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9449B1 - 밸브유닛용 단열재 보호커버 - Google Patents

밸브유닛용 단열재 보호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9449B1
KR101599449B1 KR1020150018573A KR20150018573A KR101599449B1 KR 101599449 B1 KR101599449 B1 KR 101599449B1 KR 1020150018573 A KR1020150018573 A KR 1020150018573A KR 20150018573 A KR20150018573 A KR 20150018573A KR 101599449 B1 KR101599449 B1 KR 1015994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chassis
divided body
valve unit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85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국수
Original Assignee
(주)동인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동인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동인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500185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9449B1/ko
Priority to US15/546,045 priority patent/US9958106B2/en
Priority to JP2017540757A priority patent/JP6303075B1/ja
Priority to PCT/KR2016/000364 priority patent/WO2016126015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94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94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0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14Arrangements for the insulation of pipes or pipe systems
    • F16L59/16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local requirements at flanges, junctions, valves or the like
    • F16L59/161Housings for valves, tee piece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12Covers for hous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51/00Other details not peculiar to particular types of valves or cut-off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0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14Arrangements for the insulation of pipes or pipe systems
    • F16L59/147Arrangements for the insulation of pipes or pipe systems the insulation being located inwardly of the outer surface of the pi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16K31/60Hand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0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2Shape or form of insulating materials, with or without coverings integral with the insulating materials
    • F16L59/021Shape or form of insulating materials, with or without coverings integral with the insulating materials comprising a single piece or sleeve, e.g. split sleeve, two half sleeves
    • F16L59/025Shape or form of insulating materials, with or without coverings integral with the insulating materials comprising a single piece or sleeve, e.g. split sleeve, two half sleeves with more then two seg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6851With casing, support, protector or static constructional installations
    • Y10T137/7036Jacket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6851With casing, support, protector or static constructional installations
    • Y10T137/7043Guards and shields
    • Y10T137/7062Valve gu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Insulation (AREA)
  • Details Of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밸브유닛용 단열재 보호커버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밸브유닛용 단열재 보호커버는, 밸브유닛의 하부곡면에 대응되는 곡면을 가지며 상기 밸브유닛의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를 가지는 제1플레이트와, 상기 제1플레이트의 폭방향 양단부에 각각 결합되는 제1마감샤시와, 상기 제1플레이트 길이방향 양단부에 상기 제1플레이트와는 수직을 이루며 각각 결합되는 제2플레이트를 구비하는 제1분할체와; 상기 밸브유닛 또는 상기 밸브몸체의 상부 일측면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밸브유닛의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를 가지는 제3플레이트와, 상기 제3플레이트의 폭방향 양단부에 각각 결합되는 제2마감샤시와, 상기 제3플레이트의 길이방향 양단부에 상기 제3플레이트와 수직을 이루며 각각 결합되는 제4플레이트를 구비하는 제2분할체와; 상기 밸브유닛 또는 상기 밸브몸체의 상부 타측면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밸브유닛의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를 가지는 제5플레이트와, 상기 제5플레이트에서 상기 제1분할체와 접촉되는 폭방향 제1단부에 결합되는 제2마감샤시와, 상기 제5플레이트에서 상기 제2분할체와 접촉하는 폭방향 제2단부에 결합되는 제1마감샤시와, 상기 제5플레이트의 길이방향 양단부 각각에 상기 제5플레이트와 수직을 이루며 결합되는 제6플레이트를 구비하는 제3분할체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밸브유닛용 단열재 보호커버{A PROTECTION COVER FOR HEAT INSULATION MATERIAL OF VALVE UNIT}
본 발명은 밸브유닛용 단열재 보호커버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밸브유닛용 단열재 보호커버의 제조시 공정을 단순화하고 강성 및 조립정밀도를 높일 수 있는 밸브유닛용 단열재 보호커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오피스 빌딩, 산업용 건물 및 아파트 등의 건물에는 각종 배관 설비들이 설치되며, 이러한 배관 설비들은 보온 및 보냉 또는 부가적으로 배관설비의 수명연장 및 외관디자인을 위한 목적으로 보온 커버들이 설치되어 사용되며, 이러한 보온 커버는 주로 배관 설비에 있어 밸브, T형관, 엘보우, 직관 등에 사용된다.
특히, 발전소(원자력, 화력 등) 및 석유화학플랜트 등에는 보일러에서 생산된 고온 고압의 증기가 터빈에 회전력을 제공하여 최종적으로 전기적 에너지를 생산하는 것으로, 고온 고압의 증기와 온수는 배관을 통하여 각 계통별로 빠른 속도로 이송되고 있으며, 이송과정 중 배관 내부의 유체마찰 및 캐비테이션(Cavitation) 등에 의한 배관 두께가 얇아져 정상운전 중 계통의 안전사고를 유발시킬 수 있는 위험성이 잠재하고 있어 발전설비의 계획예방정비 중에 배관의 감육상태(부식 등의 원인으로 인해 배관의 벽이 얇아지는 상태) 점검으로 설비의 건전성을 확인하고 있다.
이러한 배관의 감육현상으로 인해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배관 측에 핀홀이 발생하여 큰 사고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배관에 대해 1년에 한번씩 계획예방정비를 통해 감육검사를 실시하고, 이를 기록 및 보고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감육검사를 실시할 때 기존의 단열재로 시공된 경우에는 배관의 외부에 마감된 금속재질의 보호커버(또는 마감커버) 및 단열재 등을 순차적으로 철거한 후에 감육검사를 실시한다. 이러한 감육검사를 실시한 후에 새로운 단열재를 부착하고, 보호커버로 마감하는 방식으로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감육검사 후의 단열재 시공방식은 매년 철거되는 단열재 및 보호커버의 폐기량으로 인해 자재의 막대한 낭비를 불러일으키고, 잘못 시공된 경우 단열틈새(thermal notch)의 발생으로 인해 열피로현상(thermal stress)이 증가하여 그 부분에 대한 감육현상이 현저하게 진행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전체 배관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방법으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84392호(2012.09.13.)가 제시된바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84392호(2012.09.13.)에는 배관용 단열장치로서, 엘보용 단열유닛, T-이음용 단열유닛, 직관용 단열유닛, 플랜지용 단열유닛을 구비하며, 각 단열유닛은 2이상의 분할체를 가지며, 각 분할체는 복수의 단열층으로 이루어지고, 금속재질의 마감커버(또는 보호커버)에 의해 감싸지는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개시된 단열재 보호커버는 단순히 플레이트를 곡면을 가지도록 하여 배관을 감싸도록 접촉시킨 후 클램프 등으로 조립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의 보호커버는 강성이 약하여 쉽게 구부러지고, 조립부위에 단열틈새가 발생될 가능성이 높고 조립부위로 수분 등의 침투가 용이하여 단열성능을 떨어뜨리고 부식 등이 손상이 많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조립정밀도가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는 밸브유닛용 단열재 보호커버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제조공정이 단순화되고 결합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밸브유닛용 단열재 보호커버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보호커버의 강성을 향상시키고 결합부분의 결합강도를 높일 수 있으며, 단열성능을 향상시키고 수분 침투 등에 의한 손상을 줄일 수 있는 밸브유닛용 단열재 보호커버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들의 일부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체화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적어도 두개의 배관들 사이에 연결되는 밸브몸체와, 상기 밸브몸체의 상부에서 돌출되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의 상단부에 결합되어 회전함에 의해 밸브를 개폐하는 휠을 구비하는 밸브유닛에서, 상기 밸브유닛의 단열을 위해 밸브유닛을 감싸는 형태로 구비되는 단열재의 보호를 위한 밸브유닛용 단열재 보호커버는, 상기 밸브유닛 또는 상기 밸브몸체의 하부곡면에 대응되는 곡면을 가지며 상기 밸브유닛의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를 가지는 제1플레이트와, 상기 제1플레이트의 폭방향 양단부에 각각 결합되는 제1마감샤시와, 상기 제1플레이트 길이방향 양단부에 상기 제1플레이트와는 수직을 이루며 각각 결합되는 제2플레이트를 구비하는 제1분할체와; 상기 밸브유닛 또는 상기 밸브몸체의 상부 일측면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밸브유닛의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를 가지는 제3플레이트와, 상기 제3플레이트의 폭방향 양단부에 각각 결합되는 제2마감샤시와, 상기 제3플레이트의 길이방향 양단부에 상기 제3플레이트와 수직을 이루며 각각 결합되는 제4플레이트를 구비하는 제2분할체와; 상기 밸브유닛 또는 상기 밸브몸체의 상부 타측면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밸브유닛의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를 가지는 제5플레이트와, 상기 제5플레이트에서 상기 제1분할체와 접촉되는 폭방향 제1단부에 결합되는 제2마감샤시와, 상기 제5플레이트에서 상기 제2분할체와 접촉하는 폭방향 제2단부에 결합되는 제1마감샤시와, 상기 제5플레이트의 길이방향 양단부 각각에 상기 제5플레이트와 수직을 이루며 결합되는 제6플레이트를 구비하는 제3분할체를 구비하여 상기 밸브유닛을 감싸는 형태로 분리가능하게 조립됨에 의해 상기 보호커버를 구성하되, 상기 제1마감샤시는, 상기 제1플레이트 또는 상기 제5플레이트의 단부가 삽입되어 압착 결합되기 위한 제1삽입홈을 가지는"ㄷ"자 단면형상의 제1결합부와, 상기 제1결합부의 단부에서 수직방향으로 꺾여 연장형성되는 제1지지부를 구비하여 전체적으로 "ㄱ"자형 단면형상을 가지고, 상기 제2마감샤시는, 상기 제3플레이트 또는 상기 제5플레이트의 단부가 삽입되어 압착 결합되기 위한 제2삽입홈을 가지는"ㄷ"자 단면형상의 제2결합부와, 상기 제2결합부의 단부에서 상기 제2결합부와는 반대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연장부와, 상기 제2결합부의 단부에서 수직방향으로 꺾여 연장형성되어 상기 제2결합부 및 상기 연장부와 수직을 이루는 제2지지부를 구비하여, 전체적으로 "T" 자형 단면형상을 가진다.
