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2589B1 - 배관 보온재용 보호커버 - Google Patents

배관 보온재용 보호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2589B1
KR101512589B1 KR20140003675A KR20140003675A KR101512589B1 KR 101512589 B1 KR101512589 B1 KR 101512589B1 KR 20140003675 A KR20140003675 A KR 20140003675A KR 20140003675 A KR20140003675 A KR 20140003675A KR 101512589 B1 KR101512589 B1 KR 1015125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ective cover
female
male
insulating material
heat insul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036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민호
Original Assignee
장민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민호 filed Critical 장민호
Priority to KR201400036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25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25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25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0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14Arrangements for the insulation of pipes or pipe systems
    • F16L59/147Arrangements for the insulation of pipes or pipe systems the insulation being located inwardly of the outer surface of the pi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0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14Arrangements for the insulation of pipes or pipe systems
    • F16L59/16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local requirements at flanges, junctions, valves or the like
    • F16L59/22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local requirements at flanges, junctions, valves or the like adapted for be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관 보온재용 보호커버에 관한 것으로, 배관 둘레에 설치된 보온재의 둘레에 씌워서 설치할 때 양 단부가 서로 겹쳐지도록 형성하여 크기 조절이 가능하고, PVC 재질을 사용하여 주름 형태로 구성함으로써 구부러진 부분에서도 자유롭게 설치가 가능하며, 원하는 길이로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결속 후에 해제가 가능하도록 하여 여러번 계속해서 재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배관 보온재용 보호커버는, 배관 둘레에 설치되는 보온재의 외주면을 감아서 일측 및 타측의 양 단부가 서로 겹쳐지도록 형성되되, 보온재의 외주면 길이에 따라 양 단부의 겹쳐지는 부분이 조절될 수 있도록 형성되고, 타측 상부에 일측이 겹쳐지도록 일측 단부에 길이 방향으로 단차가 형성되며, 곡선 구간에서 자유롭게 휘어지도록 주름배관 형태의 PVC 재질로 형성된 보호커버 몸체; 상기 보호커버 몸체의 일측 단부에 소정의 간격으로 배치되며, 상기 보호커버 몸체의 일측 단부에 배치된 암결합부 몸체와, 상기 암결합부 몸체의 양쪽 방향에 관통 형성된 삽입구와, 상기 삽입구의 내측에 돌출 형성되고 톱니 모양의 기어치가 상기 삽입구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걸림턱과, 상기 걸림턱의 단부에 연장 형성되며 상기 걸림턱을 들어올려 상기 걸림턱에 치합된 수결합부의 돌출턱을 해제시키는 손잡이를 포함하는 PVC 재질의 암결합부; 및 상기 보호커버 몸체의 타측 끝단에서 반대쪽 방향으로 소정 거리를 두고 상기 암결합부와 대향되게 배치되며, 상기 보호커버 몸체의 타측 상부에 수직으로 배치된 수결합부 몸체와, 상기 수결합부 몸체의 일측에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암결합부의 삽입구에 삽입되며 상기 걸림턱의 기어치와 치합되는 톱니 모양의 기어치가 형성된 끼움부를 포함하는 PVC 재질의 수결합부;를 포함하고 있다.

Description

배관 보온재용 보호커버{Protective cover for duct insulation}
본 발명은 배관 보온재용 보호커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크기 조절이 가능하고, 구부러진 부분에서도 자유롭게 설치가 가능하며, 원하는 길이로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는 배관 보온재용 보호커버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한번 결속한 후에도 해제가 가능하도록 하여 여러 번 계속해서 재사용할 수 있는 배관 보온재용 보호커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보일러설비나 냉각설비는 에너지를 투입하여 생산한 소정 온도의 열유체를, 예컨대 상기 열유체를 필요로 하는 곳까지 배관을 통해 수송한다.
이러한 열유체 수송시, 배관 벽면을 통해, 열유체와 외기(外氣) 사이에 열전달이 발생한다. 이러한 열전달은 해당 시스템이 소기의 목적을 달성하는데 방해요소로 작용할 뿐 아니라 시스템 전체로서의 에너지효율을 떨어뜨리는 단점이 있다.
또한, 열유체가 배관을 따라 유동하는 중에 손실된 에너지만큼 최종 목적지에서 에너지보충을 해 주어야 하고, 이를 위해 별도의 가열시설을 추가로 설치해야 하는 등 시스템 전체의 구조를 복잡화, 대규모화하는 단점이 있다.
이런 까닭에, 열유체를 수송하는 배관에 대해, 예전부터 보온재를 이용한 보온단열시공이 행해져 왔다.
첨부된 도 1은 원형단면의 파이프에 대해, 종래 방식에 따라 보온단열시공이 이루어진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이러한 보온단열시공은 열유체 수송관에 대해 행해지지만, 가스관이나 송수관과 같은 통상의 유체 수송관에 대해 행해지기도 한다.
도 1에 나타나 있듯이, 종래의 보온단열시공은 원형단면의 파이프(1)가 중공형의 보온재(2)로 둘러싸이고, 상기 보온재(2)가 다시 보호커버(3)로 둘러싸이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보온재(2)로서는 에어로플렉스(aeroflex)와 같은 고무발포체나 스티로폼과 같은 수지(樹脂) 발포체 등이 많이 사용되지만, 소재나 형태에 있어 어떤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다. 이 보온재(2)를 보호하는 데에는 예컨대 보호커버가 많이 사용되며, 보호커버(3)의 사용으로 보온단열시공부위는 외관이 좋아짐과 아울러, 외부로부터의 충격에 의해 보온재(2)의 일부가 찢어진다든지 떨어져 나가는 일이 없어진다.
