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0040B1 - 배관 단열 구조체의 단열 커버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배관 단열 구조체의 단열 커버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0040B1
KR102470040B1 KR1020210152230A KR20210152230A KR102470040B1 KR 102470040 B1 KR102470040 B1 KR 102470040B1 KR 1020210152230 A KR1020210152230 A KR 1020210152230A KR 20210152230 A KR20210152230 A KR 20210152230A KR 102470040 B1 KR102470040 B1 KR 1024700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
chassis
cover
vertical plate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22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기
Original Assignee
(주)동인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동인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동인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2101522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0040B1/ko
Priority to PCT/KR2021/017376 priority patent/WO2023080315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00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00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0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2Shape or form of insulating materials, with or without coverings integral with the insulating materials
    • F16L59/021Shape or form of insulating materials, with or without coverings integral with the insulating materials comprising a single piece or sleeve, e.g. split sleeve, two half sleeves
    • F16L59/024Shape or form of insulating materials, with or without coverings integral with the insulating materials comprising a single piece or sleeve, e.g. split sleeve, two half sleeves composed of two half slee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0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2Shape or form of insulating materials, with or without coverings integral with the insulating materi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0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4Arrangements using dry fillers, e.g. using slag wool which is added to the object to be insulated by pouring, spreading, spraying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0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14Arrangements for the insulation of pipes or pipe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관 단열 구조체의 단열 커버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배관 단열 구조체의 단열 커버 장치는, 마감커버, 말단에 강선이 삽입된 고리부를 갖는 보호시트와, 마감커버와 보호시트 사이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 소켓을 포함하며, 상기 마감커버는 상기 연결소켓의 내측 수직판부에 링 형태로 가압 성형되는 복수개의 링형 가압부에 의해 상기 연결소켓과 서로 결합되고, 상기 보호시트는, 상기 고리부가 상기 연결소켓의 내측 수직판부에서 절개된 후 말아 올려지는 복수개의 클램핑 후크에 의해 감싸지는 형태로 클램핑됨에 의해 상기 연결소켓과 서로 결합된다.

Description

배관 단열 구조체의 단열 커버 장치 및 그 제조 방법{Insulation cover device in piping heat insulating structur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배관의 외부 표면을 둘러싸도록 설치되는 배관 단열 구조체의 단열 커버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배관을 둘러싸는 단열재를 덮는 마감 커버 및 보호 시트와 마감 커버와 보호 시트를 사이를 연결하는 소켓을 포함하는 배관 단열 구조체의 단열 커버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오피스 빌딩, 산업용 건물 및 아파트 등의 건물에는 각종 배관 설비들이 설치되며, 이러한 배관 설비들은 보온 및 보냉 또는 부가적으로 배관설비의 수명연장 및 외관디자인을 위한 목적으로 보온 커버들이 설치되어 사용되며, 이러한 보온 커버는 주로 배관 설비에 있어 밸브, T형관, 엘보우, 직관 등에 사용된다.
특히, 발전소(원자력, 화력 등) 및 석유화학플랜트 등에는 보일러에서 생산된 고온 고압의 증기가 터빈에 회전력을 제공하여 최종적으로 전기적 에너지를 생산하는 것으로, 고온 고압의 증기와 온수는 배관을 통하여 각 계통별로 빠른 속도로 이송되고 있으며, 이송과정 중 배관 내부의 유체마찰 및 캐비테이션(Cavitation) 등에 의한 배관 두께가 얇아져 정상운전 중 계통의 안전사고를 유발시킬 수 있는 위험성이 잠재하고 있어 발전설비의 계획 예방정비 중에 배관의 감육상태(부식 등의 원인으로 인해 배관의 벽이 얇아지는 상태) 점검으로 설비의 건전성을 확인하고 있다.
감육검사를 실시할 때 단열재로 시공된 경우에는 배관의 외부에 마감된 금속재질의 마감 커버 및 단열재 등을 순차적으로 철거한 후에 감육검사를 실시하며, 감육검사가 완료된 이후에는 새로운 단열재를 부착하고, 마감 커버로 마감하는 방식으로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감육검사 후의 단열재 시공방식은 매년 철거되는 단열재 및 마감 커버의 폐기량으로 인해 자재의 막대한 낭비를 불러일으키고, 특히 엘보 또는 T-이음 부분의 경우에는 직관의 단열재 설치에 비해 고도의 숙련된 기능 이 요구될 뿐만 아니라 잘못 시공된 경우 단열틈새(thermal notch)의 발생으로 인해 열피로현상(thermal stress)가 증가하여 그 부분에 대한 감육현상이 현저하게 진행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전체 배관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전술한 것과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탈부착이 용이하고, 단열틈새 발생을 줄임으로써 배관의 감육검사 및 단열재의 시공작업을 간편하게 할 수 있는 배관용 단열 구조가 제안된바 있다.
전술한 것과 같은 종래의 배관용 단열 구조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20450(2018.01.15.)에 개시되어 있으며,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종래의 배관용 단열 구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종래의 배관용 단열 구조는, 배관(10)의 폭방향 일측과 타측을 감싸는 반원통 형상의 제1 단열재(110) 및 제2 단열재(120)와, 제1 단열재(110)와 제2 단열재(120)의 외부 표면을 덮는 알루미늄 재질의 제1 마감 커버(210) 및 제2 마감 커버(220)와, 제1 단열재(110)와 제2 단열재(120)의 표면 중 제1 마감 커버(210) 또는 제2 마감 커버(220)에 의해 덮이지 아니한 부위를 덮는 제1 보호 시트(310) 및 제2 보호 시트(320)와, 제1 마감 커버(210)와 제2 마감 커버(220)를 분리가능하게 결합시키기 위해 체결후크(510), 회전편(520) 및 체결링크(530)를 포함하는 체결유닛(500)과, 제1 마감 커버(210)의 폭방향 양단이 각각 삽입되는 한 쌍의 제1 체결소켓(710)과, 제2 마감 커버(220)의 폭방향 양단이 각각 삽입되는 한 쌍의 제2 체결소켓(720)과, 제1 체결소켓(710)과 제2 체결소켓(720)이 서로 마주보는 면에 삽입되는 체결패킹(740)과, 제1 보호 시트(310)의 폭방향 일측을 관통한 후 제1 체결소켓(710) 중 제1 마감 커버(210)가 삽입된 부위를 관통하도록 체결되고, 제2 보호 시트(320)의 폭방향 일측을 관통한 후 제2 체결소켓(720) 중 제2 마감 커버(220)가 삽입된 부위를 관통하도록 체결되는 다수개의 체결리벳(730) 을 포함한다. 또한 제1 보호 시트(310)와 제2 보호 시트(320)의 폭방향 양측은, 체결리벳(730)이 관통되는 부위가 두 겹으로 겹쳐지도록 폴딩된다. 또한, 제1 보호 시트(310)와 제2 보호 시트(320)의 폭방향 양측 중 접힌 부위에는 고정와이어(330)가 삽입된다. 그리고, 체결리벳(730)의 헤드가 안착되는 체결와셔(750)가 제공된다.
