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9839Y1 - 케이블타이형 단열재알루미늄거푸집용 간격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케이블타이형 단열재알루미늄거푸집용 간격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9839Y1
KR200489839Y1 KR2020170004652U KR20170004652U KR200489839Y1 KR 200489839 Y1 KR200489839 Y1 KR 200489839Y1 KR 2020170004652 U KR2020170004652 U KR 2020170004652U KR 20170004652 U KR20170004652 U KR 20170004652U KR 200489839 Y1 KR200489839 Y1 KR 20048983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tie
contact
insulating material
contact member
heat insul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465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0645U (ko
Inventor
이장평
Original Assignee
이장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장평 filed Critical 이장평
Priority to KR202017000465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9839Y1/ko
Publication of KR2019000064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064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983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983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6Tying means; Spacers ; Devices for extracting or inserting wall t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케이블타이형 단열재알루미늄거푸집용 간격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작업자가 알루미늄 거푸집에 단열재를 밀착시킬 때, 일측의 거푸집에 단열재를 밀착시킨 상태로 일단에 구비된 제1밀착부재를 접촉시켜 케이블타이를 당기면 반대쪽의 제2밀착부재가 전진하여 타측의 알루미늄 거푸집에 밀착되므로 간격조절작업이 매우 간편하여 생산성이 향상되도록 된 케이블타이형 단열재알루미늄거푸집용 간격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서로 마주보고 설치된 수직상의 알루미늄 거푸집에 단열재를 밀착시킬 수 있도록 설치된 케이블타이형 단열재알루미늄거푸집용 간격조절장치(1000)는, 일측의 수직상의 알루미늄 거푸집에 단열재를 밀착시킬 수 있으면서 케이블타이의 톱니부가 끼워져 걸리도록 된 케이블타이걸림결합부가 구비된 제1밀착부재(1100)와, 타측의 수직상의 알루미늄 거푸집에 단열재를 밀착시킬 수 있으면서 케이블타이의 타단인 톱니부를 갖춘 몸체부가 상부로 인출할 수 있도록 형성된 케이블타이안착부가 구비된 제2밀착부재(1200)와, 상기 케이블타이안착부에 일단의 겹합부가 이동하지 못하도록 안착됨과 더불어, 케이블타이의 몸체부를 당기게 되면 제2밀착부가 전방으로 전진하여 제1밀착부재의 제1밀착부와 제2밀착부재의 제2밀착부 간격이 벌어지도록 된 케이블타이(130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케이블타이형 단열재알루미늄거푸집용 간격조절장치{SPACING DEVICE FOR CABLE TIE TYPE INSULATING MATERIAL VERTICAL ALUMINUM MOLDS}
본 고안은 양측에 마주보고 수직하게 배치된 단열재알루미늄거푸집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키기 위해 설치하는 단열재알루미늄거푸집용 간격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단열재알루미늄거푸집에 밀착되는 양측의 고정판을 간단히 벌릴 수 있도록 된 케이블타이형 단열재알루미늄거푸집용 간격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심의 재개발, 재건축 및 신도시 아파트 등이 고층화, 복잡 다양화된 구조로 설계됨에 따라 시공이 간편하여 설치시간이 단축되고, 전용자재로 사용할 수 있으며 인양 및 작업공간의 확보가 용이한 알루미늄 