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1643B1 - T형 배관용 단열재 보호커버 - Google Patents

T형 배관용 단열재 보호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1643B1
KR101501643B1 KR20140048659A KR20140048659A KR101501643B1 KR 101501643 B1 KR101501643 B1 KR 101501643B1 KR 20140048659 A KR20140048659 A KR 20140048659A KR 20140048659 A KR20140048659 A KR 20140048659A KR 101501643 B1 KR101501643 B1 KR 1015016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vided body
divided
chassis
opening
fini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486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국수
Original Assignee
(주)동인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동인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동인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201400486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164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16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16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0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14Arrangements for the insulation of pipes or pipe systems
    • F16L59/16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local requirements at flanges, junctions, valves or the like
    • F16L59/161Housings for valves, tee piece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0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14Arrangements for the insulation of pipes or pipe systems
    • F16L59/147Arrangements for the insulation of pipes or pipe systems the insulation being located inwardly of the outer surface of the pi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otection Of Pipes Against Damage, Friction, And Corros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T형 배관용 단열재 보호커버 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제1개구와, 상기 제1개구의 반대방향으로 오픈된 제2개구와, 상기 제1개구 및 상기 제2개구와 수직되는 방향으로 오픈된 제3개구를 가지는 T형 배관용 단열재 보호커버는, 일정길이를 가지는 반원통 형상을 가지며, 일단부분은 상기 제1개구의 일부를 구성하고 타단부분은 상기 제2개구의 일부를 구성하는 제1분할체와; 일단부분과 타단부분을 연결하는 중간부분에서 꺾인 구조의 반원통 형상을 가지며, 일단부분은 상기 제1분할체의 일단부분과 결합되어 상기 제1개구를 완성하고 타단부분은 상기 제3개구의 일부를 구성하는 제2분할체와; 상기 제2분할체와 대칭되는 구조 또는 동일구조로 구성하여, 일단부분은 상기 제1분할체의 타단부분과 결합되어 상기 제2개구를 완성하고 타단부분은 상기 제2분할체의 타단부분과 결합되어 상기 제3개구를 완성하는 제3분할체를 구비한다.

Description

T형 배관용 단열재 보호커버{A PROTECTION COVER FOR HEAT INSULATION MATERIAL OF T-TYPE PIPE}
본 발명은 T형 배관용 단열재 보호커버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T형 배관용 단열재 보호커버의 제조시 공정을 단순화하고 강성 및 정밀도를 높일 수 있는 T형 배관용 단열재 보호커버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오피스 빌딩, 산업용 건물 및 아파트 등의 건물에는 각종 배관 설비들이 설치되며, 이러한 배관 설비들은 보온 및 보냉 또는 부가적으로 배관설비의 수명연장 및 외관디자인을 위한 목적으로 보온 커버들이 설치되어 사용되며, 이러한 보온 커버는 주로 배관 설비에 있어 밸브, T형관, 엘보우, 직관 등에 사용된다.
특히, 발전소(원자력, 화력 등) 및 석유화학플랜트 등에는 보일러에서 생산된 고온 고압의 증기가 터빈에 회전력을 제공하여 최종적으로 전기적 에너지를 생산하는 것으로, 고온 고압의 증기와 온수는 배관을 통하여 각 계통별로 빠른 속도로 이송되고 있으며, 이송과정 중 배관 내부의 유체마찰 및 캐비테이션(Cavitation) 등에 의한 배관 두께가 얇아져 정상운전 중 계통의 안전사고를 유발시킬 수 있는 위험성이 잠재하고 있어 발전설비의 계획예방정비 중에 배관의 감육상태(부식 등의 원인으로 인해 배관의 벽이 얇아지는 상태) 점검으로 설비의 건전성을 확인하고 있다.
이러한 배관의 감육현상으로 인해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배관 측에 핀홀이 발생하여 큰 사고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배관에 대해 1년에 한번씩 계획예방정비를 통해 감육검사를 실시하고, 이를 기록 및 보고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감육검사를 실시할 때 기존의 단열재로 시공된 경우에는 배관의 외부에 마감된 금속재질의 보호커버(또는 마감커버) 및 단열재 등을 순차적으로 철거한 후에 감육검사를 실시한다. 이러한 감육검사를 실시한 후에 새로운 단열재를 부착하고, 보호커버로 마감하는 방식으로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감육검사 후의 단열재 시공방식은 매년 철거되는 단열재 및 보호커버의 폐기량으로 인해 자재의 막대한 낭비를 불러일으키고, 특히 T-형 배관용의 경우에는 직관의 단열재 설치에 비해 고도의 숙련된 기능이 요구될 뿐만 아니라 잘못 시공된 경우 단열틈새(thermal notch)의 발생으로 인해 열피로현상(thermalstress)이 증가하여 그 부분에 대한 감육현상이 현저하게 진행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전체 배관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T 형 배관의 보호커버는 강성이 유지되고 재활용이 가능하며 시공이 간편하고 제조가 용이할 것이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T형 배관의 단열재 보호커버는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2-0008974호(2012.12.28)에 기재된 바와 같이, T형의 상부 반원통체와 T 형의 하부 반원통체의 구조로 되어 있으며, 이들 반원통체들을 상하로 결합하여 T형 배관의 단열재를 감싸 보호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구조의 T형의 상부 반원통체와 T 형의 하부반원통체 각각은 도 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반원통체(10)의 길이방향 중간부분에 홈 또는 구멍(30)을 형성하고 그 구멍(30)의 가장자리부분과 다른 하나의 반원통체(20)의 단부를 용접 등으로 접합하여 도 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부반원통체 또는 하부 반원통체를 형성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의 보호커버는 강성이 약하여 쉽게 구부러지고, 용접 등의 접합부분에 단열틈새가 발생될 가능성이 높으며, 제조공정이 복잡하고 까다로우며 정밀도가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는 T형 배관용 단열재 보호커버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제조공정이 단순화되고 결합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T형 배관용 단열재 보호커버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보호커버의 강성을 향상시키고 결합부분의 결합강도를 높일 수 있는 T형 배관용 단열재 보호커버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들의 일부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체화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제1개구와, 상기 제1개구의 반대방향으로 오픈된 제2개구와, 상기 제1개구 및 상기 제2개구와 수직되는 방향으로 오픈된 제3개구를 가지는 T형 배관용 단열재 보호커버는, 일정길이를 가지는 반원통 형상을 가지며, 일단부분은 상기 제1개구의 일부를 구성하고 타단부분은 상기 제2개구의 일부를 구성하는 제1분할체와; 일단부분과 타단부분을 연결하는 중간부분에서 꺾인 구조의 반원통 형상을 가지며, 일단부분은 상기 제1분할체의 일단부분과 결합되어 상기 제1개구를 완성하고 타단부분은 상기 제3개구의 일부를 구성하는 제2분할체와; 상기 제2분할체와 대칭되는 구조 또는 동일구조로 구성하여, 일단부분은 상기 제1분할체의 타단부분과 결합되어 상기 제2개구를 완성하고 타단부분은 상기 제2분할체의 타단부분과 결합되어 상기 제3개구를 완성하는 제3분할체를 구비한다.
