향 일측을 관통한 후 상기 제2 체결소켓 중 상기 제2 마감커버가 삽입된 부위를 관통하도록 체결되는 다수 개의 체결리벳; 상기 제1 보호시트와 제2 보호시트의 폭방향 양측 중 접힌 부위에 삽입되는 고정와이어; 상기 체결리벳의 헤드가 안착되는 체결와셔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 마감커버는, 상기 제1 단열재의 외측면을 감싸는 은박페브릭과, 상기 은박페브릭의 외측면을 감싸는 금속망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2 마감커버는, 상기 제2 단열재의 외측면을 감싸는 은박페브릭과, 상기 은박페브릭의 외측면을 감싸는 금속망으로 구성된다.
상기 배관용 단열장치는, 길이방향 일단이 상기 제1 보호시트에 결합되고 길이방향 타단이 상기 제1 단열재를 관통하여 상기 제1 마감커버에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제1 연결시트와, 길이방향 일단이 상기 제2 보호시트에 결합되고 길이방향 타단이 상기 제2 단열재를 관통하여 상기 제2 마감커버에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제2 연결시트를 더 포함한다.
상기 배관용 단열장치는, 상기 제1 마감커버 및 제2 마감커버의 내측면으로부터 상기 배관의 중심을 향해 연장되는 외측관과, 길이방향 일단이 상기 외측관 내부에 삽입되고 길이방향 타단이 상기 제1 보호시트 및 제2 보호시트에 안착되는 내측관과, 상기 외측관 및 내측관의 외주면을 감싸는 코일스프링 형상을 이루되 길이방향 양단이 상기 제1 마감커버와 제1 보호시트에 안착되거나 상기 제2 마감커버와 제2 보호시트에 안착되는 탄성체로 구성되는 방진수단을 더 포함한다.
상기 배관용 단열장치는, 상기 제1 마감커버의 내측면과 상기 제2 마감커버의 내측면 중 상기 외측관이 결합되는 지점에 설치되는 보강판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제1 체결소켓은, 상기 제2 체결소켓의 외측면을 덮는 연장편을 더 포함한다.
상기 배관용 단열장치는, 링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 마감커버와 제2 마감커버의 길이방향 양단이 삽입되는 한 쌍의 연결소켓; 두 개의 마감커버가 길이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열될 때, 상호 마주보는 두 개의 연결소켓 사이에 삽입되는 링형상의 연결패킹; 상호 마주보는 두 개의 연결소켓을 덮도록 장착되어 일렬로 배열된 두 개의 마감커버를 일체로 결합시키며, 상기 연결소켓을 향하는 내측면에 커넥터패킹이 구비되는 커넥터링; 상기 제1 보호시트의 길이방향 일측 또는 제2 보호시트의 길이방향 일측을 관통한 후, 상기 연결소켓 중 상기 제1 마감커버 또는 제2 마감커버가 삽입된 부위를 관통하도록 체결되는 다수 개의 연결리벳;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제1 마감커버와 상기 제2 마감커버는, 상기 연결소켓에 삽입되는 부위가 두 겹으로 겹쳐지도록 폴딩되며, 상기 제1 마감커버와 제2 마감커버의 폴딩된 부위에 삽입되는 보강판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제1 보호시트와 제2 보호시트의 길이방향 양측은, 상기 연결리벳이 관통되는 부위가 두 겹으로 겹쳐지도록 폴딩되며, 상기 제1 보호시트와 제2 보호시트의 길이방향 양측 중 폴딩된 부위에 삽입되는 고정링과, 상기 연결리벳의 헤드가 안착되는 연결와셔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배관용 단열장치는, 착탈 가능한 구조로 배관을 둘러싸도록 장착되어 유지 및 보수가 용이하고, 배관 주변의 공간이 좁더라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하며, 단열성이 매우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배관용 단열장치의 분해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배관용 단열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3 및 도 4는 제2 마감커버의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5는 제2 마감커버의 결합구조를 도시하는 확대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은 체결수단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배관용 단열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9는 제1 마감커버와 제2 마감커버의 결합구조를 도시하는 확대단면도이다.
도 10은 두 개의 마감커버가 길이방향으로 일렬로 배열된 형상을 도시한다.
도 11 및 도 12은 두 개의 마감커버가 결합되는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배관용 단열장치 제2 실시예의 측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한 배관용 단열장치 제3 실시예의 횡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의한 배관용 단열장치 제4 실시예의 종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에 의한 배관용 단열장치 제5 실시예의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배관용 단열장치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배관용 단열장치의 분해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배관용 단열장치의 측면도이며, 도 3 및 도 4는 제2 마감커버의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배관용 단열장치는 고온 고압의 증기나 온수가 흐르는 배관(10)을 둘러싸도록 장착되어, 배관(10)의 단열성을 높임과 동시에 외부 충격에 의한 배관(1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으면서, 배관(10) 주변의 공간이 협소하더라도 용이하게 설치를 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는 점에 구성상의 가장 큰 특징이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한 배관용 단열장치는, 배관(10)의 폭방향 일측과 타측을 감싸는 반원통 형상의 제1 단열재(110) 및 제2 단열재(120)와, 연성을 갖는 시트구조로 제작되어 상기 제1 단열재(110)의 외측면을 덮는 제1 마감커버(210)와, 금속판으로 제작되어 상기 제2 단열재(120)의 외측면을 덮는 제2 마감커버(220)와, 상기 제1 단열재(110)와 제2 단열재(120)의 표면 중 상기 제1 마감커버(210) 또는 제2 마감커버(220)에 의해 덮이지 아니한 부위를 덮으며 폭방향 양측이 두 