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0293B1 - 분기형 배관용 단열장치 - Google Patents

분기형 배관용 단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0293B1
KR101890293B1 KR1020180001678A KR20180001678A KR101890293B1 KR 101890293 B1 KR101890293 B1 KR 101890293B1 KR 1020180001678 A KR1020180001678 A KR 1020180001678A KR 20180001678 A KR20180001678 A KR 20180001678A KR 101890293 B1 KR101890293 B1 KR 1018902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vided body
divided
chassis
finishing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16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기
Original Assignee
(주)동인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동인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동인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800016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0293B1/ko
Priority to PCT/KR2018/000689 priority patent/WO2019135436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02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02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0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2Shape or form of insulating materials, with or without coverings integral with the insulating materials
    • F16L59/021Shape or form of insulating materials, with or without coverings integral with the insulating materials comprising a single piece or sleeve, e.g. split sleeve, two half sleeves
    • F16L59/025Shape or form of insulating materials, with or without coverings integral with the insulating materials comprising a single piece or sleeve, e.g. split sleeve, two half sleeves with more then two seg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0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10Bandages or covers for the protection of the insulation, e.g. against the influence of the environment or against mechanical damage
    • F16L59/103Rigid covers for tee pie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0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14Arrangements for the insulation of pipes or pipe systems
    • F16L59/16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local requirements at flanges, junctions, valves or the like
    • F16L59/161Housings for valves, tee piece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otection Of Pipes Against Damage, Friction, And Corrosion (AREA)
  • Thermal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기형 배관용 단열장치는, 일정길이를 가지는 반원통 형상을 가지며, 일단부분은 상기 제1개구의 일부를 구성하고 타단부분은 상기 제2개구의 일부를 구성하는 제1분할체와; 일단부분과 타단부분을 연결하는 중간부분에서 꺾인 구조의 반원통 형상을 가지며, 일단부분은 상기 제1분할체의 일단부분과 결합되어 상기 제1개구를 완성하고 타단부분은 상기 제3개구의 일부를 구성하는 제2분할체와; 상기 제2분할체와 대칭되는 구조 또는 동일구조로 구성하여, 일단부분은 상기 제1분할체의 타단부분과 결합되어 상기 제2개구를 완성하고 타단부분은 상기 제2분할체의 타단부분과 결합되어 상기 제3개구를 완성하는 제3분할체;를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분기형 배관을 감싸는 형태로 분리가능한 구조로 조립되며, 상기 제1분할체와 상기 제2분할체와 상기 제3분할체 중 적어도 하나의 분할체는 연성을 갖는 시트구조로 구성된다.

Description

분기형 배관용 단열장치{INSULATION APPARATUS OF BRANCH PIPE}
본 발명은 분기형 배관의 외측면을 둘러싸도록 설치되는 분기형 배관용 단열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분기형 배관에 착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되 좁은 공간에서도 설치가 용이한 분기형 배관용 단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오피스 빌딩, 산업용 건물 및 아파트 등의 건물에는 각종 배관 설비들이 설치되며, 이러한 배관 설비들은 보온 및 보냉 또는 부가적으로 배관설비의 수명연장 및 외관디자인을 위한 목적으로 보온 커버들이 설치되어 사용되며, 이러한 보온 커버는 주로 배관 설비에 있어 밸브, T형관, 엘보우, 직관 등에 사용된다.
특히, 발전소(원자력, 화력 등) 및 석유화학플랜트 등에는 보일러에서 생산된 고온 고압의 증기가 터빈에 회전력을 제공하여 최종적으로 전기적 에너지를 생산하는 것으로, 고온 고압의 증기와 온수는 배관을 통하여 각 계통별로 빠른 속도로 이송되고 있으며, 이송과정 중 배관 내부의 유체마찰 및 캐비테이션(Cavitation) 등에 의한 배관 두께가 얇아져 정상운전 중 계통의 안전사고를 유발시킬 수 있는 위험성이 잠재하고 있어 발전설비의 계획예방정비 중에 배관의 감육상태(부식 등의 원인으로 인해 배관의 벽이 얇아지는 상태) 점검으로 설비의 건전성을 확인하고 있다.
이러한 배관의 감육현상으로 인해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배관 측에 핀홀이 발생하여 큰 사고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배관에 대해 1년에 한번씩 계획예방정비를 통해 감육검사를 실시하고, 이를 기록 및 보고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감육검사를 실시할 때 기존의 단열재로 시공된 경우에는 배관의 외부에 마감된 금속재질의 보호커버(또는 마감커버) 및 단열재 등을 순차적으로 철거한 후에 감육검사를 실시한다. 이러한 감육검사를 실시한 후에 새로운 단열재를 부착하고, 보호커버로 마감하는 방식으로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감육검사 후의 단열재 시공방식은 매년 철거되는 단열재 및 보호커버의 폐기량으로 인해 자재의 막대한 낭비를 불러일으키고, 특히 T-형 배관용의 경우에는 직관의 단열재 설치에 비해 고도의 숙련된 기능이 요구될 뿐만 아니라 잘못 시공된 경우 단열틈새(thermal notch)의 발생으로 인해 열피로현상(thermalstress)이 증가하여 그 부분에 대한 감육현상이 현저하게 진행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전체 배관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T 형 배관용 보호커버는 강성이 유지되고 재활용이 가능하며 시공이 간편하고 제조가 용이할 것이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분기형 배관용 보호커버는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2-0008974호(2012.12.28)에 기재된 바와 같이, T형의 상부 반원통체와 T 형의 하부 반원통체의 구조로 되어 있으며, 이들 반원통체들을 상하로 결합하여 분기형 배관의 단열재를 감싸 보호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구조의 T형의 상부 반원통체와 T 형의 하부반원통체 각각은 도 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반원통체(10)의 길이방향 중간부분에 홈 또는 구멍(30)을 형성하고 그 구멍(30)의 가장자리부분과 다른 하나의 반원통체(20)의 단부를 용접 등으로 접합하여 도 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부반원통체 또는 하부 반원통체를 형성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의 보호커버는 금속으로 제작되므로 배관과 벽체 사이의 공간이 좁은 경우 시공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물론, 금속 재질의 보호커버를 설치하지 아니하고 소프트한 단열재만을 설치하면 배관 주변의 공간이 좁더라도 시공이 가능해지지만, 단열재가 직접 외부로 노출되면 단열재의 수명이 짧아지고 단열재가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지 못하게 된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착탈 가능한 구조로 분기형 배관을 둘러싸도록 장착되되, 분기형 배관 주변의 공간이 좁더라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단열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분기형 배관용 단열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분기형 배관용 단열장치는, 제1개구와, 상기 제1개구의 반대방향으로 오픈된 제2개구와, 상기 제1개구 및 상기 제2개구와 수직되는 방향으로 오픈된 제3개구를 가지는 분기형 배관용 단열장치에 있어서:
일정길이를 가지는 반원통 형상을 가지며, 일단부분은 상기 제1개구의 일부를 구성하고 타단부분은 상기 제2개구의 일부를 구성하는 제1분할체와; 일단부분과 타단부분을 연결하는 중간부분에서 꺾인 구조의 반원통 형상을 가지며, 일단부분은 상기 제1분할체의 일단부분과 결합되어 상기 제1개구를 완성하고 타단부분은 상기 제3개구의 일부를 구성하는 제2분할체와; 상기 제2분할체와 대칭되는 구조 또는 동일구조로 구성하여, 일단부분은 상기 제1분할체의 타단부분과 결합되어 상기 제2개구를 완성하고 타단부분은 상기 제2분할체의 타단부분과 결합되어 상기 제3개구를 완성하는 제3분할체;를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분기형 배관을 감싸는 형태로 분리가능한 구조로 조립되며, 상기 제1분할체와 상기 제2분할체와 상기 제3분할체 중 적어도 하나의 분할체는 연성을 갖는 시트구조로 구성된다.