종래 기술은, 소켓(710,720) 및 마감 커버(210,220)가 알루미늄 재질이고 이와 결합되어야 하는 보호 시트(310,320)가 알루미늄 재질과 잘 결합될 수 없는 세라믹 섬유 등 직물 재질인 이유로, 소켓(710,720) 및 마감 커버(210,220)에 대한 보호시트(310, 320)의 결합에 리벳(730)을 이용한다. 그러나, 종래의 리벳에 의한 결합 방법은 번거롭고 복잡하다는 단점이 있다. 게다가, 리벳이 외부로 돌출되어 외관도 나쁘다는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20450(2018.01.15.)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배관을 둘러싸는 단열재를 덮는 마감 커버 및 보호 시트와 마감 커버와 보호 시트를 사이를 연결하는 소켓을 포함하되, 리벳 등과 같은 추가적인 요소 없이, 보호 시트와 마감 커버가 소켓에 쉽고 간단하게 결합될 수 있는, 배관 단열 구조체의 단열 커버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배관 단열 구조체의 단열 커버 장치는, 배관을 감싸는 단열재의 외부 표면 일부를 덮는 마감커버; 상기 단열재의 외부 표면 중 상기 마감커버에 의해 덮이지 않는 부위를 덮도록 배치되며, 말단에 강선이 삽입된 고리부를 갖는 보호시트; 및 상기 마감커버와 상기 보호시트 사이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 소켓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 소켓은, 수평판부와; 상기 수평판부에서 수직 방향으로 연장된 내측 수직판부와; 상기 수평판부에서 수직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내측 수직판부와의 사이에 상기 마감커버가 삽입되는 삽입홈을 형성하는 외측 수직판부를 포함하고, 상기 삽입홈에 삽입된 상기 마감커버는, 상기 내측 수직판부에 링 형태로 가압 성형되는 복수개의 링형 가압부에 의해 상기 연결소켓과 서로 결합되고, 상기 보호시트는, 상기 고리부가 상기 내측 수직판부에서 절개된 후 구부러지거나 말아 올려지는 복수개의 클램핑 후크에 의해 감싸지는 형태로 클램핑됨에 의해 상기 연결소켓과 서로 결합된다.
상기 마감커버와 상기 연결 소켓은 연질금속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보호시트는 직물재질일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링형 가압부는 링형 단면의 펀치(punch)로 상기 내측 수직판부를 프레스 가공하여 형성된 것이고, 상기 마감커버 및 상기 외측 수직판부 각각에는 상기 링형 가압부에 눌려 링형의 홈이 형성됨에 의해, 상기 내측 수직판부, 상기 마감커버 및 상기 외측 수직판부가 서로 맞물려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보호시트는, 상기 수평판부와 상기 내측 수직판부 사이의 코너에 상기 고리부가 놓이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내측 수직판부에서 절개된 후 구부러지거나 말아 올려진 상기 클램핑 후크가 상기 고리부를 감싸도록 클램핑됨에 의해 상기 연결소켓과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마감커버는, 제1조립단부에는 제1샤시삽입홈이 형성되고 제2조립단부에는 제2샤시삽입홈이 형성된 연질금속재질의 적어도 하나의 연결샤시와; 연질금속재질의 복수의 플레이트들을 구비하여, 상기 복수의 플레이트들 중 어느 하나인 제1플레이트의 일단부가 상기 제1샤시삽입홈에 삽입되고 상기 제1플레이트에 인접된 제2플레이트의 일단부가 상기 제2샤시삽입홈에 삽입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연결샤시의 내면에서 상기 제1샤시삽입홈을 향하여 링 형태로 가압 성형되는 복수개의 링형 가압부에 의해 상기 연결샤시와 상기 제1플레이트가 결합되고, 상기 연결샤시의 내면에서 상기 제2샤시삽입홈을 향하여 링 형태로 가압 성형되는 복수개의 링형 가압부에 의해 상기 연결샤시와 상기 제2플레이트가 결합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상기 복수의 플레이트들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결샤시가 상기 배관의 곡면에 대응하여 결합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결샤시는 단면이 "H" 자 형상으로 평판형상을 가지거나, 상기 제1조립단부와 상기 제2조립단부가 서로 일정각도를 이루도록 중간부분이 구부러지거나 곡면을 이루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결샤시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결샤시에 삽입된 플레이트는 상기 링형 가압부에 눌려 링형의 홈이 형성됨에 의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결샤시와 상기 플레이트가 서로 맞물려 결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다른 측면에 따른 배관 단열 구조체의 단열 커버 장치 제조 방법은, 배관을 감싸는 단열재의 외부 표면을 덮는 마감커버와, 상기 단열재의 외부 표면 중 상기 마감커버에 의해 덮이지 않는 부위를 덮도록 배치되며 말단에 강선이 삽입된 고리부를 갖는 보호시트를 준비하고, 상기 마감커버와 상기 보호시트 사이를 연결하기 위해, 수평판부와, 상기 수평판부에서 수직 방향으로 연장된 내측 수직판부와, 상기 수평판부에서 수직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내측 수직판부와의 사이에 삽입홈을 형성하는 외측 수직판부를 일체로 포함하는 연결 소켓을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마감커버의 단부를 상기 삽입홈에 삽입하고, 상기 삽입홈에 상기 마감커버의 단부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내측 수직판부에 복수개의 링형 가압부를 형성하여, 상기 마감커버와 상기 연결소켓을 결합하는 단계와; 상기 보호시트의 고리부가 상기 연결소켓의 상기 수평판부와 상기 내측 수직판부 사이의 코너에 놓인 상태에서, 상기 내측 수직판부를 절개 후 구부리거나 말아 올린 클램핑 후크로 상기 강선이 삽입된 고리부를 감싸는 형태로 클램핑하여 상기 보호시트와 상기 연결소켓를 결합하는 단계를 구비한다.