겹으로 겹쳐지도록 폴딩되는 제1 보호시트(310) 및 제2 보호시트(320)와, 상기 제1 마감커버(210)와 제2 마감커버(220)를 결합시키는 체결수단(500)과, 상기 제1 마감커버(210)의 폭방향 양단이 각각 삽입되는 한 쌍의 제1 체결소켓(710)과, 상기 제2 마감커버(220)의 폭방향 양단이 각각 삽입되는 한 쌍의 제2 체결소켓(720)과, 상기 제1 체결소켓(710)과 제2 체결소켓(720)이 서로 마주보는 면에 삽입되는 체결패킹(740)과, 상기 제1 보호시트(310) 중 두 겹으로 겹쳐진 폭방향 일측을 관통한 후 상기 제1 체결소켓(710) 중 상기 제1 마감커버(210)가 삽입된 부위를 관통하도록 체결되고, 상기 제2 보호시트(320) 중 두 겹으로 겹쳐진 폭방향 일측을 관통한 후 상기 제2 체결소켓(720) 중 상기 제2 마감커버(220)가 삽입된 부위를 관통하도록 체결되는 다수 개의 체결리벳(730)과, 상기 제1 보호시트(310)와 제2 보호시트(320)의 폭방향 양측 중 접힌 부위에 삽입되는 고정와이어(330)와, 상기 체결리벳(730)의 헤드가 안착되는 체결와셔(8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 마감커버(210)와 제2 마감커버(220)는 상호 결합되었을 때 원통 형상을 이루는 하나의 마감커버(200)를 이루게 된다. 이때 상기 제1 마감커버(210)와 제2 마감커버(220) 중 어느 하나는 외부 충격에 대한 강성을 가질 수 있도록 알루미늄 합금 등과 같은 금속으로 제작되고, 상기 제1 마감커버(210)와 제2 마감커버(220) 중 다른 하나는 외부로부터 힘이 가해졌을 때 쉽게 변형될 수 있도록 연성을 갖는 시트구조로 제작된다는 점에 구성상의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이 제1 마감커버(210)가 연성의 시트로 제작되면, 배관(10) 주변으로 파이프 또는 덕트가 지나가거나 배관(10)과 건물 벽체가 인접하게 배치되어 있다 하더라도, 상기 제1 마감커버(210)를 휘거나 굽혀가면서 배관(10)에 장착시킬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에 의한 배관용 단열장치는 배관(10) 주변의 공간이 협소하더라도 매우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 제1 마감커버(210)는 상기 제1 단열재(110)의 외측면을 감싸면서 열반사 기능을 가질 수 있도록 연성의 은박페브릭(212)으로 적용될 수 있는데, 상기 은박페브릭(212)이 외부로 직접 노출되면 쉽게 찢어지거나 손상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마감커버(210)는 상기 은박페브릭(212)의 외측면을 덮도록 장착되어 상기 은박페브릭(212)을 보호하는 금속망(214)을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금속망(214)의 재질이나 그물패턴은 설계자의 선택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제1 보호시트(310)와 제2 보호시트(320)는 제1 단열재(110)와 제2 단열재(120)의 표면이 외부로 노출되지 아니하도록 제1 단열재(110)와 제2 단열재(120)를 감싸도록 장착되며, 배관(10)에서 발생되는 열에 의해 손상되지 아니하도록 세라믹 섬유 등과 같은 불연성 직물로 제작된다. 상기 제1 보호시트(310)와 제2 보호시트(320)는 직물로 제작되어 플렉시블한 특성을 가지게 되어, 배관(10)의 표면이 불규칙적이거나 일부 돌출부위가 있다고 하여도, 밀착되도록 배관(10)을 둘러싸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1 보호시트(310)와 제2 보호시트(320)는 내구성 향상을 위해 여러 가닥의 강선(sus wire)이 내장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1 단열재(110)와 제2 단열재(120)는 배관(10)의 표면을 통해 방출되는 열을 차단하기 위한 구성요소로서, 폭방향 양측이 맞닿도록 결합되었을 때 배관(10)의 외측면 전체를 둘러싸는 하나의 중공관 형상을 이루게 된다. 상기 단열재(100)는 배관(10)의 표면을 통해 방출되는 열을 차단시킬 수만 있다면 스티로폼이나 유리섬유 등 다양한 종류의 단열물질로 제작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배관용 단열장치가 직선 형상의 배관(10)을 감싸는 구조만을 도시하고 있으나, 상기 배관(10)이 절곡되거나 분기되는 구조를 갖는 경우, 본 발명에 의한 배관용 단열장치의 형상은 배관(10)의 구조에 따라 적절하게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의한 배관용 단열장치는 L보 형상의 배관을 감쌀 수 있도록 중단이 90도 절곡된 구조로 제작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배관용 단열장치는 배관(10)에서 발생된 진동이 모두 마감커버(200)로 전달되지 아니하도록 상기 진동을 중간에서 감쇠시키기 위한 방진수단(600)을 구비한다. 상기 방진수단(600)은, 상기 제1 마감커버(210) 및 제2 마감커버(220)의 내측면으로부터 상기 배관(10)의 중심을 향해 연장되는 외측관(610)과, 길이방향 일단이 상기 외측관(610) 내부에 삽입되고 길이방향 타단이 상기 제1 보호시트(310) 및 제2 보호시트(320)에 안착되는 내측관(620)과, 상기 외측관(610) 및 내측관(620)의 외주면을 감싸는 코일스프링 형상을 이루되 길이방향 양단이 상기 제1 마감커버(210)와 제1 보호시트(310)에 안착되거나 상기 제2 마감커버(220)와 제2 보호시트(320)에 안착되는 탄성체(630)로 구성된다. 상기 외측관(610)은, 길이방향 일측이 마감커버(200)의 내측면(더 명확하게는 단열재(100)와 접촉되는 면)에 결합되고, 길이방향 타측이 보호시트(300)와는 이격되는 길이로 제작된다. 또한 상기 내측관(620)은, 길이방향 일측이 보호시트(300) 중 배관(10)을 둘러싸는 면에 결합되고, 길이방향 타측이 마감커버(200)와는 이격되는 길이로 제작된다. 따라서 상기 내측관(620)은 외측관(610) 내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길이방향으로 일정 수준 이동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도 8에 도시된 상태에서 배관(10)이 상하로 진동하는 경우, 상기 내측관(620) 은 길이방향(도 8에서는 상하방향)으로 왕복운동을 하게 되고, 이에 따라 외측관(610) 및 내측관(620)을 둘러싸는 탄성체(630)는 압축 및 복원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면서 배관(10)의 진동을 흡수하게 된다. 