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7535B1 - 탈부착식 단열 커버 - Google Patents

탈부착식 단열 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7535B1
KR101397535B1 KR1020140003612A KR20140003612A KR101397535B1 KR 101397535 B1 KR101397535 B1 KR 101397535B1 KR 1020140003612 A KR1020140003612 A KR 1020140003612A KR 20140003612 A KR20140003612 A KR 20140003612A KR 101397535 B1 KR101397535 B1 KR 1013975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hook
body portion
heat insulating
stepped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36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수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성수티이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성수티이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성수티이씨
Priority to KR10201400036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75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75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75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0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14Arrangements for the insulation of pipes or pipe systems
    • F16L59/147Arrangements for the insulation of pipes or pipe systems the insulation being located inwardly of the outer surface of the pi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Insulation (AREA)

Abstract

배관 라인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탈부착식 단열 커버가 개시된다. 개시된 탈부착식 단열 커버는, 배관 라인의 외면에 접촉되는 내피와, 내피의 외측에서 내피와의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는 외피와, 내피와 외피 사이의 공간 내에 충진된 단열재를 포함하는 본체부와, 본체부의 양단부를 서로 밀착 결합시키는 결합 수단을 구비한다. 본체부의 일단부에는 제1단차부가 형성되고, 본체부의 타단부에는 제1단차부와 상보적인 형상을 가진 제2단차부가 형성되어, 제1단차부와 제2단차부가 겹쳐지면서 본체부의 양단부가 서로 맞물려 결합된다.

Description

탈부착식 단열 커버{Removable insulation cover}
본 발명은 배관 라인의 보온, 보냉을 위해 배관 라인의 파이프나 밸브 등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탈부착식 단열 커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석유화학 플랜트, 화력 및 원자력 발전 플랜트, 각종 보일러, 열교환기 등에는 유체를 이송하기 위한 각종 파이프와 밸브 등을 포함하는 배관 라인이 마련되어 있다. 이 배관 라인을 통해 이송되는 유체는 일정 온도를 유지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 배관 라인의 외면에 보온, 보냉을 위한 단열재가 부착된다. 그리고, 고온의 유체가 통과하는 배관 라인에 작업자가 접촉할 경우에는 화상 등의 안전사고를 당할 위험이 있는데, 상기 단열재는 이러한 위험으로부터 작업자를 보호하는 역할도 하게 된다.
종래에는 배관 라인의 보온, 보냉을 위해 배관 라인의 외면에 석고 등의 단열재를 도포하는 방법이 많이 사용되었다. 그런데, 이 경우 배관 라인에 문제점이 발생되어 파이프나 밸브 등을 보수하거나 교체할 필요가 있을 때에는, 석고 등의 단열재를 파괴하여 제거하였다. 이와 같이 제거된 석고 등의 단열재는 재사용이 불가능하므로, 그대로 산업 폐기물로 되어 환경에도 악영향을 주는 단점과, 파이프나 밸브 등의 보수, 교체가 완료된 후 새로운 단열재로 재시공하여야 한다는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최근에는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탈부착식으로 설치되는 단열 커버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탈부착식 단열 커버는, 배관 라인의 파이프나 밸브 등을 보수할 때 손상되지 않은 상태로 배관 라인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으므로, 배관 라인의 보수, 교체가 완료된 후에 재사용이 가능한 장점과 함께, 산업 폐기물의 발생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탈부착식 단열 커버의 일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단열 커버의 부분 단면도이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탈부착식 단열 커버(10)는, 내피(11), 외피(13) 및 이들 사이에 개재된 단열재(12)로 구성된다. 상기 단열 커버(10)는 배관 라인의 파이프(20) 또는 밸브 등을 감싸는 형상으로 제작된다. 이와 같이 제작된 단열 커버(10)를 파이프(20) 또는 밸브 등의 외면에 감은 후, 그 양단부가 서로 접촉되도록 결합하게 되면, 파이프(20) 또는 밸브의 외면에 단열 커버(10)가 견고하게 설치된다. 단열 커버(10)의 양단부를 서로 접촉되도록 결합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단열 커버(10)의 양단부 각각에는 다수의 후크(14)가 핀(15)을 사용하여 고정되어 있으며, 다수의 후크(14)에 스테인레스 와이어(16)를 지그재그 형태로 걸어서 당기게 되면, 단열 커버(10)의 양단부가 서로 접촉된다.