상기 제1분할체와 상기 제2분할체와 상기 제3분할체 중 적어도 하나는, 연성을 갖는 은박페브릭과, 상기 은박페브릭의 외측면을 감싸는 금속망으로 구성된다.
조립단부에 마감삽입홈이 형성된 "ㄷ" 자 단면형상의 몸체를 가지며, 상기 마감삽입홈의 내부 일측면에는 일정간격으로 톱니모양의 제1돌부가 형성되고, 내부 타측면에는 상기 제1돌부와 교차구조로 톱니모양의 제2돌부가 형성되며, 연질금속재질을 가지는 마감샤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분할체, 상기 제2분할체 및 상기 제3분할체 각각의 가장자리 부분이 상기 마감삽입홈에 삽입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마감샤시를 압착함에 의해 상기 제1분할체, 상기 제2분할체 및 상기 제3분할체 각각의 가장자리 부분이 상기 마감샤시와 결합된 구조로 구성된다.
상기 마감샤시는, 상호 결합되는 두 개의 분할체 중 어느 하나의 분할체 가장자리가 삽입되는 제1마감샤시와, 상호 결합되는 두 개의 분할체 중 다른 하나의 분할체 가장자리가 삽입되는 제2 마감샤시로 구분되되, 상기 제2 마감샤시는, 상기 제1 마감샤시와 상기 제2 마감샤시 사이의 틈새를 덮도록 연장되는 연장부를 구비한다.
상기 제1마감샤시는 상기 몸체의 단부에서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보강부를 더 구비하여 상기 몸체와 상기 제1보강부가 "ㄱ"자 또는 "L" 자 형상의 단면을 가지고, 상기 제2마감샤시는 상기 몸체의 단부에서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보강부를 더 구비하여 상기 몸체, 상기 연장부 및 상기 제2보강부가 "T" 자형상의 단면을 갖도록 제작된다.
상기 제1분할체와 상기 제2분할체와 상기 제3분할체 중 연성의 직물 구조로 구성되는 분할체는, 상기 마감샤시에 삽입되는 부위가 두 겹으로 겹쳐지도록 폴딩되며 폴딩된 부위에 보강판이 삽입된다.
상기 제1분할체와 상기 제2분할체와 상기 제3분할체 중 어느 하나의 분할체 내측면으로부터 상기 분기형 배관의 중심을 향해 연장되는 외측관과, 길이방향 일단이 상기 외측관 내부에 삽입되고 길이방향 타단이 상기 분기형 배관에 안착되는 내측관과, 상기 외측관 및 내측관의 외주면을 감싸는 코일스프링 형상을 이루되 길이방향 일단이 상기 제1분할체와 상기 제2분할체와 상기 제3분할체 중 어느 하나의 분할체 내측면에 안착되고 길이방향 타단이 상기 분기형 배관에 안착되는 탄성체로 구성되는 방진수단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제1분할체와 상기 제2분할체와 상기 제3분할체 중 상기 외측관이 결합되는 분할체의 내측면에 설치되는 보강판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제1분할체와 상기 제2분할체와 상기 제3분할체 중 적어도 하나는, 동일 또는 서로 다른 폭을 가지는 복수의 원호판들을 폭방향으로 서로 연결하여 분기형 배관에 대응되는 길이 및 곡면을 가지도록 구성되고, 상기 복수의 원호판들은, 제1조립단부에는 제1삽입홈이 형성되고 제2조립단부에는 제2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삽입홈 및 상기 제2삽입홈 각각의 내부 일측면에는 톱니모양의 제1돌기가 형성되고 내부 타측면에는 상기 제1돌기와 교차구조로 톱니모양의 제2돌기가 형성되어 일정길이를 가지는 연질금속재질의 적어도 하나의 연결샤시를 통해 서로 연결된다.
서로 인접된 두 개의 원호판들 중 어느 하나의 원호판의 폭방향 일단부가 상기 제1삽입홈에 삽입되고 다른 하나의 원호판의 폭방향 일단부가 상기 제2삽입홈에 삽입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결샤시를 압착함에 의해 서로 인접된 두 개의 원호판들을 폭방향으로 결합시키는 방식으로, 상기 복수의 원호판들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결샤시가 분기형 배관의 곡면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도록 결합된 구조로 구성된다.
상기 제2분할체 또는 상기 제3분할체를 구성하는 원호판들 중 적어도 일부의 원호판들은 길이방향 가장자리부분이 길이방향 중앙부분보다 더 큰 폭을 가지도록 구성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결샤시는 단면이 "H" 자 형상으로 제작된다.
상기 제1분할체, 상기 제2분할체, 및 상기 제3분할체 각각은 폭방향으로 분할된 적어도 두 개의 부분 분할체들이 서로 결합된 구조로 구성된다.
상기 제1분할체와 상기 제2분할체와 상기 제3분할체는 횡단면이 반원형 구조를 가지고, 상기 제2분할체와 상기 제3분할체는 종단면이 "ㄱ"자형 구조 또는 "L"자형 구조로 구성된다.
상기 제1분할체와 상기 제2분할체와 상기 제3분할체에 각각 내장되는 단열재를 더 포함한다.
상기 단열재의 표면 중 상기 제1분할체 또는 상기 제2분할체 또는 상기 제3분할체에 의해 덮이지 아니한 부위를 덮으며, 폭방향 양측이 두 겹으로 겹쳐지도록 폴딩되는 보호시트를 구비하며,
상기 보호시트 중 두 겹으로 겹쳐진 폭방향 일측을 관통한 후 상기 제1마감샤시 또는 제2마감샤시를 관통하도록 체결되는 리벳과, 상기 보호시트의 폭방향 양측 중 접힌 부위에 삽입되는 고정와이어와, 상기 리벳의 헤드가 안착되는 체결와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형 배관용 단열장치.
삭제
본 발명에 의한 분기형 배관용 단열장치는, 착탈 가능한 구조로 분기형 배관을 둘러싸도록 장착되어 유지 및 보수가 용이하고, 분기형 배관 주변의 공간이 좁더라도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어 작업성이 우수하며, 단열성이 현저히 향상된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분기형 배관용 단열장치의 제조과정을 도시한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분기형 배관용 단열장치의 분해사시도 및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포함되는 제1분할체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마감샤시에 상기 제1분할체의 가장자리와 제2분할체의 가장자리가 결합되는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3의 "A" 부분의 확대도 및 단면도이다.
도 8은 제2분할체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9는 두 개의 원호판이 연결샤시에 의해 연결되는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분기형 배관용 단열장치 제2 실시예에 포함되는 제1마감샤시와 제2마감샤시의 결합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제1분할체가 단열재와 결합되어 제1단열유닛을 구성하는 과정을 도시한다.
도 12는 제2분할체가 단열재와 결합되어 제2단열유닛을 구성하는 과정을 도시한다.
도 13은 제3분할체가 단열재와 결합되어 제3단열유닛을 구성하는 과정을 도시한다.
