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9374B1 - 건물 철골조의 내화피복용 미장 졸대 - Google Patents

건물 철골조의 내화피복용 미장 졸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9374B1
KR101359374B1 KR1020130116695A KR20130116695A KR101359374B1 KR 101359374 B1 KR101359374 B1 KR 101359374B1 KR 1020130116695 A KR1020130116695 A KR 1020130116695A KR 20130116695 A KR20130116695 A KR 20130116695A KR 101359374 B1 KR101359374 B1 KR 1013593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frame
plastering
strip
extruded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166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태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정플랜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정플랜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정플랜트
Priority to KR10201301166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937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93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93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1/00Implemen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21/02Implemen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for applying plasticised masses to surfaces, e.g. plastering walls
    • E04F21/16Implements for after-treatment of plaster or the like before it has hardened or dried, e.g. smoothing-tools, profile trow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H빔 같은 철골조로 이루어진 공장 플랜트시설에서 내화피복재를 철골조에 도포하는 과정에서 내화피복재가 철골조에 균일한 두께로 또한 마감면이 매끄럽게 처리되도록 미장 졸대를 알루미늄 압출 방식으로 금형에서 뽑아 필요 길이로 절단 사용하되, 졸대가 자성체를 갖는 홀더에 의해 철골조에 고정되거나 또는 클램프로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적은 인원으로 미장 작업을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는 건물 철골조의 내화피복용 미장 졸대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철골조의 끝단에 등 간격으로 떨어져 졸대가 구비되어 이들 사이에 내화피복재가 채워지도록 한 건물 철골조의 내화피복용 미장 졸대에 있어서, 상기 졸대는 알루미늄을 압출한 것으로서, 외측면 중앙에는 한쌍의 보강레일이 일체로 압출되고, 상기 졸대의 내측면에는 상,하측으로 다수개의 홀더가 나사체결되는데, 상기 홀더에는 상기 철골조의 끝단에 자력으로 고정되는 자성체가 구비되어 상기 졸대와 철골조를 등 간격으로 유지시키는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건물 철골조의 내화피복용 미장 졸대{The fireproofing protection finish rod for building iron frame}
본 발명은 건물 철골조의 내화피복용 미장 졸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H빔 같은 철골조로 이루어진 공장 플랜트시설에서 내화피복재를 철골조에 도포하는 과정에서 내화피복재가 철골조에 균일한 두께로 또한 마감면이 매끄럽게 처리되도록 미장 졸대를 알루미늄 압출 방식으로 금형에서 뽑아 필요 길이로 절단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반복 사용이 가능하므로 편리하고, 또한 자성체나 클램프를 이용하여 철골조에 편리하게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미장 졸대를 잡아주는 인력이 불필요한 건물 철골조의 내화피복용 미장 졸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골조로 이루어진 플랜트시설에서 철골조의 표면에 내화성능을 높이는 내화피복재가 도포된다. 이러한 내화피복재는 질석 또는 황토를 주원료로 하는 것인데, 펌핑카를 이용하여 내화피복재를 철골조에 뿌려 도포하고 작업자가 흙손으로 표면을 매끄럽게 미장처리하였다.
종래에는 "H"형 철골조에서 상부 및 하부플랜지의 끝단을 미장처리하기 위해 별도의 나무로 만든 졸대를 사용하였는데, 이러한 졸대는 고정수단이 없기 때문에 작업자가 한손으로 졸대를 잡고 다른 손으로 흙손을 이용하여 표면을 미장처리하였으므로 작업이 더딘 단점이 있었다.
또한 나무로 만든 졸대는 규격이 정해진 것이 아니고 작업자가 임의 길이로 절단 사용하는 것이다 보니 폭이 균일하지 않아 사용이 불편하고 또한 물기에 의해 나무결이 일어나면 재사용할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그리고 졸대를 잡아주는 수단이 없고 작업자가 감각적으로 졸대와 철골조의 끝단 사이를 띄워 미장작업하는 것이므로 내화피복재의 도포 두께가 균일하지 못하여 재료의 낭비가 심한 단점이 있었다.