그런데, 종래의 단열 커버(10)에 있어서는, 그 양단부가 단순히 서로 접촉하는 형태로 되어 있으므로, 양단부 사이에 자연스런 틈새가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틈새를 통해 열손실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외부로부터 빗물이나 습기가 유입될 수 있어서 단열 커버(10) 내부의 파이프(20) 등이 부식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또한, 종래의 단열 커버(10)에 있어서는, 시간이 경과할수록 스테인리스 와이어(16)에 가해지는 인장력에 의해 스테인리스 와이어(16)가 늘어나게 되므로, 단열 커버(10)의 양단부 사이의 틈새가 더욱 벌어지게 되어 상기한 문제점들이 더욱 악화되었다.
또한, 종래의 단열 커버(10)에 있어서는, 스테인레스 와이어(16)를 다수의 후크(14)에 차례대로 걸고 당겨야 하므로, 설치 작업과 분리 작업이 번거롭고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배관 라인의 보수 시에는 단열 커버(10)를 분리한 뒤 다시 설치하여야 하는데, 종래의 스테인레스 와이어(16)는 1회용으로서 교체하여야 하므로 유지 및 보 비용이 증가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에는 다수의 후크(14)가 핀(15)에 의해 단열 커버(10)의 외피(13)에만 고정되어 있다. 이에 따라, 스테인레스 와이어(16)를 당기게 되면, 후크(14)와 함께 그 부분의 외피(13)도 당겨지게 되므로, 단열 커버(10)의 양단부의 외피(13)가 부분적으로 늘어나 변형되면서 단열 커버(10)의 양단부가 제대로 밀착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며, 또한 단열 커버(10)의 양단부의 외피(13)가 부분적으로 찢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배관 라인의 외부에 보다 용이하게 탈부착시킬 수 있으며, 양단부 사이를 통한 열손실이나 빗물 또는 습기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는 구성을 가진 탈부착식 단열 커버를 제공한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배관 라인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탈부착식 단열 커버에 있어서,
상기 배관 라인의 외면에 접촉되는 내피와, 상기 내피의 외측에서 상기 내피와의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는 외피와, 상기 내피와 외피 사이의 공간 내에 충진된 단열재를 포함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의 양단부를 서로 밀착 결합시키는 결합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본체부의 일단부에는 제1단차부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부의 타단부에는 상기 제1단차부와 상보적인 형상을 가진 제2단차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1단차부와 제2단차부가 겹쳐지면서 상기 본체부의 양단부가 서로 맞물려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식 단열 커버가 제공된다.
그리고, 상기 제1단차부는 상기 본체부의 두께보다 얇아진 두께를 가지며, 상기 제1단차부의 외면은 상기 본체부의 외면과 동일면을 이루고, 상기 제2단차부는 상기 본체부의 두께보다 얇아진 두께를 가지며, 상기 제2단차부의 내면은 상기 본체부의 내면과 동일면을 이루며 상기 배관 라인의 외면에 접촉되고, 상기 제1단차부는 상기 제2단차부의 외측에 겹쳐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의 양단부의 내부에는 금속판이 각각 삽입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금속판은 상기 본체부의 양단부 내부에 삽입되되, 상기 외피의 내면에 접촉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본체부의 일측 가장자리로부터 타측 가장자리까지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금속판은 폭방향의 양단부가 라운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 수단은 토글 클램프이며, 상기 토글 클램프는, 상기 본체부의 일단부에 설치된 클램프 본체와, 상기 클램프 본체에 결합된 걸고리와, 상기 본체부의 타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걸고리가 걸리게 되는 후크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램프 본체의 일단부는 상기 본체부의 일단부 외면에 설치되는 하판에 힌지 결합되고, 상기 하판은 하판 고정핀에 의해 상기 본체부의 일단부에 고정되며, 상기 후크부재는 후크 고정핀에 의해 상기 본체부의 타단부에 고정되고, 상기 하판 고정핀과 후크 고정핀은 각각 상기 본체부의 외피, 금속판, 단열재 및 내피를 관통하여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 수단은 벨크로 테이프이며, 상기 벨크로 테이프는, 상기 본체부의 일단부로부터 