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21288A -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용 슬리브 리브 조인트, 이를 구비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제조방법 및 이를 구비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용 슬리브 리브 조인트, 이를 구비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제조방법 및 이를 구비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21288A
KR20140021288A KR1020120087482A KR20120087482A KR20140021288A KR 20140021288 A KR20140021288 A KR 20140021288A KR 1020120087482 A KR1020120087482 A KR 1020120087482A KR 20120087482 A KR20120087482 A KR 20120087482A KR 20140021288 A KR20140021288 A KR 201400212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eeve
precast concrete
rib joint
joint
sleeve ri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74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33654B1 (ko
Inventor
강덕만
Original Assignee
동아이엔지(주)
강덕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아이엔지(주), 강덕만 filed Critical 동아이엔지(주)
Priority to KR10201200874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3654B1/ko
Publication of KR201400212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12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36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36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41Connec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embedding in concrete or masonry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62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3/00Dowels or other devices fastened in walls or the like by inserting them in holes made therein for that purpose
    • F16B13/14Non-metallic plugs or sleeves; Use of liquid, loose solid or kneadable material therefor
    • F16B13/141Fixing plugs in holes by the use of settable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anufacturing Of Tubular Articles Or Embedded Moulded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용 슬리브 리브 조인트에 관한 것으로서, 양단이 방된 중공으로 형성되며, 상기 중공의 내면에 암나사가 형성된 고정 슬리브; 상기 고정 슬리브에 나사 체결되는 것으로서, 외면에 형성된 상기 고정 슬리브의 암나사에 체결되는 수나사와 일단에 형성되며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에 마련된 연결용 철근이 삽입되는 체결 홈을 포함하는 이동 슬리브;를 포함하며,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의 연결용 철근의 규격에 따라 상기 고정 슬리브에 대한 상기 이동 슬리브의 결합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Description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용 슬리브 리브 조인트, 이를 구비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제조방법 및 이를 구비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공방법{Sleeve Lib Joint usable with precast concrete, Manufacturing method for precast concrete having the same, and Installing method for precast concreat structur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의 결합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2개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를 결합하기 위해 사용되는 슬리브 리브 조인트, 이를 구비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의 제조방법, 및 이를 구비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토목 공사에서 사용되는 암거, 옹벽, 터널 등과 같은 콘크리트 구조물은 공사 현장에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공사 현장에서 콘크리트를 직접 타설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을 형성하는 방법은 작업이 어렵고 공사 기간이 많이 소요되어 공사비가 높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근래에는 공장에서 필요한 콘크리트 구조물을 적절한 크기로 분할하여 미리 제작한 후, 이를 공사 현장으로 운반하여 조립 설치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공사 방법을 많이 사용하고 있다.
이와 같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공법에서는 공장에서 분할하여 제작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의 구성품을 공사 현장에서 연결하여 구조물을 완성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을 연결하기 위해서는 서로 조립되는 2개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의 연결용 철근의 일단을 용접할 수 있다. 그러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의 연결용 철근을 용접하여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를 조립하는 것은 작업이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서로 연결할 2개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의 연결용 철근을 커플러를 사용하는 결합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종래 기술에 의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은 제조시에 연결용 철근의 위치가 틀어지는 경우가 자주 발생한다. 이러한 경우에는 조립할 2개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의 연결용 철근이 동축 상에 위치하지 않기 때문에 커플러를 사용하여 2개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을 결합하는 것이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한 것으로서, 용접 없이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을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용 슬리브 리브 조인트, 이를 구비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의 제조방법, 및 이를 구비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여러 규격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를 한 가지 규격의 슬리브 리브 조인트로 제조할 수 있도록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용 슬리브 리브 조인트 및 이를 구비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제조시에 연결용 철근의 위치가 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슬리브 리브 조인트 및 이를 구비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2개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를 결합하기 위해 사용하는 슬리브 리브 조인트에 있어서, 양단이 개방된 중공으로 형성되며, 상기 중공의 내면에 암나사가 형성된 고정 슬리브; 상기 고정 슬리브에 나사 체결되는 것으로서, 외면에 형성된 상기 고정 슬리브의 암나사에 체결되는 수나사와 일단에 형성되며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에 마련된 연결용 철근이 삽입되는 체결 홈을 포함하는 이동 슬리브;를 포함하며,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의 연결용 철근의 규격에 따라 상기 고정 슬리브에 대한 상기 이동 슬리브의 결합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용 슬리브 리브 조인트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이때, 상기 이동 슬리브의 체결 홈의 내면에는 암나사가 형성되며,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의 연결용 철근에는 수나사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슬리브는 양단이 개방된 중공으로 형성되며, 상기 중공의 내면에는 암나사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 슬리브의 일단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고정 리브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슬리브의 일단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고정 리브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 개의 슬리브 리브 조인트를 포함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슬리브 리브 조인트 설치용 구멍이 형성된 몰드의 하판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몰드의 하판의 슬리브 리브 조인트 설치용 구멍에 슬리브 리브 조인트의 일단을 맞추고, 상기 몰드 하판의 반대면에서 슬리브 리브 조인트 고정구를 체결하는 단계; 상기 슬리브 리브 조인트의 타단에 철근을 고정하는 단계; 상기 몰드의 하판에 측판을 조립하여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용 몰드를 완성하는 단계; 상기 몰드의 내부 공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 상기 콘크리트의 양생이 완료되면, 상기 몰드의 하판에서 상기 슬리브 리브 조인트 