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2211B1 - 콘크리트 타설 높이 기준기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타설 높이 기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2211B1
KR101042211B1 KR1020080030775A KR20080030775A KR101042211B1 KR 101042211 B1 KR101042211 B1 KR 101042211B1 KR 1020080030775 A KR1020080030775 A KR 1020080030775A KR 20080030775 A KR20080030775 A KR 20080030775A KR 101042211 B1 KR101042211 B1 KR 1010422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male
opening
female screw
screw portion
ma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07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05361A (ko
Inventor
송유섭
Original Assignee
중산하이픽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1535071&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042211(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중산하이픽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중산하이픽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307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2211B1/ko
Publication of KR200901053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53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22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22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02Conveying or working-up concrete or similar masses able to be heaped or cast
    • E04G21/10Devices for levelling, e.g. templates or bo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n-Site Construction Work That Accompanies The Preparation And Application Of Concrete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크리트 타설 높이 기준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철근결합부와 표시부로 구성되고, 철근결합부에 암나사가 형성되며 표시부에 수나사가 형성된 것에 있어서, 본 발명은 암나사를 원통체로 형성시키고 원통체로 되는 암나사에 길이방향의 개구부를 형성시키어 개구부를 통하여 수나사를 밀어 넣을 수 있게 하여서 된 콘크리트 타설 높이 기준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임.
콘크리트 타설 높이 기준기, 레벨러, Leveler.