연장된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의 내면과 상기 본체부의 타단부 외면 중 어느 한 면에 부착되는 후크부재와, 상기 연장부의 내면과 상기 본체부의 타단부 외면 중 다른 한 면에 부착되는 루프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연장부, 후크부재 및 루프부재는 상기 본체부의 일측 가장자리로부터 타측 가장자리까지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의 양측 가장자리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이웃한 단열 커버들 사이를 덮는 덮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단열 커버가 배관 라인을 둘러싸도록 설치되었을 때, 본체부의 양단부에 마련된 상보적인 형상의 제1단차부와 제2단차부가 겹쳐지면서 본체부의 양단부가 서로 맞물려 밀착 결합되므로, 본체부의 양단부 사이를 통한 열손실과 빗물 또는 습기의 침입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본체부의 양단부를 토글 클램프 또는 벨크로 테이프에 의해 결합하게 되므로, 단열 커버를 종래에 비해 보다 용이하게 탈부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토글 클램프가 본체부의 내피, 단열재 및 외피를 관통하여 설치되므로, 본체부의 양단부가 전체적으로 긴밀하게 밀착되고, 이들 사이에 틈새의 발생이 억제될 수 있다. 따라서, 본체부의 양단부 사이를 통한 빗물 또는 수분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한 열의 출입도 억제할 수 있어서 단열 성능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체부의 양단부 내부에 금속판이 설치되고, 토글 클램프가 금속판을 관통하여 설치되므로, 토글 클램프의 설치가 더욱 견고하게 되며, 본체부의 외피가 부분적으로 늘어나 변형되거나 찢어지는 종래의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체부에 이웃한 단열 커버들 사이를 덮는 덮개가 마련됨으로써, 이웃한 단열 커버들 사이를 통한 열손실이나 빗물 또는 습기의 침입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탈부착식 단열 커버의 일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단열 커버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식 단열 커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단열 커버를 배관 라인의 파이프 외면에 설치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표시된 A-A'선을 따른 단열 커버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결합 수단의 일 예로서 토글 클램프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토글 클램프와 본체부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3에 도시된 결합 수단의 다른 예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탈부착식 단열 커버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도면들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가리킨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식 단열 커버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단열 커버를 배관 라인의 파이프 외면에 설치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에 표시된 A-A'선을 따른 단열 커버의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식 단열 커버(100)는, 배관 라인의 보온, 보냉을 위해 배관 라인의 외부를 감싸도록 설치되는 것이다. 배관 라인에는 파이프(20)와 각종 밸브 등이 포함되어 있으며, 상기 단열 커버(100)는 파이프(20) 뿐만 아니라 밸브 등에도 설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단열 커버(100)가 배관 라인의 파이프(20)를 감싸도록 설치된 경우를 예로 들어 도시되고 설명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식 단열 커버(100)는, 배관 라인의 파이프(20) 또는 밸브 등을 감싸는 형상으로 제작되며, 내피(111), 외피(113) 및 이들 사이에 개재된 단열재(112)를 포함하는 본체부(110)와, 상기 본체부(110)의 양단부를 서로 밀착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 수단을 구비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단열 커버(100)의 본체부(110)의 내피(111)는 배관 라인, 예컨대 파이프(20)의 외면에 접촉되며, 상기 외피(113)는 내피(111)의 외측에 배치되어 내피(111)와의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단열재(112)는 내피(111)와 외피(113) 사이의 공간에 충진된다.