상기 제1분할체, 상기 제2분할체, 상기 제3분할체 각각은 측단면이 반원형 구조를 가지고, 상기 제2분할체 및 상기 제3분할체 각각은 횡단면이 "L"자형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분할체, 상기 제2분할체, 및 상기 제3분할체 각각은 동일 또는 서로 다른 폭을 가지는 복수의 원호판들을 폭방향으로 서로 연결하여 T형 배관에 대응되는 길이 및 곡면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보호커버는, 제1조립단부에는 제1삽입홈이 형성되고 제2조립단부에는 제2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삽입홈 및 상기 제2삽입홈 각각의 내부 일측면에는 톱니모양의 제1돌기가 형성되고 내부 타측면에는 상기 제1돌기와 교차구조로 톱니모양의 제2돌기가 형성되어 일정길이를 가지는 연질금속재질의 적어도 하나의 연결샤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분할체, 상기 제2분할체 및 상기 제3분할체 각각은, 서로 인접된 두 개의 원호판들 중 어느 하나의 원호판의 폭방향 일단부가 상기 제1삽입홈에 삽입되고 다른 하나의 원호판의 폭방향 일단부가 상기 제2삽입홈에 삽입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결샤시를 압착함에 의해 서로 인접된 두 개의 원호판들을 폭방향으로 결합시키는 방식으로, 상기 복수의 원호판들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결샤시가 T형 배관의 곡면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도록 결합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분할체 또는 상기 제3분할체를 구성하는 원호판들 중 적어도 일부의 원호판들은 길이방향 가장자리부분이 길이방향 중앙부분보다 더 큰 폭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결 샤시는 단면이 "H" 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결샤시 및 상기 원호판들은 각각 알루미늄을 재질로 할 수 있다.
상기 제1분할체, 상기 제2분할체 및 상기 제3분할체 각각은, 조립단부에 제3삽입홈이 형성된 "ㄷ" 자 단면형상의 몸체를 가지며, 상기 제3삽입홈의 내부 일측면에는 일정간격으로 톱니모양의 제3돌기가 형성되고, 내부 타측면에는 상기 제3돌기와 교차구조로 톱니모양의 제4돌기가 형성되며, 연질금속재질을 가지는 제1마감샤시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1분할체, 상기 제2분할체 및 상기 제3분할체 각각의 가장자리 부분이 상기 제3삽입홈에 삽입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제1마감샤시를 압착함에 의해 상기 제1분할체, 상기 제2분할체 및 상기 제3분할체 각각의 가장자리 부분이 상기 제1마감샤시와 결합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분할체, 상기 제2분할체 및 상기 제3분할체 각각은, 조립단부에 제3삽입홈이 형성된 "ㄷ" 자 단면형상의 몸체를 가지며, 상기 제3삽입홈의 내부 일측면에는 일정간격으로 톱니모양의 제3돌기가 형성되고, 내부 타측면에는 상기 제3돌기와 교차구조로 톱니모양의 제4돌기가 형성되며, 연질금속재질을 가지는 제1마감샤시와; 상기 제1마감샤시와 동일구조의 몸체와 몸체의 단부에서 상기 제3삽입홈의 반대방향인 외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를 더 구비하는 구조로 연질금속재질의 제2마감샤시를 구비하며, 상기 제1분할체, 상기 제2분할체 및 상기 제3분할체 각각의 가장자리 부분이 상기 제3삽입홈에 삽입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제1마감샤시 또는 상기 제2마감샤시를 압착함에 의해 상기 제1분할체, 상기 제2분할체 및 상기 제3분할체 각각의 가장자리 부분이 상기 제1마감샤시 또는 상기 제2마감샤시와 결합된 구조를 가지며, 상기 제1분할체, 상기 제2분할체 및 상기 제3분할체 중 두 개의 분할체들이 서로 접촉되는 두개의 가장자리 부분들 중 어느 하나의 가장자리 부분에는 상기 제1마감샤시가 결합되고 다른 하나의 가장자리 부분에는 상기 제2마감샤시가 결합되어, 상기 연장부를 통해 두개의 분할체가 접촉되는 부분의 틈새를 커버할 수 있다.
상기 제1마감샤시는 상기 몸체의 단부에서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보강부를 더 구비하여 상기 몸체와 상기 보강부가 "ㄱ"자 또는 "L" 자 형상의 단면을 가지고, 상기 제2마감샤시는 상기 몸체의 단부에서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보강부를 더 구비하여 상기 몸체, 상기 연장부 및 상기 제2보강부가 "T" 자형상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분할체, 상기 제2분할체, 및 상기 제3분할체 각각은 폭방향으로 분할된 적어도 두 개의 부분 분할체들이 서로 결합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분할체, 상기 제2분할체 및 상기 제3분할체 각각은, 조립단부에 제3삽입홈이 형성된 "ㄷ" 자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3삽입홈의 내부 일측면에는 일정간격으로 톱니모양의 제3돌기가 형성되고, 내부 타측면에는 상기 제3돌기와 교차구조로 톱니모양의 제4돌기가 형성되며, 연질금속재질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마감 샤시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1분할체, 상기 제2분할체 및 상기 제3분할체 각각의 가장자리 부분이 상기 제3삽입홈에 삽입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마감샤시를 압착함에 의해 상기 제1분할체, 상기 제2분할체 및 상기 제3분할체 각각의 가장자리 부분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마감샤시와 결합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분할체, 상기 제2분할체 및 상기 제3분할체 중에서 적어도 두 개의 분할체가 서로 접촉되는 부분에 위치되는 마감커버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마감커버는 접촉되는 부분의 틈새를 커버하기 위해 외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들의 일부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구체화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X축(-)방향으로 오픈된 제1개구와, X축(+)방향으로 오픈된 제2개구와, Z축(+) 방향으로 오픈된 제3개구를 가지며, 상기 제1개구의 중심점과 상기 제2개구의 중심점을 연결하는 X축방향의 가상의 제1중심선과, 상기 제3개구의 중심점에서 상기 제1중심선과 수직으로 만나는 Z축방향의 가상의 제2중심선을 구비하는 T형 배관용 단열재 보호커버는, 일정길이를 가지는 반원통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제1중심선을 기준으로 상기 보호커버의 Z축 (-) 방향 부분의 형상을 구성하는 제1분할체와; 일단부분은 X축(-)방향으로 연장되고 타단부분은 Z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보호커버의 상기 제1중심선을 기준으로 Z축(+) 방향 부분임과 동시에 상기 제2중심선을 기준으로 X축 (-) 방향 부분을 만족하는 부분의 형상을 구성하는 제2분할체와; 일단부분은 X축(+)방향으로 연장되고 타단부분은 Z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보호커버의 상기 제1중심선을 기준으로 Z축(+) 방향 부분임과 동시에 상기 제2중심선을 기준으로 X축 (+) 방향 부분을 만족하는 부분의 형상을 구성하는 제3분할체를 구비한다.