Description

콘크리트 타설 높이 기준기{Concrete placing leveler}
본 발명은 콘크리트 타설 높이 기준기에 관한 것이다. 바닥면이나 천정면을 형성시키기 위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경우 그 표면이 수평을 이루도록 콘크리트를 타설하여야 하는바, 이러한 수평 타설을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타설 부위의 철근에 기준기를 설치하게 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이 콘크리트 타설시 콘크리트의 타설 높이를 알게 하는 기준기에 관한 것이다.
콘크리트의 수평 타설을 위한 기준기는 흔히 알려진바 있다. 그런데, 본 발명은 특히, 본 발명자의 선 출원 발명인 특허출원 제10-2005-133613호, 특허 제794617호 및 특허 제794618호 발명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위 선 발명의 기준기는, 철근결합부와 표시부로 구성되고 철근결합부와 표시부를 철근결합부에 형성된 암나사부와 표시부에 형성된 수나사부로 연결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바, 이와 같은 기준기는 철근결합부와 표시부를 나사 결합시키되 나사부의 결합정도를 조정하여 표시부의 높이를 조정한 후, 기준기를 철근에 결합하고, 표시부 상단에 이르기까지 콘크리트를 타설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선 발명의 기준기는 철근결합부와 표시부가 나사 결합되어 있고, 나사 결합부는 콘크리트를 붓고 펴는 과정에서 표시부를 밀고 당기거나 밟는 등의 힘이 가해질 경우 나사가 제멋대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나사의 피치 길이가 짧게 형성되어 철근 결합부와 표시부를 나사 결합시키는 데 비교적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생산성이 지나치게 불량한 결점이 있었다.
철근결합부와 표시부로 구성되고 철근결합부와 표시부를 나사로 연결하되, 철근결합부에 형성된 암나사부와 표시부에 형성된 수나사부로 나사 결합하도록 되어 있는 선 발명의 기준기는 상술한 바와 같이, 철근결합부와 표시부를 나사 결합시킴에 있어서의 소요 시간이 지나치게 많아 생산성이 불량하였던 바, 본 발명은 철근 결합부와 표시부의 나사결합시간을 크게 절감할 수 있는 기준기를 제공하여야 한다는 과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철근결합부와 표시부로 구성되고 철근결합부에 형성된 암나사부와 표시부에 형성된 수나사부로 나사 결합하도록 형성시켜서 된 것에 있어서, 본 발명은 암나사부에 길이방향의 개구부를 형성시키어 개구부를 통하여 암나사부에 수나사부를 밀어 넣을 수 있게 하여서 된 콘크리트 타설 높이 기준기를 제공한다.
원통체에 개구부를 형성시키고 개부구를 통하여 물체를 밀어 넣는다는 기술 사상은 널리 알려진 바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암나사부가 단순한 원통체가 아니라 내부에 나사홈이 형성된 것이고, 이와 같은 암나사부에 수나사를 결합시킴에 있어서는 수나사를 암나사 구멍에 돌려 끼워 결합하는 것이 보통이므로 암나사부의 옆벽에 길이 방향의 개구부를 형성시키고 개구부를 통하여 수나사를 결합시킨다는 것은 통상의 개념을 뒤집는 일이다.
그런데, 위와 같이 암나사부에 길이 방향의 개구부를 설치하게 되면, 암나사부가 수나사를 붙잡는 힘이 약하게 되어, 콘크리트를 붓고 펴는 과정에서 표시부가 밀리고 당겨지거나 발로 밟히거나 수레 바퀴에 걸리는 경우 암나사부로부터 수나사부가 이탈되는 일이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위에서 나가가 암나사부 일측벽의 종단면적(A)이 90㎟를 초과하며 120 ㎟ 이내로 형성된 기준기를 제공한다.
이와 같이 암나사부의 일측벽단면적(A)을 넓게 한다는 말은, 암나사부를 지나치게 길게 형성시킬 수 없으며, 그 길이가 30mm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므로, 결국 그 두께가 3mm이상이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와 같이 두꺼운 경우, 이제는 암나사부의 개구부로 수나사부를 밀어 넣는 일이 용이하지 않게 되는 또 다른 결점을 낳게 되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두께가 3mm 이상이며 길이가 30mm이상이 되는 암나사부를 벌리고 수나사를 밀어 넣음으로서 기준기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암나사부의 개구부에 안내벽체를 형성시키고, 안내벽체 사이의 개구부 입구에 수나사를 위치시킨 후, 수나사를 암나사부 내부로 강제로 밀어 넣는 결합구를 제공하여 이러한 결합구로서 수나사부를 암나사부에 결합시켜 기준기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비록 수나사부를 암나사부에 강제로 밀어 넣게 하는 별도의 결합구를 필요로 하게 하는 결점이 있기는 하지만, 철근 결합부와 표시부의 나사결합시간을 크게 절감할 수 있는 기준기를 제공할 수 있게 하여, 기준기의 제조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철근결합부(1)와 표시부(2)로 구성되고, 철근결합부(1)에 표시부(2)를 연결하기 위한 암나사부(31)가 형성되며, 표시부(2)에 수나사부(32)가 설치된 것에 있어서, 본 발명은, 암나사부(31)에 길이 방향의 개구부(310)를 형성시키어, 수나사부(32)를 암나사부(31)에 통상적인 방법으로 나사 결합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개구부(310)를 통하여 암나사부(31)에 수나사부(32)를 밀어 넣을 수 있게 하여서 된 콘크리트 타설 높이 기준기를 제공한다.
원통체에 개구부를 형성시키고 개부구를 통하여 물체를 밀어 넣는다는 기술 사상은 널리 알려진 바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암나사부가 단순한 원통체가 아니라 내부에 나사홈이 형성된 것이고, 이와 같은 암나사부에 수나사를 결합시킴에 있어서는 수나사를 암나사 구멍에 돌려 끼워 결합하는 것이 보통이므로 암나사부의 옆벽에 길이 방향의 개구부를 형성시키고 개구부를 통하여 수나사를 결합시킨다는 것은 나사결합에 관한 통상의 개념을 뒤집는 일이다.
그런데, 위와 같이 암나사부(31)에 길이방향의 개구부(310)를 설치하게 되면, 암나사부(31)가 수나사부(32)를 붙잡는 힘이 약하게 되어, 콘크리트를 붓고 펴는 과정에서 표시부(2)가 고무래 등에 의해 밀리고 당겨지거나 발로 밟히거나 수레 바퀴에 걸리는 경우 암나사부(31)로부터 수나사부(32)가 이탈되는 일이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위에서 나아가 암나사부(31)의 강도를 강화시키기 위하여, 일측벽의 종단면적(A)이 90㎟를 초과하며 120 ㎟ 이내로 형성된 기준기를 제공한다.
이와 같이 암나사부(31)의 일측벽 단면적(A)을 넓게 구성시킨다는 말은, 암나사부의 길이를 30mm 이상으로 길게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지 아니하므로, 결국 그 두께가 3mm이상이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두꺼운 경우, 이제는 암나사부(31)의 개구부(310)로 수나사부(32)를 밀어 넣는 일이 용이하지 않게 되는 또 다른 결점을 낳게 되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두께가 3mm 이상이며 길이가 30mm 가량이 되는 암나사부를 벌리고 수나사부를 밀어 넣음으로서 기준기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암나사부(31)의 개구부(310)에 안내벽체(311)를 형성시키고, 안내벽체(311) 사이의 개구부(310) 입구에 수나사부(32)를 위치시킨 후, 수나사부(32)를 암나사부(31) 내부로 강제로 밀어 넣는 결합구(4)를 제공하여 이러한 결합구(4)로서 수나사부(32)를 암나사부(31)에 결합시켜 기준기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결합구(4)는 암나사부(31)를 파지하는 파지부(41)와 파지부(41)에 파지된 암나사부(31)의 개구부(310) 방향으로 설치된 밀대(42)로 구성된다.
그리하여, 파지부(41)에 암나사부(31)를 파지시킨 후, 암나사부(31)의 개구부(310)에 수나사부(32)를 위치시키고, 밀대(42)로 수나사부(32)를 밀어 수나사부(32)를 암나사부(31)내에 결합시킬 수 있게 한다. 밀대(42)는 스프링으로 탄력설치시키고, 밀대(42)의 후부를 망치로 때리거나 공기압작동구로 때려 작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시킬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기준기의 분해 사시도
도2는 암나사부에 수나사부를 결합시키는 방법 설명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철근결합부
2. 표시부
삭제
31. 암나사부
310. 개구부
311. 안내벽체
32. 수나사부
4. 결합구
41. 파지부
42. 밀대

