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3277U - T형 배관커버 - Google Patents

T형 배관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3277U
KR20170003277U KR2020160001318U KR20160001318U KR20170003277U KR 20170003277 U KR20170003277 U KR 20170003277U KR 2020160001318 U KR2020160001318 U KR 2020160001318U KR 20160001318 U KR20160001318 U KR 20160001318U KR 20170003277 U KR20170003277 U KR 2017000327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rizontal
cover
vertical
pipe
vertical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131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86380Y1 (ko
Inventor
김덕준
Original Assignee
(주)성우이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성우이앤씨 filed Critical (주)성우이앤씨
Priority to KR202016000131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6380Y1/ko
Publication of KR2017000327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327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638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638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0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10Bandages or covers for the protection of the insulation, e.g. against the influence of the environment or against mechanical damage
    • F16L59/103Rigid covers for tee pie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0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14Arrangements for the insulation of pipes or pipe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0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14Arrangements for the insulation of pipes or pipe systems
    • F16L59/147Arrangements for the insulation of pipes or pipe systems the insulation being located inwardly of the outer surface of the pi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0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14Arrangements for the insulation of pipes or pipe systems
    • F16L59/16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local requirements at flanges, junctions, valves or the like
    • F16L59/161Housings for valves, tee piece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otection Of Pipes Against Damage, Friction, And Corros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T형 배관커버에 관한 것으로서, 수평배관의 외부를 감싸며 수형방향을 따라 절개된 제1수평절개단과 제2수평절개단이 구비되며 수직커버삽입공이 형성된 수평커버와; 상기 제1수평절개단과 상기 제2수평절개단의 수직커버삽입공에 각각 수직하게 결합되는 제1수직관과 제2수직관으로 형성되는 수직커버와; 상기 제1수평절개단과 상기 제2수평절개단이 서로 맞닿는 영역에 구비되어 상기 수평배관과 상기 수직배관의 외부를 감싼 상기 수평커버와 상기 수직커버의 결합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T형 배관커버{T TYPE PIPE COVER}
본 고안은 T형 배관커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히는 수평배관과 수직배관이 연결되는 연결부위에 간단하게 시공할 수 있는 T형 배관커버에 관한 것이다.
배관은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연료를 수송하거나, 난방 용수 또는 작동유체를 수송하는데 사용된다. 이러한 배관은 내부를 따라 이동되는 다양한 유체가 외부의 온도에 영향을 받지 않고 이동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에 따라 동절기에 차가운 외부 온도에 의해 배관 내부의 유체가 얼거나 영향을 받지 않도록 배관의 외부에 보온커버를 배치하게 된다. 등록실용신안 제20-0364091호 "시공이 용이한 스티로폴 배관보온커버"에 종래 보온커버의 일례가 개시된 바 있다.
산업현장에 설치된 배관은 다양한 형태로 배치된다. 즉, 유체의 공급경로에 따라 수평배관, 수직배관이 서로 복잡하게 연결되게 배치된다. 이 때, 수평배관과 수직배관이 서로 연결되는 연결부분이 존재하게 된다.