상기 복수개의 링형 가압부는 링형 단면의 펀치(punch)로 상기 내측 수직판부를 프레스 가공하여 형성된 것이고, 상기 마감커버 및 상기 외측 수직판부 각각에는 상기 링형 가압부에 눌려 링형의 홈이 형성됨에 의해, 상기 내측 수직판부, 상기 마감커버 및 상기 외측 수직판부가 서로 맞물려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마감커버는, 제1단부에는 제1샤시삽입홈이 형성되고 제2단부에는 제2샤시삽입홈이 형성된 연질금속재질의 적어도 하나의 연결샤시와; 연질금속재질의 복수의 플레이트들을 구비하여, 상기 복수의 플레이트들 중 어느 하나인 제1플레이트의 일단부가 상기 제1샤시삽입홈에 삽입되고 상기 제1플레이트에 인접된 제2플레이트의 일단부가 상기 제2샤시삽입홈에 삽입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연결샤시의 내면에서 상기 제1샤시삽입홈을 향하여 링 형태로 가압 성형되는 복수개의 링형 가압부에 의해 상기 연결샤시와 상기 제1플레이트가 결합되고, 상기 연결샤시의 내면에서 상기 제2샤시삽입홈을 향하여 링 형태로 가압 성형되는 복수개의 링형 가압부에 의해 상기 연결샤시와 상기 제2플레이트가 결합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상기 복수의 플레이트들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결샤시가 상기 배관의 곡면에 대응하여 결합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배관을 둘러싸는 단열재를 덮는 마감 커버 및 보호 시트와 마감 커버와 보호 시트 사이를 연결하는 소켓을 결합함에 있어, 리벳 등과 같은 추가적인 요소 없이, 간편하고 빠르게 결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별도의 체결부재가 필요없이 간편하고 빠르게 마감커버를 배관의 곡면에 대응하도록 조립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 및 도 2는 종래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예 따른 단열 커버 장치가 적용된 배관 단열 구조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 단열 커버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2 단열 커버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 단열 커버 장치의 링형 가압부 부분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 단열 커버 장치의 클램핑 후크 결합 부분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2 단열 커버 장치의 링형 가압부 부분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2 단열 커버 장치의 클램핑 후크 결합 부분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마감커버 중 엘보용 배관에 적용되기 위한 마감커버의 개략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연결샤시와 플레이트의 결합부위의 링형 가압부 형성전과 형성부의 확대도이다.
도 12는 마감커버 중 직관용 배관에 적용되기 위한 마감커버의 개략도이다.
도 13은 링형 가압부를 형성하기 위한 장치의 개략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를 위해 과장되거나 단순화되어 나타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은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관계없는 부분의 설명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여러 실시예들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인 실시예에서만 설명하고, 그 외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대표적인 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된 것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배관 단열 구조체의 단열커버장치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관 단열 구조체의 분해단면도이고, 도 4 및 도 5는 제1 단열 커버 장치(A) 및 제 2 단열 커버 장치(B)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6 내지 도 9는 제1 단열 커버 장치(A) 및 제2 단열 커버 장치(B)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도 6은 제1 단열 커버 장치(A)의 링형 가압부 부분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7은 제1 단열 커버 장치(A)의 클램핑 후크 결합 부분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8은 제2 단열 커버 장치(B)의 링형 가압부 부분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9는 제2 단열 커버 장치(B)의 클램핑 후크 결합 부분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관 단열 구조체는 고온 고압의 증기나 온수가 흐르는 배관(10)을 둘러싸도록 장착되어, 배관(10)의 단열성을 높임과 동시에 외부 충격에 의한 배관(1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배관(10)에서 발생되는 진동 및 소음을 감쇠시킬 수 있는 구조가 추가로 더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배관 단열 구조체는 엘보 배관, 직관, 플랜지용 배관, 밸브용 배관, T형 배관 등에 그 형상에 맞게 변형되어 적용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 배관 단열 구조체는, 배관(10)의 폭방향 일측과 타측을 감싸는 반원통 형상의 제1 단열재(1100) 및 제2 단열재(1200)와 상기 제1 단열재(1100)와 상기 제2 단열재(1200) 각각의 외부 표면을 감싸는 제1 단열 커버 장치(A) 및 제2 단열 커버 장치(B)와, 제1 단열 커버 장치(A) 및 제2 단열 커버 장치(B)를 결합시키는 체결유닛을 포함한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배관(10)에서 발생된 진동을 흡수하는 방진수단이 추가로 더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 단열재(1100) 및 제2 단열재(1200)는 다양한 단열재로 구성될 수 있고, 단일층 구조 또는 서로 다른 단열재가 서로 복수의 층을 이루는 복합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단열 커버 장치(A) 및 제2 단열 커버 장치(B)는 마감커버(2000)와 보호시트(3000)를 서로 결합시킨 구조를 가지며, 상기 마감커버(2000)는 상기 제1 단열 커버 장치(A)를 구성하는 제1마감커버(2100)와 상기 제2 단열 커버 장치(B)를 구성하는 제2마감커버(2200)로 구분되고, 상기 보호시트(3000)는 상기 제1 단열 커버 장치(A)를 구성하는 제1보호시트(3100)와 상기 제2 단열 커버 장치(B)를 구성하는 제2보호시트(3200)로 구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단열 커버 장치(A) 및 제2 단열 커버 장치(B)는 상기 제1 단열재(1100)와 제2 단열재(1200)의 외부 표면의 일부를 덮는 제1 마감커버(2100) 및 제2 마감커버(2200)와, 상기 제1 단열재(1100)와 제2 단열재(1200)의 외부 표면 중 상기 제1 마감커버(2100) 또는 제2 마감커버(2200)에 의해 덮이지 아니한 부위를 덮는 제1 보호시트(3100) 및 제2 보호시트(3200)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단열 커버 장치(A) 및 제2 단열 커버 장치(B)는 상호 결합되었을 때 원통 형상을 이루는 하나의 단열커버 구조체가 되며, 내부에 구비된 단열재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배관 단열 구조체를 구성하게 된다.
상기 제1 마감 커버(2100)와 제2 마감커버(2200)는 외부 충격에 대한 강성을 가지면서도 제작시의 편의성을 가질 수 있도록 알루미늄이나 알루미늄 합금 등의 연질 금속재질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단열 커버 장치(A) 및 제2 단열 커버 장치(B) 또는 상기 제1 마감 커버(2100)와 제2 마감커버(2200)는 좌우측에 구비된 채 길이 방향을 따라 어레이된 다수 개의 체결유닛에 의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체결유닛은, 제2 마감커버(2200)에 고정 결합되는 체결후크(5100)와, 제1 마감커버(2100)에 회전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는 회전편(5200)과, 일측이 상기 회전편(5200)에 결합되고 타측이 체결후크(5100)에 걸릴 수 있도록 절곡된 체결링크(5300)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보호시트(3100)와 제2 보호시트(3200)는 상기 제1 마감커버(2100) 또는 제2 마감커버(2200)에 의해 덮이지 않는 제1 단열재(1100)와 제2 단열재(1200)의 외부 표면, 즉, 제1 단열재(1100) 및 제2 단열재(1200)의 외주면 아닌 외부 표면이 외부로 노출되지 아니하도록 제1 단열재(1100)와 제2 단열재(1200)의 일부 표면을 감싸도록 배치된다.