졸대와 유사한 기술로는 종래 실용등록 제295479호에 콘크리트 상단옹벽 타설시 직진도와 평활도를 높이기 위하여 거푸집에 고정되는 직각의 철구조물이 제안된 바 있다. 이는 16층 이상의 내부 콘크리트 벽체의 상단옹벽 타설시 상단옹벽의 직진도와 평활도를 높여 상단몰딩선이 바르게 형성되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직각의 철구조물은 연속으로 압출 제작된 것이 아니고 공장에서 형강을 절단 용접한 것이며, 규격화된 제품이 아니므로 현장마다 호환되지 않는 단점이 있으며, 특히 단독으로 사용되지 않고 거푸집에 고정 사용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의 철구조물에 적용할 수 없었다.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개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H빔 같은 철골조로 이루어진 공장 플랜트시설에서 내화피복재를 철골조에 도포하는 과정에서 내화피복재가 철골조에 균일한 두께로 또한 마감면이 매끄럽게 처리되도록 미장 졸대를 알루미늄 압출 방식으로 금형에서 뽑아 필요 길이로 절단 사용하되, 졸대가 자성체를 갖는 홀더에 의해 철골조에 고정되거나 또는 클램프로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적은 인원으로 미장 작업을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는 건물 철골조의 내화피복용 미장 졸대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알루미늄 재질의 졸대는 물기에 변형되지 않으므로 졸대를 반복하여 재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졸대의 양쪽에 절단선이 다수개 형성되므로 철골조의 크기에 따라 절단하여 폭을 조절할 수 있게 되어, 하나의 졸대로 여러 규격의 철골조에 사용할 수 있는 다기능의 건물 철골조의 내화피복용 미장 졸대를 제공함에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철골조의 끝단에 등 간격으로 떨어져 졸대가 구비되어 이들 사이에 내화피복재가 채워지도록 한 건물 철골조의 내화피복용 미장 졸대에 있어서, 상기 졸대는 알루미늄을 압출한 것으로서, 외측면 중앙에는 한쌍의 보강레일이 일체로 압출되고, 상기 졸대의 내측면에는 상,하측으로 다수개의 홀더가 나사체결되는데, 상기 홀더에는 상기 철골조의 끝단에 자력으로 고정되는 자성체가 구비되어 상기 졸대와 철골조를 등 간격으로 유지시키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미장 졸대를 알루미늄으로 압출 제작하므로 물기에 의한 변형이 없어 반복하여 재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폭이 일정하고 면이 매끄럽기 때문에 미장면이 균일해지는 효과가 있다. 특히 졸대에는 외측으로 한쌍의 보강레일이 구비되어 졸대의 휨변형이 방지되고, 또한 보강레일이 손잡이의 역할도 하므로 취급이 편리하다. 그리고 이들 보강레일의 사이에는 대향면으로 가이드홈이 마련되어 별도의 클램프를 결합시킬 수 있으므로 클램프로 미장 졸대를 철골조의 사방 끝단에 쉽게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클램프를 사용하지 않고, 자성체를 갖는 홀더를 졸대의 전면에 나사체결하면 철골조에 졸대가 쉽게 고정되는 이점도 있다.
따라서 미장 작업시 미장 졸대를 잡을 필요가 없으므로 미장작업을 신속하게 할 수 있으며, 미장된 내화피복재의 두께 또한 균일해져 재료를 절감할 수 있는 등의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 한 실시예의 졸대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한 실시예의 졸대를 철골조에 설치한 상태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 다른 실시예의 졸대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또 다른 실시예의 졸대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또 다른 실시예의 졸대의 조립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또 다른 실시예의 졸대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 또 다른 실시예의 졸대를 철골조에 설치한 상태의 단면도
도 1 내지 도 2에서 본 발명 한 실시예의 졸대(10)는 철골조(20)의 상부 및 하부플랜지의 양쪽 끝단에 세워지는데, 철골조의 규격에 따라 약 25mm ∼ 35mm 사이의 간격을 두고 떨어져 설치되고 이들 사이에 내화피복재가 충진된다. 상기 졸대(10)는 알루미늄을 압출한 것이므로 가볍고 변형이 없으며 표면이 매끄러워 반복 재사용이 가능한 이점이 있는 것으로서, 졸대(10)의 외측 중앙에는 한쌍의 보강레일(11)이 일체로 길이방향을 따라 압출되어 손잡이의 역할과 졸대의 휨변형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졸대(10)에는 보강레일(11)의 양측으로 절단선(13)이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되는데, 상기 절단선(13)을 이용하여 졸대(10)의 폭을 줄일 수 있다. 즉 절단선(13)을 기준으로 졸대(10)의 양쪽을 절단하면 철골조(20)의 규격이 작은 제품에도 졸대(10)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하나의 졸대(10)로 여러 규격의 철골조를 미장할 수 있어서 금형비를 절감할 수 있다.