하지만, 종래 보호커버(3)는 보온재(2)의 단면형상에 맞춰 성형한 얇은 금속판이 보온재(2) 외면 측에 둘러 감겼을 때, 상기 금속판의 양 단부가 서로 겹쳐지도록 하여, 그 겹쳐진 부분에 소정 간격으로 리벳팅을 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이 방법은 보호커버(3)와 보온재 사이에 리벳(4)의 머리가 위치하게 되므로, 리벳의 머리 높이만큼 보호커버와 보온재 사이가 들뜨게 된다. 그 결과, 보온재에 대한 보호커버의 압박력이 적어져 보온재와 배관 사이가 느슨해지므로 보온단열의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리벳의 머리를 만들기 위해서는 보호커버와 보온재 사이에 소정의 도구를 삽입해야 하므로 작업하기가 용이하지 않기 때문에 리벳팅 작업을 종료할 때까지 작업시간이 길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의 등록특허 제10-0976455호(이하, 특허문헌이라 함)에서는 보온재와 배관 사이가 빈틈없이 밀착함으로써 보온단열효율이 향상됨과 아울러, 보온단열을 위한 시공시간이 단축가능한 배관 보온재용 보호커버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상기 특허문헌은 배관 둘레에 설치되는 보온재(20)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커버(30)로서, 보온재(20)의 외면에 밀착되는 금속판(60)과, 보온재(20)를 에워쌌을 때 겹쳐지는 금속판(60)의 양 단부 중 일측 단부에 설치되는 다수의 클램프(40)와, 클램프(40)와 1:1 대응이 되도록 금속판(60)의 양 단부 중 타측 단부에 설치되는 앵커(5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하지만, 상기 특허문헌은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첫째, 보호커버(30)를 보온재(20)에 둘렀을 때 보호커버(30)의 양쪽 끝부분이 서로 접촉되도록 구성되어 있어서, 배관(10) 또는 보온재(20)의 크기(직경)가 조금만 달라도 보호커버(30)가 맞지 않아 설치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둘째, 배관(10)과 보온재(20)의 크기(직경)에 따라 미리 정해진 규격의 보호커버(30)만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에 제한적이다.
셋째, 배관(10)과 보온재(20)의 크기(직경)에 따라 보호커버(30)를 각각 제작해야 하기 때문에 제조 비용이 많이 드는 단점이 있다.
넷째, 보호커버(30)가 금속판으로 구성되어 있어서 부식의 문제가 있고, 제조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다섯째, 보호커버(30)가 알루미늄, 스테인리스, 함석 등의 금속 재질로 구성되어 있어, 제조할 때 보호커버의 길이가 한정되어 있다(예를 들어, 1m 정도).
여섯째, 금속판의 보호커버(30)에 금속 재질의 클램프(40)와 앵커(60)를 용접으로 부착해야 하기 때문에, 작업 공정이 늘어나고 제조 비용이 더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일곱째, 보호커버(30)가 금속판으로 일자 형태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L자형, T자형, 십자형 등의 굽은 배관에는 설치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등록특허 제10-0976455호(등록일자: 2010.08.11.)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배관 둘레에 설치되는 보온재의 둘레에 씌워서 설치할 때 양 단부가 서로 겹쳐지도록 형성함으로써 크기 조절이 가능한 배관 보온재용 보호커버를 제시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한번 결속한 후에도 해제가 가능하도록 하여 여러 번 계속해서 재사용할 수 있는 배관 보온재용 보호커버를 제시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보호커버를 PVC 재질을 사용하여 주름 형태로 구성함으로써, 구부러진 부분에서도 자유롭게 설치가 가능하고 원하는 길이로 간단하게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는 배관 보온재용 보호커버를 제시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보호커버와 상기 보호커버를 고정하는 수결합부와 암결합부 모두 PVC 재질로 구성되어 있어 제조 및 설치가 간단하고 용이할 뿐만 아니라 제조 및 설치 비용이 적게 들어 경제적인 배관 보온재용 보호커버를 제시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 의한 배관 보온재용 보호커버는, 배관 둘레에 설치되는 보온재의 외주면을 감아서 일측 및 타측의 양 단부가 서로 겹쳐지도록 형성되되, 보온재의 외주면 길이에 따라 양 단부의 겹쳐지는 부분이 조절될 수 있도록 형성되고, 타측 상부에 일측이 겹쳐지도록 일측 단부에 길이 방향으로 단차가 형성되며, 곡선 구간에서 자유롭게 휘어지도록 주름배관 형태의 PVC 재질로 형성된 보호커버 몸체; 상기 보호커버 몸체의 일측 단부에 소정의 간격으로 배치되며, 상기 보호커버 몸체의 일측 단부에 배치된 암결합부 몸체와, 상기 암결합부 몸체의 양쪽 방향에 관통 형성된 삽입구와, 상기 삽입구의 내측에 돌출 형성되고 톱니 모양의 기어치가 상기 삽입구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걸림턱과, 상기 걸림턱의 단부에 연장 형성되며 상기 걸림턱을 들어올려 상기 걸림턱에 치합된 수결합부의 돌출턱을 해제시키는 손잡이를 포함하는 PVC 재질의 암결합부; 및 상기 보호커버 몸체의 타측 끝단에서 반대쪽 방향으로 소정 거리를 두고 상기 암결합부와 대향되게 배치되며, 상기 보호커버 몸체의 타측 상부에 수직으로 배치된 수결합부 몸체와, 상기 수결합부 몸체의 일측에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암결합부의 삽입구에 삽입되며 상기 