고정구를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슬리브 리브 조인트의 내면에는 암나사가 형성되며, 상기 슬리브 리브 조인트 고정구의 외주면에는 상기 암나사에 대응하는 수나사가 형성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슬리브 리브 조인트는, 양단이 개방된 중공으로 형성되며, 상기 중공의 내면에 암나사가 형성된 고정 슬리브; 및 상기 고정 슬리브에 나사 체결되는 것으로서, 외면에 형성된 상기 고정 슬리브의 암나사에 체결되는 수나사와 일단에 형성되며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에 마련된 연결용 철근이 삽입되는 체결 홈을 포함하는 이동 슬리브;를 포함하며,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의 연결용 철근의 규격에 따라 상기 고정 슬리브에 대한 상기 이동 슬리브의 결합 길이를 조절하여 상기 몰드의 하판에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리브 리브 조인트 고정구는, 상기 슬리브 리브 조인트의 일단에 나사 체결되는 나사부; 상기 나사부에서 연장되며, 6각형 머리가 형성된 머리부; 및 상기 나사부와 머리부 사이에 마련된 날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을 설치할 장소의 바닥을 정지하는 단계; 접합면에 복수 개의 연결용 철근이 돌출된 메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를 상기 바닥에 설치하는 단계; 상기 복수 개의 연결용 철근에 대응하는 복수 개의 슬리브 리브 조인트가 매설된 연결용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의 복수 개의 슬리브 리브 조인트를 상기 메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에서 돌출된 상기 복수 개의 연결용 철근에 삽입하여 상기 메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와 연결용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를 조립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 개의 슬리브 리브 조인트에 모르타르를 충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은 분절형 암거, 분절형 U형 수로, 분절형 L 형 옹벽, 역T형 옹벽, 부벽식 옹벽, 분절형 터널, 분절형 고상홈, 분절형 방음벽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은, 분절형 암거를 설치할 장소의 바닥을 정지하는 단계; 상기 바닥에 좌측 L 타입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좌측 L 타입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상기 바닥에 우측 L 타입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좌측 및 우측 L 타입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사이의 공간을 콘크리트로 채우는 단계; 상기 좌측 및 우측 L 타입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의 상측에 상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를 위치시켜, 상기 상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에 매설된 복수 개의 슬리브 리브 조인트에 상기 좌측 및 우측 L 타입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에서 돌출된 연결용 철근을 삽입하는 단계; 상기 복수 개의 슬리브 리브 조인트에 모르타르를 충진하는 단계; 및 상기 상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와 좌측 및 우측 L 타입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사이의 접합면을 정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분절형 암거를 설치하는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슬리브 리브 조인트에 의하면,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의 연결용 철근이 삽입되는 슬리브 리브 조인트와 연결용 철근 사이에 간격이 종래 기술에 의한 커플러보다 크기 때문에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을 연결하는 것이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용 슬리브 리브 조인트에 의하면, 여러 규격의 연결용 철근을 사용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를 한 가지 규격의 슬리브 리브 조인트로 제조할 수 있으므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의 연결용 철근의 규격에 따라 여러 규격의 슬리브 리브 조인트를 준비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의 제조 원가를 낮출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슬리브 리브 조인트를 사용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제조시에 슬리브 리브 조인트가 몰드의 하판에 단단하게 고정되므로 슬리브 리브 조인트의 위치가 변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 기술 보다 슬리브 리브 조인트의 위치 정도가 좋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용 슬리브 리브 조인트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슬리브 리브 조인트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슬리브 리브 조인트에 의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의 결합 관계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
도 4는 도 3의 슬리브 리브 조인트의 높이를 조절한 상태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슬리브 리브 조인트에 의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의 결합 관계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슬리브 리브 조인트를 구비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을 제작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슬리브 리브 조인트를 구비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의 제작에 사용하는 슬리브 리브 조인트 고정구의 일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슬리브 리브 조인트를 구비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을 제작하는데 사용할 수 있는 다른 형태의 슬리브 리브 조인트에 의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의 결합을 나타낸 부분 단면도;
도 9(a) 내지 도 9(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슬리브 리브 조인트를 구비한 분절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암거의 시공방법을 나타낸 사시도;
도 10(a) 내지 도 10(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슬리브 리브 조인트를 구비한 분절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U형 수로의 시공방법을 나타낸 사시도;
도 11(a) 및 도 1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슬리브 리브 조인트를 구비한 분절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옹벽의 시공방법을 나타낸 사시도;
도 12(a) 및 도 1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슬리브 리브 조인트를 구비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초벽체를 사용한 방음벽 시공방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용 슬리브 리브 조인트, 이를 구비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의 제조방법, 및 이를 구비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방법의 실시 예들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과 다르게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다만, 이하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 및 구체적인 도시를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제 축척대로 도시된 것이 아니라 일부 구성요소의 치수가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용 슬리브 리브 조인트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슬리브 리브 조인트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슬리브 리브 조인트에 의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의 결합 관계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슬리브 리브 조인트(1)는 2개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100,200)를 결합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서, 고정 슬리브(10)와 이동 슬리브(20)를 포함한다. 또한, 이러한 슬리브 리브 조인트는 스프라이스 슬리브(splice sleeve)라고 칭할 수도 있다.
고정 슬리브(10)는 양단이 개방된 중공(11)을 포함하도록 형성되며, 내주면에 암나사(12)가 형성된다. 고정 슬리브(10)의 외형은 원통 형상, 사각기둥 형상, 타원 기둥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고정 슬리브(10)의 내부에 형성되는 중공(11)은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중공(11)의 내주면에 암나사(12)가 형성되어 있다. 고정 슬리브(10)의 중공(11)의 내경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200)의 연결용 철근(210)의 외경보다 크므로 2개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100,200)의 조립 작업이 용이하다. 또한, 고정 슬리브(10)에 삽입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200)의 연결용 철근(210)은 가공하지 않은 상태로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모르타르(30)를 고정 슬리브(10)의 내부의 중공(11)에 충전하였을 때, 모르타르(30)와 연결용 철근(210)의 결합을 강화하기 위해 연결용 철근(210)에 나사부(211)를 형상할 수 있다. 연결용 철근(210)에는 나사부(211) 이외에도 모르타르(30)와의 결합력을 높이기 위해 다양한 형상의 돌기부를 마련할 수 있다.