이때, 제1 보호시트(3100)와 제2 보호시트(3200)는 배관(10)에서 발생되는 열에 의해 손상되지 아니하도록 세라믹 섬유 등과 같은 불연성 직물로 제작된다. 상기 제1 보호시트(3100)와 제2 보호시트(3200)는 직물로 제작됨에 의해 플렉서블한 특성을 가지게 되어, 배관(10)의 표면이 불규칙적이거나 일부 돌출부위가 있다고 하여도, 밀착되도록 배관(10)을 둘러싸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1 보호시트(3100)와 제2 보호시트(3200) 각각은 이하 설명되는 제1 연결 소켓(7100) 및 제2 연결 소켓(7200)에 의해 제1 마감커버(2100) 및 제2 마감커버(2200)와 연결된다. 플렉서블한 특성을 갖는 제1 보호시트(3100)와 제2 보호시트(3200) 각각을 제1 연결 소켓(7100) 및 제2 연결 소켓(7200)에 안정적으로 결합하기 위해, 제1 보호시트(3100) 및 제2 보호시트(3200)는 말단 부분이 폴딩되어 겹쳐진 후 재봉되어 제1 및 제2 고리부(3110, 3210)가 형성되고, 그 제1 및 제2 고리부(3110, 3210)에는 일정 강도를 갖는 원형 단면의 제1 및 제2 강선(6100, 6200)이 길게 삽입 설치된다. 보호시트(3100,3200)는 금속으로 제작되는 것이 아니라 플렉서블한 특성을 가지는 연성재질의 직물로 제작되므로, 금속으로 제작되는 마감커버(2100,2200)에 직접 결합되는 경우 상기 보호시트(3100,3200)가 상기 마감커버(2100,2200)로부터 쉽게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보호시트(3100,3200)의 말단 부분이 보다 견고하게 마감커버(2100,2200)와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강선(6100,6200)이 삽입된 상기 고리부(3100,3210)를 형성하게 된다.
한편, 상기 마감커버(2000)와 보호시트(3000) 사이에 위치하는 단열재(1100 또는 1200)가 일측으로 쏠리거나 치우치지 아니하도록 즉, 단열재(1100 또는 1200)의 위치가 일정하게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마감커버(2000)와 보호시트(3000)에 의해 형성된 공간은 복수개의 셀(cell)로 구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셀은 예를 들어, 길이방향 일단이 보호시트(3000)에 연결되고 길이방향 타단이 단열재(1100 또는 1200)를 관통하여 마감커버(2000)에 연결되는 제1 및 제2 연결시트(4100 또는 4200)에 의해 구획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단열 커버 장치(A) 및 제2 단열 커버 장치(B)는 제1 단열재(1100)와 제2 단열재(1200)의 외부 표면을 덮는 제1 마감커버(2100) 및 제2 마감커버(2200)와, 제1 단열재(1100)와 제2 단열재(1200)의 외부 표면 중 상기 제1 마감커버(2100) 또는 제2 마감커버(2200)에 의해 덮이지 아니한 부위를 덮는 제1 보호시트(3100) 및 제2 보호시트(3200)와, 제1 보호시트(3100) 및 제2 보호시트(3200) 각각을 제1 마감커버(2100) 및 제2 마감커버(2200)와 연결하기 위한 제1 연결 소켓(7100) 및 제2 연결 소켓(7200)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연결 소켓(7100)은 알루미늄이나 알루미늄 합금 재료 등의 연질금속재료를 이용한 압출 성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연결 소켓(7100)은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수평판부(7110)와, 제1 수평판부(7110)에서 수직 방향으로 연장된 제1 내측 수직판부(7120)와, 제1 내측 수직판부(7120)와 평행을 이루도록 제1 수평판부(7110)에서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제1 외측 수직판부(7130)를 일체로 포함한다.
상기 제1 내측 수직판부(7120)와 상기 제1 외측 수직판부(7130) 사이에는 제1 마감커버(2100)가 삽입되는 제1 삽입홈이 형성된다. 제1 마감커버(2100)는 측단부가 제1 수평판부(7110)과 접하는 깊이까지 제1 삽입홈에 완전히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삽입홈에 삽입된 제1 마감커버(21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내측 수직판부(7120)에 링 형태로 가압 성형된 복수개의 제1 링형 가압부(7122)들에 의해 제1 삽입홈에 단단히 고정된다. 복수개의 제1 링형 가압부(7122)들 각각은 제1 내측 수직판부(7120)에 링형 단면의 펀치(punch)로 프레스 가공하여 형성된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판(8100)에 링형 단면을 가지는 펀치(8200)를 설치하고, 상기 펀치(8200) 위에 상기 내측 수직판부(7120)의 가압부위가 위치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내측 수직판부(7120)의 상측에 위치되는 상기 외측 수직판부(7130)의 대응부위를 프레스(8300)로 가압하는 방식으로 상기 제1링형가압부(7122)들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링형 단면 대신에 원형 또는 기타 다른 단면 형태의 펀치가 이용되는 것도 고려될 수 있다.
상기 제1링형 가압부(7122)의 깊이는 상기 펀치(8200)가 상기 바닥판(8100)으로부터 돌출된 길이에 대응되므로, 상기 펀치(8200)의 돌출길이를 조절함에 의해 상기 제1링형 가압부(7122)의 깊이 조절이 가능하다. 상기 바닥판(8100)은 원활한 작업을 위해 둥글게 돌출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링형 가압부(7122) 각각은 제1 마감커버(2100)를 향해 돌출된 형태를 가지며, 상기 제1 마감커버(2100)가 제1 링형 가압부(7122)에 의해 눌리고, 상기 제1 외측 수직판부(7130)는 상기 제1 마감커버(2100)의 눌림부위에 의해 눌려짐에 의해, 즉 상기 제1 링형 가압부(7122)를 형성하는 압력이 상기 제1 마감커버(2100) 및 상기 제1 외측 수직판부(7130)에 연쇄적으로 가해짐에 따라, 상기 제1 마감커버(2100) 및 상기 제1 외측 수직판부(7130) 각각에는 대응되는 부위, 즉 압력이 가해지는 부위에 링형의 홈(7123)이 형성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내측 수직판부(7120), 상기 제1 마감커버(2100) 및 상기 제1 외측 수직판부(7130)가 서로 맞물려 결합되게 된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제1 보호시트(3100)는 말단 부분이 폴딩되어 겹쳐진 후 재봉되어 제1 고리부(3110)가 형성되고, 그 고리부(3110)에는 일정 강도를 갖는 원형 단면의 제1 강선(6100)이 길게 삽입 설치된다.
한편, 제1 보호시트(31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선(6000)이 삽입된 제1 고리부(3110)가 제1 수평판부(7110)와 제1 내측 수직판부(7120) 사이의 코너에 놓이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제1 연결 소켓(7100)에 고정된다. 제1 연결 소켓(7100)은 제1 보호시트(3100)를 고정하기 위해 제1 내측 수직판부(7120)에서 절개된 후 구부려지거나 말아 올려져 제1 강선(6100)이 삽입된 제1 고리부(3110)를 감싸는 형태로 클램핑하는 복수개의 제1 클램핑 후크(7124)를 일체로 포함한다.