즉, 배관(10)이 진동을 일으키더라도 배관(10)의 진동이 그대로 마감커버(200)로 전달되는 것이 아니라 방진수단(600)의 탄성체(630)에 대부분 흡수되는바, 마감커버(200)가 진동하는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배관(10)의 진동은 탄성체(630)에 의해 흡수되므로, 상기 탄성체(630)가 코일스프링 형상으로 제작되어 마감커버(200)와 보호시트(300) 사이에 설치되면 외측관(610)과 내측관(620)이 생략되더라도 배관(10)의 진동이 마감커버(200)로 전달되지 아니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방진수단(600)이 코일스프링 형상의 탄성체(630)만으로 구성되면, 배관(10) 진동 시 탄성체(630)가 비스듬히 기울어져 진동을 정상적으로 흡수하지 못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상기 방진수단(600)은 본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중관 구조로 연결되는 외측관(610)과 내측관(620)을 하나의 탄성체(630)가 나선형으로 감싸는 구조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탄성체(630)가 외측관(610)과 내측관(620)을 나선형으로 감싸도록 구성되면, 상기 외측관(610)이 마감커버(200)로부터 분리되지 아니하는 한 상기 탄성체(630)는 배관(10)의 중심축을 향하도록 길이방향이 일정하게 유지되는바, 배관(10)의 진동을 효과적으로 감쇠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마감커버(200)와 보호시트(300) 사이에 위치하는 단열재(100)가 일측으로 쏠리거나 치우치지 아니하도록 즉, 단열재(100)의 위치가 일정하게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마감커버(200)와 보호시트(300) 사이의 공간은 셀(cell)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방향 일단이 상기 제1 보호시트(310)에 결합되고 길이방향 타단이 상기 제1 단열재(110)를 관통하여 상기 제1 마감커버(210)에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제1 연결시트(410)와, 길이방향 일단이 상기 제2 보호시트(320)에 결합되고 길이방향 타단이 상기 제2 단열재(120)를 관통하여 상기 제2 마감커버(220)에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제2 연결시트(420)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연결시트(410)와 제2 연결시트(420)가 각각 2개씩 구비되면, 상기 제1 단열재(110)가 위치하는 공간과 제2 단열재(120)가 위치하는 공간은 각각 3개의 셀로 구분되는바, 제1 단열재(110) 및 제2 단열재(120)가 일측으로 치우치거나 비정상적으로 움직이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와 같이 제1 연결시트(410) 및 제2 연결시트(420)가 구비되면, 상기 제1 단열재(110)와 제2 단열재(120)는 각각 3개의 조각으로 구분되므로, 제1 단열재(110)나 제2 단열재(120)의 어느 일부가 파손 및 손상되는 경우 해당 부위만을 부분적으로 교체할 수 있어 유지비용이 절감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5는 제2 마감커버의 결합구조를 도시하는 확대단면도이다.
상기 제2 마감커버(220)는 배관의 형상에 따라 전체 길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복수 개의 조각편(222)과, 상기 복수 개의 조각편(222)을 연결하는 복수 개의 연결샤시(224)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결샤시(224)는, 어느 하나의 조각편(222) 끝단이 삽입되는 제1 삽입홈(225)과, 다른 하나의 조각편(222) 끝단이 삽입되는 제2 삽입홈(226)과, 상기 제1 삽입홈(225) 및 상기 제2 삽입홈(226)의 내부 일측면에 형성되는 제1 돌기(227)와, 상기 제1 삽입홈(225) 및 상기 제2 삽입홈(226)의 내부 타측면에 형성되는 제2 돌기(228)를 구비한다.
따라서 도 5의 (a)에 도시된 상태에서 연결샤시(224)의 양측을 가압하면,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삽입홈(225)과 제2 삽입홈(226)이 오므려지면서 제1 돌기(227) 및 제2 돌기(228)가 조각편(222)에 압착된다. 이와 같이 제1 돌기(227) 및 제2 돌기(228)가 조각편(222)에 압착되면, 상기 연결샤시(224)에 의해 결합된 두 개의 조각편(222)은 견고하게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제2 마감커버(220)가 복수 개의 조각편(222)과 복수 개의 연결샤시(224)로 구성되는 경우, 작업자는 배관(10)의 규격에 맞춰 제2 마감커버(220)를 현장에서 직접 제작할 수 있으므로 활용도가 매우 우수해진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 마감커버(220)가 직관 형상의 배관(10)을 감싸는 구조만을 도시하고 있으나, 상기 조각편(222)의 형상을 변형시키는 경우 엘보 형상의 배관이나 T자 형상의 배관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체결수단의 사용상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배관용 단열장치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배관용 단열장치는, 반원통 형상의 제1 마감커버(210)와 제2 마감커버(220)가 체결수단(500)에 의해 상호 결합되어, 하나의 원통 형상을 이루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체결수단(500)은 원터치 방식으로 제1 마감커버(210)와 제2 마감커버(220)를 결합시킬 수 있도록, 제2 마감커버(220)에 고정결합되는 체결후크(510)와, 제1 마감커버(210)에 회전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는 회전편(520)과, 일측이 상기 회전편(520)에 결합되고 타측이 체결후크(510)에 걸릴 수 있도록 절곡된 체결링크(530)로 구성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회전편(520)을 회전시키는 조작만으로 제1 마감커버(210)와 제2 마감커버(220)를 간편하게 결합 및 분리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체결수단(500)은 종래의 배관용 단열장치(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84392호)에도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적용되고 있는바, 상기 체결수단(500)의 구조 및 작동원리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9는 제1 마감커버(210)와 제2 마감커버(220)의 결합구조를 도시하는 확대단면도이다.