도 14 및 도 15는 도 11 내지 도 13의 제1단열유닛, 제2단열유닛, 제3단열유닛이 분기형 배관의 대응면에 결합되는 과정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및 결합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에 의한 분기형 배관용 단열장치 제3 실시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에 의한 분기형 배관용 단열장치 제4 실시예에 포함되는 제1 단열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에 의한 분기형 배관용 단열장치 제5 실시예의 평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에 의한 분기형 배관용 단열장치 제6 실시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0은 마감커버의 결합구조를 도시하는 확대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철저한 이해를 제공할 의도 외에는 다른 의도 없이,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분기형 배관용 단열장치의 분해사시도 및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시예에 따른 분기형 배관용 단열장치는, 제1분할체(100), 제2분할체(200), 및 제3분할체(300)를 구비하여 이들을 클램프(450)를 이용하여 서로 결합시킴에 의해 완성되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 단열장치는 제1개구(400a)와, 상기 제1개구(400a)의 반대방향으로 오픈된 제2개구(400b)와, 상기 제1개구(400a) 및 상기 제2개구(400b)와 수직되는 방향으로 오픈된 제3개구(400c)를 가지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상기 단열장치를 3차원 좌표상에 나타낼 경우에, 상기 단열장치는 X축(-)방향으로 오픈된 제1개구(400a)와, X축 (+) 방향으로 오픈된 제2개구(400b)와, Z축(+) 방향으로 오픈된 제3개구(400c)를 가지며, 상기 제1개구(400a)의 중심점과 상기 제2개구(400b)의 중심점을 연결하는 X축방향의 가상의 제1중심선(L1)과, 상기 제3개구(400c)의 중심점에서 상기 제1중심선(L1)과 수직으로 만나는 Z축방향의 가상의 제2중심선(L2)을 구비하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
상기 제1분할체(100)는 X축 방향으로 일정길이를 가지는 반원통 형상을 가지며, 일단부분은 상기 제1개구(400a)의 일부를 구성하고 타단부분은 상기 제2개구(400b)의 일부를 구성하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 제1분할체(100)는 일정길이를 가지는 반원통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제1중심선(L1)을 기준으로 상기 단열장치의 Z축 (-) 방향 부분의 형상을 구성하게 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상기 단열장치를 Y축(+)방향에서 Y축(-) 방향으로 상기 제1중심선(L1)을 지나도록 제1절단공정을 수행할 경우에 Z축 (-) 방향으로 분리되는 분할체와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분할체(200)는 일단부분과 타단부분을 연결하는 중간부분에서 꺾인 구조를 가지며, 일단부분은 상기 제1분할체(100)의 일단부분과 결합되어 상기 제1개구(400a)를 완성하고 타단부분은 상기 제3개구(400c)의 일부를 구성하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 제2분할체(200)는 중간부분이 꺾인 "L" 자 또는 "ㄱ"자 형상의 반원통체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분할체(200)는 일단부분은 X축(-)방향으로 연장되고 타단부분은 Z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단열장치의 상기 제1중심선(L1)을 기준으로 Z축(+) 방향 부분임과 동시에 상기 제2중심선(L2)을 기준으로 X축 (-) 방향 부분을 만족하는 부분의 형상을 구성하게 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상기 제1절단공정을 통해 Z축 (+) 방향으로 분리되는 분할체를 Y축(+)방향에서 Y축(-) 방향으로 상기 제2중심선(L2)을 지나도록 제2절단공정을 수행할 경우에 X축(-) 방향으로 분리되는 분할체와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3분할체(300)는 상기 제2분할체(200)와 대칭되는 구조 또는 동일구조로 구성하여, 일단부분은 상기 제1분할체(100)의 타단부분과 결합되어 상기 제2개구(400b)를 완성하고 타단부분은 상기 제2분할체(200)의 타단부분과 결합되어 상기 제3개구(400c)를 완성하게 된다. 상기 제3분할체(300)는 상기 제2분할체(200)와는 상기 제2중심선(L2)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구조로 형성되게 된다. 또한 상기 제3분할체(300)와 상기 제2분할체(200) 각각은 상하 대칭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서로 동일구조를 가지도록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3분할체(300)는 일단부분은 X축(+)방향으로 연장되고 타단부분은 Z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단열장치의 상기 제1중심선(L1)을 기준으로 Z축(+) 방향 부분임과 동시에 상기 제2중심선(L2)을 기준으로 X축 (+) 방향 부분을 만족하는 부분의 형상을 구성하게 된다. 좀더 구체적으로, 상기 제2절단공정을 통해 X축 (+) 방향으로 분리되는 분할체와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분할체(100), 상기 제2분할체(200) 및 상기 제3분할체(300) 각각은 횡단면이 반원형 구조를 가지고, 상기 제2분할체(200) 및 상기 제3분할체(300) 각각은 종단면이 "L"자형 구조 또는 "ㄱ" 자를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분할체(100), 상기 제2분할체(200) 및 상기 제3분할체(300)는 외주면에 설치되는 클램프(450)를 통해 서로 결합되어 T형의 상기 단열장치를 구성하게 된다.
이때 본 발명에 의한 분기형 배관용 단열장치는, 상기 제1분할체(100)와 제2분할체(200)와 제3분할체(3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 연성을 갖는 시트구조로 구성된다는 점에 구성상의 특징이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한 분기형 배관용 단열장치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분할체(200)와 제3분할체가 외부 충격에 대한 강성을 가질 수 있도록 알루미늄 합금 등과 같은 금속으로 제작되고, 상기 제1분할체(100)는 외부로부터 힘이 가해졌을 때 쉽게 변형될 수 있도록 연성을 갖는 시트구조로 제작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분할체(100)가 연성의 시트로 제작되면, 배관 주변으로 파이프 또는 덕트가 지나가거나 배관과 건물 벽체가 인접하게 배치되어 있다 하더라도, 상기 제1분할체(100)를 휘거나 굽혀가면서 배관에 장착시킬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에 의한 배관용 단열장치는 배관 주변의 공간이 협소하더라도 매우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 제1분할체(100)는 열반사 기능을 가질 수 있도록 연성의 은박페브릭(102)으로 적용될 수 있는데, 상기 은박페브릭(102)이 외부로 직접 노출되면 쉽게 찢어지거나 손상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상기 제1분할체(100)는 상기 은박페브릭(102)의 외측면을 덮도록 장착되어 상기 은박페브릭(102)을 보호하는 금속망(104)을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금속망(104)의 재질이나 그물패턴은 설계자의 선택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제2분할체(200) 및 상기 제3분할체(300) 각각은 동일 또는 서로 다른 폭을 가지는 복수의 원호판(210)들을 폭방향으로 서로 연결하여 분기형 배관에 대응되는 길이 및 곡면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복수의 원호판(210)들은 적어도 하나의 연결샤시(120)에 의해 T형 곡면에 대응하는 제2분할체(200) 및 제3분할체(300)을 이루게 된다. 상기 제2분할체(200) 및 상기 제3분할체(300) 각각은 연질금속재질(예를 들면, 알루미늄 재질)을 가질 수 있다.
이하 상기 제1분할체(100), 상기 제2분할체(200) 및 상기 제3분할체(300) 각각의 결합방법 및 구조를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포함되는 제1분할체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5 및 도 6은 마감샤시에 상기 제1분할체의 가장자리와 제2분할체의 가장자리가 결합되는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제1조립체(100)와 제2조립체(200)와 제3조립체(300)의 가장자리에는 강성 보강을 위해 연질금속재질(예를 들면, 알루미늄 재질)의 마감샤시(150)가 각각 결합되고, 각 조립체에 결합된 마감샤시(150)들은 클램프(450)에 의해 결합된다.
상기 마감샤시(150)는 조립단부에 마감삽입홈(150a)이 형성된 "ㄷ" 자 단면형상의 몸체를 가지며, 상기 마감삽입홈(150a)의 내부 일측면에는 일정간격으로 톱니모양의 제1돌부(153)가 형성되고, 내부 타측면에는 상기 제1돌부(153)와 교차구조로 톱니모양의 제2돌부(154)가 형성되며, 연질금속으로 제작된다.