상기 단열재(112)는, 예컨대 글라스 울(glass wool)과 같은 유리섬유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 외에도 기타 세라믹섬유, 미네랄 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열재(112)는 단열 커버(100)가 설치될 배관 라인의 크기와 요구되는 단열 성능에 따라 적정한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단열재(112)는 대략 수 cm 정도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내피(111)와 외피(113)는, 예컨대 유리섬유로 직조된 직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 외에도 기타 세라믹섬유로 직조된 직물이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내피(111)와 외피(113)에는 방수를 위해 실리콘이 코팅될 수 있다. 상기 내피(111)와 외피(113) 각각은, 예컨대 대략 0.2 ~ 2mm 정도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상기한 구성을 가진 본 발명에 따른 단열 커버(100)의 본체부(110)의 양단부에는 서로 상보적인 형상으로 형성된 단차부(115, 116)가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본체부(110)의 일단부에는 본체부(110)의 두께의 대략 반 정도로 얇아진 두께를 가진 제1단차부(115)가 형성된다. 상기 제1단차부(115)의 외면은 본체부(110)의 외면과 동일면을 이루며, 상기 단열 커버(100)가 파이프(20)를 감싸도록 설치되었을 때, 상기 제1단차부(115)의 내면은 파이프(20)의 외면으로부터 소정 간격, 예컨대 본체부(110)의 두께의 반 정도의 간격으로 이격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부(110)의 타단부에는 본체부(110)의 두께의 대략 반 정도로 얇아진 두께를 가진 제2단차부(116)가 형성된다. 상기 제2단차부(116)의 내면은 본체부(110)의 내면과 동일면을 이루며, 상기 단열 커버(100)가 파이프(20)를 감싸도록 설치되었을 때, 상기 제2단차부(116)의 내면은 파이프(20)의 외면에 접촉되고, 그 외면에는 상기 제1단차부(115)의 내면이 접촉된다. 즉, 상기 단열 커버(100)가 파이프(20)를 감싸도록 설치되었을 때, 상기 제1단차부(115)는 상기 제2단차부(116)의 외측에 겹쳐지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단열 커버(100)가 배관 라인을 둘러싸도록 설치되었을 때, 상기 본체부(110)의 양단부에 마련된 상보적인 형상의 제1단차부(115)와 제2단차부(116)가 겹쳐지면서 본체부(110)의 양단부가 서로 맞물려 밀착 결합되므로, 본체부(110)의 양단부 사이를 통한 열손실과 빗물 또는 습기의 침입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한 구성을 가진 단열 커버(100)를 배관 라인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상기 본체부(110)를 배관 라인의 파이프(20) 등의 외면에 감은 후, 그 양단부를 서로 밀착되도록 견고하게 결합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상기 본체부(110)의 양단부를 서로 밀착 결합시키는 결합 수단으로서 토글 클램프(toggle clamp)(120)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토글 클램프(120)는, 상기 본체부(110)의 일단부에 설치된 클램프 본체(125)와, 상기 클램프 본체(125)에 결합된 걸고리(128)와, 상기 본체부(110)의 타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걸고리(128)가 걸리게 되는 후크부재(13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구체적인 구성은 뒤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토글 클램프(120)는 외부 환경에 의한 부식을 방지하기 위해 내식성을 가진 스테인레스 스틸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본체부(110)를 배관 라인의 파이프(20) 등의 외면에 감은 후, 상기 본체부(110)의 양단부가 서로 밀착되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상기 클램프 본체(125)를 세워지도록 회동시켜 걸고리(128)가 후크부재(130)에 걸리도록 한 후, 클램프 본체(125)를 반대 방향으로 회동시켜 눕히게 되면, 걸고리(128)에 의해 클램프 본체(125)와 후크부재(130)가 타이트하게 결합된다. 그러면, 상기 본체부(110)는 배관 라인의 파이프(20) 등의 외면에 견고하게 부착되고, 그 양단부는 서로 긴밀하게 밀착된 상태로 유지된다.
그리고, 배관 라인의 보수 또는 교체 시에는, 상기 클램프 본체(125)를 세워지도록 회동시키면 걸고리(128)를 후크부재(130)로부터 분리할 수 있게 되므로, 상기 단열 커버(100)를 배관 라인의 파이프(20) 등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단열 커버(100)의 양단부가 토글 클램프(120)에 의해 결합되므로, 종래에 비해 보다 용이한 탈부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4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부(110)의 양단부의 내부에는 제1금속판(129)과 제2금속판(139)이 각각 삽입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금속판(129)은 상기 본체부(110)의 일단부 내부에 삽입되되, 상기 외피(113)의 내면에 접촉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제2금속판(139)은 상기 본체부(110)의 타단부 내부에 삽입되되, 외피(113)의 내면에 접촉되도록 설치된다.