복수개의 제1 클램핑 후크(7124) 각각을 형성하기 위해,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절개선을 형성하도록 제1 내측 수직판부(7120)을 찢는 제1 과정과, 찢겨진 부분, 즉, 한 쌍의 절개선 사이에서 찢겨진 부분을 고리 형태로 구부리거나 말아 올려 제1 강선(6100)이 삽입되어 있는 제1 보호시트(3100)의 제1 고리부(3110)를 감싸는 형태로 클램핑하는 제1 클램핑 후크(7124)를 성형하는 제2 과정이 차례로 수행된다. 제1 과정과 제2 과정이 하나의 장치에 의해 한 번에 이루어질 수도 있고, 별도의 장치에 의해 각각 나누어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제1 연결 소켓(7100)은, 제1 수평판부(7100)의 단부에서 제2 연결 소켓(7200)의 외부면을 덮도록, 제1 내측 수직판부(7120) 및 제1 외측 수직판부(713)의 연장 방향과 반대 방향인 수직 방향으로 연장된 연장판부(7140)을 더 포함한다. 이때, 연장판부(7140)와 제2 연결 소켓(7200)의 외부면 사이에는 패킹(7500)이 개재될 수 있다.
한편, 제2 연결 소켓(7200)은 알루미늄이나 알루미늄 합금 재료 등의 연질금속재료를 이용한 압출 성형에 의해 형성되는 것으로서, 전술한 제1 연결 소켓(7100)과 하나의 세트를 이룰 수 있다. 또한, 제2 연결 소켓(7200)은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수평판부(7210)와, 상기 제2 수평판부(7210)에서 수직 방향으로 연장된 제2 내측 수직판부(7220)와, 제2 내측 수직판부(7220)와 평행을 이루면서 제2 수평판부(7210)에서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제2 외측 수직판부(7230)를 일체로 포함한다.
제2 내측 수직판부(7220)와 제2 외측 수직판부(7230) 사이에는 제2 마감커버(2200)가 삽입되는 제2 삽입홈이 형성된다. 제2 마감커버(2200)는 측단부가 제2 수평판부(7210)와 접하는 깊이까지 제2 삽입홈에 완전히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삽입홈에 삽입된 제2 마감커버(220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내측 수직판부(7220)에 링 형태로 가압 성형된 복수개의 제2 링형 가압부(7222)들에 의해 제2 삽입홈에 단단히 고정된다. 복수개의 제2 링형 가압부(7222)들 각각은 제2 내측 수직판부(7220)에 링형 단면의 펀치로 프레스 가공하여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제2 링형 가압부(7222)들의 형성방식은 상기 제1 링형 가압부(7122)들의 형성방식과 동일하다.
상기 제2 링형 가압부(7222) 각각은 제2 마감커버(2200)를 향해 돌출된 형태를 가지며, 제2 마감커버(2200)가 제2 링형 가압부(7222)에 의해 눌리고, 상기 제2외측 수직판부(7230)는 상기 제2 마감커버(2200)의 눌림부위에 의해 눌려진다. 즉 상기 제2 링형 가압부(7222)를 형성하는 압력이 상기 제2 마감커버(2200) 및 상기 제2 외측 수직판부(7230)에 연쇄적으로 가해짐에 따라, 상기 제2 마감커버(2200) 및 상기 제2 외측 수직판부(7230) 각각에는 대응되는 부위, 즉 압력이 가해지는 부위에에는 링형의 홈(7223)이 형성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2 내측 수직판부(7220), 상기 제2 마감커버(2200) 및 상기 제1 외측 수직판부(7230)가 서로 맞물려 결합되게 된다.
상기 제2 보호시트(3200)는 말단 부분이 폴딩되어 겹쳐진 후 재봉되어 제2 고리부(3210)가 형성되고, 그 제2 고리부(3210)에는 일정 강도를 갖는 원형 단면의 제2 강선(6200)이 길게 삽입 설치된다.
한편, 제2 보호시트(320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강선(6200)이 삽입된 제2 고리부(3210)가 제1 수평판부(7210)와 제2 내측 수직판부(7220) 사이의 코너에 놓이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제2 연결 소켓(7200)에 고정된다. 제2 연결 소켓(7200)은 제2 보호시트(3200)를 고정하기 위해 제2 내측 수직판부(7220)에서 절개된 후 구부러지거나 말아 올려져 제2 강선(6200)이 삽입된 제2 고리부(3210)를 감싸는 형태로 클램핑하는 복수개의 제2 클램핑 후크(7224)를 일체로 포함한다.
복수개의 제2 클램핑 후크(7224) 각각을 형성하기 위해,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절개선을 형성하도록 제2 내측 수직판부(7220)을 찢는 제1 과정과, 찢겨진 부분, 즉, 한 쌍의 절개선 사이에서 찢겨진 부분을 고리 형태로 구부리거나 말아 올려 제2 강선(6200)이 삽입되어 있는 제2 보호시트(3200)의 고리부(3210)를 클램핑하는 제2 클램핑 후크(7224)를 성형하는 제2 과정이 차례로 수행된다. 제1 과정과 제2 과정이 하나의 장치에 의해 한 번에 이루어질 수도 있고, 별도의 장치에 의해 각각 나누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연결 소켓(7100 또는 7200)의 내측 수직판부(7120 또는 7220)와 외측 수직판부(7130 또는 7230) 사이에 삽입된 마감커버(2100 또는 2200)가, 내측 수직판부(7120 또는 7220)를 링형 단면을 가지는 펀치를 이용하여 프레스 가공하여 형성된 복수개의 링형 가압부(7122 또는 7222)들에 의해 연결 소켓(7100 또는 7200)과 결합된다. 또한, 내측 수직판부(7120 또는 7220)에서 절개 후 구부리거나 말아 올려 형성한 복수개의 클램핑 후크(7124, 7224)로 강선(6100 또는 6200)이 삽입된 고리부(3210 또는 3220)를 클램핑하여 보호시트(3100, 3200)를 상기 연결 소켓(7100 또는 7200)에 고정하여 결합하므로, 리벳 또는 와셔와 같은 추가적인 부품들의 생략이 가능하고 그 리벳 또는 와셔 등의 부품을 이용한 복잡한 결합 작업이 생략될 수 있다.
전술한 배관 단열 구조체의 단열 커버 장치(A 또는 B)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수평판부(7110 또는 7210)와, 상기 수평판부(7110 또는 7210)에서 수직 방향으로 연장된 내측 수직판부(7120 또는 7220)와, 상기 수평판부(7110 또는 7210) 에서 수직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내측 수직판부(7120 또는 7220)와의 사이에 삽입홈을 형성하는 외측 수직판부(7130 또는 7230)를 포함하는 연결 소켓(7100 또는 7200)을 준비한다.