상기 제1분할체(100), 상기 제2분할체(200) 및 상기 제3분할체(300) 각각의 가장자리 부분이 상기 마감삽입홈(150a)에 삽입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마감샤시(150)를 압착함에 의해 상기 제1분할체(100), 상기 제2분할체(200) 및 상기 제3분할체(300) 각각의 가장자리 부분이 상기 마감샤시(150)에 견고히 결합된다. 이때 상기 제1마감샤시(151)가 결합된 상기 제1분할체(100)의 가장자리부분은 리벳(170)을 이용한 리벳결합을 통해 결합력을 강화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분할체(100)는 연성을 갖는 시트 구조로 제작되는바, 상기 마감샤시(150)에 삽입되어 리벳(170)으로 체결된 부위가 쉽게 찢어지거나 손상될 우려가 있다. 이와 같이 제1분할체(100) 중 마감샤시(150)에 삽입된 부위가 찢어지거나 손상되면 상기 제1분할체(100)가 탈거되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분할체(100)는 마감샤시(150)에 삽입되는 부위가 두 겹으로 겹쳐지도록 폴딩되며, 상기 제1분할체(100)의 폴딩된 부위에 삽입되는 보강판(106)이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은박페브릭(102)과 금속망(104)이 적층 구조로 포개어져 폴딩되는 경우, 상기 은박페브릭(102)의 폴딩된 부위에 보강판(106)이 삽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보강판(106)이 추가로 구비되면, 상기 제1분할체(100)는 마감샤시(150)에 안정적으로 견고히 결합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 의한 분기형 배관용 단열장치의 내구성이 현저히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기 마감샤시(150)는, 상호 결합되는 두 개의 분할체 중 어느 하나의 분할체(도 5에서는 제2분할체(200)) 가장자리가 삽입되는 제1마감샤시(151)와, 상호 결합되는 두 개의 분할체 중 다른 하나의 분할체(도 6에서는 제1분할체(100)) 가장자리가 삽입되는 제2마감샤시(152)로 구분될 수 있다.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마감샤시(151)는, 조립단부에 마감삽입홈(150a)에 형성된 "ㄷ" 자 단면형상의 몸체를 가지며, 상기 마감삽입홈(150a)의 내부 일측면에는 톱니모양의 제1돌부(153)가 형성되고, 내부 타측면에는 상기 제1돌부(153)와 교차구조로 톱니모양의 제2돌부(154)가 형성되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 제1돌부(153) 및 상기 제2돌부(154)는 복수개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1돌부(153) 및 상기 제2돌부(154)는 서로 대향하지 않도록 형성된다. 즉 제1돌부(153)가 형성된 부분과 대향하는 부분에는 제2돌부(154)가 형성되지 않고, 인접된 부분에 제2돌부(154)가 형성되어 압착시 서로 맞물리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분할체(100)의 가장자리부분이 상기 제1마감샤시(151)의 마감삽입홈(150a)에 삽입되도록 한 상태에서,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마감샤시(151)를 압착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마감샤시(151)는 연질금속재질이므로, 상기 제1돌부(153) 및 상기 제2돌부(154)가 상기 제1분할체(100)의 가장자리 부분이 개재된 상태에서 서로 맞물리는 형태로, 상기 제1마감샤시(151)가 상기 제1분할체(100)의 가장자리부분과 함께 압착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분할체(100)의 가장자리부분과 상기 제1마감샤시(151)는 정밀하고 견고하게 결합된다.
한편, 상기 제1마감샤시(151)와 제2마감샤시(152)가 단순히 맞닿는 구조를 이루는 경우, 제1마감샤시(151)와 제2마감샤시(152) 사이의 틈새로 이물질이 유입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상기 제2마감샤시(152)는, 상기 제1마감샤시(151)와 상기 제2마감샤시(152) 사이의 틈새를 덮도록 연장되는 연장부(155)를 구비할 수 있다.
즉, 상기 제2마감샤시(152)는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마감샤시(151)에 연장부(155)가 추가된 구조로 제작된다. 상기 제2마감샤시(152)는 제1마감샤시(151)와 동일하게, 조립단부에 마감삽입홈(150a)에 형성된 "ㄷ" 자 단면형상의 몸체를 가지며, 상기 마감삽입홈(150a)의 내부 일측면에는 톱니모양의 제1돌부(153)가 형성되고, 내부 타측면에는 상기 제1돌부(153)와 교차구조로 톱니모양의 제2돌부(154)가 형성되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 제1돌부(153) 및 상기 제2돌부(154)는 복수개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1돌부(153) 및 상기 제2돌부(154)는 서로 대향하지 않도록 형성된다. 즉 제1돌부(153)가 형성된 부분과 대향하는 부분에는 제2돌부(154)가 형성되지 않고, 인접된 부분에 제2돌부(154)가 형성되어 압착시 서로 맞물리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제2마감샤시(152)의 몸체는 상기 제1마감샤시(151)와 동일구조를 가진다.
여기서 상기 제2분할체(200) 또는 상기 제3분할체(300)와 결합(또는 접촉)되지 않는 제1분할체(100)의 가장자리 부분(예를 들면, 길이방향 가장자리 부분)은 상기 제1마감샤시(151)와 결합되게 된다.
만일 제2분할체(200) 또는 제3분할체(300)에서 상기 제1분할체(100)와 결합되는 부분에 상기 제2마감샤시(152)가 결합되어 있다면, 충돌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1분할체(100)의 폭방향 가장자리 부분에는 제1마감샤시(151)가 결합되게 된다. 그리고 제2분할체(200) 또는 제3분할체(300)에서 상기 제1분할체(100)와 결합되는 부분에 상기 제1마감샤시(151)가 결합되어 있다면, 상기 제1분할체(100)의 폭방향 가장자리 부분에는 상기 제2마감샤시(152)가 결합되어야 할 것이다.
도 6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마감샤시(152)가 결합된 상기 제1분할체(100)의 가장자리부분은 리벳(170)을 이용한 리벳결합을 통해 결합력을 강화시킬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마감샤시(152)의 경우는 제1분할체(100)가 다른 분할체(200, 300)와 클램프(450) 등의 체결구를 이용한 결합시에 다른 분할체(200,300)와의 결합틈새를 커버하여, 이물질이나 물이 결합틈새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마감샤시(152)는 상기 제1분할체(100)의 폭방향 가장자리 부분에 결합되고, 상기 제1마감샤시(151)은 상기 제2분할체(200)의 폭방향 가장자리 부분에 결합된다.
이후, 상기 제1분할체(100)와 상기 제2분할체(200)를 클램프 등을 이용하여 체결하는 경우에, 상기 제1분할체(100)와 결합된 제2마감샤시(152)의 연장부(155)가, 상기 제2분할체(200)와 결합된 제1마감샤시(151)의 상부쪽으로 연장되는 구조로 체결되게 되므로, 상기 제1분할체(100)와 상기 제2분할체(200)의 결합틈새(또는 접촉틈새)를 커버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제1분할체(100)의 폭방향 가장자리부분에는 연장부(155)를 구비하는 제2마감샤시(152)가 결합되어 있고, 상기 제2분할체(200)의 가장자리 중 제1분할체(100)와 대응되는 부분에는 연장부(155)를 구비하지 않는 제1마감샤시(151)가 결합되어 있어, 상기 제1분할체(100)와 결합된 제2마감샤시(152)의 연장부(155)를 통해 제1분할체(100)와 제2분할체(200)의 결합틈새를 커버하게 된다.
이 경우 다른 분할체인 제2분할체(200) 또는 제3분할체(300)에 제2마감샤시(152)가 결합되어 있다면, 상기 제1분할체(100)의 폭방향 가장자리 부분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1마감샤시(151)가 결합되어야 할 것이다.
즉 상기 제1분할체(100), 상기 제2분할체(200) 및 상기 제3분할체(300) 중에서 두 개의 분할체가 서로 접촉되는 부분에는 제1마감샤시(151)와 제2마감샤시(152)가 서로 접촉되는 구조로 결합되게 되는 것으로, 두개의 분할체가 결합되는 경우에, 어느 하나의 분할체(예를 들면 제1분할체(100))에는 제2마감샤시(152)가 결합되고, 다른 하나의 분할체(예를 들면, 제2분할체(200) 또는 제3분할체(300))에는 제1마감샤시(151)가 결합되며, 상기 연장부(155)를 통해 분할체들의 접촉틈새를 커버하게 된다.