또한, 상기 제1금속판(129)과 제2금속판(139)은 소정의 폭을 가지며 상기 본체부(110)의 일측 가장자리로부터 타측 가장자리까지 연장된다. 상기 제1금속판(129)과 제2금속판(139)은 대략 0.2mm ~ 2mm 정도의 두께를 가질 수 있으며, 알루미늄판, 함석판, 또는 스테인레스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금속판(129)과 제2금속판(139)은 그 강성을 높이고 외피(113)와 단열재(112)를 보호하기 위해 폭방향의 양단부가 라운딩될 수 있다.
상기 제1금속판(129)과 제2금속판(139)은 상기 토글 클램프(120)를 더욱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본체부(110)의 외피(113)를 보호하고 부분적인 변형을 방지하는 작용을 하는 것으로, 이에 대해서는 뒤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결합 수단의 일 예로서 토글 클램프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토글 클램프와 본체부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6과 도 7을 함께 참조하면, 상기 토글 클램프(120)는 상기 본체부(110)의 일단부에 설치된 클램프 본체(125)와, 상기 클램프 본체(125)에 결합된 걸고리(128)와, 상기 본체부(110)의 타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걸고리(128)가 걸리게 되는 후크부재(13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클램프 본체(125)의 일단부는 상기 본체부(110)의 일단부 외면에 설치되는 하판(121)에 힌지 결합된다. 이를 위해, 상기 하판(211)의 일단부에는 양측으로 돌출된 힌지돌기(124)가 마련되고, 상기 클램프 본체(125)의 일단부 양측에는 상기 힌지돌기(124)가 삽입되는 힌지돌기 삽입구멍(126)이 형성된다.
상기 하판(121)은 하판 고정핀(122)에 의해 본체부(110)의 일단부에 고정되는데, 상기 하판 고정핀(122)은 본체부(110)의 내피(111), 단열재(112) 및 외피(113)를 관통하도록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하판 고정핀(122)은 하판(121)을 관통한 후, 상기 외피(113), 단열재(112) 및 내피(111)를 차례대로 관통한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본체부(110)의 일단부 내부에 제1금속판(129)이 삽입된 경우에는, 상기 하판 고정핀(122)은 상기 제1금속판(129)을 관통한다.
상기 내피(111)를 관통한 하판 고정핀(122)의 단부는 빠지지 않도록 구부려진다. 이때, 상기 내피(111)와 하판 고정핀(122)의 구부려진 단부 사이에 와셔(123)가 끼워질 수 있다.
상기 클램프 본체(125)의 중간부 양측에는 걸고리 결합구멍(127)이 형성되며, 상기 걸고리 결합구멍(127)에 상기 걸고리(128)가 삽입되어 결합된다.
상기 후크부재(130)는 후크 고정핀(132)에 의해 상기 본체부(110)의 타단부에 고정 설치되는데, 상기 후크 고정핀(132)도 본체부(110)의 내피(111), 단열재(112) 및 외피(113)를 관통하도록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후크 고정핀(132)은 후크부재(130)를 관통한 후, 상기 외피(113), 단열재(112) 및 내피(111)를 차례대로 관통한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본체부(110)의 타단부 내부에 제2금속판(139)이 삽입된 경우에는, 상기 후크 고정핀(132)은 상기 제2금속판(139)을 관통한다. 그리고, 상기 내피(111)를 관통한 후크 고정핀(132)의 단부는 빠지지 않도록 구부려진다. 이때, 상기 내피(111)와 후크 고정핀(132)의 구부려진 단부 사이에 와셔(133)가 끼워질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토글 클램프(120)가 본체부(110)의 내피(111), 단열재(112) 및 외피(113)를 관통하는 고정핀들(122, 132)에 의해 본체부(110)의 양단부에 고정되므로, 걸고리(128)를 후크부재(130)에 걸 때, 외피(113), 단열재(112) 및 내피(111)가 함께 당겨지게 되어, 본체부(110)의 양단부가 전체적으로 긴밀하게 밀착되고, 이들 사이에 틈새의 발생이 억제될 수 있다.
