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7936B1 - 파이프용 단열부재 - Google Patents

파이프용 단열부재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7936B1
KR100907936B1 KR1020080067256A KR20080067256A KR100907936B1 KR 100907936 B1 KR100907936 B1 KR 100907936B1 KR 1020080067256 A KR1020080067256 A KR 1020080067256A KR 20080067256 A KR20080067256 A KR 20080067256A KR 100907936 B1 KR100907936 B1 KR 1009079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ishing material
pipe
heat insulating
insulating member
surface fini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72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선
Original Assignee
이경선
첨단기공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경선, 첨단기공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경선
Priority to KR10200800672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793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79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79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0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14Arrangements for the insulation of pipes or pipe systems
    • F16L59/147Arrangements for the insulation of pipes or pipe systems the insulation being located inwardly of the outer surface of the pi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0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14Arrangements for the insulation of pipes or pipe systems
    • F16L59/145Arrangements for the insulation of pipes or pipe systems providing fire-resista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이프용 단열부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정유공장, 화력 및 수력, 원자력 발전소 등에서 유체 이송시 사용되는 파이프를 단열할 수 있도록 한 파이프용 단열부재를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각종 발전소에 사용되는 파이프(1)를 상하로 감쌀 수 있도록 분할형으로 이루어지며 고정수단(8)으로 조립 및 분리가 가능한 상하 단열부재(2)와, 상기 단열부재(2)는 외면 마감재(3) 내연부에 설치되는 단열재(4)와, 상기 단열재(4)를 고정하기 위한 내화성 소재로 이루어진 내면 마감재(5)를 외면 마감재(3)의 끝 단부 내면을 따라 접하도록 고정하며, 파이프(1)의 곡선부를 단열하는 단열부재(2)의 외면 마감재(3)는 부채꼴 타입의 함석조각(3a) 수개를 상호 이웃하는 함석조각(3a)과 연결부를 중첩하여 스포트 용접고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파이프용 단열부재는 각종 발전소 등에서 사용하는 파이프(1) 단열 시 사용하는 것으로서, 파이프 단열부재(2)를 상하 분할형으로 구성하여, 상하 단열부재(2)는 상호 원터치 고정수단(8)으로 조립 및 분리가 가능토록 하여 조립 및 분리가 극히 용이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져 작업시간 단축 및 인력절감에 크게 기여할 수 있고, 상기 단열부재(2)는 외면 마감재(3)와 내화성을 갖는 내면 마감재(5) 사이에 단열재(4)를 내입하여 단열효과의 극대화 및 단열재의 열변형을 방지하여 반영구적으로 재활용 할 수 있어 자원의 낭비를 최소화 할 수 있으며, 파이프의 곡선부 단열부재는 스포트 용접에 의해 제작토록 하여 제작 편의성도 극대화 할 수 있는 것이다.
파이프용 단열부재, 단열부재, 단열재, 외면 마감재, 내면 마감재, 내화성, 고정수단