상기 졸대(10)의 내측면에는 이를 철골조(20)의 끝단에 고정하기 위한 수단으로 홀더(40)가 구비된다. 상기 홀더(40)는 철골조(20)의 끝단에 탄성적으로 끼워지는 한쌍의 끼움편(41)이 구비되고, 끼움편(41) 들의 하부에는 홀더(40)를 졸대(10)의 표면에 나사체결로 고정하기 위한 고정편(42)이 구비되며, 상기 끼움편(41)들의 사이에는 철골조(20)의 끝단에 자력으로 부착되는 자성체(43)가 구비된다.
이처럼 구성된 본 발명 한 실시예의 졸대는 압출된 졸대(10)를 철골조(20)의 길이에 맞게 절단하여 사용한다. 또한 졸대(10)는 양쪽으로 절단선(13)이 구비되므로 철골조(20)의 폭에 맞게 절단선(13)을 기준으로 불필요한 부분을 잘라서 폭을 조정할 수 있다. 졸대(10)는 압출된 것이므로 내측면에 다수개의 홀더(40)를 필요한 간격으로 나사체결한다. 홀더(40)에는 고정편(42)이 있으므로 이를 나사못으로 졸대(10)의 내측면에 고정시킨다. 이때 고정되는 홀더(40)들의 끼움편(41)들이 동일 수직선상에 놓이도록 한다.
도 2에서와 같이 홀더(40)가 고정된 졸대(10)를 철골조(20)의 끝단에 대고 강하게 밀어주면 홀더(40)들에 구비된 한쌍의 끼움편(41)들이 벌어지면서 철골조(20)의 끝단에 탄성적으로 끼워져 고정된다. 이때 자성체(43)들이 철골조(20)의 끝단에 자력으로 달라붙어 끼움편(41)들의 결합력을 보완해준다.
본 발명 한 실시예의 졸대(10)가 철골조(20)에 고정되면 내화피복재(21)를 품칠 방식으로 뿜어 철골조(20)의 표면에 부착한다. 이때 철골조(20)의 끝단에는 졸대(10)가 구비되므로 끝단에 피복되는 내화피복재(21)의 두께가 균일하고 또한 표면이 매끈해진다. 작업후 졸대(10)를 잡아당겨 철골조(20)에서 분리하면 홀더(40)가 있던 자리는 빈 공간으로 되는데, 이때 흙손으로 내화피복재를 일부 떠서 메워주면 된다.
도 3은 본 발명 다른 실시예로써, 졸대(10)의 외측면 및 내측면에 외측자성체(43a) 및 내측자성체(43b)를 부착하여 별도의 나사체결 없이 내,외측자성체(43b)(43a)들이 서로의 자성력에 의해 부착되어 본 발명 한 실시예의 홀더 역할을 하도록 한 것이다. 이때 내측자성체(43b)에는 요홈(43c)이 형성되어 철골조(20)의 끝단이 끼워지도록 한 것이다. 이처럼 구성된 본 발명 다른 실시예는 내,외측자성체(43b)(43a)들을 이용하여 본 발명 한 실시예의 홀더 역할을 하는 것을 제외하곤 본 발명 한 실시예와 동일한 기능을 한다.
도 4내지 도 7은 본 발명 또 다른 실시예로써, 졸대를 고정하기 위한 클램프의 구성을 갖는다. 본 발명 또 다른 실시예는 상기 한쌍의 보강레일(11)에는 서로 마주보며 가이드홈(12)이 길이방향으로 압출과정에서 형성되어 클램프(30)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클램프(30)는 상기 졸대(10)를 철골조(20)에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가이드홈(12)에 끼워지는 연결구(31)가 구비되고, 상기 연결구(31)의 선단에는 힌지부(32)를 중심으로 벌어지는 한쌍의 집게(33)가 구비되며, 이들 집게(33)는 반대쪽으로 돌출된 손잡이(34)에 의해 벌어지고 좁혀지는 구성이다. 그리고 한쪽 손잡이(34)에는 반대쪽 손잡이 쪽으로 돌출된 고정편(35)이 구비되고, 반대쪽 손잡이(34)에는 고정편(35)이 관통하는 관통구멍(37)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편(35)에는 경사진 쇄기(38)가 꼽혀 양쪽 손잡이(34)를 고정시키고 벌어진 집게(33)가 철골조(20)의 끝단에 물리도록 해준다.