따라서, 본체부(110)의 양단부 사이를 통한 빗물 또는 수분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한 열의 출입도 억제할 수 있어서 단열 성능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토글 클램프(120)가 상기 제1금속판(129)과 제2금속판(139)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경우에는, 토글 클램프(120)의 설치가 더욱 견고하게 되고, 또한 본체부(110)의 외피(113)가 부분적으로 늘어나 변형되거나 찢어지는 종래의 문제점이 방지될 수 있다.
다시, 도 3 내지 도 5를 함께 참조하면, 상기 단열 커버(100)는, 덮개(14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덮개(140)는 본체부(110)의 양측 가장자리로부터 연장 형성된다. 상기 덮개(140)는 본체부(110)의 외피(113)에 연결될 수 있으며, 외피(113)와 동일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덮개(140)는, 예컨대 유리섬유로 직조된 직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방수를 위해 실리콘이 코팅될 수 있다.
배관 라인의 파이프(20) 등에는 다수의 단열 커버(100)가 설치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단열 커버들(100) 사이에 틈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덮개(140)는 이웃한 단열 커버들(100) 사이를 덮는 작용을 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단열 커버(100)의 본체부(110)에 덮개(140)가 마련됨으로써, 이웃한 단열 커버들(100) 사이를 덮게 되고, 이에 따라 이웃한 단열 커버들(100) 사이를 통한 열손실이나 빗물 또는 습기의 침입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8은 도 3에 도시된 결합 수단의 다른 예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본체부(110)의 양단부를 서로 밀착 결합시키는 결합 수단으로서 벨크로 테이프(velcro tape)(150)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벨크로 테이프(150)는, 상기 본체부(110)의 일단부로부터 연장된 연장부(151)와, 상기 연장부(151)의 내면에 부착된 후크부재(152)와, 상기 본체부(110)의 타단부 외면에 부착된 루프부재(153)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연장부(151)의 저면에 루프부재(153)가 부착되고, 상기 본체부(110)의 타단부 외면에 후크부재(152)가 부착될 수도 있다. 상기 연장부(151), 후크부재(152) 및 루프부재(153)는 소정의 폭을 가지며 상기 본체부(110)의 일측 가장자리로부터 타측 가장자리까지 연장된다. 그리고, 상기 연장부(151)는 외피(131)와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후크부재(152)와 루프부재(153)는 불연성의 스테인레스 스틸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단열 커버(100)의 본체부(110)의 양단부가 벨크로 테이프(150)에 의해 결합되므로, 종래에 비해 보다 용이한 탈부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벨크로 테이프(150)는 본체부(110)의 폭방향 전체에 걸쳐 마련되어 있으므로, 외피(113)가 부분적으로 늘어나 변형되거나 찢어지는 종래의 문제점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벨크로 테이프(150)의 연장부(151)가 본체부(110)의 양단부 사이를 덮게 되므로, 본체부(110)의 양단부 사이를 통한 열의 출입 및 빗물이나 습기의 침입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20...파이프 100...탈부착식 단열 커버
110...본체부 111...내피
112...단열재 113...외피
115...제1단차부 116...제2단차부
120...토글 클램프 121...하판
122...하판 고정핀 123,133...와셔
124...힌지돌기 125...클램프 본체
126...힌지돌기 삽입구멍 127...걸고리 결합구멍
128...걸고리 129...제1금속판
130...후크부재 132...후크 고정핀
139...제2금속판 140...덮개
150...벨크로 테이프 151...연장부
152...후크부재 153...루프부재

Claims (9)

  1. 배관 라인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탈부착식 단열 커버에 있어서,
    상기 배관 라인의 외면에 접촉되는 내피와, 상기 내피의 외측에서 상기 내피와의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는 외피와, 상기 내피와 외피 사이의 공간 내에 충진된 단열재를 포함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의 양단부를 서로 밀착 결합시키는 결합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본체부의 일단부에는 제1단차부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부의 타단부에는 상기 제1단차부와 상보적인 형상을 가진 제2단차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1단차부와 제2단차부가 겹쳐지면서 상기 본체부의 양단부가 서로 맞물려 결합되고,