상기 보호커버는, 상기 제1마감샤시의 제1결합부와 상기 제2마감샤시의 연장부가 중첩하고, 상기 제1마감샤시의 제1지지부와 상기 제2마감샤시의 제2지지부가 접촉하도록 하여, 서로 인접된 두개의 분할체들을 조립함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삽입홈 및 상기 제2삽입홈 각각의 내부 일면에는 톱니모양의 제1돌기가 형성되고, 내부 타면에는 상기 제1돌기와 교차구조로 톱니모양의 제2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분할체는 반원형상을 가지고, 상기 제2분할체 및 상기 제3분할체는 "ㄱ" 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3플레이트가 상기 제3분할체와 접촉되는 중앙부위 및 상기 제5플레이트가 상기 제2분할체와 접촉되는 중앙부위 각각에는 상기 샤프트가 통과하기 위한 반원형의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플레이트와 상기 제2플레이트, 상기 제3플레이트와 상기 제4플레이트, 및 상기 제5플레이트와 상기 제6플레이트는 연결샤시를 통해 서로 결합되되, 상기 연결샤시는 제1단부에는 제3삽입홈이 형성되고 제2단부에는 제4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3삽입홈 및 상기 제4삽입홈 각각의 내부 일측면에는 톱니모양의 제1돌기가 형성되고, 내부 타측면에는 상기 제1돌기와 교차구조로 톱니모양의 제2돌기가 형성된 연질금속재질로 구성되고, 상기 제1플레이트, 상기 제3플레이트, 또는 제5플레이트의 일단부가 상기 제3삽입홈에 삽입되고, 상기 제2플레이트, 상기 제4플레이트, 또는 상기 제6플레이트의 일단부가 상기 제4삽입홈에 삽입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연결샤시를 압착함에 의해 결합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연결 샤시는 상기 제1단부 부분과 상기 제2단부 부분이 서로 일정각도를 이루도록 중간부분이 "ㄱ" 자 형상으로 구부러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플레이트 내지 제6플레이트, 상기 제1마감샤시 및 상기 제2마감샤시, 상기 연결샤시 각각은 연질금속재질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분할체, 상기 제2분할체, 및 상기 제3분할체는 적어도 하나의 클램프 또는 적어도 하나의 힌지를 이용하여 조립될 수 있다.
상기 제1분할체, 상기 제2분할체, 및 상기 제3분할체 각각은 내부에 단열재를 내장하여 단열유닛을 각각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탈부착이 용이하고 결합 정밀도를 높일 수 있으며, 공정 단순화를 이룰 수 있다. 또한, 강성을 향상시키고 결합부분의 결합강도를 높일 수 있고, 단열성능을 향상시키고 수분 침투 등에 의한 손상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배관에 사용되는 밸브유닛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밸브유닛용 단열재 보호커버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제1분할체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제2분할체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도 2의 제3분할체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6은 도 2의 제1마감샤시 및 상기 제2마감샤시의 사시도이고,
도 7은 제1분할체 또는 제3분할체의 제1마감샤시와의 결합과정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제2분할체 또는 제3분할체의 제2마감샤시와의 결합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9는 제1분할체, 제2분할체, 제3분할체의 조립부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은 도 2의 연결샤시의 사시도이고,
도 11은 각 분할체와 연결샤시의 결합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2는 상기 제1분할체가 단열재와 결합되어 제1단열유닛을 구성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고,
도 13은 상기 제2분할체가 단열재와 결합되어 제2단열유닛을 구성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고,
도 14는 상기 제3분할체가 단열재와 결합되어 제3단열유닛을 구성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고,
도 15는 제1단열유닛, 제2단열유닛, 및 제3단열유닛이 클램프를 이용하여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16은 제1단열유닛, 제2단열유닛, 및 제3단열유닛이 밸브유닛에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철저한 이해를 제공할 의도 외에는 다른 의도 없이,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배관에 사용되는 밸브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관용 밸브유닛(50)은 서로 결합되는 복수(또는 적어도 두개)의 배관(10)들 사이에서 플랜지 결합을 통해 서로 연결되어 배관을 개폐하기 위한 것으로, 밸브가 내장된 밸브몸체(52)와, 밸브몸체(52)의 양단에 구비되어 배관플랜지(120)와 결합되기 위한 밸브플랜지(54)와, 밸브몸체(520)의 상부에서 돌출되며 밸브에 연결되는 샤프트(56)와, 상기 사프트(56)의 상단부에 결합되어 회전함에 의해 밸브를 개폐하는 휠(58)을 구비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밸브유닛용 단열재 보호커버(500)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제1분할체(100)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제2분할체(200)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도 2의 제3분할체의 분해사시도이다.
이하에서 길이방향이란 배관 또는 밸브유닛의 길이방향과 동일한 방향을 의미하며, 폭방향이란 배관의 원주방향 또는 배관의 폭방향과 동일한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밸브유닛용 단열재 보호커버(500)는 제1분할체(100), 제2분할체(200), 제3분할체(300)를 조립함에 의해 구성된다. 즉 상기 제1분할체(100), 제2분할체(200), 및 제3분할체(300)를 밸브유닛(50)의 곡면 및 평면에 대응하여 밸브유닛(50)을 감싸는 형태로 분리가능하게 조립되어 상기 보호커버(500)를 구성하게 된다.
상기 제1분할체(100)는 밸브유닛(50) 또는 밸브몸체(52)의 하부곡면에 대응되는 곡면을 가지며 상기 밸브유닛(50) 또는 상기 밸브몸체(520)의 하부면을 감싸는 형태로 구비되는 제1플레이트(110)와, 상기 제1플레이트(110)의 폭방향 양단부에 각각 결합되는 제1마감샤시(120)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제1분할체(100)는 상기 제1플레이트(110)의 길이방향 양단부에 상기 제1플레이트(110)와 수직을 이루도록 각각 결합되어 서로 대향하는 제2플레이트(150)와, 상기 제1플레이트(110)와 상기 제2플레이트(150)를 서로 결합시키기 위한 연결샤시(130)를 구비한다.