개시된 바와 같은 종래 배관보온커버는 대부분 반으로 분할된 원통형 자재를 배관의 외주면에 서로 결합한 후 고정하는 형태이다. 이에 따라 수평배관과 수직배관이 서로 연결되는 연결부위는 제대로 감쌀 수 없는 제약이 있고, 보온재를 연결부위에 말아서 감쌀 경우 보온의 효과는 있으나 외관이 깔끔하지 않은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 배관보온커버는 반으로 분할된 원통형 자재를 테이프를 이용해 고정하게 되므로 테이프를 절단하여 붙이는 과정이 번거로우며, 작업자가 수동으로 분할된 부분을 서로 맞닿게 고정해야하므로 결합영역의 결합상태가 균일하지 않은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수직배관과 수평배관이 서로 연결되는 연결영역을 깔끔하게 감쌀 수 있는 T자형 배관커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시공과정이 간편하여 작업자의 숙련도에 관계없이 누구나 시공할 수 있으며 깔끔한 미관을 나타내는 T자형 배관커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상기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상술한 본 고안의 목적은 수평배관과 수직배관의 연결부분을 커버하는 T형 배관커버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T형 배관커버는, 수평배관의 외부를 감싸며 수형방향을 따라 절개된 제1수평절개단과 제2수평절개단이 구비되며 수직커버삽입공이 형성된 수평커버와; 상기 제1수평절개단과 상기 제2수평절개단의 수직커버삽입공에 각각 수직하게 결합되는 제1수직관과 제2수직관으로 형성되는 수직커버와; 상기 제1수평절개단과 상기 제2수평절개단이 서로 맞닿는 영역에 구비되어 상기 수평배관과 상기 수직배관의 외부를 감싼 상기 수평커버와 상기 수직커버의 결합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수평절개단의 하면에는 상기 수직커버삽입공을 중심으로 양측에 상기 제2수평절개단을 향해 “U"자 형태로 절곡형성된 수평삽입고리가 구비되고, 상기 수평배관을 감싼 후 상기 제1수평절개단과 상기 제2수평절개단이 서로 결합될 때, 상기 제2수평절개단이 상기 수평삽입고리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제2수평절개단이 상기 제1수평절개단 내부로 삽입되는 위치가 제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수직관 양측면에는 상기 제2수직관을 향해 "U"자 형상으로 절곡형성된 수직삽입고리가 구비되고, 상기 수직배관을 감싼 후 상기 제1수직관과 상기 제2수직관이 서로 접촉 결합될 때, 상기 제2수직관의 수직절개단이 상기 수직삽입고리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제2수직관이 상기 제1수직관 내부로 삽입되는 위치가 제한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수직관과 상기 제2수직관의 하부에는 각각 상기 수평커버의 내측벽면을 향해 일정 면적 연장되게 형성된 결합날개가 구비되고,상기 결합날개는 고정부재에 의해 상기 수평커버에 고정되고, 상기 결합날개를 제외한 상기 제1수직관과 상기 제2수직관의 하부는 상기 수평커버에 미고정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제1수평절개단과 상기 제2수평절개단 중 어느 하나의 단부에 결합되는 결합후크와; 상기 결합후크에 걸림결합되는 연결고리와; 상기 제1수평절개단과 상기 제2수평절개단 중 다른 하나의 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연결고리와 결합되는 구속력을 제공하는 락킹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수평커버의 단부에는 수평배관에 수평방향으로 이웃하게 연결된 연결배관을 커버하는 연결배관커버 단부의 결합돌기가 끼움결합되는 비딩이 구비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T형 밸브커버는 수평배관과 수직배관의 연결부위의 형상에 대응되게 T자 형태로 형성된다. 이에 의해 연결부위의 전영역을 모두 감쌀 수 있어 보온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T형 밸브커버는 수직커버가 수평커버에 완전히 고정되지 않고 일부분만 고정되는 형태로 구비되므로 수평커버 내부에 수평배관이 삽입된 상태에서도 수직커버를 일정범위 유동시켜 작업자가 용이하게 수직배관을 감쌀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T형 밸브커버는 수평배관과 수직배관이 서로 맞닿는 영역에 위치를 1차적으로 고정하는 수평삽입고리와 수직삽입고리가 구비되므로 결합영역의 위치를 제한하게 된다. 이에 따라 모든 배관의 결합형상이 동일하게 유지될 수 있다.
또한, 락킹부재의 조작에 의해 개폐되는 체결부재에 의해 작업자가 용이하게 밸브커버를 배관으로부터 분리하거나 결합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T형 배관커버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T형 배관커버가 수평배관과 수직배관의 연결영역에 시공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T형 배관커버가 연결영역에 결합되는 과정을 도시한 예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T형 배관커버가 결합된 상태에서 측면구성을 도시한 측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T형 배관커버가 결합된 상태에서 평면구성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본 고안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고안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T형 배관커버(100)의 체결부재(130)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T형 배관커버(100)가 수평배관(10)과 수직배관(10a)의 연결부분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T형 배관커버(100)가 배관(10,10a)에 결합되기 위해 체결부재(130)가 열려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T형 배관커버(100)는 수평배관(10)과 수직배관(10a)이 연결되는 연결부위를 감싸도록 결합된다. 이 때, T형 배관커버(100)는 수평배관(10)과 수직배관(10a)의 외부를 직접 감싸도록 결합되거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배관(10)과 수직배관(10a)을 감싸도록 배치된 보온재(20,20a)의 외부를 감싸도록 결합될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 본 고안의 T형 배관커버(100)의 내벽면에 보온재가 일체로 결합되게 형성될 수도 있다.
본 고안에 따른 T형 배관커버(100)는 수평배관(10)이 수용되는 수평수용공간(A)을 형성하는 수평커버(110)와, 수직배관(10a)이 수용되는 수직수용공간(B)을 형성하는 수직커버(120)가 T자형태로 결합되어 구비된다. 수평커버(110)에는 수평배관(10)과 수직배관(10a)에 결합된 T형 배관커버(100)의 결합상태가 유지되도록 구속력을 작용하는 체결부재(130)가 구비된다.