걸림턱의 기어치와 치합되는 톱니 모양의 기어치가 형성된 끼움부를 포함하는 PVC 재질의 수결합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 의한 배관 보온재용 보호커버는, 배관 둘레에 설치되는 보온재의 외주면을 감아서 일측 및 타측의 양 단부가 서로 겹쳐지도록 형성되되, 보온재의 외주면 길이에 따라 양 단부의 겹쳐지는 부분이 조절될 수 있도록 형성되고, 타측 상부에 일측이 겹쳐지도록 일측 단부에 길이 방향으로 단차가 형성되며, 곡선 구간에서 자유롭게 휘어지도록 주름배관 형태의 PVC 재질로 형성된 보호커버 몸체; 상기 보호커버 몸체의 타측 끝단에서 반대쪽 방향으로 소정 거리를 두고 배치되며, 상기 보호커버 몸체의 타측 상부에 배치된 암결합부 몸체와, 상기 암결합부 몸체의 양쪽 방향에 관통 형성된 삽입구와, 상기 삽입구의 내측에 돌출 형성되고 톱니 모양의 기어치가 상기 삽입구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걸림턱과, 상기 걸림턱의 단부에 연장 형성되며 상기 걸림턱을 들어올려 상기 걸림턱에 치합된 수결합부의 돌출턱을 해제시키는 손잡이를 포함하는 PVC 재질의 암결합부; 및 상기 보호커버 몸체의 일측 단부에 상기 암결합부와 대향되게 소정의 간격으로 배치되며, 상기 보호커버 몸체의 일측 단부에 수직으로 배치된 수결합부 몸체와, 상기 수결합부 몸체의 일측에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암결합부의 삽입구에 삽입되며 상기 걸림턱의 기어치와 치합되는 톱니 모양의 기어치가 형성된 끼움부를 포함하는 PVC 재질의 수결합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르면, 배관 둘레에 설치된 보온재의 둘레에 씌워서 설치할 때 양 단부가 서로 겹쳐지도록 형성하여 크기 조절이 가능하다.
또한, PVC 재질을 사용하여 주름 형태로 구성함으로써 구부러진 부분에서도 자유롭게 설치가 가능하며, 원하는 길이로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결속 후에 해제가 가능하도록 하여 여러번 계속해서 재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보호커버와 상기 보호커버를 고정하는 수결합부와 암결합부 모두 PVC 재질로 구성되어 있어 제조 및 설치가 간단하고 용이할 뿐만 아니라 제조 및 설치 비용이 적게 들어 경제적인 효과가 있다.
또한, 배관 둘레에 설치된 보온재에 설치되어, 햇빛을 차단하고, 고양이 등의 동물로부터 훼손을 방지할 수 있고, 보온 효과를 증가시킬 수 있으며, 미관 상 보기에도 좋을 뿐 아니라 비용 및 설치시간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배관 보온재용 보호커버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의한 배관 보온재용 보호커버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측면도
도 4는 수결합부 및 암결합부의 제1실시 예의 단면도
도 5는 수결합부 및 암결합부의 제2실시 예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의한 배관 보온재용 보호커버의 사시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의한 배관 보온재용 보호커버의 일자형 배관과 자 배관의 사용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도 7의 측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의한 배관 보온재용 보호커버의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5실시 예에 의한 배관 보온재용 보호커버의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6실시 예에 의한 배관 보온재용 보호커버의 사시도
도 13은 수결합부 및 암결합부의 제3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서 실시하고자 하는 구체적인 기술내용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배관 보온재용 보호커버의 제1실시 예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의한 배관 보온재용 보호커버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측면도이다.
상기 배관 보온재용 보호커버(100)의 제1실시 예는 배관(10) 둘레에 설치되는 보온재(20)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커버로서,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온재(20)의 둘레에 설치되는 몸체(101)와, 상기 몸체(101)의 일측 단부에 소정 거리로 배치된 다수의 암결합부(120)와, 상기 몸체(101)의 타측 끝단에서 반대쪽 방향으로 소정 거리를 두고 상기 암결합부(120)와 대향되도록 배치된 다수의 수결합부(110)를 포함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몸체(101)는 상기 보온재(20)의 외주면을 감아서 양 단부가 서로 겹쳐지도록 형성되되, 일측 단부가 타측의 상부에 겹쳐지도록 길이 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된다. 이에 의해, 상기 몸체(101)의 타측 단부는 상기 몸체(101)의 일측 단부에 볼록하게 형성된 부분의 아래 부분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보호커버(100)는 상기 몸체(101)의 일측 단부와 타측 단부가 겹쳐지는 부분만큼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보호커버(100)는 상기 배관(10) 및 상기 보온재(20)의 크기(직경)가 제품에 따라 조금 차이가 있다하더라도 상기 몸체(101)의 일측 단부와 타측 단부가 겹쳐지는 부분만큼 길이를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설치가 가능하다.