상기 밸브유닛(5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쪽(도면상에서 하부쪽 또는 휠(58)이 구비되는 상부부분의 반대쪽 하부부분)에는 일반 배관과 유사하게 곡면을 이루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밸브유닛(50)의 하부부분을 커버하기 위해 상기 제1분할체(100)는 반원형 단면 구조를 가지도록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플레이트(110)는 상기 밸브유닛(50)의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를 가지며, 평판 플레이트를 롤링 등의 공정을 통해 곡면을 가지도록 가공하여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제2플레이트(150)는 반원판에서 외주면과 내주면사이의 길이가 서로 같도록 안쪽 부분을 절개한 형태의 형상을 가져 외주면 부분이 상기 제1플레이트(110)의 길이방향 양단부에 수직 결합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플레이트(150)는 하나의 반원판에서 이보다 작은 지름을 가지는 반원판을 절개했을 때 남는 부분과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분할체(200)는, 상기 밸브유닛(50) 또는 밸브몸체(52)의 상부 일측면에 대응되는 형상 및 길이를 가지며, 상기 밸브유닛(50) 또는 밸브몸체(52)의 상부 일측면을 감싸는 형태로 구비되는 제3플레이트(210)와, 상기 제3플레이트(210)의 양단부에 각각 결합되는 제2마감샤시(220)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제2분할체(200)는 상기 제3플레이트(210)의 길이방향 양단부에 상기 제3플레이트(210)와 수직을 이루도록 각각 결합되어 서로 대향하는 제4플레이트(250)와, 상기 제3플레이트(210)와 상기 제4플레이트(250)를 서로 결합시키기 위한 연결샤시(130)를 구비한다.
상기 제3플레이트(210)는 상기 밸브유닛(50)에 대응되는 길이를 가지며, 평판 플레이트를 롤링 등의 공정을 통해 절곡부분이 부드러운 곡면을 가지도록 가공되어 "ㄱ"자 단면구조로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분할체(200)는 전체적으로 "ㄱ"자 단면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4플레이트(250)는 원판을 1/4로 절단한 상태에서 상하방향 폭이 수평방향 폭보다 크게 안쪽 부분을 절개한 형태의 형상을 가져 외주면 부분이 상기 제3플레이트(210)의 길이방향 양단부에 접촉되어 수직 결합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4플레이트(250)는, 밸브유닛(50)에서 밸브몸체(52)와 샤프트(56) 연결부분이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상하방향 폭이 크도록 하여 돌출부분을 커버하기 위함이다.
상기 제3분할체(300)는 상기 밸브유닛(50)을 기준으로 상기 제2분할체(200)와 대칭되는 형상을 가진다. 다만 연결되는 마감샤시의 종류를 달리한다.
상기 제3분할체(300)는 상기 밸브유닛(50) 또는 밸브몸체(52)의 상부 일측면에 대응되는 형상 및 길이를 가지며, 상기 밸브유닛(50) 또는 밸브몸체(52)의 상부 일측면을 감싸는 형태로 구비되는 제5플레이트(310)와, 상기 제5플레이트(310)의 폭방향 제1단부에 결합되는 제2마감샤시(220)와, 상기 제5플레이트(310)의 폭방향 제2단부에 결합되는 제1마감샤시(120)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제3분할체(300)는 상기 제5플레이트(310)의 길이방향 양단부에 상기 제5플레이트(310)와 수직을 이루도록 각각 결합되어 서로 대향하는 제6플레이트(350)와, 상기 제5플레이트(310)와 상기 제6플레이트(350)를 서로 결합시키기 위한 연결샤시(130)를 구비한다.
상기 제5플레이트(310)는 상기 밸브유닛(50)에 대응되는 길이를 가지며, 평판 플레이트를 롤링 등의 공정을 통해 절곡부분이 부드러운 곡면을 가지도록 가공되어 "ㄱ" 단면구조로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3분할체(300)는 전체적으로 "ㄱ"자 단면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6플레이트(350)는 원판을 1/4로 절단한 상태에서 상하방향 폭이 수평방향 폭보다 크게 안쪽 부분을 절개한 형태의 형상을 가져 외주면 부분이 상기 제5플레이트(310)의 길이방향 양단부에 접촉되어 수직 결합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6플레이트(350)는, 밸브유닛(50)에서 밸브몸체(52)와 샤프트(56) 연결부분이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상하방향 폭이 크도록 하여 돌출부분을 커버하기 위함이다.
상기 제1플레이트(110)의 폭방향 타단부에는 상기 제1마감샤시(120)가 결합될 수도 있고, 상기 제2마감샤시(220)가 결합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3플레이트(210)나 제5플레이트(310)의 경우에도 폭방향 타단부에는 상기 제2마감샤시(220)가 결합될 수도 있고, 상기 제1마감샤시(120)가 결합될 수도 있다. 경우에 따라 제3분할체(300)의 제5플레이트(310)의 경우와 같이, 제1단부에는 제2마감샤시(220)가 결합되고 제2단부에는 제1마감샤시(120)가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제1분할체(100), 상기 제2분할체(200), 상기 제3분할체(300)가 조립되는 경우에 상기 제1마감샤시(120)와 상기 제2마감샤시(220)가 접촉되면서 조립되게 되므로, 상기 제1플레이트(110)의 폭방향 제1단부에 상기 제1마감샤시(120)가 결합된 경우에 이부분과 결합되는 제2분할체(200)의 상기 제3플레이트(210) 또는 제3분할체(300)의 제5플레이트(310)의 폭방향 단부에는 상기 제2마감샤시(220)가 결합되어야 한다. 또한, 상기 제1플레이트(110)의 폭방향 제2단부에 상기 제2마감샤시(220)가 결합된 경우에 이부분과 결합되는 제2분할체(200)의 상기 제3플레이트(210) 또는 제3분할체(300)의 제5플레이트(310)의 폭방향 단부에는 상기 제1마감샤시(120)가 결합되어야 한다.
상기 제1플레이트 내지 제6플레이트(110,150,210,250,310,350), 상기 제1마감샤시(210) 및 상기 제2마감샤시(220), 상기 연결샤시(130)는 연질 금속재질(예를 들면, 알루미늄 재질)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마감샤시(120) 및 상기 제2마감샤시(220)는 상기 제1플레이트(110)에 결합되는 제2플레이트(150)의 폭방향 양단부, 상기 제3플레이트(210)에 결합되는 제4플레이트(250)의 폭방향 양단부, 상기 제5플레이트(310)에 결합되는 제6플레이트(350)의 폭방향 양단부에도 결합될 수 있다.