거푸집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알루미늄 거푸집을 이용하여 구조물을 시공할 경우, 상기 알루미늄 거푸집 상에 못이나 피스를 이용하여 건설 자재를 고정할 수 있으나, 상기 알루미늄 거푸집의 알루미늄 재질에 의해 알루미늄 거푸집에 반복적으로 못과, 피스를 가공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건축물의 단열 시공시 사용되는 단열재를 알루미늄 거푸집에 부착할 경우에는 벽체나 슬래브를 형성하는 알루미늄 거푸집에 단열재를 부착하고 일반적인 청 테이프나 양면테이프 등과 같은 접착테이프를 일일이 찢어 단열재를 알루미늄 거푸집에 고정시켜 놓은 후 철근을 배근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접착테이프를 이용하여 알루미늄 거푸집에 단열재를 고정하고 철근 배근 후 콘크리트 몰탈을 타설할 경우, 상기 단열재의 상단이 접착테이프로는 견고하게 고정되지 않은 상태이기 때문에 콘크리트 몰탈이 알루미늄 거푸집과 단열재 틈사이로 점차로 스며들면서 육중한 콘크리트 몰탈의 중량을 이기지 못하고 알루미늄 거푸집과 단열재의 사이가 크게 벌어지게 될 뿐만 아니라 콘크리트 몰탈이 경화된 후에는 시멘트 페이스트가 단열재 표면에 그대로 묻어 경화된 상태이므로 이를 제거하지 않고서는 단열재의 표면에 벽지를 바를 수 없는 문제점과 그리고 단열재의 표면을 제거해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로 인해 단열재의 상단이 거푸집과 들뜨게 되어 단열재 시공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점도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262565호에 발명의 명칭 "수직상의 알루미늄 거푸집에 단열재설치용 간격조절 고정장치"가 공지되어 있는바, 양측 수직상의 알루미늄 거푸집의 각각의 내면중간에 설치되어 나사선이 형성된 봉형상부재에 의하여 간격조절 및 단열재를 고정시킴에 있어서, 상기 양측 수직상의 알루미늄 거푸집의 중간에 서로 대향하는 단열재가 밀착 고정되도록 한 한 쌍의 원형 밀착부재와; 상기 봉형상부재의 수나사에 그 내주면이 각각 나사 결합되고, 외주면이 테이퍼진 한쌍의 환형부재와; 상기 환형부재의 테이퍼진 외주면에 양단 내주면이 압착 결합되는 하나의 파이프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단열재 고정장치를 일반적으로 이미 제조 유통되고 있는 기존의 파이프를 사용하면서 여기에다 환형부재를 조립ㆍ사용함으로써 그 제조원가가 절감될 뿐만 아니라 구조가 간단하여 단열재 설치작업이 용이하고 설치작업기간도 단축되어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이러한 특허등록 제10-1262565호의 간격조절 고정장치는 작업자가 기역자형 밀착부재를 잡고 파이프를 지속적으로 돌려야 하기 때문에 설치작업시간을 단축하는 것은 제한적인 단점이 있었다.
참조문헌 :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262565호에 발명의 명칭 "수직상의 알루미늄 거푸집에 단열재설치용 간격조절 고정장치".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작업자가 알루미늄 거푸집에 단열재를 밀착시킬 때, 일측의 거푸집에 단열재를 밀착시킨 상태로 일단에 구비된 밀착부재를 접촉시켜 케이블타이를 당기면 반대쪽의 밀착부재가 전진하여 타측의 알루미늄 거푸집에 밀착되므로 간격조절작업이 매우 간편하여 생산성이 향상되도록 된 케이블타이형 단열재알루미늄거푸집용 간격조절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케이블타이형 단열재알루미늄거푸집용 간격조절장치는, 서로 마주보고 설치된 수직상의 알루미늄 거푸집에 단열재를 밀착시킬 수 있도록 수직상의 알루미늄 거푸집의 사이에 설치되되, 일측의 수직상의 알루미늄 거푸집에 단열재를 밀착시킬 수 있도록 된 제1밀착부와, 이 제1밀착부의 반대쪽으로 일체로 돌출되어 설치된 파이프부와, 이 파이프부의 외주면에 설치되어 케이블타이의 톱니부가 끼워져 걸리도록 된 케이블타이걸림결합부가 구비된 제1밀착부재와, 타측의 수직상의 알루미늄 거푸집에 단열재를 밀착시킬 수 있도록 된 제2밀착부와, 이 제2밀착부의 반대쪽으로 일체로 돌출되어 설치됨과 더불어 상기 제1밀착부재의 파이프에 끼워져 출입가능하도록 조립된 길이조절끼움축부와, 이 길이조절끼움축부에 케이블타이의 일단에 형성된 결합부가 이동하지 못하도록 안착되어 끼워짐과 더불어 케이블타이의 타단인 톱니부를 갖춘 몸체부가 상부로 인출할 수 있도록 형성된 케이블타이안착부가 구비된 제2밀착부재와, 상기 케이블타이안착부에 일단의 겹합부가 길이조절끼움축부의 단부에 길이조절끼움축부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안착됨과 