수평커버(110)는 원통관을 길이방향을 따라 상부를 절개한 형태로 구비된다. 즉, 수평커버(110)는 원형의 단면형태를 갖는 수평커버(110)에서 상부영역을 절개하여 제1수평절개단(111)과 제2수평절개단(113)으로 분할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수평절개단(111)과 제2수평절개단(113)을 벌리고 수평수용공간(A)을 외부로 노출한 상태에서 수평배관(10)을 수평수용공간(A)에 끼우게 된다.
여기서, 제1수평절개단(111)과 제2수평절개단(113)는 원을 1/2로 분할한 것보다 일정 길이 긴 원호를 갖게 형성된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된 상태에서 제2수평절개단(113)이 제1수평절개단(111)의 내부로 일정길이 삽입되어 결합구속력을 높이게 된다.
제1수평절개단(111)과 제2수평절개단(113)에는 수직커버(120)가 삽입되는 수직커버삽입공(119)이 관통형성된다. 수직커버삽입공(119)은 반원 형태로 제1수평절개단(111)과 제2수평절개단(113)에 각각 형성된다.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수평절개단(111)의 하면에는 수평삽입고리(115)가 구비된다. 수평삽입고리(115)는 수직커버삽입공(119)을 중심으로 양측에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수평삽입고리(115)는 제2수평절개단(113)을 향해 개구가 형성된 "U"자형 고리형태로 형성된다. 수평삽입고리(115)는 제1수평절개단(111)의 하부에 고정부재(미도시) 또는 용접 또는 접착제 등에 의해 고정되거나, 제1수평절개단(111)으로부터 절곡되어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수평커버(110)의 내부에 수평배관(10)이 수용되고, 제1수평절개단(111)과 제2수평절개단(113)이 서로 맞닿으며 결합될 때, 제2수평절개단(113)의 일정길이가 제1수평절개단(111)의 내부로 삽입된다. 이 때, 제1수평절개단(111)의 내부로 삽입되는 제2수평절개단(113)이 수평삽입고리(115) 내부로 삽입되고, 수평삽입고리(115)의 절곡된 영역에 접촉되며 삽입위치가 고정된다.
수평삽입고리(115)는 제2수평절개단(113)이 제1수평절개단(111)으로 삽입되는 삽입길이를 제한하여 제1수평절개단(111)과 제2수평절개단(113)의 결합위치를 고정한다.
여기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평커버(110)는 수평삽입고리(115)가 제1수평절개단(111)의 하면에 구비되었으나, 이는 일예일 뿐이며 경우에 따라 제2수평절개단(113)에 수평삽입고리(115)가 삽입될 수도 있다.
한편, 수평커버(110)의 단부에는 일정 높이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비딩(112)이 구비된다. 비딩(112)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배관(20)에 연결된 연결배관(미도시)의 외부를 감싸는 연결배관커버(200)의 단부와 결합하여 위치가 고정되도록 한다.
연결배관커버(200)의 선단(210)이 수평커버(110) 내부로 삽입되고 결합돌기(220)가 비딩(120)에 맞물려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수직커버(120)는 수평커버(110)의 수직커버삽입공(119)에 삽입되어 내부에 수직배관(10a)을 수용한다. 수직커버(120)는 원통관 형태가 수직방향으로 1/2로 나뉘어진 형태의 제1수직관(121) 및 제2수직관(123)이 서로 결합되어 형성된다.
제1수직관(121)은 제1수평절개단(111) 측의 수직커버삽입공(119)에 결합되고, 제2수직관(123)은 제2수평절개단(113) 측의 수직커버삽입공(119)에 결합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관(121,123)은 수직커버삽입공(119)의 형상에 대응되게 하부영역이 타원형태로 연장형성된다.
수직관(121,123)의 하부에는 일정면적 연장되어 수평커버(110) 내부로 삽입되는 결합날개(122)가 구비된다. 수직관(121,123)은 하부 테두리영역이 수직커버삽입공(119)에 맞닿게 배치되고 고정은 하지 않는다. 수직관(121,123) 하부의 결합날개(122)만 수평커버(110) 내부로 삽입되어 결합날개(122)의 면적만큼만 수평커버(110)와 맞닿게 된다. 결합날개(122)는 고정부재(122a)에 의해 수평커버(110)에 고정된다.