상기 제1분할체, 상기 제2분할체, 상기 제3분할체 각각은 측단면이 반원형 구조를 가지고, 상기 제2분할체 및 상기 제3분할체 각각은 횡단면이 "L"자형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분할체, 상기 제2분할체, 및 상기 제3분할체 각각은 동일 또는 서로 다른 폭을 가지는 복수의 원호판들을 폭방향으로 서로 연결하여 T형 배관에 대응되는 길이 및 곡면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분할체, 상기 제2분할체, 및 상기 제3분할체 각각은 폭방향으로 분할된 적어도 두개의 부분 분할체들이 서로 결합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T형 배관에 결합되는 단열재 보호커버를 복수의 원호판들과 연결샤시를 이용하여 결합하여 구성함에 의해, 탈부착이 용이하고, 결합 정밀도를 높일 수 있으며, 공정 단순화를 이룰 수 있다. 또한, 강성을 향상시키고 결합부분의 결합강도를 높일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T형 배관용 단열재 보호커버의 제조과정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시예에 따른 T형 배관용 단열재 보호커버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결합사시도이고,
도 4 및 도 5는 상기 제1분할체의 구조 및 결합(조립)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고,
도 6은 제1마감샤시와 결합되는 상기 제1분할체의 가장자리 부분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7의 제2마감샤시의 단면도, 제2마감샤시와 제1분할체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단면도, 및 제2마감샤시가 결합되는 상기 제1분할체의 가장자리 부분의 리벳결합을 보인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3의 "A" 부분의 확대도 및 단면도이고,
도 9는 제2분할체의 구조 및 결합(조립)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0은 제1마감샤시와 제2마감샤시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11은 제1분할체가 단열재와 결합되어 제1단열유닛을 구성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고,
도 12는 제2분할체가 단열재와 결합되어 제2단열유닛을 구성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고,
도 13은 제3분할체가 단열재와 결합되어 제3단열유닛을 구성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고,
도 14 및 도 15는 도 11 내지 도 13의 제1단열유닛, 제2단열유닛, 제3단열유닛이 T형 배관의 대응면에 결합되는 과정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및 결합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T형 배관용 단열재 보호커버의 분해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철저한 이해를 제공할 의도 외에는 다른 의도 없이,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시예에 따른 T형 배관용 단열재 보호커버(이하 "보호커버"라 함)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결합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시예에 따른 T형 배관용 단열재 보호커버(500)는 제1분할체(100), 제2분할체(200), 및 제3분할체(300)를 구비하여 이들을 클램프(450)를 이용하여 서로 결합시킴에 의해 완성되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 보호커버(500)는 제1개구(400a)와, 상기 제1개구(400a)의 반대방향으로 오픈된 제2개구(400b)와, 상기 제1개구(400a) 및 상기 제2개구(400b)와 수직되는 방향으로 오픈된 제3개구(400c)를 가지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상기 보호커버(500)를 3차원 좌표상에 나타낼 경우에, 상기 보호커버(500)는 X축(-)방향으로 오픈된 제1개구(400a)와, X축 (+) 방향으로 오픈된 제2개구(400b)와, Z축(+) 방향으로 오픈된 제3개구(400c)를 가지며, 상기 제1개구(400a)의 중심점과 상기 제2개구(400b)의 중심점을 연결하는 X축방향의 가상의 제1중심선(L1)과, 상기 제3개구(400c)의 중심점에서 상기 제1중심선(L1)과 수직으로 만나는 Z축방향의 가상의 제2중심선(L2)을 구비하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
상기 제1분할체(100)는 X축 방향으로 일정길이를 가지는 반원통 형상을 가지며, 일단부분은 상기 제1개구(400a)의 일부를 구성하고 타단부분은 상기 제2개구(400b)의 일부를 구성하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 제1분할체(100)는 일정길이를 가지는 반원통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제1중심선(L1)을 기준으로 상기 보호커버(500)의 Z축 (-) 방향 부분의 형상을 구성하게 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상기 보호커버(500)를 Y축(+)방향에서 Y축(-) 방향으로 상기 제1중심선(L1)을 지나도록 제1절단공정을 수행할 경우에 Z축 (-) 방향으로 분리되는 분할체와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분할체(200)는 일단부분과 타단부분을 연결하는 중간부분에서 꺾인 구조를 가지며, 일단부분은 상기 제1분할체(100)의 일단부분과 결합되어 상기 제1개구(400a)를 완성하고 타단부분은 상기 제3개구(400c)의 일부를 구성하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 제2분할체(200)는 중간부분이 꺾인 "L" 자 또는 "ㄱ"자 형상의 반원통체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분할체(200)는 일단부분은 X축(-)방향으로 연장되고 타단부분은 Z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보호커버(500)의 상기 제1중심선(L1)을 기준으로 Z축(+) 방향 부분임과 동시에 상기 제2중심선(L2)을 기준으로 X축 (-) 방향 부분을 만족하는 부분의 형상을 구성하게 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상기 제1절단공정을 통해 Z축 (+) 방향으로 분리되는 분할체를 Y축(+)방향에서 Y축(-) 방향으로 상기 제2중심선(L2)을 지나도록 제2절단공정을 수행할 경우에 X축(-) 방향으로 분리되는 분할체와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3분할체(300)는 상기 제2분할체(200)와 대칭되는 구조 또는 동일구조로 구성하여, 일단부분은 상기 제1분할체(100)의 타단부분과 결합되어 상기 제2개구(400b)를 완성하고 타단부분은 상기 제2분할체(200)의 타단부분과 결합되어 상기 제3개구(400c)를 완성하게 된다. 상기 제3분할체(300)는 상기 제2분할체(200)와는 상기 제2중심선(L2)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구조로 형성되게 된다. 또한 상기 제3분할체(300)와 상기 제2분할체(200) 각각은 상하 대칭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서로 동일구조를 가지도록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3분할체(300)는 일단부분은 X축(+)방향으로 연장되고 타단부분은 Z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보호커버(500)의 상기 제1중심선(L1)을 기준으로 Z축(+) 방향 부분임과 동시에 상기 제2중심선(L2)을 기준으로 X축 (+) 방향 부분을 만족하는 부분의 형상을 구성하게 된다. 좀더 구체적으로, 상기 제2절단공정을 통해 X축 (+) 방향으로 분리되는 분할체와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분할체(100), 상기 제2분할체(200) 및 상기 제3분할체(300) 각각은 측단면이 반원형 구조를 가지고, 상기 제2분할체(200) 및 상기 제3분할체(300) 각각은 횡단면이 "L"자형 구조 또는 "ㄱ" 자를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분할체(100), 상기 제2분할체(200) 및 상기 제3분할체(300)는 외주면에 설치되는 클램프(450)를 통해 서로 결합되어 T형의 상기 보호커버(500)를 구성하게 된다.
상기 제1분할체(100), 상기 제2분할체(200) 및 상기 제3분할체(300) 각각은 동일 또는 서로 다른 폭을 가지는 복수의 원호판(110,210)들을 폭방향으로 서로 연결하여 T형 배관에 대응되는 길이 및 곡면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복수의 원호판(110,210)들은 적어도 하나의 연결샤시(120)를 이용하여 T형 곡면에 대응하도록 상기 제1분할체(100), 상기 제2분할체(200) 및 상기 제3분할체(300) 각각이 조립되게 된다.
상기 제1분할체(100), 상기 제2분할체(200) 및 상기 제3분할체(300) 각각은 연질금속재질(예를 들면, 알루미늄 재질)을 가질 수 있다.
이하 상기 제1분할체(100), 상기 제2분할체(200) 및 상기 제3분할체(300) 각각의 결합방법 및 구조를 설명한다.
도 4 및 도 5는 상기 제1분할체(100)의 구조 및 결합(조립)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4는 상기 제1분할체(100)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상기 제1분할체(100)를 구성하는 복수의 원호판(110)들과 적어도 하나의 연결샤시(120)의 결합과정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분할체(100)는 동일 또는 서로 다른 폭을 가지는 복수의 원호판(110)들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결샤시(120)를 이용하여 폭방향(X축방향 또는 상기 제1분할체(100)의 길이방향)으로 서로 연결함에 의해 T형 배관에 대응되는 길이 및 곡면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분할체(100)의 길이방향은 상기 복수의 원호판(110)들의 폭방향과 동일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원호판(110)들은 상기 제1분할체(100)의 길이방향으로 일정 폭을 가지고, 상기 제1분할체(100)의 폭에 대응되는 길이를 가지게 된다.