고정 슬리브(10)의 일단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고정 리브(13)가 형성된다. 고정 리브(13)는 고정 슬리브(10)의 일단 부근의 외주면에 일정 간격으로 돌출된 복수 개의 돌기(13a)로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고정 슬리브(10)의 일단에 고정 리브(13)를 형성하면, 고정 슬리브(10)와 고정 슬리브(10)가 매설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100)와의 결합력이 강화되므로 고정 슬리브(10)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100)에서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고정 슬리브(10)의 측면에는 모르타르(30) 충전을 위한 2개의 관(18,19)이 마련된다. 한 개의 관(18)은 모르타르 충전용이고, 다른 한 개는 모르타르 배출용 관(19)이다. 모르타르 배출용 관(19)은 고정 리브(13)에 가깝게 고정 슬리브(10)의 측면에 형성한다. 모르타르 충전용 관(18)은 이동 슬리브(20)가 삽입되는 고정 슬리브(10)의 단부에 가깝게 형성한다. 이때, 이동 슬리브(20)를 고정 슬리브(10)에 삽입하였을 때, 이동 슬리브(20)에 의해 모르타르 충전용 관(18)의 배출단이 막히지 않도록 충전용 관(18)을 형성한다. 또한, 충전용 관(18)은 도 3과 같이 고정 슬리브(10)의 몸체에 대해 하향 경사지게 형성하고, 배출용 관(19)은 고정 슬리브(10)의 몸체에 대해 수직하게 형성할 수 있다. 충전용 관(18)을 고정 슬리브(10)의 몸체에 대해 하향 경사지게 형성하면, 고정 슬리브(10)의 내부 공간에 모르타르를 충전하는 것이 용이하다. 충전용 관(18)과 배출용 관(19)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슬리브(10)와 한 개의 몸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고정 슬리브(10)를 주물로 형성할 때, 충전용 관(18)과 배출용 관(19)이 고정 슬리브(10)와 한 개의 주물로 형성하는 것이다. 다른 실시예로서는 충전용 관(18)과 배출용 관(19)은 고정 슬리브(10)와 별개의 부재로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고정 슬리브(10)에는 충전용 관(18)과 배출용 관(19)이 결합되는 충전용 구멍과 배출용 구멍을 형성하고, 고정 슬리브(10)와 별개로 충전용 관(18)과 배출용 관(19)을 별개로 형성하는 것이다. 이때, 충전용 관(18)과 배출용 관(19)은 금속 또는 플라스틱 재료로 만들 수 있다. 그 후, 고정 슬리브(10)의 충전용 구멍과 배출용 구멍에 별개로 형성된 충전용 관(18)과 배출용 관(19)을 결합하여 고정 슬리브(10)를 완성하는 것이다. 이때, 충전용 관(18) 및 배출용 관(19)과 충전용 구멍 및 배출용 구멍의 결합은 나사 체결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이동 슬리브(20)는 고정 슬리브(10)의 중공(11)에 삽입되는 것으로서, 외면에는 수나사(23)가 형성되어 있다. 이동 슬리브(20)의 외면에 형성된 수나사(23)는 상기 고정 슬리브(10)의 내면에 형성된 암나사(12)와 체결될 수 있다. 이동 슬리브(20)의 일단에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100)에 마련된 연결용 철근(110)이 삽입되는 체결 홈(21)이 마련된다. 이동 슬리브(20)의 체결 홈(21)의 내면에는 암나사(22)가 형성되어 있고, 프리캐스트 콘크리트(100)의 연결용 철근(110)에는 이 암나사(22)에 결합되는 수나사(111)가 마련될 수 있다. 체결 홈(21)의 일단은 막혀 있어서 연결용 철근(110)이 이동 슬리브(20)의 외부로 돌출되지 않는다.
또한, 이동 슬리브(20)의 일단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고정 리브(24)가 형성된다. 고정 리브(24)는 이동 슬리브(20)의 일단 부근의 외주면에 일정 간격으로 돌출된 복수 개의 돌기(24a)로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동 슬리브(20)에 고정 리브(24)를 형성하면, 이동 슬리브(20)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100)에서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동 슬리브(20)는 고정 슬리브(10)와 나사 체결되므로, 고정 슬리브(10)에 대한 이동 슬리브(20)의 결합 길이(L)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100)에 사용된 연결용 철근(110)의 규격에 따라 고정 슬리브(10) 내부의 공간(11)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즉, 고정 슬리브(10)에 대한 이동 슬리브(20)의 결합 길이(L)를 조절하면, 고정 슬리브(10) 내부의 공간(11)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고정 슬리브(10)에 대해 이동 슬리브(20)를 상승시키면, 결합 길이(L)가 줄어드므로 슬리브(10)의 내부 공간(11)의 크기가 증가하고, 이동 슬리브(20)를 하강시키면, 결합 길이(L)가 늘어나므로 고정 슬리브(10)의 내부 공간(11)의 크기가 작아진다. 도 3은 이동 슬리브(20)가 상승하여 결합 길이(L)가 줄어든 상태를 나타내며, 도 4는 이동 슬리브(20)가 완전히 하강하여 결합 길이(L)가 늘어난 상태를 나타낸다. 따라서, 이동 슬리브(20)를 상승시키면, 이동 슬리브(20)가 하강된 상태보다 큰 규격의 연결용 철근(110)을 사용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100)에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동 슬리브(20)가 고정 슬리브(10)에 대해 완전히 하강하였을 경우에, 규격이 D16인 연결용 철근(110)에 사용 가능하였다면, 이동 슬리브(20)를 상승시키면, D19, D25 등과 같이 D16 철근보다 큰 지름의 규격을 갖는 철근을 사용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의 제작에 사용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슬리브 리브 조인트(1')에 의해 2개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100,200)를 결합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슬리브 리브 조인트(1')는 이동 슬리브(20')만 상술한 실시예에 의한 슬리브 리브 조인트(1)의 이동 슬리브(20)와 상이하다. 즉, 본 실시예에 의한 슬리브 리브 조인트(1')의 이동 슬리브(2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슬리브 리브 조인트(1)의 이동 슬리브(20)와 달리 양단이 개방된 중공(21')을 갖는다. 이동 슬리브(20')의 중공(21')의 내면에는 암나사(22)가 형성된다. 따라서, 이동 슬리브(20')를 프리캐스트 콘크리트(100)의 연결용 철근(110)에 대해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도, 이동 슬리브(20')를 고정 슬리브(10)에 대해 상하로 승강시키면, 이동 슬리브(20')와 고정 슬리브(10)의 결합 길이(L)가 변화하므로 고정 슬리브(10)의 내부 공간(11)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고정 슬리브(10)의 내부 공간(11)을 조절하는 방법은 상술한 실시에에 의한 슬리브 리브 조인트(1)의 설명과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슬리브 리브 조인트(1)를 사용하여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300)을 제작하는 방법에 대해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슬리브 리브 조인트(1)를 사용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300)은 분절형 암거(box), 분절형 U형 수로, 분절형 옹벽, 분절형 방음벽 등을 포함한다. 따라서, 이하에서 기술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300)의 제조방법은 상술한 다양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에 적용 가능하다. 또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300)의 제조 방법 중 나머지 부분의 제조방법은 종래의 제조방법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부분만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슬리브 리브 조인트를 구비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을 제작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단면도이다.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300)을 만들기 위해,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제작용 몰드의 하판(410)을 준비한다. 이때, 몰드의 하판(410)에는 복수 개의 슬리브 리브 조인트(1)를 설치하기 위한 복수 개의 조립 구멍(411)이 형성되어 있다. 각각의 조립 구멍(411)은 별도의 부재로 형성하여 하판(410)에 부착할 수 있다. 즉, 조립 구멍(411)을 고정 브라켓(420)에 형성하고, 고정 브라켓(420)을 몰드의 하판(410)에 부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조립 구멍(411)을 정밀하게 가공할 수 있으므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300) 제작시 슬리브 리브 조인트(1)의 설치 정도를 높일 수 있다.