이에 의해 수직관(121,123)은 수평커버(110)에 위치가 고정되지 않고 결합날개(122)를 중심으로 전후 좌우로 일정 범위 유동될 수 있다.
이러한 수평커버(110)와 수직관(121,123)의 결합구조에 의해 수직관(121,123)이 수직배관(10a)을 감쌀 때 위치가 고정되지 않고 유동적이므로 보다 넓은 범위로 수직관(121,123)이 벌어질 수 있어 작업자가 용이하게 수직배관(10a)의 외부로 수직관(121,123)을 배치할 수 있다.
즉, 수직커버(120)가 수평커버(110)에 용접등의 방식으로 위치가 완전히 고정되면, 수직커버(120)가 수평배관(10)을 감싼 상태에서 수직관(121,123)을 벌리기가 쉽지 않다. 따라서, 본 고안의 T형 밸브커버(100)는 수직커버(120)를 수평커버(110)에 고정부재(122a)에 의해 일부분만 고정하여 수평커버(110)가 수평배관(10)을 감싼 상태에서도 한 쌍의 수직관(121,123)을 수평커버(110)로부터 벌려 수직커버(120)의 외부를 감싸는 작업이 용이해질 수 있다.
한편, 제1수직관(121)과 제2수직관(123)이 맞닿는 절개영역 중 어느 하나에는 수직삽입고리(125)가 구비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T형 밸브커버(100)는 제1수직관(121)에 수직삽입고리(125)가 구비된다. 수직삽입고리(125)는 제2수직관(123)을 향해 개구가 형성된 "U"자 고리 형태로 형성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수직관(121)과 제2수직관(123)이 서로 결합될 때 제2수직관(123)의 수직절개단(127)이 수직삽입고리(125) 내부로 삽입된다. 이에 의해 제2수직관(123)이 제1수직관(121)에 삽입되는 길이가 제한되고, 1차적으로 제1수직관(121)과 제2수직관(123)의 결합위치가 고정된다.
체결부재(130)는 수직배관(10a)과 수평배관(10)을 감싼 T형 밸브커버(100)의 결합상태가 유지되도록 결속력을 제공한다. 체결부재(130)는 제2수평절개단(113)에 배치되는 후크(131)과, 제1수평절개단(111)에 배치되는 락킹부재(135)와, 일단이 락킹부재(135)에 고정되고 타단이 후크(131)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고리(133)를 포함한다.
후크(131)는 고정부재(131b)에 의해 제2수평절개단(113)의 상면에 고정된다. 후크(131)의 선단은 상방향으로 절곡된 걸림단(131a)이 구비된다.
락킹부재(135)는 제1수평절개단(111)의 상면에 고정된다. 락킹부재(135)는 회전축(135a)를 중심으로 회전되게 구비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T형 밸브커버(100)가 열려진 상태에서는 락킹부재(135)는 수직하게 회전된 상태를 유지하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T형 밸브커버(100)가 수직배관(10a)과 수평배관(10)에 결합된 상태일 때는 연결고리(133)를 후크(131)에 걸림결합시키고, 락킹부재(135)를 가압하여 수평하게 회전시켜 클램핑고정한다.
작업자는 락킹부재(135)를 조작하는 것에 의해 T형 밸브커버(100)를 수직배관(10a)과 수평배관(10)에 용이하게 결속 및 분리시킬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른 T형 밸브커버(100)의 시공과정을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T형 밸브커버(100)는 금속재 원통관 형태인 수평커버(110)와, 수평커버(110)에 결합된 수직커버(120)를 결합하여 형성된다. 수직커버(120)는 한 쌍의 수직관(121,123)으로 형성되며, 수평커버(110)의 제1수평절개단(111)과 제2수평절개단(113)에 각각 한 쌍의 수직관(121,123)이 나누어져 결합된다.
제1수직관(121)과 제2수직관(123)은 제1수평절개단(111)과 제2수평절개단(113)의 수직커버삽입공(119)에 위치가 고정되지 않고, 고정부재(122a)에 의해 하부의 결합날개(122)만 고정된다. 이에 의해 제1수직관(121)과 제2수직관(123)은 수평커버(110)에 대해 일정범위에서 위치 이동이 가능하다.
작업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수평절개단(111)과 제2수평절개단(113)을 벌려 수평수용공간(A)을 외부로 노출시킨다. 그리고, 그 사이로 수평배관(10)을 삽입하여 수평배관(10)을 수평커버(110) 내부에 수용시킨다.