상기 복수의 원호판(110)들은 평판 플레이트를 롤링 등의 공정을 통해 곡면을 가지도록 가공하여 형성된 것일 수 있으며, 상기 복수의 원호판(110)들은 서로 다른 폭을 가지거나 서로 동일한 폭을 가질 수도 있고, 일부는 동일한 폭을 가지고, 일부는 서로 다른 폭을 가질 수도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결샤시(120)는 상기 제1분할체(100)의 폭에 대응되는 길이 또는 상기 원호판(110)들의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결샤시(120)는 제1조립단부에는 제1삽입홈(120a)이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반대편 제2조립단부에는 제2삽입홈(120b)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상기 제1삽입홈(120a) 및 상기 제2삽입홈(120b) 각각의 내부 일측면에는 톱니모양의 제1돌기(120c)가 형성되고, 내부 타측면에는 상기 제1돌기(120c)와 교차구조로 톱니모양의 제2돌기(120d)가 형성된다. 상기 제1돌기(120c) 및 상기 제2돌기(120d)는 복수개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1돌기(120c) 및 상기 제2돌기(120d)는 서로 대향하지 않도록 형성된다. 즉 제1돌기(120c)가 형성된 부분과 대향하는 내부타측면 부분에는 제2돌기(120d)가 형성되지 않고, 인접된 부분에 제2돌기(120d)가 형성되어 압착시 서로 맞물리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결 샤시(120)는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이 "H" 자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곡면형상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결샤시(120) 및 복수의 원호판(110)들은 연질금속재질(예를 들면, 알루미늄 재질)을 가질 수 있다.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복수의 원호판(110)들 중 어느 하나인 제1원호판(110)의 폭방향 일단부가 상기 제1삽입홈(120a)에 삽입되고 상기 제1원호판(110)에 인접된 제2원호판(110)의 폭방향 일단부가 상기 제2삽입홈(120b)에 삽입되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샤시(120)를 압착하게 된다. 이때 상기 연결샤시(120) 및 상기 원호판(110)들은 연질금속재질이므로, 상기 제1돌기(120c) 및 상기 제2돌기(120d) 사이에 상기 원호판(110)들의 단부가 개재된 상태에서, 상기 제1돌기(120c) 및 상기 제2돌기(120d)가 서로 맞물리는 형태로 상기 원호판(110)들과 함께 압착되게 된다. 이에 따라 하나의 연결샤시(120)를 사이에 두고, 서로 인접된 두 개의 원호판(110)들이 서로 정밀하고 견고하게 결합되게 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복수의 원호판(110)들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결샤시(120)를 곡면형상으로 결합하게 되면, 반원통 형상을 가지는 상기 제1분할체(100)를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추가적으로 상기 제1분할체(100)에는 상기 제1분할체(100)의 가장자리 부분의 강성을 보강하기 위해 가장자리 부분에 마감샤시(150,160)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마감샤시(150,160)는, 상기 제1분할체(100)의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를 가지며, 일정폭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마감샤시(150,160)은 연질금속재질(예를 들면, 알루미늄 재질)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마감샤시(150,160)는 제1마감샤시(150)와 제2마감샤시(160)로 구분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에는 상기 제1분할체(100)에 제2마감샤시(160)가 결합된 구조를 나타내고 있으나, 제1마감샤시(150)가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6은 상기 제1마감샤시(150)가 결합되는 상기 제1분할체(100)의 가장자리 부분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7의 (a)는 상기 제2마감샤시(160)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7의 (b)는 상기 제2마감샤시(160)가 결합되는 상기 제1분할체(100)의 가장자리 부분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7의 (c)는 상기 제2마감샤시(160)가 결합되는 상기 제1분할체(100)의 가장자리 부분의 리벳결합을 보인 단면도이다.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마감샤시(150)는, 조립단부에 제3삽입홈(150a)에 형성된 "ㄷ" 자 단면형상의 몸체를 가지며, 상기 제3삽입홈(150a)의 내부 일측면에는 톱니모양의 제3돌기(150c)가 형성되고, 내부 타측면에는 상기 제3돌기(150c)와 교차구조로 톱니모양의 제4돌기(150d)가 형성되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 제3돌기(150c) 및 상기 제4돌기(150d)는 복수개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3돌기(150c) 및 상기 제4돌기(150d)는 서로 대향하지 않도록 형성된다. 즉 제3돌기(150c)가 형성된 부분과 대향하는 부분에는 제4돌기(150d)가 형성되지 않고, 인접된 부분에 제4돌기(150d)가 형성되어 압착시 서로 맞물리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분할체(100)의 가장자리부분이 상기 제1마감샤시(150)의 제3삽입홈(150a)에 삽입되도록 한 상태에서,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마감샤시(150)를 압착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마감샤시(150) 및 상기 제1분할체(100)는 연질금속재질이므로, 상기 제3돌기(150c) 및 상기 제4돌기(150d)가 상기 제1분할체(100)의 가장자리 부분이 개재된 상태에서 서로 맞물리는 형태로, 상기 제1마감샤시(150)가 상기 제1분할체(100)의 가장자리부분과 함께 압착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분할체(100)의 가장자리부분에 상기 제1마감샤시(150)가 정밀하고 견고하게 결합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1분할체(100)의 폭방향 가장자리 부분 중에서 상기 원호판(110)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결샤시(120)가 결합된 부분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결샤시(120)에 의해 약간 돌출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3삽입홈(150a)은 상기 원호판(110)에 결합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결샤시(120)의 가장자리 부분이 삽입될 수 있는 사이즈로 형성되어야 할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결샤시(120)에 의해 결합된 가장자리 부분도 상기 제1마감샤시(150)와 결합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6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마감샤시(150)가 결합된 상기 제1분할체(100)의 가장자리부분은 리벳(170)을 이용한 리벳결합을 통해 결합력을 강화시킬 수 있다.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마감샤시(160)는 상기 제1마감샤시(150)에 연장부(155)가 더 구비되는 구조를 가진다.
즉 상기 제2마감샤시(160)는 제1마감샤시(150)와 동일하게, 조립단부에 제3삽입홈(150a)에 형성된 "ㄷ" 자 단면형상의 몸체를 가지며, 상기 제3삽입홈(150a)의 내부 일측면에는 톱니모양의 제3돌기(150c)가 형성되고, 내부 타측면에는 상기 제3돌기(150c)와 교차구조로 톱니모양의 제4돌기(150d)가 형성되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 제3돌기(150c) 및 상기 제4돌기(150d)는 복수개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3돌기(150c) 및 상기 제4돌기(150d)는 서로 대향하지 않도록 형성된다. 즉 제3돌기(150c)가 형성된 부분과 대향하는 부분에는 제4돌기(150d)가 형성되지 않고, 인접된 부분에 제4돌기(150d)가 형성되어 압착시 서로 맞물리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제2마감샤시(160)의 몸체는 상기 제1마감샤시(150)와 동일구조를 가진다.
상기 연장부(155)는 상기 몸체의 단부(상기 조립단부의 반대측 단부)에서 외측방향(상기 제3삽입홈(150a)의 반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어 구성되게 된다.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마감샤시(160)는, 상기 제2분할체(200) 및 상기 제3분할체(300)와의 접촉틈새(또는 결합틈새)를 커버하기 위해 상기 연장부(155)를 구비한다.
상기 제2마감샤시(160)는 상기 제1마감샤시(150)의 경우와 동일하게 상기 제1분할체(100)와 결합되게 되며, 상기 제2분할체(200) 또는 상기 제3분할체(300)와 결합(또는 접촉)되는 부분, 즉 상기 제1분할체(100)의 폭방향 가장자리 부분에 결합되어 상기 연장부(155)가 상기 제2분할체(200) 및 상기 제3분할체(300)와의 접촉틈새(또는 결합틈새)를 커버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2분할체(200) 또는 상기 제3분할체(300)와 결합(또는 접촉)되지 않는 제1분할체(100)의 가장자리 부분(예를 들면, 길이방향 가장자리 부분)은 상기 제1마감샤시(150)와 결합되게 된다.
만일 제2분할체(200) 또는 제3분할체(300)에서 상기 제1분할체(100)와 결합되는 부분에 상기 제2마감샤시(160)가 결합되어 있다면, 충돌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1분할체(100)의 폭방향 가장자리 부분에는 제1마감샤시(150)가 결합되게 된다. 그리고 제2분할체(200) 또는 제3분할체(300)에서 상기 제1분할체(100)와 결합되는 부분에 상기 제1마감샤시(150)가 결합되어 있다면, 상기 제1분할체(100)의 폭방향 가장자리 부분에는 상기 제2마감샤시(160)가 결합되어야 할 것이다.