제1 마감커버(210)와 제2 마감커버(220)의 폭방향 양단(도 1에서는 좌우측단)이 맞닿도록 결합되는 경우 제1 마감커버(210)와 제2 마감커버(220) 사이가 완벽하게 밀폐되지 못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마감커버(210)와 제2 마감커버(220) 사이가 완벽하게 밀폐되지 못하면, 배관(10)의 열이 유출될 뿐만 아니라, 배관(10)에서 발생되는 소음까지 외부로 유출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배관용 단열장치는 제1 마감커버(210)와 제2 마감커버(220) 사이가 완벽하게 밀폐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마감커버(210)의 폭방향 양단(도 1에서는 좌우측단)이 각각 삽입되는 한 쌍의 제1 체결소켓(710)과, 상기 제2 마감커버(220)의 폭방향 양단(도 1에서는 좌우측단)이 각각 삽입되는 한 쌍의 제2 체결소켓(720)과, 상기 제1 체결소켓(710)과 제2 체결소켓(720)이 서로 마주보는 면에 삽입되는 체결패킹(740)과, 상기 제1 체결소켓(710) 중 제1 마감커버(210)가 삽입된 부위와 상기 제2 체결소켓(720) 중 제2 마감커버(220)가 삽입된 부위를 관통하도록 체결되는 체결리벳(730)을 포함하여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제1 마감커버(210)와 제2 마감커버(220)의 폭방향 끝단이 제1 체결소켓(710)과 제2 체결소켓(720)에 각각 삽입되면, 제1 마감커버(210)와 제1 체결소켓(710) 간의 접촉면적이 증가하고 제2 마감커버(220)와 제2 체결소켓(720) 간의 접촉면적이 증가하므로, 제1 마감커버(210)와 제1 체결소켓(710) 사이 또는 제2 마감커버(220)와 제2 체결소켓(720) 사이로 열이나 소음이 유출되는 현상이 현저히 감소된다. 또한, 제1 체결소켓(710)과 제2 체결소켓(720) 사이는 실리콘 등으로 제작되는 체결패킹(740)으로 채워지는바, 상기 체결패킹(740)이 찢어지거나 파손되지 아니하는 한 제1 체결소켓(710)과 제2 체결소켓(720) 사이로 열이나 소음이 유출되지 아니하게 된다. 즉, 제1 마감커버(210)와 제2 마감커버(220)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체결소켓(710)과 제2 체결소켓(720), 체결패킹(740)을 매개체로 연결되면, 마감커버(200)의 내부가 외부와 완전히 격리되어, 단열성 및 차음성이 현저히 향상된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체결패킹(740)이 안착된 지점으로 빗물이나 기름 등 이물질이 접촉되지 아니하도록, 상기 제1 체결소켓(710)은 상기 제2 체결소켓(720)의 외측면을 덮는 연장편(712)을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한편, 단열재(100)의 표면을 감싸는 구성요소 중 보호시트(300)는 금속으로 제작되는 것이 아니라 연성을 갖는 직물로 제작되므로, 금속으로 제작되는 마감커버(200)에 직접 결합되는 경우 보호시트(300)가 마감커버(200)로부터 쉽게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배관용 단열장치는 보호시트(300)의 폭방향 양측이 보다 견고하게 마감커버(200)에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보호시트(310)와 제2 보호시트(320)의 폭방향 양측은 두 겹으로 겹쳐지도록 폴딩되어 상기 체결리벳(730)에 의해 제1 체결소켓(710) 및 제2 체결소켓(720)에 결합된다. 또한, 상기 제1 보호시트(310)와 제2 보호시트(320)의 폭방향 양측 중 접힌 부위에 삽입되는 고정와이어(330)와, 상기 체결리벳(730)의 헤드(732)가 안착되는 체결와셔(750)가 추가로 구비된다.
이때 상기 고정와이어(33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와셔(750)가 안착되는 영역을 벗어난 지점에 위치하는바, 제1 보호시트(310)와 제2 보호시트(320)의 폭방향 양측은 체결소켓(710, 720)과 체결와셔(750) 사이로부터 쉽게 빠지지 아니하게 되고, 이에 따라 제1 보호시트(310)와 제2 보호시트(320)는 각각 제1 마감커버(210)와 제2 마감커버(220)에 견고하게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도 10은 두 개의 마감커버(200)가 길이방향으로 일렬로 배열된 형상을 도시하고, 도 11 및 도 12은 두 개의 마감커버(200)가 결합되는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배관용 단열장치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방향을 따라 일렬로 연결될 수 있도록, 링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 마감커버(210)와 제2 마감커버(220)의 길이방향 양단이 삽입되는 한 쌍의 연결소켓(810)과, 두 개의 마감커버(200)가 길이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열될 때 상호 마주보는 두 개의 연결소켓(810) 사이에 삽입되는 링형상의 연결패킹(830)과, 상호 마주보는 두 개의 연결소켓(810)을 덮도록 장착되어 일렬로 배열된 두 개의 마감커버(200)를 일체로 결합시키며 상기 연결소켓(810)을 향하는 내측면에 커넥터패킹(912)이 구비되는 커넥터링(910)과, 상기 제1 보호시트(310)의 길이방향 일측 또는 제2 보호시트(320)의 길이방향 일측을 관통한 후 상기 연결소켓(810) 중 상기 제1 마감커버(210) 또는 제2 마감커버(220)가 삽입된 부위를 관통하도록 체결되는 다수 개의 연결리벳(820)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커넥터링(910)은 반원 형태로 분리되되 별도의 커넥터클립(920)에 의해 결합되는데, 이와 같은 커넥터링(910)은 본원발명이 해당하는 기술분야뿐만 아니라 여러 분야에서 널리 상용화되어 있는바, 상기 커넥터링(910)이 두 개의 반원으로 분리되거나 하나의 링을 이루도록 결합되는 과정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 커넥터클립(920)은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체결수단(500)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상기 커넥터클립(920)의 구조 및 작동원리에 대한 상세한 설명 역시 생략한다.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마감커버(200)의 길이방향 양단에 연결소켓(810)이 각각 구비되면, 커넥터링(910)을 이용하여 일렬로 배열된 두 개의 마감커버(200)를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고, 두 개의 마감커버(200) 사이로 열기나 소음이 유출되는 현상을 확실하게 막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연결소켓(810)과 커넥터패킹(912) 사이로 열이나 소음 유출을 더욱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연결소켓(810)의 폭방향 가장자리에는 상기 커넥터패킹(912)을 향해 돌출되는 돌출단(812)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보호시트(300)의 길이방향 양측(더 명확하게는 연결소켓(810)과 대응되는 측)이 보다 견고하게 마감커버(200)에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보호시트(310)와 제2 보호시트(320)의 길이방향 양측은 상기 연결리벳(820)이 관통되는 부위가 두 겹으로 겹쳐지도록 폴딩되며, 상기 제1 보호시트(310)와 제2 보호시트(320)의 길이방향 양측 중 접힌 부위에 삽입되는 고정링(340)과, 상기 연결리벳(820)의 헤드가 안착되는 연결와셔(840)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링(340)은 연결와셔(840)가 안착되는 영역을 벗어난 지점에 위치하는바, 상기 고정링(340)이 파손되거나 탈거되지 아니하는 한 제1 보호시트(310)와 제2 보호시트(320)의 길이방향 양측은 제1 마감커버(210)와 제2 마감커버(220)로부터 분리되지 아니하게 된다는 장점이 있다. 이때, 보호시트(300)의 길이방향 양측이 마감커버(200)의 길이방향 양측에 결합되는 구조는, 보호시트(300)의 폭방향 양측이 마감커버(200)의 폭방향 양측에 결합되는 구조(도 9 참조)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상기 연결리벳(820)에 의해 연결와셔(840)와 보호시트(300)와 연결소켓(810)과 마감커버(200)가 일체로 결합되는 과정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배관용 단열장치 제2 실시예의 측면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배관용 단열장치는, 제1 마감커버(210)와 제2 마감커버(220)가 모두 연성을 갖는 시트 구조로 제작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마감커버(210)와 제2 마감커버(220)는 모두 은박페브릭(212)과 금속망(214)으로 구성되어, 각각 제1 단열재(110)의 외측면과 제2 단열재(120)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장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마감커버(210)와 제2 마감커버(220)가 모두 연성을 갖는 시트 구조로 제작되면, 본 발명에 의한 배관용 단열장치의 설치 작업이 더욱 편리해진다는 장점이 있다.