이 때, 수평커버(110)의 외부에 보온재(20,20a)가 결합되어 있는 경우, 수평커버(110)는 보온재(20,20a)의 외부에 결합된다.
제1수평절개단(111)과 제2수평절개단(113)이 서로 맞닿게 배치하고, 제2수평절개단(113)이 수평삽입고리(115) 내부로 삽입되어 위치가 1차적으로 고정된다.
수평커버(110)가 수평배관(10)을 수용하고 나면, 작업자는 한 쌍의 수직관(121,123)을 결합날개(122)를 중심으로 반경방향 외측으로 벌려 수직수용공간(B)을 외부로 노출하고, 수직배관(10a) 외부로 한 쌍의 수직관(121,123)을 결합시킨다. 수직삽입고리(125)에 수직절개단(127)이 삽입되면서 제1수직관(121)과 제2수직관(123)의 결합위치도 1차적으로 고정된다.
이렇게 수평커버(110)와 수직커버(120)의 내부에 각각 수평배관(10)과 수직배관(10a)이 수용되면, 연결고리(133)를 후크(131)에 결합시키고, 락킹부재(135)를 회동시켜 결합상태를 고정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T형 밸브커버는 수평배관과 수직배관의 연결부위의 형상에 대응되게 T자 형태로 형성된다. 이에 의해 연결부위의 전영역을 모두 감쌀 수 있어 보온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T형 밸브커버는 수직커버가 수평커버에 완전히 고정되지 않고 일부분만 고정되는 형태로 구비되므로 수평커버 내부에 수평배관이 삽입된 상태에서도 수직커버를 일정범위 유동시켜 작업자가 용이하게 수직배관을 감쌀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T형 밸브커버는 수평배관과 수직배관이 서로 맞닿는 영역에 위치를 1차적으로 고정하는 수평삽입고리와 수직삽입고리가 구비되므로 결합영역의 위치를 제한하게 된다. 이에 따라 모든 배관의 결합형상이 동일하게 유지될 수 있다.
또한, 락킹부재의 조작에 의해 개폐되는 체결부재에 의해 작업자가 용이하게 밸브커버를 배관으로부터 분리하거나 결합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고안의 T형 밸브커버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고안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고안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 수평배관 10a : 수직배관
20 : 단열재 100 : T형 밸브커버
110 : 수평커버 111 : 제1수평절개단
112 : 비딩 113 : 제2수평절개단
115 : 수평삽입고리 117 : 수직커버삽입공
120 : 수직커버 121 : 제1수직관
122 : 결합날개 122a : 고정부재
123 : 제2수직관 125 : 수직삽입고리
127 : 수직절개단 130 : 체결부재
131 : 후크 131a : 걸림단
133 : 연결고리 135 : 락킹부재
135a : 회전축 200 : 연결배관커버
210 : 삽입단 220 : 결합돌기

Claims (6)

  1. 수평배관과 수직배관의 연결부분을 커버하는 T형 배관커버에 있어서,
    수평배관의 외부를 감싸며 수형방향을 따라 절개된 제1수평절개단과 제2수평절개단이 구비되며 수직커버삽입공이 형성된 수평커버와;
    상기 제1수평절개단과 상기 제2수평절개단의 수직커버삽입공에 각각 수직하게 결합되는 제1수직관과 제2수직관으로 형성되는 수직커버와;
    상기 제1수평절개단과 상기 제2수평절개단이 서로 맞닿는 영역에 구비되어 상기 수평배관과 상기 수직배관의 외부를 감싼 상기 수평커버와 상기 수직커버의 결합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형 배관커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평절개단의 하면에는 상기 수직커버삽입공을 중심으로 양측에 상기 제2수평절개단을 향해 “U"자 형태로 절곡형성된 수평삽입고리가 구비되고,
    상기 수평배관을 감싼 후 상기 제1수평절개단과 상기 제2수평절개단이 서로 결합될 때, 상기 제2수평절개단이 상기 수평삽입고리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제2수평절개단이 상기 제1수평절개단 내부로 삽입되는 위치가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형 배관커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직관 양측면에는 상기 제2수직관을 향해 "U"자 형상으로 절곡형성된 수직삽입고리가 구비되고,
    상기 수직배관을 감싼 후 상기 제1수직관과 상기 제2수직관이 서로 접촉 결합될 때, 상기 제2수직관의 수직절개단이 상기 수직삽입고리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제2수직관이 상기 제1수직관 내부로 삽입되는 위치가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형 배관커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직관과 상기 제2수직관의 하부에는 각각 상기 수평커버의 내측벽면을 향해 일정 면적 연장되게 형성된 결합날개가 구비되고,
    상기 결합날개는 고정부재에 의해 상기 수평커버에 고정되고, 상기 결합날개를 제외한 상기 제1수직관과 상기 제2수직관의 하부는 상기 수평커버에 미고정상태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형 배관커버.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제1수평절개단과 상기 제2수평절개단 중 어느 하나의 단부에 결합되는 결합후크와;
    상기 결합후크에 걸림결합되는 연결고리와;
    상기 제1수평절개단과 상기 제2수평절개단 중 다른 하나의 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연결고리와 결합되는 구속력을 제공하는 락킹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형 배관커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커버의 단부에는 수평배관에 수평방향으로 이웃하게 연결된 연결배관을 커버하는 연결배관커버 단부의 결합돌기가 끼움결합되는 비딩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형 배관커버.