도 7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마감샤시(160)가 결합된 상기 제1분할체(100)의 가장자리부분은 리벳(170)을 이용한 리벳결합을 통해 결합력을 강화시킬 수 있다.
도 8은 도 3의 "A"부분의 확대도 및 단면도를 나타낸 것으로, 도 8의 (a)는 도 3의 "A"부분인 제1분할체(100)와 제2분할체(200)의 결합부분의 확대도이고, 도 8의 (b)는 제1분할체(100)와 제2분할체(200)의 결합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마감샤시(160)의 경우는 제1분할체(100)가 다른 분할체(200, 300)와 클램프(450) 등의 체결구를 이용한 결합시에 다른 분할체(200,300)와의 결합틈새를 커버하여, 이물질이나 물이 결합틈새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마감샤시(160)는 상기 제1분할체(100)의 폭방향 가장자리 부분에 결합되고, 상기 제1마감샤시(150)은 상기 제2분할체(200)의 폭방향 가장자리 부분에 결합된다.
이후, 상기 제1분할체(100)와 상기 제2분할체(200)를 클램프 등을 이용하여 체결하는 경우에, 상기 제1분할체(100)와 결합된 제2마감샤시(160)의 연장부(155)가, 상기 제2분할체(200)와 결합된 제1마감샤시(150)의 상부쪽으로 연장되는 구조로 체결되게 되므로, 상기 제1분할체(100)와 상기 제2분할체(200)의 결합틈새(또는 접촉틈새)를 커버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제1분할체(100)의 폭방향 가장자리부분에는 연장부(155)를 구비하는 제2마감샤시(160)가 결합되어 있고, 상기 제2분할체(200)의 제1분할체(100)와의 결합부분에는 연장부(155)를 구비하지 않는 제1마감샤시(150)가 결합되어 있어, 상기 제1분할체(100)와 결합된 제2마감샤시(160)의 연장부(155)를 통해 제1분할체(100)와 제2분할체(200)의 결합틈새를 커버하게 된다.
이 경우 다른 분할체인 제2분할체(200) 또는 제3분할체(300)에 제2마감샤시(160)가 결합되어 있다면, 상기 제1분할체(100)의 폭방향 가장자리 부분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1마감샤시(150)가 결합되어야 할 것이다.
즉 상기 제1분할체(100), 상기 제2분할체(200) 및 상기 제3분할체(300) 중에서 두 개의 분할체가 서로 접촉되는 부분에는 제1마감샤시(150)와 제2마감샤시(160)가 서로 접촉되는 구조로 결합되게 되는 것으로, 두개의 분할체가 결합되는 경우에, 어느 하나의 분할체(예를 들면 제1분할체(100))에는 제2마감샤시(160)가 결합되고, 다른 하나의 분할체(예를 들면, 제2분할체(200) 또는 제3분할체(300))에는 제1마감샤시(150)가 결합되며, 상기 연장부(155)를 통해 분할체들의 접촉틈새를 커버하게 된다.
도 9는 상기 제2분할체(200)의 구조 및 결합(조립)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상기 제2분할체(200)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분할체(200)는 동일 또는 서로 다른 폭을 가지는 복수의 원호판(210)들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결샤시(220)를 이용하여 폭방향(X축방향 및 Z축방향 또는 상기 제2분할체(200)의 길이방향)으로 서로 연결함에 의해 T형 배관에 대응되는 길이 및 곡면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분할체(200)의 길이방향은 상기 복수의 원호판(210)들의 폭방향과 동일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원호판(210)들 각각은 상기 제2분할체(200)의 길이방향으로 폭을 가지고, 상기 제2분할체(200)의 결합되는 부분의 폭에 대응되는 길이를 각각 가지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복수의 원호판(210)들 중 적어도 일부의 원호판(210)은 길이방향 가장자리부분이 길이방향 중앙부분보다 더 큰 폭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원호판(210)들 각각은 상기 제2분할체(200)의 길이방향 가장자리 부분에 결합되는 원호판(210)보다 중간부분(꺾이는 부분)에 결합되는 원호판(210)의 폭이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원호판(210)들 각각은 길이방향 가장자리 부분들을 서로 연결한 경우 "ㄱ" 자 또는 "L" 자를 이루도록 길이방향 가장자리부분(단부)이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원호판(210)은 상기 제2분할체(200)의 길이방향 가장자리 부분에 결합되는 원호판보다 중간부분에 결합되는 원호판의 길이가 더 긴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복수의 원호판(210)들은 평판 플레이트를 롤링 등의 공정을 통해 곡면을 가지도록 가공하여 형성된 것일 수 있으며, 상기 복수의 원호판(210)들은 일부는 서로 다른 폭을 가지거나 일부는 동일한 폭을 가질 수도 있고, 일부는 서로 동일한 길이를 가질 수도 있고 일부는 서로 다른 길이를 가질 수도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결샤시(220)는 상기 제2분할체(200)의 폭에 대응되는 길이 또는 상기 원호판(210)들의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결샤시(220)는 상기 제1분할체(100)에 적용된 연결샤시(120)와 길이는 달라질 수 있으나 동일한 구조를 가지게 된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결샤시(220)와 상기 원호판(210)들의 결합방식은 상기 제1분할체(100)의 경우와 동일하므로 더 이상의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복수의 원호판(210)들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결샤시(220)를 상기 제2분할체(200)의 곡면 또는 구부러진 반원통 형상을 가지도록 곡면형상으로 결합하게 되면, 상기 제2분할체(200)를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추가적으로 상기 제2분할체(200)에는 상기 제2분할체(200)의 단부의 강성을 강화하기 위해 상기 제1분할체(100)와 동일한 방식으로 가장자리 부분에 상기 제1마감샤시(150) 또는 제2마감샤시(160)가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결샤시(220) 및 상기 마감샤시(150,160) 및 복수의 원호판(210)들은 연질금속재질(예를 들면, 알루미늄 재질)을 가질 수 있다.
도면상에서는 상기 제2분할체(200)의 폭방향 가장자리 부분(단부)에만 상기 제1마감샤시(150) 또는 제2마감샤시(160)가 결합되고 있으나, 길이방향 단부에도 상기 제1마감샤시(150) 또는 제2마감샤시(160)가 결합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상기 제1마감샤시(150) 또는 제2마감샤시(160)는 상기 제1분할체(200) 및 상기 제3분할체(300)와 접촉되어 결합되는 부분인 상기 제2분할체(200)의 폭방향 가장자리 부분에만 결합되고 있으나, 상기 제2분할체(100)의 길이방향 단부에도 강성보강을 위해 결합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1마감샤시(150)는, 상기 제2분할체(200)의 하나의 가장자리 부분에 하나의 마감샤시(150,160) 또는 복수의 마감샤시(150,160)를 서로 접촉시켜 결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2분할체(200)가 꺾인 구조를 가지므로, 두 개 이상의 마감샤시(150,160)를 서로 접촉시켜 구성하면 마감샤시(150,160)를 꺾임구조로 형성할 필요가 없게 된다.
상기 제2분할체(200)에 제1마감샤시(150) 또는 제2마감샤시(160)를 결합하는 방식은 상기 제1분할체(100)의 경우와 동일하며, 상기 제1마감샤시(150) 또는 제2마감샤시(160) 또한 길이의 차이는 있지만 구조는 상기 제1분할체(200)에 결합되는 제1마감샤시(150) 또는 제2마감샤시(160)와 동일구조를 가진다.