도 8은 제2분할체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9는 두 개의 원호판이 연결샤시에 의해 연결되는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분할체(200)는, 동일 또는 서로 다른 폭을 가지는 복수의 원호판(210)들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결샤시(220)를 이용하여 폭방향(X축방향 및 Z축방향 또는 상기 제2분할체(200)의 길이방향)으로 서로 연결함에 의해 분기형 배관에 대응되는 길이 및 곡면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결샤시(220)는 제1조립단부에는 제1삽입홈(220a)이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반대편 제2조립단부에는 제2삽입홈(220b)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상기 제1삽입홈(220a) 및 상기 제2삽입홈(220b) 각각의 내부 일측면에는 톱니모양의 제1돌기(220c)가 형성되고, 내부 타측면에는 상기 제1돌기(220c)와 교차구조로 톱니모양의 제2돌기(220d)가 형성된다. 상기 제1돌기(220c) 및 상기 제2돌기(220d)는 복수 개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1돌기(220c) 및 상기 제2돌기(220d)는 서로 대향하지 않도록 형성된다. 즉 제1돌기(220c)가 형성된 부분과 대향하는 내부타측면 부분에는 제2돌기(220d)가 형성되지 않고, 인접된 부분에 제2돌기(220d)가 형성되어 압착시 서로 맞물리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결샤시(220)는 도 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이 "H" 자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곡면형상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결샤시(220) 및 복수의 원호판(210)들은 연질금속재질(예를 들면, 알루미늄 재질)을 가질 수 있다.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느 하나의 원호판(210)의 폭방향 일단부가 상기 제1삽입홈(220a)에 삽입되고 또 다른 원호판(210)의 폭방향 일단부가 상기 제2삽입홈(220b)에 삽입되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샤시(220)를 압착하게 된다. 이때 상기 연결샤시(220) 및 상기 원호판(210)들은 연질금속재질이므로, 상기 제1돌기(220c) 및 상기 제2돌기(220d) 사이에 상기 원호판(210)들의 단부가 개재된 상태에서, 상기 제1돌기(220c) 및 상기 제2돌기(220d)가 서로 맞물리는 형태로 상기 원호판(210)들과 함께 압착되게 된다. 이에 따라 하나의 연결샤시(220)를 사이에 두고, 서로 인접된 두 개의 원호판(210)들이 서로 정밀하고 견고하게 결합되게 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복수의 원호판(210)들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결샤시(220)를 곡면형상으로 결합하게 되면, 횡단면이 반원통 형상을 가지는 상기 제2분할체(200)를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복수의 원호판(210)들 각각은 상기 제2분할체(200)의 길이방향으로 폭을 가지고, 상기 제2분할체(200)의 결합되는 부분의 폭에 대응되는 길이를 각각 가지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복수의 원호판(210)들 중 적어도 일부의 원호판(210)은 길이방향 가장자리부분이 길이방향 중앙부분보다 더 큰 폭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원호판(210)들 각각은 상기 제2분할체(200)의 길이방향 가장자리 부분에 결합되는 원호판(210)보다 중간부분(꺾이는 부분)에 결합되는 원호판(210)의 폭이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원호판(210)들 각각은 길이방향 가장자리 부분들을 서로 연결한 경우 "ㄱ" 자 또는 "L" 자를 이루도록 길이방향 가장자리부분(단부)이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원호판(210)은 상기 제2분할체(200)의 길이방향 가장자리 부분에 결합되는 원호판보다 중간부분에 결합되는 원호판의 길이가 더 긴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복수의 원호판(210)들은 평판 플레이트를 롤링 등의 공정을 통해 곡면을 가지도록 가공하여 형성된 것일 수 있으며, 상기 복수의 원호판(210)들은 일부는 서로 다른 폭을 가지거나 일부는 동일한 폭을 가질 수도 있고, 일부는 서로 동일한 길이를 가질 수도 있고 일부는 서로 다른 길이를 가질 수도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결샤시(220)는 상기 제2분할체(200)의 폭에 대응되는 길이 또는 상기 원호판(210)들의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복수의 원호판(210)들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결샤시(220)를 상기 제2분할체(200)의 곡면 또는 구부러진 반원통 형상을 가지도록 곡면형상으로 결합하게 되면, 상기 제2분할체(200)를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추가적으로 상기 제2분할체(200)에는 상기 제2분할체(200)의 단부의 강성을 강화하기 위해 상기 제1분할체(100)와 동일한 방식으로 가장자리 부분에 상기 제1마감샤시(151) 또는 제2마감샤시(152)가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결샤시(220) 및 상기 제1 마감샤시(151), 제2마감샤시(152) 및 복수의 원호판(210)들은 연질금속재질(예를 들면, 알루미늄 재질)을 가질 수 있다.
도면상에서는 상기 제2분할체(200)의 폭방향 가장자리 부분(단부)에만 상기 제1마감샤시(151) 또는 제2마감샤시(152)가 결합되고 있으나, 길이방향 단부에도 상기 제1마감샤시(151) 또는 제2마감샤시(152)가 결합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상기 제1마감샤시(151) 또는 제2마감샤시(152)는 상기 제1분할체(200) 및 상기 제3분할체(300)와 접촉되어 결합되는 부분인 상기 제2분할체(200)의 폭방향 가장자리 부분에만 결합되고 있으나, 상기 제2분할체(100)의 길이방향 단부에도 강성보강을 위해 결합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3분할체(300)와 결합(또는 접촉)되는 부분에 결합되는 제2분할체(200)의 가장자리 부분은 제2마감샤시(152)가 결합되어 연장부(155)를 통해 상기 제3분할체(300)와의 접촉틈새(또는 결합틈새)를 커버할 수 있다.
상기 제2마감샤시(152)의 경우는 도 6의 (a),(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분할체(200)가 다른 분할체(100, 300)와 클램프(450) 등의 체결구를 이용한 결합시에 연장부(155)를 이용하여 다른 분할체(100,300)와의 결합틈새를 커버하여, 이물질이나 물이 결합틈새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경우 다른 분할체(100,300)에 상기 연장부(155)를 구비하는 제2마감샤시(152)가 결합되어 있다면, 상기 제2분할체(200)의 가장자리 부분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연장부를 구비하지 않는 제1마감샤시(151)와 결합되어야 할 것이다.
즉 상기 제1분할체(100), 상기 제2분할체(200) 및 상기 제3분할체(300) 중에서 두 개의 분할체가 서로 접촉되는 부분에는 제1마감샤시(151)와 제2마감샤시(152)가 서로 접촉되는 구조로 결합되게 되는 것으로, 두개의 분할체가 결합되는 경우에, 어느 하나의 분할체(예를 들면 제1분할체(100))에는 제2마감샤시(152)가 결합되고, 다른 하나의 분할체(예를 들면, 제2분할체(200) 또는 제3분할체(300))에는 제1마감샤시(151)가 결합되며, 상기 연장부(155)를 통해 분할체들의 접촉틈새를 커버하게 된다.
결국 상기 제1분할체(100)의 폭방향 가장자리 부분에 연장부(155)를 구비하는 제2마감샤시(152)가 결합되어 있다면, 상기 제2분할체(200)가 상기 제1분할체(100)와 접촉하는 부분에는 연장부를 구비하지 않는 제1마감샤시(151)와 결합되어야 할 것이고, 상기 제1분할체(100)의 폭방향 가장자리 부분에 연장부(155)를 구비하지 않는 제1마감샤시(151)가 결합되어 있다면, 상기 제2분할체(200)가 상기 제1분할체(100)와 접촉하는 부분에는 연장부(155)를 구비하는 제2마감샤시(152)와 결합되어야 할 것이다.
이는 상기 제3분할체(300)와의 접촉하는 부분에도 동일하게 적용되게 된다.
상기 제3분할체(300)의 경우는 상기 제2분할체(200)와 동일한 방식으로 구성되므로 더 이상의 설명을 생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분할체(100), 상기 제2분할체(200), 및 상기 제3분할체(300) 각각은 복수의 원호판들(110,210)과 적어도 하나의 연결샤시(120)를 이용하여 조립되고, 제1마감샤시(151) 또는 제2마감샤시(152)를 이용하여 가장자리부분이 마감되게 된다.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분기형 배관용 단열장치 제2 실시예에 포함되는 제1마감샤시와 제2마감샤시의 결합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마감샤시(151)는 몸체의 단부에서 수직방향(하부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보강부(157a)를 더 구비하여 몸체와 상기 제1보강부(157a)가 "ㄱ"자 또는 "L" 자 형상의 단면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마감샤시(152)는 강성 보강을 위해 몸체의 단부에서 수직방향(하부방향)으로 연장되는 보강부(157b)를 더 구비하여 상기 몸체, 상기 연장부(155) 및 상기 제2보강부(157b)가 "T" 자형상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보강부(157a) 및 상기 제2보강부(157b)는 후술하는 단열유닛의 구성시에 단열재와 접촉되게 된다.