Description

파이프용 단열부재{Adiabatic material of pipe}
본 발명은 파이프용 단열부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정유공장, 화력 및 수력, 원자력 발전소 등에서 유체 이송시 사용되는 파이프를 단열할 수 있도록 한 파이프용 단열부재를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정유공장, 화력 및 수력, 원자력 발전소 등에서 유체 이송시 사용되는 파이프는 글라스-울과 같은 단열재를 감싼 후 외부 마감을 함석판을 사용하여 리벳팅 고정케 된다.
이와 같은 파이프 단열수단은 사용 중 파이프를 통해 이송되는 유체의 고온에 의해 글라스-울이 열변형되면서 파이프 외주면에 눌러 붙게 되고, 정기적으로 파이프를 점검 및 교체할 시에 단열재가 파이프로부터 원활하게 분리가 이루어지지 않아 점검작업에 상당한 애로가 되어 왔던 것이다.
그리고 한번 사용된 단열재는 정기점검 시 파이프로부터 분리시킨 후 수거한 후 폐기처리되므로 자원의 낭비가 심하고, 파이프의 곡선부(L형 또는 S형 배관부 등)를 커버하는 함석은 다수개의 부채꼴 함석조각을 상호 리벳팅하여 곡선부를 제작, 사용함으로써 작업성이 매우 저조한 등 다수의 문제점을 안고 있었던 것이 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용도로 사용되는 파이프용 단열부재가 갖는 문제점을 일소코자 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은 파이프에 단열재와 외부 마감을 행하는 함석을 일체형으로 제작하여 조립 및 분해가 용이토록 하고, 단열재의 단열성능을 보다 높일 수 있도록 별도의 내화성 내면 마감재를 사용토록 하며, 파이프 정기점검 후에도 단열부재를 반복적으로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한 파이프용 단열부재를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기존 각종 발전소 등에서 사용하는 파이프 단열 시 발생되는 제반 문제점을 일소할 수 있는 새로운 구성의 파이프용 단열부재를 제공코자 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은 특히 파이프 단열부재를 상하 분할형으로 구성하여, 상하 단열부재는 상호 원터치 고정수단으로 조립 및 분리가 가능토록 하고, 상기 단열부재는 외면 마감재와 내화성을 갖는 내면 마감재 사이에 단열재를 내입 구성토록 하여 단열효과의 극대화 및 단열재의 열변형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파이프의 곡선부를 단열하는 단열부재의 외면 마감재는 부채꼴 타입의 함석조각 수개를 상호 이웃하는 함석조각과 스포트 용접토록 하여 제작 편의성도 극대화 시킨 파이프용 단열부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파이프용 단열부재는 각종 발전소 등에서 사용하는 파이프(1) 단열 시 사용하는 것으로서,
파이프 단열부재(2)를 상하 분할형으로 구성하여, 상하 단열부재(2)는 상호 원터치 고정수단(8)으로 조립 및 분리가 가능토록 하여 조립 및 분리가 극히 용이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져 작업시간 단축 및 인력절감에 크게 기여할 수 있고,
상기 단열부재(2)는 외면 마감재(3)와 내화성을 갖는 내면 마감재(5) 사이에 단열재(4)를 내입하여 단열효과의 극대화 및 단열재의 열변형을 방지하여 반영구적으로 재활용 할 수 있어 자원의 낭비를 최소화 할 수 있으며, 파이프의 곡선부 단열부재는 스포트 용접에 의해 제작토록 하여 제작 편의성도 극대화 할 수 있는 등 그 기대되는 효과가 큰 발명이다.
도 1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파이프용 단열부재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보인 단면 및 평면, 일부 파절 상태의 정면도 등으로서, 이들 도면과 함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키로 한다.
파이프(1)의 외주면을 상하로 감쌀 수 있도록 상하 분할형으로 단열부재(2)를 구성하되, 상기 단열부재(2)는 함석으로 이루어진 외부 마감재(3) 내연부에 글라스-울(glass wool) 및 세라믹-울(ceramic wool)과 같은 단열재(4)를 소정 두께로 연접시킨 후 상기 단열재(4)와 외부 마감재(3) 고정을 위해 내면 마감재(5)를 사용하여 고정토록 한다. 즉, 외부 마감재(3)와 내부 마감재(5) 상간에 단열 재(4)를 밀봉되도록 내입 고정하는 것이다.
상기 내면 마감재(5)는 불에 강한 내화성 소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내면 마감재(5)는 외면 마감재(3) 내면의 끝 단부 내면을 따라 접하도록 고정하되, 내면 마감재(5)의 끝 단부 외면과 외면 마감재(3)의 끝 단부 내면이 접하도록 위치시킨 후 고정플레이트(6)를 사용하여 다수개의 리벳(7)으로 리벳팅 고정토록 한다. 이때 상기 고정플레이트(6)는 내면 마감재(5)의 끝 단부 내면으로 접하며, 상기 리벳(7)은 상호 접하도록 이루어진 고정플레이트(6)와 내면 마감재(5)와 외면 마감재(3)를 고정시키게 되는 것이다.
상기 단열부재(2)는 개략 단면상에서 볼 때 반원호형으로 이루어지며, 상하 분할형으로 이루어진 상하 단열부재(2)는 파이프(1) 외주면에 설치하기 위해 소정 간격으로 고정수단(8)을 설치한다.
상기 고정수단(8)은 일측 단열부재(2)에는 걸림턱(8a)을, 그리고 이에 대응하는 타측 단열부재(2)에는 손잡이(8b)를 갖고 각도조절이 가능한 걸림고리(8c)로 구성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알려진 여타 고정수단으로도 대체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도 7은 상하 단열부재(2)를 파이프(1) 외면에 연접시킨 후 고정수단(8)으로 피이스를 사용하여 고정한 경우를 예시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외면 마감재(3)는 곡선부에서는 수개의 부채꼴 타입의 함석조각(3a)을 이웃하는 함석조각(3a)과 상호 중첩되는 단부에 스포트(spot) 용접하여 고정토록 한다.
도면중의 부호 9는 스포트 용접부위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될 수 있는 본 발명의 파이프용 단열부재는 정유공장, 화력 및 수력, 원자력 발전소 등에서 유체 이송시 사용되는 파이프(1)를 단열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단열장치를 파이프(1) 외주면을 감쌀 수 있도록 조립할 시에는 상하 분할형으로 이루어진 반원호형 단열부재(2)를 파이프(1)의 상하로 연접되도록 한 후 상하 단열부재(2)의 상호 대응면에 소정 간격을 두고 설치된 고정수단(8)을 순차적으로 고정시킨다. 즉, 고정수단(8)을 구성하는 일측 단열부재(2)에 설치된 걸림턱(8a)과 타측에 설치된 걸림고리(8c)가 걸림되도록 하면 단열장치의 조립이 간단히 완료되는 것이다. 물론, 도 7과 같은 피이스를 고정수단(8)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상하 단열부재(2)의 연접부에 피이스 결합공을 천공하여 피이스를 나사고정시키면 간단히 설치작업이 완료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단열부재(2)를 설치하여 발전소 등에서 파이프(1)를 단열처리하면, 파이프(1) 내부를 경유하는 고온의 유체가 갖는 열이 파이프(1)를 통해 단열부재(2)에 전달되면 상기 단열부재(2)의 내면 마감재(5)가 내화성을 갖는 소재로 제작되어 있어 단열부재(2) 내부의 단열재(4)가 열변형되는 폐단을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이며, 그로 인해 지속적인 단열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정기 점검 시에 단열부재(2)를 분리코자 할 시에도 상기 고정수단(8)만 분리시키면 상하 분할형으로 이루어진 단열부재(2)가 간단히 분리되어 파이프(1)의 상태를 점검 및 교체배관한 후 다시 단열부재(2)를 고정수단(8)을 사용하여 고정시키면 간단히 재조립되며, 단열부재(2)는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파이프용 단열부재의 단면 구성도 및 일요부 확대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파이프용 단열부재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파이프용 단열부재의 평면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파이프용 단열부재의 A-A 선 일부 파절 상태의 정면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파이프용 단열부재의 직관부 평면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파이프용 단열부재의 B-B 선 일부 파절 상태 직관부 정면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파이프용 단열부재의 일부 다른 실시예를 보인 단면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
1: 파이프 2: 단열부재
3: 외면 마감재 3a: 함석조각
4: 단열재 5: 내면 마감재
6: 고정플레이트 7: 리벳
8: 고정수단 8a: 걸림턱
8b: 손잡이 8c: 걸림고리