이때는 인접되는 플레이트에 결합된 마감샤시가 결합되어야 할 것이다. 예를 들어, 제1플레이트(110)에 제1마감샤시(120)가 결합되어 있는 경우 제2플레이트(150)의 폭방향 단부에도 제1마감샤시(120)가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플레이트(110)와 제2플레이트(150)의 폭방향 단부에 함께 일체형으로 결합되도록 일부분이 수직으로 절곡된 형태의 일체형 구조를 가지는 제1마감샤시(120) 또는 제2마감샤시(220)을 구비하여 결합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제1플레이트(110), 상기 제3플레이트(210) 및 상기 제5플레이트(310)는, 강성보강을 위해 폭방향 일단부에서 폭방향 타단부까지의 길이를 가지며 외측방향으로 절곡되어 돌출 형성된 "ㄷ" 자 단면형상 또는 반원형의 단면형상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절곡돌기를 구비한다. 상기 절곡돌기는 강성보강을 위해 필요한 경우 일정간격으로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절곡돌기는 일정폭을 가지며 플레이트의 폭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다. 상기 절곡돌기는 상기 플레이트의 내측방향에서는 오목한 형태를 가지고, 외측방향에서는 볼록한 형태로 돌출구조를 가지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2분할체(200)의 상기 제3플레이트(210)가 상기 제3분할체(300)와 접촉되는 중앙부위 및 상기 제3분할체(300)의 제5플레이트가(310) 상기 제2분할체(200)와 접촉되는 중앙부위 각각에는 상기 샤프트(56)가 통과하기 위한 반원형의 홈 또는 홀(이하 "홈"으로 통일함)(260,360)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홈(260,360) 형성부위에는 상기 제1마감샤시(120) 또는 상기 제2마감샤시(220)가 결합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제1분할체(100)에는 제1마감샤시(120)가 결합되고, 상기 제2분할체(200)에는 제2마감샤시(220)만이 결합되고, 제3분할체(300)에는 조립부위에 대응하여 제1마감샤시(120) 및 제2마감샤시(220)가 결합되는 경우로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단순한 예시일 뿐이며, 필요에 따라 상기 제1마감샤시(120) 및 상기 제2마감샤시(220)는 제1플레이트 내지 제6플레이트(110,150,210,250,310,350) 각각에 대응하여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이하에서는 마감샤시(120,220)가 제1플레이트(110), 제3플레이트(210), 제5플레이트(310)에 결합되는 경우만을 설명하나, 상기 마감샤시(120,220)가 제2플레이트(150), 제4플레이트(250), 제6플레이트(350)에도 대응하여 결합되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상기 제1마감샤시(120) 및 상기 제2마감샤시(220)의 상세구성 및 이들을 통한 결합방법은 도 6 내지 도 9를 통해 설명한다.
도 6은 도 2의 제1마감샤시 및 상기 제2마감샤시의 사시도이고, 도 7은 제1분할체 또는 제3분할체의 제1마감샤시와의 결합과정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제2분할체 또는 제3분할체의 제2마감샤시와의 결합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9는 제1분할체, 제2분할체, 및 제3분할체의 조립부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의 (a)는 상기 제1마감샤시(120)를 도시한 것이고, 도 6의 (b)는 상기 제2마감샤시(220)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제1마감샤시(120) 및 상기 제2마감샤시(220)는 결합되는 플레이트에 대응되는 길이를 가질 수 있으며, 플레이트 각각의 단부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두개의 플레이트가 서로 결합되는 경우에 일체형의 마감샤시를 이용하여 결합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마감샤시(120)는 제1결합부(122) 및 제1지지부(124)를 구비하여 전체적으로 "ㄱ"자 단면형상을 가지게 된다.
상기 제1결합부(122)는 제1플레이트(110) 또는 제5플레이트(310)의 폭방향 가장자리 부위(또는 단부)가 삽입되기 위한 제1삽입홈(123)을 가지는 "ㄷ"자 단면형상으로 구비된다. 상기 제1결합부(122)는 상부면(122a)과 하부면(122b)을 가지며, 상부면(122a)과 하부면(122b) 사이에 측방향 삽입홈인 상기 제1삽입홈(123)이 형성된 구조를 가진다.
상기 제1삽입홈(123)의 내부 일면(또는 내부 하부면)(123a)에는 톱니모양의 제1돌기(123c)가 형성되고, 내부 타면(또는 내부 상부면)(123b)에는 상기 제1돌기(123c)와 교차구조로 톱니모양의 제2돌기(123d)가 형성된다. 상기 제1돌기(123c) 및 상기 제2돌기(123d)는 각각 복수개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1돌기(123c) 및 상기 제2돌기(123d)는 서로 대향하지 않도록 형성된다. 즉 제1돌기(123c)와 직접적으로 대향하는 내부타면(123b) 부분에는 제2돌기(123d)가 형성되지 않고, 인접된 부분에 제2돌기(123d)가 형성되어 압착시 상기 제1돌기(123c) 및 상기 제2돌기(123d)는 서로 맞물리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지지부(124)는 상기 제1결합부(122)의 단부에서 수직방향으로 꺾여 연장형성된다. 상기 제1지지부(124)는 상기 보호커버(500)의 내부에 구비되는 단열재(미도시)의 측면 보강을 위해 구비될 수 있다.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마감샤시(220)는 제2결합부(222), 제2지지부(224) 및 연장부(226)를 구비하여 전체적으로 "T" 자 단면형상을 가진다.
상기 제2결합부(222)는 상기 제3플레이트(210) 또는 상기 제5플레이트(310)의 폭방향 가장자리 부위(또는 폭방향 단부)가 삽입되기 위한 제2삽입홈(223)을 가지는 "ㄷ"자 단면형상으로 구비된다. 상기 제2결합부(222)는 상부면(222a)과 하부면(222b)을 가지며, 상부면(222a)과 하부면(222b) 사이에 측방향 삽입홈인 상기 제2삽입홈(223)이 형성된 구조를 가진다.
상기 제2삽입홈(23)의 내부 일면(또는 내부 하부면)(223a)에는 톱니모양의 제1돌기(223c)가 형성되고, 내부 타면(또는 내부 상부면)(223b)에는 상기 제1돌기(223c)와 교차구조로 톱니모양의 제2돌기(223d)가 형성된다. 상기 제1돌기(223c) 및 상기 제2돌기(223d)는 각각 복수개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1돌기(223c) 및 상기 제2돌기(223d)는 서로 대향하지 않도록 형성된다. 즉 제1돌기(223c)와 직접적으로 대향하는 내부타면(223b) 부분에는 제2돌기(223d)가 형성되지 않고, 인접된 부분에 제2돌기(223d)가 형성되어 압착시 상기 제1돌기(223c) 및 상기 제2돌기(223d)는 서로 맞물리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지지부(224)는 상기 제2결합부(222)의 단부에서 수직방향으로 꺾여 연장형성된다. 상기 제2지지부(224)는 상기 보호커버(500)의 내부에 구비되는 단열재(미도시)의 측면 보강 및 조립의 견고함을 위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장부(226)는 상기 제2결합부(222)의 단부에서 상기 제2결합부(222)와는 반대방향으로 연장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2결합부(222)와 상기 연장부(226)는 수직을 이루고, 상기 연장부(226)와 상기 제2지지부(224) 또한 수직을 이루어 전체적으로 "T" 자형 단면형상을 가지게 된다. 예를 들어, 상기 제2결합부(222)의 단부를 기준점으로 하는 경우에, 상기 기준점에서 우측방향으로 제2결합부(222)가 연장형성되고, 좌측방향으로 상기 연장부(226)가 연장 형성되고, 하부방향으로 상기 제2지지부(224)가 연장형성되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마감샤시(120)는 상기 제1플레이트(110)와 결합되는 경우에, 상기 제1결합부(122)의 상기 제1삽입홈(123)에 상기 제1플레이트(110)의 폭방향 가장자리부위(또는 폭방향 양단부)가 삽입되도록 한 상태에서,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마감샤시(120)를 압착함에 의해 상기 제1플레이트(110)와 결합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마감샤시(120)와 상기 제1플레이트(110)는 연질금속재질이므로, 상기 제1돌기(123c) 및 상기 제2돌기(123d)가 상기 제1플레이트(110)의 폭방향 단부(가장자리) 부분이 개재된 상태에서 서로 맞물리는 형태로 상기 제1플레이트(110)의 가장자리 부분과 함께 압착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플레이트(110)의 가장자리부분(폭방향 단부)에 상기 제1마감샤시(120)가 정밀하고 견고하게 결합되게 된다. 이는 상기 제5플레이트(310)와 상기 제1마감샤시(120)가 결합되는 경우에도 동일한 방식이 적용된다.