도 11은 제1분할체가 단열재와 결합되어 제1단열유닛을 구성하는 과정을 도시하고, 도 12는 제2분할체가 단열재와 결합되어 제2단열유닛을 구성하는 과정을 도시하며, 도 13은 제3분할체가 단열재와 결합되어 제3단열유닛을 구성하는 과정을 도시하고, 도 14 및 도 15는 도 11 내지 도 13의 제1단열유닛, 제2단열유닛, 제3단열유닛이 분기형 배관의 대응면에 결합되는 과정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및 결합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분할체(100)는 단열재(600a)와 결합되어 제1단열유닛(700a)을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단열재(600a)는 분기형 배관(800)의 외면에 인접하는 내부단열층(미도시), 상기 내부단열층(미도시)의 외경방향에 배치되는 외부단열층(미도시), 상기 내부단열층과 상기 외부단열층 사이에 개재된 중간단열층(미도시)을 가지는 다층구조를 가지거나 단일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내부단열층과 상기 외부단열층은 그라스울, 미네랄울 등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또한 분기형 배관(800)의 내부를 통과하는 유체가 저온일 경우에는 발포 폴리에틸렌 등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러한 내부단열층과 외부단열층은 동일한 단열재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중간단열층은 그 내부에 공기 또는 아르곤가스가 충전되는 공간을 가진 자켓구조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와 달리 중간단열층은 하이트린(HITLIN) 등과 같은 고온성 단열재로 구성될 수도 있고, 또한 중간단열층은 내부단열층 및 외부단열층과 비교하여 다른 이종의 단열재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내부단열층, 외부단열층, 및 중간단열층은 별도의 단열재보호층에 의해 감싸져 보호될 수 있다.
상기 단열재(600a)는 상기 제1분할체(100)의 내주면 또는 내면에 결합되어 상기 제1단열유닛(700a)을 구성하며, 상기 제1단열유닛(700a)은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기형 배관(800)의 대응부분에 결합되게 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분할체(200)는 단열재(600b)와 결합되어 제2단열유닛(700b)을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단열재(600b)는 분기형 배관(도 14의 800)의 외면에 인접하는 내부단열층(미도시), 상기 내부단열층(미도시)의 외경방향에 배치되는 외부단열층(미도시), 상기 내부단열층과 상기 외부단열층 사이에 개재된 중간단열층(미도시)을 가지는 다층구조를 가지거나 단일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단열재(600b)의 구조는 제1단열유닛(700a)의 경우와 동일하다.
상기 단열재(600b)는 상기 제2분할체(200)의 내주면 또는 내면에 결합되어 상기 제2단열유닛(700b)을 구성하며, 상기 제2단열유닛(700b)은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기형 배관(800)의 대응부분에 결합되게 된다.
그리고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3분할체(300)는 단열재(600c)와 결합되어 제3단열유닛(700c)을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단열재(600c)는 분기형 배관(도 13의 800)의 외면에 인접하는 내부단열층(미도시), 상기 내부단열층(미도시)의 외경방향에 배치되는 외부단열층(미도시), 상기 내부단열층과 상기 외부단열층 사이에 개재된 중간단열층(미도시)을 가지는 다층구조를 가지거나 단일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단열재(600c)의 구조는 제1단열유닛(700a)의 경우와 동일하다.
상기 단열재(600c)는 상기 제3분할체(300)의 내주면 또는 내면에 결합되어 상기 제3단열유닛(700c)을 구성하며, 상기 제3단열유닛(700c)은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기형 배관(800)의 대응부분에 결합되게 된다.
상기 제1단열유닛(700a), 상기 제2단열유닛(700b), 및 상기 제3단열유닛(700c)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기형 배관(800)을 감싸도록 결합되며, 별도의 클램프(450)에 의해 정확하고 견고하게 고정결합되게 된다.
도 16은 본 발명에 의한 분기형 배관용 단열장치 제3 실시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분기형 배관용 단열장치는, 상기 제1분할체(100), 상기 제2분할체(200), 및 상기 제3분할체(300) 각각이 폭방향으로 적어도 두개의 부분 분할체들을 가지도록 분할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분할체(100)는 폭방향으로 분할된 두개 또는 그 이상의 부분분할체들(100a,100b))의 결합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들 부분분할체(100a,100b)의 형성방법은 도 4 내지 도 7을 통해 설명한 바와 동일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분할체(200)는 폭방향으로 분할된 두 개 또는 그 이상의 부분분할체(200a,200b)의 결합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들 부분분할체(200a,200b)의 형성방법은 도 8를 통해 설명한 바와 동일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제3분할체(300)의 경우도 폭방향으로 분할된 두개 또는 그이상의 부분분할체(300a,300b)의 결합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들 부분분할체(300a,300b)의 형성방법은 도 8를 통해 설명한 바와 동일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분기형 배관에 결합되는 단열장치를 복수의 원호판들과 연결샤시를 이용하여 결합하여 구성함에 의해, 탈부착이 용이하고, 결합 정밀도를 높일 수 있으며, 공정 단순화를 이룰 수 있다. 또한, 강성을 향상시키고 결합부분의 결합강도를 높일 수 있게 된다.
도 17은 본 발명에 의한 분기형 배관용 단열장치 제4 실시예에 포함되는 제1 단열유닛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분할형 배관용 단열장치는, 분할형 배관에서 발생된 진동이 모두 외부로 전달되지 아니하도록 상기 진동을 중간에서 감쇠시키기 위한 방진수단(160)이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방진수단(160)은, 상기 제1분할체(100)의 내측면으로부터 상기 분할형 배관을 향해 연장되는 외측관(161)과, 길이방향 일단이 상기 외측관(161) 내부에 삽입되고 길이방향 타단이 상기 분할형 배관에 안착되는 내측관(162)과, 상기 외측관(161) 및 내측관(162)의 외주면을 감싸는 코일스프링 형상을 이루되 길이방향 일단이 상기 제1분할체(100) 내측면에 안착되고 길이방향 타단이 상기 분할형 배관에 안착되는 탄성체(163)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외측관(161)은, 길이방향 일측이 제1분할체(100)의 내측면(더 명확하게는 은박페브릭(102)의 내측면)에 결합되고, 길이방향 타측이 분할형 배관과는 이격되는 길이로 제작된다. 또한 상기 내측관(162)은, 길이방향 일측이 분할형 배관에 안착되고, 길이방향 타측이 제1분할체(100)와는 이격되는 길이로 제작된다. 따라서 상기 내측관(162)은 외측관(161) 내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길이방향으로 일정 수준 이동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도 17에 도시된 상태에서 분할형 배관에 상하방향 진동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내측관(162) 은 길이방향(도 17에서는 상하방향)으로 왕복운동을 하게 되고, 이에 따라 외측관(161) 및 내측관(162)을 둘러싸는 탄성체(163)는 압축 및 복원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면서 진동을 흡수하게 된다. 즉, 분할형 배관에 진동이 발생되더라도 상기 진동이 그대로 제1분할체(100)로 전달되는 것이 아니라 방진수단(160)의 탄성체(163)에 대부분 흡수되는바, 제1분할체(100)가 진동하는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분할형 배관의 진동은 탄성체(163)에 의해 흡수되므로, 상기 탄성체(163)가 코일스프링 형상으로 제작되어 제1플레이트(110)와 분할형 배관 사이에 설치되면 외측관(161)과 내측관(162)이 생략되더라도 진동이 제1분할체(100)로 전달되지 아니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방진수단(160)이 코일스프링 형상의 탄성체(163)만으로 구성되면, 분할형 배관 진동 시 탄성체(163)가 비스듬히 기울어져 진동을 정상적으로 흡수하지 못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상기 방진수단(160)은 본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중관 구조로 연결되는 외측관(161)과 내측관(162)을 하나의 탄성체(163)가 나선형으로 감싸는 구조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탄성체(163)가 외측관(161)과 내측관(162)을 나선형으로 감싸도록 구성되면, 상기 외측관(161)이 제1분할체(100)로부터 분리되지 아니하는 한 상기 탄성체(163)는 분할형 배관의 중심축을 향하도록 길이방향이 일정하게 유지되는바, 분할형 배관의 진동을 효과적으로 감쇠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제1분할체(100)에 방진수단(160)이 구비되는 경우, 상기 보강판(106)은 제1분할체(100)의 내측면 중 외측관(161)이 결합되는 지점에도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분할체(100)의 내측면 중 외측관(161)이 결합되는 지점에 보강판(106)이 설치되면, 분할형 배관의 진동에 의해 외측관(161)이 수 회에 걸쳐 상하로 진동하더라도 제1분할체(100)가 파손되는 현상이 발생하지 아니한다는 장점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방진수단(160)이 제1분할체(100)에 구비되는 경우만을 도시하고 있으나, 상기 방진수단(160)은 제2분할체(200)나 제3분할체(300)에도 구비될 수 있다. 물론, 상기 방진수단(160)이 제2분할체(200)와 제3분할체(300)에 구비되는 경우, 상기 보강판(106)은 상기 제2분할체(200)와 제3분할체(300) 중 상기 외측관(161)이 결합되는 부위의 내측면에 설치되어야 할 것이다.