그러나, 종래에는 보호커버의 일측 및 타측 단부가 서로 밀착이 되도록 설치하기 때문에 배관 또는 보온재의 크기가 조금만 틀려도 보호커버가 맞지 않아서 설치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상기 보호커버(100)를 상기 보온재(20)의 둘레에 설치했을 때 상기 보호커버(100)의 일측 및 타측 단부가 서로 겹쳐지도록 형성함으로써, 겹쳐지는 부분만큼의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보호커버(100)의 몸체(101)는 PVC 재질을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하지만, 경우에 따라 스테인리스, 알루미늄, 함석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사용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보호커버(100)가 PVC 재질로 형성된 경우, 공장에서 생산할 때 호스와 같이 수십 내지 수백미터 단위로 묶어서 생산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보호커버(100)는 상기 보호커버(100)를 설치하고자 하는 배관(10) 또는 보온재(20)의 길이에 따라 절단하여 사용할 수가 있다.
계속해서, 상기 보호커버(100)는 일측 및 타측 단부에 수결합부(110)와 암결합부(120)를 배치하여 상기 보호커버(100)를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수결합부(110)는 상기 몸체(101)의 타측 끝단에서 반대쪽 방향으로 소정 거리를 두고 상기 암결합부(120)와 대향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암결합부(120)는 상기 몸체(101)의 일측 단부에 상기 수결합부(110)와 대향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수결합부(110)와 상기 암결합부(120)는 케이블타이와 같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수결합부(110)는, 상기 보호커버 몸체(101)의 타측에 배치된 몸체(111)와, 상기 몸체(111)의 일측에 상기 몸체(111)와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며 톱니 모양의 기어치(113)를 갖는 끼움부(112)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암결합부(120)는, 상기 보호커버 몸체(101)의 타측에 배치된 몸체(121)와, 상기 몸체(121)의 일측 및 타측에 관통 형성된 삽입구(122)와, 상기 삽입구(122)의 내측에 돌출 형성되고 톱니 모양의 기어치를 갖는 걸림턱(도 4의 123 참조)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보호커버(100)는 상기 배관(10) 둘레에 설치된 상기 보온재(20)의 외주면에 둘러 씌워서 양 단부가 서로 겹쳐지도록 설치한 다음, 상기 몸체(101)의 일측에 배치된 상기 암결합부(120)의 삽입구(122)에 상기 몸체(101)의 타측에 배치된 상기 수결합부(110)의 끼움부(112)를 삽입하여 상기 암결합부(120)의 걸림턱(123)의 기어치에 상기 수결합부(110)의 끼움부(112)의 기어치(113)를 결합 고정함으로써, 상기 보온재(20) 둘레에 상기 보호커버(100)를 결속하여 고정 설치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보호커버(100)는 일측 및 타측에 배치된 상기 수결합부(110)와 암결합부(120) 대신에 후술하는 도 5에 도시된 수결합부(130)와 암결합부(140)를 사용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수결합부 암결합부의 제1실시 예
도 4는 수결합부 및 암결합부의 제1실시 예의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수결합부(110)는, 몸체(111)와, 상기 몸체(111)의 일측에 상기 몸체(111)와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며 톱니 모양의 기어치(113)를 갖는 끼움부(112)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암결합부(120)는, 몸체(121)와, 상기 몸체(121)의 일측 및 타측에 관통 형성된 삽입구(122)와, 상기 삽입구(122)의 내측에 돌출 형성되고 톱니 모양의 기어치를 갖는 걸림턱(123)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수결합부(110) 및 상기 암결합부(120)는 PVC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상기 암결합부(120)의 삽입구(122)에 상기 수결합부(110)의 끼움부(112)를 최대한 삽입하여 상기 암결합부(120)의 걸림턱(123)의 기어치에 상기 수결합부(110)의 끼움부(112)의 기어치(113)를 끼워 결합함으로써, 상기 암결합부(120)의 삽입구(122)에 삽입된 상기 수결합부(110)의 끼움부(112)가 빠지지 않게 결속시킬 수 있다.
수결합부 암결합부의 제2실시 예
도 5는 수결합부 및 암결합부의 제2실시 예의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수결합부(130)는, 몸체(131)와, 상기 몸체(131)의 일측에 상기 몸체(131)와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며 톱니 모양의 기어치(133)를 갖는 끼움부(132)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암결합부(140)는, 몸체(141)와, 상기 몸체(141)의 일측 및 타측에 관통 형성된 삽입구(142)와, 상기 삽입구(142)의 내측에 돌출 형성되고 톱니 모양의 기어치를 갖는 걸림턱(143)과, 상기 걸림턱(143)에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걸림턱(143)을 들어올려 상기 수결합부(130)의 기어치(133)의 결합상태를 해제시키는 손잡이(144)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수결합부(130) 및 상기 암결합부(140)는 PVC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상기 암결합부(140)의 삽입구(142)에 상기 수결합부(130)의 끼움부(132)를 최대한 삽입하여 상기 암결합부(140)의 걸림턱(143)의 기어치에 상기 수결합부(130)의 끼움부(132)의 기어치(133)를 끼워 결합함으로써, 상기 암결합부(140)의 삽입구(142)에 삽입된 상기 수결합부(130)의 끼움부(132)가 빠지지 않게 체결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성의 수결합부(130)와 암결합부(140)는, 상기 암결합부(140)의 손잡이(144)를 상측 방향으로 들어올려 상기 암결합부(140)의 걸림턱(143)의 기어치를 상기 수결합부(130)의 끼움부(132)의 기어치(133)로부터 해방시킴으로써, 상기 암결합부(140)의 삽입구(142)에 체결된 상기 수결합부(130)의 끼움부(132)를 빼낼 수 있어 분리가 가능하다.
그러므로, 상기 수결합부(130)와 암결합부(140)의 제2실시 예는 한번 결속 후에도 언제든지 해제가 가능하여 여러번 계속해서 재사용할 수 있다.