여기서 상기 제1플레이트(110)의 폭방향 가장자리 부분 중에서 길이방향 가장자리 부분과 만나는 꼭지점 부분은 상기 연결샤시(130)가 결합되는 부분이므로, 상기 연결샤시(130) 결합부분이 상기 제1삽입홈(123) 내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1삽입홈(123)의 사이즈를 크게하거나, 상기 제1마감샤시(120)의 제1결합부(122) 부분이 상기 연결샤시(130) 내부로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연결샤시(130)의 삽입홈을 충분히 삽입될 수 있는 사이즈로 형성되어야 할 것이다.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마감샤시(220)는 상기 제3플레이트(210)와 결합되는 경우에, 상기 제2결합부(222)의 상기 제2삽입홈(223)에 상기 제3플레이트(210)의 폭방향 가장자리부위(또는 폭방향 단부)가 삽입되도록 한 상태에서,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마감샤시(220)를 압착함에 의해 상기 제3플레이트(210)와 결합되게 된다.
이때 상기 제2마감샤시(220)와 상기 제3플레이트(210)는 연질금속재질이므로, 상기 제1돌기(223c) 및 상기 제2돌기(223d)가 상기 제3플레이트(210)의 가장자리 부분이 개재된 상태에서 서로 맞물리는 형태로 상기 제3플레이트(210)의 가장자리부분과 함께 압착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3플레이트(210)의 가장자리부분에 상기 제2마감샤시(220)가 정밀하고 견고하게 결합되게 된다. 이는 상기 제5플레이트(310)와 상기 제2마감샤시(220)가 결합되는 경우에도 동일한 방식이 적용된다.
여기서 상기 제3플레이트(210)의 폭방향 가장자리 부분 중에서 길이방향 가장자리 부분과 만나는 꼭지점 부분은 상기 연결샤시(130)가 결합되는 부분이므로, 상기 연결샤시(130)부분이 상기 제2삽입홈(223) 내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2삽입홈(223)의 사이즈를 크게하거나, 상기 제2마감샤시(220)의 제2결합부(222) 부분이 상기 연결샤시(130) 내부로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연결샤시(130)의 삽입홈을 충분히 삽입될 수 있는 사이즈로 형성되어야 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분할체(100)는 상기 제1플레이트(110) 및 상기 제1마감샤시(120)를 구비하여 상기 제1플레이트(110)의 폭방향 양 가장자리부위(폭방향 양 단부)에 제1마감샤시(120)가 결합된 구조를 가진다. 또한 상기 제2분할체(200)는 상기 제3플레이트(210) 및 상기 제2마감샤시(220)를 구비하여 상기 제3플레이트(210)의 폭방향 양 가장자리부위(폭방향 양 단부)에 제2마감샤시(220)가 결합된 구조를 가진다. 또한 제3분할체(300)는 제5플레이트(310)와 제1마감샤시(120) 및 제2마감샤시(220)를 구비하여, 폭방향 일단부(제1단부)에는 제2마감샤시(220)가 결합되고, 폭방향 타단부(제2단부)에는 제1마감샤시(120)가 결합된 구조를 가진다.
여기서 상기 제1분할체(100), 상기 제2분할체(200), 상기 제3분할체(300)가 조립되는 경우에 조립부위는 상기 제1마감샤시(120)와 상기 제2마감샤시(220)가 접촉하면서 조립되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
즉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분할체(100), 상기 제2분할체(200), 및 제3분할체(300)를 조립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조립부위가 상기 제1마감샤시(120)의 제1결합부(122)와 상기 제2마감샤시(220)의 연장부(226)가 중첩되도록 한다. 즉 상기 제1마감샤시(120)의 제1결합부(122)의 상부면(122a)이 상기 제2마감샤시(220)의 연장부(226)의 하부면과 중첩되도록 하고, 상기 제1마감샤시(120)의 제1지지부(124)의 외면이 상기 제2마감샤시(220)의 제2지지부(224)의 외면과 접촉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제2마감샤시(220)의 연장부(226)에 의해 각 분할체(100,200,300)의 조립틈새(제1지지부(124)와 제2지지부(224)의 접촉틈새부분)가 커버되므로, 조립틈새로 수분 등의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연결샤시(130)의 상세구성 및 이를 통한 결합방법은 도 10 내지 도 11을 통해 설명한다.
도 10은 상기 연결샤시의 사시도이고, 도 11은 각 분할체(100,200,300)의 연결샤시와의 결합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샤시(130)는 제1단부 부분인 제3결합부(132) 및 제2단부 부분인 제4결합부(134)를 구비하여 서로 수직 또는 일정각도를 이루도록 중간부분이 구부러져 전체적으로 "ㄱ"자 단면형상을 가지게 된다.
상기 제3결합부(132)는 제1플레이트(110), 제3플레이트(210) 또는 제5플레이트(310)의 길이방향 가장자리 부위(또는 길이방향 양 단부)가 삽입되기 위한 제3삽입홈(133a)을 가지는 "ㄷ"자 단면형상으로 구비된다. 상기 제3삽입홈(133a)의 내부구조는 상기 제1마감샤시(120)의 제1삽입홈(123)의 구조와 동일 또는 유사하다.
상기 제4결합부(134)는 제2플레이트(150), 제4플레이트(250) 또는 제6플레이트(350)의 외주면 부위(일단부)가 각각 삽입되기 위한 제4삽입홈(133b)을 가지는 "ㄷ"자 단면형상으로 구비된다. 상기 제4삽입홈(133b)의 내부에 돌기가 형성됨은 상기 제1마감샤시(120)의 제1삽입홈(123)과 동일 또는 유사하다. 또한 상기 제4삽입홈(133b)을 이루는 두개의 면들 중 내측 면은 외측면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제4삽입홈(133b)의 깊이나 형상은 결합되는 플레이트의 종류나 형상에 맞게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 1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샤시(130)는 상기 제1플레이트(110), 제3플레이트(210), 또는 제5플레이트(310)와 결합되는 경우에, 상기 제3결합부(132)의 상기 제3삽입홈(133a)에 상기 제1플레이트(110), 제3플레이트(210), 또는 제5플레이트(310)의 길이방향 가장자리부위(또는 길이방향 양단부)가 삽입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제2플레이트(150), 제4플레이트(250), 또는 제6플레이트(350)와 결합되는 경우에, 상기 제4결합부(134)의 상기 제4삽입홈(133b)에 상기 상기 제2플레이트(150), 제4플레이트(250), 또는 제6플레이트(350)의 길이방향 가장자리부위(또는 길이방향 양단부) 또는 외주면 부위가 삽입되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도 1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샤시(130)를 압착함에 의해 제1플레이트(110)와 제2플레이트(150), 제3플레이트(210)와 제4플레이트(250), 제5플레이트(310)와 제6플레이트(350)가 각각 수직으로 결합되게 된다.
이때 상기 연결샤시(130)는 연질금속재질이므로, 제3삽입홈(133a) 및 제4삽입홈(133b) 내부에 각 플레이트가 개재된 상태에서 서로 맞물리는 형태로 압착결합되게 된다. 이에 따라 제1플레이트(110)와 제2플레이트(150), 제3플레이트(210)와 제4플레이트(250), 제5플레이트(310)와 제6플레이트(350)가 각각 정밀하고 견고하게 결합되게 된다.
이때 각 플레이트의 꼭지점 부분은 제1마감샤시(120) 또는 제2마감샤시(220)와 결합된 부분이므로 상기 마감샤시(120,220) 결합부분이 제3삽입홈(133a) 또는 제4삽입홈(133b) 내부로 삽입되어 함께 압착 결합될 수 있도록 제3삽입홈(133a) 또는 제4삽입홈(133b)이 일정 사이즈 이상이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분할체(100)는 상기 제1플레이트(110), 제2플레이트(150), 연결샤시(130) 및 상기 제1마감샤시(120)를 구비하여 일정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분할체(200)는 상기 제3플레이트(210), 제4플레이트(250), 연결샤시(130) 및 상기 제2마감샤시(220)를 구비하여 일정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3분할체(300)는 제5플레이트(310), 제6플레이트(350), 연결샤시(130), 제1마감샤시(120) 및 제2마감샤시(220)를 구비하여, 일정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보호커버(500)는 상기 제1분할체(100), 상기 제2분할체(200) 및 상기 제3분할체(300)의 조립에 의해 구성되나, 실제 적용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1분할체(100)의 내부에 단열재가 구비된 제1단열유닛 및 상기 제2분할체(200)의 내부에 단열재가 구비된 제2단열유닛, 및 상기 제3분할체(300)의 내부에 단열재가 구비된 제3단열유닛으로 구성되어 상기 밸브유닛(50)을 감싸는 구조의 밸브유닛용 단열장치를 구성하게 된다.