도 18은 본 발명에 의한 분기형 배관용 단열장치 제5 실시예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분기형 배관용 단열장치는,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제3개구(400c)가 제1개구(400a) 및 제2개구(400b)와 직교하는 방향을 이루도록 즉, 'T'자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도 있고,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개구(400c)가 제1개구(400a) 및 제2개구(400b)와 비스듬히 경사진 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한 분기형 배관용 단열장치는, 분기형 배관의 형상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 적용될 수 있다.
도 19는 본 발명에 의한 분기형 배관용 단열장치 제6 실시예의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분기형 배관용 단열장치는, 상기 제1분할체(100)만이 은박페브릭(102)과 금속망(104)으로 제작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제2분할체(200)도 은박페브릭(202)과 금속망(204)으로 제작되고, 상기 제3분할체(300) 역시 은박페브픽(302)과 금속망(304)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제1분할체(100)와 제2분할체(200)와 제3분할체(300)가 연성을 갖는 직물 구조로 제작되는 경우, 작업자는 좁은 공간에서도 본 발명에 의한 분기형 배관용 단열장치를 더욱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된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제1분할체(100)와 제2분할체(200)와 제3분할체(300)가 연성을 갖는 직물 구조로 제작되면, 본 발명에 의한 밸브유닛용 단열장치가 경량화되므로, 보관 및 운반도 용이해진다는 장점이 있다.
도 20은 마감커버의 결합구조를 도시하는 확대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밸브유닛용 단열장치는 상기 단열재(600a, 600b, 600c)의 표면이 외부로 직접 노출되지 아니하도록, 상기 단열재(600a, 600b, 600c)의 표면 중 상기 제1분할체(100) 또는 상기 제2분할체(200) 또는 상기 제3분할체(300)에 의해 덮이지 아니한 부위를 덮는 보호시트(900)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보호시트(900)는 세라믹 섬유 등과 같은 불연성 직물로 제작되어 플렉시블한 특성을 가지며, 폭방향 양측이 두 겹으로 겹쳐지도록 폴딩된다.
이때 상기 보호시트(900)는 금속으로 제작되는 것이 아니라 연성을 갖는 직물로 제작되므로, 금속으로 제작되는 마감샤시(150)에 직접 결합되는 경우 보호시트(900)가 마감샤시(150)로부터 쉽게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밸브유닛용 단열장치는 보호시트(900)의 폭방향 양측이 보다 견고하게 마감샤시(150)에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리벳(170)은 상기 보호시트(900) 중 두 겹으로 겹쳐진 폭방향 일측을 관통한 후 상기 제1마감샤시(151) 또는 제2마감샤시(152)를 관통하도록 체결되고, 상기 보호시트(900)의 폭방향 양측 중 접힌 부위에 삽입되는 고정와이어(910)와, 상기 리벳(170)의 헤드(171)가 안착되는 체결와셔(9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와이어(910)는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셔(170)가 안착되는 영역을 벗어난 지점에 위치하는바, 보호시트(900)의 폭방향 양측은 마감샤시(150)과 체결와셔(920) 사이로부터 쉽게 빠지지 아니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보호시트(900)는 각각 제1 마감샤시(151)와 제2 마감샤시(152)에 견고하게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한 실시예의 설명은 본 발명의 더욱 철저한 이해를 위하여 도면을 참조로 예를 든 것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을 한정하는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본적 원리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변경이 가능함은 명백하다 할 것이다.
100 : 제1분할체 200 : 제2분할체
300 : 제3분할체

Claims (16)

  1. 제1개구와, 상기 제1개구의 반대방향으로 오픈된 제2개구와, 상기 제1개구 및 상기 제2개구와 수직되는 방향으로 오픈된 제3개구를 가지는 분기형 배관용 단열장치에 있어서,
    일정길이를 가지는 반원통 형상을 가지며, 일단부분은 상기 제1개구의 일부를 구성하고 타단부분은 상기 제2개구의 일부를 구성하는 제1분할체;
    일단부분과 타단부분을 연결하는 중간부분에서 꺾인 구조의 반원통 형상을 가지며, 일단부분은 상기 제1분할체의 일단부분과 결합되어 상기 제1개구를 완성하고 타단부분은 상기 제3개구의 일부를 구성하는 제2분할체;
    상기 제2분할체와 대칭되는 구조 또는 동일구조로 구성하여, 일단부분은 상기 제1분할체의 타단부분과 결합되어 상기 제2개구를 완성하고 타단부분은 상기 제2분할체의 타단부분과 결합되어 상기 제3개구를 완성하는 제3분할체;
    조립단부에 마감삽입홈이 형성된 "ㄷ" 자 단면형상의 몸체를 가지며, 상기 마감삽입홈의 내부 일측면에는 일정간격으로 톱니모양의 제1돌부가 형성되고, 내부 타측면에는 상기 제1돌부와 교차구조로 톱니모양의 제2돌부가 형성되며, 연질금속재질을 가지는 마감샤시;
    상기 제1분할체와 상기 제2분할체와 상기 제3분할체 중 어느 하나의 분할체 내측면으로부터 상기 분기형 배관의 중심을 향해 연장되는 외측관과, 길이방향 일단이 상기 외측관 내부에 삽입되고 길이방향 타단이 상기 분기형 배관에 안착되는 내측관과, 상기 외측관 및 내측관의 외주면을 감싸는 코일스프링 형상을 이루되 길이방향 일단이 상기 제1분할체와 상기 제2분할체와 상기 제3분할체 중 어느 하나의 분할체 내측면에 안착되고 길이방향 타단이 상기 분기형 배관에 안착되는 탄성체로 구성되는 방진수단;
    상기 제1분할체와 상기 제2분할체와 상기 제3분할체 중 상기 외측관이 결합되는 분할체의 내측면에 설치되는 보강판;
    상기 제1분할체와 상기 제2분할체와 상기 제3분할체에 각각 내장되는 단열재;
    상기 단열재의 표면 중 상기 제1분할체 또는 상기 제2분할체 또는 상기 제3분할체에 의해 덮이지 아니한 부위를 덮으며, 폭방향 양측이 두 겹으로 겹쳐지도록 폴딩되는 보호시트;
    를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분기형 배관을 감싸는 형태로 분리가능한 구조로 조립되며,
    상기 제1분할체와 상기 제2분할체와 상기 제3분할체 중 적어도 하나는, 연성을 갖는 은박페브릭과, 상기 은박페브릭의 외측면을 감싸는 금속망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분할체, 상기 제2분할체 및 상기 제3분할체 각각의 가장자리 부분이 상기 마감삽입홈에 삽입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마감샤시를 압착함에 의해 상기 제1분할체, 상기 제2분할체 및 상기 제3분할체 각각의 가장자리 부분이 상기 마감샤시와 결합된 구조를 가지며,
    상기 마감샤시는, 상호 결합되는 두 개의 분할체 중 어느 하나의 분할체 가장자리가 삽입되는 제1마감샤시와, 상호 결합되는 두 개의 분할체 중 다른 하나의 분할체 가장자리가 삽입되는 제2 마감샤시로 구분되되,
    상기 제2 마감샤시는, 상기 제1 마감샤시와 상기 제2 마감샤시 사이의 틈새를 덮도록 연장되는 연장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분할체와 상기 제2분할체와 상기 제3분할체 중 연성의 직물 구조로 구성되는 분할체는, 상기 마감샤시에 삽입되는 부위가 두 겹으로 겹쳐지도록 폴딩되며 폴딩된 부위에 보강판이 삽입되며,
    상기 보호시트 중 두 겹으로 겹쳐진 폭방향 일측을 관통한 후 상기 제1마감샤시 또는 제2마감샤시를 관통하도록 체결되는 리벳과, 상기 보호시트의 폭방향 양측 중 접힌 부위에 삽입되는 고정와이어와, 상기 리벳의 헤드가 안착되는 체결와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기형 배관용 단열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마감샤시는 상기 몸체의 단부에서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보강부를 더 구비하여 상기 몸체와 상기 제1보강부가 "ㄱ"자 또는 "L" 자 형상의 단면을 가지고,