다음으로, 전술한 마감커버(201000)의 단부를 상기 삽입홈에 삽입하고, 상기 삽입홈에 상기 마감커버(200)의 단부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내측 수직판부(7120 또는 7220)에 복수개의 상기 마감커버(2000)를 고정하는 복수개의 링형 가압부(7122 또는 7222)를 프레스 가공에 의해 형성하여, 상기 마감커버(2000)를 연결 소켓(7100 또는 7200)에 고정결합한다.
또한, 보호시트(3000)을 상기 연결 소켓(7100 또는 7200)에 고정하기 위해 상기 보호시트(3100 또는 3200)의 말단을 겹쳐 고리부(3110 또는 3210)를 형성한 후, 상기 고리부(3110 또는 3210)에 전술한 원형 단면의 강선(6100 또는 6200)을 삽입하고, 상기 강선(6100 또는 6200)이 삽입된 고리부(3110 또는 3210)가 상기 수평판부(7110 또는 7210)와 상기 내측 수직판부(7120 또는 7220) 사이의 코너에 놓인 상태에서, 상기 내측 수직판부(7120 또는 7220)를 절개 후 구부리거나 말아 올린 클램핑 후크(7124 또는 7224)로 상기 강선(6100 또는 6200)이 삽입된 고리부(3110 또는 3210)를 감싸도록 클램핑하여, 상기 보호시트(3000)를 연결 소켓(7100 또는 7200)에 고정결합하게 된다.
한편, 상기 마감커버(20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관(10)을 감싸는 단열재(1100,1200)의 외부표면을 덮는 구조로 배관(10)의 곡면에 대응하는 곡면을 가지도록 형성되게 된다. 상기 마감커버(2000)는 복수의 플레이트들과 적어도 하나의 연결샤시를 이용하여 상술한 링형 가압부를 형성하는 방식으로 복수의 플레이트들과 적어도 하나의 연결샤시를 결합시켜 형성가능하다. 이하 도 10 내지 도 13을 통해 자세히 설명한다.
도 10은 상기 마감커버 중 엘보용 배관에 적용되기 위한 마감커버의 개략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연결샤시와 플레이트 결합부분의 링형 가압부 형성전과 형성부의 확대도이다.
도 10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엘보용 배관의 단열커버장치(A,B)를 구성하는 상기 마감커버(2000)는 복수의 플레이트(2400)들과 적어도 하나의 연결샤시(2500)가 상기 엘보용 배관의 곡면에 대응하도록 조립된다.
상기 마감커버(2000)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샤시(2500) 및 복수의 플레이트(2400)가 조립 또는 결합되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 마감커버(2000)의 폭방향 단부는 도 3을 통해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연결소켓(7100,7200)을 통해 상기 보호시트(3000)와 결합되게 된다. 상기 마감커버(2000)의 길이방향 단부도 필요에 따라 상기 연결소켓(7100,7200)을 통해 상기 보호시트(3000)와 결합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마감커버(2000)를 이루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샤시(2500), 복수의 플레이트(2400)들은 알루미늄이나 알루미늄 합금 등의 연질금속재질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결샤시(2500)의 제1조립단부에는 제1샤시삽입홈(2510)이 형성되고 반대편 제2조립단부에는 제2샤시삽입홈(2520)이 형성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결 샤시(2500)는 단면이 "H" 자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제1조립단부와 제2조립단부가 직선을 이루는 평판 형상을 가질 수도 있고, 상기 제1조립단부와 상기 제2조립단부가 서로 일정각도를 이루도록 중간부분이 구부러진 형상을 가지거나, 상기 배관(10)의 곡면에 대응되는 곡면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플레이트(2400)들은 일정길이를 가지도록 구비되고, 상기 단열커버장치(A,B)는 평판 또는 배관(10)의 곡면에 대응되는 곡면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엘보 배관의 곡면을 감싸는 구조로 형성되기 위해 다양한 폭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플레이트(2400)들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결샤시(2500)는 다음과 같이 조립된다.
도 1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복수의 플레이트(2400)들 중 어느 하나인 제1플레이트(2400a)의 일단부가 상기 제1샤시삽입홈(2510)에 삽입되고 상기 제1플레이트(2400a)에 인접된 제2플레이트(2400b)의 일단부가 상기 제2샤시삽입홈(2520)에 삽입되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도 1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결샤시(2500)의 내면(도 3에서 상기 마감커버(2000)가 단열재(1100)를 감싸는 경우 단열재(1100)와 접촉하는 면)에서 상기 제1샤시삽입홈(2510)을 향하여 링 형태로 가압 성형되는 복수개의 제3링형 가압부(2530)들을 형성하여 상기 연결샤시(2500)와 상기 제1플레이트(2400a)가 결합되도록 하고, 상기 연결샤(2500)시의 내면(도 3에서 상기 마감커버(2000)가 단열재(1100)를 감싸는 경우 단열재(1100)와 접촉하는 면)에서 상기 제2샤시삽입홈(2520)을 향하여 링 형태로 가압 성형되는 복수개의 제4링형 가압부(2540)들을 형성함에 의해 상기 연결샤시(2500)와 상기 제2플레이트(2400b)가 결합되도록 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기 복수의 플레이트(2400)들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결샤시(2500)가 상기 배관(10)의 곡면에 대응하여 결합되어 상기 마감커버(2000)를 구성하게 된다.
복수개의 제3링형 가압부(2530)들 및 복수개의 제4링형 가압부(2540)들 각각은 상기 연결샤시(2500)의 내면을 링형단면의 펀치(punch)로 프레스 가공하여 형성된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판(8100)에 링형 단면을 가지는 펀치(8200)를 설치하고, 상기 펀치(8200) 위에 상기 연결샤시(2500)의 내면의 가압부위가 위치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측에 위치되는 상기 연결샤시(2500)의 외면의 대응부위를 프레스로 가압하는 방식으로 상기 복수개의 제3링형 가압부(2530)들 및 복수개의 제4링형 가압부(2540)들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링형 단면 대신에 원형 또는 기타 다른 단면 형태의 펀치가 이용되는 것도 고려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제3링형 가압부(2530)들 및 복수개의 제4링형 가압부(2540)들 깊이는 상기 펀치(8200)가 상기 바닥판(8100)으로부터 돌출된 길이에 대응되므로, 상기 펀치(8200)의 돌출길이를 조절함에 의해 상기 복수개의 제3링형 가압부(2530)들 및 복수개의 제4링형 가압부(2540)들의 깊이 조절이 가능하다. 상기 바닥판(8100)은 배관의 곡면에 대응되는 마감커버(2000)의 원활한 조립을 위해 둥글게 돌출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술한 도 13의 링형 가압부를 형성하기 위한 장치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잘 알려진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연결샤시(2500)의 내면을 가압하여 형성된 상기 제3링형 가압부(2530) 및 상기 제4링형 가압부(2540) 각각은 상기 연결샤시(2500)의 샤시삽입홈(2510,2520)에 삽입된 플레이트(2400a,2400b)를 향해 돌출된 형태를 가지며, 샤시삽입홈(2510,2520)에 삽입된 플레이트(2400a,2400b)의 내측으로 형성되는 상기 제3링형 가압부(2530) 및 상기 제4링형 가압부(2540)에 의해 상기 플레이트(2400a,2400b)가 가압되어 눌리고, 상기 플레이트(2400a,2400b)의 눌림부위에 의해 상기 플레이트(2400a,2400b)의 외측에 있는 상기 연결샤시(2500)가 눌려짐에 의해, 압력이 가해지는 부위에 링형의 홈(2550)이 형성되게 된다.