이때,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마감커버(210)와 제2 마감커버(220)가 모두 연성을 갖는 시트 구조로 제작되는 경우에 있어서도, 나머지 구성들은 도 1 내지 도 12에 도시된 실시예와 동일하게 적용된다.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한 배관용 단열장치 제3 실시예의 횡단면도이다.
상기 제1 단열재(110)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관(10)의 외면에 인접하는 내부단열층(111)과, 상기 내부단열층(111)의 외경방향에 배치되는 외부단열층(113), 상기 내부단열층(111)과 상기 외부단열층(113) 사이에 개재된 중간단열층(112)으로 구성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단열재(120) 역시, 배관(10)의 외면에 인접하는 내부단열층(121)과, 상기 내부단열층(121)의 외경방향에 배치되는 외부단열층(123), 상기 내부단열층(121)과 상기 외부단열층(123) 사이에 개재된 중간단열층(122)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내부단열층(111, 121), 상기 중간단열층(112, 122) 및 상기 외부단열층(113, 123)에는 서로 다른 내열도를 가지는 단열재가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내부단열층(111, 121), 상기 중간단열층(112, 122) 및 상기 외부단열층(113, 123)으로 갈수록 내열도가 점점 낮아지는 구조로 단열재가 적용되거나, 상기 내부단열층(111, 121), 상기 중간단열층(112, 122) 및 상기 외부단열층(113, 123)으로 갈수록 내열도가 점점 높아지는 구조로 단열재가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내부단열층(111, 121)은 제1 내열도를 가지는 단열재가 적용되고, 상기 중간단열층(112, 122)는 상기 제1 내열도보다 더 낮은 내열도인 제2 내열도를 가지는 단열재가 적용되고, 상기 외부단열층(113, 123)에는 상기 제2 내열도보다 더 낮은 내열도인 제3 내열도를 가지는 단열재가 적용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내부단열층(111, 121)은 제3 내열도를 가지는 단열재가 적용되고, 상기 중간단열층(112, 122)에는 제2 내열도를 가지는 단열재가 적용되고, 상기 외부단열층(113, 123)에는 제1 내열도를 가지는 단열재가 적용될 수 있다.
단열성능이 우수하면서도 경제적인 단열장치의 구현을 위해, 고온이 발생되고 고온유지가 필요한 배관의 경우에는, 배관(10)에 인접된 부분인 상기 내부단열층(111, 121)에는 제1 내열도(예를들면, 700~1300℃)범위를 가지는 단열재를 적용하고, 상기 중간단열층(112, 122)에는 제2 내열도(예를 들면, 400~650℃)범위를 가지는 단열재를 적용하고, 상기 외부단열층(113, 123)에는 제3 내열도(예를 들면, 100~350℃)범위를 단열재를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내부단열층(111, 121)에 적용되는 단열재의 예로는 내열도가 1200~1300℃ 범위를 가지며 열전도율이 0.16W/mk/600℃인 세라크울(cerak-wool)이나, 내열도가 650~750℃범위이고 열전도율이 0.06W/mk/400℃인 이클래스 파이버(E-class fiber) 가 있으며, 상기 중간단열층(112, 122)에 적용되는 단열재의 예로는 내열도가 600~650℃ 범위이고 열전도율이 0.069W/mk/200℃ 인 미네랄 울(mineral-wool)이 있으며, 상기 외부단열층(113, 123)에 적용되는 단열재의 예로는 내열도가 300~350℃범위이고 열전도율이 0.032W/mk/20℃ 인 글라스 울(glass-wool)이 있다.
결과적으로 고온유지가 필요한 배관의 경우에는, 배관에 인접한 내부단열층(111, 121) 에 고온용 단열재를 사용하여, 1 차적으로 높은 온도를 낮추는 용도로만 기능하도록 하여 단열성능이 낮으면서도 높은 가격을 가지는 단열재의 사용을 줄여 경제적인 시공을 이루고, 상기 내부단열층(111, 121)에 의해 온도가 낮아진 중간온도의 단열성능을 극대화하고 경제성이 고려하여 중간단열층(112, 122)에는 중간온도용 단열재를 사용하고, 상기 내부단열층(111, 121) 및 상기 중간단열층(112, 122)에 의해 온도가 낮아진 단열층의 마지막 부분인 상기 외부단열층(113, 123)에는 단열성능도 우수하고 상대적으로 낮은 가격을 가지는 단열재인 저온단열재를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저온유지가 필요한 배관의 경우에는 고온유지가 필요한 배관의 경우와 반대의 경우로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제1 내열도, 제2 내열도, 제3 내열도의 내열온도범위는 배관의 온도에 대응하여 다양하게 변경가능하다.
도 15는 본 발명에 의한 배관용 단열장치 제4 실시예의 종단면도이다.