더불어, 상기 결합부와 일체로 연장되어 톱니부가 형성된 몸체부는 케이블타이안착부의 상부로 인출할 수 있도록 조립되는 한편, 상기 몸체부가 제1밀착부재의 케이블타이걸림결합부에 끼워져 당기게 되면 상기 파이프부에서 길이조절끼움축부가 돌출되면서 제2밀착부가 전방으로 전진하여 상기 제1밀착부와 제2밀착부의 간격이 벌어지도록 된 케이블타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파이프부의 외주면에는 돌출된 리브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케이블타이안착부는, 상기 케이블타이의 결합부가 안착되어 길이조절끼움축부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형성된 결합부안착홈과, 상기 결합부와 연장된 몸체부가 안착됨과 더불어 상부로 인출할 수 있도록 형성된 몸체부안착홈과, 상기 결합부안착홈과 몸체부인착홈의 사이에 케이블타이의 결합부가 상부로 들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형성된 케이블타이들뜸방지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케이블타이형 단열재알루미늄거푸집용 간격조절장치에 의하면, 작업자가 알루미늄 거푸집에 단열재를 밀착시킬 때, 일측의 거푸집에 단열재를 밀착시킨 상태로 일단에 구비된 제1밀착부재를 접촉시켜 케이블타이를 당기면 반대쪽의 제2밀착부재가 전진하여 타측의 알루미늄 거푸집에 밀착되므로 간격조절작업이 매우 간편하여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의 케이블타이형 단열재알루미늄거푸집용 간격조절장치에 의하면, 파이프부의 외주면에 돌출된 리브에 의해 제1밀착부재를 파지하는 것이 용이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의 케이블타이형 단열재알루미늄거푸집용 간격조절장치에 의하면, 케이블타이안착부에 구비된 케이블타이들뜸방지부에 의해 케이블타이가 제2밀착부재의 길이조절끼움축부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케이블타이가 분실될 염려가 없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타이형 단열재알루미늄거푸집용 간격조절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정면도,
도 3은 도 1의 평면도,
도 4는 도 1의 저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케이블타이형 단열재알루미늄거푸집용 간격조절장치를 이용하여 알루미늄 거푸집에 단열재를 밀착하여 설치한 상태를 설명하는 도 3의 A - A선 단면도,
도 6은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도 5의 케이블타이형 단열재알루미늄거푸집용 간격조절장치에서 케이블타이를 당겨서 밀착부재가 앞으로 전진하는 상태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타이형 단열재알루미늄거푸집용 간격조절장치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상기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인용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으며,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부', '하부', '앞', '뒤', '선단', '전방', '후단' 등과 같은 방향성 용어는 개시된 도면(들)의 배향과 관련하여 사용된다. 본 고안의 실시 예의 구성요소는 다양한 배향으로 위치설정될 수 있기 때문에 방향성 용어는 예시를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지 이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타이형 단열재알루미늄거푸집용 간격조절장치(1000)는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서로 마주보고 설치된 수직상의 알루미늄 거푸집(1)에 단열재(2)를 밀착시킬 수 있도록 수직상의 알루미늄 거푸집의 사이에 설치되되, 제1밀착부재(1100)와, 이 제1밀착부재에 일단이 끼워져 인출되도록 된 제2밀착부재(1200) 및 제2밀착부재에 안착되어 제1밀착부재에 결합되도록 된 케이블타이(1300)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작업자가 알루미늄 거푸집(1)에 단열재(2)를 밀착시킬 때, 일측의 거푸집에 단열재를 밀착시킨 상태로 일단에 구비된 제1밀착부재(1100)를 접촉시켜 케이블타이(1300)를 당기면 반대쪽의 제2밀착부재(1200)가 전진하여 타측의 알루미늄 거푸집에 밀착된다.