즉 상기 제3링형 가압부(2530) 및 상기 제4링형 가압부(2540)를 형성하는 압력이 상기 연결샤시(2500)의 내측, 상기 플레이트(2400a,2400b) 및 상기 연결샤시(2500)의 외측에 연쇄적으로 가해짐에 따라, 상기 연결샤시(2500) 및 상기 플레이트(2400a,2400b) 각각에는 대응되는 부위, 즉 압력이 가해지는 부위에 링형의 홈(2550)이 형성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연결샤시(2500)와 상기 플레이트(2400a,2400b)가 서로 맞물려 결합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연결샤시(2500)을 매개로 하여 서로 인접된 두개의 플레이트(2400a,2400b)가 결합되게 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복수의 플레이트(2400)들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결샤시(2500)를 상기 배관(10) 곡면에 대응하도록 곡면형상으로 결합하게 되면, 엘보배관용 마감커버(2000)를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2는 상기 직관용 배관의 단열커버장치(A,B)를 구성하는 마감커버(2000)를 도시한 것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관용 마감커버(2000)는 상술한 엘보 배관용 마감커버의 조립 또는 결합방식을 그대로 적용하여 구현가능하다.
이외에도, 도 10 내지 도 11를 통해 설명한 마감커버의 조립 또는 결합방식은 플랜지용 배관, 밸브용 배관, T형 배관 등에 그 형상에 맞게 변형되어 적용가능함은 명백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배관을 둘러싸는 단열재를 덮는 마감 커버, 보호 시트와 연결 소켓을 결합함에 있어, 리벳 등과 같은 추가적인 요소 없이, 간편하고 빠르게 결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별도의 체결부재가 필요없이 간편하고 빠르게 마감커버를 배관의 곡면에 대응하도록 조립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100, 1200: 단열재 2000, 2100, 2200: 마감커버
3000, 3100, 3200: 보호시트 7100, 7200: 연결 소켓
7110, 7210: 수평판부 7120, 7220: 내측 수직판부
7130, 7230: 외측 수직판부 7122, 7222: 링형 가압부
7124, 7224: 클램핑 후크

Claims (10)

  1. 배관의 단열을 위한 배관 단열 구조체의 단열 커버 장치에 있어서:
    배관을 감싸는 단열재의 외부 표면 일부를 덮는 마감커버;
    상기 단열재의 외부 표면 중 상기 마감커버에 의해 덮이지 않는 부위를 덮도록 배치되며, 말단에 강선이 삽입된 고리부를 갖는 보호시트; 및
    상기 마감커버와 상기 보호시트 사이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 소켓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 소켓은,
    수평판부와;
    상기 수평판부에서 수직 방향으로 연장된 내측 수직판부와;
    상기 수평판부에서 수직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내측 수직판부와의 사이에 상기 마감커버가 삽입되는 삽입홈을 형성하는 외측 수직판부를 포함하고,
    상기 삽입홈에 삽입된 상기 마감커버는, 상기 내측 수직판부에 링 형태로 가압 성형되는 복수개의 링형 가압부에 의해 상기 연결소켓과 서로 결합되고,
    상기 보호시트는, 상기 고리부가 상기 내측 수직판부에서 절개된 후 구부러지거나 말아 올려지는 복수개의 클램핑 후크에 의해 감싸지는 형태로 클램핑됨에 의해 상기 연결소켓과 서로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단열 구조체의 단열 커버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마감커버와 상기 연결 소켓은 연질금속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보호시트는 직물재질임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단열 구조체의 단열 커버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링형 가압부는 링형 단면의 펀치(punch)로 상기 내측 수직판부를 프레스 가공하여 형성된 것이고,
    상기 마감커버 및 상기 외측 수직판부 각각에는 상기 링형 가압부에 눌려 링형의 홈이 형성됨에 의해, 상기 내측 수직판부, 상기 마감커버 및 상기 외측 수직판부가 서로 맞물려 결합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단열 구조의 단열 커버 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보호시트는, 상기 수평판부와 상기 내측 수직판부 사이의 코너에 상기 고리부가 놓이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내측 수직판부에서 절개된 후 구부러지거나 말아 올려진 상기 클램핑 후크가 상기 고리부를 감싸도록 클램핑됨에 의해 상기 연결소켓과 서로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단열 구조체의 단열 커버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마감커버는,
    제1조립단부에는 제1샤시삽입홈이 형성되고 제2조립단부에는 제2샤시삽입홈이 형성된 연질금속재질의 적어도 하나의 연결샤시와;
    연질금속재질의 복수의 플레이트들을 구비하여,
    상기 복수의 플레이트들 중 어느 하나인 제1플레이트의 일단부가 상기 제1샤시삽입홈에 삽입되고 상기 제1플레이트에 인접된 제2플레이트의 일단부가 상기 제2샤시삽입홈에 삽입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연결샤시의 내면에서 상기 제1샤시삽입홈을 향하여 링 형태로 가압 성형되는 복수개의 링형 가압부에 의해 상기 연결샤시와 상기 제1플레이트가 결합되고, 상기 연결샤시의 내면에서 상기 제2샤시삽입홈을 향하여 링 형태로 가압 성형되는 복수개의 링형 가압부에 의해 상기 연결샤시와 상기 제2플레이트가 결합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상기 복수의 플레이트들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결샤시가 상기 배관의 곡면에 대응하여 결합된 구조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단열 구조체의 단열 커버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결샤시는 단면이 "H" 자 형상으로 평판형상을 가지거나, 상기 제1조립단부와 상기 제2조립단부가 서로 일정각도를 이루도록 중간부분이 구부러지거나 곡면을 이루는 형상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단열 구조체의 단열 커버 장치.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결샤시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결샤시에 삽입된 플레이트는 상기 링형 가압부에 눌려 링형의 홈이 형성됨에 의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결샤시와 상기 플레이트가 서로 맞물려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단열 구조체의 단열 커버 장치.