Claims (4)

  1. 철근결합부(1)와 표시부(2)로 구성되고, 철근결합부(1)에 암나사부(31)가 형성되며, 표시부(2)에 수나사부(32)가 설치된 것에 있어서, 암나사부(31)에 길이 방향의 개구부(310)를 형성시키어, 개구부(310)를 통하여 암나사부(31)에 수나사부(31)를 밀어 넣을 수 있게 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타설 높이 기준기.
  2. 제1항에 있어서, 암나사부는 일측벽의 종단면적이 90㎟를 초과하며 120 ㎟ 이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타설 높이 기준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암나사부의 개구부에 안내벽체를 형성시켜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타설 높이 기준기.
  4. 삭제
KR1020080030775A 2008-04-02 2008-04-02 콘크리트 타설 높이 기준기 KR1010422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0775A KR101042211B1 (ko) 2008-04-02 2008-04-02 콘크리트 타설 높이 기준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0775A KR101042211B1 (ko) 2008-04-02 2008-04-02 콘크리트 타설 높이 기준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5361A KR20090105361A (ko) 2009-10-07
KR101042211B1 true KR101042211B1 (ko) 2011-06-16

Family

ID=415350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0775A KR101042211B1 (ko) 2008-04-02 2008-04-02 콘크리트 타설 높이 기준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221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1467B1 (ko) * 2010-05-20 2013-11-20 중산하이픽스 주식회사 콘크리트 타설 높이 기준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9201U (ja) * 1993-11-10 1995-06-02 槐 宋 床板コンクリート舖設高度制御補助器
KR20030044712A (ko) * 2001-11-30 2003-06-09 주식회사 포스코 정량 절출장치
KR200344712Y1 (ko) * 2003-12-24 2004-03-18 (주) 에타 철근 연결용 커플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9201U (ja) * 1993-11-10 1995-06-02 槐 宋 床板コンクリート舖設高度制御補助器
KR20030044712A (ko) * 2001-11-30 2003-06-09 주식회사 포스코 정량 절출장치
KR200344712Y1 (ko) * 2003-12-24 2004-03-18 (주) 에타 철근 연결용 커플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5361A (ko) 2009-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NO323943B1 (no) Sammenfoyningssystem og anvendelse av dette
CN203741997U (zh) 一种梁与构造柱钢筋预埋及连接结构
JP2006219912A (ja) Pc鋼より線とソケットとの固着構造及びpc鋼より線とウエッジとのソケットへの圧入固着装置
KR101042211B1 (ko) 콘크리트 타설 높이 기준기
CN201050119Y (zh) 墙体拉结筋
KR20140058076A (ko) 신구콘크리트 연결 시공방법
CN207469596U (zh) 一种梁柱外缘免拆混凝土模具
CN206788013U (zh) 一种应用于建筑材料界面粘结强度检测的实验装置
US1960502A (en) Tie clamp
KR200489839Y1 (ko) 케이블타이형 단열재알루미늄거푸집용 간격조절장치
KR20200120392A (ko) 프레타이 절단 장치 및 절단 방법
KR20100010579U (ko) 벽체보거푸집 지지장치
KR101359374B1 (ko) 건물 철골조의 내화피복용 미장 졸대
CN210163890U (zh) 管桩接头连接构造
CN210598158U (zh) 一种快拆可周转梁柱节点高低标号混凝土拦截器
CN208310229U (zh) 一种拆除模板对拉片端头的专用工具
CN102852229A (zh) 预埋后机械冷连接的墙体拉结筋构件及安装方法
KR20100009320U (ko) 배관 연결용 관통 슬리브
CN206448519U (zh) 构造柱侧模加固装置
KR100850230B1 (ko) 입상 성형 슬리브 설치 구조체 및 그것을 이용한 공사 방법
KR100709634B1 (ko) 테이블 데크
CN204152221U (zh) 砌体勾缝工具
CN105002988B (zh) 具有连接功能的棒材
CN219118788U (zh) 一种建筑楼板用省力式拆模设备
CN110900797B (zh) 一种pc预制构件预留pc线管接线孔制作工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2

Year of fee payment: 5

J204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4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