상기 제2분할체(200)의 경우에도 제1마감샤시(150) 또는 제2마감샤시(160)의 결합은 동일한 방식을 가진다.
예를 들어, 상기 제3분할체(300)와 결합(또는 접촉)되는 부분에 결합되는 제2분할체(200)의 가장자리 부분은 제2마감샤시(160)가 결합되어 연장부(155)를 통해 상기 제3분할체(300)와의 접촉틈새(또는 결합틈새)를 커버할 수 있다.
상기 제2마감샤시(160)의 경우는 도 7의 (a),(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분할체(200)가 다른 분할체(100, 300)와 클램프(450) 등의 체결구를 이용한 결합시에 연장부(155)를 이용하여 다른 분할체(100,300)와의 결합틈새를 커버하여, 이물질이나 물이 결합틈새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경우 다른 분할체(100,300)에 상기 연장부(155)를 구비하는 제2마감샤시(160)가 결합되어 있다면, 상기 제2분할체(200)의 가장자리 부분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연장부를 구비하지 않는 제1마감샤시(150)와 결합되어야 할 것이다.
즉 상기 제1분할체(100), 상기 제2분할체(200) 및 상기 제3분할체(300) 중에서 두 개의 분할체가 서로 접촉되는 부분에는 제1마감샤시(150)와 제2마감샤시(160)가 서로 접촉되는 구조로 결합되게 되는 것으로, 두개의 분할체가 결합되는 경우에, 어느 하나의 분할체(예를 들면 제1분할체(100))에는 제2마감샤시(160)가 결합되고, 다른 하나의 분할체(예를 들면, 제2분할체(200) 또는 제3분할체(300))에는 제1마감샤시(150)가 결합되며, 상기 연장부(155)를 통해 분할체들의 접촉틈새를 커버하게 된다.
결국 상기 제1분할체(100)의 폭방향 가장자리 부분에 연장부(155)를 구비하는 제2마감샤시(160)가 결합되어 있다면, 상기 제2분할체(200)가 상기 제1분할체(100)와 접촉하는 부분에는 연장부를 구비하지 않는 제1마감샤시(150)와 결합되어야 할 것이고, 상기 제1분할체(100)의 폭방향 가장자리 부분에 연장부(155)를 구비하지 않는 제1마감샤시(150)가 결합되어 있다면, 상기 제2분할체(200)가 상기 제1분할체(100)와 접촉하는 부분에는 연장부(155)를 구비하는 제2마감샤시(160)와 결합되어야 할 것이다.
이는 상기 제3분할체(300)와의 접촉하는 부분에도 동일하게 적용되게 된다.
상기 제3분할체(300)의 경우는 상기 제2분할체(200)와 동일한 방식으로 구성되므로 더 이상의 설명을 생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분할체(100), 상기 제2분할체(200), 및 상기 제3분할체(300) 각각은 복수의 원호판들(110,210)과 적어도 하나의 연결샤시(120)를 이용하여 조립되고, 제1마감샤시(150) 또는 제2마감샤시(160)를 이용하여 가장자리부분이 마감되게 된다.
도 10은 상기 제1마감샤시(150)와 제2마감샤시(160)의 다른 구조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마감샤시(150)는 몸체의 단부에서 수직방향(하부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보강부(157a)를 더 구비하여 몸체와 상기 보강부(157a)가 "ㄱ"자 또는 "L" 자 형상의 단면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마감샤시(160)는 강성 보강을 위해 몸체의 단부에서 수직방향(하부방향)으로 연장되는 보강부(157b)를 더 구비하여 상기 몸체, 상기 연장부(155) 및 상기 제2보강부(157b)가 "T" 자형상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보강부(157a) 및 상기 제2보강부(157b)는 후술하는 단열유닛의 구성시에 단열재와 접촉되게 된다.
도 11은 상기 제1분할체(100)가 단열재(600a)와 결합되어 제1단열유닛(700a)을 구성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고, 도 12는 상기 제2분할체(200)가 단열재(600b)와 결합되어 제2단열유닛(700b)을 구성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고, 도 13은 상기 제3분할체(300)가 단열재(600c)와 결합되어 제3단열유닛(700c)을 구성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고, 도 14 및 도 15는 상기 제1단열유닛(700a), 제2단열유닛(700b), 제3단열유닛(700c)이 T형 배관(800)의 대응면에 결합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즉 도 14은 도 15의 단열유닛들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분할체(100)는 단열재(600a)와 결합되어 제1단열유닛(700a)을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단열재(600a)는 T형 배관(도 13의 800)의 외면에 인접하는 내부단열층(미도시), 상기 내부단열층(미도시)의 외경방향에 배치되는 외부단열층(미도시), 상기 내부단열층과 상기 외부단열층 사이에 개재된 중간단열층(미도시)을 가지는 다층구조를 가지거나 단일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내부단열층과 상기 외부단열층은 그라스울, 미네랄울 등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또한 T형 배관(800)의 내부를 통과하는 유체가 저온일 경우에는 발포 폴리에틸렌 등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러한 내부단열층과 외부단열층은 동일한 단열재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중간단열층은 그 내부에 공기 또는 아르곤가스가 충전되는 공간을 가진 자켓구조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와 달리 중간단열층은 하이트린(HITLIN) 등과 같은 고온성 단열재로 구성될 수도 있고, 또한 중간단열층은 내부단열층 및 외부단열층과 비교하여 다른 이종의 단열재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내부단열층, 외부단열층, 및 중간단열층은 별도의 단열재보호층에 의해 감싸여져 보호될 수 있다.
상기 단열재(600a)는 상기 제1분할체(100)의 내주면 또는 내면에 결합되어 상기 제1단열유닛(700a)을 구성하며, 상기 제1단열유닛(700a)은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T형 배관(800)의 대응부분에 결합되게 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분할체(200)는 단열재(600b)와 결합되어 제2단열유닛(700b)을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단열재(600b)는 T형 배관(도 14의 800)의 외면에 인접하는 내부단열층(미도시), 상기 내부단열층(미도시)의 외경방향에 배치되는 외부단열층(미도시), 상기 내부단열층과 상기 외부단열층 사이에 개재된 중간단열층(미도시)을 가지는 다층구조를 가지거나 단일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단열재(600b)의 구조는 제1단열유닛(700a)의 경우와 동일하다.
상기 단열재(600b)는 상기 제2분할체(200)의 내주면 또는 내면에 결합되어 상기 제2단열유닛(700b)을 구성하며, 상기 제2단열유닛(700b)은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T형 배관(800)의 대응부분에 결합되게 된다.
그리고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3분할체(300)는 단열재(600c)와 결합되어 제3단열유닛(700c)을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단열재(600c)는 T형 배관(도 13의 800)의 외면에 인접하는 내부단열층(미도시), 상기 내부단열층(미도시)의 외경방향에 배치되는 외부단열층(미도시), 상기 내부단열층과 상기 외부단열층 사이에 개재된 중간단열층(미도시)을 가지는 다층구조를 가지거나 단일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단열재(600c)의 구조는 제1단열유닛(700a)의 경우와 동일하다.
상기 단열재(600c)는 상기 제3분할체(300)의 내주면 또는 내면에 결합되어 상기 제3단열유닛(700c)을 구성하며, 상기 제3단열유닛(700c)은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T형 배관(800)의 대응부분에 결합되게 된다.