Claims (3)

  1. 각종 발전소에 사용되는 파이프(1) 단열을 위해 파이프(1)를 상하로 감쌀 수 있도록 분할형으로 이루어져 고정수단(8)으로 조립 및 분리가 가능토록 구성된 상하 단열부재(2)에 있어 각각의 단열부재(2)를 외면 마감재(3)의 내연부에 연접되는 단열재(4)가 상기 외면 마감재(3)와 내화성 소재로 이루어진 내면 마감재(5) 상간에 밀봉되도록 내입 고정되게 설치한 공지(公知)의 파이프용 단열부재(2)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내면 마감재(5)는 외면 마감재(3)의 끝 단부 내면을 따라 접하도록 고정하되, 내면 마감재(5)의 끝 단부 외면과 외면 마감재(3)의 끝 단부 내면이 서로 접하도록 내면 마감재(5)의 끝 단부 내면으로 접하는 고정플레이트(6)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플레이트(6), 내면 마감재(5), 외면 마감재(3)는 리벳(7)을 사용하여 고정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용 단열부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1)의 곡선부를 단열하는 단열부재(2)의 외면 마감재(3)는 부채꼴 타입의 함석조각(3a) 수개를 상호 이웃하는 함석조각(3a)과 연결부를 중첩하여 스포트 용접고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용 단열부재.
  3. 삭제
KR1020080067256A 2008-07-10 2008-07-10 파이프용 단열부재 KR1009079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7256A KR100907936B1 (ko) 2008-07-10 2008-07-10 파이프용 단열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7256A KR100907936B1 (ko) 2008-07-10 2008-07-10 파이프용 단열부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07936B1 true KR100907936B1 (ko) 2009-07-16