여기서 상기 제1밀착부재(1100)는, 일측의 수직상의 알루미늄 거푸집에 단열재를 밀착시킬 수 있도록 된 1자형 또는 ㄱ자형으로 됨과 더불어 곡면으로 이루어진 제1밀착부(1110)와, 이 제1밀착부의 반대쪽으로 일체로 돌출되어 설치된 파이프부(1120)와, 이 파이프부의 외주면에 설치되어 케이블타이(1300)의 톱니부(1321)가 끼워져 걸리도록 스톱퍼(1131)를 갖춘 케이블타이걸림결합부(1130)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제1밀착부(1110)는 곡면으로 이루어져 탄력적으로 알루미늄 거푸집(1)의 단열재(2)를 가압할 수 있게 되고, 상기 파이프부(1120)에는 길이조절끼움축부(1220)가 끼워져 인출가능하게 되며, 상기 케이블타이걸림결합부(1130)의 스톱퍼(1131)에 케이블타이(1300)의 몸체부(1320)에 형성된 톱니부(1321)가 걸려서 파이프부(1120)에서 인출된 길이조절끼움축부(1220)의 길이가 유지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2밀착부재(1200)는, 타측의 수직상의 알루미늄 거푸집에 단열재를 밀착시킬 수 있도록 된 1자형 또는 ㄱ자형으로 됨과 더불어 곡면으로 이루어진 제2밀착부(1210)와, 이 제2밀착부의 반대쪽으로 일체로 돌출되어 설치됨과 더불어 상기 제1밀착부재(1100)의 파이프부(1120)에 끼워져 출입가능하도록 조립된 길이조절끼움축부(1220)와, 이 길이조절끼움축부에 케이블타이(1300)의 일단에 형성된 결합부(1310)가 이동하지 못하도록 안착되어 끼워짐과 더불어 케이블타이(1300)의 타단인 톱니부(1321)를 갖춘 몸체부(1320)가 상부로 인출될 수 있도록 형성된 케이블타이안착부(1230)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제2밀착부(1210)는 곡면으로 이루어져 탄력적으로 알루미늄 거푸집(1)의 단열재(2)를 가압할 수 있게 되고, 상기 길이조절끼움축부(1220)는 제1밀착부재(1100)의 파이프부(1120)에 끼워져 출입가능하게 되며, 상기 케이블타이안착부(1230)는 케이블타이(1300)의 일단에 형성된 결합부(1310)가 이동하지 못하도록 안착되어 끼워짐과 더불어 케이블타이(1300)의 타단인 톱니부(1321)를 갖춘 몸체부(1320)가 상부로 인출될 수 있도록 안착된다.
또한 상기 케이블타이(1300)는, 일단에 형성된 결합부(1310)와, 이 결합부에 일체로 연장됨과 더불어 결합부의 폭보다 좁게 이루어짐과 더불어 톱니부(1321)가 형성된 몸체부(1320)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상기 길이조절끼움축부(1220)의 단부쪽에 위치한 케이블타이안착부(1230)에 일단의 겹합부(1310)가 길이조절끼움축부(1220)의 축방향으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안착됨과 더불어, 상기 결합부(1310)와 일체로 연장되어 톱니부(1321)가 형성된 몸체부(1320)는 케이블타이안착부(1230)의 상부로 인출할 수 있도록 조립되는 한편, 상기 몸체부(1320)가 제1밀착부재(1100)의 케이블타이걸림결합부(1130)에 끼워져 당기게 되면 상기 파이프부(1120)에서 길이조절끼움축부(1220)가 돌출되면서 제2밀착부(1200)가 전방으로 전진하여 상기 제1밀착부(1110)와 제2밀착부(1210)의 간격이 벌어지게 된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작업자가 알루미늄 거푸집(1)에 단열재(2)를 밀착시킬 때, 일측의 거푸집에 단열재를 밀착시킨 상태로 일단에 구비된 제1밀착부재(1100)를 접촉시켜 케이블타이(1300)를 당기면 반대쪽의 제2밀착부재(1200)가 전진하여 타측의 알루미늄 거푸집에 밀착되므로 간격조절작업이 매우 간편하여 생산성이 향상되게 된다.