이어서, 상기 몰드의 하판(410)의 슬리브 리브 조인트 설치용 조립 구멍(411)에 슬리브 리브 조인트(1)의 고정 슬리브(10)의 일단을 맞추어 고정 슬리브(10)를 세운다. 이때, 고정 리브(13)가 형성된 고정 슬리브(10)의 단부가 몰드 하판(410)에 접촉하도록 한다. 그 후, 상기 고정 슬리브(10)가 설치된 몰드 하판(410)의 상면과 반대면인 하면에서 슬리브 리브 조인트 고정구(430)를 슬리브 리브 조인트(1)의 고정 슬리브(10)의 일단에 체결한다.
슬리브 리브 조인트 고정구(430)의 일 예가 도 7에 도시되어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슬리브 리브 조인트 고정구(430)는 일단에는 고정 슬리브(10)의 내면에 형성된 암나사(12)에 대응하는 수나사가 형성된 나사부(431)가 마련되며, 타단에는 고정구(430)를 돌릴 수 있도록 6각형 머리가 형성된 머리부(432)가 나사부(431)에서 연장되어 있다. 또한, 나사부(431)와 머리부(432)의 중간에는 슬리브 리브 조인트 고정구(430)의 삽입을 제한하는 날개(433)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작업자가 슬리브 리브 조인트 고정구(430)의 나사부(431)를 몰드 하판(410)의 조립 구멍(411)을 통해 슬리브 리브 조인트(1)의 고정 슬리브(10)에 체결할 수 있다. 작업자는 슬리브 리브 조인트 고정구(430)의 육각형 머리(432)를 돌려, 슬리브 리브 조인트 고정구(430)가 더 이상 이동하지 않을 때까지 완전히 체결한다. 그러면, 고정 슬리브(10)가 몰드 하판(410)에 완전히 고정된 상태가 된다.
이어서, 작업자는 이동 슬리브(20)의 체결 홈(21)에 연결용 철근(310)을 결합한다. 그 후, 이동 슬리브(20)를 몰드의 하판(410)에 고정된 고정 슬리브(10)의 타단에 체결한다. 이때, 사용되는 연결용 철근(310)의 규격에 따라 이동 슬리브(20)와 고정 슬리브(10) 사이의 결합 길이(L)를 조절한다. 예를 들어, 직경이 큰 연결용 철근(310)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이동 슬리브(20)와 고정 슬리브(10) 사이의 결합 길이(L)를 작게 하여 고정 슬리브(10)의 내부 공간(11)을 크게 하고, 직경이 작은 연결용 철근(310)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이동 슬리브(20)와 고정 슬리브(10) 사이의 결합 길이(L)를 크게 하여 고정 슬리브(10)의 내부 공간(11)을 작게 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이동 슬리브(20)에 연결용 철근(310)을 고정한 상태로 이동 슬리브(20)를 고정 슬리브(10)에 체결하는 순서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일 예일 뿐이며 체결 순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이동 슬리브(20)를 먼저 고정 슬리브(10)에 체결하고, 그 후에 연결용 철근(310)을 이동 슬리브(20)의 체결 홈(21)에 체결할 수도 있다.
또는, 고정 슬리브(10)와 이동 슬리브(20)를 모두 연결용 철근(310)에 체결한 후, 연결용 철근(310)이 결합된 슬리브 리브 조인트(1)를 몰드의 하판(410)에 고정할 수도 있다. 즉, 도 7과 같은 슬리브 리브 조인트 고정구(430)를 사용하여 슬리브 리브 조인트(1)를 몰드 하판(410)에 고정할 수 있는 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300)의 형상에 따라 다양한 순서로 슬리브 리브 조인트(1)를 몰드 하판(410)에 결합할 수 있다.
프리캐스트 콘크리트(300)를 제조하는데 필요한 개수의 슬리브 리브 조인트(1)를 몰드 하판(410)에 모두 고정한다.
그 후, 상기 몰드의 하판(410)에 측판(미도시)을 조립하여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용 몰드를 완성한다.
이어서, 작업자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용 몰드의 내부 공간에 콘크리트를 타설한다. 이때, 슬리브 리브 조인트(1)의 상단은 연결용 철근(310)에 나사 결합되어 있고, 슬리브 리브 조인트(1)의 하단은 슬리브 리브 조인트 고정구(430)에 의해 몰드 하판(410)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 슬리브 리브 조인트(1)의 위치가 틀어지는 문제는 발생하지 않는다.
콘크리트의 양생이 완료되면, 작업자는 상기 몰드의 하판(410)에서 슬리브 리브 조인트 고정구(430)를 분리한다. 이 경우에는, 슬리브 리브 조인트 고정구(430)의 6각형 머리(432)를 스패너를 사용하여 반대 방향으로 돌리면, 슬리브 리브 조인트 고정구(430)를 쉽게 분리할 수 있다.
