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3996B1 - 귀금속 왁스 주조법에 재사용 가능한 석고 누출방지용 감싸개 - Google Patents

귀금속 왁스 주조법에 재사용 가능한 석고 누출방지용 감싸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3996B1
KR102033996B1 KR1020190061143A KR20190061143A KR102033996B1 KR 102033996 B1 KR102033996 B1 KR 102033996B1 KR 1020190061143 A KR1020190061143 A KR 1020190061143A KR 20190061143 A KR20190061143 A KR 20190061143A KR 102033996 B1 KR102033996 B1 KR 1020339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fixing
flask
gypsum
leak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11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훈
Original Assignee
김태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훈 filed Critical 김태훈
Priority to KR10201900611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399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39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39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CFOUNDRY MOULDING
    • B22C21/00Flasks; Accessories therefor
    • B22C21/12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귀금속 왁스 주조법에 재사용 가능한 석고 누출방지용 감싸개에 관한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는 석고 플라스크 외주면을 감싸는 감싸개는 실리콘 또는 수지로 이루어져 재활용이 가능하여 경제적인 효과가 있는 것은 물론이고, 일측에 고정부 및 고정홈이 형성되어 플라스크의 지름에 관계없이 견고한 고정이 가능하여 석고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귀금속 왁스 주조법에 재사용 가능한 석고 누출방지용 감싸개{Cover for anti-leakage in used jewerly wax casting method}
본 발명은 귀금속 주조방법 중 석고 공정에 사용되는 플라스크에서 액상의 석고가 홀을 통해 새어 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감싸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 말하면 상기 감싸개는 실리콘 또는 수지로 이루어져 재활용이 가능하여 경제적인 효과가 있는 것은 물론이고 감싸개 양측에 고정부 및 고정홈이 형성되어 플라스크의 지름에 관계없이 견고한 고정이 가능하여 완벽하게 석고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는 귀금속 왁스 주조법에 재사용 가능한 석고 누출방지용 감싸개에 관한 것이다.
최근 귀금속 시장은 변화의 가속화와 형태가 다양화됨에 따라 복잡한 형상의 부품 내지 제품에 대한 수요가 확대되고 있다. 이러한 시장 상황에 부합하기 위해서는 제품 개발의 기간을 단축하고 개발 공정을 합리화할 필요성이 있으며, 쾌속제품 개발을 위한 지원 도구의 하나로서 쾌속 조형의 활용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상기한 장신구들 중 귀금속 장신구를 제조하는 방법은 왁스 주조법이 이용되는데, 파라핀과 같은 용융점이 낮은 소재로 원형(原型)을 만들고, 원형을 석고에 매립시켜 굳힌뒤, 전기로에서 가열하고 액화된 파라핀본 원형을 추출하여 제거한 뒤, 파라핀이 제거된 자리에 액화된 금속을 부어 상기 원형과 형상이 같은 금속의 장신구가 형성되는 방법이다.
이때, 파라핀은 외주면에 다수의 홀이 형성된 플라스크를 파라핀 트리가 고정 결합된 받침대에 끼워 고정 결합한 후 액상으로 된 석고를 부어 석고가 파라핀 트리의 형상을 제외한 트라스크의 내측 전체에 주입되어 굳게 되는 작업이 이루어지는데, 이때 홀을 통해 액상의 석고가 플라스크에서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플라스크 외주면에는 테이프 또는 종이로 이루어진 덮개를 사용하여 덮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또한, 플라스크에 형성된 홀은 액상으로 된 석고가 공기와 접촉하는 면적을 더욱 넓어지게 하여 석고의 응고를 촉진시킬 수 있으며, 파라핀이 추출된후 금속물을 주입 하였을 때에 발생되는 응력을 감쇄시키는 역할도 하게 되는 것이다.
하지만, 위와 같은 이유로 형성된 플라스크의 홀을 막기 위한 덮개는 종이로 커버한후 밴드로 고정하거나 테이프로 테이핑을 한후 석고가 굳은 후 종이 또는 테이프를 제거하여 사용하였으므로 항상 많은 양의 쓰레기들이 발생하는 등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79937호(공개일: 2017.07.10.)에는 제품 모델링 데이터를 검토하고, 관련 데이터에 입각하여 3D 프린터를 활용한 3D 프린팅 금형을 선 제작한 후 해당 3D 프린팅 금형으로 파라핀 왁스 성형물을 제조함으로써 기제작된 주형에 의해 왁스 제거 및 주조과정을 순차 거친 후 대상 물품이 획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프린팅 금형을 활용한 로스트왁스 주조방법이라는 명칭의 선행문헌이 게시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한 선행문헌은 주조방법에서 석고가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덮개를 재활용할 수 없는 문제점을 여전히 가지고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감싸개는 일측에 고정부 및 고정홈이 형성되어 플라스크의 지름에 관계없이 견고한 고정이 가능하여 완벽하게 석고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고 실리콘 또는 수지로 형성되어 재활용이 가능한 