    상기 본체부의 양단부의 내부에는 금속판이 각각 삽입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식 단열 커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차부는 상기 본체부의 두께보다 얇아진 두께를 가지며, 상기 제1단차부의 외면은 상기 본체부의 외면과 동일면을 이루고,
    상기 제2단차부는 상기 본체부의 두께보다 얇아진 두께를 가지며, 상기 제2단차부의 내면은 상기 본체부의 내면과 동일면을 이루며 상기 배관 라인의 외면에 접촉되고,
    상기 제1단차부는 상기 제2단차부의 외측에 겹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식 단열 커버.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판은 상기 본체부의 양단부 내부에 삽입되되, 상기 외피의 내면에 접촉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본체부의 일측 가장자리로부터 타측 가장자리까지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식 단열 커버.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판은 폭방향의 양단부가 라운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식 단열 커버.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수단은 토글 클램프이며,
    상기 토글 클램프는, 상기 본체부의 일단부에 설치된 클램프 본체와, 상기 클램프 본체에 결합된 걸고리와, 상기 본체부의 타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걸고리가 걸리게 되는 후크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식 단열 커버.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 본체의 일단부는 상기 본체부의 일단부 외면에 설치되는 하판에 힌지 결합되고, 상기 하판은 하판 고정핀에 의해 상기 본체부의 일단부에 고정되며, 상기 후크부재는 후크 고정핀에 의해 상기 본체부의 타단부에 고정되고, 상기 하판 고정핀과 후크 고정핀은 각각 상기 본체부의 외피, 금속판, 단열재 및 내피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식 단열 커버.
  8.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수단은 벨크로 테이프이며,
    상기 벨크로 테이프는, 상기 본체부의 일단부로부터 연장된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의 내면과 상기 본체부의 타단부 외면 중 어느 한 면에 부착되는 후크부재와, 상기 연장부의 내면과 상기 본체부의 타단부 외면 중 다른 한 면에 부착되는 루프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연장부, 후크부재 및 루프부재는 상기 본체부의 일측 가장자리로부터 타측 가장자리까지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식 단열 커버.
  9.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양측 가장자리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이웃한 단열 커버들 사이를 덮는 덮개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식 단열 커버.
KR1020140003612A 2014-01-10 2014-01-10 탈부착식 단열 커버 KR1013975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3612A KR101397535B1 (ko) 2014-01-10 2014-01-10 탈부착식 단열 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3612A KR101397535B1 (ko) 2014-01-10 2014-01-10 탈부착식 단열 커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97535B1 true KR101397535B1 (ko) 2014-05-21

Family

ID=508947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3612A KR101397535B1 (ko) 2014-01-10 2014-01-10 탈부착식 단열 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7535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45948A (ko) * 2014-06-20 2015-12-31 (주) 인셀 내연기관용 배기구 단열커버
KR20170003277U (ko) * 2016-03-11 2017-09-21 (주)성우이앤씨 T형 배관커버
WO2019135435A1 (ko) * 2018-01-05 2019-07-11 (주)동인엔지니어링 밸브유닛용 단열장치
WO2019135436A1 (ko) * 2018-01-05 2019-07-11 (주)동인엔지니어링 분기형 배관용 단열장치
KR102033996B1 (ko) * 2019-05-24 2019-10-18 김태훈 귀금속 왁스 주조법에 재사용 가능한 석고 누출방지용 감싸개