상기 제1 마감커버(210)는 연성을 갖는 시트 구조로 제작되는바, 상기 연결소켓(810)에 삽입되어 연결리벳(820)으로 체결된 부위가 쉽게 찢어지거나 손상될 우려가 있다. 이와 같이 제1 마감커버(210) 중 연결소켓(810)에 삽입된 부위가 찢어지거나 손상되면 상기 제1 마감커버(210)가 탈거되어 제1 단열재(110)가 외부로 노출되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마감커버(210)는 연결소켓(810)에 삽입되는 부위가 두 겹으로 겹쳐지도록 폴딩되며, 상기 제1 마감커버의 폴딩된 부위에 삽입되는 보강판(216)이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즉,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은박페브릭(212)과 금속망(214)이 적층 구조로 포개어져 폴딩되는 경우, 상기 은박페브릭(212)의 폴딩된 부위에 보강판(216)이 삽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보강판(216)이 추가로 구비되면, 상기 제1 마감커버(210)는 연결소켓(810)에 안정적으로 견고히 결합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 의한 배관용 단열장치의 내구성이 현저히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1 마감커버(210)의 내측면에 방진수단(600)이 구비되는 경우, 상기 보강판(216)은 제1 마감커버(210)의 내측면 중 외측관(810)이 결합되는 지점에도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마감커버(210)의 내측면 중 외측관(810)이 결합되는 지점에 보강판(216)이 설치되면, 배관(10)의 진동에 의해 외측관(810)이 수 회에 걸쳐 상하로 진동하더라도 제1 마감커버(210)가 파손되는 현상이 발생하지 아니한다는 장점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보강판(216)이 제1 마감커버(210)에 적용되는 경우만을 도시하고 있으나, 상기 제2 마감커버(220)가 연성을 갖는 시트 구조로 제작되는 경우 상기 보강판(216)은 제2 마감커버(220)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에 의한 배관용 단열장치 제5 실시예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배관용 단열장치는, 도 1 내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관을 감싸도록 직선형 원통형상으로 제작될 수도 있고,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엘보관을 감싸도록 만곡된 형상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한 배관용 단열장치는 직관, 엘보관, 플랜지관 등을 포함하여 배관의 형상에 맞춰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마감커버(210)와 제2 마감커버(220)는 상호 결합되었을 때 90도로 만곡된 원통 형상을 이루는 하나의 마감커버(200)를 이루게 되며, 상기 제1 마감커버(210)는 외부로부터 힘이 가해졌을 때 쉽게 변형될 수 있도록 연성을 갖는 직물구조(더 명확하게는 제1 단열재(110)의 외측면을 감싸는 은박페브릭(212)과, 상기 은박페브릭(212)의 외측면을 감싸는 금속망(214))로 구성되고, 상기 제2 마감커버(220)는 외부 충격에 대한 강성을 가질 수 있도록 알루미늄 합금 등과 같은 금속으로 제작된다. 물론, 상기 제1 마감커버(210)가 금속으로 제작되고 제2 마감커버(220)가 연성을 갖는 직물구조로 제작될 수도 있으며, 제1 마감커버(210)와 제2 마감커버(220)가 모두 연성을 갖는 직물구조로 제작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제1 마감커버(210)와 제2 마감커버(22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연성을 갖는 직물구조로 이루어졌을 때의 효과는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0 : 배관 100 : 단열재
110 : 제1 단열재 120 : 제2 단열재
200 : 마감커버 210 : 제1 마감커버
220 : 제2 마감커버 300 : 보호시트
310 : 제1 보호시트 320 : 제2 보호시트
330 : 고정와이어 340 : 고정링
410 : 제1 연결시트 420 : 제2 연결시트
500 : 체결수단 510 : 체결후크
520 : 회전편 530 : 체결링크
600 : 방진수단 610 : 외측관
620 : 내측관 630 : 탄성체
710 : 제1 체결소켓 720 : 제2 체결소켓
730 : 체결리벳 740 : 체결패킹
750 : 체결와셔 810 : 연결소켓
820 : 연결리벳 830 : 연결패킹
840 : 연결와셔 910 : 커넥터링
912 : 커넥터패킹 920 : 커넥터클립

Claims (19)

  1. 배관의 폭방향 일측과 타측을 감싸는 제1 단열재 및 제2 단열재;
    연성을 갖는 시트구조로 제작되어 상기 제1 단열재의 외측면을 덮는 제1 마감커버;
    금속판으로 제작되어 상기 제2 단열재의 외측면을 덮는 제2 마감커버;
    상기 제1 단열재와 제2 단열재의 표면 중 상기 제1 마감커버 또는 제2 마감커버에 의해 덮이지 아니한 부위를 덮으며, 폭방향 양측이 두 겹으로 겹쳐지도록 폴딩되는 제1 보호시트 및 제2 보호시트;
    상기 제1 마감커버와 제2 마감커버를 결합시키는 체결수단;
    상기 제1 마감커버의 폭방향 양단이 각각 삽입되는 한 쌍의 제1 체결소켓;
    상기 제2 마감커버의 폭방향 양단이 각각 삽입되는 한 쌍의 제2 체결소켓;
    상기 제1 체결소켓과 제2 체결소켓이 서로 마주보는 면에 삽입되는 체결패킹;
    상기 제1 보호시트 중 두 겹으로 겹쳐진 폭방향 일측을 관통한 후 상기 제1 체결소켓 중 상기 제1 마감커버가 삽입된 부위를 관통하도록 체결되고, 상기 제2 보호시트 중 두 겹으로 겹쳐진 폭방향 일측을 관통한 후 상기 제2 체결소켓 중 상기 제2 마감커버가 삽입된 부위를 관통하도록 체결되는 다수 개의 체결리벳;
    상기 제1 보호시트와 제2 보호시트의 폭방향 양측 중 접힌 부위에 삽입되는 고정와이어;
    상기 체결리벳의 헤드가 안착되는 체결와셔;
    링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 마감커버와 제2 마감커버의 길이방향 양단이 삽입되는 한 쌍의 연결소켓;
    두 개의 마감커버가 길이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열될 때, 상호 마주보는 두 개의 연결소켓 사이에 삽입되는 링형상의 연결패킹;
    상호 마주보는 두 개의 연결소켓을 덮도록 장착되어 일렬로 배열된 두 개의 마감커버를 일체로 결합시키며, 상기 연결소켓을 향하는 내측면에 커넥터패킹이 구비되는 커넥터링; 및