것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외주면에 다수의 홀이 형성된 석고 플라스크 외주면을 감싸는 커버(110)가 형성되며, 상기 커버(110) 일측에는 고정부(120)가 구비되며, 상기 커버 타측에는 고정부(120)가 내입될 수 있도록 고정홈(130)이 형성되는 덮개부(100)와; 상기 덮개부(100)의 고정부(120)가 고정홈(130)에 내입된 이후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커버(110) 및 고정부(120)가 서로 마주하는 면에 각각 형성되어 상호 고정을 도모하는 이탈방지부(200)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때, 상기 이탈방지부(200)는 벨크로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상기 커버(110)는 외주면에 다수의 수직선(L)이 형성되어 이탈방지부(200)에 의해 고정된 고정부(120)의 상하 단부가 일렬로 정렬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의 감싸개는 일측에 고정부 및 고정홈이 형성되어 플라스크의 지름에 관계없이 견고한 고정이 가능하여 완벽하게 석고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고 실리콘 또는 수지로 형성되어 재활용이 가능하여 경제적인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본 발명에 따른 귀금속 왁스 주조법에 사용되는 석고 누출방지용 감싸개의 플라스크를 나타낸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귀금속 왁스 주조법에 사용되는 석고 누출방지용 감싸개의 모습을 나타낸 예시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감싸개가 펼쳐진 것을 나타낸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커버 외주면에 다수의 수직선이 형성된 것을 나타난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감싸개에 탈착부가 내입되는 것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먼저,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부(100), 이탈방지부(200) 및 탈착시트(300)로 구성되어 이루어져 있다.
이에, 상기 덮개부(100)는 외주면에 다수의 홀이 형성된 석고 플라스크(F) 외주면을 감싸는 커버(110)가 형성되며, 상기 커버(110) 일측에는 고정부(120)가 구비되며, 상기 커버 타측에는 고정부(120)가 내입될 수 있도록 고정홈(130)이 형성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석고 플라스크(F)는 외주면에 다수의 홀이 형성되는 원통형의 통인 것이며, 상부 및 하부에 플랜지가 구비되어 있어서, 양 플랜지 사이에 덮개부가 덮혀지는 것이다.
이에, 상기 왁스 주조법은 파라핀과 같은 용융점이 낮은 소재로 원형(原型)을 만들고, 원형을 석고에 매립시켜 굳힌뒤, 전기로에서 가열하고 액화된 파라핀본 원형을 추출하여 제거한 뒤, 파라핀이 제거된 자리에 액화된 금속을 부어 상기 원형과 형상이 같은 금속의 장신구가 제작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고정부(120)는 커버(110)와 일체로 구비되며, 고정홈(130) 내주면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이에, 상기 이탈방지부(200)는 덮개부(100)의 고정부(120)가 고정홈(130)에 내입된 이후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커버(110) 및 고정부(120)가 서로 마주하는 면에 각각 형성되어 상호 고정을 도모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이탈방지부(200)는 벨크로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110)는 외주면에 다수의 수직선(L)이 형성되어 이탈방지부(200)에 의해 고정된 고정부(120)의 상하 단부가 일렬인지 아닌지 확인하여 석고 플라스크(F)를 균일하게 감싸는 것이다.
더욱 자세히 말하면, 상기 커버(110) 중 고정홈(130) 부근에는 다수의 수직선(L)이 형성되어 고정홈(130)을 통과한 고정부(120)의 상,하 단부가 일렬로 정렬되어 있는지 확인할 수 있는데, 이는 실리콘 또는 수지재로 이루어진 커버(110)는 오로지 작업자의 힘에 의해 당겨지기 때문에 고정부 중 어느 한쪽이 강하게 당겨진 상태에서 이탈방지부에 의해 고정되면 상대적으로 덜 당겨진 고정부의 일부분으로 인해 플라스크를 균일하게 감쌀 수 없는 것이다.
이때, 상기 수직선(L) 하나당 상하 1조의 동일한 문자가 형성되어 사용자가 동일한 선상임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것이며, 도면에서는 알파벳을 순차적으로 기재하였으나, 문자나 숫자에 국한되지 않는 것으며, 수직선의 간격은 제작자의 의도에 따라 도면보다 더 좁거나 더 넓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110)는 석고 플라스크와 마주하는 면에 내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내입홈(140) 내측에는 에폭시 또는 수지로 형성된 탈착시트(300)가 형성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내입홈(140)은 내경보다 입구가 좁게 형성되기 때문에 탈착시트(300)가 내입된 이후 이탈하지 않는 것이다.
이때, 상기 내입홈(140) 내측에는 탈착시트(300)의 압착 고정을 위한 다수의 고정돌기가 구비되는 것이다.
더욱 자세하게 말하면, 상기 탈착시트(300)가 내입홈(140)에 내입됨으로서 석고 플라스크(F)에서 굳은 석고가 커버(110)에 고착되지 않고 탈착시트에 고착되도록 하는 것인데, 상기 탈착시트(300)는 플렉시블한 수지재 외면에 에폭시가 코팅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탈착시트 외주면에 고착되어도 쉽게 떼어질 수 있는 것이며, 상기 탈착시트(300)는 손상 시 다른 탈착시트로 교환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0 ... 덮개부 110 ... 커버
120 ... 고정부 130 ... 고정홈
140 ... 내입홈 141 ... 고정돌기
200 ... 이탈방지부 300 ... 탈착시트
F ... 석고 플라스크 L ... 수직선