한편, 상기 파이프부(1120)의 외주면에는 돌출된 리브(1121)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파이프부(1120)의 외주면에 돌출된 리브(1121)에 의해 제1밀착부재(1100)를 파지하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또 상기 케이블타이안착부(1230)는, 상기 케이블타이(1300)의 결합부(1310)가 안착되어 길이조절끼움축부(122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형성된 결합부안착홈(1231)과, 상기 결합부(1310)와 연장된 몸체부(1320)가 안착됨과 더불어 상부로 인출할 수 있도록 형성된 몸체부안착홈(1232)과, 상기 결합부안착홈(1231)과 몸체부인착홈(1232)의 사이에 케이블타이(1300)의 결합부(1310)가 결합부안착홈(1231)에서 상부로 들려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형성된 케이블타이들뜸방지부(1233)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케이블타이안착부(1230)에 구비된 케이블타이들뜸방지부(1233)에 의해 케이블타이(1300)가 제2밀착부재(1200)의 길이조절끼움축부(122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케이블타이(1300)가 분실될 염려가 없게 된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고안의 실시 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고안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고안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경우에는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1: 알루미늄 거푸집 2: 단열재
1000: 케이블타이형 단열재알루미늄거푸집용 간격조절장치
1100: 제1밀착부재 1110: 제1밀착부
1120: 파이프부 1130: 케이블타이걸림결합부
1200: 제2밀착부재 1210: 제2밀착부
1220: 길이조절끼움축부 1230: 케이블타이안착부
1231: 결합부안착홈 1232: 몸체부안착홈
1233: 케이블타이들뜸방지부 1300: 케이블타이
1310: 결합부 1320: 몸체부
1321: 톱니부

Claims (3)

  1. 서로 마주보고 설치된 수직상의 알루미늄 거푸집에 단열재를 밀착시킬 수 있도록 수직상의 알루미늄 거푸집의 사이에 설치된 단열재알루미늄거푸집용 간격조절장치에 있어서,
    일측의 수직상의 알루미늄 거푸집에 단열재를 밀착시킬 수 있도록 된 제1밀착부와, 이 제1밀착부의 반대쪽으로 일체로 돌출되어 설치된 파이프부와, 이 파이프부의 외주면에 설치되어 케이블타이의 톱니부가 끼워져 걸리도록 된 케이블타이걸림결합부가 구비된 제1밀착부재와,
    타측의 수직상의 알루미늄 거푸집에 단열재를 밀착시킬 수 있도록 된 제2밀착부와, 이 제2밀착부의 반대쪽으로 일체로 돌출되어 설치됨과 더불어 상기 제1밀착부재의 파이프에 끼워져 출입가능하도록 조립된 길이조절끼움축부와, 이 길이조절끼움축부에 케이블타이의 일단에 형성된 결합부가 이동하지 못하도록 안착되어 끼워짐과 더불어 케이블타이의 타단인 톱니부를 갖춘 몸체부가 상부로 인출할 수 있도록 형성된 케이블타이안착부가 구비된 제2밀착부재와,
    상기 케이블타이안착부에 일단의 겹합부가 길이조절끼움축부의 단부에 길이조절끼움축부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안착됨과 더불어, 상기 결합부와 일체로 연장되어 톱니부가 형성된 몸체부는 케이블타이안착부의 상부로 인출할 수 있도록 조립되는 한편, 상기 몸체부가 제1밀착부재의 케이블타이걸림결합부에 끼워져 당기게 되면 상기 파이프부에서 길이조절끼움축부가 돌출되면서 제2밀착부가 전방으로 전진하여 상기 제1밀착부와 제2밀착부의 간격이 벌어지도록 된 케이블타이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블타이안착부는, 상기 케이블타이의 결합부가 안착되어 길이조절끼움축부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형성된 결합부안착홈과, 상기 결합부와 연장된 몸체부가 안착됨과 더불어 상부로 인출할 수 있도록 형성된 몸체부안착홈과, 상기 결합부안착홈과 몸체부인착홈의 사이에 케이블타이의 결합부가 상부로 들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형성된 케이블타이들뜸방지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타이형 단열재알루미늄거푸집용 간격조절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부의 외주면에는 돌출된 리브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타이형 단열재알루미늄거푸집용 간격조절장치.