  8. 배관 단열 구조체의 단열 커버 장치 제조 방법에 있어서:
    배관을 감싸는 단열재의 외부 표면을 덮는 마감커버와, 상기 단열재의 외부 표면 중 상기 마감커버에 의해 덮이지 않는 부위를 덮도록 배치되며 말단에 강선이 삽입된 고리부를 갖는 보호시트를 준비하고, 상기 마감커버와 상기 보호시트 사이를 연결하기 위해, 수평판부와, 상기 수평판부에서 수직 방향으로 연장된 내측 수직판부와, 상기 수평판부에서 수직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내측 수직판부와의 사이에 삽입홈을 형성하는 외측 수직판부를 일체로 포함하는 연결 소켓을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마감커버의 단부를 상기 삽입홈에 삽입하고, 상기 삽입홈에 상기 마감커버의 단부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내측 수직판부에 복수개의 링형 가압부를 형성하여, 상기 마감커버와 상기 연결소켓을 결합하는 단계와;
    상기 보호시트의 고리부가 상기 연결소켓의 상기 수평판부와 상기 내측 수직판부 사이의 코너에 놓인 상태에서, 상기 내측 수직판부를 절개 후 구부리거나 말아 올린 클램핑 후크로 상기 강선이 삽입된 고리부를 감싸는 형태로 클램핑하여 상기 보호시트와 상기 연결소켓를 결합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단열 구조체의 단열 커버 장치 제조 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링형 가압부는 링형 단면의 펀치(punch)로 상기 내측 수직판부를 프레스 가공하여 형성된 것이고,
    상기 마감커버 및 상기 외측 수직판부 각각에는 상기 링형 가압부에 눌려 링형의 홈이 형성됨에 의해, 상기 내측 수직판부, 상기 마감커버 및 상기 외측 수직판부가 서로 맞물려 결합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단열 구조체의 단열 커버 장치 제조 방법.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마감커버는,
    제1단부에는 제1샤시삽입홈이 형성되고 제2단부에는 제2샤시삽입홈이 형성된 연질금속재질의 적어도 하나의 연결샤시와;
    연질금속재질의 복수의 플레이트들을 구비하여,
    상기 복수의 플레이트들 중 어느 하나인 제1플레이트의 일단부가 상기 제1샤시삽입홈에 삽입되고 상기 제1플레이트에 인접된 제2플레이트의 일단부가 상기 제2샤시삽입홈에 삽입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연결샤시의 내면에서 상기 제1샤시삽입홈을 향하여 링 형태로 가압 성형되는 복수개의 링형 가압부에 의해 상기 연결샤시와 상기 제1플레이트가 결합되고, 상기 연결샤시의 내면에서 상기 제2샤시삽입홈을 향하여 링 형태로 가압 성형되는 복수개의 링형 가압부에 의해 상기 연결샤시와 상기 제2플레이트가 결합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상기 복수의 플레이트들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결샤시가 상기 배관의 곡면에 대응하여 결합된 구조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단열 구조체의 단열 커버 장치 제조 방법.
KR1020210152230A 2021-11-08 2021-11-08 배관 단열 구조체의 단열 커버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24700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2230A KR102470040B1 (ko) 2021-11-08 2021-11-08 배관 단열 구조체의 단열 커버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PCT/KR2021/017376 WO2023080315A1 (ko) 2021-11-08 2021-11-24 배관 단열 구조체의 단열 커버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2230A KR102470040B1 (ko) 2021-11-08 2021-11-08 배관 단열 구조체의 단열 커버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0040B1 true KR102470040B1 (ko) 2022-11-23

Family

ID=842367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2230A KR102470040B1 (ko) 2021-11-08 2021-11-08 배관 단열 구조체의 단열 커버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470040B1 (ko)
WO (1) WO202308031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9100B1 (ko) * 2023-08-08 2024-04-22 김국수 구조적 강도가 개선된 배관용 단열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7806Y1 (ko) * 2000-07-06 2000-12-15 이종문 배관 단열재용 엘보우 덕트
KR20040081397A (ko) * 2004-08-28 2004-09-21 노현우 보일러의 분배기용 보온커버
KR101727682B1 (ko) * 2015-12-08 2017-04-19 (주)동인엔지니어링 배관 가열커버
KR101820450B1 (ko) 2017-06-12 2018-01-22 (주)동인엔지니어링 방진기능을 구비하는 배관용 단열장치
KR101889443B1 (ko) * 2018-01-05 2018-08-17 (주)동인엔지니어링 배관용 단열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7806Y1 (ko) * 2000-07-06 2000-12-15 이종문 배관 단열재용 엘보우 덕트
KR20040081397A (ko) * 2004-08-28 2004-09-21 노현우 보일러의 분배기용 보온커버
KR101727682B1 (ko) * 2015-12-08 2017-04-19 (주)동인엔지니어링 배관 가열커버
KR101820450B1 (ko) 2017-06-12 2018-01-22 (주)동인엔지니어링 방진기능을 구비하는 배관용 단열장치
KR101889443B1 (ko) * 2018-01-05 2018-08-17 (주)동인엔지니어링 배관용 단열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9100B1 (ko) * 2023-08-08 2024-04-22 김국수 구조적 강도가 개선된 배관용 단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080315A1 (ko) 2023-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9449B1 (ko) 밸브유닛용 단열재 보호커버
KR102470040B1 (ko) 배관 단열 구조체의 단열 커버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1501643B1 (ko) T형 배관용 단열재 보호커버
KR101686971B1 (ko) 단열성능이 강화된 배관용 단열장치
US4418724A (en) Heat insulating casing
US20160245452A1 (en) Pipe insulation apparatus having finishing cover of compression-bonded structure
KR101820450B1 (ko) 방진기능을 구비하는 배관용 단열장치
KR101889443B1 (ko) 배관용 단열장치
JP5141592B2 (ja) 梁の配管挿通部における耐火被覆構造
KR101890293B1 (ko) 분기형 배관용 단열장치
KR101187548B1 (ko) 와이어브레이드호스 신축이음관
KR20170001363A (ko) 격벽 관통용 파이프 결합 어셈블리
US9644841B2 (en) Chimney duct
JP4826985B2 (ja) 断熱被覆銅管用固定金具及び固定方法
EP1608906B1 (de) Isolieranordnung für rohre, insbesondere für rohre eines pneumatiksystems in einem verkehrsflugzeug
US10738931B2 (en) Encasement for heat transfer fluid (HTF) conduits
KR101173681B1 (ko) 탈부착식 단열 커버
WO1996008438A1 (en) Insulation element and apparatus for mounting the element
KR102446724B1 (ko) 배관 단열 구조체용 연결 소켓의 클램핑 후크 성형 장치
KR20120019895A (ko) 배관 부재 관통 구조
KR101890284B1 (ko) 밸브유닛용 단열장치
KR101572169B1 (ko) 직관용 단열재 보호커버
JP6895805B2 (ja) 区画貫通部の耐火構造
KR102659100B1 (ko) 구조적 강도가 개선된 배관용 단열장치
JP6255291B2 (ja) 分岐管継手、この分岐管継手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