Family

ID=413376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7256A KR100907936B1 (ko) 2008-07-10 2008-07-10 파이프용 단열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7936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4392B1 (ko) 2011-10-19 2012-09-19 김국수 배관용 단열장치
KR101824704B1 (ko) * 2016-08-12 2018-02-02 임동현 밸브 단열커버용 안전장치
KR101889443B1 (ko) * 2018-01-05 2018-08-17 (주)동인엔지니어링 배관용 단열장치
KR101890284B1 (ko) * 2018-01-05 2018-08-21 (주)동인엔지니어링 밸브유닛용 단열장치
KR101890293B1 (ko) * 2018-01-05 2018-08-21 (주)동인엔지니어링 분기형 배관용 단열장치
RU2686428C1 (ru) * 2017-12-20 2019-04-25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автоном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Уральский федеральный университет имени первого Президента России Б.Н. Ельцина" Блочная быстросъемная защита трубопроводов аэс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5862Y1 (ko) * 2005-03-02 2005-06-03 김연재 탈부착식 보온 커버
JP2005282720A (ja) * 2004-03-30 2005-10-13 Nichias Corp 保護カバ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82720A (ja) * 2004-03-30 2005-10-13 Nichias Corp 保護カバー
KR200385862Y1 (ko) * 2005-03-02 2005-06-03 김연재 탈부착식 보온 커버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4392B1 (ko) 2011-10-19 2012-09-19 김국수 배관용 단열장치
KR101824704B1 (ko) * 2016-08-12 2018-02-02 임동현 밸브 단열커버용 안전장치
RU2686428C1 (ru) * 2017-12-20 2019-04-25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автоном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Уральский федеральный университет имени первого Президента России Б.Н. Ельцина" Блочная быстросъемная защита трубопроводов аэс
KR101889443B1 (ko) * 2018-01-05 2018-08-17 (주)동인엔지니어링 배관용 단열장치
KR101890284B1 (ko) * 2018-01-05 2018-08-21 (주)동인엔지니어링 밸브유닛용 단열장치
KR101890293B1 (ko) * 2018-01-05 2018-08-21 (주)동인엔지니어링 분기형 배관용 단열장치
WO2019135435A1 (ko) * 2018-01-05 2019-07-11 (주)동인엔지니어링 밸브유닛용 단열장치
WO2019135436A1 (ko) * 2018-01-05 2019-07-11 (주)동인엔지니어링 분기형 배관용 단열장치
WO2019135434A1 (ko) * 2018-01-05 2019-07-11 (주)동인엔지니어링 배관용 단열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7936B1 (ko) 파이프용 단열부재
KR101184392B1 (ko) 배관용 단열장치
WO2013023581A1 (zh) 具有超强型耐热钢钢带的预热器旋风筒内筒
CN101379345A (zh) 锅炉水冷壁用板
RU2675298C2 (ru) Изоляционная система для трубы
KR101501643B1 (ko) T형 배관용 단열재 보호커버
JP2008526522A (ja) 2つの要素を接合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スリーブ
KR101930945B1 (ko) 밸브 단열커버
KR20090129601A (ko) 원형관 연결구조
KR101554899B1 (ko) 배기가스 배출용 연도 조립체
KR101173681B1 (ko) 탈부착식 단열 커버
KR101613504B1 (ko) 배관용 반사형 금속단열재
KR20090073822A (ko) 연도용 덕트 조립체
CN205746777U (zh) 一种锅炉受热面支撑装置
KR101870736B1 (ko) 보온부가 일체로 형성된 이중관 연도 제조방법
CN205715641U (zh) 承重梁穿烟道护板的密封结构
CN204084318U (zh) 一种用于锅炉尾部受热面的密封装置
CN217815738U (zh) 一种保护套装置
CN215563558U (zh) 一种建筑钢结构墙体
KR101824704B1 (ko) 밸브 단열커버용 안전장치
CN215807191U (zh) 一种复合式金属阀门保温套
JP5979907B2 (ja) 継手構造及び継手方法
CN216046184U (zh) 一种pe电熔套筒保护装置
CN204535406U (zh) 超绝热隧道窑烧嘴砖
CN208237225U (zh) 一种应用于管道定位组装的改进型喉箍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3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