도 12는 상기 제1분할체(100)가 단열재(180)와 결합되어 제1단열유닛(400a)을 구성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고, 도 13은 상기 제2분할체(200)가 단열재(280)와 결합되어 제2단열유닛(400b)을 구성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고, 도 14는 상기 제3분할체(300)가 단열재(380)와 결합되어 제2단열유닛(400c)을 구성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12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분할체(100)는 단열재(180)와 결합되어 제1단열유닛(400a)을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단열재(180)는 상기 밸브유닛(50)의 외면에 인접하는 내부단열층(미도시), 상기 내부단열층(미도시)의 외경방향에 배치되어 상기 제1분할체(100)의 내면에 접촉하는 외부단열층(미도시), 상기 내부단열층과 상기 외부단열층 사이에 개재된 중간단열층(미도시)을 가지는 다층구조를 가지거나 단일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내부단열층과 상기 외부단열층은 그라스울, 미네랄울 등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또한 밸브유닛(50)의 내부를 통과하는 유체가 저온일 경우에는 발포 폴리에틸렌 등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중간단열층은 그 내부에 공기 또는 아르곤가스가 충전되는 공간을 가진 자켓구조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와 달리 중간단열층은 하이트린(HITLIN) 등과 같은 고온성 단열재로 구성될 수도 있고, 또한 중간단열층은 내부단열층 및 외부단열층과 비교하여 다른 이종의 단열재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내부단열층, 외부단열층, 및 중간단열층은 별도의 단열재보호층에 의해 감싸여져 보호될 수 있다.
상기 단열재(180)는 상기 제1분할체(100)의 내주면 또는 내면에 결합되어 상기 제1단열유닛(400a)을 구성하며, 상기 제1단열유닛(400a)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밸브유닛(50)의 대응부분에 결합되게 된다. 상기 단열재(180)의 측면은 상기 제1마감샤시(120)의 제1지지부(124) 및 상기 제2플레이트(150)에 의해 지지되게 된다. 상기 제1지지부(124)는 상기 단열재(180)의 두께에 해당되는 길이를 가져 상기 단열재(150)의 측면 전체를 지지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2분할체(200)는 단열재(280)와 결합되어 제2단열유닛(400b)을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단열재(280)는 밸브유닛(50)의 외면에 인접하는 내부단열층(미도시), 상기 내부단열층(미도시)의 외경방향에 배치되는 외부단열층(미도시), 상기 내부단열층과 상기 외부단열층 사이에 개재된 중간단열층(미도시)을 가지는 다층구조를 가지거나 단일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단열재(280)의 구조는 제1단열유닛(400a)의 경우와 동일하다.
상기 단열재(280)는 상기 제2분할체(200)의 내주면 또는 내면에 결합되어 상기 제2단열유닛(400b)을 구성하며, 상기 제2단열유닛(400b)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밸브유닛(50)의 대응부분에 결합되게 된다. 상기 단열재(280)의 측면은 상기 제2마감샤시(220)의 제2지지부(224) 및 상기 제4플레이트(250)에 의해 지지되게 된다. 상기 제2지지부(224)는 상기 단열재(280)의 두께에 해당되는 길이를 가져 상기 단열재(280)의 측면 전체를 지지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제3분할체(300)는 단열재(380)와 결합되어 제3단열유닛(400c)을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단열재(380)는 밸브유닛(50)의 외면에 인접하는 내부단열층(미도시), 상기 내부단열층(미도시)의 외경방향에 배치되는 외부단열층(미도시), 상기 내부단열층과 상기 외부단열층 사이에 개재된 중간단열층(미도시)을 가지는 다층구조를 가지거나 단일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단열재(380)의 구조는 제1단열유닛(400a)의 경우와 동일하다.
상기 단열재(380)는 상기 제3분할체(300)의 내주면 또는 내면에 결합되어 상기 제3단열유닛(400c)을 구성하며, 상기 제3단열유닛(400c)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밸브유닛(50)의 대응부분에 결합되게 된다. 상기 단열재(380)의 측면은 상기 제마감샤시(120)의 제1지지부(124), 상기 제2마감샤시(220)의 제2지지부(224) 및 상기 제6플레이트(350)에 의해 지지되게 된다.
상기 제1단열유닛(400a), 상기 제2단열유닛(400b) 및 상기 제3단열유닛(400c)은 상기 밸브유닛(50)을 감싸도록 결합되며, 별도의 클램프나 힌지에 의해 정확하고 견고하게 조립되며 분리가능하게 조립되게 된다.
도 15 및 도 16은 상기 제1단열유닛(400a), 상기 제2단열유닛(400b) 및 상기 제3단열유닛(400c)이 클램프(450)를 이용하여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5는 상기 제1단열유닛(400a)과 상기 제2단열유닛(400b)의 조립부분의 단면도이고, 도 16은 상기 제1단열유닛(400a), 상기 제2단열유닛(400b) 및 상기 제3단열유닛(400c)이 클램프(450)를 이용하여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5 및 도 16은 상기 제1단열유닛(400a), 상기 제2단열유닛(400b) 및 상기 제3단열유닛(400c)이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나, 클램프(450)가 연결되는 부분은 상기 제1분할체(100), 상기 제2분할체(200), 상기 제3분할체(300) 부분이므로, 상기 제1분할체(100), 상기 제2분할체(200) 및 상기 제3분할체(300)가 클램프(350a,350b)를 이용하여 조립된다는 의미를 포함한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단열유닛(400a)과 상기 제2단열유닛(400b) 및 상기 제3단열유닛(400c)은, 후크부(456), 록킹부(452) 및 연결고리(454)를 구비하는 클램프(450)를 이용하여 조립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클램프(450)는 하나가 이용될 수도 있으나 복수개를 이용하여 견고하게 조립가능하다.
상기 록킹부(452)는 상기 제1플레이트(110)의 외면에 결합고정되고, 상기 후크부(456)는 상기 제2플레이트(210)의 외면에 결합고정되며, 상기 연결고리(454)는 상기 록킹부(452)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조립은 상기 연결고리(454)를 상기 후크부(456)에 걸고 상기 록킹부(452)를 상기 제1분할체(100) 또는 상기 제1단열유닛(400a) 측으로 당겨 상기 연결고리(454)를 상기 후크부(456)에 소정의 탄력을 가지는 상태로 연결하여 조립하게 된다. 반대로 분리하는 경우는 상기 록킹부(452)를 상기 제2분할체(200) 또는 상기 제2단열유닛(400b) 측으로 선회시켜 연결고리(454)를 상기 후크부(456)로부터 이탈시킨 후 상기 제1분할체(100)와 상기 제2분할체(200) 또는 상기 제1단열유닛(400a)와 상기 제2단열유닛(400b)를 분리하게 된다.
이러한 클램프를 통한 조립방식은 제1단열유닛(400a)과 제3단열유닛(400c)을 조립하거나, 상기 제2단열유닛(400b)과 상기 제3단열유닛(400c)를 조립하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단열유닛(400a)과 상기 제2단열유닛(400b) 및 상기 제3단열유닛(400c)은 클램프(450)를 이용하여 조립하는 경우에, 체결 및 분리가 용이한 장점이 있으나 클램프(450)의 사이즈 때문에 상기 제1단열유닛(400a)과 상기 제2단열유닛(400b) 및 상기 제3단열유닛(400c)의 이동이나 조립시에 손상이 발생될 수 있고 안전사고의 위험이 존재하게 된다.