이어서, 몰드의 측판을 제거하면, 작업자는 슬리브 리브 조인트(1)를 구비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300)를 몰드에서 쉽게 분리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연결용 철근(310)이 결합되는 슬리브 리브 조인트(1)의 내부 공간(11)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고정 슬리브(10)와 상기 고정 슬리브(10)에 대해 이동 가능한 이동 슬리브(20)를 포함하는 슬리브 리브 조인트(1)를 사용하여 프리캐스트 콘크리트(300)를 제조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슬리브 리브 조인트(1)의 길이를 조절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고정 길이를 갖는 슬리브 리브 조인트를 사용하여 프리캐스트 콘크리트(300)를 제작할 수 있다. 길이를 조절할 수 없는 슬리브 리브 조인트(50)를 사용하여 제작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의 결합 구조의 일 예가 도 8에 도시되어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슬리브 리브 조인트(50)는 상단에 연결용 철근(310)이 결합되는 암나사부(51)를 포함하며, 하단에는 상술한 슬리브 리브 조인트 고정구(430)가 체결되는 암나사부(53)가 마련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한 슬리브 리브 조인트(50)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300)를 제작하는 경우에, 상단은 연결용 철근(310)에 의해 고정되고, 하단은 슬리브 리브 조인트 고정구(430)에 의해 몰드 하판(410)에 단단하게 결합되므로, 콘크리트 타설 중에 슬리브 리브 조인트(50)의 위치가 틀어지는 경우는 발생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슬리브 리브 조인트를 구비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작된 분절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공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분절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을 설치할 장소의 바닥을 정지한다. 본 시공방법이 적용될 수 있는 분절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은, 예를 들면, 분절형 암거, 분절형 U형 수로, 분절형 L 형 옹벽, 역T형 옹벽, 부벽식 옹벽, 분절형 터널,분절형 고상홈, 분절형 방음벽을 포함할 수 있다.
이어서, 접합면에 복수 개의 연결용 철근이 돌출된 메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를 상기 바닥에 설치한다.
그 후, 복수 개의 연결용 철근에 대응하는 복수 개의 슬리브 리브 조인트가 매설된 연결용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를 메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에 조립한다. 이때, 메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에서 돌출된 상기 복수 개의 연결용 철근의 각각이 상기 연결용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에 매설된 복수 개의 슬리브 리브 조인트의 각각에 삽입되도록 연결용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를 상기 메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에 결합한다.
그 후, 연결용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에 매설된 복수 개의 슬리브 리브 조인트의 각각에 모르타르를 충진한다. 이때, 연결용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의 외부로 노출된 슬리브 리브 조인트의 충전용 관을 통해 모르타르를 충전한다.
이하, 분절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의 일 예로서, 분절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암거를 설치하는 시공방법에 대해 첨부된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작업자는 분절형 암거(500)를 설치할 장소의 바닥면을 조성한다.
그 후,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 및 우측 L 타입 프리캐스트 콘크리트(510,520)를 설치한다. 이때, 좌측 및 우측 L 타입 프리캐스트 콘크리트(510,520)의 상단에는 복수 개의 연결용 철근(511,521)이 돌출되어 있다. 또한, 좌측 및 우측 L 타입 프리캐스트 콘크리트(510,520)의 바닥부(512,522)의 측면에도 복수 개의 연결용 철근(513,523)이 돌출되어 있다. 작업자는 좌측 L 타입 프리캐스트 콘크리트(510)와 우측 L 타입 프리캐스트 콘크리트(52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이어서,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는 좌측 L 타입 프리캐스트 콘크리트(510)와 우측 L 타입 프리캐스트 콘크리트(520) 사이의 공간에 콘크리트(530)를 현장에서 타설한다. 이때, 좌측 L 타입 프리캐스트 콘크리트(510)와 우측 L 타입 프리캐스트 콘크리트(520)이 복수 개의 연결용 철근이 돌출된 메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에 해당한다.
그 후,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는 분절형 암거(500)의 상부에 해당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550)를 바닥에 설치된 좌측 및 우측 L 타입 프리캐스트 콘크리트(510,520) 위에 결합한다. 이때, 상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550)에는 복수 개의 슬리브 리브 조인트(1)가 미리 설치되어 있으므로, 작업자는 슬리브 리브 조인트(1)의 하단이 좌측 및 우측 L 타입 프리캐스트 콘크리트(510,520)에서 돌출된 연결용 철근(511,521)에 삽입되도록 한다. 이때, 슬리브 리브 조인트(1)의 내경과 연결용 철근(511,521) 외경의 크기는 차이가 있으므로, 슬리브 리브 조인트(1)를 연결용 철근(511,521)에 삽입하는 것이 용이하다. 또한, 상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550)를 제조할 때, 복수 개의 슬리브 리브 조인트(1)의 틀어짐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슬리브 리브 조인트(1)의 위치 정도가 높다. 따라서, 상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550)를 좌측 및 우측 L 타입 프리캐스트 콘크리트(510,520)에 결합하는 것이 용이하다. 이때, 상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550)는 메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에 조립되는 연결용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에 해당한다.
그 후, 작업자는 상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550)의 내부에 있는 슬리브 리브 조인트(1)에 모르타르를 충전한다. 이때, 상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550)에 슬리브 리브 조인트(1)의 모르타르 충전용 구멍에 연결되도록 형성된 충전 구멍을 이용하여 모르타르를 슬리브 리브 조인트(1)의 내부에 충전한다.
이와 같이 슬리브 리브 조인트(1)에 모르타르 충전이 완료되고, 상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550)와 좌측 및 우측 L 타입 프리캐스트 콘크리트(510,520) 사이의 접합면을 정리하면, 도 9(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절형 암거(500)의 조립 및 설치가 완료된다.
이하, 분절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의 다른 일 예로서, 분절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U형 수로를 설치하는 시공방법에 대해 첨부된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작업자는 분절형 U형 수로(600)를 설치할 장소의 바닥면을 조성한다.