상기 제1단열유닛(700a), 상기 제2단열유닛(700b), 및 상기 제3단열유닛(700c)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T형 배관(800)을 감싸도록 결합되며, 별도의 클램프(450)에 의해 정확하고 견고하게 고정결합되게 된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보호커버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호커버(500a)는, 상기 제1분할체(100), 상기 제2분할체(200), 및 상기 제3분할체(300) 각각이 폭방향으로 적어도 두개의 부분 분할체들을 가지도록 분할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분할체(100)는 폭방향으로 분할된 두개 또는 그 이상의 부분분할체들(100a,100b))의 결합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들 부분분할체(100a,100b)의 형성방법은 도 4 내지 도 8을 통해 설명한 바와 동일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분할체(200)는 폭방향으로 분할된 두개 또는 그이상의 부분분할체(200a,200b)의 결합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들 부분분할체(200a,200b)의 형성방법은 도 9를 통해 설명한 바와 동일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제3분할체(300)의 경우도 폭방향으로 분할된 두개 또는 그이상의 부분분할체(300a,300b)의 결합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들 부분분할체(300a,300b)의 형성방법은 도 9를 통해 설명한 바와 동일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T형 배관에 결합되는 단열재 보호커버를 복수의 원호판들과 연결샤시를 이용하여 결합하여 구성함에 의해, 탈부착이 용이하고, 결합 정밀도를 높일 수 있으며, 공정 단순화를 이룰 수 있다. 또한, 강성을 향상시키고 결합부분의 결합강도를 높일 수 있게 된다.
상기한 실시예의 설명은 본 발명의 더욱 철저한 이해를 위하여 도면을 참조로 예를 든 것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을 한정하는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본적 원리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변경이 가능함은 명백하다 할 것이다.
100 : 제1분할체 200 : 제2분할체
300 : 제3분할체

Claims (16)

  1. 제1개구와, 상기 제1개구의 반대방향으로 오픈된 제2개구와, 상기 제1개구 및 상기 제2개구와 수직되는 방향으로 오픈된 제3개구를 가지는 T형 배관용 단열재 보호커버에 있어서:
    일정길이를 가지는 반원통 형상을 가지며, 일단부분은 상기 제1개구의 일부를 구성하고 타단부분은 상기 제2개구의 일부를 구성하는 제1분할체와;
    일단부분과 타단부분을 연결하는 중간부분에서 꺾인 구조의 반원통 형상을 가지며, 일단부분은 상기 제1분할체의 일단부분과 결합되어 상기 제1개구를 완성하고 타단부분은 상기 제3개구의 일부를 구성하는 제2분할체와;
    상기 제2분할체와 대칭되는 구조 또는 동일구조로 구성하여, 일단부분은 상기 제1분할체의 타단부분과 결합되어 상기 제2개구를 완성하고 타단부분은 상기 제2분할체의 타단부분과 결합되어 상기 제3개구를 완성하는 제3분할체를 구비하되,
    상기 제1분할체, 상기 제2분할체, 및 상기 제3분할체 각각은 동일 또는 서로 다른 폭을 가지는 복수의 원호판들을 폭방향으로 서로 연결하여 T형 배관에 대응되는 길이 및 곡면을 가지도록 구성되고,
    상기 복수의 원호판들은, 제1조립단부에는 제1삽입홈이 형성되고 제2조립단부에는 제2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삽입홈 및 상기 제2삽입홈 각각의 내부 일측면에는 톱니모양의 제1돌기가 형성되고 내부 타측면에는 상기 제1돌기와 교차구조로 톱니모양의 제2돌기가 형성되어 일정길이를 가지는 연질금속재질의 적어도 하나의 연결샤시를 통해 서로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T형 배관용 단열재 보호커버.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분할체, 상기 제2분할체, 상기 제3분할체 각각은 측단면이 반원형 구조를 가지고, 상기 제2분할체 및 상기 제3분할체 각각은 횡단면이 "ㄱ"자형 구조 또는 "L"자형 구조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T형 배관용 단열재 보호커버.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분할체, 상기 제2분할체 및 상기 제3분할체 각각은,
    서로 인접된 두 개의 원호판들 중 어느 하나의 원호판의 폭방향 일단부가 상기 제1삽입홈에 삽입되고 다른 하나의 원호판의 폭방향 일단부가 상기 제2삽입홈에 삽입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결샤시를 압착함에 의해 서로 인접된 두 개의 원호판들을 폭방향으로 결합시키는 방식으로, 상기 복수의 원호판들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결샤시가 T형 배관의 곡면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도록 결합된 구조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T형 배관용 단열재 보호커버.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2분할체 또는 상기 제3분할체를 구성하는 원호판들 중 적어도 일부의 원호판들은 길이방향 가장자리부분이 길이방향 중앙부분보다 더 큰 폭을 가지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T형 배관용 단열재 보호커버.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결 샤시는 단면이 "H" 자 형상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T형 배관용 단열재 보호커버.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연결샤시 및 상기 원호판들은 각각 알루미늄을 재질로 함을 특징으로 하는 T형 배관용 단열재 보호커버.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1분할체, 상기 제2분할체 및 상기 제3분할체 각각은,
    조립단부에 제3삽입홈이 형성된 "ㄷ" 자 단면형상의 몸체를 가지며, 상기 제3삽입홈의 내부 일측면에는 일정간격으로 톱니모양의 제3돌기가 형성되고, 내부 타측면에는 상기 제3돌기와 교차구조로 톱니모양의 제4돌기가 형성되며, 연질금속재질을 가지는 제1마감샤시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1분할체, 상기 제2분할체 및 상기 제3분할체 각각의 가장자리 부분이 상기 제3삽입홈에 삽입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제1마감샤시를 압착함에 의해 상기 제1분할체, 상기 제2분할체 및 상기 제3분할체 각각의 가장자리 부분이 상기 제1마감샤시와 결합된 구조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T형 배관용 단열재 보호커버.
  10.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1분할체, 상기 제2분할체 및 상기 제3분할체 각각은,
    조립단부에 제3삽입홈이 형성된 "ㄷ" 자 단면형상의 몸체를 가지며, 상기 제3삽입홈의 내부 일측면에는 일정간격으로 톱니모양의 제3돌기가 형성되고, 내부 타측면에는 상기 제3돌기와 교차구조로 톱니모양의 제4돌기가 형성되며, 연질금속재질을 가지는 제1마감샤시와;
    상기 제1마감샤시와 동일구조의 몸체와 몸체의 단부에서 상기 제3삽입홈의 반대방향인 외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를 더 구비하는 구조로 연질금속재질의 제2마감샤시를 구비하며,
    상기 제1분할체, 상기 제2분할체 및 상기 제3분할체 각각의 가장자리 부분이 상기 제3삽입홈에 삽입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제1마감샤시 또는 상기 제2마감샤시를 압착함에 의해 상기 제1분할체, 상기 제2분할체 및 상기 제3분할체 각각의 가장자리 부분이 상기 제1마감샤시 또는 상기 제2마감샤시와 결합된 구조를 가지며,
    상기 제1분할체, 상기 제2분할체 및 상기 제3분할체 중 두 개의 분할체들이 서로 접촉되는 두개의 가장자리 부분들 중 어느 하나의 가장자리 부분에는 상기 제1마감샤시가 결합되고 다른 하나의 가장자리 부분에는 상기 제2마감샤시가 결합되어, 상기 연장부를 통해 두개의 분할체가 접촉되는 부분의 틈새를 커버함을 특징으로 하는 T형 배관용 단열재 보호커버.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1마감샤시는 상기 몸체의 단부에서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보강부를 더 구비하여 상기 몸체와 상기 보강부가 "ㄱ"자 또는 "L" 자 형상의 단면을 가지고,
    상기 제2마감샤시는 상기 몸체의 단부에서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보강부를 더 구비하여 상기 몸체, 상기 연장부 및 상기 제2보강부가 "T" 자형상의 단면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T형 배관용 단열재 보호커버.
  12.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1분할체, 상기 제2분할체, 및 상기 제3분할체 각각은 폭방향으로 분할된 적어도 두 개의 부분 분할체들이 서로 결합된 구조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T형 배관용 단열재 보호커버.