    상기 제1 보호시트의 길이방향 일측 또는 제2 보호시트의 길이방향 일측을 관통한 후, 상기 연결소켓 중 상기 제1 마감커버 또는 제2 마감커버가 삽입된 부위를 관통하도록 체결되는 다수 개의 연결리벳;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단열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마감커버는, 상기 제1 단열재의 외측면을 감싸는 은박페브릭과, 상기 은박페브릭의 외측면을 감싸는 금속망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단열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마감커버는, 복수 개의 조각편과, 상기 복수 개의 조각편을 연결하는 복수 개의 연결샤시로 구성되고,
    상기 연결샤시는, 어느 하나의 조각편 끝단이 삽입되는 제1 삽입홈과, 다른 하나의 조각편 끝단이 삽입되는 제2 삽입홈과, 상기 제1 삽입홈 및 상기 제2 삽입홈의 내부 일측면에 형성되는 제1 돌기와, 상기 제1 삽입홈 및 상기 제2 삽입홈의 내부 타측면에 형성되는 제2 돌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단열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관용 단열장치는, 길이방향 일단이 상기 제1 보호시트에 결합되고 길이방향 타단이 상기 제1 단열재를 관통하여 상기 제1 마감커버에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제1 연결시트와, 길이방향 일단이 상기 제2 보호시트에 결합되고 길이방향 타단이 상기 제2 단열재를 관통하여 상기 제2 마감커버에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제2 연결시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단열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마감커버 및 제2 마감커버의 내측면으로부터 상기 배관의 중심을 향해 연장되는 외측관과, 길이방향 일단이 상기 외측관 내부에 삽입되고 길이방향 타단이 상기 제1 보호시트 및 제2 보호시트에 안착되는 내측관과, 상기 외측관 및 내측관의 외주면을 감싸는 코일스프링 형상을 이루되 길이방향 양단이 상기 제1 마감커버와 제1 보호시트에 안착되거나 상기 제2 마감커버와 제2 보호시트에 안착되는 탄성체로 구성되는 방진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단열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1 마감커버의 내측면 중 상기 외측관이 결합되는 지점에 설치되는 보강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단열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체결소켓은, 상기 제2 체결소켓의 외측면을 덮는 연장편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단열장치.
  8. 삭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마감커버는 상기 연결소켓에 삽입되는 부위가 두 겹으로 겹쳐지도록 폴딩되며,
    상기 제1 마감커버의 폴딩된 부위에 삽입되는 보강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단열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보호시트와 제2 보호시트의 길이방향 양측은, 상기 연결리벳이 관통되는 부위가 두 겹으로 겹쳐지도록 폴딩되며, 상기 제1 보호시트와 제2 보호시트의 길이방향 양측 중 폴딩된 부위에 삽입되는 고정링과, 상기 연결리벳의 헤드가 안착되는 연결와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단열장치.
  11. 배관의 폭방향 일측과 타측을 감싸는 반원통 형상의 제1 단열재 및 제2 단열재;
    연성을 갖는 시트구조로 제작되어 상기 제1 단열재의 외측면을 덮는 제1 마감커버;
    연성을 갖는 시트구조로 제작되어 상기 제2 단열재의 외측면을 덮는 제2 마감커버;
    상기 제1 단열재와 제2 단열재의 표면 중 상기 제1 마감커버 또는 제2 마감커버에 의해 덮이지 아니한 부위를 덮으며, 폭방향 양측이 두 겹으로 겹쳐지도록 폴딩되는 제1 보호시트 및 제2 보호시트;
    상기 제1 마감커버와 제2 마감커버를 결합시키는 체결수단;
    상기 제1 마감커버의 폭방향 양단이 각각 삽입되는 한 쌍의 제1 체결소켓;
    상기 제2 마감커버의 폭방향 양단이 각각 삽입되는 한 쌍의 제2 체결소켓;
    상기 제1 체결소켓과 제2 체결소켓이 서로 마주보는 면에 삽입되는 체결패킹;
    상기 제1 보호시트 중 두 겹으로 겹쳐진 폭방향 일측을 관통한 후 상기 제1 체결소켓 중 상기 제1 마감커버가 삽입된 부위를 관통하도록 체결되고, 상기 제2 보호시트 중 두 겹으로 겹쳐진 폭방향 일측을 관통한 후 상기 제2 체결소켓 중 상기 제2 마감커버가 삽입된 부위를 관통하도록 체결되는 다수 개의 체결리벳;
    상기 제1 보호시트와 제2 보호시트의 폭방향 양측 중 접힌 부위에 삽입되는 고정와이어;
    상기 체결리벳의 헤드가 안착되는 체결와셔;
    링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 마감커버와 제2 마감커버의 길이방향 양단이 삽입되는 한 쌍의 연결소켓;
    두 개의 마감커버가 길이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열될 때, 상호 마주보는 두 개의 연결소켓 사이에 삽입되는 링형상의 연결패킹;
    상호 마주보는 두 개의 연결소켓을 덮도록 장착되어 일렬로 배열된 두 개의 마감커버를 일체로 결합시키며, 상기 연결소켓을 향하는 내측면에 커넥터패킹이 구비되는 커넥터링; 및
    상기 제1 보호시트의 길이방향 일측 또는 제2 보호시트의 길이방향 일측을 관통한 후, 상기 연결소켓 중 상기 제1 마감커버 또는 제2 마감커버가 삽입된 부위를 관통하도록 체결되는 다수 개의 연결리벳;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단열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1 마감커버는, 상기 제1 단열재의 외측면을 감싸는 은박페브릭과, 상기 은박페브릭의 외측면을 감싸는 금속망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2 마감커버는, 상기 제2 단열재의 외측면을 감싸는 은박페브릭과, 상기 은박페브릭의 외측면을 감싸는 금속망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단열장치.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배관용 단열장치는, 길이방향 일단이 상기 제1 보호시트에 결합되고 길이방향 타단이 상기 제1 단열재를 관통하여 상기 제1 마감커버에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제1 연결시트와, 길이방향 일단이 상기 제2 보호시트에 결합되고 길이방향 타단이 상기 제2 단열재를 관통하여 상기 제2 마감커버에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제2 연결시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단열장치.