그 후,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 및 우측 L 타입 프리캐스트 콘크리트(610,620)를 설치한다. 이때, 좌측 및 우측 L 타입 프리캐스트 콘크리트(610,620)의 상단에는 복수 개의 연결용 철근(611,621)이 돌출되어 있다. 또한, 좌측 및 우측 L 타입 프리캐스트 콘크리트(610,620)의 바닥부(612,622)의 측면에도 복수 개의 연결용 철근(613,623)이 돌출되어 있다. 작업자는 좌측 L 타입 프리캐스트 콘크리트(610)와 우측 L 타입 프리캐스트 콘크리트(62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이어서, 작업자는,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 L 타입 프리캐스트 콘크리트(610)와 우측 L 타입 프리캐스트 콘크리트(620) 사이의 공간에 콘크리트(630)를 현장에서 타설한다. 이때, 좌측 L 타입 프리캐스트 콘크리트(610)와 우측 L 타입 프리캐스트 콘크리트(620)이 접합면에 복수 개의 연결용 철근이 돌출된 메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에 해당한다.
그 후, 작업자는, 도 1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절형 U형 수로(600)의 상부에 해당하는 연장 프리캐스트 콘크리트(650)를 바닥에 설치된 좌측 및 우측 L 타입 프리캐스트 콘크리트(610,620) 위에 결합한다. 이때, 연장 프리캐스트 콘크리트(650)에는 복수 개의 슬리브 리브 조인트(1)가 미리 설치되어 있으므로, 작업자는 슬리브 리브 조인트(1)의 하단이 좌측 및 우측 L 타입 프리캐스트 콘크리트(610,620)에서 돌출된 연결용 철근(611,621)에 삽입되도록 한다. 이때, 슬리브 리브 조인트(1)의 내경과 연결용 철근(611,621) 외경의 크기는 차이가 있으므로, 슬리브 리브 조인트(1)를 연결용 철근(611,621)에 삽입하는 것이 용이하다. 또한, 연장 프리캐스트 콘크리트(650)를 제조할 때, 복수 개의 슬리브 리브 조인트(1)의 틀어짐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슬리브 리브 조인트(1)의 위치 정도가 높다. 따라서, 연장 프리캐스트 콘크리트(650)를 좌측 및 우측 L 타입 프리캐스트 콘크리트(610,620)에 결합하는 것이 용이하다. 이때, 연장 프리캐스트 콘크리트(650)는 메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에 조립되는 연결용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에 해당한다.
그 후, 작업자는 상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650)의 내부에 있는 슬리브 리브 조인트(1)에 모르타르를 충전한다. 이때, 연장 프리캐스트 콘크리트(650)의 표면으로 노출된 슬리브 리브 조인트(1)의 모르타르 충전용 관을 이용하여 모르타르를 슬리브 리브 조인트(1)의 내부에 충전한다.
이와 같이 슬리브 리브 조인트(1)에 모르타르 충전이 완료되고, 연장 프리캐스트 콘크리트(650)와 좌측 및 우측 L 타입 프리캐스트 콘크리트(610,620) 사이의 접합면을 정리하면, 도 10(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절형 암거(600)의 설치가 완료된다.
이하, 분절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의 또 다른 일 예로서, 분절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L형 옹벽을 설치하는 시공방법에 대해 첨부된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작업자는 분절형 L형 옹벽(700)를 설치할 장소의 바닥면을 조성한다.
그 후,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L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옹벽(710)을 바닥면에 설치한다. 이때, L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옹벽(710)의 하부 일측, 즉 접합면(713)에는 복수 개의 연결용 철근(711)이 돌출되어 있다.
이어서, 작업자는 L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옹벽(710)을 지지하는 지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720)를 L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옹벽(711)의 접합면(713)에 결합한다. 이때, 지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720)에는 복수 개의 슬리브 리브 조인트(1)가 매설되어 있으므로, L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옹벽(710)의 돌출된 연결용 철근(711)이 지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720)의 슬리브 리브 조인트(1)에 삽입되도록 한다. 여기서, L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옹벽(710)은 메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에 대응하고, 지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720)는 연결용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에 해당한다.
그 후, 작업자는 지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720)의 내부에 있는 슬리브 리브 조인트(1)에 모르타르를 충전한다. 이때, 지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720)의 표면으로 노출된 슬리브 리브 조인트(1)의 모르타르 충전용 관을 이용하여 모르타르를 슬리브 리브 조인트(1)의 내부에 충전한다.
이와 같이 슬리브 리브 조인트(1)에 모르타르 충전이 완료되고, 지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720)와 L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옹벽(710) 사이의 접합면(713)을 정리하면,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절형 L형 옹벽(700)의 설치가 완료된다.
이하, 분절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의 다른 일 예로서, 분절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방음벽을 설치하는 시공방법에 대해 첨부된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작업자는 분절형 방음벽(800)를 설치할 장소의 바닥면을 조성한다.
그 후,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절형 방음벽(800)을 설치할 장소의 바닥면에 기초 프리캐스트 콘크리트(820)를 설치한다. 이때, 기초 프리캐스트 콘크리트(820)의 상면, 즉 접합면(823)에는 매설된 복수 개의 슬리브 리브 조인트(1)의 개구가 노출되어 있다.
이어서, 작업자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방음벽(810)을 기초 프리캐스트 콘크리트(820)의 접합면(823)에 결합한다. 이때, 기초 프리캐스트 콘크리트(820)에는 복수 개의 슬리브 리브 조인트(1)가 매설되어 있으므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방음벽(810)의 돌출된 연결용 철근(811)이 기초 프리캐스트 콘크리트(820)의 접합면(823)에 노출된 슬리브 리브 조인트(1)의 개구에 삽입되도록 한다. 여기서, 기초 프리캐스트 콘크리트(820)은 메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에 대응하고, 프리캐스트 방음벽(810)은 연결용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에 해당할 수 있다.
그 후, 작업자는 기초 프리캐스트 콘크리트(820)의 내부에 있는 슬리브 리브 조인트(1)에 모르타르를 충전한다. 이때, 기초 프리캐스트 콘크리트(820)의 표면으로 노출된 슬리브 리브 조인트(1)의 모르타르 충전용 관을 이용하여 모르타르를 슬리브 리브 조인트(1)의 내부에 충전한다.