이처럼 구성된 본 발명 또 다른 실시예의 졸대는 표면이 매끄럽기 때문에 내화피복재(21)가 철골조(20)와 졸대(10)의 사이에 도포되면 표면이 자연스럽게 미장처리되므로 별도의 미장작업을 할 필요가 없다.
상기 졸대(10)의 상측 및 하측 가이드홈(12)에 연결구(31)를 끼워 한쌍의 클램프(30)를 고정시킨 뒤 미장하고자 하는 철골조(20)의 끝단에 손잡이(34)를 이용하여 집게(33)를 강하게 물리고 이때 좁혀진 손잡이(34)들의 고정편(35)이 관통구멍(37)으로 들어가면 경사진 쇄기(38)를 고정구멍(36)으로 끼워넣어 이들 손잡이(34)가 탄성적으로 당겨지면서 집게(33)가 철골조(20)의 끝단에 물리도록 한다.
위의 과정으로 인하여 졸대(10)가 클램프(30)를 통하여 철골조(20)에 고정되므로 미장 작업을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미장후 클램프(30)를 풀고 졸대(10)를 제거한 뒤 클램프(30)의 집게(33)가 있던 자리만 흙손으로 메워주면 졸대(10)를 이용한 미장작업이 완료된다.
10 : 졸대 11 : 보강레일
12 : 가이드홈 13 : 절단선
20 : 철골조 21 : 내화피복재
30 : 클램프 31 : 연결구
32 : 힌지부 33 : 집게
34 : 손잡이 35 : 고정편
36 : 고정구멍 37 : 관통구멍
38 : 쇄기 40 : 홀더
41 : 끼움편 42 : 고정편
43 : 자성체

Claims (4)

  1. 삭제
  2. 철골조의 끝단에 등 간격으로 떨어져 졸대가 구비되어 이들 사이에 내화피복재가 채워지도록 하되, 상기 졸대의 내측면에는 상,하측으로 다수개의 홀더가 나사체결되고, 상기 홀더에는 상기 철골조의 끝단에 자력으로 고정되는 자성체가 구비되어 상기 졸대와 철골조가 등 간격으로 유지되도록 한 건물 철골조의 내화피복용 미장 졸대에 있어서,
    상기 졸대는 알루미늄을 압출한 것으로서, 외측면 중앙에는 한쌍의 보강레일이 일체로 압출되고;
    상기 졸대의 보강레일 양측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절단선이 마련되어 상기 철골조의 규격에 맞게 상기 절단선을 이용하여 양측을 절단하여 졸대의 폭을 줄일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철골조의 내화피복용 미장 졸대.
  3. 철골조의 끝단에 등 간격으로 떨어져 졸대가 구비되어 이들 사이에 내화피복재가 채워지도록 한 건물 철골조의 내화피복용 미장 졸대에 있어서,
    상기 졸대는 알루미늄을 압출한 것으로서, 외측면 중앙에는 한쌍의 보강레일이 일체로 압출되고, 상기 각 보강레일에는 서로 마주보는 한쌍의 가이드홈이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홈에 끼워져 상기 졸대를 상기 철골조의 끝단에 고정시키는 클램프가 구비되는데, 상기 클램프는 힌지부를 기준으로 교차되게 연결된 한쌍의 집게 및 손잡이로 구성되어 손잡이를 좁혀 고정시키면 상기 집게가 철골조의 끝단에 강하게 물리면서 상기 졸대가 철골조의 끝단에 고정되며;
    상기 졸대의 보강레일 양측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절단선이 마련되어 상기 철골조의 규격에 맞게 상기 절단선을 이용하여 양측을 절단하여 졸대의 폭을 줄일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철골조의 내화피복용 미장 졸대.