KR102154116B1 (ko) * 2019-10-10 2020-09-09 하나파워 주식회사 밸브용 단열커버
KR102154117B1 (ko) * 2019-10-10 2020-09-09 하나파워 주식회사 파이프용 단열커버
KR20210117735A (ko) * 2020-03-20 2021-09-29 (주)벡터에스 면상 발열체를 이용한 히팅 파이프
KR102354696B1 (ko) * 2021-06-09 2022-01-21 김차진 동파방지용 탈부착식 보온단열커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61983A (en) * 1991-06-28 1993-11-16 Societe Anonyme Dite: Aerospatiale Societe Nationale Industrielle Sheath for insulating a volume from the environment outside it, and method of making such a sheath
KR200349617Y1 (ko) * 2003-12-30 2004-05-10 김덕준 체결장치를 구비한 단열재
KR20090128980A (ko) * 2008-06-12 2009-12-16 (주)에스케이아이 보온재 일체형 금속커버
KR101173681B1 (ko) * 2011-11-03 2012-08-13 주식회사 성수티이씨 탈부착식 단열 커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61983A (en) * 1991-06-28 1993-11-16 Societe Anonyme Dite: Aerospatiale Societe Nationale Industrielle Sheath for insulating a volume from the environment outside it, and method of making such a sheath
KR200349617Y1 (ko) * 2003-12-30 2004-05-10 김덕준 체결장치를 구비한 단열재
KR20090128980A (ko) * 2008-06-12 2009-12-16 (주)에스케이아이 보온재 일체형 금속커버
KR101173681B1 (ko) * 2011-11-03 2012-08-13 주식회사 성수티이씨 탈부착식 단열 커버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45948A (ko) * 2014-06-20 2015-12-31 (주) 인셀 내연기관용 배기구 단열커버
KR101586284B1 (ko) * 2014-06-20 2016-01-18 (주) 인셀 내연기관용 배기구 단열커버
KR20170003277U (ko) * 2016-03-11 2017-09-21 (주)성우이앤씨 T형 배관커버
KR200486380Y1 (ko) 2016-03-11 2018-05-11 (주)성우이앤씨 T형 배관커버
WO2019135435A1 (ko) * 2018-01-05 2019-07-11 (주)동인엔지니어링 밸브유닛용 단열장치
WO2019135436A1 (ko) * 2018-01-05 2019-07-11 (주)동인엔지니어링 분기형 배관용 단열장치
KR102033996B1 (ko) * 2019-05-24 2019-10-18 김태훈 귀금속 왁스 주조법에 재사용 가능한 석고 누출방지용 감싸개
KR102154116B1 (ko) * 2019-10-10 2020-09-09 하나파워 주식회사 밸브용 단열커버
KR102154117B1 (ko) * 2019-10-10 2020-09-09 하나파워 주식회사 파이프용 단열커버
KR20210117735A (ko) * 2020-03-20 2021-09-29 (주)벡터에스 면상 발열체를 이용한 히팅 파이프
KR102338229B1 (ko) 2020-03-20 2021-12-10 (주)벡터에스 면상 발열체를 이용한 히팅 파이프
KR102354696B1 (ko) * 2021-06-09 2022-01-21 김차진 동파방지용 탈부착식 보온단열커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7535B1 (ko) 탈부착식 단열 커버
US9476538B2 (en) Pipe insulation apparatus having finishing cover of compression-bonded structure
KR101599449B1 (ko) 밸브유닛용 단열재 보호커버
KR20130132701A (ko) 단열용 밴딩 시스템
KR101481727B1 (ko) 선박용 배관의 파이프커버
KR101173681B1 (ko) 탈부착식 단열 커버
KR101889443B1 (ko) 배관용 단열장치
KR101709238B1 (ko) 입상배관용 클램프
KR101930945B1 (ko) 밸브 단열커버
KR101512589B1 (ko) 배관 보온재용 보호커버
KR20110001967U (ko) 산업설비용 단열보온커버
KR101758889B1 (ko) 물받이 교체가 가능한 물받이 기구
KR102065454B1 (ko) 배관 동파 방지 장치
JP2010230165A (ja) 配管の断熱保護要素
KR20210003036A (ko) 입상관 고정구
RU145278U1 (ru) Шкаф приборный капсульного типа
KR101572169B1 (ko) 직관용 단열재 보호커버
JP6509048B2 (ja) バスダクトの貫通部構造及びバスダクトの貫通部の施工方法
JPH11280990A (ja) 配管の保温装置
JP2020112183A (ja) 配管支持具及びその製造方法
JP5135041B2 (ja) 配管補修具
KR101538045B1 (ko) 건축물용 전선관 방수구
KR102154116B1 (ko) 밸브용 단열커버
CN209743885U (zh) 锅炉管线的保温装置及具有其的锅炉
KR200480138Y1 (ko) 착탈식 절연 구조를 포함하는 배기가스 파이프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