  13. X축(-)방향으로 오픈된 제1개구와, X축(+)방향으로 오픈된 제2개구와, Z축(+) 방향으로 오픈된 제3개구를 가지며, 상기 제1개구의 중심점과 상기 제2개구의 중심점을 연결하는 X축방향의 가상의 제1중심선과, 상기 제3개구의 중심점에서 상기 제1중심선과 수직으로 만나는 Z축방향의 가상의 제2중심선을 구비하는 T형 배관용 단열재 보호커버에 있어서:
    일정길이를 가지는 반원통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제1중심선을 기준으로 상기 보호커버의 Z축 (-) 방향 부분의 형상을 구성하는 제1분할체와;
    일단부분은 X축(-)방향으로 연장되고 타단부분은 Z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보호커버의 상기 제1중심선을 기준으로 Z축(+) 방향 부분임과 동시에 상기 제2중심선을 기준으로 X축 (-) 방향 부분을 만족하는 부분의 형상을 구성하는 제2분할체와;
    일단부분은 X축(+)방향으로 연장되고 타단부분은 Z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보호커버의 상기 제1중심선을 기준으로 Z축(+) 방향 부분임과 동시에 상기 제2중심선을 기준으로 X축 (+) 방향 부분을 만족하는 부분의 형상을 구성하는 제3분할체를 구비하되,
    상기 제1분할체, 상기 제2분할체, 및 상기 제3분할체 각각은 동일 또는 서로 다른 폭을 가지는 복수의 원호판들을 폭방향으로 서로 연결하여 T형 배관에 대응되는 길이 및 곡면을 가지도록 구성되고,
    상기 복수의 원호판들은, 제1조립단부에는 제1삽입홈이 형성되고 제2조립단부에는 제2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삽입홈 및 상기 제2삽입홈 각각의 내부 일측면에는 톱니모양의 제1돌기가 형성되고 내부 타측면에는 상기 제1돌기와 교차구조로 톱니모양의 제2돌기가 형성되어 일정길이를 가지는 연질금속재질의 적어도 하나의 연결샤시를 통해, 서로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T형 배관용 단열재 보호커버.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제1분할체, 상기 제2분할체, 상기 제3분할체 각각은 측단면이 반원형 구조를 가지고, 상기 제2분할체 및 상기 제3분할체 각각은 횡단면이 "ㄱ"자형 구조 또는 "L"자형 구조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T형 배관용 단열재 보호커버.
  15. 삭제
  16.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제1분할체, 상기 제2분할체, 및 상기 제3분할체 각각은 폭방향으로 분할된 적어도 두개의 부분 분할체들이 서로 결합된 구조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T형 배관용 단열재 보호커버.
KR20140048659A 2014-04-23 2014-04-23 T형 배관용 단열재 보호커버 KR1015016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48659A KR101501643B1 (ko) 2014-04-23 2014-04-23 T형 배관용 단열재 보호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48659A KR101501643B1 (ko) 2014-04-23 2014-04-23 T형 배관용 단열재 보호커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01643B1 true KR101501643B1 (ko) 2015-03-11

Family

ID=530272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48659A KR101501643B1 (ko) 2014-04-23 2014-04-23 T형 배관용 단열재 보호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1643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9284A (ko) * 2015-04-30 2016-11-09 (주)동인엔지니어링 단열성능이 강화된 배관용 단열장치
KR101712772B1 (ko) 2016-03-21 2017-03-07 장태돈 배관용 단열재 보호커버
KR101727682B1 (ko) * 2015-12-08 2017-04-19 (주)동인엔지니어링 배관 가열커버
KR101827638B1 (ko) 2016-06-21 2018-02-08 장태돈 배관 단열재용 덕트
KR101889443B1 (ko) * 2018-01-05 2018-08-17 (주)동인엔지니어링 배관용 단열장치
KR101890293B1 (ko) * 2018-01-05 2018-08-21 (주)동인엔지니어링 분기형 배관용 단열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1189U (ko) * 1999-06-25 2001-01-15 이긍재 매설용관 보호구
JP2002013695A (ja) * 2000-06-29 2002-01-18 Yamato Kogyo Kk ハンダを使用しない各種配管用のエルボカバーの製造法
KR101184392B1 (ko) * 2011-10-19 2012-09-19 김국수 배관용 단열장치
KR20120008974U (ko) * 2011-06-20 2012-12-28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T형 배관용 보온커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1189U (ko) * 1999-06-25 2001-01-15 이긍재 매설용관 보호구
JP2002013695A (ja) * 2000-06-29 2002-01-18 Yamato Kogyo Kk ハンダを使用しない各種配管用のエルボカバーの製造法
KR20120008974U (ko) * 2011-06-20 2012-12-28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T형 배관용 보온커버
KR101184392B1 (ko) * 2011-10-19 2012-09-19 김국수 배관용 단열장치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9284A (ko) * 2015-04-30 2016-11-09 (주)동인엔지니어링 단열성능이 강화된 배관용 단열장치
KR101686971B1 (ko) * 2015-04-30 2016-12-16 (주)동인엔지니어링 단열성능이 강화된 배관용 단열장치
KR101727682B1 (ko) * 2015-12-08 2017-04-19 (주)동인엔지니어링 배관 가열커버
KR101712772B1 (ko) 2016-03-21 2017-03-07 장태돈 배관용 단열재 보호커버
KR101827638B1 (ko) 2016-06-21 2018-02-08 장태돈 배관 단열재용 덕트
KR101889443B1 (ko) * 2018-01-05 2018-08-17 (주)동인엔지니어링 배관용 단열장치
KR101890293B1 (ko) * 2018-01-05 2018-08-21 (주)동인엔지니어링 분기형 배관용 단열장치
WO2019135436A1 (ko) * 2018-01-05 2019-07-11 (주)동인엔지니어링 분기형 배관용 단열장치
WO2019135434A1 (ko) * 2018-01-05 2019-07-11 (주)동인엔지니어링 배관용 단열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1643B1 (ko) T형 배관용 단열재 보호커버
KR101599449B1 (ko) 밸브유닛용 단열재 보호커버
US9476538B2 (en) Pipe insulation apparatus having finishing cover of compression-bonded structure
KR101184392B1 (ko) 배관용 단열장치
KR101686971B1 (ko) 단열성능이 강화된 배관용 단열장치
KR101341838B1 (ko) 내진성을 갖는 배관 이음장치
KR101820450B1 (ko) 방진기능을 구비하는 배관용 단열장치
KR101890293B1 (ko) 분기형 배관용 단열장치
KR101889443B1 (ko) 배관용 단열장치
KR100458149B1 (ko) 나선 권취형 가스켓, 이의 제조방법 및 권취 다이
KR101458537B1 (ko) 착탈식 단열장치
KR102470040B1 (ko) 배관 단열 구조체의 단열 커버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2098578B1 (ko) 파이프 곡선 라인의 클래드
KR100880384B1 (ko) 유체 누설 방지를 위한 합성수지관의 연결구조
KR101572169B1 (ko) 직관용 단열재 보호커버
KR101155350B1 (ko) 냉매용 이종 파이프 결합을 위한 피팅장치
KR102243699B1 (ko) 무용접 플랜지 양 이음쇠 및 그 조립 방법
KR101890284B1 (ko) 밸브유닛용 단열장치
JP5091402B2 (ja) 断熱装置
JP6863840B2 (ja) うず巻形ガスケット
KR101578328B1 (ko) 플렉시블 연료가스 배관 및 그 제조방법
RU2084745C1 (ru) Электроизолированное соединение трубопроводов
KR102659100B1 (ko) 구조적 강도가 개선된 배관용 단열장치
CN210396867U (zh) 高温密封垫片和车辆排气管路
JPS62209293A (ja) 配管用伸縮継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