KR2020160001318U 2016-03-11 2016-03-11 T형 배관커버 KR20048638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1318U KR200486380Y1 (ko) 2016-03-11 2016-03-11 T형 배관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1318U KR200486380Y1 (ko) 2016-03-11 2016-03-11 T형 배관커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3277U true KR20170003277U (ko) 2017-09-21
KR200486380Y1 KR200486380Y1 (ko) 2018-05-11

Family

ID=605713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1318U KR200486380Y1 (ko) 2016-03-11 2016-03-11 T형 배관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638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705831A (zh) * 2020-07-20 2020-09-25 中建交通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用于加固钢桩基的异型玻纤套筒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9713B1 (ko) * 2007-06-12 2008-04-08 김송근 덕트용 엘보우 커버 및 그 제조방법
KR20110018751A (ko) * 2009-08-18 2011-02-24 최성호 배관용 엘보우 커버 제조 장치
KR101184392B1 (ko) * 2011-10-19 2012-09-19 김국수 배관용 단열장치
KR101397535B1 (ko) * 2014-01-10 2014-05-21 주식회사 성수티이씨 탈부착식 단열 커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9713B1 (ko) * 2007-06-12 2008-04-08 김송근 덕트용 엘보우 커버 및 그 제조방법
KR20110018751A (ko) * 2009-08-18 2011-02-24 최성호 배관용 엘보우 커버 제조 장치
KR101184392B1 (ko) * 2011-10-19 2012-09-19 김국수 배관용 단열장치
KR101397535B1 (ko) * 2014-01-10 2014-05-21 주식회사 성수티이씨 탈부착식 단열 커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705831A (zh) * 2020-07-20 2020-09-25 中建交通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用于加固钢桩基的异型玻纤套筒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6380Y1 (ko) 2018-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336023B2 (ja) 熱保護装置を備えたクランプ組立体
US8226052B2 (en) Insulated clamp
PT1642058E (pt) Acoplamento de encaixe
KR200486380Y1 (ko) T형 배관커버
GB2510175A (en) Ventilation duct coupling
US9316336B2 (en) Penetration fitting unit for seal-connection between a wall and a pipe passing through
KR101827637B1 (ko) 배관 단열재용 덕트
KR101827638B1 (ko) 배관 단열재용 덕트
CA2963100C (en) Prefabricated, modular, fire resistance and non-fire resistance rated ventilation duct assembly with integral subducts
JP5059631B2 (ja) 管継手の加熱・保温カバー
KR200488320Y1 (ko) 보온 외장재의 빗물 유입 방지용 커버
KR101844832B1 (ko) 고무앤드캡이 포함되는 선박용 단열배관
JP6419476B2 (ja) 流路切換弁
JP5191835B2 (ja) 温水コンセント
KR20150113481A (ko) 보일러의 이중 연도
KR101949985B1 (ko) 오배수관용 연결 이음장치
US8783730B2 (en) Flanges for watertight coupling of smooth surface pipes
JP6419475B2 (ja) 流路切換弁
KR20050092673A (ko) 스티로풀을 이용한 배관커버
KR101916399B1 (ko) 분배기용 보온재
JP6884022B2 (ja) 配管用装着部材
KR101396790B1 (ko) 억지끼움링에 의해 패킹링이 보호되는 소켓관
JP4995026B2 (ja) 流体管のカバー体
KR100999916B1 (ko) 파이프 고정 앙카
CN218096527U (zh) 接水盘组件、冷热水机及辐射空调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