  3. 삭제
KR2020170004652U 2017-09-04 2017-09-04 케이블타이형 단열재알루미늄거푸집용 간격조절장치 KR20048983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4652U KR200489839Y1 (ko) 2017-09-04 2017-09-04 케이블타이형 단열재알루미늄거푸집용 간격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4652U KR200489839Y1 (ko) 2017-09-04 2017-09-04 케이블타이형 단열재알루미늄거푸집용 간격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0645U KR20190000645U (ko) 2019-03-13
KR200489839Y1 true KR200489839Y1 (ko) 2019-08-19

Family

ID=657289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4652U KR200489839Y1 (ko) 2017-09-04 2017-09-04 케이블타이형 단열재알루미늄거푸집용 간격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983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3807A (ko) * 2019-10-14 2021-04-22 김걸 갭 마감용 거푸집
KR20210144041A (ko) 2020-05-21 2021-11-30 정명숙 건축용 단열재의 간격 유지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36224A (ja) * 2002-07-03 2004-02-05 Sankin:Kk 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貫通孔形成用伸縮スリーブ
KR101512589B1 (ko) * 2014-01-11 2015-04-15 장민호 배관 보온재용 보호커버
KR101656247B1 (ko) * 2015-11-20 2016-09-09 배용웅 요철 슬라이드 단열재 고정 유지구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00472U (ko) * 2013-07-22 2015-01-30 홍의연 콘크리트 타설용 단열재 고정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36224A (ja) * 2002-07-03 2004-02-05 Sankin:Kk 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貫通孔形成用伸縮スリーブ
KR101512589B1 (ko) * 2014-01-11 2015-04-15 장민호 배관 보온재용 보호커버
KR101656247B1 (ko) * 2015-11-20 2016-09-09 배용웅 요철 슬라이드 단열재 고정 유지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3807A (ko) * 2019-10-14 2021-04-22 김걸 갭 마감용 거푸집
KR102299680B1 (ko) 2019-10-14 2021-09-07 김걸 갭 마감용 거푸집
KR20210144041A (ko) 2020-05-21 2021-11-30 정명숙 건축용 단열재의 간격 유지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0645U (ko) 2019-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9839Y1 (ko) 케이블타이형 단열재알루미늄거푸집용 간격조절장치
KR20140021288A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용 슬리브 리브 조인트, 이를 구비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제조방법 및 이를 구비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공방법
KR20120005460U (ko) 설치가 용이한 관통 슬리브
KR101262565B1 (ko) 수직상의 알루미늄 거푸집에 단열재설치용 간격조절 고정장치
JP2010150871A (ja) 型枠兼用外断熱材の化粧板取付工法と外壁取付用掛止め部材
KR101661034B1 (ko) 벽체시공용 수도관 지지장치
CN102425271B (zh) 建筑楼板用马凳
KR101643398B1 (ko) 벽체 옹벽용 관통슬리브 고정장치
KR200486198Y1 (ko) 전선 배선용 호스 지지구
KR101071030B1 (ko) 알루미늄 거푸집에 설치되는 단열재의 고정장치
KR101370702B1 (ko) 자동으로 길이조절이 되면서 견고한 고정설치가 되는 관통슬리브
CN203883403U (zh) 一种可伸缩预埋86胶暗箱
KR101359374B1 (ko) 건물 철골조의 내화피복용 미장 졸대
KR101618805B1 (ko) 기존 건축물에의 부착력 향상을 통하여 단열성능 및 구조성능을 개선하기 위한 리모델링 방법
US10378211B1 (en) Spacer device and method
EP3249146B1 (en) An installation comprising a fastening device and method
KR100855059B1 (ko) 관통 성형 슬리브 설치 구조체 및 그것을 이용한 공사 방법
KR102300730B1 (ko) 외단열재 일체형 갱폼을 구비한 외단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외단열 시공방법
KR101426650B1 (ko) 건축물 골조 형성 구조
KR102368965B1 (ko) 건축용 단열재의 간격 유지 장치
CN210828337U (zh) 一种用于成型灌浆孔的预埋pvc管
KR200481690Y1 (ko) 앵커 볼트 어셈블리
KR200255167Y1 (ko) 벽면 매설용 콘센트 박스의 스페이스 바
EP2400613B1 (en) Wall finishing template for wall mounting a flush box for electrical applicances and mounting method of said box
JPH0336573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