이와 같이 슬리브 리브 조인트(1)에 모르타르 충전이 완료되고, 기초 프리캐스트 콘크리트(820)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방음벽(810) 사이의 접합면(813,823)을 정리하면,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절형 방음벽(800)의 설치가 완료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작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의 일 예로 분절형 암거(500), 분절형 U형 수로(600), 분절형 L형 옹벽(700), 분절형 방음벽(800)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이외에도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슬리브 리브 조인트를 사용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로 제작한 어떠한 구조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에도 적용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상기에서 본 발명은 예시적인 방법으로 설명되었다. 여기서 사용된 용어들은 설명을 위한 것이며, 한정의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상기 내용에 따라 본 발명의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따로 부가 언급하지 않는 한 본 발명은 청구범위의 범주 내에서 자유로이 실시될 수 있을 것이다.
1; 슬리브 리브 조인트 10; 고정 슬리브
11; 중공 12; 암나사
13; 고정 리브 18,19; 모르타르용 구멍
20; 이동 슬리브 21; 체결 홈
22; 암나사 23; 수나사
24; 고정 리브 30; 모르타르
100,200,300;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110,210,310; 연결용 철근
410; 몰드 하판 411; 조립 구멍
420; 고정 브라켓 430; 슬리브 리브 조인트 고정구
500; 분절형 암거 510,520; L타입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530,630; 콘크리트 550; 상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600; U형 수로 650; 연장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700; L형 옹벽 800; 방음벽

Claims (11)

  1. 2개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를 결합하기 위해 사용하는 슬리브 리브 조인트에 있어서,
    양단이 개방된 중공으로 형성되며, 상기 중공의 내면에 암나사가 형성된 고정 슬리브;
    상기 고정 슬리브에 나사 체결되는 것으로서, 외면에 형성된 상기 고정 슬리브의 암나사에 체결되는 수나사와 일단에 형성되며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에 마련된 연결용 철근이 삽입되는 체결 홈을 포함하는 이동 슬리브;를 포함하며,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의 연결용 철근의 규격에 따라 상기 고정 슬리브에 대한 상기 이동 슬리브의 결합 길이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용 슬리브 리브 조인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슬리브의 체결 홈의 내면에는 암나사가 형성되며,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의 연결용 철근에는 수나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용 슬리브 리브 조인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슬리브는 양단이 개방된 중공으로 형성되며, 상기 중공의 내면에는 암나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용 슬리브 리브 조인트.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슬리브의 일단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고정 리브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용 슬리브 리브 조인트.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슬리브의 일단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고정 리브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용 슬리브 리브 조인트.
  6. 복수 개의 슬리브 리브 조인트를 포함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슬리브 리브 조인트 설치용 구멍이 형성된 몰드의 하판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몰드의 하판의 슬리브 리브 조인트 설치용 구멍에 슬리브 리브 조인트의 일단을 맞추고, 상기 몰드 하판의 반대면에서 슬리브 리브 조인트 고정구를 체결하는 단계;
    상기 슬리브 리브 조인트의 타단에 철근을 고정하는 단계;
    상기 몰드의 하판에 측판을 조립하여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용 몰드를 완성하는 단계;
    상기 몰드의 내부 공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
    상기 콘크리트의 양생이 완료되면, 상기 몰드의 하판에서 상기 슬리브 리브 조인트 고정구를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슬리브 리브 조인트의 내면에는 암나사가 형성되며, 상기 슬리브 리브 조인트 고정구의 외주면에는 상기 암나사에 대응하는 수나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의 제조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 리브 조인트는,
    양단이 개방된 중공으로 형성되며, 상기 중공의 내면에 암나사가 형성된 고정 슬리브; 및
    상기 고정 슬리브에 나사 체결되는 것으로서, 외면에 형성된 상기 고정 슬리브의 암나사에 체결되는 수나사와 일단에 형성되며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에 마련된 연결용 철근이 삽입되는 체결 홈을 포함하는 이동 슬리브;를 포함하며,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의 연결용 철근의 규격에 따라 상기 고정 슬리브에 대한 상기 이동 슬리브의 결합 길이를 조절하여 상기 몰드의 하판에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의 제조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 리브 조인트 고정구는,
    상기 슬리브 리브 조인트의 일단에 나사 체결되는 나사부;
    상기 나사부에서 연장되며, 6각형 머리가 형성된 머리부; 및
    상기 나사부와 머리부 사이에 마련된 날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의 제조방법.
  9.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을 설치할 장소의 바닥을 정지하는 단계;
    접합면에 복수 개의 연결용 철근이 돌출된 메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를 상기 바닥에 설치하는 단계;
    상기 복수 개의 연결용 철근에 대응하는 복수 개의 슬리브 리브 조인트가 매설된 연결용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의 복수 개의 슬리브 리브 조인트를 상기 메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에서 돌출된 상기 복수 개의 연결용 철근에 삽입하여 상기 메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와 연결용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를 조립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 개의 슬리브 리브 조인트에 모르타르를 충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은 분절형 암거, 분절형 U형 수로, 분절형 L 형 옹벽, 역T형 옹벽, 부벽식 옹벽, 분절형 터널, 분절형 고상홈, 분절형 방음벽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방법.
  11. 분절형 암거를 설치할 장소의 바닥을 정지하는 단계;
    상기 바닥에 좌측 L 타입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좌측 L 타입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상기 바닥에 우측 L 타입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좌측 및 우측 L 타입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사이의 공간을 콘크리트로 채우는 단계;
    상기 좌측 및 우측 L 타입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의 상측에 상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를 위치시켜, 상기 상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에 매설된 복수 개의 슬리브 리브 조인트에 상기 좌측 및 우측 L 타입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에서 돌출된 연결용 철근을 삽입하는 단계;
    상기 복수 개의 슬리브 리브 조인트에 모르타르를 충진하는 단계; 및
    상기 상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와 좌측 및 우측 L 타입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사이의 접합면을 정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절형 암거의 시공방법.