배관 보온재용 보호커버의 제2실시 예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의한 배관 보온재용 보호커버의 사시도이다.
상기 배관 보온재용 보호커버(100)의 제2실시 예는 배관(10) 둘레에 설치되는 보온재(20)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커버로서,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온재(20)의 둘레에 설치되는 몸체(101)와, 상기 몸체(101)의 일측 단부에 소정 거리로 배치된 다수의 수결합부(110)와, 상기 몸체(101)의 타측 끝단에서 반대쪽 방향으로 소정 거리를 두고 상기 수결합부(110)와 대향되도록 배치된 다수의 암결합부(12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배관 보온재용 보호커버(100)의 제2실시 예는 상기 제1실시 예(도 2)와 비교해 볼 때, 상기 수결합부(110)와 암결합부(120)의 위치가 서로 바뀌어 배치된 예를 나타낸 것이다.
즉, 상기 수결합부(110)는 상기 몸체(101)의 일측 단부에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암결합부(120)는 상기 몸체(101)의 타측 끝단에서 반대쪽 방향으로 소정 거리를 두고 상기 수결합부(110)와 대향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때, 상기 수결합부(110)와 암결합부(120)는 케이블타이와 같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수결합부(110)와 암결합부(12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도 4 및 도 5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보호커버(100)는 상기 배관(10) 둘레에 설치된 상기 보온재(20)의 외주면에 둘러 씌워서 양 단부가 서로 겹쳐지도록 설치한 다음, 상기 몸체(101)의 타측에 배치된 상기 암결합부(120)의 삽입구(122)에 상기 몸체(101)의 일측에 배치된 상기 수결합부(110)의 끼움부(112)를 삽입하여 상기 암결합부(120)의 걸림턱(123)의 기어치에 상기 수결합부(110)의 끼움부(112)의 기어치(113)를 결합 고정함으로써, 상기 보온재(20) 둘레에 상기 보호커버(100)를 결속하여 고정 설치할 수 있다.
배관 보온재용 보호커버의 제3실시 예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의한 배관 보온재용 보호커버의 일자형 배관과 자 배관의 사용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7의 측면도이다.
상기 배관 보온재용 보호커버(200)의 제3실시 예는 배관(10) 둘레에 설치되는 보온재(20)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커버로서, 도 7 내지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온재(20)의 둘레에 설치되는 몸체(201)와, 상기 몸체(201)의 일측 단부에 소정 거리로 배치된 다수의 암결합부(120)와, 상기 몸체(201)의 타측 끝단에서 반대쪽 방향으로 소정 거리를 두고 상기 암결합부(120)와 대향되도록 배치된 다수의 수결합부(110)를 포함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보호커버(200)의 몸체(201)는 상기 보온재(20)의 외주면을 감아서 양 단부가 서로 겹쳐지도록 형성되되, 일측 단부가 타측의 상부에 겹쳐지도록 길이 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된다. 이에 의해, 상기 몸체(201)의 타측 단부는 상기 몸체(201)의 일측 단부에 볼록하게 형성된 부분의 아래 부분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보호커버(200)는 상기 몸체(201)의 일측 단부와 타측 단부가 겹쳐지는 부분만큼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보호커버(200)는 상기 배관(10) 및 상기 보온재(20)의 크기(직경)가 제품에 따라 조금 차이가 있다하더라도 상기 몸체(201)의 일측 단부와 타측 단부가 겹쳐지는 부분만큼 길이를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설치가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보호커버(200)를 상기 보온재(20)의 둘레에 설치했을 때 상기 보호커버(200)의 일측 및 타측 단부가 서로 겹쳐지도록 형성함으로써, 겹쳐지는 부분만큼의 길이 조절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보호커버(200)의 몸체(201)는 L자 배관, T자 배관, 십자형 배관 등과 같이 굽은 곳에서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자유롭게 휘어지는 주름배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주름배관 형태는 상기 보호커버(200)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나선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보호커버(200)의 몸체(201)는 PVC 재질을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하지만, 경우에 따라 스테인리스, 알루미늄, 함석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사용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보호커버(200)는 상기 몸체(201)가 자유롭게 휘어지는 주름배관 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PVC 재질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도 8과 같이 배관(10)이 굽어진 부분에도 용이하게 설치할 수가 있다.
상기 보호커버(200)가 PVC 재질로 형성된 경우, 공장에서 생산할 때 호스와 같이 수십 내지 수백미터 단위로 묶어서 생산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보호커버(200)는 상기 보호커버(200)를 설치하고자 하는 배관(10) 또는 보온재(20)의 길이에 따라 절단하여 사용할 수가 있다.
계속해서, 상기 보호커버(200)는 일측 및 타측 단부에 수결합부(110)와 암결합부(120)를 배치하여 상기 보호커버(200)를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수결합부(110)는 상기 몸체(201)의 타측 끝단에서 반대쪽 방향으로 소정 거리를 두고 상기 암결합부(120)와 대향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암결합부(120)는 상기 몸체(201)의 일측 단부에 상기 수결합부(110)와 대향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수결합부(110)와 상기 암결합부(120)는 케이블타이와 같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수결합부(110)는, 상기 보호커버 몸체(201)의 타측에 배치된 몸체(111)와, 상기 몸체(111)의 일측에 상기 몸체(111)와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며 톱니 모양의 기어치(113)를 갖는 끼움부(112)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암결합부(120)는, 상기 보호커버 몸체(201)의 타측에 배치된 몸체(121)와, 상기 몸체(121)의 일측 및 타측에 관통 형성된 삽입구(122)와, 상기 삽입구(122)의 내측에 돌출 형성되고 톱니 모양의 기어치를 갖는 걸림턱(123)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보호커버(200)는 상기 배관(10) 둘레에 설치된 상기 보온재(20)의 외주면에 둘러 씌워서 양 단부가 서로 겹쳐지도록 설치한 다음, 상기 몸체(201)의 일측에 배치된 상기 암결합부(120)의 삽입구(122)에 상기 몸체(201)의 타측에 배치된 상기 수결합부(110)의 끼움부(112)를 삽입하여 상기 암결합부(120)의 걸림턱(123)의 기어치에 상기 수결합부(110)의 끼움부(112)의 기어치(113)를 결합 고정함으로써, 상기 보온재(20) 둘레에 상기 보호커버(200)를 결속하여 고정 설치할 수 있다.