  4. 삭제
KR1020130116695A 2013-09-30 2013-09-30 건물 철골조의 내화피복용 미장 졸대 KR1013593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6695A KR101359374B1 (ko) 2013-09-30 2013-09-30 건물 철골조의 내화피복용 미장 졸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6695A KR101359374B1 (ko) 2013-09-30 2013-09-30 건물 철골조의 내화피복용 미장 졸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59374B1 true KR101359374B1 (ko) 2014-02-10

Family

ID=502700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6695A KR101359374B1 (ko) 2013-09-30 2013-09-30 건물 철골조의 내화피복용 미장 졸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937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5963A (ko) * 2020-06-17 2021-12-24 재암산업 주식회사 내화 철골 구조물의 시공방법
CN114541700A (zh) * 2022-02-23 2022-05-27 罗川东 一种墙面施工护角条表面涂料涂覆设备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62539A (en) * 1987-09-02 1989-03-09 Mitsui Constr Jig for refractory coating of steel frame material
KR100425056B1 (ko) * 2003-02-22 2004-03-31 이융복 인테리어 패널 설치구조
KR200468160Y1 (ko) * 2011-04-26 2013-07-26 장경문 에스에프 기능성 마루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62539A (en) * 1987-09-02 1989-03-09 Mitsui Constr Jig for refractory coating of steel frame material
KR100425056B1 (ko) * 2003-02-22 2004-03-31 이융복 인테리어 패널 설치구조
KR200468160Y1 (ko) * 2011-04-26 2013-07-26 장경문 에스에프 기능성 마루틀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5963A (ko) * 2020-06-17 2021-12-24 재암산업 주식회사 내화 철골 구조물의 시공방법
KR102378480B1 (ko) * 2020-06-17 2022-03-24 재암산업 주식회사 내화 철골 구조물의 시공방법
CN114541700A (zh) * 2022-02-23 2022-05-27 罗川东 一种墙面施工护角条表面涂料涂覆设备
CN114541700B (zh) * 2022-02-23 2023-12-22 中汝建设(天津)有限公司 一种墙面施工护角条表面涂料涂覆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9374B1 (ko) 건물 철골조의 내화피복용 미장 졸대
CN205025078U (zh) 一种应用于外部架体与主体结构连接的拉结体系
EP0436842A1 (de) Bausatz aus Leichtbauteilen für Wände, Stützen, Decken und sonstigen Bauteilen
US20140317869A1 (en) Tool for applying mortar
EP3384104A1 (en) Screed fastener and methods for using the same
GB2453138A (en) A bricklaying aid
CN218373944U (zh) 一种浆砌片石勾缝抹面装置
CN209163138U (zh) 一种用于爬模施工的楼板预留钢筋的预留装置
DE19602693C2 (de) Vorrichtung zum Abziehen von Putz, Estrich oder Beton
CN204435427U (zh) 地下室剪力墙竖向后浇带模板
CN210164266U (zh) 二次结构投线固定夹
KR101370702B1 (ko) 자동으로 길이조절이 되면서 견고한 고정설치가 되는 관통슬리브
CN207079769U (zh) 无须拆卸的建筑模板
DE10351765A1 (de) Schalungselement zur Aufnahme von Versorgungsleitungen
GB2539374A (en) Guide apparatus
KR101042211B1 (ko) 콘크리트 타설 높이 기준기
ITSA20070004A1 (it) "sistema per ottenere a calco, una serie di guide parallele fra di loro, per la stesura dell'intonaco in edilizia su qualunque superficie orizzontale o verticale".
WO2017161470A1 (zh) 砌墙砖上混凝土抹平器
GB2182705A (en) Bricklayer's mortar guide
CN217326186U (zh) 一种基于拉杆的填充墙及拉杆折弯扳手
LU102834B1 (de) Rahmeneinfassungsvorrichtung zum Einfassen eines Rahmens in eine Laibung
CN205804997U (zh) 新式抹泥刀
CN110374286B (zh) 石膏加气砌砖墙面的石材湿挂方法及其结构
KR200280022Y1 (ko) 온, 냉수배관 착탈 고정엘보우
IT202100002069U1 (it) Piastra per solai con intradosso in polistirene espanso sagomat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