즉 클램프(450)는 일정한 사이즈를 가져야 하고, 각 분할체(100,200,300)의 외측방향으로 돌출되어 설치되기 때문에, 좁은공간에서의 설치나 이동시에 돌출된 클램프 부분으로 인하여 상기 제1단열유닛(400a)과 상기 제2단열유닛(400b) 및 상기 제3단열유닛(400c)은 손상을 입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1단열유닛(400a)과 상기 제2단열유닛(400b) 및 상기 제3단열유닛(400c)은 힌지(미도시)를 이용하여 힌지결합될 수 있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단열유닛(400a)과 상기 제2단열유닛(400b) 및 상기 제3단열유닛(400c)은 밸브유닛(50)의 형상에 대응하여 외부면을 감싸도록 조립되며, 클램프(450)를 이용하여 조립될 수 있다.
상기 제1단열유닛(400a)과 상기 제2단열유닛(400b) 및 상기 제3단열유닛(400c)은 조립부위 모두에 적어도 하나의 클램프(450)클램프(450) 분리가능하게 조립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밸브유닛에 조립되는 단열재 보호커버를 복수의 플레이트들과 마감샤시 및 연결샤시를 이용하여 결합하여 구성함에 의해, 탈부착이 용이하고, 결합 정밀도를 높일 수 있으며, 공정 단순화를 이룰 수 있다. 또한, 강성을 향상시키고 결합부분의 결합강도를 높일 수 있게 된다.
상기한 실시예의 설명은 본 발명의 더욱 철저한 이해를 위하여 도면을 참조로 예를 든 것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을 한정하는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본적 원리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변경이 가능함은 명백하다 할 것이다.
100 : 제1분할체 110 : 제1플레이트
120 : 제1마감샤시 130 : 연결샤시
150 : 제2플레이트 200 : 제2분할체
210 : 제3플레이트 220 : 제2마감샤시
250 : 제4플레이트 300 : 제3분할체
310 : 제5플레이트 350 : 제6플레이트
400a : 제1단열유닛 400b : 제2단열유닛
400c : 제3단열유닛 450 : 클램프

Claims (10)

  1. 적어도 두개의 배관들 사이에 연결되는 밸브몸체와, 상기 밸브몸체의 상부에서 돌출되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의 상단부에 결합되어 회전함에 의해 밸브를 개폐하는 휠을 구비하는 밸브유닛에서, 상기 밸브유닛의 단열을 위해 밸브유닛을 감싸는 형태로 구비되는 단열재의 보호를 위한 밸브유닛용 단열재 보호커버에 있어서:
    상기 밸브유닛 또는 상기 밸브몸체의 하부곡면에 대응되는 곡면을 가지며 상기 밸브유닛의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를 가지는 제1플레이트와, 상기 제1플레이트의 폭방향 양단부에 각각 결합되는 제1마감샤시와, 상기 제1플레이트 길이방향 양단부에 상기 제1플레이트와는 수직을 이루며 각각 결합되는 제2플레이트를 구비하는 제1분할체와;
    상기 밸브유닛 또는 상기 밸브몸체의 상부 일측면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밸브유닛의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를 가지는 제3플레이트와, 상기 제3플레이트의 폭방향 양단부에 각각 결합되는 제2마감샤시와, 상기 제3플레이트의 길이방향 양단부에 상기 제3플레이트와 수직을 이루며 각각 결합되는 제4플레이트를 구비하는 제2분할체와;
    상기 밸브유닛 또는 상기 밸브몸체의 상부 타측면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밸브유닛의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를 가지는 제5플레이트와, 상기 제5플레이트에서 상기 제1분할체와 접촉되는 폭방향 제1단부에 결합되는 제2마감샤시와, 상기 제5플레이트에서 상기 제2분할체와 접촉하는 폭방향 제2단부에 결합되는 제1마감샤시와, 상기 제5플레이트의 길이방향 양단부 각각에 상기 제5플레이트와 수직을 이루며 결합되는 제6플레이트를 구비하는 제3분할체를 구비하여 상기 밸브유닛을 감싸는 형태로 분리가능하게 조립됨에 의해 상기 보호커버를 구성하되,
    상기 제1마감샤시는, 상기 제1플레이트 또는 상기 제5플레이트의 단부가 삽입되어 압착 결합되기 위한 제1삽입홈을 가지는"ㄷ"자 단면형상의 제1결합부와, 상기 제1결합부의 단부에서 수직방향으로 꺾여 연장형성되는 제1지지부를 구비하여 전체적으로 "ㄱ"자형 단면형상을 가지고,
    상기 제2마감샤시는, 상기 제3플레이트 또는 상기 제5플레이트의 단부가 삽입되어 압착 결합되기 위한 제2삽입홈을 가지는"ㄷ"자 단면형상의 제2결합부와, 상기 제2결합부의 단부에서 상기 제2결합부와는 반대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연장부와, 상기 제2결합부의 단부에서 수직방향으로 꺾여 연장형성되어 상기 제2결합부 및 상기 연장부와 수직을 이루는 제2지지부를 구비하여, 전체적으로 "T" 자형 단면형상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유닛용 단열재 보호커버.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호커버는,
    상기 제1마감샤시의 제1결합부와 상기 제2마감샤시의 연장부가 중첩하고, 상기 제1마감샤시의 제1지지부와 상기 제2마감샤시의 제2지지부가 접촉하도록 하여, 서로 인접된 두개의 분할체들을 조립함에 의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유닛용 단열재 보호커버.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삽입홈 및 상기 제2삽입홈 각각의 내부 일면에는 톱니모양의 제1돌기가 형성되고, 내부 타면에는 상기 제1돌기와 교차구조로 톱니모양의 제2돌기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유닛용 단열재 보호커버.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분할체는 반원형상을 가지고, 상기 제2분할체 및 상기 제3분할체는 "ㄱ" 자 형상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유닛용 단열재 보호커버.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3플레이트가 상기 제3분할체와 접촉되는 중앙부위 및 상기 제5플레이트가 상기 제2분할체와 접촉되는 중앙부위 각각에는 상기 샤프트가 통과하기 위한 반원형의 홈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유닛용 단열재 보호커버.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플레이트와 상기 제2플레이트, 상기 제3플레이트와 상기 제4플레이트, 및 상기 제5플레이트와 상기 제6플레이트는 연결샤시를 통해 서로 결합되되,
    상기 연결샤시는 제1단부에는 제3삽입홈이 형성되고 제2단부에는 제4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3삽입홈 및 상기 제4삽입홈 각각의 내부 일측면에는 톱니모양의 제1돌기가 형성되고, 내부 타측면에는 상기 제1돌기와 교차구조로 톱니모양의 제2돌기가 형성된 연질금속재질로 구성되고,
    상기 제1플레이트, 상기 제3플레이트, 또는 제5플레이트의 일단부가 상기 제3삽입홈에 삽입되고, 상기 제2플레이트, 상기 제4플레이트, 또는 상기 제6플레이트의 일단부가 상기 제4삽입홈에 삽입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연결샤시를 압착함에 의해 결합된 구조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유닛용 단열재 보호커버.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연결 샤시는 상기 제1단부 부분과 상기 제2단부 부분이 서로 일정각도를 이루도록 중간부분이 "ㄱ" 자 형상으로 구부러진 형상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유닛용 단열재 보호커버.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1플레이트 내지 제6플레이트, 상기 제1마감샤시 및 상기 제2마감샤시, 상기 연결샤시 각각은 연질금속재질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유닛용 단열재 보호커버.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분할체, 상기 제2분할체, 및 상기 제3분할체는 적어도 하나의 클램프 또는 적어도 하나의 힌지를 이용하여 조립됨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유닛용 단열재 보호커버.