배관 보온재용 보호커버의 제4실시 예
도 10은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의한 배관 보온재용 보호커버의 사시도이다.
상기 배관 보온재용 보호커버(200)의 제4실시 예는 배관(10) 둘레에 설치되는 보온재(20)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커버로서,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온재(20)의 둘레에 설치되는 몸체(201)와, 상기 몸체(201)의 일측 단부에 소정 거리로 배치된 다수의 수결합부(110)와, 상기 몸체(201)의 타측 끝단에서 반대쪽 방향으로 소정 거리를 두고 상기 수결합부(110)와 대향되도록 배치된 다수의 암결합부(12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배관 보온재용 보호커버(200)의 제4실시 예는 상기 제3실시 예(도 7)와 비교해 볼 때, 상기 수결합부(110)와 암결합부(120)의 위치가 서로 바뀌어 배치된 예를 나타낸 것이다.
즉, 상기 수결합부(110)는 상기 몸체(201)의 일측 단부에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암결합부(120)는 상기 몸체(201)의 타측 끝단에서 반대쪽 방향으로 소정 거리를 두고 상기 수결합부(110)와 대향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때, 상기 수결합부(110)와 암결합부(120)는 케이블타이와 같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수결합부(110)와 암결합부(12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도 4 및 도 5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보호커버(200)는 상기 배관(10) 둘레에 설치된 상기 보온재(20)의 외주면에 둘러 씌워서 양 단부가 서로 겹쳐지도록 설치한 다음, 상기 몸체(201)의 타측에 배치된 상기 암결합부(120)의 삽입구(122)에 상기 몸체(201)의 일측에 배치된 상기 수결합부(110)의 끼움부(112)를 삽입하여 상기 암결합부(120)의 걸림턱(123)의 기어치에 상기 수결합부(110)의 끼움부(112)의 기어치(113)를 결합 고정함으로써, 상기 보온재(20) 둘레에 상기 보호커버(200)를 결속하여 고정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호커버(200)는 상기 몸체(201)가 자유롭게 휘어지는 주름배관 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PVC 재질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도 8과 같이 배관(10)이 굽어진 부분에도 용이하게 설치할 수가 있다.
배관 보온재용 보호커버의 제5실시 예
도 11은 본 발명의 제5실시 예에 의한 배관 보온재용 보호커버의 사시도이다.
상기 배관 보온재용 보호커버(300)의 제5실시 예는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온재의 외주면을 감아서 양 단부가 서로 겹쳐지도록 형성되되 일측 단부가 타측 상에 겹쳐지도록 길이 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며, 자유롭게 휘어지도록 나선형의 주름배관 형태로 형성된 몸체(301)와, 상기 몸체(301)의 타측 단부에 소정 거리로 배치된 다수의 암결합부(120)와, 상기 몸체(301)의 일측 끝단에서 반대쪽 방향으로 소정 거리를 두고 상기 암결합부(120)와 대향되도록 배치된 다수의 수결합부(110)를 포함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몸체(301)의 일측 및 타측 단부에는 상기 수결합부(110)와 암결합부(120)를 배치하기 위해, 상기 일측 및 타측 끝단의 개구부(302)로부터 각각 내측 방향으로 주름배관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평평한 부분의 평탄부(303)를 각각 형성하고 있다.
상기 보호커버(300)는 상기 몸체(301)의 외주면이 나선형의 주름배관 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일측 및 타측 단부에 상기 평탄부(303)를 형성하고 있는 점이 상기 제1 내지 제4실시 예의 보호커버와 다르고, 나머지 구성은 동일하다.
또한, 상기 수결합부(110)와 암결합부(120)도 도 4와 도 5의 수결합부(110,130)와 암결합부(120,140)로 구성될 수 있다.
배관 보온재용 보호커버의 제6실시 예
도 12는 본 발명의 제6실시 예에 의한 배관 보온재용 보호커버의 사시도이다.
상기 배관 보온재용 보호커버(400)의 제6실시 예는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온재의 외주면을 감아서 양 단부가 서로 겹쳐지도록 형성되되 일측 단부가 타측 상에 겹쳐지도록 길이 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며, 자유롭게 휘어지도록 주름배관 형태로 형성된 몸체(401)와, 상기 몸체(401)의 타측 단부에 소정 거리로 배치된 다수의 암결합부(120)와, 상기 몸체(401)의 일측 끝단에서 반대쪽 방향으로 소정 거리를 두고 상기 암결합부(120)와 대향되도록 배치된 다수의 수결합부(110)를 포함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몸체(401)의 일측 및 타측 단부에는 상기 수결합부(110)와 암결합부(120)를 배치하기 위해, 상기 일측 및 타측 끝단의 개구부(403)로부터 각각 내측 방향으로 주름배관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평평한 부분의 평탄부(404)를 각각 형성하고 있다. 여기서 도면부호 402는 오목부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보호커버(400)는 상기 몸체(401)의 외주면이 주름배관 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일측 및 타측 단부에 상기 평탄부(403)를 형성하고 있는 점이 상기 제1 내지 제4실시 예의 보호커버와 다르고, 나머지 구성은 동일하다.