  14.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배관용 단열장치는, 상기 제1 마감커버 및 제2 마감커버의 내측면으로부터 상기 배관의 중심을 향해 연장되는 외측관과, 길이방향 일단이 상기 외측관 내부에 삽입되고 길이방향 타단이 상기 제1 보호시트 및 제2 보호시트에 안착되는 내측관과, 상기 외측관 및 내측관의 외주면을 감싸는 코일스프링 형상을 이루되 길이방향 양단이 상기 제1 마감커버와 제1 보호시트에 안착되거나 상기 제2 마감커버와 제2 보호시트에 안착되는 탄성체로 구성되는 방진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단열장치.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배관용 단열장치는, 상기 제1 마감커버의 내측면과 상기 제2 마감커버의 내측면 중 상기 외측관이 결합되는 지점에 설치되는 보강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단열장치.
  16.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1 체결소켓은, 상기 제2 체결소켓의 외측면을 덮는 연장편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단열장치.
  17. 삭제
  18.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1 마감커버와 상기 제2 마감커버는, 상기 연결소켓에 삽입되는 부위가 두 겹으로 겹쳐지도록 폴딩되며,
    상기 제1 마감커버와 제2 마감커버의 폴딩된 부위에 삽입되는 보강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단열장치.
  19.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1 보호시트와 제2 보호시트의 길이방향 양측은, 상기 연결리벳이 관통되는 부위가 두 겹으로 겹쳐지도록 폴딩되며, 상기 제1 보호시트와 제2 보호시트의 길이방향 양측 중 폴딩된 부위에 삽입되는 고정링과, 상기 연결리벳의 헤드가 안착되는 연결와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단열장치.
KR1020180001650A 2018-01-05 2018-01-05 배관용 단열장치 KR1018894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1650A KR101889443B1 (ko) 2018-01-05 2018-01-05 배관용 단열장치
PCT/KR2018/000687 WO2019135434A1 (ko) 2018-01-05 2018-01-15 배관용 단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1650A KR101889443B1 (ko) 2018-01-05 2018-01-05 배관용 단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9443B1 true KR101889443B1 (ko) 2018-08-17

Family

ID=634082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1650A KR101889443B1 (ko) 2018-01-05 2018-01-05 배관용 단열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889443B1 (ko)
WO (1) WO2019135434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40109A1 (ko) * 2019-08-27 2021-03-04 (주)동인엔지니어링 리플렉터를 구비하는 배관용 단열장치
KR102446724B1 (ko) * 2021-11-09 2022-09-27 (주)동인엔지니어링 배관 단열 구조체용 연결 소켓의 클램핑 후크 성형 장치
KR102470040B1 (ko) * 2021-11-08 2022-11-23 (주)동인엔지니어링 배관 단열 구조체의 단열 커버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7936B1 (ko) * 2008-07-10 2009-07-16 이경선 파이프용 단열부재
KR101501643B1 (ko) * 2014-04-23 2015-03-11 (주)동인엔지니어링 T형 배관용 단열재 보호커버
KR101686971B1 (ko) * 2015-04-30 2016-12-16 (주)동인엔지니어링 단열성능이 강화된 배관용 단열장치
KR101727682B1 (ko) * 2015-12-08 2017-04-19 (주)동인엔지니어링 배관 가열커버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18393Y2 (ja) * 1992-11-24 1996-11-27 セイアス株式会社 配管の断熱部材
KR100208462B1 (ko) * 1996-09-20 1999-07-15 이문수 배관용 방음, 방진 및 결로 방지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7936B1 (ko) * 2008-07-10 2009-07-16 이경선 파이프용 단열부재
KR101501643B1 (ko) * 2014-04-23 2015-03-11 (주)동인엔지니어링 T형 배관용 단열재 보호커버
KR101686971B1 (ko) * 2015-04-30 2016-12-16 (주)동인엔지니어링 단열성능이 강화된 배관용 단열장치
KR101727682B1 (ko) * 2015-12-08 2017-04-19 (주)동인엔지니어링 배관 가열커버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40109A1 (ko) * 2019-08-27 2021-03-04 (주)동인엔지니어링 리플렉터를 구비하는 배관용 단열장치
KR102470040B1 (ko) * 2021-11-08 2022-11-23 (주)동인엔지니어링 배관 단열 구조체의 단열 커버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WO2023080315A1 (ko) * 2021-11-08 2023-05-11 (주)동인엔지니어링 배관 단열 구조체의 단열 커버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2446724B1 (ko) * 2021-11-09 2022-09-27 (주)동인엔지니어링 배관 단열 구조체용 연결 소켓의 클램핑 후크 성형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135434A1 (ko) 2019-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9443B1 (ko) 배관용 단열장치
KR101820450B1 (ko) 방진기능을 구비하는 배관용 단열장치
KR101599449B1 (ko) 밸브유닛용 단열재 보호커버
KR101397535B1 (ko) 탈부착식 단열 커버
KR101341838B1 (ko) 내진성을 갖는 배관 이음장치
CA2100598C (en) Cylindrical flexible joint unit
KR101501643B1 (ko) T형 배관용 단열재 보호커버
KR101686971B1 (ko) 단열성능이 강화된 배관용 단열장치
CN107567565B (zh) 耐火管联接件
KR100633004B1 (ko) 내열배관용 조인트
KR101202786B1 (ko) 전열관단열용 벨로우즈커버 및 이의 설치방법
KR101890293B1 (ko) 분기형 배관용 단열장치
KR102470040B1 (ko) 배관 단열 구조체의 단열 커버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120008974U (ko) T형 배관용 보온커버
KR101173681B1 (ko) 탈부착식 단열 커버
KR100880384B1 (ko) 유체 누설 방지를 위한 합성수지관의 연결구조
JP2007182929A (ja) 配管の補修方法
JPH01214626A (ja) 真空二重管
KR101890284B1 (ko) 밸브유닛용 단열장치
CN110761884A (zh) 一种船用柴油机排气管路隔热水密通舱管件
ES2406206A1 (es) Recubrimiento para conducciones de fluido transmisor de calor (htf).
EP0900964A1 (en) Fire and smoke resistant seal
KR102213246B1 (ko) 신축 이음관
KR101572169B1 (ko) 직관용 단열재 보호커버
TWM447448U (zh) 接頭裝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