  10.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9 중 어느 하나의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분할체, 상기 제2분할체, 및 상기 제3분할체 각각은 내부에 단열재를 내장하여 단열유닛을 각각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유닛용 단열재 보호커버.
KR1020150018573A 2015-02-06 2015-02-06 밸브유닛용 단열재 보호커버 KR1015994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8573A KR101599449B1 (ko) 2015-02-06 2015-02-06 밸브유닛용 단열재 보호커버
US15/546,045 US9958106B2 (en) 2015-02-06 2016-01-13 Insulating material protective cover for valve unit
JP2017540757A JP6303075B1 (ja) 2015-02-06 2016-01-13 バルブユニット用断熱材保護カバー
PCT/KR2016/000364 WO2016126015A1 (ko) 2015-02-06 2016-01-13 밸브유닛용 단열재 보호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8573A KR101599449B1 (ko) 2015-02-06 2015-02-06 밸브유닛용 단열재 보호커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9449B1 true KR101599449B1 (ko) 2016-03-03

Family

ID=555356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8573A KR101599449B1 (ko) 2015-02-06 2015-02-06 밸브유닛용 단열재 보호커버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958106B2 (ko)
JP (1) JP6303075B1 (ko)
KR (1) KR101599449B1 (ko)
WO (1) WO2016126015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7638B1 (ko) * 2016-06-21 2018-02-08 장태돈 배관 단열재용 덕트
KR101890284B1 (ko) * 2018-01-05 2018-08-21 (주)동인엔지니어링 밸브유닛용 단열장치
WO2018230798A1 (ko) * 2017-06-12 2018-12-20 (주)동인엔지니어링 방진기능을 구비하는 배관용 단열장치
WO2019150390A1 (en) * 2018-01-31 2019-08-08 Garg Priyank S Pre-insulated valves for fluid syste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87557A (zh) * 2016-08-30 2017-01-04 方舰 一种全息电子蜡烛
CN108758316A (zh) * 2018-05-30 2018-11-06 江苏宇飞金属制品有限公司 一种机械用防护罩
CN109282071B (zh) * 2018-09-03 2020-01-03 重庆智青阳油脂有限公司 滑动式防撞护罩
CN112283428B (zh) * 2020-11-09 2022-07-22 单县兴源塑胶阀门有限公司 设有耐热保护外壳的塑料阀门及其制备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00892U (ko) * 1986-06-11 1987-12-21
JPH03104257A (ja) * 1989-09-19 1991-05-01 Daifuku Co Ltd 搬送用容器
KR19980057754U (ko) * 1997-02-06 1998-10-15 권형식 건출설비의 배관밸브의 외장재로 사용되는 플라스틱 탄성밸브카바
JP2002168392A (ja) * 2000-09-19 2002-06-14 Fusoo Kasei Kk 配管カバー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774732A (en) * 1927-09-14 1930-09-02 Edward A Smith Insulating covering for fittings
CA906980A (en) * 1970-04-06 1972-08-08 Knudsen Kai Removable insulation shell for valve or other fitting
US4259981A (en) * 1979-09-24 1981-04-07 Busse Richard O Removable insulated valve cover
JPS57171496U (ko) * 1981-04-24 1982-10-28
US4577655A (en) * 1984-06-22 1986-03-25 Carroll James M Apparatus for insulating water faucets
JPS62200892A (ja) 1986-02-27 1987-09-04 Mitsubishi Electric Corp 磁気記録再生装置
US4696324A (en) * 1986-10-02 1987-09-29 Petronko Dennis A Heat foam insulation jacket
US4925605A (en) * 1986-10-02 1990-05-15 Field Foam Incorporated Method of forming a heat foam insulation jacket
US4807669A (en) * 1987-02-12 1989-02-28 Prestidge Sr Gary R Removable flexible pipe insulation
EP0559066A1 (de) * 1992-02-25 1993-09-08 Jacobs, Heinz - Josef Gehäuse für wärmeisolierte Armaturen und/oder Flanschverbindungen
US5797415A (en) * 1993-10-15 1998-08-25 Horizon Resources Corp. Insulating jacket for hot and cold piping systems and the method of use
JP2000283386A (ja) * 1999-03-31 2000-10-13 Takiron Co Ltd フランジカバー装置
JP3104257U (ja) * 2004-03-29 2004-09-16 株式会社シー・エス・シー 管路付属機器の保護カバー
DE202009019120U1 (de) * 2008-05-30 2016-10-24 Straub Werke Ag Hitzeschutz für temperaturempfindliche Bauteil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00892U (ko) * 1986-06-11 1987-12-21
JPH03104257A (ja) * 1989-09-19 1991-05-01 Daifuku Co Ltd 搬送用容器
KR19980057754U (ko) * 1997-02-06 1998-10-15 권형식 건출설비의 배관밸브의 외장재로 사용되는 플라스틱 탄성밸브카바
JP2002168392A (ja) * 2000-09-19 2002-06-14 Fusoo Kasei Kk 配管カバー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7638B1 (ko) * 2016-06-21 2018-02-08 장태돈 배관 단열재용 덕트
WO2018230798A1 (ko) * 2017-06-12 2018-12-20 (주)동인엔지니어링 방진기능을 구비하는 배관용 단열장치
KR101890284B1 (ko) * 2018-01-05 2018-08-21 (주)동인엔지니어링 밸브유닛용 단열장치
WO2019135435A1 (ko) * 2018-01-05 2019-07-11 (주)동인엔지니어링 밸브유닛용 단열장치
WO2019150390A1 (en) * 2018-01-31 2019-08-08 Garg Priyank S Pre-insulated valves for fluid system
CN111033111A (zh) * 2018-01-31 2020-04-17 普里亚克·S·加格 用于流体系统的预绝热阀
KR20200113183A (ko) * 2018-01-31 2020-10-06 프리얀크 에스 가그 유체 시스템을 위한 사전 절연 밸브
US11692637B2 (en) * 2018-01-31 2023-07-04 Priyank S. Garg Pre-insulated valves for fluid system
KR102559508B1 (ko) 2018-01-31 2023-07-26 프리얀크 에스 가그 유체 시스템을 위한 사전 절연 밸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958106B2 (en) 2018-05-01
WO2016126015A1 (ko) 2016-08-11
US20180003335A1 (en) 2018-01-04
JP6303075B1 (ja) 2018-03-28
JP2018511007A (ja) 2018-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9449B1 (ko) 밸브유닛용 단열재 보호커버
US9476538B2 (en) Pipe insulation apparatus having finishing cover of compression-bonded structure
KR101501643B1 (ko) T형 배관용 단열재 보호커버
US2690193A (en) Pipe clamp
KR101686971B1 (ko) 단열성능이 강화된 배관용 단열장치
KR101184392B1 (ko) 배관용 단열장치
KR101397535B1 (ko) 탈부착식 단열 커버
KR101820450B1 (ko) 방진기능을 구비하는 배관용 단열장치
KR101889443B1 (ko) 배관용 단열장치
US5288108A (en) Bell joint repair clamp
KR100458149B1 (ko) 나선 권취형 가스켓, 이의 제조방법 및 권취 다이
KR101780594B1 (ko) 빗물 침투를 방지한 배관 단열재용 덕트
KR101458537B1 (ko) 착탈식 단열장치
KR101890293B1 (ko) 분기형 배관용 단열장치
KR101572169B1 (ko) 직관용 단열재 보호커버
KR102470040B1 (ko) 배관 단열 구조체의 단열 커버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JP4851279B2 (ja) メータユニット用保温カバー
KR101890284B1 (ko) 밸브유닛용 단열장치
JP6964879B2 (ja) 漏洩補修構造及び漏洩補修具
JPH01214626A (ja) 真空二重管
JP7240588B2 (ja) 配管保護装置
EP3650739A1 (en) Non-welded type branch piping reinforcement apparatus
KR20120019895A (ko) 배관 부재 관통 구조
GB2234313A (en) A thermal and/or acoustic insulation system
JP7372819B2 (ja) ガス配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