또한, 상기 수결합부(110)와 암결합부(120)도 도 4와 도 5의 수결합부(110,130)와 암결합부(120,140)로 구성될 수 있다.
수결합부 암결합부의 제3실시 예
도 13은 수결합부 및 암결합부의 제3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암결합부(150)는, 몸체(151)와, 상기 몸체(151)에 소정의 간격으로 관통 형성된 다수의 삽입구(152)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결합부(160)는, 몸체(161)와, 상기 몸체(161)의 한쪽 면에 상기 암결합부(150)의 삽입구(152)에 대향되도록 소정의 간격으로 돌출 형성된 걸림턱(162)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수결합부(160) 및 상기 암결합부(150)는 PVC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결합부(160)는 상기 보호커버(100,200)의 일측(또는 타측) 단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암결합부(150)는 상기 보호커버(100,200)의 타측(또는 일측) 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상기 암결합부(150)의 삽입구(152)에 상기 수결합부(160)의 걸림턱(162)을 끼워 결합함으로써, 상기 암결합부(150)의 삽입구(152)에 삽입된 상기 수결합부(150)의 걸림턱(162)이 빠지지 않게 결속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배관 보온재용 보호커버는 배관 둘레에 설치된 보온재의 둘레에 씌워서 설치할 때 양 단부가 서로 겹쳐지도록 형성하고, PVC 재질을 사용하여 주름배관 형태로 구성함으로써,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를 해결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시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 등이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등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 : 배관 20 : 보온재
100 : 배관 보온재용 보호커버 101 : 몸체
102 : 일측 단부 103 : 타측 단부
110 : 수결합부 111 : 몸체
112 : 끼움부 113 : 톱니 모양의 기어치
120 : 암결합부 121 : 몸체
122 : 삽입구 123 : 걸림턱
130 : 수결합부 131 : 몸체
132 : 끼움부 133 : 톱니 모양의 기어치
140 : 암결합부 141 : 몸체
142 : 삽입구 143 : 걸림턱
144 : 손잡이 150 : 암결합부
151 : 몸체 152 : 삽입구
160 : 수결합부 161 : 몸체
162 : 걸림턱 200 : 배관 보온재용 보호커버
201 : 몸체 202 : 일측 단부
203 : 타측 단부 204 : 주름 형상부
300 : 배관 보온재용 보호커버 301 : 몸체
302 : 개구부 303 : 평탄부
400 : 배관 보온재용 보호커버 401 : 몸체
402 : 오목부 403 : 개구부
404 : 평면부

Claims (4)

  1. 배관 둘레에 설치되는 보온재의 외주면을 감아서 일측 및 타측의 양 단부가 서로 겹쳐지도록 형성되되, 보온재의 외주면 길이에 따라 양 단부의 겹쳐지는 부분이 조절될 수 있도록 형성되고, 타측 상부에 일측이 겹쳐지도록 일측 단부에 길이 방향으로 단차가 형성되며, 곡선 구간에서 자유롭게 휘어지도록 주름배관 형태의 PVC 재질로 형성된 보호커버 몸체;
    상기 보호커버 몸체의 일측 단부에 소정의 간격으로 배치되며, 상기 보호커버 몸체의 일측 단부에 배치된 암결합부 몸체와, 상기 암결합부 몸체의 양쪽 방향에 관통 형성된 삽입구와, 상기 삽입구의 내측에 돌출 형성되고 톱니 모양의 기어치가 상기 삽입구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걸림턱과, 상기 걸림턱의 단부에 연장 형성되며 상기 걸림턱을 들어올려 상기 걸림턱에 치합된 수결합부의 돌출턱을 해제시키는 손잡이를 포함하는 PVC 재질의 암결합부; 및
    상기 보호커버 몸체의 타측 끝단에서 반대쪽 방향으로 소정 거리를 두고 상기 암결합부와 대향되게 배치되며, 상기 보호커버 몸체의 타측 상부에 수직으로 배치된 수결합부 몸체와, 상기 수결합부 몸체의 일측에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암결합부의 삽입구에 삽입되며 상기 걸림턱의 기어치와 치합되는 톱니 모양의 기어치가 형성된 끼움부를 포함하는 PVC 재질의 수결합부;를 포함하는,
    배관 보온재용 보호커버.