KR1020120087482A 2012-08-09 2012-08-09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용 슬리브 리브 조인트, 이를 구비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제조방법 및 이를 구비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공방법 KR1014336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7482A KR101433654B1 (ko) 2012-08-09 2012-08-09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용 슬리브 리브 조인트, 이를 구비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제조방법 및 이를 구비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7482A KR101433654B1 (ko) 2012-08-09 2012-08-09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용 슬리브 리브 조인트, 이를 구비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제조방법 및 이를 구비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1288A true KR20140021288A (ko) 2014-02-20
KR101433654B1 KR101433654B1 (ko) 2014-08-26

Family

ID=502678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7482A KR101433654B1 (ko) 2012-08-09 2012-08-09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용 슬리브 리브 조인트, 이를 구비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제조방법 및 이를 구비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3654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23472A (zh) * 2016-07-29 2016-12-14 初明进 一种预制钢筋混凝土构件连接方法
KR20180120656A (ko) * 2014-02-24 2018-11-06 에스펙 가부시키가이샤 전지 시험 장치
CN110566230A (zh) * 2019-09-24 2019-12-13 中铁隆昌铁路器材有限公司 一种外挂槽道系统及其施工方法
CN110757646A (zh) * 2019-11-28 2020-02-07 华侨大学 一种rc预制混凝土柱钢筋套筒定位器
CN111119233A (zh) * 2019-12-14 2020-05-08 中冶天工集团有限公司 一种混凝土侧墙预埋铁件固定机构及其使用方法
CN112878507A (zh) * 2021-03-24 2021-06-01 济南一建集团绿色建筑产业有限公司 一种加强型全灌浆套筒及其铸造造型方法
CN112996966A (zh) * 2018-09-14 2021-06-18 Nxt建筑系统有限公司 用于连接预制墙板的连接件
KR102268698B1 (ko) * 2020-09-01 2021-06-23 송재혁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연결방법
KR102268697B1 (ko) * 2020-09-01 2021-06-23 송재혁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연결장치
CN113266628A (zh) * 2021-04-28 2021-08-17 济南得德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建筑墙体上的膨胀螺栓的安装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58779B (zh) * 2019-04-26 2021-05-25 同圆设计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咬合式预制构件连接装置及装配方法
KR102278625B1 (ko) * 2020-09-29 2021-07-16 동서 피, 씨, 씨 주식회사 Pc 부재의 철근 결합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5374B1 (ko) * 2002-06-27 2005-12-12 주식회사 대산시빌테크날러지 연결기 및 연결구조체
KR20080000824U (ko) * 2006-10-29 2008-05-06 김수곤 벽체 관통 관말 덮개 슬리브
KR100770006B1 (ko) 2006-12-13 2007-10-25 박정진 Pc기둥 수직연결철근의 보강구조
KR100903088B1 (ko) 2008-04-10 2009-06-15 (주)신창산업 피씨 암거 연결 시공방법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0656A (ko) * 2014-02-24 2018-11-06 에스펙 가부시키가이샤 전지 시험 장치
CN106223472A (zh) * 2016-07-29 2016-12-14 初明进 一种预制钢筋混凝土构件连接方法
CN112996966A (zh) * 2018-09-14 2021-06-18 Nxt建筑系统有限公司 用于连接预制墙板的连接件
CN110566230A (zh) * 2019-09-24 2019-12-13 中铁隆昌铁路器材有限公司 一种外挂槽道系统及其施工方法
CN110757646A (zh) * 2019-11-28 2020-02-07 华侨大学 一种rc预制混凝土柱钢筋套筒定位器
CN111119233A (zh) * 2019-12-14 2020-05-08 中冶天工集团有限公司 一种混凝土侧墙预埋铁件固定机构及其使用方法
CN111119233B (zh) * 2019-12-14 2022-02-11 中冶天工集团有限公司 一种混凝土侧墙预埋铁件固定机构及其使用方法
KR102268698B1 (ko) * 2020-09-01 2021-06-23 송재혁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연결방법
KR102268697B1 (ko) * 2020-09-01 2021-06-23 송재혁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연결장치
CN112878507A (zh) * 2021-03-24 2021-06-01 济南一建集团绿色建筑产业有限公司 一种加强型全灌浆套筒及其铸造造型方法
CN113266628A (zh) * 2021-04-28 2021-08-17 济南得德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建筑墙体上的膨胀螺栓的安装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33654B1 (ko) 2014-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3654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용 슬리브 리브 조인트, 이를 구비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제조방법 및 이를 구비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공방법
KR101946601B1 (ko) 부재 연결부를 개선한 더블 pc벽체 및 그 시공방법
AU2015278245B2 (en) Formwork
KR101674823B1 (ko) 충전형 앵커 소켓을 이용한 보 단면증설 방법
JP2010150915A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部材の連結固定構造
JP2007146641A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部材の接合部の構造並びに該接合部を有する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組立構造物及びその構造物の構築方法
KR101616867B1 (ko) 벽체 시공장치 및 시공방법
KR101990065B1 (ko) 강재 블럭을 이용한 pc 기둥 접합부
KR101309100B1 (ko) 세그먼트용 체결장치
KR101216126B1 (ko) 축방향 및 종방향 연결철근을 이용한 아치 구조물 시공방법
KR102114890B1 (ko) Pc 보-기둥 접합부
JPS61200271A (ja) コンクリート構造部材用接合および圧力分散要素
KR100875960B1 (ko) Pc계단의 시공방법
KR200472767Y1 (ko) 교체가 용이한 조립식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암거
JP2017057642A (ja) フーチング基礎構造
KR101778040B1 (ko) 충전 복합 조립부재를 이용한 건축물의 내진 보강공법
CN109610652B (zh) 一种梁柱节点结构及其安装方法
KR101789249B1 (ko) 방음벽 기초 구조물 접합구조
KR102159092B1 (ko) 원심 성형 중공 사각 pc 기둥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955352B1 (ko) 건축용 지지수단 고정을 위한 매립형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지지수단 설치방법
KR101685632B1 (ko) 강도와 연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전단 접합부
KR20160116274A (ko) 조립형강과 데크 플레이트를 활용한 일체화 구조를 갖는 수벽
KR101591224B1 (ko) 조립식 플레이트와 정착 채널을 구비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를 이용한 구조물의 복합화 시공방법
JP2013155572A (ja) 建物の基礎構造及び基礎の構築方法
KR20190004042A (ko) 중공강관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구조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