    상기 제2마감샤시는 상기 몸체의 단부에서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보강부를 더 구비하여 상기 몸체, 상기 연장부 및 상기 제2보강부가 "T" 자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기형 배관용 단열장치.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분할체와 상기 제2분할체와 상기 제3분할체 중 적어도 하나는, 동일 또는 서로 다른 폭을 가지는 복수의 원호판들을 폭방향으로 서로 연결하여 분기형 배관에 대응되는 길이 및 곡면을 가지도록 구성되고,
    상기 복수의 원호판들은, 제1조립단부에는 제1삽입홈이 형성되고 제2조립단부에는 제2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삽입홈 및 상기 제2삽입홈 각각의 내부 일측면에는 톱니모양의 제1돌기가 형성되고 내부 타측면에는 상기 제1돌기와 교차구조로 톱니모양의 제2돌기가 형성되어 일정길이를 가지는 연질금속재질의 적어도 하나의 연결샤시를 통해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기형 배관용 단열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서로 인접된 두 개의 원호판들 중 어느 하나의 원호판의 폭방향 일단부가 상기 제1삽입홈에 삽입되고 다른 하나의 원호판의 폭방향 일단부가 상기 제2삽입홈에 삽입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결샤시를 압착함에 의해 서로 인접된 두 개의 원호판들을 폭방향으로 결합시키는 방식으로, 상기 복수의 원호판들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결샤시가 분기형 배관의 곡면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기형 배관용 단열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2분할체 또는 상기 제3분할체를 구성하는 원호판들 중 적어도 일부의 원호판들은 길이방향 가장자리부분이 길이방향 중앙부분보다 더 큰 폭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기형 배관용 단열장치.
  12.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결샤시는 단면이 "H" 자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기형 배관용 단열장치.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분할체, 상기 제2분할체, 및 상기 제3분할체 각각은 폭방향으로 분할된 적어도 두 개의 부분 분할체들이 서로 결합된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기형 배관용 단열장치.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분할체와 상기 제2분할체와 상기 제3분할체는 횡단면이 반원형 구조를 가지고, 상기 제2분할체와 상기 제3분할체는 종단면이 "ㄱ"자형 구조 또는 "L"자형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기형 배관용 단열장치.
  15. 삭제
  16. 삭제
KR1020180001678A 2018-01-05 2018-01-05 분기형 배관용 단열장치 KR1018902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1678A KR101890293B1 (ko) 2018-01-05 2018-01-05 분기형 배관용 단열장치
PCT/KR2018/000689 WO2019135436A1 (ko) 2018-01-05 2018-01-15 분기형 배관용 단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1678A KR101890293B1 (ko) 2018-01-05 2018-01-05 분기형 배관용 단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0293B1 true KR101890293B1 (ko) 2018-08-21

Family

ID=634538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1678A KR101890293B1 (ko) 2018-01-05 2018-01-05 분기형 배관용 단열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890293B1 (ko)
WO (1) WO201913543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6285B1 (ko) * 2019-09-03 2019-12-02 김태진 극저온 액화석유가스용 파이프에서 t형 연결부분의 단열부 클래딩 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672627B (zh) * 2020-12-22 2023-01-24 安徽省锐凌计量器制造有限公司 一种便于拆装的磁场屏蔽器及其装配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7936B1 (ko) * 2008-07-10 2009-07-16 이경선 파이프용 단열부재
KR101501643B1 (ko) * 2014-04-23 2015-03-11 (주)동인엔지니어링 T형 배관용 단열재 보호커버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18393Y2 (ja) * 1992-11-24 1996-11-27 セイアス株式会社 配管の断熱部材
KR100208462B1 (ko) * 1996-09-20 1999-07-15 이문수 배관용 방음, 방진 및 결로 방지장치
KR101397535B1 (ko) * 2014-01-10 2014-05-21 주식회사 성수티이씨 탈부착식 단열 커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7936B1 (ko) * 2008-07-10 2009-07-16 이경선 파이프용 단열부재
KR101501643B1 (ko) * 2014-04-23 2015-03-11 (주)동인엔지니어링 T형 배관용 단열재 보호커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6285B1 (ko) * 2019-09-03 2019-12-02 김태진 극저온 액화석유가스용 파이프에서 t형 연결부분의 단열부 클래딩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135436A1 (ko) 2019-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1643B1 (ko) T형 배관용 단열재 보호커버
KR101599449B1 (ko) 밸브유닛용 단열재 보호커버
KR101890293B1 (ko) 분기형 배관용 단열장치
EP3187761B1 (en) Fastening-type pipe supporting apparatus for curved pipe
US9476538B2 (en) Pipe insulation apparatus having finishing cover of compression-bonded structure
KR101184392B1 (ko) 배관용 단열장치
KR101820450B1 (ko) 방진기능을 구비하는 배관용 단열장치
KR101341838B1 (ko) 내진성을 갖는 배관 이음장치
KR101397535B1 (ko) 탈부착식 단열 커버
RU189577U1 (ru) Стяжной хомут для ремонта трубопроводов
KR101889443B1 (ko) 배관용 단열장치
JP4363565B2 (ja) バルブピット用フランジ接合体
KR100458149B1 (ko) 나선 권취형 가스켓, 이의 제조방법 및 권취 다이
KR102470040B1 (ko) 배관 단열 구조체의 단열 커버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1187548B1 (ko) 와이어브레이드호스 신축이음관
KR101890284B1 (ko) 밸브유닛용 단열장치
KR101173681B1 (ko) 탈부착식 단열 커버
EP3650739B1 (en) Non-welded type branch piping reinforcement apparatus
JPS61110029A (ja) 小口径配管継手部の疲労監視装置
KR100722246B1 (ko) 익스팬션죠인트의 벨로우즈 보강용 콘트롤링
KR20030048965A (ko) 신축 이음관
CN110886931A (zh) 一种隔热覆盖件
JPS62209293A (ja) 配管用伸縮継手
CN218522717U (zh) 一种易焊接隔热罩
JP5012039B2 (ja) 開口を有するコンクリート梁の補強構造、開口を有するコンクリート梁の製造方法、梁構造、開口を有するコンクリート梁の開口補強用鋼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