  2. 배관 둘레에 설치되는 보온재의 외주면을 감아서 일측 및 타측의 양 단부가 서로 겹쳐지도록 형성되되, 보온재의 외주면 길이에 따라 양 단부의 겹쳐지는 부분이 조절될 수 있도록 형성되고, 타측 상부에 일측이 겹쳐지도록 일측 단부에 길이 방향으로 단차가 형성되며, 곡선 구간에서 자유롭게 휘어지도록 주름배관 형태의 PVC 재질로 형성된 보호커버 몸체;
    상기 보호커버 몸체의 타측 끝단에서 반대쪽 방향으로 소정 거리를 두고 배치되며, 상기 보호커버 몸체의 타측 상부에 배치된 암결합부 몸체와, 상기 암결합부 몸체의 양쪽 방향에 관통 형성된 삽입구와, 상기 삽입구의 내측에 돌출 형성되고 톱니 모양의 기어치가 상기 삽입구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걸림턱과, 상기 걸림턱의 단부에 연장 형성되며 상기 걸림턱을 들어올려 상기 걸림턱에 치합된 수결합부의 돌출턱을 해제시키는 손잡이를 포함하는 PVC 재질의 암결합부; 및
    상기 보호커버 몸체의 일측 단부에 상기 암결합부와 대향되게 소정의 간격으로 배치되며, 상기 보호커버 몸체의 일측 단부에 수직으로 배치된 수결합부 몸체와, 상기 수결합부 몸체의 일측에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암결합부의 삽입구에 삽입되며 상기 걸림턱의 기어치와 치합되는 톱니 모양의 기어치가 형성된 끼움부를 포함하는 PVC 재질의 수결합부;를 포함하는,
    배관 보온재용 보호커버.
  3. 삭제
  4. 삭제
KR20140003675A 2014-01-11 2014-01-11 배관 보온재용 보호커버 KR1015125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03675A KR101512589B1 (ko) 2014-01-11 2014-01-11 배관 보온재용 보호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03675A KR101512589B1 (ko) 2014-01-11 2014-01-11 배관 보온재용 보호커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12589B1 true KR101512589B1 (ko) 2015-04-15

Family

ID=530347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03675A KR101512589B1 (ko) 2014-01-11 2014-01-11 배관 보온재용 보호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258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0645U (ko) * 2017-09-04 2019-03-13 이장평 케이블타이형 단열재알루미늄거푸집용 간격조절장치
KR20210123765A (ko) 2020-04-06 2021-10-14 김덕환 배관용 보온 집게
KR20230008934A (ko) 2021-07-07 2023-01-17 주식회사 알토켐 휨성 있는 보호튜브를 이용한 배관보호방법
KR20230122253A (ko) * 2022-02-14 2023-08-22 주식회사 씨앤에스시스템즈 반도체 칠러 밸브 보온키트 및 그 설치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10273A (ko) * 1987-02-09 1988-10-07 가즈오 가라카와 플라스틱제 배관 카바
KR20090128981A (ko) * 2008-06-12 2009-12-16 (주)에스케이아이 배관 보온재용 보호커버
KR101173681B1 (ko) 2011-11-03 2012-08-13 주식회사 성수티이씨 탈부착식 단열 커버
KR20120008974U (ko) * 2011-06-20 2012-12-28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T형 배관용 보온커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10273A (ko) * 1987-02-09 1988-10-07 가즈오 가라카와 플라스틱제 배관 카바
KR20090128981A (ko) * 2008-06-12 2009-12-16 (주)에스케이아이 배관 보온재용 보호커버
KR20120008974U (ko) * 2011-06-20 2012-12-28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T형 배관용 보온커버
KR101173681B1 (ko) 2011-11-03 2012-08-13 주식회사 성수티이씨 탈부착식 단열 커버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0645U (ko) * 2017-09-04 2019-03-13 이장평 케이블타이형 단열재알루미늄거푸집용 간격조절장치
KR200489839Y1 (ko) * 2017-09-04 2019-08-19 이장평 케이블타이형 단열재알루미늄거푸집용 간격조절장치
KR20210123765A (ko) 2020-04-06 2021-10-14 김덕환 배관용 보온 집게
KR20230008934A (ko) 2021-07-07 2023-01-17 주식회사 알토켐 휨성 있는 보호튜브를 이용한 배관보호방법
KR20230122253A (ko) * 2022-02-14 2023-08-22 주식회사 씨앤에스시스템즈 반도체 칠러 밸브 보온키트 및 그 설치방법
KR102651096B1 (ko) 2022-02-14 2024-03-26 주식회사 씨앤에스시스템즈 반도체 칠러 밸브 보온키트 및 그 설치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12589B1 (ko) 배관 보온재용 보호커버
US7596914B2 (en) Universal firestopping collar assembly
JP4805093B2 (ja) 既設管の更生方法
KR101397535B1 (ko) 탈부착식 단열 커버
JP5393866B1 (ja) 管継手用保持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管継手
KR101192736B1 (ko) 배관용 보온 케이싱 및 그 시공방법과 제조방법
KR101060752B1 (ko) 나선형 파형관용 이음장치
RU2635943C2 (ru) Трубопровод, способ образования трубопровода, способ катодной защиты трубопровода, способ образования и укладки подводного трубопровода
KR101481727B1 (ko) 선박용 배관의 파이프커버
JP2022543485A (ja) 熱保護装置を備えたクランプ組立体
EP0766035A1 (en) Insulation jacket for fluid carrying conduits
US10750578B2 (en) Assembled media line and contour shaped cap device
JP2017057969A (ja) 配管支持構造
KR100976455B1 (ko) 배관 보온재용 보호커버
KR20180001036U (ko) 파이프 고정용 밴드
RU2743093C2 (ru) Гибкая труба
JP5555481B2 (ja) スプリンクラー用巻き出し配管の施工方法
US9989189B1 (en) Straps for pipe insulation
US4087946A (en) Construction methods
US20120061388A1 (en) Pipe and Pipe Joint Covering Apparatus
JP2009121036A (ja) 導水ジョイント
TWI788589B (zh) 管系統及其形成方法
CN209960104U (zh) 立体保温布包
KR200207805Y1 (ko) 배관 단열재용 덕트
KR200478539Y1 (ko) 튜브형 보온단열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