Claims (3)

  1. 외주면에 다수의 홀이 형성된 석고 플라스크 외주면을 감싸는 커버(110)가 형성되며, 상기 커버(110) 일측에는 고정부(120)가 구비되며, 상기 커버 타측에는 고정부(120)가 내입될 수 있도록 고정홈(130)이 형성되는 덮개부(100)와; 상기 덮개부(100)의 고정부(120)가 고정홈(130)에 내입된 이후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커버(110) 및 고정부(120)가 서로 마주하는 면에 각각 형성되어 상호 고정을 도모하는 이탈방지부(200)로; 이루어지며,
    상기 커버(110)는 외주면에 다수의 수직선(L)이 형성되어 이탈방지부(200)에 의해 고정된 고정부(120)의 상하 단부가 일렬정렬 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금속 왁스 주조법에 재사용 가능한 석고 누출방지용 감싸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부(200)는 벨크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금속 왁스 주조법에 재사용 가능한 석고 누출방지용 감싸개.
  3. 삭제
KR1020190061143A 2019-05-24 2019-05-24 귀금속 왁스 주조법에 재사용 가능한 석고 누출방지용 감싸개 KR1020339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1143A KR102033996B1 (ko) 2019-05-24 2019-05-24 귀금속 왁스 주조법에 재사용 가능한 석고 누출방지용 감싸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1143A KR102033996B1 (ko) 2019-05-24 2019-05-24 귀금속 왁스 주조법에 재사용 가능한 석고 누출방지용 감싸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3996B1 true KR102033996B1 (ko) 2019-10-18

Family

ID=684626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1143A KR102033996B1 (ko) 2019-05-24 2019-05-24 귀금속 왁스 주조법에 재사용 가능한 석고 누출방지용 감싸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399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7535B1 (ko) * 2014-01-10 2014-05-21 주식회사 성수티이씨 탈부착식 단열 커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7535B1 (ko) * 2014-01-10 2014-05-21 주식회사 성수티이씨 탈부착식 단열 커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31150B2 (en) Malleable mold and method of use thereof
EP1584259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rtificial nails
EP1797977A3 (en) Die casting in investment mold
TW200607587A (en) Article casting method
WO2018108674A3 (de) Verlorener formkern sowie ein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bauteils und das bauteil selbst
KR102033996B1 (ko) 귀금속 왁스 주조법에 재사용 가능한 석고 누출방지용 감싸개
SK67694A3 (en) Process for production of casted and set pieces of jewelry
WO2006012178A3 (en) Mold and process for producing a shoe bottom
DE60115055D1 (de) Verfahren und formwerkzeug zur herstellung von faser-verstärkten produkten
ATE447470T1 (de) Verfahren und maschine zum formpressen von verschlussschalen
CN204024856U (zh) 一种发动机燃烧室尾部装药成型装置
ATE268548T1 (de) Vorrichtung zum entfernen von backwaren
US3095611A (en) Mold
CN207577375U (zh) 一种下砂箱夹紧机构
JP2010228256A (ja) 樹脂成形金型
WO2003006192A3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furbishing thermoplastic drum
CN108145080A (zh) 消失模铸造方法和铸造产品
JP2008168309A (ja) 鋳物の製造方法
KR100878604B1 (ko) 패키지 쉘 커버레이어 및 그 처리방법
JP2004042300A (ja) 金型の製造方法及び装置
KR200205888Y1 (ko) 금속제링의 문자 성형장치
KR101413301B1 (ko) 보석 난집 제조방법
CN116367750A (zh) 橡胶套筒及其制造方法
SU789203A1 (ru) Способ вакуумной формовки
SU821180A1 (ru) Эластичный пуансон дл формовани издЕлий СлОжНОгО пРОфил из КОМпО-зициОННыХ МАТЕРиАлОВ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